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제5집 고창의 마을 집필자회의 4. 11( ) 18:30분 고창 다은회관
1. 2013
고창의 마을 제5집
2. 기타의 건
1. 2012년 고창의 마을 제4집 1) 고창의 마을 제5집 선정예정(집필자와 마을 추천)
읍·면 고창읍 고수면 공음면 대산면 무장면 부안면 상하면 성내면 성송면 신림면 심원면 아산면 해리면 흥덕면 기타
제1집 無 無 선동리 無 無 용산리 용정리 덕산리 하고리 무림리 궁산리, 사등 계산리 사반리 송암리 취락, 산
제2집 도산리, 죽림리 은사리 용수리 상금리 성내리 선운리 검산리 칠성리 사내리 외화리 환산 월산리 반암리 송산리 사포리
제3집 월곡리 황산리 칠암리 성남리 교흥리 사창리 無 동산리 암치리 도림리 고전리 삼인리 라성리, 용반리 사천리
제4집
제5집
필자
교촌리
덕정리
신휘관
장두리 군유리 갈마리 무장리 오산리 하장리 양계리 무송리
부곡리 예전리 춘산리
이병열 정재윤 백원철 정민영 안후상
월산리
이대건 박채주
법지리
벽송리
서동진
하전리
월산리
이대건
상갑리
중월리
이병열
금평리
안산리
이형성
흥덕리
용반리
조용호
2) 고창의 마을 제5집 집필진 ○ 백원철 : 문학박사, 공주대 명예교수, 고창문화연구회장, - 1 -
상포리
전라북도 세계문화유산위원회 제2분과위원장 ○ 신휘관 : 고창문화연구회 자문위원, 전 고창향교 전교 ○ 정민영 : 문학석사, 영선고등학교 교감 ○ 정재윤 : 문학박사, 전 고창고등학교장 ○ 이형성 : 철학박사, 전주대 연구교수, 고창문화연구회 이사 ○ 박채주 : 고창문화연구회 이사, 전문화관광과장 ○ 이병열 : 이학박사, 공주대 강사, 고창문화연구회 사무국장 ○ 조용호 : 흥덕면장, 고창문화연구회 이사 ○ 안후상 : 박사과정수료, 고창북고 교사, 고창문화연구회 감사 ○ 이대건 : 친친북스대표, 고창문화연구회 편집부장 ○ 서동진 : 미당시문학관 사무국장, 고창문화연구회원
3) 집필자 회의
4) 일정 ○ 3월 : 편집위원회 구성 ○ 4월 : 집필진 워크샵 및 편집위원회의 ○ 5월 : 1차 마을 조사․연구 진행 ○ 6월 : 2차 마을 조사․연구 진행 ○ 7월 : 집필자 원고 수집 ○ 8월 : 원고 교정과 편집 ○ 9월 : 최종 원고교정 ○ 10월 : 편집(PDF) ○ 11월 : 인쇄․출판 ○ 12월 : 결산 및 결과보고서 작성
5) 14개 읍면 자문위원 신휘관, 조창환
성송면
하관수, 이형성
고수면
이정범, 고중영
대산면
강형렬, 김용관
아산면
정현도, 정병갑
심원면
전종열, 박채주
무장면
김종수, 박우영
흥덕면
고석상, 안후상
공음면
신계원, 이경수
성내면
이맹근, 김원식
상하면
손동환, 김용윤
신림면
조용구, 허인환
해리면
진윤식, 이현국
부안면
이상호, 정만수
- 2 -
(예시) 오래된 토성(土城) 아래의 마을, 성남리(城南里)
백 원 철 1. 마을의 위치와 유래 1) 성남리 2) 성동리 2. 마을의 입향조(入鄕祖)와 내력 1) 성남리와 광산김씨(光山金氏) 2) 성동리와 김해김씨(金海金氏) 3) 성동리와 영양천씨(穎陽千氏) 3. 마을의 인물과 행적 1) 김첩(金渫, 1591 ~ 1656) 2) 김덕명(金德明, 1710 ~ 1781) 3) 김기풍(金箕豊, 1835 ~ 1907) 4) 김재헌(金在憲, 1869 ~ 1940) 5) 김영송(金永松, 1924 ~ 2005) 6) 정균태(鄭均泰, 1910 ~ 1983) 4. 마을의 문화유적과 유물 1) 영취정(永翠亭) 2)서죽헌 김선생 유적비 3) 만취당 김공 유허비(晩翠堂 金公 遺虛碑) 4) 농은공(農隱公) 효행비(孝行碑) 5) 망곡단(望哭壇) 6) 무송윤씨(茂松尹氏)의 시조 묘소와 재실 7) 김해김씨가의 호적단자 8) 고대유적과 출토유물 (1) 성남리 Ⅰ유적 : (2) 성남리 Ⅲ 유적 : (3) 성남리 Ⅳ 유적 : (4) 성남리 Ⅴ 유적 : (5) 성남리 Ⅵ 유적 : (6) 성남리 지석묘군 : 5. 마을의 지명과 유래 1) 성남마을의 지명과 유래 2) 성동마을의 지명과 유래
- 3 -
6. 마을의 전설과 풍속 1) 토성산의 맥을 자른 일제 침략자 2) 용대밭과 소금장수 3) 청룡등 바위 전설 4) 마을의 당골네 5) 민속놀이와 농악의 흥성 6) 마을의 풍속설화와 인물 7. 마을의 현황과 생활상 1) 세대주와 호구(인구) (1) 성남(관등포함) (2) 성동 2) 성씨별 거주 현황(2011. 8월 현재) (1) 성남(관동포함) (2) 성동 3) 마을 환경과 주민생활 (1) 생활환경의 변화 (2) 한일목장 (3) 성동보건소 ▣ 자료조사에 도움주신 분 ▣ 참고문헌 『무장읍지일茂長邑誌一』(1904) 『송사지일松沙誌一』(1915) 『무장여지신람茂長輿地新覽』(1921)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1935) 『송사문헌적松沙文獻績』(2007) 『고창군지高敞郡誌』(2009) 『고창군문화유적분포도高敞郡文化遺蹟分布圖』(원광대학교, 2005) 『모양성牟陽城의 얼』(2009) 『고창의 마을유래』, 고창문화원, 2003 『고창 성씨의 입향유래』, 고창문화원, 2007 『김해김씨 삼현파 대동보金海金氏 三賢派 大同譜』 『광산김씨 서죽헌공파보光山金氏 棲竹軒公派譜』
기타 안건 1. 고창의 마을지에 수록하실 내용을 다른 곳에 원고를 내시면 안 됩니다. ) 신문, 논문집, 향토지 등, 원고료 반납해주셔야 합니다. 2. 마을사 조사 원고는 기본이 200자 원고지 100매 이상입니다. 3. 마을사 조사를 위해 마을은 최소한 5번 이상은 다녀오시기 바랍니다. - 추후 보강이 어려우니 심혈을 기울여 주십시오.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