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_맛보기

Page 1

연구서 2014-10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

김선호·박대민·양정애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 연구서 2014-10

책임연구 김선호(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책임연구 박대민(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책임연구 양정애(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발행인 김병호 편집인 김성수 발행일 2014년 12월 10일 초판 제1쇄 발행 한국언론진흥재단 100-75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프레스센터빌딩 전화 (02) 2001-7742 팩스 (02) 2001-7740 www.kpf.or.kr 편집·유통 대행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21-869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71-17 청원빌딩 3층 전화 (02) 7474-001 팩스 (02) 736-5047 www.commbooks.com 인쇄 (사)한국장애인e-Work협회 150-890 서울특별시 여의도동 44-21 중앙빌딩 411호 전화 (02) 783-0800 팩스 (02) 783-0750 이 책에 실린 내용은 본 재단의 공식 견해가 아닌 필자의 연구 결과임을 밝힙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ISBN 978-89-5711-372-1 책값은 뒤표지에 있습니다. 부정부패 없는 청렴사회, 거듭나는 대한민국


차례

01 서론 … 1 1.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넘어서 … 1 2. 연구 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 3

02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생태계 변화 … 6 1. 스마트 미디어 시대 진입과 비즈니스 모델 붕괴 … 6 2. 뉴스 유통 및 소비의 변화 … 22 3. 뉴스 콘텐츠의 변화 … 32

03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이용자 … 60 1. 조사개요 … 60 2.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실태 … 63 3. 이용 동기와 이용 후 충족 … 83 4. 뉴스가치 인식 … 96 5. 콘텐츠 선호 … 107 6. 언론사 외 조직의 뉴스공급 서비스에 대한 인식 … 116 7. 소결 … 125

04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 … 132 1. 저널리즘 비즈니스 혁신 … 132 2. 디지털 퍼스트 혁신 … 171 3.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플랫폼 전략 … 179 4. 뉴스 생태계 혁신 모형 … 190


05 결론: 뉴스 생태계 혁신의 과제들 … 203 1. 비즈니스 전략 … 204 2. 콘텐츠 혁신 및 디지털 퍼스트 전환 … 206 3. 저널리즘 가치의 재정립 … 207 4. 뉴스 생태계 혁신 … 208 참고문헌 … 209 부록: 인터뷰 대상 기관의 주요 서비스 소개 … 216


표 차례

<표 1-1> 심층 인터뷰 대상자 명단 … 5 <표 2-1> 플랫폼별 개방 정도 … 26 <표 2-2> 신문사와 포털의 플랫폼 개방성 비교 … 28 <표 2-3> 취재/편집, 전문성, 언론계 소속 여부에 따른 저널리스트 분류 … 32 <표 2-4> 전통 인터넷신문과 신생 뉴스 스타트업의 지향점 비교 … 36 <표 2-5> 인터랙티브 뉴스 사례 … 39 <표 2-6> 다양한 뉴스 형식 실험 … 40 <표 2-7> 국내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 … 45 <표 2-8> 알고리즘 저널리즘 사례 … 52 <표 3-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62 <표 3-2> 응답자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량 … 64 <표 3-3> 스마트 미디어 뉴스 규칙적 이용자와 불규칙적 이용자의 특성 비교 … 66 <표 3-4>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장소, 서비스, 기기별 이용 비율(%) 비교 … 68 <표 3-5> 7개 플랫폼별 하루 평균 뉴스 이용량 비교 … 70 <표 3-6> 7개 플랫폼별로 제공되는 뉴스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신뢰도 인식 비교 … 72 <표 3-7> 스마트 미디어 뉴스 주이용 시간대에 따른 이용자 특성 비교 … 75 <표 3-8> 규칙적 대 불규칙적 이용자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양상 비교 … 77 <표 3-9> 세대별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양상 비교 … 79 <표 3-10> 스마트 미디어 뉴스 공유 정도에 따른 집단 간 특성 비교 … 81 <표 3-11>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시작 이유/동기 … 83 <표 3-12>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시 다른 매체 이용에 대한 비교우위로서의 이유/ 동기 … 85 <표 3-13>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의 의례적, 도구적, 관계적 동기 … 87 <표 3-14> 규칙적 대 불규칙적 이용자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후 만족도 비교 … 89 <표 3-15> 세대별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후 만족도 비교 … 91


<표 3-16> 규칙적 대 불규칙적 이용자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후 불만족 비교 … 94 <표 3-17> 세대별 집단의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 후 불만족 비교 … 95 <표 3-18> 스마트 미디어 뉴스 규칙적 대 불규칙적 이용자의 규범적 뉴스가치 인식 비교 … 99 <표 3-19> 세대별 집단의 규범적 뉴스가치 인식 비교 … 101 <표 3-20> 개인적 뉴스가치 및 새로운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 … 103 <표 3-21> 개인적 뉴스가치 및 새로운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 집단별 비교 … 105 <표 3-22> 스마트 미디어 이용 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 … 108 <표 3-23> 인터넷 포털 제공 콘텐츠/서비스에 대한 이용 선호도(%) … 110 <표 3-24> 전통적 뉴스 이외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비교 … 113 <표 3-24> 전통적 뉴스 이외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비교(계속) … 114 <표 3-25> 뉴스소비에 있어서 인터넷 포털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인식 비교 … 117 <표 3-26> 만약 언론사들이 인터넷 포털에 뉴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하게 될 행동 … 118 <표 3-27> 모바일 뉴스모음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비교 … 122 <표 3-28> 모바일 뉴스모음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비교 … 124


그림 차례

<그림 2-1> 미국 신문 구독료와 광고 매출의 변화 … 8 <그림 2-2> 미국 종이신문 발행부수 … 11 <그림 2-3> 2005년 발표된 신문 성장 모델 … 12 <그림 2-4> 미국의 뉴스 이용 추이 … 13 <그림 2-5> 국내 종이신문 구독률 … 15 <그림 2-6> 국내 미디어 이용 추이 … 16 <그림 2-7> 미국 신문의 프린트와 디지털 매출 … 17 <그림 2-8> 국내 신문의 프린트와 디지털 매출 … 17 <그림 2-9> 신문의 양면시장 구조 … 27 <그림 2-10> 포털 중심 뉴스플랫폼 하의 다면시장 구조 … 29 <그림 2-11> 편집국 중심에서 플랫폼 중심으로의 변화 … 30 <그림 2-12> 언론사닷컴 홈페이지 화면 사례 … 35 <그림 2-13> 슬로우뉴스 홈페이지 화면 … 35 <그림 2-14> 한국일보 눈사람 인터뷰 … 38 <그림 2-15> 뉴스퀘어 홈페이지 … 44 <그림 2-16> 로봇저널리즘의 절차 … 51 <그림 2-17> 추천 기사의 유형 … 57 <그림 4-1> 열독 신문에 대한 독자들의 신뢰도 평가 … 135 <그림 4-2> 언론사 홈페이지와 유사한 코카콜라 콘텐츠 마케팅 … 146 <그림 4-3> 세계 각국의 온라인 뉴스 지불 의사(2014년) … 158 <그림 4-4> 크라우드 펀딩의 사례들 … 168 <그림 4-5> 파이낸셜뉴스 홈페이지 개편 … 175 <그림 4-6> 연합뉴스 미디어랩 스페셜 뉴스 … 176 <그림 4-7> 미국 성인의 페이스북 사용량과 페이스북을 통한 뉴스 소비량 … 180 <그림 4-8> SNS와 포털에서 카드뉴스의 사용성 비교 … 184 <그림 4-9> 혁신 네트워크의 공유경제 모형 … 194 <그림 4-10> 페이스북 개발자 연례컨퍼런스 ‘f8’ … 195 <그림 4-11>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중심 뉴스 혁신 생태계 구성도 … 196 <그림 4-12> 뉴스정보원연결망 시각화 도구 … 197



01 서론

1.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를 넘어서 2014년 미디어 업계를 통틀어 최대 화제는 단연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 였다. 세계적으로 가장 명성이 높은 신문사 중의 하나인 뉴욕타임스가 “디 지털 퍼스트 혁신”을 선언했다(?)고 하니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는 것은 당 연하다. 국내에서도 많은 언론계 종사자들이 󰡔혁신보고서󰡕를 다운로드 받아 열심히 읽었다고 한다. 뉴욕타임스에 대한 호기심보다도 현장에서 느끼는 절박함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언론의 위기, 또는 신문의 위 기에 대한 이야기는 이제 “진부한 논의”가 되었지만(김영주·박종구·정 준희·심영섭, 2013, p.1), 1년이 멀다하고 바뀌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어 둠을 밝혀줄 한 줄기 빛이 혹시 󰡔혁신보고서󰡕 속에 들어있지 않을까 기대 했을 것이다. 󰡔혁신보고서󰡕는 실제로 어떤 방향으로 혁신을 해야 언론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많은 정보를 준다. 그리고 세 계 유수의 언론사조차도 위기를 느끼고 혁신을 선언했다는 사실 자체가 국내 언론인들에게도 상당한 자극을 주었을 것이다. 이 보고서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자. 󰡔혁신보고서󰡕의 핵심은 ‘디지털

01 서론

1


퍼스트’로 전환해서 고품질의 디지털 서비스를 하는 종이신문이 아니라 고품질의 종이신문을 발행하는 디지털 신문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성공 하기 위해서는 독자 개발에 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콘텐츠의 품질 만 놓고 보면 뉴욕타임스는 세계 정상급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독자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경쟁자들에 비해 뒤쳐졌다는 것이다. 이런 기본 인 식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앞으로 어떻게 수용자를 확대시킬 것인지에 대 해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시간을 두고 오래 읽히는 기사들의 라 이브러리 기능 강화, 개인 맞춤형 기사 전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기사 의 프로모션,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들이 제작한 콘텐츠(UCC) 활용 등이 그것이다. 이 방안들이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언론사가 스 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제안으로 보 인다. 그러나 󰡔혁신보고서󰡕는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을 말끔히 해소시켜 주 지 못했다. 첫째, 뉴욕타임스라는 신문사의 내부자적 시각에서 작성한 보 고서이기 때문에, 뉴스 생태계 전체에 대한 고려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생 태계란 단순히 개체들의 집합이 아니라 개체들 간의 관계를 포함하는데, 보고서는 뉴욕타임스 이외의 개체들을 경쟁 대상으로서만 다루고 있다. 그런데 지금 위기는 몇 개의 언론사만 겪는 것이 아닌, 언론 전체의 위기이 다. 따라서 개별 언론사들이 내부적인 혁신을 한다고 해서 위기가 해소되 기는 어려워 보인다. 언론사뿐만 아니라 보고서가 경쟁자로 묘사한 뉴스 수집 서비스, 시장에 새로 진출한 스타트업, 공공 부문 등이 생태계 혁신 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하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땅에서 앞을 바라보는 호랑이의 시각도 좋지만, 하늘에서 전체를 조망하는 새의 시각(bird’s eyeview)도 필요하다. 둘째, 보고서는 저널리즘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지 못했다. 언론사는 기 업으로서 비즈니스 활동을 통해 수익 창출을 목표로 삼지만 동시에 저널

2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


리즘 조직으로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공중에게 봉사하는 책무 (accountability)를 가지고 있다. 보고서는 뉴욕타임스가 이미 훌륭한 저 널리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암묵적 전제로 삼으면서 새로운 환 경에서 비즈니스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독자개발 전략만 다루고 있다. 그런데 만약 그런 혁신 전략이 저널리즘 기능을 약화시키고 품질을 떨어 뜨리더라도, 여전히 그런 혁신이 필요한가? 언론사가 저널리즘 조직으로 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면, 혁신을 통해 비즈니스의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개별 언론사에게는 의미 있는 것일지 몰라도 사회적으로는 손실이 될 수 있다. 혁신의 포커스는 양질의 저널리즘이 이미 준비되어 있다는 가 정 하에 이를 가지고 어떻게 비즈니스를 잘 할 것인가에 맞추어져야 할 것 이 아니라, 양질의 저널리즘이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 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맞추어져야 한다. 이 연구보고서는 󰡔혁신보고서󰡕가 해결해 주지 못한 이 두 가지 문제의 식에서 출발한다. 󰡔혁신보고서󰡕가 혁신에 필수적인 훌륭한 모티브들을 던져주고 있지만, 전체 생태계 속에서 저널리즘 기능에 대한 비전은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혁신보고서󰡕 가 제안한 모티브들을 전체 뉴스 생태계 속에서 저널리즘 기능을 지속 발 전시킬 수 있는가의 문제와 연결시켜 다루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및 보고서의 구성 이 연구보고서는 문헌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 온라인 설문조사라는 세 가지 연구방법을 기초로 한다. 연구자들은 우선 󰡔혁신보고서󰡕를 비롯하 여 비슷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국내외 문헌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토론 하면서 혁신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발굴하였다. 그리고 그 쟁점들을 중

01 서론

3


심으로 전문가 심층 인터뷰와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에는 총 26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표 1-1> 참조). 전문가들은 기성 언론(legacy media)에서 뉴미디어 부문 사업 책임자, 온라인 뉴스 및 뉴스 스타트업 대표, 마케팅 전문가, 포털 서비스 실무자, 빅데이터 업체 대표, 언론학자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심층 인터뷰 결과를 제시함 에 있어 연구진들은 인터뷰 자료를 연구자의 목소리로 대체시키기보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그대로 전달하는 형식을 취한다. 온라인 설문 조사는 10월 말에 실시되었다(N=1,079). 사회과학계에서는 온라인 설문 조사는 표본의 편향성 문제로 인해 인구 전체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문제 가 제기돼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설문 방법을 채택한 것은 편의 성 목적 이외에도, 보고서에서 설정한 모집단이 인구 전체가 아니라 스마 트 미디어 뉴스 이용자라는 점에서 편향성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보고서의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제2장은 스마트 미 디어가 불러온 뉴스 생태계의 변화를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비즈니스 모 델의 붕괴와 뉴스 생태계의 기술적 재편에 관해 논한다. 제3장은 온라인 설문에서 조사된 스마트 미디어 뉴스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 행태 및 그 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동기, 그들의 뉴스가치 인식 및 선호 콘텐츠 유형 등으로 구성되었다. 제4장은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저널리즘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있어 주요 쟁점들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언론사뿐만 아니라 뉴스 생태계 전체의 혁신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내용 이다.

4

스마트 미디어 뉴스 생태계의 혁신 전략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