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ion Project Draft Portfolio _ 정경원

Page 1

Thesis - 지역성을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건축재료에 대한 탐구

1. 서론 - 연구 배경과 목적 - 비판적 지역주의 2. 재료와 구축을 통한 지역성 - Peter Zumthor - Kengo Kuma - Herzog & De meuron - 소결 3. 사이트

4. 지역재료 Research Executive Summary

5. Concept & Design

20세기 모더니즘(Modernism) 건축은 기술과 과학의 합리성에 근거하여 과거와 단절하고 보편적 이며 익명적인 공간을 지향하였다. 콘크리트, 철골이라는 새로운 재료를 사용과 더불어 진보적인 기술이 더 나은 삶의 환경과 도시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도시는 점차 삭막한 공 간으로 변모하였고, 지역의 가치와 역사는 외면되어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었다. 비판적 지 역주의 (Critical Regionalism)는 이러한 익명성, 보편성에 반발하고 지역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건축 이론이다. 하지만 비판적 지역주의의 이론가들은 모더니즘에 대한 무조건적인 배척이 아닌 지역성, 근대성 모두를 비판적인 사고로 바라보고 변증법적인 태도로 현대인에게 걸맞는 공간 속에 지역 성을 담아낼 것을 주장한다. 나의 프로젝트 이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제주도에 지역의 기후와 가 치를 중시하고 제주도의 대표 재료인 현무암을 이용하여 오감으로 제주도의 자연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용천수 스파시설을 설계하고자 한다.


서론 연구 배경과 목적 20세기 모더니즘(Modernism) 건축은 인간의 이성주의를 근간 으로 기술과 과학의 합리성에 근거하여 과거와 단절하고 보편 적이며 익명적인 공간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불필요한 장식의 제거와 콘크리트, 철골이라는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진보적 인 기술이 더 나은 삶의 환경과 도시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믿 었다. 하지만 초기 유토피아적 모더니즘 건축이 후기 자본주의 의 팽창과 더불어 변질됨에 따라 1950년대 이후 모더니즘 건축 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지역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지역주의 가 제시되었다. 지역주의 또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한 계열로서 20세기 이전의 역사적 양식으로부터 건축의 의미를 복원하려 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과거 고전 장식의 단 순한 형식적 모방, 낭만적 지역주의로 단순 노스텔지어적인 감 성적 탐닉 등으로 오히려 건축을 관념적인 논의, 단순 시각적 인 재현, 이념적 사유의 산물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러한 상황에 서의 또 다른 대안으로서 제시된 것이 '비판적 지역주의 (Critical Regionalism)이다.

형태적 해석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는 알렉산더 초니스, 릴리 안 레페브르에 의해 최초로 주장되었다. 그리고 케네스 프램톤 은 비판적 지역주의의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확산시켰 다. Critical Regionalism은 인간과 건축의 존재를 장소성, 지역 성과 결부시켜 고민하며 건축이 집단과 개인 그리고 문화의 정 체성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는 포스 트 모더니즘의 한 부류로 모더니즘 건축을 전면 부정하는 것 이 아닌 모더니즘과 지역주의 건축을 상호 비판적으로 받아들 이는 변증법적인 접근으로 새로운 지역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는 관점이다. 그리고 이는 건축을 과거의 재현이 아닌 그 자체 만으로 완결성을 가진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는 것이며 공간을 점유하는 거주자와 존재 사이에서 끊임없는 대화하는 것이다. 나의 설계는 이러한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에 기 반을 두어 지역의 풍토와 장소적 특징을 이해하고 지역 재료 의 새로운 사용 방식을 통하여 지역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공간적 해석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 비판적 지역주의의 건축적 특징 1. 지역 재료 - 장소적 맥락을 중시하여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위해 그 지 역에서 흔히 보이는 재료를 사용한다. 2. 단순한 형태 - 형태보다는 재료와 구축으로 만들어지는 건축물의 이미지 와 공간의 분위기를 중시한다. 3. 구축성 - 단순 기술적인 구조를 넘어 건축가의 의도 또는 분위기의

Saint Benedict Chapel _ Peter Zumthor, 1988

연출에 따라 건축 재료를 건축적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건축가에 따라 지역 장인과의 작업 또는 전통공법에서 탈피하여 지역 재료의 새로운 물성에 대한 탐구를 한다. 4. 현상학적인 접근 - 지역 고유의 빛과 기후를 중시하고, 시각, 촉각, 청각 등 우 리가 느낄 수 있는 오감으로 경험하는 건축을 추구한다.

Hiroshige Art Museum _ Kengo Kuma, 2000

Dominus Winery _ Herzog & De Meuron, 1995


Saint Benedict Chapel

_ Peter Zumthor, 1988 Roof

1. 지역 재료 - 그 지역에서 늘 존재해왔듯이 표현하기 위하여 주변 Swiss 산간 지방에서 흔히 쓰는 목재와 목재패널로 구성 Roof Frame

Glass

Exterior wood

Swiss Timber

Wood wall

2. 단순한 형태 - Benedict Chapel은 끝이 뾰족한 Oval 형의 단순한 형태

WoodFrame

Basement

Axonometric

Exploded Diagram


Saint Benedict Chapel

_ Peter Zumthor, 1988

3. 구축성

4. 현상학적 접근

- 교회내부의 수직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수직 목재를 내부에 노출시키고 수평부재는 벽 속으로 숨겼다. 그리고 벽, 목재 부재들을 분리시켜서 각각의 건축요소를 독립시켜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수직 목재와 지붕의 구조의 Joint들을 정교하 게 맞물리도록 디자인하여 구조미를 표현하고 있다.

- 상부에서 들어오는 빛으로 인해 종교공간으로서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빛은 내부 금속 마감 벽에 반사되어 은은하게 내부공간에 퍼진다.

정교한 Joint 접합

WoodFrame

Glass

Horizontal Frame

Exterior Wood

Interior Wall

Vertical Frame

Cross Section

Longitudinal Section


Hiroshige art museum

_ Kengo Kuma, 2000

1. 지역 재료

2. 단순한 형태

- 일본 사이트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적삼목을 이용하여 루버를 구축하여 지역성을 반영

- 주변 경관에서 돋보이지 않도록 수평적으로 긴 박공형의 형태로 하였으며 캔틸레버 루버로 인해 생기는 그림자로 주변 경관 으로 부터 형태를 더욱 감추고 있다.

Japan cedar

Japan Washi

IRoof Shade

3. 구축성

4. 현상학적 접근

- 미술관 전시품의 주인공인 Hiroshige Ando라는 일본 작가의 그림에서 세장한 비례와 경량감이 일본답다고 생각한 건축가는 루버를 세로로 반복하여 여러개의 레이어가 중첩되는 이미지를 구축하려고 함

- 서로 간격이 다른 목재루버를 지속적으로 중첩하여 목재 사이 넘어로 보이는 시야들로 인해 여러가지의 경관이 한번에 겹쳐서 시야 들어온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과 빛을 반투과시키는 일본 전통 와시를 사용하여 직사광이 아닌 반사광을 실내로 끌어들이 고 있다. 이러한 빛은 나무의 물성과 어우러져 특유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Kengo Kuma Sketch

Hiroshige Painting

Lobby in Gallery

Interior Pictures


Shade by Roof Cantilever

H-Beam and Wood Louver

Wood Wall and Roof

cantilevered steel tube 35x35 t=3.2 sheet stud

styrofoam t=35

substrate: metal fittings ST L-50x70xt6 SOP over galvanizing

cement-bonded compressed wood board t=20

St PL-12 SOP over hot-dip galvanizing

underside of eaves steel capping t=6, fluoropolymer finish, flat seamed

suspension bolt and substrate (metal fittings)

connection bolt 12 with cover tube SOP over galvanizing ceiling louver : Yamizo fir 30x60 @120

Exterior Wood Louver float glass t =12

aluminum louver : 10x10 @240 steel column:Stâ–Ą 200x120 SOP

Interior Wood Louver

Interior Aluminum Louver

Louver Axonometric

Air outlet Crushed stone paving

Steel tube (removable)

Ashino Stone

pit sidewall : exposed concrete, membrane waterproofing

Detail Section


Dominus Winery

_ Herzog & De meuron, 1995

1. 지역 재료 - 화성암 지대인 Napa valley에서 흔히 발견되는 석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Facade 구성

Facade Detail

Metal Structure

Gabiion Stone Facade

Napa valley stone

Gabion Stone Facade

2. 단순한 형태 - 넓은 포도주 농장에 대응하여 가로로 긴 형태의 BOX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내부는 기능에 따라 3분할되어 있으며 분절된 공간들은 브릿지를 통해 연결이 되어있다. 각 공간과 동선은 기능에 충실하여 계획되었다.

Tank Room The Barrique Cellar Store & Office

Axonometric

Site Plan

Front Facade

Concrete Wall


Dominus Winery

_ Herzog & De meuron, 1995

3. 구축성

4. 분위기

- 석재라하면 보통 무거움, 단단함이라는 물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쌓기 방식으로 축조를 한다. 하지만 H&M은 Gabion 이라는 공법을 활용하여 석재를 구조가 아닌 건물의 Skin으로 활용하였다. 그로 인해 기존의 방 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물성과 효과를 실험한다. 돌의 크기를 달리하여 Skin의 Density를 조절하고 그로 인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 Skin으로 활용된 석재들 사이로 스며들어오는 빛은 실내와 실외의 경계가 모호한 복도에서 극적인 효과를 낸다. 그리고 반사율이 높은 유리 를 활용하여 유리너머로 보이는 이미지와 유리에 반사된 이미지가 중첩되어 시각적인 교란을 일으킨다. 반면 내부공간은 외부와 달리 좀더 아늑 한 공간감을 연출하기 위하여 나무가구와 노란색 계열의 조명을 사용하고 있다.

Gabion Experiment

Interior Pictures Exploded Facade


소결

재료 (Material) - 객관적인 물질

구축성(Tectonic) -

기술구조 물리적 조건을 해결하기 위한 공학적 구조

+

상징 구조 건축가의 의도, 공간적 효과를 위한 구조

물성 (Materiality) - 공간 경험자에게 지각되는 물질의 내재된 속성. 건축가로 인해 인식의 대상으로 건축 재료가 표현되는 것.

재료와 구축성 위 사례와 같이 재료를 중시하는 건축가는 건축 재료를 단순히 기술적 수단을 넘어 공간 경험자에게 어떻게 보여질지, 공간의 분 위기를 위하여 어떻게 구축 되어야 하는지 등 자신의 의도를 담아내는 건축적 표현 수단 으로 활용한다. 그러므로 구축성이란, 건축에서 물질적인 재료와 구조의 객관적인 요소의 표현인 동시에 공간감, 지각, 분위기 등의 비물질적인 개 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객관적 물질과 주관적인 감정을 통합하여 물성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제주도

현무암 해안가

돌담

Site Basalt Coastline

위성사진

해안가 전경


제주도의 특징 _1 현무암

Rough stone Rear stone

외줄 쌓기 외줄 쌓기는 주변에 흩어진 돌들을 외줄로 크기나 모 양에 상관없이 쌓아올린 담이다. 주로 밭에 불필요한 돌들을 제거하며 경계를 두를 때 이용한다. 담을 쌓은 후 한쪽 끝에서 흔들면 담 전체가 흔들리도록 쌓아야 제대로 쌓은 담으로 친다. 이렇게 쌓은 담은 바람에 유 연하기 때문에 거센 바람에도 안전하다.

Coping stone

겹줄 쌓기 겹줄 쌓기는 안 밖 줄을 큰 돌로 쌓고 그 사이에 잡석 을 채워 넣어 완성한 담이다. 무덤을 두르는 산담, 비 오 는 날 농작물을 돌보러 갈 수 있는 잣벡담길에서도 보 이는 방식이다.

Face stone Pinnings Tie stone

바른층 쌓기(성층 쌓기) Coping stone Veneer Stone Earth or Concrete

바른층 쌓기란 돌을 위로 쌓아 올리면서 빈틈이 생기 지 않도록 돌을 서로 맞물리며 겹치게 쌓는 방식을 말 한다. 그리고 돌을 위로 쌓아갈 때는 돌과 돌을 연결한 이음새의 중앙에 윗돌을 계속해서 얹히는데, 궁극적으 로 아래쪽의 돌과 위쪽의 돌은 항상 이음새를 중심으 로 한자의‘품(品)’자 형태를 유지하며 쌓아나가는 방 식이다. 돌을 다듬어서 쌓아야 하기에 노동력이 많이 들 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왜구를 막는 성벽 등 튼튼하 게 쌓아야하는 곳에만 쓰인 방법이다.


제주도의 특징 _2 바람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사면이 바다이고 가운데 한 라산이 우뚝 솟아있는 구조로 바다로부터 오는 바람을 막을 장애물이 별로 없다.

제주도의 연평균풍속은 3∼6㎧로 내륙보다 1∼2 바람 방향

㎧강한 바람이 불며, 서부지역이 가장 강한 6.9㎧ 이고, 북부가 3.8㎧, 동부와 남부지역은 연중 3㎧ 로 고르게 나타난다.

바람 방향


제주도의 특징 _3 용천수

탐라순력도, 1702

용천수 목욕

물 깃는 여인네

해안가의 용천수

물허벅 지기

용천수는 상수도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던 1980년대 이전까지 식수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생활 및 농업용수로 이용되어온 제주인의 생명수이자 젖줄이었다. 특히, 용천수가 밀집되어 있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음은 용 천수가 가장 중요한 취락 입지요인이었음을 반증해 주고 있다. 또한, 용천수와 관련된 많은 설화들이 내려오고 있으며 용천수를 신령수라고 하여 용천수를 마시면 병이 치유된다고 믿었다.


올레길 용천수 노천탕

A 올레길 8코스, 용천수 논짓물

길 레 올

8

스 코

Site

w Vie

C

View B

w Vie A

A'

Legend Olle 8 course Sea water Basalt ground Project Site

N

Fresh water Block Building

0

View A _ 노천 담수욕장

View B _ 용천수

10

30

60 (m)

View C _ 민물과 바닷물의 경계


Site Section A

A'

N

0

8100

올레길 8 코스

25500

A

25300

A'

10


Concept Image 1


Concept Image 2


Concept Image 3


Size & Layering 10 cm

layer 1

ayer 3

layer 5

layer 7

layer 9

layer 1

ayer 3

layer 5

layer 7

layer 9

layer 1

ayer 3

layer 5

layer 7

layer 9

20 cm

30 cm


Light

10 cm layer 1

10 cm layer 3

10 cm layer 5

10 cm layer 7

20 cm layer 1

20 cm layer 3

20 cm layer 5

20 cm layer 7

30 cm layer 1

30 cm layer 3

30 cm layer 5

30 cm layer 7


Model Study


Model Study

layer 2

layer 5


Stone size

작은돌

중간돌

큰돌

돌의 개수 High

Low

High

Low

Density

a 돌의 크기

돌 사이 공극 Small

Big

2a 돌 중심 간의 거리

10 cm

20 cm

30 cm


Detail alt

Stone

Wire rope stopper

Wire rope

Wire rope stopper

Wire rope

Wire rope Connector

Detail drawing


Bath Unit

Water Cave

Spring Water

Light Well

Basalt Surface

Light Well : stacked basalt stone

Basalt Surface

Bath unit Plan

Spring Water

Bath unit Section

Unit Axonometric


Sequence

1. 접근

2. 지하로 진입 / 외부와 단절

3. 기나긴 통로 / 빛과 멀어짐 / 동굴

4. Locker & Shower / 속세를 씻어냄

5. 중심공간 / 빛의 환희 / 물, 돌, 바람의 공명

6. 개별 Bath / 사색의 공간 / 내면과의 대화

Cross Section


Process

1. Original landscape

2. Service Area & Basement

3. Bath Area by carving basement

4. Light Well & Structural elements

5. Hanging Basalt stone

6. Restore landscape


Plan & Section

1

2

3

7

6 4

5

8 10

9

11

Longitudinal Section


View 1 _ Green Roof


View 2 _ Underground


View 3 _ Spring Water Bath


Model 1 _ Outdoor Corridor


Model 2 _ Spring Water Bath


Model 3 _ Spring Water Bath


Model 4 _ Light Wel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