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1
005 Best_ps 2540DPI 175LPI
FROM HER
JIYU LEE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2
005 Best_ps 2540DPI 175LPI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3
005 Best_ps 2540DPI 175LPI
FROM HER
이지유 개인전 2 015. 8. 12 ~ 18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Tel. 02 737 4678
|
Fax. 02 737 4679
|
info@gallerydos.com
|
www.gallerydos.com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4
005 Best_ps 2540DPI 175LPI
From Her _ 레알의 기술 이지유
Ⅰ.
그 지점에서 작가는 가짜를 통하여 진짜 말하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런 역설은 팩트이냐 진짜같음 이냐 의 문제로 다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종교적 서술의 경우 팩트라고 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그 19세기 이후 리얼 'Real'이라는 단어는 그 의미가 사전적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이미 어
안에서 어떤 팩트 이상의 진짜같음, 혹은 '진짜'(진실)를 읽어낸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가 말하는 허구란
떤 정치적 입장을 지닌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이후의 시각미술에서 사실적인 표현을 할 때 그
단순히 가짜가 아닌 사실을 기록하는 틀이 담아내지 못하는 어떤 사건의 아우라를 다룬다고 하면 되겠
표현들을 전자와 구별하기 위해 포토리얼리즘 등과 같은 세부적 분류를 만들어야 했다. 그럼에도‘리
다. 작가는 허구적 스토리나 이미지를 통하여, 즉 소설, 영화의 장면. 직접 연출한 장면 등 가상의 상황
얼’은 현실의 가장 무거운 곳 저 아래의 구조적인 비판을 담고 있다는 선입관을 버리기 어렵다. 설령 작
을 통하여 'Real'을 표현하고자 한다
가가 그러한 인식에서 자유롭다 하더라도 리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순간 관객들은 오랫동안 정리되 어온 리얼리즘의 틀 안에서 작가의 표현을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허구를 다루기 위해 찾은 영화 안에서 의도하지 않은 기록성과 팩트들을 발견하 게 되었다. 옛 영화의 장면 사이를 지나가는 무의미한 풍경들 속에서 발견되는 허구를 지지하던 기반으
한편 '레알'은 또 다른 세계다. 'Real'이 레알이 되는 순간, 그 무게는 한 없는 가벼움의 세계로, 심지
로서의 아카이브는 당시 역사적 다큐가 놓쳤던 일상의 다큐였고 정사에서 누락된 일반군상들의 모습이
어 '레알 ?'이라 되묻는 순간, 그 대상에 대한 의심을 함축하면서 진실의 무게는 증발한다. 모호한 반대
었다. 그리고 그들이 가진 전형성은 당시 사람들의 생각까지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덤이었다. 이들에 대
의 지점, 반대의 세계, 은어로서 특정지역 특정세대에 한정된, 따라서 그 성격 규정에 필요한 단어들만
한 장면들을 토대로 이야기와 실제를 섞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그린다. 역사 그 자체를 직접적으로 다
큼이나 전혀 다른 용법과 의미의 단어가 된다.
루기 보다는 주류의 역사서술에서 소외된 주변부, 나비효과의 끝에 서 있는 사람들을 관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삶을 이루는 사건들은 순간순간 무게가 다르고 '버라이어티'하다. 우리가 항상 현명한 판단을
Ⅱ.
내리거나 모든 일에 기승전결이 있는 것이 아니듯, 그 '버라이어티'함을 표현하기에 전통적인 리얼의 정 의와 그 표현방식은 어떤 한계를 지닌 것은 아닌지, 어떤 무게 안에 사실을 또 다른 가공된 현실로 만드
작가가 참고했던 영화는 50, 60년대 한국영화들이다. 한국의 50, 60년대라는 장소와 시대를 스쳐간
는 화자와 청자 사이의 약속된 형식이 되어버린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때문에 리얼과 레알(은어로서
극한상황에서 전쟁 미망인, 양공주, 아이들의 일상이 드러내는 전쟁, 그리고 절망과 생존의 모습을 담고
의), 진짜와 가짜 사이, 그래서 진짜를 서술하는 방식으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어떤 지점에 대해 생각해
자 했다. 그리고 당시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들의 삶에 적응하는가, 무엇보다 그녀들의 신체가 어떻
보게 되었다.
게 자리 맺나를 보고자 하였다. 그녀들의 생존을 위해 던져진 몸, 이중소외된 몸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내가 보고 듣는 세계는 진짜인가? 한편으로는 사실(Fact)을 기록하는 육하원칙은 진짜를 정확
한편 그런 한계 안에서도 피해자로서의 여성만이 아니라 다른 차원의 삶 속에서 그 자신의 욕망에 충
하게 서술해낼 수 있는 틀인가에 대한 작가의 질문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육하원칙에서 어떤 부족함을
실한, 아니면 욕망함을 절실히 희망하던 그래서 수동적이면서도 그 나름의 적극적인 삶을 끌어가는 또
느낀다면 여섯 가지 조건들 사이로 걸러진. 그 요소들은 무엇이고 이들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 것인가?
다른 이야기의 주체로서의 여성을 그리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사회적인 측면만 강요하려는 것은 아니다. 앞서의 생각과 동시에 우리 마음속에 살아있는 낭만적인 감성에 대한 아득한 희망을 과거의 이
작가에게 있어 사건에 대한 인식은 그 순간의 감정, 그 순간의 나, 그리고 그 상황의 촉각, 환경과의 관계를 포함하는 총체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우리가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팩트가 아니라 진짜처
미지로부터 불러일으키고 싶다. 그것은 각자의 개인적인 기억들과 더불어 반복되고 증폭되는 어떤 순수 에 관한 이야기였으면 싶다.
럼 여겨지는 전체적인 느낌이 진짜로 여겨지는 상황에 가깝다. 따라서 진정한 리얼은 작가에게 있어 팩 트에 관한 것이기 보다는 진짜같음(리얼리티)에 관한 것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그림 속 이미지들이 기록과 기억, 사실과 허구의 중간 어딘가에서, 과거의 그녀로부터 보내온 편지 같은 것이었으면 좋겠다.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5
005 Best_ps 2540DPI 175LPI
From Her
Watercolor on Paper
162×130cm
2015
이지유 개인전
Untitled
2016.1.8 11:14 AM
Watercolor on Paper
페이지6
005 Best_ps 2540DPI 175LPI
53×74cm
2015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7
005 Best_ps 2540DPI 175LPI
From Her - skill of Re-al Jiyu Lee Ⅰ. After 19th century, the word of 'real' is not only used for dictionary terms but also used for political terms, containing some political meaning in it. Because of this, for realistic expression in visual arts, detail categorization such as Photorealism had to be made to distinguish the expression from the former one. Nevertheless, it is hard to eliminate the preoccupation that 'real' carries the structural criticism staying in somewhere most heaviest place in a reality. Even if the artist is free from the perception, as soon as using the word 'real', the audiences perceive the expression of the artist within a frame of realism which has been adjusted for a long time. Meanwhile, 'Re-al(as a jargon in Korea)' is another world. When real becomes 'Re-al', the weight of the word is placed into a shallow world, even when a person asks back 'Re-al'?, the doubt about the subject is implied and the weight of truth evaporates. Ambiguous opposite place, the world of opposition, restriction to certain generation and region, therefore, it becomes a word that is totally different in meaning and the uses as much as the words needed for defi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t that point, the artist tries to express real through fake. This paradox is going back to the problem of that if it is a fact or real. However, in the case of religious description, it is hard to be a fact but we read the real-like or 'real'(truth) in it. In that sense, a fiction, the artist saying, is dealing with aura of a certain event that the frame, reporting a fact, cannot hold. The artist would like to express real through fictional story or images which are scenes in a movie and directed scenes. However, interestingly, unintended recording and facts were found in the movie for talking about fiction. Archive, which is a ground supporting the fiction found in the numerous sceneries among the scenes of old movie, was a documentary for daily life and images of common sculptured group that historical documentary left out. And, a typical character of them was another addition letting us take a glance of the thoughts of the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e scenes, the boundary of reality and fiction, mixing story and reality, are made. Instead of dealing with the history itself, it intends to observe the people who are standing in the end of butterfly effect, isolated surroundings of major historical description. Ⅱ.
However, life events have different weights in each moments and a 'variety'. Like we are not making a wise decision in every moments and there is no four steps in every events, I think about if traditional definition of real to express the 'variety', and the expression have a certain limitation, or it is became the agreed form, making truth to processed reality in some weight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For this reason, I thought about, between real and re-al and real and fake, certain point where cannot be explained in a way of describing real. This was begun by the artist's questions like, "Is the world that I see and hear real?" or "Is 5W1H, reporting the fact, a frame that can describe real correctly?". If we feel any insufficiency in 5W1H, what are the factors filtered out among the six conditions and how can we express them?". Recognition of events is all things which include the emotion, myself, sense of touch at the moment, and relation with environment. This is more like a situation, considered overall feeling which is seen as a real, as a real and not like an objectively described fact. So true real is more about reality than a fact to the artist.
Movies that the artist referred to were 50s and 60s Korean movies. In the extreme situations, crossing the place and days of 50s and 60s, war widows, foreigner's whore, the images of war showings children's daily lives, and despair and survival were tried to be captured. And, it was trying to see what way the women at that time use to adapt to their lives and how their bodies are grown. It was to express the abandoned bodies for survival of the women and duplicated neglected bodies. Meanwhile, it was to show the women who are not a victim but faithful for their desire in lives of another level or seriously hoping for the desire, consequently as the subject, leading passive and active lives, for the story. But, it is not trying to emphasize only social aspect of them. With the previous thought, I would like to bring faraway hope for romantic sensitivity living in our minds from the images in the past. I hope that it is a story about something pure which is repeated and increased with individual's personal memories. In that sense, I wish that the images in the picture is a letter from her in the past, somewhere between reality and fiction and report and memory.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8
005 Best_ps 2540DPI 175LPI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9
005 Best_ps 2540DPI 175LPI
Untitled
Watercolor on Paper
47×75cm
2015
이지유 개인전
Untitled
2016.1.8 11:14 AM
Watercolor on Paper
페이지10
74×88cm
005 Best_ps 2540DPI 175LPI
2015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11
005 Best_ps 2540DPI 175LPI
Untitled
Watercolor on Paper
71×71.5cm
2015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숲 _ Forest
페이지12
Watercolor on Paper
005 Best_ps 2540DPI 175LPI
54×73cm
2015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13
005 Best_ps 2540DPI 175LPI
이지유 E-Mail wanda17@hanmail.net | Phone 010-4289-9553
2013 MA Fine Art,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2008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0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 졸업 1995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미술학과 졸업
2013 Final Show, MA Fine Art,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London, UK In Two Parts, MA Fine Art Interim Show,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London, UK 2012 꿈꾸는 신화의 섬,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 2011 붉은발말똥게와 그 친구들의 평화를 위해,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공존 & 상생,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두 개의 섬 - 2인전, 아트스페이스 씨_제주, 이브갤러리_서울 2010 트라이앵글 프로젝트전, 상명대 스페이스 원, 제로, 서울
개인전 2015 From Her, 갤러리 도스, 서울 2014 그, 여름, 고도 갤러리, 서울 세 개의 기둥, 문화공간 양, 제주 유민流民, 동성장모텔, 섬, 썸, 삶 제주아트페어, 제주 2013 Garden of Memories, SU Gallery Space in Chelsea, London, UK 2012 검은 그림, 파랑갤러리, 제주
거기, 철암 그리고 태백전, 할 갤러리, 태백 2008 제주 청년 작가전, 제주도 문예회관, 제주 2006 낙원, 두 개의 계단, 갤러리아이 개관기념전, 서울 내일을 위한 작가 발굴전, 백송화랑, 서울 Site - Sight 전, 기획 및 참여, 서울대학교 우석홀 2005 철암그리기 50회 기념전, 서울 갤러리 인, 서울
2011 전쟁, 화가, 박수근미술관 정림리갤러리, 양구 2010 검고 푸른, 갤러리 가이아, 서울 검고 푸른, 제주도 문예회관 제2전시실, 제주 2009 또 다른 기념비들, Gallery 31, 서울
전시기획 _ 2015년 갤러리 도스 '레알의 기술' 기획공모 선정작가展
2인전 및 단체전
도록저작권 ⓒ 2015 이지유
2015 제주 4.3미술제 _ 얼음의 투명한 눈물, 제주 도립미술관, 제주
이 작품집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글로 적힌 동의가 없이는 전체로나 부분으로나
2014 제주아트페어 2부 샛물골 여관길 쇼, 쇼, 쇼 특별전, 비아아트 갤러리, 제주
복사, 복제 또는 사진 및 기타 정보기기에 의해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제주아트페어 1부 섬, 썸, 삶, 비아아트 갤러리, 제주 제주의 표정展, 제주대학교 박물관 기획전시실, 제주
발행인 이지유
KIAF, 코엑스, 서울
편 집 Gallery DOS Publish
백록담전, 문예회관, 제주
제 작 500권
이지유 개인전
Untitled
2016.1.8 11:14 AM
Watercolor on Paper
페이지14
72×97cm
005 Best_ps 2540DPI 175LPI
2015
이지유 개인전
2016.1.8 11:14 AM
페이지15
005 Best_ps 2540DPI 175LPI
JIYU LEE E-Mail wanda17@hanmail.net | Phone 010-4289-9553
2013 MA Fine Art,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2008 M.F.A., Dept. of Painti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 2002 B.F.A., Dept. of Painting, College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 B.A., Dept. of Aesthetics, Colleg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 1995 B.F.A., Dept. of Art, College of Humanities, Jeju National Univ.
2013 Final Show, MA Fine Arts Interim Show,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London, UK In two parts, MA Fine Arts Interim Show, Chelsea College of Art & Design, London, UK 2012 The Mythical Island, Obaekjanggun Gallery, Jeju 2011 Shore Crabs and Their Friends, Art Space C, Jeju Co-Existence & Co-Prosperity, Jeju Museum of Art, Jeju Two Islands, Art Space C-Jeju, Eve Gallery-Seoul
SOLO EXHIBITION 2015 From Her, Gallery DOS, Seoul 2014 The Summer, Gallery Godo, Seoul Three Columns, Gallery Yang, Jeju Migrants, Donsung-Jang Motel, Jeju 2013 The Garden of Memories, The SU Gallery Space in Chelsea, London 2012 Black Pictures, Parang Gallery, Jeju
2010 Triangle Project, Space One, Zero, Sangmyung Univ., Seoul Commemoration Exhibition of 100th Anniversary in Cheolam Drawing, Hal Gallery, Taebaek 2008 The 16th Exhibition of Jeju Young Artist, Jeju art center, Jeju 2006 Paradise, Two Stairways, Gallery I, Seoul Special Exhibition-Artist of Next Generation, Baiksong Gallery, Seoul Site-Sight, Participate as a Curator and an Artist, Useock Hall, Seoul national Univ., Seoul 2005 Drawings Of Cheolam, Gallery In, Seoul
2011 War and a Painter, Jeongnimri Gallery, Yanggu 2010 Black and Blue, Gallery Gaia, Seoul Black and Blue, Jeju-do Arts Hall, Jeju 2009 And Other Monuments, Gallery 31, Seoul
GROUP EXHIBITION 2015 4.3 Art Festival, Jeju Museum of Art, Jeju
Produced & Published by 2015 Gallery DOS Contest Exhibition 'REAL'
2014 The Jeju Art Fair, Sum, Some, Sam, Via Art Gallery, Jeju Faces of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Jeju
ⓒ 2015 by Jiyu Lee
KIAF (The Korean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by
Baekrokdam Exhibition, Jeju-do Arts Hall, Jeju
electronic or mechanical means including photocopying, recording, or any other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out permission from copyright holder.
2016.1.8 11:14 AM
페이지16
005 Best_ps 2540DPI 175LPI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Tel. 02 737 4678
|
Fax. 02 737 4679
|
info@gallerydos.com
|
www.gallerydos.com
Untitled
Watercolor on Paper
50×65cm
2015
이지유 개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