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기_맛보기

Page 1

古事記 고사기


1. 서문

1ᐨ1. 제1단 계고조금(稽古照今: 옛일을 공부하여 지금 을 밝게 한다) 신 야스마로가 아룁니다. 이 세상의 처음은 혼돈되어 아직 만물의 기상이 나타나 지 않았고, 이름도 행위도 없어 누구도 그 형태를 알 수 없 었습니다. 그러나 천지가 처음으로 나뉘어 조화 3신1)이 창 조의 시작이 되어 음양이 갈라지고 이자나기, 이자나미 두 영(靈)2)이 태어나 만물의 부모가 되었습니다. 이자나미는 불신을 잉태해서 유령계3)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자나 미가 있는 곳을 다녀온 이자나기는 그 더러움을 씻고자 했 습니다. 눈을 씻어서 아마테라스와 쓰쿠요미4)가 태어났고, 바닷물에 몸을 씻어서 모든 신들이 태어났습니다. 이처럼

1) 아메노미나카누시신(天之御中主神), 다카미무스히신(高御産巢日神), 가 미무스히신(神産巢日神). 2) 이자나기노미코토(伊邪那岐命), 이자나미노미코토(伊邪那美命). 3) 유령계: 황천국(黃泉國). 4) 아마테라스오미신(天照大御神), 쓰쿠요미노미코토(月讀命).

3


원시 이전의 일은 확실하지 않지만 전승에 의해서 국토를 생성하고 수많은 섬들을 낳은 때를 알게 되었습니다. 원시 는 아득히 먼 일이지만 앞서 간 현인들에 의해서 신들이 태 어나고 인간들이 태어난 세상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5) 아마테라스를 끌어내기 위해서 거울을 가 지에 걸고, 스사노오가 옥을 씹어 내뱉자 신들이 탄생하고, 검을 물어 뱀을 물리치며 여러 신들을 복종시켰습니다. 하늘의 야스강(天之安河)에서 천하를 평정할 것을 의논 하고, 다케미카즈치신(建御雷神)이 이즈모의 이나사 해안 에서 오쿠니누시와 문답해 국토를 깨끗이 했습니다. 여기 서 호노니니기노미코토(番仁岐命)가 처음 다카치호 봉우 리(高千穗の峯)에 내려오고 초대 진무천황6)이 아키쓰시 마7)에 오랫동안 사셨습니다. 신의 화신인 곰이 강에서 나 오기도 하고 하늘에서 내려온 검을 다카쿠라지에게 얻거나 꼬리가 있는 사람이 길에 나와서 환영했고 커다란 까마귀가

5) 이하의 내용은 야스마로가 고사기의 본문 내용 중에서 몇 가지를 대충 나열 하고 있어 내용 이해에 다소 무리가 있다. 상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6) 진무천황(神武天皇): 초대 천황 가무야마토이와레비코노미코토(神倭伊波 禮毘古命)다.

7) 아키쓰시마(秋津島): 야마토국(大和國)이라고 일컬어지나 구체적으로 어 디인지 확실치 않다.

4


요시노(吉野)로 인도했습니다. 모두가 모여 춤추면서 적을 물리치고 노래가 신호가 되어 적을 복종시켰습니다. 그리고 10대 스진천황(崇神天皇)은 꿈에서 예시를 받아 신기를 존 중하여 모두가 현후(賢后)로 칭송했습니다. 16대 닌토쿠천 황(仁德天皇)은 민가의 연기를 바라보며 백성을 불쌍히 여 겨 지금까지 성제(聖帝)라고 전해집니다. 13대 세이무천황 (成務天皇)은 경계를 정해서 지방을 세우고 지카쓰아후미 (近淡海)를 평정했고, 19대 인교천황(允恭天皇)은 아스카 (飛鳥)에서 천하를 다스리며 씨성(氏姓)을 바르게 정했습니 다. 각각 정치에 차이가 있어 성질은 같지 않아도 옛날을 돌 이켜보아 스러진 풍속·도덕을 바르게 하고, 지금에 비추어 바른 사람의 도8)가 끊어지지 않도록 보충하려 했습니다.

1ᐨ2. 제2단 고사기 찬록의 발단 아스카 기요미하라대궁(淸原大宮)에서 오야시마국(大八島 國)을 다스린 천황 치세에 이르기 전 황태자9) 때 덕이 갖춰

8)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가르침. 9) 훗날의 40대 덴무천황(天武天皇).

5


지고 활동할 시기가 무르익었습니다. 꿈에서 들은 노래가 제업(帝業)을 잇는 뜻이라고 해석하여 밤에 강을 건너 황통 을 받을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천운은 아직 때가 아니어 서 요시노산(吉野山)으로 매미처럼 몰래 빠져나가 은거하 며 군을 모은 뒤 동쪽으로 위풍당당하게 진군했습니다. 가 마를 진행시켜 산천을 넘어 황태자의 군은 천둥처럼 일어나 고 제후의 군은 번개와 같이 출격했습니다.10) 창이 위력을 발휘하고 용맹한 병사가 연기처럼 일어나 빨간 깃발이 병기 를 빛나게 하여 적군11)은 기와처럼 깨져 흩어졌습니다. 채 며칠도 지나지 않아 다툼은 진정되었습니다. 곧 소와 말을 휴식케 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수도로 돌아와 깃발을 거두고 창을 수납하여 노래하고 춤추며 수도에 머물렀습니 다. 673년 2월 기요미하라대궁에서 천황으로서 즉위했습니 다. 그 정치는 헌후12)보다도 뛰어나고 덕은 주왕13)을 능가 했습니다. 삼종의 신기(神器)를 가지고 천하를 다스리고 황 통을 이어서 천하를 평정했습니다. 음양이 바르게 일고 음

10) 황태자의 군이란 덴무천황의 본진영을 말하고, 제후의 군이란 다케치노미 코(高市皇子)의 군을 말함. 11) 오미 조정(近江朝廷) 사람들. 12) 헌후(軒后): 고대 중국의 신화적 황제(皇帝)인 황제(黃帝). 13) 주왕(周王): 주 왕조의 문왕(文王).

6


양의 법칙도 정비했습니다. 신기(神祇)를 공경하고 양속 (良俗)을 장려하며, 뛰어난 가르침을 나라에 펼쳤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지식은 바다처럼 넓고 깊게 상고(上古)를 고 구하고 거울 같은 마음은 밝고 빛나 선대의 일을 궁구했습 니다. 이에 천황은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제가에 전해오는 제 기14)와 본사15)는 이미 진실과 달라져 있어 거짓이 많이 덧 붙여져 있다. 지금 이때 그 잘못을 고치지 않으면 몇 년이 지나지 않는 사이에 그 취지가 없어져 버린다. 이것은 원래 국가 행정의 근본 조직, 천황 덕화의 기본이다. 그러므로 제 기를 찬록(撰錄)하고 구사(舊辭)를 검토하여 거짓을 삭제 하고 진실을 규정하여 후대에 전하려고 생각한다”고 말씀 했습니다. 이때, 성은 히에다(稗田), 이름은 아레(阿禮)라는 28세 의 도네리16)가 있었습니다. 태생이 총명하고 보는 것만으

14) 제기(帝紀): 뒤에 나오는 제황일계(帝皇日繼), 선기(先紀)와 같은 것으로, 각 천황의 즉위에서 붕어까지의 황통 계보와 같은 기록. 15) 본사(本辭): 다음의 구사(舊辭)·선대구사(先代舊辭)와 같은 것으로 신 화나 전설이나 노랫말을 내용으로 한 이야기. 16) 도네리(舍人): 천황이나 미코 등의 측근에서 일하는 집사. 일본이나 중국 에서 이 역은 남자에게 주어졌다.

7


로도 읊조릴 수 있고 듣는 것만으로도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레에게 명해서 제황일계(帝皇日繼) 및 선대구사 (先代舊辭)를 암송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흘러 천 황 대가 지나서도 이것은 미처 실행되지 못했습니다.

1ᐨ3. 제3단 고사기의 성립 삼가 생각하니 제43대 겐메이천황(元明天皇)은 즉위하여 백성을 양육하셨습니다. 그 덕은 황거에 계셨어도 말발굽 소리가 달하는 저 땅 끝까지 미치고, 어소에 계셨어도 배의 뱃머리가 달하는 땅 끝까지도 비추고 있었습니다. 태양이 떠서 그 빛을 더하고 구름이 흩어져 흐리지 않습니다. 가지 가 이어져 이삭이 서로 맞닿는 상서로운 일이 계속되었습니 다. 봉화를 연이어 올려 통역을 더해서 도달한 공물이 창고 에서 없어지는 날이 없었습니다. 그 이름은 문명17)보다도 높고 덕은 천을18)보다도 뛰어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천황은 구사가 잘못되어 있다는 것을 애석해하

17) 문명(文命): 하 왕조(夏王朝)의 우왕(禹王). 18) 천을(天乙): 은 왕조(殷王朝)의 탕왕(湯王).

8


고 선기[先紀: 제기(帝紀)]의 오류를 바르게 하려고 와도(和 銅) 4년(711) 9월 18일, 신하인 야스마로(安萬侶)에게 명하

여, 히에다노아레가 암송했던 칙어(勅語)의 구사19)를 찬록 하여 헌상하라고 명을 내리자 분부대로 상세하게 채록했습 니다. 그러나 상고에 있어서는 한자로 문장 어구를 쓰는 것, 글 자의 용법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훈(訓)으로만 기록하면 어구가 의미를 좇지 못하고, 음(音)으로만 이으면 문장이 더욱 길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어느 경우는 하나의 자구 속에 음과 훈을 섞어서 사용하고 어느 경우는 하나의 사건을 훈으로만 사용하여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문의를 알기 어려운 것에는 주를 덧붙여 명확하게 했고 의미가 알 기 쉬운 것에는 특별히 주를 덧붙이지 않았습니다. 또 성 (姓) 일하(日下)를 구사카(玖沙訶)로 읽고 이름에서 대(帶) 를 다라시(多羅斯)라고 읽는 부류는 원래대로 고치지 않았 습니다. 대개 기록한 부분은 천지개벽에서부터 오와리다20)의 치 세까지입니다. 그리고 아메노미나카누시신(天之御中主神)

19) 덴무천황이 명한 제황일계와 선대구사. 20) 오와리다(小治田): 33대 스이코천황(推古天皇)의 궁전 이름.

9


으로부터 히코나기사타케우가야후키아에즈노미코토(日子 波限建鵜草葺不合命)까지를 상권으로, 가무야마토이와레

비코노스메라미코토21)에서 호무다22) 치세까지를 중권으로, 오사자키노미카도23)에서 오와리다대궁 치세까지를 하권으 로, 이렇게 모두 세 권으로 기록하여 삼가 헌상합니다. 신 야스마로가 삼가 말씀 올렸습니다.

와도 5년(712) 1월 28일 정5위상 훈5등24) 오노아소미야스마로(太朝臣安萬侶)

21) 가무야마토이와레비코노스메라미코토(神倭伊波禮毘古天皇): 초대 진 무천황(神武天皇). 22) 호무다(品陀): 15대 오진천황(應神天皇). 23) 오사자키노미카도(大雀皇帝): 16대 닌토쿠천황(仁德天皇). 24) 정5위상(正五位上)은 문위(文位), 훈5등(勳五等)은 공훈의 서열.

10


2. 특별한 천신 5위

천지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천상계(天上界)인 다카마가하 라(高天原)에 나타난 신 이름은 아메노미나카누시신25), 다 카미무스히신(高御産巢日神), 가미무스히신(神産巢日神) 이다.26) 이 세 위27) 신은 모두 단독 신28)(성별이 없다)으로 태어나면서부터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람이 사 는 토지가 얇게 뜬 기름과 해파리처럼 떠다닐 때, 갈대 싹이 피어오르듯이 태어난 신은, 훌륭한 갈대 싹의 남자신이라는 우마시아시카비히코지신(宇摩志阿斯訶備比古遲神). 다음 으로 다카마가하라에 영구히 있다는 아메노토코타치신(天 之常立神). 이 두 위 신도 단독 신으로 모습이 사라졌다.

이상의 다섯 위 신은 별천신29)이다.

25) 아메노미나카누시신(天之御中主神): 다카마가하라의 중심으로 신들의 주재 신, 최고 신. 26) 함께 만물을 만들어내는 영묘한 영력을 가진 신. 생성력의 신격화. 27) 위(位): 본문은 기둥, 즉 주(柱)다. 이는 신체(神體), 유골, 자녀 수 등을 세 는 말로 기(記) 전반에 걸쳐 많이 등장하나 일괄하여 ‘위’로 해석한다. 28) 쌍신(雙神: 남녀 대우의 신)에 대해서 단독의 신. 29) 별천신(別天神): 천신 중의 특별한 천신. 얼굴 등이 완비된 것의 신격화.

11


3. 신대 7대

다음으로 나타난 신 이름은 국토에 항구히 머물고 있다는 구 니노토코타치신(國之常立神), 다음으로 도요쿠모노신(豐雲 野神),30) 이 두 위 신도 단독 신으로 몸을 숨겼다. 다음에 나

타난 신 이름은 진흙신 우히지니신(宇比地邇神), 여동생인 모래신 스히지니신(須比智邇神). 다음으로 쓰노구히신(角 杙神), 여동생 이쿠구히신(活杙神).31) 다음으로 음부의 오

토노지신(意富斗能地神), 여동생 오토노베신(大斗乃辨神). 다음으로 완벽한 얼굴 모습의 오모다루신(於母陀流神), 그 여동생으로 인간 의식이 나타난 아야카시코네신(阿夜訶志 古泥神). 다음으로 서로 유혹하여 만난 이자나기신(伊邪那 岐神), 여동생 이자나미신(伊邪那美神). 이상 구니노토코타

치신에서 이자나미신까지를 합쳐 신대 7대라고 한다. 단독 신은 각 1대로 하고 그 뒤로는 남녀 한 쌍, 두 신을 1대로 한 다.

30) 이름의 뜻은 미상이나 원야(原野)의 신격화일 것이다. 31) 이름의 뜻은 미상이나 말뚝(杙, 樴, 橛)의 신격화인 듯하다.

1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