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APIL Annual Report
제법이다는 법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을 이롭게 하다 혹은 법적인 전문성을 가지고 다양성을 구가하다라는 뜻입니다. 制法利多, the name of annual report of APIL means that we hope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with law and/or to help the public enjoy diversity with our legal expertise.
칼럼 Column APIL’s Story
어필이 설립된 지 6년째인 2016년
분들의 지원과 격려 속에 즐겁게
like the refugees, migrant
을 지나며 한국사회의 시민들과 이
일해왔습니다. 그 이야기를 지금
detainees, victims of human
주민들은 전례 없는 민주주의의 위
여러분 앞에 자랑스럽게 들려드리
trafficking, stateless persons
기를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한국
고 싶습니다.
as well as the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by Korean
사회가 해결해야 할 뿌리깊은 문
companies overseas--all of
제 중 하나가 강한 자에게 굴종하 고, 약한 자를 함부로 대하는 것이
In 2016, APIL’s sixth year since
whom APIL is trying to help. It
라는 점을 다시 확인하게 되었습니
its establishment, migrants
is also making it more difficult
다. 이같은 문제는 사회 곳곳에 반
as well as natives in Korea
for the vulnerable foreigners to
영되어 있어서 우리들은 끝없은 경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find their place in Korea.
쟁과 ‘약함에 대한 경멸', 그리고
crisis of democracy and
In adding to the situation
사회전체의 공동체적 연대의식의
reaffirmed that one of the most
above, the number of refugees
붕괴를 도처에서 목격하고 있습니
deep-rooted problems that
throughout the world increased
다. 국적을 갖고 있는 시민들 마저
Korean society must solve is
last year. We also observed
견디기 어려운 그와 같은 잔인한
blind obedience to the strong
many policies and claims that
흐름은 보다 취약한 이방인들 즉,
and abuse of power toward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어필이 조력하고 있는 난민, 구금
weak.
objectives, surveillance and
된 이주민, 인신매매피해자, 무국
This problem is prevalent
control should take priority
적자들은 물론, 해외한국기업에 의
not only throughout the
over human rights.
한 인권침해 피해자들에게 더욱 무
government’s policies but also
Despite the challenges
섭고 아프게 미치고 있어, 취약한
in many aspects of our society.
and hectic schedule, the
이방인들의 설 자리는 점차 사라지
As a result, we are witnessing
five attorneys, interns and
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사회의 위
not only the endless and
volunteers have been able to
와 같은 상황에 더해 작년 한해 동
excessive competition but also
work pleasantly thanks to the
안 세계 전역에서도 난민의 수는
the people’s “contempt for the
assistance and encouragement
증가하고, 인권보다 국가의 행정적
weak” and the disintegration
from the donors and
목표와 감시 그리고 통제가 앞서야
of community spirit throughout
supporters. Now, we would like
한다는 다양한 주장과 정책들이 돌
the society.
to proudly present you with our
출되었습니다. 모든 상황은 어렵고
This cruel situation, which is
story.
바빴지만 어필의 5명의 변호사, 인
hard for the natives to bear, is
턴,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은 후원자
even harder for the migrants—
2
칼럼 Column Refugee
올해 초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발령한 일부 국가 출신 난
Earlier this year, the repercussions of Donald Trump’s executive order swept
민들의 재정착 수용과 입국을 거부하는 행정명령의 여파가 전 세계를 휩
throughout the world. The order bans refugees of certain countries from entering
쓸었습니다. 테러의 공포로부터 탈출한 난민들을 오히려 만연히 위험하다
and denies their resettlement. Refugees have escaped from the fear of terrorism but
고 낙인 찍고 희생양으로 그려내며 국경을 잠그는 국가의 잔인한 얼굴. 그
many nations rather brand them as dangerous, portray them as scapegoats, and
런데 국가의 그러한 잔인한 얼굴은 한국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국정
close-off the borders. South Korea was not an exception to such cruelty. The South
부는 2016년 28명의 시리아 남성 난민들에 대해 ‘명백히 난민이 아니라
Korean government showed its mercilessness by detaining 28 Syrian male refugees
며' 약 8개월 동안 그들을 인천공항 송환대기실에 구금하며 돌아가라고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deportation waiting facility for 8 months and telling
하는 잔인한 얼굴을 보여주었습니다. 인천공항을 숱하게 찾아가며 그들의
them to return home because they are “definitely not refugees.” APIL and pro-bono
분노와 고통을 몸으로 받아내고 함께 했던 어필과 협력 변호사님들의 다
attorneys made frequent visits to Incheon Airport to listen to their anger and provide
양한 방면의 조력과 밤을 새워 준비한 선례가 없었던 소송들, 여러 연대를
support in person. They also provided various kinds of assistance and prepared
표시한 시민들의 도움을 통해 28명의 시리아 난민들은 끝내 입국하여 한
for the unprecedented lawsuits over many sleepless nights. Thanks to numerous
국 땅을 밟게 되었지만 억울했던 그들의 8개월은 누가 보상할 수 있을까
citizens’ solidarity, the 28 Syrian refugees were finally able to step on Korean soil.
요? 아무도 답하지 않고 있습니다.
However, who will compensate them for the 8 months of unfair mistreatment? No
한국정부는 현행 난민제도의 과제를 ‘어떻게 하면 난민을 더 잘 보호할 것
one is answering this question.
인가'로 설정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난민을 줄일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
The Korean government’s refugee policies do not focus on ‘how to protect the
고 있고, 난민지위의 문은 점점 더 닫히고 있고 한국사회에 통합되어 살아
refugees better,’ but on ‘how to deter refugee applications effectively.’ The door
갈 방안도 찾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유례없는 한국사회 시스템의 붕괴
to getting asylum is closing and ways to become a part of the Korean society is
상을 확인하던 작년 한 해, 생존의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만 귀속시켜가고
becoming more difficult. As the social safety net is threatened, and the spirit of
있어 사회안전망은 물론 연대와 공존이 흔들리고 있는 한국사회 속에서
solidarity/coexistence is weakened, the room for refugees to survive in Korea is
난민들의 설 자리는 더욱 줄어들어 왔습니다. 그러나 어필은, 후원자 여러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However, APIL has strived to raise its voice on behalf
분들의 후원과 지지 끝에 더욱더 취약한 난민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목소
of vulnerable refugees by providing legal and other kinds of assistance thanks to our
리를 잘 듣고 그들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 내기 위해 다양하게 노력해왔습
donors’ gifts and support,
니다.
3
활동내용
난민
신청과 소송
Applications & Litigations
• Updated refugee precedents website (W4refugee.
• 중국, 콩고, 이란, 시리아, 파키스탄, 북수단, 우간다, 이집트 출신 난민을 위한
• Assisted in filing asylum applications and appeals
org)
for refugees from China, Democratic Republic of the
• Presented as a panelist at 2016 Conference hosted
Congo, Iran, Syria, Pakistan, North Sudan, Uganda,
b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Refugee Law Judges
and Egypt
(IARLJ) and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 Assisted in filing asylum applications at ports of
of Korea.
난민신청 및 이의단계지원 Activities
Refugee
• 시리아 난민 28명, 소말리아, 라이베리아, 우간다, 이집트 출신 난민을 위한 출입국항 난민신청 지원 • 리비아, 남아공, 파키스탄, 기니, 카메룬, 북수단, 중국, 예멘, 에티오피아, 우간다, 나이지 리아, 방글라데시, 요르단 출신 난민을 위한 난민인정불허처분 소송단계지원
entry for 28 Syrian refugees and other refugees from Somalia, Liberia, Uganda, and Egypt
Raising Awareness & Education:
• Assisted in filing lawsuits against decisions denying
• Gave a lecture at Yonsei University Law School
asylum for refugees from Libya, South Africa,
(Refugee Law)
Pakistan, Guinea, Cameroon, North Sudan, China,
• Attended as a panelist in a discussion after the film
Yemen, Ethiopia, Uganda, Nigeria, Bangladesh and
screening of “DiPhan” and “Please Answer Me”
Jordan
• Participated in Korean Refugee Rights Network
• Filed lawsuits against deportation and detention
Training Task Force
orders for refugees from Pakistan, Liberia, Egypt and
• Hosted a presentation meeting on investigation
Nigeria
report on airport refugee application system
• Filed a temporary-release application of a migrant
• Hosted an exchange forum between Korean
•난민네트워크 난민법 개정 TF 활동
child detainee from Liberia
and Japanese attorneys and activists for refugee
•난민네트워크 및 대한변협 출입국항 TF 실태조사
• Filed lawsuits against decisions denying living
protection
•법무부 재정착난민실무협의체 회의 위원자격 정례 참가
expenses for refugees from China and Ethiopia
• Gave lectures at Hansung High School Refugee
•아시아태평양난민권리네트워크(APRRN) 주최 APCRR6 참가
• Filed an individual complaint to the International
student organization, Jungdong High School,
•웹 기반 난민지원매뉴얼 업데이트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Committee for
Byeolgaram Middle School, Youngdeungpo Middle
•웹 기반 난민판례사이트(W4refugee) 판례 업데이트
the release of 28 Syrian refugees from detention
School, Rainbow Scholarship Association at Korea
•사법연수원·국제난민판사협회(IARLJ) 주최 2016년 국제난민컨퍼런스 토론자로 발표
• Submitted a written statement to the Ministry
University
of Justice regarding the problems in recognized
• Gave lectures on refugee law to Korean Refugee
교육과 홍보
refugees’ naturalization based on permanent
Rights Activists
•연세대 로스쿨 난민법 강의
residence permit prerequisite principle according to
• Gave a lecture at Korea Center for United Nations
•영화 디판·대답해줘 GV 패널 참가
the Nationality Act amendment.
Human Rights Policy Academy
•공항 난민신청 실태조사 보고서 발표회 개최
Research & Legislative Actions:
Solidarity Activity:
•한일 변호사 및 활동가 난민보호를 위한 한일 교류회 (교학상장) 개최
• Conducted Task Force activities for the revision of
• Asia Pacific Refugee Rights Network (APRRN)’s
•한성고 난민동아리, 중동고, 별가람중학교, 영등포중학교, 고려대 레인보우 학회 등 강의
Refugee Act as a member of Korean Refugee Rights
bi-annual conference Asia Pacific Consultation
•국내 난민활동가 대상 난민법 강의
Network
on Refugee Rights (APCRR) 6 participation and
• Conducted Task Force investigation of ports of the
committee activities
entry system as a member of Korean Refugee Rights
• Korean Refugee Rights Network
• 파키스탄, 라이베리아, 이집트, 나이지리아 출신 난민을 위한 강제퇴거명령및보호명령 취소소송 • 라이베리아 이주구금 아동 일시보호해제신청 •중국, 에티오피아 생계비 불허처분 취소소송 •시리아 난민 28명의 구금해제를 위한 자유권규약 위원회 개인진정 • 국적법 일부개정안에 대하여 영주자격 전치주의에 따른 난민인정자의 일반귀화의 문제점 을 내용으로 하는 의견서를 법무부에 제출 연구와 입법
•난민네트워크 교육 TF 활동
•유엔인권정책센터 아카데미 난민강의 연대활동 •아시아태평양난민권리네트워크(APRRN) 격년 회의 APCRR6 참가 및 위원회 활동 •한국 난민네트워크 활동 국제인권메커니즘 활용 •자유권규약위원회 공항난민 관련 개인진정제기 (잠정처분승인)
Network and Korea Bar Association Resettlement Working Committee regular meetings
Us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 Attended in APCRR6 hosted by Asia Pacific
• Filed Individual complaints and receiving interim
Refugee Rights Network (APRRN)
measures regarding airport refugees from the
• Updated the web-based refugee support manual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 Attended in Ministry of Justice’s Refugee
4
정지와 모순되는 강제퇴거명령 때
legal system or the language.
counterparts. Even if there
문에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한 달
He had to spend 8 months in
is only one-day-delay in
이나 더 보호소에 구금되어 있었
jail waiting for the day to meet
extending the stay, or whether
습니다. 하지만 어필(APIL)의 강력
his wife and children. However,
the person in question is
한 어필(appeal)이 있은 다음날 다
on the day of his release, the
a single mom who cannot
행히도 출입국 측은 아마드씨를 바
Korean Immigration Office
find someone to take care
로 풀어주었습니다. 법무부 스스로
banned his return to his country
of her baby, undocumented
모순된 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즉
with a departure suspension
migrants get detained
각 받아들인 것 같습니다. 기쁘기
order for another criminal
without considering the
도 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법적
investigation against him. At
necessity for detention or
인 근거가 없는 명백히 불법적인
the same time, the office gave
the likelihood of absconding.
구금'이기 때문에 누군가 이 점을
him a compulsory deportation
Sometimes, it feels like that
어필하면 이렇게 쉽게 풀려나는 것
order because they did not
the Immigration Control Act
인데 아마드씨가 근 1달간 고생을
want to allow him to stay legally
is above the constitution.
하였다는 생각이 들어서 속상하기
in Korea. Leave (compulsory
APIL has filed a lawsuit with
도 했습니다.
deportation order), but don’t
the Constitutional Court to
외국인의 구금은 한국인의 구금보
leave (departure suspension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다 쉽게 일어납니다. 하루만 체류
order). Mr. Amad was detained
the Immigration Control Act.
기간 연장이 늦어져도, 갓난아기의
for another month with no legal
Although it was rejected for the
유일한 보호자인 싱글맘이라 할지
ground due to the contradictory
lack of standing because the
라도 미등록체류자이기만 하면 일
orders. Fortunately, the
client had been released for
단 구금됩니다. 구금의 필요성에
Immigration Office released
being recognized as a refugee
대한 심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Mr. Amad the very next day
during the lawsuit was pending
습니다. 헌법 위에 출입국관리법이
after APIL made a strong
in the constitutional court,
있는 것 같습니다. 어필은 헌법에
appeal. The Ministry of Justice
more than half of the judges
위반되는 출입국관리법 관련 조항
seemed to have accepted the
expressed their dissenting
아마드씨는 한국법과 한국어에 익
에 대해 위헌소원을 헌법재판소에
appeal because it recognized
or additional opinions that
숙치 않아 사업파트너에게 사기를
제기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각하
its own contradiction. We felt
it is unconstitutional and
당하여 억울하게 구속되었습니다.
결정이 나오기는 하였지만, 과반수
happy that he was released
encouraged to amend the
이 때문에 8개월이나 징역을 살았
재판관이 위헌 및 법개정 촉구 의
but frustrated at the same
law. APIL will continue to
습니다. 석방되는 날 드디어 아내
견을 밝혔습니다. 어필은 외국인이
time because the case was
challenge discriminations that
와 아이들을 만난다는 생각에 들떠
기 때문에 손쉽게 ‘자유’를 빼앗아
a clearly wrongful detention
easily deprives the freedom of
있었지만, 그 순간도 잠시… 출입
버리는 불’평등’에 대해 문제를 제
without legal ground. Mr. Amad
migrants and do its best to fix
국관리사무소는 다른 형사사건 조
기하고 고쳐 나가기 위한 노력을
wouldn’t have had to spend
the problems.
사가 필요하다며 출국정지 명령을
앞으로도 계속 해 나갈 것입니다.
another month in detention
칼럼 Column Immigration Detention
only if someone had objected
내렸습니다. 그런데 출입국관리사
to the contradiction from the
무소는 아마드씨에게 합법적인 체 류는 허락할 수 없다며 강제퇴거명
Mr. Amad was cheated by
beginning.
령도 동시에 내렸습니다. “나가지
his business partner and
Immigration detentions for
말되(출국정지명령), 나가라(강제
consequently arrested because
migrants take place a lot
퇴거명령)”. 결국 아마드씨는 출국
he did not know either Korean
more easily than Korean
5
활동내용
신청과 소송
Applications & Litigations:
이주구금
•라이베리아 이주구금 아동 일시보호해제신청(승인)
• Filed an application for a temporary release of Liberian migrant children detainees
•파키스탄 출신 출국금지자의 보호해제 조력(구금해제)
(approved) • Supported the release of a Pakistani who was forbidden to leave Korea (released
Activities
Immigration Detention
연구와 입법
from detention)
•출입국관리법 개정 TF 활동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 방문
Research & Legislative Actions:
•변협 구금 TF 간사 모임 활동
• Conducted Task Force activities on amendment of Immigration Control Act • Visited Korea Immigration Reception Center
교육과 홍보
• Participated in Korea Bar Association Immigration Detention Task Force
•월드비전과 함께 이주아동구금근절을 위한 답(D.A.P)하다 캠페인 주최
Coordinators meetings
•출입국관리법 개정 TF 활동 •행정구금의 문제 국회 토론회에서 토론자 발표
Raising Awareness & Education:
• 한국이민법학회 ‘불법체류와 법치행정’에서 ‘불법체류(통제)의 법적 쟁점’이라는 주제로
• Organized DAP campaign to stop detention of migrant children detainees with
발표 •공항에서 난민신청자들의 구금현황 토론회 개최
World Vision • Participated in Immigration Control Act Amendment Task Force • Presented a panel presentation at Congressional debate on administrative
연대활동
detention problem
•일본변호사 난민네트워크회의 난민보호를 위한 토론회 개최
• Gave a presentation titled “Legal Issues on Illegal Stay(control)” at the
•월드비전과 함께 ‘답하다 캠페인(이주아동구금 금지 캠페인)’ 진행
Korea Immigration Law Association Conference under “Illegal Stay and Legal
•금태섭 의원실과 아주아동구금 금지원칙 입법화를 위한 협력
Administration” section • Hosted a discussion event on asylum applicants’ detention situation at the
국제인권메커니즘 활용
airport
•시리아 난민 28명의 구금해제를 위한 개인진정(구금해제)
Solidarity Activities: • Organized a conference with Japanese Attorneys Refugee Network for Refugee Protection • Collaborated with Congressman Kuem Tae-Seob’s office on legal amendment for ending migrant children’s detention
Us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 Filed individual communication with UN Human Rights Committee to release the 28 Syrian refugees from detention (released from detention)
6
칼럼 Column Human Trafficking
2016년 어필은 국제이주기구와 함
습니다. "월급 말고 보너스는 없나
place. They must have been
께 한국어선에서 일하는 이주노동
요?”라고 물어보니 “흠집이 나서
very tired after such a long
자의 인권실태를 연구를 하여 그
상품 가치가 없어진 이 갈치들이
journey, but they served their
결과를 “바다에 붙잡히다”라는 제
우리의 추석 보너스에요”라고 합니
unexpected guests dinner with
목의 보고서로 펴냈습니다. 보고
다. 이 이야기를 듣고 다시 갈치를
cutlass fish. During dinner,
서의 결론을 한 마디로 요약하자
먹으려고 하니, 정말이지 그 갈취
we learned that the delicious
면 한국어선에서 일하는 이주노동
가 너무 심해서인지 목에 넘어가지
cutlass fish were the product of
자들이 겪는 인권침해는 인신매매
않았습니다.
their labor for more than twenty hours a day in the ocean. We
혹은 강제노동에 해당한다는 것입
asked them in surprise, “How
니다. 저희들은 위 연구를 위해 이 주어선원을 만나 이야기를 들을 수
In 2016, APIL with International
do you work with so little
있는 곳이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Organization for Migration
sleep?” They answered, “We
열심히 찾아다녔습니다. 그 중에
(IOM) researched about the
drink ten cups of instant coffee
지난 추석 연휴에 제주도에서 만난
human rights conditions of
per day, each cup with two
중국어선원들의 이야기가 아직도
migrant crews on Korean
coffee mix packages.” They
생생합니다. 원래 그곳에 간 이유
fishing vessels. We recently
had to pay 10 million Korean
는 그 동안 만났던 이주어선원들의
published a report based on
won in fees to come to Korea
인터뷰를 정리하고 싶어서였습니
this research findings with
and to work such long hours,
다. 하지만 우연히 먼 바다로 나갔
the title “Tied at Sea”. The
but their compensation is
던 이주어선원들이 두 달 만에 육
report’s main point is that
only the exact amount of the
지로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
the human rights violations
legal minimum wage. But they
의 숙소로 찾아갔습니다. 오랜 조
against the migrant crews on
rather smiled and told us that
업 끝이라 몹시 피곤했었을 텐 그
Korean fishing vessels are
it is better than 300 thousand
들은 갑작스럽게 찾아온 손님을 위
human trafficking or forced
Korean won per month pay
해 직접 갈치를 구워서 저녁 밥상
labor. For the aforementioned
they earned from working on
을 차려주었습니다. 그런데 밥을
research, we have traveled
Korean distant water fishing
같이 먹으며 이야기를 들어보니 제
in- and outside of Korea in
vessels. We asked if there was
가 맛있게 먹고 있는 그 갈치는 그
order to meet migrant fishing
any bonus on top of the wages,
들이 하루 스무 시간 넘게 일을 하
crews in person. In particular,
and they say, “These damaged
면서 잡아올린 것이었습니다. 스
we can still vividly remember
cutlass fish are our Chuseok
무시간이라는 말에 너무 놀라 “어
the stories of the Chinese
bonus. They can’t sell them.” It
떻게 그렇게 조금 자고 일을 하세
crews we met during Chuseok
was difficult to eat the cutlass
요?”라고 물어보니, "그래서 잠 깨
holidays in Jeju. At first, the
after hearing their clear-cut
려고 믹스 커피를 하루에 20봉지
purpose of our visit was to
exploitations.
나 타서 마셔요”라고 합니다. 천만
organize the interviews which
원이나 되는 수수료를 내고 한국
we had collected until then.
에 온 이들이 이렇게 장시간 일하
However, we heard by chance
고 받는 월급은 딱 법정 최저임금
that some migrant fishing
인데도 불구하고 한국 원양어선에
crews are coming back to the
서 일할 때 받았던 30만원에 비하
shore after their two months
면 훨씬 나은 편이라고 하면서 웃
of journey, so we went to their
7
활동내용
신청과 소송
Applications & Litigations:
인신매매
•광현호 베트남 선원 수사절차과 재판절차에서 변호(무죄판결)
• Represented a Vietnamese crew on Kwang-hyeon fishing vessel during criminal
•신안염전노예사건 피해자를 위한 국가배상 소송
investigation and trial (found not guilty)
•성착취 인신매매를 당한 필리핀 여성들을 강제퇴거 및 보호명령 취소소송
• Filed a lawsuit against government seeking reparation for the victims of Shinan
•상습강제추행과 성매매 강요를 당한 필리핀 여성들을 위한 고소와 형사절차 참여
salt pond slavery case.
Activities
Human Trafficking
• Filed a lawsuit against deportation and protection order for Filipino women who 연구와 입법
were victims of sexual exploitation and human trafficking
•신안염전노예사건을 통해 본 장애인 학대사건의 효율적 사법지원 방안 연구
• Participated in filing lawsuits and criminal investigation for Filipino women who
•한국어선에서 일하는 이주어선원의 인신매매 연구
were victims of sexual harassment and forced prostitution
•이주어선원 송출국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방문 조사 •연예흥행 사증으로 입국한 인신매매 피해자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일본 방문 조사
Research & Legislative Actions:
•김춘진 의원실과 함께 이주어선원 인권 개선을 위한 정책 간담회 개최
• Conducted a research on effective legal support for abuse cases against disabled people through the Shinan salt pond slave case
교육과 홍보
• Conducted a research on human trafficking of migrant crews on Korean fishing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어업의 공정·윤리 고용과 국가 간 정책 조율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
vessels • Conducted interviews on former migrant crews working in Korean fishing vessels
주최
in Indonesia and Viet Nam
•이주 인신매매 피해 여성 대응과 관련한 토론회 주최
• Conducted a local investigation in Japan for a research about victims of human
•환경정의재단 김현정 캠페이너 초청 “불법어업의 실태와 대응현황” 대중강좌 개최
trafficking who entered Japan with entertainment visa • Hosted a round-table discussion on policies for human rights improvement of
연대활동
migrant crews with Congressman Kim Chun Jim’s office
•성매매 피해 이주여성 사례 공유 및 제도 개선 모임 활동 •이주선원노동자인권네트워크 활동
Raising Awareness & Education: • Organiz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air and ethical employment in the East Asia/Southeast Asia fishing industry and harmonization of national policies • Organized a panel discussion regarding the treatment of 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 Invited Campaigner Hyeon-Jeong Kim from Environment Justice Foundation and hosted a public lecture on “the status quo of illegal fishing industry and countermeasures”
Solidarity Activities: • Participated in a network to share cases of victimized migrant women for prostitution and to improve related policies •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Network for Migrant Fishing Crews
8
지유(가명)를 알게 된 건 재작년 가
지 못하는,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
ratified in 1962, a stateless
을이었습니다. 지유는 국적도 없
는 아이들’이 한국사회에서 이렇게
person is “a person who is not
고, 현재는 엄마도 아빠도 없습니
숨쉬며 살아갑니다. 세상의 모든
considered as a national by
다. 지유의 엄마는 베트남 국적의
존재하는 것들은 연결되어 있지요.
any State under the operation
결혼이주여성이었지만, 결혼생활
존재의 기록없이 살아가는 사람이
of its law.” Therefore, they
은 오래가지 않았고, 이혼 후 지유
사람답게 살 수 있게 되는 것은, 결
do not receive any protection
와 함께 보호시설에 머물렀습니다.
국 ‘기록’은 있으나 존재하지 않는
from any country as a citizen.
그러나 알콜의존증과 우울증이 심
사람들도 숨쉬게 될 수 있다는 것
This problem becomes worse
해진 지유엄마는 지유 뿐 아니라
을 의미함을. 노란 봄꽃의 생명으
if the stateless person is a
본인의 삶마저도 힘겨워했고, 이
로 우리 함께 피어날 수 있게 되는
child. The most common case
후 지유를 남겨둔 채, 홀로 베트남
것, 어필이 믿는 바입니다.
in Korea is when the parents are undocumented migrants
으로 돌아갔습니다. 얼마 후 지유
or refugees. And the rights to
엄마로부터 국제전화가 왔습니다.
칼럼 Column Statelessness
“지유를... 잘 부탁드립니다” 라는
In the fall before last, we met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s
실낱같은 말을 남겼고, 그 말은 지
Jiyu (pseudonym) for the
are the main issues. They
유엄마가 세상에 남긴 마지막 숨이
first time. Jiyu didn’t have a
have to pay tens of thousands
되었습니다.
nationality nor parents. Jiyu’s
won only for a common cold
무국적자...왠지 제2차 세계대전을
mom was a marriage migrant
treatment because they cannot
소재로 한 전쟁영화의 주인공에게
woman from Viet Nam, but
register for public medical
나 어울릴 듯한 단어인데요. 한국
her marriage did not last long.
insurance. When they become
이 무려 1962년에 가입·비준한
After the divorce, she stayed
old enough to go to school,
‘1954년 무국적자 지위에 관한 협
at a shelter with Jiyu. However,
their rights to education
약’에 의하면, 무국적자란 ‘법 집행
her severe alcohol dependence
are not guaranteed unless
에 있어 어떠한 국가에 의해서도
and depression made it difficult
school principals authorize
국적자로 취급받지 못하는 자’라고
for her to carry on with her
them at their own discretion.
풀이되어 있습니다. 즉 어떤 국가
life, let alone taking care of
These children don’t have
로부터도 ‘국민으로’ 보호를 받지
Jiyu. She left Jiyu in Korea and
a documental proof of their
못한다는 것이지요. 특히 무국적자
returned to Viet Nam by herself.
existence. They are living and
가 ‘아동’인 경우에 문제는 더 심각
Before long, we received an
breathing within the Korean
합니다. 한국사회에서 무국적 아동
international call from Jiyu’s
society as people who exist
들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경우는 부
mom. She said “Please take
in reality, but do not exist in
모가 ‘미등록 이주민’이거나 ‘난민’
care of Jiyu.” These were her
document. Everything in this
인 경우인데, 이들에게는 주로 건
last words for Jiyu before
world is connected to each
강권 및 교육권 관련한 문제가 생
passing away.
other. APIL believes that, in the
깁니다.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없
Statelessness. This term
world where people without a
기 때문에 감기만 걸려도 몇 만원
rather reminds us of a fictional
document can live as human
의 병원비를 지불해야 하고, 취학
character of a film about the
beings, documented people
연령이 되어도 학교장의 재량으로
Second World War. According
who don’t exist anymore can
입학을 허가 하지 않는 한 학교에
to the 1954 Convention
also live and breathe within us.
서 교육받을 권리도 보장되지 않습
Relating to the Status of
We all would blossom together
니다. 국적없이 어디에서도 증명되
Stateless Persons, which Korea
like a yellow spring flower.
9
• 무국적 미등록 이주아동의 베트남 국적취득 조력(베트남 대사관 방문, 베트남 현지 변호 사들에게 자문요청)
Activities
•유엔난민기구 무국적 자문회의 참석
평화
다양성
•무국적자의 국적 확인을 위한 네트워크 연대 활동
인신매매 피해자
연대활동
대안
• Supported acquisition of Vietnamese citizenship for a stateless and
장기구금된 외국인
Applications & Litigations: undocumented migrant child (visited the Vietnamese embassy and consulted with local Vietnamese lawyers)
해외 민간기업 인권침해 피해자
환대
무국적자
난민
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정해서 어필 에코백 선물
올려주시면, 10 분을 선
서 2017. 6. 20.까지 본
어필 연간보고서”를 붙여
사진을 찍어 해쉬태그 "#
인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국내외 단체들과의 연대
정의 컬러링 작업한 것과 함께
보세요. 완성을 시킨 후
의 어필 로고를 완성해
여기에 붙여서 패턴 형식
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공감 입니다. 어떤 스티커가 어
활동방법을 형상화 한 것
가치와 활동분야 그리고
티커는 어필이 추구하는
수첩에 동봉된 아이콘 스
홍보와 교육
• Participated in a consultation on stateless persons hosted by UNHCR
연구와 입법운동
• Participated in the action network for stateless persons’ nationality verification
이야기
Solidarity Activity:
재정과 기부
Statelessness
소송과 신청
무국적자
활용
신청과 소송
국제인권매커니즘
활동내용
칼럼 Column Business and Human Rights
립스틱, 초콜렛, 샴푸, 아이스크림,
이웃과 나눌 생명으로 보았어요. 그
plantation due to the high
세제, 식용유. 이 제품들에 공통적으
런데 한국 기업들이 그 땅을 빼앗고
production quota to their parents
로 들어가 있는 재료가 무엇인지 아
그곳에 먹지도 못하고 나누지도 못
and there was a water shortage
세요? 바로 팜오일입니다. 우리가
하는 팜나무만 심어, 그 땅에는 이제
in nearby villages because
슈퍼마켓에서 사는 포장 제품 중 절
상품이 아닌 것은 찾아 볼 수 없는
palm trees consume excessive
반은 팜오일이 들어가 있다고 해요.
곳이되었습니다. 어필은 작년에 팜
amount of water. Toxic chemicals
팜오일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
오일 농장을 운영하는 한국기업들
were used for weeding and the
하는 나라는 인도네시아인데, 전세
의 인권과 환경 침해 실태를 조사를
health of laborers was at risk
계 생산량의 반 정도는 이 나라에서
했다면, 올해는 그 결과를 가지고 노
because proper safety gears were
나옵니다. 한국의 대기업들도 인도
동자들과 선주민들의 인권이 개선
not provided. However, most
네시아에서 대규모 팜나무 농장을
되도록 옹호활동을 하려고 합니다.
importantly, indigenous people who have been cultivating the
운영하고 있는데, 그 기업들의 경작
farm in the forest were losing
규모를 합치면 서울시 면적보다 클 거에요. 어필은 2016년 한국 대기업
Do you know the common
their land, the fundamental
들의 팜오일 농장에서의 인권과 환
ingredient in lipsticks, chocolates,
basis for their livelihood. The
경침해를 조사하기 위해 한 달 동안
shampoo, ice cream, detergent,
indigenous people who first
인도네시아의 섬과 섬을 오가며 지
and cooking oil? It is palm oil. It
developed the forest knew how
냈어요. 너무 높은 노동 할당량 때
is said that a half of packaged
to use the land for their families
문에 벌어지는 아동노동, 팜 나무가
goods we buy at a supermarket
and neighbors without damaging
물을 너무 많이 먹기 때문에 생기
have palm oil in them. Indonesia
the environment. They believe
는 주변 마을의 물 부족, 제초를 하
produces the most amount of
that ‘selling rice is selling life’ for
기 위해 사용하는 맹독성 농약, 안
palm oil in the world. About a half
generations. They saw the rice
전장비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아 생
of the global production comes
they produced as life to be shared
기는 노동자들의 건강 위협과 같은
from here. Korean conglomerates
with neighbors, not as a product
문제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가장 심
are also operating palm tree
to be sold. However, Korean
각한 것은 오래전부터 숲을 개척해
plantations on a large scale in
companies have taken the land
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었던 선주
Indonesia. The total area of
away from them and planted palm
민들이 자신들의 생존 근거인 땅을
these plantation fields exceeds
trees that cannot feed nor share
빼앗긴 거에요. 처음 숲을 개척한 선
the size of Seoul. In 2016, APIL
with people. Only “products” are
주민들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으면
spent a month traveling the
growing on that land now. APIL
서 가족과 이웃을 위해 땅을 사용하
islands in Indonesia to investigate
investigated the status of human
는 법을 아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
environmental damages and
rights violation and environmental
들은 대대로 "쌀을 파는 것은 생명을
human rights violations by Korean
damage by the Korean companies
파는 것이다"란 말을 믿으며, 자신들
palm oil plantation companies.
operating palm oil plantations last
이 경작한 쌀을 상품으로 보지 않고
Child labour was found in the
year.
10
활동내용
기업과 인권 Activities
Business and Human Rights
연구와 입법
Applications & Litigations: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팜오일 농장 방문 조사와 보고서 작성
• Conducted a visiting research about Korean companies’ palm oil plantations in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전자기업에 대한 추가 실태조사와 보고서 작성
Indonesia and produced a research report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에 의해 설치된 국가연락사무소 개혁을 위한 간담회 참여
• Conducted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made a report on Korean electronics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전자기업의 노동권 침해 관련한 현지 조사
companies in Mexico • Participated in the round-table discussion for the reform of Korean National
교육과 홍보
Contact Point under the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해외한국기업 인권침해 실태조사 발표회 개최
• Conducted a local investigation on labor rights violations by Korean electronics
•ODA Watch 창립 10주년 기념포럼에서 “인간을 꽃 피우는 발전"이라는 주제로 발표
companies In Viet Nam
연대활동
Raising Awareness & Education:
•기업과 인권 네트워크 사무국 담당
• Organized a presentation on human rights violations by Korean companies
•멕시코 CEREAL 활동가 초청
overseas
•변화의 시나리오 해외한국기업 인권실태조사 프로젝트 사무국 담당
• Making a presentation “Progress that Makes Humans Blossom” at ODA Watch’s
•우즈벡 강제노동 근절을 위한 코튼 캠페인 참여
10-year Anniversary Forum
국제인권메커니즘 활용
Solidarity Activity:
•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공식 방문시 사무국 담당
• Served as a secretary of Business and Human Rights network • Invited activists of CEREAL in Mexico • Served as a secretary of the Scenario of Change Project: Investigation for Human Rights Abuses committed by Korean Companies Overseas • Participated in Cotton Campaign to stop forced labor in Uzbekistan
Us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 Served as a secretary on UN Business and Human Rights Working Group’s official visits
11
아프리카의 특징적인 색상사용 방법은 뚜렷하고 강렬한 색의 조화와 대담한 패턴 그리고 색의 배치일 것입니다. 마음가는 대로, 손가는대로 자유롭고 재미있는 그림을 완성해보세요.
12
일하는 사람들 People at APIL
상근변호사 김종철, 정신영, 김세진, 이일, 전수연 펠로우 변호사 이명광
인턴 10.5기 (2016년 1~2월) 배예슬, 이병주, 조승희, 11기 (2016년 3~8월) 김태욱
연구원 정보슬, 한지엘, 배예슬, 이슬
11.5기 (2016년 7~8월) 박현진, 정창대, 표성수, Wilson Melbostad
고문 윤세리, 김한주
12기 (2016년 9월~2017년 2월) 윤지수, 이동규, 진유선
이사 이상민, 김남홍, 우재욱, 김영환
자원봉사자
감사 최윤호, 배정호
박혜민, 최원정, 윤인상, 박주원, 박경찬, 정하은, 정효진, 문영주, 박희훈, 강수민, 윤지 수, 박성빈, 박은희, 노희완, 이제연, 이현목, 박건호, 정창대, 이혜준, 신아현, 류태림, 오
협력변호사 김병규, 박상훈, 안소현, 이정훈, 한경태, 강윤주, 김은영, 이지연, 임지선
영주, 김솔아, 양윤지, 김민경, 김태우, 한정민, 강주영, 김세미, 이동근, 서가은, 박주연,
협력의사 성유미 (연세필정신과의원), 박근우(닥터노아치과), 김성능(예담치과)
이지숙, 조성근, 배월아, 고나영, 이병주, 소준영, 심진수, 강수연, 이준석, 송원희, 최형
협력업체 대전사과나무, 그린블리스
People at APIL
석, 김남은, 홍혜린, 이윤서, 이형근, 지건호, 김다은, 서현우, 한서윤, 김현정, 정선경, 정 수민, 김성진, 송다미, 신원철, 장지원, 송지혜, 서주원, 이현호, 유지선, 김나혜, 김오묵, 김수진, 전진하, 윤혜연, 조희수, 조승희, 정신섭, 김이준
Attorneys Kim Jongchul, Chung Shin Young, Kim Sejin, Lee il, Jun Sooyeon
13
인턴후기
인턴후기
Afterthought/ Internship
Afterthought/ Internship 어필 12기 인턴 Epilogue by Yoon Jiesoo (Season 12)
어필 12기 인턴 Epilogue by Lee Dongkyu (Season 12)
지난 6개월의 인턴생활 동안, 어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refugees with nowhere to go.
2016년 여름의 어느날, 인터뷰
이 있는지, 그리고 나의 인턴 생활
image of people risking their
필은 작게는 저의 진로에, 또 크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는데, 어려운 과
Their stories were full of threat
를 마치고 나오는 안국역에 엄청
이 얼마나 나의 과거와 미래에 영
lives and leaving their home
는 인생에 영향을 준 특별한 ‘공간’
정을 꿋꿋이 헤쳐나가는 분들을 보
against them and their families,
난 비가 쏟아졌습니다. 날씨도 좋
향을 미쳤는지 다 서술 할 수는 없
behind. I felt deep remorse
이었습니다. 난민 활동가가 되기로
면서 결과적으로 제가 더 많이 그
social inhospitality, ignorance,
지 않고 인터뷰 내내 긴장했던 터
지만 지난 6개월 동안 어필은 제
and embarrassment. My heart
마음을 먹고, 공부를 마친 뒤에 어
들에게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짧은
human rights violations, and
라 당연히 떨어졌다 생각하고 친구
게 다양한 사물이었고 느낌이었고
also ached to learn that there
필에서 실제로 여러 난민과 이주
인턴생활을 끝맺으면서, 어필이 앞
sometimes outright hatred.
들을 만나러 가던 순간. 당당히 합
그리고 감정이었습니다. 어필은 그
are people, not too different
민, 그리고 그들의 사례들을 접하
으로도 상처받은 소수와 그들에게
APIL is not only an organization
격 메일을 통보 받았습니다. 그렇
런 곳 이었습니다.
from me, who are behind
면서, 그동안 책과 이론으로만 접
가혹하기만한 사회가 서로 이야기
making the efforts to solve
게 시작된 어필의 인턴생활은 과
하던 것들이 현실과 어떤 점에서
를 나눌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되
the problems of wounded
거 몇 년 동안의 봉사활동과 인턴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알 수 있
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minorities, such as refugees,
생활 보다 훨씬 더 묵직하고 의미
One summer day in 2016, it
and who are being physically
었습니다. 사회적 소수자들, 특히
migrants, and victims of human
가 있었습니다. 실제 난민들을 만
was pouring outside Anguk
and sexually exploited as this
불가피한 이유로 인해 고향을 떠나
trafficking, but also a place
나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
Station when I got out of the
moment. Furthermore, they
bars and longing to go home, who are socially neglected,
한국으로 온 이주민이 경험한 자신
As an Intern for the past six
where they can share their
저 편안함과 안일함 속에 살아 가
internship interview for APIL.
are ordinary people just like
과 가족에게 가해지는 삶의 위협과
months, APIL was a special
hidden stories buried deep in
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불평하는 나
The weather was bad and I was
us who are someone’s friends,
함께 사회적 냉대와 무관심, 인권
space that influenced my
their hearts. And everyone at
를 포함한 주변인들의 모습과 죽
so nervous during the interview
families and parents. I also felt
침해 그리고 때로는 적대감을 그들
career and, more broadly, my
APIL was doing their best to
음의 위협 속에 고국을 등지고 떠
that I assumed I did not get the
grateful for the freedom and
의 입을 통해 들으면서, ‘내가 속한
life. I finished my studies to
create this space. I also made
나온 사람들의 모습이 대조되면서
position. But as I was going
privileges that I enjoy. I cannot
사회가 이들을 또 한 번 마음마저
become a refugee activist.
my best efforts to deliver the
창피함과 반성이 일어났었습니다.
to go to see my friends, I got
describe everything like how
둘 곳 없는 ‘정서적 난민’을 만드는
However, I learned the actual
message to those who needs
또, 이 시간 어디에선가 어느 지역
an email that I was accepted.
valuable and important work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
lives of refugees and migrants
help from APIL that I feel for
의 소외된 계층으로, 노동과 성(性)
With such a beginning, my
the organization is doing, how
었습니다. 어필은 그런 난민, 이주
are similar to the books and
their desperation and I am
을 착취당하는 피해자들로, 그리고
internship at APIL during the
amazing the people at APIL
민, 인신매매 피해자 등 상처받은
theories from school in some
working hard for them. Rather,
창살 안에 갇혀 고국을 그리워 하
past year was more meaningful
are, and how my internship
소수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
sense, but quite different as
however, I believe I learned
는 나와는 크게 다르지 않은 그들
than my last few years’ other
has influenced my past and
기 위해 노력하는 곳일 뿐만 아니
well as I meet them in person
more from them by looking at
의 모습을 보며 마음도 많이 아팠
experiences as a volunteer and
the future, but I can say that
라 때로는 이들이 마음속에 숨겨놓
and listen to their stories.
how they strongly pull through
습니다. 게다가, 그들은 어디에선
intern.
the past six months was many
았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
As I listened to the stories of
difficult situations. As I put an
가는 누군가의 친구로, 가족으로
I have met actual refugees
things, feelings and emotions
이었습니다. 그리고 어필에서 일하
social minorities, particularly
end to my short internship,
그리고 부모로 우리와 다르지 않는
and listened to their stories,
to me.
는 모든 분들이 이 공간을 만들기
of the migrants who were
I hope that APIL becomes
평범한 존재란 것을 깨달으며 내가
I thought of myself and the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었습니다.
forced to leave their home and
a special space where the
누리고 있는 자유와 권리에 대해서
people around me living in
저 또한 어필을 찾아와 도움을 찾
came to Korea, I wondered
minorities and the larger
도 감사함을 느꼈습니다. 끝으로,
comfort but still complaining
는 분들에게 부족하지만 ‘누군가는
if this society I belong is
society can communicate with
이 단체가 얼마나 소중하고 중요한
about our conditions. The
당신의 간절함을 공감하며, 당신을
again making them emotion
one another.
일을 하는지, 얼마나 좋은 사람들
image contrasted greatly to the
14
인턴후기
2016년 재정보고
Afterthought/ Internship
2016 Finance Report 어필 3.5 및 12기 인턴 Epilogue by Yoon Jiesoo (Season 12)
이야기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받
제가 앞으로 세상이 추구하는 어두
drive comes from. But at least
아들이는 ‘진실’과 패러다임을 깨
운 줄거리에 좌절감을 느낄 때, 어
I can say how I have changed
뜨릴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그러
필에서 보냈던 순간들을 제 머리
because of APIL and what
수입(Income)
므로 정치적인 상황과 이해에 얽
속에 되감기 할 수 있다는 사실에
strengths I have gained. I
정기후원(Monthly Donation)
매이는 세상에 ‘어필’ 같은 이야기
위안을 삼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wasn’t able to do anything for
가 더더욱 필요합니다. 우리가 ‘난
compassion을 추구하는 드라마가
a whole year because of my
민’이라고 칭하는 이슈는 사실상
이 세상에 존재하고, 제가 그 이야
야구모자를 폼나게 옆으로 돌려서 쓴, 그리고 제 옆에서 수제비를 같
260,697,179
비정기후원(Irregular Donation)
83,585,605
health before coming back
연구지원금(Research Funding)
198,110,305
기의 일부였다는 것에 진심으로 감
to APIL. However, I could
사업외수익(Other Income)
사하게 생각합니다.
regain my lost confidence from interviewing APIL’s
이 먹고 있다는 ‘사람’이라는 사실
결산(Total)
3,378,863 545,771,952
contributors and making their
을 알려주는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그마한 어필 사무실 안
A story has the power to break
videos. Moreover, the lawyers
에서는 그런 이야기가 매 순간 만
the paradigm and what we
and other interns’ unchanging
들어지고 있습니다. 저는 어필 시
subconsciously accept as
attitude and sincerity towards
즌 3.5에 참여하고 시즌 12에 다시
truth. Therefore the world that
참여할 수 있었던 행운아입니다. 4 년이 지나도 저는 어필의 폭발적인
지출(Expense) 사업비(Project Expenses)
232,123,006
refugees (and clueless me)
인건비(Labour Expenses)
204,933,290
are intricately connected to
taught me to become a reporter
운영비(Administrative Expenses)
86,566,124
political situations and interests
who treats interviewees with
원동력은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
needs more stories of APIL. We
humanity, not as objects. I feel
차기이월(Carryover Balance)
22,149,532
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나’라는 캐
need the story that the issue
comfort from the fact that I
릭터가 어필로 의해 어떻게 변하
called “refugee” is in reality
can look back the time at APIL
고, 어떠한 힘을 얻었는지는 말할
about the people who wears
when I feel discouraged by the
수 있습니다. 일년 내내 아파서 아
their baseball cap tilted to the
darkness of the world‘s pursuit.
무것도 못했던 저는 후원자 인터뷰
side, or someone who is eating
I am thankful that there is still
와 영상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가
Sujebi right next to me. And
a narrative with compassion in
지며, 상실한 자신감을 되찾을 수
inside the small office of APIL,
this world and I am sincerely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난민
such a story is created every
grateful that I was a part of the
분들을 (그리고 눈치 없는 저를) 한
moment.
story.
결같이 진실되게 대하시는 다른 인
I was a part of APIL season
턴분들과 변호사님들의 자세를 보
3.5 and was lucky to come
며, 저도 앞으로 기자로서 인터뷰
back for season 12. Even
대상들을 인간적으로 대하고 싶은
after 4 years, I still don’t know
마음을 굳게 가지게 되었습니다.
where the APIL’s explosive
결산(Total)
545,771,952
15
2016년 후원자명단
가산종합 법률사무소 강남교회
Donors’ List in 2016
강도영 강동훈 강두리 강두원 강미실 강민기 강병근 강상현 강성민 강지성 강창범 강하림 강한나 강현지 강혜진 강희주 강희철 고경민 고성민
위 후원자 명단은 2016년 후원하신 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곽지영
김다애
김성욱
김원상
김한솔
구대은
김다진
김성하
김유미
김한수
구익희
김대환
김성호
김유신
김한주
구정일
김덕구
김성훈
김윤숙
김현민
권기준
김동국
김성희
김윤진
김현수
권다송이
김동현
김세진
김윤희
김현영
권대식
김동훈
김송이
김은정
김현정
권민우
김동휘
김수한
김은총
김현주
권성철
김문현
김수형
김의중
김현지
권송
김미경
김순희
김인
김현철
권순상
김미선
김승곤
김재명
김현희
권승현
김미주
김승원
김재문
김혜림
권오재
김민경
김승주
김재환
김혜선
권오창
김민규
김승혜
김정현
김혜은
권용한
김민석
김승희
김정호
김혜진
권정두
김민선
김양섭
김조은
김혜현
권지예
김민정
류기인 류다솔 류두빈 류상웅 류수경 류신환 마한얼 목영준
박선영
박현욱
서광용
송지은
양세원
유윤정
이경호
박성민
박현홍
서동근
유정훈
이고은
박혜원
서동주
송파사랑의 교회
양세희
박성열
양승원
유중원
이광하
양예은
유지희
이규성
양은성
유철형
이규양
양은영
유현정
이규철
양현근
유혜정
이규호
어정선
윤나경
이근옥
어진이
윤미영
이나영
어필테크
윤보형
이다은
연소민
윤석희
이다함
오광록
윤선정
이동원
오민영
윤성은
이두희
오병용
윤성호
이디모데
오병조
윤승현
이명현
오상조
윤에스더
이민하
오신환
윤여상
이백채
오영표
윤여형
이병노
오원섭
윤유중
이병주
오유정
윤이나
이산
오이석
윤지효
이상덕
오재욱
윤진호
이상민
오지헌
윤판중
이상협
오혜정
윤혜민
이서영
우창록
윤혜원
이석
원재민
윤호선
이선경
월드비전
윤훈섭
이성관
위은진
은미숙
이성연
유가을
이갑만
이성은
유동준
이강연
이성훈
유석원
이건호
이소연
유선금
이경숙
이소영
유수신
이경아
이수현
유순자
이경은
이수호
유욱
이경탁
이슬
박세진
박효선
서석호
박수열
반윤선
서성광
박순성
방정원
박애화
방학희
박영록
배월아
박영복
배은정
박영아
배의철
문성준
박영우 문세진 박영준 문은현
배정호
문준석
박원아
배준성
문준호
박은경
백가윤
문지환
박은솔
백수회
문하운
박인숙
백용환
뮈리엘
박인승
백유리
박재현
백현수
박정덕
법무법인 강호
김연우
김종철
김호수 김홍정 김홍희
미와십자가 교회
박정민 박정연
권태윤
김민조
김연주
김주연
권태준
김민주
김연희
김주영
권형필 금보라
라브리 공동체
김민혁
김영랑
김주향
김희경
민경천
김범수
김영빈
김준영
김희숙
민성희
박종운 박주상
김범식
김영수
김중희
김희순
민순덕
김범준
김영순
김지윤
김희준
민지원
나들목 교회
박경태
박주연
박근우
박지영
나정은
박기갑
남궁경
박동욱
남궁주현
박래형
남춘섭
박명희
노상은
박미희
박진희
노주희
박민정
박창훈
닥터노아 치과의원
박상욱
고우현
기쁜소식 교회
고은정
김감사
김병규
김영하
김지이
고정항
김건호
김병주
김영현
김지현
고학수
김경환
김병진
김영환
김지혜
고헌주
김규백
김병화
김예양
김진명
고환경
김근주
김보미
김예원
김진하
공수진
김기남
김부준
김예지
김진희
공에스더
김기연
공영걸
김기천
김상용
김옥진
김창석
공헌
김나령
김석현
김용비
김창한
곽새롬
김나선
김선화
김용현
김태환
곽우섭
김남우
김성길
김우정
김하연
대만민주 주의기금
곽지연
김남훈
김하은
두레교회
김빛나
김성대
김예진
김운호
김찬식
배준렬
법무법인 소명 법무법인 온누리 법무법인 지평
서울광염 교회 서울지방 변호사회 서유진 서정명 서정이 서청운 선금순 무명 설승은 성기진 성지연 성지혜 소잭슨 손리나 손명성 손승현 손혜숙 손호석
송호성 신가현 신덕범 신동철 신미화 신봉현 신수경 신수연 신아정 신연수 신유리 신인경 신정신 신지영 신진영 신혜성 신혜숙 신호니 신흥섭 심수진 심혜란 안소현
박지원
법무법인 한별
송도예수 소망교회
안아람
박지인
변신영
송문희
안영술
박진묵
부혜성
송미란
안은미
박진혁
북인더갭
송영재
안정권
사단법인 온율
송영훈
안태훈
송원태
안현주
박춘자
사랑샘재단 송윤정
안호제
박상훈
박한솔
사랑의교회 법조선교부
송주용
양동수
박상희
박현민
송주은
양미란
송지민
양성준
박선미
박현삼
새날공부방 생명숲교회
16
후원신청서 및 개인정보 동의서 작성 후 사진을 찍어서 give@apil.or.kr이나 팩스 02-3478-0527)로 보내주세요
이승부
이종목
임미숙
전병창
정진
좌혜선
최원규
허성호
이신애
이종인
임민정
전소영
정진모
주영서
최유신
허진영
이신희
이종찬
임석우
전수연
정창대
주한일
최윤정
현지원
이애녕
이종탁
임승혜
전영현
정철진
형정석
이영수
임아름
전지영
정하영
중앙보육 교사교육원
최은정
이주민과 함께
최인경
홍민정
임예준
전해정
정형철
최진
홍민호
임왕성
전형경
정혜선
최진우
홍순혁
아래 CMS 출금 자동이체 방식과 신용카드 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작성하시고 서명해주세요.
최진호
홍연경
CMS 출금 자동이체로 정기 기부하겠습니다
최태묵
홍영기
최태현
홍영미
최하늘
홍인기
추선희
홍준기
추은총
황미지
태원우
황보현
팽재호
황영희
편세정
황은정
표나혜
황재웅
표지수
황정근
하종현
황필규
한경태
황현영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한빛누리
CLS 2기
한상섭
Patricia Goedde
- 수집 및 이용목적 : CMS 출금이체를 통한 요금수납 - 수집항목 : 성명, 생년월일 또는 주민번호,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금융기관명, 계좌번호 - 보유 및 이용기간 : 수집, 이용 동의일로부터 CMS 출금이체 종료일(해지일) 5년까지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권리행사시 출금이체 신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이영은 이영학 이영호 이용석
이주언 이주헌 이준범
임원혁
전혜강
임윤혜
정규황
정혜진 제이씨 소프트웨어
이용수
이지 신경외과
임자운
정기훈
이용택
이지원
임자헌
정다빈
이용훈
이지혜
임종미
정동재
이진만
임지선
이진성
임지연
이유리
이진영
임지영
정민희
이유하
이진필
임진성
정복영
이윤상
이찬송
임현수
정사라나
이운경 이유겸
정미혜 정민용
정선경
이창재
임혜진
이율선
이창훈
장경춘
정선희
이은솔
이하연
장보람
정성영
이한수
장설아
정성태
이윤수
이은수
이현정
장성훈
정소연
이은영
이현진
장영수
정순지
이은화
이혜광
장용천
정예리
이혜원
장윤선
이혜인
장윤영
정원일
이호준
장의태
정윤정
이홍구
장이준
정은진
이희
장일홍
정은혜
이희주
재단법인 동천
인권재단 사람
전규해
이은실
이인섭 이인영 이일 이재린 이재은 이정 이정연 이정욱 이정효 이정희 이종국
일산은혜 교회 임경왜
정혜진
전두호 전무경 전별
정용철
정인 정재도 정재훈 정정훈 정준우 정지현
지강유철 진동수 진성원 진재영 차동민 채보배
제자들교회
채수지
조경현
청지기
조명숙
청파교회
조민정
최갑인
조성국
최강호
조성극
최경은
조성아
최금옥
조연빈
최단희
조영민
최덕주
조영우
최명구
조예리나
최명수
조용주
최명주
조원익
최민영
조일연
최상경
조재순
최서리
조정
최서현
조정규
최성규
조정윤
최성기
조정현
최수헌
조정호
최순덕
조한슬
최승환
조현명
최영미
조혜신
최영희
조혜인
최예진
한샘교회 한서희 한선영 한성교회 한윤정 한재우 한정민 한정원 한지엘 한창완 한호동 함께하는 교회
SOMO UNHCR
성명
휴대전화
주소 이메일 기부금액
1만원
2만원
3만원
출금은행
10만원
기타 (
만원)
출금계좌번호
예금주 출금일
5만원
예금주 생년월일 5일
15일
25일 (금융결제원을 통한 자동이체 출금방식입니다)
신용카드로 정기 기부하겠습니다 카드번호
유효기간
년
월
본인은 CMS 출금 자동이체 혹은 신용카드를 이용해 (사)공익법센터 어필에 정기적으로 기부하겠습니다. 신용카드의 승인 요청 일은 매달 1일 입니다. 20 년 월 일 신청인 (서 명) 아래 개인정보활용동의서에도 체크해주시고 서명해주세요.
동의함
동의안함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 목적 : CMS 출금이체 서비스 제공 및 출금동의 확인, 출금이체 신규등록 및 해지 사실 통지 -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성명, 금융기관명, 계좌번호, 생년월일, 전화번호, (은행 등 금융회사 및 이용기관 보유)휴대폰번호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CMS 출금이체 서비스 제공 및 출금동의 확인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 신청자는 개인정보에 대해 금융결제원에 제공하는 것을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거부시 출금이체 신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동의함
동의안함
출금이체 동의여부 및 해지사실 통지 안내 -은 행 등 금융회사 및 금융결제원은 CMS 제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고객의 (은행 등 금융회사 및 이용기관 보유) 연락처 정보를 활용하여 문자메세지, 유선 등으로 고객의 출금이체 동의여부 및 해지사실을 통지할 수 있습니다. - 상기 금융거래정보의 제공 및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제3자 제공에 동의하며 CMS 출금이체를 신청합니다.
기부금 약정자인 본인은 (사)공익법센터 어필의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합니다.
20
신청인
(서 명)
(신청인과 예금주가 다를 경우) 예금주
년
월
일
(서 명)
어필과 함께 하는 법
01 후원으로 함께하기 ■ 정기후원 CMS를 통해 매월 일정액 정기기부가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에서 후원신청 이 가능하며, 어필 연간보고서 맨 뒷장의 후원약정서를 작성하신 후 사진을 찍으셔
Get Involved
서 메일(give@apil.or.kr) 이나 팩스(02-3478-0527)로 보내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 비정기후원 일시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도 기부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006001-04-263886 예금주:(사)공익법센터 어필 *해외에 계신 분은 홈페이지에 있는 paypal링크로 들어가서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Beholder’s Info
02 인턴으로 함께하기 홈페이지의 모집공고를 보시고 매년 3-8월, 9-2월까지의 장기인턴과 7-8월, 1-2월 의 단기인턴에 지원해 주세요.
03 자원봉사로 함께하기 자원봉사는 수시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받고 있습니다. 번역, 통역, 영상 및 홍보물 제작 등 다양한 재능이 있으신 분들 연락 주세요.
04 뉴스레터 애독자로 함께하기 홈페이지의 뉴스레터 구독신청을 통해 어필의 이야기에 동참해 주세요.
Name Email Tel Mobile
05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 클릭으로 함께하기 어필의 페이스북페이지(https//www.facebook.com/apilkorea)와 유튜브 VLOG (https://goo.gl/YHDvJp)에 ‘좋아요' 버튼을 눌러 이야기를 퍼뜨려 주세요.
01. Get Involved as a donor Monthly Donation: Automatic monthly donation is possible via CMS transaction. Donation application is available on APIL’s website (www.apil.or.kr). You can also scan the application form or take a picture of it, and send it to our email at give@ apil.or.kr or fax it to 02-3478-0527. Irregular Donation: On-time or occasional donation is possible. Kookmin Bank. 006001-04-263886 Account Holder : Advocates for Public Interest Law. *For those who do not have Korean bank accounts, we have opened PayPal account! Visit our website for details.
02. Get Involved as an intern You can check out Internship Opening notification on APIL’s website. You can participate as a long-term intern from March to August and from September to February. You can also participate as a short-term intern from July to August and from January to February.
03. Get Involved with talent donation APIL always accepts volunteers on its website. If you’d like to share your talent in translation, interpretation, producing video, promotional contents, and etc., please contact us.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안국동) 47, 505호 (03060)
2016년 ‘제법이다’ 제작에 도움을 준 사람들
#505, Girl Scout Building 47 Yulgok-ro, Jongno-gu,
일러스트레이션 하정
04. Get Involved as a newsletter subscriber
Seoul, Republic of Korea (Zip code:03060)
디자인 유혜영
Please be a part of APIL story by subscribing our newsletter from our website.
T: +82-2-3478-0529
인쇄후원 주)샘앤북스
05. Get Involved by “liking” on Facebook
F: +82-2-3478-0527
번역 엄수민
Please “like” the posts on APIL’s Facebook page (https//www.facebook.com/ apilkorea) and VLOG (https://goo.gl/YHDvJp), and help us spread our stories.
E: info@apil.or.kr
감수 이주원
W: www.apil.or.k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