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연구용역보고서)

Page 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012. 12

아이들에게 핵없는 세상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모임



제 출 문

본 보고서는 연구용역

“지속가능하고 핵없는 세상을 위한 전력기금 운영 방안 모색”와 “발전 소주변지역지원 및 원자력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를 합본한 결과보 고서입니다.

2012년 12월

연구자 : 이영경(에너지정의행동) 전은옥(합천평화의 집) 타카노 사토시(에너지정의행동)



목 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Ⅰ. 들어가며 ······································································································· 1 1. 연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4 2. 선행연구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 9 1.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설치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3.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추진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4. 전력산업기반기금 이전의 공익사업 수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 17 1. 전력산업기반기금 주요사업의 분류 및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집행 추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 25 1. 기금의 설치 목적과 사업의 적합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2. 재원 조성 및 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3. 기금운용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4. 주요 사업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 39 1.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i


목 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전력시장조성홍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3. 전력부하관리 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4.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 · · 4-1. 기본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4-2. 특별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4-3. 원자력대국민홍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4-4. 기타지원(민간환경감시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5.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 ・운영 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5-1.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5-2.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6. 녹색성장기반확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6-1.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6-2. 태양광발전보급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6-3.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Ⅵ. 해외사례 ···································································································· 85 1. 전력분야 공익 기금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1-1. 미국 : 에너지효율향상, 저소득층 지원, 재생에너지 투자에 사용 · · · · · · · · · · · · · · · · · · · · · 87 1-2. 영국 : 배전회사의 에너지절약 감축 목적으로 ‘에너지절약 기금’ 운영 · · · · · · · · · · · · 88 1-3. 노르웨이 : 기금의 자가증식 가능으로 부과금 폐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2.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2-1. 일본 : 원전시설 방재 확충과 정비 강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2-2. 프랑스 : 주민동의 없는 추가 발전소 건설은 못하게 법으로 규정 · · · · · · · · · · · · · · · · · · · 90 2-3. 대만 : 송전 및 변전시설까지 주변지역으로 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3. 신재생에너지 지원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3-1. 의무할당제도(RPS) 도입 국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ii


목 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3-2.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도입 국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3-3. 의무할당제도(RPS)와 차액지원제도(FIT) 비교 및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3-4. 유럽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와 발전차액지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Ⅶ.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 97 1.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이하 조성센터)의 독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2. 기금의 목적 개정과 공익적 성격에 맞지 않는 사업 축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3.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 강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2 4. 전력산업의 환경적 ・국제적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지원 강화 · 5. 비효율적이고 방만한 홍보비 운영 개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6. 전력기금의 부담요율 인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7. 시민참여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 · · · · · · · · · · · · · · · · · · · · · · ·

Ⅷ. 참고문헌 ··································································································· 107

부록 ·················································································································· 113 1. 전력산업기반기금 관련법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 · · · · · · · · · · · · · · · 144 2. 2001~2012년 전력산업기반기금 사업별 기금 운용 실적 · · · · · · · · · · · · · · · · · ·

iii


표목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1. 부담금 부과요율 변경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표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표 3.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과 기금 추진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표 4. 기반기금 관리기관 및 주관기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표 5.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전의 한전의 전력부문 공익사업 집행실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표 6. 연구개발사업 투자 실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표 7. 현행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사업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8. 연도별 기금운용규모 및 지출사업비 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9. 전력기금의 여유자금 운용 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10. 최근 한전 및 자회사가 시행하고 있는 전력기금 사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11.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관리주체별 과제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표 12. 2001년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13. 2012년 전력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14. 기금 운용 패러다임의 변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15.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그동안 사용해온 홍보비 총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표 16. 전력기금 내 각 사업별 홍보비 집행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표 17.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18. 전력시장조성홍보 지원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19.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20. 전력시장조성홍보 사업 관련 외부기관 지적사항 및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21. 전력부하관리 지원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22. 전력부하관리 사업 기금운용계획변경 및 집행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23. 발전소주변지역 지원 사업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24. 발주법 개정에 따른 사업 분류체계 변경(2006년부터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iv


표목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25. 발전소주변지역지원 지원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표 26. 주변지역사업심의위원회 회의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27.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비 교부금과 이월금 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표 28. 지역심의위원회 원안 통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표 29. 추진하던 사업이 변경된 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표 30. 2012년 상반기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집행실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표 31.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기본지원사업 지원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32. 발전원별 지원금 단가 및 설비용량 단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표 33. 2012년도 지원금 산출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34.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세부사업별집행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표 35.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표 36. 원자력대국민홍보(원자력문화재단) 지원금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37. 2013년 사업계획 세부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표 38. 원자력 인식조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39. 방사선 인식조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40. 원자력문화재단 언론보도 실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표 41. 3년간 원자력문화재단 기획보도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표 42. 최근 5년간 원자력문화재단 수탁사업 수지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표 43. 대국민소통강화사업 계획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표 44. 기념품 제작비용(2012년 9월까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표 45. 2011년 원자력문화재단이 시행한 원전시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표 46. 국가별 원자력 홍보기관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표 47. 민간환경감시기구 지원예산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48. 민간환경감시기구 설립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v


표목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49.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사업 세부사업 시행시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표 50.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세부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51.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사업 평가위원회 구성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표 52.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사업 지원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53. 에너지원별 금융지원 실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54. 태양광발전보급지원 사업 지원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55.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56.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사업 지원 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57. RPS 주요내용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표 58. 각 연도별 세부사업 예산내역(2008~201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표 59. 뉴저지주주 SBC 프로그램 지출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8 표 60. 해외 공익기금 운영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표 61. 프랑스의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 62. 의무할당제도(RPS)와 차액지원제도(FIT)의 개요 및 장단점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 표 63. 유럽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시행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6 표 64. 전력산업기반기금 내 R&D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표 65. 상위 10개국 재생에너지 투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표 66.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그동안 사용해온 홍보비 총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표 67. 여유자금 운영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vi


그림목차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그림 1. 연도별 기금운용규모 및 지출사업비 추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 분기별 전력판매량과 정부의 정책개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3.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 당시(14:00∼14:20) 전력부하 곡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그림 4. 지원사업 집행 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5. 전력사업조성기반센터에서 제출한 현장점검 보고서 전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그림 6.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7. 신재생에너지와 핵발전에 대한 세계 투자 결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vii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Ⅰ 들어가며



Ⅰ. 들어가며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들어가며

1

연구 목적

전력산업구조개편으로 전력산업이 경쟁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한국전력이 자체적으로 수행 하던 전력의 공익적 기능을 정부로 이관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2001년 전력산업기반기금 이 설치되었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기사용자 전기요금의 3.7%를 부담요율로 책정한 법정부담금과 가산 금, 기술료, 융자원금회수, 이자수입 등을 수입 재원으로 하고 있다. 2001년 설치 당시 3788 억원 규모의 예산은 2011년 2조 1238억원, 2012년 계획액 기준 2조 1,974억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3년에는 2조 5694억원이 요구되어 있는 상태다.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의 징수업무는 한전에 위탁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기금의 효율적 인 운용관리를 위해 한국전력공사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를 전담기관으로 지정・운용하고 있 다. 또한 정부는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정부와 시민단체 및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전력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하였다.(전 기사업법 47조, 동법시행령 23조) 하지만, 전력산업구조개편이 논의 이후 2001년 공기업 한전에서 발전 부문이 분리되었으 나 2004년 한전의 송・배전 부문의 분리 및 민영화가 중단되면서 사실상 전력산업구조개편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바,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설치 목적에 변화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력산업구조개편의 과도기적 단계로서 과거 한전이 수행하던 공익적 기능 을 민간에서 수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장실패를 예방하고 전력사업의 지속적 발전과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기반조성의 목적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 사실이다.

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본 기금의 조성으로 인해 전력의 공공기능을 유지하고 전력분야의 연구개발이 꾸준히 확대 되고 있고, 인력양성이나 전기안전지원, 농어촌전기공급 등 시장 경쟁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익적 기능 위축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기여한 바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기금의 사업 및 운용에 대해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금의 규모가 방대해진 것 뿐 아니라 기금의 목적과는 다른 사업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기금운용에 대한 투명성 등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따라서 전력기금이 설치된 지 10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전력산업의 변화에 발맞추어 기 금의 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본래 취지에 맞게 전력기금이 올바르게 계획・운 용되고 있는지 분석・평가하고 발전적인 모습으로의 개선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2001년 설치된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현재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또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 개선방안은 어떤 것인지 등을 짚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오순록1)은 전력산업 구조개편이 시행되기 전인 1999년에 전력산업의 공익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인 면을 살펴보고 공기업의 기능 및 공공성에 대하여 검토하는 한편, 전력산업에 경쟁 이 도입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외국의 전력산업 관련 공익사업 해결사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에너지경제연구원2)은 구 산업자원부의 연구 의뢰를 받아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 정수립방안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영향 분석,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의 추진체계 적정화, 기금의 조성요인 검토, 소요재원의 분배 방 안 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금을 통해 수행할 사업 대상으로서 전력산업 구

1) 오순록, 전력산업구조개편에 따른 공익적 기능 수행방안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4


Ⅰ. 들어가며 ㅊ

조개편의 추진으로 경쟁시장에서 좌초가 예상되는 공익적 프로그램, 기존 한전이 수행하던 지원사업과 지원규모를 가능한 한 벗어나지 않는 사업, 개정 전기사업법상에 지원근거가 마 련된 사업 등을 꼽았다. 즉 전력수요관리, 연구개발사업, 공익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을 수 행하되, 공익기금의 성격상 대상사업 및 지출규모를 확대하려는 의도가 관련 당사자 간에 나 타나더라도 기금 규모는 전력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축소해 나가야 하며, 장기적으로 순 수한 공익적 기능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만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또 정 부, 규제기관, 전담기관에서 대상사업의 필요성과 성과 및 그 영향에 대한 평가 작업이 철저 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사업이 실시되는 기간 내에도 많은 후속연구가 나와야 한다고 제언하 고 있다. 윤요한3)은 기금에서 지원해야 할 공익사업의 범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전기사용자 가 부담하는 기금을 재원으로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을 수행하는 만큼 전기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는 순수공익사업만을 기금에서 지원하고, 사업자가 부담 또는 수행해야 할 사업은 사업 자에게 이관함으로써 향후 기금 부담률을 낮추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서철4)은 기금의 설치배경과 추진체계 및 2001년과 2002년의 사업실적을 살피고 2003년 의 추진방향 등을 정리한 뒤, 당면과제로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업의 전문성・공정성 제고를 위하여 전담기관(2003년 당시 한국전력공사 소속 전력연구원)의 독립성 및 전문 인력 의 확보, 둘째,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으로 추진 중인 사업들에 대하여 공적인 부문과 사적인 부문에 대한 역할 분담의 검토 및 관련법의 제・개정, 지원수준 조정 등 지속적인 제도개선 방 안을 강구하고 민원성 또는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거나 시장을 왜곡하는 사업들에 대하여는 단계적으로 지원을 축소 또는 폐지하여 전기소비자의 부담을 줄이고 신뢰를 확보할 것을 주 장하였다. 정창수5)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은 그 예산규모와 공익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정부 부처 뿐 아니라 소비자, 환경단체, 공익감시단체 등 시민사회의 적절한 감시와 참여가 절실히 요 구된다면서 전력산업기반기금 사업 운용의 문제점과 해결책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꼽았다. 첫째, 목적에 충실한 기금 운영: 목적에 맞지 않는 기금사업의 전면 재검토 및 사업전환 필 요, 둘째, 기금 관리운용 기관의 독립, 셋째, 부담금 인하 및 전력부하관리사업 중 직접부하 3) 윤요한, 전력산업기반기금의 현황과 향후과제, 2002.4. 4) 신서철, 전력산업기반기금의 태동과 운용(상), 2002.12. 신서철, 전력산업기반기금의 태동과 운용(하), 2003.1. 5) 정창수, 전력산업기반기금 분석, 2004.

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관리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부하관리사업 지원과 발전소주변지역지원, 국내무연탄발전지원 등의 사업은 기금 목적에 맞지 않으므로 삭감할 것, 다섯째, 대체에너지 보급에 사업의 우선 순위를 두고 사업을 확대하는 노력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김영철6)은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경쟁시장의 조성이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함에 따라 사업과 기금설치 목적 자체가 모호해지고 의도했던 정책성과를 충분히 가져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구조개편 과도기의 수요관리, 농어촌 및 도서 벽지의 전력공급사업, 중소기업지 원, 전력기술개발 지원, 전원개발 사업 등 순수한 공익사업 수행 측면에서는 기금 사업이 순 기능을 발휘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열병합발전지원사업이나 무연탄발전사업 지원 등은 적 정한 수혜대상이 아니며 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고 평가하였다. 또 여유자금 발생을 최소화하고 부담금 요율을 인하해 전기소비자의 부담을 덜어줄 필요성과 발전소주변지역 지 원사업 중 홍보사업과 육영사업 등 일부 사업자의 사적 비용이 강한 사업은 발전원가에 포함 시켜 기금 지원에서 제외할 필요성을 주장했다. 한편 본 기금이 전력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적인 에너지원 개발 및 전력의 효율성을 높이 는 수요관리사업 등으로 전환되어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에너지경제연구원(2009)7)은 전력산업 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으로서 전 력수요관리사업의 개선 및 확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은 원칙적으로 발전사업자 자체사업으 로 전환하되 특별지원사업만 전원입지확보를 위해 당분간 기금에서 지원할 것, 보편적 서비 스 측면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 강화,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 강화 및 에너지특별회계 등 다른 예산과의 적절한 분담 검토, 국내 무연탄산업이나 열병합 지원과 같이 시장실패와 관련 이 없거나 공익성이 부족한 사업의 지원 축소 또는 폐지, 해외수출지원사업 등 사업자가 부 담해야 할 사업에 대한 지원 축소 등을 꼽았다. 한국자원경제학회(2010)8)는 기금지원사업은 기금의 본래 도입 취지대로 정부의 규제나 지 원이 없을 경우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곤란한 공익적 성격의 사업과 전력산업경쟁력 강화, 녹 색성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로만 한정되어야 한다며, 대내외 여건 변화 반영 및 사업의 효율 성 제고와 전력소비자의 편익 제고 등을 원칙으로 한 재원 배분의 방향을 검토하였다. 구체 적으로는 지원대상 사업 축소 및 수익자 부담 원칙 강화, R&D사업을 기금에서 분리하는 방 6) 김영철,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 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8) 한국자원경제학회,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전력기반조성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0.

6


Ⅰ. 들어가며 ㅊ

안,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을 에특회계 또는 범부처 협력사업으로서 일반회계로 분리하는 방 안, 전력수요관리사업을 전기판매사업자에게 수행하도록 하는 대신 인센티브 체제를 구축하 는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또 전기소비자의 부담금 요율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2) 선행연구의 한계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설치 운용되고 나서 수행되었던 기존의 연구는 정창수(2004), 김영철 (2005)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식경제부의 자체 보고서 또는 지식경제부의 연구용역에 따른 연 구보고서다. 이들 연구의 공통점은 공익적 성격이 부족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축소해나가야 하며, 원칙적으로 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사업도 장기적으로 기금사업에서 축소 또는 폐지해 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구체적인 세부사업의 지원 필요성을 검토할 때는 기금 사업이 지나 치게 확대 일변도이며 재정 운용규모와 지출이 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또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은 원칙적으로 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사업이라고 하면서도 기금 지원사업에서 해마다 증가하는 이 사업에 대해, 기금에서의 계속적인 지원 필요성을 동 시에 주장하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고, 원전 확대 정책을 기본 전제로 깔고 향후 방향을 검토 하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나아가는 지구적 흐름 및 특히 후 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에너지 정책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과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전력산업기반기금 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주요재 원인 법정부담금을 부담하고 있는 전기소비자의 입장에서, 또한 환경단체나 시민사회의 목소 리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한 삶이라는 측면까지 고려한 새로운 접근과 근본적 검토가 필요 하다.

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Ⅱ.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1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설치배경

1999년 정부는 전력산업을 한국전력공사의 독점구조에서 경쟁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전력산업 구조개편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한국전력공사가 독점하고 있던 발전・ 송전・배전부문을 분리하고 단계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하여 발전시장과 판매시장을 경쟁체제 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이 당시 경쟁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한국전력공사가 기존에 수행해 왔던 전력기반조성 과 관련된 공익적 기능이 좌초될 가능성이 높아 전기사업법을 개정하여 공익사업을 정부로 이관하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전기사업법 개정(2000.12.23)을 통해,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 행기에 상실될 우려가 있는 공익사업들을 직접 추진하기 위하여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 과 함께 그 재원 확보를 위한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신설한 바 있다.9)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개요

1) 전력기금의 설치 목적 전력기금의 설치목적에 대해 전기사업법 제48에서는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력산 업의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주요 재원 전기사업법 제 50조 및 51조에 따르면 전력기금의 주요 재원은 법정부담금과 기타의 수입 9) 한국자원경제학회,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전력기반조성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0.

1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금 등으로 이루어진다. 법정 부담금은 전기사용자에 대하여 전기요금의 1천분의 65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하게 되는데 현재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36조에 따라 전기요금의 1 천분의 37을 그 요율로 정하고 있으며, 납부기한 내 부담금 미납자에 대하여 가산금을 징 수한다. ❙표 1❙ 부담금 부과요율 변경 현황 구분

변경 내용

비고

’01.04.01

전기요금의 32.3/1,000

’01년에는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을 한전이 지원(1,233억원)

’01.12.31

전기요금의 45.91/1,000

’02년부터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을 기금에서 지원(1,720억원)

’05.12.28

전기요금의 37/1,000

-

※ 한국자원경제학회,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전력기반조성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0.

기금운용으로부터 생기는 수익금의 경우는 기금의 여유자금운용에 따른 예치금 이자수입 과 융자사업으로 대여한 융자금에 대한 이자수입, 사업비 환급액 및 지급받은 사업비로부터 생기는 이자수입, 융자사업의 원리금의 회수, 개발기술사업화사업으로 지원한 출자 원금의 회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시행령 제18조의7에 의한 신재생에너 지공급인증서 거래 수익금 등이 있다. 2011년 현재 전체 65개 기금 중 금융성 기금을 제외한 54개 기금에서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사업비 기준 12위 규모로 높은 수준이며, 여유자금 규모 9위, 사업비 대비 여유자금 비중 10 위를 기록하고 있다.10) 2012년도 전력기금은 법정부담금을 포함하여 가산금, 이자수입, 융자원금회수, 기술료와 기타 잡수입 등의 자체수입과 정부내부수입, 여유자금 회수 등을 합하여 총 조달규모가 2조 2320억원에 달한다.

10) 지식경제부,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 자료, 2012.9.

12


Ⅱ.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ㅊ

3) 주요 사업내용 전력기금은 2001년 설치 당시에는 전력개발을 주로 하여 운용되었으나 2003년 전력수요관 리와 기술기반구축, 전력공익사업,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 기반조성사 업 등으로 확대・세분화되었다. 현재는 에너지공급체계구축, 에너지안전관리,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녹색성장기반확충, 전력경쟁력강화・수급안정(기금운영) 등 5개 프로그램 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25개 단위사업과 37개 세부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다. ❙표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변화 ’01년 및 ’02년

’03년

’04년

전력수요관리

전력수요관리 전력연구개발

전력기술기반구축

전력개발

전력공익사업

인프라구축지원 도서벽지전력공급지원사업

전기안전관리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

전력기반조성사업

전력기반조성사업

기금관리비

기금관리비

기금관리비

사업운영비

사업운영비

여유자금(예비비)

여유자금(예비비)

여유자금(예비비)

※ 한국자원경제학회,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전력기반조성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0.

4) 기금의 사용 및 관리주체 전력기금의 사용에 대해서는 전기사업법 제49조 및 시행령 제34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사업자에 대한 지원사업, 전력수요 관리사업, 전 원개발의 촉진사업, 도서・벽지의 주민 등에 대한 전력공급 지원사업, 전력산업관련 연구개발 사업, 전력산업과 관련된 국내의 석탄산업, 액화천연가스산업 및 집단에너지사업에 대한 지 원사업, 전기안전의 조사・연구・홍보에 관한 지원사업, 일반용 전기설비의 점검사업, 발전소 주변지역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 그밖에 대통령령을 정하는 전력산업과 관련한 중요사업 등이 있다. 또한 전기사업법 제6조에서 전기의 보편적 공급과 공공의 이익과 안전, 사회복지의 증진 등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기금관리주체는 지식경제부로 기금위탁징수는 한국전력력공사가 담당하고 있으며, 기금관 리전담기관은 한국전력공사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가 전담운용하고 있다. 1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3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추진체계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지식경제부 장관이 운용・관리한다. 이 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해서는 부분적으로 전기사업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나머지 자세한 사항은 지식경제부 장관이 정하 여 고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 장관이 고시한 것이 ‘전력기반조성사업운용 규정’과 ‘전력산업기반기금운용관리규정’이다. ❙표 3❙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과 기금 추진 체계 지식경제부

부담금징수 위탁기관

전담기관

한전(판매사업자) 및 한국전력거래소

한전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전력정책심의회

평가위원회

사업주관기관 ※ 지식경제부, 2013년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2012

지식경제부장관은 이 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한 업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른 기관에 위탁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재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가 전담기관으로서 이를 맡고 있다. 전력 기반조성사업센터가 이 기금을 관리하는 데는 지식경제부장관이 수립하는 전력산업기반조성 계획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계획에는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사용하여 수행하려고 하는 각 종 사업들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며, 5년 단위(국가재정법제66조)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고, 이를 지식경제부 및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력정책심의회에 제출하여 심의를 받아야 한다. 또 이 계획에 따라 추진할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공고하여야 한다. 이렇게 수립된 계획의 구체적인 집행을 위하여 전담기관인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는 사업 의 기획・선정・평가・관리 등의 업무를 대행하며, 소관분야의 시행계획을 일간지, 전문지 및 인터넷을 활용하여 홍보하도록 되어 있다. 전력기반기금의 출연 또는 지원을 통해 수행되는 각종 세부사업은 지식경제부 장관의 지정 또는 공모에 의하여 각 사업주관기관이 시행하게 한다. 부담금 징수 업무는 한국전력공사가 위탁징수를 하고 있다. 14


Ⅱ.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요 ㅊ

❙표 4❙ 기반기금 관리기관 및 주관기관 구분

수행 기관

주요 기능

기금관리주체

지식경제부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

-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수립 기금사업의 주요정책 결정 사업관련법령 제・개정 기금사업에 대한 승인

※ 전력정책심의회 운영

4

전담 및 기금관리기관

주관기관

사업수행기관 (정부지정기관 및 산・학・연 공모)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대행 - 세부사업별 사업계획제출, 기금사업 운영계획(안) 수립 수행 기금사업 기획・평가・성과관리 - 사업비사용과 실적관리 - 성과제고 및 성과활용 자산운용 및 기금결산 - 사업결과 보고 및 평가 ※ 평가위원회 운영 ※ 자문위원회 운영

전력산업기반기금 이전의 공익사업 수행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설치 운용되기 이전에는 한국전력공사가 전력분야 공익사업을 수행하였 으며, 사업 수행을 위한 재원은 전기요금에 반영하여 한전이 자체적으로 해결하였다. 현행 전 력산업기반기금으로 시행중인 사업과 유사한 기존사업으로는 전력수요관리사업, 전력연구개발 사업, 도서벽지전력공급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 등이 있다. ❙표 5❙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전의 한전의 전력부문 공익사업 집행실적 (단위: 억원) 구분

1998

1999

2000

전력수요관리

355

535

807

전력연구개발

1,341

855

-

인프라구축지원

-

-

-

도서벽지전력공급 지원사업

111

118

248

전기안전관리지원

-

-

-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847

1,195

1,543

타에너지 지원사업

1,624

1,138

995

기반조성융자사업

-

-

-

사업운용비

-

-

-

기금관리비

-

-

-

사업대기자금

-

-

-

합계

6,715

6,045

3,593

※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1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수요관리사업은 전력회사의 공급시스템 안정을 위한 부하관리분야에 중점을 두어 지 원하였으며, 효율향상부분의 지원은 20% 수준에 불과하였다. 전력산업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그 대부분이 한전과 민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정부의 직접적인 투자는 전체 투자의 약 2% 수준이었다. 한전은 매출액의 2.4~2.7%(실적기준)을 기술개발에 투자하였으며, 기술 개발 투자비 중 약 40%가 공공성 기반기술개발에 해당하였다. ❙표 6❙ 연구개발사업 투자 실적 1997 구분

정부

민간

1998

1999

연구비 (억원)

비중 (%)

연구비 (억원)

비중 (%)

연구비 (억원)

에특

65

1.2

72

1.3

61

산기반

39

0.8

62

1.1

52

소계

104

2.0

134

2.4

113

한전

3,442

65.0

3,788

68.7

3,059

업체

1,746

33.0

1,587

28.9

-

소계

5,188

98.0

5,365

97.6

-

5,292

100.0

5,449

100.0

-

총계

비중 (%)

※ 정부 부문은 구 산업자원부 주관사업 중 전력기술 R&D의 추정치임. ※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은 그해로부터 전전년도 전력판매수입금의 1.12%에 해당하는 금액 을 재원으로 하여, 민간발전소의 주변지역을 제외하고 한전의 발전소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기본지원사업, 전기요금보조사업, 주민복지지원사업, 특별지원사업, 기업유치 지원사업, 홍보 및 부대사업 등으로 구분되었다. 도서벽지전력공급사업은 정부와 지방, 한전이 분담을 하였으나 주된 재원은 한전이 부담하 였다. 타에너지지원사업에서는 국내 무연탄, LNG, 열병합발전, 발전용 대체에너지 등을 지 원하였으며, 한전이 전기요금에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한편, 전력산업기반기금 설치 이전에는 전력분야 전문인력양성사업은 정부의 지원 없이 전 기사업자(한전)의 필요에 의한 자체 인력양성을 포함하여 일부 전력관련 기관에서 사업을 추 진하였다.11)

11)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16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Ⅲ.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1

전력산업기반기금 주요사업의 분류 및 현황

전력산업기반기금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공익기능, 녹색성장, 경쟁력 강화 등 3개로 구분 되며, 에너지공급체계구축, 에너지안전관리,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녹색성장기반 확충, 전력경쟁력강화・수급안정(기금운영) 등 5개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다 시 25개 단위사업과 37개 세부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다. ❙표 7❙ 현행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사업 분류 연구기반구축 - 에너지연구기반구축(R&D) 표준화 및 인증 - 에너지표준화및인증지원(R&D) 전력수출산업화지원 - 수출산업화사업 전력시장경쟁촉진및공정경쟁조성 - 전력시장조성홍보

에너지 공급체계 구축

전력수요관리 - 전력부하관리 - 전력효율향상 - 수요관리홍보 농어촌전기공급지원 - 도서자가발전시설운영지원 - 농어촌전기공급사업 전력산업정책연구 - 정책연구사업 타에너지 지원 - 무연탄발전지원 전력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R&D)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4000MVA대전력시험설비증설(R&D) 스마트그리드상호운용성시험센터구축사업(R&D) 글로벌전문기술개발(신재생/전력)(R&D)

1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에너지안전관리

전기안전관리 - 전기시설안전관리 - 전기안전관리홍보 - 일반용전기설비안전점검 원자력수출사업화지원 -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발전소주변지역지원 - 발전소주변지역기본지원사업 - 특별지원사업 - 원자력대국민홍보 - 기타지원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R&D) 국제핵융합로원천기술개발(R&D)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 -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R&D) - 한국형300MW급IGCC실증플랜트기술개발(R&D) 국제협력 - 에너지국제공동연구(R&D)

녹색성장기반구축

에너지정보화및정책지원(R&D)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신재생에너지보급 - 태양광발전보급지원 -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

기금운영비

인건비, 기금관리비, 사업운영비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 설명자료

현재 전력기금이 지원되는 주요 기관을 살펴보면, 전력수요관리사업은 에너지관리공단, 한 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국가스공사가 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전기안전관리사업은 한 국전기안전공사와 한국전력공사가, 농어촌전기공급지원사업 역시 한국전력공사가 시행하고 있으며, 타에너지지원사업(무연탄발전지원)과 전력기반조성홍보사업은 한국전력거래소가 담 당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은 해당 발전사업자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원자력문화재단 이 시행하고, 전력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 술개발, 한국형300MW급실증플랜트기술개발, 에너지인력양성,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등 연구개발사업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이관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

20


Ⅲ.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ㅊ

지원, 태양광발전보급,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에너지 표준화 및 인증지원 등 신재생관련 사 업은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가 담당하고 있다.

2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집행 추이

전력기금의 집행 추이를 보면, 전력기반기금 설치(’01.6월) 이후 2011년까지 총 12조 4,593 억원을 지출하였고 2004년 이래 매년 1조 6천억 원 이상이 조성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기금조성규모 2조원을 넘어가고 있다. 2012년 계획액을 포함하여 그 규모를 살펴 보면, 에너지공급체계구축(5조 9,756억원), 에 너지안전관리(8,698억원),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과 운영(2조5,483억원), 녹색성장기반 확충(4조5,575억원), 전력수요관리와 농어촌전화사업융자 등(1,795억원), 전원개발융자 (6,045억원), 전력기술화사업투자(150억원), 기금운영비(92억원) 등이다. 지식경제부에서 제출한 연도별 기금운용규모를 보면 설치 초기에 부담요율이 3.23%로 3,800억원 규모로 출발하였으며, 2001년 12월 부담요율을 4.591% 인상하고 그 규모 역시 1 조원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 후로 전력기금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에는 수입이 1조 9700억원, 여유자금 이 9천7백억원 정도로 사업비와 거의 동일한규모를 보이면서 그 해 말 부담요율이 현행 3.7%로 인하되었다. 그 후로도 전기사용량 증가로 인해 전력기금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현재 운용규모는 2조 2000억원, 여유자금 규모는 1조 58백억 원에 달하고 있다. ❙표 8❙ 연도별 기금운용규모 및 지출사업비 규모 (단위: 억원) 구 분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12년

기금운용 3,793 10,316 13,648 16,372 19,778 20,773 19,670 18,610 17,217 17,934 20,996 21,974 규모 지출 사업비

2,896 6,844

8,424

8,396 10,064 13,402 12,974 15,498 15,415 14,720 15,960 15,856

2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그림 1❙ 연도별 기금운용규모 및 지출사업비 추이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9.

2004년~2006년까지의 전력기금은 농어촌・벽지 전력 보급 등 공익적 성격이 뚜렷했다. 하 지만 2007년 이후 신재생・원자력에 대한 투자 증대로 인해, 기금의 규모가 방대해진 반면, 공익사업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전력기금 운용방향이 공익사업 수행에서 녹색성장과 산업경 쟁력 강화로 변천12)되었다. 전력산업 구조개편 이전과 이후(전력산업기반기금 설치 이전과 이후)의 전력산업 부문 공 익사업 수행 예산규모를 비교해보면, 구조개편 이전 한국전력공사 체제에서는 한해 지원금액 이 연평균 5,451억원이었으나, 전력산업기반기금 실시 5년만에 연평균 지원예산액이 1조 2000여 억원으로 평균 2배 이상 증가하였다. 2012년 계획액 기준 기금 규모는 2조 1,974억원이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5년간 의 연평균 기금 사업 실집행액도 1조 4,913억원으로 기금 실시 10년만에 예산규모는 한전체 제 평균액에 비해 300% 이상에 달한다. 또한 사업대기자금으로서의 여유자금(이월금)을 제 외하더라도 실집행액은 기금실시 이전 3년 평균액에 비해 2011년 현재 200% 규모로 지출이 이뤄지고 있다. 공익성 사업에는 농어촌전기공급지원, 전력수요관리, 전기안전관리사업 등이 있다. 전력수 요관리사업은 다시 전력부하관리사업, 효율향상사업, 수요관리홍보사업으로 나뉘며 2007년 1,375억원에서 2011년 1,727억원으로 최근 5년간 약 25.6% 증가했다. 농어촌전기공급지원사 업은 도서자가발전시설운영지원과 농어촌전기공급사업으로 나뉘며 2007년 1,131억원에서 12) 지식경제부,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 자료, 2012.9.

22


Ⅲ. 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실적 ㅊ

2011년 1,449억원으로 최근 5년간 약 2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안전관리사 업은 775억원에서 960억원으로 최근 5년간 약 23.8% 증가했다.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프로그램 중에서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으로 2001년부 터 2012년 계획액까지 1조 6670억원이 들어갔으며(2007년 1,310억→ 2011년 1,699억), 이 중에는 원자력대국민홍보사업을 위해 2002년 112억원을 시작으로 2012년 85억원에 이르기 까지 매년 원자력문화재단에 예산을 출연하고 있다. 또한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사업은 2010년까지는 수출산업화사업 중 전력수출산업화지원 사업에 포함되어 지원하던 것을 2011년부터는 분리하여 별도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사 업에는 2011년 34억원, 2012년(계획액) 44억원이 투입되었다. 그리고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 6,217억원(2007년 508억→ 2011 년 941억원), 국제핵융합실험로공동개발 2,488억원(2008년부터 2012년까지 총5년간)을 지 원했으며,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과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이 2012년 신설되 었다. 그밖에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에너지국제공동연구, 에너지표준화및인증지원사업에서도 원자력분야에 지원되는 예산이 포함되어 있다. 전력산업기반기금 사업 중 R&D(연구개발) 분야는 꾸준하게 증가하여 2001년 공익적 연구 개발사업 지원예산 260억원에서 2011년 5,148억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전체 기금사업 중 32.3%(11년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지원사업은 2004년 기준 기금 총액 중 0.3% 수준인 51 억원에 불과하여 극히 미약했다. 하지만 2006년부터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 태양광 발전보급,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사업이 신설되고 이에 따라 발전차액지원금도 매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3조 4,424억원이 투자되었는데 이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발전차액지원이었으나 최근 정부가 RPS(의무할당제도)13)를 도입하고 신재생에너지발 전차액지원제도를 실질적으로 폐지함에 따라 2011년까지 최종 선정된 발전소에만 향후 15년 또는 20년 동안 지원을 한 뒤에는 발전차액지원이 종료되게 되어 2012년부터는 발전차액지 원제도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신규 진입이 없다. 13) 500MW이상 발전설비(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제외)를 보유하고 있는 발전사업자의 총 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적용기관으로는 6개 발전회사(한수원, 남동 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K-water, 포스코에너지, K-파워, GS EPS, GS파워, MPC율촌 등 13개 발전회사.

2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마지막으로 전력기금은 타에너지지원사업으로 무연탄발전과 열병합발전지원을 해왔으며, 2001년부터 2009년까지 1조 9,675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이중 열병합발전지원액이 6,405 억원이었는데 2010년 이후 폐지되었다. 하지만 무연탄발전지원은 계속 지원되어 2012년까지 13,463억원 지원되고 있다.

24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1

기금의 설치 목적과 사업의 적합성

21세기 들어 우리나라 전력산업구조개편이 시작되었다. 전력산업구조개편은 독점체제인 전력산업에 경쟁을 도입하여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장기적으로 값싸고 안정적인 전 력공급의 지속적인 보장과 전력사용에 있어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전력산업의 민영화에 따른 경영합리화와 시장원리에 따른 자원배분의 효율성 향상 등의 기대효과와는 달리 공기업으로서 수행해왔던 여러 가지 준정부적・공익적 기능 등에 대 한 수행 문제가 대두되었다. 자본주의 시장원칙에 따를 경우 수익 중심의 전력회사들은 비수 익성 사업들을 등한시 할 수 밖에 없고 이는 국가와 국민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틸 수 있 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력산업구조개편 이후에도 전력분야 공익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함으로써 전력분 야 공익기능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공익사업을 수행키로 하면서 전력기금이 설치되었다14). 전력기금의 설치 초기에는 이같은 설치 배경에 맞추어 기존에 한전이 수행하였던 전력의 공적 기능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이후에는 녹색성장과 전력산업발전의 기치로 연구개발이나 발전사업 지원 등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 재원을 부담하고 있는 전기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보다는 전력 사업자에게 수혜가 돌아가는 사업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개발의 경우에도 전력산업의 보편적 공급 등에 기여하는 개발보다는 특정 발전원에 대한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다보니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의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 뿐만 아니라 전기사업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전력기금의 설치 목적’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14) 신서철, 전력산업기반기금의 타동과 운용, 전기저널 2002.12 pp20~21

2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기금의 설치 배경은 전력산업구조개편으로 잃을 수 있는 공적 기능을 정부가 수행키 위함이다. 전력산업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시장경제에서 경쟁력이 없는 부분을 지원하고 전력산업의 보편적 공급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기사업법에서는 전력기금의 목적은 ‘전력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전력산업의 기반 조성에 필요한 재원확보’라고 정의하면서 그 수혜자를 ‘산업’으로 규정한다. 즉, 전력이 가지 고 있는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기금이 결국에는 ‘산업’을 지원하는 모습을 띠고 있 는 것이다. 공공성의 주체는 일반 전기소비자들이며 전력기금의 재원 또한 전기소비자로부터 나오는 것과는 모순된 목적이다. 이같은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먼저, 전력기금의 목적을 다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전 력산업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공공성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그 설치 목적에서부 터 제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전기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준조세적 성격의 전력기금은 전력산업의 발전과 기반조성 을 위해 필요한 영역 중에서도 정부 부처에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과 발전사업자 등 민간이 해야 하는 역할을 제외한 영역으로 그 사업 영역을 분명히 해야 한다.

2

재원 조성 및 운용

전력기금의 재원은 전기소비자의 전기요금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사용이 늘고 전기요 금이 증가한다는 것은 바로 전력기금의 재원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해 전기사용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전력기금의 규모 역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1년 8월에 전기요금이 4.9% 인상되었고, 2012년 8월 또다시 4.9% 인상되면서 전력기금의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2012년도 전기판매예상수입은 425,861억원으로 법정 부담금 수입이 1,595,684백만 원인데 반해 2013년도 전기판매예상수입은 507,982억원으로 법정부담금 수입은 1,892,245 백만원으로 약 3,000억원이 증가하였다. 전력기금의 규모가 커지면서 여유자금의 규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전력기금은 그 성격상 해당 년도 수입에 대하여 그 해 지출 사업으로 사용하는데도 여유자금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

28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고 그로 인해 금융기관 예치 등 또 다른 수입을 운용하고 있다. 전력기금은 방사성폐기물관 리기금과 같은 적립성 기금과는 달라서 여유자금의 적정 규모는 10-15%가 적절하다고 최근 한국자원학회 연구용역보고서에서 제시한 바 있다. ❙표 9❙ 전력기금의 여유자금 운용 규모 (단위: 백만원) [여유자금운용]

2009

2010

2011

2012

180,182

321,428

303,590

411,784

※ 지식경제부, 2011연도 세입세출 및 기금결산 사업설명자료, 2012년-2013년 기금운용 세부사업설명자료, 재정리

따라서 전기요금 인상과 전기사용량 증가로 인해 전력기금의 수입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 을 감안하여 전력기금의 적정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기요금에서 부담되는 요율을 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기금운용기관

전력기금은 지식경제부에서 담당하며 그 운용은 한국전력공사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이하 조성센터)에서 담당한다. 하지만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최대수혜자인 한국전력공사가 사업의 관리감독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기금운용의 형평성에 어긋난다. 특히 농어촌전기공급지원이나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안전관리와 수요관리사업 등은 결 과적으로 그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한전과 그 자회사 등에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게 되므로 투명하고 공정한 사업관리에 한계가 있다. 최근 2년간 전력기금이 지원된 사업 중에서 한전 과 한전 자회사가 주관하고 있는 사업만 보더라도 14개에 달하며 2012년 기준으로 약 3,486 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2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10❙ 최근 한전 및 자회사가 시행하고 있는 전력기금 사업 현황 사업명

시행주체

에너지표준화 및 인증지원(R&D)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도서자가발전시설운영지원

사업비 2011

2012

5,711

5,822

한국전력공사

135,574

159,357

농어촌전기공급사업

한국전력공사

9,345

9,345

수출산업화사업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공모)

11,000

8,755

한국전력공사

90,575

한국가스공사

5,000

한국전력공사

34,213

한국전력공사

130

전력부하관리 전력효율향상 수요관리평가

기반조성사업센터

66,581 50,000

35

일반용전기설비안전점검사업

한국전력공사

8,670

8,572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3,400

4,400

발전소주변지역기본지원사업

발전사(한수원 등) 이전

25,872

27,614

기금전담기관 인건비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3,851

4,165

기금관리비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1,770

2,451

한국전력공사

1,022

1,043

한국가스공사

9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30

57

6

28

수요관리사업운영 타에너지사업운영

한국전력거래소,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신재생에너지사업운영 한국전력공사 (설비보급기반, 태양광, 발전차액) 전력정보센터운영 합계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12 254

420

336,458

348,631

* 지식경제부 자료(2011연도 세입세출 및 기금결산 사업설명자료(기금별) 2012 자료, 2012년도기금운용계획세부 사업설명자료(전력산업기반기금)2012.1) 재구성

또한 R&D(연구개발)사업의 경우에도 한전의 자회사인 한수원이 관리하는 과제들이 여전히 존재함으로 인해 연구개발 사업의 타당성이나 과정, 성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되지 못하 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2009년 5월 R&D사업의 성공률과 현실화율을 높이고, 체계적이고 전 문적으로 연구과제를 기획・평가・관리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을 설립했다. 즉 독립 적인 에너지 연구기관의 설립으로 적실성 있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과제간의 중복성 및 예 산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원자력 부문에 대해서는 한수원이 관리하는 과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에기평의 설립목적 자체에 어긋난 것일 뿐 아니라

30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사업 자체의 객관성과 중립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표 11❙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관리주체별 과제 현황 (단위: 천원, %) 구분

원자력R&D 과제수

사업비

전문기관(에기평) 과제수

사업비

총괄관리기관(한수원) 비중

과제수

사업비

비중

2009

50

61,000,000

30

54,107,244 88.7

20

6,892,756

11.3

2010

39

62,200,000

24

57,217,514 92.0

15

4,982,486

8.0

2011

60

94,108,000

39

89,146,000 94.7

21

4,962,000

5.3

2012

53

92,445,000

38

89,080,000 96.4

15

3,365,000

3.6

합계

202

309,753,000

131

289,550,758 93.5

71

20,202,242

6.5

※ 지식경제위원회, 2011 회계연도 지식경제위원회 결산심사 보고서

또한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에 대한 전문적 운용에 대해서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전력산 업 및 전력공급에 대한 전문적인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 뿐 아니라 운용 경험 역시 필요하다. 하지만, 인사권을 한전이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순환보직 등으로 전문 적인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4

주요 사업 분석

1) 기금 취지의 확대해석으로 기금 사업 분야가 계속 확대됨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은 전력산업구조개편 이전에 한전이 수행해왔던 공익사업들을 전력 수요관리 사업, 전력연구개발사업, 전력공익사업 및 타에너지지원사업 등 4개 분야 13개 주 요사업으로 재편성하여 2001년 6월부터 정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다. 2001년 기반조성사업의 기본방향은 사업시행 초기임을 감안하여 한전이 추진했던 공익사 업 범위 내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하고 신규 사업은 최대한 억제하도록 수립한 바 있다. 하지만 운용되는 과정에서 초기 수립된 계획 외에 사업내용이 계속 추가되거나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예로는 발전소주변지역지원,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이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지원의 확대, 수출산업화 사업 등이 있다.

3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12❙ 2001년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내용 분

주 요 사 업

전력부하관리사업 전력수요관리사업

전력효율향상사업 전력수요관리홍보사업 전략적선도 공공전력기술

전력산업연구개발사업

전력계통/이용기술 전력공통기술요소기술 전력인프라조성사업 도서・벽지 전력공급지원사업

전력공익사업

전기안전관리지원사업 국내무연탄발전지원사업

타에너지지원사업

열병합발전지원사업 대체에너지발전지원사업

※ 신서철,「전력산업기반기금의 胎動과 運用」, 전기저널(上), 2002년 12월호.

2012년 현재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은 에너지공급체계구축, 에너지안전관리, 국내외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녹색성장기반확충, 전력경쟁력 강화・수급안정(운영) 등 5개 분야로 나뉘 어 사업계획이 수립・집행되고 있으며 36개 주요세부사업으로 계획・수행되고 있다. ❙표 13❙ 2012년 전력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내용 분야

에너지공급체계구축

32

주요사업

사업추가시기

에너지연구기반구축(R&D)

2002

에너지표준화 및 인증지원(R&D)

2002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2012

4000MVA대전력시험설비증설

2012

수출산업화사업

2007

전력시장조성홍보

2002

정책연구사업

2001

전력부하관리

2001

전력효율향상

2001

수요관리홍보

2001

도서자가발전시설운영지원

2001

농어촌전기공급사업

2001

무연탄발전지원

2001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분야

에너지안전관리

국내외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녹색성장기반확충

주요사업

사업추가시기

전기시설안전관리

2001

전기안전관리홍보

2001

일반용전기설비안전점검

2001

발전소주변기본지원사업

2002

발전소주변특별지원사업

2002

원자력대국민홍보

2002

기타지원

2002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R&D)

2001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2011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

2012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2012

국제핵융합실험로공동개발

2008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R&D)

2006

한국형300MW급IGCC실증플랜트기술개발(R&D)

2011

에너지국제공동연구

2008

에너지인력양성(R&D)

2001

에너지정보화 및 정책지원(R&D)

2001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2006

태양광발전보급지원

2006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

2001

기반조성사업 인건비 전력경쟁력강화・수급안정 기반조성사업 기금관리비 (운영) 기반조성사업 사업운영비

2001 2001 2001

※ 지식경제부, 2012년 전력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재구성

2012년 현재 기금사업은 ‘전력수급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실한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전력기금의 공익적 기능을 제고하며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삶의 질 향상이나 공익적 기능 제고’ 등의 목적에 비해 사업의 내용은 ‘전력산업’의 발전과 연구개발 등에 치우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2012년 기금운용의 목적이 범위와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사업의 분야를 확대해 석할 여지가 많으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비전을 제시하여 사업 분야가 명확하고 지나 치게 확대되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전기사업법 시행령 34조에 의하면 전력기금의 사용은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다. 1. 안전관리를 위한 사업 3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법 제6조에 따른 전기의 보편적 공급을 위한 사업 3.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및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에 대한 기획・관리 및 평가 4. 전력산업 분야 전문인력의 양성 및 관리 5. 전력산업 분야의 시험・평가 및 검사시설의 구축 6. 전력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 7. 전력산업 분야 개발기술의 사업화 지원사업

2) 전력산업의 공익적・보편적 서비스 분야의 비율이 감소하고 있음 전력기금 운영 초기에는 농어촌・벽지 전력 보급 등 공익적 성격이 뚜렷했으나, 신재생・원 전에 대한 투자 증대로 인해, 기금의 규모는 방대해진 반면 공익적 사업의 비중이 줄어들면 서 전력기금 운용방향이 공익사업 수행에서 녹색성장・산업경쟁력 강화로 변화하고 있다15). 전력기금 설치 초반인 2004년~2006년에는 공익기능 분야의 사업이 76%로 가장 많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경쟁력강화 분야 17%, 녹색성장 분야 7%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2년 이후 계획을 보면 공익기능 분야의 사업은 42%로 대폭 감소한 데 비해 경쟁력강화 분야가 32%로 약 1.9배 증가했고, 녹색성장 분야 역시 3.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표 14❙ 기금 운용 패러다임의 변천 2004~2006

▪ 공익기능 (23,851억원, 76%) ▪ 녹색성장 (2,307억원, 7%) ▪ 경쟁력강화 (5,475억원, 17%)

2008~2010

▪ 공익기능 (20,770억원, 46%) ▪ 녹색성장 (16,151억원, 36%) ▪ 경쟁력강화 (8,168억원, 18%)

2012~2016

▪ 공익기능 (40,387억원, 42%) ▪ 녹색성장 (24,861억원, 26%) ▪ 경쟁력강화 (30,561억원, 32%)

※ 지식경제부 전력산업과,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 자료, 2012.9.

2012년 지식경제부에서 공익 기능으로 분류한 사업 분야는 에너지공급체계구축, 에너지안 전관리 등의 폭넓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연구개발이나 사업자 직・간접 지원을 제외하 면, 농어촌전기공급지원, 전력부하관리와 수요관리, 에너지안전관리사업 등에 불과하다. 각각에 해당하는 각 사업별 예산을 보면, 농어촌전기공급지원 93억원(약 0.6%), 전력부하 15) 지식경제부 전력산업과,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 자료, 2012.9.

34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관리와 수요관리 678억원(약 4.3%), 에너지안전관리사업 966억원(약 6.1%) 등으로 총지출사 업비 15,856억원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 저소득층 지원 사업은 전력효율향상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고효율 조명 기 기 보급’ 사업의 100억원으로 전력기금의 총 지출사업비 1조 5,856억원의 0.6% 수준에 불과 하다. 전력산업 시장의 변화와 환경적 변화 등을 고려할 때 기금의 운용 역시 그에 발맞춘 변화 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전력기금의 목적과 취지가 본래 한전이 수행하던 공익적 사업과 전력수급 안정화 사업을 정부로 이관한 것인 만큼 공익적 사업이 급격히 감소하고 새 로운 분야의 사업만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여진다.

3) 기금 취지에 맞지 않는 사업이 지원되고 있음 2008년부터 최근 5년간 신규로 추가된 사업 내용만 해도 원전해외수출 기반구축, 원전기 자재 종합지원사업, 국제원자력 기능인력 교육원시범사업, 국제 핵융합실험로 공동개발, 한 국형 300MW급 IGCC실증플랜트 기술개발(R&D), 에너지 국제공동연구, 스마트그리드 보급 지원, 그리고 4000MVA 대전력 시험설비 증설 등 8개 사업이 있다. 이 중에서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과 한국형 300MW급 IGCC실증플랜트 기술개발(R&D)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전산업 에 기여하는 사업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래 전력기금의 취지는 발전사업자간 경쟁도입 및 효율성 제고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력산업의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인 바, 대기업 중심 산업인 원전 산업 육성에 기금 사 용을 증가시키는 것은 전력기금의 취지에 어긋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정부의 정책을 홍보 하는 데 사용되는 기금의 규모도 적지 않을 뿐더러 중복으로 지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부 정책 홍보는 각 정부부처에서도 진행하고 있을 뿐더러 해당 발전업자들도 각 각 홍보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바, 전력기금의 사업 분야로 중복 지원할 필요성이 있는 지 다 시금 비판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4) 홍보비가 방만하고 과도하게 책정・운영되고 있음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또 하나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홍보비 비중이 지나치게 많다 는 것이다. 지난 3년간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사용한 홍보비 예산을 보면 2011년 136억원, 2012

3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년 118억원, 2013년 116억 5700만원이 책정되었다. 이에 국회예산처 등에서는 ‘타 부처의 홍보 비 규모 등에 비추어 과도하며,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라 홍보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해당분야에 대하여 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별 홍보사업들을 통폐합하여 홍보예산을 전략 적・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전력기금에서 사용한 2012년도 홍보비 133억원은 농림수산식품부와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중앙부처가 2009년 기준으로 사용한 전체 홍보비 집행액(각각 137억원, 129억원)16)과 유사한 규모이다. 또한 정부 전체 홍보업무를 주관 하도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홍보비 집행액 214억원의 62.4%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또한 각 사업별 홍보비 집행 유형을 살펴보면 기금관리비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들은 각 사 업의 수행기관만 다를 뿐 언론매체 광고, 기획프로그램 제작, 홍보물 제작, 홍보행사 및 프로 그램 운영 등 서로 유사한 방법으로 홍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15❙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그동안 사용해온 홍보비 총액 사업 내용

기간

전력시장홍보

2002-2012년

141억

원자력대국민홍보

2002-2012년

1,125억

주변지역홍보

2002-2005(폐지)

65억

전기안전관리홍보

2001-2012

337억

수요관리 홍보

2001-2012

337억

합계

금액(원)

2,005억

※ 지식경제부, 2012년도 국정감사 제출자료

이렇듯 기금이 상대적으로 과도한 규모의 홍보비를 지출하고 있으며, 각 사업별 홍보 유형 이 유사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홍보 대상이나 시행주체 등에 따라 분산되어 있는 기금 홍보사업을 통합하고 사업비를 축소함으로써 재원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력기금 홍보사업의 경우 최근의 사례와 같이 국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주된 홍보 대상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 비추어 전력산업 전반적 관점에서 분야별 홍보 우선순 위를 선정하고 해당분야에 대한 재원 투입 비중을 높이는 등 선택과 집중 원리를 도입할 필 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전력공급 불안사태 등에 따라 전기절약 및 수요관리에 대한 홍보 필요성이 증대된 경우에 관련 분야의 비중을 높이는 것처럼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16) 자료: 감사원, 「정부 홍보비 예산 집행실태 감사결과 처분요구서」(2011.4)

36


Ⅳ.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운용 개요와 문제점 ㅊ

❙표 16❙ 전력기금 내 각 사업별 홍보비 집행 현황 구분

전력시장 조성홍보

수요관리홍보 內 전기절약 홍보

수요관리홍보 內 전자계 대국민 홍보

전기안전 관리 홍보

원자력 대국민홍보

홍보 대상

주요 사업내용 (2012계획 기준)

필요성

수행기관

국민

- TV광고 1회 - 기획프로그램 제작1회 - 온라인홍보 및 뉴스레터 제작 4회 - 워크숍개최 2회 - 소비자 이슈특강 8회 - 전력현장 탐방 5회 등

주요정책이슈에 대해, 일 반국민 및 정책그룹 등을 대상으로 사전 갈등해소노 전력거래소 력을 통한 원활한 정책추 진에 필요

국민

- TV광고64회, 라디오45회 신문4개 매체 - 기획프로그램제작2회 - 홈페이지 운영 2건 - 에너지절약 세미나 1건 - 포스터, 팜플렛제작 1회 - 시민연대 절전활동 등

전력소비자의 효율적인 전 력사용을 유도하여 국가적 에너지 비용 절감

에너지 관리공단

국민

-

전자계에 대한 대국민 홍 보를 통해 전력설비확충 애로 해소

공모

국민

국민

워크숍, 세미나 등 3회 홍보물 제작 2회 온라인홍보 1건 전자계인식여론조사 1회

-

TV광고 12회 CA-TV365회 전기재해는 노후, 불량설 라디오 365회 비 방치, 사용자 부주의, 신문50회 관리소홀 등 안전불감증으 잡지 30회 로 인한 발생빈도가 높아 전기안전광고대전1회 생활 속 위험요소를 알리 전기안전지발간 6회 고 안전한 전기사용을 유 어린이전기안전인형극 순회공연 도하기 위한 대국민전기안 250회 전 홍보가 필요함 - 전기안전 블로그 운영 - 홍보효과 측정 1회

전기안전 공사

-

원자력 문화재단

원전안전 언론보도13회 신규입지 현장시찰 70회 차세대원자력교육 110회 여론조사 및 동향분석

2012년 말까지 원전 신규 부지 확보를 위해 국민수 용성 증진필요

※ 지식경제부, 2012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재구성

3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1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사업은 2012년 신규로 추진되는 사업의 하나로 지능형전력망 기기 보급을 지원하여 수요관리에 필요한 초기 투자비를 경감하고 지능형전력망 초기시장을 창출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지원되는 사업이다. 적극적인 수요관리를 위해서는 국민들에게 자신의 에너지 사용을 스스로 관리・제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체계적인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하여 시장경쟁에서의 초기 투자를 지원하기 위함이므로 현재 2년간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 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11년 5월 공포되어 2011년 11월 25일 시행된 ‘지능형전력망 보급 및 이용촉진 에 관한 법률’ 제 14조와 ‘전기사업법’ 제48조에 의거해 지원하도록 하며, 2012년과 13년에 각각 약 35억원씩 지원한다. ❙표 17❙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 내역 (단위: 백만원) 구

ㅇ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2012년

2013년

3,568

3,568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스마트그리드 관련 연구개발 및 보급사업은 송전-배전-판매단을 지능화하면서 동시에 친 환경적으로 구축할 수 있고, 에너지절약에도 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래 에너 지 위기와 기후변화 시대에 필요한 산업이므로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인다. 따라서 타 당성 검토와 실증단지에서의 적용사례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좀 더 세밀한 계획과 예산 검토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모에 의해 진행되는 사업인 만큼, 선정과정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4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전력시장조성홍보

전력기금에서는 전력산업 선진화, 전기요금, 스마트그리드, 전력시장 개선 등 주요 정책이 슈에 대한 전문가, 이해관계자 및 일반국민과의 소통을 통한 관련 정책의 원활한 추진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전력시장조성홍보 사업을 수행한다. 2002년부터 지원된 사업으로 2011년에는 7억2천만원, 2012년 5억 3200만원, 2013년에는 3억 8천만원이 요구되어 있으며 전력거래소가 그 사업을 담당하여 시행한다. ❙표 18❙ 전력시장조성홍보 지원 내역 구

ㅇ 전력시장조성홍보

2011결산

2012년계획

2013년요구

720

532

38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국민생활 및 국가경제에 영향이 큰 전기요금정책, 전력시장운영 등에 대한 투명한 정책추 진을 위해 적극적 홍보를 통해 국민들의 이해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 특히 정책 수립과정에서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와의 사전적 소통을 통한 정책공감대를 형성하고 스마트 그리드나 기후변화 대응책 등 변화하는 전력산업 여건과 이에 따른 정책・제도 변화에 대해 국민들에게 알려 나가는 것은 분명 필요한 사업이다. ❙표 19❙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구

□ 전력시장조성홍보

’12계획

’13요구

532 백만원

380 백만원

▪ 바람직한 전력정책기반조성

- 전문가 워크숍(160) - 전력산업 아카데미(122) - 전력산업 모니터링(50)

- 전문가 워크숍(140) - 전력산업 아카데미(80) - 전력산업 모니터링(30)

▪ 사회적 공감대 형성

-

-

▪ 홍보사업 성과측정

- 홍보사업 성과측정(20)

온라인 사이트 운영(20) 전력소식지 제작(70) 논문공모전(30) 언론 및 미디어 홍보(60)

온라인 사이트 운영(10) 전력소식지 제작(40) 논문공모전(-) 언론 및 미디어 홍보(70)

- 홍보사업 성과측정(1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하지만, 이 사업은 2001년도 발전노조 파업을 계기로 정부 차원의 정책홍보가 부족하다는 판단 아래 시행된 사업으로 그 동안 정부의 정책을 홍보하는 사업이다. 전력기금은 전기소비 42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자가 부담하는 기금으로 정부정책을 홍보하는 사업을 전력기금의 지원으로 수행해 온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009년 지식경제위원회의 예산관련 검토에서도 사업추진 여부를 재검토하기를 요구했고, 2011년 결산검토 시에도 정부 정책 홍보이므로 정부부처에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 적을 한 바 있다. 또한 2011년 지식경제위원회의 결산검토보고서를 보면, 이 사업의 시행주체인 전력거래소 는 전력시장 및 전력계통의 운영과 전력거래업무를 위해 설립된 기관(전기사업법 35조, 36 조)으로 정부의 정책 홍보 등을 담당하는 것은 그 설립목적과 맞지 않다는 내용의 지적도 확 인할 수 있다. 사실상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이 중단된 이후 전력기금으로의 지원이 불필요해진 사업을 무 리하게 유지해오고 있는 바, 앞으로는 전력기금의 지원을 중단하도록 해야 한다. ❙표 20❙ 전력시장조성홍보 사업 관련 외부기관 지적사항 및 평가결과 지적사항

후속조치

- ’09 예산 관련 지경위 검토보고서

・ ’04년 이후 전력산업 구조개편이중 단된 상황이므로 사업추진여부 재 고 필요

・ 2009년 8월 “전력시장조성홍보사업 개선 및 세부집행방안” 에 따라 사회적 갈등소지가 있는 주요정책에 대해 국민이 해도 제고와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선함

- ’10 결산관련 지경위 검토보고서

・ 사업비의 연도말 집행이 과도함

・ 2010년 12월에 50%대의 과도한 집행을 시정조치하여 2011년에는 11%수준으로 대폭축소(연간 분산집행 추진)

・ 소수의 전문가위주 사업보다는 일반 국민 홍보에 집중 필요

・ 2011년에는 전문가 토론회 등을 대폭 축소시켜 전체사업 중 전문가위주의 사업(워크숍 및 토론회 등) 비중은 약 18% 수준으로 대폭축소(2010년에는 35% 비중)

- ’11 결산관련 지경위 검토보고서

・ 시행주체인 전력거래소 설립목적과 부합하지 않음

-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2011 지경위 결산검토보고서, 재구성

3

전력부하관리 사업

전력부하관리 사업은 최대전력수요를 억제하고 전력부하를 평준화함으로써 전력수급 안정 및 국가 에너지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한다. 2001년 전력기금의 설치 초기부터 지원된 사업으 로 한전과 전력거래소, 한국가스공사, 에너지관리공단이 그 시행주체로 있다.

4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21❙ 전력부하관리 지원내역 (단위: 백만원) 구

ㅇ 전력부하관리

2012년

2013년

2011 결산

당초

수정

요구

122,233

66,581

254,581

250,00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최근 기후변화와 유가 상승 등으로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2015년 까지 전력공급 예비율 10% 이내인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력수급 안정을 위 한 상시 수요조정(피크 억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전력부하관리 사업은 앞으로 그 사 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2010년과 2011년 각각 당초의 금액과는 달리 계획이 변경되어 더 많은 규모를 집행 했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 역시 계획을 세 차례나 변경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전력수급상황 악화에 따라 사업비가 급증하면서 당초계획 666억원에서 두 차례에 걸쳐 2,546억원으로 증 액한 바 있으며, 다시 2012년 10월에 1,100억 4,000만원을 증액하여 총 3,646억원으로 변경 하였다. ❙표 22❙ 전력부하관리 사업 기금운용계획변경 및 집행현황 (단위: 억원) 년도

당초계획 (A)

’09년

730

’10년

690

’11년 ‘12년

계획변경 (B)

2차변경 (C)

현액 (A+B+C)

집행

730

611

169

859

859

691

531

1,222

1,222

666

1,880

3,646

1,947 (8월까지)

1,100

차년이월

불용

119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2012년도 전력기금운용계획 변경안, 재구성

고유가 시대 전력사용이 증가하고 상황에서 무작정 발전소 건설만을 늘릴 수 없기에 전력 부하관리사업은 강화되어야 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2012년 당해만도 무려 세 차례에 걸친 예 산변경이 있었다는 것은 전력수요조정사업에 대한 제대로 된 계획을 수립하지 못함에 기인한 것이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하나는 정부의 가격정책이 공급위주 44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석유 등 에너지원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전기요금은 인상이 규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소비의 증가와 대규모 발전소 건설 증가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대규모 발전소 건설의 증가는 또다시 전기요금 조정과 전기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게다가 전기수요 증가를 조정하기 위해 또다시 보조금 을 지원하여 인위적으로 수요를 늦추는 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아래 ‘분기별 전력판매량과 정보의 정책개입’ 그래프를 보면 전력가격 조정과 심야전력정 책으로 전력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정부의 가격정책이 전기소비 량 증가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그림 2❙ 분기별 전력판매량과 정부의 정책개입

※ Empirical Study:Correlation between Electricity Demand and Economic Development, Won-Young YangYi, 2005

또한 현재 진행되는 수요관리사업은 수요를 조정하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형태여서 실제 로 전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보조금도 더 많이 받게 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지원 금의 수혜자가 대부분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용전력 사용자로 2012년의 경우 지원금 의 약 99%가 산업용전력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등의 형평성 측면에서도 문제를 초래17)하고 있다. 따라서 보조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수요조정사업 방식의 타당성과 지속가능성에 대 해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원가를 반영한 전기요금 현실화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17) 지식경제위원회 김호성, 2012년도 전력산업기반기금운용계획 변경안 검토보고서, 2012. 10

4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기요금의 합리화 역시 근본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 하나는 일반국민들이 에너지를 절약하여 나타나는 ‘국민발전소 효과’가 수요조정에 많 이 기여하고 있는 바, 산업계 및 전 국민적인 절전문화 확산을 위해 홍보와 교육 등에 중점을 두는 노력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12년 9월 발표한 [2012년 8월 전력 수급대책 성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부하관리를 통한 절전효과는 약 17.0%인데 반 해, 나머지 절전효과는 일반국민들의 에너지 절약 노력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실제로 2012년 6월 21일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을 통해 전 국민이 20분간 감축한 전력 량은 고리1호기 발전량의 약 10배에 달하는 550kW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 당시(14:00∼14:20) 전력부하 곡선

※ 지식경제위원회 김호성, 2012년도 전력기금운용계획 변경안 검토보고서, 2012.10

결과적으로 보면 효과적인 수요관리사업의 실시를 위해서는 보조금 위주로만 진행되는 사 업이 아닌, 합리적인 가격정책과 산업계의 자율적인 동참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국 민들의 에너지절약 실천을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 정보 제공 등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 일 필요가 있다.

46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4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1) 운영 개요 전력산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켜 전원개발 촉진과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 고 전력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발전소 주변 5km 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 하고 있는데, 1989년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발전소주변지역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주변지원법)]을 제정하였으며 초기에는 한전이 직접 수행했으나 2002년부터 정 부가 전력기금으로 직접 수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발전소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지원사업과 발전소 건설 중 또는 건설예 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지원사업, 전력산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홍 보사업, 그리고 원전주변지역의 환경방사능 조사 및 안전감시 등을 수행하는 민간환경감시기 구 운영지원을 위한 기타지원사업의 4개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각 사업을 계획하고 집행하는 것은 지경부 지침에 따라 원칙적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 되, 육영사업, 전기요금보조사업 발전사업자가 시행하고 있는데, 각 사업에 대한 시행자와 그 사업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기본지원사업의 경우는 지자체와 발전사업자가 시행하고, 특별지원사업은 지자체에 서, 그리고 원자력대국민홍보는 원자력문화재단이, 마지막으로 기타지원의 경우는 민간환경 감시기구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표 23❙ 발전소주변지역 지원 사업 요약 지원사업종류

지원대상 및 지원금 등

기본지원사업

- 발전소 주변지역 대상 - 지원금 산정은 발전원별, 전전년도 발전량 기준

특별지원사업

- 발전소 건설 중 또는 건설이 예정된 주변지역 및 당해 시・군 및 자치구 - 건설비(부지구입비 제외)의 1.5 또는 2% (가산금은 원전 자율유치 경우 등)

원자력 대국민홍보 기타지원사업

- 대국민 홍보를 위한 필요경비 - 민간환경감시기구의 운영비 및 장비구입비 등

사업시행자

지원기간

지자체장 발전사업자

건설 및 가동 기간

지자체장

건설기간

원자력문화재단

지속적

지자체장

지속적

4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24❙ 발주법 개정에 따른 사업 분류체계 변경(2006년부터 적용) 개 정 전

기본지원 사업

변경사항

기존과 같음 기존과 같음 기존과 같음

소득증대사업 공공시설사업 육영사업

기본지원사업

소득증대사업 공공시설사업 육영사업 전기요금보조사업 주민복지지원사업 기업유치지원사업 사회복지사업

사업 추가 특별지원사업 홍보사업

기존과 같음

주변지역홍보

폐 지

대국민홍보

기존과 같음

전기요금보조사업 기타지원 사업

특별지원사업 -

홍보사업

대국민홍보

기본지원사업 포함

주민복지지원사업

기본지원사업 포함

기업유치지원사업

기본지원사업 포함

민간환경감시기구

기존과 같음

기타지원사업

민간환경감시기구

발주변지원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르면, 이 사업의 시행절차는 ① 지경부장관이 자치단체 에 지원사업계획 수립지침을 통보하면, 자치단체는 해당 읍‧면‧동에 비치하여 주민들이 열람 ② 지역주민들은 마을회의 등을 거쳐 요구사업을 자치단체에 신청 ③ 자치단체는 주민요구 사업을 발전소에 설치된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지역위원회 심의와 지방의회 승인을 거쳐 지 경부에 제출 ④ 지경부에 설치된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계획이 확정 되면 자치단체에 자금이 교부되어 집행 후 결산하도록 한다. 또한 동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르면 주변지역지원사업 지역심의위원회(지식경제부)와 주변 지역사업지역심의위원회(지자체)를 설치・운영하고, 매년 지원사업에 관한 계획 수립, 지원금 의 결정, 지원금 배분, 지원금의 회수 등에 관한 사항, 지원사업의 평가에 관한 사항, 지원사 업계획 수립지침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한다. ❙그림 4❙ 지원사업 집행 과정 사업신청 및 심의

▪ 수립지침 열람 / 사업 신청 (지역주민) ▪ 주변지역지원사업 지역심의위원회 심의 ▪ 지방의회 승인

48

요구사업 제출‧심의

▪ 요구사업 제출 ⇨ (자치단체→지경부) ▪ 주변지역지원사업 심의 위원회 심의(지경부)

사업비 집행‧결산

▪ 사업비 집행 (자치단체 또는 주민) ⇨ ▪ 결산 보고 (자치단체→지식경제부) ▪ 기금 결산 (지경부)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2) 집행실적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의 경우 2002년부터 전력기금에서 지원되었으며, 발전원별 전전년 도 발전량 기준으로 지원규모를 산정하여 발전소 건설 및 가동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지원하도 록 하였다. 최근에는 신규발전소 건설이 증가하고 발전량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발주변 사업비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계획액을 보면 기본지원사업의 경우 1,082억원으로 기금 사업비 전체 1조 5856억 원 중 7%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기본지원사업의 경우 공공시설에 사용된 금액이 매년 기본지원사업 전체예산 중 약 50% 정도를 차지하며, 육영사업 지원 금액이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 그 외에 소득증대사업, 주 민복지와 사회복지, 기업유치지원과 전기요금 지원 등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별지원사업의 경우 신규발전소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되는 예산으로 발전소 건설계획 에 따라 그 예산이 반영되며, 건설비의 1.5%를 지원하는데 원전신규유치의 경우에는 가산금이 있어 건설비의 2%를 지원하게 된다. 2013년의 경우 2012년에 이루어진 삼척과 영덕의 신규원 전 지정고시로 인해 2012년보다 무려 173% 증액된 634억원이 특별지원금으로 요구되었다. ❙표 25❙ 발전소주변지역지원 지원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2 (계획)

2011

2013 (요구)

소득증대

13,801

15,556

15,895

16,965

15,663

14,699

미분류

공공시설

46,033

43,595

39,635

45,632

47,604

51,356

미분류

주민복지

55

0

0

426

368

58

미분류

기업유치

306

317

300

300

300

300

미분류

사회복지

2,587

4,417

6,944

4,597

4,948

4,880

미분류

전기요금

6,990

7,938

7,424

8,004

9,129

9,658

미분류

육영사업

20,977

23,877

27,128

25,763

26,751

27,252

미분류

기본지원소계

90,749

95,710

97,326

101,687

104,763

108,203

110,500

특별지원

26,457

42,300

45,364

47,728

53,168

36,651

63,400

대국민홍보

11,032

10,993

9,264

9,500

9,400

8,500

8,500

민간감시기구

2,835

2,612

2,400

2,650

2,500

2,500

2,500

-

-

-

-

-

2,251

-

131,073

151,616

154,354

161,565

169,831

158,105

184,900

미분류 합계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4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원자력대국민홍보는 기존에 주변지역홍보와 함께 ‘홍보사업’의 한 분야였으나, 2006년 이 후 주변지역홍보는 폐지되고 대국민홍보만 전력기금의 발주변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2007년의 경우 110억원이 집행되었고, 그 후 조금씩 감소하여 2012년 85억원, 2013년에도 85억원이 요구되었다.

3) 문제점 및 개선방향 3-1)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개선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은 발주변법에 따라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교부 및 집행이 되도록 하고 있다.

제3조(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의 구성) ① 법 제3조제1항에 따른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 (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위원장은 지식경제부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서 주 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이라 한다)을 관장하는 공무원이 되며,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1. 지원사업과 관련이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국장급 직위에 있는 공무원 중에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지명하는 사람 5명 이내 2. 발전사업자 또는 해당 사업자를 대표하는 단체의 임원 중에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위촉하는 사 람 3명 이내 3. 지역발전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또는 시민단체(「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제2조에 따른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한다)에서 추천한 사람 중에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위촉하는 사람 4명 이내 ② 제1항 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심의위원회 구성은 발주변지원법 시행령에 따라 위와 같이 구성하는데, 그 구성원 전체를 지식경제부 장관이 위촉하는 사람들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어 실제 사업을 검증을 하는데 어 려움이 있다. 특히 지원사업과 관련 있는 부처의 공무원, 발전사업자 등이 지원사업의 계획 및 집행, 평가 등을 함께함으로써 공정하고 투명한 지원 사업을 계획・집행・평가하는 데 한계 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실제로 관계부처와 발전사업자 등을 제외하고도 2008년부터 지금까지 원자력을 이해하는 여성모임 최○○ 총재나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김△△ 교수, 명지대 에너지공학부 조□□ 교 수 등 원자력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들이거나 동국대 행정학과 오◇◇ 교수와 대전대 행정학 부 이☆☆ 교수 등 원자력 관련 인사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0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또한 위원의 임기가 2년으로 되어 있으나 연임이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어 장기간 위원으로 위촉되는 사례가 많은 것도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명지대 조□ □ 교수의 경우 2008년부터 현재까지 계속 위원으로 위촉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 가지는 한계는 발주변심의위원회 회의 결과를 보아도 뚜렷이 나타나는데,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5년 간 개최된 제22차~35차 심의위원회 회의록18)을 살펴보면 모두 제출된 ‘원안대로 심의・의결’되었으며, 그 중 서면으로만 검토한 회의가 총 14회 중 무 려 11회에 달한다. 즉, 지식경제부가 제출한 사업계획 및 집행내용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26❙ 주변지역사업심의위원회 회의 현황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회의개최수

4

3

3

3

1

원안통과

4(100%)

3(100%)

3(100%)

3(100%)

1(100%)

서면결의

3(75%)

2(67%)

3(100%)

3(100%)

0(0%)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또한 주변지역사업심의위원회는 해당 사업과 관련하여 사업계획과 지원금의 결정, 배분, 회수, 평가, 결산 등을 심의하도록 동법 시행령 제4조에서 명시하고 있으나, 실제 회의 자료 를 보면 계획의 수립 및 변경, 결산 등에 대한 안건 외에 평가 등에 대해서는 심의된 바 없음 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기금이 설치된 이후 2002년부터 꾸준히 지원되어 2012년까지 10년 이상 사업이 집행되었음에도 해당 사업에 대해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지원금이 투명하고 바르게 사용되었는가 등을 짚지 않았다는 점은 그간 심의위원회가 그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 지 못함의 반증이다. 그 외에도 2009년 이전년도 사업계획 변경(안)에 대한 심의가 2010년 5월과 10월에 각각 열린 29차와 31차 심의위원회(서면결의) 건에서 확인되는 바, 심의위원회가 주변지역지원사 업에 대해 명확하고 엄격하게 심의・의결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이에 시민들의 세금으로 구성되는 전력기금의 한 부분인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의 경우, 올바르고 투명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우선 심의위원회 구성에 있어 심의위원 과반수 이상은 학계, 시민단체, 연구기관 등 민간 18) 시직경제부 원전산업정책과,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5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문가로 위촉하되 민간에서의 추천 및 위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민 간위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위원의 연임 횟수를 제한하여 부당한 영향력 행사나 이해관계자들과의 유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3-2) 과대한 이월금 방지를 위해 주민의사수렴 등 세밀한 계획 수립 필요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지원금은 지식경제부에서 지자체와 해당 발전업자에게 교부되어 집행된다. 그러다보니 계획액과 교부액, 그리고 실집행액이 항상 차이가 나는데, 그것은 지 경부(또는 기반센터)에서는 계획액에 따라 100% 교부를 하더라도 지자체에서 그 예산을 다 집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해 회수 등 지식경제부의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2007년 이후 이월금의 규모를 보면 해당연도 교부금보다도 많은 금액 을 차지하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미집행금과 이월금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동안 국회와 감사원을 통해 꾸준 히 지적되었던 사항임에도 그에 대해 뚜렷한 대책을 세우고 있지 못하다. 오히려 지경부에서는 지자체에서 교부금을 집행할 시 지자체 계획이 지역주민들의 의견과 충돌할 경우가 많고, 지역 주민들 사이에도 교부금 사용에 대한 이견이 많이 있기 때문에 집행에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 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당 발전소 인근 주민들은 주변지역지원사업비에 대해 ‘지역에 대한 피해보상금’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미집행된 교부금을 회수하는 경우 주민들의 반 발이 우려되는 바, 실제 미집행금에 대한 회수를 진행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광역시 ○○군은 2007년 전망대 건립사업 으로 350억원을 지원받기로 한수원측과 협의했으나 지역주민 대표성의 문제로 5년 동안 사 업추진이 지연되었다. 또한 경북 ○○군의 경우에도 기금지원사업비 20억원에 대한 집행계 획이 주민의견이 제대로 수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군의회 심의에서 부결되어 주민 공모를 통해 사업을 재선정하는 과정에 있기도 하다19). ❙표 27❙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비 교부금과 이월금 규모 (단위: 백만원) 2007년

2008년

09년

2010년

2011년

해당연도 교부금

131,073

151,616

154,354

161,565

169,831

차년도 이월금

201,785

239,565

186,670

193,210

210,918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19) 국민권익위원회, 발전소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비 운영 투명성 제고 방안, 2012. 10. 22

52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집행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즉, 미집행금과 이월금의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초 사업 및 예산을 계획할 때부터 집 행되는 과정까지 보다 면밀한 과정이 필요하다. 기본지원사업의 경우에는 그 재정규모가 전 년도 발전량에 따라 결정되는 바, 예상할 수 있는 범위이므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보다 수월한 면이 있다. 우선, 지역심의위원회가 사업을 선정・계획하는 데 있어 주민들의 욕구도 조사를 실시하거 나 주민공청회 등을 열어 주민의견수렴을 위한 통로를 다양하게 마련하는 것과 동시에 충분 한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 또한 확보해야 한다. 이 외에도 지원사업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각 지역에 배포하는 등의 작업으로 해당 지자 체의 계획수립을 지원하고 그 사업의 질적 향상을 꾀하는 것도 한 방법이며, 해당 사업에 대 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주민들의 요구에 맞는 사업을 계획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더불어 수립된 계획에 대해 집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기별로 확인하고 집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시 그 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이 필요하다. 3-3)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투명성 제고 지원사업과 관련한 또 하나의 문제는 지원사업의 수립 및 집행의 투명성 문제다. 지원사업 이 어떻게 수립되고 집행되는지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확인할 수 있고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① 지역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개선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을 보면 지역심의위원회는 부자치단체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시・군의원 4명, 지자체공무원 1명, 발전소 직원 1명, 위원장 위촉위원 3명, 자치단체장 위촉위원 4명으로 구성하고 위원 임기는 2년으로 연임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역위원회 위원 대부분이 자치단체장과 부자치단체장이 직간접적으로 위촉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사업의 타당성을 심의・검토하는 데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위원 임기 가 연임가능토록 되어 있어 장기간 위원으로 위촉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권익위원회 자료를 보면 ○○광역시 ○○군 A위원은 3회 연임에 총 7년 9개월, B의원은 2회 연임에 총 6년 이 상 위원으로 위촉되어 있으며, 충남 ○○군 C위원의 경우도 2006년 위촉된 이후 2회 연임에

5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6년 이상 위원으로 위촉되어 있다. 또한 지원사업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하지 않아서 대부분의 안건이 원안 그대로 의결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표 28❙ 지역심의위원회 원안 통과 현황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충남 ○○시

119/119(100%)

131/131(100%)

117/117(100%)

충남 ○○군

84/84(100%)

43/43(100%)

51/51(100%)

○○ ○○군

26/26(100%)

30/30(100%)

25/25(100%)

※ 국민권익위원회, 발전소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비 운영투명성 제고 방안, 2012.10.22

따라서 지역심의위원회 역시 위원회 구성 시 민간위원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연임횟수를 제 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② 주민지원 사업의 성격에 맞지 않는 사업에 대한 기준마련 주민지원 사업의 경우 지자체에서 행하는 것과 발전업자가 직접 행하는 사업 두 가지가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세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선정 및 탈락되는 사유가 공개되지 않고 유사 사업에 중복 지원되는 등의 이유로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되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한 예로 육영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장학금 지급의 경우 장학생 선발기준의 통일된 기 준이 없이 운영되고 제대로 된 감독 기준도 없어 부정수급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 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발전사업자가 장학금 신청서의 이장확인만 있으면 거주 사실 여부 확인 없이 장학금을 지원한 사례가 접수되었으며, ○○화력본부의 경우 위장전입을 확인하지 못해 47명이 부정수급자로 경찰청에 적발된 예도 있다. 국가권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지자체 자체 예산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들도 지원금으로 추진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데, 공공기관인 ○○ 소방서가 25인승 버스 및 화물차량을 구입하는 데 7,500만원, 소방공무원 헬스장 설치비로 8,000만원 등을 요구한 사례나 ○○경 찰서가 민원실 신축비용으로 6억원, 경찰공무원 숙소 건립 목적으로 7억5천만원을 요구한 사 례 등 이 그것이다. 그 외에도 일정한 기준과 원칙없이 사업을 진행하면서 추진하던 사업을 전혀 다른 성격의 사업으로 변경하는 사례도 있다. 54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표 29❙ 추진하던 사업이 변경된 사례 구

당초 사업

변경 사업

전남 ○○군

’06년 ○○읍 신산업단지조성 ’08년 ○○ 종합 레저타운 조성 (총 200억원을 책정 후 3년간 48억 7천만원 투입)

전북 ○○군

’08년 ○○○관광호텔 건립(49억원)

’10년 펜션조성 사업 (사유 : 관광수요 부족)

’09년 굴양식 사업(3천만원)

상수도 급수공사비

’11년 찜질방 시설공사 사업(5천만원)

농지구입비

충남 ○○군

※ 국민권익위원회, 발전소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비 운영투명성 제고 방안, 2012.10.22

이에 지원사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대상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사업별로 선정기준을 구체 적으로 마련해야 하며, 현재 너무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규정된 지원사업 내용을 주민지원 취 지에 맞도록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발전소 주변지역 주민들의 안전과 건강, 복리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들로 규정하여 지원금의 목적과 다른 사업에 사용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장학사업 등 대상자를 선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발전소별로 선정기준을 통일하고 공정 하고 타당한 내용으로 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③ 주민지원사업의 외부 공개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의 경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 그 사업의 계획수립 및 선정과정, 집행, 결과 등을 모두 지역주민들이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지원사업 계획 수립지침을 해당 읍・면・동에 비치 후 열람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식적 인 공지만 하고 있고, 사업을 선정하는 과정 역시 자치단체 또는 특정계층 주도로만 이루어 지고 있다. 이렇다 보니 사실상 생업에 바쁜 지역주민들이 해당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하여 수립지침 을 열람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주민의사를 반영하는 통로가 확보되지 않아 실제 주민들이 지원사업의 내용을 알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사업추진 계획 및 사업선정 기준, 심의위원회 회의 내용, 사업자 지원 정산 결과 등이 모두 비공개로 되어 있어 선정기준에 대한 문제제기 및 상호간 타당성 검증이 어렵다. 따라서 사업계획의 수립지침과 선정기준을 해당 자치단체 홈페이지에 공개하여 주민들이 쉽고 빠르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 및 대상자 선정 결과를 홈페이지 등에 게시하여 탈락사유 등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④ 지원금 사용의 회계투명성 제고 그간 지원사업비의 횡령이나 부당집행의 예는 많이 있어왔다. 축협직원과 공모하여 자신들 이 구입한 한우29마리를 우시장에서 구입한 것처럼 속여 지원사업비 6,300여만원을 가로챈 혐의로 구속된 사례가 있고, ○○광역시의 경우에는 원전주변지역 농가의 농기계구입비로 지 급한 532만원을 횡령한 혐의로 마을이장이 불구속 입건된 사례20)도 있다. 현재 기금지원사업 중 민간자본보조사업의 경우 부당집행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고, 부정행위 적발 후에도 환수되는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기금을 결산할 때에도 각 지자 체별로 정산서류만을 받아 진행하고 있으므로 기금 집행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한계 를 지닌다. 따라서 회계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지식경제부의 정기 감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하 여 지원금 사용에 대한 관리감독을 보다 철저하게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부정 수령이나 목적 외 사용되는 지원금에 대해서는 환수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반환되지 않 을 경우 지원금 지원을 중단하거나 강제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3-4) 지원사업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2011년 12월 평가에 관한 조항을 신설 하여 지원사업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제32조의3(지원사업의 평가) ① 법 제16조의5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평가대상은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전소의 지원사업 시행자로 한다. 1. 시설용량이 50만킬로와트 이상인 발전소 2. 기본지원사업의 연간 지원금 총액이 5억원 이상인 발전소 3. 그 밖에 지식경제부장관이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발전소 ② 법 제16조의5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평가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지원사업비 집행 실적 2. 지원사업으로 설치한 시설의 활용 실적, 복지지원 실적 3. 그 밖에 주민 만족도 등 지식경제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 법 제16조의5제2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 또는 단체”란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38조 제1항제1호에 따른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을 말한다. ④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대한 평가 결과를 우수, 보통, 미흡으로 구분하고, 미흡으로 평가된 지원사업의 시행자에 대해서는 다음 연도 지원금의 10퍼센트를 감액하고, 그 감액된 금액은 우수 로 평가된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증액하여 지원한다. ⑤ 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지원금의 증액 등 지원사업의 평가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지식경제부장관이 별도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1.12.28]

20) 국민권익위원회, 발전수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비 운영 투명성 제고 방안, 2012. 10. 22

56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이는 그 동안 지원사업에 대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진 바가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 동안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는 전력기금 전담기관인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에서 진행한 지 원금 사용 실태조사가 전부이다. 하지만, 실제 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연 2회, 각 회당 2-3개 발전사업자로 실제 현장점검이 이루어진 것은 각 발전사업자 별로 약 2시간이 전부다. 예를 들어 2011년 3월 29일 동해화력발전소에서 진행된 현장점검 내용을 보면, 1시간 30분 동안 교부금액에 대한 집행률을 확인한 것과 현황 보고 내용이 그 전부다. ❙그림 5❙ 전력사업조성기반센터에서 제출한 현장점검 보고서 전문 동해화력발전소 / 동해시 □ 현장 모니터링 일시 ○ 동해화력발전소(동해시) : ‘11. 3.29(화) 16:30 ~ 18:00 □ 현장 모니터링 참석자 ○ 동해화력발전 : 이○○ 경영기획팀장, 김○○ 차장, 김○○ 과장, 본사 김○○ 차장 ○ 지경부/전력기반센터 : 조○○ 사무관, 노○○ 팀장, 윤○○ 차장 □ 현장 모니터링 내용 ○ 재정조기집행 실태점검 (금액: 천원) 사업시행자

교부금액

실집행금액

실집행률

동해시

419,057

25,000

6.0%

동해화력

256,200

51,650

20.2%

☞ 동절기로 전반적으로 1분기중 실적부진하나 현재 계약준비 및 설계중으로 4월부터 사업 본격 추진 전망

○ 현황보고 - 동해화력은 유동층보일러 무연탄발전소로 효율이 높고 환경친화적인 발전소이나, 현재 국내 탄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베트남 등지로부터 수입물량으로 충당하고 유연탄과 혼소 운영하 고 있으며, 점차 국내탄과 수입탄의 가격차가 줄어 들고 있어 무연탄발전 지원금이 줄어들 전망 - 동해화력(동해시,삼척시) 주변지역은 연간 지원금 규모(’11년 : 854백만원) 대비 인구밀집 도 시지역이 대부분이어서 인구 대비 지원금 혜택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어서 수용성 제고에 어려움이 있음

또한 12년부터 시행된 평가제도에 의해 2012년 현재 분기별로 시행주체 스스로 교부금에 대한 집행률을 기록・제출하고 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지자체별・발전소별 집행실적으로 연 간계획 대비 80% 이상을 집행한 지자체와 발전소는 ‘우수’로, 10% 또는 5% 미만인 지자체와 발전소는 ‘부진’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전담기관은 실집행률 제고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 는데, 예산요구와 사업계획이 제출된 후 기금계획(예산)을 반영할 것, 집행실적에 연계하여 5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지원금을 차등 교부하는 방안 등이 있다. ❙표 30❙ 2012년 상반기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집행실적 (단위: 백만원) 세부사업명

연간 계획 (A)

교부 금액(B)

집행실적 교부율

금액(C)

실적률 (C/A)

실적률 (C/B)

지자체

82,840

55,617

67.2

34,374

41.5

61.8

민간

27,614

18,506

67.0

14,223

51.5

76.9

소계

110,454

74,123

67.1

48,597

44.0

65.6

특별지원사업

36,651

24,319

66.4

5,199

14.2

21.4

대국민홍보

8,500

5,100

60.0

4,312

50.7

84.6

기타지원

2,500

1,500

60.0

2,075

83.0

138.31)

158,105

105,042

66.5

60,183

38.1

57.3

기본지원 사업

합 계

※ 집행실적은 연간계획 대비 실적 및 상반기 교부 대비 실적이며, 사업시행자 제출 자료, 전산시스템 입력자료를 기준으로 작성 1) 기타지원사업 실적률 100%초과는 지자체별로 자체예산으로 선 교부 집행에 기인 ※ 2012년 10.18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국정감사 제출자료

하지만, 이는 집행률만을 높일 수 있을 뿐 지원사업의 질적 강화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2011년 12월 시행령에 평가 조항이 신설되면서 현재 마련되고 있는 평가기준에 양적인 제고 뿐 아니라 사업의 질적 제고를 위한 평가 기준과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즉 지역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 주민의견수렴 정도, 주민 만족도 정도, 사업집행의 투명 성 정도, 회계투명성 정도 등이 반영된 평가기준이 수립되는 것 뿐 아니라, 공정한 평가를 위 해 민간이 참여하는 평가위원회가 구성・운영될 수 있도록 시행령에 그 내용을 명시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여야 한다.

4-1. 기본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전력사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시 켜 전원개발 촉진과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고 전력수급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에 전력기금이 지원되고 있다. 이는 2002년부터 시행되었는데, 발전 원별 전전년도 발전량 기준으로 지원규모를 산정하여 발전소 건설 및 가동기간동안 지속적으 로 지원하고 있다. 2012년 현재 계획액은 1,104억원이며, 2013년에는 신규 건설 발전소 증가와 발전량 증가

58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로 인해 그보다 더 증가한 1,260억원이 요구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력기금에서 지원되는 금액은 지자체와 발전소로 나누어 집행하게 되는데, 그 비율은 발전소별로 지자체와 발전 소간의 협의에 따르되. 평균적으로 지자체와 발전소가 73.6% : 26.4% 정도의 비율로 나타 난다. ❙표 31❙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기본지원사업 지원내역 (단위: 백만원) 구

’11결산

□ 발전소주변지역 기본지원사업

’12계획

’13계획(안)

104,763

110,454

126,000

104,763

110,454

126,000

104,763

110,454

126,000

ㅇ 자치단체경상보조(330-01)

78,891

82,840

92,736

ㅇ 민간경상보조(320-01)

25,872

27,614

33,264

▪ 기본지원사업 □ 비목(합계)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 세부사업설명자료

기본지원사업의 연간 지원금은 각 발전소별로 [전전년도 발전량(㎾h) × 발전원별 지원금 단가(원/㎾h) + 설비용량(㎿) × 발전원별 설비용량 단가(만원/㎿)]로 계산한다. 하지만, 여 기에 문제점이 있는데 바로 발전원별 지원금 단가가 서로 다르게 책정되어 있어 특정 발전원 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아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발전원별 단가는 무연탄이 0.3으로 가장 높고 원자력이 0.25로 그 다음으로 높다. 반면 가스나 신재생의 경우 0.1로 그 단가가 무연탄의 1/3에 불과하다. ❙표 32❙ 발전원별 지원금 단가 및 설비용량 단가 발전원

원자력

유연탄 화 력

무연탄 화 력

유전소 화 력

지원금 단가 (원/㎾h)

0.25

0.15

0.3

0.15

설비용량 단가 (만원/㎿)

-

-

-

-

가 화

스 력

양 수

수 력

조 력

신・재생 에너지

0.1

0.2

0.2

0.2

0.1

-

50

500

-

-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 세부사업설명자료

따라서 각 발전원이 생산하는 전력량에 비해 무연탄이나 원자력발전소가 건설・운영되는 지 역은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다른 발전원에 비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2012년도 지원금 산출내역을 보면 원자력은 전체 발전량의 37.8%를 생산하고 있으나 지원금 전체의 49.2%를 지원받고 있는 반면, 가스화력은 발전량은 전체의 18%에 달하나 지 5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원금은 전체의 9.5%밖에 지원받지 못하고 있으며, 신재생 역시 발전량은 4.0%이나 지원금 규모는 1.5%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단가 산정은 해당 발전원에 대해 지역주민들의 기피 정도나 환경피해 정도를 반영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발전원에 대해 주변지역지원금을 높게 책정하는 것은 그 발전원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는 있으나 지역주민들과 국민들이 발전원을 선택하는 데 있어 공정하지 않은 경쟁을 유발할 수 있다. ❙표 33❙ 2012년도 지원금 산출내역 (단위: GWh, 백만원) 발전원

발전소 수

발전량

지원금

원자력

7

217,572

54,388

’10년 발전량 사용

수력/양수

12

4,770

5,704

발전량과 용량별 지원금(수력 500만원/MW, 양수 50만원/MW) 사용

석 탄

20

227,156

35,251

’10년 발전량을 사용

유전소

15

18,906

2,987

가 스

35

103,650

10,506

신재생

96

2,288

1,618

합 계

185

574,342

110,454

※ 지식경제부, 2012년 기금운용 세부사업설명자료, 재구성

주변지역지원사업의 세부내용은 발전소주변지역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규정하고 있는 데, 소득증대사업과 공공시설사업, 주민복지지원, 기업유치지원, 사회복지사업, 전기요금보 조사업과 육영사업 등이다. 그 중 공공시설사업에 가장 많은 지원이 이루어졌고 육영사업과 소득증대 사업이 그 뒤를 이었다. 기본지원사업의 경우 해당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의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하 는 과정이 세밀하게 요구된다. 그래야만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또 전력기금의 공공성의 취지에도 부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지원사업의 경우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하는 과정과 선정과정에서의 공정성, 그리고 집행과정에서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다 명확한 사업의 범위와 집행절차 등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60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표 34❙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세부사업별집행내역 사업 구분

사업내용

기본지원사업합계 소득증대 사업

07년 집행금액

105,953

101,814

○ 농림수산업시설

11,071

12,973

15,242

12,536

10,774

○ 상공업시설

1,524

545

4,136

2,026

3,256

874

346

768

3,285

801

13,468

13,865

20,146

17,847

14,831

○ 관공산업시설

-

67

5,052

2,637

0

○ 사회복지시설

12,498

7,860

367

573

2,189

○ 도로시설

11,310

15,826

19,585

9,429

13,081

○ 항만시설

1,196

2,085

1,649

424

736

○ 상하수도시설

2,756

2,272

2,296

2,214

9,078

○ 교육문화시설

1,270

1,334

0

214

398

○ 환경위생시설

769

4,241

10,050

11,087

6,728

○ 방사능방재시설

208

192

154

846

191

○ 운동오락시설

4,393

3,087

5,653

8,158,

5,161

○ 전기통신시설

591

769

1,737

4,011

997

1,962

3,829

2,560

34,991

37,733

48,505

43,423

41,119

1,045

714

15,095

112

15

1,045

714

15,095

162

15

○ 기업유치자금융자

430

1,465

10,387

396

300

○ 기업유치지원사업

977

-

0

1,407

1,465

10,387

396

300

○ 복지회관건립시설

1,143

1,599

3,977

5,558

2,462

○ 사회복지사업

1,418

978

16,326

3,848

6,320

2,561

2,578

20,303

9,406

8,782

○ 주택용

7,416

6,496

6,617

5,920

7,461

○ 산업용

2,007

1,623

1,306

2,478

1,687

소계

9,423

8,119

7,924

8,399

9,148

○ 교육기자재

5,031

4,382

5,506

3,482

4,806

○ 학자금・장학금

6,113

7,061

8,308

9,067

8,071

○ 장학기금출연

1,722

1,579

2,221

1,370

1,538

○ 학교체육활동지원

1,283

1,263

1,484

1,989

1,452

○ 백일장및사생대회

311

344

279

148

267

○ 학교급식시설지원

1,538

1,119

2,076

1,356

703

○ 우수학생표창

194

68

163

72

100

○ 영농정보제공및교육

303

487

394

435

480

5,043

6,773

6,171

8,402

10,203

21,539

23,076

26,602

26,320

27,619

소계

사회복지 사업 전기요금 보조사업

육영사업

11년 집행금액

148,962

○ 기타

기업유치 지원사업

10년 집행금액

87,550

○ 의료시설

주민복지 지원

09년 집행금액

84,434

소계

공공시설 사업

08년 집행금액

○ 주민복지자금융자 소계

소계

소계

○ 기타 소계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6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4-2. 특별지원사업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중 특별지원사업은 발전소가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예정된 주변 지역에 속하는 시・군・구에 지원함으로써 발전소 건설관련 민원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발전 소 건설을 촉진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확보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지원되어왔다. 특별지원사업비는 발전소건설비의 1.5%로 산정하는데, 원전을 자율 유치했을 경우 0.5%로 가산금을 더해 2.0%로 산정한다. 2013년의 경우 저예비율로 인한 전력수급비상 상황에 직면하여 6개 발전사의 적극적인 발 전설비 확충과 민간 발전사의 유연탄 및 가스발전 등 발전사업에 적극적인 참여 및 RPS제도 시행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건설 대폭 증가로 인해 무려 40개의 발전소가 신규 건설될 예정으 로 특별지원금이 대폭 증가했다. 또한 삼척과 영덕에 신규원전부지가 지정되면서 더 많은 증 가가 나타났다. ❙표 35❙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구

□ 특별지원사업

▪ 특별지원사업

’12계획

’13요구

36,651백만원

63,400백만원

ㅇ 신규 발전소건설의 대폭 증가로 특별 발전소건설계획 등을 고려하여 법률 지원금 수요 대폭 증가 : 37,400백만원 에서 정한 금액 지원 (부지구입비를 제외한 발전소건설비 ㅇ 삼척원전, 영덕원전 신규부지 선정에 의 1.5%) 따른 가산금 조기지급 : 26,000백만원

※ 지식경제부, 2012년 기금운용 세부사업설명자료, 재구성

특별지원사업은 모두 지자체에 지원하게 되는데 그 사용처가 시행령 등에 나타나 있지 않 을뿐더러, 사업내용이 보고되거나 사업내용에 대한 감사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투명성이 나 지원사업의 타당성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지원금에 대해 집행기한이나 미집행금 환 불규정 등이 없어 사실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특별지원사업 지원금의 경우에도 기본지원사업과 마찬가지로 그 사용처에 대해 명 시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지원금에 대한 심의 및 감사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 를 개선해야 한다.

62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4-3. 원자력대국민홍보 1) 사업개요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의 하나로 진력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는 또 하나의 사업은 바로 ‘원 자력대국민홍보’ 사업으로 원자력문화재단에 출연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기존에 ‘홍 보 사업’으로 ‘주변지역홍보’와 ‘대국민홍보’ 두 사업으로 나뉘어 진행되던 것을 2006년부터 주변지역홍보는 폐지하고 대국민홍보로만 변경하여 운영하고 있다. 원자력대국민홍보사업의 목적은 원자력에 대한 국민의 올바른 이해증진을 통해 신규 원자 력발전소의 건설을 촉진하고 기존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수급 에 기여하는 것으로, 2011년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에는 ‘그래도 원자력이다’라는 인식을 심어 주어 신규핵발전소 건설과 수출 등에 기여하기 위함에 있다고 밝히고 있다.

2) 사업집행실적 및 사업계획 원자력대국민홍보는 해마다 원자력문화재단으로 출연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2012년 85억원 이 계획되어 집행되었으며, 현재 2013년 85억원이 요구되어 있는 상태다. ❙표 36❙ 원자력대국민홍보(원자력문화재단) 지원금 현황 (단위: 백만원) 구

ㅇ 원자력대국민홍보

2010결산

2011계획

2012계획

2013요구

9,500

9,400

8,500

8,500

해당 지원금은 주로 기획보도와 같은 방송활동과 토론회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국민신뢰구 축사업과 발전소시찰이나 일일교사제 등을 활동한 차세대이해증진사업, 국제협력과 국제시 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지식정보협력사업과 기관운영비로 사용된다. 원자력문화재단의 예산집행실적을 보면 사업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2011년 결산 기준으로 보았을 때 사업비 총 57억3700만원 중 교양프로그램 제작이나 언론기획보도 등 언 론관련 비용이 8억6000만원, 국내시찰이 4억 9600만원, 국제협력 및 수출지원이 7억 6700 만원, 원자력뮤지컬 2억5000만원 등에 집행되었다.

6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37❙ 2013년 사업계획 세부내역 (단위: 백만원) 사업명

사업비

세부항목

사업비

・ 대국민신뢰구축

1,930 방송, 온라인, 대토론회 등

・ 차세대이해증진

2,610 교육, 체험, 전시를 통한 원자력 이해

・ 지식정보협력 소

차입금상환 기관운영비(인건비, 운영비) 합

593 국제 원자력기관과 협력 등 5,133 435 체험관 건립관련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 3,277 인건비(3%인상) 및 운영비(동결) 8,845

※ 2013년 전력기금 운용계획 세부사업 설명자료(정부안)

위 사업들은 대부분 원자력 진흥을 위한 사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력뮤지컬이 원자력 발전소 인근 지역에서 상영된 것을 제외하면 발전소 실제 발전소주변지역지원 사업으로 진행 된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즉, 초기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던 ‘홍보 사업’이 2006년 대국민홍 보로 축소되고, 사업비가 원자력문화재단으로 100% 출연되면서 본래 주변지역 홍보 사업의 목적은 사라지고 원자력 산업계 지원으로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대국민홍보사업의 문제점 3-1) 국민의 원자력 안전의식 저해 ① 원자력문화재단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미공개 원자력문화재단은 2010년까지 매년 원자력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 다. 원자력문화재단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2010년 11년 정기조사에서는 원자력이 ‘안 전하다’는 응답이 53.3%, 2009년 10월 정기조사에서는 61.1%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러나 2011년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 후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자 여론조 사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하지 않았다. 특히 2011년 이후에는 계획된 정기 여론조사를 취소하 고 언론홍보예산으로 전용하거나 비공개 간이조사로 축소하면서 원자력 산업에 불리한 여론 조사는 감추고 유리한 쪽으로만 사업을 진행하면서 전력기금의 공익성을 저해하는 것이다. 실제로 문화재단은 2009년 12월 UAE 원전수주 이듬해 여론조사를 예산을 1억8100만원으 로 늘리고 간이조사를 10회로 확대하면서까지 원전에 대한 국민여론을 체크하면서도 후쿠시

64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마 사태 후인 2011년에는 정기여론조사를 취소하고 대외비공개 간이 여론조사와 예산을 줄이 는 등 원자력 산업에 불리한 사업은 대폭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3년도 전력산업기반기금 세부사업 설명 자료에 보면 원자력문화재단이 실시한 여론조 사 결과를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에 대한 부정 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월계동 방사능 아스팔트 사건, 고리1호기 전원공급 계 통장치 고장이나 고장은폐 사건, 발전소 부품 납품 비리, 발전소 직원 마약 사건 등 사건사고 가 끊이지 않으면서 국민들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안전이나 건강에 민감한 여성이나 40대 이하 젊은 층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게 나 타났다. 아래 표는 원자력문화재단이 제출한 2012년 2월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현대경제 연구원 조사) 부정적이 52.6%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2년 3월 한국갤럽이 조사한 비공개간 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58.6%로 보다 많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 ❙표 38❙ 원자력 인식조사 결과 인식분류

답변이유

비 고

1위

2위

기타

부정적 (52.6%)

원전사고 가능성 (27.7%)

막연한 두려움 (12.2%)

방폐물 배출 등 (9.3%)

주로 여성 및 40대 이하

긍정적 (47.4%)

안정적 전력공급 (21.5%)

경제성장 도움 (9.1%)

낮은발전단가 등 (8.5%)

주로 남성 및 50대 이상

※ 2013년 전력기금 운용계획 세부사업 설명자료(정부안)

또한 동아일보사에 의뢰해 방사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방사능 자체에 걱정과 우려 의 목소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9❙ 방사선 인식조사 결과 설문항목

응답률

월계동 아스팔트에서 검출된 방사능은 인체에 영향이 있다.

89.1%

검역을 마친 일본 농수산물이라도 섭취 의향 없다.

61.6%

일본 여행을 갈 의향이 없다.

55.8%

※ 2013년 전력기금 운용계획 세부사업 설명자료(정부안)

21) 뉴시스 기사 참고 2012. 10. 22

6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② 친원자력 중심의 교육・홍보 원자력에 대한 대국민홍보의 올바른 취지는 원자력발전소 지역 주민들에게 이루어지는 객 관적이고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다. 하지만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국민홍보는 원자력발전의 수용성을 제고하고 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친원자력’ 홍보에만 집중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언론사를 통해 보도되는 기획보도이다. 원자력문화재단은 YTN 등의 언론사 와 MOU를 체결(2010.6.22.)하고, 기획보도비용을 언론사에 직접 지불하여 보도를 기획하는 등 원자력의 유리한 면만을 강조하는 홍보를 진행해 오고 있다. 원자력문화재단이 제출한 2011년도 예산집행실적을 보면, 교양프로그램 제작지원에 3억 6200만원, 언론기획보도에 4억9800만원을 사용했다. 기획된 언론 보도는 원자력의 위험성 이나 문제점 등을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 국민들에게 그것이 중립적인 느낌으로 다가 가게 되고 또한 사실이라고 믿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실제로 원자력문화재단이 2011년에 발행한 ‘원자력홍보전도사가 되라’ 자료집과 2010년 발 간된 ‘우리는 이렇게 활동하였다’ 책자를 보면 언론보도와 기획보도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 울이는 지 확인할 수 있다. 2010년에 ‘원전시장 현황과 미래’등 17건과 함께 102회의 기획기 사 등 총 680건을 보도했으며, ‘원자력, 공존을 꿈꾸다’ 등 6건의 원자력 프로그램을 제작하 여 방송한 바 있다. ❙표 40❙ 원자력문화재단 언론보도 실적 구분

2009년

2010년

언론보도 실적 합계

338건

680건

기관장 인터뷰 등

38

62

기획보도

33

102

재단홍보활동

317

527

※ 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홍보전도사가 되라, 2011

보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SBS 뉴스와 생활경제’에 2009년부터 참여하여 오전 시간 주부 대상으로 하는 원자력 홍보를 진행해왔다. 또한 과학교양 프로그램인 KBS1 ‘과학카페’ 와 KBS2 ‘스펀지2.0’ 프로그램을 통해 ‘원자력의 비밀’ 주제로 원자력 발전에 대해 방영한 바 있다. 또한 2010년 12월에는 교육방송 채널인 EBS를 통해 ‘다큐프라임-원자력, 공존을 꿈꾸다’ 를 제작하여 원자력에 유리한 내용만을 담아 방영하기도 했다. 66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표 41❙ 3년간 원자력문화재단 기획보도 현황 구분

제목

언론・방송사

일시(횟수)

원자력기획기사

글로벌 원전시장 폭발적 팽창

문화일보

2010.8.31

언론대담 기사

일, 원자사고로 충격 있지만 원자력 산업 중요성은 여전

서울경제

2011.3.23

재단홍보

아이들과 함께 한국형 원전 직접 만 들어요.

한국경제

2010.10.6

TV인터뷰

만나고 싶었습니다.

한국경제TV

2010.8.11

취재지원 후 보도

에너지 안보・경제성 -지구촌 다시 원자력 바람

국민일보

2011.7.26

취재지원 후 보도

우라늄 1g=석유 9드럼 -고효율・저탄소 신청정연료 매력

서울신문

2011.7.26

SBS

09년 40회, 10년 26회

KBS2

09년 (1회)

과학카페

KBS1

09년 (15회)

다큐-코드그린, 녹색발자국을 찾아라

KBS1

2010.10. (2회)

다큐프라임-원자력, 공존을 꿈꾸다

EBS

2010.12.6-7(2회)

SBS뉴스-프랑스 핵처리 강국, 스웨덴 관광명소 된 방폐장

SBS

2011.7.10-11

KBS

2012

뉴스와 생활경제 스펀지2.0

정책홍보

원자력의 비밀

넝쿨째 들어온 당신

※ 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홍보전도사가 되라, 2011

즉, 원자력문화재단은 원자력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홍보를 통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정보획득의 주요수단인 언론의 기획보도(원자력현 안 등 특정주제(기획특집)홍보)지원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기획보도 방식의 정책홍 보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사실상의 홍보프로그램을 뉴스나 기사로 오해 또는 혼동하게 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국민들이 정책홍보라는 것을 알기 어려운 기획프로그램 제작지원이 나 기획기사 형식의 홍보비 집행 비중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③ 기자 및 여론주도층 대상의 국내외 시찰 및 간담회 원자력의 위험성이나 문제점을 보도하는 언론사나 해당 기자들, 또는 지역 주민들의 여론 을 움직일 수 있는 주도층에 대한 원자력문화재단의 활동을 집요하다. 특히 신규 발전소 건 설 등으로 반대운동이 있는 지역일수록 원자력문화재단의 활동은 더욱 세밀해지는데, 그 대 표적인 활동 중 하나가 언론을 움직이는 것이다. 기자들을 대상으로 해외시찰을 하고, 지자체 출입기자와 신문사 편집국장을 대상으로 간담 회를 실시하는 등의 활동을 끊임없이 실시하였다.

6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1999년부터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원자력진흥회와 함께 고리원 전으로의 국내시찰을 진행했고, 취재지원을 겸한 해외시찰도 이루어졌다. 신울진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할 때도 마찬가지로 1999년의 경우 해외시찰이 무려 7차례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3월 한 달 일본으로만 시찰을 다녀온 지역주민의 수가 20여 명에 달한다. 6월에는 유럽 3개국 취재지원 및 시찰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원자력문화재단에서 파견 된 홍보요원들이 한달에 한 번 기자들과 만나는 자리를 만들기도 하고, 심지어 영향력이 있 는 기자 1명을 꼽아 신경을 쓰고 자료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도 했다고 서술하고 있다22). 또한 1993년 8월 국회 상공자원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초의 유럽지역 시찰과 KBS 취재 진과 동행한 일본・미국・영국의 핵처분장 시찰 등을 통해 방폐장 유치신청을 유도하기도 하였 다. ‘우리는 이렇게 활동하였다’에서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 전북지사로, 전북지사가 프랑스 로브 방폐장 시찰 후 유치에 적극 나섰다는 기록을 하고 있다. 이런 전례 덕에 2010년 신규 원자력발전소 유치를 신청한 삼척의 경우는 원자력문화재단에게 직접 구원을 요청하기도 하 는 모습을 보였다. 3-2) 원자력발전사업자 대리 역할로 공적 기능 상실 ① 원자력홍보협의회 구성 및 유관단체 협회 가입 원자력을 홍보하는 기관은 많다. 원자력발전 추진 정책을 담당하는 지식경제부와 원자력 발전사업자인 한수원, 방폐물관리공단, 원자력문화재단 등이다. 그러다보니 매체 광고와 정 책홍보, 광고와 홍보사업 등이 중복되어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미 나온 바 있는데, 바로 2009년 국회예결위 예산심의에서 나온 이 같은 지적에 따라 원자력문화재단은 ‘원자력홍보 협의회’ 구성을 제안하고 지식경제부를 제외한 세 곳의 홍보 업무를 조율23)한 바 있다.

‘원자력홍보협의회’를 구성하여 홍보사업의 중복을 방지하고 관련기관 간 역할조정 및 상시 협조체 제 구축, 홍보 시너지 극대화 => 원자력문화재단은 ’09년부터 매체(TV, 라디오, 잡지 등) 직접광고 폐지 및 방송프로그램(과학, 다큐)제작 및 언론기고활동을 강화함 * 기관별 중점 홍보대상 및 역할 구분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 일반국민 대상 원자력홍보 및 원자력문화진흥사업 - 한국수력원자력(주) : 지역주민과 국민대상, 회사 및 원전사업 홍보 - 방폐물관리공단 : 지역주민과 국민대상, 공단이미지 및 방폐물사업 홍보

22) 원자력문화재단, 우리는 이렇게 활동하였다, pp73-74, 2011. 4. 20 23)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68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이 내용의 의미는 원자력문화재단이 원자력산업계가 진행하고 있는 홍보의 일부분을 담당 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사업자가 할 일을 나누어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원자력문화재단은 원자력 산업계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갖고 각 협회 및 학회 등에 가 입되어 있기도 하다. 1992년에 한국원자력산업회의 가입을 시작으로 현재는 임원사로 활동 하고 있으며, 한국원자력여성전문인협외,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원자력학회, 세계원자력 협회,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등 6개의 협회 및 학회에 가입되어 있다. 이 중 원자력산업회의 의 경우 연회비 500만원, 원자력학회 등에 200만원, 세계원자력협회 300만원 등 협회 가입 비만으로도 연 1400만원을 지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원자력교육연구회에 교육용품을 지원 하거나 창립 시 식사비를 지원하는 등 유관지관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② 한수원 등 출연금 비중의 증가 원자력문화재단의 2012년 총 수지예산은 85억원으로 전액을 전력산업기반기금의 발전소주 변지역지원금으로 출연받아 운영한다. 하지만 2012년 국정감사 시 제출된 자료를 보면 한수 원에서 50억원, 한전으로부터 16억원, 지경부 등으로부터 4억 3000만원 등을 지원받아 수탁 사업을 운영해오고 있다. ❙표 42❙ 최근 5년간 원자력문화재단 수탁사업 수지내역 (단위: 억원) 구

1. 2. 3. 4. 5. 6. 7. 8.

12년

11년

10년

09년

08년

7,130

2,224

3,387

1,582

1,950

전기에너지관운영 원전수출지원사업 원전산업 정책연구 핵안보관 설치운영 원자력이해나눔사업 방폐물홍보 원전시찰교육 대국민소통강화사업

1,600 200 80 250 5,000

1,500 107 363 241 13

1,500 121 1,495 258 13

1,582 -

1,950 한국전력공사 - 지식경제부 에너지기술평가원 - 핵안보관 운영 - 교과부 특별교부금 - 방폐공단 - 한국전력기술 한수원

※ 원자력문화재단,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 10

그 중 한수원에서 지원받은 50억원은 한수원의 입장에서 ‘정부의 원전정책에 대한 다양한 여론 형성이 예상되어 원전사업에 대한 대국민 소통을 강화할 필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이므 로 원자력문화재단에 ‘의뢰해’ 출연된 비용24)으로 세부계획은 다음과 같다. 사업내용을 보면 24) 한수원 2012년 2차 이사회 회의록, 2012년 2월 16일

6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원자력문화재단이 전력기금의 출연금으로 이미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이다. 원자력문화재단이 국민들에게 공정하고 올바른 원자력 정보를 제공하고 원자력 이해를 높 이는 데 그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들의 출연금을 지원받아 운영 된다는 것은 문제로 지적받아 마땅하다. 지원금은 원자력문화재단의 홍보사업 방향을 원자력 산업에 유리한 면으로만 작용하게 만든다. 이 외에도 지식경제부가 출연한 원전수출지원사업이나 핵안보관 설치운영사업 등 역시 정 부의 정책을 지지・지원하는 사업으로 전력기금이 가지고 있는 공적 기능과는 부합하지 않는 사업 추진 사례이다. ❙표 43❙ 대국민소통강화사업 계획서 (단위: 억원) 사업내역

□ 네트워크 협력

예 산

20

- 간담 및 세미나 개최

2

- 전문가 활동, 문화예술 메세나사업 등

5

- 토론회 개최(TV, 오프라인)

2

- 분야별 심포지엄 및 토론회

3

- 원자력시설 견학, 해외 선진시설시찰 시행

3

- 운영전담팀 구성, 인건비 및 운영비

5

□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30

- 커뮤니케이터 및 여성대변인 임명

3

- 언론 좌담 및 캠페인

10

- 원자력・에너지・방사선 관련학과 연계 캠페인

3

- 온라인 포털(다음, 네이버) 캠페인

2

- 해외인사 초청사업

2

- 토크콘서트 개최

5

- 지역・여성단체 이해교육

5

※ 원자력문화재단,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 10

3-3) 무료원전시찰・무료강의・무료직무연수 등으로 참가자 확대 원자력문화재단이 시행하는 교육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돋보이는 것이 원자력 시설 시찰교육이다. 원자력문화재단은 여론주도층을 중심으로 하여 국내 시찰을 진행하는 데, 2011년의 경우 총 40회의 시찰을 진행하는데 부대비용을 포함, 약 3억 400여만원이 소요 70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되었다. 시찰의 경우 버스비 및 식비, 숙박비 등 모두가 무상으로 제공되며 기념품까지 제공 된다. 1회 시찰 시 약 3-40명 정도가 참가하는데 1인당 소요되는 비용은 약 10-12만원 정도 이다. 원전시찰의 경우 공무원단체, 교육단체. 여성단체, 언론방송단체 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데, 공무원단체의 경우 총 40회 시찰 중 11회에 달한다. 문화재단이 시행하는 원전 시찰은 원 하는 단체에서 신청하면 신청된 단체 중에 재단 내 기준에 의해 선정하여 지원하게 되는데, 자체 선정기준은 공개된 바 없다. 그리고 원자력문화재단이 무료로 지원하는 것은 일일교사제가 있다. 일일교사제는 각급 학 교 등에 강사를 파견하여 원자력 관련 강의를 하는 것으로, 원자력 산업계나 유관기관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강사로 참여하고 있다. 강사들에게는 문화재단 측에서 강사료를 지급하는 데 2012년 2월부터 9월까지 총 131회 강연에 51,171,000원 지급되어 1회 평균 391,000원의 강사료가 지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일교사제 등에는 무료로 진행되는 강의 외에도 기념 품 등이 제공되어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원직무연수 역시 무료로 숙식을 제공하며 이루어진다. 일반 적인 교원직무연수를 살펴보면 연수를 받는 교사가 일정정도를 교육비를 부담하거나 혹은 교 육비는 부담하지 않되 식비 등은 교사 자비로 부담한다. 하지만 문화재단에서 실시하는 교원직무연수는 교육비는 물론이고, 교육 시 필요한 숙식 모두를 제공한다. 더군다나 문화재단은 원전시찰이나 일일교사제 강의, 또는 교직원직무연수나 뮤지컬 공연 등에서 기념품까지 제공하고 있어서 2012년 9월까지 그 제작비로 사용한 금액만도 7천 6백 만원에 달한다. ❙표 44❙ 기념품 제작비용 (2012년 9월까지 ) 내역

금액(천원)

기관운영 기념품

11,034

일일교사제기념품

46,628

뮤지컬기념품

1,160

생활방사선교육기념품

17,621

합계

76,443

※ 원자력문화재단,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2011년 계정별원장), 재구성

7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45❙ 2011년 원자력문화재단이 시행한 원전시찰 현황 날짜

시찰단체

날짜

시찰단체

2011-02-22

인천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07-29

에너지단체 시찰

2011-02-22

서울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08-09

경북영재교육단체

2011-02-15

전남초등학생단체 시찰

2011-08-09

에너지공학과전공대학협약체결

2011-03-04

서울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08-19

공무원단체

2011-03-08

서울초등학교 교직원 시찰

2011-08-23

충남영재교육단체

2011-03-24

시민환경단체 시찰

2011-08-23

서울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04-05

지역시민단체 시찰

2011-08-23

서울여성시민단체

2011-04-05

에너지단체 시찰

2011-08-31

기후변화연구단체

2011-04-08

시민환경단체 시찰

2011-09-06

서울자원봉사단체

2011-04-22

서울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09-08

서울자원봉사단체

2011-04-30

청소년과학기술진흥단체

2011-10-06

에너지단체

2011-05-11

원폭피해자단체

2011-10-11

문학인단체

2011-05-17

에너지단체 시찰

2011-10-20

기후변화연구단체

2011-05-19

시민봉사단체

2011-10-20

에너지단체

2011-05-31

공무원단체

2011-10-25

시민환경단체 시찰

2011-06-01

전남교육공무원단체

2011-11-02

시민환경단체 시찰

2011-06-10

에너지단체 시찰

2011-11-10

자연보호단체

2011-06-14

중앙공무원단체

2011-11-10

언론인단체

2011-06-14

서울초등학생

2011-11-24

기후변화연구단체

2011-06-21

에너지절약시민운동

2011-11-29

언론인단체

2011-06-21

중앙공무원단체

2011-12-06

시민환경단체 시찰

2011-06-21

에너지공학과전공대학생

2011-12-09

기후변화연구단체

2011-06-30

서울교육공무원단체 시찰

2011-12-09

방송인단체

2011-07-08

언론인단체

2011-12-13

충남환경보호단체

2011-07-25

환경봉사단체

2011-12-21

에너지단체

※ 원자력문화재단,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2011년 계정별원장), 재구성

4) 대국민홍보사업의 개선방향 원자력문화재단의 사업은 한 가지 에너지원을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 으므로 그 목적이 공적 기금인 전력기금의 방향과는 맞지 않다. 따라서 원자력문화재단의 사 업은 앞으로 전력기금의 지원이 아닌 한수원 등 원전산업계의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72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실제로 일본과 미국의 원자력 홍보기관을 살펴보면, 전력회사의 출연금이 해당 사업을 위 해 출연되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1969년부터 원자력문화진흥재 단을 설립하여 대국민 홍보를 전개하여 왔는데 그 수입구조를 보면 정부수탁사업보다 전력회 사 출연금 비중이 높으며, 미국, 프랑스, 영국, 대만 등도 원자력발전 국민이해사업을 적극 수행하고 있는데 미국의 원자력에너지협의회는 전체 전력회사 출연금으로 운영하고 있다. ❙표 46❙ 국가별 원자력 홍보기관 비교 구

지배구조 조

설립연도 인

주요사업

수입구조

일 본

한 국

미 국

원자력문화진흥재단

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에너지협의회

이사회

공공기관운영법 등

이사회

1국, 4부(2과, 6그룹)

4실, 1전시관

1국, 2위원회(5그룹)

1969년

1992년

1953년

61명

51명

132명

・홍보조사활동 ・국민홍보사업 ・학교교육 협력사업 ・언론홍보사업 ・전시관 운영사업 ・지역협력,국제협력

・언론, SNS 등 매체활용 ・정보제공 및 국민홍보 ・차세대 원자력교육 ・문화행사 ・여론조사 등 조사연구 ・국제협력

정부 수탁사업< 전력회사 출연금

정부 출연기금> 전력회사 수탁사업

・산업정책개발 ・산업진흥포럼진행 ・원자력홍보 ・원자력정보제공

전력회사 출연금

※ 지식경제부, 2013년도 기금운용계획(안), 2012.10, 수정

또한 원자력문화재단이 가지고 있는 홍보에 대한 전문역량이 재생에너지 홍보와 수요관리 홍보 등에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타홍보예산과 비교했을 때 원자력문화재단의 예산은 전 력기금 전체 홍보 예산 중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이에 홍보환경의 변화와 인식의 변 화 등에 민감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왔다. 따라서 앞으로는 전력기금 에서 원자력이라는 한 가지 에너지원에 치우친 홍보가 아니라, 공적 기능을 강화한 홍보에 그 역량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4. 기타지원(민간환경감시기구)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의 한 분야로 지원되는 민간환경감시기구는 원자력발전소 주변지 역의 환경방사능 조사 및 안전 감시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현재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기장, 영광, 울진, 울주, 경주 등 5개 지역에서 설립・운영 중이이며, 최근 3년간 지원된

7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예산과 5개 지역별 예산은 아래와 같다. ❙표 47❙ 민간환경감시기구 지원예산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고리

영광

울진

신고리

월성

합계

2010

560

735

520

407

428

2,650

2011

525

548

540

449

438

2,500

2012

547

572

566

364

451

2,500

※ 지식경제부, 2013년도 기금운용계획(안), 2012.10

각 민간환경감시기구의 구성 현황을 보면, 고리 지역이 1998년 10월로 가장 먼저 설립되었 고, 가장 최근에는 경주에 2007년 11월 설립되었다. ❙표 48❙ 민간환경감시기구 설립현황 구분

설립시기

기장군(고리)

인원(명) 위원회

센터

1998. 10

15

8

영광군(영광)

1999. 3

19

8

울진군(울진)

2003. 4

20

9

울주군(신고리)

2006. 8

20

5

경주시(월성/방페장)

2007. 11

22

9

※ 지식경제부, 2013년도 기금운용계획(안), 2012.10

원자력발전이 운영 중인 다른 국가에서도 우리의 민간환경감시기구와 같은 것을 운영하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현(지방정부)과 사업자간 협약을 맺어 원전환경감시센터에서 안전감시 를 시행하고, 지역주민들에게 감시결과를 공표하여 신뢰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 한 독일과 프랑스 등도 감시업무수행 및 결과도출로 주민들에게 원전시설로부터 정서적 안정 감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민간환경감시기구는 필요장비의 부족과 예산 부족 등으로 제대로 된 조사 및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12년 국정감사를 통해 제출된 지식경제부 원전산 업정책과의 자료를 살펴보면, 신고리의 경우 감마핵종분석기가 1대에 불과하고, 울진과 신고 리의 경우 장비를 갖춘 감시용 차량이 한 대도 없는 실정이다. 공기시료채집기는 영광과 울 진에만, 알파핵종분석기는 영광과 월성에만 있고, 나머지 지역은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74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기본적인 장비와 시료 등이 갖추어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조사 및 안전 감시가 이루어지길 기대하기는 어렵다. 최근 원자력발전소의 납품비리, 잦은 고장, 운전 중 단 등이 드러나고 있는 바 지역주민들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기 때문에 민간환경감시기구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민 간환경감시기구가 현실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금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5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사업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사업에는 위에서 정리한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을 비롯 해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사업, 국제핵융합실험로공동개발사업,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 (R&D),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 등을 포함한다. 위 사업은 후쿠시마 핵사고를 기회 삼아 원전사업의 해외진출가속화를 위한 원전수출 중심 의 기능인력양성 및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운용된다. 2008년 시작된 국제핵융 합실험로공동개발 사업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명박 정부 출범 후 계획된 신규 사업이다. 전력기금의 목적이 전력산업의 공적 기능을 유지하고 시장 실패를 예방하기 위한 것임을 감안할 때 원전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본 취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타당성을 검 토해 볼 필요가 있다. ❙표 49❙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사업 세부사업 시행시기 사 업 명

시작년도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2002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2011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

2012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2012

국제핵융합실험로공동개발

2008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5-1.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전력기금은 원전수출 대상국의 원전 인력개발, 법・제도 등 인프라 구축, 원전도입 타당성 조사 지원 등을 통한 한국과 한국형 원전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 조성을 통해 원전수출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하여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7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이 사업은 2011년에 34억원 민간보조로 시작하였으며, 12년에는 44억, 13년에는 41억원 계 획되었다. 세부사업내용을 살펴보면, 원전도입국 원전수용성 제고를 위한 세미나 개최나 전문 가 파견, IAEA와의 협력사업 추진 등을 포함하는 ‘원전수출기반조성사업’에 22억원, 원전도입 국 및 ASEAN 등 정부고위인사와 실무자에 대한 연수를 위한 ‘원전도입대상국 원자력 전문인 력양성’에 12억원, 그리고 원전수출 중점추진 국가 대상으로 원전도입 타당성을 조사하고 양국 간 공동연구를 수행키 위한 ‘원전수출 타당성조사사업’에 6억원 등이 계획・집행되었다. ❙표 50❙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세부사업내용 사업명

세부항목

원전수출기반 조성 원전해외 수출기반 구축

사업비 (백만원)

내 용

ㅇ 원전도입국 원전수용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파견 및 세미나 개최 등 ㅇ IAEA와의 협력사업 추진 2,200 ㅇ 최초 원전 도입국 인프라 구축 및 인지도 제고, 기 존 원전 보유국 국산화 제고 및 기술자립기반 제 공, 한국형 원전 홍보활동 및 인지도 확산 사업

원전도입대상국 원자력전문인력 양성

1,300

ㅇ 원전도입국 및 ASEAN 등 정부고위인사 및 실무자 전문인력 연수 실시, 교육기술 자문, 교재개발 등

원전수출타당성 조사

600

ㅇ 원전수출 중점추진 국가 대상으로 원전도입 타당성 조사, 부지 기초조사, 입찰리스크분석 등 양국간 공동연구 등 수행

4,100

※ 지식경제부, 2013년도 기금운용세부사업설명자료

하지만, 이 사업 내용에 타당성 조사 사업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아직 타당성 조사 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원전 도입국에 대한 홍보활동이나 고위급/실무급 인사 초청 시찰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지난 10월, 한전은 이미 2010년 6월에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추진하던 터키 원전 수출을 사 실상 포기한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한전이 시노프 원전 사업을 위해 현지 법인을 운영했 으나, 터키 정부가 지급보증을 꺼린 데다 전력판매단가를 낮게 책정하는 등 협상이 불투명해 사업을 포기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원전해외수출사업이 이렇게 무리하게 추진되는 데는 다른 이유도 있다. 전력기금으로 추진 되는 사업은 부문별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의・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 평가위원 회 구성이 모두 원자력산업계와 관력학계, 그리고 관련 연구계 인사들로만 구성되어 타당한 평 가를 내릴 수 없다. 지경부에서 제출한 평가위원회 명단을 보면, 한수원 임원, 두산중공업 임

76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원, 원자력공학과 교수, 원자력연구원 등이 그 평기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1❙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사업 평가위원회 구성 현황 구분

’11. 7. 18

1. 원자력 퇴직인력 활용 기반조 성 및 원전수출 지원사업 2. ASEAN지역 원전수출 기반구 축을 위한 인력양성사업

성 명

산 업 계 (3) 학 계 (2) 연 구 계 (2) 산 업 계 (3)

’11. 8. 9

한국형 원전수주를 위한 원전도 입대상국 원자력 인력양성지원

학 계 (2) 연 구 계 (2)

고○○

한국수력원자력(주)

팀장

백○○

두산중공업

부장

이○○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처장

김○○

경희대학교

교수

김○○

숭실대학교

교수

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부장

왕○○

한국전기산업연구원

팀장

이○○

한국수력원자력(주)

처장

송○○

한전해외원전개발처

부장

이○○

미래와 도전 신뢰도연구팀

부장

김○○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

정○○

제주대학교 에너지공학과

교수

정○○

원자력안전기술원

실장

이○○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장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발췌

이런 상황에서 전력기금의 취지와는 무관한 사업이 기금 지원 사업으로 선정되기도 하고, 선정 된 후에도 타당성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원전 수출 지원을 무작정 추진하는 것이 공공기금으로 지원되어야 하는 것인가부 터 시작하여 그 타당성까지 제대로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5-2.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은 ‘수출 원전 중심의 고급 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 을 추진 중인 뺷국제 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뺸의 시범사업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원전 기능 인력 양성 교육 추진하고 원전 기초 기능교육을 통해 원전 관련 일자리 확대로 정부 주요 정 7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책인 청년 실업난 해소와 국내외 원전건설 관련 일자리 확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12년 신규 사업으로 시작되어 4년간 10억원씩 총 40억원이 지원될 계획이다. 국제원자력기능인력양성사업단을 구성하여 추진하며 한수원과 경북도, 경주시가 그 설립비 용을 분담하도록 되어 있다. 전력기금에서 이 사업을 지원할 필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는 바, 이는 국민 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원자력 중심 정책을 강행하고 있는 정부의 정책만을 반영한 것이다.

<국제원자력기능인력양성사업 지원 필요성> ㅇ 국내 원전 증설 및 원전 수출 증가 전망으로 기능인력수요 증가 ㅇ 원전 건설분야 향후 10년간 연간 11만명의 추가 수요 추정되며 ’20년까지 1만명 수준의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함 - 국가계획 반영시 ‘30년까지 원자력 인력은 발전분야 3만6천명, 연구분야 2천3백명 등 총 9 만4천명 필요 전망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9) ㅇ 사업 추진의 효율성 및 원활한 운영을 통한 질 높은 원자력 관련기능인력 양성을 위하여 예산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지식경제부, 2012년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전세계적으로 볼 때 원자력 발전은 더 이상 미래 산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우리 정부만 원자력 발전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정책전문가인 마이클 슈나이더 분 석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의 가동 수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림 6❙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수

참고 : 마이클 슈나이더 컨설팅

78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전력기금은 전기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재원으로 그 성격이 공공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어떤 에너지원에 대해 지원을 할 것인가, 어떤 에너지원이 더욱 공공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판단 또한 전기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결정되어야 한다. 현재의 전력기금이 그 취지와는 다르게 정부정책만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앞으로는 국민들의 의견과 여론을 반영하여 사업계획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녹색성장기반확충

녹색성장기반확충 사업으로는 현재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태양광발전보급지원, 신재생에 너지발전차액지원 등 3가지 사업에 지원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이같은 지원은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줄이고 친환경 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가치를 가지고는 있으나, 재생에너지가 발전 초기 시장경 제에서의 경쟁력이 약하므로 스스로 시장경쟁이 가능한 시점까지 한시적으로는 전력기금에 서 지원하는 것으로 타당하다.

6-1.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를 지원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발전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전력기금에서는 신재생에너지보급융자사 업을 진행한다. 초기투자비가 크고 경제성이 낮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장기 저리로 지원함으로써 사업자의 초기 투자비에 대한 부담을 낮추어 신재생에너지보급 확 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이 사업은 2006년부터 전력기금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발전설비 를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시행 하고 있다. ❙표 52❙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사업 지원 내역 (단위: 억원) 사업명

’08계획

’09계획

’10계획

’11계획

’12계획

’13요구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740

740

200

200

180

15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7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현재 시행되고 있는 발전원별 융자는 풍력과 연료전지 분야가 많고, 그 다음이 소수력 분 야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주택의 경우에는 태양광에 의존해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므 로 개인 주택의 초기 설치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태양광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2012년까지는 연료전지와 풍력, 소수력 등이 지원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20억원을 주택용 태양광 분야에 지원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표 53❙ 에너지원별 금융지원 실적 (단위: 백만원)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태양광

54

40,506

1

27

-

-

소수력

1

1,785

3

2,775

1

1,087

풍 력

2

20,642

3

11,886

4

8,154

바이오(LFG)

-

-

-

-

-

-

연료전지

4

11,067

2

5,312

2

10,759

합 계

61

74,000

9

20,000

7

20,00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6-2. 태양광발전보급지원 재생에너지 중에서 일반 가정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태양광 이다. 하지만 초기 설치비가 부담되기 때문에 설치가 그리 용이하지만은 않다. 이에 주택 대 상 태양광 설치비 지원을 통해 가정의 에너지 비용을 경감하고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시장 창출 및 투자환경 조성하기 위해 전력기금에서는 2013년도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보금자리주 택 포함)에 태양광설비 설치지원을 위한 사업비 26,088백만원을 확보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표 54❙ 태양광발전보급지원 사업 지원 내역 (단위: 억원) 사업명

’08계획

’09계획

’10계획

’11계획

’12계획

’13요구

태양광발전보급지원

490

690

600

500

550

261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태양광 주택의 보급은 고용시장을 창출하고,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킬 뿐 아니라, 가정의 에 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주택에 태양광 설비를 보급할 필요

80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성은 높으나, 아직은 설치비가 민간의 자발적 투자를 유도하기에는 높은 수준이므로 전력기 금에서의 초기 지원을 통해 보급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2013년도 태양광발전보급 사업이 전력기금 계획에 반영된 사업비 규모를 보면, 2012년에 비해 많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재생에너지 보급의 의지가 전반적으로 높 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례로 2009년도 전력산업기반기금 내 일부사업에 대해 소요액 이 증가하면서 그 재원확보를 위해 태양광발전보급 사업에서 100억원을 감액했던 사례25)가 있는데, 이 역시도 재생에너지 보급에 강한 의지가 부족함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표 55❙ 2012년 계획 대비 달라지는 2013년 요구 내용 구

□ 태양광발전보급

▪ 태양광발전보급

’12계획

’13요구

55,000백만원

26,088백만원

- 단독주택지원 : 4,463호 - 단독주택지원 : 5,217호 (지원 보조율 40%) (지원 보조율 50%) - 민간공동주택지원 : 4,808호 - 민간공동주택지원 : 5,607호 (지원 보조율 40%) (지원 보조율 50%) - 에너지복지실현 확대를 위해 보금자리주택 - 보금자리주택지원 : 11,682호 4,743백만원 확대지원으로 8,012호 지원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그림 7❙ 신재생에너지와 핵발전에 대한 세계 투자 결정

출처: 마이클 슈나이더 컨설팅

25)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8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기금에서의 지원이 감소한 우리나라와는 달리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에 투자는 계 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마이클 슈나이더 컨설팅 자료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세 계 투자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1994~2005년에 걸쳐 주거용 태양광발전 보조금지원제도를 시행하여 256천가구에 945,200kW 보급한 바 있다. 독일의 경우에도 1,000호 태양지붕프로그램 (1,000 Solar Roofs Program, 1991~1995)을 실시하여 전력계통에 연계된 주택용 태양광발 전에 대해 설치비의 전액을 지원하고, 미국은 태양주택 100만사업(MSR : Million Solar Roofs Initiative)을 추진하여 태양광 및 태양열주택 보급 활성화를 통해 태양광기술향상, 일 자리창출, PV생산 활성화, 태양광설치단가 인하 등 도모하기도 했다26). 이런 예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많이 늦어진 것이 사실 이며, 그 속도나 규모 또한 아직까지 미흡하다 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에 대한 지원은 앞으로 대규모 발전소 중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체계에서 소규 모 중심의 에너지 체계로 바꿀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고용창출과 에너지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일정 정도의 규모로 태양광 시장이 성장하기까지 전력기 금에서의 지원을 확대해나가야 할 것이다.

6-3.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FIT)은 소수력, 풍력, 태양광, 매립가스 등 청정에너지원을 사 용하여 생산하는 전력을 우선구매하고 기준가격과 계통한계가격의 차액을 지원함으로써 신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을 촉진하고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행되며 에너지관리 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서 그 사업을 맡아 시행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은 2001년부터 시행되었으며, 2013년 전력기금에서는 신재생에 너지 발전차액지원을 위한 사업비 3,460억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2013년 지원대상 발전 용량 은 1,019MW이다. 초기부터 발전차액지원액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본격 시행함에 따라, 2011년 말까지 발전차액 지원대상으로 최종 선정된 발전소에 대하여만 15년 또는 20년 동안 차액 지원하는 것으로 하면서 그 지원액이 감소하고 있다. 사실상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중단하고 의무할당제로 정책을 선회하는 것이다. 26)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2012.10

82


Ⅴ.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세부사업별 개요 및 문제점 ㅊ

❙표 56❙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사업 지원 내역 사 업 명

’08계획

’09계획

’10계획

’11계획

’12계획

’13요구

ㅇ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

1,266

2,627

3,318

3,950

3,950

3,46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재구성

하지만, FIT와 RPS가 각각의 장점이 있고, 두 제도가 가져올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결과 가 다르며, 또 제도가 한 번 시행되면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생기는 것을 고려하면 두 제도를 일정기간 병행 운용하면서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취하는 것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FIT를 배제한 RPS의 전면 도입은 사실상 민간의 재생에너지 설비투자를 억제할 것이고, 대형 발전사업자의 설비투자 부담을 가중시켜 국민이 전기료 인상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부작 용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민간에서 소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안정적으로 투 자할 수 있도록 해주는 FIT를 병행하거나, RPS 내에 FIT에서의 장점들을 도입하여 운영한다 면 정부의 재정부담도 덜면서 보호육성이 필요한 재생에너지 산업을 간접 지원할 수 있다27). 따라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중단과 의무할당제 도입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검토하여 소규모 민간 기업들도 재생에너지 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표 57❙ RPS 주요내용 요약 구 분

주 요 내 용

법적근거

ㅇ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의 5 부터 제12조의 10

시행시기

ㅇ 2012. 1. 1부터 시행

개념

ㅇ 일정용량 이상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발전사업자의 총발전량의 일정량 이상을 의무적 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토록 의무화하는 제도

대상

ㅇ 500MW 이상 발전설비(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제외)를 보유하고 있는 발전사업자

적용 기관

ㅇ 6개 발전자회사(한수원, 남동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한국지 역난방공사, K-water, 포스코에너지, K-파워, GS EPS, GS파워, MPC율촌 등 13 개 발전회사

목표 설정

ㅇ 공급의무자별 의무공급량 연 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의무비율(%)

2.0

2.5

3.0

3.5

4.0

5.0

6.0

7.0

8.0

9.0

10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27) 이희선・안세웅, 「의무할당제(RPS)시행과 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뺷환경포럼뺸, 2011.4.

8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Ⅵ 해외사례



Ⅵ. 해외사례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해외사례

1

전력분야 공익 기금 사례

1-1. 미국28) : 에너지효율향상, 저소득층 지원, 재생에너지 투자에 사용 미국의 경우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라 설치된 미국의 전력부문 공익기금으로 계통편익기 금(SBC: system benefit charge) 혹은 공공재 기금(PGC: public goods charge)을 두고 있 으며, 뉴욕, 캘리포니아 등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실시한 대부분의 주들이 공공적 기능의 사 업을 위하여시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공익기금은 모든 전력소비자의 전기요금의 일정분 혹은 전력회사의 출연에 의해 적립한다. 뉴욕 주의 경우 구조개편 초기인 1998년에 계통편익부과금(SBC)이라는 명칭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다. 제3기(2006년~2011년)의 사업규모는 연간 175백만 달러, 총사업규 모는 7억 9천9백만 달러, 그 중 효율향상 사업이 4억 2천7백만 달러로 전체의 57.8%에 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저소득층 지원에 전체의 23.8%인 190백만 달러를 책정하고 있다. ❙표 58❙ 각 연도별 세부사업 예산내역 (2008~2011) (단위: US$) 주요프로그램

2008

2009

2010

2011.1.1~6.30

소계

피크부하, 효율향상, 봉사및교육활동

84,198,402

86,411,980

86,818,508

43,498,252

426,733,562

연구개발

36,400,000

36,400,000

36,400,000

18,200,000

182,000,000

저소득층지원

38,052,000

38,052,000

38,052,000

19,026,000

190,170,000

사업관리/평가

19,401,797

19,355,630

19,207,150

9,512,870

97,055,331

총계

178,052,199

180,219,610

180,477,658

90,237,122

895,958,893

※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28)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8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위 사업의 시행으로 뉴욕주의 전력소비량은 연간 약 1,700GWh 절약된 것으로 나타나며, 피크수요는 1,000MW 정도의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환경편익 또한 제고되었으며 사업추진 에 따라 연평균 4800개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과가 나타났다. 뉴저지주의 경우 1999년 사회적 편익기금(Societal Benefit Charge)이라는 이름으로 도 입되어 시행되고 있는데, 사회적 프로그램과 원자력발전소 폐지, 보편적 서비스기금, 가스 공급을 위한 석탄발전소의 환경 개선, 고객 교육, 수요관리 및 에너지효율향상기기 보급 지 원 등 6개 분야로 추진하고 있다. 그 중 원자력발전소 폐지를 위해 기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기금 총액의 47%를 수요관리 및 청정에너지 프로그램에 배분하고 있는 것은 참고할 만하다. ❙표 59❙ 뉴저지주주 SBC 프로그램 지출 비중 구분

보편적 서비스기금

원자력발전 수요관리/청 가스발전소 고객교육 징수불능 폐지 정에너지 개체

금액 (백만)

$158.7

$20.0

$251.3

$52.7

$1.0

비중(%)

29.8

3.8

47.1

9.9

0.2

기타

총계

$40.4

$9.3

$533.4

7.5

1.7

100

※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캘리포니아주의 공공재기금(Public Goods Charge) 역시 에너지효율향상과 청정환경 향 상, 저소득층 에너지비용 감소 등을 목적으로 신재생에너지(5억4천만 달러), 효율향상(8억7 천2백만 달러), 기술개발(6천2백오십만 달러)에 4년 동안 지원되었다.

1-2. 영국29) : 배전회사의 에너지절약 감축 목적으로 ‘에너지절약 기금’ 운영 영국 정부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Rio 협약 준수 지원을 위한 기금과 신재생자원개발을 위한 재원 두 가지 계통편익부과금을 운용하고 있다. 각 배전회사는 에너지절약 목표를 부여받고 목표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자금을 배정 받게 되는데, 그 목표 설정과 자금 배분, 각 전력회사의 성과 감시 및 평가를 위해 정부법인 의 형태로 ‘에너지 절약 기금’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29) 한국전력공사, 전력산업구조개편에 따른 한전의 공익사업 처리방안 연구, 1999.11.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88


Ⅵ. 해외사례 ㅊ

또한 화석연료부담금(FFL)으로 조성되는 비화석연료의무(NFFO) 기금의 5%는 신재생자원 개발에 사용하고 있다.

1-3. 노르웨이 : 기금의 자가증식 가능으로 부과금 폐지 노르웨이의 계통편익부과금의 역사는 좀 더 오래되었는데, Norway and Oslo Energy는 에너지 효율투자에 대한 융자를 위한 자본의 풀(기금)을 설립하기 위해 1982년부터 사용량 기준의 부과금을 징수하였다. 이 기금이 149백만 달러가 징수되어 자가 증식이 가능한 수준 이 되면서 10년 만에 부과금 제도를 폐지했는데, 현재 이 기금으로부터 거의 모든 수용가 그 룹에 걸친 약 2만의 수용가에 대해 융자 지원이 되고 있다. ❙표 60❙ 해외 공익기금 운영사례 구분

뉴욕주

미국

역할 및 사업 내용

• 1998년 SBC(계통편익부과금)라는 명칭으로 기금 공익프로그램 도입 • 목적: 에너지 효율향상 증진, 청정환경 향상, 저소득주민의 에너지 비용으로 인한 재정부담 감소 • 주요사업: 피크부하, 효율향상, 지역사회 및 교육, 연구개발, 저소득층 지원, 사업관리 및 평가 등

• 1996년 캘리포니아 전력산업구조개편 추진 이후 PGC(공공재 지금) 창설 • 목적: 에너지 효율향상 증진, 원자력 폐지, 청정환경향상, 기술개발, 저소득주 캘리포니아주 민 에너지 비용 재정부담 감소 • 주요사업: 신재생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저소득층 요금 할인

뉴저지주

• 1999년 사회적편익기금이라는 명칭으로 도입 • 목적: 수요관리 및 에너지효율향상기기 보급 지원 등 • 주요사업: 저소득층 보편적 에너지 공급, 원전 폐로, 수요관리, 석탄발전소 환 경개선, 고객 교육 외

영국

• 에너지효율사업을 위해 배전회사의 전기사용자에게 정액 계통편익부과금 부과 (평균 전력요금의 0.3%) • 목적: 온실가스 저감, 신재생에너지 지원 등 • 정부 법인 에너지절약기금 설립

노르웨이

• 에너지효율투자 융자지원을 위한 기금 설립을 위해 1982년 계통편익부과금 도 입, 기금의 자가증식으로 10년만에 부과금 제도 폐지 • 에너지효율사업 지원

※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8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 사례

2-1. 일본 : 원전시설 방재 확충과 정비 강구 일본은 1974년에 전원3법(전원개발촉진세법, 특별회계에 관한 법률, 발전용시설주변지역 정비법)을 제정하여, 전기사업자로부터 판매 전력량에 대응하는 세금을 징수한 후에 이를 발 전용시설 주변지역의 시・정・촌에 교부하는 교부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전원개발촉진세법은 발전시설의 설치 촉진, 운전의 원활화, 이용의 촉진, 안전 확보 및 발 전시설에 의한 전기공급의 원활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반전기사업자의 판매전기에 전원개발 촉진세를 부과하도록 하고, 특별회계에 관한 법률에서 전원개발촉진세에 의한 수입을 발전용 시설의 주변지역정비와 안전대책을 비롯하여 발전용시설의 설치 및 운전의 원활화를 위한 교 부금이나 보조금 등으로 교부한다. 마지막으로 발전용시설주변지역정비법은 발전용시설의 주변지역에서의 공공시설의 정비 등을 촉진하고, 지역주민의 복지향상을 꾀하며 발전용시설 의 설치 및 운전 원활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도도부현이 공공용시설정비계 획이나 편리성향상 등 사업계획을 작성하여 그에 근거하여 교부금을 교부하고 있다30). 그 외에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에 해당되는 방식으로서, 원전시설의 각종 사고에 대비한 방재를 확충하고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산업기반 등 종합적이며 광역적인 정비에 필요한 특 별조치를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1년「원자력발전시설등 입지지역의 진흥에 관한 특별조 치법」(이하,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어 국가 차원의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다. 또 제도적 장치와 는 별도로, 개별 전력회사에서 주변지역의 발전을 위해 각종 지원이나 시설 투자를 하는 식 으로도 지원사업이 추진된다.

2-2. 프랑스 : 주민동의 없는 추가 발전소 건설은 못하게 법으로 규정 프랑스 원자력발전사업 초창기에는「대규모 현지화 제도」를 통해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 업으로서, 고용촉진, 공공기반시설 정비,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설립 자금 지원 등이 시행되었 으나, 현재는 지원이 크게 축소 또는 소멸되었다.

30) 일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전원 입지제도의 개요, 2011.

90


Ⅵ. 해외사례 ㅊ

프랑스의 지역주민들은 대국민홍보 및 공공협의를 통해 발전소 수용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 들이고 있어 발전소 주변지역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발전소주변지원사업의 목적 이 발전소 건설의 수용성 제고임을 감안할 때 프랑스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프랑스는 지역주민과의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통한 이해관계 해결을 하고 있으며, 해당지역 에 직접 찾아가 지자체장, 지역대표, 지역주민, 환경단체, 각 학교대표를 대상으로 공청회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고, 의사전달 과정에서 고용창출을 주로 한 지원사업 내용의 효과를 전달 함으로써, 지원사업에 대한 효율성 또한 제고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는 에너지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대국민 홍보 및 공청회 등 국민이 참여하는 절차를 거친다. 2003년 1월에는 미래 에너지정책 결정을 위해 국민토론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국민 토론회에서는 에너지 수요와 공급, 일상생활 속에서의 에너지 이용, 에너지와 산업 과의 관계, 화석연료, 재생에너지, 원자력 및 핵연료 주기 등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는데 이 토론회를 통해 프랑스 정부는 국민에게 에너지 문제와 이에 대한 대책을 설명하고, 향후 30 년을 위한 에너지정책 결정과정에 국민이 참여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표 61❙ 프랑스의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내용 분야

지역지원

주요내용

- ‘사업세’에 의한 지역 지원사업 ・ 과세표준: 고정자산, 급여의 20% ・ 배분・입지행정지역 40~60%, 나머지는 인근지역 배분 - 대규모 공공사업현장지원제도 ・ 도로, 주민고용, 지역업체 참여 등 계획수립 추진 - 지역업체 건설공사 참여 : 토목공사 10%, 전기공사 등 - 공공시설 투자 일부부담 또는 후원 ・ 지자체 및 EDF(프랑스전력공사) 협의 - 특별추가 지역세 ・ 사업소세와 별도로 지역에 납부하는 추가세

지역주민고용

- 대규모 지역개발 계획 고용 ・ 건설시 토목 80%, 기기설치 50% - 원자력 인근주민 고용 : 운전요원 1/3채용, 작업원: 50~100명

전기요금지원

- 원전주변지역 6~10% 전기요금 할인

지역융화제도

- 직원1호주택 권장제도 - 건설중 외부 노동자 분산 제도

※ 동국대학교 지역정책연구소・에너지복합연구원, 지역공존형 발전소 건설을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개선 연구, 2009.

발전소 건립시 지원되는 사업(우리나라의 특별지원사업에 해당)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 도적으로 지원사업을 정의하여 지원하고 있지 않다. 다만, 사업자가 세금을 내는 재원을 활 9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용하여 원전사업자와 무관하게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발전소 주변지역에 공공시설, 복지시 설, 병원시설 등에 지원해주고 있다. 발전소 건립 시 기존 부지에 짓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 고, 추가 건설을 위해서는 공청회를 통해 주민동의를 반드시 얻어야 한다. 실제로 플라망빌 3호기 건설시 최초로 공청회를 도입하였으며, 21회의 공청회를 실시하였다.

2-3. 대만 : 송전 및 변전시설까지 주변지역으로 포함 대만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을 총괄하는 기구로 전력개발촉진협력기금관리위원회(일명 전기회)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지원금의 재원은 전력의 발전, 송전, 변전사업에 소요된 총 건설비의 1%와 전력 전기판매금의 1%, 성 직영 혹은 민간 소유의 개별 전력생산회사가 기부 한 기타 지원금으로 이루어진다. 지원금은 발전소 주변지역의 공공시설 건설, 전기요금 지원, 전력개발사업과 관련된 교류 및 홍보, 주민 및 기타 기관의 신청을 받은 사회복지, 산업개발, 문화활동 등의 지역개발사업 에 사용된다. 대만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발전소 주변지역의 범위에 발전시설(발전소와 방사성 폐기물 저장시설 포함)의 소재현(향, 진, 시, 구)과 인접향(진, 시, 구) 뿐 아니라, 송전 및 변 전시설이 소재한 촌(리)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력개발, 송전 및 변전시설의 홍보와 건설 업무, 연구개발을 위해 전체 지원금의 20% 이하를 배분하여 지원하고 있다.

3

신재생에너지 지원 사례

3-1. 의무할당제도(RPS) 도입 국가31) 1) 영국 : 2015년까지 15.4% 신・재생에너지로 충당 목표 지난 2002년 재생에너지 의무사용(RO: Renewable Obigation)으로 정책을 변경하였으며, 이는 큰 틀에서 보면 RPS에 해당한다. 정책적 보급 목표량은 2002년 3%를 시작으로 2015년

31) 이희선・안세웅, 「의무할당제(RPS)시행과 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뺷환경포럼뺸, 2011.4.

92


Ⅵ. 해외사례 ㅊ

에는 15.4%까지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도록 설정하였다. 전기공급자는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사업자에게 전기를 구매하거나 거래시장에서 크레디트(ROC: renewable obligation credits) 를 구매함으로써 의무를 이행할 수 있으며, 의무량의 25% 한도 내에서는 지난 해 사용하지 않은 크레디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전기공급자들이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미달 분에 상응하는 벌금을 납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2) 미국 : 각 주정부별로 RPS와 FIT를 채택하여 시행 아직까지 연방 차원에서의 정책은 수립되어 있지 않으며, 각 주정부 별로 RPS와 FIT를 채 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2009년 현재 29개 주와 워싱턴 DC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RPS제도 를 채택하고 있으며, 버지니아를 포함한 4개 주는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권고 사항으로서 RPS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RPS 제도를 채택한 주라 하더라도 각기 다른 시기에 다른 의무 목표량을 규정하고 있다.

3) 이탈리아 : 연 0.35%씩 재생에너지 사용 의무 발전량 증가 2001년 1월 RPS가 처음 시행되었고, 발전사업자와 수입사업자에게 2012년 7.55%를 목표 로 최초 2%에서 시작하여 연 0.35%씩 재생에너지 사용 의무 발전량을 늘려가고 있으나, 태 양광발전에 한하여 ’90년대부터 FIT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2.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도입 국가 1) 독일 : 전력매입법・재생에너지법 도입으로 재생에너지발전 증가, 일자리 창출 독일식 FIT는 1991년 1월 1일부터 ‘전력매입법’의 발효로 시작되었으며, 1998년에 개정되 었다. 이에 따라 1989년 당시 약 20MW 정도에 불과하던 풍력의 용량이 1995년 1,110MW까 지 증대되었다. 이 결과 독일은 FIT의 도입으로 2000년까지 총 설치용량 6,113MW, 2003년 14,609MW, 2004년 15,688MW용량의 신재생에너지발전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국가 전 력소비의 6.2%에 해당되는 규모로 현재 유럽 전체 국가들 사이에서도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 다. 이러한 풍력산업의 급성장으로 풍력의 제조 및 공급 설치분야, 유지관리분야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전력매입법(1998)의 개정으로 1997년 9,200개에서 1998년 13,000개 9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로 급증하였고, 재생에너지법이 제정된 이후 2003년까지 일자리가 45,400개에 이르렀다.32)

2) 미국 : 최근 들어 FIT에 대한 관심 증가 독일 등 유럽에서의 FIT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RPS가 대세를 이루던 미국에서도 최근 FI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 FIT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캘리포니아 주는 본래 RPS제도를 시행하고 있었으나, 2008년 1월에 FIT제도를 승인함에 따 라 현재는 RPS제도와 FIT제도를 혼합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33)

3) 일본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신재생에너지 20%로 확대 목표 일본은 1994년부터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을 목표로 FIT제도를 시행하였다. 차액지원제도에 따라 2000년까지 풍력 발전량이 1.6TWh까지 증가 하였고, 태양광은 7천만kWh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2005년 재정난 및 경쟁체제 도입 등을 이유로 FIT제도를 폐지하고 RPS제도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원전중심의 에너지계획을 재검토하고 신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를 골자로 하는 새로운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고,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확대키로 하면서, RPS제도를 폐지하고 과거 시행된 바 있는 FIT(차액지원 제도)를 부활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25일 재생에너지원별 조달가격이 제 시되었으며, 전세계 재생에너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3-3. 의무할당제도(RPS)와 차액지원제도(FIT) 비교 및 시사점34) FIT와 RPS가 각각의 장점이 있고, 두 제도가 가져올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결과가 다르 며, 또 제도가 한 번 시행되면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생기는 것을 고려하면두 제도를 일정기 간 병행 운용하면서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취하는 것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공 가능성 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FIT를 배제한 RPS의 전면 도입은 사실상 민간의 재생에너지 설비투자를 억제할 것이고, 대형 발전사업자의 설비투자 부담을 가중시켜 국민이 전기료 인상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부작 용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민간에서 소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안정적으로 투 32) 김유진, 해외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2006. 33) 이희선・안세웅, 「의무할당제(RPS)시행과 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뺷환경포럼뺸, 2011.4. 34) 이희선・안세웅, 「의무할당제(RPS)시행과 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뺷환경포럼뺸, 2011.4.

94


Ⅵ. 해외사례 ㅊ

자할 수 있도록 해주는 FIT를 병행하거나, RPS내에 FIT에서의 장점들을 도입하여 운영한다 면 정부의 재정부담도 덜면서 보호육성이 필요한 재생에너지 산업을 간접 지원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에너지원에 대해서도 규모의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동일한 기술 및 시장 성을 갖춘 동일 에너지원의 경우에도 발전사업자의 규모의 경제에 의한 수익성 및 생산성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는 안정성이 높은 FIT를 적용하고, 대규모 사업자에게는 시장 매커니즘에 의한 가격경쟁을 거쳐 선정되는 RPS를 통해 지원하는 방식의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 실제로 RPS를 도입하고 있는 영국이나 캘리포니아 등은 소규모 발전사업에 대해 사업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높여주기 위해 FIT를 별도로 유지하고 있다. ❙표 62❙ 의무할당제도(RPS)와 차액지원제도(FIT)의 개요 및 장단점 비교 구분

RPS

FIT

◦ 발전량이 사전에 결정 ◦ 생산전력을 기준가격으로 구매 매커니즘 ◦ 발전의무량을 부과하면 시장에서 가격이 ◦ 전력량은 사업자가 결정 결정 목표 설정 ◦ 의무할당으로 정책목표량 달성 용이 가격 설정

◦ 수급여건에 따른 가격 결정 및 변동 ◦ 사업자 간 가격 경쟁 매커니즘 내재

전원 선택 ◦ 전원별 보급 목표량 설정 가능

◦ 공급규모 예측 불확실 ◦ 정확한 공급비용 산정 어려움 ◦ 사업자의 초과이윤 인센티브 ◦ 대상 전원의 발전전력을 모두 구입

장점

◦ 중장기 가격보장-투자확실성, 단순성 ◦ 가격 수준의 유연성 확보 ◦ 안정적 투자 환경-기술개발, 산업성장 ◦ 신재생 사업자 간 경쟁을 촉진시켜 비용 ◦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며, 페널티 부과 등 저감 유도 의 행정비용 부담 없음 ◦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됨에 따라 정부의 ◦ 에너지원의 기술, 경제적 특성을 반영하여 재정부담 완화 가격을 정하므로 기술 다양성 확보 가능 ◦ 사업리스크가 낮아 RPS보다 PF 융자 용이

단점

◦ 경제성 위주의 특정 에너지로 편중될 가 능성이 높음 ◦ 제도도입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전제되어 야함 ◦ FIT에 비해 리스크가 커 사실상 PF방식 융자 곤란 ◦ 기술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경쟁체제 도입 시 외국의 기술이나 제품이 시장을 선점 할 우려가 있음. ◦ 투자불확실성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사업 진출은 저조, 대기업 위주의 산업이 될 가능성이 높음

도입국가 ◦ 미국, 영국, 호주, 한국 등 16개국 실시

◦ 정부의 막대한 재정부담 초래 ◦ 기업간 경쟁부재로 발전단가를 낮추기 위 한 유인 부족 ◦ 적정 가격 수준 책정이 어렵고 가격수준에 따라 사업자가 민감한 반응을 보여 보급규 모 예측, 정책효과나 소요예산 규모 판단 어려움 ◦ 경제성이 취약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 한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경우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초래 ◦ 독일, 스페인, 프랑스, 덴마크, 일본 등 35 개국 실시

9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3-4. 유럽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와 발전차액지원 현황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주고 있으며, 바이오연료 의무할당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아직은 요금상계제도(net-metering)35)와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PS)를 시행하고 있 는 유럽의 나라는 많지 않다. 의무할당은 신재생에너지 전체보다는 바이오연료로 한정하여 의무할당제를 발전차액지원제도와 병행하는 나라가 많다36). ❙표 63❙ 유럽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시행 현황 국가

발전차액 지원

신재생 에너지 의무할당

요금상계 제도

바이오연료 의무할당

보조금

세금혜택

오스트리아

×

×

벨기에

×

덴마크

×

핀란드

×

×

프랑스

×

×

독일

×

×

그리스

×

×

헝가리

×

×

이탈리아

네덜란드

×

×

×

폴란드

×

×

포르투갈

스페인

×

×

영국

×

×

스웨덴

×

×

스위스

×

×

×

※ 주: ● 제도 시행, ▲ 부분적 시행, × 미시행 ※ 에너지경제연구원, 유럽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연구, 2010.

35)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따른) 전력 요금인하 제도. 36) 에너지경제연구원, 유럽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연구, 2010.

96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Ⅶ.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1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이하 조성센터)의 독립

전력산업기반기금은 그 부담금 징수업무는 한전에 위탁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기금의 효율 적인 운용관리를 위해 한국전력공사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를 전담기관으로 지정・운용하고 있다. 조성센터는 한국전력공사의 산하 기구로서 조성센터 인력에 대한 인사권과 운용규정 등을 한전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는 전력기금 설치 이전에 한전이 기반조성사업을 수행하고 있었 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이관되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전력공사의 산하 기관으로 기금이 운용되면 한전과 그 자회사인 한수원의 이 득에 기여하는 형태로 운용될 수 있는 소지가 많이 있다. 한전과 한수원은 우리나라에서 전 력산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업자이므로 전력산업의 기반 조성과 연구개발 등 의 성과에 대해 결과적으로 전력기금의 최대 수혜자이다. 그런데 전력기금의 운용・관리를 함 께 담당하게 되면 사업계획의 수립이나 평가 등에 공정성과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조성센터는 점차적으로 독립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성센터의 경우 이미 인건비 및 운영비 등을 기금 내에서 지출하고 있으므로 별도 예산의 소요 없이 독립기관 설 립이 가능하다. 조성센터의 독립은 한전이 인사권을 가지면서 3년마다 순환보직으로 운영되 던 조성센터의 인력을 보다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력기 금의 운용과 평가에 있어 보다 비판적으로 수립하고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9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기금의 목적 개정과 공익적 성격에 맞지 않는 사업 축소

전력기금이 설치될 당시의 취지를 살펴보면 전력산업이 가져야 하는 공익적인 기능을 정 부가 직접 수행코자 함에서 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력기금의 현 목적은 전력산 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함으로 전기소비 자들에 대한 보편성과 공익성이 고려되지 않고 오히려 ‘전력산업’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정의 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기금의 취지에 맞게 그 목적이 개정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전력산업이 가 져야 하는 보편성과 공익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사업내용 또한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력기금의 규모가 확대되고 여유자금이 많아지면서 전력기금 의 설치 당시 목적과는 다른 사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 역시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그 중에서는 민간사업자가 담당해야 하거나 수익자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전력기금 에서 충당하고 있는 사업들이 많은데, 이러한 사업의 경우는 즉시 수정할 필요가 있다. 먼저 원전 산업에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금의 규모를 즉각 축소・폐지해야 한다. 원 전 산업에 기금이 사용되는 것은 특정 발전원과 특정 기업을 지원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대 기업 중심으로만 지원되는 결과를 낳는다. 특히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원전 분야 지원이 급격히 증가한 것이나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원전에 불안해하는 국민여론을 보면, 공공성에 기반해야 하는 전력기금이 정부 정책만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운용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는 전력기금의 본 목적을 무시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만을 반영한 것이므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사업이라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전기소 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발전 및 전력 사업자에게 귀속되는 사업의 경우에 전 력기금을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재생에너지 육성의 경우 초기 시장에서의 경쟁력 을 갖추기 위한 방안으로 초기에는 전력기금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원전 산업의 경우 이 미 대기업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미 시장에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연구개발 등에 서의 전력기금 지원이 더 이상 필수적이라 볼 수 없다. 이밖에도 원자력문화재단에 출연되고 있는 대국민홍보의 경우에도 원전산업계의 홍보 역

100


Ⅶ.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ㅊ

할로 자리잡은 바, 더 이상 전력기금의 출연은 의미가 없다. 특히 대국민홍보 사업 역시 원자 력 발전업자들의 수익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만큼 발전업자들의 출연금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소주변지역지원 사업 역시 전력기금에서의 분리가 필요한 사업이다.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의 경우 전력기금이 설치된 2001년에는 지원되지 않다가 2002년부터 전력기금에 포 함된 사업이다. 발전소주변지역사업은 보편적 전력공급지원, 수요관리 및 연구개발사업 등와 같이 전기소비자 모두에게 편익이 돌아가는 공익사업이라기 보다는 사업자의 사적비용 성격 이 강하다. 또한 그 지원 규모는 발전원과 발전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되고 있지만, 전기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같은 금액으로 그 비용이 부과되면서 발전원에 대한 차별성을 잃게 만든다. 따라서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은 앞으로 점차적으로 전력기금에서 분리하여 발전소 건설 시 유발되는 문제에 대해 발전사업자들의 노력으로 해결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발전 원가에 포함시켜 발전원별 발전단가를 현실화시키도록 해야 한다. 현재는 유연탄 및 원자력 발전에 대한 지원단가가 높게 책정되어 있어 특정 발전원에 대한 특혜가 있는 실정이므로 이 에 대한 시정이 필요하다. 원자력발전소가 많은 일본의 경우에도 전원3법에 따라 전력회사의 매출액에 대해 일정부 분의 세금을 걷은 것을 재원으로 하여 교부금의 형태로 발전소 주변지역에 지원하고 있다.

3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지원 강화

전력기금의 본래 취지가 전력산업의 민영화 이후 시장 기능으로 자칫 잃을 수 있는 공익성 과 보편적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던 만큼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은 유지, 강화될 필 요가 있다. 특히 유가 상승과 소득양극화로 인해 저소득층일수록 전기요금의 부담이 가계 비중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2008년 통계청 가구동향 조사(서울)에 따르면 소득 최 하위 10%층의 소득 대비 광열비 비율은 평균 34.3%로 소득의 3분의 1 가량을 광열비로 사용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만을 보아도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절실함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전력기금에서 저소득층 지원 사업은 전력효율향상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고효율

10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조명 기기 보급’ 사업의 100억원으로 전력기금의 총 지출사업비 1조 5,856억원의 0.6% 수준 에 불과하고, 전기요금 지원 제도는 한전에서 시행하는 요금 할인과 전력차단 유예 제도가 전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기본권이 유지될 수 없다. 우리의 전력기금 과 유사하게 미국 뉴욕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계통편익부과금의 경우 제3기(2006년~2011년) 의 총사업규모는 799백만 달러이며, 그중 효율향상 사업이 427백만 달러로 전체의 57.8%를 점유. 저소득층 지원에도 23.8%인 190백만 달러가 책정되어 지원되고 있다. 에너지는 현재 국민들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에너지의 보편적인 공급은 ‘에너 지법 제4조’와 ‘전기사업법 제6조’에서 명시된 내용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력 산업의 공적 기 능을 담당하고 있는 전력기금의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복지 지원을 늘려야 한다.

4

전력산업의 환경적・국제적 변화에 따른 재생에너지 지원 강화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탈원전을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국가들이 증가하고 있고, 화석연료 고갈과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는 현재 시장경쟁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므 로 그 때까지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전력기금에서는 발전차액지원제도나 공급의무할당제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 원을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원자력 산업에 대한 지원이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으면서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력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는 연구개발비(R&D) 내역을 보면 2008년부터 2012년가지 신재 생의 경우 9,354억원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적 수준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전세계의 재생에너지 투자비용을 살펴보았을 때 일본의 경우 2011년 기준으로 8.6조US$에 달한다.

102


Ⅶ.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ㅊ

❙표 64❙ 전력산업기반기금 내 R&D 비중 (단위: 백만원) 연도

R&D총액

신재생

2008

421,374

177,156

2009

423,967

182,553

2010

508,791

198,413

2011

514,836

219,805

2012

528,909

157,478

합계

2,397,877

935,405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표 65❙ 상위 10개국 재생에너지 투자 현황 (단위: 1조US$) 구분

2009

2010

2011

미국

22.5

34.0

48.1

중국

39.1

54.4

45.5

독일

20.6

41.2

30.6

이탈리아

6.2

13.9

28.0

인도

3.2

4.0

10.2

영국

N/A

7.0

9.4

일본

N/A

7.0

8.6

스페인

10.5

4.9

8.6

브라질

7.7

7.6

8.0

캐나다

3.5

5.6

5.5

※ 마이클 슈나이더 컨설팅, 2012.

5

비효율적이고 방만한 홍보비 운영 개선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또 하나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홍보비 비중이 지나치게 많다 는 것이다. 지난 3년간 전력산업기반기금이 사용한 홍보비 예산을 보면 2011년 136억원, 2012년 118억원, 2013년 116억 5700만원이 책정되었다. 이에 국회예산처 등에서는 ‘타 부처 의 홍보비 규모 등에 비추어 과도하며,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라 홍보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해당분야에 대하여 재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별 홍보사업들을 통폐합하여 홍보 예산을 전략적・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10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표 66❙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그동안 사용해온 홍보비 총액 사업 내용

기간

금액

전력시장홍보

’02-12년

141억원

원자력대국민홍보

02-12년

1,125억원

주변지역홍보

02-05(폐지)

65억원

전기안전관리홍보

01-12

337억원

수요관리 홍보

01-12

337억원

합계

2,005억원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재구성

따라서 발전업자들에게 직접적인 수혜가 돌아가는 홍보사업의 경우에는 전력기금 내 지출 을 축소하고 발전사업자들의 출연금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특히 원자력문화 재단의 경우 이미 한수원 등의 출연으로 사업을 한 전례가 있는 바, 앞으로의 방향 또한 발전 사업자들의 출연금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재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외에도 전자계홍 보사업의 경우 송전탑 건설을 위한 홍보 내용으로 한전에 대한 지원 사업이므로 전력기금에 서의 지원을 삭감하는 것이 옳다. 또한 국가정책적인 내용의 경우 정부 부처와의 협조와 조 절로 중복 집행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력기금은 전력시장조성 홍보, 전기안전홍보, 수요관리홍보 등을 하나로 통합하여 중복된 사업을 하나로 통합하고 운영하여 효율적인 사업 진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원자력문화재단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인 홍보역량을 십분 활용하여 수요관리홍 보와 안전관리 홍보 등 전력시장의 변화에 맞춰 필요한 홍보의 내용을 더욱 강화하고 효과적 인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

전력기금의 부담요율 인하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기사용자 전기요금의 3.7%를 부담요율로 책정한 법정부담금과 가산 금, 기술료, 융자원금회수, 이자수입 등을 수입 재원으로 하고 있다. 2001년 설치 당시 3788 억원 규모의 예산은 2011년 2조 1238억원, 2012년 계획액 기준 2조 1,974억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3년에는 2조 5694억원이 요구되어 있는 상태다. 전력기금의 재원의 대부분

104


Ⅶ. 전력산업기반기금 개선방안 ㅊ

이 전기소비자의 부담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전력기금 규모가 커지는 것은 소비자의 부담이 늘어나는 것이다. 현재 전력기금은 전력소비의 증가와 지난 8월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전력기금 재원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고, 이에 따라 사업이 방만하게 운용되는 것 뿐 아니라 여유자금이 늘어 나고 있다. ❙표 67❙ 여유자금 운영 계획 (단위: 억원) ’11 실적

’12계획

’13 요구

’14 전망

’15전망

’16 전망

3,036

4,118

6,946

8,086

14,126

22,187

※ 지식경제부, 2013년 기금운용계획 세부사업설명자료

하지만 전력기금은 방폐물관리기금과 같은 적립성 기금이 아니므로 여유재원이 계속 증가 하고 있는 것은 기금의 성격상 맞지 않으며, 사업규모에 맞도록 기금 규모를 축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 전력기금이 통화/비통화 금융기관에 예치하고 있는 여유자금운영의 경우, 국회예산정 책처와 감사원 감사를 통해 적정비중을 설정할 것을 지적받은바 있으며, 최근 한국자원학회 연구용역보고서에서는 적정자금을 지출사업비의 10~15% 수준으로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전기요금 인상분과 전기사용 증가분을 감안하여 요율을 조정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맞추어 전력기금의 취지에 맞지 않는 사업은 제외하 고 효율적이고 공정한 운영을 통해 전력기금 운용이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 해야 한다.

7

시민참여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전력기금의 재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소비자들이 부담한다. 특히 산업용에는 부 과되지 않고 가정용 전기요금에만 부과되므로 일반 국민들이 그 재원을 부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전력기금을 운용하는 과정에는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 로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10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그러다 보니 시민들은 전력기금이 어떻게 계획되고 사용되는지 모르고 있을 뿐 아니라, 심 지어 전기요금에서 3.7%의 전력기금을 부담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결과적으로는 전기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야 하는 전력기금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해 연구된 바 없이 계획・집행되면서 실제 만족도는 낮은 결과는 낳고 있다. 따라서 전력기금의 운용에 대해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전력기금의 사업내용과 운용계획 등이 시민들에게 공개되어 자신이 낸 전력기금이 어 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시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또한 전력기금의 운용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시민공청회를 실시하여 전기소비자들의 목소 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업계획에 반영하도록 하고 계획 뿐 아니라 집행과정에서도 시 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업 집행 과정을 공개하는 것 뿐 아니라 시민 모니터링단 등을 운영하여 집행이 투명하고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프랑스 정부가 미래 에너지정책 결정을 위해 국민토론회를 개최하고 향후 30년 에너지 계 획을 위해 국민참여를 요청한 것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전력기금은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전력 산업이 시장경제에서 자칫 잃을 수 있는 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 라서 이 같은 목적을 한 번 더 상기하면서 전력기금이 보다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을 적극적으로 검토・시행해야 할 것이다.

106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Ⅷ 참고문헌



Ⅷ. 참고문헌 ㅊ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참고문헌

▣ 선행연구자료 • 김영철,「전력산업기반기금 운용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신서철,「전력산업기반기금의 胎動과 運用」, 전기저널(上) 제312호, 2002년 12월호. • 신서철,「전력산업기반기금의 胎動과 運用」, 전기저널(下) 제313호, 2003년 1월호. • 에너지경제연구원,「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계획의 적정수립방안 연구」, 2000. • 에너지경제연구원,「전력산업환경변화에 대비한 전력기금의 지원방향 연구」, 2009. • 윤요한,「전력산업기반기금의 현황과 향후과제」, 전기설비 통권200호, 2002년 4월호. • 정창수,「전력산업기반기금 분석」, 탈핵과대안적전력정책연구모임 정책연구보고서, 2004. • 지식경제부,「전력기금의 성과관리 모니터링 및 지원방안 연구: 최종보고서」(백석대학교 김헌 한양대학교 백동현), 2009 • 한국자원경제학회,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의 전력기반조성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10.

▣ 참고자료 • 「40周年を迎えた 「原子力文化振興財団」」, 原子力eye 55권, 2009년 10월호. • 국민권익위원회, 「발전소주변지역 주민지원사업비 운영 투명성 제고 방안」, 2012. 10. 22 • 국회예산정책처, 「2010회계연도 결산 부처별 분석Ⅲ: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농림수산식 품・지식경제」, 2011.7. • 국회예산정책처, 「2011년도 예산안 부처별 분석Ⅰ [국토해양・농림수산식품・지식경제・기 획재정]」, 2010.11. • 국회예산정책처, 「2011회계연도 성과보고서 평가: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농림수산식 품위・지식경제위」, 2012.7. 10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 국회예산정책처, 「2012년도 예산안 부처별 분석Ⅳ [지식경제・보건복지]」, 2011.10. • 국회예산정책처, 「2013년도 예산안 부처별 분석Ⅳ」, 2012.10. • 국회예산정책처,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홍보예산 분석」, 2012. • 국회예산처, 「2008년도 결산 성과정보 분석-정부사업 성과성보의 신뢰성 부족 유형분석」, 2009 • 기획재정부, 「2011 회계연도 기금운용평가보고서(Ⅰ)[사업운영]」, 2012.5. • 김유진, 「해외사례를 통해 살펴본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 구」,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동국대학교 지역정책연구소・에너지복합연구원, 「지역공존형 발전소 건설을 위한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개선 연구」, 2009. • 동국대학교, 「발전소주변지역지원사업비의 차등지원방안 연구」, • 산업자원부, 「에너지・자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재원조달방안 연구」, 2004. • 석광훈, 「전력수요관리 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대안」, 2004. • 에너지경제연구원, 「유럽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연구」, 2010. • 이희선・안세웅, 「의무할당제(RPS) 시행과 재생에너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환경포 럼, 2011.4. • 일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에너지대책특별회계정보, 2012. • 일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전원입지제도의 개요, 2011. • 일본 문부과학성, 2013년도 에너지특별회계세출개산요구서, 2012. •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홈페이지-사업 및 기금현황 • 전력기반조성사업센터,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9~11. • 정희용, 「에너지산업의 환경변화를 고려한 교차보조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박 사논문, 2005. • 조상민・고아라, 「일본 FIT제도 시행 현황 및 시사점」, (주간)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2-18호, 2012.5.11. • 지경희, 「한국공기업의 홍보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전력의 원자력 홍보실태를 중심으로」, 고려대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지식경제부 원전산업정책과,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 현황」, 2012.9.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9~11. • 지식경제부, 「2013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사업설명자료」, 2012.10 • 지식경제부, 「세입세출 및 기금 결산 사업설명자료(기금별)」, 회계연도 2011 예산결산특 별위원회 공통요구자료Ⅱ-1, 2012. 110


Ⅷ. 참고문헌 ㅊ

• 지식경제부・한국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에너지 관련 교과서 자료 개발 연구-교과서 수 정・보완 내용 성과분석, 2009. • 지식경제위원회 김호성, 2012년도 전력산업기반기금운용계획 변경안 검토보고서, 2012.10 • 지식경제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김호성, 「2010 회계연도 지식경제부 소관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검토보고서」, 2011.8. • 지식경제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김호성, 「2011 회계연도 지식경제부 소관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검토보고서」, 2012.8. • 최성두,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모색-고리원전 지역을 중심으로」, 2009. • 한국개발연구원, 「대내외 여건변화에 부응한 전력산업구조 정책방향」, 2010.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9~11.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우리는 이렇게 활동하였다:원자력 국민수용성 증진을 위해」, 2011.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 홍보전도사가 되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사업성과보고서 (2009-2011상반기)」, 2011. •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원자력일일교사제백서-미래를 바꾸는 하루의 만남」, 2009. • 한국토지공법학회, 「송・변전설비 건설시 피해범위와 적정 편입범위 산출 및 보상방법 연 구」, 2012.

11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Ⅷ 부 록



부 록 ㅊ

[부록 1] 전력산업기반기금 관련법령 1

전기사업법 中 제 5장 제5장 전력산업의 기반조성

제47조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의 수립・시행)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하여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한 계획(이하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이라 한다)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②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전력산업발전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2. 제49조 각 호에 규정된 사업에 관한 사항 3. 전력산업전문인력의 양성에 관한 사항 4. 전력 분야의 연구기관 및 단체의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5. 「석탄산업법」 제3조에 따른 석탄산업장기계획상 발전용 공급량의 사용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③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의 수립・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5.21] [[시행일 2009.11.22]] 제47조의2 (전력정책심의회의 설치 등) ① 전력수급 및 전력산업기반조성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지식경제부에 전력 정책심의회를 둔다. ② 전력정책심의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기본계획 2.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 3.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의 시행계획 4. 그 밖에 전력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사항으로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심의에 부치는 사항 ③ 전력정책심의회의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08.3.28]

11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제48조 (기금의 설치) 정부는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력산업의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 여 전력산업기반기금(이하 “기금”이라 한다)을 설치한다. [[시행일 2001・2・24]] 제49조 (기금의 사용) 기금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위하여 사용한다.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사업자에 대한 지원사업 2. 전력수요 관리사업 3. 전원개발의 촉진사업 4. 도서・벽지의 주민 등에 대한 전력공급 지원사업 5. 전력산업 관련 연구개발사업 6. 전력산업과 관련된 국내의 석탄산업, 액화천연가스산업 및 집단에너지사업에 대한 지원사업 7. 전기안전의 조사・연구・홍보에 관한 지원사업 8. 일반용전기설비의 점검사업 9.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 10.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력산업과 관련한 중요 사업 [전문개정 2009.5.21] [[시행일 2009.11.22]] 제50조 (기금의 조성) ① 기금은 다음 각 호의 재원으로 조성한다. [개정 2010.4.12 제10253호(신에너지 및 재생 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일 2012.1.1]] 1. 제51조에 따른 부담금 및 가산금 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의6제1항에 따른 과징금 3. 기금을 운용하여 생긴 수익금 4.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금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조성된 재원 외에 기금의 부담으로 에너지및자원사업특 별회계 또는 다른 기금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할 수 있다.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제2항에 따라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에는 미리 기획재정부장관과 협 의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5.21] [[시행일 2009.11.22]] 116


부 록 ㅊ

제51조 (부담금)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제49조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기사용자에 대하여 전기요 금(제32조 단서에 따라 전력을 직접 구매하는 전기사용자의 경우에는 구매가격에 제15조에 따른 송전용 또는 배전용 전기설비의 이용요금을 포함한 금액을 말한다)의 1천분의 65 이 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부담금을 부과・징수할 수 있다.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를 사용하는 자에게는 제1항 에도 불구하고 부담금을 부과・징수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자가발전설비(「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른 자가발전설비를 포함한다)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 2. 전력시장에 판매할 전기를 생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양수발전사업용 전기 3. 구역전기사업자(이 법에 따라 구역전기사업자로 보는 집단에너지사업자를 포함한다)가 특정한 공급구역에서 공급하는 전기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부담금의 징수대상자가 납부기한까지 부담금을 내지 아 니한 경우에는 그 납부기한 다음 날부터 납부한 날의 전날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100분의 5 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산금을 징수한다. ④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부담금의 징수대상자가 납부기한까지 부담금을 내지 아 니하면 기간을 정하여 독촉하고, 그 지정된 기간에 부담금 및 제3항에 따른 가산금을 내지 아니하면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 ⑤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과 제3항에 따라 징수한 부담금 및 가산금을 기금에 내야 한다. ⑥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부담금이 축소되도록 노력하고, 이에 필요한 조치를 마 련하여야 한다. ⑦ 부담금의 징수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5.21] [[시행일 2009.11.22]] 제52조 (기금의 운용・관리) ① 기금은 지식경제부장관이 운용・관리한다.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한 업무의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 또는 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③ 기금의 운용・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5.21] [[시행일 2009.11.22]]

11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전기사업법 시행령 中 제 5장~6장 제5장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의 수립 등

제23조(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의 수립 등) ① 법 제47조제1항에 따른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 (이하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이라 한다)은 3년 단위로 수립・시행한다.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전력정책심의회의 심 의를 거쳐야 한다. 이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석탄산업법」 제3조에 따른 석탄산업장기계획에서의 석탄 사용량과, 발전연료로 석탄을 사용하는 발전사업자에 대한 전력거래 가격 및 발전에 따른 비용과의 차액 보전(補塡) 방안 등을 반영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24조(시행계획의 수립 등)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전력산업기반조성계획을 효율적으로 추진 하기 위하여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공고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시행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의 시행에 관한 사항 2. 필요한 자금 및 자금 조달계획 3. 시행방법 4. 자금지원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시행계획의 추진에 필요한 사항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시행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전력정책심의회의 심 의를 거쳐야 한다. 이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전문개정 2009.11.20] 제25조(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의 실시)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전기사업자, 한국전력거래소 및 제16조 각 호의 자(이하 “주관기관”이라 한다)로 하여금 제24조제2항제1호에 따른 전력산 업기반조성사업의 시행에 관한 사항을 실시하게 할 수 있다.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지식경제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하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이라 한다)으로 하여금 제1항에 따라 추진된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의 시행에 관한 사항의 기획・ 관리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18


부 록 ㅊ

③ 주관기관은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중 법 제49조제5호에 따른 전력산업 관련 연구개발 사업(이하 “연구개발사업”이라 한다)을 완료한 경우에는 그 성과를 직접 이용하거나 신청을 받아 다른 사람에게 이용하게 할 수 있다. ④ 주관기관은 제3항에 따라 성과를 직접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이용하게 하는 경우에 는 제26조제1항에 따른 협약에 따라 기술료를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에 내야 한다. 이 경우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은 납부받은 기술료를 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 ⑤ 제1항에 따른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의 참여대상, 제2항에 따른 기획・관리 및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은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26조(협약체결)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을 실시하려는 경우에는 주관 기관의 장과 협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협약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사업과제, 사업범위 및 사업 수행방법에 관한 사항 2. 사업비의 지급에 관한 사항 3. 사업시행의 결과 보고 및 그 결과의 활용에 관한 사항 4. 협약의 변경・해약 및 위반에 관한 사항 5. 연구개발사업인 경우 기술료의 징수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지식경제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전문개정 2009.11.20] 제27조 삭제 <2009.11.20> 제28조(전력정책심의회의 구성 등) ① 전력정책심의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으로 한다. 1. 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환경부・국토해양부 등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3 급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 중 소속 기관의 장이 지정하는 사람 2. 전기사업자, 전력산업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또는 시민단체(「비영리민간단 체 지원법」 제2조에 따른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한다)가 추천하는 사람 중 지식경제부장 관이 위촉하는 사람 11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③ 제2항제2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④ 전력정책심의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전력정책심의회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전문개정 2009.11.20] 제29조(전력정책심의회의 위원장) ① 전력정책심의회의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재적위원 과반 수의 찬성으로 선출한다. ② 전력정책심의회의 위원장은 전력정책심의회를 대표하고, 전력정책심의회의 업무를 총 괄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30조(전력정책심의회의 회의) ① 전력정책심의회의 위원장은 전력정책심의회의 회의를 소 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전력정책심의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지식경제부장관이 요청하는 경우에 위원장이 소집한다. ③ 위원장은 전력정책심의회의 회의를 소집하려는 경우에는 회의일 7일 전까지 회의의 일 시・장소 및 안건을 각 위원에게 알려야 한다. 다만, 긴급한 경우이거나 부득이한 사유가 있 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전력정책심의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開議)하고, 출석위원 과반 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31조(의견청취) 전력정책심의회 및 분과위원회는 안건 심의나 그 밖의 업무 수행에 필요하 다고 인정할 때에는 이해관계인을 출석하게 하여 그 의견을 들을 수 있으며, 관계 전문가 에게 의견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9.11.20] 제32조(수당) 전력정책심의회 및 분과위원회에 출석한 위원과 관계 전문가에게는 예산의 범 위에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인 위원이 그 소관업무와 직접 관련하여 출석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문개정 2009.11.20]

120


부 록 ㅊ

제33조(운영세칙) 이 영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전력정책심의회 및 분과위원회의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전력정책심의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6장 전력산업기반기금 제34조(기금의 사용) 법 제49조제10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력산업과 관련한 중요 사 업”이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말한다. 1. 안전관리를 위한 사업 2. 법 제6조에 따른 전기의 보편적 공급을 위한 사업 3.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 및 전력산업기반조성사업에 대한 기획・관리 및 평가 4. 전력산업 분야 전문인력의 양성 및 관리 5. 전력산업 분야의 시험・평가 및 검사시설의 구축 6. 전력산업의 해외진출 지원사업 7. 전력산업 분야 개발기술의 사업화 지원사업 [전문개정 2009.11.20] 제35조(기금의 조성) 법 제50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입금”이란 다음 각 호의 수입금을 말한다. 1. 제25조제4항에 따른 기술료 2. 기금의 부담으로 차입하는 자금 [전문개정 2009.11.20] 제36조(부담금의 부과기준) 법 제51조제1항에 따른 부담금(이하 “부담금”이라 한다)은 전기요 금의 1천분의 37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9.11.20.] 제37조(가산금) 법 제51조제3항에 따른 가산금은 연체기간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금액으로 한다. 1. 연체기간(부담금의 납부기한 다음 날부터 납부일 전날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하 이 조 에서 같다)이 1개월 이하인 경우: 부담금의 1천분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체일수에 따라 일할계산(日割計算)하여 산정한 금액 12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2. 연체기간이 1개월 초과 2개월 미만인 경우: 처음 1개월에 대한 가산금(부담금의 1천분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말한다)과 1개월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가산금(부담금의 1천분 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체일수에 따라 일할계산하여 산정한 금액을 말한다)을 합산 한 금액 3. 연체기간이 2개월 이상인 경우: 부담금의 1천분의 25에 해당하는 금액 [전문개정 2009.11.20.] 제38조(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한 사무의 위탁 등) ① 법 제52조제2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 하는 법인 또는 단체"란 다음 각 호의 기관을 말한다. 1.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 2. 전기사업자 3. 금융회사 등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법 제49조에 따른 사업에 기금을 대출하려는 경우에는 금융회사 등에 대여하여 이를 운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융자금리 등 융자에 필요한 사항은 기획재정부장 관과 협의하여 정한다.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법 제52조제2항에 따라 기금의 운용・관리에 관한 업무의 일부를 위 탁하는 경우에는 그 위탁받은 기관의 임원 중에서 기금수입 담당임원과 기금지출원인행위 담당임원을, 그 직원 중에서 기금 지출직원과 기금출납직원을 임명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금수입 담당임원은 기금수입징수관의 직무를, 기금지출원인행위 담당임원은 기금재무관의 직무를, 기금지출직원은 기금지출관의 직무를, 기금출납직원은 기금출납공무원의 직무를 각각 수행한다. ④ 기금의 지원 조건・절차 및 사후관리 등 기금의 운용・관리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지식경 제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전문개정 2009.11.20.]

122


부 록 ㅊ

3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2012.1.1] [법률 제10499호, 2011.3.30, 일부개정] 지식경제부(원전산업정책과), 02-2110-4880

제1장 총 칙 <개정 2007.12.27.> 제1조(목적) 이 법은 발전소의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전력사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하여 전원(電源) 개발을 촉진하고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 며 지역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주변지역”이란 「전기사업법」 제2조제4호에 따른 발전사업자(이하 “발전사업자”라 한다)가 가동・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예정인 발전소{「댐건설 및 주변지역지 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다목적댐 발전소와 발전원(發電源)의 종류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용량 이하의 발전소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의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 될 지점으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이 속하는 읍・면・동의 지역을 말 한다. 다만, 수력발전소와 조력발전소의 경우에는 발전(發電)과 관련이 있는 수계(水系)나 저수지의 인근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의 지역을 말한다. <개정 2011.3.30.> [전문개정 2007.12.27.] 제3조(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 등의 설치) ① 제10조에 따른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 이라 한다)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지식경제부에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 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08.2.29> ② 발전소별 지원사업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발전소별로 주변지역지원사업 심의지역위원회(이하 “지역위원회”라 한다)를 둘 수 있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발전소의 경우에는 지역위원회를 두어야 한다. <개정 2011.3.30> ③ 위원회와 지역위원회의 구성・기능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2장 삭 제 <2000.12.23.> 제4조 삭제 <2000.12.23> 12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제5조 삭제 <2000.12.23> 제6조 삭제 <2000.12.23> 제7조 삭제 <2000.12.23> 제8조 삭제 <2000.12.23.>

제3장 지원사업의 시행 <개정 2007.12.27.> 제9조(지원사업계획의 수립)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매년 지원사업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②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구청장은 자치구의 구청 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은 지원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지식 경제부장관과 협의하여 그 지역의 지원사업에 관한 장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1.3.30> 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계획의 내용과 장기계획을 수립하는 지역의 요건 등 지원사업계 획 수립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0조(지원사업의 종류 등) ① 지원사업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1.3.30> 1. 기본지원사업 : 주변지역의 개발과 주민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지원사업 2. 특별지원사업 : 발전소가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예정된 주변지역과 그 특별자치도・시・ 군 및 자치구(이하 "지방자치단체"라 한다)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지원사업 3. 홍보사업 : 전력사업(電力事業)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사업 4. 그 밖에 주변지역의 발전, 환경・안전관리와 전원 개발의 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조 사・연구 활동을 포함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종류별 지원내용, 대상 지역, 시행 기간, 지원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1조(지원사업의 시행자) 지원사업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대통령령으 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행한다. <개정 2008.2.29, 2011.3.30> 1.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2. 발전사업자 3. 원자력에 관한 홍보를 목적으로 「민법」 제32조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124


부 록 ㅊ

설립된 법인(이하 “법인”이라 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2조 삭제 <1995.1.5.> 제13조(재원과 지원금의 결정) ① 지원사업에 드는 비용은 「전기사업법」 제48조에 따른 전력 산업기반기금(이하 “기금”이라 한다)에서 부담한다. ② 제1항에 따라 기금에서 지원사업을 위하여 지원되는 금액(이하 “지원금”이라 한다)의 결정 기준은 발전소의 종류・규모・발전량과 주변지역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3조의2(원자력・수력발전사업자의 지역지원사업) ① 원자력발전소나 수력발전소를 운영하 는 발전사업자는 자기자금으로 지원사업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종류・규모, 지원대상, 지원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발전소의 종류・ 규모・발전량, 가동 기간, 주변지역 및 발전사업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4조(지원금의 사용) ① 지원금은 제10조제2항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 변지역에 사용한다. 다만, 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이나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 등을 위 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주변지역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의 주변지역 외의 지역 에 대하여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원되는 사업의 종류와 지원금의 한도 등 구 체적인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②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둘 이상이면 그 지역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면적비율, 인구비율, 발전소로부터의 거리, 소재지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 에 따라 지원금을 사용한다. 다만, 그 지역의 특수성에 비추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부득 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지식경제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지원금을 사용 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전문개정 2007.12.27.] 제15조(사업의 우선 시행) ①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발전소의 건설로 주거를 이전하게 되는 이주자(移住者)와 생활기반을 상실하였다고 인정하는 주변지역 주민에 대하여는 지원사업 을 우선 시행하여야 한다.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주변지역의 주민에 대하여는 지원사업을 우선 시행 12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1.3.30> 1. 제9조제2항에 따른 장기계획이 수립된 주변지역 2.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건설을 요청한 원자력발전소 및 유연탄화력 발전소(총시설용량이 100만킬로와트 이상인 경우만을 말하고, 발전시설의 증설로 총시 설용량이 100만킬로와트 이상이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주변지역 3.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 중이거나 그 건설이 예정된 원자력 발전소의 주변지역 [전문개정 2007.12.27.] 제16조(지원금의 조기 사용 등)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하여 다 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원금을 앞당 겨 사용하거나 이월(移越)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1.3.30> 1. 제15조제2항에 따라 지원사업을 우선 시행하는 경우 2. 지식경제부장관이 해당 지역의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과 협의하여 지 원금을 앞당겨 사용하거나 이월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전문개정 2007.12.27.] 제16조의2(지원금의 관리 등) ① 제11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지원금을 받으면 다른 예산과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지원금의 관리로 발생한 이자는 매 회계연도 결산 후 다음 연도에 이월하 여 사용한다. <개정 2011.3.30> ③ 제10조제1항제3호의 홍보사업에 지원한 지원금 중 제11조제3호에 따라 설립된 법인에 대한 지원금은 출연(出捐)한 것으로 본다. [전문개정 2007.12.27.] 제16조의3(지원사업의 중단) 지식경제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당 지원사업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1. 발전소의 건설 또는 운영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중단되어 지원사업을 계속 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 2. 제11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시행자가 제9조의 지원사업계획에 따라 지원사업을 하지 아 니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된 경우 [전문개정 2007.12.27.] 126


부 록 ㅊ

제16조의4(지원금의 회수 등)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6조의3에 따라 지원사업이 중단된 경 우에는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이미 지원한 지원금 중 집행되지 아니한 지원금을 회수하거 나 집행되지 아니한 지원금과 같은 금액을 다음 연도에 지원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지원한 지원금을 제16조의2제1항에 따라 관리하여 발생한 이자 중 집행되지 아니한 부분은 기금에 납입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1.3.30>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제1항에 따라 회수한 지원금 또 는 다음 연도에 지원하지 아니하기로 한 금액을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당 지원사업의 시 행자에게 회수한 지원금 또는 다음 연도에 지원하지 아니하기로 한 금액의 10퍼센트를 감 액한 후에 지급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1.3.30.> 1. 지원사업 중단 사유가 없어진 경우 2. 새로운 지원사업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③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지원금의 회수 및 지급 절차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대통령 령으로 정한다. ④ 제2항에 따라 감액한 금액은 제16조의5에 따른 평가결과에 따라 지원금을 증액하여 지 원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신설 2011.3.30.> [전문개정 2007.12.27.] 제16조의5(지원사업의 평가)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지원사업을 평가할 수 있다.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평가를 「전기사업법」 제52조제2항에 따른 법인 또는 단 체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 또는 단체나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등에 위탁할 수 있다. ③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평가의 결과에 따라 지원금의 10퍼센트 이내의 범위에 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에 따라 지원금을 증액 또는 감액하여 지원할 수 있다.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 규정된 사항 외에 지원사업의 평가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 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1.3.30.]

제4장 보 칙 <개정 2007.12.27> 제17조(지역주민의 우선고용) 발전사업자는 제15조에 따른 이주자와 주변지역 주민을 우선하 여 고용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12.27.] 12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제17조의2(지역기업의 우대) 발전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사・물품・용역 등의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해당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에 주된 영업소를 두고 있는 자 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할 수 있다. [본조신설 2011.3.30.] 제18조(결산 보고)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매년 지원사업에 관한 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다음 해 2월 10일까지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전문개정 2007.12.27.] 제19조(보고 및 검사 등) ① 지식경제부장관은 이 법 시행에 필요한 경우에는 지원사업 시행 자에 대하여 보고를 하게 하거나 자료의 제출을 명할 수 있으며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지원사업에 관한 업무를 검사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② 제1항에 따라 검사를 하는 공무원은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이를 관계인에 게 내보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7.12.27.] 제20조(과태료) ① 발전사업자나 법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19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보고를 한 때 2. 제19조제1항에 따른 자료의 제출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 자료를 제출한 때 3. 제19조제1항에 따른 검사를 거부・방해하거나 기피한 때 ② 제1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이 부과・징수한 다. <개정 2008.2.29> ③ 삭제 <2011.3.30> ④ 삭제 <2011.3.30> ⑤ 삭제 <2011.3.30> [전문개정 2007.12.27.] 제21조(벌칙 적용 시의 공무원 의제) 제11조제2호 또는 제3호에 따라 지원사업을 하는 발전사 업자와 법인의 임직원은 「형법」 제129조부터 제132조까지를 적용할 때에는 공무원으로 본다. [전문개정 2007.12.27]

128


부 록 ㅊ

4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2.1.1] [대통령령 제23414호, 2011.12.28, 일부개정] 지식경제부(원전산업정책과), 02-2110-4880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영은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 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조(수력발전소 및 조력발전소의 주변지역 등) ①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이 하 “법”이라 한다) 제2조 단서에 따른 수력발전소와 조력발전소의 주변지역은 「전기사업법」 제2조제4호에 따른 발전사업자(이하 “발전사업자”라 한다)가 가동・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예정인 시설용량 1만킬로와트를 초과하는 수력발전소와 조력발전소의 인접지역으로서 해 당 발전소의 발전기나 댐 또는 방조제를 기준으로 하여 다음 각 호의 지역이 속하는 읍・ 면・동의 지역으로 한다. 1. 양수발전소인 경우: 발전기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2. 양수발전소 외의 수력발전소인 경우: 다음 각 목의 지역 가. 댐의 상류지역에서는 만수위선(滿水位線)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나. 댐의 상류지역 외의 지역에서는 「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 의 지역으로서 발전기 및 댐으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3. 조력발전소인 경우: 다음 각 목의 지역 가. 방조제 안쪽 지역에서는 만수위선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나. 방조제 안쪽 외의 지역에서는 발전기 및 방조제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 지 및 섬지역 ② 법 제2조 본문에서 “발전원(發電源)의 종류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용량 이하의 발전소”란 다음 각 호의 발전소를 말한다. 다만, 다음 각 호에도 불구하고 「전기사업법」 제 2조제11호에 따라 구역전기사업을 하는 자의 발전소, 같은 법 제2조제19호에 따른 자가용 전기설비 및 같은 법 제92조의2에 따라 구역전기사업자로 적용을 받는 집단에너지사업자 의 발전소는 시설용량이 1천만킬로와트 이하인 발전소를 말한다.

12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1. 화력발전소 및 원자력발전소: 시설용량이 1만킬로와트 이하인 발전소 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제1호 각 목에 따른 신・재생에 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소(같은 법 제2조제1호라목의 수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중 시설용량이 1만킬로와트를 초과하는 수력발전소는 제외한다): 시설용량이 2천킬로와 트 이하인 발전소 [전문개정 2011.12.28.]

제2장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등 <개정 1997.6.11.> 제1절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 <개정 1997.6.11.> 제3조(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위원회의 구성) ① 법 제3조제1항에 따른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 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위원장은 지식경제부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 무원으로서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이라 한다)을 관장하는 공무원이 되 며,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1. 지원사업과 관련이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국장급 직위에 있는 공무원 중에서 지식경제부 장관이 지명하는 사람 5명 이내 2. 발전사업자 또는 해당 사업자를 대표하는 단체의 임원 중에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위촉하 는 사람 3명 이내 3. 지역발전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또는 시민단체(「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제 2조에 따른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한다)에서 추천한 사람 중에서 지식경제부장관이 위촉 하는 사람 4명 이내 ② 제1항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4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계획 2.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지원금의 결정 3. 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특별자치도・시・군 및 자치구(이하 "지방자치단체"라 한다)별 지 원금의 배분 4. 법 제16조의4제2항에 따른 지원금의 회수 등에 관한 사항 5. 법 제16조의5에 따른 지원사업의 평가에 관한 사항 6. 법 제18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결산에 관한 사항 130


부 록 ㅊ

7. 제17조제2항에 따른 지원사업계획 수립지침에 관한 사항 8. 제32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중단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주변지역의 지원사업에 관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회의에 부치는 사항 [전문개정 2011.12.28.] 제5조(위원장의 직무) ①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②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장이 미리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6조(회의) ①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②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위원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7조(간사) 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며, 간사는 지식경제부 소속 공 무원 중에서 위원장이 임명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7조의2(수당) 회의에 출석한 위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 원인 위원이 그 소관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출석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문개정 2011.12.28.] 제8조(운영 세칙) 이 영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위원회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절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지역위원회 <개정 1997.6.11.> 제9조(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지역위원회의 설치) ① 발전소가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 치단체의 장은 법 제3조제2항에 따른 주변지역지원사업심의지역위원회(이하 “지역위원회” 13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라 한다)를 발전소별로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에 둘 이상 의 발전소가 있는 경우에는 지역위원회를 통합할 수 있다. ② 법 제3조제2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발전소"란 다음 각 호의 어 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전소를 말한다. 1. 가동・건설 중인 원자력발전소 2. 가동・건설 중인 시설용량 10만킬로와트 이상으로서 법 제10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본지 원사업의 연간 지원금 총액이 5억원 이상인 발전소 3. 그 밖에 지식경제부장관이 지원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발전소 [전문개정 2011.12.28.] 제10조(지역위원회의 구성) ① 지역위원회 위원장(이하 “지역위원장”이라 한다)은 발전소가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부시장・부군수 또는 부구청장이 되고,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1. 주변지역이 속한 선거구에서 선출된 「공직선거법」 제20조제3항에 따른 지역구자치구・ 시・군의원 4명 이내. 다만, 지역구자치구・시・군의원이 4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방의 회의장의 추천에 따라 지역위원장이 위촉하는 사람 4명으로 하며, 원자력발전소 주변지 역의 지역위원회인 경우에는 「공직선거법」 제20조제2항에 따른 비례대표자치구・시・군 의원 중 1명을 추가할 수 있다. 2. 발전소에 근무하는 직원 중 해당 발전소의 장이 지명하는 사람 각 1명 3.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중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명하는 사람 각 1명 4. 지역발전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 지역위원장이 위촉하는 사람 3명(발전 소의 장의 추천에 따라 위촉하는 1명을 포함한다) 이내 5. 발전소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으로서 학식과 덕망이 있는 사람 중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위촉하는 사람 4명(발전소의 장의 추천에 따라 위촉하는 2명을 포함한다) 이내 ② 발전소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지역위원장이 제1항제 1호 및 제5호에 따른 위원을 자치구・시・군마다 각각 1명씩 우선 위촉한 다음 나머지 위원 을 위촉한다. 다만, 발전소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다섯 이상인 경우에 는 지역위원장이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지원금의 비율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③ 제1항제4호 및 제5호에 따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11조(지역위원회의 기능) 지역위원회는 법 제10조제1항제1호 및 제4호에 따른 지원사업에 132


부 록 ㅊ

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법 제18조에 따른 결산 보고에 관한 사항 2. 제17조제3항에 따른 시행자별 계획에 관한 사항 3. 제18조에 따른 장기계획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해당 주변지역의 지원사업에 관하여 지역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회의에 부치는 사항 [전문개정 2011.12.28.] 제12조(지역위원회의 간사 등) ① 지역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며, 간 사는 발전소의 장이 해당 발전소에 근무하는 직원 중에서 추천하여 지역위원장이 임명한 다. 다만,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지역위원회인 경우에는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중 1명을 지역위원장이 공동간사로 임명할 수 있다. ② 지역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는 제5조・제6조・제7조의2 및 제8조를 준용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장 삭 제 <2001.2.24> 제13조 삭제 <2001.2.24> 제14조 삭제 <2001.2.24> 제15조 삭제 <2001.2.24> 제16조 삭제 <2001.2.24>

제4장 지원사업계획의 수립등 제17조(지원사업계획의 수립) ①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 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사업의 목적 2. 사업의 개요 3. 사업별 투자계획 4. 시행기간 5. 분기별 자금사용계획 6. 그 밖에 지원사업에 관한 중요 사항 133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② 지식경제부장관은 매년 지원사업계획 수립지침을 작성하여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4개월 전까지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알려야 한다. 이 경우 제18조에 따른 장기계획이 수 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반영하여야 한다. ③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제2항에 따른 지원사업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작성한 시행자별 계 획을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2개월 전까지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④ 지식경제부장관은 제3항에 따라 제출받은 시행자별 계획을 제2항의 지원사업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종합하여 지원사업계획을 작성하고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지식경제부장관은 시행자별 계획이 제2항의 지원사업계획 수립지침의 범위를 벗 어나 지원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면 지원사업의 시행자의 의견을 들어 시행자별 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지식경제부장관은 제4항에 따라 확정된 지원사업계획을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 까지 각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알려야 한다. ⑥ 지원사업계획을 변경하는 경우 그 변경절차에 관하여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사업 목적 범위에서의 사업 규모・위치 및 사업시행기간 등의 변경에 대해 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전문개정 2011.12.28.] 제18조(장기계획) ① 법 제9조제2항에 따라 장기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지역은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한다. 1. 발전소가 가동・건설 중이거나 그 건설이 예정된 지역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 가. 법 제10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본지원사업의 연간 지원금 총액이 10억원 이상인 지 방자치단체의 관할지역 나. 법 제10조제1항제2호에 따른 특별지원사업의 지원금 총액이 100억원 이상인 지방자 치단체의 관할지역 2. 제1호에 따른 지역 외의 지역으로서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역개발 또는 지원사업 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 ② 장기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지역 현황 및 발전 전망 2. 장기계획의 목적 및 개요 3. 계획기간 4. 주요 사업계획 134


부 록 ㅊ

5. 지원사업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6. 그 밖에 지원사업에 관한 중요 사항 ③ 장기계획은 3년마다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다만,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개발 등에 관한 장기계획이 있거나 여건의 변동으로 장기계획의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지식 경제부장관과 협의하여 그 계획 등과 연계하여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5장 지원사업의 시행 제19조(기본지원사업) ① 법 제10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본지원사업(이하 “기본지원사업”이 라 한다)의 종류와 세부 내용은 별표 1과 같다. ② 기본지원사업의 대상 지역은 주변지역으로 한다. 다만,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에 대하 여 시행하는 기본지원사업(전기요금보조사업은 제외한다)은 법 제14조제1항 단서에 따라 주변지역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의 해당 주변지역 외의 지역(이하 “주변지역 외의 지역”이라 한다)에 지원사업의 시행자별로 배분된 기본지원사업 지원금의 100분의 50의 범위에서 시 행할 수 있다. ③ 기본지원사업의 시행기간은 발전소의 건설기간과 가동기간으로 한다. 다만, 지식경제부 장관이 전원개발사업(電源開發事業)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건설 준비기간에도 지원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④ 기본지원사업 중 소득증대사업, 공공・사회복지사업, 주민복지지원사업, 기업유치지원사 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시행한다. ⑤ 기본지원사업 중 전기요금보조사업은 발전사업자가 시행한다. ⑥ 기본지원사업 중 육영사업(育英事業)은 발전사업자가 시행한다. 다만, 원자력발전소 주 변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육영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시행한다. ⑦ 제4항과 제6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발전사업자가 협의하여 정하는 사업은 발전사업자가 시행할 수 있다. ⑧ 제5항과 제6항 본문의 경우 동일한 지역에 둘 이상의 발전사업자가 있을 경우에는 발전 사업자 간의 협의를 통하여 대표사업자가 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⑨ 지식경제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1. 기본지원사업의 세부 사업별 시행조건 2. 전기요금보조사업의 구체적인 지원대상 및 지원기준 3. 그 밖에 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135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전문개정 2011.12.28] 제20조 삭제 <2005.12.30> 제21조 삭제 <2005.12.30> 제22조(특별지원사업) ① 법 제10조제1항제2호에 따른 특별지원사업의 내용은 별표 1에 따른 기본지원사업의 종류와 세부 내용을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정한다. ② 특별지원사업은 주변지역이 속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관할지역에 대하여 시행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특별지원사업 지원금에 가산금을 추가하여 지원할 수 있다. 1. 법 제15조제2항제2호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날의 전날까지 지방의회의 동의를 받아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을 요 청하는 지역 가. 「전원개발촉진법」 제5조제1항 본문에 따른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이하 “전원개발사 업 실시계획”이라 한다)의 승인을 고시한 날. 다만,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61조제1항에 따라 전기사업용전기설비의 공사 계획(이하 “전기설비공사계획”이라 한다)의 인가를 받은 날로 한다. 나. 「전기사업법」 제61조제3항에 따라 전기설비공사계획의 신고(이하 “전기설비공사계 획의 신고”라 한다)를 한 날 2. 법 제15조제2항제3호에 따라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수 이상의 발전기가 가동・건설 중이거나 그 건설이 예정된 지역 3.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날의 전날까지 지방의회의 동의를 받아 시설용량 100만킬로와트 이상의 유연탄화력발전소(발전시설의 증설로 총 시설용량이 100만킬로와트 이상이 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건설을 요청하는 지역 ③ 특별지원사업의 시행기간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지식경제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 정할 경우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하여 운전개시일 이후에도 특별지원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1.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 승인고시일부터 운전개시일 전날까지 2. 전기설비공사계획의 인가(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만 해당한 다)를 받은 경우: 인가일부터 운전개시일 전날까지 3. 전기설비공사계획의 신고를 한 경우: 신고일부터 운전개시일 전날까지 ④ 특별지원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시행한다. 다만, 사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하여 136


부 록 ㅊ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발전사업자가 협의하여 정하는 사업은 해당 사업자가 시행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3조 삭제 <2005.12.30> 제24조(홍보사업) 법 제10조제1항제3호에 따른 홍보사업은 법 제11조제3호에 따른 법인이 원 자력 관련 전력사업에 대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5조(그 밖의 지원사업) ① 법 제10조제1항제4호에 해당하는 사업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지원사업의 관리・연구・평가 및 홍보 사업 2.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의 환경 및 방사선 안전 등에 관한 감시를 위한 기구의 설치와 운 영에 대한 지원사업 3.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의 환경보전 및 감시를 위한 지원사업 4. 그 밖에 발전소의 건설과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으로서 위원회의 심 의를 거쳐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는 사업 ② 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사업은 발전소가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장 이 시행하고, 같은 항 제4호의 사업은 발전사업자가 시행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6조(지원금의 신청 등) ① 법 제11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시행자가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지원금을 받으려는 경우에는 매 분기의 필요한 자금을 분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지식경제부 장관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신청을 받은 지식경제부장관은 해당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지원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지원금을 분기당 1회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지식경제부장관은 지원금의 확보 현황과 소요 현황을 고려하여 지원금 지급 시기를 조정하여 지급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7조(지원금의 결정) ① 제19조에 따른 기본지원사업의 지원금은 별표 2에 따라 산정된 금 액으로 한다. ② 제22조에 따른 특별지원사업의 지원금 및 가산금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지원금: 발전소 건설비[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고시(승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에 137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는 전기설비공사계획의 인가를 말한다) 또는 전기설비공사계획의 신고를 한 날을 기준 으로 산정하고, 부지구입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의 1천분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의 범위에서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는 금액 2. 가산금: 제1호에 따른 건설비의 1천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 이 경우 동일한 지방자치단 체에 지원되는 가산금은 건설비의 1천분의 5를 초과할 수 없다. ③ 제24조에 따른 홍보사업을 위한 지원금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식경제부장관이 정 한다. ④ 제25조에 따른 그 밖의 지원사업의 지원금은 기본지원사업에 대한 연간 지원금의 100분 의 10의 범위에서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7조의2(원자력・수력발전사업자의 지역지원사업) ① 법 제13조의2제2항에 따른 원자력・수 력발전사업자의 지역지원사업(이하 “사업자지원사업”이라 한다)의 종류는 교육・장학지원사 업, 지역경제협력사업, 주변환경개선사업, 지역복지사업, 지역문화진흥사업, 그 밖의 사업 자지원사업으로 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별표 3과 같다. ② 법 제13조의2제2항에 따른 사업자지원사업의 규모는 별표 4에 따라 산정된 금액 이내로 한다. 다만,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제36조제4항에 따라 원자로시설의 설계수명기간이 만 료된 후에 그 시설을 계속하여 운전하는 원자력발전소에 대해서는 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 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가산금을 추가하여 지원할 수 있다. ③ 법 제13조의2제2항에 따른 사업자지원사업의 지원대상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원자력발전소의 주변지역 2. 제2조제1항 본문에 따른 시설용량 1만킬로와트를 초과하는 수력발전소(양수발전소는 제 외한다)의 주변지역 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제1호라목의 수력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시설용량이 2천킬로와트 초과 1만킬로와트 이하인 발전소의 다음 각 목에 해 당하는 지역 가. 댐의 상류지역에서는 만수위선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나. 댐의 상류지역 외의 지역에서는 「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 의 지역으로서 발전기 및 댐으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 ④ 제3항제1호에 따른 주변지역 외의 지역에 대하여 원자력발전사업자는 사업자지원사업 의 효율성 제고 및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사업자지원금의 100분의 30의 범위에서 지역경제협력사업 및 지역문화진흥사업 등을 시행할 수 있다. 138


부 록 ㅊ

⑤ 사업자지원사업은 원자력・수력발전사업자가 시행하되, 사업자지원사업을 결정하기 전 에 지역위원회와 협의하여야 한다. 다만, 제4항에 해당할 경우 원자력발전사업자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협의하여 정하는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시행할 수 있다. ⑥ 사업자지원사업의 시행기간은 발전소의 건설기간 및 가동기간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28조(주변지역 외의 지역에 대한 지원금의 사용) 법 제14조제1항 단서에 따라 지원금을 사 용할 수 있는 주변지역 외의 지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제19조제2항 단서에 따라 기본지원사업을 시행하는 지역 2. 제22조에 따라 특별지원사업을 시행하는 지역 중 주변지역 외의 지역[발전소의 건설로 주거를 이전한 이주자(移住者)의 집단이주지역을 포함한다] 3. 지원사업이나 발전소의 건설 및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 지식경제부장관이 지원 사업의 시행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 [전문개정 2011.12.28.] 제29조(지원금의 배분방법) ① 주변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둘 이상인 경우 각 지방 자치단체에 대한 지원금은 다음 각 호에 따라 배분한다. 1. 지원금의 100분의 40은 발전기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수력발 전소와 조력발전소는 제2조제1항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지역)의 면적에 대한 각 지방자 치단체의 관할 비율에 따라 배분 2. 지원금의 100분의 30은 발전기로부터 반지름 5킬로미터 이내의 육지 및 섬지역(수력발 전소와 조력발전소의 경우에는 제2조제1항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지역)의 인구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점유비율에 따라 배분 3. 지원금의 100분의 20은 발전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배분. 다만, 소재지 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발전기의 수에 따라 배분 4. 지원금의 100분의 10은 지역의 발전 정도, 지역 간 지원금 배분의 형평성 등 지역 여건 을 고려하여 지역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식경제부장관이 배분 5. 제22조제2항제1호 및 제3호에 따른 가산금은 해당 시설의 건설을 요청한 지방자치단체 에 배분 6. 제22조제2항제2호에 따른 가산금은 해당 지역의 모든 발전기를 기준으로 제1호부터 제 4호까지의 규정에 따라 산정한 비율로 배분 ② 법 제14조제2항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란 발전소 139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제1항에 따라 지원금을 배분하는 것이 매우 불합리 하여 발전소의 원활한 건설과 운영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1. 특별시・광역시 및 시의 동(洞) 지역 등 인구밀집지역에 발전소가 있는 경우 2. 수력발전소나 조력발전소처럼 주변지역이 넓어 지방자치단체 간 지원금 배분에 갈등이 심한 경우 3. 가동 중인 발전소로서 시설용량이 10만킬로와트 미만으로 지원금이 적은 경우 [전문개정 2011.12.28] 제30조(지원사업에 따른 시설물의 취득・관리) ① 제19조 및 제22조에 따른 기본지원사업 및 특별지원사업으로 시행한 시설물의 취득 및 관리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② 지방자치단체는 제1항에 따른 시설물 중 그 지방자치단체가 취득한 시설물에 대하여 해 당 주변지역 및 제28조에 따른 주변지역 외의 지역의 주민에게 사용 또는 수익을 허가하였 을 때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제29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사용료나 대부료 를 면제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1조(사업시행 결과의 제출) 법 제11조에 따른 지원사업의 시행자는 사업시행 결과를 매 분 기가 끝난 후 20일 이내에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2조(지원사업의 중단) ① 법 제16조의3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란 2년 이 상을 말한다. ② 법 제16조의3제2호에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된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1. 지원금을 받은 자가 지원사업계획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 외의 용도로 지원금을 사용한 경우 2. 지원금을 받은 자가 지원사업계획에 따른 지원금 사용시기가 지난 날부터 1년 이상 지 원금을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 [전문개정 2011.12.28.] 제32조의2(회수한 지원금의 재지급) 지식경제부장관이 법 제16조의4제2항에 따라 회수한 지 140


부 록 ㅊ

원금 또는 다음 연도에 지원하지 아니하기로 한 금액을 지급할 경우 지원사업계획의 수립 및 지원금의 신청 등에 대해서는 제17조 및 제26조를 준용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2조의3(지원사업의 평가) ① 법 제16조의5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평가대상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발전소의 지원사업 시행자로 한다. 1. 시설용량이 50만킬로와트 이상인 발전소 2. 기본지원사업의 연간 지원금 총액이 5억원 이상인 발전소 3. 그 밖에 지식경제부장관이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발전소 ② 법 제16조의5제1항에 따른 지원사업의 평가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지원사업비 집행 실적 2. 지원사업으로 설치한 시설의 활용 실적, 복지지원 실적 3. 그 밖에 주민 만족도 등 지식경제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 법 제16조의5제2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법인 또는 단체”란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38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획관리평가전담기관을 말한다. ④ 지식경제부장관은 제1항에 대한 평가 결과를 우수, 보통, 미흡으로 구분하고, 미흡으로 평가된 지원사업의 시행자에 대해서는 다음 연도 지원금의 10퍼센트를 감액하고, 그 감액 된 금액은 우수로 평가된 지원사업의 시행자에게 증액하여 지원한다. ⑤ 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지원금의 증액 등 지원사업의 평가에 필요 한 세부 사항은 지식경제부장관이 별도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1.12.28.] 제33조(지원금의 조기 사용) ① 법 제16조제1호에 따라 장기계획을 수립・시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발전소의 건설기간 동안의 기본지원사업 및 특별지원사업의 지원금을 제19조 및 제 22조에도 불구하고 해당 장기계획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 앞당겨 사용할 수 있다. ② 제22조제2항 단서에 따른 가산금은 제22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해당 발전소의 건설준비 기간에 사용할 수 있다. ③ 법 제16조제2호에 따른 지원금의 조기 사용은 다음 각 호의 범위에서 한다. 1. 기존 부지에 추가로 발전기를 건설 중인 발전소와 가동 중인 발전소의 주변지역의 경우: 다음 연도 예상 지원금의 범위 2. 제1호 외의 경우: 해당 연도를 포함한 3년 이내의 건설기간 중의 예상 지원금의 범위 ④ 제3항에 따라 지원금을 앞당겨 사용한 경우 지원금이 본래 지원되기로 예정된 해당 연 141


전력산업기반기금 현황과 문제점

도에는 다음 연도의 예상 지원금을 앞당겨 사용할 수 없다. ⑤ 지원사업의 시행자가 법 제16조에 따라 지원금을 앞당겨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지 식경제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4조(지역기업의 우대) ① 법 제17조의2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사・물품・용역 등의 계약”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을 말한다. 1. 공사계약: 30억원 미만(「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 전문공사,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전 기공사,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 설공사는 3억원 미만) 2. 물품제조・구매계약: 1억원 미만 3. 용역계약: 2억원 미만(청소용역 등 단순노무용역계약은 20억원 미만) ②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39조의 적용을 받는 발전사업자는 계약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기획재정부장관과의 협의를 거쳐 지역기업의 우대기준을 정하고 인터넷 홈페이 지에 게시하여야 한다. [본조신설 2011.12.28.] 제35조(건설기간 등의 정의) ① 제19조제3항, 제27조의2제6항, 제33조제1항 및 제33조제2항 에 따른 “건설기간”, “건설준비기간” 및 “가동기간”은 다음 각 호의 기간으로 한다. 1. 건설기간: 발전소의 공사착공일부터 운전개시일 전날까지의 기간 2. 건설준비기간: 「전원개발촉진법」 제5조에 따른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고시일 또는 같은 법 제11조에 따른 전원개발사업 예정구역의 지정고시일부터 발전소의 공사착 공일 전날까지의 기간 3. 가동기간: 발전소의 운전개시일부터 운전폐지일까지의 기간 ② 제1항 각 호 및 제22조제3항에 따른 공사착공일, 운전개시일 및 운전폐지일은 지식경제 부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1.12.28.] 제36조(지원사업에 관한 세부 사항) 제19조와 제22조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시행하는 지원사업에 관하여 이 영에서 정한 사항 외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1.12.28.] 142


부 록 ㅊ

제6장 보 칙 제37조(과태료의 부과기준) 법 제20조제1항에 따른 과태료의 부과기준은 별표 5와 같다. [전문개정 2011.12.28] [별표 1] 기본지원사업의 종류와 세부 내용(제19조제1항 관련) [별표 2] 기본지원사업의 지원금 산정방법(제27조제1항 관련) [별표 2의2] 삭제 <2001.2.24> [별표 3] 사업자지원사업의 세부 내용 등(제27조의2제1항 관련) [별표 4] 사업자지원사업의 지원금 산정방법(제27조의2제2항 관련) [별표 5] 과태료의 부과기준(제37조 관련)

143


144

39 20 20 -

- 농어촌전기공급사업

・ 전력산업정책연구

- 정책연구사업

- 연구기획조사

246

13

- 수요관리홍보

- 도서자가발전시설운영지원

138

- 전력효율향상 285

462

- 전력부하관리

・ 농어촌전기공급지원

613

-

-

-

-

2,361

2,896

’01년

・ 전력수요관리

- 전력시장조성홍보

・ 전력시장경쟁촉진및공정경쟁조성

- 수출산업화사업

・ 전력수출산업화지원

- 에너지표준화 및 인증지원(R&D)

・ 표준화 및 인증(R&D)

- 에너지연구기반구축(R&D)

・ 연구기반구축(R&D)

o 에너지공급체계구축

지출 합계

10

30

40

64

482

546

29

149

558

736

19

-

24

10

4,013

6,844

’02년

10

19

29

106

711

817

29

139

612

780

5

-

32

28

4,717

8,424

’03년

’05년

’06년

’07년

’08년

13

18

31

131

749

880

39

182

607

828

15

-

36

99

4,719

13

19

31

85

961

1,046

37

509

627

1,173

4

-

45

100

5,889

15

18

33

17

963

980

38

588

739

1,365

20

-

79

87

6,302

13

17

30

69

1,062

1,131

30

549

796

1,375

15

60

98

87

6,385

-

17

17

37

1,386

1,423

28

765

698

1,491

12

100

98

108

6,256

8,396 10,064 13,402 12,974 15,498

’04년

[부록 2] 2001~2012년 전력산업기반기금 사업별 기금 운용 실적 ’10년

-

20

20

15

1,155

1,170

20

540

611

1,171

9

100

103

101

5,849

-

21

21

13

1,260

1,273

28

545

859

1,432

8

90

92

84

4,181

15,415 14,720

’09년

-

20

20

93

1,356

1,449

34

471

1,222

1,727

7

110

90

88

4,655

15,960

’11년

-

19

19

93

1594

1,687

12

500

666

1,178

5

88

92

89

4,429

15,856

’12년 (계획)

74

238

311

762

11,925

12,687

337

5,075

8,457

13,869

119

548

789

881

59,756

140,449

’01-’12 합계

(단위: 억원)


145

14 199

134

- 전기안전관리홍보

- 일반용전기설비안전점검

o 국내외 원전의 안정적 건설・운영 -

-

- 원전해외수출기반구축

・ 발전소주변지역지원

- 발전소주변지역기본지원사업

- 특별지원사업

- 원자력대국민홍보

・ 원자력수출산업화지원

19

232

-

-

92

660

-

783

1,443

’01년

- 전기시설안전관리

・ 전기안전관리

o 에너지안전관리

- 4000MVA대전력시험설비증설

・ 4000MVA대전력시험설비증설

-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 스마트그리드보급지원

- 전력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R&D)

・ 전력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R&D)

- 열병합발전지원

- LNG

- 무연탄발전지원

・ 타에너지지원

112

691

407

1,233

-

1,541

469

25

32

526

-

-

417

759

-

1,462

2,221

’02년

98

1,205

395

1,719

-

1,987

621

31

31

683

-

-

532

666

-

1,828

2,494

’03년

98

839

454

1,426

-

1,918

634

31

14

679

-

-

813

514

-

1,503

2,017

’04년

100

551

472

1,151

-

1,588

539

40

18

597

-

-

1,013

788

-

1,688

2,476

’05년

130

830

880

1,874

-

2,339

609

40

17

666

-

-

981

503

-

2,254

2,757

’06년

110

265

907

1,310

-

1,818

719

35

21

775

-

-

1,125

580

-

1,884

2,464

’07년

110

423

957

1,516

-

2,314

780

32

18

830

-

-

1,234

335

-

1,438

1,773

’08년

93

454

973

1,544

-

2,388

814

30

18

862

-

-

1,145

1,600

-

430

2,030

’09년

95

477

1,017

1,616

-

3,132

879

25

18

922

-

-

1,121

-

-

60

60

’10년

94

532

1,048

1,699

34

3,154

924

20

16

960

-

-

1,088

-

-

76

76

’11년

85

367

1,105

1,582

44

3,170

934

16

16

966

105

36

1,073

-

-

57

57

’12년 (계획)

1,125

6,634

8,615

16,670

78

25,483

8,121

339

238

8,698

105

36

10,634

6,405

13,463

19,868

’01-’12 합계


146 -

43

・ 국제핵융합실험로공동개발

・ 원전기자재종합지원사업

・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시범사업

o 녹색성장기반확충

16 -

9 9 -

・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 신재생에너지보급

- 태양광발전보급지원

- 신재생에너지발전차액지원

- 새만금풍력산업클러스터조성

18

- 에너지정보화 및 정책지원

・ 정보화 및 정책연구(R&D)

- 에너지인력양성

・ 인력양성(R&D)

- 에너지국제공동연구

-

-

- 한국형300MW급 IGCC실증플랜트기술개발

・ 국제협력(R&D)

-

-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

・ 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R&D)

134

・ 원자력융합원천기술개발

-

- 기타지원

’01년

-

- 주변지역홍보

-

34

-

34

-

38

98

-

-

-

736

-

-

-

308

6

17

’02년

-

57

-

57

-

44

106

-

-

-

993

-

-

-

268

7

14

’03년

-

51

-

51

-

49

125

-

-

-

1,016

-

-

-

492

14

21

’04년

-

78

-

78

-

57

120

-

-

-

1,912

-

-

-

437

15

13

’05년

-

111

490

601

587

51

228

-

-

903

4,011

-

-

-

465

34

-

’06년

-

270

490

760

650

55

265

-

-

927

3,903

-

-

-

508

28

-

’07년

-

1,266

490

1,756

1,240

95

273

15

-

1,596

6,002

-

-

290

508

26

-

’08년

-

2,627

590

3,217

740

75

246

21

-

1,705

6,244

-

-

234

610

24

-

’09년

10

3,318

600

3,928

200

42

231

64

-

1,938

6,403

-

-

894

622

27

-

’10년

-

3,950

500

4,450

200

100

251

77

200

1,834

7,112

-

-

480

941

25

-

’11년

-

3,950

550

4,500

180

92

264

81

230

1,853

7,200

10

20

590

924

25

-

’12년 (계획)

10

15,721

3,710

19,441

3,797

714

2,225

258

430

10,756

45,575

10

20

2,488

6,217

231

65

’01-’12 합계


147

-

34

- 전력수요관리융자

- 전원개발융자

- 농어촌전화사업융자

- 농어촌전기공급재정융자채권인수

o 기금운영비

※ 지식경제부, 2012년 국정감사 제출자료, 2012. 10

-

’01년

- 기술사업화지원

・ 기타(전력경쟁력강화・수급안정)

29

-

-

500

66

-

’02년

46

-

2

679

105

-

’03년

65

-

1

700

90

-

’04년

77

-

1

1,500

156

-

’05년

86

280

-

1,015

196

150

’06년

90

-

-

914

332

-

’07년

97

-

-

637

390

-

’08년

74

-

-

100

140

-

’09년

81

-

-

-

-

-

’10년

80

-

-

-

-

-

’11년

92

-

-

-

-

-

’12년 (계획)

851

280

4

6,045

1,475

’01-’12 합계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