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커뮤니케이션_맛보기

Page 1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지식에 대한 욕구 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주제를 10개 항목으로 묶어서 달걀 꾸러미처럼 엮었습니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지식을 쉽게 알고자 하는 대중이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식을 단시간에 알고자 하는 연구자, 실무자,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편집자 일러두기 ∙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ㆍ설명함으로써 글로벌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 하고자 하였습니다. ∙ 외래어 표기는 현행 한글어문규정의 외래어표기법을 따랐습니다. ∙ 이 책에 실린 삽화는 이근명 화백이 그렸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유세경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지은이 유세경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3년 2월 25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commbooks.com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3F Cheongwon Bldg., 571-17 Yeonnam-dong Mapo-gu, Seoul 121-869,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북스(주)가 저작권자와 계약해 발행했습니다. 본사의 서면 허락 없이는 어떠한 형태나 수단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이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유세경, 2013 ISBN 978-89-6680-174-9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글로벌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기본권

기본권으로서 커뮤니케이션 자유주의 사회의 근본이념은 인간은 자신의 의지대로 살 아갈 수 있는 자유를 누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본권 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권이 보장되지 않는다 면 인간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결정하고 사고할 수 있는 도구가 없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행동하고 방어할 수 없게 된다(D. Johnson, 1994). 때문에 인간의 기본권이 무엇이 고 어떻게 분배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정치학, 사회학, 경 제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다학문적인 시각에서 많은 연구 가 있어 왔다. 특히,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커뮤니케이 션(소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커뮤니케이트권은 인간의 기본권이라는 시각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다. 기본권으로 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존슨(D. Johnson, 1994)은 ‘가치 독립적 상품’과 ‘가치 의존적 상품’으로 구분해 설명했다. 존슨은 “문자가 없는 시대에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 (literacy)’은 공평한 분배를 위한 권력으로 기능하지 않고, 전자미디어 시대가 개막되기 이전에는 전자미디어를 소

v


유하는 소유권이나 접근할 수 있는 접근권이 공평한 분배 를 구축하거나 정의를 실천하는 권력으로 기능하지 않는 다. 그러나 문자와 전자미디어가 활용되는 전자미디어 시 대에는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과 미디어의 소유권과 접근 권은 공평한 분배를 위한 기본 권리가 되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존슨의 기본권에 대한 논의는 글로벌 커뮤니케 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미디어 시대에 커뮤니케이 션 권리가 어떻게 분배되고 구축되어야 하는가를 시사해 준다.

전자미디어의 발전과 세계화 ‘미디어는 메시지다’라고 주장한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1989)은 TV, 인터넷, 위성 등 커뮤니케이션 기 술의 발전은 전 세계인들의 상호교류를 증진시킴으로써 공통의 가치와 꿈을 실현하는 지구촌 시대를 실현할 수 있 게 했다고 주장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인한 지구촌 시대의 실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는 세계화 (Globalization)에 대한 개념부터 파악해야 한다. 세계화 에 대한 논의는 매우 다양하나 형태적인 측면에서 세계가 통합되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화가 단순 히 기능적인 면에서 통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

vi


문에 세계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정치학, 사회학, 인 문학, 경제학 등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커뮤니 케이션 관점에서 세계화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으 로 인해 전 세계인들이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극복하고 동 시간대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범위의 확장은 커뮤니케이션과 연관된 미디어 산업의 구조, 미디어 기업들의 행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미디 어 기업들은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 면서 해외시장 확장 전략을 실행했다. 신국제정보질서 운 동 이후 1990년대에 제기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 임의 핵심내용도 선진국 미디어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유로운 참여와 접근’ 보장이었 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은 전 세계인들이 커뮤 니케이션하는 데 장애가 되는 진입 장벽들을 철폐할 것을 요구하였고 전 세계인들의 미디어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 해 초국적 초고속 정보통신망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 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주창된 전 세계 초고속 정보통신 망 건설 프로젝트는 지구촌 시대의 실현을 앞당겨 줄 것으 로 기대됐다.

vii


초국적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과 전망 1990년대 들어서서 전개된 초국적 초고속 정보통신망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구축 프로젝트는 ‘세 계화’에 대한 신화들에서 출발한다. 퍼거슨(M. Ferguson, 1992)은 세계화의 신화인 ‘클수록 좋다(Big is better)’라는 명제는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면서 전 세계를 시장으로 하 는 글로벌 미디어의 탄생을 부추겼으며, ‘많을수록 좋다 (More is better)’라는 명제는 미디어 기업들의 경쟁을 통 해 시청자들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 는 기대를 제공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에 대한 탈규 제 정책을 이끌어냈다.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극복하고 세계인들을 한 공간으로 엮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 은 전 세계인들의 정보 교환을 촉진하고 한정된 콘텐츠 자 원을 공평하게 분배함으로써 전 세계인들의 삶을 향상시 킬 것이라는 이상을 가지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결정론적 시각들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불공평한 분배와 역기능 등으로 많은 비판을 받기 도 한다. 미디어의 소유나 운영은 자본과 권력을 나누게 하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써 새로운 세계질서의 축으로 기 능하게 되었고, 정보 부국과 빈국의 간극을 더욱 크게 만 들면서 새로운 지배-피지배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

viii


이다. 전자미디어가 발명되고 국가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 능게 된지 80여 년이 지난 현재, 지구촌 시대의 이상을 실 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고,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도 커졌다. 글로벌 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쟁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제기되었던 이슈들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 의 발전으로 글로벌 미디어 시대가 도래했지만 정보 부자 와 빈자의 격차, 지배-피지배 관계로 나타나는 국가 간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하나의 문화로 통합되는 문화의 동 질화, 세계의 여론과 정책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보도 의 문제 등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터넷, 위 성등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은 시·공간의 장애를 극 복하게 만들었지만 한편으론 시·공간의 개념을 더욱 중 요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글로벌 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쟁점 전 세계인이 동일한 시·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 는 글로벌 미디어 시대가 도래했으나 국가 간 커뮤니케이 션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글로벌 미디어 시대로 들 어서면서 국가의 개념은 약화되었더라도 정보 부자와 정

ix


보 빈자 간 커뮤니케이션 불균형 문제는 새로운 형태로 드 러나고 있다. 때문에 글로벌 미디어 시대에 세계화의 이 상을 구현하는 지구촌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난 수 십 년간 국제 커뮤니케이션에서 제기되었던 주요 쟁점들 의 본질, 해결 방안, 미래 전망 등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국제 커뮤니케이션에서 제기되었던 주 요 이슈 10개를 선정해 이슈별로 주요 개념, 연구 내용, 대 립하고 있는 시각들을 비교 기술함으로써 이슈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책에서 다룬 10개의 아이템은 ‘국제 커뮤니케이션’, ‘맥브라이드 위원회’, ‘신국제정보질서 운 동’, ‘정보 불균형’, ‘초국적 세계질서와 커뮤니케이션 신패 러다임’, ‘미디어 제국주의’, ‘문화적 동질성’, ‘문화적 혼종 성’, ‘문화적 근접성’, ‘제3세계와 국제뉴스 보도’다. 아이템 의 선정 이유와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하면서 시대별로 국제 커뮤 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주요 쟁점들을 기술했다. 먼 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스부호의 발명부터 전 세계를 대 상으로 동시에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게 하는 위성기술에 이르기까지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과 함께 국제 커뮤니 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치, 사회, 문화적 조건들에

x


대해 기술하면서 국제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주요 쟁점과 연구 내용의 변화에 대해 설명했다. 둘째, ‘맥브라이드 위원회 보고서’에서는 1970년대 제3 세계를 중심으로 국가 간 정보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유네스코에 설치된 맥브라이드 위원회의 성격과 활동 내용,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 대해 기술했다. 특히, 1980년 맥브라이드 위원회는 제3세계와 제1세계 간 정보 불균형 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천명했고 이를 위해서 제1세계 국가들의 제 3세계 국가들에 대한 지원 노력을 강 조했다. 맥브라이드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서방 선진국들은 맥브라이드 위원회 보고서의 내용은 일방적인 요구이며, 전 세계의 언론 자유를 위해서 는 정부의 역할보다는 미디어 스스로 독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때문에 서방선진국들은 미디어 재 원의 독립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광고를 재원으 로 하는 상업방송 시스템의 구축이 중요하다는 ‘탈로아르 선언’을 하게 된다. 셋째,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에서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 시각틀이자 운동의 주요 쟁점인 국가 간 정보 불균형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했다.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은 1970년대 초 국가 간 정보 불균형

xi


을 바로잡기 위해서 제3세계가 중심이 되어 전개한 운동 으로 연도별로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의 전개 방향과 시기 별 주요 쟁점 등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에 대해 대립적인 주장을 하는 제1세계와 제3세계의 시각을 비교 기술함으로써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의 본질 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고,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인 해 국가 간 정보 불균형 문제가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가 에 대해서도 전망했다. 넷째, ‘정보 불균형’에서는 국가 간 정보 불균형의 개념 과 현황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 이션 기술이 발달하고 산업화된 ‘중심국가(core nation)’와 빈곤하고 농업이 주산업인 ‘주변국가(periphery nation)’로 구분하고 중심국과 주변국 간 정보 불균형(Information Imbalance)의 원인과 쟁점에 대해 기술했다(Hamlink, 1990). 정보 불균형이란 정보의 생산, 분배, 소비 등 정보 처리 능력이 불균형한 상태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모두를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발달한 선진 국들은 정보의 수집, 생산, 가공, 분배 능력이 뛰어나 양질 의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소비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반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저개발국들은 정보의 수집, 생산, 가공, 분배 능력이 떨어져 양질의 정보

xii


를 전달하기 힘들다.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하드웨어 기술 의 발달은 소프트웨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정보란 뉴스,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과 같은 매스미 디어 상품뿐만 아니라 학술, 재무·금융, 군사, 의학, 과학 지식과 이를 담은 콘텐츠 모두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보 불 균형은 국가 간 힘의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Hamlink, 1990). 다섯째, ‘초국적 세계질서와 커뮤니케이션 신패러다임’ 에서는 미국과 소련이 대립하던 냉전체제가 종식된 이후 패권주의가 약화되고 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묶으려 는 초국적 세계체제 이념이 대두되면서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의 개념이 어떻게 변했는가에 대해 기술했다. 공산주 의 이데올로기가 종말을 고하고 전 세계가 경제 문제에 집 중하면서 국가 간 생산, 분배, 무역, 소비를 하나로 묶는 초국적 세계체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국가 간 무역장벽을 없애고 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만드는 초 국적 경제체제는 커뮤니케이션 문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세계체제의 실현을 위해 미국은 세계를 하나로 묶는 글로 벌 정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리고 1980 년대 신국제정보질서 운동의 패러다임으로 제기되었던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 원칙’을 철회하고 ‘정보의 자유로

xiii


운 접근과 참여의 원칙’을 새로운 국제 커뮤니케이션 질서 운동 패러다임으로 제안했다. ‘자유로운 접근과 참여’를 주장하는 커뮤니케이션 신패러다임에 대해 제3세계 국가 들은 새로운 형태의 지배 전략이라 비판한다. 여섯째, ‘미디어 제국주의’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미디어 제국주의’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기술했다. 학자들의 논의에 따르면 ‘미디어 제국주의’는 힘이 약한 주변국가의 미디어 소유구조, 생산, 분배과정이 힘 있는 중심국가의 압력을 받게 되어 있는 상황을 말한다. 즉, 중 심국가의 필요에 의해 주변국의 미디어 소유구조, 생산체 제 등이 중심국의 지배를 받게 되고, 중심국에서 생산된 미 디어 콘텐츠가 주변국으로 폭넓게 유입되어 주변국의 고 유한 미디어 문화가 사라져 중심국의 미디어 문화와 동질 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미디어문화가 동질화 되는 4가지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한 진천리(Chin Chun Lee, 1979)의 논의들을 함축적으로 기술했다. 일곱째, ‘문화적 동질성’에서는 문화적 동질화의 과정과 내용 그리고 그 평가 방식에 대해 기술했다. 전 세계의 문 화가 하나의 문화로 동질화되는 ‘동질화 현상’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시각들이 존재한다. 문화의 동질성 현상 이 국가들 간 상호교류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주장

xiv


과 힘이 강한 중심국가가 이익과 필요에 따라 주변국에 일 방적으로 자국의 문화를 침투시킨 결과라는 주장이다. 특 히, 문화적 동질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학자들은 중심 국의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되어 나타나는 동질화 현상을 이끌어가는 주역들은 중심국과 주변국들의 정치적, 경제 적 엘리트들이지 문화를 향유하는 대중들이 아니라고 주 장한다. 때문에 문화적 동질화는 다수 대중의 이익이 아 닌 소수 정치적, 경제적 엘리트들을 위한 것이라고 비판한 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과 위성기술의 발달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권이 대중으로 옮겨감에 따라 문화적 동질화 과 정에서 대중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새로운 논의 가 필요하다. 여덟째, ‘문화적 혼종성’에서는 혼종성의 개념과 형성과 정, 평가에 대해 기술했다. 혼종성이란 서로 다른 문화가 뒤섞여 하나의 문화에서 다중적인 정체성이 나타나는 것 을 의미한다. 중심국의 문화가 주변국으로 전파될 때 주 변국의 고유한 지역문화와 결합되어 중심국의 문화와 다 른 새로운 문화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이같은 문화적 혼 종성에 대해서는 문화의 세계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 생하는 것이라는 주장과 초국가 미디어 기업들이 자신들 의 문화를 세계로 확산시키기 위해 의도된 전략에 따라 만

xv


들어낸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문화적 혼종성의 구체적인 사례로 포맷 교역 프로그램의 성장과 문화적 보편성을 강 조하는 초국적 미디어 기업들의 문화 상품들을 예시로 설 명했다. 아홉째, ‘문화적 근접성’은 수용자들이 해외에서 제작된 영상물을 수용하는데 자국의 문화와 근접한 내용과 정서 를 담은 영상물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영상물은 언어, 규 범, 가치관, 정서 등을 반영하는 문화 상품이기 때문에 수 용자들은 자국의 문화와 이질적인 내용의 영상물보다는 자국과 유사한 문화를 담은 영상물을 거부감 없이 수용한 다는 것이다. 때문에 ‘문화적 근접성’은 글로벌 미디어 시 대에도 지리적, 문화적으로 근접한 국가들의 영상물들이 지역적으로 활발히 유통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해 주는 주 요개념이다.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한 류’의 인기 현상도 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열째, ‘제3세계와 국제뉴스 보도’에서는 신국제정보질 서 운동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던 제3세계 국가들의 뉴 스 보도에 대한 비판들을 기술했다. 이 비판들은 특히 뉴 스가치의 문제와 관련해 제3세계 국가들의 뉴스는 양도 적을 뿐만 아니라 주로 부정적이고 위기와 관련된 뉴스가 많아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xvi


도구가 되고 있다고 말한다. 특히 국제적 분쟁과 관련된 뉴스의 경우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선진국들의 통신 사에 의해서 구성된 뉴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기 때문 에 선진국들의 시각대로 전 세계 여론이 형성된다고 본다. 국제뉴스 보도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국제뉴 스 보도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들을 설명하기 위해 대표 연 구들의 연구내용과 결과를 요약 기술했다.

이 책에 기술된 10개의 핵심 쟁점들은 글로벌 커뮤니케 이션 시대에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목표는 전 세계인들이 상호 소통하고 교 류함으로써 상호 이해를 높이고 공동 번영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제기되었던 국제 커뮤 니케이션 쟁점들의 본질을 파악해, 전 세계 국가들이 하나 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한정된 커뮤니케 이션 자원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정책들 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xvii


참고문헌 Hamlink, C.(1990). Information Imbalance: Core and Periphery. in J. Downing, A. Mohammadi & A. SrebernyMohanmmadi(Eds), Questioning the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00217-228, London, Sage. Johnson, D.(1994). The idea of a Liberal Theor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rjorie Ferguson(1992). The Mythology about Globalizat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7, pp.15∼30. Marshall McLuhan & Bruce M. Power(1989). Global village: Transformation in the World life and media in the 21st century, Media.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xviii


차례

글로벌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기본권

v

01

국제 커뮤니케이션

02

맥브라이드 위원회 보고서

03

신국제정보질서 운동

04

정보 불균형

05

초국적 세계질서와 커뮤니케이션 신패러다임

06

미디어 제국주의

07

문화적 동질성

57

08

문화적 혼종성

65

09

문화적 근접성

73

10

제3세계와 국제뉴스 보도

1 9

19

27

47

81

3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