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연구서2014 04)_맛보기

Page 1

연구서 2014-04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 SNS와 뉴스 소비

김영주·정재민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소비 연구서 2014-04

책임연구 김영주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공동연구 정재민 (카이스트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교수) 보조연구 송해엽 (카이스트 경영공학 박사과정) 발행인 김병호 편집인 김성수 발행일 2014년 10월 31일 초판 제1쇄 발행 한국언론진흥재단 100-75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센터빌딩 전화 (02) 2001-7742 팩스 (02) 2001-7740 www.kpf.or.kr 편집·유통 대행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21-869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001 팩스 (02) 736-5047 www.commbooks.com 인쇄 (사)한국장애인e-Work협회 150-890 서울특별시 여의도동 44-21 중앙빌딩 411호 전화 (02) 783-0800 팩스 (02) 783-075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본 재단의 공식 견해가 아닌 필자의 연구 결과임을 밝힙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ISBN 978-89-5711-363-9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부정부패 없는 청렴사회, 거듭나는 대한민국


차례

0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변화 … 1 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 변화 … 1 2. 새로운 뉴스 소비방식의 부상 … 3

02

뉴스 생산 및 유통 플랫폼의 다변화 … 7 1. 새로운 디지털 뉴스 조직의 성장 … 7 2.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의 등장 … 23 3. SNS를 매개로 한 뉴스 소비: 미국 사례 … 40

03

한국 SNS 이용자의 뉴스 소비 행태 … 59 1. SNS 이용자의 뉴스 이용 행태 조사 … 59 2. SNS 이용자의 뉴스 플랫폼 이용 현황 … 63 3. 뉴스 이용 기기 … 66 4. 뉴스 이용 경로 … 76 5. 뉴스 속보 이용 기기 … 89 6. 뉴스 속보 이용 경로 … 93 7. 뉴스 속보 출처 … 96

04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의 뉴스 이용 … 100 1. 뉴스 플랫폼으로서의 SNS … 100 2.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의 뉴스 이용 … 103 3. 페이스북과 트위터 이용 동기와 뉴스 이용 동기 … 120 4.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에 대한 태도(가치 평가) … 128 5. 페이스북 –트위터 뉴스 참여행위 … 140


05

모바일 뉴스 앱 이용과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151 1. 모바일 전용 뉴스 앱 이용 … 151 2.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155

06

SNS 뉴스 이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 162 1. 모바일 뉴스, SNS 뉴스 소비 확산에 대한 전문가 조사 … 162 2. 모바일 뉴스 이용 … 164 3. SNS 뉴스 소비의 유용성과 문제점 … 182 4.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의 향후 전망 … 192

07

결론적 논의 … 202 1. 파괴적인 힘: 모바일, 소셜 그리고 플랫폼 … 202 2. 모바일 & 소셜 뉴스 소비 시대 … 204 3. 페이스북 – 트위터, SNS를 넘어 뉴스 플랫폼으로! … 209 4. 모바일과 소셜 플랫폼에서 나를 위한 뉴스! … 215 참고문헌 … 217


표 차례

<표 2-1> 뉴욕타임스가 경쟁자로 언급한 신생 디지털 뉴스 조직 … 10 <표 2-2> 새로운 디지털 뉴스 미디어로 이직한 전통 미디어의 유명 언론인들 … 14 <표 2-3> 미국 디지털 뉴스조직의 성장 … 16 <표 2-4> 한국의 뉴스 미디어 스타트업(설립순) … 19 <표 2-5> 요약 뉴스 제공 서비스 … 25 <표 2-6> 매거진 스타일의 뉴스 제공 서비스 … 26 <표 2-7> 헤드라인 뉴스 제공 서비스 … 27 <표 2-8> 시각화 뉴스 제공 서비스 … 28 <표 2-9> 한국의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30 <표 3-1> 조사설계 … 60 <표 3-2> 응답자 특성 … 62 <표 3-3> 응답자들의 SNS 이용 현황 … 63 <표 3-4> SNS 이용자의 뉴스 플랫폼 이용 현황 … 65 <표 3-5> 연령별 뉴스접속 방식에 따른 신뢰도 … 88 <표 4-1> 페이스북 - 트위터 사용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 104 <표 4-2> 주제별 뉴스 관심도와 SNS에서 즐겨 이용하는 뉴스 … 111 <표 4-3> 페이스북 뉴스 이용 동기(5점 척도) … 125 <표 4-4> 트위터 뉴스 이용 동기(5점 척도) … 126 <표 4-5>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이용자가 언론사/기자와 친구 혹은 팔로우하는 비율 … 148 <표 5-1> 뉴스 공급 과잉에 대한 평가와 영향 … 156 <표 6-1> 전문가 인터뷰 대상자 … 163 <표 6-2> 전문가 인터뷰 주요 항목 … 164


그림 차례

<그림 1-1> 집에서 실감하는 미디어 권력 변화 … 6 <그림 2-1> 경쟁사들의 빠른 성장 … 9 <그림 2-2> 미국의 디지털 네이티브 뉴스 조직과 뉴스 큐레이션 … 13 <그림 2-3> 신문사 편집국 인원 감소 … 15 <그림 2-4> 한국의 새로운 디지털 뉴스조직과 뉴스큐레이션 서비스 … 19 <그림 2-5> 미디어 스파이더 서비스 개요 … 31 <그림 2-6> 미디어 스파이더 서비스 페이지 … 31 <그림 2-7> 지니뉴스 서비스 개요 … 32 <그림 2-8> 뉴스퀘어 … 33 <그림 2-9> 뉴스젤리가 제공하는 인포그래픽 … 34 <그림 2-10> 뉴스페퍼민트 … 35 <그림 2-11> 뉴스프로 … 37 <그림 2-12> 슬로우뉴스 … 38 <그림 2-13> ㅍㅍㅅㅅ … 39 <그림 2-14> 지난 주 뉴스를 접한 방식 … 43 <그림 2-15> 뉴스를 얻는 방식에 따른 신뢰도 … 44 <그림 2-16> 선호하는 뉴스 이용방식 … 45 <그림 2-17> 미국인의 온라인 동영상 뉴스 이용 비율 … 46 <그림 2-18> 디지털 동영상 뉴스 이용 비율 변화 … 46 <그림 2-19> 온라인 동영상 뉴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7 <그림 2-20> 바이스의 온라인 뉴스 서비스 … 49 <그림 2-21> 허핑턴 포스트의 온라인뉴스 서비스 … 49 <그림 2-22> 소셜 파워: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 … 51 <그림 2-23> SNS 이용과 SNS를 통한 뉴스 이용 … 51 <그림 2-24> SNS상에서의 적극적 뉴스 이용 행위 … 52 <그림 2-25> SNS별 뉴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3 <그림 2-26> SNS 뉴스 이용자의 전통 뉴스 이용 … 53


<그림 2-27> SNS 뉴스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 54 <그림 2-28> 페이스북 뉴스 이용행태 … 55 <그림 2-29> 페이스북에서 주로 이용하는 뉴스 주제 … 56 <그림 2-30> 트위터 이용 및 트위터 뉴스 이용자 비율 … 57 <그림 3-1> 2010년과 2014년 뉴스 플랫폼 이용 비교 … 64 <그림 3-2> 지난 1주일간 뉴스이용 기기(복수응답) … 66 <그림 3-3> 성별 뉴스 이용기기 … 67 <그림 3-4> 연령별 뉴스 이용기기 … 68 <그림 3-5> 기기별 뉴스 이용 및 매일 이용 비율 … 69 <그림 3-6> 성별 매일 뉴스 이용 기기 … 70 <그림 3-7> 연령별 매일 뉴스 이용기기 … 71 <그림 3-8> 가장 선호하는 뉴스 이용 기기 … 72 <그림 3-9> 성별 가장 선호하는 뉴스 이용 기기 … 73 <그림 3-10> 연령별 가장 선호하는 뉴스 이용 기기 … 74 <그림 3-11> 기기별 뉴스 이용 만족도 … 76 <그림 3-12> 뉴스 이용 경로(복수응답) … 78 <그림 3-13> 성별 뉴스 이용경로(복수응답) … 79 <그림 3-14> 연령별 뉴스 이용경로(복수응답) … 80 <그림 3-15> 뉴스 이용시 가장 즐겨 이용하는 방식(1순위, 1∼3순위 합) … 81 <그림 3-16> 성별 뉴스를 접하는 방식(1순위) … 83 <그림 3-17> 연령별 뉴스를 접하는 방식(1순위) … 84 <그림 3-18> 뉴스 접한 방식에 따른 신뢰도 … 85 <그림 3-19> 성별 뉴스 접한 방식에 따른 신뢰도 … 86 <그림 3-20> 연령별 뉴스접속 방식에 따른 신뢰도 … 87 <그림 3-21> 속보 접한 기기 … 91 <그림 3-22>성별 단식중단 속보 접한 기기 … 92 <그림 3-23> 연령별 단식중단 속보 접한 기기 … 92 <그림 3-24> 속보 접한 방식 … 94 <그림 3-25> 성별 단식중단 속보 접한 방식 … 95 <그림 3-26> 연령별 단식중단 속보 접한 방식 … 96 <그림 3-27> 속보 출처 … 97 <그림 3-28> 성별 단식중단 속보 출처 … 98


<그림 3-29> 연령별 단식중단 속보 출처 … 99 <그림 4-1> 한국 소셜네트워킹사이트 이용: 뉴스 이용 … 102 <그림 4-2> 미국 소셜네트워킹사이트 이용: 뉴스 이용 … 102 <그림 4-3> 페이스북 - 트위터 사용자의 해당 SNS 뉴스 이용 비율 … 105 <그림 4-4>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자의 해당 SNS 뉴스 이용 빈도 … 106 <그림 4-5>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이용빈도 … 106 <그림 4-6> 연령별 페이스북 뉴스이용 빈도 … 107 <그림 4-7> 연령별 트위터 뉴스이용 빈도 … 108 <그림 4-8>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자의 해당 SNS 뉴스 이용기기 … 109 <그림 4-9>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이용 기기 … 110 <그림 4-10>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이용 기기 … 110 <그림 4-11> 뉴스 주제별 관심도와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 뉴스 주제(1순위) … 111 <그림 4-12> 뉴스 주제별 관심도와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 뉴스 주제 … 112 <그림 4-13> 성별 페이스북 뉴스 주제별 이용 정도(1순위) … 113 <그림 4-14> 성별 트위터 뉴스 주제별 이용 정도(1순위) … 113 <그림 4-15> 연령별 페이스북 뉴스 주제별 이용정도(1순위) … 115 <그림 4-16> 연령별 트위터 뉴스 주제별 이용정도(1순위) … 115 <그림 4-17> 페이스북 - 트위터에서 주로 접하는 뉴스 출처(3개까지 복수응답) … 117 <그림 4-18> 성별 페이스북 뉴스 출처 … 118 <그림 4-19> 성별 트위터 뉴스 출처 … 119 <그림 4-20> 연령별 페이스북 뉴스 출처 … 119 <그림 4-21> 연령별 트위터 뉴스 출처 … 120 <그림 4-22> 페이스북 이용 동기 … 121 <그림 4-23> 트위터 이용 동기 … 121 <그림 4-24>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 동기 ‘뉴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 123 <그림 4-25>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이용 동기 ‘뉴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 123 <그림 4-26> 페이스북과 트위터 뉴스 이용 동기 … 124 <그림 4-27>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이용 동기 … 127 <그림 4-28>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이용 동기 … 127 <그림 4-29>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 뉴스를 이용하는 이유 … 129 <그림 4-30>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우연적 뉴스 이용 … 130 <그림 4-31>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우연적 뉴스 이용 … 130


<그림 4-32>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채널로서의 가치 평가 … 131 <그림 4-33>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채널로서의 가치 평가 … 132 <그림 4-34>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채널로서의 가치 평가 … 133 <그림 4-35> 페이스북과 트위터 뉴스 이용행태 … 135 <그림 4-36>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클릭 행태 … 136 <그림 4-37>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클릭 행태 … 136 <그림 4-38>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클릭 이유 … 137 <그림 4-39>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클릭 이유 … 138 <그림 4-40>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뉴스 클릭 이유 … 139 <그림 4-41> 페이스북 뉴스 이용시 참여 유형별 행위 … 141 <그림 4-42> 트위터 뉴스 이용시 참여 유형별 행위 … 142 <그림 4-43> 성별 페이스북 참여 유형별 행위 … 142 <그림 4-44> 성별 트위터 참여 유형별 행위 … 143 <그림 4-45> 연령별 페이스북 참여 유형별 행위 … 144 <그림 4-46> 연령별 트위터 참여 유형별 행위 … 144 <그림 4-47> 페이스북 뉴스 공유 행위에 대한 평가 … 146 <그림 4-48> 연령별 페이스북 뉴스 공유 행위에 대한 평가 … 147 <그림 4-49> 성별 페이스북 - 트위터 언론사/기자와 관계맺기 … 149 <그림 4-50> 연령별 페이스북 - 트위터 언론사/기자와 관계맺기 … 149 <그림 5-1> 뉴스 앱 다운로드 및 이용경험, 이용횟수 … 152 <그림 5-2> 성별 모바일 뉴스 앱 다운 경험/실제 이용 여부 … 153 <그림 5-3> 연령별 모바일 뉴스 앱 다운 경험/실제 이용 여부 … 153 <그림 5-4> 연령별 모바일 뉴스 앱 이용 빈도 … 155 <그림 5-5>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수요 … 158 <그림 5-6> 성별 뉴스 큐레이션 인지도 및 이용 여부 … 159 <그림 5-7> 성별 뉴스 큐레이션 관심도 및 향후 이용 의사 … 159 <그림 5-8> 연령별 뉴스 큐레이션 인지도 및 이용 여부 … 160 <그림 5-9> 연령별 뉴스 큐레이션 관심도 및 향후 이용 의사 … 160



0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변화

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환경 변화 더 이상 대중은 종이신문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면의 순으로, 혹은 역방향으로 읽었던 것처럼 뉴스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손에 쥐 고 포털·검색엔진의 검색어 또는 SNS의 뉴스피드 등에 떠오르는 뉴스를 읽을 것인지 지나칠 것인지 선택하는 방식으로 뉴스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 이다. 이러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일부 소셜 뉴스 사이트들로 하여금 기존 의 주류 미디어를 압도하는 성적을 거두게 하고 있다.1)

‘기술과 독자들의 습관,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 전체가 끝없이 변하고 있다’ 고 뉴욕타임스는 현재의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 지난 상반기 내내 언론계 화제의 중심에 섰던 뉴욕타임스의 혁신 보고서 ‘Innovation(2014.3.24)’ 서문에서다. 미디어 기술이 발달하고 새로운 플랫폼들이 등장하면서 뉴 스를 소비하는 행태와 방식도 변하고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예전처럼 뉴

1) http://understandchina.tistory.com/60

0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변화

1


스를 보기 위해 종이신문을 읽거나 저녁 9시 정각 텔레비전 앞에 앉아 있 지 않는다. 허핑턴 포스트(Huffington Post)나 플립보드(Flipboard)와 같 은 디지털 네이티브 뉴스미디어들의 성공 소식도 이제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아닐 정도로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실제 뉴욕타임스는 혁신보고서에서 허핑턴 포스트와 플립보드가 뉴욕 타임스의 저널리즘을 활용해서 뉴욕타임스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가져가 고 있다고 적고 있다. 거의 모든 신문들이 그렇듯이 지난 몇 년 간 뉴욕타 임스의 구독자 수는 감소해 왔다. 뉴욕타임스 웹사이트 방문자 수도 감소 했고 스마트폰의 뉴스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도 줄어들었다. 신문의 영향 력과 도달범위에 대해서는 고민하면서 정작 ‘디지털 시대의 코드’를 파헤 치지는 못했다는 뉴욕타임스의 자기 고백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 기업 모 두에 해당되는 이야기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 76%에 달하던 종이신문 열독률은 10년 뒤인 2013년 33.8%로 떨어졌다. 2004년 44.8%였던 지상파 3사의 저녁 종합뉴 스의 가구시청률은 2013년 35.8%로 떨어졌고, 모든 연령대에서 뉴스 시 청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10대와 20대는 10년 전 뉴스 시청률에서 반 토막이 났고(10대 8.3%→4.2%, 20대 10.9%→ 4.9%), 특히 30대의 뉴스 시청률은 2004년 22.3%에서 2013년 7.7%로 하락폭이 그 어느 연령대보 다 컸다(김영주, 2013, 44∼45). 불과 10년 전과 비교해 봐도 종이신문이나 지상파 방송과 같은 전통 미 디어를 통해 뉴스를 얻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뉴스 이용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에서의 뉴스소비가 일반화되면서 이미 오래 전부터 언론 사 홈페이지 직접 방문을 통한 뉴스 이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언 론사 홈페이지로의 유입은 대부분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러한 현상은 모바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언론사들이 만든 뉴스

2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 소비


애플리케이션 이용은 활발하지 않다. 모바일에서 또한 포탈을 통한 뉴스 소비가 대세다. PC 기반의 고정형 디바이스를 통한 뉴스 이용에서 스마트 폰 기반의 모바일 이용으로 상당 부분 옮겨가고 있다. 최근 뉴스 소비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현상 중 하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SNS를 통한 뉴 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이신문과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뉴스 이용의 중심으로부터 밀 려나기 시작한 것은 인터넷이 뉴스 미디어로 진화하면서부터였다. 인터 넷의 진화는 기존 뉴스 미디어에 새로운 하나의 미디어가 추가된 것 이상 의 의미를 가진다. 인터넷은 텍스트, 소리, 영상 등 지금까지 뉴스 미디어 가 이용한 모든 미디어 장르를 흡수했다(Weichert/Kramp, 2009, p.4, 김 영욱·김광호, 2010, 11쪽 재인용). 그리고 이제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 바일 기기가 그 모든 것들을 흡수하고 있고, 페이스북과 같은 SNS는 그 플 랫폼이 되고 있다.

2. 새로운 뉴스 소비방식의 부상 젊은 세대들은 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기보다는 뉴스가 직접 자신들을 찾아 오길 점점 더 기대한다. 이를 테면 소셜미디어나, 알림 기능 혹은 개인형 서비 스 등을 통해 찾아오길 원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중요한 소식이라면 나에게 찾아 올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New York Times(2014), Innovation.>

전통 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고 해서 뉴스를 이용하는 절대량 자체가 과거보다 줄어들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종이신문과 지 상파 종합 뉴스 이용은 감소했으나 다양한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통한 뉴 스 이용은 증가하고 있다.2) 새로운 플랫폼을 통한 뉴스 소비가 기존의 뉴

0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변화

3


스 소비를 어느 정도 대체 혹은 보완하고 있는지 정확히 수치화하기는 어 렵지만, 뉴스 소스, 뉴스 플랫폼, 뉴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이르 기까지 뉴스가 생산되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모든 경로들이 다변화되고 확대되면서 전반적인 뉴스 이용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 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새로운 뉴스 소비 방식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래 인용한 글은 페이스북 뉴스피드에 올라온 글로 뉴스 이용행태 변 화의 단면을 적절하게 보여주고 있다.3) 뉴스를 이용하는 주 미디어가 종 이신문에서 인터넷 포털로 옮겨가고, 다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 스북으로 옮겨가는 과정과 이유가 단순하지만 명쾌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뉴스는 어느 언론사에서 만든 것인지가 중요하지 않고, 실제 어느 언론사의 뉴스인지도 알지 못하는 이른바 뉴스 소비의 탈브랜 드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종이신문에서 소셜 미디어에 이 르기까지 뉴스소비를 위한 플랫폼이 변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는 역으로 뉴스 생산과 유통메커니즘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2) 본 연구에서 1,200명의 인터넷 이용자(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뉴스 이용행태와 관련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5년 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뉴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나 양이 늘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70.4%(대 체로 그렇다 47.6%+매우 그렇다 22.8%)나 되었다. ‘5년 전과 비교해 새로운 뉴스나 소식을 알게 되는 것이 쉬워졌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84.9%(대체로 그렇다 42.9%, 매우 그렇다 42%)에 달했다. 설문조사 결과는 3장에서 자세히 분석하였다.

3) https://www.facebook.com/#!/sinifather?fref=ts 페이스북 친구인 김익현(지디넷 미디어연구소장 겸 대기자) 기자가 뉴스피드에 올린 글이다. 김익현 기자(와 그의 아내)의 동 의를 얻어 인용하였다.

4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 소비


1. 종이신문의 위기 : 2000년대 초반까지 마눌님은 정말로 신문을 열심히 읽었다. 기자인 나보다 신문 읽는 걸 훨씬 더 좋아했다. 그런데, 2000년 대 초반 어느 날. 신문을 과감하게 끊었다.

2. 포털 뉴스 시대의 도래 : 그때부터 마눌님께선 포털 뉴스를 열심히 봤다. 네이버보다는 주로 다음을 많이 봤다. 한 곳에서 모든 뉴스를 볼 수 있어 서 좋다고 했다.

3. 뉴스 브랜드의 실종 : 퇴근하면 마눌님의 ‘뉴스 브리핑’이 이어지는 경우 가 많았다. 오늘 이런이런 뉴스가 눈에 띄었다, 이런 일이 있었다. 등등. 그러면 난 꼭 물어봤다. “그거 어느 신문에 나온 거냐?” 그 때마다 마눌님 의 대답은 한결 같았다. “몰라? 그냥 다음에서 봤는데?”

4. 명실상부한 소셜 뉴스 시대의 도래 : 그런데, 얼마 전부터 마눌님은 더 이 상 포털 뉴스를 보지 않는다. 주된 뉴스원은 페이스북과 아고라다. 그래 서 내가 또 물어봤다. “요즘은 왜 포털 뉴스 안 보냐?”고. 마눌님의 대답은 이랬다. “재미없어서.” 페이스북에서 친구들이 논평을 곁들인 뉴스가 훨 씬 더 생생해서 좋더란다. 또 아고라를 통해 접하는 것들이 훨씬 더 재미 있더란다.

5. 눈앞에 임박한 패러다임 변화 : 내 보기에 울 마눌님은 ‘특별한 독자’는 절 대 아니었다. 그냥 ‘신문을 꽤 열심히 읽는’ 보통 독자였다. 그 독자가 10 년 사이에 소셜 뉴스 신봉자로 확 바뀌어 버렸다. 마눌님의 변화를 보니, 사회 전체의 뉴스 소비 패러다임이 확 바뀔 날도 머지않은 것 같다.

01 뉴스 미디어를 둘러싼 변화

5


<그림 1-1> 집에서 실감하는 미디어 권력 변화

뉴스가 모여 있는 곳에 사람들이 찾아가던 시대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뉴스가 찾아가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사람들 이 모이는 곳으로 찾아가는 뉴스와 그 뉴스를 소비하는 이들의 행태에 관 한 연구다. 특히 사람들이 모이는 사회관계망서비스인 SNS에서 뉴스는 어떻게 소비되는지 살펴보았다.

6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 소비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