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경제동학 에세이_맛보기

Page 1

자본주의 경제 동학 에세이

1933 ∼ 1970


머리말

내가 선정한 논문들로 엮은 이 책은 내가 자본주의 경제 동학 이론에 대 해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생각하는, 1933년부터 1970년까지 37년 동안 에 출간된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마다 출간 연도를 표시했고, 다른 이전 판이 있다면 이 연도 또한 표시했다. 이 책은 세 편으로 나누 어져 있다. 첫 번째 편은 케인스의 ≪일반 이론≫이 출간되기 전인 1933, 1934, 1935년에 폴란드어로 출간된, 그리고 내가 믿기에는 핵심을 담고 있는 세 개의 논문을 포함하고 있다 [영어 번역본은 ≪경기순환 이론 연구 (Studies in the Theory of Business Cycles, 1933∼1939)≫(Basil Blackwell, Oxford, 1966)로 처음 출간되었다]. 또한 이 편에서 독자들 은 <물품세, 소득세, 자본세>라는 1937년 <이코노믹 저널(Economic Journal)>에 발표된 짧은 논문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편은 나의 ≪경제 동학 이론(Theory of Economic Dynamics)≫(George Allen and Unwin, London, 1954)에서 발췌한 장 들로 구성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이 장들은 이전 책이나 이전 논문의 최 종판이다. <비용과 가격>, <투자의 결정 요인>, <경기순환>은 초판 이 <경제 동학 연구(Studies in Economic Dynamics)>(George Allen and Unwin, 1943)에 실렸다. <국민소득 분배>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소 불완전한 형태로) 1938년 <이코노메트리카(Econometrica)>에 발 표됐다. <이윤 결정 요인>의 초판은 <이코노믹 저널>에 1942년 실렸

31


다. 그리고 <국민소득과 소비의 결정>은 ≪경제변동 에세이(Essays in Economic Fluctuation)≫(George Allen and Unwin, 1939)에 실렸었 고, <기업가적 자본과 투자>는 1937년 <이코노미카(Economica)> 에 발표했던 ‘위험 증가의 원리’의 새로운 판이다. 세 번째 편은 다음의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1943년 <계간 정 치(Political Quarterly)>에 발표했던 <완전고용의 정치적 측면>, 1967년 <에코노미스타(Ekonomista)>에 폴란드어로 발표했던 <투간바라놉스키와 로자 룩셈부르크의 유효수요 문제>, 1971년 <키클로스 (Kyklos)>에 발표한 <계급투쟁과 국민소득의 분배>, 그리고 마지막 으로 1968년 <이코노믹 저널>에 발표한 <추세와 경기순환>이 그것 이다. 국민소득 분배에 대한 나의 견해가 그랬던 것처럼 처음 논문들에 서 이미 분명하게 형성되었던 유효수요 이론이, 이후 관련된 모든 저작 에서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그러나 투자의사 결정 이론에서는 새로운 해결을 위한 지속적 인 연구가 있었으며, 거기에서 마지막 논문은 나아졌건 나빠졌건 간에 새로운 접근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 책에 함께 묶인 논문들은 몇몇 경우에서 축약되었거나, 또는 약 간 (주로 문체상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크게 추가하 지는 않았다.

미하우 칼레츠키 바르샤바

32


제1장 경기순환 이론의 개관(1933)

가정 우리는 추세가 없는, 즉 각 순환 이후에 그의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폐쇄경제를 검토할 것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가정들도 할 것이다.

1. 총실질이윤 우리는 총실질이윤  를 자본가들의 소비와 저축으로 구성되는, 단위시 간당 감가상각을 포함하는 자본가의 총실질소득으로 이해한다.

  

(1.1)

따라서  는 자본가에 의해 소비되는 모든 재화를 나타내고,  는 −우리가 노동자의 저축이나 그들의 ‘자본가적’ 소득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재고의 증가와 동시에 고정자본의 재생산과 팽창에 사용된 모 든 재화를 포함한다. 앞으로  는 총축적으로 부를 것이다.1) 자본가의 개인 소비는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이다.  는 불변 부분

1) 국민소득은 한편으로는 이윤과 임금의 합계와 같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음 항목들 즉, (1) 고정자본의 재생산과 팽창, 그리고 재고의 증가를 나타내는  , (2) 자본가의 소비, (3) 노 동자의 소비의 합과 같다. 노동자의 소비는 임금과 같기 때문에 이윤은    와 같다.

35


  와 총이윤에 비례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자.      

(1.2)

여기서 는 작은 상수다. 우리는 식 1.1과 1.2로부터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2)

            

(1.3)

즉, 총실질이윤  는 자본가 소비의 불변 부분   와 총축적  의 합계 인     에 비례적이다. 위에 따르면, 총축적  는 투자재 생산과 재고 증가의 합계와 같 다.3) 우리는 단순화를 위해 총재고가 경기순환의 전 과정을 통해서 일 정하다고 가정한다. 위의 가정으로 보아 실질이윤  는     에 비례하는 것이 분명

2) (옮긴이 주) 원서에는 식 1과 식 2로 되어 있는데 이는 식 1.1과 1.2의 착오로 보여 여기서는 1.1과 1.2로 바로잡았다. 3) 우리는 건설 중에 있는 자본을 재고 속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그러한 자본량의 변화 는 ‘투자재 생산’ 속에 포함된다. 그렇지만 이 물품은 다른 투자재의 재고 (즉, 철강이나 시멘트 의 재고) 변화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재고 형태의 변화는 ‘재고 증가’ 속에 포함되어야 만 한다.

36


하다. 여기서   는 자본가 소비의 일정 부분을 나타내며,  는 투자재 생산과 크기가 같은 총축적을 나타낸다.

2. 투자 우리는 어떤 투자 사업이든 건설 기간 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물론 이는 사실과는 다르다. 는 평균적인 건설 기간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건설 기간이 모든 형태의 투자에 대해 동일하다는 이 가정은 우리 모형 에 도입되는 단순화의 하나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투자 활동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1) 투자 주문, 즉 자본 설비의 재 생산과 확장을 위한 투자재에 대한 모든 형태의 주문. 그 양은 시간당 단위인  로 나타낸다. (2) 투자재의 생산  , 위의 정의에 따라 총축적과 같다. (3) 시간당 완성된 설비의 인도  .4)

 와  의 관계는 단순하다. 기에서의 인도  는   기에 주문 한 투자 주문  와 같다. 따라서 곡선  는 곡선  를 시차 만큼 이동한 곡선이다(그림 1.1을 보라). 투자재  의 생산과 투자 주문  사이의 관계는 다소 복잡하다. 빗 금 친 사다리꼴 부분(그림 1.1)은 기에 끝나는  길이 기간 동안에 주 문된 투자 주문의 가치와 같고, 따라서 기에서의 주문 구성과 같다. 우 리는 이를  라 할 것이다. 사실, 각각의 주문을 완성하는 데는 시간  가 걸리기 때문에 빗금 친 영역 내에서 나온 모든 주문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반면에 이전에 주문된 모든 장비는 이미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4)  와  는  가 투자재 일반의 생산이고  는 최종 투자재의 생산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이 로부터 차이    는 건설 중에 있는 단위시간당 자본증가와 같다.

37


 그림 1.1

투자재 생산은 주문 구성  를 건설 기간으로 나누어준 값과 같다.

  

(1.4)

사실, 각각의 주문이 시간 동안에 완성된다면, 단위시간당 그 양 의 이 완성될 것이 틀림없다. 따라서 주문 구성  에 대해 투자재 생산 가 대응한다. 이로부터  는 빗금 친 사다리꼴 부분을 로 나누어준 것과 같다. 사다리꼴의 윗부분이 직선이라면, 투자재 생산  는 기에 사다리꼴의  중앙값과 같고, 따라서    기의 투자 주문과 같다. 사다리꼴의 윗  부분이 곡선이라면, 이는 대략적으로만 사실일 것이다. 기에서의 투자 38


그림 1.2

 재 생산은 따라서    기의 투자 주문과 대체로 같다. 그리하여 곡선  

 는 곡선  를  만큼 이동한 것과 거의 같다(그림 1.2를 보라).     의 차이는 단위시간당 주문 구성의 증가와 같은 반면에    의 차이는 단위시간당 건설 중에 있는 자본의 증가와 같다는 것 을 주의해야 한다(이는 이미 37쪽의 각주 4에서 지적했다).

3. 자본 장비량의 변화 어떤 일정 시기에서의 자본 장비량을  로 놓자. 일정 시기 동안의 자본 장비량의 변화는 새로운 장비의 인도와 폐기된 생산적 자산량 사이의 차이와 같다. 단위시간당 자본 장비  의 변화를   라 하고, 단위 시간당 신규 장비의 인도를 위에서와 같이  라 하며 단위시간당 특정 생산적 자산의 폐기로 인해 발생하는 대체 투자(replacement

39


그림 1.3

requirements)를  라 하면, 우리는 다음을 얻는다.

   

(1.5)

우리는 대체 투자가 경기순환 과정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고 가정할 것이다. 자본 장비량  는 변동이 작게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 고, 또 따라서 주기의 I 부분에서 (그림 1.3을 보라)  가 평균보다 클 때 대체 투자 또한 평균보다 클 것 같다. 그러나 I 부분에서 자본 장비의 증가는 낮은 ‘폐기율’을 갖는 ‘새’ 자 산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 자산의 ‘수명’ 은 한 주기의 길이보다 상당히 긴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8∼12 년에 비해 15∼30년). 따라서 대체 투자의 변동은 무시될 수 있는 것으 로 고려할 수 있다. 우리의 제도는 추세가 없고, 자본 장비량은 주기의 말에 원래의 크 기로 되돌아간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대체 투자  의 불변의 수준은 한 40


주기 동안의 신규 장비  의 평균 인도   와 같다. 더욱이 같은 이유로, 한 주기 동안의 투자 주문의 평균  , 투자재 생산의 평균   , 신규 장비 의 평균 인도   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다음 식을 얻는다.

        

(1.6)

4. 총수익성과 이자율의 함수로서의 투자 주문 일정한 시기에 투자 주문량  는 예상되는 순수익성에 의존한다. 따라서 만약 기업가들이 자본 장비 건설에 자본 를 투자하려고 생각한다면, 그들은 맨 먼저, 예상 총이윤 를 추정할 것이다. 우리는 이로부터 다음 을 빼야만 한다. 즉, (1) 감가 (는 감가상각률), (2) 자본 에 대한 이자 (는 이자율), (3) 고정 자본 에 대한 유동자본의 비율이  일 때의 미래 유동자본에 대한 이자 . 따라서 고정자본 의 예상 투자 수익성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계수 와 는 경기순환 내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는 주어진 시기의 이자율이다. 예상 총수익성

  는 기존 플랜트의 실제 총수익성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미 주어진 시기에 자본 장비량을  로, 총이윤의 합계를  로 나타냈었다. 따라서 기존 플랜트의 총수익성은   이다. 그러므로 우 리는 를   의 기초 위에서 추정된 것, 그리고 주어진 시기의 투

41


자 주문은 총수익성   와 이자율 에 의존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  와 의 함수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투자 주문  가 아니라, 자 본 장비량  에 대한  의 비율, 즉  라는 것을 추가해야만 한다. 사실

 와  가 동일한 비율로 증가한다면   는 불변일 것이고,  는  와  양자와 같은 비율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결국 다음과 같은 관계에 도달한다.

 

    

(1.7)

여기서 는   의 증가함수고 의 감소함수다. 경기순환 과정에서 이자율은 팽창기에는 상승하고 수축기에는 하 락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론을 전개하면서, 이 연계를 설명할 것 이다(50∼51쪽을 보라). 지금은 그것을 선험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 며, 이 기초 위에서 다음과 같이 단순한 가정을 할 것이다. 이자율 는 총수익성   의 증가함수다. 이 가정과 식 1.7로부터,  는 당연히   의 함수가 된다.

 

    

(1.8)

또한  가 증가함수가 되도록 이자율은 총수익성   에 비해 충 분히 느리게 증가한다고 가정하자. 위에서 본 것처럼, 총이윤  는     에 비례하기 때문에−여기

42


서  는 자본가 소비의 불변 부분이고, 총축적  는 투자재 생산과 같다 −,   는      에 비례한다. 그리하여 식 1.8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1.9)5)

여기서 는 증가함수다. 더욱이 우리는 가 선형함수라고 가정한다. 즉,

         

(1.10)

상수 은 가 증가함수이기 때문에 양수임에 틀림없다. 식 1.10은 다 음의 형태로 쓸 수 있다.

       

(1.10a)

우리는 이제 이 양수임이 틀림없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식 1.10a로부터 다음 식이 나온다.

    

5) (옮긴이 주) 위 식의 우변이 원서에서는   로 되어 있으나   는 감가상각률을 나  타내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불변 소비 부분   로 표기되어야 맞다. 따라서 번역본에서는   로 수정했다. 식 1.10도 마찬가지다.

43


        

자본 장비의 재생산과 팽창에 사용되는 재화에 대한 주문을 나타 내는  는 항상 양수다. 그러나 아마도 0의 수준으로 접근할 것이다.  가 양수값   이하로 떨어진다고 가정하자.  값이   보다 작을 때,

         는   보다 더 크다. 그렇게 되면   는  보다 작을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본 것처럼, 계수 이 양수이고,  (투 자재 생산)와  (자본 장비량)가 또한 양수이기 때문에, 당연히 계수  은 양수임에 틀림없다. 계수 과 이 양수인 식 1.10a에 따르면, 투자 주문량  는 총축적

 의 증가함수이고 자본 장비량  의 감소함수다.

경기순환의 메커니즘 1. 앞 절 주장의 주요 결론을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a) 투자 주문과 신규 장비 인도 사이의 시차는 다. 그리고 인도 곡선  는 투자 주문 곡선  로부터 시간만큼 이동된 곡선이다. 투자재  생산 곡선  는 투자 주문 곡선으로부터 약  만큼 이동된 곡선이다.  (b) 우리 시스템에서 투자재 생산  는 총축적과 같다(왜냐하면 재 고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c) 신규 고정자산 인도  는 자본 장비량을    만큼 증가시킨 다. 여기서  는 대체 투자를 나타낸다.  는 경기순환 과정 내내 일정 44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