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점에서 건축과 매우 유사한 면모를 지닌다. 나는 나의 건축이 사람 들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미디어'가 되어 사람들
의 감정과 생각, 행동에 색다른 변화를 일으키길 바란다.
PLASTIC WASTE
Educational Media that delivers information p. 1-16
Media to accommodate Users’ Needs p. 17-24
Media that expresses Culture p. 25-32
WEAVE-UP
Media to form user-to-user Communities p. 41-43 p. 33-40
DEFORMATION OF PLASTIC WASTE
Artifacts that Return To Nature’s Organic Form
Term : 9th Semester (2024)
Program : WTE facility & Museum
Site Location : Yangcheon-gu, Seoul
Floor Area: 14,350 m²
Floors: 3F, B1F
‘NIMBY’ 현상은 기후위기 해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폐기물의 처리 과정을 투명하게 전시하여 일반 대중이 직접 관찰하면 서 습득한다면, 사람들은 폐기물 처리 기술 및 시설을 신뢰하게 되고 환경보호를 위한 의식 및 참여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폐플라 스틱을 활용한 문화시설은 폐기물에 대한 심리적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설계는 폐플라스틱 에너지화 시설과 체험형 미
디어 아트 미술관이 공존하는 하나의 ‘폐플라스틱 박물관’을 제안한다. 박물관 내에서 폐플라스틱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전
기는 미디어아트 전시에서 사용된다. 이렇게 폐플라스틱이 예술로 이어지는 것은 플라스틱이 변형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설계는 이 플라스틱의 ‘변형’에 주목했다.
내벽은 플라스틱에 변형을 가한 듯 어느 한 부분이 툭 튀어나오거나 누군가 구부려
놓은 것 같은 형태를 띈다. 따라서 내부와
외부 모두에 있는 곡면의 벽을 지지하기
위해 건물의 구조는 크게 내벽과 슬라브를
지지하는 기둥 보 구조와 외벽을 지지해
주는 입체 트러스로 나뉜다. 입면은 물결
또는 대리석의 패턴과 같이 휘몰아치거나
일렁이는 듯이 보인다. 얼핏 붓질한 것처
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작은 알루미
늄 패널이 픽셀화되어 큰 알루미늄 패널과 결합되어 있다.
The facade of this building has a pattern that seems to be swirling like a pattern of waves and marble, and at the same time seems to be stretching and tearing like a spider’s web.
The structure of the wall consists of a concrete finish, a solid truss, and two aluminum panels when aligned from the inside. The pattern of facade is a combination of gray base aluminum panels and white pixelated small aluminum panels. EXPLODED WALL STRUCTURE
BUILDING COMPONENTS
ALUMINUM FACADE
WINDOWS
SPACE TRUSS
CORES
INNER WALLS & FLOORS
플라스틱은 잘게 자르거나 녹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되는 형태를 분석하면 자연의 유기적 패턴과 닮아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쭈그러지는 것은 물 결과, 녹인 후 잡아당기는 것은 거미줄과 그 형태가 흡사하다. 이에 대해 나는 인공물인 플라스 틱이 자연의 유기적 형태로 변형되며 자연 속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했다.
CONCEPT MODELS
SHREDDED STRETCHED
CURLED LEAVES
ADD PROGRAMS TO EXISTING BUILDING
WRAP LIKE SPIDER WEB
HEATED & CRUMPLED MELT & FLATTEN
GIVE DEPTH WITH MARBLE PATTERN
DIG OUT WITH WAVY PLASTIC
SPIDER WEB
WAVE
MARBLE & WOOD GRAIN
WASTE-TO-ENERGY PROCESS
VISITORS’ ROUTE
강서권의 인구 수는 강남권과 비슷한 반면, 기존의 양천자원회수시설의 폐기물 처리용량은 서울시 타 회
수시설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후된 양천자원회수시설의 용량이 약 2배가 되도록, 환경부 소
각시설 설치운영지침에 따라 산정한 면적으로 리모델링하였다.
Watching Waste Sorting Process
Plastic Waste Interactive Art Exhibition
Sub Gallery
2
ADAPTATION
Term : 8th Semester (2022)
Program : Designer Studio
Site Location : Triesenberg, Liechtenstein
Floor Area: 540 m²
3rd Place in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 people who use space change over time, and the personalities of the people who use it now are all different. If a person has adapted to a building so far, the building now needs to change to suit the person who uses the space. Therefore, I propose a studio for designers who do 'flexible architecture'.
[ MASSING PROCESS ]
[ VARYING FLOOR PLAN ]
Divide the fixed space by a frame in 1.8M X 1.8M and put modules of different sizes. As some of them move, the building is formed variously. The module mov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rail. Vertical movement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an elevator. The space can be used as desired by movement of modules.
The site is Liechtenstein, located between Austria and Switzerland. It is a great country to live in in many aspects, including climate, economy, and welfare. The studio will assist architects in creative design, with the small town and the Rhein River in front and the mountains in the back.
There is a makers room that can actually create modules for flexible architecture, and as this room moves vertically, it is easy to move the modules made in it to the outside.
[ 2nd Floor Plan ] [ 1st Floor Plan ]
5. Office 6. Conference room 7. Library
Reception room
Exhibition hall
Outdoor Exhibition
Makers room
There is a gallery on the first floor that displays the designer’s work. This can be a large indoor exhibition space, or an outdoor gallery with a terrace where people can see the great scenery in front of the studio.
IN CANVAS
Term : 5th Semester (2021)
Program : Elementary School
Site Location : Gongneung-ro, Seoul
Floor Area: 13,800 m²
Module Design, Diagrams here, Floor Plan, 3D Modeling, Rendering
초등학교 시기는 창의력과 상상력 계발의 최적
기라 할 수 있기에 일반적인 교육의 장소보다는
스스로 공간 자체를 탐구하고 꾸며나갈 수 있는
학교를 설계하고자 했다. 문화예술교육은 참여
를 기반으로 하여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 정서적
안정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예술에 특
화된 초등학교를 제안한다.
Two Cylinder Overlap Fillet
여러 개의 네모난 교실이 하나의 복도를 둘러싸고 있는 일반적인 학교의 구조와 반대로, 복도가 하나 의 원형 교실을 둘러싸는 모듈을 고안했다. 다양한 동선을 가진 미로 같은 복도는 자유자재의 쓰임새 를 가지며 아이들이 스스로 공간을 탐구할 기회를 제공한다.
1st Floorplan
3rd Floorplan
대지의 경사로 인해 주 출입구는 2층에 위치하고 1층의 일부는 지하주차장이다. 1층에는 주민을 위한 SOC 프로그램인 갤러리와 문화교실이 있다.
South View
North View
SAWTOOTH ROOF
( North-facing Window + South-facing Solar Panel )
Rib Glass + Minimized Spider
CONCAVE & Semi-Transparent
Curtain Wall
2층의 원형 교실 중 일부는 천장보다 층고가 높아 옥상 정원에서 교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이 는 자연 채광에 유리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과 흥미를 높인다. 컨셉과 어울리게 하면서 내부를 더 개방감 있게 하기 위해 튜브형 기둥 구조로 설계했고 기둥이 둘러싸는 원형 공간은
중정, 체육관, 환기 및 채광 요소로 사용된다.
[Building Components]
Term : 7th Semester (2022)
Program : Office
Site Location : Hoegi-ro, Seoul
Floor Area: 14,350 m²
앞으로의 스타트업 분야의 발전을 위해
창업성장센터의 개념이 단순한 공유오피스
에서 ‘소통’의 공간으로 바뀔 필요가 있다.
WEAVE-UP 창업센터에서는 바이오허브와
문화산업 등의 스타트업 사업자와 이들을 도
와줄 수 있는 다양하고 생소한 분야의 사람들
이 엮이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되고자 했다.
Concept Model
창업자가 개인을 위한 업무 공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소통 지 향적 환경이다. 한편, 국내의 창업지원
센터는 업무, 지원, 공유 세 기능이 각
각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
러나 본 창업지원센터는 세 프로그램이 각 층마다 함께 있고, 그 중심은 라운지, 구내식당 등의 네트워킹 공간이다.
Co-working ; Semi Open
Networking ; Open
Supporting ; Lightless
[ Skip-floors & Universal design ]
공간적으로 ‘엮여 있다’는 느낌을 더 주기 위해 스킵 플로어를 적용했다. 같은 층에 서의 다른 레벨은 모두 경사로로 이어져
이동의 편리성과 단면에 흥미를 더했다.
그리고 바닥의 레벨은 대지의 경사에 맞춰 정북 방향으로 점차 높아진다.
공간과
서포트해주는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가 지 프로그램을 막대로 표현하고
Two Different Program Weave
‘WEAVE’에 어울리게 막대를 엮었다. 그리고 3 차원적으로 구부리고 이를 입체적으로 만든 후 연결하였다. 두 프로그램이 엮이는 부분을 ‘NETWORKING’ 공간으로 설정했다. 사이트는 동대문구 홍릉숲 일대로, 동서 및 북쪽이 모두 녹지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를 극대화하고자, 1층에 넓은 정원을 조성하여 주변의 녹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했다.
Networking 공간은
1. Library 2. Co-Working Office
공간이기에 가장 개방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창업자들만의 공간인 Co-working 덜 필요로 한다. 각기 다른 특성에 따른 입면은 건물이 엮여있다는 느낌을 한층 더해준다.
1 JUXTAPOS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collaboration with SSP dSS Architects
Term : 8th Semester (2022)
Program : Agricultural Facility
Site Location : Gyeongsangbuk-do, S. Korea
Managed the Remodeling Plan of History Museum (Facade Design, Drawing Diagrams, Floor Plan, Section, Rendering)
본 현상 설계를 통해, 이동식 구조물을 이용해 기존 건물을
거의 전부 보존하면서 옆 건물과 통합되도록 리모델링하는
디자인 방법과, 외벽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배울 수 있었
다. 또한 다양한 다이어그램을 빠른 시간 안에 그려봄으로써
규모가 큰 건물 디자인에 포함되는 많은 아이디어를 효과적
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 Other Diagrams for whole ]
Architectural Volunteer Organization ‘SAC’
FINAL THESIS
INTERVIEW
졸업 설계의 지도교수인 이원재 교수님(현 행 림건축 이사)의 유튜브에서 감사하게도 나의 졸업 설계 작품에 대해 인터뷰하는 시간을 가졌 다. 내 프로젝트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어 의미 있었다.
학기당 1회 노원구 집수리 봉사에 참여하여 기존 벽지 제거, 풀 제작, 새 벽지 도배 등의 업무를 진행하였다. 벽지와 장판을 교체하는 방법을 배
웠고 집의 스케일감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협업에 있어 사전 계 획과 빠른 피드백 수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EXCHANGE STUDENT PROGRAM in Europe
Basel, Switzerland
6. Rotterdam, Netherlands 7. Bremen Festival
8. Cooking Korean foods on International Dinner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