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1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
CHOI, HAE MIN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2
005 Best_ps 2540DPI 175LPI
디지털 넝마주이, _그리_다 건을 상상의 공간에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그것은 간절히 생각하고 그리워함을 의미한다. 이는 보다 더 감정적인 것으로, 이번 겨울은 추웠고, 때때로 이전의 시간들을 떠올릴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봄과 젊은 세대라는 말은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였지만 항상 다른 대상을 지칭하였다. 현재, 젊다고 일
겨울, 과거와 현재에 관련된 이것 저것을 <_그리_다_봄>에서 합성하였다.
컬어지는 무리는 적잖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화 모던 타임즈에서 묘사된 과거의 분절처럼 사회는 쉽게 적응하지 못할 정도로 또 한번 크게 변화했다. 그 결과 새로운 단위와 구조가
수집과정에서 표현된 시각 언어는 역으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일련의 작업을 통해 현재를
생성되었지만 젊은 세대는 여전히 기성 사회에서 교육받는다. 때문에 그들이 목격해왔고 꿈꿀 수 있
규정하여 불안을 해소하고, 지금의 자유로운 이미지 환경을 적극적으로 즐기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
었던 미래와 현실 사회에서 요구되고 성취할 수 있는 것들은 일치하지 않아 보인다. 분명하다고 생각
길 바란다.
하던 가치와 척도는 사라졌고,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왔던 것들이 공존하게 된 것이다.
몇 달째 띄엄띄엄 쓰고 있는, 흘려 보내는 작가 글
이러한 불명확성과 모순은 이행하는 세대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것인 동시에 그들이 직면한 디 지털 시대의 현상이다. 현재 시각 환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구심점 없이 부유한다. 여러 개의 화면에서 정반대의 계절, 지구 반대편의 장소, 과거와 현재의 역사적 사건과 수많은 인물,
Digital Image Neongmajui, or a Rag Picker, _Gri_da
다양한 이야기가 스치듯 지나간다. 많은 양의 이미지는 빠르게 생산, 소비되며 이들을 엮는 주제의식 은 가볍다. 그 결과 이미지는 맥락에서 벗어나 기억 속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한다. 상관이 없거나 충돌 하는 이미지들이 각각의 인력에서 이탈해 뒤엉켜 떠도는 것이다.
The term, young generation, has always existed throughout the history; however, it has referred to different groups of people. Currently, these young people seem to experience a considerable confusion of their times. As depicted in the movie, Modern Times, the society
본인은 젊은 세대가 경험하는 이러한 시대적, 현상적 혼란에 공감한다. 다양한 것들이 산재하지만
has rapidly changed making it difficult to easily adjust to it. As a result of this enormous
이를 이해할 기준이 분명치 않으며, 따라서 당황스럽다. 또래의 감정에 공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
transition, the young generation confronts the newly generated digital units and digitized
에 이러한 혼돈은 매력적일 수 있다. 예견된 답이 없고 다른 것의 공존이 광범위하게 용인된 현재는
structures of the society, but they find a large gap between what they learned from their
과거의 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것이다. 과거의 그들이 유사성과 인과관계에 따라 사고한 반면
elders and what their society requires, and the future that they dreamed of and things that
현재는 이질감과 맥락이 없음에 익숙하다. 동시에 현재의 세대는 디지털 기술과 현상에 죽도록 익숙
they can actually achieve. Clear criteria and values have disappeared, and things considered
하지만 결코 교육된 아날로그적 감성을 버릴 수 없다. 그들은 서로 다른 두 문화를 모두 누리는 특권
as incompatible coexist now.
을 가진다. 이러한 용인된 모든 공존은 멋있다.
The unclearness and contradiction are not only what the transitional generation normally <_그리_다>의 작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시도된 이미지 수집 행위이다. 넝마주이가 그러하듯이
experience but also what the digital era commonly represents. Digital images float around
다양한 맥락에서 널려있고 소비되던 이미지들은 디지털 편집을 통해 모아진다. 탈맥락한 이미지들에
people these days. People see different seasons and sites, various people, and conflicting
자유롭게 개인적 인력을 부여하는 것인데, _그리_다는 다수의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우선, 일반적인
events from the past and present on screens and monitors. These images are rapidly
의미에서 이는, 본인에게는 아주 익숙한, 선이나 색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북촌골목 _1504_
produced and consumed, and their own subjects are not strong enough to closely tie them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와 <디지털 셋톱박스>는 앞서 언급한 현재의
altogether. Therefore, they exist as fragments fallen out of their own gravitation. Irrelevant or
시각 문화에 대한 단상들을 그린다. 다음으로 _그리_다는 상상하는 것을 마음에 가지는 것을 뜻한다.
contradictory images are entangled and drifted away from their original contexts in human’s
<_그리_다_색>에서처럼 본인은 활기가 필요할 때 노란색의 사물을, 숙면이 필요할 때는 파란색의 물
memory.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3
005 Best_ps 2540DPI 175LPI
I, personally, sympathize with young people’s confusion caused by this historical and phenomenal chaos. They are surrounded by ambiguousness, but there are no obvious standards to adjust for them to understand it. Therefore, it is confusing, and the sentiment of the same age group echoes me. However, at the same time, I think this confusion can be attractive. The present circumstance is entirely new which the previous generation has not experienced before. While the previous generation lived in relation to causality and similarity, the current young members of the society are accustomed to things out of contexts and differences. The new generation is extremely familiar to digital techniques and phenomena, but they cannot stay away from their educated analogue natures. They have a privilege of enjoying two different cultures, the old and new. In my opinion, this coexistence is phenomenal.
<_Gri_da> is the act of collecting images in this given circumstance. Like a rag picker, I collect scattered images from different contexts using digital editing techniques. I freely assign my gravitation or a personal theme on these fragmented images. The Korean word Grida, which can embrace all of my different work, can be translated into several different ways. First, in general, it depicts the act of expressing things in visual language. For example,
<Alley Bukchon in Seoul_ 1504_ my large eyes had come from him, who never came back.> and <Digital Set Top Box> visualize my thoughts about above-mentioned visual environment. Also, Grida means imagining. In the series of <_Gri_da_Colors>, I gather images of yellow objects and make a colored room for attaining vibrant energy, or I imagine a blue room for relieving insomnia. Lastly, in terms of emotion, the word conveys a meaning of sincerely longing for someone or something. For instance, in <_Gri_da_Spring>, I collect and collage winter and spring, or past and present images since the last winter was harsh for me and I could remember several personal memories from the past. Collected images often help me understand circumstance well. I wish to relieve uneasiness by defining our times, truly enjoy this image play, and take a step forward for the future through this series of artworks. From my occasional writing during the past few months
_그리_다_봄_세 번째 _Gri_da_Spring_3rd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4
005 Best_ps 2540DPI 175LPI
북촌 골목_ 1504_ 돌아오지 않는다 하는 그 커다란 눈이 나는 닮았다 한다 Alley Bukchon in Seoul_ 1504_ my large eyes had come from him, who never came back Digital Pigment Print, Medium
74×50cm
2015
디지털 셋톱박스 1 Digital Set Top Box 1 Digital Pigment Print, Silkscreen Print
74×50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5
005 Best_ps 2540DPI 175LPI
디지털 셋톱박스 3 Digital Set Top Box 3 Digital Pigment Print, Silkscreen Print
74×50cm
2015
디지털 셋톱박스 4 Digital Set Top Box 4 Digital Pigment Print, Silkscreen Print
74×50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6
005 Best_ps 2540DPI 175LPI
디지털 셋톱박스 6 Digital Set Top Box 6 Digital Pigment Print, Silkscreen Print
74×50cm
2015
디지털 셋톱박스 7 Digital Set Top Box 7 Digital Pigment Print, Silkscreen Print
74×50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7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색色_07 _Gri_da_Colors_07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_그리_다_색色_48 _Gri_da_Colors_48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8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색色_2014 _Gri_da_Colors_2014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_그리_다_색色_11 _Gri_da_Colors_11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9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색色_30 _Gri_da_Colors_30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_그리_다_색色_34 _Gri_da_Colors_34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10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색色_02 _Gri_da_Colors_02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11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봄_여섯 번째 _Gri_da_Spring_6th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_그리_다_봄_첫 번째 _Gri_da_Spring_1st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12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봄_네 번째 _Gri_da_Spring_4th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49 AM
페이지13
005 Best_ps 2540DPI 175LPI
_그리_다_봄_이동 _Gri_da_Spring_Moving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_그리_다_봄_오래된 기억 _Gri_da_Spring_Old Memory Digital Pigment Print, Han-ji, or Korean Paper, Medium
130×16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50 AM
최혜민
|
페이지14
005 Best_ps 2540DPI 175LPI
CHOI, HAE MIN
cmin0618@gmail.com
|
http://cargocollective.com/choihaemin
2007 시간의 빡센 두께, 토포하우스 갤러리, 서울 2007 Political and Poetical, 14th Tallinn Print Triennial, Kumu Art Museum, 탈린, 에스토니아 2007 SP 기획전, Gallery SP, 서울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Printmaking 석사
2006 관계의 흔적, 우석홀,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판화전공 석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전공 학사
작품소장 Elon University,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 Museum of Art, 로드아일랜드, 미국 / 박수근 미술관, 강원도
개인전 2015 _ 그리 _ 다, 갤러리 도스, 서울
수상
2013 In _ Visible, 갤러리 도올, 서울
2007 Prize of The Bank of Estonia, 14th. Tallinn Print Triennial, 에스토니아
2013 파편, 수집된 시선, Installation Space, Anderson Ranch Arts Center, 콜로라도, 미국 2013 사각의 풍경, 사이 아트 갤러리, 서울
레지던시
2012 四角(사각)의 死角(사각), 갤러리 가이아, 서울
2013 Anderson's Ranch Artist Residency, 콜로라도, 미국
2008 수렴, 사이 아트 갤러리, 서울 2007 사각의 이야기, 갤러리 아이, 서울
강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단체전 2015 International Young Printmaker Exhibition, Art Center of Tainan University of Technology / National Tainan Living Art Center, 대만 2014 Made in New York, Made in Seoul,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 / The Korean Society Gallery, 뉴욕, 미국
M.F.A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Printmaking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Printmaking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Painting
2014 55th HOPA Exhibition, Daido Gallery, 삿포로, 일본 2014 BELT, Hong Kong, Marco polo Hotel, 홍콩
Solo Exhibitions
2014 BELT : 최혜민, 아트 팩토리, 서울
2015 _ Gri _ da, Galley DOS, Seoul, South Korea
2013 忘年友… 박수근 미술관에 들다, 박수근 미술관, 강원도
2013 In _ Visible, Gallery Doll, Seoul, South Korea
2013 Cool Print,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
2013 Fragments, Collected Vision, Installation Space, Anderson Ranch Arts Center, Colorado, USA
2012 Small is Big, 아트 사라다, 체어스 온 더 힐, 서울
2013 Sagag Landscape, Gallery 42 Art, Seoul, South Korea
2011 Break It Down, Gelman Gallery, 로드아일랜드, 미국
2012 Sagag in Sagag, Gallery Gaia, Seoul, South Korea
2010 Current Trends in Print, Isabella Cannon Gallery,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2008 Convergence, Gallery 42 Art, Seoul, South Korea
2010 SPF 2010, Horseneck Beach, 매사추세츠, 미국
2007 Stories in Squares, Gallery I, Seoul, South Korea
2010 Convergence : Korean Prints Now, Gallery Landmark Arts / Williams Tower Gallery, 텍사스, 미국 2010 GPS, Sol Koffler Gallery, 로드아일랜드, 미국 2009 Catch and Shoot Project, 갤러리 나우, 서울
Group Exhibitions 2015 International Young Printmaker Exhibition, Art Center of Tainan University of Technology/ National Tainan Living Art Center, Tainan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50 AM
페이지15
005 Best_ps 2540DPI 175LPI
2014 Made in New York, Made in Seoul, Gyeonghuigung-Seoul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 The Korea Society Gallery, New York, USA 2014 55th HOPA Exhibition, Daido Gallery, Sapporo, Japan 2014 BELT Hongkong, Marco Polo Hotel, Hongkong 2014 BELT Choi, Hae Min, Art Factory, Seoul, South Korea 2013 忘年友… in Park Soo Keun Museum, Park Soo Keun Art Museum, Kang Won-do, South Korea 2013 Cool Print, Gyeonghuigung-Seoul Museum of Art, Seoul, South Korea 2012 Small is Big, Art Salad, Chairs on the Hill, Seoul, South Korea 2011 Break It Down, Gelman Gallery, Rhode Island, USA 2010 Current Trends in Print, Isabella Cannon Gallery, North Carolina, USA 2010 SPF 2010, Horseneck Beach, Massachusetts, USA 2010 Convergence: Korean Prints Now, Gallery Landmark Arts / Williams Tower Gallery, Texas, USA 2010 GPS, Sol Koffler Gallery, Rhode Island, USA 2009 Catch and Shoot Project, Gallery Now, Seoul, South Korea 2007 Time’ s Formidable Thickness, Topohouse Gallery, Seoul, South Korea 2007 Political and Poetical, 14th Tallinn Print Triennial, Kumu Art Museum, Tallinn, Estonia 2007 SP Exhibition, Gallery SP, Seoul, South Korea 2006 Traces from Relations, Woo-suk Hall, Seoul, South Korea Collections Elon University, North Carolina, USA / Museum of Art, Rhode Island, USA Park Soo Keun Art Museum, Kangwon-do, South Korea Prize 2007 Prize of 'The Bank of Estonia', 14th. Tallinn Print Triennial, Estonia Residency 2013 Anderson's Ranch Artist Residency, Colorado, USA L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두 사람 Two People Digital Pigment Print
63×92cm
2015
최혜민 개인전-수정
2015.8.7 10:50 AM
페이지16
005 Best_ps 2540DPI 175LPI
최혜민 개인전 2015. 8. 19 _ 25
전시기획 _ 갤러리 도스 2015년 '레알의 기술' 기획공모 선정작가展 도록저작권 ⓒ 2015 최혜민 이 작품집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글로 적힌 동의가 없이는 전체로나 부분으로나 복사, 복제 또는 사진 및 기타 정보기기에 의해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Tel. 02 737 4678
|
Fax. 02 737 4679
|
info@gallerydos.com | www.galleryd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