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의이해_맛보기

Page 1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 속에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욕구가 높 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주 제를 10개 항목으로 묶어서 달걀 꾸러미처럼 엮었습니다. 사회의 변 화를 빠르게 알기 원하는 대중과 시대에 앞선 지식을 단시간에 알고 자 하는 연구자, 실무자,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편집자 일러두기 ∙ 이 책은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및 디자인대학의 문화예술교 육사 교육 인증 과목 ‘문화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의 이해’에 대한 저 자의 강의를 바탕으로 엮었습니다. ∙ 외래어 표기는 현행 한글어문규정의 외래어표기법을 따랐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이정화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지은이 이정화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4년 4월 15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eeel.net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3F Cheongwon Bldg., 571-17 Yeonnam-dong Mapo-gu, Seoul 121-869,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북스(주)가 저작권자와 계약해 발행했습니다. 본사의 서면 허락 없이는 어떠한 형태나 수단으로도 이 책의 내용을 이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이정화, 2014 ISBN 979-11-304-0195-9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안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시작 우리는 학교에서 음악이나 미술교육을 받았고 조금 더 문 화예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문예회관, 도서관 등 지 역의 문화시설이나 백화점, 쇼핑센터 등의 문화센터에서 문화 강좌나 예술 강좌를 접해 보았을 것이다. 이렇게 문 화예술교육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 다시 문화예술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언 론에도 언급되는 횟수가 잦아지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 고 있다. 특히 학부모라면 다른 일반인보다 관심을 많이 갖고 접했을 것이다. 2005년에 정책적으로 본격 시행된 문화예술교육은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더 확대 실시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최근의 정부계획만 보더라도 2017년까지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중·고교에 문 화예술교육사(또는 예술 강사)를 파견하고 ‘예술꽃씨앗학 교’와 방과 후 돌봄교실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5일제 의 확대에 따라 토요문화학교, 한국형 엘시스테마인 ‘꿈의

v


오케스트라’ 거점 기관 확대, 지역 아동센터의 방과 후 프 로그램, 방학 중 문화예술 캠프 등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계 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렇게 교육이 다양해지는 것은 정책 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술 강사는 지금까지 문화예술교육 교수 활동 을 담당하던 인력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주관하는 문화체 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교육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2년에 개정한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에서 예술 강사가 담당했던 교수를 포함하여 기획, 진행, 평가, 분석 등을 담 당할 문화예술교육사를 신설하였다. 하지만 문화예술교 육사를 배출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여 법령에서 정한 교 육사 의무 활용은 3년이라는 유예 기간이 있다. 이에 2015 년 전까지는 ‘예술 강사’라는 용어로, 2015년부터는 ‘문화 예술교육사’라는 용어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를 취득하기 위한 과목은 1급의 경우에 문화 정책 사례 연구, 예술경영(행정), 문제 해결 기법, 문 화예술교육 협력과 파트너십, 한국의 문화와 미의식, 문 화예술교육 과정 설계, 문화예술교육 사례 워크숍, 예술 치유, 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공동체 기반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로 구성 되었다. 2급은 이 책의 바탕이 되는 문화 정책 및 문화예

vi


술교육의 이해를 비롯하여 문화 행사 기획, 커뮤니케이션 기법, 예술교육 상담, 교육학 개론, 교육 심리, 교육 평가, 장르별 교육론, 장르별 교수학습 방법(유아, 초등, 중등, 일반), 장르별 감상과 비평, 창의적 방법을 통한 장르별 교 수법, 장르별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장르별 교육 교 재·교수 개발과 활용, 통합 예술교육 프로그램 이해, 기 획·제작과 시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교육사 2급은 민·관 영역 현장 강사 및 기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자로 고등교육 법상 대학교·전문대학·각종 학교 및 대학원에서 미술, 음악,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디자인, 공예, 만화·애니메 이션 등 예술 관련 분야를 전공하여 졸업한 전공자(대학 교 수강 과목 중 인정 과목을 포함하여 9과목 18학점)와 비전공자·고졸자(지정 교육 기관에서 19과목 48학점), 학교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예술 강사(연수 140 시간 이상·경력 3년 이상), 중요무형문화재 이수자(전수 교육 이수증 소지자·경력 3년 이상)가 취득할 수 있으며 전공자와 비전공자는 지정 교육 과정을 필히 이수하여야 취득할 수 있다. 1급은 수준 높은 교수 활동과 문화예술교 육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 활동을 할 수 있는 자로 전공자 및 비전공자 중 2급 취득 후 경력 5년 이상인 자와 학교 및

vii


사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예술 강사 중 연수 수료 시점 부터 경력 5년 이상인 자가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7과목 이상 180시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자격 취득 후 경력 규정 조항으로 인해 당분간은 2급만 배출될 것으로 보인 다. 경력은 문화예술교육 시설, 교육 단체 및 지역 센터에 서 기획, 교수, 진행, 분석, 평가 등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국가 및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학교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수 업무를 수행한 경력을 말 한다. 문화예술교육사 취득과 관련된 정보는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http://www.arte.or.kr)의 문화예술교육사 홈페이지(http://acei.arte.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외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은 해외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유럽의 정체성과 통합을 위하여 예 술교육을 중요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지원하고 있다. 미 국 국립예술진흥기금(NEA)에서는 “예술을 배우고 상상 력을 시험하고 잠재적인 창의력을 계발할 기회는 모든 사 람에게 주어져야 한다”는 기본방침 하에 평생교육의 관점 에서 수준 높은 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첫째, 예술 자 체의 우수성을 추구한다. 둘째, 예술가와 그들의 작품을

viii


직접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경험과 인식력, 창의력을 높이고 예술 작품에 대한 예리한 관찰, 토의, 질문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예술의 역사와 예술가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며 사물에 대한 인지력, 사고·해석·의 사소통을 개발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한다. NEA에서는 우수한 예술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 트와 프로그램은 의미 있는 일로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예술교육을 지원할 때 분명하게 명시된 교육목표를 가지 고 있어야 하고 조직적인 지도력, 숙련된 직원, 충분한 예 산, 시설, 장비, 기획, 프로그램, 지역사회의 참여가 뒷받 침되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영국이나 미국, 프랑스,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 문화예술교육(또는 예술교육)을 진행하 고 있으며 정부나 정권의 성격에 따라 명칭이나 범위, 지 원 규모는 변하지만 시행과 지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 고 있다. 영국은 교사와 협력하여 학교에서 교육하는 ‘크리에이 티브 파트너십(CP, Creative Partnership)’이라는 대표적 인 프로그램이 있다. 현재 우리 시스템과 상당 부분 유사 하다. 이는 학교교육 시스템 내에서 교과과정에 창의적이 고 통합적인 교육방법론을 접목하여 창의적 인재를 양성 하기 위함이다.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법률은 별도로 존

ix


재하지 않고, 정책은 정부 주도형과 민간 주도형의 중간 형태로 관련된 여러 기관과 단체가 섞여 역할이 중복되는 복잡한 구조로 나타난다. 기본적인 예능교육은 주로 일반 교원이 담당하는 대신 학교장 재량에 따라 음악, 미술, 디 자인 전문가를 교원으로 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 술교육가를 양성하기 위한 제도로 예술가 교사 연수 제도 와 같은 전문가 협회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있고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사와 유사한 음악교육가 자격 제도를 2013 년에 실행한다. 또한 우리와 같이 미술, 음악 외에 독립 교 과는 없으며 연극은 영어 교과에서 무용은 체육 교과에서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이나 단체와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다. 다언어 다민족의 소외 계층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학교를 중심으 로 우수 사례가 많은데 예술 특성화 학교의 전교생 대상 악기 경험 수업과 수학·과학-무용, 종교-연극·무용, 외 국어-연극, 역사-음악·미술 등의 통합 교과 수업, 그리고 예술 발표회, 어린이 환자를 위한 예술 치료 프로그램, 정 규 교육 소외 청소년(학교 이탈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노 인 대상 프로그램 등의 사례가 있다. 프랑스는 우리의 부처 간 벽 허물기와 같이 1983년 문 화부 장관과 교육부 장관의 협정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하

x


였다. 정규 수업 시간에 무지개 수업, 문화재 수업 등을 편 성하여 예술가들이 학교에서 학생과 직접 교감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하고 있다. 교육부와 문화부에서는 2000년 문 화예술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첫째, 문화예술교 육은 보충 과목이 아니다. 둘째, 예술 실기 활동을 보편화 하고 문화 접근 기회를 확대한다. 셋째, 학교는 예술을 통 한 민주화 실현에 가장 적합한 장소다. 넷째, 문화예술교 육으로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이룬다. 다섯째, 문화예술 교육으로 공동체 삶 교육에 도움을 준다. 이렇듯 미래 예 술가 양성보다는 다른 과목의 문화적 접근에 주안점을 두 고 최근에는 과학기술 문화에 대한 인식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박물관의 교육 기능을 강화한 ‘박물관특별법’과 의 무교육 이후에 지식과 능력 전반을 중심으로 학교 통합 문 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지식과능력의공동기반 에대한법령’ 등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령이 있고 우리의 예 술 강사와 같은 예술교육 참여 인력에는 참여예술가나 협 력예술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중학교 수준에서는 초등 학교 때보다 예술교육 편성 시간이 축소되었지만 타 유럽 국가에 비해 예술 과목 편성 시간이 높은 편이고 문화예술 교육에 시각예술과 음악, 조형예술, 건축, 응용예술, 취미 예술, 영화, 서커스예술, 과학기술적 문화, 무용, 문화유

xi


산, 사진, 연극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정규 수업 시간과 교 과과정 범위 내에서 모든 학생에게 문화예술 경험을 제공 하는 ‘문화프로젝트’ 수업과 각기 다른 교과과정을 참조하 면서 교차 수업의 실제를 보편화하는 ‘발견의 여정’ 수업 과 같이 프랑스의 문화예술교육은 기존 교육 구조에 통합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접목하는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독일의 문화부 장관 베언 노이만(Bernd Neumann)은 “문화와 문화교육은 한 사회를 유지하고 좀 더 가치 있는 곳으로 만드는 중요한 사회적 유산을 후세에 전달하는 역 할을 한다”고 말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학에 한 정하지 않는 사회학과 세대를 아우르는 교육학까지 포괄 하는 개념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최대 수혜자로 하되, 문화를 하나의 평생교육 개념으로 인식해 성인과 실버 세대도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 술교육을 이론과 실무 체험으로 구분하여 정규 과정에서 는 이론을 중점으로 하고 정규 과목 외에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방과 후 프로그램은 100% 자율로, 참여 여부와 방식에 강제성이 없어 교사와 학생 모두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다. 교외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 및 단체와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다.

xii


독일에는 2004년에 시작된 문화예술교육 중심의 종일 반 제도가 있고 2003년에 시작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 는 방과 후 악기 연주 프로젝트인 ‘모든 아이들에게 악기 하나씩’과 ‘학교와 지역 문화가 실천하는 문화예술교육, 문화와 학교’, 각종 문화 기관 네트워크를 구성해 공동 서 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각종 문화축제와 행사를 지원 하는 ‘쿨투어 프로젝트 베를린’, 2003년에 시작되어 대학 교 강의를 어린이에게 개방하는 ‘교육 수혜자의 눈높이에 맞춘 미리 듣는 고등교육, 어린이 대학교’ 등의 사례가 있 다. 또한 피부색, 종교 등에 상관없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통합 학교를 주장한 슈타이너(R. steiner)의 교육 이념을 따른 게오르그자유학교(Freie Georgenschule; 또는 발도 르프학교(Waldorfschule), 슈타이너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교육은 예술이다”라는 말처럼 실행과 예술 에 초점을 맞춰 예술을 통한 감성교육을 중시한다. 현재 이 학교는 독일 내 180여 개가 있고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전 세계에 800개 이상이 존재한다. 미국은 학교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을 장려하고 있다. 문 화예술교육은 “다양한 인종의 학생을 어떻게 교육을 통해 미국인으로 키워낼 수 있을까”하는 고민에서 출발했으며, 이 고민의 해결책을 제시해 줄 방안으로 문화다양성 교육

xiii


이 1980년대 이후에 미국 문화예술교육계의 중심 축의 하 나로 성장해 왔다. 학교와 지역 문화예술교육 기관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실시하고 있는 문화 다양성 교육을 강조 한다. 관련하여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가 1983 년에 처음 제안한 이론으로 다중 지능 이론이 있다. 여기 에 따르면 사람에게는 언어, 음악, 신체 운동(춤, 연기 등), 공간, 자연, 논리 수학, 자기 이해(자기 성찰), 대인 관계 (인간 친화)의 8개 지능이 있다. 특히 인간이 새로운 것을 창작해 낼 때는 다른 영역의 지능을 연결해 활용한다. 그 래서 문화예술교육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 다른 과목 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교육방법론인 통합 교육 이론을 활 성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에 익숙한 세대를 위 하여 다양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교육 방법으 로 미디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창의 학교를 통해 미국의 미래를 담보한다”는 목 표로 예술교육에 재투자를 하고 있다. 첫째, 연구자, 학교 교사, 예술가 간 공동 협력하여 공동 작업을 한다. 둘째, 예술 통합 영역을 발전시킨다. 셋째, 예술 강사의 학교 내 활동 기회를 확대한다. 넷째, 2012년 교육과정에서 예술 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방 정책과 국가 정책을 활 용한다. 다섯째, 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한 많은 증거를 수

xiv


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대통령 산 하 예술인문학위원회가 전국을 대상으로 조직적이고 활 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법률로는 전국에 영향을 미치 는 예술 과목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표준으로 국립예술교 육표준이 있다. 이 표준은 1994년에 국립예술교육연합에 서 제정하였으며 어린이와 청소년이 예술 과목에 대해 배 워야 할 내용과 성과 기준을 미술, 음악, 연극, 무용 등 4가 지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연방 정부가 예술을 주 요 학습 과목으로 설정하는 ‘미국교육법, 목표 2000(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이라는 연방 정부 법률이 있 다. 이 법은 초·중·고등교육법의 마지막 버전으로 문화 예술교육 강화를 지지하는 법률안이다. 사례로는 주5일 제와 관련하여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는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과 다중 지능 이론 등 타 교과목과 연계하는 통합 교육, 그리고 예술에 특화된 ‘예술꽃씨앗학교’ 등이 있다. 근대 미국에서는 예술 통합 교육(예술 자체뿐 아니 라 교육과정 전반을 연결시키는 도구를 활용)을 시도해 왔다. 이러한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약 25년간의 연구 및 현장 경험을 실시한 결과, 교과 과정의 25% 이상을 예술 교과에 할애한 학교의 학생들의 학과 성적이 월등한 능력을 보였으며 예술 통합교육은 읽

xv


기, 쓰기, 사회와 수학, 과학에 기여하고 지적 기술에 방해 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교육을 통하여 다양 한 소리나 모양, 다양한 상징에 더 자연스럽게 반응하였고 새로운 시각, 인식 방법, 이해 방법으로 읽기, 쓰기를 증진 시켰다. 미국 국립예술교육연구소는 이렇게 예술이 학문 적 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생의 자율성과 자기표현 함양 환경을 제공한다고 제시한다. 우리나라는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다양한 문화예술교 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2010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 교육 대회’를 개최하여 “서울아젠다: 예술교육 발전 목표” 를 제시하였다. 평생 문화예술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평생 학습(Lifelong Learning)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재구 조화한다는 내용이었다. 첫째, ‘전문적인 예술교육 활성 화를 위한 근본적·지속적 요소로서 예술교육의 접근성 을 확대한다’는 목표로 4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① 어린이 와 청소년의 감성적·미적·사회적·인지적·창의적 능 력의 조화로운 계발의 근간으로서 예술교육을 주창한다. ② 예술교육을 통한 평생교육 및 세대 간 통합 교육을 촉 진하고 장려한다. ③ 예술교육을 위한 정규·비정규 교육 시스템 및 구조를 재구축한다. ④ 예술교육의 가치를 널 리 알리기 위해 예술교육 정책을 활성화하고 예술교육 리

xvi


더십을 제고할 수 있는 역량을 계발한다. 둘째, ‘예술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의 착상 단계에서부터 실행 단계에 이르 기까지 양질의 수준을 유지한다’는 목표로 4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① 학교 안팎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예술가와 교육자 간의 협력을 촉진한다. ② 교육자와 예술가,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예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기회를 제공한다. ③ 다양한 분야의 사회구성원들 간 에 예술교육을 위한 파트너십을 개발한다. ④ 예술교육의 이론 및 실무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를 촉진한 다. 셋째, ‘오늘날 세계가 직면한 사회적·문화적 도전 과 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예술교육의 원리와 실 천을 적용한다’는 목표로 4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① 사회 전반의 창의적·혁신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예술교육 을 적용한다. ② 사회적·문화적 복지를 향상시키는 예술 교육의 역할을 인식하고 발전시킨다. ③ 사회적 책무, 사 회적 통합, 문화 다양성 및 문화 상호 간 대화를 촉진함에 있어 예술교육의 역할을 지원하고 제고한다. ④ 세계평화 에서부터 지속 가능한 발전에 이르기까지 전 지구적 도전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예술교육의 역량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개선과 양적 확대를 하고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화 및 기회를

xvii


확대하며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 를 형성하고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을 마련하여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화 역 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서 우리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두 기관 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주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문 화예술교육을 통해 무용 신체 활동을 통한 표현력 향상, 연극에서 역할극을 통한 공감능력 향상, 문학 활동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영화와 인문학의 만남을 통한 교양 함양, 미술 놀이를 통한 가족 간 유대감 강화, 음악 밴드 활동을 통한 건전한 또래 문화 형성 등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과 아동·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 등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그리고 교육 주관 부처인 교육 부와 함께 ‘꿈과 끼’를 키우는 교육인 문화예술교육에 대 한 협력 강화라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지 원하는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 체험을 통한 창 의성 함양 및 고양, 문화예술을 통한 세대·계층 간 이해

xviii


공감 증진의 문화 수용력 제고, 상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강화, 문화예술교육의 선순환적 협력 체계 구축, 문화예 술교육 인프라 강화를 통한 교육 기반 질적 제고 등을 통 해 상생과 공존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비전 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현재 배출되고 있 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인증 교육 과목인 ‘문화 정책 및 문 화예술교육의 이해’(직무 소양)의 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 다. 또한 다른 직무 소양 과목인 ‘문화 행사 기획’의 교육 내용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실 문화예술교육을 이 한 책에 담기에는 너무 광범위한 내용이다. 음악, 미술,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디자인, 공예, 만화·애니메이션 등 문화예술을 위한 과목은 제외하더라도 자격증 취득을 위한 것만 26과목(1급 11과목, 2급 15과목)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있거나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등을 통해 문화예술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개념서 역할이 되었 으면 하는 바람으로 썼다. 총 10개의 주제로 문화예술과 교육, 문화 차이, 문화 자 본,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과 정책, 문화 정책, 문화예술

xix


정책, 문화예술교육 정책, 문화예술교육 시설, 문화예술 교육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주제는 ‘문화 정책 및 문 화예술교육의 이해’라는 과목의 수업 주제와 많은 부분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첫째, ‘문화예술과 교육’은 문화 예술교육에서 말하는 문화와 예술은 무엇이며 문화예술 에 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다루고 있다. 둘째, ‘문화 차이’는 문화의 차이가 왜 발생하고 차이에 의한 격차는 무엇이며 이 격차를 발생시키는 자본은 무엇인지 다루고 있다. 셋 째, ‘문화 자본’은 자본 중 문화의 차이에 관여하는 자본으 로 문화 자본이 무엇이며 교육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를 다루고 있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은 문화 자본의 축적 을 통해 문화 차이를 줄이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원리, 범위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전의 문 제점 등을 다루고 있다. 다섯째, 문화예술에 정책이 왜 필 요하고 무슨 한계가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여섯째, ‘문화 정책’은 광복 이후(1945)부터 제6공화국(1993)까지의 문 화예술 정책이 곧 문화 정책이던 기간의 우리 문화 정책을 다루고 있다. 일곱째, ‘문화예술 정책’은 문민정부(1993) 부터 박근혜정부(2013)까지로, 문화예술 정책에서 문화 산업 정책이 분리되어 등장하던 시절부터 문화예술이 본 격 시행된 2005년을 지나 지금까지 우리 문화예술교육 정

xx


책을 다루고 있다. 여덟째,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지속적 으로 변화해 온 문화 정책 및 문화예술 정책 안에서 문화 예술교육 정책은 무엇이며 왜 시작되었는지 다루고 있다. 아홉째, ‘문화예술교육 시설’은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 는 현장이자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할 문화예술교육사가 활동하게 될 문화예술교육 시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열째,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에서 활동하게 될 문화예술교 육사를 알아보고 그를 통해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과 정책에 맞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과 전망이 무엇인 지 살펴본다. 문화예술교육사와 관련된 ‘문화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 의 이해’와 ‘문화행사 기획’을 지정 교육기관 및 대학교에 서 강의하면서 과목에 적합한 책을 찾기가 어려웠던 경험 이 있다. 관련 책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바로 이 책의 출 간 배경이 되었다. 예술경영 등 다른 분야와 다르게 문화 예술교육 전체를 다루거나 문화예술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화 정책에 관한 책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우리가 문화와 예술을 이야기하고 문화예술교육이 확대되고 있 지만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책이 부족하다는 것은 이 분야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참여하고 있는 사람, 모두에게 아쉬운 일이다. 그래서 이 책을 시작으로 문화

xxi


예술교육에 관한 다양한 책이 출판되기를 기원한다.

참고문헌 유은옥(2007). 󰡔‘반복 · 변화’ 표현원리 중심 예술통합 교육이 아동의 예술 표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혜경(2002). 󰡔초등미술 교육에서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 통합, 그 논의와 실제󰡕. 광주교육대학원. 최보연 외 3인(조사·분석), 김자영(정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기획)(2013).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영국 · 프랑스 · 독일 · 미국 ·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사이트(2013.05). ‘주요정책’. http://www.law.go.kr 문화체육관광부(2010.06.09). 전 국민 평생 문화예술 환경 구축. 정책브리핑. Gray O. Larson(1997). Lifelong Journey−An Education in the

Arts.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이은옥 옮김(1998). 󰡔평생의 여정−예술교육󰡕.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Final version(2010.05.28).

xxii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