De:Place Re:Place

Page 1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SDO_모바일큐브 10개 대형마트 서울디자인올림픽행사장

DE:PLACE RE:PLACE


56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57

사업목적

“삶속에 예술을 돌려라!”

모바일 큐브_디:플레이스 리:플레이스(De:place Re:place) 공공미술은 일상과 예술 “사이”의 미적 행위다. 삶과 예술의 단절과 상호 소외를 넘어 일상

속에 숨 쉬는 예술, 예술 속에 살아가는 일상을 만드는데 도전한다. 이러한 “사이의 미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시갤러리는 도시를 순회하는 컨테이너에 예술을 태우고 서울 곳곳을 흐르는 <모바일 큐브>를 기획하게 되었다. 미술관 안으로 바깥의 삶을 불러들 이는 예술의 전통적인 “안팎”의 개념을 새로운 가름과 역동적인 넘나듦으로 넘어서야 한다. 이를 위 해 예술의 처소를 고착성과 정태성에서 역동성과 동태성으로(모바일mobile), 영구적 공간을 일시적 시간으로(액션 큐브action cube) 이동시켰다. 흐르다, 플럭서스(fluxus)는 전통적인 창작 방식의 고정성도 흔들길 고대했다. 창작 중심의 업역(業域) 대신 소통 중심의 삶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미술뿐만 아니라 건축, 디자인, 조경, 음악 등 의 협업을 유도했다. 가장 역점을 기울인 부문은 수동적인 관객을 능동적인 향유자로 재활하고자 했 다. 이를 위해 작가들은 컨테이너마다 예술의 씨앗을 심어넣고 시민들이 꽃피우는 참여작업, 공동작 업을 활기차게 펼쳤다.


58

SDO_모바일큐브

인포메이션

사업명 |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SDO 모바일 큐브 <DE:PLACE*RE:PLACE>전

사업구성 | 기간 및 장소

(1차) 마트전시

기간 | 2008년 9월 29일 - 10월 4일

장소 | 서울시내 대형마트 및 백화점의 야외주차장 또는 야외행사장 10곳

마트명

지점명

홈플러스

강서점, 금천점, 동대문점, 영등포점

4

롯데마트

금천점, 영등포점

2

하나로클럽

양재점, 창동점

2

행복한세상백화점

목동점

1

마포농수산물시장

월드컵경기장

1

합계

10

De:place Re:place

개수

(2차) SDO 전시

기간 | 2008년 10월 10일 - 10월 30일

기간 | 잠실종합운동장 내 SDO 행사장(남문광장)

협력기관 |

홈플러스, 롯데마트, 하나로클럽, 행복한세상백화점, 마포농수산물시장

강서구청, 금천구청, 도봉구청, 동대문구청, 마포구청, 서초구청, 양천구청, 영등포구청

예산 |

총예산 : 499,520,000원


59

초대작가 | 10팀(국내10명, 국외2명)

National Academy of Fine Arts에서 BA를 취

작품명 |

CUBE 01

득한 후, 베를린과 노르웨이의 베르겐을 오가며 활

작가약력 |

당신의 흔적을 남기세요. 현재 Daum 커뮤니케이션에서 UXD팀장으

작가명 |

강슬기

동하고 있는 예술가이자 기업가이다. 실크스크린,

로 활동 중이며, 카페, 블로그와 같은 커뮤니티 서비

작품명 |

어토이팩토리

조각, 수많은 티셔츠 디자인을 통해 매스미디어와

스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UXD을 담당하고 있다.

Ravensboune College of Design and

대중문화가 우리의 정체성에 끼치는 영향에서부

이메일 |

Communication에서 Interactive Digital Me-

터, 글로벌화, 정 치사회 및 경제적 소재를 넘나들

dia 석사를 졸업하고, 2007년부터 현재까지 미디

며 이슈를 만들어내고 있다.

CUBE 08

어디자인그룹 바이널에서 디자인 매니저로 활동하

얀 크리스텐센 | 1977년 코펜하겐에서 태어나 오

작가명 |

진달래+박우혁

고 있으며, atoyfactory의 디렉터 및 토이맨으로

슬로의 National College of Art and Design을

작품명 |

오브-라-다, 오브-라-디

활동하고 있다.

졸업한 후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있다. 큐레

작가약력 |

이팅, 사진, 조각, 설치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

라피, 드로잉, 설치, 글쓰기, 출판 등 다양한 것들

동하고 있는 그는 국립 창동 미술 스튜디오 프로그

의 나눔을 실천하여 삶을 빛나게 하고자 노력하는

CUBE 02

램(2004)에 참가했었고 아트선재에서 두 차례 전

디자인가족이다. 이메일 |

작가약력 |

이메일 |

digitypo@gmail.com

작가명 |

김광수

시를 하는 등 서울과도 친숙한 작가이다.

작품명 |

100개의 알 수 없는 방

이메일 |

연세대 건축공학과 및 예일대학교 건축대학

jan_b_christensen@yahoo.com

jooyounglee25@gmail.com

진달래+박우혁 은 그래픽디자인, 타이포그

woo@typepage.com

bjornkowalski@googlemail.com

CUBE 09

작가명 |

최승준

으며, 도시건축설계와 리써치를 위한 studio_K_

CUBE 05

작품명 |

다차원 알레아토릭

works를 운영하고 있다. 2004년 베니스비엔날레

작가명 |

서승모

작가약력 |

한국관 작가로 선정되었다.

작품명 |

도시전화 都市轉化:풍경을 나누어 드립니다.

트로써 IT와 예술, 교육 분야를 넘나들며 매개자 역

서승모는 2004년 건축공방 ‘r dA unit’을

할을 하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에서

설립한 후, 현대도시의 다양한 행위와 새로운 기

발룬티어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바이널 V-LAB

CUBE 03

능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건축방법론에 대해 연구

의 자문을 맡고 있다. 개인전 ‘그림자가 따라와요’, P.Art.y 2007, ARCO 민박 등 다수의 전시에 참

작가약력 |

원을 졸업하고 현재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

이메일 |

sookim@ewha.ac.kr

작가약력 |

작가명 |

김태은

하고 있다.

작품명 |

이미지영수증

이메일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원을

rdaunit@korea.com

응용물리학을 전공하였으며, 미디어아티스

여하였다. erucipe@hanmail.net

이메일 |

졸업하고 미디어 작가, 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

CUBE 06

으며 Asiagraph(2008), 서울국제미디어비엔날

작가명 |

이주영

CUBE 10

레(2006) 외 다수 전시에 참가하였다. 2005년 중

작품명 |

예술 품앗이 아웃소싱회사: 마포농수산물시

작가명 |

최진석

앙미술대전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작품 <풍

장사람들을 위한 리빙룸.

작품명 |

소리공간 진바이진

경시소>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연세대학

작가약력 |

교 영상예술학 박사 과정 중에 있다.

를 반영한다. 인터뷰와 워크샵을 통한 이주영 의 프

자이너 및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국 웨

로젝트는 일시적인 이벤트로 이루어지며, 공공과

스트민스터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수여 받고 미국

개인을 구분 하는 범주를 뛰어넘는다.

Song of the Year 작곡대회 등에서 수상을 하

CUBE 04

이메일 |

작가약력 |

이메일 |

taeunmap@hanmail.net

작가명 |

비욘 코발스키 한센, 얀 크리스텐센

작품명 |

형제애의 도시

작가약력 |

비욘 코발스키 한센 | 2004년 트론헤임의

이주영의 작품은 언어와 번역에 대한 흥미

jooyounglee25@gmail.com

▬ 조제희

뮤지션, 영화/광고음악 작곡가, 사운드 디

였다. 이메일 |

CUBE 07 작가명 |

작가약력 |

jinbyjin@googlemail.com


60

SDO_모바일큐브

프로젝트 주요일정

⊹ 1차 대상자 선정 | 5월 1일

De:place Re:place

⊹ 2차 대상자 선정 | 5월 9일 ⊹ 사업설명회 | 5월 16일 ⊹ 제안서 제출 | 6월 16일 ⊹ 최종선정 | 6월 21일 ⊹ 1차 협의 | 7월 24일 ⊹ 2차 협의 | 8월 11일 ⊹ 협약 | 9월 10일 ⊹ 1차 설치완료(마트전시) | 9월 25일 ⊹ 1차 전시오픈(마트전시) | 9월 26일 ⊹ 2차 설치완료(SDO전시) | 9월 28일 ⊹ 2차 전시오픈(SDO전시) | 9월 29일 ⊹ 전시종료 | 10월 30일 ⊹ 결과보고서제출 | 11월 21일


61

기획자의 글

모바일 큐브는 10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되며, 각 큐브는 서울시내 10개의 대형마트와 서울

디자인올림픽(SDO) 행사장에서 2차례에 걸쳐 전시된다. 대형마트에 위치한 모바일 큐브에서는 화 폐가 교환 수단이 아닌 공감이 교환수단이 되어 새로운 공공미술의 장을 열고자 한다. 이후 마트에 각 각 흩어져 있던 모바일 큐브는 서울디자인올림픽(SDO) 잠실종합운동장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각기 다른 공공장소에서 일상과 마주한 모바일 큐브는 MAKE-GIVE-SHARE 라는 행위를 통해 일상에 서의 예술에 관한 새로운 가치를 생산하고자 한다.


62

CUBE 01 어토이팩토리 강슬기

가변설치 어토이팩토리는 지극히 개 인적 소유의 의미를 지녔던 장난감의 가치를 넘어, 동시 대의 모든 사람들과 함께 또 다른 유희를 공유하고자 관 람객이 직접 참여하고 조작 하면서 즐길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장난감을 선보인다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63

CUBE 02 100개의 알 수 없는 방

김광수 가변설치 예술공간과 사적공간이 간 차를 두고 중첩되며 만들어 진 또 다른 공간으로서의 사 진은 주변과의 관계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와 위상의 의 미를 보여준다


64

CUBE 03 이미지영수증 김태은

가변설치 대형마트가 큐브 안에 축소 되어 옮겨져 관람객은 카메 라가 장착된 카트를 가지고 상품의 이미지를 쇼핑하여 카운터에 제시한다. 계산된 영수증에 인쇄된 다양한 이 미지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시각적 이미지의 생산과 소 비의 구조가 가지는 의미를 되새기는 작품이다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65

CUBE 04 형제애의 도시

비욘 코발스키 한센 & 얀 크리스텐센 가변설치 지역의 문화가 그들의 현실 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고 믿 고 있는 작가팀은 서울의 이 야기를 티셔츠 디자인으로 만들고, 판매를 통한 수익 금은 지역 커뮤니티 사업과 의 연계로 공유가치를 확장 하고자 한다


66

CUBE 05 도시전화(都市轉化): 풍경을 나누어 드립니다. 서승모

가변설치 관람객에 의해 뿌려진 씨앗은 큐브의 서울시 도시 모형 속에서 싹을 틔우고 자라난다. 새싹은 허브가 되고, 관람객들은 서울 의 일부를 이루고 있던 푸른 허브를 집으로 가지고 가는 행위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풍경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67

CUBE 06 예술 품앗이 아웃소싱회사:

마포농수산물시장사람들을 위한 리빙룸 이주영

가변설치 예술 품앗이 아웃소싱회사는 임시 사무실, 일하는 정거장, 잡 센터, 만남의 공간이다. 참여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만 들어진 리빙/레저공간을 통해 예술적 노동의 새로운 가치를 열게 된다


68

CUBE 07 당신의 흔적을 남기세요 조제희

가변설치 관람객들은 터치스크린 형 식의 패널 위에 '사랑'의 의 미에 대해 다양한 흔적을 남 기고, 그렇게 모인 흔적들은 작가가 만든 프로그램에 의 해 자연스럽게 통합되고 움 직임을 가진 영상으로 진화 되어 새로운 의미를 지닌 사 랑의 메시지를 만들어낸다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69

CUBE 08 오브-라-다, 오브-라-디

진달래+박우혁 가변설치 관람객은 사람 모양이 그려 진 카드를 다양한 의미가 담 긴 아이템 스티커로 꾸민다. 완성된 사람 모양은 관람객 을 상징하는 기호가 되고 관 람객은 자신의 생각과 모습 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기호 를 통해 자기 자신을 타인과 공유하게 된다


70

CUBE 09 다차원 알레아토릭 최승준

가변설치 관람객이 보낸 문자 메세지 와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그 림자 형상은 화면 위에 함 께 투사되어 마치 생명체처 럼 진화되어 간다.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인 그림자 위 에서 다양하게 변화하는 메 시지 영상을 통해 자신의 현 재 모습을 새롭게 바라볼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 젝트이다

SDO_모바일큐브 De:place Re:place


71

CUBE10 소리공간 진바이진 최진석

가변설치 작가가 만든 beat, bass, chords, vocal & visual 소스를 바탕으로 나만의 음 악과 영상을 만드는 프로젝 트이다. 가족을 주제로 만든 관람객의 메시지는 음악이 라는 매체를 통해 또 다른 가 족의 가치를 공유하게 된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