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상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고전선집 0533
이익상 작품집 이익상 지음 박연옥 엮음
대한민국,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번뇌(煩惱)의 밤>, 학지광, 1921. 6
흙의 세례(洗禮)
一 明浩의 안해 蕙貞은 압마루에서 아침을 먹은 뒤에 설거질
을 하다가 손을 멈추고 방 안을 행하야 “저 좀 보서요.” 하고 자긔 남편을 불럿다. 明浩는 담배를 픠어물고 압해다 신문을 노코 그리고
안저서 듸려다보다가 蕙貞의 부르는 소리에 자미스린 게 보 던 흥미를 일허바린 것가티 얼골에 조금 불쾌한 비치 나타나 보이엇다. 그리하야 그는 허리를 굽혀 압미다지를 소리가 나 게 열고는 조곰 툭명스러운 소리로 “웨 그리우?” 하엿다. 이와가티 不快한 이 석기어 들니는 “웨 그리우?” 하는 대답에 蕙貞은 어느듯 그 다음에 하랴든 말의 흥미를 절반 이상이나 일허바리고 말앗다. 그리하야 “저보서요.” 라 부 르기만 하여두고 한참 동안이나 남편의 얼골을 바라다 보앗 다. 그러고 蕙貞은 남편이 무슨 생각에 열중한 것을 짐작 하엿다. 明浩는 엇더한 생각에 熱中할 때에는 아모리 불너 도 대답을 할 줄도 모르고 는 대답을 한다 하여도 툭명스 러운 소리가 나오든 것이엇다. 이와 가튼 툭명스러운 대답 이 이 마을로 이사 온 뒤로는 더욱 만하여진 것은 明浩가 무 슨 생각에 熱中하는 期會가 만타는 것을 意味한 것이엇다. 그리고 한 이러한 생각하는 期會가 부러젓다는 것이 蕙貞 47 흙의 세례
에게 對하야는 不快한 생각을 늣기는 가 더부럿다는 것 이엇다. 그들의 이전 생활도 그대지 긴장한 생활이라 할 수 업섯스나 이러한 시골로 내려오게 된 것은 조곰 長悠한 時 日을 보내어 보자는 것이 動機가 되엇섯다. 그러나 悠長과
흐리무텅한 것은 이 明浩에게서 거의 區別할 수 업는 形容 詞가 되고 말엇다.
“이걸 어더케 하면 조화요? 오늘은 밧을 좀 갈어야 할 것 이 아니에요. 압집 칠봉아범을 하루 동안만 삭군으로 어더 볼가요?” 蕙貞은 얼골에 수심스러운 비츨 워가지고 이리케 말
하엿다. 그런데 이 칠봉 아범이란 것은 明浩부부가 이 洞里 로 이사 오든 그날부터 서로 친하게 상종하는 다맛 하나의 이웃사람이엇다. 집안에 조곰 하기 어려운 일이 생길 이 면 흔히 칠봉아범에게 부탁하게 되엿다. 그는 젊은 明浩夫 婦를 爲하야는 自己집 볼일이 잇서도 그것을 제처노코 明 浩의 일을 보살필 만큼 忠實한 이웃사람이엇다. 그럼으로
오날에도 밧가를 일이 급한 것을 걱정하는 蕙貞이 칠봉아범 을 삭군으로 엇자고 한 것은 自然한 일이엇다. “글세… 엇더케든지 해보아야 하지….” 明浩는 겨우 이만한 대답을 하고는 미다지 밧갓흐로 담
배연기를 내엇다. 48
蕙貞은 이러한 흐리무텅한 대답에 조곰 역정이 낫다. 그
리하야 그의 말소리는 자연히 조금 놉핫다. “글세 글세라 말만 하면 됨닛가? 엇더케딘지 일을 시작 하도록 하시야지오. 그러면 제가 가서 칠봉아범을 불너올가 요?” 明浩도 아침에 일어날 부터 밧을 가러야 하겟다는 생
각이 물론 업섯든 것은 아니로되 매양 무슨 일에던지 생각 만 하고 바로 착수하지 못하는 것이 거의 病的으로 버릇이 되고 마른 그가 안해에게 재촉을 다시 당하면서도 속이 시 원하도록 대답 한마듸조차 오히려 하지 못한 것은 엇던 특 별한 理由가 잇슴즉도 하엿다. 그러나 勿論 안해에게 對한 感情으로 나온 것은 아니엇다. 그 밧갓헤도 별다른 理由가
잇는 것은 아니엇다. 큰 疑問으로 잇는 것은 이러케 생활을 하여야만 할 必要가 어데 잇슬가라 생각하는 것이엇다. 明浩는 한참 잇다가 압마루로 나오며 겨우 입을 어 말
하엿다. “글세 그러면 불너오구려!” 하고 그는 다시 두 활개를 벌 리고 기지개를 켯다. 소리를 놉히여 하폄을 크게 하엿다. 蕙貞은 기지개켜며 하폄하는 남편의 얼골을 유심히 흙
게보고는18) 숨을 한번 크게 내쉬엇다. 이 숨은 그 刹那의 그 의 感情을 가리움 업시 表示한 것이엇다. 그리고는 아모 말 49 흙의 세례
업시 압토방을 도라 부억으로 드러갓다. “한숨은 웨 쉬오?” 명호는 부억으로 드러가는 안해의 뒤를 바라보며 조곰 불쾌한 말로 이러케 무럿다. “생각해보서요. 한숨이 아니 나올가−엇저면 모든 것을 그러케 흐리뭉텅하게 하심닛가?” 蕙貞은 부억에서 자숫물통19)에 물을 부면서 이러케
대답하엿다. “무엇이 흐리뭉텅하다우? 속 모르는 말은 이담부터는 하 지도 마오.” 하고 명호는 마루에서 마당으로 내려왓다. 이 에 蕙貞은 자수ㅅ물그릇을 들고 다시 부억에서 압마루로 나왓다. “좀 생각해보서요. 지금이 언제인지 알으심닛가. 벌서 사월이 갓가워 왓담니다. 다른 사람들의 농사짓고 사는 것 을 좀 보시지오. 지금까지 아즉도 밧을 그대로 둔 집이 어대 잇는가…. 이왕에 이러한 생활을 하신다면은 이것이나마 좀 意義잇게 하여야 할 것이 아니에요?” 明浩는 가만히 듯고만 섯섯다. 그에게 대답할 말이 업섯
18) 흙게보고는: 흘겨보고는. 19) 자숫물통: 개수물통.
50
다. 蕙貞은 남편의 대답을 기다리다가 失望한 드시 다시 입 을 열엇다. “그러메 어케 그리 모든 일에 等閒하서요. 밧 가러야 할 것을 말슴한지가 언제인지 알으심닛가. 벌서 일주일이나 되엇서요. 저는 農事가 엇더한 것인지 자서히 알 수도 업지 마는 를 일흐면 안 된다는 것은 알앗서요. 다른 사람들의 밧에는 벌서 싹이 나지 안햇서요? 그런데 우리 밧은 야즉 괭 이 맛도 보지 못하엿지요. 어케 되겟슴닛가. 밧이 잘 되고 못 되는 것은 그만두고라도 남이 붓그럽지 안해요.” 蕙貞은 이러케 숨도 쉬지 안코 한참 동안을 짓거리다가
숨이 차올나와 겨우 말을 그치엇다. 그러나 다시 明浩에게는 對答할 말이 업섯다. 대답할 만한 무엇이 잇다 하면 그것은 말할 것도 업시 엇더한 暴君 이 忠實한 臣下의 諫하는 말을 들을 에 取하는 粗暴20)한 態度나 言辭가튼 것이엇슬 것이다. 蕙貞은 다시 말을 내엇다. 이번에는 애원하드시 말하엿
다. “저보세요. 이러한 農村에서 무엇을 하랴고 고생할 必要 가 잇서요. 이런 생활−不徹底한 생활은 그만두고 우리에
20) 조폭: 성질이나 하는 짓이 무지막지함.
51 흙의 세례
게 適當한 都會로 가는 것이 엇대요? 손발이 희고 고흔 사 람에게는 이러한 生活을 하겟다는 것이 벌서 틀닌 수작이라 고 함니다. 암만해도 당신 성격에는 農村살님은 適當치 못 해요….” 이것은 明浩에게는 참을 수 업는 失望과 悲哀를 주는 말 이엇다. “여보! 그런 쓸데업는 말은 구만허구려! 지금에 와서 이 러한 말을 하면 무슨 소용이 잇소? 구만 두려거던 당신이나 그만 두고 이전처럼 가서 다시 지내구려!” 蕙貞은 이러한 最后의 말에는 무엇이라 對答할 수 업섯
다. 明浩 夫婦는 이러한 말다툼이 닐어날 에 두 편이 다 가티 흥분한 태도를 가지는 일은 이전부터 업섯다. 그리하 야 어대지든지 자긔들 主張함이 自己를 生活에 얼마만한 影響을 줄는지 그것을 그들은 알엇슴으로 한 편이 激昻
에는 한편은 눅우러저바렷섯다. 이것이 가장 그들로 하여금 오날까지의 結婚生活을 破滅로 引導치 안흔 큰 原因의 하 나이엇다. 말하자면 이 夫婦의 새이를 러지지 안토록 붓게 한 거말못21)이엇다.
21) 거말못: 거멀못. 나무 그릇 따위의 터지거나 벌어진 곳이나 벌어질 염려가 있는 곳에 거멀장처럼 겹쳐서 박는 못.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