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경 JOONGKYUNG AN

Page 1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JOONGKYUNG AN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2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인간연구 +If the Skin Has Emotions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3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2. 5. 2 +5. 8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4

005 175Line 2540DPI 175LPI

피부 너머의 얼굴: 새로운 인간성을 찾다

김 미향 / 갤러리 도스

얼굴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대하는 친숙한 존재이다. 또한 가장 감정

나 기억을 담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피부는 곧 인생의 흔

표현이 풍부한 몸의 일부분으로서 미세한 근육 운동들은 다채로운 인상을 남

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의 감각을 자극하는 얼굴을 만나게 되면 피부의 색,

긴다. 얼굴 안에는 그 사람의 감정, 의지 그리고 본성 전체가 드러나게 마련이

두께, 질감, 탄력 등을 관찰하고 인지적 해석과 함께 다른 형태로 변형시킨다.

며 가릴 수 없는 노출이란 이유에서 일종의 폭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

뼈대와 근육을 단단히 감싸는 피부의 지지 기능은 상실되고 얼굴의 형상은 액

실이다. 이처럼 얼굴은 내 신체의 일부이기도 하기만 다른 사람의 눈에 보이

체처럼 흘러내리고 일그러진다. 만져질 듯 생생한 살의 느낌과 선명한 색채는

는 나의 모습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가는 그 중에서도 피부라는 감각기관에

하나의 생명체로써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있는 그대로의 재현과는 거리

집중한다. 대상을 진지하게 관찰하고 연구하는 태도로 표현 활동에 임하는 것

가 멀지만 개인의 인성, 감정, 분위기, 시간 등 다양한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은 작가의 독특한 작업방식이기도 하며 측백나무에 이어 피부가 그 두 번째

반영되어 있어 오히려 더 사실적이다. 작가는 분명한 형태를 찾기 위해 표현

시도가 된다.

하기보다는 변형되는 진행 자체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간 연구를 위한 실험의 일부라고 여긴다. 여기에는 인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바탕이

고유한 개개인의 얼굴들은 작가에게 직접적인 신호로 다가온다. 작가는

된다.

얼굴과 접촉할 때 보고 느끼는 경험과 순간의 감각 그리고 상상을 더하여 형 상을 자유롭게 무너뜨린다. 여기에는 피부가 하나의 독립된 생명체로써 감정

얼굴이란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의 통로이기 때문에 몸을

을 가지고 있다는 과학적 가설이 전제되며 얼굴은 그것을 드러내기 위한 표현

대변하는 영혼이라고도 말한다. 인간이라는 정체성은 결국 얼굴에서 가장 분

의 장이 된다.

명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예술에 있어서 중요한 소재 중 하나였다.

세상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감각이라는 문을 통과해야 하며 피부는 그

작가는 얼굴 중에서도 피부라는 경계면을 통해 대상을 관찰하고 그 내면을 주

첫 번째 관문이다. 피부의 감각은 만져짐과 만짐이라는 접촉의 결과이며 인간

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변형된 형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다분히 현대적이

은 이에 따른 자극을 수용하게 된다.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

다. 인간 연구라는 큰 맥락에서 작업을 풀어나가는 작가의 결코 가볍지 않은

고 나와 세상을 구별하게 해주는 경계면의 기능을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감정이

실험의 결과물을 이번 전시를 통해 감상해보길 바란다.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5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6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7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HORSE 캔버스에 오일 2010

72.5 x 60.5 cm

Stainless Steel 900 x 900 x 1500 m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8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2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9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0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1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2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2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2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3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65.5 x 53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4

005 175Line 2540DPI 175LPI

모든 살아있는 존재, 살아있는 기관은 피부, 가죽, 껍데기, 싸개, 막 등의 껍

람의 얼굴을 보았을 때 그 사람의 얼굴 피부가 자아를 완전히 노출시킨 상태를

질을 지니고 있다. 인간의 피부는 신체의 가장 바깥에 위치하면서 외부로부터

하고 있어서 외부의 자극에 쉽게 상처가 날 수 있을 것처럼 경계나 보호막이

신체의 여러 기관들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 보호막이다. 또한 피부는 외부의

사라진 것으로 인지되었을 때 그 사람의 얼굴은 그 형태가 금방 허물어질 듯이

여러 자극을 인지하여 신체의 내부로 전달하는 첫 감각기관이기도 하다. 그러나

보여서 내게 극도의 불안감을 안겨주기도 했다. 나의 인간 연구는 과학적인 실

흔히 알려진 바와 같이 피부는 단지 신체의 보호막이나 감각의 경계선으로서의

험과는 다른 방법을 택하고 있고 과학처럼 증명될 수는 없는 것이지만 회화를

역할 뿐만 아니라 피부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기관으로서 외부의 자극에 대한

통한 하나의 실험으로서 그 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기억을 지니고, 그것에 대한 일종의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근래의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참고문헌 Didier Anzieu

『피부자아』 , 권정아 안석 역, 인간희극, 2009.

Joachim Bauer

『몸의 기억』 , 이승은 역, 이지북, 2006

는 다른 외부 감각기관들(청각, 시각, 후각, 미각), 운동감각, 그리고 평형감각 등

傳田光洋

『제3의 뇌』 , 장인숙 역, 열린과학. 2009

과도 자체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신생아 때는 피부의 복합적인 감

Marc Kirschner, John Gerhart 『생명의 개연성』 , 김한영 역, 해나무, 2010

각(촉각, 열, 통증 등에 대한)이 오랫동안 산만하고 미분화된 채 남아있다. 그러

Edward O. Wilson『인간 본성에 대하여』 , 이한음 역, 사이언스북스, 2009

다가 피부는 점차적으로 민감한 감각기관으로 변모해간다. 즉 여러 가지 다른

Desmond Morris 『털 없는 원숭이』 , 김석희 역, 문예춘추사, 2011

유형의 감각들을 느낄 수 있게 되고(주도권의 기능), 그 감각들을 피부와 연결

Richard Dawkins 『이기적 유전자』 , 홍영남 이상임 역, 을유문화사, 2011

여러 가지 감각기관(촉각, 압력, 통증, 열기 등을 감지하는)의 체계인 피부

『확장된 표현형』 , 홍영남 역, 을유문화사, 2011

시키거나(연결기능) 혹은 분별해내고, 신체의 전체 표면이라는 하나의 배경으로 부터 떠오르는 형상들로서 그러한 감각들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스

Gilles Deleuze

『감각의 논리』 , 하태환 역, 민음사, 2010

크린의 기능).

Temple Grandin, Catherine Johnson 『동물과의 대화』 , 권도승 역, 샘터, 2006

피부는 귀보다는 못하지만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눈 보다는 못하지만 공 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을 조합할 수 있는 것

Jean Kazez

『동물에 대한 예의』 , 윤유진 역, 책읽는수요일, 2011

은 오직 피부뿐이다. 피부는 멀어지는 소리로부터 우리의 양쪽 귀가 거리를 측

Marc Bekoff

『동물의 감정』 , 김미옥 역, 시그마북스, 2008

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게 자신의 표면으로부터 어떤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다. - 디디에 앙지외,『피부자아』중에서 강렬하거나 지속적인 통증 경험은 몸에‘통증 기억’ 이라고 표현되는‘비문

안중경 2007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199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엔그램)을 남긴다. 통증은 (민감한 피질의) 접촉감각과 통증감각의 신호로서 저 장될 뿐 아니라 감정적 통증 기억(’ 감정지능중추 ‘ 변연계에 속하는 대상회)에도

개인전

저장 된다.

2012

인간연구 +If the skin has emotions, 갤러리 도스, 서울

2009

측백나무연구 +빛의 정점, 세오 갤러리, 서울 갤러리 보다, 서울

- 요하임 바우어,『몸의 기억』중에서

2001 나는 회화를 통해 인간을 연구함에 있어서 이러한 피부의 특성에 주목하였 다. 피부가 어떤 감정을 지닌 독립된 기관이자 내부의 여러 신체 기관들과 직간

그룹전

접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생물체일 수 있다는 가정으로부터 (초기에는 이렇게

2011

앙가쥬망 50년展, 한국미술을 말하다, 공 아트스페이스, 서울

뚜렷한 생각을 떠올린 것이 아니라 피부에 인간의 기억과 감정이 기록되고 기

2010

앙가쥬망展, Color Chart, 성균관대학교 성균 갤러리, 서울

억되며, 피부를 통해 한 인간을 표현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작업을 해 나

2009

앙가쥬망展, 유유상춘, 장욱진고택,용인

갔다.) 진행된 작업은 피부를 통한 인간의 보편적 특성들(유전적, 본능적, 동물

2008 앙가쥬망展, 서울, 거리를 걷다, 모란 갤러리, 서울

적, 문화적 특성들)과 한 개인에게서 드러나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특성들(개

2007

유기적 거리展, 갤러리 안단태, 서울

인적인 사연들과 구체적인 시공간에 처해진 상태)을 이해하고 감각하고자 하는

2006

More Than Words, 갤러리 우석홀, 서울대학교, 서울

시도의 기록이 되었다.

2005

’ 05 삼백만원 프로젝트, 웹(samlim72@egloos.com)전시

2004

2004 아트서울展, 예술의 전당, 서울 ‘다양함과 정체성’우수청년작가전, 갤러리 가이아, 서울

나는 인간의 피부를 표현함에 있어서 특히 얼굴에 주목하였다. 얼굴은 한

치유의 이미지들展,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개인의 감정이나 생각이 표정으로써 드러나거나 감추어지는 가장 극적인 장소 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체 중 얼굴의 피부에 범위를 한정짓고 집중하면서, 여 러 사람들의 얼굴에 드러나고 감추어진 감정과 기억들에 의해 사람들의 피부가

수상

제각각 다른 형태와 두께, 색깔, 질감을 지니며 그 피부로부터 감각되거나 유추

2003

되고 상상되어지는 것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 각각의 것들이 음미할만한 가치가

2000 세종미술대전 은상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중경 2012. 5. 2 _ 5. 8 피부는 해부학적으로 각질층, 표피, 진피, 피하조직, 지방세포, 땀샘, 모공,

도록저작권 ⓒ 2012 안중경

모낭, 모근, 신경말단, 피지선, 털세움근, 결합조직, 신경, 소동맥, 소정맥 등의

이 작품집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글로 적힌 동의가 없이는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내게 인간의 얼굴 피부는 대지의 흙이나 부풀어 오른 풍

전체로나 부분으로나 복사 복제 또는 사진 및

선, 그리고 동물의 내장처럼 보이기도 하며 갈등과 긴장이 일시적으로 멈춘 장

기타 정보기기에 의해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소, 혹은 속으로 깊숙이 감정을 감춘 잔잔한 표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떤 사

전시기획 _ 갤러리 도스 기획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5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안중경-갤러리도스

2012.4.23 11:55 AM

페이지16

005 175Line 2540DPI 175LPI

인간연구 - 피부자아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15 - 52 Tel. 02 737 4678

2011

캔버스에 오일

72.5 x 60.5 c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