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산업론_맛보기

Page 1

음악산업

장의

목표

1. 국내외 음악산업의 정의와 현황을 살펴본다. 2. 음악산업의 발전 과정과 시스템을 알아본다. 3. 음악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살펴본다.


1. 음악산업의 현황 1) 음악산업의 정의와 역사 음악산업(音樂産業)이란 음악의 창작, 음반의 제작, 활용, 유통, 보급, 수출입 등 에 관련된 영업 및 대중음악 공연을 지칭하며, 이에 따라 음반, 공연, 출판, 매니지 먼트, 영상물 활용 등 아티스트와 음원을 사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일컫는다.1)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음반산업에서 음원산업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통칭하여 ‘음악산업’으로 지칭한다. 2006년 10월부터 시행된 ‘음 악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 ‘음악산업’이라 함은 음악의 창작·공연·교육, 음반·음악파일·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의 제작·유통·수출·수입, 악기·음향기기 제조 및 노래 연습 장업 등과 이와 관련된 산업을 말한다. ∙ ‘음원’이라 함은 음 또는 음의 표현으로서 유형물에 고정시킬 수 있거나 전자적 형태로 수록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음반’이라 함은 음원이 유형물에 고정되어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 을 말한다. ∙ ‘음악파일’이라 함은 음원이 복제·전송·송신·수신될 수 있도록 전자적 형태 로 제작되거나 전자적 기기에 수록된 것을 말한다. (1) 음악산업2) 서양역사에 등장한 최초의 직업 음악가는 그리스 로마 시대의 마임 연기자들이었 다. 그들은 노래와 춤으로 연기했으나 천대받는 직업이었으며, 중세시대의 초기 에는 독일과 프랑스의 음유시인들이 노래와 춤은 물론 저글링, 카드 마술, 칼 던지 기 등 묘기를 선보이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후 15∼16세기의 독일 음악가들이 길 드(guild)3)를 통하여 작곡이나 노래 경연대회를 자주 열었으며, 처음으로 음악도

1) 한국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음악산업백서 2006󰡕, 2006, p.16 2) David Baskerville, 김주호 역, Music Business Handbook, 시유시, 1998.를 요약, 정리하였다. 3) 중세 유럽의 동업자 조합, 네이버 백과사전

224


<그림 6-1> 음악산업의 개념 및 범위

출처: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9 음악산업백서󰡕, 2010.

거래의 대상에 포함되었다. 우리가 지칭하는 보통의 의미에서 음악산업은 수십 년 전부터 대중적으로 음악을 사고파는 경제적 현상을 말한다. 방송산업 등과 같 이 음악산업도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는데, 오늘날 음악분야 종사자 의 직업적 지위를 상승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음악가들의 노동조합인 미국음악인협회(American Federation of Musicians/ AFN)다. 이후 1800년대에 들 어 전문가의 연주를 듣기 위해서는 돈을 내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으며 유럽뿐 아니라 미국의 도시에서도 유료관객의 수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최초의 아티스트 매니저나 대행사를 꼽는다면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 르트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아들이 여섯 살이 되자 유럽 전역에 아들을 소개 하기 시작했다. 모차르트는 세계적인 음악가로 성장하였지만 죽을 때는 빈털터리 였다고 한다. 매니지먼트의 중요성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것이 없는 것 같다. (2) 음반산업 음반산업이란 음악산업 중의 하나로 LP, CD, 카세트테이프와 같은 음반의 제작, 배급 및 출판과 관련된 산업을 총칭한다. 그러나 음반산업은 ‘음반의 제조업’뿐만 아니라 ‘음악 서비스’를 포괄하면서 음악산업과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0 6: 음악산업

225


<표 6-1> 국내 음반 제작사 및 유통사 현황(2001∼2005년)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제작사

812

955

1053

1163

1228

도매상

25

15

5

5

5

소매상

2000

1100

600

350

300

출처: 문화관광부, 󰡔2006 문화산업백서󰡕, 2007, p.254

왔다.4) 위의 <표 6-1>에서 알 수 있듯이 2000년 이후, 음반산업이 음원산업으로 빠른 속도 로 옮겨가면서 음반 도매상과 소매상의 급격한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으나 음반 제 작사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는 디지털음반, 싱글음반 등으로 음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고 음악산업을 포함한 문화콘텐츠산업이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00년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가 엔터테인먼트업계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 하며 음반산업의 기업화, 대형화가 시작되었으며, 지금도 케이팝(K-POP)의 해외 진출로 인해서 영화산업과 더불어 황금알을 낳는 문화콘텐츠산업의 대표적 주자 로 자리 잡고 있다. (3) 디지털 음악산업 디지털 음악(digital music)이란 음악을 MP3, WMV 등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여 온 라인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나 재생기기에서 들을 수 있는 음악을 말한 다. 디지털 음악은 온라인 음악과 무선인터넷 음악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인데, 온라 인 음악이란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통하여 음악을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에 서 음악을 즐길 수 있고, 무선인터넷 음악은 무선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기기를 통하여 벨소리, 뮤직비디오 등 음악을 즐길 수 있다. 지난 십여 년 간 전 세계 음반시장 규모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고 디지털 음악시 장의 규모는 성장을 하였는데, 1990년대 중반에 400억 달러에 육박했던 음반 매 출액5)은 2000년에 들어서며 서서히 감소하다가 2004년에는 336억 달러에 그치고

4) 고정민·민동원, “국내 음반산업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003. 2 5) 국제음반산업연맹, The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2006.

226


<표 6-2> 통화 연결음 자체의 수익 분배율 국가 간 비교 국가

단위: %

이동통신사업자

ASP

CP

음악권리자

한국

29∼32

10

19

34∼38

중국

15

0

35

50

일본

9

0

40

47∼52

인도네시아

61

0

5

34

52.2

17.5

5

25

인도

출처: 󰡔음원가족󰡕, 가을호, 2006. 미수금 등 공제로 합이 100%가 안 될 수 있음(자료: 관련 업계)

말았다. 이런 결과가 초래된 가장 큰 원인은 음원의 디지털화와 불법 공유, 즉 불 법 다운로드에 있다. 저용량의 음원 포맷인 MP3 파일이 상용화되면서 해적판 CD 유통과 불법 다운로드가 늘어나게 되었고, 기존 음반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던 CD 의 자리를 밀어내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게 음반산업의 감소와 반하여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음악산업은 이동 통신사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음원서비스의 확대로 이어졌고, 이동통신사의 시 장점유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바일 음원의 수익 배 분을 두고 공방이 생기고 있는데, 현 배분 구조는 이동통신회사가 약 30% 이상을 유통수익으로 갖고 음악 기획, 제작사는 약 25%에 못 미치는 수익을 갖는 구조가 형성되어 기획, 제작사와 저작권자들의 항의가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음악의 서 비스에 있어서 에이전트 역할의 CP(Contents Provider)가 중개수수료로 약 20% 를 갖는 새로운 유통업자로 등장하는 바람에 음악계에서는 수익률의 상승을 요구 하며 CP사를 직접 운영하거나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이동통신사의 자회사에서 CP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모바일 음악서비스의 특성상 기술 사용료와 시스템 운 영관리비용(ASP) 등이 추가로 지급되고 있다. <표 6-2>를 보면 한국의 이동통신회사가 일본, 중국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수익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음악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유통 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업계 간 이권 다툼이 계속되고 있는 현실이다.

0 6: 음악산업

227


<그림 6-2> 음악산업 가치 사슬

오프라인

작곡/작사가, 가수, 연주가

기획사

음반사

1차 도매

디지털유통사

디지털

작곡/작사가, 가수, 연주가

권리사

-개별기획사

-개별기획사

-유통사

-음반사

-디지털유통사 -직배사

2차도매

Gateway

디지털음원 대리중계

Portal System

소매

무선플랫폼

-이통사 정산시스템

Agency

-포탈 MCP 등

유선플랫폼

출처: 문화관광부, 󰡔2006 문화산업백서󰡕, 2007, p.255

2) 음악산업의 구조 음악산업의 구조는 기획사와 제작사가 음반(앨범)을 기획, 제작, 생산하는 제작의 이원성을 띠고 있다. 기획사는 가수 발굴, 트레이닝, 음반 기획, 녹음, 매니지먼트 를 진행하고 제작사는 음반 투자, 제작, 유통을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 근 디지털 음악산업이 커지면서 통신회사의 참여로 인하여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 며, 제작사에서 기획, 매니지먼트를 직접 진행하기도 하고 이동통신사가 제작사, 유통사를 인수, 합병하여 직접 콘텐츠의 제작과 매니지먼트에 참여하기도 한다. 유통에 있어서도 전형적인 도매와 소매를 통한 음반의 유통시장은 감소하고 있으 며 편의점, 할인마트 등 기존의 전통적인 유통 채널에서 벗어나는 현상도 나타나 고 있다. 일반적인 음반의 제작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① 기획사가 음반을 기획하고 작곡가에게 음악을 의뢰한다. ② 기획사는 소속 가수 또는 음반 제작에 필요한 가수를 찾아 녹음한다. ③ 기획사는 음반 디자인,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제작사와 계약하여 음반을 제 작한다. ④ 기획사와 제작사는 홍보담당자, 매니저를 통하여 방송국과 언론사에 음악과 뮤직비디오가 소개, 방송되도록 홍보한다. ⑤ 제작사는 배급업자 즉 인터넷유통업체 또는 도매상에게 음반을 납품하고 도매 상은 다시 소매상에 물건을 공급한다. ⑥ 기획사는 가수의 방송 출연, 행사 출연, 광고 출연 등의 매니지먼트를 대행한다.

228


<표 6-3> 음악산업의 제작 시스템 기획사 음반기획 작곡, 작사, 편곡 실연자 홍보, 매니지먼트

제작사 음반투자 음반 제작 홍보

유통사 도매상 소매상 인터넷 서비스

소비자 CD, MP3

⑦ 기획사와 제작사는 계약대로 매출을 분배한다. ⑧ 가수와 작곡, 작사가는 협회 또는 기획사에서 저작료를 받는다.

음반 제작사는 음반 기획과 음악 제작에 관한 투자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일명 ‘PD Maker’라고 부르는 제작선금제가 한 때 유행하였다.6) 음반 제작사에서 유명 가수 또는 유망한 신인가수로 연예매니지먼트사가 기획, 녹음한 음악을 듣고 자사에서 음반의 제작, 유통할 것을 조건으로 미래의 수익을 미리 기획사 또는 가수의 매니 저에게 선지급하여 녹음 등 음반 제작비로 사용하는 시스템인데, 음반 시장의 불황 으로 인하여 투자 대비 수익성이 떨어져 최근 거의 없어진 시스템이다. 이 또한 과 열된 스타 캐스팅에서 비롯된 사례의 하나이다. 음반 제작 환경이 국내의 실정과는 다르지만 참고로 미국의 경우 음반 1장당 제작비와 수익은 <표 6-4>와 같다. 마케팅, 프로모션은 광고, 홍보, 프로모션의 비용을 말하며 결국 10곡이 수록된 10 달러 76센트짜리 CD 1장당 59센트의 이윤을 남긴다는 말이다. 그리고 음반 판매 로 인한 이익의 비율은 <표 6-5>와 같다. 그러나 음반산업이 음원산업으로 급격히 옮겨가며 기존의 음반 유통 과정이 바뀌 면서 디지털 음악의 유통을 담당하는 통신사와 인터넷업체의 수익이 너무 많지 않은가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의 유통 과정이 단순 화되고 비용이 절감되었는데도 소비자는 여전히 비싼 대가를 치르고 음악을 구매 하고 있으며, 디지털 음악의 최대 문제점인 불법 복제로 인하여 제작자는 자신의 권리를 침해당하며 어려운 여건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6) 현장에서는 이러한 제작비를 선불로 받는 것을 소위 ‘마이킹’이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마이킹’은 ‘선불(先拂)’을 뜻하는 일본어 ‘마에칸(前勘)’에서 유래한 말로 ‘마이낑’, ‘마이깡’으로 불리기도 한 다. 장규수, “연예매니지먼트시스템의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대 박사논문, 2011, p.138.

0 6: 음악산업

229


<표 6-4> 음반 1장당 비용 및 수익 내용 CD 1장당 도매 가격

$10.76

조합 광고비

$0.86

CD 제조비

$0.75

유통 및 영업 비용

$1.40 (독립음반사의 경우 $2.15)

마케팅, 프로모션

$2.15

가수 및 작품 계약, 녹음 비용

$1.08

가수 및 연주자 비용

$1.29

작곡자 및 작사가 비용

$0.70 (곡당 7센트 × 10곡)

간접비용

$1.94

수익

$0.59

출처: 임성준,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엔터테인먼트경영’ 강의 자료 재인용, 2002

<표 6-5> 음반 판매 이익 비율 음반 판매상 총이익

35%

음반 제작사

32%

음반 유통사

10%

실제 음반 제조 및 포장 비용

9%

가수 및 연주자

9%

작곡 및 작사자

4%

조합비

1%

출처: 임성준,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엔터테인먼트경영’ 강의 자료 재인용, 2002

<표 6-6> 통화연결음 서비스 전체의 수익 분배율

단위: 원

콘텐츠 전체 구매 비용 1678원(78원+900원+700원) 저작자

실연자

음반 제작자

ASP

이동통신사

CP

63

31.5

175

70

1,205.9

132.6

3.8%

1.9%

10.4%

4.2%

71.8%

7.9%

출처: 󰡔음악가족󰡕, 가을호, 2006

230


이와 같은 구조에서 이동통신사가 기획사, 음반사, 1, 2차 도매와 유무선 플랫폼 까지 장악한 것은 문제가 많은 시스템이며, 이로 인한 콘텐츠의 종속 현상도 무시 하지 못할 사안이다. 모바일 음악 중 통화연결음 서비스의 전체 수익 분배율은 <표 6-6>과 같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정거래위원회 등의 기관에서 규제 또는 시정조치를 통하여 새 롭게 형성되고 있는 디지털 음악산업의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3) 국내 음악산업의 시장 규모 한국문화체육관광부의 “2010 콘텐츠산업통계”에 의하면, 2009년 음악산업 전체 매출액은 2007년에 2조 3577억 원에서 2008년에 2조 6020억 원 그리고 2009년 2 조 7407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전년 대비 5.3%, 연평균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류별로 매출액을 보면 ‘노래연습장 운영업’이 1조 3399억 원(48.9%) 으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온라인 음악 유통업’이 5696억 원 (20.8%)으로 그 다음 높은 매출 비중을 보였다. 그리고 ‘음악 제작업’은 3603억 원

<그림 6-3> 소녀시대 공연투어 중 인터뷰 장면

0 6: 음악산업

231


<그림 6-4> 국내 온·오프라인 음악산업의 규모 4554

단위: 억 원

4644 4203

4104

4104 3800

3883

3733

3530

3352 2851

1850 1833

2014 1338

1342 911 450 0

1997

0

1998

0

1999 합계

2000 음반시장

2001

2002

2003

2004

온라인음악시장

출처: 한국음악산업협회(2005)

(4.4%), ‘음반복제 및 배급업’은 830억 원(3.0%),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은 101 억 원(0.4%)으로 나타났다.7) 따라서 음반도소매업, 즉 CD 등 음반 판매시장이 전 체 음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계속 축소되고 있으며, 반면에 온라인 음악 유 통시장과 콘서트 등 음악공연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음악산 업의 가장 큰 특징은 노래연습장을 통한 저작권 수익이 전체 음악시장에서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음악산업은 불법 복제, 디지털화, 경기 부진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음반산업의 경우 한류의 절정기였던 시기를 살펴보면, 2004년 대비 2006년에 18.8%가 하락하였고, 반면 디지털 음악산업은 24%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음악산업에서 15.8%를 점유하여, 노래연습장산업을 제 외하면 음악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 음악시장에서 음반시 장과 온라인 음악시장의 점유율 변화는 <그림 6-4>와 같다.

7) 한국문화체육관광부, “2010 콘텐츠산업통계”, 2011, p.202.

232


<그림 6-5> 장르별 음반 판매 비율 추이(1999∼2005년)

2005

80

2004

80

2003

단위: %

15 17

78

2002

18

74

22

5 3 4 4

2001

76

2000

75

20

5

1999

74

22

4

0%

20%

20

40% 국내가요

60% 팝

80%

4

100%

클래식/재즈

출처: 문화관광부, 󰡔2006 문화산업백서󰡕, 2007, p.253

그나마 다행인 점은 한국의 영화, 음악산업은 국내 콘텐츠의 점유율이 매우 높고, 최근에 K-POP의 열기가 높다는 것인데 영화산업의 경우 스크린쿼터제에 의한 점 유율이 보장되지만 음악산업의 경우 특별한 정책적 지원이 없지만 한국 가요의 높은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지켜나가고 있다. 그러나 가요의 대부분이 발라드와 댄스음악 중심의 청소년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어 앞으로 개선해야 될 문제로 지 적되고 있다. (1) 음반산업의 시장 규모 앞서 연예매니지먼트의 발전 과정을 살펴본 대로 1990년대 이후 가수 매니저들의 음반기획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음반시장은 디지털 음악시장에 밀려나고 있 다. 디지털 음악의 발전으로 인해 CD 등 전통적 음반매체의 생산량과 매출액이 2000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장기간의 침체로 인해 음반 제작사들은 정규앨범을 발매하는 대신에 상대 적으로 제작비가 낮은 미니앨범이나 디지털 싱글 발매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0 6: 음악산업

233


<그림 6-6> 음반사업체의 설립 연도

10% 43% 47%

1990년대 2000년 이후 1990년 이전

출처: 문화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음악산업백서 2006󰡕, 2006

현상은 빠르게 바뀌는 트렌드에 대처할 수 있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 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한동안 지속될 것 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온라인 유통에도 이미 성장 단계를 넘어 포화 상태에 이르 렀다. 실제로 매출액이 2007년부터 감소 추세다. 그리고 제작자들과의 수익 분배 에 관한 문제점도 아직 해결되지 못했다.8) 따라서 한국 음악산업의 시장 규모는 단순히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볼 수만은 없는 것이다. 특히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의 음악산업 분류별 매출액의 전년 대비 증감 률과 연평균 증감률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은데, 음악 제작업과 음반 도소매업 은 증가하였으나, 온라인 음악 유통업은 감소하여 합계가 조금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 K-POP의 인기몰이로 인해 제작과 소비는 조금씩 늘어나고 있 으나, 정작 온라인 음악시장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2) 디지털 음악산업의 시장 규모 199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의 인기로 인해 급성장한 디지털 음악은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 생기기 시작한 디지털 음악 사업체는 2000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음반과 디지털 음악을 기획, 제작하는 사 업체가 겹치는 부분을 감안할 때 더 많은 수치를 예상할 수 있다(<그림 6-7> 참조). 특히 온라인과 모바일 음악 시장도 매출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핸드폰 다

8) 문화체육관광부, “2010 콘텐츠산업통계”, 2011, p.202.

234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