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ada Wood Korea] 수퍼E,중판전단벽 적용 다가구

Page 1

!"#$% &'$()1+,1-./0 Incheon Wood Frame Dagagu Demo Project Super-E® Mid-Ply Wall Industrialized WFC Canada Wood Korea StudioNOVA Wood Story HausTEC Refresh House


Contents

! " #

논현동 Super-E® 주택 개요 1 - 1 주택 개요 1 - 2 Super-E® 개요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3 - 1 목구조 프리패브 패널라이징 (Wood Structure Pre-Fab Panelizing) 3 - 2 현장 시공

준공

$ %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2-1 2-2 2-3 2-4 2-5

주택설계 구조 단열 계획 기밀 계획 열회수 환기장치 계획

Super-E® 인증 4 - 1 현장실사 4 - 2 블로우 도어 테스트 (Blower-Door Test)


1. 논현동 Super-E® 주택 개요

!

논현동 Super - E® 주택 개요 1-1 주택 개요

설계소모 논현동 주택은 스무 살이 넘은 아들과 딸이 있는 누나네 4인 가족과 곧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쌍둥이 형제가 있는 남동생 네 4인 가족이 사는 집입니다.

이 집은 누나와 남동생의 집이 하나가 되어 화목해지길 기원 하며 ‘화목함을 담은 집’이란 뜻으로 여목헌(餘睦軒)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주택 기본정보

건축주 남매는 하나의 대지에 두 건물을 원했습니다. 하지만 대지 배치 여건, 공사비 증가, 그리고 건축물 에너지 절감 등 을 고려하여 두 집이 벽을 맞대고 있는 듀플렉스(Duplex) 주 택안을 채택하였습니다. 한 건물에 독립된 두 세대가 거주하 면서,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고 마당, 2층 데크 등의 공용공간 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주택입니다. 위치 :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설계가 진행되던 중 캐나다우드의 Super-E® 데모프로젝트 로 선정되어 고단열, 고기밀의 건강한 Super-E® 주택으로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구조 : 경골목구조 규모 : 지상 2층 대지면적 : 300.30m2 (90.84평) 건축면적 : 127.87m2 (38.68평)

목조주택의 건축물 에너지 절감과 품질 향상을 위해 Super -E®와 5-Star 품질인증을 각각 진행하였습니다. 설계 초기단계부터 인증을 위한 업체간 협의가 여러 차례 진 행되었습니다. Super-E® 인증을 위해 신자재를 사용하기 보다는 기존 목조주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재를 가지고 인증을 받고자 하였습니다.

연면적 : 198.73m2 (60.12평) 건폐율 : 42.58% 용적률 : 66.18% 설계/감리 : (주)노바건축사사무소 시공 : 나무이야기 목조공업화 : 리플래시하우스 구조설계 : 하우스텍 품질인증 : 사단법인 한국목조건축협회 환기장치 : 패시브웍스

1 - 1 주택 개요


1. 논현동 Super-E® 주택 개요

!

1-2 Super-E® 개요

논현동 Super - E® 주택 개요 1-2 Super-E® 개요

Super-E® 란?

에너지 효율

Super-E®는 캐나다의 에너지 고효율 친환경 주택 건설 프 로그램으로 주택의 설계, 시공, 환기시스템 및 밸런싱, 감리, 성능시험의 요건을 포함하여 주택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프 로그램입니다. 캐나다에서는 ‘R-2000’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캐나 다 이외의 해외 기후조건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Super-E®’ 라 명명하였습니다.

환경에 대한 책임 높은 품질과 내구성

Super-E 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5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

이 5가지 항목은 에너지효율, 쾌적성, 높은 품질과 내구성, 실내 공기질, 환경에 대한 책임입니다. 이 모든 부분에 대해 일정 이상의 수준이 충족되었을 때 Super-E®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내 공기질 쾌적성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2-1 주택 설계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1 주택 설계

5 다락

5 방-2

1 안방

4 화장실 6 화장실

1 방-3

4 드레스룸

7 샤워실

2 드레스룸

2 거실

6 보일러실

2 다용도실

8 방-3

6 보일러실

1 현관

3 거실

1 현관 9 샤워실

10 방-1

3 방-1

8 세면실 5 화장실

11 다용도실 7 화장실

3 주방/식당

[ Figure 2 2층 평면도 ]

[ Figure 4 횡단면도 ]

12 거실

4 거실

1 방-1

5 다락

[ Figure 1 1층 평면도 ] 1 다락 2 거실

[ Figure 3 다락 평면도 ]

3 주방/식당

[ Figure 5 종단면도 ]

4 다용도실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2 구조

구조설계 구조는 캐나다의 목구조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구조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건축구조기준, 3장 설계하중, 4장 기초구조, 5장 콘크리트 구조, 6장 목구조)을 충족하도록 하였습니다.

[ Figure 6 전단벽 계획표 ]

구조설계에 적용된 자재는 기본적으로 캐나다 산 SPF 규격 재와 OSB 구조용 합판이며, 구조보강을 위해 공학목재(PSL) 를 사용하였습니다. 전단벽(Shearwall)에 대해서도 각 부위에 따라 계획을 세분 화하였습니다. 못의 크기와 합판의 두께, 스터드 두께는 동일 하나 층에 따라 사용되는 홀드다운(Hold-Down)의 사양을 달리 적용하였으며, 내벽과 외벽에 따라 스터드의 폭을 조정 하였습니다. 가능한 캐나다산 자재를 사용하기 위해 바닥장선은 I - 형 장선 (I-Joist) 대신 SPF 2”x10”규격재를 기본으로 사용하였습 니다. 이에 따라 장선의 형태와 천장높이가 조정이 되었습니다.

[ Figure 7 홀드다운 상세도 ]

2-2 구조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2 구조

중판내력벽(Mid-Ply Wall) 논현동 주택에는 목구조 내진성능 강화를 위해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중판내력벽(Mid-Ply Wall; MPW)을 적용하였 습니다. MPW은 최근 북미의 목구조 계획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조 기술로 내진 성능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기존 SPF 2”x 4” 경골목구조 벽체의 중앙에 구조용 판재 (Sheathing)를 추가하여, 못 접합부의 수평 하중을 분산시 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MPW는 일반적인 스터드벽과 달리 스터드 사이에 배 선, 배관 작업을 위한 따냄이나 구멍뚫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MPW를 배치할 때는 배선, 배관 계획도 같이 고려해 야 합니다. 논현동 주택에서는 구조와 기계설비, 환기장치 등을 고려하 여 네 개의 벽을 MPW로 적용하였습니다.

[ Figure 8 중판 내력벽 위치 ]

[ Figure 9 중판 내력벽 상세도 ]

2-2 구조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2 구조

패널라이징 제작도면 (Panelizing Shop Drawing) 논현동 주택은 공업화건축 방식 중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을 적용하였습니다. 패널라이징 공법은 건물의 벽체, 지붕, 바닥 등의 구조체를 공장에서 패널형태로 제작하여 현장 운반 후 결합하는 방식 입니다. 각 패널의 구조내력, 건축물의 연결 부위, 운반 크기, 연결 방법 등을 고려한 제작도면(Shop Drawing)을 바탕으 로 공장 제작이 됩니다.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기후와 현 장 여건에 구애 받지 않으며, 현장 결합 기간이 상당히 짧아 현장 관리 및 기후 대비 등에 유리합니다.

[ Figure 10 패널라이징 3D모델링 ]

논현동 주택 패널라이징은 건축설계와 구조설계가 구체화된 후 패널라이징을 위한 제작도면을 작성하였습니다. 건물의 외벽, 내벽, 지붕을 패널라이징 하였으며, PSL과 연결 되는 바닥장선과 돌출창 등 공장제작 및 운반이 어려운 부분 은 현장에서 제작하였습니다. MPW역시 공장에서 제작되었습니다.

[ Figure 11 벽체 패널라이징 제작도면 ]

2-2 구조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2 구조

제작도면을 작성하면서 패널라이징, 운반, 현장 시공 등에 대 한 용이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건축설계, 구조설계, 시공 담당자 간에 활발한 협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건축계획 및 구조설계 변경, 운반 방법, 시공 순서, 현장 오차 허용 범위 결정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서 결정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총 114개의 패널에 대한 제작도면이 작성되었 습니다.

[ Figure 12 다락 벽체 및 지붕 패널라이징 제작도면 ]

1F

1F MPW

2F

2F MPW

Attic Wall

Roof

E ast

23EA

1EA

16EA

0EA

2EA

6EA

48EA

W est

17EA

2EA

23EA

1EA

16E

7EA

66EA

[ Table 2 표1 논현동 주택에 사용된 패널 수량 ]

Total 114EA

2-2 구조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3 단열 계획

논현동 주택의 단열성능은 기본적으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을 상회하며, Super-E®의 성능 경로 기준에 충족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외벽 단열계획은 초기에 목구조에 주로 사용되는 그라스울 단열재를 적용하였으나, 2”x 6”스터드 사이에 두께 140mm 단열을 하여도 Super-E® 성능 경로 기준에는 미달되었습니 다. 기준을 맞추기 위해 수성경질폼으로 단열재를 변경하였 습니다. 그라스울에 비해 단가가 높아 2”x 6” 스터드 사이에 두께 100mm 수성경질폼을 채우고, 부족한 단열성능 기준을 맞추기 위해 외부에 두께 40mm 압출법보온판(XPS)를 추가 하였습니다. 지붕 단열계획도 초기에는 환기층이 있는 지붕구조로 계획하 여 그라스울을 적용하였으나, 지붕 디자인 상 환기층을 만들 기에 적합하지 않아, 기밀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Unvented Roof 디테일을 적용하면서 수성경질폼을 사용하였습니다. 바닥 단열은 압출법보온판를 적용하였습니다. 외벽과 지붕, 바닥의 단열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단열라인 계획을 하였 으며, 모든 부분이 Super - E®의 성능 경로를 충족하였습 니다.

[ Figure 13 지붕 단열 상세 ]

[ Figure 14 세대간벽 기밀막 디테일 ]

2-3 단열 계획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4 기밀 계획

기밀은 크게 두 가지로 계획하였습니다. 첫 번째는 투습방수 지와 가변형 투습방습지를 활용한 벽체 기밀막 형성입니다. 구조용합판의 이음부위에 기밀테이핑 작업을 한 뒤 투습방 수지를 모두 감싸고, 각 이음부를 테이핑하는 2중 기밀을 하 였습니다. 내벽의 경우 두 집이 맞닿는 세대간벽의 기밀이 중 요합니다. 세대간벽 양면에 가변형 투습방습지를 부착하고, 수직으로 벽체가 맞닿을 시 벽체 시공 전 투습방수지의 일부 를 사전 부착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마찬가지로 이음부는 기밀테이프로 밀폐하였습니다. 두 번째는 수성경질폼을 이용 한 기밀입니다. 폼 계열 단열재가 갖는 밀폐성의 장점을 살려 외벽과 지붕의 단열을 수성경질폼으로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외벽은 경질폼과 기밀막, 지붕은 경질폼과 방수시 트를 통해 기밀막을 형성하였습니다.

[ Figure 15 외벽 단면 설계 디테일 ]

초기 계획단계에서는 수성연질폼으로 중단열을 한 후 구조용 합판 위 투습방수지를 설치하고 비드법보온판을 추가하는 계 획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공단계에서 기밀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수성연질폼을 수성경질폼으로 변경하였으며, 비드 법보온판을 압출법보온판 2겹으로 변경하여 이를 겹침 시공 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수성경질폼으로 기밀막을 형성하면 서도 합판과 투습방수지, 외단열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도 기밀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Figure 16 외벽 단면 시공 디테일 ]

2-4 기밀 계획


2. 논현동 Super-E® 주택 설계

"

논현동 Super - E® 주택 설계 2-5 열회수 환기장치 계획

열회수 환기장치는 창문을 통하지 않고 열교환기를 통해 내 기와 외기의 열을 교환하는 것으로 실내의 온도 급변을 막으 면서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평면과 단 면이 구체화되는 단계에서 환기도를 작성하였다. 보일러 연 통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OA(Outdoor Air) 후드는 각 집의 동-서 측면에 배치하였으며, EA(Exhaust Air) 후드는 기계 실 외벽에 바로 설치하였습니다. OA 후드와 EA 후드로 연결 되는 덕트의 길이가 길어서 실내 열손실이 높을 수 있는데, 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덕트 단열을 충분히 하였으며, 더 나은 신선한 공기 유입을 위한 배치를 결정하였습니다. 외부 후드 배치에 이어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급기 (SA, Supply Air)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RA, Return Air) 를 배출하는 디퓨저 배치를 계획하였습니다. 신선한 공기가 항시 유지되어야 하는 거실과 방에는 급기 디퓨저를, 부엌과 화장실, 창고 등 오염된 공기가 배출되어야 하는 곳에는 배기 디퓨저를 배치하여 내부 공기 순환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 다. 또한 급기 디퓨저에서 나온 공기가 배기 디퓨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실내 문의 하단부에 문지방을 없앴습니다. 실링 내 덕트와 디퓨저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1층의 층고를 조정하고, 장선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였습니다. 2층 덕트 연결을 위해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벽체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수직 연결을 하였습니다. 2층과 다락에서 실링 덕트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사 천장의 경우 벽면에 디퓨저를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습니다.

[ Figure 17 열회수 환기장치 환기도 ]

번호 1

품명

설치형식

용도

A

후드캡

벽부

외기의 흡,배출

2

B

스파이럴덕트 + 단열재

3

C

환기장치

외기의 흡,배출

4

D

내부 덕트

내기의 흡,배출

5

E

미세먼지필터

미세먼지필터

6

F

소음분배기

천정부

관로연결, 소음감쇄

7

G

환기호스

천정부

내기의 흡,배출

8

H

배기디퓨저

천정부

배기

9

I

급기디퓨저

천정부

급기

10

J

급기디퓨저

벽부

급기

벽체부착

[ Table 3 열회수 환기장치 일람표 ]

2-5 열회수 환기장치 계획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1 목구조 프리패브 패널라이징

패널라이징 작업 개요 설계단계에서 완성된 목구조 패널라이징 제작도면을 바탕 으로 공장에서 패널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논현동 주택의 패널작업은 15일이 소요되었습니다. 7월 장마 기간과 겹치 는 시기였지만, 공장내 작업으로 인해 큰 영향없이 기한 내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공장제작은 캐나다산 SPF 규격 재 스터드와 OSB 합판을 이용한 패널작업과 중판내력벽 (MPW) 패널 작업으로 나뉩니다.

오픈 패널 작업 오픈 패널은 공장 내에서 체계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 됩니다. 우선 패널에 대한 도면을 확인한 후 스터드와 합 판을 절단합니다. 스터드를 제작도면에 맞추어 배치한 후 조립을 하고, 개구부에 맞추어 합판을 스터드 위에 임시 고정합니다. 임시 고정된 패널을 자동 네일 건이 있는 테 이블로 옮겨 못의 크기와 간격대로 못 박기를 합니다. 현 장에서 1층 벽부터 지붕 패널까지 시공되는 순서에 따라 팔레트를 구분하여 패키징을 합니다.

[ Figure 18 패널라이징 공장 제작 과정 ]

중판내력벽 패널 작업 중판내력벽(MPW) 패널은 구조용합판 OSB를 중앙에 두 고, 캐나다산 SPF 규격재 2”x 4”를 양 옆에 배치하여 임 시 고정 후 못 박기를 합니다. 2열 200mm 간격으로 못 박기를 해야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 못은 MPW 양면에서 판재와 판재 사이를 관통하기 때문에 겹치 지 않게 엇갈려 박습니다.

[ Figure 19 MPW 패널라이징 공장 제작 과정 ]

3-1 목구조 프리패브 패널라이징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기초 및 토대작업 공장에서 패널라이징이 진행되는 동안 현장에서는 기초와 토대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기초 위 벽체 위치를 도면과 비교하면서 잡고, 씰실러(Sill Sealer)를 부착한 방부목 토대를 수평에 맞추어 설치하였습 니다. 토대와 콘크리트 사이 빈 곳은 무수축 몰탈을 사춤하여 빈틈없이 채웠습니다.

[ Figure 20 현장 기초 작업 ]

[ Figure 21 1층 토대작업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패널 운반 및 현장 조립 제작된 모든 패널이 현장에 도착한 후 곧 바로 미리 설치해둔 토대 위에 1층 벽체 배치를 하여 임시로 고정하였습니다. MPW를 포함한 모든 벽체 위 이중깔도리 설치를 마친 후 크 레인을 이용하여 PSL 보를 설치하였고, 이를 바닥장선의 기 준점으로 하였습니다.

[ Figure 22 공장 제작 패널 현장 운반 ]

[ Figure 24 MPW 패널과 PSL보 시공 ]

[ Figure 23 1층 벽체 패널 배치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바닥장선 현장 제작 앞서 패널라이징 제작도면 작성 시에 PSL과 연결되는 바닥 장선은 현장에서 제작하였습니다. 현장에서 캐나다산 SPF 규격재 2”x 10”을 제단하여 바닥장선 제작 후 설치하였습니 다. 바닥 합판 설치 후 2층 벽체 위치를 잡고 토대작업을 진행했 습니다.

[ Figure 25 바닥장선 현장 제작 ]

[ Figure 26 2층 바닥합판 시공 ]

[ Figure 27 2층 바닥장선 철물 결합 ]

[ Figure 28 2층 토대 시공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2층 패널 조립

[ Figure 29 2층 벽체 패널 배치 ]

[ Figure 30 다락 벽체 패널 배치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지붕패널 조립 서측 집의 바닥장선은 다락이 있어 현장에서 제작이 이뤄졌 습니다.

[ Figure 32 제작된 모든 패널 시공 후 모습 ]

[ Figure 31 지붕 패널 시공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목조 현장제작 작업 바닥장선과 마찬가지로 형태와 규모, 디테일 등으로 인해 공 장 생산이 불리한 부분에 대해서는 현장제작을 했습니다.

연결철물 작업 건축물의 전도 모멘트에 의한 상향력을 방지하기 위해 하중 을 기초구조까지 연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앵커와 홀드 다운을 설치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골목구조는 L형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기초와 벽체를 연결합니다. 하지만, 패널라이징 공법을 적용할 경우 공장과 현장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케미칼 앵커를 사용하였습니다. MPW의 하단부에는 앵커를 설치할 수 없어 별도의 L형 철물 을 제작하여 기초와 연결하였습니다.

[ Figure 33 2층 돌출 창 ]

[ Figure 34 베이윈도우 시공 ]

[ Figure 35 실내 계단 시공 ]

[ Figure 36 용마루 마무리 시공 ]

[ Figure 37 L형 철물 설치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전단벽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저항에는 홀드다운 앵커와 띠 철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층 전단벽과 기초는 홀드다운 앵커를, 1층 - 2층 전단벽은 띠철물을 사용하였습 니다. 4겹 조립보 (4-2”X10”)보의 경우 국내 기성품이 없어 행어 철물을 제작하여 설치하였습니다. 이 외 연결 철물의 경우 기 성품을 사용하였습니다. [ Figure 38 홀드다운앵커 ]

[ Figure 40 전단벽 MPW 스트랩 설치 ]

[ Figure 39 MPW 홀드다운앵커 설치 ]

[ Figure 41 4겹 조립보 행어 철물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기밀시공 기밀시공은 크게 지붕, 외벽, 내벽으로 구분하여 시공합니다. 지붕에는 방수시트를 통해 기밀과 방수가 됩니다. 외벽 구조용합판의 틈새를 모두 기밀페인트와 기밀테이프로 밀폐하였습니다. 그 위에 투습방수지를 모두 덮었으며, 지붕 에 설치한 방수시트와 겹치게 설치하였습니다. 투습방수지의 모든 이음부를 테이핑하여 이중 기밀을 하였습니다.

[ Figure 42 지붕 방수시트 시공 ]

[ Figure 43 합판 이음부 기밀테이프 시공 ]

세대간벽은 가변형 투습방습지를 설치해 기밀성능을 높였습 니다. 실내는 내벽과 맞닿는 교차부분이 발생하는데, 이런 곳 에는 연속적인 기밀막 형성이 되도록 고려해야 합니다. 토대 와 내벽을 설치하기 전 벽끝면에 투습방습지를 미리 붙인 후 토대와 벽을 고정하여, 기밀막이 끊기지 않도록 시공했습니 다. 마감을 위한 석고보드 설치 후 석고보드의 틈새도 테이핑 하여 2차 기밀을 하였습니다. [ Figure 44 투습방수지 시공 ]

[ Figure 45 내벽 시공 전 세대간벽 투습방습지 선 시공 및 내부 석고보드 시공 후 기밀테이핑 모습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창호시공 외부에는 투습과 방수성능이 있는 기밀테이프를, 내부에는 투습과 방습성능이 있는 기밀테이프를 적용하였습니다. 창호주변으로는 빗물유입에 유의하여 투습방수지를 잘라내 어 창호를 설치한 후 잘라내었던 투습방수지를 정리하여 틈 새부분에 기밀테이프를 부착하였습니다.

[ Figure 46 창호 시공 ]

환기 및 설비 배관작업 실내 마감 전 환기덕트와 환기호스, 설비 배관작업을 진행하 였습니다. 환기호스와 디퓨저 설치까지 고려하면 천장 공간 이 최소 150mm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 1층은 천장공간 확 보가 가능하여 환기호스와 디퓨저를 설치하였지만, 2층은 경 사천장과 천장고 확보가 어려워, 벽면에 디퓨저를 설치하여 각 실에 급기와 배기가 되도록 설치하였습니다.

[ Figure 47 창호 외부 기밀시공 ]

[ Figure 48 기계실 환기장치 환기호스 배관 ]

[ Figure 49 각 실 천정부, 벽부 환기호스 배관 ]

[ Figure 50 바닥 난방배관 시공 ]

난방방식은 가스보일러 바닥난방을 적용 하였습니다. 각 구역별 난방배관을 연결한 후 바닥미장을 하였습니다.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3-2 현장 시공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단열시공 외벽 스터드와 지붕 장선에는 수성경질폼으로, 외벽에는 압 출법보온판으로 단열시공을 하였습니다. 외벽 스터드 내부에 수성경질폼을 100mm두께로 도포하고, 외부에 두께 40mm 압출법보온판 단열재를 추가하였습니다.

[ Figure 51 외부 압출법보온판 시공 ]

[ Figure 52 내부 벽체 수성경질폼 시공 ]

[ Figure 53 내부 천정 수성경질폼 시공 ]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외부 마감 작업

[ Figure 54 지붕 마감 시공 ]

[ Figure 55 레인스크린 위 시멘트보드 시공 ]

[ Figure 56 시멘트보드 위 코르크보드 시공 ]

[ Figure 58 스테인레스 방수 시공 ]

[ Figure 57 코르크보드 및 벽돌 시공 ]

[ Figure 59 외부 조경 시공 ]

3-2 현장 시공


3. 논현동 Super-E® 주택 시공

#

논현동 Super - E® 주택 시공 3-2 현장 시공

실내 마감 작업

[ Figure 60 석고보드 위 퍼티 작업 ]

[ Figure 62 기계실에 설치된 열회수 환기장치 ]

기계설비 설치 마감이 완료된 기계실에 보일러와 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 하였습니다. 열회수 환기장치는 본체와 덕트 4개가 연결되며, 그 중 SA덕트에 미세먼지 필터박스와 덕트 분배기를 설치한 후 분배기에서 각 실로 이어지는 덕트와 연결하였습니다. 각 실에 급기와 배기 디퓨저를 설치하여 덕트와 연결하였습 니다. 배기 디퓨저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RA의 오염물질을 일 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하여 열교환소자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Figure 61 실내 마감 후 모습 ]

[ Figure 63 실내 급기디퓨저 모습 ]

3-2 현장 시공


4. Super-E® 인증

$

4-1 현장 실사

Super - E® 인증 4-1 현장 실사

1차 현장실사

2차 현장실사

3차 현장실사

2019년 8월에 논현동주택 품질인증 1차 실사에서는 목구조 에 대한 심사로 부재 간 못박기, 구조도면과의 비교 등이 진행 되었습니다.

2019년 9월 2차 실사에서는 토대와 벽골조, 바닥골조, 서까 래 및 천장 장선 골조에 대한 상세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1차 실사에서 지적 받은 보완사항을 재확인하였습니다. 2차 실 는 목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심사가 이루어졌으며, 보완사항 을 포함해 모든 항목에 대해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2019년 9월 말에는 3차 현장 품질인증 실사와 블로우 도어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3차 실사는 단열 및 환기, 외벽 마 감, 지붕 마감, 발코니 마감에 대해 진행되었습니다. 단열 및 환기에서는 단열재와 단열시공, 그리고 지붕 단열재 통풍에 대한 내용이 평가되었습니다. 외벽 마감에 대한 평가는 기밀 막 시공여부와 설비 및 전기 배관으로 인한 관통부위, 후레싱 마감, 레인스크린 등에 대해 진행됩니다. 지붕 마감 항목은 마 감재, 자재에 따른 올바른 시공, 지붕 개구부 주위에 대한 시 공, 물받이의 설치 등에 대한 내용을 평가받습니다.


4. Super-E® 인증

$

Super - E® 인증 4-2 블로우 도어 테스트 (Blower-Door Test)

중간 테스트 단열과 기밀시공이 완료된 시점에 중간 블로우 도어 테스트 (Blower-Door Test)를 시행하였습니다. 중간 테스트는 마 감 이전 기밀 취약 부분 발견 시 면밀한 보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논현동 주택은 두 집 각각 따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측정 결과는 서측집은 0.35ACH, 동측집은 0.57ACH가 각 각 나왔습니다. 이는 건물 내외부에 50Pa 압력 차를 발생했을 때, 서측집은 시간당 0.35회, 동측집은 시간당 0.57회 환기 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결과는 Super-E®기준인 1.5회 이 하, 패시브하우스 기준인 0.6회 이하도 충족하는 성능입니다.

4-2 블로우 도어 테스트


4. Super-E® 인증

$

Super - E® 인증 4-2 블로우 도어 테스트 (Blower-Door Test)

최종 테스트 준공 이후 Super-E® 인증을 위한 최종 블로우 도어 테스트 가 진행되었습니다. 최종 테스트 결과 서측집은 1.14 ACH, 동측집은 1.32ACH가 나왔습니다. 두 집 모두 Super-E® 기 밀성능 기준인 1.5ACH이하를 충족하였지만, 중간 테스트 결 과와 비교해 최종 테스트 결과 값의 차이가 발생했는데, 이유 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예상 해볼 수 있습니다.

1. 변기에 물이 차 있지 않아 변기를 통한 공기 유입이 있었을 것 2. 주방 후드 댐퍼의 성능에 따른 공기 유입이 있었을 것 3. 중간 테스트 시 발견하지 못한 부분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벌어진 틈이 발생했을 가능성

그럼에도 시간당 1.14회와 1.32회도 상당히 고기밀의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4-2 블로우 도어 테스트


5. 준공

%

준공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