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Jutae Kim 2005 - 2011
For 2012 Jeong Ahm Portfolio Prize
Content Prologue Design works
6
· Descartes house · Urban platform · Position
6 8 14
European urban regeneration method
22
Digital fabrication studies
26
Epilogue
목차 프롤로그 설계 작업 · 데카르트의 집 · 도시 속 플랫폼 · 자리
6 6 8 14
유럽의 도심재생 방법 연구
22
제작 방법론 연구
26
에필로그
Prologue
The curriculum of school of Architecture's in University of Seoul School of Architecture's curriculum is the most strong amongthan any other schoolss. Because of this reason, some people told me thatthat it's enough to just take whole curriculum, orand the other told it's too tight to do other projects. As a delegentdiligent student, I think I've explored our school's curriculum in and out from 2005 as a freshman to 2011 as a fourth grade student. However, through this, I confirmed the potentiality of our curriculum and saw and learned which the class couldn't give me.
As I became the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 knowledge of architecture
waswere getting stacked, what I have to learn was getting lager and lager, interesting things were getting bigger and bigger. The architecture field sometimes handled a tiny small artwork and it covered cutting edge technology. It is also about the community we've lived. Whatever I learendlearned was always connected to architecture, wherever I went there was architecture. Sometimes it came to me as an abstract thing so I didn't know how to study it, and sometimes I was very confused what it is. Even though that, because of interests toward architecture makes me keep learning architecurearchitecture.
This portfolio covers elementryelementary design 1, architecture design
4, 5 projects, the project held by UOS with GEP, GFLT Scholarship program and the project during exchange student in Singapore. The projects are about formativeness, structural techonologytechnology, sustainabliitysustainability issues, community and fabrication method. 4years are very short for an architect, but I can say now I know a little about architecture and want to learn more and more.
Thanks to the all the professors of our department for teaching me and all of
the student I studied with. Without them, I think I couldn't make this projects at all.
프롤로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의 커리큘럼은 그 어느 학교의 것보다도 탄탄하다고 말 할 수 있다. 그 까닭에 혹자는 커리큘럼만 제대로 이수하면 된다 말하고, 또 누군가는 타이트하게 짜여진 커리큘럼 탓에 다른 것을 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학교의 수업을 열심히 이수한 학생으로서, 2005년 1학년의 생활부터 2011년 4학년까지의 생활은 커리큘럼 안과 밖을 자유롭게 돌아다녔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를 통해서 학교의 커리큘럼이 갖는 가능성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학교의 과정이 설명해주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었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건축에 대한 지식이 조금씩 더 쌓이고 배울 것도은 점점 더 많아졌으며, 흥미로워 지는 것은 점점 더 증가하였다. 건축의 영역은 작은 조형물을 만지는 것에서 시작되기도 하였으며, 첨단기술에 관한 것이기도 하였으며, 우리들이 살아가는 공동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였다. 무엇을 배워도 그것이 건축과 연결되지 않은 것이 없었고, 어디를 가도 그곳에는 건축이 있었다. 그래서 때로는 종종 어렵고 손에 잡히지 않았으며, 가끔은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혼동이 되기도 하였다. 그래도 계속 배울 수 있는 힘이 되었던 것은 건축에 대한 흥미와 끌림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포트폴리오는 1학년 때의 프로젝트, 3학년 때의 프로젝트, 4학년 때의
프로젝트, GEP와 GFLT로 진행된 학교에서의 프로젝트, 그리고 교환학생으로서 싱가폴에서싱가포르에서 보낸 한 학기동안학기 동안 진행된 프로젝트를 포함해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조형성에 무게를 두고 있고, 두 번째는 구조기술, 세 번째는 친환경, 네 번째는 커뮤니티 그리고 마지막 프로젝트는 제작방법기술에 관해서 다루고 있다. 건축가로서는 짧은 기간인 4년 동안 배운 작품을 통해서 건축을 조금은 알게 되었고, 더 많이 알고 싶게 되었다.
건축 설계를 지도 해주신 모든 교수님들에게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같이 공부한 선배, 동기, 후배들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같이 공부할 수 있었기에 이런 프로젝트를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Design works
Descartes house 2005 Elementary design 1 prof. Shin, Won Hye
The decartes house is the 600x600x600mm defined space.
데카르트의 집은 600x600x600mm의 임의의 공간이다.
With points, lines, surfaces and vloume I show how it can
이곳에 점, 선 그리고 면을 표현 해보는 것과, 그 위에
be consisted in the space. Continuous points seem like a
볼륨을 가지고 있는 물체를 더해 표현해보는 것이었다.
line, continuous lines seems like a surface. It was the basic
점의 반복은 선이 되고 선의 반복은 면이 된다는
concept of this project. I express the points with nails and
것이 처음의 생각이었다. 점으로 대변되는 못으로
lines with strings. In final project, I put disparte volume and
선을 표현해보았고, 선으로 대변되는 실을 통해 면을
tested it how it defiens the the Decartes house.
표현해보았다. 여기에, 이질적인 물체를 배치함으로써
After making model, I made the drawings of it. Through this
그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을 실험해 보았다.
process, I learned how 3d real model can be translated on to
2d drawings and expressed. With this process, I learned how
직관적으로 만든 작업이 어떻게 도면으로 옮겨 질 수 있고
to view the object and express on the drawings.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해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모델을 만든 후 이를 도면으로 옮기는 작업을 통해서
과정을 통해 대상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Study model
Final model
6
Plan
Elevation
Section 7
Design works
Urban platform 2010 Architecture design 4 prof. Bart Reuser Mediatech building / Site : Jong-no
This project is about replacing a traditional book store to a
이 프로젝트는 온라인의 등장과 함께 구 '서점'의 자리를
meadiatech building in the Jong-no area.
미디어테크로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를 종로라는 땅
위에서 실현하는 프로젝트이다.
From Jong-gak station to Jong-no 2-ga, there are tons
of floating popualtion . The building accepts the people
naturally . The platform separates the people from Jong-no
엄청난 수의 유동인구가 있다. 이러한 유동인구를
St. and people from above the platform will be sucked up
수용하고 있는 인도는 유동인구의 양에 비해 상당히 좁게 형성되어 있다.
into the volume. 3 masses following existing building's form
도로 쪽으로 배치되어있는 지하도 입구와 버스정류장
compete each other to inhale the people. Therefore, the
등의 시설과 포장마차와 같은 간이 시설물들로 인해서
relation of the each mass will be tension. Sometimes, they
인도의 폭이 더욱 줄어들어 있는 것이다. 이 곳에 새롭게
have common spaces, and sometimes they face each other
'판'을 띄움으로써 유동인구의 강력한 압력을 판의
with silence.
종각 역 에서 종로 2가로 이어지는 도로에서는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가지고 오도록 한다. 이후 3개의
System strategy is trying to make each mass looks like
주요 매스덩어리에서 자연스럽게 그 인구를 흡수 할 수
an ‘Objet’. Even though, they have an structural system,
있도록 한다.
it can be covered by module glass + metal panel. With
these elements, the looking will be fully free with structural
마감 시스템은 3개의 매스는 오브제로서 종로에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3개의 매스를
components likes mullion
감싸고 있는 패널은 접합부를 감춤으로써 이러한 분할을 최소화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기존 건물의 구조를 사용하였고,
화재시화재 시 피난동선 등을 위한 스터디를 하였다.
Huge movement
Concept model, diagram 8
Suck it up!
1
2
3
4 b a
f g
h
i
1, 2. System model 3. Panel model 4. Component model 5. Section detail
Joint detail a. Panels b. Socket c. Plate d. Vertical Joint e. Braket f. Aluminum panel g. Plastic membrane h. Glass panel j
i. Inner glass j. H-Steel beam
5 9
c
d
e
10
3d Render Model Hand Model 11
B
C 2
2
A
1
2
2
B3F
3
3
3
3
B2F
2
2
5
3
3
6
3 3
3
3
3
3
3 4
B1F
1F
10
7 3
10
2
8
7
9
2F
18
3F
3
13
3
7
3
15 12
17
16
16
15
12
12
17 16 12
9
11
7
9 8 3
6
3
3
3
3
1 A
B
10
2
10
14
13
11
12
9
12
12
4F
5F
2
13
17
2
16 15
15
2
2
15
16
6F
3
7F
14
3
3 13
2
7
3
18
13 18
N
9F 4
8F
18 1. Mechnical room
10. Seminar room
7
2. Storage
11. Administration
16
3. Retail
12. Gallery
15
4. Subway st.
13. Office
12
5. Parking offfice
14. Ticket box
9
6. Info Center
15. Open stacks
7
7. Cafe
16. Audiovisual area
8. Restaurant
17. Terminal for search
9. Event space
18. Theater
6
2 1 C
Design works
Position
2011 Architecture design 5 prof. Rieh, Sun-Young Environment center for teenager / Site : Naksungdae
Architectural design 5 studio exploreds on sustainability
건축설계 5에서는 지속가능성과 건축에 관한 수업이
with architecture. The studio’s topic is to establish the
진행되었다. 낙성대 주변의 자연과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 where the site was
대지에서 청소년을 위한 친환경 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located near Nak-sung-dea.
목표였다.
There is a big open space and mass in front of
대지는 자연을 뒤로 하고 있고 전면부에전면 부에 큰
the site and 'nature' behind the site. The basic concept is to
공지와 함께 긴 매스를 바라보고 있다. 기본적인 컨셉은
put mass parallel with road and 2 mass penetrating it. The
길과 배치된 수평매스와 그것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former mass makes a super size void with building across
두 개의 매스로 말할 수 있다. 길과 수평적으로 배치된
the road and also faces with it. This mass also creates space
매스는 길 건너편에 크게 존재하는 보이드 공간을 가두어
at backside. This space surrounded by 2 other mass and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대치를 한다. 이렇게 전면부로
become back courtyard.
배치된 매스와 뒤쪽의 언덕과 작은 공지를 만드는데 이 공지는 수직으로 배치된매스에 의해 마당을 만들어 낸다.
push the void with solid mass from the nature
entangle the mass with the nature 1
make solid to frame to hold 2 mass 3
expand the solid stick toward void space
1. Site location 2. Cut & fill Diagram 3. Concept diagram model
2 14
Daylight Analysis
OBJECT ATTRIBUTES
lux
?ECOTECT v5
Wh/m2
Avg. Daily Radiation
3000+
5670
Value Range: 7.0 - 3000.0 Wh/m2
2701
5040
?ECOTECT v5
2401
6300+
Daylighting Levels
Contour Range: 0 - 6300 lux In Steps of: 630 lux
4410
2102
3780
1803
3150
1504
2520
1204
1890
905
1260
606
630
306
0
7
1
2
3
4
5
6
7
8
Average Value: 3935.32 lux Visible Nodes: 3450
1. Lighting simulation
4. Wind simulation for 4 seasons
5. Bernoulli effect simulation
- All area is satisfied with 500lx
2. Solar simulation
6. Designed louver simulation
7. HVAC system study & simulation
- Finding right place to put solar panel
8. Energy saving simulation with materials
3. Shading simulation during a year
15
view Westfacing needs vertical louver and it usually cut view
twist it!!
view
now get the view with cutting light!
16
2 3
1 UP ELEV G.L +0
E.P.S
4
5 5 16
6
7 17
1. THK80 Insulated Aluminum Shutters 2. THK10 Waterproofed finishing Aluminum
Air gap
THK10 Wood
THK80 Insulation
THK35 Deck plate
THK10 Protection finishing
3. Bernoulli effect 4. Ă˜100 mullion
8
5. 800x10 Membrane Louver 9
6. 50mm double glazed Low-E coated
10 11
: THK8 Glass
: THK34 Argon gas airgap
: THK8 Glass
7. 800x10 Membrane Twisted Louver 8. 100x50 Transom 9. Projection window
12
10. THK15 Wooden finishing
THK20 Floor heating layer
11. Plenum system 12. Diffuser(EA:return) 13. Diffuser(EA:supply) 14. Spacer 15
15. THK7 Wooden finishing
13
13
14
THK15 Panel
16. Mortor for twisting 17. Steel mullion holding glass & louver
17
This project has a lot of sustainable issues. Light, solar,
이 프로젝트에서는 친환경 설계에 관한 많은 부분이 포
wind, shading, civil works(with cut & fill diagram) and
함 되었다. 빛, 열, 바람, 그림자와 같은 요소들을 분석하
energy savings in accordance with materials are analyzed.
였고, 대지를 앉히기 위한 토목공사가 어떻게 진행될지
Through this kind of analysis, where to put mass, where to
에 관한 스터디, 재료에 따른 건물 에너지 소모량도 같이
open, where to put solar panel for future plans are decided.
진행되었다.
Making waterway for rainwater & groundwater
and flow of traffic from road were also designed after the
위치를 정하였고, 향후 태양열 패널 설치를 위한 자리 역
sustainable analysis.
시 같이 고민 할 수 있었다. 우수처리를 위해 길을 같이
만들어야 하는 것과 차량 진입동선을 처리도 친환경 설
Bernoulli Eeffect is also one part of sustainable design.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대지가 앉힐 위치와 조망 등의
With this passive design, the building got enough wind from
계와 같이 병행 되었다.
outside.
이를 통해 기계설비에 많이 의지 하지 않고도 건물에서
The building has the back courtyard and this makes south
베르누이 효과 역시 친환경 설계의 한 부분이었다.
and west facing facade. The west facing facade are specially
자연풍을 끌어 들일 수 있었다.
designed with the twisted louver. This louver is vertical for
cutting direct light and twisted for having view from inside.
는 매스와 서향을 가지고 있는 매스를 자연스럽게 만들
건물이 뒤로 가지고 있는 마당은 남향을 가지고 있
게 되었는데 이중에서 서향을 가지고 있는 부분에 특별 히 디자인한 루버를 설치하였다. 수직으로 설치된 루버 를 꼼으로써 햇빛 차단의 효과와 함께 조망을 같이 확보 할 수 있었다. 18
19
1
2
5
4
A
UP
G.L +0
ELEV
3
E.P.S
6
7 8 9
10
12 11
1F Plan
B
West elevation
16
2
20
Section A
17
17
16
DN
13
G.L. +4000
G.L. +5000
ELEV E.P.S
14
7
15
8
2F Plan
3
Section B
1. Prepartion room
7. Mechanical room
13. Outdoor stage
2. Multipurpose Hall
8. Storage
14. Office
3. Lobby
9. Service area
15. Exhibition Hall
4. Pond
10. Service acess
16. Reference room
5. Outdoor Shelter
11. Main access
17. Seminar room
6. Cafe
12. Drop off area 21
Studies
European regeneration method 2011 Global Expert Program(GEP) 2011 Global Frontier Leadership Program(GFLT) prof. BLAŽ KRIŽNIK Team work(Moonjeong Hwang, Jungwon Kwak)
2011 Award for outstanding studies(University of Seoul) 2012 1-2, 3-4 published in dosiyeondae magazine "The city, hoping to wander"
The study of European regeneration method
‘주민참여 디자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especially on
유럽의 도심재생 방법 연구
'Community based Design'
<summary>
<요약>
Sinc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ere in trend in the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흐름에
1960s, Korea as well started to develop cities. Due to rapid
맞춰 농촌의 형태에서 도시적인 것으로 변화해 왔다.
urban-rural migration,
이촌향도의 결과, 도시화율(전국인구에 대비한 ‘읍’급 이상
the rate of urbanization increased 33.8%to 89.0%, which
인구 기준)도 33.8%에서 89.0%로 크게 늘어나 이제 국민
means that nine out of ten people now are living in the city.
열명 중 아홉 명이 도시에 거주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As a result, too many people are in housing problems, which
있다. 도시로 인구 증가율이 급속도로 높아짐에 따라,
the Korean government chose to build houses emphasizing
늘어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양적인 측면과 빠른 속도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and also the speed.
측면에서 도시를 발달시키다 보니, 최근에는 그 질적인
According to March Merces Human Resource Consulting in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2005년 3월 미국의 머서 휴먼
America 2005, Seoul was ranked at 90th out of 215 different
리소스 컨설팅(Merces Human Resource Consulting)이
cities all over the world, in ‘quality of life’ part.
전 세계 215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삶의 질’ 평가에서는
서울이 겨우 90위로 평가되기도 하였다.
The urban policy regards speed and quantity as most
important factor in urban planning which has made
disappointing results such as Newtown Project, tragic
사업으로 인해 뉴 타운 공약, 용산 참사 사태, 그리고
event of Yong-san and Pimagoal event. Even though the
피맛골 정비 사업과 같은 실망스러운 결과를 안겨주었다.
government took an action after realizing the problems of
사태를 파악하고 난 후 광화문과 청계천의 공공장소에
the urban planning, still some fatal insufficiencies are found.
정부가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사업보다는 주민의 참여를
Government tried to revitalize Gwang-hwa-mun square and
이끌어 내는 주민 참여 디자인을 꾀했지만, 미흡한
Cheong-gye stream by drawing residents to participate
점이 발견되고 있다. 여전히 불만에 목소리가 계속해서
in the urban planning. However we have to realize what
나오고 있는 것, 그리고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 그
government is trying to do is ‘Community-based design’,
것이다. 정부가 시도하려 하는 ‘주민 참여 디자인’이란
which indicates that people living in the city are the actual
말 그대로 도시의 주인은 ‘주민’이라는 사고 아래 도시
owner of the place and urban planning should reflect the
사업에 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려는 개발 방식 중 22
정부의 속도와 양의 측면을 중요시 한 도시 재개발
will of the inhabitants. In Korea still detects some mistakes
하나이다. 이제 막, ‘주민 참여 디자인’을 실행하고 있는
in community based design, while in Europe, Japan and
우리나라와는 달리, 유럽, 일본과 미국의 ‘주민 참여
America have long history of practicing community based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design. As a result, by researching trial and error of urban
때문에 이들의 시행착오를 연구하고, 성공적인 사례들을
development in Europe, we could apply to the situation in
연구하여 우리나라에서 ‘주민 참여 디자인’의 성공적인
Korea.
실천을 꾀하고자 한다.
Historically England had all the power over others due
역사적으로 한때 영국은 산업화(Industrialization)로
to industrialization, but it resulted in urban problems which
인해 세계의 중심에 섰지만, 반면에 증가하는 도시
is increasing rapidly at population rate in cities. In British
인구와 이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도시 문제를 안게
Metropolitan Planning, the word ‘Urban Regeneration’
되었다. 그 결과 가장 먼저 도시 문제에 대해서 고민하게
first appeared in mid 1970s as British was the first to think
되었다. 1970년대 중반 도시 설계(British Metropolitan
about urban problems. In 1980s, Germany and France
Planning)에서 도시 재생(Urban Regeneration)이란
started to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following
용어가 처음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England. Compared to Korea who began to take interest in
이처럼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곳곳에서 도시 재생에 관한
urban development in the latter 1990s, it would be more
문제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해결책을
appropriate to study European Community based design.
찾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독일과 프랑스가 선구적인
Eventually we visited Europe to actually see the community
역할을 했던 영국과 같은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보고
based design in Europe and interviewed specialists about
도시 재생 사업을 연구하기도 했었다. 1990년대 후반,
with Pkmn Architects @Madrid, Spain 23
their opinions in community based design.
2000년대 초에 시작된 한국과 비교한다면, 이들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이, 도심재생의 방법 좀 더 자세히는 ‘주민
In Spain, Barcelona we have visited architecture group
PKMN to research on their ‘City creates city’ project. As
참여 디자인’을 적용하는 방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shown on its name ‘PKMN’, PKMN emphasizeds on games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유럽을 방문하여, 이들의 도시
and entertainment for people to enjoy and utilize fun to let
재생, 특히 ‘주민 참여 디자인’과 연관된 사업을 직접
people get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lso its goal is to let
확인하고,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 그 내용을 들어 보았다.
residents understand that they are the actual protagonists
in the city and whether they realize it or not, inhabitants
PKMN은‘City creates city’라는 사업을 주민에게 쉽게
unintentionally affect city. After, we have interviewed the
다가갈 수 있도록 유희와 놀이 방식으로 접근했다. 도시
architect Hugo Hardy from London who stressed out the
재생 사업이라 하면 전문가, 정부나 지방 자치단체와
importance of neutral platform which can gather strangers
같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unacquainted people) into one group. Another architect
사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PKMN은 이벤트들을
Louis Falcon in Barcelona informed about 22@District
구상해서 도시의 주인은 주민이며, 이들은 알게 모르게
which has successfully gathered inhabitants to participate
도시에 영향을 끼치고 산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영국에서
by ‘voting’ in community based design. Lastly, councilor
만난 Hugo Hardy는 건축 전문가도 사람들을 한 공간
Emma Dent Coad in London provided information about
안에 모이게 하고, 도시 재생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failed community based design. As local government lied
이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어떠한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about the project and kept on preceding the project without
말하였다. 또한 바르셀로나에서 만난 Louis Falcon 도시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만나본 건축가 그룹
with Hugo Hardy and his coworker @London, U.K. 24
considering the residents’ opinion, inhabitants got tired of
전문가는 22@District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곳의 경우
lies and gave up.
주민들이‘투표’를 통해 자신들이 직접 도시를 만들어
나아갔다고 한다. 주민들을 위한 사업을 전개하겠다는
‘Community based design’ can not be only beneficial to
residents but also potential profits to local government as
지역정부에게 투표를 하여 힘을 실어주고, 반면에
well as the companies. However, as by looking at successful
관광을 목적으로 도시를 재생 하겠다는 지역정부에게는
and failed projects in Europe, community based design is
반대표를 던져 도시 재생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피력,
not that simple to carry forward. A need for mediator, effort
그리고 그 방법에 따라‘참여’했다. 마지막으로 영국 런던의
to let people participate and reinforcement in community
지역 공무원인 Emma Dent Coad가 설명해 준 사례는,
cohesion is needed to lead community based design into
지역정부의 도시 재생 사업이 약속과 다르게 이행되고,
success. In addition, as Korea traditionally has strong
아직 사업이 시작하지도 못한 경우였다. 지역정부의
community spirit, if we could mediate different opinions into
계속되는 거짓말과 약속 불이행으로 주민들은 점점
one agreed project, urban regeneration emphasizing the
지쳐만 가고, 그 결과 사업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는
quality of life could be put into an action.
사람들은 점점 줄어 들게 되어 주민의 의지가 꺾임과 동시에 주민 참여 디자인의 본질이 없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주었다.
'주민 참여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도시에 직접
거주하는 주민의 이익뿐만 아니라 정부 혹은 기업도 만족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유럽의 성공적인 사례 혹은 실패한 사례를 살펴본 결과, 주민 참여 디자인은 간단히 해결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모으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재자의 절대적 필요성, 주민의 의견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 주민의 본인 공동체에 대한 관심 도출, 공동체 결속력의 강화 등 많은 요소가 주민참여 디자인의 바탕에 있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재미있는 부분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른바 ‘한솥밥’과 같이 강한 공동체 문화가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민 참여 디자인은 유럽에서의 사례와 달리 잘 이행된다면, 더욱 강한 모습으로 한국에 도심 재생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더 이상 성장 중심의 개발이 아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높은 수준의 도시를 이룰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25
Fabrication
Digital fabrication studies 2011 Exchange student in Singapore prof. Shinya Okuda Team work(Ian wong hengjie, Myeongseon Jo)
This project is about fabrication studies. It was conducted
싱가포르에서 교환학생으로 있는 동안 진행된 수업
when I was in Singapore as an exchange student. With
중 제작방법론에 관한 프로젝트가 있었였다. 기술이
progress of technology, the architecture shape also
발달함에 따라 건축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기술이 그렇듯이 한계를 가지고 있다.
changed. However, as like other technology, it has limits. As
재료에게 물성이 있듯이 제작방법에도 '제작성'이 있는
the material has tectonic, fabrication method also has it.
것이다. 레이저 기계, CNC기계, 진공 기계 그리고 3D 기계
This project was explored on printing with Laser engraving,
3개를 통한 출력방법을 연구하고 그 기계가 가지고 있는
CNC, 3D printing machine and pushing the limit of these
특징과 한계를 실험해 보는 프로젝트였다.
machines.
With Laser machine, studying on how many layers of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 기계에서는
평면에서 그것이 자를 수 있는 깊이와 기계의 특성이
depth it can have, which material this machine can burn.
'태움'을 통해서 정해지기 때문에 그를 이용한 모델을
We also made a rib structure model. With CNC machine,
제작해보았고, Rib 구조로 조립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we pushed the how steep it can show and made a mould for
출력하여 조립하기도 하였다.
vaccume
기울기의 곡선을 확인해보고 이를 진공기계를 통해서
machine.
CNC 기계에서는 기계가 출력 할 수 있는 최대
PVC재료로
3D printer is cutting edgy technology in this field. We
떠보는 작업을 하였다.
printed a joint and it workeds as structural component with
wood sticks. We designed the joint having different axis.
3D기계는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데, 현재는 접합부를
출력하여 나무와 함께 구조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In the last Model, prototype component with CNC machine
확인하였고, 이 접합부 디자인에서 3개의 축이 빗겨나가는
masks lots of vacuumed one and by using it as structure and
것을 디자인 하였다.
we repetitively made those
마지막 모델에서는 CNC로 만든 단일 구성 요소를
진공기계로 반복 생산하고, 이를 구조로 활용, 반복하여 모델을 만들어 보았다.
1 26
2
4
3
5
1. Laser engraved panel
3,4. 3D printed component & stick model
2. Models using Laser, CNC, Vaccume machine
4. Prototype model with CNC & Vaccume machine 27
Epilogue Architecture itself has lots of power. Cause of this reason, sometimes architecture just shows its aesthetical side. On the other hand, it is just built with only economical logic. Through this, Ai wei wei's interview makes me think something more. Architecture should include undesirable situation like rapid development, large scale development and small budget building. I think these are also very important issues of architecture, it isn't usually exposed consciously. (from Ai weiwei speaks) Like he said, an architecture has a lot of things, but sometimes we ignore some points of it intentionally. Architects basically stand on economical basics, so architect's stance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is, publicity, architectural value show architect’s character. However, we don’t have to ignore the economical issues and social problem. As an architecture student, I will not forget what I learned from school, learn from lots of situation, so I will have many sides of the society. Learning from the school will give me possibility on architecture field. As I can learn architecture from every single issue, I should face and focus on all the things. Noting isnt’ precious.
에필로그 건축은 그 이름 자체만으로도 많은 힘을 담고 있다. 그 탓인지, 종종 건축은 작품주의로 흐르기도 하는 것 같다. 그리고 아주 반대편으로는 모든 것을 잃어버린채잃어버린 채 경제논리에서만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이 든 다. 이런면에서 볼때 아이웨이웨이의 다음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건축에는 고속 개발, 대규모 개발, 저비용 건축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어요. 나는 그런것들이 건축의 중요한 요소라고 보는데, 그것이 늘 의식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고 생각해요.
('아이웨이웨이 육성으로 듣는 그의 삶' 중)
그의 말 처럼 건축을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어떠한 것들은 의식적으로 무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건축가가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논리의 바탕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건축가의 자세는 상당히 중요 하다고 생각된 다. 공공성이 라든지, 작품성은 그렇기 때문에 건축가의 성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이유 때문에 경제적인 논리나 사회상황을 무시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제 첫걸음마를 뗀 건축가 학생으로서 앞으로 여러가지의 많은 상황을 배우게 되겠지만, 이러한 상황을 배우면서도 학교에서 배운 많은 것들을 잊지 않 고, 그러면서도 다양한 사회의 단면을 같이 포용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학교에서의 배움이 실무로 이어 질 앞으로의 생활이 이러한 가능성을 더 열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어떤 것을 보아도 건축을 공부 할 수 있듯 이, 건축가로서 주위의 것들에 대해 직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어느 것도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다.
?
E-mail : jutaekim018@gmail.com Twitter : consyne Facebook : /consyne Blog : consyne.word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