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2017
ARCHITECTURE PORTFOLIO SCHOOL OF ARCHITECTURE KOOKMIN UNIVERSITY
SEONJIN KIM [ 김선진 ] 1
SEONJIN KIM
[김선진]
Mobile : +82 10 5777 2935 E-mail : bezalel251@naver.com Site : https://seonstudio.myportfolio.com Address : 74, Bomun-ro 32-gil,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Education Mar 2009 - Current Seoul, Korea
Seoul, South Korea
School of Architecture, Kookmin University Bachelor of Architecture
Mar 2005 - Feb 2008
Jeju, South Korea
Namnyeong High School, Jeju-do
Work History Mar 2012 - Current Seoul, Korea
JK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er
Mar 2012 - Current Jeju Island, Korea
LG Hausys [진광창호개발] Architectural Designer
Aewel house, 2016 _ 허가완료 Dadae Church, 2016 _ 허가완료 Jepyeong Community Center, 2015 _ 완공 제주헬스케어타운, 2014 제주영어교육도시, 2014 대포동 단독주택, 2014 하예동 근린생활시설, 2013 서귀포우체국, 2012 그 외 다수 프로젝트 창호발주 및 견적 참여
Mar 2013 - Current Seoul, Korea
Cornerstone Architectural Coordination
Museum Israel Project, 2015 Church for NK, 2014 Refugee Village for NK, 2013
Experience Mar 2016 - Current
Stick and Stones : Architecture Interior Project Group
Sep 2014 - Dec 2014
My Pet Group
Mar 2014 - Jul 2014
the Chairman of a SAKU Graduation Commitee, Kookmin University
Mar 2013 - Jul 2013
the Chairman of a SAKU Structure Academy [구조학회], Kookmin University
Award & Scholarship May 2016
d3 Competition Housing Tomorrow 2016 / Special Mention : Political Intervention
Mar 2016
Scholarship, the Excellent Grade Student, Kookmin University / First Grade
May 2016
Reinterpretation of the Hanok, 2016 Seoul Hanok Expo Competition / Honorable Mention
Sep 2015
Scholarship, the Excellent Grade Student, Kookmin University
May 2015
Tectonic Reverse, UAUS(Union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Grand Prize
Mar 2015
Scholarship, the Excellent Grade Student, Kookmin University
Sep 2014
Scholarship, the Excellent Grade Student, Kookmin University / First Grade
May 2014
Waterscape, UAUS(Union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Grand Prize
Sep 2013
Scholarship, the Excellent Grade Student, Kookmin University
Publications June 2017
Amazing Architecture Magazine / Modern Baroque Skyscraper
May 2015
UAUS Book / Tectonic Reverse Pavilion
May 2014
UAUS Book / Waterscape Pavilion
Exhibitions Sep 2016
Access City in Mud Flat, UAUS_시작의 건축, Chungmu Arts Center
Mar 2016
Return of the Dwelling [집의 귀환], Kookmin University Museum
May 2015
Tectonic Reverse, Pavilion, DDP
July 2014
Refugee Village for NK Conference, Cornerstone
May 2014
Waterscape, Pavilion, Park Marronnier
Computer Skills Rhino 5.0, Grasshopper, Revit, Autocad, Sketchup, V-ray, Lumion Adobe(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Premiere, AfterEffect )
Vignette Project, 2013
Microsoft Office(Powerpoint, Excel, Word)
2
Contents
01
Architectural Design Works 2009 - 2017 by SeonJin Kim
City Engine Transparency Machine Personal Work Graduation Project / 2017 SAKU Triennale Exhibition
02
03
Modern Baroque Skyscraper Translocated Deterritorialization & Reterritorialization Personal Work Publication : Amazing Architecture Magazine, 2017
Access City Futuristic Reclamation by Kinetic Module Personal Work Prize : d3 Housing ; Special Mention Exhibition : UAUS, Chungmu Arts Center, 2015
04
05
Panorarium Panorama + Aquarium Team Project Competition
3
Communal Loop Via Suncheon Art Plaza Team Project Competition
06
07
Tectonic Reverse Co-housing Project Team Project Prize : UAUS / Grand Prize
Through the Void Co-housing Project Personal Work Exhibition : Return of the House, KMU Museum, 2015
08
Extra Works Personal Work
01 [City Engine] Transparency Machine Title : Transparency Machine Field : Academic (Undergraduate Design Studio 7) Program : Complex Culture Facility Professor : YoonKyoo Jang (USD Architects Cooperation) Year : 2017 Location : Seun Sangga, Seoul, Korea Team : Personal Project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Mar - Jul, 2017 Exhibition : 2017 SAKU Triennale Exhibition
[ 4차산업혁명, 리쇼어링현상, 그리고 제2의 기계시대 ]
Concept 리쇼어링현상 : Reshoring Effect
글로벌 기업들은 세계화가 신속히 이루어지면서 전 세계를 시장만으로 삼는 것 이 아니라 제품 생산지로 활용하였다. 특히 노동력이 풍부해 노동비용이 적게 드 는 제 3세계가 인기 생산지였다. 그런데 3차산업혁명에 의한 공장의 자동화에 의해 제3세계에 지었던 공장이 점차 무의미해졌으며, 과거처럼 많은 인력을 필 요로 하지 않기때문에 바로 제품을 생산하여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는 선진국, 즉 도시에 공장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다시 말하면, 새로운 산업혁명에 의해 도시가 더이상 소비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의 기능까지 하게 된다는 의미이며, 도시 깊숙이 들어온 각종 생산공 간은 인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을 것이다. 4
Process Diagram
Logic
Needs
Region Instrument
Urban Argriculture
Material
FABRICATION
Product Process
AGRICULTURE
Production
Immovable
ENERGY
Stockage Energy Smart & Micro Grid
Production
Circuits Courts Transformation
Production
FAB CITY
Energy Renovation
Cellular Agriculture
ENGINE
Connection 01
Connection 02
Silo + Space
Program
Slabe
+ Structure
Urban Logistics Data
Consumption
LOCAL ECONOMY
ARCHITECTURE Consumption
Silo
Circular Economic
FLUX
Label‘Made in’
Archi & Building Urbanism Citizen
Structure
Distribution Local Money
Consumption
생산적 건축 : 기계적 투명성 기존의 현대건축의 투명성 뒤에는 상업논리가 숨겨져 있다. 특히 후기 모더니즘과 하이테크 건축은 생산 이데올로기의 내용이 건축에서 나타 난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다. 두 양식의 화려하고 세련된 외관은 그 자체로서 일정한 심미적 가치를 가지지만, 사회 전체의 측면에서 보면 필 요 이상으로 과다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마치 소비 촉진을 위해 상품이 미학적 치장을 하는 현상에 비유될 수 있다. 하지만 환경의
CITY
?
대한 중요성과 도시에 필요한 것들을 자체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이런 과거의 현상은 바람직한 생산적 건축이라 할 수 없으며, 생산건 축의 본질은 건축 내부의 매커니즘을 감추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드러내는 투명성에 있다고 본다.
오늘날 도시는 가장 거대한 소비처다. 생산 능력을 잃어버린 도시의 삶은 외부 조건에 휘둘리며 불안하게 지속된다. 팹시티 프로젝트는 2014
더불어, 이런 투명한 기계적 매커니즘 속에서 상반된 성격의 프로그램들이 이접되어 연결될 때, 즉 두가지 이상의 프로그램 + 기계적 매커니
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팹10에서 처음 아이디어로 제안되었는데, 이는 2054년까지 도시의 자급자족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려는
즘이라는 시스템은 공간과 도시에 마주하고 드러났을때 사회와 새로운 커넥션이 생기게 되며, 도시속 새로운 공간감을 제공함으로서 이는 생산
글로벌 프로젝트다. 외부에서 생산된 것을 들여와 소비하고 쓰레기를 배출하는 도시가 아니라 식량과 에너지, 생활물품 등 도시에 필요한 것들
적 건축 혹은 공간이라 불리울 수 있다. 어반 팜 및 각각의 프로그램에 필요한 각종 파이프와 배관/설비들이 겉으로 드러나고, 이는 전체를 이
을 자체 생산함으로써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전지구적 네트워크를 지향한다. 이러한 흐름을 따라 대한민국도 이런 팹시티의 프로토타입 개발
루는 구조체이자 내부공간 분할의 역할을 한다. 동시에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의 움직임은 하나의 입면이자 공간으로 드러남으로서 건축의 스킨
에 착수하게 되고, 그 실험 대상지는 실패한 생산공간으로 남아버린 서울 세운상가가 그 대상지이다.
을 만들어 나간다. 이러한 기계적 이미지의 투명성을 통해 건축은 공간 및 기계의 복합체라는 것을 나타낸다.
Site 세운가동상가
청계상가
대림상가
삼풍상가
풍전호텔
신성상가
진양상가
SITE
세운상가는 도로와 건물을 같이 운영할 수 있는 입체도시로 계획되었고, 한 건물에 상가와 주거용 아파트가 함께 존재하는 서울의 대표적인 생산공간이었다. 도심산업의 메카로 성장하며 서울의 명물로 불리웠으나 상권이 이동하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거창한 도시계획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워진 세운상가는 동서간 도심을 단절시킨 더이 상 생산도 소비도 아닌 도시의 유휴공간이자 흉물스런 콘크리트 장벽이 되어버렸다. 이러한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팹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 프로토타입을 서울 세운 50m
100m
200m
상가에서 실험하고자 한다. 이는 현실적인 이야기보다는 세운상가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생산적 건축에 대하여 탐구해 보는 것이다.
400m
N
0
5
Composition Program 00 Core + Hallway + Runway + Duct
09 Day Market
13 Tourist Information Center
01 Shop
10 Cafe + Restraunt
14 Office
02 Culture Center : Museum + Atelier
11 Lab + Education
15 Multi-Porpose Auditorium
03 Auditorium + Observatory
12 Flagship Store
04 Guesthouse 05 Rental Housing 06 Officetel 07 Management Office 08 Hotel
Detail 1
XF Plan 6
Detail 2
Detail 3
Day Time View
Night Time View
각각의 공간/구조/설비의 이접들이 만들어낸 조형
낮에는 보이지 않던 선적인 요소들의 흐름들은 각
적 결과물은 여과없이 그대로 겉으로 드러남으로서
각의 이접들을 마치 살아 움직이는 기계 혹은 엔진
도시와 마주한다.
과 같은 형태로 드러낸다. 7
8
02 [Access City] Futuristic Reclamation by Kinetic Module Title : Access City Field : Academic (Undergraduate Design Studio 6) Program : Complex Culture Facility Professor : JeongHoon Lee (JOHO Architects) Year : 2015 Location : DMZ, Seoul, Korea Team : Personal Project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Sep - Dec, 2015 Prize : d3 Housing ; Special Mention, 2016 Exhibition : UAUS, Chungmu Arts Center, 2015
[ 소유의 종말, 그리고 접속의 시대 ]
접속시대, 접속건축 '소유의 종말'에서 제레미 리프킨은 '소유'의 시대에서 '접속'의 시대로 바뀔 것이 라 전망하고 있다. 접속이란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권리를 말한다. 산업시대는 얼마나 많이 지니고 있느냐가 중요한 소유의 시대였다. 하지만 변화 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대에서 소유에 따르는 비용은 부담으로 작용한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공급자와 사용자로 바뀌고, 구입해서 장기적으로 소유하기 보다는 잠시 접속을 즐기는 것이 유행한다. 사유재산과 소유권이 사회활동을 지배하는 근대와는 달리, 접속에 의한 유희를 추구하는 것은 탈근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접속을 통한 체험이 재산의 소유보 다 더 가치있게 된다. 이러한 접속의 시대에서 인간은 동일한 관심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네 트워크의 공동체를 만든다. 그 세계는 합의되고 공유되는 의미와 은유로 결속된 공동체의 집합이다. 그 공동체는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된다. 또 한 그 공간은 스펙터클로서의 도시, 욕망의 해방구의 모습으로 구체화된다. 탈근대적 접속도시는 인위적으로 재현된 공간에서 상이한 성질의 공간이 병렬 적으로 배치된 도시의 모습일 것이다. 그 결합은 물리적 요소의 결합이라기보다 비물질적 요소간의 결합이 된다. 이 도시는 땅이라는 범주에서 벗어나 비물질적인 사이트-물에서 새로운 도시로 구현된다. 9
Concept
Tessallation Geometry
순간마다 새로운 경계를 만드는 접속적 개념을 위해 Tessellation구조를 응용하여 구조로 사 용한다. 이는 구조이자 전체를 아우르는 system이다.
Kinetic System
평화의 땅, DMZ 시대적 배경은 2050년경 DMZ 한강하구 습지공간이다. DMZ는 세계평화에 상징이 되는 진정한 비무장지대가 된다. 이 공간은 남과 북 그 어느 누구의 소유도 아니며, 접속적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썰물_응집에 의한 경계 구성
60년 분단의 역사로 서로다른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 문화교류 및 북한경제의 활성화가 이곳 ‘접속도시’로부터 이루어 질 수 있다. 이곳은 시장경제체제의 적응공간이며,
밀물_확장에 의한 경계 확장
Tessellation 구조를 응용한 Kinetic System은 밀물과 썰물이라는 자연적 요소에 의해 펴지고 접힘으로서 시시각각 새로운 접속관계를 맺는다.
남북한 주민의 공동의 도시이다. 밀물과 썰물에 의해 펴지고 접히는 구조물이 이곳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들을 담아낸다. 인근지역 발달된 남북한의 ‘포구’로부터 밀물에는 배를 타고 이동하며, 썰물에는 구조물이 접힙 으로서 하부의 굴 양식장으로부터 어민들에게는 생산의 공간이, 관광객들에게는 체험의 공간이 된다.
Program
밀물과 썰물일때 접속하는 대상이 달라진다. 밀물때 인프라의 소유권은 ‘바다’에 있으며, 썰물일 때에 이 인프라의 소유권은 ‘인간’에게 있다. 자연적 요소들도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소유함에 따라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이룬다.
01 CURTURE
Scenario
Roof Window
도시를 이루는 구성요소 1번째로서, 관광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각종 문화시설들이 들어간다. - 메모리얼파크, 전시회, 공연시설
Program 02 HOUSING 남한 주민에게는 2도5촌의 귀농생활을, 북한 주민에게는 흡입지역으로서의 임시주거형태로 존재하며, 관광객에게는 체류형관광이 가능하다.
01 북한 급변사태 : 100만명 이주
02 서해안 갯벌 이용
03 4개지역 이주
Curture Housing Education Market
04 체제 안정화; 역이주
03 EDUCATION 남한 시장경제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시설 및 한강하구 수질관리에 필요한 남북공동연구시설이 들어간다.
Air Tank
04 MARKET 관광객들에게 관광자원으로서 작동하며, 동시에 남북한 주
01 :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도 DMZ를 세계적 평화의 상징체로 만들기 위한 계획의 일부로서, 2단계로 나누어 세계평화공 원을 계획한다.
02 : 서해 평화특별협력지대 DMZ도입부분인 한강하구에 공동어로수역과 육로, 해로, 직항로를 개설하여 남북한의 교통 인프라가 구축된다. 10
Fish Farm
민들의 상거래가 이루어 짐으로서 서로의 문화에 적응할 수
An Oyster Farm
있는 공간이다.
A Laver Farm
Structure + Program
Tessallation Structure 1 Wind Power Generation 2 Connection 3 Wire 4 Handrail
1
5 Path 6 Net 7 Connection
2
8 Post 9 Support
3
4 5
6 Ebb Tide : 썰물
Rising Tide : 밀물
7
8
Culture / Housing Education / Market
S.L
9
An Oyster Farm A Laver Farm Ebb Tide : 썰물
Concept Model : Tessellation
11
Rising Tide : 밀물
G.L
Module Model
단계별 발전방향
System
이 도시는 통일 후 남한으로 유입되는 북한 주민들의 적응도시, 흡입도시로 작동하고 남한주민에게는 5도2촌, 즉 귀농도시가 된다. 공동어업단지로 지정하여 하부의 김, 굴 양식장으로
밀물과 썰물에 의해 움직이고 적응하는 Tessellation 구조에 의해 이 도시는 자연에 끊임없이 임시적으로 접속되는 도시가 된다. 밀물과 썰물에 의해 규정되는 도시의 System은 이곳에
부터 인근 지역 주민의 실질적인 경제이익을 가져오며, 상부에 풍력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자급자족할 수 있는 도시이다.
서 일어날 활동들을 만들어낸다.
01 MINIMUM PILE 최소한의 파일들, 공동구역의 시작점
02 INFRA STRUCTURE 남북 공동 수질파악시설로 이용
03 FISH FARM
04 ACCESS CITY
Schedule 1 : 03:00 ~ 09:00 / 15:00 ~ 21:00
Schedule 2 : 09:00 ~ 15:00 / 21:00 ~ 03:00
공동양식구역설정
도시형성, 다양한 상거래에 의한 문화교류
생산 및 체험활동
인근의 남북한 농어민의 협업공간
휴식 및 소비활동
관광객 유치 및 체험활동 12
이 도시는 통일 후 남한으로 유입되는 북한 주민들의 적응도시, 흡입도시로 작동하고 남한주민에게는 5도 2촌, 즉 귀농도시가 된다. 공동어업단지로 지정하여 하부의 김, 굴 양식장으로부터 인근 지역 주민의 실질 적인 경제이익을 가져오며, 상부에 풍력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자급자족할 수 있는 도시이다.
03 [Baroque Skyscraper] Translocated Deterritorialization & Reterritorialization Title : Baroque Skyscraper Field : Academic (Undergraduate Design Studio 6) Program : Skyscraper Professor : JeongHoon Lee (JOHO Architects) Year : 2015 Location : Gangnam, Seoul, Korea Team : Personal Project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Sep - Dec, 2015 Publication : Amazing Architecture Magazine, 2017
[ 탈영토화는 재영토화를 예비한다. ]
‘우리시대는 인간적 이성, 계몽적 이성이 허물어져 버리는 위기에 처 했다고 진단하고 무언가를 재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바로크‘를 요청해야 한다’ - 들뢰즈
Deterrirorialization[탈영토화] _ 또 다른 이름의 바로크 현대건축은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개념이나 이론으로 가둘 수가 없다. 그리고 그것은 건축 자체의 특징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현대 건축이 ‘다양성’을 특징 으로 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현대 건축 자체가 바로 다양성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고딕건축에서 공간개념은 형태적 성격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바로크는 공간 자체를 독자적인 건축대상으로 삼게 되면서 단위공간이 지니는 다양성의 가치에 비로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구조와 형태에 종속되지 않고 단위공간의 상호침투나 대립, 긴장과 같은 복합효과에 의해 새롭고 다양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공간과 공간이 결합함에 있어 공간을 구성하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전개시켜 탈영 토화를 추구하며 다양성과 역동성을 갈망한다. 각 단위공간들은 상호침투, 중첩에 의해 개별공간의 독립성과 완결성을 전체공간의 통일성을 위해 종속시키면서 새로운 세계를 향해 끊임없는 재영토화를 추구한다. 바로크적인 것의 성격이 다양성을 포함하기에, 우리 시대는 또 다른 이름의 바로크 시대 이다. 14
Planar Figure
Reterritorialization[재영토화] _ Skyscraper
01 Building_A
과거에는 평면적 영토확장이 힘과 부를 상징했다면, 현대에는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좁은 땅에서의 수직적 확장이 더 힘을 지닌 시대가 되었다. 즉, 현대적 욕망에 의해 수직적인 확장
02 Building_B
03 Building_C
으로 탈영토화되어 나타나는 시대인 것이다. 하지만 보통의 건물은 단순한 평면의 적층일 뿐이다. 현대사회는 삶의 방식과 가치관에서 유목적 사고를 수용하고 있는데, 단순한 평면의
04 Building_D
최적의 밀도를 지닌 땅에서, 코어가 위빙됨으로서 내부공간의 다양성 을 만들어낸다. 코어의 위빙됨은 다이아그리드 구조를 통해 가능해진 다. 위빙된 코어가 평면을 구획하고, 도시를 이루는 다양한 프로그램
적층이 과연 다원화된 이 시대의 그 욕망을 담을 수 있을까.
들의 크기에 의해 내부의 수직적 병합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단순히 적층된 평면을 전개화하여 탈영토화되고, 새로운 현대의 매개변수, 새로운 체계를 부과시켜 재영토화된 현대적 건축의 모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코어가 위빙됨으로서 구획된 수직/수평의 선들은 하나의 건물을 4개 로 나뉘게 해준다. 각각의 건물은 하나의 코어를 공유하며 각기 다른 층의 개념을 지닌다. 이는 단순 적층의 문제에서 탈영토화되어 내부
3D Geometry Experiment
의 복잡성을 유도하고, 새로운 체계로서 적층된 재영토화된 초고층빌 딩으로 나타난다.
01 돌출된 지오메트리
02 1차 회전
03 2차 회전
04 상호관입
05 스킨
06 스트럭쳐
Core
07 구조+스킨
08 적층
09 전위된 적층
10 공간
11 구조+스킨+공간
12 구조+스킨+공간+빛
Concept Model, MDF, Acryl, Lights, 2016
Diagram Composition Diagram
Concept Diagram
Core
Mass
Typical Plan
Weaving Core
Make Plan
Variaus Plan
Vertical Connect
Vertical Division 15
Core
Core Structure
Diagrid Structure
Inner Skin
Vertical Division
Make Plan
Exterior Skin
Louver Skin
Twist Louver
Curtain Wall
Reflected Glass
Inner Space
Skin Detail _ Twist Louver 내부의 적층 밀도에 의해 외부의 Twist되는 위치와 양이 결정된 다. 이를 통해 내부의 체계가 외부에서 드러나며, 이는 내부의 빛 이 발했을 때 극에 달한다.
Vertical Composition Diagram
Section View
Core
Horizen Structure
Diagrid Structure 16
Inner Skin
Vertical Division & Air Ventilation
Make Plan
Reflected Glass
Twisted Louver
Day View
Night View
Day view & Night View 내부의 다양성은 낮과 밤에 따라 다르게 드러난다. 낮에는 내부의 밀도에 의해 트위스트 양이 결정된 루버에 의해 내부의 복잡성을 간접적으로 드러나며, 밤에는 내부에서 발현된 빛에 의해 내부의 복잡성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드러난다. 17
04
Concept
Space Arrange
b. Programmatically Immobile Cluster - Large Fish Tanks - Outdoor Stages - Indoor Scuba Diving Pool
[Panorarium] Panorama + Aquarium Title : Panorarium Field : Competition Program : Aquarium Year : 2016 Location : NewYork, USA Team : Team Project (KIMSEONJIN + PARKMOON) Role : Design, Rendering, Drawing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Mar - May, 2016
[ Unexpected experience ]
a. Programmatically Mobile Cluster - Mid/Small Fish Tanks - Sustainable Marine Practices
In order to respond to a complex situation, a space of fluid current needs be formed. A fluid space is not limited for a single purpose bu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space that draws for various satisfactions of users. Transforming a condition by users’ purpose or environment Existing space played a role that was immobile and centripetal. However, since considering space and place as a two different figures is conceivable, transforming a condition by users’ purpose or environment by a fluid circulation is also probable. A flexible space appears at places for adjusting to a changing environment and an existing gap. Providing a free flow to users results a fluid circulation as a reac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continual circulation is able to provide a sort of liberty to users so that they can accept various programs, produce the continual flow themselves and earn the ‘unexpected’ experience throughout the movement. 18
Inner Louver / Roof
Spaceframe
Smart Louver / ETFE
Elevation
N 0
This Aquarium can be categorized as two large cluster which are; space with water and space without water. Large fish tanks are immobile where flexible plans cannot be applied, belonging to an immobile cluster. However, small fish tanks are unrestricted to be put in a flexibly planned space that belongs to a cluster without water and the cluster becomes programmatically immobile. Widely open space towards Manhattan is formed by those two large clusters; the continual flow of waterfront connected to the square allows people to take a fine view and inflow gently into the aquarium exploring various circulations. When seeing the panoramic large fish tank from outside at night, poetic scenery can be created by its smart facade skin. The circular cores are used as a basic structure of the aquarium and play a key role of activating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t the same time.
19
5
1 0
2 0
4 0 M
N 0
5
1 0
2 0
4 0 M
1 Atrium 2 Cafeteria 3 Mechanic Room 4 Laboratory 5 Office 6 Cloak Room 7 Toilet
1 Atrium
8 Storage
2 Cafeteria
9 Selling Space
3 Mechanic Room
10 Core
4 Marine Study Room
11 Small Fish Aquarium
5 Selling Space
12 Exterior Aquarium
6 Core
13 Plaza
7 Exterior Aquarium
14 Waterfront
8 Exterior Plaza
1 Atrium 2 Scuba Space 3 Small Fish Aquarium 4 Crustacea Aquarium 5 Interior Thicket 6 Large Fish Aquarium
1 Atrium
7 Tunnel
2 Scuba Entrance
8 Dolphin Aquarium
3 Rooftop Area
9 Core
4 Rooftop Cafe
10 Cafe
5 Core
11 Dolphin View Point
6 Dolphin Aquarium
12 Toilet
7 Bleacher
20
05
N 0
5
1 0
Logic 2 0
4 0 M
Concept
[Communal Loop] Intro
Via Suncheon Art Plaza
전통적인 마당이나 광장은 생성과 깊이 관련된다. 광장이나 마당은 어떤 고정된 실체 라기보다는 끊임없이 변하고, 나타나고, 사라지는 표면에 의해서 규정된다. 표면 위에
Title : Communal Loop Field : Suncheon International Architecture Competition Program : Art Plaza Year : 2016 Location : Suncheon, South Korea Team : Team Project (KIMSEONJIN / Jangeunjun / Parkwujin) Role : Project Manager, Design, Rendering, Drawing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Apr - Jun, 2016
서 벌어지는 사건들이 보편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광장의 성격을 드러내며, 끊임없 이 각각의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이런 순간의 생성들이 모여서 광장을 만들어낸다. 이 러한 생성들은 순간적이기에 광장은 잠시 스쳐 지나가는 환승의 장소가 된다. 미술관은 “움직임이 일어나는 곳으로서의 공간”과 “정지하는 곳으로서의 장소” 가 혼재하는 프로그램이다. 미술관이 환승의 장소인 광장과 함께 존재했을 때 그 효과 는 더욱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 미술관의 Program들을 분해하고, 새로운 체계를 대입함으로서 ‘보다’의 행위에서 ‘경유’의 행위로 바꾸어 광장과 미술관을 순천 전체 지역사회
[ 경유의 행위, 공공의 거실 ]
를 위한 모두에게 열린 ‘공공의 거실’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21
Logic
Composition
Louver
Territoriality [영역성, 비장소성] 이를 위해 대지를 아우르는 ‘열린 띠’를 대입한다. 이 띠는 하나의 원에서 다양한 중심을 갖는 원들, 즉 다중의 중심을 갖는 서로 다른 원들에 의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원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적 영역을 점유한다. 그리고 그 차이에 의해 하나의 띠가 형성되고, 그 띠는 광장 및 미술관 내부에 각기 다른 영역성을 만들어 낸다. 이 는 방사형으로 열려있음으로서 선택적인 공공의 영역성을 만들어 낸다.
Directionality [방향성] Structure
또한 이 띠를 따라 내부의 동선이 되는 방향성과, 중심과 도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각 실에 접속할 수 있는 2가지의 방향성이 생긴다. 이는 움직임의 공간과 정지하는 장소의 대비를 담는 미술관과 광장의 관계를 드러낸다.
Observatory
Form & Zoning 분해된 프로그램들이 띠를 따라 배치되고, 이 내외부에서 사람들은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다. 전체적인 흐름을 지붕을 통해 하나의 형태로 이어주고, 지붕의 재료를 연자루와 동일하게 하여 연자루까지 그 흐름을 같이한다. 선큰의 빈 공간은 프로그램과의 시각적 연결 및 다양한 인프라들을 담아내는 중심 이 된다. 또한 ‘보다’와 ‘경유’라는 행위가 공존하는 중심의 공간으로써 다양 한 사건들을 담아내고 더 나아가 순천 시민들에 의해 채워지는 공간으로 의미를 갖 는다.
Sunken
Yeonja-ru Waterfront
확장된 띠의 형태가 지붕의 형태를 결정하고, 목재루버를 통해 다양한 명암의 켜를 만들어 낸다. 이 열린 지붕은 하천방향으로 열려있음으로서 도시민들의 현대적 풍 류를 즐기게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램프가 광장과 연결되어 광장의 일부, 자연의
Yeonja-ru
일부로서 존재한다.
Section A-A'
East Elevation
Section B-B'
South Elevation 22
N 0
5
1 0
2 0
Section Detail
4 0 M
1F Plan
2F Plan
23
06 [Through the Void] Co - Housing Project Title : Through the Void Field : Academic (Undergraduate Design Studio 6) Program : Co-housing Professor : JunSang You (Atelier Jun) Year : 2014 Location : Pyeongchang-dong, Seoul, South Korea Team : Personal Work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Mar - May, 2016 Exhibition : Return of the House, KMU Museum, 2015
[ 마당의 재해석 ] 현대사회는 근대의 결정론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중심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이는 현대의 유연하고 자율적 공간을 추구하는 노마드(Nomad)적인 생활방식 으로 나타난다. 이 설계안은 자연적 요소와 도시적 요소의 사이에서 존재하는 사이트에서 공동주거의 형태적 가능성과, 노마드적 사유를 하는 현대인의 다양성을 충족 시키며 동시에 도시문제의 주요 화두인 밀도의 문제를 고민해 봤던 프로젝트이다. 내부의 비워진(Void)공간은 거주민 전체가 사용하는 공용공간임과 동시에 전체적 형태의 출발점이 된다. 3600mm의 그리드로 부터 구성된 56가지의 공간Unit들은 채 워짐(Soild)의 거주공간으로써 공용공간 주변부로 둘러싸고, 중심을 향해 Pop-up되어 비움과 채움의 공간들이 끊임없이 상호작용 한다. 결국 비워진 공간은 건축, 도 시, 자연을 잇는 버퍼존(Buffer Zone)으로써 의의를 가지며 밀도를 담는 공동주거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Concept
Process
01
그리드적용
03
01 주거의 일반적인 커뮤니티 장소는 ‘중정’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도시적
Void 공간 형성
02
매스형성
04
진입계단
관점에서 ‘닫힌공간’이다. 02 이러한 공간을 세움으로써 중정을 ‘열린공간’으로 만든다. 이는 새로운 커뮤니티 장소를 제공한다. 03 3600*3600 그리드 시스템을 통해 주거의 밀도문제에 대응한다. 04 이 그리드에 맞게 유닛이 배치되어 하나의 레이어를 이룬다. 05 유닛 사이에 오픈스페이스가 들어서고, 이 공간은 중앙의 오픈된 공간과 연결 된다. 06 이러한 레이어들이 정렬되어 각기 다른 유닛과 레이어들의 공간적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05
구조시스템
06
유닛적용 24
Unit - Plan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A1
B1-2
C1-1
B1-3
C1-2
B1-5
B1-4
C1-3
B2
C2-2
C2-1
B3
C3-1
B4
C3-2
C4-2
C4-1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C5
D5
D1-1
D1-3
D1-2
E1-1
E1-2
D1-4
D2-1
E2-1
D2-2
D2-3
E3-1
E2-2
E3-2
E3-3
D4
D3-2
D3-1
E3-4
E4
F1 F1
F2
G1
H1-1
F3
G2
I1
F5
G3
H2-1
H1-2
F4
H2-2
G4
H3
H4
H5
I2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B1-1
25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Section B-B'
Section A-A'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PRODUCED BY AN AUTODESK EDUCATIONAL PRODUCT
07
Concept : DDP, Dress in Cheongyecheon
Geometry
[Tectonic Reverse] DDP, Dress is Cheonggyecheon Title : Tectonic Reverse Field : Competition Program : Pavilion Year : 2015 Location : DDP, Jongno-gu, Seoul, South Korea Team : Team Project Role : Design, Drawing, Diagram, Structure, Construction Software : Rhino 5.0, V-ray, AutoCAD, Photoshop, Illustrator Schedule : Apr - Jun, 2015 Prize : UAUS(Union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Grand Prize
DDP를 설계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쉴 새 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동
우리는 청계천이 도심 속에서 새로운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청계천을
대문의 역동성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속의 DDP의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들과의 소통에 주목했다. 이 2가지의 큰 틀에서 물
성격과 맥락을 같이하는 장소가 무엇인지 고민했고, 청계천의 끝자락에
결치는 청계천의 흐름을 외관에서 형상화하고, 내부에서의 인포메이션,
위치한 DDP가 그 궤를 같이한다.
동선유도, 그리고 시각효과를 제공한다.
청계천은 역사의 흐름에 따라 사람과 환경의 요구에 맞추어 많은 변화를
거울을 통해 DDP가 REVERSE되어 내부 공간에서 드러나고, 이 공간에
거쳤다. 지금의 청계천은 축제이벤트, 관광프로그램, 인프라 조성 등을
서 시민들이 잠시 머물며 서울 속 청계천이라는 장소성과 DDP속에서의
파빌리온을 구축하기 위한 조형언어는 DDP브릿지에 나타난 조형언어를 추출하여 기본모듈로 삼는다. 기본 모듈이
통해 서울의 문화, 역사, 장소성 뿐만 아니라 복원과 재생의 모범 사례로
청계천은 어떤 곳일까 생각 할 수 있게 한다.
ROTATE 되어 다이나믹한 형태를 만들어내고, 그것은 통로의 기능을 지니게 된다. 그 사이에 소통과 새로운 시야를
역할을 하고 있다.
담는다. 27
Structure ROTATE된 각각의 모듈들을 세우고 연결시키기 위해 와이어로 엮는 방식을 이용했다. 외부와 기둥 안쪽에는 반사재질을 이용하여 파빌리온이 DDP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모듈사이에 판 재를 이용해 동선유도를 통한 DDP 인포메이션을 제공한다.
Reflection 시각효과(반사)를 통한 새로운 공간과 그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소통을 파빌리온에 담아내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평소에 보지 못했던 시야가 보여짐으로서 DDP속 새로운 공간 을 제공한다.
28
29
08
[Extra Works]
DD House
AW House
AIA Kindergarten
Access City
the Chairman of a Graduation Commitee
JK Architecture, 2016 Permition Complete
JK Architecture, 2016 Permition Complete
4rd grade, 2015 Seoul Hanok Competition Honorable
4rd grade, 2015 시작의 건축 전시회
4rd grade, 2015 SAKU Graduation Exhibition
Tectonic Reverse, UAUS Pavilion
Waterscape, UAUS Pavilion
the Chairman of a Structure Academy
Enliven the City, Elementry School
Church for NK Project
4rd grade, 2015 UAUS Grand Prize
3rd grade, 2014 UAUS Grand Prize
3rd grade, 2014 SAKU Structure Academy
3rd grade, 2014 SAKU Triennale 2014 Exhibition
2014 Cornerstone Conference Exhibition
Symbiosis, Neighborhood Facility
Kindergarten
9x9x9 Cube
Vignette
Rotating Trabuchet
3rd grade, 2014
2rd grade, 2013
2rd grade, 2013
2rd grade, 2013
1st grade, 200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