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도스 기획_송민정 'THE REMINISCENCE'展

Page 1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1

005 Best_ps 2540DPI 175LPI

THE REMINISCENCE

SONG, MIN JEONG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2

005 Best_ps 2540DPI 175LPI

THE REMINISCENCE 송민정 개인전 2015. 8. 5 ~ 11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Tel. 02 737 4678 | Fax. 02 737 4679 | info@gallerydos.com | www.gallerydos.com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3

005 Best_ps 2540DPI 175LPI

앨리슨 브리튼

|

Alison Britton. July 2015

송민정은 미국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영국왕립예술학교 박사과정에 들어 왔으며, 내가

universities in the USA. I was her supervisor in her study for a practice based PhD in glass.

송민정의 지도교수를 맡으면서 인연을 맺게 되었다. 송민정의 연구는 유리 위에 이미지를 입힌 후

Her work involved her in a research of, for instance, Korean wooden lattice structures as an

그것을 녹여서 다시 불어내는 블로잉 테크닉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연구 초기에는 한국 전통 격

idiomatic source of pattern. She applied these to the surfaces of her glass sculptures at a

자문양 같은 문화가시성을 가진 패턴을 이용하여서 실험하였다. 작업과정에서 보여지는 유리의 유

preliminary stage before their final forms were‘blown out’, through digital prints made with

동성과 매체의 두께와 형태에 따라 빛을 다르게 굴절하는 성질, 안과 밖을 쌍방향으로 볼 수 있는 점

enamel pigments. The fluidity of glass and its refractive visual properties, its thickness and

등은 송민정의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유리를 동아시아 문화와 서유럽의

double-sided transparency as the wall of a blown glass form, provoked her imagination. It led

중간적 혼종문화(In-betweenness)를 상징하는 매개체로 보았으며, 동서 유리교류사와 근현대미술사

her to the exploration of the metaphor of in-betweenness as a consideration of cultural

관련 맥락을 연구하면서 작업을 발전시켜나갔다. 송민정은 강한 실험정신으로 다양한 시도를 통하

exchange between Europe and East Asia. The glass manifested the in-between. She was

여 프로젝트를 굉장히 섬세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발전시켰으며, 2011년에는 미국 코닝유리박물

open to change, and the project developed in subtlety and effectiveness through various

관의 레지던트 작가로 선정되어서 연구와 작업을 병행하였고 블로잉 작업 뿐 아니라 솔리드 작업으

stages and explorations, as did her sensitivity to contemporary cultural concerns. During her

로 제작과정을 확장시켰다. 이를 통해서 유리의 두께가 두꺼워 짐에 따라 유리 안에 담긴 이미지의

course at RCA Min was awarded an artist researcher fellowship at Corning Museum of Glass

왜곡성과 시각효과가 증대 되었다.

in New York State in 2011, where she could further develop her research into fusing print into the molten and mobile interiors of solid glass forms.

송민정이 학업을 마친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글을 쓰며, 새로운 작업을 제작하고 작가로써 발전하여 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예전의 문양이미지를 입힌 입체 유리작업과

It is rewarding for her former tutor to see her artistic career progress. Not only has Min

는 다르게, 현재는 평면유리를 이용하여 자연현상을 바탕으로 한 추상패턴을 넣은 미니멀한 작업을

continued to research and write but now a new phase of her studio practice is to be

추구하고 있다. 여러 장의 평면 유리에 이미지를 입혀서 만들거나, 캐스팅이나 슬럼핑 기법을 사용하

celebrated. Currently working with a more minimal aspiration in flat glass, not the blown or

여 텍스쳐를 강조하는 제작 방법을 택하여 평면유리 안에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solid cast forms of her previous sculptures where the regularity of traditional patterns was disturbed, Min has moved to an exploration of an abstract response to natural phenomena,

여기 서울에서 열리는 송민정의 첫 번째 개인전에서는 기존의 유리와 판화 기법을 이용한 문화적 패턴에서 자연 패턴으로 진화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선 보인다. 관람자들은 작가가 움직이는 조명이

and the potential vitality in a flat pane of glass, through the means of print, also slumping onto a textured mould, and cast textures.

나 움직이는 유리 판넬 등을 이용해서 섬세하게 재현한 밤하늘, 파도, 하천의 흐름 등을 볼 수 있을 것 이다.

Here in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Seoul, her ideas and subtle expression, still using the combination of glass and print, can be seen in a fresh formation. Sometimes kinetically animated by a moving light source, or digitally controlled flutterings of panels of glass - more

I met Min Jeong Song when she came to study at the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in the Ceramics and Glass department, after achieving both her BFA and MFA in different

nature than culture now - Min in her new series evokes a night sky or the movement of the sea, or the path of a river.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4

005 Best_ps 2540DPI 175LPI

Black forest

Kiln-formed glass, Relief printing on paper

38×21×1.5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5

005 Best_ps 2540DPI 175LPI

Reflection 1

Kiln-formed glass, Relief printing on paper

38×38×3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6

005 Best_ps 2540DPI 175LPI

Constellation

Kiln-formed glass, Kinetic lighting

52×52×1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7

005 Best_ps 2540DPI 175LPI

Constellation

Kiln-formed glass, Kinetic lighting

52×52×1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3 PM

페이지8

005 Best_ps 2540DPI 175LPI

Streams 1, Streams 2

Enamel printed on glass

53×53×2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9

005 Best_ps 2540DPI 175LPI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0

005 Best_ps 2540DPI 175LPI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1

005 Best_ps 2540DPI 175LPI

Wave 1, Wave 2

Kiln-formed glass, Electrical mechanism

Dimensions variable

2014 - 2015

Collaboration with Wonseok Jung (www.makerwon.com)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2

005 Best_ps 2540DPI 175LPI

What You See is What It Is, No.1, What You See is What It Is, No.2 Relief printing on paper

18.5×30.5cm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3

005 Best_ps 2540DPI 175LPI

Ridge 1, Ridge 2

Enamel printed on glass

65×20×9cm each

2015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4

005 Best_ps 2540DPI 175LPI

전시제목‘ The Reminiscence ’는 시각적 착시가 불러일으키는 연상작용을 의미합니다. 유

2012 Cutting Edge, Stables Gallery, London, UK A Spatial Surprise, London Design Festival at Mint Gallery, London, UK

리의 투명성과 빛을 통해서‘ 눈에 보이는 실제의 이미지 ’와‘ 빛과 유리에 의해 투영 및 왜곡된 이미지 ’를 병치함으로써 시 지각적 현상과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지식(pre-conceived knowledge)과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는 작업을 선보입니다.

Paradise, Salone Internazionale del Mobile 2012, Milan, Italy 2011 International Glass Festival IV Luxembourg, Gallery Konschthaus Beim Engel, Luxembourg

예전부터 본인이 관심을 갖고 작업하고 있는 분야는‘ 반 (半) 추상 ’입니다. 구상과 추상의 중 간지점인 반 - 추상은 실질적인 하나의 규정된 상태나 스타일이 아닌 특정적이지 않은 것에서 특

2010 New Knowledge- Research Exhibition, RCA Upper Gulbenkian Gallery, London, UK 2009 Supervisions, Korean Cultural Centre, London, UK

정 이미지를 발견해 내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추상미술에서 관람객이 어떤 이미지

Scratching the Surface: Matters of Perception, Platform 21, Amsterdam, Netherlands

나 느낌을 연상해내는 것과 같은 맥락이지만, 본인 작품의 경우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패턴 에서 반-추상 상태를 구현해 내는 점을 추구하는 점에서 의도된 반 - 추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ow Is This Glass? Post Glass Artists and Glass Guerillas, Corning, USA 2007 Eidolon, Pittsburgh Three Rivers Gallery, Pittsburgh, USA

이전까지의 작업에서는 특정 문화적 레퍼런스를 가진 장식패턴을 재구성하여 규칙적 패턴을

How Is This Glass? At Hillel Gallery, Providence, USA

추상화하는 과정을 탐구하였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그리드 형식처럼 구조화된 패턴부터 불규칙 적인 점선이나 곡선 등을 이용하여 자연(하늘, 산, 바다, 하천, 숲 등)의 패턴을 재구성하였습니

아티스트 레지던시

다. 추상화된 패턴들은 관람객 각각에게는 연상작용으로 인해 다른 이미지로 끊임없이 변화할

2011 미국 코닝 유리 박물관 선정 레지던시 작가

것입니다. 사람은 결국 어떤 것에서든‘ 익숙하거나 혹은 보고 싶은 것 ’을 연상하고, 대입하여, 보고 이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시 지각적 현상을 확장하여 개개인의 문화적 그리고 사

수상

회적 배경에 따른 반-추상 이미지의 다양한 해석을 이끌어 내는 것이 지속적인 목표입니다.

2012 Debut Contemporary Art School Awards- shortlisted 2012 Arch Triump Ideas Competition, Shanghai Ecological Carpark 1st Place Winner

작가노트 송민정 info@minjeongsong.com

(건축리서치그룹 Horhizon 과 협업) 작품소장 (Public Collection)

|

www.minjeongsong.com

2011 Glasmuseum Alter HofHerding in Germany 소장 (작품명: Virtual Blur) 2010 Corning Museum of Glass- artist in residence collection 소장 (작품명: Lattice Motif IV)

2014 Royal College of Art. Ceramics and Glass, Ph.D. 2007 Rhode Island of School of Design. Glass, M.F.A

기타경력

2004 The Ohio State University. Glass, B.F.A

2013 - 2014 영국 플리머스 예술대학 (Plymouth College of Art) 현대공예과 교수

개인전

전시기획 _ 갤러리 도스

2015 The Reminiscence, 갤러리 도스 기획공모 선정작가展, Gallery DOS

2015년 '레알의 기술' 기획공모 선정작가展

단체전

도록저작권 ⓒ 2015 송민정

2014 Collect Project Space, Saatchi Gallery, London, UK

이 작품집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2013 Rising Stars 2013, New Ashgate Gallery, Farnham, UK

글로 적힌 동의가 없이는 전체로나 부분으로나 복사, 복제 또는 사진 및

New Blue and White,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Boston, USA

기타 정보기기에 의해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5

005 Best_ps 2540DPI 175LPI


송민정 개인전

2015.7.24 3:44 PM

페이지16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

005 Best_ps 2540DPI 175LPI

Tel. 02 737 4678

|

Fax. 02 737 4679

|

info@gallerydos.com | www.gallerydos.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