찍기 전에 꼭 봐야 할 저예산 영화·비디오 제작 가이드_맛보기

Page 1

찍기 전에 꼭 봐야 할 저예산 영화·비디오 제작 가이드 헬렌 가비 지음 이근우 · 길현정 옮김

대한민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찍기 전에 꼭 봐야 할 저예산 영화 · 비디오 제작 가이드

지은이 헬렌 가비 옮긴이 이근우·길현정 펴낸이 박영률 초판 1쇄 펴낸날 2014년 12월 26일 커뮤니케이션북스(주) 출판등록 2007년 8월 17일 제313-2007-000166호 121-869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 001, 팩스 (02) 736 5047 commbooks@eeel.net www.commbooks.com CommunicationBooks, Inc. 3F Cheongwon Bldg., 571-17 Yeonnam-dong Mapo-gu, Seoul 121-869, Korea phone 82 2 7474 001, fax 82 2 736 5047 Before You Shoot: A Guide to Low-Budget Film and Video by written by Helen Garvy, illustrated by Dan Bessie Text Copyright ⓒ 2007 by Helen Garvy Illstration Copyright ⓒ 2007 by Dan Bessie All right are reserved. Korean Copyright ⓒ 2014 by CommunicationBooks, Inc. Publishing by arrangement with, the author, USA Through Bestun Korea Agency, Seoul, Korea All rights are reserved. 이 책의 한국어 판권은 베스툰 코리아 에이전시를 통하여 저작권자인 저작권자와 계약한 커뮤니케이션북스(주)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 이근우 · 길현정, 2014 ISBN 979-11-304-3490-2 93680 책값은 뒤표지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옮긴이 서문

미국 유학 시절 헬렌 가비가 쓴 Before you shoot이란 책으로 영화 제작, 즉 영상 제작의 사전 작업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영화의 모든 일이 사전 에 무엇을 어떻게 준비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는 것은 진리로 여겨진다. 특히 영화·영상 제작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작업 이다. 교육 현장이나 영화·영상 제작 현장에서도 사전 준비의 중요성은 인정하지 만 아직까지 구체적이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귀찮고 힘든 작업이라 전문성보다는 경험이나 인맥 등으로 작업을 진행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영화 제작이나 영상 제작 사전 작업을 강의하면 학생들이 지루해하고 형식적인 수업이 되기 쉽다. 프로덕션 북의 중요성을 깨닫기보다는 단순히 과제를 제출하기 위해 만드는 경우 가 비일비재하다. 자본의 유치·투자로 만들어지는 상업 영화에서 영 화의 주제, 소재, 주 관객층에 대한 니즈 조사, 향후 홍보, 후반 작업에 대 한 저작권 등 다양하고 구체적이고 전문적 항목들이 즐비한 것이 사전 제작 단계다. 영화의 역사가 긴 미국에서는 사전 준비에 많은 시간과 노 력을 할애하고 명료하지 않은 제작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 원칙처럼 적용된다. 지금 한류 등으로 한국의 영상 콘텐츠에 대한 세계적 수요 및 창작 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제는 사전 제작 단계에 대한 체계적 학습

v


을 통한 전문가의 탄생을 요구하고 있다. 헬렌 가비는 이런 관점에서 사 전 제작 단계의 구체적 기술과 방법을 서술하고 있다. 또한 영화·영상 제작을 전공하는 학생 중에서도 기획, 홍보, 판매, 저작권 등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도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경험과 주변의 도움으 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이 작은 노력이 발전하고 성장하는 한류에 도움이 되기 기원하면서….

2014년 11월 이근우

vi


차례

옮긴이 서문

v

01 도입 들어가는 말

1

제작자란 직업은?

9

좋은 영화 만들기

13

02 기획 아이디어 내기

18

전체 기획안 각본

20

28

기획 작업의 평가 자금 조달

36

45

제작과 촬영의 성공적 관리

59

03 사전 제작 구성과 체계화

62

세부 각본 작업 일정표 작성 비용 절감 방안 예산 편성

105

113

제작진과 장비 점검 캐스팅하기

170

153

82


촬영 장소 섭외

188

의상과 무대소품

206

물품 조달 및 후방 지원 촬영 준비 설정

219

227

04 제작의 실제 촬영하기

229

배우와 제작진의 역할 촬영 장소 설정

232

239

물품 조달 및 후방 지원

244

대본과 편집 노트 작성하기

248

급히 현상한 작업용 필름의 활용 문제 발생 시 대처법

258

05 사후 제작 작업하기 프로듀서의 역할

265

단계별 제작 과정: 영화 비디오 편집 배급하기

맺음말 부록

289 302

321 323

267

256


01

도입

들어가는 말 이 책을 쓴 목적은 영화 제작 종사자가 실제 영화를 제작할 때 보다 효율 적으로 시간을 사용하고 생산적으로 경비를 지출하며 제작 과정에서 스 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영화 제작자로서 명확하고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일과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영화의 주제를 촬영하는 것은 어떠한 영화나 비디오를 만들든 간에 성공을 위한 핵심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제작자가 예술적·기술적 요소에 지나치게 집중하다가 종종 간과되기도 한다. 이 책을 통해 영화나 비디오 제작 시 어떠한 결정들이 필요하며 그 러한 결정을 할 때 기초가 되어야 하는 것들에 대하여 명확히 밝힐 것이 다. 또한 영화 제작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들과 그것을 어떻게 준비해 야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들이 대개 제작자나 기획자, 조감독에게 적용되는 사항이지만, 감독에게도 유용할 뿐만 아 니라 독립 영화를 만드는 감독에게도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은 과거 22편 이상의 영화를 제작한 독립 영화사인 샤이어 (Shire)영화사에서 댄 베시(Dan Bessie)와 동업자이자 제작자로 작업 하면서 배운 경험을 토대로 저술했다. 그동안 극 위주의 장편영화와 케

1


이블과 지상파방송에 소개된 어린이 프로그램 그리고 짧은 교육용 단편 영화들을 제작해 왔다. 영화 제작과 관련된 분야의 세미나나 워크숍 등 에서 이 책의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쉽지 않았던 경험을 통하여 교훈 을 얻게 되었으며 이 책의 집필을 통하여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과 이러한 경험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이 책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집필했다. 나 또한 가볍게 여겼던 적도 있지만 제작에 앞서 미리 세심하게 준비하고 제작 을 시작하지 않으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고 마침내는 영화를 망 칠 수도 있다. 필름 마켓과 여러 영화제들을 다녀보면서 수년에 걸친 제작 준비 기간과 자비를 털어 제작을 하지만 상영관과 배급사조차 찾지 못한 감 독들도 보아 왔다.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실수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었 다는 것이며 이 책은 그러한 실수를 하지 않도록 도와줄 것이다. 영화를 이렇게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어도 중요한 항목들 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들고 대처 방안과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들을 미리 지적하여 알려주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일반적으로 감독이 반드시 선택해야 할 결정을 제외하 고는 제작의 기술적 요소, 즉 조명, 음향, 편집 등은 세부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또한 연출과 각본 작성 요령 등 제작자의 주 역할과 관련이 없는 것도 다루지 않았다. 예산이 초과되고 촬영에 혼돈을 초래하는 영화 제 작의 구성 방법과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유기적인 사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의 순서는 다소 임의적이고 내용은 무작위로 나열되어 있다. 영화 제작 진행에 따르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고 보완적 관계를 유지 하고 있다.

2


이 책을 모두 읽고 다시 뒤로 돌아가서 필요하다면 특정 부분을 다 시 읽거나 영화 제작 시 참고하기를 권한다. 모든 영화 제작자나 프로젝트에 이 책의 내용이 적용되는 것은 아 니다. 필요한 부분만 취하고 나머지는 무시해도 좋지만 다음 영화 제작 프로젝트에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내게는 옳은 것이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옳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 에 반드시 이러한 결정을 해야 한다고 할 수도 없고 그러고 싶지도 않다. 그러나 영화 제작에서 접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올 바른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과 결정 내용에 대하여 이 책을 통하여 영 화 제작에 관계된 분들에게 필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했다.

몇 가지 특이사항 ① 영화를 처음 제작하는 사람들과 이미 영화 제작에 종사하는 사람 모 두를 위해 이 책을 썼다. 경험이 풍부한 기 종사자들은 어떤 부분은 쉽게 느껴 건너 뛰려 할 수도 있고, 반면 초보자에게는 어떤 부분들은 너무 전문적이고 어려워 처음엔 압도되어 더 상세한 설명을 찾으려 할 것이다. 시간을 갖고 천천히 읽기를 바란다. ② 이 책은 지금 현직에서 체계적인 영화 제작을 하고 있는 사람들보다 독립 영화 제작 위주로 구성되어 있지만 양쪽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③ 이 책은 기본적으로 저예산 영화 제작자를 위해 썼지만, 특히 예산 편 성은 할리우드의 대형 영화사들뿐만 아니라 저예산 영화 제작자 또한 특히 예산을 잘 편성하며 작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히 예산절약이 필수적인 저예산 영화 제작자에게는 융통성과 창의성이 더욱 요구되 며, 이 책은 양쪽 모두에 중점을 두었다.

3


④ 이 책은 대본이 있는 극영화 제작에 맞춰져 있지만 많은 부분이 창의 적이고 좋은 기획이 많은 비용을 절감하는 데 현저하게 반영된다는 점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에도 적용될 수 있다. ⑤ 전문 용어: 모든 분야가 그 분야만의 언어가 있고 영화도 예외는 아니 다. 친근하지 않을 수도 있는 단어는 다시 정의하여 설명하려 했다. 더불어 상호 참조를 위해 색인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⑥ 성별에 관한 용어들: 이 책의 전문 용어는 저자가 실제로 쓰는 것들이 다. 영화가 여성 스크립터나 여성 의상팀 정도를 제외하고는 전통적 으로 남성들의 전유물이었지만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 제작에 관련된 용어들 또한 그런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이 사실이다. 저자와 같이 일하는 많은 구성원들 중 주요 한 역할에 여성들이 포함되었고 이 책의 전문 용어들은 그것을 반영 하였다. 영화 제작을 하면서 같이 일하는 사람들 중 카메라맨이나 사 운드맨이 여성인 경우는 드물다. 중성적인 표현 방식을 찾으려고 노 력했지만 “그 혹은 그녀”는 고치기 힘들기에 때때로 그대로 사용하기 도 했다. 만일 내가 사용하는 용어가 이상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아마 도 나의 단어 차용들과 여성들이 현장에서 더 많이 일하게 되면 덜 이 상하게 느껴질 것이다. 만일 이러한 성별에 관한 용어들이 진부한 성 별에 대한 문제들에 대안이 될 수 있다면 더 많은 문제들이 토론되어 야 할 것이다. ⑦ 이 책에서 때론 해답을 제시하지 않은 채 질문을 많이 제시하기도 한 다. 독자들을 당황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영화 제작 분야에서 일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일들이기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 며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어떤 해답은 상황에 따라 그 해결책을 모두 검토하는 데 끝도 없을 수 있기도 하고, 때론 생각보다 쉽게 대답을

4


얻을 수도 있다. ⑧ 여러 영화들에 관해 요점과 의견을 서술하기 위해 샤이어영화사(Shire Film)에서 제작된 특정 영화를 예시로 사용하였다.

<피터와 늑대(Peter and the wolf)>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도입된 프로코피예프(Prokofiev)의 유명한 동화 를 30분짜리 실황 영화로 만들었다. 레이 볼거(Ray Bolger)가 낭독했고 실제 늑대 소리를 사용했다. 예산은 5만 달러였으나 이 영화는 많은 상 을 탔고 CBS와 HBO를 통해 미국 전 지역에 방영되었다. 피라미드영화 사(Pyramid Films)를 통해 가정용 비디오와 교육용 비디오로 제작되어 배급되었다.

그림 1 <피터와 늑대>의 레이 볼거

5


<험난한 여정(HARD TRAVELING)>

알바 베시(Alvah Bessie)의 소설 󰡔빵과 돌(Bread and a Stone)󰡕을 원작 으로 한 극장용 장편영화다. 제이 프리먼(J.E Freeman), 엘런 기어 (Ellen Geer), 배리 코빈(Barry Corbin)이 주연으로 출연한 1930년대의 경제대공황을 거스른 부드럽고 감동적인 사랑 이야기다. 댄 베시가 감 독, 헬렌 가비가 제작했고 총예산 42만5000달러가 든 작품으로 캘리포 니아 산타크루즈에서 6주간에 거쳐 촬영한 35mm영화다. 뉴월드픽처 스(New World Pictures)영화사를 통해 배급되었고 나중에 스타메이커 엔터테인먼트(Starmaker Entertainment)를 통해 비디오로 제작되어 지 금도 볼 수 있다.

<재버워크를 조심하라(BEWARE THE JABBERWOCK)>

아동용 시낭송 30분짜리 창작 영화로 루이스 캐롤의 상상 속의 ‘재버워 크(Jabberwock)’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레이 볼거 주연으로 예산은 3 만5000달러였다 . CBS, 케이블TV, 가정용 비디오, 교육용 비디오로 제 작되어 방영되고 팔렸다.

<회고(TURNABOUT)>

92세 두 동성애자의 70년 연극 인생을 그린 한 시간짜리 다큐멘터리로 예산은 1만6000달러였다. PBS 방송사에 팔렸고 필름메이커라이브러 리(Filmakers Library)사가 교육용으로 배급했다.

<이유 있는 반항(REBELS WITH A CAUSE)>

110분 길이의 다큐멘터리다. 1960년대의 희망과 혁명, 절망을 당시 최 대 학생 조직이었던 SDS로 활동했던 학생의 목소리로 돌아본다. 헬렌

6


그림 2 <험난한 여정> 포스터

7


그림 3 <이유 있는 반항>

가비가 제작, 감독, 편집했다. 베타캠 SP로 촬영하고 16mm로 확대했 다. 예산은 12만 달러였다. 자이가이스트(Zeigeist)가 극장, 교육 기관, 가정용으로 배급했다(www.sdsrebels.com).

<미운 오리새끼(The Ugly Ducking)>, <면역 체계(The Immune

8


System: Your Magic Doctor)>, <산아 제한 영화(The Birth Control Movie)>, <아동 학대(Child Abuse: The People Next Door)>, <십 대 임 신(Teenage Pregnancy: No Easy Answers)>, <체력(Physical Fitness)> 등의 영화에서 사례를 들었고 이외에 다른 영화사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 하였다. 끝으로 이 책을 통해 저자의 경험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어 성공적 이면서도 즐거운 영화 제작에 도움이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다.

제작자란 직업은? 할리우드는 명확히 직업과 분야가 구별돼 있다. 예를 들면 제2 카메라 보조가 해야 하는 일과 하지 않는 일이 정해져 있고 다른 많은 기술적인 일들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제작자(producer)라는 직함은 어느 정도 융 통성이 있다 할 것이다. 영화 제작을 한다는 기능은 같지만 제작자는 영 화마다 각기 다른 역할을 하게 된다. 직함의 명칭부터 알아보자. 많은 명칭의 제작자(이하 “프로듀서”라 칭함)가 있다(각각 다른 여러 가지를 의미를 내포하며 나중에 다시 언급 하겠다). 먼저 보통 재정적인 부분을 관리하며 종종 자신이 직접 투자를 하기도 하는 총책임프로듀서(Executive Producer)가 있으며, 보통 중 요한 결정을 하지는 않으면서도 제작의 세세한 기획과 경영에만 충실한 역할을 하는 라인프로듀서(Line Producer)가 있다. 그리고 영화 투자에 직접 참여하거나 특히 프로듀서의 보조로서 많은 기여를 하는 프로덕션 의 매니저 등과 관련된 상당수 사람들을 일컫는 보조프로듀서(Associate Producers)라는 직함 등이 있다.

9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 중 이외에 프로덕션매니저(Production Manager)는 촬영에 직접 참여하여 세세한 일들을 수행하며 라인프로듀 서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로케이션매니저(Location Manager)는 촬영 장소를 찾고 안전에 관련된 업무 담당을 총괄한다. 조감독(Assistant Director)은 촬영 동안 스태프를 관리하고 촬영을 직접 진행하기도 하는 감독의 보조 일을 주 업무로 한다. 프로덕션보조(Production Assistant) 는 프로덕션매니저를 보조하고 또 다른 프로덕션 부서의 사람들을 보조 한다. 그리고 포스트프로덕션슈퍼바이저(Post Production Supervisor) 는 후반 제작 과정을 총괄한다. 제작 부서의 역할 중 좀 더 전문적인 다른 특정 역할을 하는 대외 홍보 담당자(publicist), 연구조사원(researcher), 기술고문(technical advisor), 회계원(accountant), 경리(book keeper), 스크립터(script supervisor) 등 이 있다. 예산이 적을수록 각 업무의 담당자들이 없을 수도 있고 변동되거나 외부의 제작 부서들과 합쳐서 작업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역 할과 기능이지 주어진 직함은 문제되지 않기에 별 문제는 없다. 프로듀서의 주 임무는 창의적인 작업을 하면서도 조직 운영의 역할 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창의적인 작업에서 프로듀서의 역할은 전반적 으로 큰 범주에서 영화를 처음 만들고자 아이디어를 개시한 사람에 의 해 결정된다. 만일 원래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보통 작가나 감독임)이 프로듀서를 고용했다면 제작을 위한 기초 아이디어를 제시한 사람들에 의해 대부분 기초적인 창작 작업의 예술성과 창의성에 대한 결정이 내 려지고 기타, 일반적인 다른 할 일들이 프로듀서에게 주어지게 된다. 큰 규모의 제작 조직에서 프로듀서의 역할은 펀드 조성을 포함한 예산 준 비와 함께 총괄적인 제작 구성을 맡는다. 만일 프로듀서가 아이디어를

10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