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영상콘텐츠
사업계획서
프레임 인 아프리카
Contents 사업개요 시장 환경 진출 전략 플레임 인 아프리카 소개
사업개요
Business Summary
목적 한국, 아프리카 등에서 아프리카 관련 다양한 영상콘텐츠서비스 제공
Business Summary
핵심사업
아프리카 소재의 다큐/영화 제작
아프리카 진출 기업/기관/NGO의 기록/보고/홍보 영상 제작
현지 영화학교 설립/영상브랜드 런칭
Business Summary
주요 품목
아프리카 소재 다큐/영화 제작
현지 진출 기관/단체 영상물
현지 영상 사업(다큐, 영화, 웨딩 등)
교육사업
Business Summary
기대효과
한ㆍ아프리카 문화 교류 증진
한류 전파와 한국 기업 매출 상승
아프리카 인권 개선
아프리카 영상 콘텐츠 시장 확대
Business Summary
목표
장기 중기
초기
현지 영상사업 진출
현지 영화학교 설립
국내 아프리카 영상 전문 프로덕션 설립
Business Summary
SWOT 분석 강점 우수한 아프리카/ 영상 전문 인력
기회 발전하는아프리카경제, 현지 진출 영상업체의 희소성
약점 ..
위협 현지영상인프라미비
Business Summary
핵심전략과제 한국 내 영업망 구축 (기관, 기업 대상) 아프리카 현지 네트웍 구축 (영화 학교, 정부 기관)
시장환경
Current Status of Africa
중국, 인도에 이어 새롭게 떠오르는 제 3의 거대 시장
아프리카 53개 국가로 이루어진 빈곤과 기회의 대륙. (세계 면적의 20.4%, 인구의 14%)
Current Status of Africa
2001년 ~ 2010년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상위 10개국 중 아프리카가 6개국 (평균 성장률 5%, 세계 평균 2.1%)
영국 이코노미스트
Current Status of Africa
2011년부터 향후 5년간 급성장 예상 국가 세계 10개국 가운데 7개국이 아프리카 국가 (에티오피아ㆍ탄자니아ㆍ가나 ㆍ나이지리아 등 사하라 이남 국가들)
IMF(국제통화기금)
Current Status of Africa
24세 미만 인구 비중60.1% (인도 49.4%, 중국 35.8%)
아프리카의 노동인구 2029년 중국에 이어 2036년에는 인도까지 앞지를 것으로 전망.
Current Status of Africa
아프리카 중산층 지난 30년간 3배 증가 3억1,300만명, 빈곤층 감소 추세. 계속되는 도시화, 최근 연간 20% 이상 성장하는 블루오션 -----
아프리카개발은행(ADB)
Current Status of Africa
국가
GDP (억달러)
인구수 (백만명)
인터넷 사용자
인터넷 가입자
TV 보급율
휴대전화 가입자
나이지리아
1,795.00
148.00
6.75
1.4
26
27.3
에디오피아
279.00
79.00
0.40
0
5
1.5
콩고
115.00
62.00
0.40
0.1
4
10.6
남아프리카
2,765.00
48.00
8.30
9.1
59
88.4
탄자니아
176.00
40.00
1.00
0.1
7
20.6
수단
596.00
39.00
9.10
0.1
16
21.3
케냐
344.00
38.00
8.00
0.5
39
30.2
우간다
157.00
31.00
2.50
0.1
10
13.6
가나
144.00
23.00
3.80
0.1
25
32.4
앙골라
609.00
17.00
2.90
0.3
9
29.3
잠비아
139.00
12.00
4.20
0.1
—
22.1
세네갈
133.00
12.00
6.60
0.3
41
29.3
르완다
39.00
10.00
1.10
0.1
2
6.5
※ 출처: World Bank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or Development 2009‘, 한국 수출입 은행
Current Status of Africa
90%
방송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추세. 경제 개발로 아프리카 대륙의 TV보급율 증가 나라별 편차가 매우 큼 (TV보급율 르완다 2%, 이집트 90%) 2% 르완다 이집트
Current Status of Africa
대형 위성TV와 지역별 중소 방송국 혼재. 소득격차가 큰 53개 국가가 혼재된 곳에서 개별 국가만으로는 시장 형성 어려움. 무선 인터넷을 인프라로 활용한 소규모 권역별 영상,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등은 아프리카 시장에서 잠재성이 높을 것으로 보임
Current Status of Africa
아프리카 영화 산업, 나이지리아, 매년 1,000편이 넘는 영화 제작. (날리우드,Nollywood)
저예산 직접 제작, 세계영화제의 초청을 받아 전 세계에서 상영.
Current Status of Africa
아프리카 영화제작 편수
2010
2011
2010
2011
이집트
43
3
1
1
모로코
17
19
1
9
남아공
23
25
8.30
7
튀니지
9
14
Current Status of Africa
아프리카 영화시장의 문제점
1. 외국 기업들이 수출, 수입, 배급 담당(프랑스의 지원 80%) 2. 지나친 세금으로 영화 제작, 배급의 어려움 3. 나이지리아를 제외하곤 자체 제작 미흡
Current Status of Africa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영상콘텐츠 산업의 발전은 더딤
전술 전략
How to Approach
3 STEP의 단계적 접근
How to Approach
1STEP
영상콘텐츠 사업 (국내시장대상)
- 아프리카를 소재로 한 방송, 영화, 영상 콘텐츠 제작 - 공중파(지역사 포함) 다큐멘터리 편성, 콘텐츠 진흥원 등의 공모
-관공서,기업체의 아프리카 사업 관련 홍보/보고영상 제 작 -아프리카 현지 영상제작 희망업체 지원 코디네이션
- 아프리카 영상콘텐츠 배급/ 아프리카 영화제,포럼, 세미나 개최 - 아프리카 영상제작 아카데미 (아프리카 현지 영상제작 희망자, 영상 관련학과 진학 희망 입시생)
How to Approach
1STEP
수익모델
아프리카 국책 사업(ODA) 관련 KOICA, NGO, 기업체 아프리카 영상제작 아카데미 운영 사업 보고 영상 제작 (연간 100여건 이상)
아프리카 현지 영상제작 희망자 영상 관련학과 진학 희망 입시생 대상 아프리카 소재 다큐 제작. 영상콘텐츠 판매 (공중파, 지역 방송, 케이블 등)
How to Approach
1STEP
실행방안
아프리카 영상제작 관련 포럼운영 (가칭 : 아프리카 영상콘텐츠 포럼)
월 1회 정기 모임, 아프리카 영상콘텐츠 관련 스터디 및 강의 관련 블로그 운영, 참여자 커뮤니티화
아프리카 영상제작 아카데미 운영 영상 전문 강사진 운영
How to Approach
2STEP
아프리카 현지 대상
아프리카 현지 영화학교 설립
아프리카 지역 창업희망자 교육 아프리카인 대상 영상제작 교육
How to Approach
2STEP
아프리카 촬영 전문가 양성
기술, 기획
한국인 대상 PD, 작가, 영화인, 광고 지망생
취업 영화제 결과보고
문화현장 실습 정부지원 50%
창업
How to Approach
2STEP
아프리카 대상 PD, 작가, 영화인, 광고 지망생
MOU 체결 영화학교
80% 사업비 지원
아프리카 청년 창업 지원
이론 실습 교육 연수
아프리카 영화제
취업 창업
How to Approach
2STEP
아프리카 인재 양성
영화학교 사전단계로 현지 영화학교와 MOU 체결, 교류 (AFDA Film School South Africa,케이프타운 위치)
이 곳을 거점으로 아프리카 각지에 영화 학교 설립
How to Approach
2STEP
아프리카 현지 대상
아프리카 현지 영상프로덕션 설립
영화학교 졸업생 활용 아프리카 영상사업 진출
How to Approach
3STEP
수익 모델
아프리카 현지에서 영상콘텐츠 제작/판매 영화, 방송프로그램을 비롯 웨딩 등 영상 유관사업 진출
How to Approach
3STEP
기타부가사업 콘텐츠 관련 소품/ 액세서리 판매
촬영지 여행상품화
Commercialization Schedule
추진일정
7월 한국 내 아프리카 영상전문 프로덕션 설립. 영상콘텐츠 포럼 출범
8~9월 아프리카 소재 다큐 제작
10월 현지 영화학교 MOU체결
프레임 인 아프리카 소개
Frame In Africa
[
프레임인아프리카는아프리카영상콘텐츠전문기획그룹으로 아프리카를소재로한영상물기획,제작및프로모션, 행사기획을하는 회사입니다.
]
Frame In Africa
VISION 아프리카 영상콘텐츠 선도 그룹
Frame In Africa
MISSION 대한민국, 아프리카의 영상콘텐츠 교류를 전담하는 최고의 기획사
Frame In Africa
Comany Profile 회사명 : 프레임 인 아프리카 대표자 : 김영돈 사업분야 : 영상 제작/서비스 행사기획 여행 사업장 소재지 : 서울 시 강남구 강남대로 114길 16 (논현동, 3층) 연 락 처 : Tel 02-525-5904, 010-8925-6600. Fax 02-548-5956 회사 설립연도 : 2013. 6. 21 조직 및 인원 : 총 1 명 주요 연혁 2013년 06월
프레임 인 아프리카 설립
Frame In Africa
Major Equipment
프레임 인 아프리카는 Full HD 시스템에 맞는 촬영,편집,송출 등 최고의 노하우를 갖추고 있습니다. 편집장비 Full HD Non-Linear System : Final Cut Pro 2대, AVID Media Composer 1대 Linear System : HDM VCR1대, Digibeta VCR 2대
촬영장비 HD CAM 1대, Digibeta 2대, 6mm HDV 1대, Canon 5D - MARK2 1대, Go-Pro 1대
CG 및 합성 3D Studio CG Tool, 3D Max, After Effect 및 기타
Frame In Africa
Our Business [ 아프리카를 소재로 한 영상컨텐츠 제작 ] 아프리카를소재로한 영화,방송용다큐멘터리제작 아프리카관련 홍보영상등 영상컨텐츠제작
[ 아프리카 현지 제작 대행 및 프로모션] 아프리카현지 로케이션예정 영상물 현지헌팅, 코디네이션, 장비렌탈 등 제작전반 지원
Frame In Africa
Our Business [행사 기획] 아프리카 관련 영화제/마켓 개최 아프리카 영상컨텐츠 관련 세미나/포럼 아프리카 관련 공연기획
[영상컨텐츠 활용 비즈니스] 영상컨텐츠 관련 지역 여행상품 판매 영상컨텐츠 관련 쇼핑몰 운영
Frame In Africa
Portfolio
2012 LS-Nikko동제련 홍보영화 Client – LS-Nikko동제련
2011 산림청 창립기념영상 Client – 산림청
2011 에버랜드 & 캐리비안베이 홈페이지 사진 & 영상 컨텐츠 Client – 삼성에버랜드
2011 동부화재 해외 홍보영화 Client – 동부화재
2011 동서식품 홍보영화 Client – 동서식품
Man Power
Frame In Africa
Man Power 직책
성명
대표
김영돈
제작본부장
손정민
기획/영업실장
문헌규
컨텐츠제작팀장
박영희
영상제작팀장
민병관
연출
경력기간
주요업무/경력
Frame In Africa
Profile /김 영 돈
주요작품
경희대경영학과졸업
[영화]
[사내방송]
서강대언론대학원 디지털미디어전공
-다큐멘터리 1984, ‘우리는합창한다’ 제작
-1997~1999,2003~2005
1997년삼성그룹공채38기삼성전자입사
-다큐멘터리 ‘침묵이깨어진소리’제작
삼성방송센터SBC 영상전문직2기
-영화‘달마야놀자’메이킹/현장편집
1998년 삼성영상사업단프로듀서근무 [홍보영화]
2000년독립영화단체영상창작집단결대표
-삼성전자무선사업부신입사원
2003년 삼성방송센터SBC 프로듀서근무
- 2006 -2008 삼설네트웍스담당PD
1999년 제일기획프로듀서근무 ~2003년
삼성전자사내방송 담당PD
유치영상 -경기도교육청청소년교육영상
~2009년
-2009~2012 삼성증권담당PD -2005년 초일류기업탐방프로그램제작 (듀폰,3M, 에어버스,레고, 파텍필립, 로레알,머크, 일본오까노공업사)
2009년 앤씨컴㈜ 외주제작팀장
[전시/행사영상]
~2013년
-삼성전기알파나합병영상
2013년 프레임인아프리카대표
-삼성정밀화학경영혁신대회영상 - 삼성증권경영전략회의영상 - 삼성전자경영혁신캠페인영상
Frame In Africa
Profile /문헌규
주요작품
경희대 경영/체육학과 졸업
[미디어] 2007 - 연합 뉴스
2003년 영풍고려아연입사 2006년 MDS 아시아 에이젼트 2007년 고고아프리카 커뮤니티 개설 2009년 아프리카 콘텐츠 센터 2013년 ㈜고고아프리카 대표
[전시/행사] - 코엑스 수출입협회 아프리카 관
2008 - 조선일보, 강원일보, 경향신문, 모두여행잡지, KBS
- 유니세프 아프리카 날 행사 기획
2009 - TBS, 오마이뉴스, 연합르페르, 한겨레, SBS
- 어린이날 고양시 아프리카관 기획
2010 - 아리랑 TV, 사과나무 잡지, YTN, KBS, Top Class 잡지, 이브닝뉴스, 삼성사보, CGN, 분당FM [프로젝트] -. 2007 아프리카 대륙 종단팀 팀장 - 2009 아프리카 리서칭 원정대 팀장 - 2010 아프리카 종단 - 2012 탄자니아 리서칭 원정 촬영
- 코이카 아프리카관 행사 기획
Frame In Africa
Profile
/박영희 02 Seoul Art VJ
. 97 <Suicide Together-nirvana principle> DV8mm 50min - 연출/촬영/편집
02 Nano Film PD
. 98 <Sexuality -그녀들> DV8mm 30min 연출/촬영/편집
03 KDLP TV PD
. 00 <Saving Last a cigarette!> DV6mm 5min 연출/촬영/편집
05 Hppistory PD
. 01 <하나의 규칙> DV6mm 5min Making Film.
07 사)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PD
. 02 <목격자> DV6mm 7min 촬영
07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발 기술감독
. 02 <마술상점> Digi-Beta 50min 조연출/미술
12 앤씨컴 P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