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_맛보기

Page 1

연구서 2014-02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황치성·김광재·한승연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서 2014-02

책임연구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공동연구 김광재(한양사이버대학교 광고미디어학과 교수) 한승연(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발행인 김병호 편집인 김성수 발행일 2014년 9월 30일 초판 제1쇄 발행 한국언론진흥재단 100-75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센터빌딩 전화 (02) 2001-7742 팩스 (02) 2001-7740 www.kpf.or.kr 편집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21-869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001 팩스 (02) 736-5047 www.commbooks.com 인쇄 (사)한국장애인e-Work협회 150-890 서울특별시 여의도동 44-21 중앙빌딩 411호 전화 (02) 783-0800 팩스 (02) 783-075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본 재단의 공식 견해가 아닌 필자의 연구 결과임을 밝힙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ISBN 978-89-5711-359-2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부정부패 없는 청렴사회, 거듭나는 대한민국


차례

01

연구배경 …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4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 6 1. 미디어 지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 6 2.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책적 지향: 시민성과 경제적 성장 동인 … 12 3.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 역량 … 18 4. 국가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 28

03

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사례 … 40 1. 영국 … 40 2. 캐나다 … 62 3. 미국 … 82 4. 핀란드 … 99 5. 오스트레일리아 … 114 6. 싱가포르 … 121 7. 홍콩 … 130

04

결론 … 140 1. 연구결과의 함의 … 140 2. 결론 … 148 참고문헌 … 151


표 차례

<표 2-1> 연령별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시간 … 9 <표 2-2> DeSeCo 프로젝트가 제시한 핵심 역량의 영역과 내용 … 20 <표 2-3> ATC21S 프로젝트가 제안한 21세기 핵심 역량 … 24 <표 2-4> 각국의 초·중·고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공통 핵심 역량 … 32 <표 2-5> 국가 차원의 연구에서 나타난 핵심 역량 종합 … 34 <표 3-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4가지 축 … 48 <표 3-2> 영국의 교육과정 구조 … 56 <표 3-3> 잉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지역에서 GCSE 응시를 위한 미디어/영화/TV과목 선택 학생 수, 2003∼2009 … 60 <표 3-4> 잉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지역에서 GCE A level 과목으로 미디어/영화/TV를 선택한 학생 수, 2002∼2009 … 61 <표 3-5> 퀘벡주의 교육과정 구조 … 73 <표 3-6> 커먼센스 미디어가 제공하는 3∼5학년 미디어 교육과정 … 87 <표 3-7> 룩샵 프로젝트의 수업 사례 … 97 <표 3-8> 핀란드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적 주제 … 113 <표 3-9>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구성 … 118 <표 3-10>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일반 능력’ … 120 <표 3-11>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 획득 평가 기준 … 129 <표 3-1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사항 … 138 <표 3-13> 홍콩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기대효과 … 138 <표 3-14> 홍콩 교육과정의 기본틀 … 139


그림 차례

<그림 2-1> P21의 핵심 역량 모델 … 22 <그림 2-2> 유럽시청자권익위원회의 미디어 리터러시 모델 … 26 <그림 2-3>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소 … 27 <그림 3-1> 오프콤 홈페이지 … 50 <그림 3-2> 영어미디어센터 홈페이지 … 52 <그림 3-3> 영국영화연구소 홈페이지 … 53 <그림 3-4> 캐나다의 디지털 리터러시 모델 … 64 <그림 3-5>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센터의 미디어스마트 사업 … 71 <그림 3-6> 알바타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구성요소 … 78 <그림 3-7> 안전한 인터넷 이용 … 85 <그림 3-8> 호주 사이버스마트 홈페이지 … 115 <그림 3-9> 싱가포르 미디어 리터러시 센터 홈페이지 … 126 <그림 3-10> 홍콩 MIL 네트워크 허브 … 136



01 연구배경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와 함께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 첨단기 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이 한층 빨라지고 있다. 지식기반사회란 지식이 중요 생산수단이 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국 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를 말한다(곽영선 외, 2012). 즉 다가올 21 세기 사회는 정보의 홍수 시대라 할 만큼 지식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 고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지식을 소유하는 것보다는 질 높은 지식을 선별하 고 그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더 중요해지게 된다. 이러한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은 인재상의 변화와 함께 기존 학교 중 심 교육체제의 기반을 뿌리째 흔들어놓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 응과 변화의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가올 새로운 시대를 대비 하여 우리 학생들이 장차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온전 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인가에 대 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이지연, 2012).

01 연구배경

1


미래 사회의 인재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나오고 있지만 많은 학 자들 사이에 공통된 점은 정보와 지식이 인간성의 유지와 실현에,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UNESCO, 2013). 지식의 창출과 공유는 의심할 바 없이 경제 성장, 기후 변화, 사회적 발전, 문화적 풍요, 정치적 해방 그리고 민주주의 제도의 공 고화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오늘날 미디어를 포함한 정보와 커 뮤니케이션 수단, 인터넷, ICTs 등은 민주적인 토론, 커뮤니티 구축, 혁신 시뮬레이션, 다른 사람들과의 파트너십 형성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필 수조건으로 등장하고 있다(UNESCO, 2013). 이렇듯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함께 고도로 복잡한 미디어와 정보 생 태계가 조성되고 미디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세계 각국의 핵심 정책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정 책의 방향은 각 국가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시민성(citizenship) 함양’ 과 ‘경제(economy) 성장 혹은 미래 성장의 동력’ 등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다(Tomero, 2013). 시민성 함양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가장 일반화된 지향 점이지만 핀란드는 별도의 정책(Good Media Literacy: National Policy Guideline 2013∼2016)을 마련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스칸 디나비아의 다른 국가들을 포함,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이를 벤치마킹하 고 있다(The Finish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2013).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즉 세계경제의 패러다임이 실물 중심의 산업경제에서 정 보·지식 중심의 ‘지식경제’와 ‘창조경제’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개 인의 미디어 역량 향상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은 개인의 삶은 물론 경 제와 산업 발전에서 유용한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능동적이 고 참여적인 시민을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Tomero, 2013).

2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캐나다의 경우 디지털 경제구조 확립을 위한 국가적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중장기 전략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실 행하고 있다(이원태·황용석·이현주·박남수·오주현, 2011). 영국 또 한 창조경제의 기틀을 다지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시도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영연방 국가 뿐 아니라 세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강조는 비단 정책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이를 미래 인재양성의 필수조건으로 설정하고 국가 교육과정으로 편입하려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21세기 핵심 역량의 개념적, 이론적 기초를 마련한 OECD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나 ATS21s(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Century Skills) 프로젝트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특히 2002년 미국 교육부를 중심으로 출범, 현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 고 있는 P21(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프로젝트는 보다 직접적 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복잡해지고 있는 생활 환경과 학습 및 직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요소를 개발하고 이를 학 습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출범한 P21은 핵심 역량 모델에 미디어 리터 러시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설정하고 있다. 나아가 21세기 핵심 역량에 대 한 중요성과 이를 국가 교육과정 등 제도적 장치로 공식화하려는 움직임 은 이미 많은 국가들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김기헌 외, 2011).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사회 각계의 관심이 증대 되고 있지만 교육의 보조수단으로만 인식한 채, 21세기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주요 자원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와 잠재력을 간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을 심층 분 석, 중요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적, 교육적 중요성

01 연구배경

3


을 환기시키고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적, 이론적 근거자료를 제공하 고자 했다.

2. 연구의 구성 세계 각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을 심층 분석하고 향후 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적, 이론적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이 연구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첫째는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이다. 이 장에서는 세계 주요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를 네 부분으 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미디어 지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 육의 필요성’ 부분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미디어 리 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그 근거를 제시했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책적 지향: 시민성과 경제적 성장 동인’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지향점 을 시민성 함양과 미래 성장의 동인 두 가지로 놓고 각국의 정책과 전략을 비교, 분석했다.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 역량’ 부분에서는 미디 어 리터러시 교육이 지식기반 사회에 대응한 21세기 핵심 역량과 어떤 관 계가 있고 세계 주요 프로젝트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국 가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에서는 21세기 핵심 역량을 반영하고 있 는 교육과정 개편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는 ‘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에 대한 사례연구다. 이 장 에서는 지식기반 사회에 대응해서 특히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영국, 캐 나다, 미국, 핀란드, 호주, 싱가포르, 홍콩 등 7개 국가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동향,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프로젝트, 주요 기관 및 단체 활동, 그리

4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고 국가 교육과정 속에 나타난 미디어 리터러시 요소를 분석했다. 셋째는 결론 및 정책 제안 부분이다. 이 장에서는 전체 연구를 통해 도 출된 결과를 종합, 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및 교육 현실에 던져주는 전략적 시사점들을 제시했다.

01 연구배경

5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1. 미디어 지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미디어 리터러시1)는 기본적으로 글을 읽고 쓰는 능력에 대한 교육으로 신 문, 잡지와 같은 인쇄미디어에 적용되는 개념이었다. 그러나 영상미디어 가 등장한 이후 리터러시 개념은 영상이나 이미지를 중심으로 적용되었 다. 영화나 텔레비전 같은 영상미디어가 사용하는 언어는 글자나 문자가 아니라 영상 이미지다. 영상 이미지 언어는 문자 언어와는 다른 방식의 문 법과 해석법을 필요로 한다. 텔레비전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은 비판 적 시청 기술의 개념으로 주로 사용되었다(안정임, 2010). 이와 같은 미디 어 리터러시의 개념은 유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와 일치한다.

1) 정현선(2007)에 따르면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매개하는 지를 비 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고 미디어 교육의 핵 심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소통능력을 뜻하는 비판적 미디어 리터 러시’다(이미나, 2009, 142∼143에서 재인용). 이렇게 보면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 교육 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나 이 연구서에서는 동일한 개념으로 취급했다.

6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1960∼1970년대 유럽에서 미디어 교육 개념은 영화를 중심선상에 놓 고 이루어졌다.2) 영화가 일반화되면서 이를 교육용으로 활용하려는 시도 들이 유럽 전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프랑스에서는 누벨바그의 주창과 함께 영화제작자들 스스로가 이론적 논의, 교육학 그리고 미적 확산에 대 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영국영화연구소(BFI, British Film Institute)의 설립과 함께 1933년부터 오랜 기간 미디어 교육을 실시해 왔 는데, 영화사조인 프리 시네마의 등장으로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탈리아의 경우 영화의 네오리얼리즘, 독일과 폴란드는 영화의 시대사 조가 주목을 받았다. 당시 미디어 연구에 접근하는 방식은 영화클럽 활동, 영화 이미지 교육과 영화의 미적, 언어적 기회에 대한 평가가 대부분을 차 지했다(황치성·박지선, 2013).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는 TV에 관심이 모아졌고, 특히 새롭게 등장한 소비사회와 광고비평에 대한 논의에 집중되었다. 미디어 교육은 더욱 비판적이 되었는데, 프랑스의 68운동의 영향을 받은 비판적 이데올 로기 주장 혹은 영국의 문화연구 주장에서처럼 프랑스 기호학의 비판적 경험을 활용했다. 비디오가 처음 등장한 1980년대 미디어 교육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대안을 찾기 위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에는 미디어 규제완화로 인해 공영 TV채널의 독점이 끝이 나면서 민영 TV 채널 이 등장했다. 이 시기에 미디어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에서는 폭력성, 어 린이들에 대한 영향력, 소비지상주의, 광고의 영향력 등 미디어와 미디어 콘텐츠의 영향력에 대해 토론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 는 인터넷 등의 디지털 미디어가 생겨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요

2) European Commission(2007), Op.Cit. pp.30-35.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7


구가 생겨났다. 더 나아가 최근 들어서는 사회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패 턴의 변화, 나아가 이러한 변화에 조응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서 합성 된 개념과 리터러시의 새로운 측면들이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들은 전통적으로 구분되어 왔던 경계를 희미하게 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리터 러시 유형들 사이에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 결과로 ‘표현의 자유’나 ‘정보 접근권’ 등과 같은 인간의 본질적인 권리와 사회 발전과 관 련된 리터러시의 제 측면들이 교육, 고용, 사회적 통합, 참여 그리고 경제 와 정치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UNESCO, 2013). 이렇게 볼 때 정보, 미디어 그리고 ICTs와 관련된 리터러시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리터러시는 정보의 신뢰성, 프 라이버시, 안전과 윤리적 문제, 개인에 의한 잠재적인 남용가능성 등과 관 련된 위험요인들을 최소화하는 데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 시민들 이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에 어떻게 접근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창조하고 평가하고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가’ 등에 대해 이해하는 것 도 더 중요해졌다. 오늘날 모든 시민들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의 권리 와 의무, 미디어 기관과 제도 역할 및 기능 등에 대해서도 알 필요가 있다. 그들은 또한 일상생활에서 맞부딪치는 잠재적인 기회와 위협 가능성에 대 해서도 알 필요가 있다. 황치성 등(2013)은 오늘날의 사회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 와 선용능력을 촉진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문화를 정립하 기 위한 것이다. 2013년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미디 어 이용시간은 5시간 34분으로 나타났다(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0쪽). 이는 잠을 자고 일하는 것을 제외하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8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표 2-1> 연령별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시간 전체 n=5,082

19∼29세 n=945

30대 n=999

40대 n=1,079

50대 n=976

60세 이상 n=1,084

텔레비전

176.9

126.8

155.8

166.6

197.1

232.2

인터넷(A+B)*

116.3

230.2

162.8

122.0

60.6

18.5

고정형 인터넷(A)

62.6

110.1

87.3

71.7

35.8

13.5

이동형 인터넷(B)

53.7

120.1

75.5

50.3

24.8

5.0

라디오

26.8

9.0

20.8

38.1

36.3

27.9

종이신문

12.0

3.7

7.8

14.3

18.6

15.1

잡지

2.3

2.6

2.8

2.6

2.3

1.5

합계

334.3

372.3

350.0

343.6

314.9

295.2

소셜미디어

25.3

60.2

32.6

26.2

9.8

1.4

* 인터넷:고정형 인터넷+이동형 인터넷 주 1: 고정형 인터넷:데스크톱 PC, 노트북 등 고정형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주 2: 이동형 인터넷: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형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2013).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것으로 미디어가 삶의 중요한 수단이자 생활문화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 여주는 것이다. 특히 19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층의 경우 전체적으로 미 디어 이용시간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이용시간이 다른 연령대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앞으로 이런 추세가 강화될 것임을 예고 하고 있다. 이렇듯 미디어가 중요한 생활양식이 되었지만 미디어를 올바로 이해 하고 선용하는 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 태어나는 것도 아니고 삶의 발달 단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읽기, 쓰기, 말하 기 교육과 같이 미디어는 아동기에서부터 하나의 필수적인 문화기술로서 그 교육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미디어는 정보와 의견을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사회적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9


관계양식에도 폭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특성상 개인화, 즉시성, 중 독성 등과 같은 폐해를 낳을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에 대 한 체계적인 교육은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선용능력을 촉진하고 사 회적으로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문화를 정립하는 데 필수적인 사항이다. 둘째,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나 의견을 비판적으 로 분석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며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의사 소통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흔히 미디어를 ‘사회 현실을 보여주는 창’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미디 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나 의견이 항상 정확하고 올바른 것이 아니다. 특 히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공적 커뮤니케이션은 소모 적이고 비생산적인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기도 한다(황치성·정완규, 2009). 따라서 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나 의견을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능 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이다. 이런 능력은 더 나아가 기성 미디어(신문, 방 송, 인터넷 등)가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견제 역할을 함으로써 사회 적으로 바람직한 소통문화를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미디어 교육은 21세기 인재상에 걸맞은 정보활용 능력과 창의적 인 표현능력을 키우기 위해 필요하다. 21세기에 들어 과거 산업사회와는 다른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기존의 기능 인력 중심의 인재 양성이 창의 인재 육성 중심으로 변화될 필 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국가 교육정책의 핵심 목표이기도 하다. 창 의적인 능력이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와 함께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을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사회 현실에 대한 체 험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교과서 중심의 교육체계에서는 이런 체 험적 지식을 습득하기가 매우 어렵다. 미디어는 사회 각 분야의 현실 모습과 이슈를 생생하게 전해 준다는 점

10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에서 교과서를 넘어 이론과 현실, 특정 분야와 다른 분야를 연결 지어 생각 하게 하는 주요 학습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최근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 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수용자들이 직접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 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그것은 곧 미디어 이용자들이 동시에 생산자 이기도 하다는 의미다. 미디어 교육을 통한 창의적인 향유 및 생산 능력의 향상은 이처럼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토대와도 직결된다(박진 우·황치성 외, 2012). 넷째,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에 의해 표상되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통 해 자신을 성찰하고 이웃을 배려하는 인성과 가치관 확립에 필요하다. 미디어는 사회 각 분야의 현실과 함께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을 보여준다. 때론 우울하고 부정적인 뉴스도 제공되지만 감동적이고 따 뜻한 뉴스 또한 적지 않다. 이런 삶의 모습들은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다 른 사람, 즉 이웃을 생각해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학교의 경우 극심한 입시경쟁에 매몰되어 타인의 삶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풍토가 사라 지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 ‘왕따’, ‘자살’ 등과 같 은 문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미디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다 양한 사람들의 삶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이웃을 배려하는 인성과 가치 관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인 사항이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교육은 사회 공 동체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힘’을 키워줌과 동시에 민주시민으로서 ‘시 민성’을 함양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1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