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위성 텔레비전_맛보기

Page 1

아랍 위성 텔레비전



아랍 위성 텔레비전 마완 크레이디 · 조 칼릴 지음 이효성 옮김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아랍 위성 텔레비전 지은이 마완 크레이디 · 조 칼릴 옮긴이 이효성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2년 8월 1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commbooks.com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3F Cheongwon Bldg., 571-17 Yeonnam-dong Mapo-gu, Seoul 121-869,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First Published in English by Palgrave Macmillan, a division of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under the title, Arab Television Industries by Marwan M. Kraidy and Joe F. Khalil. Copyright ⓒ 2009 by Marwan M. Kraidy and Joe F. Khalil All Rights reserved. Korean translation edition ⓒ 2012 by CommunicationBooks, Inc. This edition has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under licence from Palgrave Macmillan. The authors have asserted their right to be identified as the author of this Work.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한국어 판권은 베스툰 코리아 에이전시를 통하여 저작권자인 Palgrave Macmillan과 독점 계약한 커뮤니케이션북스(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이 책은 MBC재단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습니다. ⓒ 이효성, 2012 ISBN 978-89-6680-056-8 책값은 뒤표지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옮긴이의 말

지난 1990년대 이후 아랍권역에 인터넷, 위성방송 등 차별화된 형태의 새로운 미디어가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대부분 아랍 국가 들에서 국영방송 사업자들은 강력한 내수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었다. 반면 민영 지상파 채널들은 제한적 역할에 머물러 있었 다. 하지만 시장 개방화 바람과 걸프전을 계기로 민영 위성방송은 아랍 시장에서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를 계기로 아랍권의 영상 산업도 새로 운 시장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이 지역 위성방송 산업은 TV광고 수익 이 무려 12조 원 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200여 개의 위성 채널들 이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아랍권역의 위성방송 등 다양한 매체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저 알자지라al-Jazeera 정도나 들 어 알고 있는 수준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성과 역시 크 게 미흡한 게 사실이다. 다행히 최근 일부 학술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 으나 이 지역 미디어 산업을 기술적으로 조망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외적으로 미디어법 통과와 FTA 확대 등으로 매체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국내 방송 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아랍 방송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과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방송 콘텐츠의 진출이 부진한 해외 시장에

v


대한 진입 가능성을 타진하는 차원에서 아랍권 방송에 관해 다각도의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책 󰡔아랍 위성 텔레비전󰡕은 범아 랍권 방송매체에 대한 소개서로서뿐만 아니라 아랍권의 방송이 정치·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이 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아랍 텔레비전의 역사, 발전, 그리고 현재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 성돼 있다. 우선 1장은 아랍 텔레비전의 역사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텔레비 전 산업의 새로운 환경과 관련된 기본적 사실과 분석을 제시한다. 2장 은 범아랍권의 오락 채널을 다룬다. 각 채널의 발전, 제작, 편성 전략, 그리고 정치적 배경 등에 대해 기술한다. 3장은 틈새채널과 사회·문 화적 변화를 다룬다. 새롭게 등장한 오락 채널들에 의해 확산된 편성 장르들이 아랍 세계에서 일고 있는 사회·문화적 변화 논쟁에 어떻게 합류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4장은 범아랍 뉴스 채널을 다루 고 있다. 카타르Qatar 소재 알자지라al-Jazeera는 물론 사우디아라비아가 설립한 알아라비야al-Arabiya 등 주요 채널들을 다루고 있다. 5장은 라마 단과 드라마, 코미디, 종교 프로그램을 다룬다. 특히 이 장은 아랍 텔레 비전의 최고 시즌인 라마단과 관련해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마 지막 6장은 아랍의 텔레비전 정책과 규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장은 주로 아랍 텔레비전이 작동되는 글로벌 지정학적 맥락과 함께 아랍 미디어 형성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정부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아랍 위성 텔레비전은 물론 상호작용의 대상인 정치·경제·사 회·문화적 요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을 두루 묘사하고 있어 이 책의 주 독자층의 범주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언론학자 와 예비 학자인 대학원생, 그리고 관련 전공을 공부하는 학부생들에게

vi


국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문적 통찰력을 심어 주는 데 유용할 것이 다. 또한 언론과 방송 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아랍권의 다양한 언론, 미디어, 위성방송 형태에 대한 소개를 접하게 함으로써 실제적인 차원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21세기 디지털 지식정보 시대의 사회 현상에 대해 위성방송과 미디어적 관점에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심화시키고자 하는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책이 될 것으로 확신 한다. 이 책이 번역돼 출간되기까지 후원해 준 방송문화진흥회에 감사를 표한다. 또한 크게 돈벌이가 되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출간하기로 결정 한 커뮤니케이션북스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특히 번역물을 출간에 적합한 모양새를 갖추도록 스타일과 문장, 용어 교정에 세심한 배려와 노고를 아끼지 않은 커뮤니케이션북스의 편집진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무엇보다 그동안 내조해 준 아내 박성경과 학업에 정진 하고 있는 큰아들 기윤과 둘째 기준, 그리고 막내 하니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2012년 7월 이효성

vii


머리말

아랍 텔레비전은 지난 2001년 9·11 테러 직후 발발한 아프가니스탄전 쟁을 계기로 세계 무대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카타르 에 본부를 두고 있던 범아랍권 위성 뉴스 채널 알자지라al-Jazeera는 BBC 와 CNN 등 세계적 뉴스 네트워크를 제치고 연일 특종을 보도했다. 특 히 알자지라는 알카에다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의 비디오 메시지를 방영함으로써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는 아랍 미디어의 문제점을 구체 적으로 드러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자아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까 지만 해도 아랍 텔레비전 산업은 전 세계의 학계나 언론계, 분석가 등으 로부터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따라서 꽤 유명한 알자지라가 등장하긴 했지만 아랍 텔레비전의 괄목할 만한 성장이 널리 알려지지 못했던 것 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이런 제한적인 인지도는 현재 이 지역의 텔 레비전 산업에 대한 인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랍 텔레비전에 대해 얘기하다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도 알자지라만을 떠올린 다. 이는 학식 있는 연구자나 언론인도 마찬가지다. 일련의 저서들도 알 자지라에만 초점을 맞출 뿐 아랍권 텔레비전 전반에 대해서는 소홀했 다. 아랍권 방송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못한 셈이다. 2001년 9·11 이후 알자지라 방송은 아랍 미디어의 대표주자로 부상했지만 이 는 아랍권 텔레비전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을 깨우치기보다는

viii


오히려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 1990년대 이후 아랍권 텔레비전 산업의 성장은 놀라울 정도였다. 지난 20여 년 동안 사회·경제 발전과 정치선전, 지도자 숭배에 혈안이 었던 내셔널 방송 시스템은 범아랍권 위성방송 산업에 자리를 내주었 다. 위성방송사들의 소유 형태나 정치·경제적 의제는 국가적 이익뿐 만 아니라 민영방송사의 의제와 겹치거나 경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 다. 미디어 산업의 이 같은 혁명적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범아랍권역은 20여 개 국가로 구성돼 있으며 전 세계 유전의 절반 이상이 존재하는 곳 이기도 하다. 또한 이 지역은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이 발생한 역사적 지역이며 냉전 이후 이데올로기와 종교, 군사적 갈등이 가장 심한 곳이 기도 하다. 이런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는 현재 아랍권 텔레비전 업계의 변화 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제도적 정체성, 정치 적 관점, 그리고 상업적 의제가 서로 상이한 몇몇 주도적인 방송사가 업 계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아랍 텔레비전 산업에 대해 보다 폭넓은 시각 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디어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된 기존 모델은 아랍 텔레비전 업계의 급격한 변화상을 설명하는 데 이상적이지 못하다. 이 지역 텔레비전 산업은 급격히 변했고 비즈니스, 정치, 이데올로기, 종 교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 점점 상업화되고 있는 아랍 텔레비전 산 업은 독재정치 행위와 결합돼 변하고 있다. 따라서 아랍 텔레비전 산업 을 할린과 만치니(Hallin & Mancini, 2004)가 개발한 자유주의적 미디 어 모델로 간주하는 것은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정치적 통제가 일관되 게 이루어지는 것도 아닐뿐더러 경제적 이익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압박을 받기도 하고 완화되기도 하는 측면에서 보면 시버트와 동료들 (Siebert et al., 1956)이 제시한 권위주의 모델이나 동원미디어 모델

ix


(Rugh, 2004)로 간주하기도 부적절하다. 아랍 텔레비전은 소비에트 공 산주의의 표준화 영향하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소련 해체 이후 인근 국 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미디어 모델과도 다르다. 아랍권 방송은 지난 1990년대 초반 위성방송 기술이 도입돼 초국적 영역으로 변모될 때 최 소한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 시스템으로 진화해 왔다. 지난 1990년 무 렵 아랍권 방송은 아랍위성기구Arab Satellite Organization, ARABSAT가 설립 한 범아랍 위성 기술과 기반 시설 덕분에 초국적 단계로 진입하게 됐다. 아랍권 텔레비전이 ‘집적과 분배’라는 쌍둥이 논리 구조로 초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범중화권 영화·텔레비전 산업과 유사한 점이 있다. 하지만 범아랍 텔레비전 산업은 보다 통합된 형태의 단일 시 장이다. 공통의 아랍어를 사용하고 있고, 문화·종교적으로 유사할 뿐 만 아니라 위성 기술의 집적도 차원에서도 그렇다. 이 책은 구조적 차원 뿐만 아니라 내용과 영향력 차원에서 범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지평은 이전까지의 아랍 내셔널 방송은 물론 현재의 글로벌 미디어 시스템과 도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 책은 아랍 국가들의 정치적 발전, 텔레비전 산업, 그리고 글로벌 맥락 간 역동적 관계를 생각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

∙ 주요 지정학적 발전 요인들은 아랍 텔레비전의 성장에 어떤 영향 을 미쳤나? ∙ 다양한 정치·경제·종교적 의제는 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발전 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 주요 방송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위성 텔레비전 혁명’ 발생 20년이 지나면서 뉴스와 오락 텔레비전 의 형태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분화되고 있는가, 통합되고

x


있는가, 아니면 둘 다인가? ∙ 인터넷과 모바일 미디어 등 뉴미디어 기술의 도입은 텔레비전 정 책, 제작, 프로그래밍, 분배, 그리고 시청 행태에 어느 정도 영향 을 미쳤나?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면서 저자들은 최근 아랍 지역의 정 치·경제·사회·문화적 발전에 영향을 미친 텔레비전의 역할에 대해 서도 고찰한다. 이는 텔레비전과 사회는 서로 긴밀한 관련이 있다고 보 기 때문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신제도주의적neo-institutionalist 관점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관점은 텔레비전 산업을 정치·경제·사 회·이데올로기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접근 방법이다. 저자들은 독자들에게 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다원성과 반향성, 그 리고 내부적 경쟁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알자지라가 아랍 텔레비전 뉴스 분야에서 선두 주자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오랫동안 지속돼 온 서구 뉴스 매체와 서구 뉴스 에이전시 지배 체제로 점철돼 온 글로벌 맥락에서 알자지라의 등장은 독창적이고도 역사적인 발전이었다. 하 지만 이 책은 알자지라를 넘어 470여 개(2009년 4월 현재)의 초국적 위 성 채널로 구성된 아랍 텔레비전 산업에 대해 보다 폭넓은 지평을 열고 자 한다. 이 채널들은 뉴스 네트워크는 물론 일반 오락, 음악, 스포츠, 종교, 비즈니스 채널 등으로 구성돼 있고 다양한 국적의 광범위한 아랍 어 사용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보면 대서양의 모 로코로부터 중동의 북동부에 위치해 있는 이라크까지 이른다. 또한 북 미, 유럽, 호주, 서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전 세계에 퍼져 있는 다양 한 아랍어권 커뮤니티 역시 아랍 텔레비전의 편성 전략에 포함된다. 이 책에서 두 저자는 서로 가지고 있는 상호 보완적 능력을 최대한

xi


발휘하고자 노력했다. 크레이디Kraidy는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 글로 벌 커뮤니케이션과 아랍 미디어에 대해 저술하고 있다. 칼릴Khalil은 박 사 학위 과정을 공부하기 위해 미국으로 가기 전인 지난 1990년대 중반 베이루트와 로마, 두바이 등에 있는 아랍 텔레비전 업계에서 경험을 쌓 은 바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업계에 대한 내부적 지식과 학술적 분석을 바탕으로 역동적으로 기술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책 은 다른 책에서 얻을 수 없는 업계의 현실에 대한 면밀한 정보와 지식은 물론 풍부한 경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념적으로 견고한 분석을 제 공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저자들은 아랍권에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위 성이 도입되던 시기에 성년기를 보냈음은 물론 주로 아랍 미디어 현장 에서 경력을 쌓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아랍 텔레비전에 대한 개인적 차 원의 경험을 간간이 기술할 것이다. 저자들은 또한 아랍어로 된 일차 자 료와 이차 자료에 크게 의존했다. 분석은 이집트(Khalil), 요르단(Kraidy & Khalil), 쿠웨이트(Kraidy), 레바논(Kraidy & Khalil), 사우디아라비 아(Khalil), 아랍에미리트연합(Kraidy & Khalil), 그리고 영국(Kraidy) 에서 실시된 현장 실무fieldwork와 개인 인터뷰에 기초하고 있다. 이 책 의 마지막에 첨부된 인터뷰 리스트는 아랍 텔레비전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상호작용의 아주 작은 부분이라 고 할 수 있다. 인터뷰 대상자들이 원하지 않아서 리스트를 빼기도 했으 며, 업계 내부 사람들과 나눈 그 외 수많은 사소한 대화나 전화, 이메일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저자들은 또한 개인 인터뷰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청자 조사, 시장 조사, 기업 보도 자료, 업계 잡지 그리고 아랍과 범아 랍 언론의 수많은 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탐색했다. 또한 저자들은 각 장을 구성하면서 방송 업계의 특징을 나타내는 보다 폭넓은 패턴에서 제도적 역사와 분석을 포함시켰다.

xii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지난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사 건 이후 정치, 학문, 언론계의 극심한 관심 대상이 된 한 지역의 텔레비 전 산업에 대한 스토리를 통해 독특한 통찰력을 얻게 될 것이다. 저자들 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1. 첫 번째 목표는 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소유, 조직, 재무, 편성과 관 련된 구조적 패턴을 밝히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사건을 간략하게 추적하거나 주요 방송사에 집중하기도 할 것이 다. 특히 지구적 차원의 경제 위기에 의해 최근 더욱 흔들리게 된 지역의 취약한 지정학적 맥락 속에서 현시대의 발전에 대해 언급 할 것이다. 이런 목적을 위해 저자들은 주요 방송사를 세심하게 선 정해 그들 서로 간 혹은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고찰했다. 이는 물론 이 지역에서 운영되는 모든 텔레비전 채널을 총망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저자들은 아랍 마그레 브Arab Maghreb(알제리아, 모로코, 튀니지아 등 지역을 통칭-역자 주) 지역의 텔레비전을 철저하게 다루지 않았다. 이 지역의 텔레비 전은 레반트Levant와 걸프Gulf 지역의 텔레비전보다 범아랍 텔레비 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2. 저자들은 또한 2억 5000만 명에서 3억 명에 달하는 시청자로 이루 어진 지역 시장의 구성적 맥락과 소비, 대중적 취향, 문화 재생산의 형태와 관련시켜 제작, 편성, 배포, 시청 행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텔레비전이라는 제도는 보다 폭넓은 사회적 맥락 속에 존재한다는 점을 중요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들은 여성, 청소년, 종교적 시청자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한 문화적 영향과 관 련된 쟁점이나 사회적 논쟁 등에 특별히 주목한다. 5장은 라마단

xiii


Ramadan에 집중하고 있다.

이 독특한 30일간의 텔레비전 시즌은 아

랍 텔레비전의 복잡성을 잘 보여 줌은 물론 종교적 의식, 텔레비전 제작, 편성과 시청, 그리고 광고 산업의 특징에 대해 주목하도록 하 기 때문이다. 3. 세 번째 목표는 미디어, 정보와 관련된 국가정책과 뉴테크놀로지 가 범아랍 텔레비전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정책과 관련해서 저자들은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 에미리트연합UAE 등 몇몇 국가에 집중할 것이다. 이들 나라의 텔 레비전 정책은 다른 아랍 국가들의 정책적 환경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기도 하고, 자유무역지대와 2008아랍위성텔레비전헌장Arab Satellite Television Charter of 2008의 창제 과정에서 확실히 드러나는 신흥

범아랍 정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책의 구성 이 책의 저술은 아랍 텔레비전에 대한 접근적 소개의 필요성에서 시작 됐다. 저술은 아랍텔레비전 산업에 대한 개념적, 역사적 이해는 물론 광범위하고도 실증적인 현장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아랍 텔레비전 에 대한 이전 연구들(Boyd, 1999; Rugh, 2004; Sakr, 2007)과 달리 이 책은 아랍 텔레비전을 이해하는 데 미디어 산업적 접근 방법을 선택했 다. 즉 이 책은 아랍 텔레비전을 소유, 재무, 제작, 편성, 배포, 시청자 조사, 정치, 사회·문화적 영향, 뉴스, 오락과 관련된 모든 항목, 그리고 국가와 초국적 영역들 간 긴장과 관련된 모든 분야와 관련지어 하나의 범아랍 산업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 책은 아랍 텔레비전의 사소한 사

xiv


항보다는 큰 그림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을 묘사함으로써 독자 들에게 역사, 발전, 그리고 현재의 패턴에 대해 기술하는 방법으로 구 성됐다. 1장 ‘아랍 텔레비전의 역사’는 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새로운 상업 적 환경과 관련된 기본적 사실과 분석을 제시한다. 폭넓은 역사적 관점 에서 시작하는 이 장은 런던, 로마와 같은 유럽 도시에 기반을 둔 초창 기 주요 방송사에 대해 기술하면서 동시에 이 방송사들이 두바이, 베이 루트, 카이로 등 아랍권 도시로 이전하게 된 배경에 대해 분석한다. 이 어 저자들은 국가 발전 중심의 텔레비전에서 특정 지역의 개인 소유 민 영 미디어로의 패러다임 변화의 다양한 국면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들 은 또한 내셔널 방송의 퇴조와 상업화, 멀티 플랫폼 기업의 등장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초기 아랍 미디어 센터의 본보기 역할을 한 유럽, 지속 적으로 내셔널 방송 체제를 유지한 이집트 텔레비전, 그리고 전쟁 기간 동안 폭발적인 미디어 변화를 겪은 사례 연구로서 이라크의 위성방송 등에 대해 고찰한다. 유럽 부분에서 저자들은 아랍 텔레비전 산업이 초 창기에 유럽의 영향을 받다가 나중에는 초국적 특성을 갖게 되는 과정 을 보여 준다. 이집트 사례에서 저자들은 오랫동안 뛰어난 미디어 역사 를 가지고 있는 나라가 왜 범아랍 위성 텔레비전 산업 시대에는 주도적 역할을 하지 못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비극적인 이라크 사례에서는 아랍 텔레비전을 글로벌 지정학적 요인은 물론 폭력과 연결시킨다. 즉 이라크 사례는 지난 2003년 발생한 앵글로-아메리칸의 침략과 그에 따 른 혼란으로 야기된 급진적으로 다원적인 포스트 사담 후세인 텔레비 전 시장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범아랍 오락 채널’을 다루는 2장은 오락과 뉴스 등 전반적인 채널 들에 초점을 맞춘다. 각 채널의 발전, 제작, 편성 전략 그리고 정치적 배

xv


경 등에 대해 기술한다. 이들 채널은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 다. 이 채널들은 뉴스 전문 채널보다 상업적으로 더 성공적이다. 또한 이들은 대규모 범아랍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주로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이들 방송사는 아랍 미디어 산업을 글로벌 미디 어 시장에 통합시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 장에서 저자들은 사우디가 소유하고 있는 두바이 주재 MBCMiddle East Broadcasting Centre, 민간인 소 유의 LBC-SatLebanese Broadcasting Corporation-Satellite, 그리고 아랍에미리트 연합UAE 내 에미리트 오브 두바이Emirate of Dubai의 공식 방송사인 두바 이TVDubai TV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3개 채널은 새로 재편되고 있는 아랍 텔레비전 산업의 오락 부문 전체를 담당하고 있다. 런던에서 처음 개국해 두바이로 옮겨 온 MBC는 오락 부문의 선두 주자 격이다. 이 방송사는 특히 사우디 지향성을 띠고 있다. 지난 1975∼1990년 레바 논 내전 당시 민병대의 선전 매체로 시작된 LBC 역시 선두 주자로 떠오 르고 있다. MBC보다 리버럴한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가장 강력한 경쟁 사다. 두바이TV는 오락 채널 부문에서 이 지역의 세 번째 모델이다. 이 채널은 명목상 정부 당국이 소유하고 있지만 제도적 관점에서 보면 민 간·정부 혼합 형태의 방송사다. ‘틈새 채널과 사회·문화적 변화’를 다루는 3장은 2장을 좀 더 심층 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오락 채널들에 의해 확산된 새로 운 편성 장르들novel programming genres이 아랍 세계에서 일고 있는 사회· 문화적 변화에 관한 논쟁에 어떻게 합류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한 다. 이런 장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뮤직비디오, 여성 프로그램, 종교 프로그램 등이다. 뮤직비디오는 아랍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성적 행 위를 어느 선까지 받아들일 것인지 등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반면 종교 프로그램은 공공담론에서 종교 관련 부분을 얼마나 다룰 수 있는

xvi


지에 대해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 장은 또한 성gender, 청소 년,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 종류들과의 교차점에서 나타나고 있는 혼 합 장르 문제 등에 주목한다. 이런 맥락에서 저자들은 종교 문제, 음악, 그리고 여성 문제를 주로 다루는 채널들을 고찰한다. 종교 채널은 사우 디아라비아의 성직자가 운영하는 매우 엄격한 와하비Wahhabi 방송국에 서부터 보다 자유주의적인 이집트의 이슬라믹Islamic 채널에 이르기까 지 다양하다. 마찬가지로 음악 채널들은 다양한 장르와 시청자를 대상 으로 한다. 음악 장르는 아랍 고전 음악인 타랍tarab에서부터 아랍 대중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중요한 틈새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성 채널은 요리, 패션, 미용, 여행, 육아 프로그램을 방영한다. ‘범아랍 뉴스 채널’을 다루는 4장은 선두 주자들과 여타 채널을 다 룬다. 카타르Qatar 소재 알자지라al-Jazeera가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알자 지라와 경쟁하기 위해 사우디가 설립한 알아라비야al-Arabiya 등 여러 개 의 주요 채널들이 있다. 이 장은 이런 뉴스 채널을 설립하게 된 동기에 대해 기술한다. 그 외 뉴스 채널 발전 과정에서 있었던 획기적인 사건, 계속되는 경쟁, 금융뉴스의 증가, 그리고 시청자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저자들은 이어 주류 뉴스 채널에 대한 급진적 대안 방송격인 헤즈볼라 의 알마나르al-Manar(일명 The Beacon)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아랍 세 계 전반에서 이런 채널이 급진 그룹을 대변하는 모델로 등장하고 있는 원인에 대해 탐구한다. ‘라마단과 드라마, 코미디, 종교 프로그램’ 주제의 5장은 아랍 텔레 비전 최고 시즌high season인 라마단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시즌 동안 방 송사는 최고의 작품을 방송하고, 기업들은 광고비 지출을 늘리며, 무슬 림 시청자들은 종교적으로 의무화된 낮 시간의 금식을 어기면서 심야 까지 텔레비전을 시청한다. 1개월 동안의 신성한 라마단 기간은 방송

xvii


계의 가장 중요한 시즌인 셈이다. 즉 라마단은 종교와 상업주의, 그리 고 텔레비전 시청이 겹치는 아주 보기 드문 현상을 연출하는 시기다. 제작과 편성, 광고가 연계된 이런 현상은 아랍 텔레비전의 정치·경제 적 구조와 다양한 종교, 문화, 국가적 민감성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잘 이해하는 데 소중한 기회다. ‘아랍의 텔레비전 정책과 규제’를 다루는 6장은 주로 아랍 텔레비 전이 작동되는 글로벌 지정학적 맥락과 함께 아랍 미디어 형성에 영향 을 미친 다양한 정부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UAE의 경제정책이 두바이 미디어시티Dubai Media City 개발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레바 논과 같은 작은 국가가 어떻게 실질적인 미디어존을 만들 수 있게 되었 는지 등에 대해 논의한다. 심지어 ‘폐쇄정권’조차 미디어 산업 활성화에 합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리아 정부는 미디어프리존media free zone의 설립을 발표했다. 그 외 여러 나라들이 일정 부분 규제를 하고 있지만 자국 내에 개인 소유의 위성 채널 설립을 허용하고 있다. 동시에 다양 한 외국 방송사들이 아랍인들의 가슴과 마음을 사로잡고자 하는 전투 에 뛰어들고 있다. 이 중에는 미국 정부의 알후라al-Hurra 텔레비전, 이란 의 알알람al-Alam, 러시아의 러시아 알야음Rusya al-Yawm, 영국의 BBC 아 라빅BBC Arabic 등이 있다. 특히 이 장은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시리 아 그리고 UAE의 국가적 미디어 정책에 대해 고찰한 후 2008아랍위성 헌장Arab Satellite Charter of 2008에 대해 논의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우리 는 이 헌장이야말로 범아랍 미디어 정책의 등장을 예고하는 징후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xviii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