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엽 신정엽 센터장 센터장
사회체계의 변화 : 100 세 사회의 출현 현재 : 20-60-80 시대
다가올 미래 : 20-50-100 시대
▪ 20 대취업
▪ 20 대취업
▪ 60 대퇴직
▪ 50 대퇴직
▪20 년간노후
▪50 년간노후
일 (job) 없는 노후의 시간 = 소득없이 보내는 노후의 가능성
100 세 시대를 대비하는 사회환경 변화 국가적 측면
▪ 실업률증가 및 빈곤 계층의 증가 ▪ 재정지원방식의 사회 문제 해소의 한계 ▪ 복지재정지출 감소
개인적 측면
변화가 요구
▪ 일자리부족 ▪ 양질의 일자리없음 ▪ 복지재정의 한계로 소득보전 어려움 ▪ 개인적 리스크 증대 ( 채무 , 질병 , 실업 등 )
소비중심→투자중심사회로 전환
‘ 투자중심사회’변화 내용과 의미 분 야
변화내용
실업 , 저출산
국가가 떠안기보다 개인에게 투자
사회적비용 증대
취업활동증가를 통해 해소
교육적 투자증대
개인의 인적역량증대 = 자립
교육수준 증대
실업률감소 , 사회적비용감소
국가와 개인의 관계재정립
국가는 개인에 전적투자 = 인적개발
개인의 인적자원의 개발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대 !
사회복지환경 변화 바우처제도
복지재정지출의 지방분권 화
( 복지서비스비용의 개인 부담 )
= 중앙예산축소 복지서비스 인프라의 확대 (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복 지공급체계 )
개인 ( 수혜자 → 참여자 )
→ 개인의 역량에
빈곤계층자활제도 1)국민기초생활보장법개정 = 일하는복지 , 수혜대상 선정기준 강화
따라 제공서비스
2) 취업을 중심으로 탈수급
선택적 취수가능
지원제도 도입 ( 근로장려 세제 , 희망통장 사업등 )
복지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른
저출산 / 고령화와
개인의 정보소외 유발
장기요양보험
= 정보가 곧 경쟁력
3) 주민의 자발성 , 책임성 강화 4) 수혜기간 ( 자격 ) 제한적 5) 개별급여제 도입 ( 하반기 )
100 세 시대를 준비하는 개인은 ? 1) 자주적 삶의 체계를 가져야 한다 2) 끊임없는 자기개발 ( 교육 ) 3) 취업경력관리 ( 커리어 만들기 ) 4)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계획하라 5) 평생직장에서 평생현역의 삶을 추구하라 6) 몰입할 것을 찾고 그것을 꾸준히 하라 ( 건전성 , 생산성 , 생계유지에 필요한 수단 만들기 )
『평생직장에』서 『평생현역』으로 살기 ‘51 세에 간호사→심리치료사’로 전직 < 성공포인트 > ▪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잘 결정하고 자신에게 투자 (42 세에 간호사를 그만두고 심리학과 수료 후 심 리치료 사가 됨 ) ▪ 재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취업경력을 유지 ▪ 미래에 대한 분명한 계획을 세웠다 .
자활참여주민으로서 ‘나’의 미래전략단계
철저한 자기 인식의 시간을 가질것
11 단계 단계
( 자신 돌아보기 , 현실인식하기 , 자존심버리기 등 )
22 단계 단계
과거를 검증하기
33 단계 단계
현재를 분석하기
44 단계 단계
미래를 계획하기
55 단계 단계
조력자 ( 파트너 ) 가 필요한 시기 ( 자활참여기간 )
자활센터에서 ‘나는’무엇을 해야 하는가 ? 나의 미래는 오늘 하루의 나의 활동이 쌓인 결과가 될 것이다 .
열린마음을 갖기 (Open – Mindedness)
나의 인생의 라이프맵을 작성 (Life Maping)
나만의 커리어 만들 기 ( Career Making)
몰입하여 평생 계속하기 ( Going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