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브레드 보드 ’ , LED, 저항 그리고 ‘ 점퍼선 ’ 안녕하세요. 우리들은 이제 갈릴레오를 활용하기 위한 모든 준비를 마무리 했어요. 이제는 갈릴레 오를 보다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야기해볼게요. 좀 더 노력한다면 우리들의 창의적인 아 이디어를 갈릴레오를 통해 구현할 수 있을 거에요. 우선 첫 단계로 갈릴레오를 보다 창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갈릴레오를 도와주는 브레드 보 드와 LED, 저항이 필요해요. 우리는 이 3 가지를 가지고 간단한 LED 조작을 해볼 예정이에요. 우선 갈릴레오의 전원을 빼고 ‘갈릴레오 스타터 킷’에 있는 브레드 보드, 100 옴 저항, 빨간색 LED 를 준비하세요. 참고로 저항은 양(+)극와 음(-)극의 구분이 없지만 LED 는 구분이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LED 의 긴 다리가 양(+)극, 짧은 다리가 음(-)극이에요.
▲ 브레드 보드란? 브레드 보드는 일명 빵 보드라고 불리며 납땜 등을 하지 않고도 핀과 회로 소자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로 기판이에요. 꼽기만 해도 연결되기 때문에 쉽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요.
▲ LED(Light Emitting Diode)란? LED 는 전류를 흐르게 하면 특정 색의 빛을 발하는 반도체를 의미해요.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다양한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LED 의 긴다리가 양(+)극, 짧은 다리가 음(-)극 이에요.
▲ 저항이란? 저항은 기판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저항이라고 하며 각 회로나 기판이 요구하 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데 주로 사용해요.
2. ‘브레드 보드 ’ 의 구조 및 LED 와 저항 설치하기
▲ 회로도 자, 이제 회로도를 참고하여 LED 와 저항을 브레드 보드에 꽂아 주세요. 나란하게 저항도 꽂아 주
세요. 앞서 설명한 것처럼 LED 는 양(+)극과 음(-)극이 구분되어 있으니 주의하여 주세요. (LED 의 긴 다리가 양(+)극, 짧은 다리가 음(-)극) 마찬가지로 회로도를 참고하여 갈릴레오의 디지털 핀 13 번에 점퍼선 한 쪽을 연결한 후에 브레드 보드에 연결하세요.
마지막으로, 디지털 핀 13 번 옆에 있는 ‘GND’핀과 LED 의 음(-)극에 점퍼선을 연결하면 모든 작 업은 마무리 되어요. 이제 남은 것은 스케치를 통해 LED 를 켜는 일이에요. 이제 본격적으로 LED 를 켜보는 작업을 해볼게요.
갈릴레오의 전원을 연결하고 인텔 NUC 나 PC 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갈릴레오가 잘 연결되었 는지 확인하세요. 물론 시리얼 포트 확인도 잊지 마세요.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파일-예제-01.Basics-Blink]를 선택하여 예제를 불러오세요. 그리고 메뉴에 서 업로드 버튼을 눌러 갈릴레오가 스케치를 인식하도록 하세요. 어떤 결과가 나왔나요?
갈릴레오 보드에 있는 세 번 째 초록색 LED 가 깜박 거릴 거예요. 또한 브레드 보드 위에 연결된 빨간색 LED 가 함께 깜박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거에요. 여러분은 이제 본격적인 갈릴레오와의 대화에 성공한 거에요!
3. 주기적으로 천천히 LED 켜고 끄기 우리는 이제 브레드 보드 위에 있는 LED 를 천천히 켰다가 천천히 끄게 하는 일을 반복하는 실험 을 해볼 게요.
메뉴에서 [파일-예제-01.Basics-Fade]를 선택하여 새로운 스케치를 띄우세요. 예제 소스 속에서 우리는 int led = 9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코드는 ’13’번 핀이 아 니라 ‘9’번 핀을 사용한다는 의미에요. 그런데, 갈릴레오 보드의 디지털 핀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9 번 핀을 포함하여 6 개의 숫자 앞에 물결무늬(~)가 있죠? 이들 핀과 analogWrite()라는 명령어가 만나면, 점퍼선을 통하는 전압을 0V 에서 5V 사이로 부드럽게 변화시킬 수 있어요. 사실은 이 것은 디지털 신호를 PWM 이라는 원리를 이용하여, 마치 아날로그처럼 보이게 활용한 것이에요.
갈릴레오의 13 번 핀에 연결된 점퍼선을 옆에 있는 9 번 핀으로 옮겨주세요. 그리고 메뉴에서 업 로드 버튼을 눌러 갈릴레오가 스케치를 인식하도록 하세요. 짜잔~ 브레드 보드에 있는 빨간색 LED 가 전과 다르게 켜지고 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어요. 참고로 챕터 2 에서 배운 blink 예제 소스에서 digitalWrite 명령은 5V 와 0V 로 단순히 LED 를 켜 고 끄는 기능만 했었는데, Fade 예제 소스에서 analogWrite 명령은 단순히 켜고 꺼지는 것에 더 해, 0 에서 255 단계로 천천히 밝기가 바뀌며 켜고 꺼지도록 하는 명령어로 그 차이가 있어요.
Tips. 테스터기 활용하기 별도로 구매한 테스터기가 있다면 브레드 보드나 저항 그리고 사용하는 점퍼선의 단선 여부를 쉽 게 확인할 수 있어요.
테스터기의 선택 스위치를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단선 테스트)에 맞추고 테스터기에 연결된 양극 (+)과 음(-)극 단자를 맞대면 소리가 날 거에요. 즉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에요. 이제 테스터기의 양(+)과 음(-)극 단자 사이에 저항이나 LED, 점퍼선을 연결하여 보세요. 소리가 난다면 단선되지 않고 전류가 흐른다는 신호에요.
자 이제 사용법을 익혔다면 브레드 보드의 각종 핀에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확인해 보세요. 브레 드 보드와 보다 친해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