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in 21st Century
21세기의 건축
Structure with Intelligence
지능을 지닌 구조
I VAAI U C I TY P LAN N I N G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 도시계획
U I
I
A
V A
Architecture in 21st Century
21세기의 건축
Structure with Intelligence
지능을 지닌 구조
I VAAI U C I TY P LAN N I N G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 도시계획
Structure with Stregnth
Structure with Intelligence
강도를 지닌 구조
지능을 지닌 구조
Le Corbusier. 1914-15. Maison Dom-ino.
IVAAIU City. 2013. IVAAIU Structur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assigned more strength to architectural structures than previous periods. The ‘Free Plan’ has become possible due to the fact that each component, which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could endure more stress than before. This change affected the entire concept of architecture since the 19th century.
18세기에 이루어진 산업혁명은 건축 구조물에 이전과 다른 차원의 강도를 부여하였다. 이 시기부터 건축물의 보다 자유로운 계획이 가 능해진 것은 각각의 건축 부재가 이전보다 강한 힘을 견딜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19세기 이후 모든 건축물의 총체 적 개념을 전환시켰다.
Le Corbusier’s five revolutionary principles can be acknowledged as the new archetypal system of the architectural movement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The free design of ground plan and façade, pilotis and horizontal windows are the results of the emergence of architectural components with better strength than in previous periods. It was the revolution of architecture to achieve the strength.
르 코르뷔지에의 ‘근대건축의 5원칙’은 산업혁명이 가능하게 한 새로운 건축시스템의 원형으로 평가될 수 있다. 자유로운 평면, 자 유로운 파사드, 필로티 그리고 수평창은 모두 각각의 건축부재가 이 전까지보다 강한 하중을 견딜 수 있기에 가능해진 것이다.
The current technologic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exceeds the power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We made a decision that this is the proper point to propose a new archetype of architecture for this era. The Industrial Revolution had created a ‘structure with strength’, and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movement is creating ‘structure with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based on a computer system makes it possible to implant intelligence in physical structures including architecture. The next archetype of architecture in the 21st century should be a ‘structure with intelligence’.
그리고 21세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혁명은 산 업혁명이 건축에 미친 영향력을 초과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새로 운 건축적 원형에 대한 관점이 대두되어야하는 시기로 판단하고 다 음을 제안한다. 산업혁명이 ‘강도를 지닌 구조’를 창출해냈다면 현대의 디지털 기 술혁명은 ‘지능을 지닌 구조’를 창출해내고 있다. 컴퓨터를 기반 으로 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다양한 물리적 구조물들에 지능의 삽 입을 가능하게 하였고 건축물 역시 지능을 부여받고 있는 시기이다. 21세기 현재 새로운 건축적 원형은 ‘강도를 지닌 구조’를 넘어 서‘지능을 지닌 구조’이다.
Organic Structure 유기적 구조체 Kisho Kurokawa. 1960. Agricultural City.
Organic Structure with Intelligence 지능을 가진 유기적 구조체 Donguk Agos Lee. 2013. IVAAIU Urban Instrument.
In terms of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nother critical moment was the Metabolism movement. This movement was initiated in Japa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it has proposed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tructures as an organism in an urban system. It has contributed to the history of architecture by synthesizing the organic flexibility to the structure of physical permanence.
건축 구조물의 개념에 있어 산업혁명과 같은 파급력을 지닌 또다른 움직임은 메타볼리즘 운동이다. 20세기 후반 일본에서 발생된 메타 볼리즘 운동은 건축 구조물을 자연적 개체로써 인식하는 개념을 제 안하는 데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물리적 영구성을 지닌 구조물에 유기체의 유연성을 결합시킴으로써 건축 구조물에 대한 근본적 개 념을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If the Metabolism movement can be considered as an effort to transfer a fixed structure to a flexible structure, the current era can be defined as an effort to implant intelligence within flexibility. As the biological organism has evoluted towards an advanced intelligence, architectural structure is also at the point towards a better intelligence than before. At the Tokyo World Design Conference in 1960, Metabolists manifested that the design and technology is a denotation of human society.1)
해당 시대의 메타볼리즘 운동이 정지된 구조물을 도시속 유기체로 써 전환시키려는 움직이었다면, 21세기 현재의 주제는 해당 유기체 의 지능적 진화에 대한 고민이다. 자연속 유기체가 시간이 지나면 서 진화된 지능을 가지듯 도시속 건축 구조물 자체에도 지능의 진 화가 이루어질 시점이다.
We think that this concept is still valid at the moment, however the current technological movement can also add intelligence to organic structures. The 21st century’s digital technology can realize an organic structure with intelligence.
1)
Kishō Kurokawa. 1977. Metabolism in architecture.
1960년 도쿄 세계 디자인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메타볼리즘의 매니페 스토에서 메타볼리스트들을 디자인과 테크놀로지가 인류사회의 핵 심가치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핵심가치는 21세기에도 동등한 가 치를 지닌다. 다른 점은 현재의 기술적 진화는 건축적 유기체에 지 능을 부여하기에 최적화된 상태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21세 기의 디지털 기술혁명은 유기체적 구조물에 진화된 지능의 삽입을 구현시킬 수 있다.
We manifest a new architectural archetype as in following principles. Principles of Architecture in 21st Century. Primary Principle. Architecture consists in the city as a biological structure with intelligence. Principle 1. Intelligence is implanted into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2. The faรงade expresses the idea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3. The internal space of architecture is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4. The light of architecture is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 5. Sensation is implanted into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form of artificial sensors. Principle 6. Every component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s linked in form of digital data.
이에 우리는 새로운 건축적 원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21세기 건축의 원칙
근본 원칙. 건축은 지능을 가진 유기체로써 도시를 구성한다.
원칙 1. 지능은 인공지능의 형태로 건축 구조에 삽입된다.
원칙 2. 건축의 파사드는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현한다.
원칙 3. 건축의 내부 공간구성은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된다.
원칙 4. 건축의 빛은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된다.
원칙 5. 감각은 인공센서의 형태로 건축 구조에 삽입된다.
원칙 6. 모든 구성은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연결된다.
Primary Principle. Architecture consists in the city as a biological structure with intelligence. The critical notion of architecture in 21st century is intelligence. The aim of synthesizing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y is the achievement of intelligence. At the moment, problems appearing in modern cities are exceeding those in pervious cities both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The reason that we assign intelligence to an architectural structure is to provide an advanced tool for citizens to confront these urban issues. Section.
근본 원칙. 건축은 지능을 가진 유기체로써 도시를 구성한다. 21세기 건축의 핵심 개념은 지능이다. 건축과 테크놀로지의 융합 은 지능의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현시대의 도시에서 발생되는 모 든 문제들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이전 시대의 것들을 압도한다. 건 축 구조물에 지능을 부여하는 이유는 이러한 문제들과 대면하는 상 황에 있어 도시의 구성원들에게 진보된 도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Section.
Principle 1. Intelligence is implanted into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tion.
In form of a computer which processes the data using an electronic circuit,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reated and has been developed. Synthesizing this type of a system and the architectural space is the opening of new possibilities of architecture planning. Artificial intelligence can transform the idea of users to the digital data and efficiently process it. Every component of space does not exist in its default state but can create an optimized space in real time through the contr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brain of the human body.
원칙 1. 지능은 인공지능의 형태로 건축 구조에 삽입된다. 전자회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써 인공지능이 개발되었고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시스템과 건축 공간의 융 합은 공간 계획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인공지능은 사용자의 생각을 데이터화 시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공간의 모 든 구성 요소는 초기 상태 그대로 존재하지 않고 인공지능의 제어 를 통해 최적화된 공간을 실시간으로 창출한다. 유기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뇌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Plan.
Principle 2. The facade expresses the idea which is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expressed on façade which occupies substantial surface in architecture. Façade functions as a component to express the idea of users b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n inter-medium. The functional definition of the façade can be redefined by the fusion of advanced technology of the current era and architectural space.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face of the human body. Elevation
원칙 2. 건축의 파사드는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현한다. 인공지능이 생산해내는 정보는 건축에서 큰 표면적을 차지하는 파 사드에 표시된다. 파사드는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생 각을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와 외부의 구획으로 존재해왔던 건 축물의 파사드는 현시대의 진보된 기술과의 융합으로 기능적 정의 를 재정립한다. 유기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얼 굴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Plan.
Principle 3. The internal space of architecture is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dea of users can be programmed in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the internal space of architecture. Walls can be transformed in order to be optimized for fulfilling user’s needs. Multiple variables of usage of space can be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joint of human body.
Section.
원칙 3. 건축의 내부 공간구성은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된다. 인공지능의 형태로 프로그래밍된 사용자의 생각이 건축의 내부 공 간구성을 제어한다. 벽은 사용자의 삶이 최적화가 가능한 방향으로 제어된다. 공간과 공간 사이의 구획은 인공지능의 제어에 의해 다양 한 변수들을 생산해낸다. 유기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관절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Plan.
Principle 4. The light of architecture is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ynthesizing advanced lighting system in the current er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define the function of lighting in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in space, light not only exists for accommodation but also for expressing ideas.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face of the human body.
Plan. (Above a Floor Surface)
원칙 4. 건축의 빛은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된다. 현시대의 진보된 건축 조명 시스템과 인공지능의 융합은 건축에서 사용되는 빛에 대한 기능적 정의를 재정립한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건축 공간에서의 빛은 생활에 적합한 조명으로서 작용할 뿐만 아 니라 스스로의 생각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매개체로써 활용된다. 유기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얼굴과 동일한 가 치를 지닌다. Plan. (Below a Floor Surface)
Principle 5. Sensation is implanted into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form of artificial sensors. Artificial sensors make it possible to implant sensor systems into architecture. The linkage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sensors enables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physical spaces. Sensations can be implanted and thus expand the sensation of users.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sensory system of the human body.
Section.
원칙 5. 감각은 인공센서의 형태로서 건축 구조에 삽입된다. 인공센서 시스템은 건축이라는 유기체에 감각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지능과 인공센서의 연결은 물리적 공간 정보의 양방향 소 통을 만들어낸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인공 감각기관들이 삽 입됨으로써 사용자의 감각기관이 건축적 형태로 확대된다. 유기체 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감각기관들과 동일한 가 치를 지닌다.
Plan.
Principle 6. Every component of architecture is linked in form of digital data. This principle is based on synthe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chitectural space. Because of the fa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made by programming digital data, the operation of every principle’s system is based on the circulation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in-between components and principles can be done in form of a wired or wireless system. This principle equals to the sensory system of the human body. Section.
원칙 6. 모든 구성은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서 연결된다. 본 원칙들은 인공지능과 건축공간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다. 인공지 능은 디지털 데이터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모든 원칙 들의 작동은 디지털 데이터의 순환을 기반으로 한다. 유선과 무선 의 형태로 데이터가 공간의 구성물들 사이의 소통을 만들어낸다. 유 기체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 원칙은 인체의 혈액 순환기관과 동 일한 가치를 지닌다.
Plan.
By synthesizing the above mentioned seven principles, we explore the architectural archetype of the 21st century. 근본 원칙을 포함한 일곱가지의 원칙의 통합을 통해 현시대의 새로운 건축적 원형을 모색한다.
Application 1. Name: OP Changseong (Open Programming Changseong) Address: Changseongdong 87-1 Basement, Jongrogu, Seoul, Repulic of Korea
적용사례 1. 명칭: 오피창성 (오픈 프로그래밍 창성) 주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성동 87-1 지층
Open Programming Changseong is the first result which reflects the seven principle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system can be open programmed by citizens as they intend it to be and every component can be optimized to meet the user’s needs.
오픈 프로그래밍 창성은 일곱가지의 원칙이 반영된 첫번째 결과물이다. 해 당 건축구조시스템은 도시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오픈 프로그래밍이 가능 하고 모든 건축의 구성물들은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최적화가 가능하다.
Application 2. Name: OP Itaewon (Open Programming Itaewon) Address: Itaewondong 255-13, Yongsangu, Seoul, Repulic of Korea Open Programming Itaewon is the second result which reflects the seven principle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system can be open programmed by citizens as they intend it to be and every component can be optimized to meet the user’s needs.
적용사례 2. 명칭: 오피이태원 (오픈 프로그래밍 이태원) 주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255-13 오픈 프로그래밍 이태원은 일곱가지의 원칙이 반영된 두번째 결 과물이다. 해당 건축구조시스템은 도시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오픈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모든 건축의 구성물들은 각각의 사 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최적화가 가능하다.
Expansion Towards Urbanism This architectural prototype aims to continuously expand to the urban environment. IVAAIU CITY aims to build a system which links Idea - Visual - Audio - Architecture - Infrastructure - Urbanism and to make it possible that the idea of citizens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urban environment. The core of this system development is the synthesis of idea, technology and space. As the middle inter-medium of IVAAIU, this architectural prototype aims to implant technology into architecture and to expand ideas of citizens through visual, auditory, architectural, infrastructure and the urban environment.
도시를 향한 확장 본 건축적 원형은 도시로의 지속적 확장을 목표로 한다. IVAAIU CITY는 Idea - Visual - Audio Architecture - Infrastructure - Urbanism의 연동을 통해 시민의 생각이 도시생활까지 연결이 가능 하게 만드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해당 시스템의 구축의 핵심은 생각과 테크놀로지 그리 고 공간의 합성이다. 본 건축적 원형은 여섯까지 단계의 중간적 통로로써 건축 공간에 테크놀로 지를 삽입함으로써 시민의 생각을 시각과 청각 그리고 공간적으로 구축하고 이후 인프라스트럭 쳐와 도시환경의 단계까지 확장함을 목표로 한다.
Donguk Agos Lee. 2013. IVAAIU Urban Instrument. Master in City Planning Thesis at the M.I.T.
크레딧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 도시 계획 이동욱 홍권 변규석 남상철 사진: 임소 오피 창성 페인팅: 양자주 CREDIT IVAAIU CITY PLANNING DONGUK AGOS LEE GWON HONG KYUSUK BYUN SANGCHUL NAM PHOTOGRAPHY: LIMSO PAINTING at OP CHANGSEONG: JAZOO YANG
U I
I
A
V A
http://ivaai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