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영화 연출 송낙원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영화 연출
지은이 송낙원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3년 2월 25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commbooks.com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3F Cheongwon Bldg., 571-17 Yeonnam-dong Mapo-gu, Seoul 121-869,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북스(주)가 저작권자와 계약해 발행했습니다. 본사의 서면 허락 없이는 어떠한 형태나 수단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이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송낙원, 2013 ISBN 978-89-6680-188-6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영화 제작 과정과 기술의 변천
이 책은 영화 연출을 하는 데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실용 지식들을 10개의 아이템으로 체계화했다. 영화 연출은 영 화를 만드는 미학과 기술, 산업 사이에서 다양한 범위의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영화감독이 사전 제작(프 리 프로덕션)과 제작(프로덕션)을 거쳐 사후 제작(포스트 프로덕션)에 이르는 작업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부딪치는 질문들에 효과적으로 조언하고 있다.
아이디어에서 영화 연출까지 연출의 출발은 감독의 머릿속을 맴도는 하나의 아이디어 에서 시작된다. 이 아이디어는 곧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 기에는 인물과 사건들이 전개된다. 이 이야기를 영화적 이야기로 바꾸는 작업이 시나리오 쓰기다. 시나리오는 영 화 제작을 전제로 한 스토리텔링이며, 그래서 여러 제약이 많고, 그 자체로 완성도를 지녔다기보다는 촬영의 설계도 역할을 한다. 한 영화에 참여하는 많은 제작진과 배우들 은 이 시나리오를 나침반 삼아 영화 제작이라는 항해를 떠
v
나는 것이며, 연출자는 이 시나리오를 설계도 삼아 영화라 는 건축물을 지어내는 것이다. 시나리오의 근본을 구성하는 것 중에 절대적으로 큰 비 중을 차지하는 것은 이야기다. 시나리오 작가는 이야기를 만들면서 인물을 설정하고, 그 인물이 빚어내는 갖가지 사 건을 만들어내고 입을 통해서 전달되는 대사와 사소한 행 동에서 그들의 내면 세계에 놓여 있는 생각과 감정, 욕심, 욕망이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이야기에는 흐름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모든 이야기에는 시작이 있고, 중간이 있고, 끝이 있다”고 한 것처럼, 인류가 만들 어낸 이야기들은 처음, 중간, 끝을 이룬 3막의 구성을 피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좋은 이야기는 전체가 3막으로 구 분되는 것이 보통이다. 사이드 필드(Syd Field)는 저서 시나리오란 무엇인가(Screenplay: The Foundation of Screenwriting)에서 시나리오의 핵심 구조를 ‘시작(Act Ⅰ 1장 = 설정), 중간(Act Ⅱ, 2장 = 전개), 끝(Act Ⅲ, 3장= 해결)’의 3막 구조로 규정한다. 어느 하나의 이야기를 영 화로 보여 주기 위한 기초 단계가 시나리오인데, 대부분 이야기가 완성되면 시나리오로 구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줄거리를 담는 시놉시스와 그다음 단계인 트리트먼트라 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보통이다.
vi
시나리오는 대사뿐만 아니라 여러 행동이 대사만큼 주 를 이루고 있다. 등장인물들이 만드는 행동은 대사로 표 현되게 마련인데, 대화나 말로만 표현될 수 없는 장면들은 수없이 많다. 대사와 행동은 서로 보완관계에 있으며 그 어느 것도 중요성이 다른 것보다 더 높거나 낮지 않다. 영 화에서 지문이란 일종의 지시문으로 배우의 행동을 구체 적으로 지시하거나 그 장면의 배경을 설명해 준다. 영화 연출은 영화언어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영 화를 만들면서 나타난 관습적인 표현 방법은 영화 창작자 에게나 영화 관객에게나 일종의 게임의 법칙처럼 지난 100년의 영화 역사 동안 발전해 왔다. 이제 영화에서 관습 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표현 방법론은 하나의 언어처럼 기능하게 되었고, 우리는 이를 영화언어라 부른다. 영화 언어는 다른 말로 영화문법이라고도 하는데, 고전영화는 이런 영화언어, 영화문법을 잘 지키는 영화이고, 현대영 화는 고전영화 시기에 완성된 영화언어에 대한 대안을 제 시하고 예술적으로 변용하거나 벗어나며 그 이상을 상상 한다. 영화는 숏과 숏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연 결 관계를 관객들이 인식하지 못할 때 한 편의 영화는 관 객들에게 독립된 작품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처럼 한 편
vii
의 영화가 자연스러운 콘티뉴이티(continuity: 연속성)를 지니기 위해서는 편집 과정에 많은 힘을 쏟아야 하겠지만, 이것은 또한 촬영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 스크립트 슈퍼바이저는 배우의 연기를 유심히 살펴보고, 이를 스크립터에 기록해 다음 촬영 때에는 더 나은 연기를 할 수 있게 해야 하며, 필름의 종류, 카메라 앵글, 사이즈, 위치, 움직임,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 조 명, 배경 등을 꼼꼼히 기록해 놓고 다음 촬영에 대비해야 한다. 180도 법칙이란 카메라 앞에 위치한 두 인물이 대화하 는 장면을 촬영할 때에는, 이들 사이에 가상의 일직선을 설정해 그 선을 중심으로 180도 반경의 한쪽 방향에서만 촬영해야 한다는 규칙을 말한다. 이는 영화의 공간화에 가장 기본적인 법칙으로, 관객에게 공간적 연속성을 제공 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고전적 할리우드 연출에서는 신(scene)마다 마스터 숏 (master shot)이라 불리는 롱 숏이 촬영되고, 이어 다양한 사이즈의 숏이 촬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동일한 피사체를 비슷한 사이즈의 숏으로 촬영하면 점프 컷(jump cut)이 되어 영화의 콘티뉴이티가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숏 사이즈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 한편, 같은
viii
피사체를 다른 사이즈로 촬영하는 경우 콘티뉴이티를 유 지하기 위해서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카메라 각도를 최소 한 30도 이상 옮겨 주어야 하는데, 이를 가리켜 30도 법칙 이라고 한다. 설정 숏(established shot)은 새로운 장면이 시작될 때 그것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전체적으로 비춰주 는 숏을 가리킨다. 영화 연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각적 이야기 창작이 라고 한다면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배우에 대한 연기 연출 이다. 많은 감독들이 자신의 영화가 다른 영화와 비주얼 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를 바라고 그 독특한 미학을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과 제작비를 사용하지만, 정작 일반 관객 들이 기억하는 건 영화에서 멋진 화면이 아니라 주연 배우 의 얼굴 이미지이기가 쉽다. 영화가 처음 할리우드를 통해 대규모 상업화했을 때 스 타 시스템이라는 방식으로 산업적 가능성을 만들었고, 이 스타 시스템이 할리우드의 대량 영화 제작 방식인 스튜디 오 시스템을 가능케 했고, 현대에는 블록버스터 영화 제작 이 가능하게 했다. 결국 극영화는 한 사람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그 사람의 어깨 너머로 지켜보는 것이다. 여기 에 배우와 연기의 중요성이 있다. 훌륭한 감독들은 자신 의 이미지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특정한 영화배우를 스스로
ix
의 페르소나처럼 여겨 자신의 영화에 주로 출연시키고 이 를 통해 자신의 연출 스타일을 만들어간 바 있다. 영화 연기와 연극 연기는 매체 고유의 특징만큼 다르다 고 할 수 있다. 영화 연기의 핵심은 ‘연기하지 않는 것’으로 감독은 배우에게 원하는 연기를 끌어내는 효과적 방법을 알아야 한다. 캐스팅은 영화 혹은 연극에서 연출과 작가의 의도에 부 합되는 캐릭터와 일치하는 배우를 선정하는 작업이다. 캐 스팅은 영화에서 플롯을 이끌어가는 주체인 배우의 이미 지와 연기력을 적절하게 끌어내는 데 필요한 기초적이며 필수적인 작업이다. 영화에 캐스팅은 연기력뿐 아니라 배 우가 갖고 있는 외면적, 신체적 이미지를 정확히 파악하 고, 그러한 이미지와 영화 작가 주체가 촬영하고자 하는 작품의 캐릭터와 최대한 일치되는 배우를 선정하는 작업 이다. 각 영화 작품에 적합한 배역 선정을 위해 일정 수의 배 우들에게 공개 혹은 비공개 형식을 통해 선발하는 것이 오 디션이다. 실전적 연기 경합 등으로 적절한 역할 선정을 하는 캐스팅 작업의 일환으로 오디션은 캐스팅 과정의 핵 심이며, 적절한 역할을 뽑기 위한 수단이다. 콜드 리딩(cold reading)은 주어진 대본을 최대한 감정
x
없이 낭독함으로써, 배우와 연출 등 제작 주체들이 대본의 플롯과 주제, 캐릭터의 성격 등을 편견 없이 파악, 분석하 고 전체 토론을 하기 위한 낭독 작업이다. 콜드 리딩은 감 정을 최대한 배제한 채 대본을 읽는 작업이다. 이는 배우 의 연기나 캐릭터 분석보다 영화를 제작하는 전체 구성원 들이 모여 작품 전체의 플롯과 주제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토론하기 위한 낭독의 방법을 의미한다. 블로킹은 연극에서 동작선 긋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영 화에서 블로킹은 주로 카메라를 기준으로 배우가 서야 하 는 위치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보다 넓 은 의미에선 카메라 구도 안에서 배우의 행동 전체 계획을 의미한다. 영화 연기의 핵심은 ‘연기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영화 연기가 가지고 있는 본질성, ‘카메라에 의해 관찰되는 연 기’, ‘클로즈업을 통한 절제의 연기’라는 점에서 과장을 제 거한다는 1차적 의미에 속한다. 영화 연기의 테크닉은 다 음의 세 가지 원칙을 중시한다. 첫째 즉흥성, 둘째 절제, 셋째 리액션이 그것이다.
프리 프로덕션의 계획과 준비 프리 프로덕션은 영화의 개발 단계가 끝나고 난 다음부터
xi
본격적으로 제작에 착수하면서 준비해야 할 일들을 말한 다. 이는 시나리오의 개발, 제작비 펀딩, 시나리오를 바탕 으로 한 장면 구분표 작성과 연출 계획에 바탕을 둔 스케 줄 작성의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이에 따른 구체적 예산 서 작성이 필요하고, 감독과 프로듀서는 캐스팅 디렉터와 함께 오디션을 통해 배우를 캐스팅한다. 마지막으로 배우 들과 함께 리허설을 함으로써 첫 촬영 전의 프리 프로덕션 과정이 마무리된다. 감독은 시나리오에 필요한 부분을 체크하거나 밑줄을 그으면서 해당 신을 객관화하고, 이를 표로 정리해 ‘장면 구분표(breakdown sheet)’를 만드는 것에서 프리 프로덕 션 작업을 시작한다. 감독은 카메라 앞에 놓인 모든 것 들을 연출해야 한다. 이를 영화 용어로 ‘미장센(mise en scène)’이라 하고, ‘장면화’라고 하기도 한다. 영화 전체에 대한 장면 구분표 작성이 끝나면 촬영 리 스트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화한다. 영화 연출 에서 시각화는 우리가 흔히 ‘콘티’라고 하는 한 숏씩 앉힌 스토리보드(shot by shot storyboard)와 마치 만화책을 읽 는 것처럼 숏들을 연결해 놓은 전체 스토리보드(floor plan)를 만들면서 자신의 연출계획을 자세하게 세우는 것 이다.
xii
프로듀서는 시나리오를 분석한 후 상세한 전체 촬영 스 케줄표(stripboard)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스케줄은 프로 덕션 진행을 알 수 있는 지도이며 작업 예산을 알기 위해 필수적이다. 감독과 연출부 소속인 조감독, 연출부2, 연출 부3, 그리고 스크립터의 해당 주차의 업무를 작성해 이것 이 잘 처리되었는지까지 계획하고 체크하는 리스트가 연 출부 계획표다. 시나리오가 나온 후 연출부가 반드시 해야 할 일 가운 데 하나는 신 리스트, 즉 장소 구분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동일한 장소별로 묶은 장소 연결표, 소품별로 묶은 소품 연결표, 등장인물별로 묶은 인물 연결표, 야외 촬영별로 묶은 로케이션 연결표, 그 밖에 세트 연결표, 의 상 연결표 등의 양식이 만들어진다.
프로덕션의 진행과 촬영 프리 프로덕션이 완료되면, 첫 촬영과 함께 프로덕션 단계 가 시작된다. 프로덕션은 영화 제작에서 촬영 단계, 그것 도 본 촬영 단계를 주로 의미한다. 영화 촬영은 본 촬영과 보충 촬영으로 그 성격을 나눠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처음 프리 프로덕션에서 계획했던 스케줄대로 촬영하는 것을 본 촬영(principal photography)이라 하며, 전체 영
xiii
화 촬영 분량의 대부분을 이 기간에 찍는다. 보충 촬영은 본 촬영이 끝나고 난 뒤 예상치 못한 일로 재촬영이 필요 할 때 다시 촬영하는 것을 말하고, 경우에 따라 본 촬영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곳에 촬영 팀을 보내 필요한 장면을 찍어 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먼저 1차 본 촬영에서는 촬영 시작일과 종료일을 명시 해야 하고, 정해둔 시간 안에 촬영을 마쳐야 한다. 촬영에 필요한 필름을 미리미리 챙겨두고 현상소에 통보하고 사 전에 필요한 스태프들과 예산도 집행한다. 다음으로 일일촬영은 매일매일의 촬영을 말한다. 최근 디지털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러시필름을 뽑지 않고, 현상 된 네거필름을 디지털 비디오로 옮기는 텔레시네(telecine) 작업을 거쳐 데일리(dailies)를 보며 이것을 기준으로 편집 에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1차 본 촬영에서 미흡한 점을 보 완해 촬영하는 것을 보충 촬영이라고 한다. 보통 콜 시트(call sheet)라고 부르는 일일 제작 스케줄 표는 하루 촬영 단위로 배우와 스태프들이 언제 어디로 모 이고 그날 어떤 장면, 어떤 숏을 찍게 되는지, 또 필요한 특수장비나 조연·엑스트라·동물·스턴트들이 있는지, 특수분장이나 특수효과가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 장 상세한 계획을 포함한다. 이 일일 제작 스케줄표는 전
xiv
체 촬영 계획표인 스트립보드를 기반으로 해서 작성되지 만, 더 구체적인 계획이 들어가므로 일일 제작 계획표를 작성하다가 반대로 전체 촬영 스케줄을 다시 재조정할 수 도 있다. 이 일일 제작 스케줄표는 인쇄하기 전에 모든 부 분을 프로듀서와 감독이 협의해 확정하는데, 이때가 감독 이 촬영 순서나 하루 안에서 촬영될 숏의 순서를 바꿀 마 지막 기회가 된다. 다음으로 촬영과 조명에 대해 알아본다.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 정확한 상을 맺게 되는데 이때 생기는 점을 초점 이라 하고 광원이 렌즈를 통과한 위치에서 상이 맺히는 필 름 면까지 거리를 초점 거리(focal length)라 한다. 초점 거리가 길수록 광선의 굴절률이 작아져 화각(촬영 범위) 이 좁아지게 된다. 한편, 카메라로 피사체의 한 부분에 초 점을 맞추면 렌즈로 들어오는 빛은 초점면에 정확한 상을 이루지 못하고 그보다 더 먼 곳이나 가까운 곳에 동그란 형태로 초점이 맞는 것처럼 보이는 착란원 현상이 나타나 게 되는데, 이처럼 초점이 맞도록 허용되는 렌즈와 피사체 간의 거리를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라 한다. 트래킹 (tracking)은 줌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달리(dolly)를 사용 하면, 카메라가 직접 피사체로 접근하거나 피사체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화각의 변화를 확연히 감지할 수 있다.
xv
이처럼 달리를 사용한 촬영은 원근감과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극영화에서는 줌 렌즈보다 달리 사용을 선호한다. 조명은 피사체를 비추는 위치, 즉 피사체를 향해 있는 방 향에 따라 키 라이트(key light, 주광), 필 라이트(fill light, 보광), 백 라이트(back light, 역광), 키커 라이트(kicker light)로 구분된다. 트라이앵글 시스템(triangles system)으 로도 불리는 3점 조명(three point lighting)은 인물 조명의 기본이 되는 조명 방식이라 할 수 있다. 3점 조명은 키 라이 트, 필 라이트, 백 라이트, 이렇게 세 위치의 조명을 기본으 로 하는데, 키 라이트는 인물의 광원 기능을, 필 라이트는 콘트라스트 조정 기능을, 그리고 백 라이트는 인물과 배경 을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조명은 클로즈업, 1인 미디엄 숏,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인터뷰 등에서 주로 사용 되며, 촬영 현장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3점 조명을 바탕 으로 다양한 조명 방법이 쓰이고 있다. 스크린에 보이는 영화의 외양과 시각을 디자인하는 일 을 일컬어 프로덕션 디자인(production design)이라고 한 다. 프로덕션 디자인의 범위에는 색채, 소품, 세트, 의상 그리고 로케이션 등 영화의 모든 시각 요소가 포함된다. 또한 크게는 일반적인 영화 미술인 세트와 대도구, 소도구
xvi
등을 디자인하는 일들까지 포함된다. 프로덕션 디자이너 (production designer)는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화의 전체 적인 외양과 시각을 책임지고 담당하는 이를 일컫는다. 즉 미술 부문(art department)의 총 책임자라 할 수 있다. 프로덕션 디자이너는 세트 구성을 디자인하고 감독하고, 로케이션 장소를 선택하는 데 조언을 하며, 로케이션 장소 가 결정되었을 때 그곳을 촬영에 적합하게 가꾸기도 한다. 따라서 프로덕션 디자이너는 카메라, 필름, 렌즈, 컬러, 특 수효과를 포함한 영화 제작의 모든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리서치를 통한 이미지 수집이 끝나면 이미지 제시에 대 한 정리로 들어가는데 이것을 이미지 맵(image map)이라 고 한다. 이미지 맵에서는 필요한 것만을 신중하게 고르고 영화의 성격과 상황에 맞지 않는 것은 과감히 제거한다. 영화에서 컴퓨터그래픽(Computer Graphics: CG)은 말 그대로 컴퓨터를 사용해 영상을 창조, 혹은 재창조하는 모든 기술을 가리킨다. 즉,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를 활용해 물체의 형상, 성분, 색채 등 각종 성분을 컴 퓨터에 입력한 후 이미지 변환을 통해 제3의 영상을 창조 하는 특수효과 기법이다. 컴퓨터그래픽을 사용하면 화면 의 형상이나 색상, 질감, 휘도 등을 의도대로 변형할 수 있
xv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