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읽어 보기
이 소설은 모자라게 태어난 벙어리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다다는 벙어리로 태어났다. 아다다의 부모는 돈을 주고 아다다를 시집보낸다. 그러나 돈은 아다다 를 지켜 주지 못했다. 시집에 돈이 많아지자 아다다는 시집에서 쫓겨난다. 아다다는 동네 총각 수롱과 새 삶 을 시작한다. 그런데 땅을 사서 농사를 짓고 싶은 수 롱의 꿈은 아다다를 불안하게 만든다. 아다다는 수롱 이 땅을 사려고 모은 돈을 모두 바다에 던져 버린다. 수롱은 화가 나서 아다다를 바다에 빠뜨린다. 아다다 는 바다에 빠져 죽음을 맞는다.
vii
작가 알아보기
계용묵(1904~1961) <백치 아다다>의 작가는 계용묵이다. 계용묵은 주어진 환경이나 조건 때문에 불행하게 사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졌다. 그래서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단편소설로 썼 다. <백치 아다다>는 1935년에 발표했다.
viii
차례
이 책을 읽는 분들께
v
미리 읽어 보기
vii
작가 알아보기
viii
1부 1. 벙어리 아다다
13
2. 집에서 쫓겨나는 아다다
21
3. 행복했던 시간
28
4. 아다다의 슬픔
33
생각해 봅시다
39
2부 5. 어디로 가야 하나
43
6. 오직 한 사람
48
7. 새로운 시작
54
8. 섬으로 간 아다다
60
생각해 봅시다
66
3부 9. 불행의 씨앗은 돈이다
69
10. 돈을 없애야 한다
73
11. 무너진 수롱의 꿈
77
12. 죽음을 맞는 아다다
82
생각해 봅시다
86
참고 문헌
87
단어 목록
88
1900년대 바닷가 마을의 풍경이다. 작은 집과 배들이 보인다. ‹1908년 개항이 되기 직전의 청진항›,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홈페이지.
조선은행권은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때 만들어진 돈이다. 이때부터 한국에서는 종이로 된 화 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조선은행 발행 화폐›,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02), 일제 침략 아래에서의 서울 (1910~1945), 91쪽.
8 섬으로 간 아다다
수롱은 한 번도 자기 땅을 가진 적이 꼭
어떤 일이 있어도 틀 림없이.
없었다. 수롱은 꼭 자기 땅을 갖고 싶었다. 수롱이 아다다와 결혼한 것 도 땅 때문이었다. 아내를 얻을 돈으 로 땅을 사려는 것이었다. 아다다와 결혼했으니까 그 돈으로 땅을 사면
안심하다
걱정하지 않고 마음 을 편하게 가지다.
60
2부
된다. 땅이 있어야 아다다도 안심할 것 같았다.
* 작년에는 섬에서 농사가 잘 안됐다. 그래서 금년에는 농사를 짓지 않으
금년
올해.
땅 요즘에는 집 1채와 차 1대를 가지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꿈이다. 그렇지만 옛날 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사를 짓는 사 람이었기 때문에 보통 자기 땅을 가지는 것이 꿈이었다. 논과 밭이 있어야 농사 를 지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땅이 없으 면 땅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땅을 빌 려야 했다. 그리고 나중에 땅을 빌린 값 으로 많은 것을 그 사람에게 주어야 했 다. 그러면 계속 가난하게 살 수밖에 없 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땅을 가지려고 노력했다.
8 섬으로 간 아다다
61
려는 사람이 많았다. 땅을 팔려는 사 람도 많았다. 땅값도 쌌다. 수롱은 쉽게 땅을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땅 을 산다고 생각하니까 수롱은 매우 행복했다.
* 수롱이 밭을 사기로 했다. 수롱이 이 계획을 아다다에게 말했다. “우리 밭을 사자. 뱃사람이 되는 것보다 농사를 짓는 게 좋아. 농사를 지으면 둘이서 먹고살 수 있어. 내가 땅을 사려고 돈을 모았어.” 수롱이 자랑스럽게 아다다를 보았 선반
물건을 올려놓기 위 하여 벽에 달아 놓은 널빤지.
62
2부
다. 돈은 선반 위에 있는 상자 속에
있었다. 수롱이 상자에서 돈을 꺼내 서 아다다에게 보여 주었다.
꺼내다
안에서 밖으로 나오 게 하다.
* 그러나 돈을 본 아다다는 힘이 빠졌 다. 아다다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
힘이 빠지다
힘이 줄거나 없어지 다.
다. 수롱은 아다다가 이상하다고 생 각했다. 수롱은 돈을 보여 주면 아다 다가 기뻐할 줄 알았다. “아다다, 이것 봐! 내가 모은 돈이 야. 큰 밭을 살 수 있어.” 수롱이 아다다에게 말했다. 그러 나 아다다는 대답이 없었다.
* 아다다의 얼굴에 걱정이 가득했다.
가득하다
빈 공간이 없을 만큼 어떤 것이 많다.
8 섬으로 간 아다다
63
조
곡식 중의 하나.
“밭에 조를 심자. 그러면 조가 열 섬 나올 거야. 그것으로 겨울 동안 먹
심다
씨나 나무의 뿌리를 흙 속에 묻다.
고 살 수 있어. 둘이 같이 열심히 일 을 하자. 그러면 돈을 더 벌 수 있어.”
섬
곡식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말. 1섬은 약 180L임.
되, 말, 섬 ‘되’는 곡식이나 가루의 양을 재는 그릇 이다. 또는 그 그릇으로 잰 양을 말하기 도 한다. ‘1되’는 약 ‘1.8L’이다. ‘10되’, 즉 약 ‘18L’는 ‘1말’이다. 그리고 ‘10말’은 ‘1 섬’이다. 한국 속담에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말이 있다. 조금 주고 많이 받 는다는 뜻이다. 이 말은 더 많이 받아서 좋을 때도 쓰지만 나쁠 때도 쓴다. 예를 들어, 남에게 조금 장난을 쳤다가 아주 심하게 당하게 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64
2부
수롱이 아다다에게 열심히 설명을 했다. 그러나 아다다는 말없이 고개 를 저었다.
고개를 젓다
‘아니요’라는 뜻으로 머리를 좌우로 흔들 다.
“왜 그래? 내 말이 거짓말 같아? 조가 열 섬이 못 나온다고?” 수롱이 큰 소리로 아다다에게 말 했다. “아다, 시 싫어.” 아다다가 고개를 저으면서 힘없이 말했다.
8 섬으로 간 아다다
65
생각해 봅시다
1. 아다다는 어머니에게 매를 맞고 어디로 갔습 니까?
2. 수롱은 왜 아다다에게 잘해 줬습니까?
3. 수롱은 돈을 모아서 무엇을 하려고 했습니까?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