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_맛보기

Page 1

이론과 현장이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육 김은영

대한민국, 서울, 학이시습, 2014


들어가며

“연주하라, 그리고 싸워라(Play and Fight).” 음악을 통해 더 나은 사람 이 되기 위해 자기 자신과 싸우자는 엘 시스테마(El Systema)의 메시 지는 우리에게 감동과 질문을 함께 던진다.

이 책은 이론과 현장의 이야기를 씨줄과 날줄처럼 엮은 문화예술교육 에 대한 개론서다. 젊은 예술인들이 경험하게 될 여러 가지 ‘구조적 문 제’, 또 이것을 이겨 낼 수 있는 ‘철학’, 문화예술교육 기획이 확장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 그리고 문화예술교육단체의 현실과 이에 대한 고 민 등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보고 느낀 점을 담았다. 이제 막 문화예술 교육을 시작하는 입문자들이 문화예술교육의 상황, 맥락, 사례, 쟁점을 포함한 구체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1부 ‘문화교육·예술교육의 이해’는 문화와 예술, 문화교육과 예 술교육을 둘러싼 여러 담론과 그 흐름에 관한 해설이다. 2부 ‘문화예술 교육의 시선들’은 J. 듀이(J. Dewey), H. 리드(H. Read), L. 비트겐슈타 인(L. Wittgenstein), H. 가드너(H. Gardner)의 시선을 통해 본 예술교 육론과 현재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경향에 관한 설명이다. 예술을 통 한 교육, 미적교육, 진보주의교육, 구성주의 교육, 통합교육 등 많은 연 구자들의 이론을 짧게 정리했다. 3부 ‘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은 지금 우 리가 경험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사례와 해석

v


을 담았다. 대안교육이 아닌 제도교육의 변화를 꿈꾸는 양평의 작은 학 교인 조현초등학교와 연극놀이터 해마루의 국어 수업, 엘 시스테마의 눈부신 성공과 한국적 변주들, 학생뿐 아니라 부모의 삶과 지역사회에 도 변화를 가져다 준 리버플 인 하모니, 마약과 게릴라, 그리고 내전의 틈바구니에서 시작된 콜롬비아의 바투타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 를 전해 준다. 4부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은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재 원을 마련해 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부 정책에 대한 설명이다. 해외와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경향을 담고 있다. 5부 ‘문화예술 교육의 현재’는 국내 문화예술교육 현황, 지원 구조와 이를 둘러싼 여러 쟁점을 다룬다. 6부 ‘문화예술교육 기획’은 문화예술교육단체 입장에서 바라본 기획의 개념, 전문 인력의 역할, 마케팅 이론에 대한 짧은 소개 다. 수업을 관찰하다 보면, 경험과 교육철학이 부족한 예술강사의 수 업을 보는 것만큼 예술교육의 가치를 초라하게 만드는 일이 없다. 또 행정과 무관심의 벽에 가로막혀 문화예술교육의 생생함이 사라지는 것 을 보는 것처럼 답답한 일도 없다. 그럼에도 문화예술교육은 아이들처 럼 성장하고 변화한다. 이제 5000명에 육박하는 예술강사, 어려운 현실 에서 최선을 다하는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예술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자 노력하는 모든 이들의 존재가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더욱 강하고 빛 나게 만들어 줄 것이다. 끝으로, 부족한 초고를 읽어 주고 자문을 아끼지 않은 선후배, 자료 와 사진은 물론 인터뷰에 흔쾌히 응해 준 문화예술교육단체 관계자 분 들께 감사드린다.

vi


차례

들어가며

v

1부 문화교육 ・ 예술교육의 이해 01 문화의 개념적 이해

3 5

문화란 무엇인가?

7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

14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5

02 예술 개념의 탄생

16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에 대한 다양한 정의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8 20 32

33

03 문화교육과 예술교육, 국내 담론의 흐름

문화교육의 개념적 이해

36

예술교육의 개념적 이해

43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54

52

34


2부 문화예술교육의 시선들 04 예술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예술교육의 범주

57

59 61

전통적 미학 담론에 기반을 둔 예술교육론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69

70

05 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전통적 교육의 이해

73

진보주의교육사상의 두 축

75 84

진보주의교육과 예술교육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71

91

92

06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본 예술교육

93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

95

새로운 시선으로 본 예술교육

96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09

110

07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경향성

문화예술교육 담론

111

11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또 다른 시선들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34

133

120


3부 문화예술교육의 영역 08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꿈꾸다

137 139

작은 학교, 지역문화예술교육과 만나다 교육, 예술과 통하다

159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170

172

09 사회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문화예술교육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 엘 시스테마의 확장 사례들

175 181 199

문화예술단체의 다양한 움직임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214

215

4부 문화예술교육 정책 10 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219

미국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221 228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경향

236

영국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경향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243

244

11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경향

245 247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전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이해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267

259 266

173


5부 문화예술교육의 현재 12 국내 문화예술교육 현황

271

학교문화예술교육

273

사회문화예술교육

281 290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291

13 현재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

292

예술강사와 서발턴(subaltern)

294

예술교육가, 새로운 직업의 탄생

296 300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둘러싼 쟁점들

303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둘러싼 쟁점들 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학교문화예술교육 309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310

6부 문화예술교육 기획 14 문화예술교육단체로 살아가기

315 317

문화예술교육단체가 직면한 도전들

319

문화예술교육 기획이란 무엇인가? 334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335

15 문화예술교육 기획과 전문 인력

문화예술교육 기획 전문 인력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토론 문제

364

338 342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실제 전략적 기획의 도구들

336

352 363

307


01

문화의 개념적 이해

개고기와 조장(鳥葬) 그리고 여성 할례

한국의 음식 문화를 이야기할 때 가장 ‘핫’한 토픽은 아마도 ‘개고기’일 것이다. 2001년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브리짓 바르도 (Brigitte Bardot)는 “개고기 문화는 야만”이라고 발언해 많은 한국인들 의 공분을 샀고, 이후 개 식용에 관한 논쟁은 민족주의의 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먹어도 되는 것과 먹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생각은 ‘특 정한 삶의 양식’으로서의 문화다. 문화는 인간의 삶 속에서 형성되고, 인간에게 독특한 흔적을 남긴다. 문화인류학자 M. 해리스(M. Harris) 는 “서유럽인들은 개가 사랑하는 애완동물이어서가 아니라 비효율적 인 고기 공급원이기 때문에 먹지 않는다. 서유럽인에게는 다른 동물성 식품 공급원이 엄청나게 많다. 개는 고기보다 가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살아서 제공한다”(Harris, 1985; 서진영 역, 1992:212)라며 문화적 상대 주의에 대한 주장을 펼쳤다. 이러한 문화적 상대주의를 근거로 많은 한 국인들이 개고기 식용 습관을 고유한 음식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렇다면 먹어도 되는 것과 먹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문화란 무엇인가? 또한 문화적 상대성과 타 문화에 대한 존중이라는 시선으로 허용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시신의 살과 뼈를 발라 새의 먹이가 되게 하는 ‘조장(鳥葬)’, UN 난

3


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서 박해로 인정하는 ‘여성 할례’를 본 적이 있다 면 생소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무척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성적으로 문화적 상대주의에 공감하더라도 눈앞에서 커다란 새가 시신을 뜯어먹는 모습은 무섭고 정서적으로 낯선 광경임에 틀림없 다. 인간은 자신이 경험해 보지 못한 것에 대해 본능적으로 공포와 두려 움을 느낀다. 그만큼 타인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은 당위성과 이성 의 차원을 넘어서는 문제다. 여성 할례를 인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할 것인가, 또는 이슬람의 문화적 전통으로 이해할 것인가? 이와 같이 문화 적 다양성, 상대성의 범위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1장에서는 문화의 개념과 철학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소개하고 이 를 통해 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현실 속 다양한 문화교육·문화예술교육의 모습에 대 한 통합적이고 깊이 있는 분석과 성찰, 활발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4


문화란 무엇인가? 청소년 문화, 결혼 문화, 대학 문화, 도시 문화, 음식 문화, 젓가락 문화, 비잔틴문화, 농경 문화, 성(性) 문화, 아시아 문화, 조직 문화, 여가 문 화…. 문화(culture)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단어다. 우리는 놀랄 만큼 다양한 용도로 문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살고 있다. 문화는 때로 클래 식과 오페라를 의미하기도 하고, 한가로운 토요일 저녁의 <무한도전> 시청을 뜻할 수도 있다. 혹은 데이트하는 남녀 중 비용을 부담하는 사 람이나 첫 번째 성 경험이 용인되는 적당한 나이를 뜻할 수도 있다. 문 화 연구의 창시자인 R. 윌리엄스(R. Williams)는 ‘culture’가 영어 단어 에서 아주 난해한 단어 중 하나일 것이라고 했는데, 이는 문화의 복잡성 을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정의 중 하나다. 문화는 인간의 삶 속에서 형성되고, 인간에게 독특한 흔적을 남긴 다. 즉, 인간은 문화를, 문화는 인간을 형성해 간다. 인간은 문화를 통해 자신과 사회를 바라보고 이해하기 때문에 인간이 창조한 것들은 유· 무형을 가리지 않고 문화를 통해 전승되며, 그 안에는 개인과 사회의 정 체성이 담겨 있다. 문화는 수세기에 걸쳐 발달된 개념으로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를 포함했으며, 고정되지 않고 변화해 왔다. 문화의 개념은 관점과 시간, 공간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정답 또는 오답’ 의 문제가 아니라 관점의 차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정당하다. 이 책에서는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culture’의 전형(前形)인 라틴어 ‘cultura’는 경작(cultivation), 돌봄 (tending), 정신의 밭을 가는 일(cultura animi) 등의 의미를 가지는 단

5


그림 1 문화와 자연의 관계

매장 자연

문화

죽음

장례

조장 화장 풍장 수장

어다. 즉, 문화란 땅(자연, nature)을 가꾸고 동식물을 경작하고 돌보는 것과 같이 자연과의 관계에서 자연을 변화시켜 온 인간의 행위, 행위의 물질적 또는 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 따라서 문화는 인간 삶의 전 과 정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의 대척점에는 비문화가 아니라 자연이 자리 잡고 있다. 일례로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자연’이지만, 이를 대하는 인 간의 행위는 ‘문화’라고 말할 수 있다. 죽음은 시대와 민족을 초월하여 인간이 공통으로 맞이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를 대하는 인간의 행위와 의식, 즉 장례는 시대와 사회마다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문화적 현상이다. 농경 문화권에서는 매장을, 불교 문화권에서는 화장과 풍장 을 선호했으며, 현재는 수목장, 우주장 등 새로운 형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즉, 문화의 여러 가지 개념 중 가장 넓은 의미는 ‘자연 또는 자연 상태의 어떤 것이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행위로 변화되거나 창조된 결과물’이다. 문화와 자연의 대척적 관계는 그림 1과 같이 설명 할 수 있다.

6


심화학습을 위한 읽을거리

1. 󰡔문화연구와 문화이론(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존 스토리 지음, 박이소 옮김, 1995, 현실문화 연구)

문화연구를 공부하는 사람들의 필독서로 사랑받아 온 책이다. 문화 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해 놓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대중문 화연구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원용진 교수의 󰡔대중문화의 패러 다임󰡕 역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2. 󰡔문화 학습: 실천적 입문(Studying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주디스 자일스 · 팀 미들턴 지음, 장성희 옮김, 2003, 동문선)

사회학, 문학, 역사, 지리, 미디어, 문화연구 등의 분야에서 문화연구 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쓴 책으로,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읽을거리와 생각해 볼 문제를 던진다. 유사한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 들에게 공감되는 실천적인 설명들이 매력적이다.

3. 󰡔키워드(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레이먼드 윌리엄스 지음, 김성기 · 유리 옮김, 2010, 민음사)

많은 개념어의 어원이 궁금할 때, 혹은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할 때 추천할 만한 책이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원서에서 찾아 보는 센스가 필요하다.

14


토론 문제

1. 문화적 상대성, 다양성의 개념과 범위는 무엇인가?

2. 여성 할례는 여성 인권에 대한 위협인가, 아니면 이슬람의 문화적 전 통인가?

3. 문화적 다양성과 자문화 중심주의의 경계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

4. 1976년에 채택된 문화 발전을 위한 유네스코의 권고안을 살펴보면 “문화 활동을 가장한, 저속한 행동이나 생각뿐만 아니라 폭력과 침 략 및 지배, 경멸과 인종적 편견에 근거한 개념을 거부한다”고 명시 되어 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황을 근거로 이에 대한 찬반 토론을 해 보라.

1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