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
본문 전체 보기로 제공되는 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 는 편집 작업 중인 원고입니다. 교재는 2월 26일 출간 예정입 니다. 본문 미리보기는 강의자들이 교재를 미리 검토할 수 있 도록 제공하는 것으로 출간 교재와 일부 내용이 다를 수 있습 니다.
일러두기 본문의 주석 중 각주는 역자 주고, 미주는 원주입니다.
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 아서 아사 버거 지음 박웅진 옮김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
지은이 아서 아사 버거 옮긴이 박웅진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5년 2월 26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6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eeel.net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121-869 3rd F, 46 Worldcup north road Mapo-gu, Seoul,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Media Analysis Techniques, 4E by Arthur Asa Berger English language edition published by SAGE Publications, Inc.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and New Delhi Copyright © 2012 by SAGE Publications, Inc. All rights reserved. Korean translation edition © 2015 by CommunicationBooks, Inc. Published by arrangement with SAGE Publiscations, Inc., Thousand Oaks, California, USA through Bestun Korea Agency, Seoul, Kore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한국어 판권은 베스툰 코리아 에이전시를 통하여 저작권자인 SAGE Publications, Inc.와 독점 계약한 커뮤니케이션북스(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 박웅진, 2015 ISBN 979-11-304-3509-1 93300 책값은 뒤표지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옮긴이 서문
‘문화’란 무엇인가? 당신은 ‘문화’를 무엇이라고 정의하는가? 수도 없이 들어봤지만 막상 그 뜻이 무어냐고 물으면 대답이 망설여지는 것들이 종종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문화’가 아닐까 싶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를 말한다. 신세대 문화, 인터넷 문화, 심지어 화장 실 문화와 고스톱 문화에 이르기까지 신문에서도, 방송에서도, SNS에 서도 ‘문화’에 대한 이야기들을 쏟아낸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 니다. 이른바 ‘문화 담론’ 과잉시대의 도래가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문 화’라는 단어가 ‘저렴’하게 사용되는 이유는 그 말이 어디에나 잘 붙고, 그만큼 잘 어울리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정말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를 설명하는 여러 가지 주 장 내지 이론들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문화는 공기다”라는 간결한 은유를 가장 좋아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사람은 공기 없이 살 수 없다. 마찬가지로 ‘문화’라는 ‘공기’가 없어도 살 수 없다. 물론 ‘문화’에서 벗어 난다고, 살아있는 목숨이 당장 끊어지는 건 아니다. 하지만 ‘문화 없는 인간’은 생물학적 생명은 유지할지언정, 그 안에 사회학적 생명은 존재 하지 않는다. 물론 극단적으로 말해 나만의 ‘1인 문화’도 있을 순 있다. 스스로 창조하고, 그 안에 홀로 거하는 특별한 문화도 존재 가능하다. 하지만 보편적 의미에서의 ‘문화’는, 공동체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 로 보는 것이 맞다. 이러한 뜻을 오롯이 담고 있는 표현이 바로 ‘대중문
v
화’다. 대중문화는 대중, 즉 ‘사람들’의 문화다. 누구 한 사람의 문화가 아니라, 여럿이 함께 만들어가고, 같이 누리는 문화가 바로 대중문화다. 사람들은 대중문화를 통해 공동체에 속한 다른 구성원들과 교감한 다. 영화 <국제시장> 속의 ‘덕수’를 통해 기성세대는 자신의 생을 반추 하고, 자녀세대는 그들의 삶을 체휼한다. <응답하라 1994>와 <무한도 전> 토토가는 20년 이상의 시간을 뛰어넘어 1990년대 문화와 공감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웹툰과 드라마로 만들어진 <미생>을 보면서 이 시대 의 수많은 ‘장그래’들은 한없이 좌절하고 또 위로를 얻는다. 이러한 교 감을 매개로 대중문화는 계속해서 진화한다. 그런 의미에서 대중문화 는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경험하는 이 시대의 대중문화가 10년 후에, 20년 후에, 그리고 100년 후에 어떤 모습 으로 변할지는 아무도 감히 짐작할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이 대중문화의 장엄한 움직임을 방향 짓는 작은 동력 이 된다는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나 자신을 포함해 이 책을 읽는 독자들 모두 ‘공동체적 대중문화’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중 문화, 그리고 그 안의 다양한 하위문화를 즐기는 팬덤도 무성하지만, 개인의 삶과 사회 전체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대중문화에 대해 비관적 인 입장을 취하는 분들도 여전히 많다. 대중문화는 우리의 미래를 유토 피아로 이끌 축복이 될 것인가, 아니면 디스토피아로 이끌 재앙이 될 것 인가? 그 답은 대중문화에 대한 책임의식을 우리가 어떻게 실천하느냐 에 달려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은 바로 건전한 비평 이다. 내가 이 책을 번역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주지하다시피 비난과 비판은 다르다. 분명 대중문화의 그림자 영 역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는 공동체에 속한 많은
vi
구성원에게 즐거움을 준다. 일부 문제가 있다고, 전체를 매도해서는 안 되는 것처럼 일부의 역기능적 측면으로 인해 대중문화 그 자체를 부정 하는 오류를 범해선 안 된다. 오히려 건강한 비판을 통해 대안을 모색 해야 한다. 최근 미디어를 통해 오고가는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들을 살펴보면, 여전히 인상비평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하 다. 그건 소위 ‘대중문화 평론가’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고 해도 예외가 아니다. 대중문화의 규모가 커지고 다양해지면서 비평에 대한 수요는 늘어났지만,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준비된 비평가’가 충 분히 공급되지 못하면서 일종의 ‘skill mismatch’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단순한 소비에서 소비와 생산을 동시에 하는 생비자, 즉 ‘프로슈머’가 늘어나는 등 소비자의 문화적 수준은 과거에 비해 한층 높아졌지만, 이 들의 눈높이에 맞는 비평적 역량을 가진 전문가가 상대적으로 부족해 지면서 소비자들이 직접 비평가로 나서고 싶어 하는 욕구도 그만큼 커 졌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책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기호학, 정신분석학, 마르크스주의 이 론 등은 그 하나하나가 그야말로 엄청난 주제들이다. 이 주제를 다루는 전문서적만 해도 전 세계적으로 수백, 수천 권에 달한다. 제대로 배우 려면 대학에서 한 주제당 최소 한 학기 이상은 공부해야 한다. 이 이론 을 ‘제대로’ 연마하신 저명한 교수님들은 우리나라에만도 여러분 계신 다. 하지만 ‘석학’ 수준이 아닌 그저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떤 대중문화 현상에 대해 비평적 관점을 피력하려고 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읽기 쉬 운’ 책은 그동안 찾기가 쉽지 않았다. 아서 아서 버거는 오랫동안 학생들에게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가르 쳐온 미국의 대표적인 미디어 학자 중 한사람이다. 커뮤니케이션의
vii
이해, 이론과 사상, 애착의 대상, 커뮤니케이션 연구, 어떻게 할 것 인가처럼 우리말로 번역된 책의 저자기도 하다. 이번에 번역 출간된 대중문화비평,
한권으로
끝내기의
원작인
Media
Analysis
Techniques는 필자가 미국에서 공부할 때 교재로 사용했던 책이다. 그때도, 그리고 그 이후에도 나는 기호학, 정신분석학,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같은 문화연구 이론을 이렇게 간결하게 정리한 책을 보지 못했 다. 그런 의미에서 이 번역서는 대중문화 비평을 위한 주요 이론을 짧 은 시간에 학습하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매우 효율적인 대안이 될 것으 로 믿는다. 간결하다고 해서 이론 체계가 부실한 것은 절대 아니다. 오 히려 이론의 핵심 개념을 간단명료하게 제시한다. 이론적 설명만으로 개념을 다 이해하기 어려운 학생을 위해 뒷부분에는 이론을 적용한 실 제 사례가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이론과 실제가 잘 조화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로서는 일부 난해한 개념을 우리말로 옮기는데 적잖은 고 통이 있었지만, 그래도 초보 비평가들이 이 책을 통해 비판적 시각을 더 욱 날카롭게 할 수 있기를 바라는 일념에서 최선을 다해 번역에 임했다. 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를 읽는 모든 독자가 건강한 대중문 화를 일구는 데 기여하는 역량 있는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번역하는 긴 시간 동안 필자를 위해 기도해 준 가족 모 두에게 감사드리고, 특히 나의 아들 민재와 딸 민경이에게 사랑의 마음 을 전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모든 과정 가운데 함께 해 주신 하나님 께 영광을 돌린다.
2015년 2월 빛가람에서 박웅진
viii
지은이 서문
1976년 어느 날, 내가 쓴 대중문화(Pop Culture)를 읽은 한 학생이 편 지를 보내 왔다. 그 내용 일부를 여기에 소개한다.
신입생 대상의 작문 수업 준비를 위해 중앙도서관의 서가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다 우연히 교수님께서 쓰신 대중문화라는 책을 발견했습 니다. 저는 그 책을 대출받아 하루 만에 다 읽었습니다.…대중문화는 우리를 완전히 뒤덮고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대중문화는 바로 우 리 자신과 동일한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부(富)를 상징하는 수많은 신용카드와 커다란 차고가 딸린 고급 주택, 고르고 하얀 치아….이런 것 외에 사람들은 과연 무엇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되는 걸까요? 교수 님의 책을 읽고 난 후 제 속에서 항상 저를 괴롭히던 많은 것들이 떠올 랐습니다.…그러나 이런 생각에도 불구하고 제가 대중문화를 똑바로 인식하고, 또 지속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결코 쉽게 느껴지지가 않네 요. 아마 제가 계속해서 대중문화에 속고, 또 이용당하며 살아왔기 때 문이겠죠. 우리를 압도하는 대중문화의 거센 물결로부터 완전히 자유 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절대 없을 것 같아요. 대중문화의 관점에 서, 우리 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공부해 나가야 하는 건지 교수님 께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x
대중문화 비평에 관한 교육학적 관점 내가 이 책을 쓴 이유는 대학에서 대중문화와 매체비평을 가르치는 교 수들이 학생을 가르치거나, 또 학생 스스로가 미디어를 분석할 때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바꾸는 데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다. 나는 학생들이 미디어와, 미디어에 의해 전달되는 텍스트(text)에 대해 교수, 비평가, 철학자, 작가 등이 쓴 글을 보고 배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 대중문 화에 대해 학생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갖고 비평을 할 수 있게 되기를 늘 바라왔다(학술 용어로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축구 경기, 비디오, 광고 등을 ‘텍스트’라고 부른다). 미디어와, 미디어가 전달하는 텍스트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며, 따 라서 반드시 구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난 텔레 비전을 볼 거야”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미디어인 텔레비전 그 자체가 아니라 특정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가끔은 리모컨을 가지고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며 텔레비전을 보는 사 람들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특정한 프로그램을 시청했다기보다 말 그대로 텔레비전을 봤다고 하는 게 더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방식으로 텔레비전을 보지는 않는다. 미디어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지금도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또 여러 형 태의 대중문화 콘텐츠가 우리 주변에 넘쳐나는 상황에서, 이 책을 통해 다양한 방법론을 익히면 앞으로 새로운 포맷의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또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낯선 대중문화 현상이 나타나도 이들을 분석 하기 위해 어떤 개념과 이론을 적용해야 할지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첫 번째 파트인 ‘해석의 기술’에서는 기호학, 정신분석학,
x
마르크스주의, 사회학의 기본 개념이 소개된다. 독자들은 이 기본 개념 을 통해 모든 형태의 매스미디어 텍스트를 비평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 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앞에서 익힌 기본 개념을 우리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텍스트에 실제로 적용해 보는 실전 적응 훈련을 하게 될 것이다.
개정판을 읽는 학생들에 대한 당부 대중문화 비평이란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게임 등에 대해 단 순히 한 개인의 생각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 다. 물론 개인적인 견해가 아무 쓸모가 없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하지 만 만약 여러분이 누군가를 설득하기 원하고, 또 그 사람이 여러분이 제 시한 의견을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 주길 바란다면, 그 의견을 뒷받침해 줄 이론적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 책은 여 러분이 그런 작업을 스스로 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이 책에서는 우리 시대의 다양한 매스미디어 텍스트를 분 석하고 비평하는 데 내가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한 네 가지 이론을 소개 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고로 많이 알수록, 많이 보이는 법이다. 여 러분이 이 책을 다 읽은 후에는 텍스트를 해석하고, 우리 삶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의 힘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다양한 개념을 알게 될 것이다. 어떤 학생은 나에게 미디어와 관련된 다양한 ‘실용’ 과목, 이를테면 스튜디오 제작교육과 같은 것들도 있는데 왜 굳이 미디어를 분석하는 과목을 들어야만 하는지 묻곤 한다. 나는 그 학생에게 비평과 창의성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라고 말해 준다. 창의적인 사람(감독, 예술가,
xi
음악가, 작가, 공연자 등)은 그들이 하고 있는 작업에 대해 반드시 분석 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작품이 성공했을 때 그 이유 가 무엇인지, 그리고 실패했을 때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창의적인 예술가이지만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결국 당신이 한 모든 것은 그저 우연의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예술가들이 예술사를 공부하고,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이 영화 사와 영화이론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예술 분야든 아니면 일반 업무든 개인의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로 이론이 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내가 가르쳤던 많은 학생들이 학교를 마 치고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가장 도움이 됐던 과목이 미디어 비평, 미디 어 미학,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과 같은 것들이었다고 말한 다. 사실 누구나 카메라(혹은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들) 다루는 법 을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다. 진짜로 중요한 것은 그 카메라를 다루는 법이 아니라, 그것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지 아는 지식이다. 이번 개정판에서 아마 여러분이 전혀 들어본 적이 없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고전 컬트물인 TV 시리즈 <프리즈너(The Prisoner)> (1967∼ 1968) 같이 흥미로우면서도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다양한 텍스트 에 대해 논의해 보려고 한다. 여러분이 실제 분석 방법을 익히는 데 이 작품은 분명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만약 여러분 중 아직까지 이 작 품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있다면, 전체는 아니더라도 몇 개의 중요한 에피소드들을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http://www.amctv.com/originals/the-prisoner), DVD로도 구입 가 능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프리즈너>의 새로운 버전이 2009년에 방송되었지만 성공적이진
xii
못했다. 미디어 비평 수업을 진행할 때, 나는 기호학을 설명하고 학생 들에게 <프리즈너>의 에피소드를 보여 준 후에 방금 본 에피소드에 대 해 기호학적으로 분석해 볼 것을 요구했다.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네 가지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해 나는 <프리즈너>의 각기 다른 에피소 드들을 활용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영화·TV 프로그램들이 사용되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다른 대중문화 텍스트들은 빠르게 나타났 다가 또 금방 사라지곤 한다. 만약 내가 2010년에 인기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분석 사례로 선택하더라도 2011년에는 그 프로그램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미디어 텍스트의 수명이 매우 짧다는 사 실은 분석 기법의 적용을 다루는 이 책의 후반부에 어떤 사례를 넣을 것 인지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나는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 건사건(Murder on the Orient Express)> 같이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고전 영화도 포함시켰다. 여러분은 애거사 크리스 티(Agatha Christie)가 쓴 원작을 읽은 후 소설과 영화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원작을 상당 부분 자유롭게 각색한 것으로 평가되는 PBS의 걸작 TV 시리즈와는 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도 찾아볼 수 있다. 이밖에도 뉴스 전문 방송, 미식축구, 잡지 광고, 비디오 게임 등에 대한 비평 사례도 담고 있으며, 최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아 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분석도 시도하였다. 그 외에도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 새롭게 배운 개념과 이론을 대중 문화 비평에 실제로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용 게임과 예제 들을 부록에 다수 포함하였다.
xiii
개정판에 새로 포함된 내용 이번 개정판에는 미디어 관련 통계가 업데이트되었고, 대중문화 비평 과 관련된 이전의 논의 내용도 한층 정교화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 와 같이 이 책에서 소개한 분석 방법을 소셜 미디어에 적용한 새로운 장 도 추가했다. 이외에 새로 포함된 논의들은 아래와 같다.
∙ 쇼핑에 관한 매리 더글러스의 그리드-그룹(Grid-Group) 분석 ∙ 문화 코드에 관한 클로테르 라파이유의 논의 ∙ 향수와 브랜딩 ∙ 기호학과 사회에 관한 조너선 컬러의 논의 ∙ 축구와 관중으로서의 사회 ∙ <프리즈너>에 등장하는 소외의 문제 ∙ 스테레오타입과 유머 ∙ 로맨스 소설 독자들에 관한 재니스 래드웨이의 논의 ∙ 신발·발, 그리고 성 ∙ 얼굴 표정과 감정 ∙ 프랑크프루트학파와 비판이론 ∙ 대상과 정체성
또한 이번 개정판에는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새로 제작한 여 러 장의 그림과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사용했다. 필자로서 나는 이번 개정판이 여러분에게 흥미롭고, 재미있고, 유용하기를 기대하며 또한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이 예리한 대중문화 비평가로 성장하는 기회를 갖 게 되기를 진심으로 고대한다. 그렇게 된다면 여러분은 우리 사회와 여
xiv
러분의 삶에서 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더 정확히 알게 될 것이다.
맺음말 대중문화 비평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나는 수업 첫 머리에 종종 이런 말을 하곤 한다. “이 과정이 여러분의 삶을 바꾸어 놓으리란 것을 곧 알 게 될 것이다.” 그 말을 듣는 학생 대부분은 웃음을 터뜨린다. 그러나 과 정을 마친 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우연히 마주치게 되면 꽤 많은 학생 들이 나에게 대중문화 비평 수업을 들은 후에 미디어와 일상생활의 수 많은 측면들을 바라보는 시각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겼다는 고백을 한 다. 그중 사례 하나를 소개하고 싶다. 몇 년 전 식료품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40세쯤 돼 보이는 한 여성이 웃으며 다가와 “버거 박사님, 저 기억 안 나세요? 20 년 전에 교수님의 대중문화 비평 수업을 들은 학생이에요!”라고 말했 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녀가 내 수업을 들었다는 것은 기억이 났지 만 어떤 수업이었는지 생각이 안 났다. 그러던 중에 그녀가 흥미로운 이야기를 꺼냈다. “교수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호학이 …여전히 저와 함 께 있어요.” 이 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여러분 이 이 책에서 소개하는 방법론을 배우고 나면, 그것이 여러분 속에 계속 머무르게 될 것이며, 또한 여러분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에 두고두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이다.
xv
감사의 글
이 책은 1982년에 처음 출간됐다. 그동안 나를 도와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리고 싶다.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이 책이 나왔다. 편집자, 편집 보조, 윤문편집자, 예술감독, 표지 디자이너, 그리고 이 책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신 제작편집자, 또 이 책의 개정판을 감수해 주신 교수 님들까지 많은 분들이 도와주셨다. 나는 대중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 내기(Media Analysis Techniques)의 여러 개정판을 만들면서 전임 편 집자인 마가렛 시웰, 제작편집자인 아스트리드 버딩과 함께 일할 수 있 었던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아스트리드는 이번 개정판의 제작편집자 로, 내가 세이지(SAGE)에서 출간한 책을 만들 때부터 함께 일해 왔다. 특별히 이번 네 번째 개정판과 관련하여, 편집자인 매스 버니와 그 를 도와준 네이선 데이비슨, 그리고 큰 도움이 되었던 여러 가지 제안을 해 주신 감수자 분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탐 쿠퍼(에머슨대학교) 케이스 포크스(하이포인트대학교) 마이클 J. 루드빅(호프스라대학교) 로잔 맨드지우크(텍사스주립대학교) 디비아 C. 맥밀린(워싱턴대학교, 타코마캠퍼스) 이안 레일리(구엘프대학교)
xvi
로버트 살마지(아델피대학교) 필리스 스로코 즈르자비(프랭클린피어스대학교) 리처드 F. 태플린거(워싱턴주립대학교)
이밖에도 나는 이 책을 오랜 기간 동안 교재로 채택해 주신 여러 교 수님들과 책을 읽고 느낀 점 등을 이메일로 보내 준 학생들에게도 감사 드리고 싶다. 이 책에서 내가 기호학적 분석에 관해 다룬 내용은 리처드 애들러(Richard p. Adler)가 편집한 텔레비전의 이해: 사회문화적 힘 으로서의 텔레비전에 관한 논문(Understanding Television: Essays on Television as a Social and Cultural Force)에서도 소개되었다. 대중 문화 비평, 한 권으로 끝내기 초판은 이탈리아어로 번역됐으며, 3판까 지는 중국어판도 나왔다.
xvii
차례
옮긴이 서문
v
지은이 서문
xi
감사의 글
xvi
1부 해석 기법 01
기호학적 분석
3 4
기호학의 간략한 역사 8
의미의 문제
기호학의 사회적 측면: 개인과 사회 기호
13
기호의 형태
19
기호와 진실
23 26
기호로서 얼굴 표정 초현실
28
언어와 발화
30
공시와 외시
32 35
공시태와 통시태 통합체 분석
37
계열체 분석
45
상호텍스트성
48
9
50
대화이론
53
은유와 환유 약호
55 59
텔레비전 매체와 기호학
62
기호학에 대한 몇 가지 비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기호학적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66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67
주석 단 참고문헌 미주 02
72
마르크스주의적 분석
73
75
유물론
78
토대와 상부구조
81
허위의식과 이데올로기 85
프랑크푸르트학파 87
계급투쟁 소외
93 97
소비자 사회
104
광고에 관한 존 버거의 논의 106
부르주아 영웅 헤게모니
108
미디어 합병의 문제
112
교조주의화에 따르는 위험 그리드그룹 분석
115
118
포스트모던 사회의 마르크스주의 비평 125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주석 단 참고문헌
126
122
63
03
정신분석학적 비평 130
무의식 성
129
135
발과 신발의 성적 취향에 관한 윌리엄 로시의 논의 141
오이디푸스콤플렉스
147
신화의 중요성에 대해
150
이드 · 자아 · 초자아 156
상징 방어기제 꿈
159
163 167
응축과 치환
169
공격 성향과 죄책감
172
스테레오타입과 공격적 유머 176
융의 정신분석학
미디어의 정신분석학적 비평: 유의점 185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186
주석 단 참고문헌 04
사회학적 분석
189
인간의 사회성에 대한 에밀 뒤르켐의 논의 195
몇 가지 기본 개념 이용과 충족
224
장르와 공식
236
내용 분석
182
239 245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주석 단 참고문헌
246
191
139
2부 분석의 적용: 대중문화 비평 따라 하기 05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건 사건 미스터리의 구조화
253
기호학자로서의 탐정
256
사회적 · 정치적 차원
258
혁명가로서의 포와로
260 263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06
251
축구 경기의 일곱 가지 특징과 흥미로운 통계 265
축구는 기호의 경기다
268
인스턴트 리플레이와 현대적 감각 270
축구는 우리를 사회화한다 축구 중계 관련 통계 야구는 왜 지루한가
272 274 277
종교의 대체물로서 축구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279 282
축구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논의 결론
285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07
286
뱀과 여자: 인쇄광고의 해석
287
기호의 기호: 응용기호학 입문
288
291
낙원의 여인: 사례 연구
피지 향수 광고의 계열체 분석
300 302
피지 텍스트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측면 보습제와 두려움에 대한 여담 향수와 두려움에 대한 마지막 비평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308
304 305
264
08
뉴스 전문 라디오와 미국의 부르주아 310
뉴스와 소외
313
뉴스와 지배계급 이데올로기 광고와 두려움
315
중간에 갇히다
316 318
인터넷 뉴스와 소셜 미디어 319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09
309
비디오게임: 새로운 예술 형식
320 326
비디오게임: 예술 형식인가 아니면 매체인가? 329
신기술과 비디오게임
329
상호작용과 몰입에 관한 재닛 머레이의 논의 비디오게임과 중독
332 334
비디오게임과 폭력성의 문제
336
비디오게임이 초래하는 사회적·신체적 문제들 337
비디오게임과 성 결론
340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10
342
휴대전화, 소셜 미디어와 정체성의 문제 출현
343
344 346
미디어 이용 행태(8∼18세) 소셜 미디어
349
청소년과 소셜 미디어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 기호로서 휴대전화: 기호학적 관점 휴대전화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결론
362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에필로그
364
363
357 359
351
364
슈모와 분석
367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부록
368
시뮬레이션 · 활동 · 게임 그리고 연습 문제 369
이야기 해부학 계열체 분석
370 373
꿈의 분석
374
치료를 위한 동화를 만들기 375
이야기의 원전 라디오 원고
376 378
텔레비전 서사구조 분석 프로프 게임 은유
379
381
광고 분석
384
아론 윌더브스키 놀이 텍스트 분석
385
387
마르크스주의/이데올로기적 비평 389
정신분석학적 비평 390
사회학적 비평
용어 사전
391
참고문헌
415
389
368
1부
해석 기법
01
기호학적 분석
기호의 과학을 뜻하는 두 가지 용어, 즉 기호론과 기호학은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미국의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에 의해 각각 최초로 사용됐다. 지금은 두 용어가 특별한 의미의 차이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영화·텔레비전 프로그램·예술작품과 같은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의미가 발생되는지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통칭한다. 이 장에서는 기호학의 핵심 개념과 관련 용어들을 설명하고, 기호학적 이론을 활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방법을 논의하려고 한다. 그 후 약호·공식·텔레비전의 ‘언어’에 대해서도 설명하게 될 것이다.
3
기호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기호학이란 무엇이며, 또 그것이 텔레비전이나 대중문화에 어떻게 적용되는 것인지를 설명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하면서 적지 않은 두려움이 생긴다. 나는 기호학이 하 나의 주제인지, 운동인지, 철학인지, 혹은 사교(邪敎) 같은 것인지 확신 할 수 없다. 기호학 분야와 관련된 저서들이 급격하게 늘어나며, 이들 대부분이 이해하기 어렵고 또한 고도로 기술적(technical)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나의 미션, 즉 기호학의 기초 개념을 설명하고, 또 그 개념 을 텔레비전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대중문화 전반에 적용하는 작업 은 불가능하진 않더라도 상당히 도전적인 것이 될 것이다. 사실 이 작 업은 결코 만만하지 않으며 매우 방대하지만, 가능하리라 믿는다. 이를 위해 어쩔 수 없이 개념을 단순화하고, 논의의 초점을 좁혀야만 한다. 이 장에서 기호학의 기본 원리와 그 원리가 실제 적용된 사례들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기호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이 장의 주요 내용과 마 지막 부분에 실려 있는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자기만의 더 풍부한 학습 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호학의 간략한 역사 기호와 기호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 이 되어 왔지만[이를테면 중세 철학자인 존 로크(John Locke)를 비롯하 여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현대 기호학은 스위스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와 미국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
그림 1-1 소쉬르와 퍼스
두 사람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본다. 퍼스는 기호학(semiotics)이란 용 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지금은 이 용어가 기호학을 통칭할 때 사용된다. 소쉬르가 설명한 기호론(semiology)은 퍼스의 용어와 다소 차이가 있 지만, 현재는 두 용어 모두 기호에 관심을 갖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특별 한 차이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두 용어를 별도로 구분 하진 않는다. 소쉬르가 세상을 떠난 후인 1915년에 발간된 그의 저서 일반 언어 학 강의(A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에서 기호학적 분석의 가능 성이 최초로 제기되었다. 그 책에서는 기호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개 념을 다루며, 이 장에서도 그것을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소쉬르 (1915/1966)는 “언어적 기호는 대상(thing)과 그것의 명칭(name)을 연 결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과 소리(sound)-이미지(image)를 연결하는
5
표 1-1 기호의 세 가지 측면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
의미화 기제
유사성
인과관계
관습
사례
그림·동상
불·연기
깃발
과정
보면 알 수 있음
해석을 통해
반드시 학습을
알 수 있음
통해서만 알 수 있음
것”이라고 말한다(pp. 66∼67). 그는 기호를 기표(‘소리-이미지’)와 기 의(‘개념’)의 두 가지 요소로 구분하고 두 요소의 관계는 자의적 (arbitrary)이라고 설명했는데, 그의 이러한 주장은 기호학의 발전에 매 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한편 퍼스는 기호의 세 가지 측면에 천착한 다. 도상·지표·상징의 세 차원이다. 기호에 관한 소쉬르와 퍼스의 두 관점에서 기호학이 출발했으며, 이후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기호학 태동 초기에는 주로 프라하와 러 시아에서 중요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프랑스와 이탈 리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학 연구가 진행된다[이 곳에서 롤랑 바르 트(Roland Barthes)·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 같은 학자들이 기 호학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고, 응용 연구도 수행하였다]. 이밖에도 영국,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기호학과 관련된 학술적 진전이 이루어지 고 있다. 기호학은 영화, 연극, 의학, 건축학, 동물학을 비롯하여 정보의 소 통이나 전달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적용돼 흥미로운 결과를 만 들어 냈다. 새롭게 등장한 기호학의 매력에 푹 빠진 일부 학자는 이 세상 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기호학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기호학이 해석과학(science of interpretation)의 여왕이며, 크고 작은
6
모든 대상의 의미를 파악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생각한다. 퍼스는 기호가 가지고 있는 의미의 일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해석 가들의 의무라고 주장한다. 그는 기호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누군가에게 어떤 점에서, 어떤 의미가 되는 그 무엇”이라고 적고 있다 (Zeman, 1977, p. 24). 이러한 그의 견해는 기호의 기능에 대한 소쉬르 의 생각과는 차이가 있다. 퍼스는 기호학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이 우 주가 기호들로만 구성돼 있진 않지만 기호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라 고 설명한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 그것은 하나의 메시지, 혹은 기호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퍼스의 주장이다. 우주에 있는 모든 것들이 하나의 기호가 된다면, 기호학은 정말로 중요한 것이 된다(이러한 견해는 기호 학자들이 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의문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기호학을 흥미로운 방 식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최근 미국에서 기호학이 중요한 학문으로 여겨지긴 하지만 아직까지 폭넓게 사용되거나 관련 강좌가 많이 개설되진 못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실 용성과 현실성을 강조하는 미국인들의 특성과 심오하고, 이론적이고, 형식주의적인 방법론을 강조하는 기호학이 서로 잘 어울리지 않는 측 면이 있다. 이와 함께 일종의 지역 간 문화지체(cultural lag) 현상도 또 다른 원인이 된다. 유럽 지식 사회의 중요한 학술적 움직임이 미국으로 건너와 대중화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받아들여지는 데만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포크너(Faulkner)1)와 (중요한 예술 형식으로서의) 영 화의 가능성을 ‘발견’한 것도 프랑스인들이었다. 퍼스가 미국 내에서 기 호학과 관련된 중요한 연구들을 수행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1) 미국의 유명 소설가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7
인들은 유럽에서 기호학이 학문적으로 진화하고 성숙하게 되고 난 후 에야 비로소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의미의 문제 이제부터 여러분은 새로운 언어, 즉 지금까지 여러분이 영화·텔레비 전 프로그램·패션·음식 등 거의 모든 것들을 바라보는 데 익숙했던 기존의 방식과는 상당히 다른 시각을 갖게 할 기호학의 주요 개념을 배 우게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가 살펴보게 될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참 조하여,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의미가 발생되고 또 전달되는가 하는 점이 앞으로 우리가 논의할 내용의 기본 관심 사항이다. 그렇다면 의미는 어떻게 발생되는가? 기호학이 그 학문적 배경이 된 언어학의 한계를 뛰어넘었다고 평가되는 이유는 언어학 개념들을 언어 그 자체가 아니라 다른 현상들-텍스트-에 적용했다는 점 때문 이다. 기호학자들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들 간의 관계를 중요하 게 여긴다는 점에서 텍스트를 언어와 동일한 것으로 다룬다. 조너선 컬 러(Jonathan Culler, 1976)의 설명을 인용해 보자.
언어학이 다른 문화 현상을 공부할 때 유용하다는 생각은 다음의 두 가지 기본적 이해에 기초한다. 첫째, 사회·문화적인 현상들은 단순 히 물질적 대상이나 사건들이 아니라 의미를 가진 대상이나 사건인 것 이다. 즉 기호다. 둘째, 그것들은 본질(essence)을 가지고 있지 않으 며, 그 의미는 기호들 간 관계의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다(p. 4).
8
기호와 관계, 이것들이야말로 기호학적 분석의 두 핵심 개념이다. <스 타트렉(Star Trek)>같은 텍스트는 프로그램 속에 존재하는 기호와 기 호를 묶어주는 체계로부터 그 의미가 파생된다는 점에서 하나의 기호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계는 일반적으로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 으며, 그래서 반드시 텍스트로부터 이끌어 내야 한다.
기호학의 사회적 측면: 개인과 사회 기호학자가 우리에게 해답을 제시해 주는 흥미로운 문제가 하나 있다.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오직 개 인만이 존재하며, 사회는 하나의 추상적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 다. 페르디낭 드 소쉬르: 개정판(Ferdinand de Saussure: Revised Edition)(1984)에서 조너선 컬러는 “사회는 허구적 실체이며, 그것을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총합”(p. 85)이라고 말한 영국 철학자 제러미 벤 담(Jeremy Bentham)을 인용한다. 컬러는 기호학의 사회적 차원에 관 해 흥미로운 점을 제시했다. 그의 말을 인용해 보자(1984, p. 87).
자신의 이익에 따라 행동하는 개인들이 모여 구성된 결과물이 사회라 는 가정은 공리주의의 기본 전제다. …소쉬르, 뒤르켐(Durkheim), 프 로이트(Freud)는 이러한 전제가 잘못되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한다. 왜냐하면 인간에게는 사회가 근본적인 현실이 되며, 개별적 행동들의 단순한 총합이 아니기 때문이다.…만약 누군가 인간 행동을 연구하고 싶다면, 사회적 현실이 존재한다는 점을 반드시 인정해야 한다.…요 컨대 언어학·정신분석학과 같은 학문은, 근본적 현실로서의 사회 내
9
에서 개인의 목적과 행동을 구별하고, 또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밝혀 낼 수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의미는 사회적 차원에서 생산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사회는 개인들에게 기호가 의미하는 바를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아이 러니하게도 사람들은 사회 내에서 성장하면서 오직 개인만이 존재하 고, 추상적 존재에 지나지 않는 것이 사회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소쉬 르·프로이트·뒤르켐은 “(개인의) 행위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결국 개인이 완전히 동화된 집합적 사회 체계에 의해 가능하다”고 주장 한다. 문화가 우리의 감정과 행동, 그리고 심지어 정체성을 어떻게 만 들어 내는지 잘 의식하지 못한다. 의미는 결국 항상 사회적이다. 기호학적 분석에서는 내용과 형식을 자의적으로(arbitrary), 또 일
그림 1-2 소쉬르의 일반 언어학 강의 표지
10
시적으로(temporary) 분리하는데, 이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기호의 체 계를 밝히기 위함이다. 잠시 텔레비전을 벗어나 식사를 생각해 보면, 그 것은 스테이크·샐러드·구운 감자·애플파이가 아니라 지위·취향· 세련됨·국적과 같은 것들과 연계된 하나의 기호 체계로 볼 수 있다. 여기서 기호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인 페르디낭 드 소쉬르 (1915/1966)의 글을 인용해 보면 앞의 말을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는 기호 체계라는 점에서 글쓰기, 농아들을 위한 알파벳, 상징적 의례(rite), 의례적 서식, 군사 신호 등의 체계와 비교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체계 중에서 언어가 가장 중요하다. 사회 내에서 기호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연구하는 과학을 상상해 볼 수 있다. 그것은 사회심리학, 결과적으로 일반 심리학을 구성하는 일 부분이 될 수 있다. 나는 그것을 기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semeion’ 을 따서 기호론이라고 부를 것이다. 기호론은 기호를 구성하고 그것 들을 지배하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 줄 것이다. 그런 과학은 아직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누구도 그것이 어떤 것이 될지 말할 순 없다. 하지만 그것은 존재할 권리가 있으며, 향후 자기의 영역도 분명히 표 시하게 될 것이다. (p. 16)
이것은 기호학의 강령(charter)과 같은 것이다. 이 진술문을 통해 이제 우리는 상징적 의식·군사신호뿐만 아니라 광고·소프 오페라 (soap opera)2)·시트콤, 그리고 거의 모든 것들을 ‘기호의 체계’ 내에서
2) 주로 오전 시간대에 편성되는 미국의 멜로드라마를 뜻하며, 이런 명칭이 붙은 이유는
11
바라볼 수 있는 미디어 연구의 길에 들어설 수 있게 된 것이다. 소쉬르는 여기서 또 하나의 통찰력 있는 주장을 제시한다. 즉 개념 (concept)은 관계(relations) 속에서 의미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 고 기본적 관계는 서로 반대되는 것, 즉 대립관계다. 소쉬르는 그의 책 에서 “언어 속에는 오직 차이만이 존재한다”고 말했다(1915/1966, p. 120). 따라서 ‘부유함’은 ‘가난함’ 없이는 어떠한 의미도 갖지 않는다. 마 찬가지로 ‘행복’은 ‘슬픔’ 없이는 의미가 없다. “개념들에는 완전한 차이 가 있으며, 그것이 가진 명백한 내용뿐만 아니라 체계 내 다른 용어와의 이항대립관계를 통해서도 의미가 규정된다”(p. 117). 다시 말해 의미를 규정하는 것은 ‘내용(content)’이 아니라 언어 체계 내의 ‘관계’다. 개념 의 ‘가장 명확한 특징’은 “다른 개념들과의 완전한 차이(being what the others are not)”에 있다(p. 117). 여기에 더해 소쉬르는 “기호는 내적 가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기호들이 갖는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기능 한다”고 말한다(p. 118). 우리는 언어 속에서 이런 것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텍스트에서도 마찬가지다.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대립관계(oppositions)를 고려할 때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한 가지는 서로 반대되는 두 개념이 사실은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연결되 어 있다는 점이다. 항상 명시적으로 언급되진 않더라도 두 개념을 연결 해 주는 특정한 주제어가 반드시 존재하는데, 이를테면 부유함/재산 (wealth)/가난함, 행복/정신 상태(mental state)/슬픔 등에서 두 개념 사이에 위치한 단어가 이 둘을 묶어 주는 주제어가 된다. 몇 년 전에 나
이런 드라마들이 주로 비누회사의 광고판매를 통해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 역자 주
12
표 1-2 청바지와 고급 의류를 연결하는 주제어 청바지
관계(주제어)
고급 의류
싸다
가격
비싸다
거칠다
감촉
부드럽다
대량 생산
제작 방법
수제
백화점
구매 장소
부티크
는 이른바 ‘데니미제이션(denimization)’ 현상이라고 불리는 청바지와 관련된 논문 한 편을 쓴 적이 있는데, 거기서 청바지를 입는 것과 고급 옷을 입는 것을 비교해 보았다. 그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표 1-2에 정 리해 놓았는데, 앞서 언급한 대립관계에 있는 두 개념을 연결시킬 수 있 는 주제어는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만약 당신이 대립관계에 있다고 생각되는 두 용어를 찾았는데, 위 에서 보는 것처럼 그 둘을 연결하는 특정 주제어가 생각나지 않는다면, 아마도 그 경우는 잘못된 짝짓기일 가능성이 있다. 자, 이제 우리는 어디쯤 와 있는 걸까? 중간 점검을 해 보자. 기호학 적 분석이 텍스트 내에서의 의미와 관련돼 있으며 그 의미는 관계-특 히 기호들의 관계-로부터 파생된다고 말한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렇 다면 도대체 기호란 정확히 무엇이란 말인가?
기호 소쉬르(1915/1966)는 기호를 개념과 소리-이미지의 조합이며, 이 조합 은 절대 분리될 수 없다고 정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가 소쉬르 자
13
신에게는 만족스럽지 않게 느껴졌기 때문에, 스스로 이 정의를 약간 수 정하게 된다.
나는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의 기호란 말은 그대로 둔 채, 개념 및 소리-이미지를 각각 기의 및 기표라는 용어로 대체할 것을 주장한다. 나중에 두 용어, 즉 기표와 기의는 서로가 서로를 분리시키는 상호 배 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며, 또한 그것들이 부분을 차지하는 전체와도 분리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p. 67)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가 임의적이고, 특별한 동기를 갖고 있지 않 으며, 당연한 것이 아니란 점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단어와 개념 사이 또는 기표와 기의 간에 논리적인 연계성이 없다는 점은 텍스트 내에서 의미를 찾는 작업을 흥미로우면서도 또 고민스럽게 만드는 주요한 원 인이 된다. 소쉬르는 나무를 예로 든다. 그는 일반적인 기호의 개념을 설명해 주는 그림 1-3과 ‘나무’라는 특정한 기호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그림 1-4를 함께 제시한다. 기호와 상징과의 차이점에 대해 소쉬르 는 상징은 결코 완벽하게 임의적일 순 없는 기표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징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특징은 전적으로 임의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텅 비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기표와 기의 간에 자연 스러운 연결 고리의 흔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정의를 나타내는 상징 으로서의 저울을 전차와 같은 또 다른 상징으로 대체시킬 수는 없다. (p. 68)
14
소리 -이미지 (기표)
의미 (기의)
그림 1-3 기호에 대한 소쉬르의 다이어그램
우리는 이제 텍스트들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으며, 기표들이 어떻 게 의미를 만들어 내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기표가 어떻게 의미를 발생시키는가? 그리고 우리는 이 의미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가 자의적이라면, 기표가 갖고 있는 의 미는 어떻게든 학습되어야 하는데, 이는 우리가 기호를 해석할 때 도움 이 될 수 있는 어떤 특정한 연관성이나 약호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이 주제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스타트렉>이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기표와 기의가 무엇 인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프로그램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스타트렉>이 우주 모험을 배경으로 한 공상과학물(Science Fiction) 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왜냐하면 시청자는 매회 에피소드가 시작될 때 마다 새로운 세계와 문명을 찾는 임무를 띠고 외계로 떠나는 우주선 엔 터프라이즈호의 장면과 함께 “인류가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으로 용감 하게 출정하라”는 내레이션을 듣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는 공상 과학 모험물은 일반적인 ‘기의’이며, 프로그램 속에 이러한 의미를 발생 시키는 수많은 ‘기표’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테면 우주선,
15
“나무”
(기표)
나무
(기의)
나무
그림 1-4 ‘나무’의 기호와 상징에 관한 소쉬르의 다이어그램
미래형 제복, 레이저 총, 앞선 컴퓨터 기술, 신비한 능력을 가진 외계인 (완전한 인간이 아님을 의미하는 뾰족한 귀를 가진 스포크 같은 경우), 그리고 마법, 과학 등이 <스타트렉>이 공상 과학물이라는 기의를 의미 하는 대표적 기표들이다. ‘트레커(Trekkers)’3)들이 동호회 모임을 가질 때 등장인물을 흉내 내는 다양한 의상을 입고, 여러 종류의 ‘모조 가면’을 판매할 정도로, <스타트렉>이 공상과학 모험물로서 풍부한 기표를 가지고 있다는 점 은 분명하다. 그래서 당신이 기표를 확보하게 된다면 또한 기의도 획득 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여기서 바로 이런 것들이 광고가 작동하는 방 식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사람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구 매할 때는 이 제품이 그들이 속한 특정한 사회적 계급·지위, 혹은 뜻하 는 바를 의미해 줄 것이라고 가정(혹은 희망)하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들은 우리가 학습해 온 연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의사소 통을 하는 모든 사람은 항상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에 대한 연상을 활용 한다. 실제 생활에서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는 자의적이고 또 매우 빠 르게 변하기 때문에, 항상 긴장의 끈을 늦춰서는 안 된다. 기표는 금방
3) <스타트렉>의 광적인 팬.
16
표 1-3 기호: 기표와 기의의 조합 기호 기표
기의
(소리-이미지)
(개념)
낡은 것이 될 수 있으며,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순식간에 바꿀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비록 기호라는 용어를 한 번도 들어보지 못 했을 수 있지만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에 늘 관심을 갖고 그 의미를 파 악하기 위해 애쓰는 기호학자들일 수 있다. 사실 우리 모두는 최고 수준의 기호학자라고 볼 수 있는 탐정(고전 탐정물에 나오는 탐정도 모두 포함)의 모험담을 즐겨 읽는다. 다만 이 전에 기호학이라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그들이 기호학자로 서 훌륭한 자질을 가졌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할 뿐이다. 나는 셜록 홈 스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셜록 홈스의 추리소설에는 모든 사람들 을 당혹케 하는 미스터리한 사건이 꼭 등장한다. 그러나 홈스는 이 어 려움을 손쉽게 해결해 낸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무시하거나 사소하고 하찮은 것으로 여기는 기호들을 읽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푸른 카벙 클(The Blue Carbuncle)>이라는 이야기에서 왓슨은 경찰관이 가져다 준 모자를 요리조리 살펴보는 홈스를 발견한다. 그 모자에 대해 왓슨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오래되고, 안감의 색깔은 변했으며, 갈라졌고, 너무 먼지가 많고, 여기저기 얼룩이 져 있다. 홈스는 왓슨에게 그 특징 들을 통해 그 모자의 주인에 대해 무엇을 알아낼 수 있겠냐고 묻는다. 모자를 살펴본 후 왓슨은 자기는 아무것도 알아내지 못했다고 대답한 다. 그러자 홈스는 모자 주인에 대해 자신이 발견한 여러 특징들에 대
17
표 1-4 홈스가 모자에서 찾아낸 기표와 기의 기표
기의
모자의 크기 (큰 머리)
그 사람은 지적이다.
질 좋은 모자, 그러나 구입한 지 3년 된 것
경제적으로 어려워 새로운 모자를 살 수 없다.
오랫동안 손질되지 않은 모자
아내는 그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다.
모자 위의 먼지는 갈색 집의 먼지다.
밖에 잘 나가지 않는다.
모자 위에 묻은 촛농 자국
집에 가스가 떨어졌다.
해 놀라울 정도로 상세하게 묘사한다. 그는 매우 지적이며, 재산을 많 이 잃었으며, 그의 아내도 그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으며, 몸을 많이 움 직이지 않을 것이며, 아마 집에는 가스도 다 떨어졌을 것이다. 왓슨이 “홈스, 자네 지금 농담하고 있군”이라고 말하자 홈스는 자신이 어떻게 이런 결론에 도달하게 됐는지 설명하기 시작했다. 모자에 드러난 몇 가 지 특징(기표)을 통해 그것이 그 주인에 대해 알려 주는 정보(기의)를 찾아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홈스는 왓슨의 실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네는 자네가 본 것으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끄집어 내는 데 실패했네. 추리를 하는 데 너무 소심하기 때문이지.” 그러자 왓슨은 그 모자에서 아무것도 보 지 못했노라고 대답했다. 왓슨이 실패한 부분은 그가 본 것 중 의미(기 의)를 담고 있는 기표를 찾아내지 못한 것이다. 추리소설을 읽는 많은 독자들도 똑같은 실수를 한다. 그들 또한 중요한 정보를 그냥 흘려버리 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채지 못한다. 반면에 기호학자들은 그들이 본 것에서 의미를 찾아낸다. 기호의 의미, 그리고 기호의 집합 체로서 텍스트 속에서 기호의 의미는 항상(혹은 때때로) 명확하지 않
18
다. 그래서 그것들을 밝혀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왓슨처럼 많은 사 람들은 자신들이 목격한 것으로부터 어떤 추론을 이끌어 내는 데 과감 하지 못하다.
기호의 형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기호는 여러 형태를 띠고 있다 는 점이다. 물론 단어가 기호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것은 맞다. 그것 은 어떤 것, 어떤 생각, 어떤 개념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호는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여러 다른 형태로도 존재한다.
기호와 광고
우리는 기호가 광고와 가장 흔하게 연결돼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테면 상점이 어디에 위치해 있으며, 또 어떤 종류의 영업을 하는지 알려 주기 위해 단어와 이미지를 사용해 만들어진 어떤 형태의 전시물이 광 고라고 생각한다. 광고 제작에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활용된다. 나무에 조각한 것, 네온과 다른 조명기구, 플라스틱 성형, 그림 등 여러 재료가 단어와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우리는 슈퍼마켓 창문에 붙어 있는 ‘특별 세일’을 알리는 광고를 본다. 이밖에도 레스토랑, 일반 상점 등 상행위 가 일어나는 모든 장소에서 어김없이 광고와 연관된 기호들을 접하게 된다. 우리는 그러한 기호의 속성, 이를테면 디자인이 어떤지, 사용된 재료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 광고가 붙어있는 장소가 상류 층을 위한 명품관인지 아니면 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저가형 할인점인 지를 알 수 있다.
19
현대의 많은 기업은 ‘CI(corporate identity), 즉 기업 이미지 통합 전략’ 차원에서 상징이나 도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람들 이 이러한 상징이나 도상을 쉽게 기억하기 때문이다. 한 업체가 색채나 모양, 혹은 특정한 단어나 숫자들을 활용하여 고안해 낸 상징이나 도상 들은 고객이 그 회사가 어떤 회사인지를 알아채는 데 도움을 준다. 기호학은 마케팅 담당자에게 매우 중요한데, 이는 기호학이 고객들 이 어떤 생각을 하고, 또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어떤 부분들을 고 려하는지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브랜드는 이제 업체 들이 고객들로 하여금 자사의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데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롭 워커(Rob Walker)는 자신의 저서 욕망의 코 드: 우리를 소비하게 만드는 ‘필요’ 그 이상의 무엇(Buying In: What We Buy and Who We Are)에서 브랜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신 세대가 광고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광고 효과에 면역되어 있다 는 생각을 반박한다.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2008, p. 110).
누구나 전통적 광고를 꿰뚫어 본다. 30초짜리 광고를 볼 때 당신이 그
것에 빨려 들어간다는 점을 인정하기 싫다면 차라리 멍청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정은 면역성 같은 것이 아니다. 요즘 젊은이들을 보면서 놀라는 것은 그들이 브랜드에 둔감하다는 점이 아니고, 오히려 브랜드를 자기들의 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는 점이다. 이런 소비자들은 자 신에게 의미가 있는 유행을 만들어 내기 위한 목적으로 브랜드를 사용 하는 것에 전혀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즉 그들은 자신이 누구이며, 또
20
어떤 의미를 지닌 존재인지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브랜드를 사 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주장하는 것은 젊은이들을 포함하여 제품을 구매하 는 모든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구매한 제품의 브랜드가 가지는 기호학적 중요성이다. 즉, 많은 경우에 제품의 로고를 통해 드 러나는 기호의 가치, 이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물질문화
물질문화를 대표하는 수많은 사물(object)과 가공품(artifact)들도 다양 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호 역할을 한다. 우리가 현실에서든 혹은 광고· 영화 등과 같은 매스미디어를 통해서든 사람들을 ‘읽을’ 때, 우리는 그 들의 헤어스타일, 선글라스의 브랜드, 신고 있는 신발, 착용하고 있는 장신구 등에 많은 관심을 쏟는다. 이런 물건들은 그들이 어떤 사람인지 를 알려 주는 기호다. 또한 사람들이 머물고 있는 장소도 그들에 대해 많은 것들을 이야기해 준다. 만약 그들이 방에 있다면, 우리는 가구를 비롯해서 방안에 있는 많은 물건들·벽지의 색깔·벽에 걸려있는 그림 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자세히 살핀다. 어떤 물건의 브랜드가 무엇인지 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인류학자들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연구하기 위해 쓰레기를 뒤져서 정보를 얻기도 한다. 쓰레기 연구가들은 사람들이 그들의 취향과 생활 방식에 대해 학자들에게 언급한 설명과 실제로 그들이 내다 버린 쓰 레기에서 얻은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
대상과 정체성
내가 가르치는 기호학 세미나에서 재미있는 게임을 시도한 적이 있다.
21
나는 학생들에게 집에 가서 자신의 특징이나 성격을 잘 나타낸다고 생 각되는 단순한 물건 하나를 찾아보라고 요구했다. 그리고 그것들을 아 무것도 적혀 있지 않은 갈색 종이봉투에 넣고, 그 물건이 자신에 대해 어떤 것들을 말해 주는지를 적은 메모지도 함께 봉투에 넣으라고 말했 다. 다음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제출한 여러 개의 종이봉투 중에서 내 가 처음으로 집어 든 봉투에는 조개껍질이 들어 있었다. 나는 학생들에 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자유롭게 말해 보라고 했다. 그러자 학 생들은 ‘불임’, ‘죽음’, ‘공허함’ 같은 단어를 말했다. 그 후에 나는 그 봉 투를 제출한 학생이 그 안에 집어넣은 메모지를 꺼내 무엇이 적혀 있는 지 알려 주었다. ‘아름다운’, ‘단순한’, ‘우아한’, ‘자연스러운’ 등의 단어 가 쓰여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다음과 같 다. 사람들이 당신이 보낸 메시지를 항상 제대로 해석해 내는 건 아니 다. 좀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사람들은 당신이 얼굴 표정, 보디랭귀지, 의복, 헤어스타일 등을 사용해 그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거의 해석하지 않는다.
활동과 공연
기호학자와 심리학자의 많은 연구 성과물 덕분에 이제 우리는 보디랭 귀지, 제스처, 얼굴 표정 그리고 사람들이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법 등 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모든 것들이 우리가 사람들을 ‘읽을’ 때 사용하는 기호들이다. 다시 말해 이런 기호들을 통해 우리는 어떤 사람의 진실성, 기질, 성격, 가치관에 대한 통찰력을 얻게 된다. 배우들은 어떤 감정이나 신념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들이라 는 것을 우리는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그들은 이러한 것들을 대사나 얼굴 표정, 보디랭귀지들을 사용해 관객들에게 드러낸다. 포커 게임을
22
하는 사람들도 기호에 관심을 갖는다. 그들은 상대방이 카드를 쥐고 있 는 손가락의 강도, 움직이려는 의도 등을 통해 전달되는 대화(몸의 움 직임, 얼굴 표정)를 찾아낸다. 그런데 여기에도 문제점은 있다. 포커 게 임에서는 종종 상대방을 속일 목적으로 허세를 떨거나 또 거짓말을 하 기 위해 위장된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기호 와 관련된 한 가지 문제점은 진실을 말하기 위해 기호가 사용될 수 있다 면 역시 거짓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음악과 음향효과
음악과 음향효과는 관객들에게 특정한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이는 제시된 소리와 특정한 감정 간에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연 상 작용에 기반을 둔다. 음악에 사용되는 가사와 소리는 기표가 되고, 그것들이 유발하는 감정은 기의가 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라. 모든 기호들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기표와 기의 간의 관계는 임의적이고 관습에 기반을 둔다. 음악과 음향효과는 영화와 텔레비전 쇼에서 실재감(realism)을 유 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곡된 음악들과 사용된 소리는 관객들 로 하여금 그들이 보고 있는 작품에 대해 무엇을 느껴야만 하는지 강하 게 암시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기호와 진실 이탈리아의 뛰어난 기호학자인 움베르토 에코(1976)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기호가 진실을 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면, 또한 거짓을 말
23
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기호학은 기호가 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학문이다. 의미적으로 ‘다 른 어떤 것’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기호가 될 수 있다. 이 ‘다른 어떤 것’이란 기호가 그것을 의미하는 순간에 반드시 실제로 존재하거나 혹은 어딘가에 있을 필요는 없다. 이런 의미에서 기호학 은 원칙적으로, 거짓말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연구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에 어떤 것이 거짓말을 하기 위해 사 용될 수 없다면, 반대로 그것은 진실을 말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없 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것은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다. 나는 일반 기 호학(general semiotics)에서 ‘거짓말 이론’에 대해 종합적이고 심층적
그림 1-6 움베르토 에코
24
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p. 7)
그럼 여기서 우리가 기호를 이용해 어떻게 거짓말을 하고, 또 다른 사람들을 속이는지 몇 가지 예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사실 우리는 거짓말을 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속이는 기호로 가득 찬 세계에 살고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정말 속고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기호를 활용하여 하는 거짓말 중 대부분은 사실 상대적으로 해롭지 않다(원래는 갈색 머리인데 염색 으로 금발로 보이도록 하는 것 등). 그러나 어떤 경우, 이를테면 의사를 사칭하는 트럭 운전사 같은 경우에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에코의 지적은 의미심장하다. 기호가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 1-5 의미의 오류를 초래할 수 있는 기표들 기표
위장된 기의
가발
대머리 혹은 다른 머리 색깔을 가진 사람들
키높이 구두
키가 작은 사람을 커 보이게 만든다
염색한 머리
갈색머리가 금발이 되고, 금발이 빨간 머리가 된다
폴시즈(falsies)4)
작은 가슴을 풍만한 가슴처럼 보이게 한다
사기꾼
의사·변호사, 혹은 다른 직업을 가진 척한다
흉내냄
‘정체성’을 훔쳐 다른 사람인 척한다
꾀병
아픈 척한다
극장
감동을 받고, 믿음이 생기거나, 좋아하는 척한다
음식
모조품으로 만든 게, 새우, 가재 등
말
다른 사람의 마음을 다치지 않게 하는 하얀 거짓말들
4) 여자의 가슴을 더 커 보이도록 브래지어 안에 넣는 물질 – 역자 주
25
면, 역시 거짓말을 소통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기호로서 얼굴 표정 심리학자인 폴 에크만(Paul Ekman)은 얼굴 표정에 대한 중요한 연구 를 수행했다. 난 기호학과 관련된 한 국제 콘퍼런스에서 그의 연구를 처음 접했다. 그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을 유심히 살펴보거나, 안면 근 육의 극도로 미세한 움직임을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에크만은 연구를 통해 사람들에게 보통 분노, 투지, 혐오, 공포, 무 감정, 삐침, 슬픔, 놀람과 같은 여덟 개의 얼굴 표정이 있다고 결론지었 다. 에크만이 그의 동료 연구자와 함께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 제출한 보고서(Ekman & Sejonowski, 1992)의 내용 일 부를 잠시 살펴보자.
사람의 얼굴 표정은 그 사람의 정서 상태, 즉 공포·분노·즐거움·놀 람·슬픔·혐오와 같은 감정들, 그리고 환희·불쾌감·성급함과 같 이 좀 더 오래 지속되는 기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당혹스러움, 집중, 지루함과 같은 인지적 활동.
기질 및 성격과 연관된 특성들: 적대감, 사교성, 수줍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
26
진실성: 계획이나 행동에 대해 말로 주어진 정보가 거짓이었을 때 숨 겨진 감정이나 단서가 새어나가는 것을 포함.
정신병리학: 우울증·조증(mania)·정신분열증 및 기타 경증의 질환 들뿐만 아니라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
이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내용 중 하나는 연구자들이 사람의 얼굴 표정을 자동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언급한 것인 데, 그들은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법률·통신·의료·교육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사람들 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정 상태(emotional state)’를 얼굴이라는 ‘창(window)’을 통해 들여다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림 1-7의 사진들은 사람의 다섯 가지 표정을 나타낸 것이다. 얼굴 사 진 밑에는 무감정의 상태에서 다른 네 단계의 표정으로 변화할 때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소모되는지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있다. 연구자들의 언급처럼 얼굴은 창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단순히 창을 들여다봄으 로써 사람의 얼굴 표정이 의미하는 것을 정확히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는 것을 알고 있다. 사실 많은 사람은 다른 사람 얼굴에 나타난 다양한 표정 변화를 비 교하고 차이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한다.
27
초현실 포스트모더니스트 사회이론가인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는 현실(reality)이 소위 초현실(hyperreality)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주장 한다(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선 이 책 후반부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이 말은 이제 기호 자체가 그것이 의미하는 것보다 더 중요해 졌다는 의미다. 피터 브루커(Peter Brooker)는 그의 저서 문화이론: 용 어집(Cultural Theory: A Glossary)에서 이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999).
초현실: 대량 생산·재생산의 효과와 관련된 용어. 재생산된 대상·사
건·경험들이 원본(original)을 대체하거나 원본보다 오히려 더 선호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음.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이라는 표현과도 연
무표정
행복함
놀람
화남
역겨움
그림 1-7 얼굴 표정과 에너지 분포 사진 제공: 조지아공과대학교(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이르판 에사(Irfan Essa) 교수
28
그림 1-8 장 보드리야르
관됨. 장 보드리야르(1929∼)와 움베르토 에코(1932∼)가 포스트모 더니즘에 관해 쓴 저술에 따르면, 초현실은 특히 현대사회에서 나타나 는 문화적 경향·지배적인 예술적 감수성 등과 연관돼 있다. 보드리야르의 논의에서, 초현실은 가장 발달된 형태로서의 시뮬라시 옹(Simulation)5)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 실제(the real)와 관련된 모든 것들로부터 자유로운 독립적 시뮬라크르(simulacra)6)인 것이 다. (pp. 121∼122)
이 이론에 따르면 디즈니랜드와 같은 시뮬라시옹은 사람들에게 그 것이 모방하고자 하는 진짜 현실보다 궁극적으로 더 중요한 의미를 제공 한다. 보드리야르는 디즈니랜드야말로 궁극적 현실(ultimate reality)이 며, 미국은 그것을 모방한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5) 시뮬라크르의 동사형으로, 실재가 실재 아닌 파생 실재로 전환되는 작업을 말한다. 6) 실제 존재하지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때로는 실제 존재하는 것보다 더 실재같이 만
들어 놓은 인위적인 대체물을 지칭한다.
29
언어와 발화 앞서 나는 영화·텔레비전 프로그램·광고 등과 같은 텍스트들이 언어 와 유사하며, 따라서 언어학의 여러 규칙들이 여기에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언어의 역할은 사람들이 학습하는 체계와 규칙들을 구축함으로써 정보·감정·사고 같은 것들을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해 주는 데 있다. 글쓰기와 말하기에 문법이 있듯이 다양한 종류 의 텍스트들과 매체들을 위한 문법도 존재한다. 여기서 소쉬르는 ‘언어(Language)’와 ‘발화(Speaking, 發話)’라는 두 개념을 효과적으로 구분한다. 언어는 체계화된 규칙과 관습들로 구 성된 하나의 사회적 제도로서, 이를 통해 사람들의 발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보다 넓은 의미에서, 의사소통이라고도 한다). 사람들은 모두 제각각 자기의 방식대로 말을 하지만, 이 발화는 모든 사람들이 학습하 는 언어와 규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스타트렉>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 램은-내가 여기서 논의하는 대부분의 내용들은 서사구조(narrative) 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시청자들이 그 언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이해 가능한 발화로 인식된다. 즉 우리는 기호들과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알고 있다. 또한 우리는 해당 장르의 관습도 알고 있으 며, 그중에서 받아들일 만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 다. 우리는 그 약호들을 안다! 프로그램 제작자가 적용한 약호와 시청자들이 사용하는 약호 사이 에 종종 혼란이 생겨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 루어질 수 없다.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에서 일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 은, 사람들이 규칙과 약호들에 반응은 보일지라도 그것들을 의식적으 로 알아채진 못하며, 또 그것들을 분명하게 표현하지도 못한다는 점이
30
다.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한 장면이 본래 슬픔을 의미하는 것이 었으나 그것이 오히려 관객들의 웃음을 유발했다면 이런 혼동이 발생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입으로 소리를 내 아무런 말을 하지 않을 때조차도, 사람들은 항상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는 게 분명하다. 헤어스타일, 안경, 옷차림, 얼굴 표정, 자세, 몸짓을 포함하여 수많은 것들이 이러한 것들에 민감하거나 혹은 기호와 기표들에 주의 깊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말을 하거나 의미를 전달한다. 마야 파인스(Maya Pines, 1982)는 기호학에 대해 다 음과 같이 설명한다.
우리가 하는 모든 것들이 다양한 약호를 통해 우리 자신들에 관한 메 시지를 보낸다는 것이 기호학자들의 주장이다. 또한 우리는 음악, 제 스처, 음식, 의례, 책, 영화, 광고에 암호화되어 있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메시지를 받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메시지들을 받 는 걸 거의 알아채지 못하며, 그것들이 작동되는 규칙들에 대해 설명 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낀다. (p. G1)
파인은 기호학자의 역할이 이러한 규칙들을 해독하고, 사람들이 “그것을 의식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인다. 나는 우리가 주고 받는 이 메시지들을 ‘발화’와 비슷한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소쉬르 (1915/1966)는 발화가 어떤 구축된 체계를 의미하지만, 이 체계는 끊임 없이 진화한다고 주장한다. 그럼 기호학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내가 논의했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겠다.
31
1. 기호학은 의미가 텍스트, 특히 서사구조 내에서 어떻게 만들어 지고 또 전달되는가와 관련되어 있다. 2. 기호학의 초점은 텍스트 내에서 발견되는 기호들에 맞춰져 있 다. 기호는 기표와 기의의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어떤 것도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기호들 간 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단어들과 문법에 대한 비교가 가능해진다. 단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바로 그것들이 결합되는 방식이다. 언어는 단어들이 어떻게 사용되 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하나의 사회적 제도이며, 발화는 그 언 어에 기반을 두고 실천되는 개별적 행위다. 4. 텍스트는 발화와 유사하며, 텍스트가 의미를 지닐 수 있게 만들 어 주는 문법이나 언어를 내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약호와 관습들은 서사구조 속의 기호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또 행위 들을 만들기도 한다.
공시와 외시 공시(connotation)라는 단어는 ‘∼을 따라 표를 하다’라는 뜻을 지닌 라 틴어 ‘코노타르(connotare)’에서 유래했으며, 단어(혹은 커뮤니케이션 의 다른 형태)에 붙여진 문화적 의미를 지칭한다. 한 단어의 공시는 그 것과 연관된 상징적이고 역사적이며 감정적인 내용들을 포함한다. 저 명한 프랑스 기호학자인 롤랑 바르트는 그의 책 신화론(Mythologies) (1972)에서 스테이크와 튀김, 세제, 시트로엥 자동차, 레슬링 같은 프랑 스인 일상생활의 다양한 측면 속에 녹아 있는 문화적 공시에 대해 설명
32
한다. 그는 레슬링에 관해 논하면서 타우빈(Thauvin)이라는 이름을 가 진 프랑스의 한 레슬링 선수를 예로 드는데, 그의 몸이 프랑스 국민에게 많은 것들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슬링 시합과 연관된 모든 기호들은 그 명료성을 완벽하 게 부여받게 된다. 그 이유는 관객들은 항상 바로 그 자리에서 모든 것 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수들이 링에 오르자마자, 관중들은 그들 이 맡고 있는 명확한 역할에 압도된다. 또한 각 선수들의 고유한 신체 적 특징이 그 선수가 맡고 있는 ‘배역’보다 더 많은 의미를 관객들에게 전달한다. 뚱뚱하고 축 처진 몸을 가진 50세의 레슬링 선수인 타우빈은 소름끼칠 정도로 무성(無性)적인 그의 몸 때문에 항상 여성적인 애칭 을 생각나게 한다. 또 그의 몸이 보여 주는 비열한 특징으로 인해 그는 ‘이 새끼(salaud)’라는 고전적인 의미를 지닌 ‘악당(bastard)’(레슬링 시 합에서는 핵심적인 개념이다)의 역할을 주로 맡아 왔는데, 그의 이런 역할은 근본적으로 매우 혐오스러운 것이다(pp. 16∼17). 바르트는 프랑스인들이 타우빈을 ‘냄새가 고약한 고기’라는 뜻을 지닌 ‘라 바르바크(la barbaque)’라고 부른다고 언급한다. 이로써 타우 빈의 몸은 프로 레슬링을 시청하는 프랑스 시청자들 중 일부에게 매우 강렬한 감정을 만들어 내는 하나의 기호가 된다. 미국의 프로 레슬링에 등장하는 많은 악당과 영웅들도 마찬가지다. 바르트의 목표는 ‘두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세상에 대해, 사실은 그 안에 어떤 공시적인 의미들이 존재하며, 더 나아가 이 세상을 구성하는 이데 올로기적인 기초는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외시(denotation)는 단어나 다른 현상의 문자적이고 명시적 인 의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바비 인형은 외시적으로는 1959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한 높이 11.5인치, 가슴 5.25인치, 허리 3.0인치, 엉덩이
33
표 1-6 공시와 외시의 비교 공시
외시
비유적인
문자적인
기의(들)
기표(들)
암시된
명시된
의미를 암시하는
서술하는
신화의 영역
존재의 영역
4.25인치인 장난감 인형을 의미한다. 그러나 바비 인형의 공시적인 의 미는 오랫동안 뜨거운 논쟁의 주제가 되어 왔다. 일부 학자들은 바비 인형의 등장으로 모성을 여성의 주된 성역할로 규정한 시대가 끝났음 을 의미한다. 또한 소비자 문화의 중요성도 빛을 잃은 것으로 해석하는
그림 1-9 롤랑 바르트와 저서 신화론
34
데, 그 이유는 바비가 켄이나 다른 인형들과의 관계를 갖기 위해 옷을 구 입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쓰는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여
자 아이가 엄마를 모방함으로써 ‘아기’를 돌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 주는 다른 인형과 달리, 바비 인형은 여자 아이들에게 모성으로 대표 되는 전통적 성역할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표 1-6 은 공시와 외시를 비교해 보여 준다. 매체 분석의 상당 부분은 대상이나 상징 현상, 그리고 텍스트에 등 장하는 인물들 간의 행동이나 대화에 숨어 있는 공시를 탐색하는 작업 들로 이뤄지는데, 여기에는 관객들에게 의미를 주는 것들을 찾아내고, 또 발견된 공시적 의미들을 사회·문화·이데올로기 등과 연계하는 과 정도 포함된다.
공시태와 통시태 공시태(Synchronic)와 통시태(Diachronic)의 구분도 소쉬르부터의 또 다른 유산이다. 그는 ‘공시태’를 분석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시 태’는 역사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따라서 텍스트에 대한 공시적 연구는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보고, 통시적 연구는 서 사구조가 진화해 나가는 방식을 본다. 달리 말하면 어떤 사람이 텍스트 를 공시적으로 분석한다고 가정할 때, 그는 텍스트에 내재한 이항대립 의 유형(계열체 구조)을 찾는 반면, 통시적인 분석에서는 서사구조를 구성하는 사건들의 연쇄(통합체 구조)에 초점을 맞춘다. 소쉬르(1915/1966)는 정태적(공시적) 언어학과 진화적(통시적) 언어학을 다음과 같이 구별하고 있다:
35
표 1-7 공시태 분석과 통시태 분석의 비교 공시적 분석
통시적 분석
동시성
연속성
정태적
진화적
시간의 즉각성
역사적 관점
체계 내의 관계
시간상의 관계
분석에 초점
발전에 초점
계열체
통합체
레비스트로스
프로프
모든 학문은 그것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이 위치하는 축을 좀 더 정교하 게 나타내 보여 줄 필요가 있다. 모든 분야에서 다음 두 개의 축에 따른 구분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① 동시성의 축(axis of simultaneity), 이것은 공존하는 것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며, 시간적인 개입은 배제 된다. ② 연속성의 축(axis of successions), 여기에서는 한 번에 오로 지 한 가지 사항만 고려될 수 있는데, 동시성의 축 위에 있는 모든 사항 들이 그 변화 요소와 함께 위치하고 있다.
이 두 관점 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소쉬르는 독자들에게 식물 을 상상해 볼 것을 제안한다. 어떤 식물을 세로로 자르게 되면, 그 식물 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조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만약에 그 식물을 가 로로 자르게 되면, 그 식물과 다른 식물의 섬유조직이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볼 수 있다. 표 1-7은 공시적 분석과 통시적 분석을 비교하여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비디오게임의 발전 과정에 초점을 둘 수도 있고(즉 통
36
시적 관점을 활용), 특정한 시기에 가장 중요한 비디오게임들을 비교해 볼 수도 있다(즉 공시적 관점을 활용). 혹은 맥락을 구축하기 위해 먼저 통시적 관점을 활용한 이후에 공시적 분석을 통해 중요한 게임 몇 개를 비교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표 1-7에서는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Claude Lévi-Strauss)와 블라디미르 프로프(Vladimir Propp)가 지금까 지 말한 두 개의 분석유형을 대표하는 사례로 제시되고 있다. 나는 다 음 절에서 두 이론가가 발전시켜 온 생각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통합체 분석 통합체는 하나의 연쇄다. 따라서 통합체 분석에서는 텍스트를 어떤 유 형의 서사구조를 형성하는 사건들의 연쇄라는 측면에서 다루게 된다. 이 장에서 나는 1928년에 민담형태론(Morphology of the Folktale) 이라는 선구적인 저서를 집필한 러시아 민속학자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생각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형태론은 형태(form) 즉 어떤 것의 구성 요 소와 그것 간의 상호관계 혹은 그것과 전체에 대한 관계를 연구하는 학 문 분야다. 프로프(1928/1968)의 작업에는 동화가 다수 포함됐는데, 그는 자신의 연구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우리는 이 동화들의 주제를 서로 비교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리 는 특별한 방법으로 동화의 구성 요소들을 분리해낼 것이다. 그러고는 그 구성 요소들에 따라 동화들을 비교할 것이다. 그 결과는 형태론이
37
될 것이다(즉 서사구조의 구성 요소와 그것들 간의 상호관계 혹은 그것 들과 전체에 대한 관계를 통해 이야기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p. 19)
프로프는 그의 연구에서 필수적인 혹은 기본적인 이야기가 되는 서사구조의 단위를 ‘기능(function)’이라 불렀다(pp. 21∼23).
기능이란 행동 방침의 중요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규정되는 등장인물 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프의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간결하게 공식화될 수 있다.
1. 등장인물들의 기능은, 그것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수행되는지 와는 상관없는 확고하고 일관된 이야기의 구성 요소가 된다. 기 능은 이야기의 기본적 구성 요소다. 2. 동화에서 기능의 수는 제한되어 있다. 3. 기능들의 시퀀스는 항상 똑같다. 4. 동화들은 그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모두 동일한 유형을 나타낸다.
프로프의 작업은 이 논의에서 엄청난 중요성을 갖는데, 그 이유는 그의 생각을 영화, 텔레비전 이야기, 만화를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서 사구조 분석에 채택하거나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프의 주장들 이 모두 정확한지는 우리의 목적을 고려해 볼 때 아주 중요한 것은 아니 다. 그가 고안한 기능 개념을 모든 종류의 텍스트에 적용 가능하며, 그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프로프는 각 기능의 핵심 내용들을 요약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무
38
엇을 의미하는지에 축약된 정의를 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다 관습적 인 기호나 표시를 부여한다. 어떤 기능들은 상당히 복잡해서 여러 개의 하위 범주들을 갖고 있는데, 이들 모두가 동일한 과업을 달성한다. 프 로프(1928/1968)의 첫 번째 기능이 아래에 인용돼 있는데, 이를 통해 여러분은 하나의 단순한 기능이 어떤 것이고, 그가 각각의 기능들을 어 떻게 발전시켜 나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프로프가 연구한 특정한 동화의 번호를 나타낸다).
I.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집에 없다.(정의: 부재. 표시: β) 1. 집에 없는 사람이 윗세대에 속한다(β ,). 부모님들이 일하러 떠난 다(113). “왕자가 자기 부인을 이방인들 손에 맡겨둔 채 먼 길을 떠나야만 했다”(265). “옛날에 그(상인)는 외국으로 떠났다”(17). 부재의 일상적 형태: 일하러, 숲으로, 장사하러, 전쟁터로, ‘사업 상’ 나간다. 2. 강화된 형태의 부재는 부모의 죽음을 통해 재현 된다(β ). 3. 종종 아래 세대의 구성원들이 부재하는 경우도 있다(β ). 그들은 누 군가를 방문하려고(101), 낚시하러(108), 산책하러(137), 과일을 모으려고(244) 집을 비운다.(p. 26)
이것은 프로프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몇 가지 간단한 사 례들이다. 예를 들어 8번 기능(악당이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에게 해를 가하거나 부상을 입힌다)은 19개의 하위 범주를 갖는다. 비록 여러분이 각 기능의 모든 하위 범주들을 다 알지는 못할지라 도, 선택한 텍스트의 통합체 분석에 프로프가 고안한 31개의 기능을 사 용할 수는 있다(표 1-8은 단순화되고 살짝 변형된 기능의 목록과 각각
39
표 1-8 프로프의 기능 α
도입 상황
가족 구성원 또는 영웅이 소개된다.
β
부재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집에 없다
γ
금지
영웅에게 금지가 주어진다
δ
위반
금지가 위반된다
ε
정찰
악당이 정찰을 시도한다
η
전달
악당이 희생자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ζ
계략
악당이 희생자를 속이려 든다
θ
공모
희생자가 속아서 자기도 모르게 적을 돕는다
A
악행
a
결핍
B
중재
불행이 알려지고, 영웅이 급파된다
C
대응
추격자가 대응하는 데 동의한다
↑
출발
영웅이 집을 떠난다
D
40
악당이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에게 피해를 주거나 부상을 입 힌다 가족 구성원 중 한명에게 어떤 결핍이 생기거나 무슨 필요 가 생긴다
증여자의 첫 번째 기능 영웅은 시험을 받고, 마법도구나 조력자를 얻는다
E
영웅의 반응
F
마법도구의 수령
G
공간 이동
H
싸움
영웅과 악당이 전투에서 맞닥뜨린다
J
낙인
영웅에게 낙인이 찍힌다
I
승리
악당이 패배한다
K
제거
처음 주어졌던 불행이나 결핍이 해소된다
↓
귀환
영웅이 돌아온다
Pr
추격
추격: 영웅이 추격당한다
Rs
구출
영웅이 추격으로부터 구출된다
O
인지되지 못한 도착
L
근거 없는 주장
영웅은 미래의 증여자의 행동에 반응한다 영웅이 마법도구의 사용방법을 익힌다 영웅은 그가 찾는 대상이 있는 곳으로 인도된다
영웅이 은밀하게 집이나 다른 나라로 돌아온다 가짜 영웅이 터무니 없는 주장을 한다
M
어려운 임무
N
해결
그 임무가 해결된다
Q
인정
영웅이 인정을 받는다
Ex
노출
가짜 영웅이나 악당이 드러난다
T
변모
영웅에게 새로운 외모가 주어진다
U
처벌
악당은 처벌받는다
W
결혼
영웅이 결혼을 하고, 왕위에 오른다
영웅에게 어려운 임무가 주어진다
프로프의 분류표에는 일곱 명의 등장인물이 있다: 1
악당
2
증여자
영웅에게 마법도구를 제공한다
3
조력자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영웅을 돕는다
4
공주
영웅과 싸운다
영웅이 찾는 인물
공주의 아버지
영웅에게 어려운 임무를 부여한다
5
파견자
임무 수행을 위해 영웅을 보낸다
6
영웅
무엇인가를 찾거나 악당과 싸운다
7
가짜 영웅
영웅이라고 주장하지만 결국 실체가 드러난다
의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보여 준다). 이 기능을 사용해 보면 현대 의 수많은 이야기 속에도 프로프의 기능이 여전히 포함되어 있다는 점 을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로프는 영웅을 ‘악당의 행위로 인해 직 접적인 고통을 당하거나…다른 이들의 불행과 결핍을 해결하는 데 동 의한 인물’로 정의했는데, 이것 역시 고려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p. 50). 프로프에 따르면 또 영웅은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법 적 도구와 조력자를 공급받기도 한다. 나는 이제 프로프의 기능을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프리즈너>의 특정 에피소드에 적용해 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여러분은 프로프의
41
작업이 서사구조를 가진 텍스트의 형태론을 밝혀내는 데 어떻게 도움 이 될 수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프리즈너>는 수년 전 최초로 방영되 었던 주목할 만한 ‘실제’ 텔레비전 시리즈인데, 요즘에는 많은 사람들 이 고전으로 여긴다. 이 작품은 어떤 미스터리한 조직(스파이 행위와 관련된 것이 분명한)에서 퇴직한 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다. 그는 납치 된 후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마을’에 감금된다. 섬에 있는 휴양지처 럼 보이는 그 이상한 ‘마을’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이름 대신 번호로 불 린다. 그 주인공은 17화에서, 각각 2번으로 불리는 다양한 상대들과 싸 움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시리즈의 마지막 회에서 그 주 인공(6번)은 자신이 파괴한 ‘마을’을 탈출한 후 런던에 있는 그의 아파 트로 돌아온다. <프리즈너>는 인터넷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주소는 http://www.amctv.com/originals/the-priosoner/다. 첫 번째 에피소드의 제목은 ‘도착’이다. 이름 없는 주인공이 직장에 서 퇴직하는 것처럼 보이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는 여러 직원들과 함 께 한 사무실 안에 있다. 그는 탁자를 손으로 쾅쾅 내려친 뒤 떠난다. 그 리고는 아파트로 돌아와서 짐을 싸기 시작하는데, 그 사이에 가스에 마 취돼 정신을 잃는다. 그는 모든 사람들이 이름 대신 번호로 불리는 전 체주의 사회인 ‘마을’에서 깨어난다. 그는 6번을 부여받는다. 그는 자신 이 퇴직한 이유를 알아내려는 2번과 맞붙게 된다. 6번은 해안선을 따라 달려 탈출을 시도해 보지만 바다 밑에 숨겨 있는 ‘로버’라는 이름의 거 대하고 공포스러운 고무공에 의해 붙잡히는데, 이 고무공은 2번에 의해 통제된다. 6번은 마을병원에 보내지는데, 거기서 그는 역시 스파이였 던 옛 친구와 방을 같이 쓰게 된다. 6번이 의사에게 진찰을 받고 있는 동안 진료실 밖에서 소동이 벌어진다. 6번은 서둘러 자기 방으로 돌아 가는데, 거기서 그는 자기 친구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42
그림 1-10 <프리즈너>의 포스터
병원에서 퇴원한 후에, 그는 친구의 장례식 행렬에서 이상한 행동 을 하는 한 여인을 주목한다. 6번은 그녀와 이야기를 나누는데, 그녀는 그에게 자기가 그 친구의 연인이었으며, 두 사람은 함께 그 섬에서 탈출 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고 말한다. 그녀는 6번이 로버를 피해 헬리콥 터를 훔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가 부착된 시계를 가지고 있었다. 6번은 그 시계를 받아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에 성공한다. 그러나 그 섬을 떠 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는 그 헬리콥터가 2번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에피소드는 헬리콥터가 ‘마을’로 돌아오고, 자살 한 것으로 알려졌던 스파이 친구가 2번에게 6번은 보통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특별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말을 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43
표 1-9 <프리즈너>의 ‘도착’ 편에 나타난 프로프의 기능 프로프의 기능
상징
사건
도입 상황
α
주인공이 일을 그만두는 것으로 보여짐
금지가 위반됨
δ
(암시적으로)스파이는 일을 그만둘 수 없다
악당이 부상을 입힘
A
주인공이 ‘마을’로 납치됨
마법적 도구의 수령
F
여자가 6번에게 특수장치가 있는 시계를 전해 줌
가짜 영웅이 드러남
Ex
2번과 함께 있는 옛 친구
비록 <프리즈너>가 그 자체로 동화는 아니지만, 동화 같은 요소들 을 많이 가지고 있다. 논란의 여지는 있을 수 있겠지만, 현대의 많은 서 사적 텍스트들은 프로프가 설명한 동화들과 꽤 유사하다는 점에서 변 형되고 최신화된 동화들이라고 할 수 있다. 표 1-8의 목록은 프로프의 기능들 가운데 ‘도착’편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몇 개의 사례들이다. 이 분 석은 프로프가 고안한 여러 개의 하위 범주들을 통해 확장되고 더 정교 해질 수 있을 테지만, 여기에서 나는 단지 이런 유형의 분석이 가능하다 는 것만 제안해 보려고 한다. 통합체 분석을 통해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점을 배울 수 있다. 첫 째, 장르에 상관없이 서사구조는 이야기를 만드는 데 필수적인 어떤 기 능(혹은 요소들)으로 구성된다. 프로프의 연구는 우리가 공식(formula) 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둘째, 서사구조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순서는 매우 중요하다. 서사구조를 가진 텍스트에는 어떤 논 리가 존재하는데, 이야기 속 요소의 배열이 우리로 하여금 어떤 것이 무 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도록 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 것이 편집의 목적이다.1
44
계열체 분석 텍스트의 계열체 분석은 텍스트 속에 묻혀서 의미를 발생시키는 숨겨 진 이항대립의 유형을 찾아내는 것을 포함한다. 알란 둔데스(Alan Dundes)는 프로프의 민담형태론(1928/1968)의 서문에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계열체적 구조 분석은 민담 텍스트의 기저를 이루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정한 유형(통상 연역적으로 이항대립 원리에 기반을 둔)을 찾아내 설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유형은 결코 연쇄적 구조와 같을 수 없다. 이 요소들은 오히려 ‘주어진’ 구조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분석적 틀 속에서 재집단화된다. (p. ⅺ)
우리가 이항대립을 찾는 이유는 의미가 구축된 관계에 기반을 둘 뿐만 아니라 언어의 의미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관계가 바로 대립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여기서 “언어에는 단지 차이만 존재한다”고 말한 소쉬르 (1915/1966)의 관념으로 돌아가게 된다. 혹은 조너선 컬러(1976)가 말 한 것처럼 “구조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야콥슨(Jakobson)을 지지하며, 따라서 이항대립을 의미생산에 기초가 되는 인간 정신의 근본적 작동 으로 받아들인다”(p. 15). 따라서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든 아니든 모든 텍스트로부터 어떤 종류의 체계적이고 상호 연관된 대립쌍의 집합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이러한 이항대립을 의식하지 못 한다. 그리고 종종 그것들은 단지 암시될 뿐이다. 그러나 차이가 없다 면 의미도 없는 것이다.
45
어떤 사람들은 기호학자들이 텍스트로부터 ‘이끌어 내는’ 대립과 이와 유사한 구조들이 거기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 다. 비평가들은 기호학자들이 관계의 체계를 ‘발견’하는 게 아니라 그것 들을 ‘발명’한다고 단언한다. 이런 논쟁은 종종 ‘야바위(hocus-pocus)’ 대 ‘신의 진리(God’s truth)’의 문제로 알려져 있다. 나는 기호학자들이 텍스트 내에서 찾아내는 이항대립들이 그곳에 실재한다고 믿는다. 뿐 만 아니라 그곳에 있어야만 한다. 이항대립을 분별해 내지 못한 채 의 미를 찾는 것은 한 손으로 치는 박수소리를 듣는 것과 같다. 이미 앞서 <프리즈너>를 사례로 사용했던 것처럼 나는 계열체 분 석에서도 동일한 ‘도착’ 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해 나갈 것이다. 이 에피소드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대립은 자유와 통제다. 나는 이 두 개념을 표 1-10에 나와 있는 대립쌍들의 가장 윗부분에 사용할 것 인데, 이를 통해 해당 에피소드의 이야기가 어떤 관념적 구조 위에 자리 하고 있는지를 보여 줄 것이다. 프랑스의 저명한 인류학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텍스트의 통 합체 분석은 그 텍스트의 명시적 의미(manifest meaning)를 보여 주고, 계열체 분석은 잠재적 의미(latent meaning)를 보여 준다고 주장한다. 명시적 구조가 ‘텍스트 내에서 무엇이 발생하는가’에 관한 것이라면 잠 재적 구조는 ‘텍스트가 무엇에 관한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달리 표현 해 보면 우리가 계열체적 접근을 할 때 우리는 등장인물들이 ‘무엇을 하 고 있는가’에 관해서 보다 그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레비스트로스는 이야기가 조직되고 구조화되는 방식과 이러한 조 직화가 어떻게 의미를 발생시키는지에 관심이 있었다. 그는 신화·친 족 체계 및 이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 수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46
표 1-10 ‘도착’에서의 이항대립 자유
통제
6번
2번
개인
조직
의지력
권력
탈출
감금
신뢰
속임수
중 상당수는 여전히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레비스트로스 (1967)에 따르면, 신화는 그것을 구성하는 기본 혹은 최소 단위인 ‘신화 소(mytheme)’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되 면서 메시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신화소들은 중요한 관계를 나타내 는 짧은 문장 속에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비스트로스는 오 이디푸스(Oedipus) 신화를 통해 “오이디푸스가 그의 아버지 라이우스 (Laius)를 죽인다”,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한다”, “오이디 푸스가 스핑크스를 희생물로 바친다”와 같은 신화소들을 제시한다. 이 러한 신화소들과 그 결합규칙들[그는 이것을 ‘묶음(bundle)’ 혹은 관계 라 부른다]을 활용하여 신화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신화가 중요한 이유 는, 그것을 이야기하고 또 믿는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게 신화가 하나의 강령처럼 기능하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인간 정신의 작동방식을 알려 주는 열쇠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야기이지 스타일이 아니다. 그러므 로 이야기가 전달되는 방식이 아니라 등장인물들 간의 구조화된 관계 및 이런 관계들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레비스트로스가 주장하듯이 신화는 문화로부터 약호화된 메시
47
지를 개인에게 전해 준다. 따라서 분석가의 과제는 그 약호를 ‘깨뜨려 서’ 그 안에 감춰지고 숨겨 있는 메시지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것은 분 석의 마지막 단계에서 텍스트의 계열체적 구조를 이끌어 내는 작업을 포함한다.2 텍스트의 계열체 분석을 할 때, 분석가는 특정한 실수들을 범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첫째, (단순히 부정이 아닌) 진짜 대립쌍 을 추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유함’의 대립쌍은 ‘가난함’이지 ‘안 부 유함(unrich)’이나 ‘부유하지 않음(nonrich)’이 될 수 없다. 둘째, 대립 쌍들이 텍스트의 등장인물들과 사건에 반드시 연결돼 있어야 한다. 만약에 내가 ‘도착’ 편에 대한 줄거리를 보다 상세하게 제공했더라 면, 이 이야기에 대해 더 정교하게 통합체 및 계열체 분석을 할 수 있었 을 것이고, 그럴 경우 프로프의 기능과 이항대립의 목록(표 1-9, 표 1-10) 도 지금보다 길어졌을 것이다. 여기서 한 마디 덧붙이고 싶은데, 만일 분석가가 자신이 만든 이항대립 목록에 있는 용어들을 설명하고, 각각 의 대립쌍들이 포함된 이유를 밝힌다면 꽤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상호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논
쟁이 있다. 이 책에서는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다른 텍스트에 있는 내 용을 새로운 텍스트에서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패러디, 혹은 어떤 텍스트를 익살스럽게 모 방하는 것은 기존에 있던 텍스트의 재료를 의식적으로 재사용한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패러디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관객들이 원작
48
텍스트를 잘 알고 있어야만 가능하다. 그래야 어떤 부분이 패러디되었 는지를 알 수 있다. 또 ‘스타일’을 패러디하는 경우도 있다. 헤밍웨이의 글쓰기 스타일을 어느 참가자가 가장 우스꽝스럽게 패러디하는지를 겨 루는 콘테스트가 개최되기도 한다. 또 ‘장르’를 패러디하기도 하는데, 소프 오페라나 서부 활극과 같이 정형화된 종류의 텍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기본적인 플롯 구조를 활용해 패러디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우디 앨런(Woody Allen)은 그의 작품 <봄 학기 게시판(Spring Bulletin)>에서 강의 소개 방식을 활용하여 최고의 패러디를 만들어 냈다.
철학 I: 플라톤부터 카뮈까지 모든 철학자와 작가에 대해 학습하게
됨. 다음의 주제가 다루어지게 될 것임. 윤리학(Ethics:): 정언 명령 과 그것이 여러분을 위해 작동될 수 있도록 만드는 여섯 가지 방법. 미학(Aesthetics): 예술은 삶의 거울인가? 아니면 무엇? 인식론 (Epistemology): 지식은 알 수 있는 것인가? 아니라면, 우리가 이것 을 어떻게 알 수 있지? 부조리(The Absurd): 갈색과 하얀색 구두를 신 은 남자들에게 존재는 왜 어리석은 것으로 여겨지는 것인가? ‘타자성 (otherness)’과 연관된 ‘다자성(manyness)’과 ‘독자성(oneness)’에 대 해 배울 것임(‘독자성’을 끝마친 학생은 ‘이중성(twoness)’의 단계로 진급하게 될 것임).
앨런의 패러디가 웃긴 이유는 우리가 대학에서 개설되는 강의 소 개의 전형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장에서 앨런은 전형적 강의 소 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장르와 문체를 모두 패러디하고 있다. 의식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다른 형태의 상호텍스트성은, 시나리오 작가나 영화감독들이 창작한 장면이 사실은 다른 영화에서 ‘인용’한 것
49
이라는 점을 관객들이 알아챌 수 있을 때 가능해진다. 전위주의(前衛主 意)적인 영화제작자들은 종종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들을 의식적으로
‘인용’한다. 기존 작품에서 잘 알려지거나 혹은 그렇게 잘 알려지지 않 은 여러 특징들을 조합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낸다. 마르셀 다네시 (Marcel Danesi)가 그의 저서 미디어 기호학의 이해(Understanding Media Semiotics)(2002)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영화 <블레이드 러너 (Blade Runner)>는 창조자를 찾는 것과 같이 성경적 주제와 관련된 다 양한 암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호텍스트성의 또 다른 사례는 레너드 번 스타인(Leonard Bernstein)과 스티븐 손다임(Stephen Sondheim)이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의 이야기를 기초로 제작한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다. 일부 비평가들은 2003년 에 방영됐던 텔레비전 프로그램 <스킨(Skin)>도 <로미오와 줄리엣>의 현대적 변형이라고 주장한다. 무의식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호텍스트성은 이미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거나 문화적으로 널리 퍼진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적 재료 (플롯, 주제, 등장인물의 유형 등)들을 통해 실현된다. 작가들은 자신도 의식하지 못한 채 이런 재료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낸다. 문학이론가들은 사실 모든 창작물들이 궁극적으로 상호텍스트성을 나 타낸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모든 텍스트는 다른 텍스트들과 어느 정 도는 다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대화이론 러시아의 기호학자인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은 언어는 ‘대화적
50
그림 1-11 미하일 바흐친
(dialogic)’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가 말을 할 때, 우리 가 말하는 것은 이미 지나간 과거의 발언뿐만 아니라 미래에 이루어질 기 대(expected) 발언과도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그의 저서 대화적 상상 력: 네 편의 논문(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1981)에서 바흐친은 자신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을 제시한다.
일상 대화에서 말은 직접적이고 노골적으로 앞으로 나올 대답을 지향 한다. 즉 말은 대답을 유발하고, 대답을 예상하고, 대답의 방향으로 구 조화된다. 구어체 대화의 상황에서 만들어지는 말은, 동시에, 아직 말 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그 대답에 의해 필요하고 실제로 예상되는 것 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일상 대화의 상황이 그렇다. (p. 280)
구술적 발언에 대한 바흐친의 개념을 텍스트에 적용해 보면, 상호 텍스트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바흐친은 그 가 ‘인용’의 문제라고 부르는 (이 책에서는 이것을 상호텍스트성이라고
51
한다) 중세 시대의 텍스트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다른 사람이 쓴 글의 존재감은 실로 대단했다. 솔직하게 그리고 경건하게 남의 글을 인용하는 경우도 있고, 인용했다는 사실을 반쯤 혹은 완전히 숨기거나, 반쯤은 의식한 채 혹은 완전히 무의식적으로 인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임의로 수정하거나, 의도적으로 비틀거 나, 신중하게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남의 글을 인용하는 경우가 비일비 재했다. 자신이 말한 것과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구분 짓는 경계선은 탄력적이거나 모호했으며 때때로 의도적으로 왜곡되거나 혼란스럽게 만들어졌다. 어떤 텍스트는 다른 사람의 것을 조합하여 모자이크 형 태로 만들기도 했다. 중세시대의 패러디에 관한 최고의 권위자 중 한 사람은 중세 문학, 그중에서도 특히 라틴 문학은 “다른 사람의 재산- 우리는 이것을 다른 사람의 언어·문체·표현이라고 부른다-을 도 용하거나 짜깁기하거나 모방한 역사”라고 말한다. (p. 69)
남의 작품을 ‘도용(appropriation)’했던 중세시대의 전통은 사실 현재 우리 시대에도 그대로 벌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서구 사회에 살 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일한 문화적 유산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사실은 다른 사람의 텍스 트 혹은 자료를 ‘인용’하겠다는 명백한 의도성이 없더라도 결국 유사한 부분들이 자신의 작품에 반영되는 것이다.
52
은유와 환유 은유(Metaphor)와 환유(Metonymy)는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두 가 지 방법이다. 은유에서 두 대상 간의 관계는 유추(analogy)를 통해서 제 시된다. 따라서 우리는 “내 사랑은 붉은 장미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은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직유인데, 보통 ‘∼같은’ 이 나 ‘∼처럼’을 사용해서 두 개 이상의 대상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그는 면도날처럼 날카롭다”라든지, “그녀는 천사처럼 착하 다”와 같은 문장에서 직유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종종 우리는 은유와 직유를 동사에 집어넣어 사용하기도 한다. 다 음에 제시된 사례들을 살펴보자.
그 배는 파도를 가르고 나아간다. (그 배는 칼 같다) 그 배는 파도 위를 춤추며 나아간다. (그 배는 춤추는 사람 같다) 그 배는 파도를 뚫고 빠르게 나아간다. (그 배는 경주용 차 같다) 그 배는 파도를 뛰어오르며 나아간다. (그 배는 말 같다) 그 배는 파도를 헤치며 나아간다. (그 배는 쟁기 같다)
위의 문장들에서 배는 각기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사 용된 동사들은 ‘배는 파도를 미끄러지듯 나아간다’라는 문장에 있는 것 과는 다른 정보를 전달한다. 환유가 사용될 때, 대상 간의 관계는 연상에 기반을 두는데, 이 같 은 점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적절한 연결을 만들어 내는 약호가 존재하 고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제임스 모나코(James Monaco)의 말에 귀 를 기울여 보자(1977).
53
비유적 표현 중 하나인 환유에서는 어떤 대상을 나타내거나 혹은 어떤 생각을 이끌어 내기 위해 그것을 연상시키는 자세한 표현이나 관념 등 을 사용한다. 환유는 어원적으로 볼 때 ‘이름을 대체함’이라는 뜻을 갖 고 있다(그리스어의 ‘meta’에는 ‘이동’이라는 의미가, ‘onoma’에는 ‘이 름’이라는 의미가 포함돼 있다). 따라서 우리는 문학작품에서 ‘왕’ 혹 은 ‘왕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 ‘왕관’이라는 비유를 사용할 수 있게 되 는 것이다. (p. 135)
환유의 가장 일반적 형태는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거나 혹은 전 체로 부분을 나타내는 제유(synecdoche)다. 은유의 대표적인 사례를 영화에서 찾는다면 채플린의 <황금광시 대(The Gold Rush)>에 등장하는 유명한 한 장면을 들 수 있는데, 거기
서 채플린은 자신의 장화를 요리한 후 달려 있는 구두끈을 마치 스파게 티처럼 맛있게 먹는다. 앞서 살펴본 <프리즈너>에 나오는 무시무시한 풍선 로버도, ‘마을’을 통제하는 억압적인 권력을 상징하고 있다는 점에 서 환유의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표 1-11은 은유와 환유의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유와 환유는 서로 자주 뒤섞이며, 하나의 대상 내에 은유적이고 환유적인 의미가 함께 들어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은유와 환유의 구분은 중요한데, 대상과 이미지(물론 언어도 포함)이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 내는지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이 다. 그리고 환유와 관련해서 조금 더 부언하자면, 사람들은 환유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정확하게 해석해 낼 수 있는 고도로 복잡화된 연 상 양식, 즉 약호를 자신의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는 점이 다. 프로그램 안내책자의 도움 없이 연주자들을 구별해 낼 수 없는 것
54
표 1-11 은유와 환유의 비교 은유 메타(이동·넘어섬)-포(Phor, 품다) 채플린이 신발 끈을 스파게티처럼 먹다.
환유 메타(이동)-오노마(이름) 로버가 2번의 명령에 따라 마을사람 한 명을 죽 인다.
직유: ‘∼처럼’, ‘∼같은’를 사용하여 비교하는 제유: 부분으로 전체를 또는 전체로 부분을 나 중요한 하위범주
타내는 중요한 하위 범주
사람은 섬이 아니다.
붉은 색은 열정을 암시한다.
<스파이더맨>의 의상
엉클 샘은 미국을 나타낸다.
길고 가는 물체는 남자의 성기처럼 보일 수 있 중산모는 영국인을 암시한다. 카우보이는 미 다.
국의 서부를 암시한다.
처럼 약호들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의미 를 이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약호 약호(Code)란, 어떤 한 사회나 문화 내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학 습하게 되는 매우 복잡한 연상 양식이다. 이런 약호들, 즉 사람들의 마 음속에 들어 있는 ‘비밀 구조(secret structure)’는 그들이 매체에서 찾아 내는 기호와 상징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또 살아가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문화란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비록 그 사실을 쉽게 알아채지는 못할지라도) 약호화 체계 (codification system)라고 할 수 있다. 사회화되었다는 것, 그리고 어떤
55
문화의 구성원이 되었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한 개인의 사회적 계급· 지리적 위치·민족 집단 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약호들을 습득하 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런 하위 약호(subcoding)들은, 이를테면 ‘미국적 특성’과 같은 보다 넓은 범주의 약호에 속해 있다. 우리는 모두 고속도로에서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서는 약호가 필 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이 약호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들이 무엇을 해야 하고, 또 무엇을 해서는 안 되는지를 말해 주는 규칙들의 집합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 모두는 여러 가지 상황들 가 운데 어떻게 해야 하고, 또 어떤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려 주는 또 다른 약호들을 배우게 된다(이건 종종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 서 알 수 있는 명확한 사실은, 이런 규칙들과 삶에 대한 이해를 우리가 미디어 제작물이나 ‘매스미디어에 의해 매개되는 문화(mass-mediated culture)’에 노출될 때도 똑같이 적용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자와 시청자 사이에 오해 가 생길 가능성이 꽤 높아진다. 움베르토 에코(1972)는 “매스미디어에 서… 변용 해독(aberrant decoding)은 일반적이다”라고 주장했다(p. 106). 그 이유는 똑같은 메시지에도 사람들은 서로 다른 약호를 적용하고 결국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에코의 설명을 들어보자.
보편적 문화 체계의 관점에서 볼 때, 약호와 하위 약호가 메시지[텍스 트]의 해석에 적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보편적 문화 체계가 이데올로 기적·윤리적·종교적 입장이나 심리학적 태도·취향·가치 체계 등과 연관된 수용자의 지적(知的) 유산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 115)
56
에코는 과거에 변용 해독이 어떻게 생겨나게 됐는지 짐작하게 해 주는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약호를 알 수 없는 낯 선 문화에 속해 있는 외국인이고, 또 다른 것은 원래 메시지가 만들어졌 던 약호 대신 그들 자신의 약호를 적용해 메시지를 해석하는 사람들이 다. 에코는 이것이 매스미디어가 발달되기 이전의 일이라고 설명하는 데, 이때는 변용 해독이 일상적이라기보다는 예외적이었다. 하지만 매 스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상황이 급격히 변하게 되고, 변용 해독이 마치 표준처럼 보편화된다. 에코에 따르면,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미 디어 제작자들과 수용자 사이에 커다란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메시지 전달자와 수용자 사이에는 사회적 계급·학력·정치 이데 올로기·세계관·윤리 등의 측면에서 부분적이거나 상당한 수준에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약호를 공유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수용 자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해석한다. 영국의 사회 언어학자인 바실 번스타인(Basil Bernstein, 1977)은 이것이 어떻게 가
표 1-12 약호의 두 가지 형태 세련된 약호
한정된 약호
중산층
노동자 계급
복잡한 문법
단순한 문법
다양한 어휘
획일적 어휘
복잡한 문장 구조
짧고, 반복되는 문장 구조
형용사 부사의 주의 깊은 사용
형용사 부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수준 높은 개념화
수준 낮은 개념화
논리적
감정적
수식어의 사용
수식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약호를 의식함
약호를 의식하지 못함
57
능하게 되는지 설명한다. 그는 연구를 통해 영국의 아이들이 두 가지 유형의 언어 약호, 즉 ‘세련된(elaborated)’ 약호와 ‘한정된(restricted)’ 약호를 배우게 되며, 이 약호들이 아이들의 성장 과정과 성인이 되고 난 이후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고 결론지었다. 표 1-12는 두 가 지 약호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 준다. 이 약호는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거르는 여과장치로 기 능하고, 결국 서로 다른 가치 체계·신념 체계·세계관 등을 형성하는 동인(動因)이 된다. 번스타인의 연구는, 언어가 인간을 어떻게 형성하 는지 알게 해 주었으며, 또한 사회 내의 극빈자와 혜택을 받지 못한 사 람을 재사회화하고자 할 때 우리가 직면하게 될 문제가 무엇인지 보여 주었다. 미국과 영국은 다른 나라이지만 ‘영어(English)’라는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영국에서는 약호의 차이에 따라 계급 구분이 이 루어지는 것 같다. 언어에 비해 미디어는 미학적 약호, 도상적 약호 및 보다 세분화된 수용자와 요소들을 추가로 지니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 구하고 미디어가 일정한 수준의 효율성을 확보한 채 수용자와 의사소 통한다는 점은 꽤 놀랍다. 여기서 비록 자세히 설명하지는 못하지만, 추가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 약호의 속성과 이와 연관된 문제에 대해 잠시 언급하려고 한다. 약호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관심 있는 독자라면 아래에 제시된 목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약호의 특징: 일관성·은밀성·명료성·구체성·연속성·포괄 성등 ∙ 약호의 명시(manifestation): 성격(심리학)·사회적 역할(사회심
58
리학)·제도(사회학)·이데올로기(정치학)·의례(인류학) ∙ 연구과제: 약호의 창조·약호의 변형·약호 간 충돌·대항적 약 호·약호와 규칙 ∙ 대중문화의 약호: 첩보물·탐정물·서부극·공상과학물·모험 물·대중음악·팬 잡지·소녀 취향 소설·공포물·괴기소설· 광고·시트콤 등에 사용되는 장르적 공식들 ∙ 의례(ritual): 식사시간·바에서 술 마시기·선물 주기·데이트· 텔레비전 시청·슈퍼마켓 쇼핑·엘리베이터 안에서의 행동·스 포츠 경기·성행위·옷 입기 등3
약호는 그 특성으로 인해 알기가 어렵다. 약호는 모든 곳에 퍼져 있 고, 구체적이며, 명백한데 이런 이유로 약호는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다. 약호는 인간의 존재와 연관된 모든 측면을 다 알게 해 준다(나는 약 호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앞에서 몇 가지 목록을 통해 제시하였다). 또 한 약호는 대중예술과 매체 분석을 위한 몇 가지 유용한 개념을 우리에 게 제공한다. 서부극이나 시트콤 같은 특정 장르들뿐만 아니라 미디어 전체가 흔히 ‘공식’이라고 알려진 약호를 따르고 있다. 나는 이제 텔레 비전과 관련된 약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려고 한다.
텔레비전 매체와 기호학 나는 기호학적 분석방법이 어떻게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설명할 수 있 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이 문제를 텔레비전의 서사구조에 초점을 맞춰 생각해 보았다.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가 다양한 장르의 대중예술
59
표 1-13 다양한 대중예술 형식을 재현하는 다양한 미디어 미디어
대중예술 형식
라디오
소프 오페라
텔레비전
광고
영화
서부극
만화
경찰 드라마
CD
버라이어티 쇼
포스터
뮤지컬
신문
토크쇼
잡지
뉴스
전화
첩보물
책
다큐멘터리
게시판
애정물
을 전달하고 있는데, 그 목록은 표 1-13과 같다. 모든 매체는 그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그것이 전달하는 대중예술 형식이 무엇이든 거기에 일정한 한계를 부여하게 된다. 텔레비전의 본 질적 특성은 화면이 작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텔레비전은 장대한 전투 장면을 보여 주기에 이상적인 매체는 아니다. 또 텔레비전은 클로즈업 매체이기도 한데, 이런 특성으로 인해 인물들의 행동보다는 인물 그 자 체를 드러내는 데 더 적합하다. 기호학을 텔레비전에 적용하면, 단순히 기호를 전달하는 수단이 아닌 기호 그 자체로 기능하는 텔레비전의 매체적 특성을 떠올려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흥미로운 점은 텔레비전에서 활용되는 카메 라 숏의 종류다. 표 1-14는 기표로 기능하는 숏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과 그 숏이 나타내는 기의를 정리한 것이다.
60
우리는 화면 구성과 편집 기법에서도 동일한 적용을 할 수 있다. 표 1-5는 숏, 화면 구성, 그리고 편집 기법에 관한 일종의 텔레비전 문법을 정리한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텔레비전을 보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내는 의미를 익히게 되고, 이 덕분에 우리는 특정한 프로그램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이해하게 된다. 조명 기술·색상의 사용·음향효과·음악처럼 추가로 고려해볼 만한 요소들도 더 있다. 이 모든 게 우리가 텔레비전을 통해 보는 것들 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표다. 텔레비전은 구두 언어, 시각 이미 지, 음향 등을 사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어떤 감정이나 생각들을 갖도
표 1-14 기표로서의 숏과 그 의미 기표(숏)
정의
기의(의미)
클로즈업
얼굴만
친밀감
미디엄 숏
신체의 대부분
개인적 관계
롱숏
설정과 등장인물들
맥락·범위·공적인 거리
풀숏
신체 전체
사회적 관계
표 1-15 기표로서의 화면 구성·편집 기법과 그 의미 기표
정의
기의(의미)
팬 다운(pan down)
카메라가 아래를 향함
권력·권위
팬 업(pan Up)
카메라가 위를 향함
왜소함·연약함
달리 인(dolly in)
카메라가 안으로 들어감
관찰·초점
페이드 인(fade in)
검은 화면에서 이미지가 나타남
시작
페이드 아웃(fade out)
이미지 화면이 사라짐
종료
컷(cut)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것으로 전환
동시성·흥분
와이프(wipe)
이미지가 화면에서 닦아내는 것처럼 없어짐
부과된 결론
61
록 만드는 매우 복잡한 매체다. 텔레비전 기호학자의 과제는 첫째, 이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둘째,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기호학에 대한 몇 가지 비판 여러분은 지금까지 내가 미학적인 판단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 았음을 알아챘을 것이다. 이 점은 기호학적 분석과 관련된 여러 중요한 비판들 중 하나로 연결되는데, 기호학이 요소들 간의 관계와 텍스트 내 에서의 의미 생산에는 관심이 있지만 작품 그 자체의 질은 무시한다는 점이다. 즉 기호학은 예술과 연관되기보다는 오히려 의미나 인지적 양 식 같은 것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약호는 우리가 텍스트를 이해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건 마치 음식을 평가할 때, 그것이 어떻게 만들 어졌고, 또 맛이 어떤지에는 아무런 관심도 없으면서 사용된 재료의 품 질에만 관심을 갖는 경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텍스트가 비평가에 종속되기도 한다. 기호학적 분 석이 작품 그 자체를 조명하기보다 단지 기호학자의 화려한 연주 기술 을 보여 주는 데 그치고 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런 사례 는 모든 형태의 해석들이 품고 있는 문제다. 오늘날 대부분의 예술 작 품들은 그것을 분석하고 설명한 비평 작업의 거대한 산꼭대기에 위치 하는데, 그 내용이 원작 그 자체보다 더 긴 경우도 종종 있다. 텔레비전이나 텔레비전 텍스트와 관련된 기호학적 분석의 또 다른 문제는 이 분야에서의 연구를 촉진시킬 강력한 이론적 기초가 아직 없 다는 점이다. 최근 기호학에서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는 텔레비전보다
62
는 영화와 관련된 것들이었다. 분명하고, 잘 정리된 이론적 체계 없이 는 텔레비전 텍스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은 시험 단계에 머무를 수밖 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만약 여러분이 텍스트 의 의미화 체계를 분석할 때 극단주의를 피할 수만 있다면, 매우 유용하 고 또 가치 있는 비판적 해석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충분한 기호학적 이론들이 마련돼 있으므로 여러분 스스로 한번 시도해 보기를 바란다. 이런 분석 작업을 통해 비판이론의 발전이 앞당겨질 것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기호학적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나는 이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할 때 염두에 두어 야 할 몇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려고 한다. 나는 이 장에서 서사구조 에 집중했지만,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 중 많은 부분이 모든 종류의 프로 그램에 다 적용 가능하다.
∙ 텍스트에서 중요한 기호들을 따로 떼어내 분석하라. - 무엇이 중요한 기표이며,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이 기호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체계는 무엇인가? - 어떤 약호들을 찾을 수 있는가? - 어떤 이데올로기적·사회적 문제가 내포돼 있는가? ∙ 텍스트의 계열체 구조는 무엇인가? - 텍스트 내에서 중심된 대립은 무엇인가? - 다양한 범주에 부합하는 대립쌍들은 무엇인가?
63
- 이런 대립들은 심리적 혹은 사회적 함의를 가지는가? ∙ 그 텍스트의 통합체 구조는 무엇인가? - 프로프의 기능 중 어떤 것이 그 텍스트에 적용될 수 있는가? - 요소들의 순차적인 배열이 의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텍스트를 구성하는 정형화된(formulaic) 특성들이 있는가? ∙ 텔레비전의 매체적 특성이 텍스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어떤 종류의 숏·카메라 각도·편집 기법들이 사용되는가? - 기호들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조명·색상·음악·음향은 어 떻게 사용되는가?
∙ 적용과 관련하여 이론가들이 기여한 부분은 무엇인가? - 기호학자들의 이론 중 텔레비전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매체이론가들이 쓴 내용 중 기호학적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이 장에서 다룬 내용들이 여러분에게 기호학적 접근이 무엇 인지 감을 잡게 하고, 그래서 여러분 스스로 이 매력적이고 강력한 분석 도구를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여러분은 텔레비전· 영화·만화·광고·건축·질병·역사적 유물·대상·공식·관습· 조직·친구·적을 포함하여 의사소통이 중요하고 또 그 안에 의미작용 (signification)이 있는 다른 어떤 것에도 기호학을 적용할 수 있다. 기호학에 대해서 좀 더 심화된 내용을 공부하고 싶다면 에스토니 아(Estonia)에 있는 타르투대학교[University of Tartu, 유리 로트만(Juri Lotman)의 연구소가 있는 곳]가 영어 사용이 가능한 2년제 석사학위
64
과정을 운영 중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그 외 미국의 인디애나대학교 (University of Indiana)나 캐나다의 토론토대학교(Toronto University) 에도 심화 과정이 있다.
65
연구 문제와 논의 주제 1. 기호의 특성에 대한 퍼스와 소쉬르의 연구 내용을 비교해 보자. 2. 다음의 개념에 대해 논의해 보자: 공시적·통시적, 통합체적·계열 체적, 언어·발화, 은유·환유, 세련된·한정된 약호 3. 프로프의 이론을 상세하게 설명해 보자. ‘기능’에 대한 그의 생각은 무엇인가? 텔레비전 국내 뉴스 프로그램에 대해 통합체적으로 분석 해 보자. 어떤 문제에 직면하는가? 분석을 통해 무엇이 드러났는가? 4. 이항대립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개념들이 “완전히 다르다(purely differential)”는 말은 무슨 뜻인가? 5. 약호란 무엇인가? 왜 약호가 중요한가? 당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 화적·행태적 약호가 있는가? 6. 텔레비전이나 영화 속의 카메라 숏와 관련되어 이 장에서 다뤘던 내 용에 대해 토의해 보자. 7. 세련된 약호와 한정된 약호의 차이는 무엇인가? 8. 기호학적 분석에 대한 비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66
주석 단 참고문헌 Bakhtin, Mikhail M. (1981).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M. Hloquist, Ed.; C. Emerson & Holquist, Trans.).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네 가지 문학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소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
는 오랫동안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금은 꽤 유명해졌다. 특히 이 장 에서 다룬 ‘대화식 토론법(dialogism)’에 대한 그의 견해와 라블레(Rabelais) 에 관한 저술에서 ‘카니발(carnival)’에 대해 다룬 내용은 학계에 엄청난 영 향을 미쳤다. Barthes, Roland. (1970). Writing Degree Zero and Elements of Semiology, (A. Lavers & C. Smith, Trans.). Boston: Beacon. 기호학적 분석에 사용된 기본
개념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저자가 진행했던 연구 중에서 음식·패션·가구· 자동차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Barthes, Roland. (1972). Mythologies. New York: Hill and Wang. 레슬링·가루
비누·마가린·스테이크와 칩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짧은 논문 들과 신화에 관한 긴 논문을 모아 놓은 책으로, 가장 흥미로운 응용기호학 관련 저술 중 하나다. Berger, Arthur Asa. (1997). Bloom's morning: Coffee, comforters, and the
hidden meaning of everyday life. Boulder, CO: Westview. 이 책은 [조이
스(Joyce)의 작품 <율리시스>에 등장하는 영웅의 이름을 딴] ‘블룸(Bloom)’ 이라는 사람을 등장시켜, 알람소리를 듣고 잠자리에서 일어난 시간부터 조 식을 먹을 때까지 그가 사용한 모든 물건과 그의 행동 전부에 담긴 기호학 적 의미를 분석한다. ‘블룸’의 아침에 관한 서른다섯 편의 논문을 소개하기 에 앞서 저자는 일상생활에 관해 논의하고 있으며, ‘신화·문화, 그리고 일상 생활’이라고 이름 붙여진 마지막 장을 끝으로 책은 마무리된다. 저자가 직 접 그린 서른다섯 개의 삽화가 포함돼 있다. Berger, Arthur Asa. (1997). Seeing is believ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ommunication (4th ed.). New York: McGraw-Hill. 영상언어에 대한 이
해를 돕기 위한 입문서다. 사진 · 영화 · 텔레비전 · 만화책 · 만화영화 등 영
67
상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영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신기술도 소개한다. Berger, Arthur Asa. (1998). Signs in contemporary culture: An introduction to
semiotics (2nd ed.). Salem, WI: Sheffield. 기호학에 친숙하지 않은 이들을
위한 책. 기호학적 개념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를 현대사회의 다양한 측면 에 적용해본다. 각 장마다 기호학적 개념을 다룬 설명과 적용 부분이 함께 제시돼 있다. Berger, Arthur Asa. (2010). The Object of affection: Semiotics and consumer
cultur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물질문화, 그리고 소비사회에서
의 그 역할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와 함께 사람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 어 가는데 브랜드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도 소개한다. 2부에서는 맥도 널드 햄버거·보드카·테디 베어·컴퓨터 등 문화적으로 중요한 물건들에 대 해 다룬다. Bignell, Jonathan. (2002). Media semiotics: An introduction (2nd ed.).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기호와 신화’·‘광고’·‘잡지’·‘신
문’·‘텔레비전 뉴스’·‘텔레비전의 현실성’·‘텔레비전의 허구성’·‘영화’·‘인터 랙티브 미디어’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미디어 연구에 있어서 기호학의 중요 성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Chandler, Daniel. (2002). Semiotics: The basics. London: Routledge. 기호 · 약
호를 포함, 대표적 기호학자들의 이론을 다루고 있는 개론서. Coward, Rosalind, & Ellis, John. (1977). Language
and
materialism:
Developments in semiology and the theory of the subject.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기호학과 마르크스주의와의 연관성 및 후기 프로
이트 학자인 라캉의 연구를 다루고 중요한 이론서. Culler, Jonathan. (1976). Structuralist Poetics: Structuralism, linguistics and
the Study of literature,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기호학적 분석의 기본원리와 이를 문학에 적용하고 있다. 저자의 또 다른 책인 Ferdinand de Saussure(Penguin Modern Masters series 중 한 편) 역시 읽어볼 것을 권한다.
68
Danesi, Marcel. (2002). Understanding media semiotics. London: Arnold. 토론
토대학교의 기호학·커뮤니케이션 이론 전공의 책임자인 저자는 기호학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인쇄·오디오 미디어, 영화·텔레비전·컴퓨터·인터넷·광 고에 대해 다루고 있다. Eco, Umberto. (1976). A Theory of Semiotic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기호학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분석과 그 적용범위를 함께 다루고 있
으며, 이 분야에 관한 배경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들을 위한 심화학습용 교 재다. 저자의 다른 책 The Role of the Reader: Explorations in the Semiotics of Texts(Indiana University Press)도 읽어볼 것. Fiske, John, & Hartley, John. (1978). Reading Television. London: Methuen. 기
호학 이론을 텔레비전에 적용한 가장 유용한 저술 중 하나. 약호와 특정한 텍스트에 천착하고 있다. Goldman, Robert, & Papson, Stephen. (1996). Sign Wars: The cluttered
landscape of advertising. New York: Guilford. 기호학과 문화비평의 다른
방법론을 활용해 광고 전반, 그중에서도 광고 캠페인을 ‘해독’하고 있다. 또 한 미국 문화와 사회 속에서 광고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 시각에서 접근한다. Gottdiener, Mark. (1995). Postmodern semiotics: Material culture and the
forms of post-modern life. Oxford, UK: Basil Blackwell. 사회학자인 저자
는 쇼핑몰·디즈니랜드·포스트모던 건축물들을 분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방 법론을 활용한다. 1부에서는 저자의 이론적 관심에 대해 난해하지만 정교 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2부에서는 문화연구와 기호학에 대해 논의한다. Guiraud Pierre. (1975). Semiolog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기호학적
원리에 대해 매우 짧지만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는 책. 원래는 프랑스의 ‘크 세주(Que sais-je?)’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미디어의 기능과 의미, 약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Hall, Stuart. (Ed.). (1997).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s. London: Sage. 저자의 장편논문 두 개(“The Work of Representation”, “The Spectacle of the Other”), 션 닉슨(Sean Nixon)의 논
문 “Exhibiting Masculinity”와 크리스틴 글레드힐(Christine Gledhill)의 논
69
문 “Genre to Gender: The Case of Soap Opera”를 엮은 편저 Leach, Edmund. (1970). Claude Lévi-Strauss, New York: Viking. 레비스트로스
의 연구를 일반 독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데 성공한 저술들 중 하 나. 그의 자전적인 이야기와 함께 신화, 친족, 상징주의에 대한 내용이 포함 돼 있다. Lévi-Strauss, Claude. (1967). Structural Anthropology, Garden City, NY: Doubleday. 언어·친족·사회조직·마법·종교·예술에 관한 탁월한 프랑스 인
류학자의 독창적이고 문학적인 논문들을 모아놓은 책. Lotman, Jurij (Yuri) M. (1976). Semiotics of cinema (Mark E. Suino, Trans.). Ann Arbor, MI: Michigan Slavic Contributions. 기호학을 영화에 적용하고
있으며, 서사구조 · 몽타주 · 플롯·연기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러시아 타 르투(Tartu) 기호학파에 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저자는 관련 이론을 예 술과 문화에 적용하고 있다. 저자의 다른 책 The Structure of the Artistic Text역시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내의 같은 출판사에서 출
간됐다. Lotman, Jurij (Yuri) M. (1990). The universe of mind: A semiotic theory of
culture (Ann Shukman Tran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가
장 넓은 의미에서 기호학 이론과 문화의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1부에서 는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의미가 발생되는 지에 대해 설명하고, 2부에서는 저자의 이론인 기호구(semiosphere)와 공간성(spatiality)의 개념에 대해 소 개한다. 이 부분에서 저자는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에서 발견되 는 상징주의, 단테의 신곡과 불가코프(Bulgakov)의 거장과 마르가리타 에 나타난 공간성을 다루고 있다. Propp, Vladimir. (1968). Morphology of the Folktale,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동화를 분석한 형식주의(formalist) 측면의 고전으로서, 초판
은 1928년에 출간됐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파되는 대중문화
(mass-mediated culture)의 모든 형태를 분석하는 데도 적용할 수 있다. Saussure, Ferdinand de. (1966). A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W. Baskin, Trans.). New York: McGraw-Hill, 1915년에 처음 발간된 이 책은 기호학
70
적 분석과 관련 개념들의 기원을 최초로 소개한 대표작들 중 하나다. Scholes, Robert. (1974). Structuralism in literatur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문화작품의 분석에 초점을 맞춰 구조주의를 소개하고 있
는 책. 그러나 다른 분야의 텍스트 분석에서도 명료한 함의를 제공한다. 관 련 사상가로는 야콥슨(Jakobson, 레비스트로스, 졸스(Jolles), 수리오 (Souriau), 프로프, 바르트 등이 소개되고 있다. Sebeok, Thomas A. (Ed.). (1977). A Perfusion of sign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Sebeok, Thomas A. (Ed.). (1978). Sight, sound and sens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위의 두 권의 책은 응용기호학의 이론들을 모아놓은 중요한 책으로, 저자가 편찬한 것이다. 광대, 의학, 얼굴, 종교, 난센스, 건축, 음악, 문화와 관련된 주제가 망라돼 있다. Solomon, Jack. (1988). The signs of our times: The secret meanings of
everyday life. New York: Harper & Row. 광고, 장난감, 건축으로부터 텔
레비전, 음식, 패션에 이르는 모든 것들을 기호학 측면에서 통찰력 있고 흥 미롭게 분석하는 책. 마지막 장에서는 MTV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형 식과 <코야니스카시(Koyaanisqatsi)> 같은 포스터모더니스트 작품에 관한 탁월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Wright, Will. (1975). Six guns and Society: A structural study of the western,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레비스트로스, 프로프 등의 생각을
서부극에 적용시킨 기발한 분석서.
71
미주 1 어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의미의 차이를 다음 두 문장이 잘 보여 주고 있다. “내
남편은 ∼에 늦었다(My husband was late)…”와 “고인이 된 내 남편은(My late husband was…)” 2 지면의 제약으로 인해 레비스토로스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이 주제
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이 장의 참고문헌에 나와 있는 레비스트로스가 썼거나 혹 은 그에 관한 저술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3 이 문제들에 대한 설명은, 내가 쓴 책(1976a)을 참조하기 바란다.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