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
Date.
Summary of Lecture
2014.3.6 Accreditation Requirement
건축은 의뢰인 즉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여 내 땅이 아닌 다른 곳에 건물을 지어야 한다는 점에서 예술과 큰 차이가 있다. 예술은 클라이언크가 존재하지 않아 자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신이 하고 싶을 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교회 건설과 같은 건축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건축은 쌍방향적이다. 교회를 지을 때에는 건축물 건설을 원하는 클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라이언트와 이를 도와줄 건축가의 능력이 합쳐져야 한다. 따라서 건축가가 되려면 미적 구조적 능력을 갗추기 위해 경험을 많이 쌓는 것이 중요하다.건축가라는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직업의 출현을 살펴보면 18세기에 처음 사유재산을 인정하게 되었을 때라고 한다. 물론 고대 신전을 보면 건축은 이미 오래전에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지만 건축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가라는 직업은 18세기가 되어서야 인정이 되었다고 한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오리엔테이션이라 많은 수업내용이 있지는 않았지만 건축의 기본부터 차근차근 배워나가는 것이 좋았다. Architecture 라는 단어의 유래에서부터 시작해서 건축 가가 생겨나게된 배경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을 들으면서 본격적으로 제도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기본 배경지식을 많이 얻게 되었다. 또 평소엔 생각해보 지 않았던 예술과 건축의 차이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좋은 건축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능력들과 조건들을 배우면서 앞으로 많은 경험을 쌓아야 겠다 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2
Date.
Summary of Lecture
2014.3.13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건축학부에서 2학년이 되면 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 둘 중 하나를 선책하게 되는데 건축학전공은 설계를 위주로 하여 5ㄴ년간 공부를 하게 되고 졸업후에 건 축설계를 계속하여 건축사 사무소에서 일하거나 인테리어(실내건축)의 길로 가게 된다. 건축사 사무소에 가면 실무 5년후에 8대 전문직으로 뽑히는 건축사 자격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시험을 응시할수 있게 된다. 실내건축은 따로 자격증은 필요없고 3학년 때 복수 전공을 통해 공부할 수 있다. 후에 디자인 회사에 취직해 기획 전시 광고 등의 일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을 주로 하게 된다. 반명에 건축공학으로 가면 4년 공부뒤에 시공을 전문적으로 하는 건설사가 된다. 건축공사에는 기계설비 전기설비 통신설비 소방설비가 있다.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예로는 AUTO CAD, Photoshop, sketchup,3D max, rhino, illustrate 등이 있다. 건축언어를 배우기 위해선 신문을 읽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는데 건축가가 클라이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언트와 상담시 필요한 역사 철학 문학 등과 같은 인문학적 소양을 신문을 통해 많이 얻을 수 있다. <관심→노력→열정→자신감→독창성→창의성> 창의성을 가지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는 데에는 재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관심에서부터 시작된다.
에 적용할 수 있다.
Design
건축학부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게 되면 도시계획이나 부동산 조경 등을 전공하여 다양한 직업을 갖게 된다. 건축가가 되려며너 배워야 하는 것 중 건축표현의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건축학부의 앞으로 미래전망과 졸업 후 가질 수 있는 직업에 대해 설명을 듣고 우리과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특히 교수님이 수업 중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의심을 하지 말아라 라는 말씀을 해 주셨는데 앞으로 하는 일에 좀더 자신감을 가지고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건축학과를 생각하고 대학에 들어왔을 때에도 창의성이 부족해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 걱정을 자주 했었는데 교수님이 하신 말씀처럼 지금 창의성이 없다고 걱정할 것이 아니라 관심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해야 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과제로는 선긋기 과제와 자유 스케치를 내주셨는데 선긋기를 할땐 한번에 한획을 모두 그으라고 하셨다. 하지만 홀더를 돌 리면서 하다보니깐 끝까지 한획에 긋지 못하고 중각에 끈어져서 더 연습이 필요한 것 같았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스케치 과제로 기숙사 방을 그려갔는데 교수님께서 자신이 그린 스케치에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이유를 적어보라고 하셨다. 스케치를 하면서 그린 이유도 함께 생각하니 내가 그리고 있는 건축물에 대해더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다음 과제도 스케치를 해오는 것인데 그린 이유가 있는 그림을 그려가려면 미리 생각을 정한 뒤 시작해야 겠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3
Date.
Summary of Lecture
2014.3.20 Accreditation Requirement
A3에 선긋기 과제를 한 것을 검사하였다. A3에 여러 보조선으로 칸을 일정하게 나눈 뒤 옅은 선 중간선 진한선으로 나눠 각각 가로선 세로선 대각선으로 내려오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는 선 점선의 가로 세로 등 도면을 그릴 때 쓰이는 다양한 선들을 그어보는 과제였다. 과제를 하는 동안 제도판의 사용법을 익히고 도면을 마스킹 테이프로 제도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판에 고정시키는 법 등을 배우게 되었다. 퀴즈로는 자 없이 종이를 7등분 한는 과제를 하였는데 자 없이도 종이를 등분할 수 있다는 흥미로웠다. 7등분을 하려면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먼저 종이를 이등분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이등분은 종이의 대각선을 이어 만나는 지점에 수직인 선을 그으며너 된다. 3등분은 전체 종이의 대각선에 이등 분선으로 나눠진 두 부분의 대각선을 그어만나는 두점에 수직인 선을 그으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진행하면 7등분은 물론 원하는 양으로 모두 나눌 수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있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선긋기 과제를 시작하기 전에는 쉬운 과제 일 줄 알았는데 생각 외로 어려운 점이 많았다. 선을 그을 때 자를 대지 않고 수평 수직으로 계속 그어야 했는데 맞추 기가 어려워 옆에 선과 겹쳐지는 선이 생기기도 했다. 또 대각선을 그을 때에는 45도 각도로 선을 그어야 했는데 선을 그을 때마다 각도가 계속 바껴서 수평을 유 지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있었다.또 선의 굵기를 옅은선 중간선 진한선으로 나누어 해야 하는데 손의 힘의 강도를 조절하는데 조금만 차이가 있어도 선의 굵기나 색의 진하기가 달라져서 조절하는데 여러번의 연습이 필요함을 느꼈다. 7등분을 하는 과제에서는 자 없이도 길이를 등분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선긋기 과제를 보고 교수님이 종이에 선긋기를 할 부분을 잘 등분해 선긋기를 하였다고 하셨다. 선의 진하기도 세가지로 구분을 잘 하였으나 마지막 진한 선을 그 을 때 홀더에 더 힘을 줘서 선을 그어 더 진한 선을 그리는 것을 연습해 보라고 말씀해 주셨다. 7등분 퀴즈를 할 때에는 2등분 3등분 4등분 …순서대로 진행할 수 도 있지만 필요한 부분만 등분하고 최소의 등분으로 7등분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해 주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4
Date.
Summary of Lecture
2014.3.27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퀴즈로 교수님이 칠판에 그리신 건축물의 정면도와 좌측면도를 스케일을 이용해 1:100 축적으로 그리는 연습을 통해 스케일의 사용법과 건물의 도면에서의 표현 법, 도면에서의 건물 치수 기입법 등을 배우게 되었다. 도면 위에 치수를 기입할때는 수직 수평의 보조선을 그은 뒤 그 보조선에 수직으로 치수를 기입하면 되는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데 이때 전체 치수말고 건물의 세부 치수를 기입하고 싶다면 보조선을 두개 그은뒤 밖의 보조선엔 가장 큰 전체 치수를 적고 안쪽 보조선엔 세부 공간의 치수를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나누어 기입하면된다. 과제로는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정의를 스케치북에 도면 글씨로 적어보는 과제를 받았다. 도면 위에 쓰는 것처럼 스케치북에 보조선을 긋고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건축언어의 정의를 쓰며 익숙치 않은 개념들을 익혀 나갔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건물의 좌측명도와 정면도를 그리는 과정은 공간감이 많이 필요하엿다. 건물 스케치에서 보여지지 않는 부분을 다양한 방향에서 본다고 생각하고 그려야 했고 스 케일을 이용해 실제 치수를 1:100 으로 줄여 기입하는 과정이 계산력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도면에 치수를 기입할 때 생각보다 더 구체적으로 기입해야 한다는 점이 복잡하게 느껴졌다. 건축 디자인 언어를 제도 글씨로 쓰는 과제에서는 보조선에 맞쳐 글씨를 써야 하는게 힘들게 느껴졌고 원래 글씨체로 자꾸 바꿔 써서 글 자 한자한자마다 신경써서 써 나가야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께서 건축 디자인 언어를 써 온 과제를 보시고 제도 글씨의 끝을 구부리면 안된다고 말씀해 주셨다. 큰 글씨를 쓸 때 나도 모르게 끝을 구부리게 되었는데 그 점을 고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 작은 글씨로 용어들의 정의를 쓸 때 좀 더 보조선을 활용해 글씨를 써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도면에 들어가는 치수 를 기입할때 다른 숫자 기입보다 신경을 써서 더 깔끔하게 쓰도록 노력해야 겠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5
Date.
Summary of Lecture
2014.4.3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헤이리 마을 답사> 파주에 위치하고 있는 헤이리 마을에 답사를 다녀왔다. 헤이리 마을은 여러 부야의 예술인들이 참여해 생겨나게 된 마을이다.마을에 위치해 있는 건물들은 각각의 특색을 가지고 있었다. 앤토코 갤러리는 가구에서 운영하는 카페로 된 선큰구조로 되어있었고 백순실 미술관을 건물의 외벽에 뚫린 구멍으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로 나뭇가지가 나와 있는 특이한 외관을 자랑하고 있었다. 한양림 갤러기는 주로 도예전시로 쓰이는 건물이었고 갤러리 소소는 자연과의 어울림이 돋보이는 건축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물이었다. 이비뎀 하우스 역시 특이한 건축물이었는데 줄무늬 노출 콘크리트를 사용했다는 점이 다른 노출 콘크리트 건물과는 다른 느낌을 주었다. 한길 북하우 스는 나무를 세로로 길게 붙여 놓은 외관을 자랑하고 있었는데 위층으로 올라가는 것이 계단이 아니라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건축가의 건축 의도가 방영된 좋은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예시가 되었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헤이리 마을 답사를 다녀오고 건축가의 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꼭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와 건물의 사용목적을 고려해 지어진 헤이리 마을의 건축물들을 보면서 건축가가 고려해야 할 점이 정말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또 자연을 헤치지 않고 어우러지게 지으려고 한 노력들이 마을 곳 곳에 보여지는 것은 마음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해 주는 것 같았다. 또 여러 분위기들의 카페를 지나 오면서 다음에 오면 카페에 앉아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것 도 좋을 것 같다. 또 자신이 건물 하나씩을 선택해 그 건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각자 설명을 듣고 건축물을 보니깐 더 구조나 재료에 대해 자세히 볼 수 있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건축물을 볼때 미리 많은 조사를 하고 가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교수님께서 설명해 주시는 내용을 이해하려면 듣고 필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리 사전 지식을 쌓고 가야 궁금했던 점도 질문하고 보고 싶었던 부분도 더 자세히 보고 올 수 있을 꺼 같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6
Date.
Summary of Lecture
2014.4.10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건축 제도 6주차에는 입체도형 표현 그리기 평면도형표현 그리기 조경그리기를 진행하였다. 입체도형과 평면도형을 그릴 때에는 그림자가 생기는 방향을 생각해 스케치북 위에 표현해야 했다. 조경도 각도에 따라 달라보이는 나무들과 다양한 형태. 종류의 나무를 그리는 연습을 하였다. 또 지난 주에는 다녀온 헤이리 답사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보고서를 제출하였고 헤이리에서 한 스케치를 검사 받았다. 스케치는 헤이리 마을에서 자신이 마음에 들었던 풍경이나 건물을그려오는 것이었는데 스케치에 음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영을 넣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 연필 흑연을 휴지에 묻혀 하늘이나 건물의 외벽, 유리 등을 표현하는데 이용할 수 있었다는 점을 배웠다. 또 스케치를 할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때 선의 옅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어서 굵은선과 얇은 선 연한선 등을 잘 활용해 스케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그림을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았지만 그림자의 방향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어려웠다. 또 건축물을 실제로 보지 못하고 그림을 그리다 보니 건물의 형태가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도 있었다. 또 헤이리 답사 보고서를 쓸 때 어떤 형식으로 써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다. 자유롭게 쓰라 하셔서 스다보니 부득이하게 내 느낀 점이나 감상평보다는 이론적 내용이나 새로 알게된 내용에 치우쳐 작성한 것 같다. 헤이리 마을에서 그린 스케치는 처음에 건물의 구도나 소점을 잡는 데 어려움 이 있었다. 내가 그리는 각도에서 보이는 것만 그리면 되는데 다른 세부 내용까지 신경쓰다보니 스케치의 입체성이 떨어졌던 것 같다. 명암을 넣는 것과 소점을 잡는 것을 더 연습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이 헤이리 스케치를 보시고 선의 강도는 좋으나 건물의 길이가 좀 짧아진것 같다는 이야기를 해 주셨다. 처음에 종이에 구도를 잡을 때 좀 더 신중해야 겠 다. 또 답사보고서를 쓸 때 좀 더 자세하게 진솔한 느낀점을 적는 연습을 해야 겠다. 또 스케치에 명암을 넣을 때 흑연을 휴지로 문지르는 방법을 써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7
Date.
Summary of Lecture
2014.4.17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7주차에는 중간크리틱을 진행했다. 각 스튜디오를 방문해 스튜디오마다 여태까지 진행해온 과제와 프로젝트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번째로 갔던 곳은 디자인관에 위치한 오우근 교수님 스튜디오였는데 그 곳 프로젝트 중 인상 깊었던 것은 자기만의 스타일로 약도 지도 를 그려본것과 사물의 모습을 단순화하여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그린 뒤 치수를 표기한 프로젝트였다. 유영진 교수님 스튜디오에서는 주로 도면그리기나 성당그리기 선긋기와 같이 제도판을 사용하는 과제를 많이 진행하였다.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우리 스튜디오인 윤태식 교수님 스튜디오는 주로 스케치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학교 안 풍경 물건 건물 스케치와 입체도형 평면도형 조경 그리기 헤이리 스케치 도면글씨로 건축용어 쓰기 종이 등분 퀴즈 정면도 좌측면도를 그리는 퀴즈 선긋기 과제등 다양한 과제를 진행하였다. 마지막 스튜디오였던 윤재석 교수님 스튜디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오는 사진의 추상화 단순화를 통해 모형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많이 하였다. 9Mx9Mx9M 공간을 꾸며오는 과제를 통해 공간의 생성과 이해에 대해 배우게 되었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각 스튜디오를 방문해 설명을 들으면서 스튜디오마다 서로 다른 특색을 알게 되었다. 교수님의 수업 스타일이 보였고 학생들의 과제를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의미 있던 시간이었다. 또 내 과제와 다른 학생들의 과제를 함께 보면서 부족한 점을 고쳐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9Mx9Mx9M 공간을 꾸미는 과제에서는 모 형을 만들 때 깔끔히 자르지 못해 어려움이 있었다. 커다란 커터칼을 사용하는 법을 더 익숙히 해야겠고 폼보드의 재료에 관한 설명을 듣고 어떻게 해야 모형에 폼보드의 성격을 활용해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폼보드를 자를 때 칼을 45도로 기울여서 경사면이 생기게 자르면 벽채를 만들때 삐 져나오지않고 깔끔히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형 재료를 쓰는 연습을 더 많이 해야겠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이 내가 만든 모형을 보시고 스케일을 잘못 쓴거 같다는 말씀을 하셨다. 사람이 지나갈 곳의 천장 높이나 문 높이를 더 세밀하게 고려해서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폼보드를 자를 때 잘리는 면이 매끈하게 잘리는 방법을 더 연습해야 겠다. 중간 크리틱 과제를 보면서 도면글씨나 스케치가 부족함을 느꼈다. 도면글씨를 쓸 때 보조선을 더 잘 활용해야겠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8
Date.
Summary of Lecture
2014.4.24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발표의 ABC법칙이란 A: action B: not book C: compact 을 뜻하는데 발표를 할 때 행동, 읽으며 말하지않는것 그리고 집약적으로 말하는 것이 중요함을 뜻한다. 또 디자인을 할 때 중요한 LSIS는 L: logic S:story or sinario I: interest S: sympathy 를 뜻한다. 또 건축가를 조사해와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르꼬르뷔지에는 근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대 건축 5원칙: 필로티, 자유로윤 파사드, 평면, 수평창, 옥상 정원을 이야기했고 대표작으로는 롱샹교회 라뚜레뜨 수도원등이 있다. 안도 다다오는 빛의 교회 물의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사원등을 건축하였고 나 건축가, 안도다다오 책을 추천해 주셨다. 건축가 도요 이토는 201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하였고 센다이 미디어 파크, 바람의 탑을 건축하 였다. 프리츠커상이란 건축물로 인류문화에 공헌한 건축가에게 주는 상으로 지은지 10년이상이 된 건물이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검증된 작가 정신을 보여준 건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축가가 수상하게 되는 상이다. 이 밖에도 프랭크 로잍드 라이트, 라이트 렘 쿨하스, 알바로 시자, 김수근 , 조병수 , 자하하디드 , 프랭크 게리에 대해 공부하였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여러 건축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각각의 건축가 마다의 특색이 있어 그들의 대표적 건축물들을 볼 때 건축가들의 건축 철학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또 발표의 ABC법칙과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하는 LSIS를 더 신중히 생각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특히 발표 법칙은 염려해두고 있더라도 연습이 되지 않 으면 실천하기 어려울꺼 같다는 느낌을 받아 많은 연습이 필요함을 느꼈다. 또 오늘 수업시간에 본 건축물들을 다시 자세히 조사해 보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오늘 렘쿨하스에 대해 조사해와 발표를 하였는데 발표를 하면서 조사 내용이 부족했음을 느꼈다. 그가 살았던 생애나 건축물 등을 더 자세히 조사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 동영상 자료를 조사해오는 것에서 다른 동영상보다 흥미가 떨어지고 길이도 길어서 집중해 보기 어려웠다는 점이 아쉬워 이 점을 개선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9
Date.
Summary of Lecture
2014.5.1 Accreditation Requirement
9주차 제도 수업에서는 건축가 피터 줌터에 대해 공부하였다. 그의 건축사상과 대표적 건축물인 발스 온천, 클라우드 형제 교회, 세인트 베네딕트 교회 등에 대한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설명을 들었다. 또 KIOSK 라는 이슬람 건축에서 볼 수 있는 원형 정자 디자인에 대해 공부하였고 다음주 도면과제에 대비해 도면을 그릴깨 필요한 기포지식에 대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한 설명을 들었다. 도면에서 사용되는 여러 기호와 숫자 알파벳 줄임말등에 대한 내용과 어느 선이 더 강조되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SITE ANALYSIS에 대한 내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용과 더불어 앞으로 진행하게 될 파빌리온에 대한 구상을 토의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과제로 사이트 조사를 해오라는 과제를 내 주셨다. 건축가와 디자인의 필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요충분 조건에 대한 퀴즈를 봤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피터 줌터의 작품 재료 중에서 특히 발스 온천이 마음에 들었다. 지역적 재료인 편마암의 질감과 느낌을 살려 온천의 재료를 사용한 것이 인상깊었다. 또 빛을 벽 면을 따라 세로로 들어오게해 온천 내부의 분위기를 신비롭게 연출하였고 그 주변 마을의 자연과 잘 어우러지도록 건축물을 구상한 건축가의 생각이 깃들어져 있어서 좋았고 신문가판대나 버스 정류장 같은 공공시설에 디자인을 넣은 다양한 예시를 통해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디자인적인 시설이나 아이디어가 들어간 시 설들이 다수 필요하다고 느꼈다. 나는 여러가지 파빌리온에 대한 사진과 자료를 찾아본 뒤 우리 사이트에는 유동인구가 많으므로 통로형 파빌리온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통로를 지나가면서 여러가지 활동을 할 수 있는 파빌리온을 구상하려고 생각하였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께서 파빌리온 구상이 미흡하다고 하셨다. 나는 SITE의 환경을 생각하기보단 디자인이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생각을 하고 있어서 생각의 한계에 부딪히 게 된 것 같다. SITE조사를 더 철저히 한 후에 이에 맞춰서 구상을 하도록 해야겠다. 교수님께서 내 파빌리온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서 유동인구를 고려해서 통로 형 파빌리온을 하는 것을 좋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공간에 대한 생각을 이어가야 겠다는 이야기를 해 주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0
Date.
Summary of Lecture
2014.5.8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과제로 해온 주택 1층 도면을 검사하였다. 도면 검사 후 도면을 그릴 때 생겨났던 의문점을 질문하는 시간을 가졌다. 파빌리온에 대한 구체적 이야기를 나눴는데 각자 생각하는 파빌리온의 구체화가 필요하다고 하셨다. 설계를 할 때 디자인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건축물의 목적이나 설계이념들을 생각한 뒤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DEVELOP을 시켜야 한다고 하셨다. 파빌리온을 설계할 때 SITE에 대한 조사를 발표하였는데 PPT자료에 나온 것들오가 비교할 때 미흡한 점이 있어 수정이 필요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하였다. 마커의 색을 좀 더 다양하게 이용하여 SITE 조사를 하는 법을 교수님이 보여주셨다. SITE모형을 만드는 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모델을 만들때 안쪽을 모두 재료로 채우면 재료값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우드락 두장에 번호가 붙은 도면을 붙인 뒤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주셨다. 지난주에 이어 파빌리온에 대한 개인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크리틱을 해 나갔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도면 1층을 그리면서 선의 강도 조절의 어려움을 느꼈다. 얇은선과 굵은선의 경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그려야 겠다. 또 콘크리트 외벽을 두껍게 그리려 노력 했지만 그리다보디 연필심이 문드러져서 모서리를 뽀족하게 그려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또 파빌리온을 설계하기에 앞서 더 많은 사전조사를 통해 왜 그 SITE 에 지어져야 할 지를 먼저 생각해야 겠다. SITE조사 발표에서는 마커를 잘 활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OPEN VIEW 와 CLOSE VIEW 의 표시를 안 했었는데 다음에 SITE 조사를 할 때는 추가해서 조사해야 겠다. 파빌리온 개인 크리틱에서는 모형을 만들어 온 것과 스케치 두 장으로 교수님과 이야기를 하였다. 모형은 유동 방향을 고려한 육각형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통로와 공간을 포함하는 형태였다. 또 구체적 스케치를 통해 공간이용과 디자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이 1층도면을 검사하신 뒤에 도면을 다 그린 뒤에 콘크리트 외벽 선을 다시 그릴 필요가 있다고 하셨다. 또 파빌리온을 더 구체화한 뒤 다음주에 개별 크리 틱을 준비해 오라고 하셨다. 이번주 파빌리온 develop과정을 보시고 공간을 더 재미나게 구성해야 한다고 하셨다. 디자인이나 공간의 이용법을 조금 뒤로 미루고 공간을 구성할때 벽의 위치를 바꾸거나 파빌리온의 층수를 다르게 해보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보라고 조언해 주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1
Date.
Summary of Lecture
2014.5.15 Accreditation Requirement
주택 2층 도면을 검사하였다. 이층도면을 그리면서 생겼던 질문사항을 해결하고 도면에 쓰여 있는 여러 줄임말과 기호에 대한 추가 설명을 들었다. 파빌리온 사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이트 모델을 만든 것을 검사받았다. 사이트 모델을 만들면서 초록색 모래를 사용해서 조경을 표혔하였는데 수정이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또 파빌리온에 대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한 개인크리틱을 이어갔다. 파빌리온 모형에 대한 크리틱을 듣고 reference 모델을 찾아보는게 좋다는 말씀을 해 주셨다.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파빌리온 디자인을 develop하면서 특히 지붕을 만드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하였다. 전체적으로 육각형이었던 지난주 디자인에서 육각형을 나눠서 마름모와 삼각 형 형태를 따와 지붕을 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통일성보단 다양함을 위주로 여러가지 모양으 시도해 보았다. 또 중앙의 빈 공간을 콘서트나 공연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해 원래 땅의 높이보다 낮게 들어가도록 구성하였고 지붕의 높이가 다르게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려고 노력하였다. 주택 2층 도면을 그릴 때에는 저번주에 크리틱을 들은 콘크리트 외벽을 주로 신경쓰며 더 진하고 선명하게 표현하려 하였다. 지난주보다 번짐이 적어진 점이 발전되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이 파빌리온의 지붕에 얹은 도형이 너무 다양해서 하나로 통일하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해 주셨다. 또 전체적으로 통일감이 부족해보여서 삼각형으로 지붕 을 만드는 것을 추천해 주셨다. 또 이와 관련된 레퍼런스 모델도 찾아보라고 하셨다. 파빌리온에 전체적 통일감을 주기 위해 공연장으로 가는 계단도 삼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해 보라고 하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2
Date.
Summary of Lecture
2014.5.22 Accreditation Requirement
원근법과 투시도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이집트 벽화의 경우 원근법을 사용하지 않았었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1377-1446)는 이탈리아 로마를 중심으로 인간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중심 사상이 활발했던 르네상스 시기에 활동했던 미술가이다. 그는 르네상스형 인간으로 분류 됬었는데 이는 다재다능함을 뜻한다. 이 시기에는 미켈란젤로와 같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은 예술가를 후원하던 메디치 가문도 존재하였다. 브루넬리스키와 기베르티는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건축가로 비교하여 설명을 해 주셨다. 브루넬리스키는 2000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년전 건물인 로마의 판테온 신전에 감동을 받았다. 그는 돔의 구조를 분석한 뒤 두오모 성당에 돔 지붕을 얹게 되었다. 그는 투시도법의 창시자로 불린다. 이에 비 에 기베르티는 두오모 성당(SANTA MARIA DEL FIORE)의 초기 설계를 맡았다. 이 밖에도 동양의 삼근법에 대한 이야기와 투시도법, 평면투상도, 투시도에 대한 설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명을 들었다. 과제로는 주택 3층 평면도와 정면도를 검사하였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저번주 파빌리온을 develop하기 위해 레퍼런스 모델을 찾아보았다. 지붕을 삼각형으로 올린 파빌리온들에 대해 찾아보던중 핀란드에 있는 panviljonki라는 파빌 리온이 삼각형 지붕을 하였고 전시나 공연등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내 파빌리온과 유사한 점이 많아서 reference model 로 삼게 되었다.그 밖에도 다양한 형 태의 지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여러가지 사진을 찾아보았다. 꼭 벽면을 수직으로 세우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으로 나선형 구조도 조사해 보았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께서 reference모델을 잘 찾았다고 해 주셨다. 이 모델을 토대로 develop을 시켜도 좋고 좀 더 다양한 형태로 구상해 보라고 하셨다. 또 사이트 모형 크기를 트레싱지에 옮겨서 삼각형으로 자른 뒤 지붕을 만들 부분을 표시해 보면서 전체적 구상을 구체화 하라는 이야기를 해 주셨다. 트레싱지에 표현해 보면서 공간도 전체적으로 삼각형으로 날렵한 공간으로 구성하고 통일성을 강조하라고 하였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3
Date.
Summary of Lecture
2014.5.29 Accreditation Requirement
조적조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원시 거석 구조물에서 부터 시작해 그리스 로마 비잔틴 고딕 건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들었고 건축의 3요소인 구조 기능 미 중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구조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구성양식상 조적식 구조, 가구식 구조, 일체식 구조, 조립식 패널 구조로 분류되고 시공 과정 상으로는 건식 구조와 습식 구조로 구분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된다. 그 중 벽돌 구조는 방한 방서에 유리하고 시공 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간이 협소해지고 고층 건물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있다. 이 밖에도 벽돌의 종류, 벽돌 시공시 주의할 점, 쌓기 방식, 줄눈 방식, 벽돌의 균열 원인 등에 대하여 공부하였다. 과제로는 아이소메트릭 건물을 도면으로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그려보았다. 또 스케치북에 투시도를 그려와 검사하였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전체적인 사이트를 삼각형으로 구성하려고 사이트 전체를 삼각형으로 잘라 보았다. 위에 사진은 트레싱지에 하기 전 스케치북을 이용해 파빌리온을 구상해 본 것 이다. 전체적인 각이 60도로 정삼각형의 특징을 살려 모든 각의 크기를 통일 하였다. 또 내부에 세워질 기둥도 삼각형으로 구상하였고 아래의 콘서트장으로 가는 길을 삼각형 계단으로 구상해 보려고 노력하였다. 아이소 매트릭 도면을 그리면서 아이소매트릭의 특징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평면도나 정면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건물의 기둥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선의 굵기의 차이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삼각형으로 대지를 나눠 생각해 본 것은 잘 했다고 해 주셨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짤 때 사이트에서 보행자의 이동경로를 통해 정육면체를 따왔고 그 도형에서 삼 각형을 유추해내 파빌리온을 구상한 것을 디자인 프로세스로 하면 되겠다고 해 주셨다. 또 통로를 더 강조하는 게 좋을 거 같다는 이야기를 해 주셨다. 통로가 꼭 공연장과 같은 높이에 있을 필요는 없다고 하시면서 사이트 옆에 조경과 계단이 있는 부분까지 활용해 파빌리온을 구상해 보라고 이야기 해 주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 14
Date.
Summary of Lecture
2014.6.5 Accreditation Requirement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건축 제도 14주 차에는 패널을 구상하는 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패널에는 전체적으로 프롤로그, 레퍼런스 모델, 컨셉, 도면, 모델 사진,사이트,디자인 프로세스 등을 포함해야 한다고 하셨고 전체적으로 글씨보다는 그림이나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또 패널을 봤을 때 부가적인 설명이 많이 대입되지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않아도 모델을 이해할 수 있는 그런 패널이 잘 만들어진 것이라고 설명들었다. 선배들이 했던 손패널과 컴퓨터로 만든 패널,모델을 보면서 잘 된 패널의 예시를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알아 보았다. 다음주에 있을 파이널에 대비해 마지막 파빌리온 개인 크리틱을 진행하였다.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파빌리온의 통로 지붕을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보았다. 통로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벽과 천장이 90도를 이루는 통로, 반원의 형태로 벽면이 천장과 이 어져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통로, 천장의 삼각형이 부분부분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빛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통로 등 다양한 시도를 해 보았다. 통로를 만들때 에도 삼각형만 쓰려고 노력했더니 벽면을 곡면으로 만들려 했더니 삼각형의 각을 맞춰서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두 길을 연결할 때 삼각형때문에 연결에 문 제가 있을 듯하여 다음 파이널 발표전까지 다시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이 이번주에 해온 파빌리온 통로를 보시고 삼각형의 각을 맞춰서 전체적으로 만들때 어려움이 있을거라고 그 부분을 더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하셨다. 또 전 체적으로 삼각형을 이용하는 것을 컨셉으로 다른 도형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셨다. 또 모델을 만들때 사람 스케일을 고려하여 계단이나 천장 높이를 구상하라고 조언해 주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
Hanyang University ERICA School of Engineering Architecture Department
2014 Spring Semester
건축기본설계
Prof. 윤태식
Student Name 황지은
Week No.15
Date.
Summary of Lecture
2014.6.12 Accreditation Requirement
<파이널> 건축 제도 15주차에는 파이널 발표를 하였다. 오우근 교수님 스튜디오와 함께 발표를 진행하였는데 벽에 그 동안 해왔던 도면과 스케치 등을 전시하였
1 구두 및 문서표현: 건축적 아이디어를
고 그 앞에 각자의 파빌리온 모형과 패널을 설치하였다. 우리 스튜디오에서는 각각 5분간 파빌리온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는데 파빌리온의 사이트, 컨셉, 프롤로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한국어와 외국
그, 디자인 프로세스, 파빌리온 도면, 레퍼런스 모델 등에 대해 발표한 후 두 교수님의 크리틱을 들었다. 오우근 교수님 스튜디오에서는 공공으로 사용되는 공간과
어로 표현할 수 있다. 2 다양한 표현능력: 건축적 아이디어를
사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학교 내 사이트를 선정한 후 디자인 하는 과정을 거쳤다. 1층에는 공적 공간으로 운동시설, 도서관, 술집 등을 포함
스케치, 모형, 도면, 글, 디지털 이미지
하였고 이층에는 개인적 공간으로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을 모형으로 만든 후 팀별로 나와서 발표하는 과정을 거쳤다.
등 다양한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적절 Design
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설계 에 적용할 수 있다.
9 형태 및 공간구성: 건축 및 도시설계의 기초를 이루는 2차원과 3차원 형태 및 공간 구성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건 축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Presentation of Research & Analysis / Design Development Progress 전체적인 파이널 발표에서는 개인적인 생각을 많이 요하였다. 발표 후에 질문을 받았었는데 내가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질문이 들어와서 모형을 만들 때나 전체적 디자인을 할 때 좀 더 신중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또 그 디자인 하나하나에 의미가 필요함을 느꼈다. 내 파빌리온의 터널형 내부에 삼각 기둥을 설치 하였었는데 처음에는 전시 목적으로 설치하였지만 의미가 부족함을 느꼈다. 전체적인 발표를 들으면서 다른 학생들이 한학기동안 진행해온 프로젝트의 내용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고 두 교수님의 건축 스타일이 달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전체적으로 부족한 점이 많은 발표였지만 학기초에 비 해 성장한 모습을 느낄 수 있어서 인상깊었던 발표였다.
Comment on Work & Future Development Ideas 교수님께서 내 파빌리온을 보시고 여러 이야기를 해주셨다. 전체적인 모양감과 형태감이 좋고 삼각형만을 사용하려고 한 시도가 인상깊다고 해 주셨다. 하지만 파빌리온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너무 의미에 치우친다면 억지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고 주의를 주셨다. 또 그 중간에 설치한 삼각기둥에 다른 의미를 넣 어야 한다고 하시면서 전시 공간으로서의 기둥이 아니라 통로를 지나가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얼굴을 부딪히지 않고 지나갈 수 있고 공간의 분리를 뜻하는 설 치물로 해석해야 한다고 하셨다. 또 패널을 짤 때 좀 더 설명없이도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을 짜는 법을 연습해야 한다고 하셨다.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chool of Architectural Design, 1271 Sa 3-dong, Sangrok-gu, Ansan, Gyeonggi-do, 426-79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