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큐강의안(자활참여주민의 미래전략)

Page 1

신정엽 신정엽 센터장 센터장


사회체계의 변화 : 100 세 사회의 출현 현재 : 20-60-80 시대

다가올 미래 : 20-50-100 시대

▪ 20 대취업

▪ 20 대취업

▪ 60 대퇴직

▪ 50 대퇴직

▪20 년간노후

▪50 년간노후

일 (job) 없는 노후의 시간 = 소득없이 보내는 노후의 가능성


100 세 시대를 대비하는 사회환경 변화 국가적 측면

▪ 실업률증가 및 빈곤 계층의 증가 ▪ 재정지원방식의 사회 문제 해소의 한계 ▪ 복지재정지출 감소

개인적 측면

변화가 요구

▪ 일자리부족 ▪ 양질의 일자리없음 ▪ 복지재정의 한계로 소득보전 어려움 ▪ 개인적 리스크 증대 ( 채무 , 질병 , 실업 등 )

소비중심→투자중심사회로 전환


‘ 투자중심사회’변화 내용과 의미 분 야

변화내용

실업 , 저출산

국가가 떠안기보다 개인에게 투자

사회적비용 증대

취업활동증가를 통해 해소

교육적 투자증대

개인의 인적역량증대 = 자립

교육수준 증대

실업률감소 , 사회적비용감소

국가와 개인의 관계재정립

국가는 개인에 전적투자 = 인적개발

개인의 인적자원의 개발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대 !


사회복지환경 변화 바우처제도

복지재정지출의 지방분권 화

( 복지서비스비용의 개인 부담 )

= 중앙예산축소 복지서비스 인프라의 확대 (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복 지공급체계 )

개인 ( 수혜자 → 참여자 )

→ 개인의 역량에

빈곤계층자활제도 1)국민기초생활보장법개정 = 일하는복지 , 수혜대상 선정기준 강화

따라 제공서비스

2) 취업을 중심으로 탈수급

선택적 취수가능

지원제도 도입 ( 근로장려 세제 , 희망통장 사업등 )

복지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른

저출산 / 고령화와

개인의 정보소외 유발

장기요양보험

= 정보가 곧 경쟁력

3) 주민의 자발성 , 책임성 강화 4) 수혜기간 ( 자격 ) 제한적 5) 개별급여제 도입 ( 하반기 )


100 세 시대를 준비하는 개인은 ? 1) 자주적 삶의 체계를 가져야 한다 2) 끊임없는 자기개발 ( 교육 ) 3) 취업경력관리 ( 커리어 만들기 ) 4)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계획하라 5) 평생직장에서 평생현역의 삶을 추구하라 6) 몰입할 것을 찾고 그것을 꾸준히 하라 ( 건전성 , 생산성 , 생계유지에 필요한 수단 만들기 )


『평생직장에』서 『평생현역』으로 살기 ‘51 세에 간호사→심리치료사’로 전직 < 성공포인트 > ▪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잘 결정하고 자신에게 투자 (42 세에 간호사를 그만두고 심리학과 수료 후 심 리치료 사가 됨 ) ▪ 재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취업경력을 유지 ▪ 미래에 대한 분명한 계획을 세웠다 .


자활참여주민으로서 ‘나’의 미래전략단계

철저한 자기 인식의 시간을 가질것

11 단계 단계

( 자신 돌아보기 , 현실인식하기 , 자존심버리기 등 )

22 단계 단계

과거를 검증하기

33 단계 단계

현재를 분석하기

44 단계 단계

미래를 계획하기

55 단계 단계

조력자 ( 파트너 ) 가 필요한 시기 ( 자활참여기간 )


자활센터에서 ‘나는’무엇을 해야 하는가 ? 나의 미래는 오늘 하루의 나의 활동이 쌓인 결과가 될 것이다 .

열린마음을 갖기 (Open – Mindedness)

나의 인생의 라이프맵을 작성 (Life Maping)

나만의 커리어 만들 기 ( Career Making)

몰입하여 평생 계속하기 ( Going on~)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