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Page 1

이 책의 우측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가 실려있습니다.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2013 Annual Report



2013 Annual Report CONTENTS 숫자로 보는 종로장애인복지관 • 02 Zoom In • 04 2013년 이용만족도 조사 결과 종로장애인복지관 10대 뉴스 2014년 기대되는 사업 생생 이야기 • 14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성장 - 천천히 걷기 동행 - 나란히 걷기 소통 - 함께 걷기 변화 - 즐겁게 걷기

발행일

2014년 4월 8일

발행처

종로장애인복지관

만들어가는 이야기 • 36

발행인

최종길

재정보고

편집인

탁현정

주소

110-032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89

자원봉사자·후원자 명단

연락처

02.6395.7070

팩스

02.6395.7080

기관소개

홈페이지

www.jpurme.org

푸르메재단 소개

디자인

원디자인 조성지(02.734.2110)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 소개

종로장애인복지관 연혁


숫자로 보는 종로장애인복지관 2013년 한 해동안의 종로장애인복지관을 숫자를 통해 돌아보고자 합니다.

403,435

2013년 서울시 장애인구는 403,435명으로 서울시 주민등록 인구(10,388,055명)의 3.9%입니다. 장애유형을 보면 지체장애 가 204,168명(50.6%)으로 가장 많은 인구수를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뇌병변장애(44,236명, 11.0%), 시각장애(43,027 명, 10.7%), 청각장애(41,375명, 10.2%), 지적장애(23,739명, 5.9%) 순 입니다.

2013 Annual Report

[서울통계정보시스템 참조 http://stat.seoul.go.kr]

02

6,641

2013년 종로구 장애인구는 전년대비 264명이 감소한 6,641명 으로 서울시 장애인구의 1.6%입니다. 장애유형을 보면 지체 장애가 3,339명으로 종로구 장애인구의 50.2%를 차지하고 있 으며, 그 다음으로 시각장애(817명, 12.3%), 뇌병변장애(720 명, 10.8%), 청각장애(656명, 9.9%), 지적장애(331명, 5.0%) 순 입니다. [서울통계정보시스템 참조 http://stat.seoul.go.kr]

1,717

2013년 한 해동안 종로장애인복지관에서 활동한 자원봉사자 는 총 1,717명입니다. 일반자원봉사자 119명, 기업(단체)봉사자 1,242명, 대학생봉사자 325명, 청소년 봉사자 31명으로 식당 배식봉사, 장애아동청소년 프로그램 지원, 성인직업재활프로그 램 작업활동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이 이루어졌습니다.


106,841,549

2013년 한 해동안 종로장애인복지관에 후원된 금액은 총 106,841,549원입니다. 비장애형제 결연후원, 보장구대여사 업, 시각·청각장애 아동청소년 멘토링사업, 중도장애부부 집단상담, 종로 소중한 풍경 등 다양한 분야의 지정기부금이

66,458,222원, 그 외 비지정후원금이 40,383,327원이 모금되 었습니다.

03

업내 52개 세부프로그램, 활동지원사업 7개 단위사업내 12개 세부프로그램, 기획홍보사업 9개 사업분류 29개 세부프로그램, 열린조직 2개 사업분류 4개 세부프로그램, 운영지원사업 6개 단위사업 내 17개 세부프로그램이 진행되었습니다.

1,632

2013년 연간 종로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한 이용인원은 총 1,632 명입니다. 성별현황은 남성 777명, 여성 773명이 이용하였으 며, 연령은 19세 이하가 338명, 20세 이상이 1,064명으로 성 인장애인의 이용률이 아동·청소년 인구의 약 3배가 많습니다. 장애유형으로는 지적장애 313명, 뇌병변장애 125명, 청각장애 111명, 지체장애 96명, 시각장애 93명, 자폐성장애 90명 순으 로 이용하였습니다.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287

2013년 한 해동안 실시한 종로장애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수는 총 287개입니다. 세부적으로 사회통합사업에서는 20개의 단위 사업 내 96개 세부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운동기능사업은 7 개 단위사업 내 37개 세부프로그램, 직업지원사업 14개 단위사



Zoom In


2013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이용 만족도 조사 결과 2013년 11월 18일(월) ~ 12월 6일(금) [3주간]

종로장애인복지관은 매년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13년 11월 실시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물로, 서비스, 직원, 시설 등에 대한 만족정도와 희망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조사대상 : 복지관 상시 프로그램 이용자(일회성, 종결 프로그램 제외) 응답인원 : 131명 분석방법 : 통 계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실시

조사방식 : 복지관 이용자에게 설문지 배포 및 회수

Ⅰ.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013 Annual Report

50.4% (66명) 47.3% (62명)

성 별

2.3% (3명)

무응답

백분율(%)

1.5% (2명)

7세 이하

22.9% (30명) 20세-29세 26.7% (35명)

8세-19세

06

8.4% (11명)

30세-39세

연 령

11.5% (15명)

40세-49세

14.5% (19명)

50세-59세

9.9% (13명)

60세 이상

4.6% (6명)

무응답

백분율(%)

0.8% (1명)

간질

16.8% (22명)

뇌병변

12.2% (16명)

시각

6.9% (9명)

자폐성 정신

장애유형

1.5% (2명) 24.5% (32명)

지적 지체

3.9% (5명) 6.9% (9명)

청각

해당사항 없음/무응답 0

10

20

30

40

50

60

60

38.7% (35명) 70

80

90

100

백분율(%)


Ⅱ. 복지관 이용에 대한 만족도 서비스 이용과정, 시설 및 환경, 직원 3개 분야에 대해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모두 80% 이상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습니다. 특히 직원에 대한 만족도는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90% 이상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직원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우 그렇지 않다

1.5% (2명)

0.8% (1명) 1.5% (2명)

1.5% (2명)

13.0%

보통이다

1.5% (2명) 1.5% (2명)

그렇다

매우 그렇다

무응답

1.5% (2명) 0% (0명) 5.3% (7명)

0.8% (1명)

13.7%

(17명)

31.3%

그렇지 않다

31.3%

(41명)

(18명)

45.0%

(41명)

47.3%

(59명)

(62명)

50.4%

51.9%

(66명)

(68명)

복지관 시설 및 환경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복지관 직원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Ⅲ. 2014년 확대희망서비스 2014년에 확대되길 희망하는 서비스에 대해 욕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에 대해 욕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문화여가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화여가활동 지원에 대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보여집니다.

장애아동·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지원

1

17.6% (23명)

운동기능향상 지원

2

14.5% (19명)

장애인 직업능력향상 지원

2

14.5% (19명)

장애인 여가문화활동 지원

4

문화공연활동 지원

5

장애인 레포츠 및 생활체육 지원

장애아동·청소년을 위한 여가활동 지원

12.2% (16명) 10.7% (14명)

6 6.1% (8명)

문화공연활동 지원

1

순위

1 2

23.7% (31명) 10.7% (14명)

운동기능향상 지원

3

주말여가활동 지원

4

6.9% (9명)

문화공연활동 지원

4

6.9% (9명)

장애인 레포츠 및 생활체육 지원

7.6% (10명)

6 6.1% (8명)

※ 그 외 : 장애인 취업지원, 자조모임, 재가장애인 생활안정 등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여러분이 주신 고견을 반영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

순위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서비스 이용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07


종로장애인복지관 10대 뉴스 2013년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장애아동부터 어르신까지 많은 분들과 함께 행복 한 추억들을 만들었습니다. 과연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울리미가 뽑은 10대 늬우스를 소개합니다.

01

축! 종로장애인복지관의 마스코트 “울리미” 탄생!

2013년 3월 김인호 작가님의 재능기부로 태어난 울리미는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 “소소하고 펀펀한 데이”

종을 항상 지니고 다니며 도움을 요청하거나 좋은 일을 알릴

지난 4월, 장애인의 날을 기념하여 종로장애인복지관은 한

때면 종을 울리는 친구입니다. 2013년 한 해동안 복지관 행사

주동안 “소소하고 펀펀한 데이”를 진행하였습니다. 장애인

때마다 만날 수 있었던 우리 울리미가 2014년 소원이 있다고

예술가들의 작품전시, 배리어프리 영화 관람, 아카펠라 공연

하는데요. 바로 “여자친구”입니다. 2013년 한해는 혼자 다니

등 다양한 이벤트로 푸르메센터가 시끌시끌 했습니다. 특히

느라 외로웠다며 2014년에는 여자친구와 함께 하고 싶다

복지관 마스코트인 울리미 만들기와 포토존은 많은 호응과

고 하네요. 과연, 이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요? 지켜봐

참여가 있었습니다. 당신을 위한 장애인의 날, 우리에게는 매

주세요.!

일이 당신을 위한 날입니다.

2013 Annual Report

08

02

노란물결의 향연, 우리에게는 매일이 당신을 위한 날입니다

03

우리가 제일 잘나가~ 대한민국 1등, 청각장애청소년 멘토링!

제1회 휴먼네트워크 전국 멘토링대회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성인기를 준비하는 청각장애 청소년에게 사회적 모델링이 되는 성인 멘토를 연계하여 미래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04

문화해설사와 함께 종로 한복판을 누비다

온가족이 함께하는 종로역사문화여행 “종로 소중한 풍경”

을 지원한 ‘너와 나 같이(가치)찾기’ 프로그램이 제1회 휴먼

지난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온가족이 함께하는 종로역

네트워크 전국 멘토링대회에서 우수협력기관으로 보건복지

사문화여행 “종로 소중한 풍경(이하 종로소풍)”을 진행하였

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두둥~) 청각장애 청소년 멘토링

습니다. 종로소풍은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테마여행으로

“너와 나 같이(가치) 찾기”는 멘토 16명과 청소년 멘티 21명

전문해설사와 함께 여행하며, 도심속 새로운 즐거움을 찾는

이 1:1로 연결되어 개별 욕구에 맞춘 멘토링 활동을 진행하

것과 더불어 장애인의 입장에서 편의시설을 점검하고 건의

고, 매월 넷째주 토요일에는 다양한 문화여가활동 및 진로직

함으로써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진행되는 프로그램입

업체험을 경험하는 집단 멘토링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멘

니다. 이 날 150여명의 장애인과 가족들이 참가하여 청와대

토는 멘티에게 수화를 배우고, 멘티는 멘토를 섬기는 마음

분수광장을 거쳐 경복궁, 광화문광장, 청계천까지 약 3.5km

을 배우며 함께 성장했습니다. 2012년부터 함께 한 청각장

의 코스를 여행하였습니다. 장애가 생기고 처음으로 청계천

애 청소년 멘티들과 성인 멘토들의 성장 이야기, 응원하겠

을 나오셨다는 분, 궁궐을 처음 와보셨다는 분, 가족과 함께

습니다. 쭈~욱!

한 소풍이 처음이라는 분 등 종로소풍이 참가하신 장애인 분 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도심 및 지역적응에 또다른 계기가 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종로에는 서울의 문화역사유 적의 70%가 곳곳에 있는 문화역사의 도시입니다. 장애인이 조금 더 쉽고 편리하게 종로를 여행할 수 있도록 종로장애인 복지관이 앞으로도 함께하겠습니다.


05

하모니카팀 “숨”, 서울국제하모니카페스티벌에 도전장을 내밀다

06

기적과 같은 1년, 100년을 꿈꾼다

제1회 서울국제하모니카페스티벌 <소합주 성인부 3위 수상>

종로장애인복지관 개관1주년 기념행사

10명의 중도장애인분들이 활동하고 있는 하모니카팀 “숨”이

지난 9월, 3000명의 기적으로 만들어진 세종마을 푸르메센

유난히도 더웠던 지난 7월 27일, 서울시 신청사에서 개최된

터가 어느덧 개관 1주년을 맞아 개관1주년 기념식이 열렸습

제1회 서울국제하모니카페스티벌 소합주 성인부 경연에 용

니다. 김성수 푸르메재단 이사장을 비롯하여 센터 건립기금

감하게 도전장을 내민 결과, 3위를 수상하였습니다!! (짝짝

을 후원한 기부자 및 기부기업, 이용자, 국회의원, 구의원 등

짝) 대합주, 소합주, 독주, 크로메틱, 복음 등의 분야에 아동

약 150여명이 참석한 기념식에서는 지난 1년간의 활동을 동

에서 노인까지 수백명의 참가자 안에서 당당히 3위 입상. 한

영상으로 되돌아보고 푸르메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분

손 혹은 양손 모두 사용이 불편하여 양손으로 하모니카를 잡

들의 축하메세지를 듣는 귀한 시간이었습니다. 기념식의 하

지 못하고, 인지적 장애로 악보를 오래 기억하지 못해 비장

이라이트는 푸르메센터 직원연합 합창단 “Soul of Purme”

애인보다 몇 배는 더 연습해야 했지만 불가능은 없다는 것을

의 합창공연이었습니다. 잔잔한 가곡부터 신나는 트로트까

다시한 번 하모니카팀 “숨”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지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역시, 푸

도 더욱 발전해나갈 종로장애인복지관 대표선수 하모니카팀

르메 직원들은 볼매(볼수록 매력)인 것 같습니다.^^ 기적으

“숨”의 활약을 기대해봅니다. 으라차차!

로 태어난 푸르메센터가 앞으로 함께 만들어갈 100년의 이

07

더운 여름날, 불쾌지수 대신 “상쾌지수”가 쭉쭉 올라간 하루

지난 6월, 아름다운가게 안국점 앞마당에서 “장애인과 비장

08

애인이 함께 행복한 장벽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캠페인을

KBS3라디오 생방송 와글와글 주먹밥 콘서트

진행하였습니다. 이 캠페인은 가게를 찾아오는 방문객들이

지난 9월, KBS3라디오 생방송 “강원래의 노래선물 『와글와글 주

“장애인도 함께 종로구에서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동

먹밥 콘서트』”가 푸르메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방송 당일, 진행

의를 하면 스티커에 자신의 이름을 적어 ‘장벽없는 마을공동

자인 강원래씨와 자전거 탄 풍경, 캔이 초대가수로 우리가 직접

체’라고 적힌 현수막에 붙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선곡한 노래를 들려주기도 하고, 관객이 직접 부르고 춤을 추며

날 200명이 넘는 시민들이 따뜻한 힘과 마음을 모아 ‘장벽없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특히 KBS에서는 관객들에게 맛있는

는 마을공동체’ 글씨를 완성해 주셨습니다. 종로장애인복지

주먹밥을, 종로장애인복지관에서는 과일을, 사회적기업 청밀에

관과 함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행복한 마을공동체 만

서는 음료를 제공하여 속과 마음이 모두 든든해지는 콘서트였습

들기에 대한 꿈과 희망을 가져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니다. 이 날 우리복지관에서 활동 중인 시각장애인 오카리나팀

앞으로도 차이가 차별이 되지 않는 행복한 마을공동체를 만

“화인(FINE)”이 출연하여 의미를 더했습니다. 앞으로도 재미있고

들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색다른 이벤트로 여러분의 웃음을 책임지겠습니다.

장벽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캠페인

종로장애인복지관과 함께 한 방송 하실래예~?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야기를 기대해봅니다.

09


2013 Annual Report

09

“아삭아삭” 김장나눔으로 따뜻한 겨울 보내기

10

문화예술을 즐기는 당신이 진정한 챔피언!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행복나눔 김장행사”

제1회 종로송년예술제 “따뜻한 메아리”

지난 11월, 종로장애인복지관 5층 푸르메정원에서 종로구 저

지난 12월, 종로장애인복지관 푸르메홀에서는 생활예술을

소득 장애인을 위한 ‘행복나눔 김장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즐기는 이용자분들이 지난 한 해동안 갈고 닦은 기량을 뽐내

당일 김장행사에 사용된 절임배추와 양념속은 장애인근로작

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름하여 아듀 2013, 제1회 종로송년

업시설인 파주시 교남어유지동산에서 장애인들이 직접 생산

예술제 “따뜻한 메아리” 인데요. 어린아이부터 성인까지 150

하고 있는 농산물로 의미를 더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김영

여명이 푸르메홀을 가득 메워 함께 웃고 즐기는 따뜻한 시간

종 종로구청장, 종로구의회 의원, 종로구새마을부녀회 등 많

을 보냈습니다. 이번 예술제는 난타, 무용, 합창, 연극, 오카

은 분들이 참여하였습니다. 노랗게 저려진 배추에 양념을 속

리나, 하모니카 등 총 7개의 팀이 다양한 공연을 펼쳤습니다.

속들이 버무려주자 금세 먹음직스러운 김치가 완성되었습니

참가하는 공연팀들이 전문공연팀 못지 않게 멋진 복장과 분

다. 당일 버무린 김장김치 480포기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장으로 예술제를 더욱 뜨겁게 만들었습니다.

있는 종로구의 저소득장애인 75세대와 인근 장애인 유관시

이 날 인기상은 발달장애아동 난타 “네임리스”와 시각장애

설에 전달하였습니다. 김장김치는 우리나라의 든든한 겨울

아동 연극 “주인공”에게 돌아갔습니다. 귀여운 엉덩이 춤을

철 대표 음식으로 지역주민과 함께 정을 나눌 수 있는 또 하

추며 신명나게 북을 두드리는 발달장애아동들을 통해 유쾌

나의 문화입니다.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이번 김장행사를 계

한 웃음을, 시각장애로 인해 활동에 제약이 있음에도 마지막

기로 적극적인 관심과 애정으로 참여해 준 지역주민들과 함

까지 열심히 연기한 시각장애아동들을 통해 진한 감동과 희

께 행복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지역 내 장애인들에게 깊

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고 진한 따뜻함이 전달되었길 바라며, 김장행사 에 참여해주신 지역주민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인사 드립니다.

종로장애인복지관과 함께 가슴 따뜻한 메아리를 울린 첫번째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 우리가 함 께 울리는 메아리가 멀리 울려퍼져서 장애인 이 문화예술활동의 주체가 되는 그 날까지, 장애인이 하는 문화예술활동이 더이상 “장

10

애인 문화예술”이 아닌 “문화예술”이 되는 그 날까지 종로송년예술제는 계속되어 야 합니다. 쭈욱~~~~~~

행복나눔 김장 행사

발달장애아동 난타 네임리스

행복나눔 김장 행사

하모니카팀 숨


2014년 기대되는 사업 2014년 종로장애인복지관의 주목할 사업입니다.

01

청각장애 청소년 토요 문화체험 활동

| 대상 | 청각장애 청소년 | 사업기간 | 2014년 3월 ~ 12월

청각장애 청소년의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한 사회적 성장을 위하여 매월 넷째 주 토요일 토요 문화체험활동을 실시합니다. 월별 주제, 계절에 적합한 체험 활동으로 진행이 되며 시각적 자 극 및 체험활동에 강점이 있는 청각장애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감각자극 제공 및 사회적 경험 의 기회를 지원합니다. 무료한 주말, 집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는 장애 청소년이 아닌 또래 친구 들과 함께 신나게 체험하고 새로운 경험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청각장애 청소년을 기다립니다.

02

시각장애아동과 엄마가 함께하는 음악놀이 활동

| 대상 | 시각장애아동(미취학~초등저학년) | 사업기간 | 2014년 3월 ~ 12월

정표출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음악놀이 활동을 진행합니다. 그룹활동으로 수업이 진행 되며 그룹안에서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러운 관계형성 능력 및 신체활동을 통한 다양한 감각자극을 지원합니다. 또한 일 상생활에서 아동이 겪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고 심리·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을 향상시키 고자 본 사업을 진행합니다.

03

비장애 형제·자매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날개 달기”

| 대상 | 장애아동 가정의 비장애 형제자매 | 사업기간 | 2014년 2월, 7월

비장애 형제자매들은 부모의 손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장애형제로 인해 외면받기도 하고, 충 분한 상호작용을 이루지 못해 심리적인 위축감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울감으로 인해 심 리치료를 받은 비장애형제의 사례도 다수 있습니다. 2013년 봄방학과 겨울방학에 진행된 비 장애 형제자매를 위한 프로그램 “날개달기”에 참여한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 음에 즐거워하였고, 그 후로도 지속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14년에 는 비장애 형제자매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 위한 활동으로 또 다시 찾아옵니다. 집단놀이활동과 자존감 향상활동을 통해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미래 의 나를 탐색해 봄으로써 나는 소중한 존재임을 느낄 수 있는 귀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장애형제가 나에게 어떤 존재인지 다시 생각 해 볼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예정입니다. 나는 소 중한 존재임을 되새기며 다른 이들도 소중히 여길 수 있는 아이들로 성장하기를 기대합니다.

11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시각장애아동과 엄마가 함께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여 울림을 통한 자극을 주고 자유로운 감


04

종로역사문화여행 ‘종로소풍 (종로 소중한 풍경)’

| 대상 | 성인장애인 / 장애인가족 | 사업기간 | 2014년 3월 ~ 11월 (연중 15회)

역사문화해설사와 함께 종로에 위치한 다양한 문화역사관광지를 여행합니다. 장애인 편의시 설을 고려하여 종로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역사유적지를 선정하였으며, 참여인의 장애의 유 형과 정도에 따른 맞춤형으로 여행이 준비됩니다. 10명~15명의 소그룹으로 진행되는 종로소 풍은 단순 여행참여 뿐만 아니라 문화역사여행지의 편의시설을 점검하고 칭찬과 건의를 함 으로써 종로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당사자 참여형 여행으로 진행될 예정 입니다. 특히 중증장애인도 문화역사해설사와 사회복지사가 함께하여 이동의 불편을 최소화 하고 상호 소통함으로써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으며, 도심 나들이에 대한 즐겁고 새로운 경험 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여신청은 개별 또는 단체로 접수하며 종로장애인복지관으로 문 의하시면 됩니다.

05

언어 - 심리운동 프로그램

2013 Annual Report

| 대상 | 미취학시각장애아동 | 사업기간 | 2014년 3월 ~ 11월

12

새까만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은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지만 때때로 별 하나가 외로이 홀로 빛을 내고 있을 때는 혼자라는 생각에 괜스레 마음이 찡해옵니다. 앞이 보이지 않 는 우리 친구들은 어떤 위험한 상황이 일어날지 모르는 환경 속에서 두려움을 갖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래와의 교류를 통한 안정된 즐거움을 느끼기에는 다소 어려움 이 따릅니다. 시감각의 제한으로 다양한 환경 및 자극의 유입이 완전하지 않아 의사소통결여 로 인하여 심리적 위축으로 인한 자존감저하 및 발달지연으로 2차장애가 발생될 우려가 따릅 니다. 이를 사전에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언어와 운동기능사용을 통한 타인과 의 관계를 통하여 신체능력과 언어사용기능이 원활해짐으로 수동적 태도에서 자발성이 향상 된 자아형성을 통한 긍정적인 신체발달은, 언어능력과 심리관이 형성됨으로써 사회성을 높 이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누에고치가 단단한 틀을 깨고 자유로이 나는 나비가 되 듯이 언어와 신체적 경험을 통하여 두려움과 한계를 깬 우리아이들이 비상하는 모습, 기대되 지 않으신가요?

06

장애인활동지원사업

| 대상 | 만6세 ~ 만 65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상 1·2급 장애인 활동보조인 ~ 만 18세 이상의 활동보조인 교육 수료자 | 사업기간 | 2014년 연중 장애인활동지원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 등의 사유로 혼자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활동지원급여를 제공함으로써 자립생활과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서비 스입니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신청 방법은 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하실 수 있으며, 경우 에 따라 장애등급 재심사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활동보조인의 경우 기본교육 40시간을 이 수하시고, 현장실무교육 10시간 이수 후 활동이 가능합니다.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내용으로 는 개인위생관리, 신체기능유지, 식사 및 실내이동 등을 지원하는 신체활동지원과 청소, 주변 정돈, 세탁, 취사 등 지원하는 가사활동지원이 있습니다. 또한 출퇴근 및 등하교 보조, 은행 및 산책 등의 외출활동을 지원하는 사회활동지원도 포함이 됩니다.


07

장애인식개선 캠페인

| 대상 | 일반 시민(유·아동, 청소년, 성인) | 사업기간 | 2014년 연중

장애인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해서 두려움이 있거나 오해, 편견이 생기지 않도록 강 의, 시청각 교육, 찾아가는 교육, 캠페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입 니다. 장애를 이해하기 어려운 유·아동에겐 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 기 쉽게, 장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오해가 있는 성인들에겐 강의와 시청각 교육으 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또한 3살 꼬마부터 백발의 할아버지까지 마음만 있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 방식으로 장벽 없는 마을(Barrier-Free) 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08

탁구교실

| 대상 | 탁구활동을 원하는 장애인 및 지역주민 | 사업기간 | 2014년 연중

“핑-퐁, 핑-퐁” 종로장애인복지관 푸르메홀에는 경쾌한 탁구공 소리가 가득합니다. 자원봉사 선생님의 힘찬 기합소리와 함께 이용자분들은 자세를 낮추고 날카로운 눈 빛으로 상대를 응시합니다. 그러나 눈빛과는 달리 입에는 미소가 가득 걸려있네요. 치명적인 매력으로 성인 장애인분들의 마음을 뺏은 “탁구교실”을 소개합니다. *^^* 탁구교실은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오후 12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복지관 4층 강 당에서 진행되고, 복지관에서 자원봉사로 2년 가까이 활동하고 계신 정천용 선생님께 서 지도해주고 계십니다. 생활체육으로 즐거움은 물론, 건강한 땀과 자신감을 얻을 수

09

유관기관 통합 연계형 전환교육 프로그램 “드림하이”

| 대상 | 고등학교(급) 2~3학년 | 사업기간 | 2014년 3월 ~ 11월(하계·동계 방학기간 제외)

유관기관 통합 연계형 전환교육 프로그램 「드림하이」는 학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다 양한 작업환경에서의 기능훈련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직업전훈련 및 현장훈련 (실습)의 경험을 통해 예비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스스로 준비 할 수 있도 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맞춤식 학교연계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6 개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에게 욕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의견 반영을 통한 직업전훈 련&현장실습(견학), 직업전훈련&사회적응훈련, 작업활동 등의 3가지 안을 구성하였 습니다. 담당교사가 학생의 지적능력을 고려하여 수업 내용을 선택 할 수 있으며, 훈 련 매뉴얼을 활용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주 1회 과정으로 실시합니다. 또한 고용관련 기관연계(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지사)를 통해 실제적인 현장실습 프로그 램을 다양하게 진행 하며, 고용연계를 가질 방침입니다. 2013년 학교연계사업에 참여 하였던 이○수 학생은 “힘을 쓰는 일과, 급여가 적은 일자리는 가지 않겠다.”, 정○영 학생은 “고된 일이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사무보조를 해 보니 어떤 일인지 알 게 되었고, 다음에도 이 일을 해보고 싶다.” 장○석 학생은 “직업 적성을 발견할 수 있 었다.” 라는 평가를 하여 학생들의 고등학교 졸업 후의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 하였습니다. 2014년에는 더 많은 장애청소년에게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하고 준 비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특색 있는 과정으로 준비하였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있는 탁구교실.. 함께 하실래요?

13


종로장애인복지관은 2013년 한 해동안 4개의 영역에서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성장 - 천천히 걷기

장애인 당사자, 그리고 가족이 가진 힘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회 제공

•동행 - 나란히 걷기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지원을 통해 자립생활과 사회참여 증진 도모

•소통 - 함께 걷기

장벽없는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교류활동 및 캠페인 진행

•변화 - 즐겁게 걷기

직원들의 전문성 향상과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한 긍정적 변화 도모

총 사업비 금

453,489,576원

(외부지원사업 : 301,412,128원)

총 자원봉사자 수 연간

4,915명

(실인원 1,717명)

총 이용자수 연간

149,079명

(실인원 1,632명)

총 프로그램 수

287개


생생 이야기


성장 ; 천천히 걷기 장애인 당사자, 그리고 가족이 가진 힘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총 5개 분야 사업에 101,801,729원을 지원하여 21,531명의 장애인 및 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사업분야

2013 Annual Report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지원

시청각장애 아동청소년 지원

가족지원

예술활동지원

사업비

이용자 수

101,801,729원

(금 일억일백팔십만일천칠백이십구원)

16

치료활동

연간

21,531명

(실인원 508명)

■지원기관 하트하트재단

싱가포르항공

서울시교육청

삼성에버랜드

허그네이션

삼성복지재단

종로구

매트라이프 코리아

(사)DTS 행복들고나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휴먼네트워크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한국장애인 복지관협회

서울특별시 장애인체육회


01 지원기관

발달장애아동청소년 지원 하트하트재단, 싱가포르항공, 서울시교육청, 삼성에버랜드, 허그네이션

목적 발달장애아동청소년의 대인관계기술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그룹활동으로 다양한 사회적 경험과 체험활동을 지원하여 정서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성장을 도모함 목표

아동기에 필요한 다양한 문화체험으로 사회적 역할 이해 / 집단활동을 통한 규칙습득 및 또래관계 증진

사업내용

위풍당당홀로서기 : 방과후시간대를 활용한 사회적응훈련 및 지역사회시설 이용

숲속학교 : 월 2회(1, 3주 토요일) 등산 및 자연체험활동 진행

신나는 토요일 : 월 1회(4주 토요일) 자원봉사단체 허그네이션과 함께 다양한 체험활동 진행

계절학교 : 여름, 겨울방학기간을 활용하여 요리, 스포츠, 캠프 등 다양한 그룹활동 및 외부체험활동 진행

긍정적 행동지원 : 서울시교육청과 자문단(특수교육 전공교수 및 특수교사)과의 사례관리

발달장애청소년 음악지원 : 방과후시간대를 활용한 난타교육 및 음악활동 진행 또래친구들과 무용, 연극, 미술, 음악 등 예체능 활동을 통해 소통 증진 / 지역사회시설이용훈련을 통한 독립적 일상생활 능력 향상 / 주말프로그램을 통한 건전한 여가시간 활용 지원

사업비

48,794,445원

(총 사천팔백칠십구만사천사백사십오원)

숲속학교

이용자 수

연간

4,010명

(실인원 160명)

청소년 여름계절학교 “Dunk in Dream”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성과

17


02

시·청각장애아동청소년 지원

지원기관

매트라이프 코리아, (사)DTS 행복들고나,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휴먼네트워크, 종로구

목적

시·청각장애아동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회, 문화활동을 지원하여 건강하게

2013 Annual Report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함 목표

1:1 멘토 결연을 지원하여 개별적인 욕구 지원 및 정서적 안정 도모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대인관계기술 습득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건전한 여가활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

사업내용

동아리활동 지원 : 청각장애 청소년 우쿨렐레 교실, 창의미술 집단활동 예룸교실 운영

청각장애청소년 멘토링 : 생애설계 지원을 위한 1:1 개별멘토링, 주말 특별활동, 드림캠프 등 지원

시각장애아동 멘토링 :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연극, 난타 등 다양한 문화예술활동 지원

미취학 시각장애아동 사회성 지원 : 방과후 시간대를 활용하여 체육, 요리, 난타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 지원

성과

시청각장애아동청소년의 감정표현 지원 및 여가활동 지원

멘토와 1:1결연을 통한 올바른 사회적 모델 제공

사업비

18 총

28,642,704원

이용자 수

연간

4,976명

(실인원 96명)

(총 이천팔백육십사만이천칠백사원)

청각장애청소년 멘토링 드림캠프

시각장애아동 집단멘토링 요리체험

청각장애청소년 멘토링 포토그래퍼 현장 체험

시각장애아동 연극


03

가족지원

지원기관

삼성복지재단

목적

장애가족의 심리안정과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도모함

목표

자녀 문제행동 이해 및 긍정적인 실천방법 습득

장애가족의 스트레스 완화와 이해를 통한 관계 개선

사업내용

부모아카데미 : 자녀의 문제행동이해와 긍정적 지원 교육, 비장애형제와 함께하는 심리활동 등 운영

비장애형제 힐링프로그램 : 장애형제를 가진 비장애형제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체험활동 등 다양한 공동체활동 지원

성인 중도장애부부 집단상담 : 중도장애부부의 심리적 안정과 기능향상을 위한 상담 및 미래설계 지원

성과

부모와 자녀의 서로에 대한 이해도 증가 비장애형제의 스트레스 완화 중도장애를 입은 부부간 관계개선을 통한 심리적 안정

19

이용자 수

10,661,200원

연간

601명

(실인원 68명)

(총 일천육십육만일천이백원)

부모와 비장애형제가 함께하는 ‘우리같이 손잡고’

부모아카데미

부모아카데미

중도장애부부 경주여행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사업비


2013 Annual Report

04

예술활동지원

지원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사)DTS 행복들고나

목적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목표

집단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사회성 및 자기표현력 증진

음악적 자극을 통해 엄마와 아이간 긍정적 애착형성 및 사회성 향상

문화예술활동을 함께 함으로써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간 긍정적인 상호관계 경험

즐거운 여가시간 활용과 문화예술분야 기능 습득

사업내용

아동무용활동 : 음악과 다양한 메테리얼을 활용한 그룹 심리운동 및 신체놀이활동 지원

엄마와 함께하는 음악활동 : 다양한 악기와 음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음악활동 지원

겨울방학 문화예술교육활동 :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가 참여한 음악과 무용 통합문화예술활동 지원

성인장애인 통합예술활동 : 성인발달장애인 무용과 합창활동, 공연활동 지원

성과

사회성향상 및 신체기능 향상

엄마와 함께하는 음악활동을 통한 애착형성

성인발달장애인들의 자기표현력 향상

20

총 사업비

5,886,380원

연간

(총 오백팔십팔만육천삼백팔십원)

이용자 수

아동무용활동 ‘행복한 움직임’

모아음악

성인장애인 합창활동

성인장애인 연극활동

879명

(실인원 64명)


05

치료활동

지원기관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목적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체육교실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언어발달 및 운동발달을 촉진하거나 불필요한 움직임을 감소시켜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능력과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 여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함

목표

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장애 완화 / 운동능력의 독립성 증진 / 신체기능 향상을 통한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업내용 물리활동 : 보바스를 활용한 개별서비스로 독립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개별물리활동, 스트레칭, 균 형훈련, 보행방법 등을 교육하여 운동기능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그룹물리활동(걷기교실) 진행 작업활동 : 손상된 신체적, 기능적, 지적 기능의 회복을 통해 과제의 운동, 효율, 독립, 안정성 향상을 위한 개별 작업활동과 일상생활동작 및 자가운동방법 훈련을 위한 그룹작업활동(상지교실) 진행 언어활동 : 개인별 언어발달수준 및 장애와 개인차 등을 고려하여 수용/표현언어 증진을 위한 개별언어활동과 더불어 화용능력 향상, 의사소통능력 증진, 상호작용 기술습득을 위한 그룹언어활동 진행 체육활동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로 건강유지·증진과 삶의 질 향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태권도교실, 탁 구교실, 배드민턴교실, 스트레칭교실 등 생활체육프로그램 진행 체력단련실 운영 : 장애별 적합한 운동방법과 기구사용 지도를 통해 맞춤형 운동방법을 제공하여 스스로 운동 방법 습득을 지원하는 운동지도와 운동지도 후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기능적인 능력 유지 및

21

향상을 지원하는 재활운동 프로그램 진행 개별 치료활동을 통한 신체기능, 화용능력 등 향상

그룹 치료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증진 및 상호작용기술 습득

체육활동을 통한 건강유지 및 증진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성과

사업비

이용자 수

7,817,000원

연간

(실인원 224명)

(총 칠백팔십일만칠천원)

체력단련실 나들이

11,065명

태권도교실


동행 ; 나란히 걷기 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지원을 통해 자립생활과 사회참여를 증진하기 위해 2013년 총 4개 분야 사업에 295,026,959원을 지원하여 32,127명에게 서비 스를 제공하였습니다.

■사업분야

2013 Annual Report

재가복지서비스

직업지원

문화여가지원

사업비

이용자 수

295,026,959원

연간

(금 이억구천오백이만육천구백오십구원)

22

기획사업

32,127명

(실인원 1,203명, 37개 기관)

■지원기관 아름다운 가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현대자동차 원효로본사

청정원

세영재단

신나는 예술여행

서울시장애인 가족지원센터

부암소사이어티

푸르메재단

대우

(사)DTS 행복들고나

종로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고용노동청 서울고용센터

SK노동조합

서울특별시 장애인체육회

청밀

문화예술교육 더베프

아트앤큐

극단 오렌지컴퍼니


01 지원기관

재가복지서비스 아름다운 가게,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현대자동차 원효로본사, 청정원

목적 장애로 인한 제한, 환경적인 제한,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는 저소득 장애인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 공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안정된 생활 유지 및 도모 목표 외출, 휠체어점검, 보장구대여를 통해 장애인의 이동 및 사회참여활동 증진 / 세탁, 주거환경의 개선을 통해 위생적이고 건강한 일상생활 영위 / 식사지원 및 김장김치 제공을 통해 경제적,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가정의 부담감 완화 / 활동보조인을 통해 중증장애인에게 신체활동, 사회활동, 가사활동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 로써 자립생활 향상 도모 사업내용

일상생활지원 : 외출지원, 세탁지원, 김장김치나눔, 식사지원, 주거환경개선, 휠체어무상점검, 보장구대여

정서지원 : 생신지원, 나들이, 문화놀이터

건강지원 : 안마서비스

상담지원 : 일반상담, 법률강의

후원금품 지원 : 후원금, 후원품 지원

활동지원 : 자립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활동보조인을 파견함으로써 일상생활 지원 및 사회참여 확대

23

안마동아리연계를 통한 신체적 건강증진 / 법률정보제공을 통한 일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응능력 향상 / 후원금품 지원을 통한 경제적 어려움 해소

40,750,690원

연간

(재가복지서비스 : 12,486,060원,

사업비

주거환경개선

활동지원서비스 : 28,264,630원)

이용자 수

법률강의

4,281명

(실인원 279명)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성과 일상생활지원을 통한 사회참여욕구 증진 / 정서지원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 회복 및 자존감 향상 / 시각장애인


02 지원기관

직업지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고용노동청 서울고용센터, 현대자동차 원효로 본사, SK노동조합, 종로구

목적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구직장애인들의 성공적인 취업 및 자립을 지원하고, 직업적 사회참여와 다각적인 경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 목표 발달장애인 직업역량강화를 위한 훈련프로그램 활성화 / 장애청소년 조기 진로전환을 위한 전환교육사업 활성화

다양한 직종훈련을 통한 중증장애인 직업역량강화 지원 / 외부기금사업 확보를 통한 연계사업 활성화

사업내용

직 업상담 및 평가 : 구직 접수등록, 내담자의 진로정보, 구직조건 파악 및 직업재활서비스 정보제공, 직업평가를 통한 직업능력(적성) 파악

직업훈련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인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과 태도 습득 및 취업을 위한 직업적응훈련, 일반취 업이 어려운 중증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기회보장 및 직업의 욕구 충족을 위한 보호작업훈련, 전문인력 양

2013 Annual Report

성을 위한 세차 및 소독직종 훈련 실시

장애청소년 전환기교육 : 장애청소년의 직업기초소양능력 습득 및 진로설정을 위한 전환교육, 학교연계사업 실시

고용지원 : 구직장애인의 욕구 및 직업능력을 고려한 취업알선, 중증장애인의 고용영역 확대를 위한 사전교육 및 현장훈련, 고용주 및 동료상담, 재택 혹은 관내 공동작업장 부업활동 연계

취업연계 : 지역사회 내 구직장애인과 예비구직장애인인 장애청소년의 고용활성화 및 진로설계를 위한 종로구 장애인 진로취업박람회 개최

구인업체관리 : 노동시장의 장애인이 취업할 수 있는 구인직무 탐색 및 직무개발, 연계업체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고용주 상담

24

직무지도원 관리위탁사업 : 중증장애인 지원고용사업 대상 장애인의 작업수행능력 및 태도 등이 향상되도록 직 무지도원 선임·배치·관리

일경험지원 프로그램 : 취업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복지관 내 일자리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취업의욕 제고 및 직장생활 기초능력 배양

성과

SK노동조합 - 국립서울맹학교와의 협약을 통한 시각장애인 헬스키퍼사업 실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연계사업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 장애청소년 조기 진로전환교육 실시

총 사업비

201,998,365원

연간

(총 이억일백구십구만팔천삼백육십오원)

종로구장애인진로취업박람회

이용자 수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

16,702명

(실인원 530명, 35개 업체)


03

문화여가지원

지원기관 세영재단, 신나는 예술여행, 서울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부암소사이어티, 푸르메재단, 대우 (사)DTS 행복들고나, 종로구 목적

문화여가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지원

목표

문화활동을 통한 즐거운 일상생활 영위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문화활동과 사회참여 지원

동료집단활동을 통한 정서적지지 및 여가문화활동 증진

사업내용 여가취미지원 생활강좌 : 다양한 연령층의 장애인 및 가족에게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하모니카, 오카리나, 민화 등 5개 문화여가강좌 진행

문화공연(문화나눔데이, 문화나들이) : 양질의 문화공연 컨텐츠 관람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관내 특별공연 및 외부 공연관람 지원

종로소풍 : 종로의 역사문화유적지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역사해설가와 함께 종로의 다양 한 문화역사관광지 도심여행 지원

문화학교 :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문해, 미술, 음악, 체육 등 다양한 문화여가프로그램 진행

글쓰기 동아리활동 ‘천사랑’ : 글쓰기 활동과 동료집단 활동을 통해 정서적 환기와 사회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중증장애인의 일상속의 글쓰기 및 문화활동 지원 장애인과 가족에게 문화향유의 기회 제공을 통한 즐거운 생활 지원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해 양질의 문화공연 관람의 기회 제공

글쓰기 활동과 동료집단활동을 통한 정서적 환기와 사회참여 지원

25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성과

사업비

이용자 수

33,269,810원

연간

(실인원 568명)

(총 삼천삼백이십육만구천팔백일십원)

민화교실

8,565명

비밥 공연관람


04

기획사업

지원기관 서울특별시장애인체육회, 청밀, 문화예술교육 더베프, 아트앤큐, 극단 오렌지컴퍼니 목적

복지관 이용자 및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여 기관을 알리고 소통과 공감을 장을 마련하기 위함

목표

이용자 중심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를 통한 이용자들의 주인의식 함양

개관1주년 기념행사를 통한 기관 홍보 및 이용자와의 소통기회 마련

푸르메센터 내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컨텐츠 개발 및 문화예술활동 활성화

사업내용 장애인의 날 기념 주간행사 : 장애인예술가 작품전시, 울리미만들기, 소소한 콘서트,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 장애인의 날

2013 Annual Report

기념식, 희망으로 한걸음 나눔걷기대회 등

종로장애인복지관 개관1주년 기념행사 : 개관1주년 기념식, 사진공모전 “사람, 사람, 사람”, 공연관람 등

문화예술활동 활성화 : 무지개콘서트, 종로송년예술제

성과

장애인예술가 발굴

관내 문화공연 활성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기관에 대한 관심 유도 (사진공모전 60작품 출품)

26

사업비

19,008,094원 (총 일천구백만팔천구십사원)

이용자 수

연간

2,579명

종로송년예술제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 “소소한 콘서트”

개관1주년 기념 사진공모전 “사람, 사람, 사람” 시상식

무지개콘서트 “장애자녀를 둔 부모합창단 『Philos Choir』”


소통 ; 함께 걷기 장벽없는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2013년 총 4개 분야 사업에 13,723,008원을 지원하여 6,645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101개 기관이 협약 및 업무협의 에 참여하였습니다.

■사업분야 지역교류

지역조직화

후원

사업비

이용자 수

13,723,008원

(금 일천삼백칠십이만삼천팔원)

자원봉사

연간

27

■지원기관 종로구사회복지협의회

현대자동차 원효로 본사

KT미주네트워크

자하손만두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6,645명


01

지역교류

지원기관

종로구사회복지협의회, 현대자동차 원효로 본사, KT미주네트워크, 자하손만두

목적

더불어 살아가는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기 위함

목표

장애인복지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 증진 및 참여 유도

절기행사를 통한 장애인의 정서적 지원 및 지역주민과의 소통 확대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고양

사업내용

종로구복지박람회 : 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에 대한 작은 실천이 있는 홍보물 나누기, 장벽없는 마을공동 체 만들기 선언문 서명, 실천하는 모습이 담긴 인증사진 나누기

절기행사 : 설 행사(뮤지컬 관람, 만둣국 나눔), 추석행사(윷놀이대회, 송편·부채 만들기, 전통의상·민속놀이 체험)

장애인식개선 : 법무부 사회봉사자 장애이해교육, SK이노베이션 대학생 자원봉사자 장애이해교육, 장애인식

2013 Annual Report

개선 캠페인 등 비장애인을 대상을 관내교육 및 찾아가는 교육을 실시하여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 도모 성과

장벽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선언문 835명 서명 참여

지역사회 장애인식개선 캠페인 635명 참여, 연중 5회 실시

절기행사 167명 참여

28

사업비

3,755,350원

(총 삼백칠십오만오천삼백오십원)

마을공동체만들기 선언문

이용자 수

연간

종로한가위한마당

1,730명


02

지역조직화

목적

지역사회 내 장애인복지 및 지역발전을 위한 장벽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목표

지역 네트워크 구축 및 강화

사업내용

지역간담회 및 업무협의회 : 지역 유관기관과의 간담회 및 업무협의 회의 진행

장벽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 업무협약, 산학협동, 연계행사, 지역행사 참여 등

나란히 걷기 : 협력단체와의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단합회

성과

간담회 및 업무협의회의 총 80개 기관 참여, 연간 39회 실시

업무협약 연간 21건 체결

업무협약기관

효사랑플러스홈케어

배화여자대학교

이야기원격평생교육원

경복궁아트홀

마을공동체 품애

댄스시어터 샤하르

서울특별시갈등조정담당관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시장애인복지관

한국하모니카교육협회

종로구소방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수지장애인종합복지관

SK 노동조합

국립서울맹학교

한국통합예술심리치료센터

대신고등학교

어린이도서관

바라봄사진관

현황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바라봄 사진봉사단

사업비

476,800원

(총 사십칠만육천팔백원)

법률자문위원 위촉식

29

기관 수

101개 기관

종로장애인복지관-종로소방서 업무협약


03

자원봉사

목적 복지관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자원봉사자들에게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목표 자원봉사자의 욕구에 맞는 활동 프로그램 연계 및 기관의 효율성·효과성 증대 체계적 관리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의 소속감 증대 및 지속적인 활동에 대한 동기 부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 교육을 진행하여 자원봉사자의 소양 양성 사업내용

자원봉사 교육 : 자원봉사활동 전 사전교육 진행

자원봉사활동 및 관리 : 문자 및 메일발송, 감사장 수여

청소년 봉사학습 :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 교육, 장애인 인권교육 실시

자원

총 1,717명

봉사활동 2013 Annual Report

분석

793명

남성

성별

924명

여성

31명

청소년

325명

대학생

대상별

단체

30

119명

일반

277명

인터넷

14명

기관홈피

2명

홍보물

유입경로

1,242명

1,232명

소속기관

156명

지인

36명

기타

206명

새로운 경험

133명

사회공헌

97명

개인성장

30명

성적, 성과반영

참여동기

18명

여가시간활용

1,213명

소속기관활동

7명

종교적 이유 기타 0

13명 500

1000

1500

인원(명) 2000


활동분야 (누적인원) 5000

3,699명

4000

총 4,915명

3000

2000

540명

1000

7명

노력활동

21명

2명

문화예술

교육학습

기술기능

보건의료

월별활동(누적인원) 500

374명

400

행정지원

445명

4

5

6

7

8

4,665,180원

9

10

자원봉사자 수

연간

4,915명

(실인원 1,717명)

(총 사백육십육만오천일백팔십원)

청소년 봉사학습

381명

청소년 봉사학습

11

31 12

월별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3

사업비

분야

총 4,915명

100

2

기타

480명 336명

259명

1

92명

439명

371명

0

특별기획

426명

300

200

재가복지

488명

467명

449명

420명

130명

4명


04 목적

후원 지 역사회와 함께하는 복지관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후원금 확보를 위한 복지관 내외부의 노력을 집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목표

감 동과 이야기가 있는 소통을 통해 후원자의 80%의 지속적인 후원 유도 / 다양한 후원모금사업으로 후원금 모금기 회 마련 및 지역사회의 나눔문화 형성 / 지역 네트워크 형성으로 장애인복지사업을 위한 마을지향 모금 바자회 추진

사업내용

후원개발 : 종로 사랑의 릴레이, 테마모금, 후원품 모집, 결연후원 등

마을바자회 : 새마을부녀회 등 다양한 단체와 연계한 바자회 실시

2013년 기부금 수입지출 현황 2013 Annual Report

자원관리 : 후원자 감사행사, 후원자 커뮤니티 조직

수입

지출

내역

금액

내역

2012년 이월금

29,581,811원

금액

운영비(CMS)

503,200원

2013년 지정후원금

45,069,158원

사업비

69,945,109원

2013년 비지정후원금

32,178,604원

차년도 이월금

36,393,240원

잡수입(결산이자) 합계

11,976원 106,841,549원

합계

사업비 지출현황

0.1% 치료활동 59,370원

직업지원 3,748,620원 5.4%

기획사업 7,092,384원

지역교류 3,316,270원 4.7%

32

106,841,549원

10.1% 재가복지서비스 12,354,200원

17.7%

18.9%

문화여가지원 13,202,420원

69,945,109원 자원봉사/홍보/후원 7,461,148원

10.7% 32.5%

총 사업비

장애아동청소년지원 22,710,697원

4,825,678원

(총 사백팔십이만오천육백칠십팔원)

사랑의 온울림 바자회

103명 단체 42곳

개인기부자 기부자 수

사랑의 온울림 바자회


변화 ; 즐겁게 걷기 직원들의 전문성 향상과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한 긍정적 변화 도모하기 위해 2013년 총 2개 분야 사업에 42,937,880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사업분야 역량강화

홍 보

사업비

42,937,880원

33

(금 사천이백구십삼만칠천팔백팔십원)

김인호 작가

원디자인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지원기관


01

역량강화

목적

다양한 교육과 연수를 통해 직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이용자들에게 수준높은 서비스 제공

목표

직원들의 전문성 확보 및 업무효율 증대

실습생 대상 이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등 과정을 통해 장애인복지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역량 강화

사업내용

관내외 직원교육 : 필수교육, 세미나, 보수교육, 간담회 등 다양한 교육에 참석

직원연수 : 각 팀 사업발표 및 관계증진 프로그램 진행

해외연수 : 장애인복지 및 타 영역 종사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정서적 재충전의 기회 마련 및 다양한 사업 연계 도모

내부교육 16회, 외부교육 84회, 직원연수 12회, 직원 동아리활동 10회, 방학중 실습 14명

2013 Annual Report

성과

실습지도 : 사회복지 관련학과 학부생에게 방학중 사회복지현장실습 기회 제공

사업비

34 총

26,908,860원

(총 이천육백구십만팔천팔백육십원)

직원연수

직원연수

서부지역 네트워크 연합강의

하계 사회복지현장실습 수료식


02 지원

홍보 김인호 작가, 원디자인

목적 종로장애인복지관의 비전과 정체성, 활동 등을 지역사회 내에 효과적으로 알림으로써 복지관의 인지도를 높이 고 지역사회의 동참을 유도함. 나아가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리고 제안함으로 써 스스로가 복지를 이루는 데에 있어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목표 다양한 홍보매체를 접촉대상에 맞게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복지관의 비젼과 가치를 알림

종로구 지역사회 및 이용자들과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홍보를 실시하여 교류를 증대함

사업내용

관내홍보 : 소식지 발행, SNS(페이스북) 및 홈페이지 관리, 기관견학, 관내게시판 홍보 등

관외홍보 : 브로셔 및 사업안내지 제작, 언론홍보, 현수막 및 문자서비스, 법인웹진 홍보 등

성과 소식지발행 4회, SNS 및 홈페이지 관리 978회, 기관견학 8회(127명), 관내 게시판 홍보 260회 브로셔·안내지 제작 3회, 보도자료 배포 144건(게시 46건) 현수막·문자서비스 21,187건, 법인웹진홍보 15건

사업비

16,029,020원 (총 일천육백이만구천이십원)

출판물

보도자료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35



만들어가는 이야기


종로장애인복지관 재정 보고 2013년, 2014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살림살이를 보고합니다.

2013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이렇게 운영하였습니다

(단위 : 원, %)

2013 Annual Report

세입

세출

구분

예산액

결산액

수입율

구분

예산액

결산액

집행율

합계

2,044,272,000

2,050,970,538

100.3%

합계

2,044,272,000

2,050,970,538

100.3%

경상보조금

1,376,736,000

1,376,736,000

100.0%

인건비

1,182,623,157

1,169,510,503

98.8%

기타, 자본보조금

241,920,000

239,045,812

98.8%

사무관리비

166,051,000

141,118,084

84.9%

후원금수입

64,980,000

77,259,738

118.8%

재산조성비

24,000,000

21,136,460

88.0%

사업수입

249,014,160

246,338,829

98.9%

사업비

623,492,450

564,345,564

90.5%

전입금

34,500,000

34,500,000

100.0%

잡지출

50,000

0

이월금

76,947,092

76,947,092

100.0%

예비비

48,055,393

잡수입

174,748

143,067

81.7%

차기이월금

세 입

38

154,808,076

0.1% -

세 출

4% 2%

0% 0% 1%

0% 12%

4%

51,851

-

-

8% 27%

11%

67%

■경상보조금 ■기타, 자본보조금 ■후원금수입 ■사업수입 ■전입금 ■이월금 □잡수입

57% ■인건비 ■사무관리비 ■재산조성비 ■사업비 □예비비

7% □잡지출 ■차기이월금

2014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이렇게 운영하겠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합계

세입 전년도예산 2,044,272

14년예산 2,023,530

증감 -20,742

구분 합계

세출 전년도예산 2,044,272

14년예산 2,023,530

증감 -20,742

경상보조금 기타, 자본보조금

1,376,736 241,920

1,462,830 200

86,094 -241,720

인건비 사무관리비

1,182,623 166,051

1,235,371 171,121

52,748 5,070

후원금수입

64,980

39,746

-25,234

재산조성비

24,000

22,500

-1,500

사업수입

249,014

370,078

121,064

사업비

623,493

571,624

-51,869

전입금

34,500

30,000

-4,500

잡지출

50

300

250

이월금 잡수입

76,947 175

120,476 200

43,529 25

예비비

48,055

22,614

-25,441


지원사업 개요 사업명

사업대상

금액

매트라이프 코리아

시각장애아동

10,230,000원

세영재단

장애인 및 가족

10,000,000원

삼성복지재단

중도장애부부

10,000,000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장애인

3,000,000원

저소득 발달장애아동 지역사회적응지원

싱가포르항공

발달장애아동

6,430,000원

장애아동청소년 긍정적 행동지원

서울시교육청

장애아동청소년

24,000,000원

중증발달장애청소년 음악활동

하트하트재단

발달장애아동청소년

7,800,000원

거주시설 네트워크 지원

종로구

거주시설장애인

3,000,000원

1인 1취미 동호회 활동 지원

종로구

성인장애인

3,000,000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청각장애청소년

2,675,000원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비장애형제

3,440,000원

씨앤알리서치

성인발달장애인

4,000,000원

장애청소년체육교실 “으라차차 태권V”

서울시장애인체육회

장애청소년

2,000,000원

중증장애인 지원고용 민간위탁사업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성인중증장애인

4,568,000원

서울고용노동청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취업성공패키지 참여 장애인

9,578,970원

중증장애인지원고용 직무지도원 관리위탁사업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중증장애인

166,330,000원

아름다운가게 “21차 희망나누기”

아름다운 가게

재가장애인

4,107,000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재가장애인

1,200,000원

장애인 복지사업(생신지원, 나들이 등)

현대자동차(원효로본사)

재가장애인

10,000,000원

중복시각장애 아동청소년과 함께하는 “문화놀이터”

UPS 코리아

중복시각장애아동청소년

10,553,158원

저소득 재가장애인의 건강한 밥상지원을 위한 “요리조리”

청정원

재가장애인

서울시장애인체육회

장애인 및 지역주민

시각장애아동 멘토링지원사업 종로구 역사문화탐방지원사업 “종로소풍” 성인중도장애인 부부 집단상담 장애인 문화예술활동지원

청각장애청소년멘토링 특별활동 지원 비장애형제와 함께하는 겨울방학지원사업 성인발달장애인 야외 문화체험활동

일경험 지원프로그램

1인 1나눔 계좌갖기 운동

희망으로 한걸음 나눔걷기대회

500,000원 5,000,000원

39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지원기관


종로장애인복지관

자원봉사 & 후원 개인 자원봉사활동 KAIMI | LIN WEN WEN | Wayne Lin | 강경훈 | 강금화 | 강도림 | 강민성 | 강석규 | 강세영 | 강수연 | 강영빈 | 강예슬 | 강예인 | 강원호 강은지 | 강이슬 | 강재연 | 강한수 | 고하늘 | 공현정 | 곽민경 | 곽민선 | 구세영 | 권솔 | 권양경 | 권정자 | 권주희 | 권혜중 | 김가경 | 김가령 김가영 | 김강산 | 김곡권 | 김규리 | 김기범 | 김기쁨 | 김기용 | 김나영 | 김난희 | 김남춘 | 김다솜 | 김다은A | 김다은B | 김단아 | 김대옥 김동옥 | 김명수 | 김민경 | 김민아A | 김민아B | 김민정A | 김민정B | 김민주 | 김민지A | 김민지B | 김민진 | 김범구 | 김보경 | 김보선 김봉준 | 김생교 | 김서영 | 김선주 | 김선환 | 김성식 | 김성준 | 김세진 | 김소연 | 김소영A | 김소영B | 김소희 | 김수경 | 김수성 | 김수연 김수진 | 김슬기 | 김승주 | 김시연 | 김시원 | 김신영A | 김신영B | 김연진 | 김영락 | 김영록 | 김예림 | 김예솔 | 김예지 | 김용재 | 김용준 김우솔 | 김욱 | 김원찬 | 김유리 | 김유정 | 김윤미 | 김윤정 | 김윤지 | 김윤태 | 김윤희A | 김윤희B | 김은미 | 김은빈 | 김은진 | 김은희 김인애 | 김인영 | 김재민 | 김재연 | 김정민 | 김정수 | 김정언 | 김정은 | 김정현 | 김제현 | 김종우 | 김준우 | 김지수 | 김지영 | 김지예

2013 Annual Report

김지원 | 김지향 | 김지혜 | 김지희 | 김진건 | 김진서 | 김진호 | 김치은 | 김태훈 | 김필성 | 김향나 | 김현승 | 김현정 | 김현제 | 김현주 김현지A | 김현지B | 김현희 | 김형선 | 김혜리 | 김혜성 | 김혜연 | 김혜진A | 김혜진B | 김효은 | 김희원 | 김희철 | 나상욱 | 나하경 | 남다솜

40

손경선 | 송영희 | 송지은 | 송혜주 | 신나리 | 신서영 | 신소정 | 신아름 | 신용철 | 신준영 | 신지혜 | 신진우 | 신현호 | 신혜선 | 심민아

남지현 | 노병연 | 노희균 | 도희주 | 류석환 | 문대승 | 문무철 | 문승주 | 문윤찬 | 문정미 | 문하영 | 문향진 | 민문경 | 박다해 | 박미 | 박부성 박상우 | 박상진 | 박서영 | 박서주 | 박선미 | 박선재 | 박선정 | 박성호 | 박소연 | 박수현 | 박신애 | 박연아 | 박영미 | 박은경 | 박정현 박종국 | 박주희 | 박준성 | 박준영A | 박준영B | 박지언 | 박지훈 | 박태민 | 박한나 | 박현아 | 박형빈 | 박혜빈 | 박혜인 | 반주현 | 반현정 방명애 | 방수진 | 배준혁 | 배지현 | 배진수 | 배혜린 | 백다솜 | 백민지 | 백상현 | 백송이 | 백승연 | 백이슬 | 백지연 | 백지은 | 백진아 백현 | 변경애 | 변상원 | 부현지 | 서갑경 | 서명진 | 서민희 | 서연희 | 서운주 | 서지윤 | 서하얀 | 석다영 | 선다희 | 성운하 | 성지은 | 성혁 심영실 | 심인순 | 안민영 | 안성훈 | 안소연 | 안윤철 | 안지은 | 안지혜 | 안홍범 | 양아랑 | 양정현 | 양진휘 | 양하나 | 양흥식 | 엄윤성 엄정윤 | 여세린 | 여우성 | 여혜원 | 염윤균 | 오미희 | 오민영 | 오수미 | 오수진A | 오수진B | 오정진 | 오현근 | 오현주 | 오혜경 | 우명숙 우현민 | 원윤희 | 원지현 | 원현경 | 원호정 | 유길열 | 유동림 | 유범영 | 유병규 | 유솔지 | 유슬기 | 유양석 | 유재욱 | 유지상 | 유진영 유해림 | 윤강석 | 윤다솔 | 윤동규 | 윤성현 | 윤세열 | 윤세형 | 윤수지 | 윤예진 | 윤윤미 | 윤정민 | 윤주선 | 윤주언 | 윤지영 | 윤지현 윤태근 | 이가영 | 이가희 | 이건예 | 이경진 | 이규민 | 이규호 | 이기명 | 이다솜 | 이다영 | 이다은 | 이도정 | 이동훈 | 이미라 | 이상균 이상민 | 이상복 | 이상우 | 이선아 | 이선혜 | 이성직 | 이수민 | 이수영 | 이슬기 | 이승민A | 이승주A | 이승훈 | 이승훈B | 이영림 | 이영재 이예슬 | 이유경 | 이유나 | 이윤경 | 이윤영 | 이윤지 | 이은별 | 이은비 | 이은석 | 이은영 | 이은정 | 이은지 | 이은혜 | 이장노 | 이재경 이재준 | 이정민 | 이종석 | 이종섭 | 이주석 | 이주원 | 이주희 | 이준기 | 이준오 | 이지미 | 이지원 | 이지은 | 이진경 | 이진안 | 이채린 이하근 | 이형주 | 이형진 | 이혜윤 | 이희영 | 임도연 | 임상우 | 임수연 | 임예경 | 임정현 | 임지언 | 임해나 | 장다솜 | 장명호 | 장민정 장백산 | 장보인 | 장성신 | 장세연 | 장준규 | 장지혜 | 장한우리 | 전다영 | 전서지 | 전은서 | 전은진 | 전재영 | 전지영 | 전지원 | 전회진 정경희 | 정기훈 | 정성남 | 정성호 | 정승환 | 정여솔 | 정은영 | 정재호A | 정재호B | 정주희 | 정진태 | 정천용 | 정해진 | 정혁 | 정형민 정혜림 | 정혜민 | 정혜원 | 정호선 | 조강희 | 조미경 | 조성우 | 조성은 | 조수빈A | 조수빈B | 조수진 | 조수현 | 조우경 | 조윤아 | 조재은 조지훈 | 조현돈 | 조혜선 | 지현우 | 진윤호 | 차상익 | 채경아 | 천민호 | 천수정 | 최경혜 | 최다영 | 최대호 | 최동민 | 최민규 | 최민진 최보미 | 최서인 | 최솔빈 | 최수정 | 최수진 | 최수현 | 최승주 | 최용수 | 최유나 | 최윤하 | 최은정 | 최은진 | 최재웅 | 최철용 | 최철호 최현성 | 최현준 | 최혜원 | 표호영 | 하얀 | 한나래 | 한아름 | 한유진 | 한혜경 | 허영진 | 허은혜 | 허지선 | 허진희 | 홍다희 | 홍상진 | 홍주희 홍지은 | 황세진 | 황신혜 | 황원민 | 황윤실 | 황인재 | 황인혜 | 황지선

단체 자원봉사활동 90정보통신단 강종근, 고종현, 기범준, 김건우, 김광민, 김동준, 김병현, 김상철, 김용만, 김인수, 김인화, 김정미, 김준형, 김지훈, 김치원, 김현민, 김희원, 두명균, 문정규, 박민경, 박종표, 박지원, 박지환, 송민석, 신동현, 양주원, 염보열, 유상국, 이규선, 이기응, 이남규, 이민규, 이상모, 이상원, 이우혁, 이윤희, 이은채, 임득수, 정준화, 조광래, 지효근, 채규명, 최규상, 최우용, 한경우, 함용주, 현철, 홍성삼 | 법제처 김경동, 김경희, 김은빈, 김정림, 김정주, 김혜림, 김희태, 박상균, 송유경, 안영신, 유정아, 이선미, 임재훈 | 55경비대대 고석준, 김석준,


남궁건우, 노상현, 노승현, 노태환, 문대휘, 박원, 박찬솔, 서동근, 서동효, 손익권, 신민식, 안영진, 양상대, 양정모, 오도걸, 오세진, 위성주, 이원경, 이재원, 이재환, 이지웅, 장덕민, 장철순, 정진욱, 조영광, 지석주, 채희민, 허원주 | 종로소방서 의용소방대 강기성, 강은주, 공옥순, 권순옥, 김귀임, 김금순A, 김금순B, 김기만, 김난순, 김남순, 김동분, 김명숙, 김미정, 김봉순, 김선자, 김숙자, 김순복, 김순열, 김순이, 김영임, 김옥희, 김요셉, 김정옥, 김정화, 김현미, 김현숙, 남순석, 남진숙, 노길순, 노원희, 류재영, 류제진, 박갑연, 박계숙, 박성용, 박숙경, 박순애, 박옥분, 박옥주, 박윤희, 박종성, 박창순, 박춘화, 백경순, 변명희, 송미숙, 송재늠, 송정아, 신재균, 신혜순, 심수정, 안영순, 양영순, 우원경, 유수길, 이강세, 이금숙, 이덕승, 이미경, 이상임, 이숙이, 이순자, 이양남, 이연순, 이원우, 이재례, 이정선, 이준자, 이지민, 이춘희, 이혜정, 임경자, 장희원, 정말순, 정순안, 정일심, 정정임, 조경자, 조성자, 조숙희, 조신옥, 조양수, 조정자, 조춘환, 조치형, 지영숙, 진혜정, 천덕상, 최대현, 최덕순, 최숙희, 최인숙, 최종락, 최종숙, 한영수, 한현례, 홍순근, 홍영숙, 홍옥미, 홍향선, 황인화 | 종로구청 대학생 서포터즈 강도훈, 김민아, 김성준, 김세훈, 김지영, 김지윤, 김한미, 김현지, 김희윤, 노홍승, 박혜민, 석정훈, 성윤정, 신유경, 심다빈, 안선우, 양주윤, 이상헌, 이성찬, 이수정, 이지연, 임현경, 조은희, 최종영, 한아름, 홍지민, 황승현 | 중앙공무원교육원 공인식, 김다운, 김영욱, 민성준, 손동균, 이대진, 이정은, 정승길 | (주)오픈타이드코리아 강기봉, 강영규, 고원제, 고형영, 곽노혁, 곽은영, 권은경, 권정은, 김경애, 김경화, 김금선, 김기중, 김기훈, 김동준, 김동진, 김명수, 김미림, 김민정, 김민준, 김범진, 김선배, 김성준, 김세종, 김예슬, 김유미, 김윤지, 김윤호, 김은경, 김재연, 김재용, 김주형, 김준홍, 김진오, 김철중, 김한진, 김현민, 김현유, 김훈섭, 김희진, 남정훈, 남현일, 남호원, 남희정, 류명옥, 류용철, 문기훈, 문병훈, 민은희, 박경수, 박미영, 박병용, 박상용, 박상우, 박선영, 박성호, 박성훈, 박순호, 박영진, 박인섭, 박재은, 박정병, 박정선, 박정재, 박정화, 박제옥, 박종훈, 박준식, 박지영, 박진관, 박진희, 박채윤, 박태구, 박효근, 배효진, 백청현, 서대식, 서은혜, 서필재, 손서연, 손현태, 송명하, 송재희, 송지연, 송희, 신경미, 신무헌, 신한숙, 신호준, 안계성, 안수광, 안수진, 양홍석, 엄익헌, 우명섭, 이성훈, 이수진, 이승주, 이신석, 이영기, 이영실, 이우석, 이윤정, 이은주, 이의일, 이재일, 이정경, 이정화, 이종원, 이지연, 이해인, 이형민, 이호철, 임수연, 임재하, 장대호, 장영석, 장하연, 전진선, 정연철, 정의현, 정재성, 조재훈, 조형철, 천재복, 최경숙, 최민희, 최은규, 최정환, 최중희, 추성필, 표세한, 한상범, 한송이, 한영일, 한재상, 한종환, 허성재, 허재원, 황성욱, 황정희 | C&R Research 강진경, 곽희민, 구도형 구진서, 권해솔, 금진경, 김경미, 김미라, 김미아, 김미영, 김민애, 김상숙, 김수경, 김수란, 김영빈, 김원철, 김윤호, 김인향, 김재희, 김제석, 김학윤, 김한나, 김활란, 김효정, 남정민, 노은혜, 문창호, 박대우, 박상민, 박수진, 박재영, 박주하, 박준석, 방수진, 배미경, 배수현, 백은실, 서명훈, 석주희, 손혜린, 신무철, 심준미, 안지희, 양은선, 연희영, 오은숙, 우세영, 윤병선, 윤병인, 윤해미, 이명지, 이상제, 이선화, 이성은, 이윤미, 이은, 이주연, 이하정, 이화영, 정명애, 정용욱, 정원석, 조미승, 차한아, 최혜림, 하헌철, 황금나, 황동민, 황선미, 차한아, 최혜림, 하헌철, 황금나, 황동민, 황선미 | KT 권세웅, 김승찬, 남형우, 라승천, 배성석, 손진욱, 안지욱, 유근석, 윤여훈, 조규범 | LG전자 강동근, 이지훈, 이창훈, 최규철, 허정임 |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 강삼석, 김근화, 김보경, 김용운, 신현민, 양윤서, 이상훈, 이준배 | UPS Korea 김구민, 김근실, 김미영, 김민용, 김연희, 김윤미, 김윤종, 김자영, 김지은, 김홍주, 류흥석, 문상호, 박종철, 박지민, 박효종, 박희경, 백철현, 서기석, 서수연, 서윤정, 손세화, 송유진, 신영주, 심지수, 안수지, 오주영, 유승용, 유제국, 유지만, 윤해식, 이경은, 이경태, 이병무, 이선민, 이순하, 이종배, 이종욱, 이준혁, 이진한, 이하정, 이혁재, 임수현, 장기창, 장은미, 정나래, 정미혜, 정영희, 조세종, 조영학, 지율현, 지창후, 최유정, 한정연, 황종선 | 교보 다이렉트 감상봉, 강동민, 강동환, 강소원, 강신영, 강신재, 강연근, 강윤성, 강윤의, 강재훈, 강중구, 강철희, 강태정, 강한영, 강효선, 강희찬, 고명우, 고민지, 고상아, 고성근, 고승헌, 고정진, 곽혜미, 곽효선, 구승규, 구지혜, 구현철, 구화정, 권누리, 권명희, 권병우, 권선우, 권연진, 권태형, 권한오, 김규태, 김기웅, 김기훈, 김나현, 김덕래, 김도연, 김도완, 김동관, 김동민, 김동숙, 김동환, 김두현, 김명정, 김명준, 김명철, 김명훈, 김문수, 김미영, 김미화, 김민균, 김민석, 김민선, 김민욱, 김바름아, 김범연, 김보혜, 김상득, 김상우, 김선동, 김선민, 김선우, 김성희, 김소영, 김소희, 김솔, 김솔잎, 김수진A, 김수진B, 김승준, 김승호, 김연신, 김영빈, 김영서, 김영아, 김영자, 김영재, 김영태, 김옥란, 김용성, 김유선, 김윤선, 김윤희, 김은미, 김은숙, 김은영, 김은지, 김의석, 김의수, 김인경, 김인호, 김재영, 김재윤, 김재하, 김정, 김정호, 김정화, 김종걸, 김종준, 김지섭, 김지영A, 김지영B, 김지은, 김지훈, 김진규, 김진우, 김태인, 김태조, 김태훈, 김태희, 김택상, 김하늘, 김학근, 김학범, 김한강, 김한섭, 김해은, 김현민, 김현석, 김현수, 김혜리, 김혜정A, 김혜정B, 김호성, 김화정, 김효숙, 김효중, 김효진, 김희명, 김희수, 김희주, 김희진, 나성환, 남궁온, 남기연, 노태경, 노현승, 도희, 류가영, 맹수영, 문기석, 문지애, 문혜정, 민병진, 박건일, 박광민, 박득범, 박미애, 박미영, 박미진, 박민지, 박병준, 박석준, 박선아, 박성애, 박소선, 박소희, 박여진, 박영길, 박영은, 박영임, 박영자, 박영주, 박영진, 박옥경, 박용철, 박유경, 박은미, 박은희, 박인희, 박일기, 박정웅, 박종열, 박중경, 박지경, 박지현, 박지훈, 박진영, 박진희,

41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원종조, 유상인, 유승헌, 윤종규, 이가흔, 이경순, 이광철, 이도희, 이동욱, 이동희, 이미란, 이병훈, 이상미, 이상우, 이선주, 이설희, 이성권,


박찬규, 박현신, 박혜경, 박혜숙, 박혜영, 박효숙, 박효진, 박휘윤, 박희임, 배광진, 배한영, 백다빈, 백샬롬, 백성우, 백승관, 백영재, 백충숙, 변재균, 변지아, 서가빈, 서솔, 서우현, 서지은, 선동미, 선동안, 손동락, 손완정, 송수현, 송훈희, 신경진, 신금숙, 신나리, 신민섭, 신상미, 신선희, 신소현, 신영준, 신은종, 심지혜, 안승만, 안재영, 안정자, 안준성, 안현선, 양성희, 연해용, 염경진, 염동호, 오기택, 오세희, 오수미, 오수옥, 오수인, 오은경, 오정혁, 우동희, 우람한, 우선숙, 원성만, 원종효, 원진희, 유서희, 유승완, 유영선, 유조인, 유종수, 유현재, 윤대진, 윤병철, 윤선희, 윤여준, 윤옥희, 윤재훈, 윤정화, 윤종철, 윤지해, 윤태양, 윤평식, 윤현선, 윤현수, 이경무, 이경임, 이경희, 이균욱, 이기선, 이기홍, 이다감, 이덕수, 이동휘, 이명섭, 이미경, 이복임, 이상목, 이상원, 이성민, 이수빈, 이수연, 이승민, 이승운, 이승훈, 이영광, 이영민, 이영애, 이영호, 이우람, 이우진, 이원관, 이유나, 이유민, 이유정, 이유진, 이은구, 이은재, 이은주, 이은채, 이인재, 이재숙, 이재안, 이재영, 이재웅, 이재환, 이정미, 이정섭, 이정수, 이정숙, 이정애, 이정호, 이정훈, 이종삼, 이주현, 이지민, 이지영, 이지원, 이지호, 이진구, 이채원, 이평강, 이하연, 이향래, 이현재, 이현정, 이현주, 이현지A, 이현지B, 이혜정, 이혜주, 이호세, 이효성, 이효진, 인보나, 임두열, 임봉애, 임선민, 임웅, 임재주, 임진아, 임한영, 임현섭, 임현철, 장경인, 장길환, 장동현, 장미라, 장미리, 장석빈, 장성우, 장원영, 장은숙, 장은아, 장은혜, 장준태, 전미선, 전민경, 전영주, 전은정, 전진영, 정경모, 정광원, 정다인, 정대만, 정만숙, 정문수, 정성윤, 정영만, 정용수, 정용주, 정은주, 정은지, 정은희, 정준현, 정태광, 정택민, 정한성, 정혜정, 정홍은, 정훈, 조성준, 조세형, 조아해, 조용미, 조우상, 조은별, 조은옥, 조인지, 조홍기, 조흥식, 지승훈, 지연주, 진경수, 진미라, 진인규, 차지혜, 채라경, 채민영, 채제엽, 천동민, 천동혁, 천명훈, 최광회, 최나래, 최다정, 최동환, 최민규, 최상영, 최애란, 최영애, 최용준, 최우진, 최윤선, 최윤섭, 최은혜, 최진경, 최회근, 하영경, 한경자, 한미진, 한민정, 한상현, 한수경, 한아름, 한은주, 허혜진, 현진우, 홍세실, 홍승우, 홍예지, 홍위영, 홍희주, 황교훈, 황대연, 황민정, 황순주, 황이슬, 황인호, 황정원, 황태정 | 대상㈜ 강상원, 강신호, 강희수, 곽형석, 권정선, 김영선, 김정수, 김주환, 김형수, 김희망, 문승재, 박세영, 박정철, 박지훈, 송호근, 오민우, 유신호, 이건철, 이기섭, 이기정, 이동준, 이미진, 이미화, 이병수, 이석원, 이영은, 이향미, 전은주, 전형철, 정혁상, 조영훈, 조홍규,

2013 Annual Report

주범택, 최윤기, 최인규, 최창우, 한유미 | 삼성 SDS 김미진, 김일석, 도희정, 모상혁, 박영준, 안이경, 윤호근, 이유림, 이윤경, 전인선, 정은성,

42

정희숙, 조석호, 탁건우 | 삼성 에버랜드 건축ENG그룹 강범석, 강성찬, 강신일, 고수민, 공두용, 권은선, 권효신, 김민희, 김병석, 김보현, 김성은, 김시영, 김영진, 김용성, 김정민, 김지헌, 김형자, 노배영, 노완탁, 문갑수, 문창훈, 문희철, 박진현, 박태하, 변동열, 신인선, 양영아, 오홍석, 유주현, 윤우석, 윤진현, 윤효진, 이강건, 이경환, 이능수, 이신형, 이완철, 이원일, 이인규, 이재용, 이재형, 이정식, 이정원, 이종윤, 이지훈, 이천표, 이태관, 이하령, 임상진, 장재호, 정승조, 정신영, 정은선, 정해암, 지성혜, 최상환, 최수현, 최인혁, 하정국, 한효경, 함승용, 황두원, 황민하, 황필모 | 한국산업인력공단 김미금, 김원돈, 김주희, 김현수, 김현철, 김혜영, 박경원, 박순영, 박신환, 윤재연, 이도연, 정비용, 조유리, 천학기 | 걸스카우트 수호천사대(상명대) 김고운, 김명산, 김미영, 김은진, 김호준, 노아름, 박예은, 박창준, 박하늘, 설유정, 신송이, 신유, 신효정, 오승준, 유혜미, 이가희, 이예주, 이혜인, 장종원, 정경은, 정수연, 정예정, 정혜원, 정혜정, 조은나라, 조은희, 최은영, 황규휘, 황다영 | 동그라미 강철희, 김관수, 김선국, 김수봉, 김옥경, 김점숙, 나가영, 서정덕, 신영균, 유종조, 이도건, 이동선, 이은희, 이혜경, 전홍재, 최선옥, 최춘기 | 종로구 새마을부녀회 강예숙, 강외숙, 김공순, 김금수, 김성자, 김순득, 문순희, 서정희, 오재영, 이미자, 이수남, 이영자, 이정숙, 정홍근, 조혜숙, 주옥순, 황유경 | 성균관대 심산한누리 강민석, 고하현, 김수진, 문예지, 박다인, 박세아, 서영원, 안수완, 이나은, 이연경, 이지우, 이한빛, 정영상, 정하영, 최윤정, 한지원 | 세검정성당 레지오 송선미, 김말분, 이숙희, 임미수라, 홍경혜, 홍복희 | 청운중학교를 사랑하는 모임 김연순, 김지영, 김진희, 김혜숙, 박양여, 박혜성, 안선화, 유재영, 윤연순, 이영오, 이재연, 임소연, 임은경, 최해영, 한예진, 황정숙 | 허그네이션 곽윤미, 권오걸, 권유경, 권현수, 김낙현, 김보람, 김선미, 김수희, 김용우, 김은정, 김정은, 김태우, 김형배, 남명우, 두빙천, 박상태, 박서은, 박영빈, 박지숙, 송정민, 송지범, 신가람, 안호정, 유성근, 이규연, 이동엽, 이윤수, 이주학, 이지우, 정주영, 정지혜, 정초롱, 주림수, 최찬규, 편성국, 한상록

후원자 명단 기부금(개인) 강윤하, 강정훈, 권용혁, 김경미, 김미경, 김미나, 김빛나, 김상엽, 김상현, 김새미, 김선규, 김성태, 김요한, 김은영, 김이선, 김지영, 맹정순, 문중현, 박근숙, 박사희, 박선영, 박수근, 박연옥, 박정훈, 박진배, 박춘환, 방순분, 방실, 배미열, 백은숙, 백은주, 손승현, 송용권, 신정이, 안보현, 안영수, 안재빈, 양미숙, 염상호, 유영덕, 유은진, 윤경수, 윤예진, 이슬이, 이종덕, 이혜나, 임연수, 임재훈, 임종승, 임태경, 장민경, 조명규, 진혜선, 채춘호, 최양, 최은희, 최종길, 탁현정, 한상훈, 한일웅, 한호정, 홍광일, 황금나, 황덕은, 황은미, 황정순, 무명 | 기부금(단체) (주)씨엔알리서치, UPS코리아, 교보생명보험(주), 국민은행 청운동지점, 매트라이프 코리아, 삼성에버랜드, 세영재단, 싱가폴에어라인즈,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가게 안국역, 이마트, 종로구사회복지협의회, 종로구새마을부녀회, 종로구생활체육회, 청밀, 푸르메재단,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현대자동차 원효로 본사, 현대종합상사, 마음껏 동네놀이터 | 후원품(개인) 채춘호, 정풍기, 김성완, 신규영, 이숙자, 김재형, 김철수, 박기범, 박민수, 박채향, 손현섭, 송성관, 송현석, 이승희, 이태현, 임성희, 조덕근, 진현철, 김경태, 김봉호, 김하윤, 남연주, 박지원, 여지영, 이동규, 이진우, 이태우, 주영현, 공경운, 김가혜, 김영락, 라만강, 모재욱, 이승혁, 이정환, 최오규 | 후원품 (단체) 보건복지부, 법제처 법제지원단, 종로구청, 국제라이온스협회, 신선설농탕 인사동점, 김수현 팬클럽, 푸르메재단, 적십자봉사단, 스마일재단, 종로구자원봉사센터, KT문화재단, 현대종합상사, 대상㈜, 자하손만두, 삼성에버랜드, 해태크라운제과, 뉴스토마토, 파스꾸찌, 삼성에버랜드 건축팀, 청밀, 싱가포르에어라인즈, 팝콘


종로장애인복지관 연혁

2010. 11.

종로구 장애인 및 지역주민 설명회 개최

2011. 05.

푸르메재단 - 종로구청 협약 체결

09. 07 2012. 05. 04

세종마을 푸르메센터 착공식 종로장애인복지관 설치신고

07. 11

종로장애인복지관 개관식

07. 21

시각장애어린이와 싱가포르항공이 함께하는 ‘만지는 박물관’ 개시 [싱가포르항공 지원]

08. 01

청각장애청소년의 생애설계를 위한 멘토링지원사업 ‘너와 나 가치(같이)찾기’ 개시 [IBK기업은행 지원]

09. 05

종로장애인복지관 개관기념 지역문화축제

10. 22

제1차 종로장애인복지관 운영위원회의 개최

12. 07

가족캠프 ‘참 좋은 이웃입니다- 행복한 다섯손가락’

12. 26

송년행사 “G0-GO Party” 시각장애인 안마동아리 ‘동그라미’의 복지관 이용자 대상 안마서비스 실시

02. 21

서울보호관찰소 사회봉사 명령 협력기관 지정

03. 0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 발달장애아동무용활동 개시

03. 28

종로역사문화여행 ‘종로 소중한 풍경(종로소풍)’ 발대식

04. 15

장애인의 날 주간행사 ‘소소하고 펀펀한 데이’

04. 24

종로소방서 – 종로장애인복지관 업무협약 체결

04. 27

효자동프로젝터, 종로장애인복지관과 함께 여는 우리동네 벼룩시장 ‘시장해’

05. 08

문화나눔데이 “팝카펠라 원달러의 아주 뻔(FUN)한 콘서트” 실시

06. 13

종로구새마을부녀회와 함께하는 ‘온울림 바자회’

06. 15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 행복한 장벽 없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캠페인 실시

06. 15

장애인 보장구대여 기금마련을 위한 “배스킨라빈스 & 던킨도너츠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토요일” 실시

07. 27

하모니카교실 _ 제1회 서울국제하모니카페스티벌 경연 참가 [소합주 성인부 3위 입상]

09. 26

KBS3라디오 생방송 『강원래의 노래선물 “와글와글 주먹밥 콘서트”』 실시

10. 31

장애청소년과 구직장애인이 함께하는 “2013 종로구 장애인 진로·취업박람회” 개최

11. 11

2013년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행복나눔 김장행사”

11. 18

제1회 휴먼네트워크 전국멘토링대회 참가 [협력기관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12. 20

제1회 종로송년예술제 “따뜻한 메아리” 개최

2014. 01. 22 02. 03

2014 종로 설맞이 한마당 실시 성인발달장애인 일자리창출을 위한 문화재 관리 특화사업 “문화재 키퍼” 개시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2013. 01. 30

43


종로장애인복지관 기관소개

종로장애인복지관 미션 및 비젼 •모든 사람의 재활 (Rehabilitation for All)

VISION

•장벽 없는 사회 (Barrier Free Environment) •함께 사는 세상 (Social Integration)

2013 Annual Report

MISSION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 장애인들이 살기 좋은 사회적 환경을 조성한다.

가치 1

가치 2

가치 3

가치 4

가치 5

이용자 중심

친절

정직

인간존중

전문성

44 운영목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통한 장애인의 사회적응능력 향상 •직원들의 행복한 일터를 만들어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 •민관협력과 지역사회조직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통합 구현 •조사연구를 통한 재활프로그램 개발 •국제협력을 통한 세계속의 장애인 복지관


종로장애인복지관 조직현황 사회통합팀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운동기능팀 직업지원팀

관장

사무국장 지역연계팀 운영지원팀 인사위원회 고충처리위원회

최종길

사무국장

유영덕

사회통합팀

안보현 팀장, 박근숙, 임종승, 신정이, 최은희, 김성락

운동기능팀

이종덕 팀장, 박사희, 강윤하, 김슬기

직업지원팀

채춘호 팀장, 차재억, 박선영, 김선규, 장민경, 안재빈

지역연계팀

김상현 팀장, 이혜나, 김미나, 이슬이, 정희철

운영지원팀

백은숙 팀장, 김미경, 방실, 백은주, 안영수, 전준영, 박진배, 윤예진, 김이선, 김경미

기획홍보팀

탁현정, 김요한

종로장애인복지관 운영위원 현황 이명묵 운영위원장 (서부장애인복지관장) 경점순 (종로구의회 의원) 김경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윤명 (종로장애인부모회장) 김종우 (종로구청 사회복지과장) 백경학 (푸르메재단 상임이사) 이금룡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교수) 최경애 (종로구의회 의원) 최종길 (종로장애인복지관장) 총 9명

45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관장

기획홍보팀


푸르메재단 소개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어린이의 장애는 한 가정을 흔드는 거센 바람입니다. 푸르메재단은 장애인 가족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자 합니다. 또한 재활 을 통해 건강을 되찾고 자신의 일을 가지고 홀로 설 때까지 함께할 것입니다. 2005년 재단이 설립된 이후, 장애인 전용 치과 ‘푸르메나눔치과’를 시작으로 2012년에는 ‘세종마을 푸르메센터’가 문을 열었습니

2013 Annual Report

다. 이곳에는 장애어린이 재활센터와 장애인복지관, 장애청년 직업재활을 위한 행복한베이커리&카페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46


장애어린이들의 꿈을 실현해 줄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은 2014년 3월 마포구 상암동에 착공하여 2015년에 문을 열 예정입니다. 시민과 기업, 지방자치단체의 힘을 모아 장애어린이의 치료와 교 육, 직업재활까지 아우르게 될 것입니다. 푸르메재단은 아이들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고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기를 꿈꿉 니다. 가난을 이유로 치료를 포기한다면, 어린이는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합니다. 재활치료 를 통해 건강을 되찾은 아이들이 자라서 당당한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함께합니다.

47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 소개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 장애어린이에게 희망입니다! 우리나라는 장애어린이들이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는 전문 재활병원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어린이 재활병원을 지으면 적자에 허덕인다고 모두가 포기했을 때, 푸르메재단과 6,000여 명의 시민, 기업이 나섰습니다.

마음으로 짓는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의 꿈은 장애어린이가 사회에 온전히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전문적인 의료진들이 함께 치료하 고, 교육과 직업훈련을 통해 아이를 당당한 사회 구성원으로 키워가는 병원을 세우겠습니다. •위치 :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628번지 / 3,212.90m2 •규모 : 지하 3층, 지상 7층 / 100병상 규모 •구성 : 재활병원, 어린이병동, 직업재활센터, 어린이도서관, 병원학교, 수영장 등 •2015년 10월 완공 예정

우리가 함께 짓는 병원은 다릅니다 •하루 종일 아이들이 즐겁게 생활하는 우리집 같은 병원 •장애어린이의 미래와 자립을 고민하는 멘토 병원 •저소득 가정의 어린이가 마음껏 치료받을 수 있는 병원



2013 종로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보고서

2012 Annual Report

110-032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89 Tel 02-6395-7070 Fax 02-6395-7080 www.jpurme.org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