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장 마을사 조사 용 윤
1. 1)
개관 지명유래
고창읍 소재지에서 733지방도로를 따라 서남쪽 28㎞ 거리에 위치한 상하면 하장리 하장 (下長)마을은, 면소재지에서 0.8km 떨어진 동쪽 장사산 아래 위치하고 있으며, 용덕마을에 서 진입로를 따라 500m 지점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 마을은 상하면에서 역사가 오래된 마을로 여겨진다. 장사현, 무령현, 영광군, 무장군(1417년), 전라남도(1875년), 전라북도 고창군 하리면(1906년), 상하면 하장사(下長沙)로 변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마을 주요 성씨는 상산김씨로
1565년경 상산김씨 시조의 18세손 안성현감 김안절
(金安節)이 임기 만료 후 전남 장성 상계면 발산리 금본에서 수신 은거하다 아버지 진사 (進士) 추와 함께 입향하여 상산김씨의 집성촌을 이루었다. 장사산에는 옛 장사현의 성터 가 있고 산 아래에 조성된 마을이라 하여 하장사라 불렀다. 이후 하장마을로 개칭되었다.
2) 연혁 고창읍에서 서남단에 위치한 상하면은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땅으로 모로비리국(牟蘆 卑離國)에 속하였으며 삼국시대에는 백제(百濟)의 땅으로 상노현(上老縣)이라 名稱하였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장사현(長沙縣)으로 개칭하고, 행정체제는 무령현(武靈縣, 現 靈光郡) 영현(領縣)에 속(屬)하였다가 후에 장사감무(長沙監務)가 무송현(茂松縣)을 다스 렸다. 1417년 조선 태종 때 무송(茂松)과 장사(長沙) 두 현을 합병하여 무장현(茂長縣)을 이루었고, 1723년 경종(景宗) 때 상용복(上龍伏), 하용복(下龍伏) 2개 면을 두었다. 고종 32년(1895년)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상용복은 상리면(上里面)으로 하용복은 하 리면(下里面)으로, 하장마을은 하리면 하장리(下長里)에 속하였으며, 일제강점기인 광무 10 년(1914년) 군면(郡面) 통폐합에 따라 상하면 지역은 고창군에 편입되었는데 상리면과 하 리면을 합하여 상하면(上下面)으로 개칭하여 현재 9개 법정리의 행정구역으로 바뀌었으며 하장마을은 하장리에 속한다.
3. 입향 성씨와 현재 상산김씨(商山金氏)를 상주김씨(商州金氏)라고도 하며, 경순왕의 후손 수(需)를 시조로 하고 있다 삼원수(三元帥) 득배(得培), 득제(得齊), 선치(先致) 3형제가 고려 때 이름을 떨 - 1 -
. 조선시대에는 좌의정 귀영(貴榮), 대사헌 덕함(德諴), 판서 우석(禹錫). 연(演). 동필 (東弼) 등이 배출되었다. 상하면 입향조는 김신보(金臣寶, 都統使)의 7대손 김안절(金安節, 縣監公)이다. 그는 중 종 39년(1544년)에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가서 당시 명나라 세종으로 부터 경륜과 학덕을 칭찬받으면서 벼루(寶硯一面)와 잔(玉盃) 한 쌍과 서책(書冊) 천질(千帙)을 칙명으 로 받아 환국하였다. 이후 양성현감을 역임하였고, 말년인 명종 10년(1555)에 전남 장성군 삼계면 발산리에서 이곳 상하면 하장리 장사산 아래에 입향하였다.
4)
분포
최대 인구는 1970년대로 42세대 180여명이 거주하였으나, 2011년 1월 현재 21세대 37 명이 거주하고 있다. 남자가 15명, 여자가 22명으로 여자가 11명이 많다. 연령별로는 10대 이하 3명,
30대 4명, 30대 이상 30명이다. 현재거주하고 있는 성씨는 상산김씨, 진주정씨
가 거주하고 있다. 성씨별 분포로는 상산김씨 35명, 진주정씨 2명이다.
2.
자연환경
1) 마을 형국 풍수지리적으로 장사산은 등잔 초롱불 형국이라 한다. 이는 좌청룡 우백호가 잘 뻗어 있 으며 여기에 따른 형국으로, 왼쪽은 소가 누워 있는 와우(臥牛) 형국이며, 오른쪽은 호안 (虎顔) 금계포란(金鷄抱卵) 형국이며, 앞쪽은 오동엽맥(梧桐葉脈) 형국이라 전한다.
* 하장마을 전경 사진 - 2 -
2) 상하면의 동남쪽으로 장사산은 해발고도는 270m이다 해발 225m 고도를 따 라 둘레 약 1km의 조선시대 산성 있으며, 산성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소재지
(용덕)마을 경계인 국도 22호선 에서 500m의 마을 진입도로를 따라 장사산 아래에 마을로 서남쪽으로 하천이 흐르며 용대저수지가 조성되어 있다 옛 장사현의 아래쪽이 되므로 하장 사라 하였다. 주변마을로는 오룡, 회정, 신평, 용덕마을이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부락으로
세터, 평정, 점촌, 용덕이 있었다. 1960년대 말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정, 점촌이 명동마을 로 , 용덕은 1987년도에 용덕마을로 행정구역이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장마을은 본리가 시작된 마을로, 지명유례 또한 하장리의 그것과 같다. 오룡마을은 하 장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룡형의 지형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평정마을은 평평한 곳 에 자리한 마을이라 하여 불리워 지게 된 이름이다. 점촌마을은 하장북쪽에 있는 마을로, 그릇을 굽은 점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상하면의 주산인 장사산을 후산으로 백제시대부터 고려에서 조선조 초에 이르기 까지 장사산성이 존재하였으며, 고인돌군락지 및 유물산포지가 마을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점으 로 마을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연지명 계산(鷄山) : 닭매 닭매 : 하장사 뒤에 있는 산으로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의 풍수형국이라 함. 도례동(道禮洞) : 예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 복치매 또는 복치산(伏雉山) : 용덕마을 뒤에 있는 산으로 ‘복치혈(伏雉穴)’의 명당이 있다 고 함. 사다리배미 : 하장사 앞에 있는 논. 지형이 사다리처럼 층층으로 되었다 함. 새논(新井) : 정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 새로 논을 이루었다고 함. 시기배미 : 점촌 앞에 있는 논. 세 귀가 졌다고 함. 점촌(店村) : 하장 북쪽에 있는 마을. 그릇을 굽는 점이 있었다고 함. 회정(回亭) : 도례동 옆에 있던 마을. 옛날 노(魯)장자의 정자가 있었다고 함.
- 3 -
마을모정
하장마을 입구 표석
3. 1)
商山金氏 世奠厥居
인문환경 특성
삼국시대부터 농사를 주곡으로 하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다. 70년대 초부터 새마을사 업이 시작되어 진입로가 개설되고, 안길이 뚫리고, 스레트를 이용 초가지붕을 걷어내어 지 붕개량이 되면서 깨끗한 주거환경이 조성되고, 소득이 향상되어 잘사는 마을로 탈바꿈하였 다. 2000년 새천년을 맞이하여 벼농사를 주곡으로
원예작물(고추, 땅콩, 복분자, 오디)을
재배하여 고소득으로 잘사는 마을이 되었다.
2) 마을 유물,유적
1. 장사현 터 상하면 중심 산으로 상로현으로 추정되고 장사현 터였던 장사산(長沙山)은 본격적인 지 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기초적인 문헌자료나 현지답사를 통해 보면 분명 백제시대부터 고려에서 조선을 거치면서 상당히 전라도 서해안 지역의 중심 방어적 기능의 - 4 -
수행했던 지역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조선고적조사자료(朝鮮古蹟調査資料)에 의 하면 상하면 하장리에 백제의 성곽 유적이 있으며, 특히 1990년에 서산성의(西山城)의 실 측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여기에서 백제시대 기와, 토기, 파편이 출토되었고, 건물터가 확인 되었다.
윗단 건물터는 길이 120m, 최대 폭 12m, 하단이의 건물터는 길이 75m, 최대 폭
12m에 이르렀다. 이러한 규모는 지금 보더라도 대단한 규모이고 당시로 보아서는 매우 큰 성이었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이처럼 현재 상하면 하장리 인근 장사산 지역은 백제시기 이후 조선 초기까지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장사산성(長沙山城)은 상하면 하장리 산 63번지에 위치한다. 하장마을동쪽에 있는 장사산(長沙山) 정상에는 장사산성이 있다. 이 성지(城址)부근에 많은 자연 석재들이 산재해 있다. 『동국여지승람』의 무장조와 (茂長條)와 『문헌비고』의 성곽조에 古長沙 在令治北二十里 有石城基라 기록되어 있 다. 즉 옛 장사(長沙)는
지금의 치소(治所)에서 북쪽으로 20리에 떨어진 곳에 있으며 그
곳에 석성지기(石城址基)가 있다는 것이다. 장사산이
무장동헌이 있는 곳에서 북쪽으로 약 8km(20리)쯤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장사산 정상에 있는 성터가 옛 장사성(長沙城)임이 분명하다. 또 이 성터 부근에 많 은 자연석재들이 산재해 있는 것으로 보아 장사성이 석성(石城)이었다는 문헌의 기록이 확 실함을 알 수 있다. 이 장사성은 옛날 장사현의 외성으로 고려 태조 18년(935년)에 축성했다는 말이 있으나 1417년 장사현의 폐지로 폐지하였다.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高敞地方文化財地表調査 報告書』(1984)에 의하면 성 둘레는1km 정도이며 높이 5m 정도의 토축이다. 외호(外壕) 와 내호(內壕)로 구분할 수 있다. 상하면지 간행을 위한 장사산성 현지답사(2008년 5월)를 실시하는 중에 순화(淳化)5년 명문의 기와편이 확인되었다. 이시기는 고려성종 13년인 994년으로 최소한 고려 초기를 전후해서 이곳이 중요한 관아 및 방어를 위한 관방유적이었 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장사성지
군사주둔지 터
- 5 -
2.
(沙山祠)
사산사는 상산김씨 재각으로 상산김씨 김안절(金安節) 현감공(縣監公)은 서기1544년(中 宗甲辰)에 서장관(西狀官)으로 명나라에 가서 당시 명의 세종황제로부터 경륜과 학덕을 칭 송받으면서 보현일면과 옥배(寶硯一面玉杯) 한쌍과 서책천질(書冊千軼)을 칙명으로 받고 환국하여 양성현감을 역임하였다. 이후 그는 장사산을 찾아 1550년에 전남 장성군 삼계면 발산리에서 이곳 상하면 하장리에 은거하여 상하면 상산김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현재 사 산사에는 그의 선대의 단이 있다. * 보연일면과 옥배 한쌍 등 선대 묘 이장 중 출토된 유물10점을 중 문중 결의에
의하여 고창동리국악단 미술관에
김길태 후손이 보관
2011년 5월에 영구기탁 하였으며,
상
시전시 하고 있음.
사산사 사진
김안절이 명에서 받아온 보현일면
3.
고인돌(下長 支石墓群)
하장마을 고인돌은 상하면 하장리 하장마을과 세터주변에 위치한다. 1984년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한
고창지방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高敞地方文化財地表調査報告書』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하장마을 김준철씨 댁 마당과 담장 주위에 8기 고인돌이 있는데 그 중6기는 담장에 개 석의 일부가 묻혀 있으며 나머지 마당 가운데에 있는 2기는 그 위에 가구등이 쌓여 있고 - 6 -
땅에 묻혀 있어서 그 규모 및 방향을 확인 할 수 없다. 이외에도 하장제에서 장사 성지로 가는 길 주위에 수 기의 고인돌들이 산재되어 있으며, 세터마을 도로변에 있는 3기 는 대체적으로 형체가 뚜렷하며 고인돌에 상산김씨 세거지(世居地)라 새겨져 있다.
- 7 -
고인돌군
- 8 -
고인돌 제작했던 흔적
4.
유물산포지(遺物散布地)
1. 고려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하장리 유물산포지2는
상하면 하장리 산 13-1에 위치한
다. 하장마을의 서쪽 해발 51m의 야산 남동쪽 말단부로서 대부분 송림으로 이루어져 있으 나
소로가 개설되고 하단부 일부가 밭(田으)과 민묘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미 삭평이
되었다. 수습 유물로는 기와편과 연질토기편 등이 있다.
2. 삼국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하장리 유물산포지3은 상하면 하장리 692-2에 위치한다. 유적은 새터마을 서측 해발37m의 저평한 구릉으로 장사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의 중단부에 위치한다. 구릉의 정상부에는 소로가 나 있으며 양쪽 사면부를 개간하여 밭(田)으로 이용 하고 있다. 수습유물로는 연질토기편, 경질토기편, 타날문토기편 등이 있다.
하장마을 유물산포지 2
하장마을 유물산포지 3
인물 1. 김안절(金安節)
김안절(金安節)의 자는 의신(義臣), 호는 사헌(沙軒), 본관은 상산(商山)이니 1514년 (中宗9 년) 출생. 28세에 양성현감(陽城縣監)이 되고 2년 뒤 중종이 승하하고 명종이 등극하여 고부승
- 9 -
(告訃承襲使) 서장관(西狀官)으로 연경(燕京)에 갔는데 명나라 세종(世宗) 그의 문장에 탄복하여 동사(東使) 김안절은 문장이 아상(雅尙)하여 당세에 견줄 사람이 없다고 찬탄했고 책 천질과 보연(寶硯) , 옥배(玉杯)를 하 사했다. 송사 기우만(松沙奇宇萬)의 묘갈명에 의하면 공이 사신갔다 와서 양성현감을 지내고 향 년이 76세였으니 그러한 재능으로 그러한 수를 누리고도 지위가 높지 못함은 아마 공이 일찍 벼슬을 그만두고 서책을 즐겨 생을 마친 것으로 그 지절을 알 수 있다고 했다. 문헌은 병란에 소실되고 보연과 옥배는 지금도 보존되어 후손 문덕(文德)이 경향(京鄕) 선비의 찬사(讚詞)를 모아 『보연시집(寶硯詩集)』을 간행했다.
2. 김상수(金相修) 김상수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니 현감공(縣監公) 안절(金安節)의 후손으로 상하면 하장(下 長)에서 출생했다. 성품이 근면 순직하고 청렴하였으며, 6. 25사변이후 1953년도부터 1957년까 지 상하면장을 지내셨다.
3 김상득(金相得) 김상득의 본관은 상산(商山)이니 현감공(縣監公) 안절(金安節)의 후손으로 상하면 하장(下 長)에서 1923년에 출생했다. 인물이 출중하고 키가 팔척장신이었으며 제2공화국 내각제에 의하 여 지방자치제 따른 읍면장을 주민직선제에 의하여 상하면8대 면장으로 당선되어 1960년 12월 부터 1961년 6월까지 6개월간 면장으로 재임하셨으며, 그 이후 상하면 의용소방대장등을 역임 하시다가 54세의 나이로 타계하셨다.
4) 1972년 부터 불어 닥친 새마을운동으로 마을진입로 550m와 마을안길 1,500m를 개설하 였으며, 2011년 현재 진입로(550m)와 안길(1500m) 세멘트포장을 100% 완료하였으며, 주택 및 부속건물 100여채에 달하는 초가지붕을 스레트지붕으로 개량하였다. 논, 밭에서 생산된 부산물은 부족한 연료와 퇴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마을회관과 창고를 마련하여 공 동으로 사용하였으며, 흙 담을 헐고 세멘 불럭으로 담장을 쌓고 부엌을 개량하였다. 주택개 량은
주택7동 신축하고
일반주택 15동은 부엌을 개량하였고, 회관 1동(41평), 모정 1동
(6평)을 건립하여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4.
현재
1. 산업 마을의 경지면적은 전 11ha, 답 16ha이며 임야는 75ha이고, 주요 경제작물로는 벼와 보 - 10 -
, 고추, 복분자, 오디 등이 있다. 농산물 작목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하장마을은 마을 앞 으로 넓은 평야지에서는 벼농사 위주로 재배하였으며, 점차적으로 밭에는 특작으로 고추, 땅콩 등을 재배하였으며, 지금에 이르러 복분자, 오디 등 건강식품을 재배하여 고소득을 올 리고 있다.
2. 풍속 1) 마을 지키는 수호신이 있다고 하여 음력섣달 그믐날과 정월 대보름날에는 농악으로 당산 굿, 철륭 굿을 치면서 마을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풍속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농 촌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행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
2) 마을의 세시풍속으로는 백중인 음력 7월 15일이 마을 쉬는 날이며, 부녀회는 매년 1회, 노인 회는 2년마다 1회 씩 단체 관광을 한다.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890. 063-560-2736 상하농협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52-3. 063-563-0686 상하시장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있는 5일 시장. 상하시장은 1974년 3월 12일에 개장 되었다. 이곳은 바다를 키고 있어 수산물 판매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지금은 농산물과 생활용품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다. 상하시장의 장이 서는 날은 1일과 6일이다. 상하주조장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올레KT 상하분기국사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상하보건지소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899-6. 063-563-0078 상하농업인상담소 :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855-3. 063-563-6104 상하치안센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898-3. 063-564-9112 상하농협 도정공장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19. 063-563-8564 고창상하우체국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20-8. 063-563-0002 상하노인정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29-7. 063-563-0068 상하교회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87-2. 장로교회 063-563-0202 상하복지회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상하어린이집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상하면농업기술센터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대한노인회상하면분회 : 경로당,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 11 -
: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고창 새마을금고 제3분소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38-9. 063-563-0260 상하면여성경로당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상하면예비군면대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 929. 063-563-0113 상하터미널 : 상하터미널은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하장리에 위치해 있는 시외버스 및 농어촌 버스 터미널이며, 요즘 매일유업의 상하목장 이라는 브랜드의 이름이 유래된 곳이기도 하다. 시외버스 노선은 상하-전주노선(해리, 무장, 고창, 흥덕, 정읍, 완산동 경유)과 상하-구시포 노 선을 대한고속이 운행한다.
5. , 상산김씨 78세, 063-563-0433
『상하면지』 상하면. 전북역사문화학회 2009 조선고적조사자료 1942 동국여지승람 1481 신동국여지승람 1530 고창지방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1984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