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EASKY: revisiting spatiality in video art
Jan Dibbets’ ‘Perspective Corrections’ dating from 1968 transformed the way we think about photography as an art medium. His calculative and conceptual approach was also realized in film to articulate his particular aesthetic canon that is analytic, disciplined and reductive. He produced many short films in the ‘Horizon’ series from 1970 and 1971 and continued his investigations with further work in his 2007 photographic series ‘Land And Sea Horizons’. As a starting point, these works use a very common understanding of landscape – a straight line across a page to signify the change of land to sky or sea to sky – and go on to transform this representation into an extended investigation of spatial effects and perspectives. It is from this premise, an investigation into commonality and simplicity of the horizon motif, that is the launch point of the ‘LANDSEASKY’ exhibition. Artists have made some stunning video works that use the horizon line in sublime ways. The limitation of the image (the spatial representation) restricts the visual elements to reveal the artists’ approach. The foundational curatorial concern looks toward the artists’ analysis of screen space as an image with both sculptural and conceptual attributes. The curatorial project challenges the illusionist elements that we readily consume in screen culture and sharpens our focus on the medium of video by the selection, inevitabl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strategies each artist articulates within the restriction of the curatorial boundaries. The works selected so far, have a very strong physical and visual impact. However, the exhibition extends the investigation of video space to include other subtle approaches that will add and amplify the discussion of spatiality in video. For instance, some of the proposed works update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and society with a fresh perspective. Peter Weibel succinctly summarises the approach to avant-garde Media Art of the 1960's and 1970's as antiillusion and goes on to describe the allusion and illusionary tendencies of art making in the eighties that influenced video art production of the 1990's and onwards (Synthetic Times, 2008 pp.112-116). Weibel’s finding resonates with American spatial philosopher Edward Soja who coined the term Thirdspace, he regards : “Everything, including spatial knowledge, is condensed in communicable representations and representations of the real world to the point that the representations substitute for the real world itself.” (Thirdspace: Journeys to Los Angeles and Other Real-and-Imagined Places, 1996 p.63)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illusionistic nature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that both Weibel and Soja raise, the revisitation of spatiality in art making proposes a rational incision point that would re-establish the relevance between representation and the reality. The curatorial approach is to bring to the foreground evidence of artists working with an analysis of screen space that demonstrates a variety of understandings of spatiality through the form of video art. In the wake of Postmodernism,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spatiality, this exhibition project aims to re-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chotomies such as virtual and actual, subject and object, abstract and real, and to a broader context, the modernity and post modernity.
Media Art Asia Pacific
AUSTRALIA-KOREA F O U N D A T I O N 20th A N N I V E R S A R Y 2 0 1 2
This project is supported by the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the Australia Korea Foundation,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the Queensland Government through Arts Queensland, part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Arts.
MAAP partners with Artsonje Center; Gallery IHN; ONE AND J Gallery; OPSIS Art; Lee Hwaik Gallery; and Gallery Scape.
하늘땅바다 : 비디오 영상 안에서 공간성의 재논의
얀 디베츠(Jan Dibbets)의 1968년 작품 “Perspective Corrections (관점의 정정)”은 우리가 예술 매 체로서의 사진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놓았다. 작품에 대한 개념적이고 계산적인 작가의 접
근은 필름을 통해서도 독특한 미적 기준이 분석되고 제어되며 환원적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했다. 얀 디베츠는 1970년에서 1971년에 걸쳐 Horizon 시리즈를 많은 단편물로 제작했으며 그의 계속된 시도는 2007년 발표된 사진 연작 시리즈 ‘Land And Sea Horizons’으로 계속 되었다. 이 작 품들은 지평선에 대한 매우 보편적인 이해, 즉 땅에서 하늘 또는 바다에서 하늘로의 전환을 의미
하는 수평선을 그 출발점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재현을 공간적 효과와 시점에 대한 확장된 연구로 변형시켜나간다. 이와 같은 지평선이라는 주제의 보편성과 단순함에 대한 고찰이 바로 이번 LANDSEASKY 전시의 시작점이다. 작가들은 지평선을 숭고한 방식들로 사용하여 경탄할만한 영상 작품들을 제작했다. 이미지의 한계,
특히 공간을 표현하는 이미지의 한계는 작가가 작품을 표현하는 시각적 요소들을 제한한다. 이번
전시 기획의 근본적 관심사는 작가들이 조각적이고 개념적인 속성을 가진 이미지인 영상공간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있다. 또한 이번 기획은 영상 문화 안에서 우리가 쉽게 매료되는 환영적 요 소들에 대한 도전이며, 선별된 작품들은 비디오 매체에 대한 이러한 우리의 중점을 더욱 분명히 할 것이다. 제한적인 기획 범위 안에서 명확히 한 각자의 표현 방식이 다른 작가와 비교와 대조를 이루는 것은 불가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선별된 작품들은 상당히 강한 물리적, 시각적 영향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번 전시는 영
상 공간에 대한 여타 미묘한 접근방법을 포함하여 비디오 영상 안에서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증
폭시키고 더함으로써 영상 공간에 대한 연구를 확대한다. 예를 들어, 전시된 몇몇 작품들은 역사 와 사회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다. Peter Weibel은 1960년대와 70년대의 아방가르드 미디어 아트에 대한 접근방식을 반(反)환영이라
고 명료하게 정의하고, 암시와 환영의 경향이 짙은 80년대의 미술 제작 방식은 90년대와 그 이후
의 비디오 아트 제작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한다 (Synthetic Times, 2008 pp.112-‐
116). Weibel의 정의는 제3의 공간을 제시한 공간 철학자 Edward Soja와 일맥 상통한다. Edward
Soja는 “공간지각을 포함한 모든 것은 전달되는 표현이며 현실계(現實界)의 재현에서 현실계(現實
界)자체로 대체되는 한 지점 안으로 응집된다.” 고 말한다. (Thirdspace: Journeys to Los Angeles and Other Real-‐and-‐Imagined Places, 1996 p.63) Weibel과 Soja가 제기하는 시각적 재현의 환영적
성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예술제작에 있어 공간성에 대한 이번 재논의의 장(場)은 재현과
실재 간의 관련성을 재정립할 이성적 분절점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의 기획 방향은 비디오 아트라는 형식을 통해 공간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보여줌으로
써 영상 공간의 분석을 탐구하는 작가들에게 중요한 발자취로 남을 것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에 이 어, 공간성의 개념에 초점을 둔 이번 전시 프로젝트는 사실과 실재, 주체와 객체, 추상과 현실 그
리고 좀더 광범위한 맥락으로는 모더니티(modernity)와 포스트 모더니티(post modernity) 로 양분
되는 관계의 재평가를 지향한다.
Media Art Asia Pacific
AUSTRALIA-KOREA F O U N D A T I O N 20th A N N I V E R S A R Y 2 0 1 2
This project is supported by the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the Australia Korea Foundation,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the Queensland Government through Arts Queensland, part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Arts. MAAP partners with Artsonje Center; Gallery IHN; ONE AND J Gallery; OPSIS Art;
Lee Hwaik Gallery; and Gallery 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