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ancy and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Message of Congratulations
축사
I send my best wishes to the third exhibition of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this year in Milan, which is the international hub of the design world.
세계 디자인의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3회째를 맞이하는 <한국공예 법고창신>전의
The exhibition was previously held in 2013 and 2014, and reviews proved that it effectively represented the classical concept that the old traditional is fundamental, but that it needs to be made new; and the new should not lose underlying principles. Finding the future of traditional culture requires a renewal of traditional culture suited to our contemporary era of globalization. I hope that our third exhibition, Constancy & Change in Traditional Korean Craft 2015, will b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restrained, exquisite beauty of Korean craft, in harmony with nature, to a worldwide audience. Hopefully, this exhibition will become a catalyst for 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crafts outside Korea, and for expanding the Korean Wave worldwide. Finally, I would like to thank the twenty-three participating artisans and artists, and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everyone who worked to make this event successful.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13년과 2014년, 두 해에 걸쳐 개최됐던 <한국공예 법고창신>전은 ‘옛것에 토대를 두되 그것을 변화시킬 줄 알고, 새것을 만들어가되 근본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의미를 아주 잘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전통문화에서 미래를 찾는 것은 세계화시대에 바람직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입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한국공예 법고창신 2015>를 통해 한국공예의 절제된 아름다움, 자연과의 조화로움 등을 전 세계인에게 선보이고 그들과 소통하길 바랍니다. 또한 우리 전통공예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며 한류 세계화에 기여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23명의 공예작가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이번 전시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애써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2015. 4. 14.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The 14th of April, 2015
김종덕
Minister Kim Jong De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essage of Congratulations
2
축사
3
Opening Message
개최사
This will be the third annual exhibition of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an exhibition that speaks to the future through traditional crafts practiced by contemporary Korean masters.
한국의 공예를 통해 세계의 미래와 소통하는 전시, < 한국공예의 법고창신>이 세 번째 해를
In 2013 and 2014,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successfully presented the first two editions of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at La Triennale di Milano. This year, the third edition will proudly present more diverse works showing the simple, natural, restrained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crafts, during the Milano Design Week. Starting with K-Pop, Korean culture has begun to spread throughout the world in various forms. Korea’s current growth is the result of its rich culture and tradition. This exhibition will help to share Korea’s traditional crafts and culture with the world in Milan. Both Italy and Korea have been pursuing high technology by using their colorful and lively cultures to open the world’s doors.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believes that this exhibition will enable these two countries to share their cultural potential.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will promote Korea’s cultural values–practical and artistic–in the midst of the Milano Design Week, when culture and art meet. I invite you to let these traditional Korean crafts enrich your lives.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지난 2013년과 2014년 두 해에 걸쳐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전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습니다. 동 전시의 3회째를 맡는 올해,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더욱 다양하고 풍성한 작품들을 통해 한국의 전통공예에 담긴 꾸밈없이 소박한 자연미와 절제된 아름다움을 선보이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한국의 문화는 K-POP을 선두로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들이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던 저력과 기반은 문화와 전통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무엇보다 이번 전시가 밀라노에 모인 전 세계 사람들에게 우리의 전통공예와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다채롭고 역동적인 문화를 통해 미래와 신기술의 혁신을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본 전시가 이탈리아와 한국의 문화가 간직하고 있는 잠재력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전은 예술과 문화 융합의 최정점인 <밀라노 디자인 위크> 한복판에서 실용적이면서도 예술성이 뛰어난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한국 전통공예의 진수를 흠뻑 즐기시고 따스한 위안을 얻어 가시길 바랍니다. 끝으로, 본 전시에 적극 참여해주신 23분의 공예작가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리며, 전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애써주신 박여숙 예술감독님과 기획위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Finally, I would like to extend my gratitude to the twenty-three participating artisans and artists, and to Creative Director Park Ryu Sook and members of the planning committee, who worked for the successful opening of the exhibition.
감사합니다.
Thank you.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원장 최정철
Choi Jeung Cheol President,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Opening Message
4
개최사
5
Message of Invitation
모시는 글
We invite you to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에 초대합니다.
The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will be held at La Triennale di Milano for the third consecutive year since 2013. We are delighted to announce that traditional Korean crafts, a body of creative disciplines more than five thousand years old, will be presented in a major art exhibition at the Design Museum, a major venue of the internationallyacclaimed Milano Design Week. Under the theme of ‘ Su-su Deom-deom Eun-eun’ (Simple, Calm, Subtle), this exhibition will feature one hundred ninety works, in six categories, by twenty-three artists, merging the graceful, classical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crafts with modern aesthetic sensibilities. These artists are perpetuating and extending Korean craft traditions in metal, ceramics, paper, textile, bamboo, and lacquer. Major works in the metal presentation includes Lee Yong Gu’s brass kettle and brass pot; Kim Soo Young’s Anseong brassware, and his lacquer brassware in collaboration with designer Cho Ki Sang (in association with Yeol); and Lee Gyung No’s silver inlaid brazier and boxes. The ceramics includes Park Sung Wook’s deombeong bunchung jars and pagodas; Lee Seung Hee’s ceramic paintings; Ree Soo Jong’s chulhwa bunchung jars; Lee Se Yong’s white porcelain bowls; Roe Kyung Jo’s coarsely brushed bunchung ceramic container; Lee Hyun Bae’s tall onggi wares; and Ahn Si Sung’s rectangular bottles. The paper craft includes Lee Young Soon’s woven paper jar and Oh Jea Hwan’s mulberry paper kite installation. The textile craft category includes Kim Hyun Hee and Lee Sora’s patchwork wrapper and Kim Hae Ja’s Nubi clothing.
Message of Invitation
6
2013년을 시작으로 올해 세 번째로 개최되는 <한국공예의 법고창신>이 이탈리아 밀라노 트리엔날레 뮤지엄에서 열립니다. 반만년 이상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공예가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인 디자인 뮤지엄에서 예술성 높은 전시 기획으로 중요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번 전시는 “수수 덤덤 은은”이라는 주제로 민족혼이 듬뿍 담긴 품격 있는 공예작품을 선별하였고, 전통공예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인 미감과 접목시켜 예술성이 뛰어난 6개 분야 작가
23명의 작품 190여 점을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작품들은 면면히 전해 내려온 기술을 전승한 장인과 작가들이 금속, 도자, 종이, 섬유, 대나무, 칠 등 우리 공예의 6가지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땀과 혼이 깃든 결정체들입니다. 금속공예 분야에서는 이용구 장인의 주전자와 노구솥, 김수영 장인의 안성유기, 예올 프로젝트를 통해 조기상 디자이너와 김수영 장인이 협업한 옻칠유기, 이경노 장인의 은입사화로와 사각합을 출품하였습니다. 도자공예 분야에는 도예가 박성욱의 덤벙분청입호와 탑들, 도예가 이승희의 백자도판에 조선의 명품 청화백자와 철화백자를 평면화하여 작가 고유의 기법으로 제작한 도판작업과 도예가 이수종의 행위가 더해진 철화분청 항아리들과 도예가 이세용의 백자 보울, 도예가 노경조의 분청귀얄합, 옹기장 이현배의 키다리 곤쟁이 항아리, 옹기장 안시성의 사각병을 출품하였습니다. 지공예 분야에서는 이영순 작가의 지승항아리, 오제환 연장의 방패연을 출품하였고, 섬유 분야에 서는 김현희 작가의 조각보, 이소라 작가의 조각보, 누비장 김해자의 복식을 출품하였습니다. 죽공예 분야에서는 염장 조대용의 발을 출품하였고, 칠공예 분야에서는 김설 작가의 건칠볼, 양유전 장인의 합, 최영근 작가의 칠화, 박강용/정상길 장인의 발우, 최상훈 장인의 합을 출품하였고, 다음 김창덕이 윤회매를 출품하였습니다.
모시는 글
7
Bamboo craft is represented by Cho Daeyong’s woven screen. The lacquerware includes Kim Seol’s dry lacquered bowl, Yang Yoo Jeon’s lacquered bowl with a lid, Choe Young Keun’s lacquered painting, Park Gang Yong’s and Jung Sang Gil’s lacquered woodenware, and Choi Sang Hoon’s lacquered bowl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finally, there will be a special presentation of Kim Chang Duk’s wax flower arrangement. This exposition will offer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best of Korea’s exquisite traditional craft culture.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sincere gratitude to Minister Kim Jong Deok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esident Choi Jeung Cheol of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our expert support personnel, and the participating artists for making this event possible. I would also like to personally thank the Planning Committee members–Park Young Kyu, Lee Sungsoon, Lee Chil Yong, Seo Do Sik, Chung Yountaek, Cho Hyeyoung, and Lee Kwangjin –for their efforts and expertise in planning the exhibition and curating the works, and journalist Hahm Hyerie for carefully writing, on such short notice, the artists’ detailed backgrounds and the descriptions of their works, presented at this exhibition. I especially appreciate the valuable help contributed by the Italian experts. The architectural firm Origoni Steiner Architetti Associati took charge of designing this exhibition. I want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Franco Origoni, Anna Steiner, and Matteo Origoni from that firm, and to Beppe Finessi for his remarkable review of this exhibition. Finally, I would like to thank Ms. Chang Myung Sook of the Planning Committee for providing valuable local knowledge and for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Korea and Italy.
이번 밀라노 전시를 통하여 전 세계인들이 한국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이 뜻 깊은 전시를 마련해주신 문화체육관광부 김종덕 장관님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최정철 원장님과 관계자 여러분들, 훌륭한 작품을 출품해주신 전통공예 장인 분들과 작가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기획위원으로 참여하여 작품 선정 및 제작에 큰 도움을 주신 박영규 위원장님, 이성순 위원, 이칠용 위원님, 서도식 위원님, 정연택 위원님, 조혜영 위원님, 이광진 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에 쫓기며 출품작가들의 세세한 이력과 작품설명을 성의 있게 책임 집필 해주신 함혜리 기자님께 감사드리고, 또한 이번 전시 디자인을 맡은 건축회사 오리고니 슈타이너 스튜디오(Origoni Steiner Architetti Associati)의 프랑코 오리고니(Franco Origoni)와 안나 슈타이너(Anna Steiner), 마테오 오리고니(Matteo Origoni) 그리고 훌륭한 평론을 해주신 평론가 베페 피네시(Beppe Finessi) 등 이탈리아 전문가들의 도움에 감사드리고, 그 일의 중심에서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탈리아와 한국의 가교 역할을 해주신 장명숙 전문위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예술감독, 박 여 숙 박여숙화랑 대표
Creative Director, Park Ryu Sook Director, Park Ryu Sook Gallery
Message of Invitation
8
모시는 글
9
Yesterday and Tomorrow
어제 그리고 내일
Caught in our busy lives, we become mechanical in dealing with the absurdity and conflict of life, and nostalgic for the past. As we mature, we uncritically adhere to our pre-established values and past experiences, and society keeps challenging us with new technology. Thus, it becomes difficult to balance past and future, tradition and innovation, preservation and change. We need to discover our individual points of view, and to plan our future. This is even more true in the creative world. Experiments without the past, and the present without its origin cannot exist. If we lose the past, further discovery is impossible.
매우 숨 가쁜 일상에 파묻혀 살아가는 우리들, 순간순간 극도의 모순과 갈등 속에서 모든 것을
This principle holds true in design. After fully digesting their own country’s history, Italian masters of design are absorbing geographically distant traditions, adding new knowledge, and opening new horizons. Bruno Munari extensively examined Japanese culture to find tranquility and moderation. Ettore Sottsass studied India’s traditional shapes and colors. Roberto Sambonet embraced Brazilian energy and light. Alessandro Mendini explored symbols and deep mysteries in rich Egyptian forms. These masters studied and absorbed the past, and incorporated it into the future using new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Even now, the most promising designers try to protect tradition, classical and graceful, to understand the past, and to discuss history. None fear appearing retrograde. They pursue the new through the past. Some of them produce
Yesterday and Tomorrow
10
계산하며 만성적으로 과거의 좋았던 것들에 경의를 표하고 또한 성장하고 형성된 가치와 경험을 보존하는 것에 익숙하고, 우리 사회는 새로운 기술을 끊임없이 제시하며 미래지향적인 삶을 요구한다. 이 속에서 과거와 미래, 전통과 혁신, 보존과 변화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각자 스스로의 관점을 가지고 자신의 본질적인 개성과 DNA를 찾아내어 미래를 계획하는 것의 중요함을 알고 필요성을 깨닫는다. 이는 창조적인 세계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과거 없는 실험은 있을 수 없으며 어디서부터 유래했는지 기원을 알 수 없는 현재도 있을 수 없다. 스스로가 끝이라고 단정한다면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질 수 없고 역사에 연결시키지 않을 경우 얻는 것이 없을 것이다. 이는 디자인계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태리 디자인계의 거장들은 조국의 역사를 호흡한 뒤 지리적 으로 떨어진 곳의 전통을 흡수하고 지식을 도입해 새롭게 하는 것의 지평을 열었다. 브루노 무나리는 고요함과 절제를 표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일본의 문화를 관찰했고, 에토레 소트사스는 인도의 고유한 형태와 색깔을, 로베르토 삼보네트는 브라질의 에너지와 빛을, 알레산드로 멘디니는 이집트의 풍부한 형상 속에 깃든 상징물과 강렬한 신비 등을 받아들였다. 이 거장들 모두 과거의 좋은 점을 높이 평가하고 연구하여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소재, 기법, 형태를 반영하여 자신들의 미래를 설계하였다. 오늘날에도 가장 주목받는 디자이너들 역시 최고의 미래를 상상하기 전에 고전적인 우아함을 간직한 전통의 품위를 존중하며 과거를 이해하고 역사를 논하려 노력한다. 그들에게서는 공통적으로 과거지향적으로 비춰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과거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디자이너들의 작업은 최근의 현상들, 각자의 전화에 네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음에도 세계지도를 제작하고, LED의 시대에 진입했음에도 양초를 디자인하며,
어제 그리고 내일
11
world maps on paper to compete with navigating telephones. Others design candles to confront LED’s. Still others construct plans using box-like objects that resemble children’s toys, despite the availability of advanced modern tools for designing buildings. And this is just within the last eighty years. They design flower vases, maybe because of the simple joy of looking at beautiful flowers; and tableware simply to enjoy nice meals with close friends around the table. Small boxes, which can contain cherished memories of the past or function as ornaments, are never considered extraneous, but are regarded as important motifs. The works presented at this exhibition, such as Bunchung ceramics, ceramic painting, silver inlaid brazier and boxes, lacquerware, lacquer painting, woven mulberry paper jars, white porcelain bowls, Onggi pottery – they do not depreciate or neglect tradition. On the contrary, their creation stems from tradition. They seem to tell us that in order to create superb works,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essential elements and founda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o fully control the process. These impressive works teach those traditional techniques that can energize our present and support our future. Tradition presents new insights and can guide us to a richer future. Making tradition new by fully understanding and mastering skills handed down over a long time, this is what we intend to show.
적어도 지난 80년 이래 가장 최첨단 기법과 혁신적인 기술로 건축물 등을 구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어린이들이 창안한 것 같은 상자 형태의 제품들을 기획하고 있다. 아마도 단순하게 아름다운 꽃이 우리에게 주는 기쁨 때문인지 몰라도 꽃을 꽂을 수 있는 화병을 기획하길 원하고 어쩌면 소박하게 식탁에 둘러앉아 가장 가까운 친구들과 식사하는 것을 사랑해서일까 식탁 용기를 기획한다. 아니면 작은 상자들, 소중한 과거의 기억을 간직할 작은 보관함 또는 장식을 위한 소품들, 이러한 것들이야말로 과도하다고 느끼는 법이 없기에 가장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분청 도자, 도자 페인팅, 은입사 함, 칠기, 칠화, 지승 항아리, 백자 보울, 옹기 등 여기 전시된 모든 새로운 작품들은 과거의 전통을 폄하하지도, 소홀히 하지도 않으면서 오히려 과거의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추출해내었다. 우수한 작품들을 완성하기 위해 꼭 필요하고 절대적인 요소들, 기본적인 재질에 대한 완벽한 이해, 수공예 과정에 대한 완벽한 감독을 통해 제대로 만든 기분 좋은 작품들 속에서 전통기법을 발견하는 것이 우리에게 활력소가 되는 자양분 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미래에 대한 버팀목이 되어준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전통은 우리에게 새로운 안목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는 풍요로운 내일을 밝힐 등불이 되어줄 것이다. 소재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오랜 시간에 걸쳐 전수된 장인기술을 바탕으로 진실로 지금 여기에서 보는 것처럼 새로운 것을 제대로 만드는 일, 이것이 우리가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다.
예술 평론가, 베페 피네시
Art Critic, Beppe Finessi
Yesterday and Tomorrow
12
어제 그리고 내일
13
Table of Contents 2 Message of Congratulations Minister Kim Jong Deok,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4 Opening Message Choi Jeung Cheol, President,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6 Message of Invitation Park Ryu Sook, Creative Director
10 Yesterday and Tomorrow Beppe Finessi, Art Critic
목차 17 Ceramics 18 Deombeong Bunchung Park Sung Wook
2 축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종덕
26 Ceramic Painting Lee Seung Hee 34 Onggi Pottery (Earthenware) Lee Hyun Bae 40 Chulhwa Bunchung Ree Soo Jong 46 White Porcelain Lee Se Yong 52 Yeollimun Roe Kyung Jo 58 Onggi Pottery (Earthenware) Ahn Si Sung
17 도자 18 분청 박성욱 26 도자화 이승희
4 개최사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원장 최정철
6 모시는글 예술감독
34 옹기 이현배 40 분청 이수종 46 백자 이세용 52 연리문 노경조 58 옹기 안시성
박여숙
65 Textile 66 Patchwork Wrapper Jogakbo Kim Hyun Hee 72 Patchwork Wrapper Jogakbo Lee Sora 78 Quilted Clothes Nubi Kim Hae Ja
85 Korean Mulberry Paper Hanji
10 평론
65 섬유
어제 그리고 내일
66 조각보 김현희
베페 피네시
72 조각보 이소라 78 누비 김해자
85 한지
86 Woven Paper Jar ( Jiseung) Lee Young Soon
86 지승 이영순
94 Mulberry Paper Kite Oh Jea Hwan
94 방패연 오제환
99 Lacquer
99 옻칠
100 Lacquerware Kim Seol
100 칠기 김설
106 Lacquerware Park Gang Yong, Jung Sang Gil
106 칠기 박강용, 정상길
112 Lacquerware Yang Yoo Jeon
112 칠기 양유전
116 Lacquer and Mother-of-Pearl Choi Sang Hoon
116 나전 최상훈
120 Lacquer Painting Choe Young Keun
120 옻칠 최영근
125 Metal
125 금속
126 Brassware Kim Soo Young, Cho Ki Sang
126 유기 김수영, 조기상
134 Brassware Lee Yong Gu
134 유기 이용구
140 Silver Inlay Lee Gyung No
140 은입사 이경노
147 Bamboo 148 Woven Bamboo Screen Cho Daeyong
153 Performance 154 Wax Flower Arrangement Kim Chang Duk
147 대나무 148 대나무 발 조대용
153 공연 154 윤회매 김창덕
Ceramics 도자
Ceramics
도자
Deombeong Bunchung
분청
Park Sung Wook
박성욱
8000년에 이르는 한국의 도예역사는 시대마다 독창적인 문화
Eight thousand years of Korean ceramic art saw distinctive changes in each period. The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918 -1392) and the white porcelain and Bunchung ware of the Joseon Dynasty(1392- 1910) are most predominant. Bunchung ceramics evolved from the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the green color of which was known even to the Chinese. They first appeared in the 14th century and were produced together with the white porcelain until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n the Bunchung ware disappeared as the white porcelain gradually became more popular. However, even now, 500 years later, many contemporary Korean ceramicists seek inspiration in the uniqueness of the Bunchung ware for its simplicity, its modest, antiquated appearance, and the techniques needed for producing it.
를 형성해왔다. 그 가운데 뛰어난 아름다움을 가진 양식으로 고려(918~1392)의 청자, 조선(1392~1910)의 분청사기와 백자가 꼽힌다. 비색의 아름다움이 중국에까지 이름을 떨쳤던 청자에서 변화한 분청사기는 14세기 말 태동해 16세기 중반까지 백자와 함께 생산되다 차츰 백자가 우세해지면서 사라졌다. 하지만 소박함과 고졸한 아름다움을 지니면서도 다양한 기법만큼이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분청은 5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많은 현대 도예가들의 예술적 영감을 자극하고 있다. 분청은 청자의 태토로 형태를 만들고 표면에 백색을 내는 화장토를 발라 다시 구워내 회청색 또는 회황색을 띤다. 태토의 거칠고 부드러운 느낌을 자유자재로 표현하는 분방함 이나 여러 장식기법의 교차를 통해 얻은 서로 다른 질감의 중첩, 과장과 생략을 통한 변형과 변주와 같은 분청
Bunchung ware is made of the same clay that is used for celadon. However, it is coated with white slip, a mixture of feldspar, quartzite and kaolinite, and fired once more. This process creates its bluish-gray or yellowish-gray hue. It allows freedom in expressing the rough and soft textures of the clay, combining different methods of decoration, and creating variations through abbreviation and exaggeration. These aspects of producing Bunchung ware clearly attract artistic attention in modern times.
고유의 특징들은 현대미술의 관점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미적 태도임이 분명하다. 도예가 박성욱은 분청의 재료적 특성을 반복과 집중을 통해 작품에 적용시킴으로써 그 표현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그의 작업은 재료의 탐구에서 시작한다. 거칠지만 따뜻한 질감의 태토로 모양을 만들고 반건조시킨 뒤 그 위에 물에 푼 백색 분장과 얇은 유를 거듭 씌운다. 그는 이런 덧씌우는 과정을 통해 의도하는 재료 고유의 질감을 얻어낸다. 특히 그가
By apply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unchung ware to his works via repetition and concentration, ceramicist Park Sung Wook maximizes the expressive effects of the technique. His working process starts
Deombeong Bunchung
주목하는 것은 분청의 분장기법이 가져오는 레이어의 효과이다. 흙속에 흙이 비쳐 보이고, 그 안으로 흙이 존재를 드러내는 레이어들을 통해 깊이 있는 질감 표현은 물론 풍부
18
하면서도 정제된, 거칠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표현한다.
with research on the material. He shapes the ceramic clay, conveying both the soft and rough textures, and lets it partially dry. Then he repeatedly applies a diluted mixture, then a thin layer of glaze, to the surface. Through this repeated application, he produces the intended natural texture of the material. H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layers. The textures of the clay are seen through the multiple layers that gradually reveal the nature of the clay. These textures deliver various feelings-rich, refined, rough, and soft. He finishes his work using a technique called Deombeong Bunchung, which enables him to create layers most effectively. The name refers to the Bunchung ware that is dipped into the clay water by hand and then fi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ffect by regulating the density of the clay water. However, because only one attempt of dipping is allowed, the process requires mastery of the skill and high concentration. If white porcelain is like a smooth glass building, Deombeong Bunchung would be like a plain, natural wall of white clay. The essence of Park Sung Wook’s works is in his subdued aesthetics, defined by a singular elementwhite color-without using various technical skills from other kinds of Bunchung ware.
그는 가장 효과적으로 레이어를 만들어낼 수 있는 덤벙 분청 으로 작품을 완성한다. 덤벙분청은 그릇 굽을 손으로 잡고 백토 물에 덤벙 담갔다가 구워낸 분청사기라 해서 명명된 것이다. 덤벙은 백토 물의 농도를 조절해 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지만 단 한 번에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과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한다. 백자가 매끄 러운 유리건물이라면 덤벙분청은 같은 흰색이라도 소박하고 담백한 흙벽과 같다. 다른 분청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기교 에서 벗어나 묵묵하고 담백하게 오로지 흰색 하나만으로 승부하는 덤벙 분청의 절제된 미감은 박성욱의 작품을 감상 하는 포인트다.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전통 가마를 짓고 작업해온 그가 요즘 조형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은 탑이다. 그가 덤벙분청 기법 으로 만든 큰 항아리와 덤벙분청탑을 통해 드러나지 않고 넘치 지도 않는 조용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He works with a traditional kiln in Jipyeong-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He is currently interested in producing pagodas. His big earthenware pots and pagodas in the style of Deombeong Bunchung deliver a calm beauty.
분청
19
Ceramics
1
도자
0416 · 0416 14 × 5 × 5 cm
Deombeong Bunchung
20
분청
21
Ceramics
2
Deombeong Bunchung Jar · 덤벙분청 대호
도자
3
46 × 45 × 45 cm
Deombeong Bunchung
Deombeong Bunchung Jar · 덤벙분청 대호 48 × 46 × 46 cm
22
분청
23
Ceramics
4
도자
Park Sung Wook
박성욱
Born in 1972, he completed his undergraduate study in craft art in 1997, and his graduate study in ceramics at the College of Design in 2002, both at Kookmin University. His major exhibitions
1972년에 태어나, 1997년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를 졸업하고,
include an invitational exhibition at the Monticello Gallery in honor of its inauguration in 2001, a collaborative exhibition of Ceramics and Crafts of Korea and Japan in 2002, the 4 -F Festival of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in 2003, the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exhibition at the Osaka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in 2003, the Beautiful Korean Ceramics exhibition at the old Gwangju Joseon Royal Kiln Museum (currently, the Gyeonggi Ceramics Museum) in 2004, the exhibition The Pathway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eramics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Gyeonggi Ceramic Museum in 2008, the International Ceramics Exhibition in Jingdezhen in China in 2010, the Beopgochnagshin exhibition at the Gyeonggi Ceramic Museum in 2009, the Korea-China Ceramics Art Exchange exhibition in 2011, a special 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invited by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Ceramics Assembly) in Paris, France, also in 2011, and Drinking Tea and Joy at the Gyeonggi Ceramics Museum in 2014. He won the Grand Prize at the 3rd Toya Tableware competition in 2006, and a prize at the Beautiful Korean Ceramics exhibition.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Yeoju World Ceramic Living Ware Gallery, the Icheon World Ceramic Center, the Gyeonggi Ceramic Museum, the International Ceramics Exhibition, and others. He teaches in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Craft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in the department of Traditional Arts and Craft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and in the Ceramics department at Kookmin University, and he works in Yangpyeong.
문화교류전>, 2003년 < 세계도자비엔날레 4 -F 페스티벌>, < 한국현대
2002년에는 동 대학 조형대학원 도자과를 졸업하였다. 주요 참여전시로는 2001년 <몬티첼로갤러리개관기념초대전>, 2002년 <한일 도자 생활 도예전>(오사카 국제 교류센터), 2004년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전>
(조선관요박물관, 현 경기도자박물관), 2008년 <한반도 근현대 도자의 향방> (경기도 도자박물관), 2010년 <국제도예전>(중국 경덕진), 2009년 <법고창신>(경기도 도자박물관), 2011년 <한중 도자예술교류전>, IAC총회의 초청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한국 현대도자특별전>, 2014년 < 차, 즐거움을 마시다>(경기도 도자박물관) 등이 있다. 2006년 제3회 토야테이블웨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아름다운 우리도자기전에서 입상하였다. 작품 소장처로는 세계생활도자관, 세계도자센터, 경기도자박물관, 국제도예전시관 등이 있다. 현재 강릉원주 대학교 산업공예학과, 전통문화학교 공예과, 국민대학교 도예과에서 강의를 하며 양평에 위치한 자신의 작업실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Deombeong Bunchung Jar · 덤벙분청 대호 44 × 40 × 40 cm
Deombeong Bunchung
24
분청
25
Ceramics
도자
Ceramic Painting
도자화
Lee Seung Hee
이승희
한국의 도예가들은 작업하면서 한 번쯤은 깊은 고민에 빠진다.
All Korean ceramicists face two serious questions in common: how to escape the classical techniques of Joseon and Goryeo dynasties and develop modern techniques, and how to meet the audience through the work. Some give up finding answers and settle on established methods, while others continue looking. Ceramicist Lee Seung Hee belongs to the latter group. For thirty years, he has fought with himself, working with clay, only to discover his limitations regarding delivering his own artistic voice to his audience through his work. While he was working on a project to send to Japan, a sudden thought occurred to him. Should ceramics be limited to only three-dimensions? How about two-dimensional ceramics?
고려와 이조시대 도자의 전형에서 어떻게 벗어나 현대적인 기법을 구사할 것인가, 그리고 작품을 통해 어떻게 대중과 소통할 것인가는 흙을 만지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부딪히는 문제다. 고민만 하다가 스스로에게 안주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고민을 풀어나가는 사람들이 있다. 도예가 이승희는 후자의 경우이다. 30여 년 간 도자작가 생활을 하면서 흙덩이를 주무르고 메치며 자신과의 싸움을 계속 해왔지만 작품에 자신을 담을 수 없다는 점, 대중과 소통할 자신만의 언어가 없다는 점에 한계를 느꼈다. 그는 일본에 보낼 작품을 만들던 중 불현듯 생각이 떠올랐다. 도자기가 꼭 입체 여야 할까? 도자기가 평면이면 안 되는 것일까?
2008년 그는 해답을 얻기 위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자기
In 2008, he left for Jingdezhen, Jiangxi, the oldest city of ceramics in China, in order to find answers. With the intention of seeking truth, he experimented and contemplated in that place where ceramics were produced for more than two thousand years. There he found earth, fire, water, light, air and wind. There he found clay that can express minute details. As it was his intention to work with a flat surface, Korean clay was too rough for his purposes. In general, ceramic plates bend easily if they are larger than one meter. Slight changes i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can make the plates twist or break.
Ceramic Painting
도시인 장시성의 징더전(景德鎭)으로 떠났다. 20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도자기를 생산한 곳으로 구도자처럼 떠난 그는 그곳에 틀어박혀 온갖 구상과 실험을 거듭했다. 그리고 흙, 불, 물, 빛, 공기, 바람을 찾았다. 미세한 표현을 할 수 있는 흙이 그곳에 있었다. 덩어리 작업보다 판 작업에 더 관심을 갖고 있던 그에게 한국의 흙은 너무 거칠어 휘어짐을 잡을 수가 없었다. 통상 도자기로 납작한 평판을 만들 때 크기가 1m가 넘으면 휘거나 비틀어지기 쉽다. 습도나 온도가 조금만
가마도 그곳에 있었다. 무작정 떠난 길에서 그는 창작의 열정과
He found a kiln with which he made a ceramic plate that was five millimeters thick and two meters wide. This was his first attempt to make a plate on such a scale. He discovered passion and creative ideas through this first venture. He started to reproduce famous ceramic artworks on flat ceramic surfaces. The process was more difficult than he expected. It was not just about copying a sculptural shape on a flat surface. He wanted to to creatively compose the surface. He spent three years, experimenting and making errors. With delicate sensibility and determined patience, he succeeded in conver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nto a two-and-a-halfdimensional surface using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s.
아이디어를 발견하였고, 유명 박물관과 미술관의 걸작 도자기들을 평면회화로 재현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작업은 생각처럼 간단하지 않았다. 단순히 입체를 평면으로 옮기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의 조형성을 살린 예술적 평면을 구현하고 싶었다. 실험을 수없이 반복하고 수많은 시행 착오를 거치기를 3년. 섬세한 감각과 끈질긴 인내심으로 그는 정통 도자기법으로 3차원의 도자기를 2.5차원의 평면에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평면 도자기 그림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판 자체까지 도자기로 구워 흙과 유약의 차이를 한 화면에 담아낸다. 전통적인 도자 기법으로 사각의 넓은 판을 만든 후 그 중심에 묽은 흙물을 70여 회 발라 평면적 두께감을 준다. 그리고 그 표면에 안료로 그림을 그리고 티끌 높이의 결을 조심스럽게
He makes not only the surface but also the frame in ceramics, and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clay and glaze on the surface. After making a large rectangular plate using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s, he brushes on thin layers of clay water about seventy times to create the feeling of a plane surface. Then he paints the surface with pigments, and scrapes thin layers of grains to create a sense of three dimensions while organizing the lines and surface.
긁어내 미묘한 입체감을 표현하며 선과 면을 고른다. 배경 부분은 유약을 바르지 않고 구워 흙의 질감을 그대로 살린다. 도자기는 유약을 발라 고전 도자기를 그대로 재현한다. 그는 구워진 후의 색깔과 모양까지 세밀하게 계산해가며 작업 한다. 시각과 촉각, 그리고 시간과 노력을 통해 미세한 바람의 흐름과 빛의 반사를 정교하게 소화해내는 평면 도자 작품을 완성한다.
달라져도 뒤틀리거나 깨지기 일쑤다. 그가 도자기법으로 처음 으로 시도한 5㎜ 두께에 최대 2m까지의 판 작업을 구워낼
26
도자화
27
Ceramics
도자
완성된 작품은 도자도, 회화도 아니다. 도자와 회화가
He fires the background without glazing to create the texture of earth. Ordinary ceramics are made in ancient styles using glaze. He has to foresee precisely what colors and shapes will come out after the surface is fired. His flat ceramic works require heightened senses of sight and touch, and the ability to catch the direction of wind and the reflection of lights with great effort and patience.
결합된 릴리프이다. 자연스럽게 도자기가 도드라져 보이면서 배경과 중심이 대비를 이룬다. 고전적인 도자 작품은 시간과 공간을 압축한 그의 반부조 작품을 통해 현대의 옷을 입고 재탄생한다. 단정하면서도 명료한 그의 평면 도자는 뉴욕과 홍콩의 아트페어에 출품돼 큰 관심을 모으는 등 세계적 으로 호평 받고 있다. 한국에 돌아와 재충전의 시간을 가진 뒤 다시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는 그는 날마다 새로운 것을
The resulting product is neither ceramics nor painting, but a relief that combines ceramics and painting. The ceramic surface is naturally raised and creates the contrast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foreground. Traditional ceramics are reinvented in a modern form in his relief works. His flat ceramics have received favorable receptions at art fairs in New York and Hong Kong for their neatness and lucidity. He continually travels between Korea and elsewhere, seeking challenges nobody has tried before.
구상한다.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것들이 그의 손끝에서 탄생하고 있다.
1
Ceramic Painting · 도자 페인팅 50 × 200 cm
2
Ceramic Painting
28
도자화
29
Ceramic Painting · 도자 페인팅 50 × 200 cm
Ceramics
도자
3
Ceramic Painting
30
Ceramic Painting · 도자 페인팅 50 × 200 cm
도자화
31
Ceramics
5
4
도자
Ceramic Painting · 도자 페인팅 125 × 100 cm
Lee Seung Hee
이승희
Born in Cheongju in 1958, he graduated from the ceramics department at Cheongju Univeristy. He has had about twenty solo exhibitions, starting with his first solo exhibition, Privately Owned Culture at the Seonam Art Museum, a collection of solo exhibitions from fifty artists at the Cheongju Culture & Arts Center in 2000, the Bowls with Sound exhibition in 2005, a solo exhibition at Gallery Artside, Seoul, in 2009, a solo exhibition in Beijing in 2009, a solo exhibition at the Shin Gallery in New York in 2013, a solo exhibition at Wallyfindlay Gallery in Palm Beach, the US, in 2013, the Beyond Expectation exhibition at Park Ryu Sook Gallery in Seoul in 2013, and the Nada Out of Nada exhibition in 2014. He participated in domestic group exhibitions at the Gyeongju Art Sonje Center (currently the Wooya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Daejeon Museum of Art in Korea, and in group exhibitions at the Chiba Prefectural Museum of Art and the Funabashi Citizen’s Gallery in Japan. He presented his works at international festivals such as the special exhibition at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Competition in 2003, and at art fairs inside and outside Korea, including the Korea Galleries Art Fair, the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and the Tokyo Art Fair. He is currently working in Jingdezhen, Jiangxi, the most prominent ceramics city in China.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Macallan Korea Corporation, Roadland Golf, the Spacemom Museum of Ar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others.
1958년 청주에서 태어나 청주대학교 공예과를 졸업했다. 1993년 서남미술관에서 첫 개인전 <사유된 문명전>을 시작으로 2000년 <50인 군집 개인전>(청주 예술의 전당), 2005년 <소리를 담는 그릇전>, 2009년에는 베이징 아트사이드 갤러리, 2013년에는 뉴욕 신갤러리와 미국 팜비치 월리 핀레이(Wally Findlay) 갤러리, 서울 박여숙 화랑에서, 2014년 <나다 아웃 오브 나다(Nada out of Nada)>(갤러리 이배)까지 20여 회의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경주 선재미술관 (현 우양미술관), 대전 시립미술관 등에서 개최한 그룹전과, 일본 지바 현립 미술관, 후나바시 시민 갤러리 등의 그룹전 에 참여하였고, 2003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특별전>과 같은 국제 행사와 화랑미술제, <한국국제아트페어>, <토쿄 아트페어>를 비롯한 국내외 아트페어에 작품을 출품하였다. 현재 중국 최고의 도자기 도시인 장시성
(江西省)의 징더전(景德鎭)에 머물며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주식회사 멕켈란, 로드랜드 골프장, 스페이스 몸,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Ceramic Painting · 도자 페인팅 171 × 82 cm
Ceramic Painting
32
도자화
33
Ceramics
도자
Onggi Pottery(Earthenware)
옹기
Lee Hyun Bae
이현배
우리가 옹기를 언제부터 만들어 썼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It is not known precisely how long Onggi ware has been used. But it is certain that for a long time it was made of materials that were easily available in the natural surroundings-mountains and fields-and it was used for various daily purposes such as tableware and storage containers. As items for everyday use, Onggi ware was vitally necessary, yet it was familiar and abundant. It has sometimes been disparaged, but it is still close to our lives, since Koreans’ food culture is still based on fermentation and preservation, even now, in our modernized and urbanized lives.
하지만 오래 전부터 우리 주변 산과 들,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옹기를 제작하였고, 일상생활에서 식기나 저장용기 생활용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는 것은 확실하다. 너무 중요하지만 흔하고 익숙한 생활용품이었던 옹기는 한때 그 가치가 폄하되기도 했으나 여전히 우리 삶 가까이에 남아있다. 주거환경이 현대화되고 도시화되어도 발효 및 저장식품을 근본으로 하는 한국인의 식생활은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투박하고도 자연스러운 옹기의 아름다움은 예술가들에게 많은
The rustic and natural beauty that Onggi ware conveys is inspirational for many artists. Early in his career, Onggi maker Lee Hyun Bae discovered the artistic value of Onggi ware that suits modern environments well. He was interested in interpreting the present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he devoted substantial time and effort to extending the use of Onggi ware. He produced both traditional and westernized styles of tableware, and ordinary items of everyday living, using Onggi techniques. He also collaborated with designers in creating dinner sets that were both traditional and modern, and thus could accommodate contemporary ways of eating. He is leading the popularization of Onggi ware by creating items that can serve modern
Onggi Pottery (Earthenware)
영감을 불어넣어준다. 옹기장이 이현배는 현대적 공간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옹기의 조형적 가치에 일찍부터 눈을 뜬 작가 중 한 명이다. 전통의 관점으로 현대를 해석하는 일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옹기의 쓰임새를 확장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았다. 그 덕분에 한식 상차림의 반상기 세트와 양식기 세트, 일상 소품들이 옹기로 태어났다. 디자이너와의 협업으로 현대적 식생활에 맞는 한식 양식 겸용 식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옹기의 조형미에 현대적 쓰임새를 결합시키는 작업으로 옹기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그는 문화재청 나주문화재연구소가 주관한 영산강 유역 대형전용 옹관의 고대 기술을 복원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34
시골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 흙을 먹는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functions without losing the original aesthetics. He has also participated in reenacting the ancient techniques of building earthenware for inhumation at the basin of the Yeongsan River, administered by the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농부가 되고 싶었던 그가 옹기와 만난 것은 10여 년 전인
1990년대 초이다. 순탄치만은 않았던 청소년기를 거쳐 경희호텔 경영전문대학를 졸업한 그는 우연한 인연으로 서울 힐튼 호텔의 쇼콜라티에로 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그가 진정 으로 하고 싶은 일이 아니었다. 그곳 로비에 설치되어 있던 헨리
He was born in the countryside. He had the habit of eating earth when he was little. While he wanted to become a farmer and to be close to the earth, he came across Onggi pottery in the early 1990’s. After his turbulent teen years, he studied at the Kyunghee Technical College of Hotel Management (currentl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Hotel & Tourism Management). After graduation, he happened to work as a chocolatier at the Hilton Hotel in Seoul. But that was not the life he wanted. He was inspired by a sculpture of Henry Moore in the hotel lobby, and he enrolled at a sculpture school. However, he was not satisfied. After six years, while traveling, he discovered Jinggwang Onggi in Beolgyo, Jeonbuk Province, and had fateful encounters with Onggi teachers. As a result, he had the opportunity to be mentored by the late Han Chang Gi, who held a lifelong dedication to preserving Korean traditions. After apprenticeship training at Jinggwang for three years, and at
옹기
무어의 작품을 계기로 조각예술의 가치에 눈을 뜬 그는 조소학원을 다녀보기도 했지만 그것도 해답이 아니었다. 6년째 되던 해, 여행길에 전남 벌교의 징광옹기에서 옹기 스승들과 운명처럼 만났다. 그 인연으로 한 평생 우리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지키는 활동을 했던 고 한창기 선생의 가르침도 받게 됐다. 징광에서 도제학습 3년, 문경 영남요에서 6개월을 배운 그는 물(그의 아들 이름도 물이다)이 가까운 곳을 찾다가 섬진강 상류가 가까운 전북 진안의 솥내마을 옹기가마 터에 정착하고 ‘손내옹기’를 구워내기 시작했다. 그곳이 조선시대 유명한 도기터였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을 것이다. 전통 옹기의 본질을 찾으며 자기만의 길을 찾은 덕분에 전통 방식과 현대적 조형의 쓰임새를 갖춘 그의 옹기는 금새 유명해졌다.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작업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혹은 작업과정에서 수많은 고민의 시간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는 ‘생각을 생각하는’ 버릇이 있다. 삶의 모순을 참지 못하고
35
Ceramics
Mungyeong in Yeongnamyo for six months, he looked for somewhere near the water (His son is called “Mul”, meaning water), and settled near an Onggi kiln in the Sotnae village, Jinan-gun, Jeollabuk-do. There, on the upper reaches of the Seomjin River, he started to make “Sonnae Onggi” ware. Perhaps more than coincidentally, that the particular place was famous for pottery during the Joseon dynasty.
도자
스스로 몸으로 부딪쳐가며 그 해답을 찾아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다. 그는 자신의 옹기작업이 과연 무엇인지 해답을 찾기 위해 아프리카의 킬리만자로를 찾아가기도 하였다. 예전의 옹기장이들은 상상도 하지 못할 정도로 활동의 폭을 넓혀가는 그는 옹기 중에서 젓갈을 담아놓는 젓 독의 현대적 조형성에 특히 관심을 갖고 있다. 새우젓 독은 바다에 나가 즉석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어서 수납하기 좋게 밑이 좁아 사선형을 이룬다. 곤쟁이젓 독은 해안가에서 잡은
He found his own path searching for the essence of traditional Onggi. His Onggi ware soon became famous, because it has functional features and aesthetics suitable for modern life, while still being made in a traditional way. This instant success was a result of the considerable amount of time he spent contemplating before he embarked on his Onggi work. He has a habit of “thinking about thinking”. He does not tolerate absurdity, and he looks for answers by fully embracing life. He even visited Mount Kilimanjaro in Africa in order to find inspiration for his Onggi work.
것을 집에서 담기 때문에 바닥이 넓고 일자형을 이룬다. 이런 전통적인 모양의 옹기를 현대적으로 오브제화한 작품이 이번 전시를 통해 소개된다.
He is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Onggi ware beyond the conceptions of earlier Onggi makers. 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modern interpretations of the shapes of Onggi ware for storing pickled fish. The earthenware pot for salted shrimp, which is used at sea, should be easy to stack for storage. For this purpose, its bottom part is made narrow, creating a conical shape. The earthenware pot for tiny salted shrimps, which is used at home, is vertical with a large bottom. His works presented at this exhibition are modern interpretations of these traditional shapes of Onggi ware.
1
Onggi Pottery (Earthenware)
36
옹기
Onggi Pottery (Earthenware) · 곤쟁이 옹기 107 × 25 × 25 cm / 104 × 25 × 25 cm
37
Ceramics
Onggi Pottery (Earthenware)
38
도자
Lee Hyun Bae
이현배
Lee Hyun Bae was born in Janggye, Jangsu County, Jeonbuk Province. After majoring in food engineering at a technical college of hotel management, he worked as a pastry chef specializing in making chocolates, at the Hilton Hotel, for six years. By happenstance, he came across an article written by Han Chang Gi (the publisher of the magazine Poori Gipeun Namoo, which means deeply rooted tree), and the encyclopedia Discovery of Korea published by Korea Britannica Co., and these events led to his interest in culture. While traveling, in deep anguish and conflict, he discovered Jinggwang Onggi in Beolgyo, Jeonbug Province. There, he met Han Chang Gi, his life-mentor, and Park Na Seob, his Onggi teacher. These encounters led him to start making Onggi ware. He received apprenticeship training from Onggi Master Park Na Seob for three years, starting in 1991, and from porcelain Master Kim Jeong Ok at Mungyeong in Yeongnamyo. He has shown his works at the Park Na Seob and Lee Hyun Bae Teacher and Student exhibition in 1994, the Bowl Exhibition at Park Yeo Sug Gallery in 1998 , the Seoul Best Design exhibition in 2003, Life and Art in Tea Fragrance at the Gwangju Uijae Museum of Korean Art in 2006, the Traditional Korean Craft exhibition at the UN Center in New York in 2007, the Korean Craft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Saudi Arabia in 2013, Craft is Tasty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in 2014, and others.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Korean Cultural Center LA, the Korean Cultural Center Warsaw, and others. He received the Award of Excellence for Handicrafts from UNESCO in 2007. He attended the training program for expertise in traditional culture (Onggi), which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dministered in order to preserve and develop traditional craft skills, in 2008, and he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for Ancient Skills, reenacting the ancient techniques of building earthenware for inhumation. In addition, he was chosen as the Artisan of the Year in the Onggi tableware development project, which was organized by Yeol, the Korean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in 2014. He wrote the book Freedom shaped by Earth.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에서 태어났다. 호텔전문대학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하고,
옹기
힐튼호텔에서 파티시에로 6년간 근무하였다. 그러다 우연히「뿌리 깊은 나무」 의 발행인 한창기의 칼럼과 종합 인문 지리지「한국의 발견」를 만나 전통문화에 눈을 뜨게 되었다. 진로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깊어져 떠난 여행길, 전남 벌교에 위치한 징광옹기를 만났고, 그곳에서 인생의 멘토인 한창기와 스승인 박나섭을 만나 옹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1991년부터 박나섭 옹기장으로부터 3년간 도제학습을 받았고, 문경 영남요 김정옥 사기장으로부터 도제학습을 받았다. 1994년 <박나섭 이현배 스승과 제자전>, 1998년
<그릇전>(박여숙 화랑), 2003년 <서울 베스트 디자인전>, 2006년 <차향 속의 삶과 예술>(광주 의재미술관), 2007년 <한국전통공예전(뉴욕
UN본부), 2013년 <한국공예전>(사우디아라비아 국립박물관), 2014년 <공예가 맛있다>(문화역서울 284)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작품 소장처로는 LA 한국문화원, 폴란드 바르샤바 한국문화원 등이 있다. 2007년 유네스코로 부터 수공예분야 우수상 (Award of Excellence for Handicrafts)을 받았으며, 2008년에는 문화재청 한국 전통문화학교에서 주관하는 ‘전통공예 기술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전통문화 (옹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및
‘2009년 영산강유역 대형전용옹관고대기술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2010년 재단법인 예올에서 주관하는 옹기식기 개발 프로젝트에서 ‘올해의 장인’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흙으로 빚는 자유」가 있다.
39
Ceramics
도자
Chulhwa Bunchung
분청
Ree Soo Jong
이수종
조선시대의 철화분청사기는 예로부터 상감청자, 청화백자와
Chulhwa Bunchung ware is among the three most important styles of Korean ceramics, along with inlaid celadon ware and blue-and-white porcelains. Traditionally, Chulhwa ware was made by applying the white clay powder from Gyeryong Mountain, and brush-painting the surface with pigments, ground particles of oxidized metals which were available locally. The shape, made by firing dark red clay, is quite unusual. Far from being smooth or balanced, it is asymmetrical like rock or stone that is easily found in nature. After it is sufficiently dried, creamycolored slip is applied with a wide, coarse brush, and images are drawn on the top with dark-green oxidized metal particles. The crisp color of the images comes alive on the dark red clay in an asymmetrical shape. Chulhwa Bunchung ware was mostly made by unknown ceramicists, who lived and died with clay. They did not need to be aware of others’ criticisms, and expressed themselves freely. Their minds full of nature, they made semi-abstract works, which were exempt from thematic patterns. Chulhwa Bunchung ware conveys the humor and spirit of folk art. It contains the suppressed emotions of underprivileged people. It is rough and virtuous.
함께 ‘한국도자 삼절’로 이름이 높았다. 전통적으로 철화분청 사기는 계룡산 일대에서 나오는 백토 분장 위에 지역의 산화철을 갈아 만든 안료를 써서 붓으로 겉면에 그림을 그려 넣는다. 검붉은 태토를 숙성시켜 도자기 모양을 만드는데 그 모양부터 범상치 않다. 매끄럽고 정교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연 속에서 뒹구는 바위 모양, 돌덩어리 모양처럼 비대칭이다. 적당히 건조시킨 다음 귀얄로 막걸리색이 나는 분장토를 바르고 그 위에 선명한 먹쑥색 산화철로 무늬를 그려 넣는다. 검붉은 태토의 느낌과 비대칭의 형태, 힘찬 필력의 일필휘지로 강하게 그려 넣은 이미지가 살아있는 철화분청사기는 대부분 이름 없는 사기장들의 손으로 만들어졌다. 흙에서 태어나, 흙에서 살다가, 흙으로 돌아가는 삶을 살았던 이들이다. 남의 비판을 의식할 필요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던 그들은 자연의 심성을 닮았고, 문양의 주제나 표현에서도 대담 하게 생략한 반추상의 그림들을 담은 그릇을 만들었다. 민중예술의 생기와 익살이 넘치는 자기는 질박한 막걸리 같고, 억눌린 감정을 쏟아 부었으니 거친 듯 선량하다. 도예가 이수종은 투박하고 순수하면서도 활력이 넘치는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효과적으로 나타냈던 철화분청사기를 자신의 독특한 조형언어로 가장 잘 표현해낸 작가이다.
Ceramicist Ree Soo Jong finds his unique artistic language in Chulhwa Bunchung ware, which effectively expressed the rustic, genuine, lively spirit of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His works transmit the natural beauty of Chulhwa Bunchung ware and the fearlessness of multiply-layered mixtures of powdered clay. “Clay is part of the soil, the foundation
Chulhwa Bunchung
그의 분청작업에서 우리는 조선의 철화분청사기를 통해 익숙 해진 자연미와 대담하게 덧바른 화장토 사이로 드러난 선각과 철화의 거침없는 표현을 보게 된다. “흙은 단순한 재료이기 이전에 우리 삶의 터전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무리한 조형의 지나 표현의 욕구를 드러내기보다는 자연의 일부로 받아
지녀야 할 가장 큰 덕목이라는 생각으로 작업을 한다.”
of our living, rather than the mere material for ceramics. It is a pottery makers’ virtue to accept that clay comes from nature and to try to be part of nature rather than wanting to show excessive individual artistry.” Ree Soo Jong tries to convey our ultimate return to the eart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He is interested in the improvisational and sensual qualities of clay. And he also studies the abstract meanings of earth, and tries to let his works evolve from earth itself.
흙에 대한 원초적 회귀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담아내는 흙의 예술가로서 그는 즉흥적이거나 감각적인 흥취 뿐 아니라 흙이 지니는 의미를 탐구하고 인지하며 흙에서 작품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그가 분청을 선택한 이유는 자신과 닮아서였다. 활달하면서도 자유분방하고 거친 듯 입혀진 백화장토 위에 간략하고 대담하게 표현된 선각과 철화의 표현이 자신의 심성과 일치 함을 느꼈다고 회상한다. 현란한 기교를 부리거나 요령을 부릴
He chose Bunchung because it resembles him. The simple and audacious expression of lines and oxidized metals on insouciant, energetic and sometimes rough layers of clay matches his personality. He does not like to play dazzling tricks, preferring processes that require long hours of labour and practice. He often likens this process to farming. He knows that he must devote the kind of effort that farmers exert when they till, seed and harvest. Treating earth with the same kinds of wisdom that farmers have in accordance with nature, he brings nature into his works. The natural energy in these works impresses the viewer.
줄을 모르는 그는 오랜 시간의 노동과 훈련을 필요로 하는 작업 과정을 농부의 그것과 비유하곤 한다. 농부가 땅을 일궈 씨를 뿌리고 수확할 때까지의 마음가짐과 노력이 없이는 좋은 작품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그는 알고 있다. 자연에 순응 하는 농부의 지혜와 마음가짐으로 흙을 받아들이고,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만들어진 그의 작품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연스러운 에너지는 보는 이를 감동시킨다. 자신의 작업을 농사에 비유하지만 그는 서울에서 태어났다. 원대한 포부도 없이 그저 평범한 어린 시절을 거쳤고, 부친을 일찍 여읜 까닭에 어려운 청소년기를 지나 미술대학에 진학했다. 천성적으로 말이 없고, 논쟁에 끼어들기를
Although he likens himself to a farmer, he was born in Seoul. He had an ordinary childhood without grandiose plans for his future. He lost his parents at an early age, and had a difficult time as a teenager, until he entered an art school. He is quiet, and does not like arguing. He devotes all of his time and energy to making his work.
싫어하며 그저 좋은 작품을 만들기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들이고 자연과 일체가 되려는 마음가짐이 그릇을 만드는 이가
40
분청
41
Ceramics
도자
3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4
51 × 34 × 34 cm
1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74 × 42 × 42 cm
2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5
45 × 23 × 23 cm
Chulhwa Bunchung
42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42 × 38 × 38 cm
분청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50 × 25 × 25 cm
43
Ceramics
6
도자
Ree Soo Jong
이수종
Born in Seoul in 1948, he graduated from the ceramics department in 1972 and from the ceramic design department in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in 1979, both at Hongik University. After graduation, he taught ceramics at Mokwon University, Sangmyung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other schools. He has had more than thirty solo exhibitions at major galleries in Korea, including Kwanhoon Gallery for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1981, Sampoong Gallery, Gana Art Space, Seomi Gallery, Johyun Gallery, Song Art Gallery, and Yido Gallery, and he has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such as the East Asia Ceramics Exchange international exhibition in 2004, a ceramics exhibition in France in 2005, the US touring exhibition
1948년 서울에서 태어나 1971년 홍익대학교 공예과를, 79년 동대학 산업
of Korean Modern Ceramics, and the Europe tour exhibition at Belfast, Northern Ireland in 2006. He has won awards nine times from the Korea Art Exhibition, and was selected for the Donga Ceramics Competition. He received an honorary award at the International Triennale of Small Ceramics. His major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major art museums and galleries inside and outside Korea, including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England, the Royal Ontario Museum in Canada, the Taipei Fine Arts Museum, the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the Hongik Museum of Art, the E-land Group,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Sungkyunkwan University Museum, the Milal Art Museum, and the Asia Museum of Arts.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밀알미술관, 아주미술관 등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미술대학원 요업 디자인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목원대, 상명대, 홍익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미술대학 도예과 강사를 역임하였다. 1981년 서울 관훈미술관 개인전을 시작으로, 삼풍 갤러리, 가나아트 스페이스, 서미 갤러리, 조현 화랑, 송아트 갤러리, 이도 갤러리 등 한국의 주요 갤러리에 서 30여회 개인전을 가졌고, 2004년 <동아시아 국제도예 교류전>, 2005년
<프랑스 도자전>, <한국현대도자 미국 순회전>, 2006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유럽순회전> 등 다양한 국제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총 9차례의 수상 경력과 <동아 공예대전>에서 입선,
<국제소형 도자 트리엔날레> 명예상을 받기도 하였다. 그의 주요작품은 영국 빅토리아알버트뮤지엄, 캐나다 왕립온타리오박물관, 타이페이 시립미술관, 북경 중국미술관,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이랜드 문화재단,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되어 있다.
Chulhwa Bunchung Jar · 철화분청 48 × 33 × 33 cm
Chulhwa Bunchung
44
분청
45
Ceramics
White Porcelain
도자
백자
Lee Se Yong
이세용
Lee Se Yong’s works include three dimensional objects and painting as well as ordinary containers. He tries to combine opposing entities in materials (such as metal and ceramic, or ceramic and wood), techniques (such as painting and pottery), and concepts (such as past and present, nature and artifice, or war and peace). He is interested in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lash and fusion between opposing concepts and opposing materials, and he enjoys observing emergent forms. Most works of this type tend to concentrate on the appearance alone. However, Lee Se Yong is concerned with artistic value, the viewers’ gaze, and usage. The neat, compact, radically innovative nature of his work stems from his life experience.
이세용의 작업은 일반적인 용기 이외에도 오브제와 회화를
He was born in a small countryside town in Chungcheong Province,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the 1950’s. Since there was an Onggi pottery studio near his house, he could often watch the production process. This childhood experience probably led him to become a lifelong ceramics maker. The town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was in a quiet, remote hinterland, without even electricity, so he spent more time in nature than with people. He made friends with grasses, flowers, little insects, and animals. He enjoyed drawing them and making objects that resembled them. Clay was abundant in the river and the small mountains nearby.
이세용은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충청도의 자그마한 시골
겸하고 있다. 이들 모든 작업에서 그는 재료적, 기법적, 개념적으로 상반된 것들의 결합을 시도한다. 과거와 현재, 자연과 인공, 전쟁과 평화와 같은 개념적인 상반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회화와 도자와 같은 장르의 결합 또는 금속과 도자, 도자와 목재 등 재료적인 결합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르와 소재를 결합한 작품들을 보여주는 것에만 집중하는데 이세용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미적인 가치와 보는 사람,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까지 고려하여 능숙하고 세련된 방법으로 결합을 구사하고 있다. 담백한 가운데 파격적인 변화를 주고, 감상자와 사용자를 모두 배려한 작품은 그의 독특한 이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 부근에는 옹기 제조장이 있어서 자주 옹기 만드는 것을 구경할 수 있었다. 이런 어린 시절의 경험이 아마도 그가 도자기를 평생 업으로 삼게 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가 유년기를 보낸 마을은 전기도 들어 오지 않는 한적한 오지였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보다 자연과의 교류가 많았다. 길섶의 작은 풀이나 꽃, 작은 곤충이나 짐승들이 그의 친구였다. 어려서부터 자연의 것들을 그리거나 만들곤 하였다. 주변의 낮은 산이나 강에는 점토들이 지천이었다. 점토를 가지고 재미삼아 이런 저런 것들을 만들며 시간을 보냈던 시골생활의 기억들은 지금도 그의 도자기나 그림에 주된 모티브가 되고 있다.
He would make things out of clay for fun. These memo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his production of ceramics and paintings.
고등학교부터 서울로 유학을 와서 본격적으로 그림에 뜻을 품게
He came to Seoul when he was a senior high school student, and decided to study painting. His school offered lively opportunities to study art, and without hesitation he entered a university to continue this study. However, due to various difficulties, he had to quit studying western art, and he changed his major to ceramic art. Studying ceramics for four years, he realized that the production of ceramics was more dependent on materials such as clay, pigments and glaze, or physical and chemical reactions in molding, than on skills. He studied chemical engineering, physics and other related subjects, and started working at the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after graduation. While conducting research for fourteen years, he learned much about materials for making ceramics. He earned a master’s degree in ceramics at Kyunghee University, and then completed a one-year graduate program in materials engineering at Yonsei University. The knowledge he gained during these years still greatly helps his work. It was not easy to produce ceramics working at the research center. He built a small studio in his house, and made ceramics there after his day-work. It was too busy and physically demanding to simultaneously carry on three jobs: working, teaching and making ceramics.
했다. 그러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중도에 그만두고
되었다. 그 당시 그가 다니던 고등학교는 미술 서클 활동이 상당히 강세였던 관계로 자연스럽게 대학도 미술대학으로 진학 도자기 공예과로 분야를 바꿔 재입학하게 되었다, 대학 4년 동안 도자기를 배우면서 기술보다는 흙이나 안료 유약과 같은 재료나, 소성과정 중에 발생하는 물리 화학적인 반응이 도자기의 성패를 가름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화학공학이나 물리학 등의 과목을 이수해 대학 졸업 후 국립요업기술원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 입사했다. 연구원으로 약 14년간 일하면서 재료에 대한 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지식을 습득했고 경희대학교 도예과에서 석사를 취득한 후 다시 연세대학교 재료 공학과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이때 공부하고 연구 했던 과학적 지식은 지금도 그의 작업에 큰 힘이 되고 있다. 그는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도 도자기 작업을 쉬지 않았다. 집에 작은 공방을 만들어놓고 퇴근 후에 작업을 계속했다. 연구소 생활과 대학 강의, 작업을 병행하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었다. 그는 2000년을 맞아 연구소와 대학 강의를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그동안 참았던 창작에 대한 열정이 폭발하듯 전업작가가 된 후 길지 않은 기간 동안 국내외에서 개인전 26회, 단체전 100회 이상, 국내외 유명 아트페어에 작품을 출품했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에서 선정한 전 세계 100인 작가에 뽑혀 전 세계 순회전시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작품활동을 하는 동시에 연구도 병행하여 국내외의 세미나와 학술 잡지에 수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White Porcelain
46
백자
47
Ceramics
도자
In early 2000, he stopped working at the Institute and teaching at colleges and became a full-time artist. His artistic passion exploded; in a short time he had twenty-six solo exhibitions, and participated in more than one hundred group exhibitions and big art fair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In 2010, he was one of one hundred artists chosen by UNESCO, and participated in their exhibition that traveled around the world. He also presents papers at seminars and publishes them in academic journals, while making artwork and doing research.
White Porcelain
48
백자
49
Ceramics
도자
Lee Se Yong
이세용
Born in a small countryside town in Chungcheong Province,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he grew up watching the production of Onggi pottery at the Onggi pottery kiln near his house. His childhood in the quiet, remote hinterland, without even electricity, nourished his inspiration to make pottery and pictures in his later years. After completing his master’s program in ceramic arts, he studied materials engineering in graduate school at Yonsei University, and he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 Technology for fourteen years. After he stopped working at the Institute and teaching at colleges in early 2000, he became a full-time artist, and he has been active ever since. He has had twenty-six solo exhibitions and has participated in more than one hundred group exhibitions. In 2010, he was one of one hundred artists chosen by UNESCO, and participated in their exhibition that traveled around the world. In 2014, he presented ceramic ware at the gala that celebrated the on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Joseon Hotel. He is interested in opposing concepts such as past and present, and nature and artificiality, and in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lash and fusion between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ceramic, or ceramic and wood.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Korea Ceramics Foundation, the Yeongam Pottery Museum, and the India National Craft Museum.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3년, 충청도의 조그만 시골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집 부근의 옹기 가마에서 옹기 만드는 것을 구경하며 자랐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던 한적한 오지의 자연 속에서 자란 유년기의 경험은 후에 작가의 도자기나 그림에 주된 영감을 주는 자양분이 되었다. 경희대학교에서 도예과 석사 과정을 마친 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재료공학을 공부 하였고, 국립요업기술원에서 14년 동안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연구소와 강의 활동을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전업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국내외에서 개인전 26회를 개최하였고, 단체전
100여회에 참여하였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전 세계 100인 작가’ 에 선정되어 전 세계 순회전시에 참여하였다. 2014년에는 <조선 호텔
100주년 기념 갈라쇼>에 도자기그릇을 제공하는 등 활발하게 작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과거와 현재, 자연과 인공 등 상반된 개념들과, 금속과 도자, 도자와 목재 등 다양한 재료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융합의 에너지를 즐긴다. 작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도자문화재단, 영암도 기박물관, 인도 국립공예박물관 (India National Craft Museum) 등에서 소장하고 있다.
1 White Porcelain Bowl · 백자 이중합 19 × 20 × 20 cm
White Porcelain
50
백자
51
Ceramics
Yeollimun
도자
연리문
Roe Kyung Jo
노경조
노경조는 ‘연리문 자기의 대가’로 불리며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Hailed as “master of Yeollimun”, Roe Kyung Jo has developed a unique kind of work. The term marbled pattern (Yeollimun) refers to natural patterns seen in brown marble. Marbled ware is made of a mixture of white clay, celadon clay, and kaolin. These three colors of clay blend together and create the marbled effect. Marbled ware was invented during the Tang dynasty (618~907 AD) in China, and it was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935~1392 AD). However, because it was difficult to produce, it could not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it disappeared in the thirteenth century. After extensive research on the written documents and various materials from old kilns, Roe Kyung Jo succeeded in reproducing traditional Goryeo marbled ware in 1979. He found pigments of red, white and brown in those old ceramic shards, and studied firing methods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clay. From his intensive research, he invented ceramics with modern aesthetics in the traditional style. The natural beauty of marbled ware has gained attention inside and outside Korea. The British Museum holds three pieces of his work in their Korea section, demonstrating his status in the field of Korean ceramics.
구축해왔다. 연리문은 갈색 대리석과 같은 느낌의 자연 스러운 무늬를 가리킨다. 연리문 자기는 백토, 청자토, 자토를 합쳐서 반죽한 흙을 사용해 빚은 것으로 세 가지 빛깔이 어우러져 대리석과 같은 느낌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 당 왕조(618~907)에 기원을 둔 연리문 자기는 고려시대
(935~1392)에 출현해 인기를 누리지만 제작기법이 까다롭고 어려워 대량생산이 불가능했던 탓에 13세기에 들어선 자취를 감췄다. 노경조는 오랜 시간에 걸친 이론적 연구와 오래된 가마터에서 수집한 각종 자료들을 바탕으로 1979년 고려 시대의 전통적 연리문 기법을 재현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는 오래된 도자기 파편들에서 빨강, 흰색, 갈색을 찾아냈고 제대로 된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흙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한 숙성법을 연구했다. 연리문 기술에 대한 그의 진지한 접근은 전통적인 스타일과 가치를 지니면서 새롭고 특별한 현대적 미감을 지닌 도자기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연리문의 매력은 국내외 도예계의 이목을 사로 잡기에 충분했다.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 (British Museum) 한국관에 한국현대도예를 대표해 그의 작품 3점이 전시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가 한국 현대도예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His marbled ware was not invented by chance. It came from his interest in ancient Korean furniture and ceramics, his lengthy study to rediscover traditional ceramic techniques, and his artisan spirit. Born in Seoul in 1951, he was interested in painting for a long time prior to his work with ceramics. In his earlier years, his paintings were landscapes and portraits in monotonous colors. His family tradition was classical, involving the painting of orchids, and he was often in the presence of ceramic pots on antiquated furniture, so he naturally paid attention to traditional ceramics. When he entered the ceramics department at Kyunghee University in 1969, he started his life as a ceramicist. He received instructions from ceramicist and printmaker Jeong Gyu and worked at an Onggi kiln. After he entered graduate school, he studied ceramics more deeply and wrote his master’s dissertation on the inlaid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During this time, he gained deeper knowledge of marbled patterns and inlay techniques.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he went to Japan and studied ceramics at a studio in Kanazawa in Ishikawa prefecture. Later he studied coloring and operation of a gas kiln at Kanazawa University. He brought a gas kiln to his house in Seonbuk-
그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은 연리문은 어느 날 갑자기 운 좋게 얻어진 아이디어가 아니다. 한국의 전통적 아름다움을 지닌 고가구와 도자기에 대한 관찰, 전통 도예기술의 재현을 위한 오랜 연구, 그리고 장인정신이 빚어낸 결과물이다.
1951년 서울 태생인 그는 도예 작업에 앞서 오랜 시간 동안 회화에 심취해있었다. 청년 시절 그의 회화는 모노톤의 색면이 강조된 풍경화와 초상화였다. 난을 치고, 고가구 위에 놓인 도자기를 감상하는 고상한 가풍은 그를 자연스럽게 우리 전통 도자에 대한 관심으로 이끌었다. 1969년 그는 경희대 요업공예과에 입학하면서 도예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원로 도예가 겸 판화가인 정규 선생의 가르침을 받았고 주로 옹기가마에서 작업을 하였다. 대학원에 들어가 도자기를 깊이 있게 연구하면서 고려시대 상감청자에 대한 석사논문을 완성하였다. 대학원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가나자와의 공방에서 공부한 후 가나자와 대학에서 색채 사용과 가스가마 운용기술을 터득했다. 일본에서 가져온 가스가마로 서울 성북동에서 작업하던 그는 한국 도자의 발원지 중 하나인 경기도 광주 분원에 재래식 흙가마를 짓고 작업을 시작 하였다. 1985년부터는 대학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다. 작업을 하는 틈틈이 옛 도요지들을 찾아 오래된 도자 파편을 주워 모아 검토하고 정리 분류하면서 우리 것의 아름다움에 대한 절실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그는 경기도 양평의 용문사 근처에 붉은 색 벽돌로 널찍한 건물을 짓고 작업실과 전시실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오른쪽에 는 전통 장작가마를 지었다. 40여 년 작업의 여정에서 흙과 불의 은근하고 끈기있는 조화를 터득한 그는 수 백 그루의 자작나무에 둘러싸여 사색하고 창작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Yeollimun
52
연리문
53
Ceramics
도자
dong, Seoul, and made his work with it. Then he built a traditional earthen kiln in Bunwon, Gwangju, Gyeonggi-do, and worked there. In 1985, he started teaching at a university. He visited old ceramic places and collected shards of the ceramics. As he studied them, his respect for traditional beauty grew. He has a studio and an exhibition space in a large red brick building near Yongmun-sa in Yangpyeong, Gyeonggi-do. He built a traditional firewood kiln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hrough forty years of making ceramics, he has learned the quiet and patient harmony of clay and fire. He is living a contemplative and creative life surrounded by several hundred white birches.
1
Yeollimun
54
Bunchung Box · 분청인화문합 34 × 35 × 35 cm
연리문
55
Ceramics
2
4
Inlaid Yeollimun Box · 연리문상감합 21 × 20 × 20 cm
3
도자
Bunchung Box · 분청귀얄합 38 × 38 × 38 cm
Roe Kyung Jo
노경조
Roe Kyung Jo was born in Seoul in 1951. In 1973, he graduated from Kyunghee University majoring in ceramics, and studied at the Kanazawa University of Arts and Crafts in Japan in 1979. He is well known for his marbled ware. The term Yeollimun means marbled pattern, and it is a traditional technique in Korean ceramic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produce, it disappeared in the thirteenth century. After extensive research on the written documents and various materials from old kilns, Roe Kyung Jo succeeded in reproducing the first traditional Goryeo marbled ware in modern times. After he revived the technique, he continued to work with it for more than forty years. He has won the Space Ceramic Award sponsored by Space Magazine in 1979, the Art Award at the Donga Art Festival in 1981, the Award of Encouragement at the Seoul Ceramics exhibition in 1981, and other awards. He has had numerous solo exhibitions at the Space Art Museum in Korea, Birmingham Museums and the New Orleans Museum of Art in America, the Benson Gallery in England, and the Japanese Cultural Center. And he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more than one hundred venue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Contemporary Ceramics Biennale, the Korean Ceramics Exposition. His notable exhibitions in recent years include Tradition Transformed: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at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England in 2011, the European tour exhibition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n 2011, The Diverse Spectrum: 600 Years of Korean Ceramics at the Museum of Art, Sao Paulo in 2012, and Dual Natures in Ceramics: Eight Contemporary Artists from Korea at SFO Museum in the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in 2015.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major art museums, including the Smithsonian Museums, the Museum of Fine Arts, St. Petersburg, the New Orleans Museum of Art: NOMA, the Birmingham Museum of Art, the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and the Cleveland Museum of Art in America;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and the British Museum in England; Pienza Ceramics School in Italy; the Naprstek Museum of Asian, African and American Cultures in the Czech Republic; the Royal Ontario Museum in Canada; Musée Royal de Mariemont in Belgium; the Uihong Museum and Jingdezhen Museum in China; Kanazawa University of Art and Crafts in Japan;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the National Folk Museum, and Icheon International Ceramics Exposition in Korea.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ceramics at the College of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195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73년 경희대 요업공예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일본 시립 가나자와 미술공예대학을 수료하였다. 작가는 연리문 도자기의 대가로 유명하다. 연리문은 대리석 무늬를 의미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도예기술로 제작과정의 어려움으로 13 세기 이후 사라 졌으나, 이론적 연구와 오래된 가마터를 찾아다니며 도자 파편들을 채집한 뒤 고려시대의 전통 연리문 기법을 재현시키는 데 최초로 성공하여 부활시키고 40년 넘도록 일관되게 작업을 진행해왔다. 1979년 공간사에서 주최한 공간도예상, 1981년 동아미술제 미술상, 서울도예전 장려상등을 수상하였다. 서울 공간 미술관, 미국 버밍험 박물관, 미국 뉴올리언즈 박물관, 영국 갤러리 베손, 일본 문화원 등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고, 국립현대미술관, 현대도예비엔날레, 한국도자엑스포 등 100회 이상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최근 주목할 만한 전시로는 2011년
<전통과 변환>(영국 빅토리아 & 알버트 박물관), 한국현대도예 유럽순회 전시, 2012년 < 한국도자 600년전>(브라질 상파울루 미술관 ), 2015년
<도자에 마음을 담다>(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뮤지엄)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미국의 스미스소니언박물관, 세인트 피터스버그 미술관, 뉴올리언즈 박물관, 버밍험 박물관, 센프란시스코 아시아박물관, 크리브랜드 현대미술관과 영국의 빅토리아 & 알버트 박물관, 대영박물관 등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었고, 그 외에도 이탈리아 파엔자도예학교, 체코 국립 아시아박물관, 캐나다 왕립 온타리오박물관, 벨지움 왕립 마리몽박물관, 중국 의홍박물관, 중국 경덕진자료관, 일본 가나자와 미술공예대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이천세계도자엑스포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도자공예학과 교수직을 맡고 있다.
Chulyu Yeollimun Box · 철유연리문합 26 × 34 × 34 cm
Yeollimun
56
연리문
57
Ceramics
도자
Onggi Pottery(Earthenware)
옹기
Ahn Si Sung
안시성
Onggi pottery is made of materials that are locally available in the mountains and fields. Traditionally, wherever earth, trees and water were found, Onggi kilns were also there. In Gimje-si, Baeksanmyeon, Jeollabuk-do Province, Onggi kilns were built in a distinctive local style, and villages were naturally formed around the kilns.
옹기는 우리 주변의 산과 들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해 구워 만든다. 흙과 나무, 물이 있는 곳에는 전통적으로 옹기를 굽는 가마가 있었다.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은 오래 전부터 지역 특유의 형태를 지닌 옹기 가마가 여러 개 있어서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되었다. 옹기작가 안시성은 100년 된 그곳 부거리 가마터에서 작업하며 전라도 지역 옹기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오래 전 옹기장이들의
Onggi artisan Ahn Si Sung continues the Onggi tradition of Jeolla Province, working at the Bugeo-ri Onggi kiln, which is one hundred years old. Since he is immersed in the traditional spirit of Onggi, in that old Onggi location, his work carries the traditional aesthetics that one would expect. Ahn Si Sung majored in ceramics at Wonkwang University. He was more attracted to the rustic and lively Onggi pottery than to smooth and luxurious ceramics. He visited Onggi studios during a school vacation. He graduated from university in 1992, came down to Gimje, and took over his teacher ’s Onggi kiln, which was designated a Registered Cultural Asset in 2008. There he not only inherited the traditional Onggi techniques, but also the spirit of ancient Onggi masters. The understated rustic appearance of traditional Onggi ware seemed to suit his laid-back personality. Using his knowledge of cultural history, he consolidated his individual artistic voice in his
작업터에서 그들의 정신을 느끼며 작업하는 까닭에 그의 작품은 자연스럽게 전통적인 미감을 지닌다. 원광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한 안시성은 매끈한 도자기보다는 투박하고 힘이 넘치는 옹기에 더 매력을 느껴서 방학이면 옹기공방을 찾았다. 1992년 대학을 졸업하고 옹기마을이 있는 김제로 내려가 은사가 소유하던 전통 가마(2008년 등록 문화재로 지정)를 물려받았다. 그곳에서의 작업은 전통옹기의 기법 뿐 아니라 기운까지도 전수받는 결과를 가져왔다. 전통옹기가 지닌 서민적인 투박함이 그의 털털한 성격과 딱 맞아떨어졌다. 거기에 문화사적인 역사인식이 가미되어 옹기도예가로 자신의 정체성을 굳혀갔다. 하지만 그에게 전통 옹기의 구현이 최종목표는 아니다. 전통의 기반 위에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지닌 새로운 현대옹기를 추구하고 있다. 주거생활이 아파트 중심으로 바뀌면서 실용적인 옹기를 찾는 이는 많지 않은 요즘이다. 기계로 그릇을 찍어내는
work. However, producing Onggi ware in the traditional style is not his ultimate goal. He pursues a modern style of Onggi, using his own artistic vision but arising out of tradition. Korea’s modern style of living is associated with apartment buildings, and not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Onggi ware. Currently, most products are manufactured by machines, and hand-made goods cannot compete. Ahn Si Sung brought radical changes to the production process of Onggi ware.
생활옹기를 생산하던 그가 예술작업으로 방향을 틀기까지 고민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과의 저녁 나들이에서 운석이 떨어지는 것을 목격한 순간부터 그는 일상의 이미지와 느낌을 예술적인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충동을 강렬하게 느꼈다고 한다. 그는 하늘의 별자리를 찾아 나서고, 그 연결점들을 삼각뿔 형태로 간소화한 모양들을 기면에 새기기 시작하였다. 우주에 대한 인식이 생기면서 시간에 대한 관심은 자연히 따라왔다. 그는 고대인들이 사용 했던 빗살무늬나 격자모양도 기면에 활용해보았다. 문양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것과 함께 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He used to make practical Onggi ware, but after careful consideration he decided to make artistic Onggi ware. One day he saw a meteorite falling while he was taking an evening walk with his son. At that moment, he felt strong a desire to convert the kinds of images and feelings that are present in everyday life into art. He searched constellations in the sky, abstracted them into triangular shapes, and inscribed the shapes on the surfaces of his pieces. As he was studying the sky, he became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time. He also tried comb patterns and grid-shapes on the surface. As he was playing with the patterns on his pottery, he also tried different shapes - globular, hemispheric, and quadrilateral. And he modified the method of firing. In order to give shading
주었다. 구(球)형, 반구형, 각형으로 조형들은 다채로워졌다. 새로운 형태미를 지닌 옹기를 굽는 방법에도 변화를 시도했다. 밋밋한 기면에서 불을 통한 변화감을 주기 위해 그는 솔잎들을 신문지로 말아서 그릇 사이에 끼워 넣고 불을 땐다. 그의 작품에서 붉은 색과 검은 색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것은 불길이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이 만들어내는 특이한 색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그의 옹기작품은 우주와 자연의 이치를 담고 있는 듯하다. 이번 밀라노 공예전에는 백제시대 미륵사지의 사리장엄구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각병을 출품한다. 전형적인 옹기의 형태를 탈피해 현대적 감각과 의식을 표현한 작품을 통해 자연 스러운 불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세상에 손으로 하는 작업으로는 경쟁을 할 수 없다. 그는 전통 옹기의 조형작업으로 과감한 변신을 시도했다.
Onggi Pottery (Earthenware)
58
옹기
59
Ceramics
도자
to otherwise plain surfaces, he fired his pieces with pine needles that were layered and wrapped with newspapers. Some parts of the pottery surfaces we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e, and others were not. This irregular contact with fire created natural mixtures of red and black on the surface. His Onggi work seems to contain the ways of the universe and nature. For his quadrilateral works at this exhibition in Milan, he was inspired by the Sarira casket at Mireuksaji from the Baekje period. Viewers can see the natural effect of fire in the works, which go beyond the shapes of traditional Onggi ware and are appropriate for modern tastes.
1
Onggi Pottery (Earthenware)
60
옹기
Onggi Bottle · 옹기 사각병 19 × 24 × 17 cm
61
Ceramics
도자
2
Onggi Pottery (Earthenware)
62
옹기
Onggi Bottles · 옹기 사각병 15 × 23 × 16 cm / 16 × 23.5 × 16 cm / 19 × 24 × 17 cm / 32 × 24 × 24 cm 32 × 25 × 25 cm / 22 × 30 × 17 cm / 19 × 30 × 17 cm
63
Ceramics
Ahn Si Sung
안시성
Ahn Si Sung graduated from Wonkwang University with his major in ceramics, and learned the Onggi production methods of Joella Province from the late Byeon Dong Sun. He has worked on traditional Onggi production for the last twenty years. He works at the Onggi kiln, which was designated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no. 403, Bugeo-ri, Baeksan-myeon, Gimje-si. He follows the traditional method. His workplace is a thatched house with mud-walls, where an old traditional potter’s wheel and other devices are still in use. The kiln is fired with wood, as is expected for a Daepo kiln. He has won several awards, including the special award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and the grand prize in crafts at the Jeollabuk-do Province Art Exhibition. He was also selected to submit works to the Beautiful Korean Ceramics exhibition, and he was designated a highly skilled craftsman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urrently, he offers lectures at Teo, the Society of Ceramicists, the Society of Jeollabuk-do Traditional Handicraft Research, the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Korea Craft Council, Korea Craft Culture Association, and at the ceramic design department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His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Jeonju Crafts Exhibition, the Zibo Ceramics Museum in China,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the city of Ansan, the Jeonbuk Museum of Art, the Youngam Ceramics Museum, and the Art Museum at Qingdao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in China.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도예과를 졸업하였고, 고 변동순 선생으로부터 전라도 옹기기법을 전수받아 20여 년째 전통옹기 작업을 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403호로 지정된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에 위치한 옹기가마와 작업장에서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데, 작업장은 토담에 전통 초가 형대로 내무에 전통옹기 물레와 작업도구가 그대로 남아있으며, 대포가마 형식으로 직접 장작을 피우며 사용하는 전통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대한민국전승공예 대전 특별상,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공모전 특선, 전라북도미술대전(공예부분) 대상, 우수숙련기술자 (고용노동부) 선정 등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터’도예가회, 전라북도전승공예연구회, 한국미술협회, 한국공예가회, 한국공예문화협회, 군산대학교 세라믹디자인과 출강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품은 전주공예품전시관, 중국 Zibo 도자박물,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안산시, 전북 도립미술관, 영암도기박물관, 중국 칭다오과학기술대 미술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Textile 섬유
Onggi Pottery (Earthenware)
64
Textile
섬유
Patchwork Wrapper Jogakbo
조각보
Kim Hyun Hee
김현희
물건을 싸는 데 사용되는 사각으로 된 헝겊이 보자기이다.
Wrapping cloth is rectangular cloth for packing things. Kim Hyun Hee, who is an artisan of embroidery, is called the “Mother of Wrapping Cloth(Bojagi)”. She started sewing at the age of nineteen. She received personal instruction from Yun Jeong Sig, who was a sewer at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dynasty. Kim Hyun Hee made various embroidery works such as clothes, bedclothes, lucky bags, and side-pieces of a pillow.
김현희 자수명장은 ‘보자기의 대모’로 불린다. 그가 바느질을 시작한 것은 19세 때이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바느질을 도맡 았던 수방나인 윤정식 선생에게 직접 자수를 배우기 시작했다. 한 땀 한 땀 정성을 쏟아 바느질하며 옷, 이불, 복주머니, 베겟모 등 다양한 자수작품을 만드느라 엉덩이가 짓무르는 고통도 잊었다. 그는 40세이던 1986년부터 보자기에 집중했다. 보자기는 오랜
Kim Hyun Hee started to work mostly on wrapping cloth in 1986, when she was forty. Wrapping cloth had been widely used in Korea for a long time, but it was regarded as unimportant and did not attract interest. However, she was charmed by the distinctive beauty of this cloth, and started to produce it using her sewing and embroidery skills. She received a special prize for her wrapping cloth work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92. And in 1994, she won the Prime Minister’s Award with a work that combined embroidered wrapping cloth and patchwork wrapper. She embroidered a flower vase on a 4.5 centimeter square piece of cloth, which was made of one hundred twenty eight pieces of white and blue silk patches. The work was praised for the regular and precise sewing, which appeared as though it might have been done by a machine, and the superbly refined embroidery. In the following year, she had numerous exhibitions of her work in Japan, and a book of those works, published in Japan, sold ten thousand copies in 1999. She became a Master artisan of embroidery in 1997.
Patchwork Wrapper Jogakbo
세월 우리 생활 속에서 널리 쓰였지만 하찮은 물건으로 여겨져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보자기의 독특한 아름다움에 반해 자신의 바느질 솜씨와 자수 솜씨를 살려 보자기를 만들었다. 92년 보자기로 한국전승공예 대전에서 특별상을 받았고 수보와 조각보를 결합한 작품으로
1994년 전승공예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가로 세로 4.5㎝짜리 청백 비단 조각 128장을 이은 뒤 그 위에 화병을 수놓은 작품이었다. 조각천을 이은 솜씨가 너무나 정교해서 마치 기계로 짠 것 같았고 정교한 자수는 신이 내린 솜씨 같다는 극찬을 받았다. 그 이듬해부터 일본에서 수차례 전시가 열렸고
1999년 일본에서 출판된 작품집은 1만 부가 팔리기도 했을 정도였다. 그는 1997년 자수명장이 되었다.
“옛 여인들이 일상의 조각들을 모아 삶을 담아내듯, 저 또한
She does not dwell in the past, but reinterprets the old traditions in a modern sense. These days, her main works are created by personally dyeing fabrics using a natural process, making patches in different sizes, and sewing together several dozen to several hundred pieces. Each piece of cloth is joined harmoniously and forms an artwork in her hands. Her ramie and linen wrapping cloth is a kind of abstract art that expresses aspects of the present in a traditional form.
보자기를 만들며 옛 여인들의 솜씨와 그 마음을 담아 내고자 합니다. 자투리 천, 한 조각에는 옛 여인들의 솜씨를 담고 또 한 조각에는 어느 가을 보았던 오대산 붉은 단풍의 기억을 담기도 하고, 또 다른 조각에는 젊은 날의 설렘을 담기도 했습니다.” 그는 외국에서 먼저 가치를 발견한 우리 보자기의 아름다움을 한국에도 널리 알리고자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문화재
“As Korean women of ancient times made their lives out of ordinary pieces of cloth, I wish to convey also their talents and their minds by making wrapping cloth. I have tried to sustain a memory of autumnal red maple trees in the Odae mountain, and youthful, beating hearts, not only the talents of Korean women in past times.”
보호재단 부설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제자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The beauty of Korean wrapping cloth was first appreciated outside Korea, but now she works to promote it domestically. As part of this effort, she teach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at the Korea Traditional Craft Architecture School, affiliated with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단지 과거에만 머물지 않고 현대적 감각으로 보자기를 재해석 해온 그는 최근 직접 천연 염색한 크기가 다른 조각을 수십 장에서 수백 장까지 연결해 만드는 조각보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각각의 조각 천은 그의 손끝을 거치면서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룬 하나의 작품으로 태어난다. 전통 속에서 현재를 표현한 모시와 삼베 조각보는 마치 추상미술 작품과도 같다.
66
조각보
67
Textile
1
섬유
Jogakbo · 조각보 121 × 122 cm
Patchwork Wrapper Jogakbo
2
68
조각보
Jogakbo · 조각보 190 × 165 cm
69
Textile
3
섬유
Kim Hyun Hee
김현희
Kim Hyun Hee was born in Gyeonggi Province in 1946, and she learned embroidery and Jogakbo (meaning patchwork wrapper) from Yun Jeong Sig, who received instruction from a sewer at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its simple, natural harmony of dots, lines, planes and colors, this fabric patchwork adds beauty to everyday items and transmits artistic qualities such as natural authenticity and restraint. She was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84. Since then, she has received a dozen awards, such as the Award of Encouragement, the Special Award, and the Prime Minister’s Award. S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at the Ilmin Cultural Center, the Himaeji Ihwada Art Museum, the Tokyo Department Store, the Nagoya Dakasimaya Department Store, the Seoul International Quilt Exposition, NHK in Japan, the Tokyo International Quilt Festival, and the Cultural Center in Paris, France. Many of her major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in Korea, the Seattle Museum, the Museum of Harvard University in America, and the Vienna Folk Museum in Austria. She has two books, Pojagi, published by Bunka Publishing Bureau in Japan, and Bojagi, published by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1946년 경기도 출생으로 조선시대 수방나인에게 가르침을 받은 윤정식 선생 밑에서 자수와 조각보를 배우기 시작했다. 천조각을 이어 만든 조각보는 점, 선, 면, 색의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조화를 통해 일상적인 생활용품에 아름 다움을 더하고 나아가 자연미, 절제미 등 다양한 예술성을 표현한다.
1984년 처음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을 시작으로 장려상, 특별상, 국무 총리상 등 10여 차례 수상하였다. 일민문화원, 히메지 이와다 미술관 초대전, 토쿄 백화점 전, 나고야 다까시마야 백화점 전, 서울국제퀼트박람회, 일본 NHK 초청전시, 도쿄국제퀼트페스티벌, 프랑스 파리 문화원 전시 등에 참여하였다. 주요작품은 한국 국립민속박물관, 미국 시애틀박물관, 미국 하버드대 박물관, 오스트리아 빈 민속박물관 등에 소장되어있으며, 저서로는 일본 문화출판국에서 낸『POJAGI』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간한『보자기』가 있다.
Jogakbo · 조각보 195 × 195 cm
Patchwork Wrapper Jogakbo
70
조각보
71
Textile
섬유
Patchwork Wrapper Jogakbo
조각보
Lee Sora
이소라
Bojagi refers to rectangular wrapping cloth for packing or covering things. It is written as “褓 (Bo)” in Chinese characters, and it sometimes appears as “福 (Bok)”, the pronunciation of which is similar to “褓 (Bo)”, in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rapping things in wrapping cloth means wrapping happiness, or wrapping the desire for happiness. Jjokbo is the name of patchwork wrapper made of patches left over after making clothing. A long time ago, Korean women wove and dyed ramie fabric, silk, and linen by hand to make clothes. Since it took long hours and great effort to make the fabric, not one single piece could be thrown away. Those odd pieces of cloth were collected and sewn together. A mother’s wish for her family’s happiness and well-being would be inscribed on the surface. In those days, daughters made patchwork wrappers until they got married, and patchwork wrappers were the first item that they prepared for the marriage. The charm of patchwork wrappers originates in the different sizes and colors of the cloth.
Patchwork Wrapper Jogakbo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덮기 위해 헝겊으로 네모나게 만든 것을 말한다. 한자로는 보(褓 )로 표기하고 조선시대 간행 문헌 에는 간혹 보 자와 발음이 유사한 복(福) 자가 보자기를 칭하 기도 하였다. 보자기에 물건을 싼다는 것은 곧 복을 싼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복을 기원한다는 마음을 담는다는 이유에서 였다. ‘쪽보’라고 불렀던 조각보는 옷을 짓고 남은 조각천을 이용해 만들었다. 예전의 우리 어머니와 할머니들은 모시, 명주, 삼베를 직접 짜서 물감을 들인 뒤 옷을 지어 입었다.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얻을 수 있는 귀한 옷감이다 보니 한 조각도 섣불리 버릴 수 없었기에 천 조각을 모아 두었다가 조각 천을 잇대어 만든 것이 바로 조각보이다. 가족의 행복과 안녕을 기원하는 어머니의 정성을 모아 만드는 것이었다. 예전에는 딸을 낳으면 시집갈 때까지 조각보를 만들었고 혼수로 제일 먼저 준비하는 것이 조각보였다. 이어 붙인 천 조각의 크기나 색깔이 제각각이나 이것이 또한 조각보 특유의 멋이라 할 수 있다.
72
Textile artist Lee Sora combines the painterly composition of line and plane and the traditional method of making patchwork wrappers with her own modern sensibility. She uses Oksa, natural silk that is made from twin cocoons. Since Oksa is a bit more coarse than ordinary silk, it is suitable for making semi-transparent works of a single layer without another layer of cloth in back. She personally dyes the fabric with natural pigments using a traditional method. She repeats the long process of dyeing and drying the fabric, sometimes up to nine times. And the she starches it with rice, and sews it. The patches are hemmed twice before being sewn together. Their assorted colors and sizes are reborn in new artworks. The simple compos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shapes and natural colors renders her work graceful and pristine. Her work reveals the will and attitude of the Joseon dynasty women toward a modest living, and their motherly warmth. Her fabric patchwork in the delicate and subtle colors of nature is both traditional and modern. The arrangement of the cloth patches looks natural and spontaneous, and it still creates one complete piece of wrapping cloth. It represents Koreans’ concepts of the universe and nature-different entities that coexist harmoniously as one.
조각보
섬유예술가 이소라는 선과 면을 잇는 회화적 구도를 전통기법 조각보와 접목시켜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한다. 그의 작업은 명주(천연 실크) 중에서도 쌍둥이 누에고치 에서 뽑아낸 ‘옥사’를 소재로 한다. 옥사는 명주실에 비해 약간 거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바탕감 없이 홑겹으로 만드는 반투명한 작품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작품을 만드는 명주의 염색은 모두 자신이 직접 전통방식으로 진행한다. 모두 자연에서 채취한 천연 재료를 염료로 오랜 시간에 걸쳐 많게는 아홉 차례까지 물을 들이고 말려서, 쌀풀을 먹인 뒤 바느질한다. 감침질을 두 번 반복하는 바느질로 자연스럽게 이어붙인 조각 들은 다양한 빛깔과 크기로 새롭게 태어나 공간을 부드럽게 감싼다. 수평과 수직의 단순한 구도, 천연 염료로 물들인 단색조의 작품들은 단아하고 정갈하다. 조선 여인의 극도로 절제된 삶의 자세와 의지가 엿보이면서도 어머니의 따스함이 배어난다. 자연의 빛깔대로 은은하게 염색된 천으로 만든 조각보는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이다. 천 조각들이 계산되지 않은 듯 자연스럽게 배치되면서 하나의 보자기로 완성되는 것은 서로 다른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며 하나로 어우러지는 한국인의 우주관과 자연관을 표현하고 있다.
73
Textile
She studied German at college and lived as an ordinary housewife before she entered a graduate program in crafts. She liked making things with her hands, and she wanted to find a job that she could do for a long time. She happened to attend a course in fabric patchwork offered by Master of embroidery, Kim Hyun Hee, and was charmed by the subject. For the last twenty years, she has put her soul and sincerity into her work. Without a studio, she makes her fabric patchwork, whenever possible, while doing housework. As Korean women did in earlier times, she puts pieces of life together and creates art.
섬유
그는 대학에서 독문학을 공부하고 평범한 아내로 살다가 공예대학원에 진학했다. 손으로 만드는 것을 좋아했고, 앞으로 계속 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찾기 위해서였다. 우연한 기회에 김현희 자수명장의 조각보 단기강좌를 들으면서 조각보의 매력에 푹 빠졌다. 오래전 어머니들이 그랬듯이 소박한 마음을 담아 한 땀 한 땀 정성과 혼을 담아 바느질해온 지 벌써 20년째이다. 하지만 공방도 따로 없이 집에서 살림을 하는 틈틈이 작업한다. 예전에 우리네 어머니, 할머니들의 인생이 그랬던 것처럼 생활 속에서 삶의 예술을 조각조각 이어 가고 있는 셈이다.
1
Patchwork Wrapper Jogakbo
74
Jogakbo · 조각보 210 × 204 cm
조각보
75
Textile
2
섬유
Lee Sora
이소라
Lee Sora was born in Cheongju in 1967. While working at a company after completing her study in German literature, she studied in the graduate school of ceramics, starting in 2000. Through her studies, she became interested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wrapping cloth. She became particularly fond of the traditional patchwork wrapper Jogakbo and started to learn sewing. She uses naturally dyed fabrics. Since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2002, she has had three solo exhibitions, and more than a hundred group exhibitions, including a special exhibition at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Wrapping Cloth, the Encounter of the West and the East at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 Hawaii, Pojagi & Beyond at the Paducah Convention Center in Kentucky, the Korea Canada Craft Special Exhibition at the Vancouver Museum in Canada, a craft exhibition at the Museum of Craft & Folk Art in San Francisco, the Korea and Japan Gyubang Exhibition, which toured Beijing, Osaka, and Beaujolais (in France), and the Korea Wrapping Cloth Ten Artists Exhibition at the Fuller Craft Museum in the US. She won the Award of Encouragement in dyeing at the thirty-sixth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2011, and the same award in patchwork at the thirty-eighth edition of that competition in 2013. Her major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 Hawaii, Tottori City Hall in Japan, Niigata City Hall in Japan, Qingdao City Hall in China, the Korean Craft Museum in Cheongju city, the Cheongju Myengam Tower, and others. As Korean women in earlier times did, she makes patchwork wrapping clothes at home, in addition to her housework. She has taught natural dyeing at the Korean Craft Museum in Cheongju city since 2002.
1967년 청주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직장생활을 하던 중, 2000년 공예대학원에 입학해 공부하면서 우리 전통 옷과 보자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전통 조각보에 매료돼 바느질을 시작하게 되었다. 작품에 필요한 천은 직접 천연염색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2002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3번의 개인전과 <청주 국제공예비엔날레 특별전>, <보자기 동서의 만남>(하와이 호놀룰루 미술관), <보자기 & 비욘드(Pojagi & beyond)>(미국 캔터키 파두카시 컨벤션센터),
<한국 캐나다 공예특별전>(캐나다 밴쿠버 박물관), <공예전>(샌프란시스코 공예민속미술박물관 (Museum of Craft & Folk Art)), 북경, 오사카, 프랑스 보졸레 순회 <한일 규방전>, <한국보자기 10인전>(미국 퓰러공예 박물관 (Fuller Craft Museum)) 등 100여 차례의 국내외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2011년 <제36회 전승공예대전>에서 염색으로 장려상을,
2013년 <제38회 전승공예대전>에서 조각보로 장려상을 수상했다. 하와이 호놀룰루 박물관, 일본 돗토리시청, 일본 니카타시청, 중국 칭타오시청, 청주시 한국공예관, 청주명암타워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옛 여인들이 그러했듯 집에서 살림을 해가며 조각보를 만들고 있고, 2002년부터 청주시 한국공예관에서 천연염색을 가르치고 있다.
Jogakbo · 조각보 90 × 80 cm
Patchwork Wrapper Jogakbo
76
조각보
77
Textile
섬유
Quilted Clothes Nubi
누비
Kim Hae Ja
김해자
순수한 우리말인 ‘누비’는 두 겹의 옷감을 포개놓고 세로 방향의
The Korean word, “Nubi”, refers to a traditional Korean sewing method through which two overlapped layers of cloth are needled together making vertical stitches. This quilt-work originates from the longsleeved, gray robes that Buddhist monks used to wear. The poor, ascetic monks repaired their old, worn out robes by stitching them. Nubi quilting was mainly used for making winter clothes, and also for making bedding and other smaller things. In ancient times, people believed that those careful stitches, which were laid one by one, would bring health and luck to the person who wore the cloth. The needlework of quilting avoids ornamentation or fancy techniques, and requires only stitching. It does not let even a single stitch be skipped, and it requires high concentration. Thus it is not simply a method of stitching, but signifies Koreans’ patience and religious nature. However, as modern life has become mechanized, the tradition of Nubi quilting has unfortunately been lost.
곧은 줄이 지도록 바늘로 한 땀 한 땀 고정시키는 한국 전통 바느질법이다. 청빈한 삶을 사는 스님들의 낡고 헤어진 것을 기워 입는다는 ‘납의 장삼’에서 유래한 누비는 주로 방한복에 쓰였고 침구류나 소품에도 널리 쓰인 바느질 기법이다. 옛 사람들은 옷 입을 사람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며 한 땀 한 땀 정성을 다하면 그 마음이 옷에 스며들어 입는 이를 지켜 준다고 믿었다. 장식이나 기교를 버리고 오직 홈질 하나로 만들어가는 누비 바느질은 한 땀도 건너 뛸 수 없고, 마음이 고르지 못하면 한 땀 앞으로 나아갈 수 없기에 단순한 바느질 기법이 아니라 우리 민족 고유의 종교와 인내하는 마음을 상징하는 정신문화의 한 줄기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기계화와 현대화 속에 점차 우리의 삶에서 사라졌고, 안타깝게도 전통방식의 누비옷 제작의 맥도 끊어졌다.
1952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바느질을 익힌 김해자는 한복 짓는 일을 하던 중 누비 승복을 본 후 누비의 매력에 빠졌다. 박물관을 찾아 유물과 도록을 보며
Born in Gimcheon, Kyongbuk in 1952, Kim Hae Ja learned sewing from a young age. While she was making Hanbok (meaning traditional Korean clothes), she came upon a Buddhist robe that was made by Nubi quilting, and she became fascinated with it. At first, she studied Nubi quilting through antiquities and documents at museums. Then she studied
Quilted Clothes Nubi
문화재 114호인 과천 출토 광주이씨 의복을 재현하는 데
with a Buddhist monk for three months to learn the traditional Nubi method, originally handed down orally by palace maids of the Korean Empire, before she embarked on making Nubi works. She was not satisfied with the monk’s habit alone. In order to make ordinary clothes that could be worn in everyday life, she visited museums and studied traditional clothes by examining artifacts there. Finally, in the middle of the 1980’s, using the traditional Nubi quilting method, she succeeded in reproducing the Important Folk Cultural Asset no. 114, the Clothing of Gwangju Yi Clan lady excated in Gwacheon. The original clothing has stitches 3 millimeters apart. But Kim Hae Ja could space the stiches 2.8 millimeters apart. The same clothing brought her the honor of the Prime Minister’s Award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92. She has been promoting the newly rediscovered quilting method of Nubi, and was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07 as Master of Nubi quilting in 1996.
성공했다. 당시 유물의 바느질 땀 간격은 3㎜. 하지만 김 씨는 땀 간격을 2.8㎜까지 누빌 수 있다. 그리고 각고의 노력 끝에 1992년 전승공예대전에 재현한 누비옷을 출품해 국무총리 상을 수상했다. 사라졌던 우리의 전통 누비를 세상에 다시 선보인 이 시대의 장인으로 누비의 저변 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그는 1996년 중요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107호 누비장 으로 선정됐다.
“누비옷은 우리 민족 정신세계의 하나인 정성의 산물입니다. 누비를 기울 땐 온갖 잡념을 끊고 오직 입는 사람의 무병장수, 여의 성취, 만수무강 등을 비는 믿음을 갖고 짓습니다.” 국내 유일무이한 ‘누비장’인 그는 비우고 비워낸 마음의 끝자락을 바늘을 통해 손끝으로 옮겨내고 있다. 그는 자신이 복원한 전통누비법을 자신만의 재산으로 여기지 않는다. 지난 20여 년간 누비를 배우려고 자신을 찾아온 이들에게 아낌없이 기술을 전수하는 한편 누비장으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전통누비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독학으로 누비를 공부하다 대한제국 침방나인으로부터 구전으로 전해진 전통 누비기법을 알고 있던 스님을 찾아 3개월 정도 배운 뒤 본격적으로 누비에 몰두하게 되었다. 하지만 승복 제작만으로 만족할 수 없었던 그는 일반인의 의생활과 밀착한 누비옷을 만들기 위해 전통복식박물관을 찾았다. 유물을 스승삼아 정진한 결과 80년대 중반 중요민속
78
누비
79
Textile
섬유
“Nubi quilted clothing is a product of one of our traditional values - sincerity. The person who stitches the quilted clothing prays for health, achievement and longevity of the person who will wear it.”
The only Master of Nubi quilting, she transmits her sincerity through the needle at her fingertips. Although she rediscovered that particular quilting tradition, she does not think of it as hers alone. She has taught the traditional method to people for the last twenty years and has been active in spreading the merits of quilting.
1
Quilted Clothes Nubi
80
누비
Quilted Clothes · 누비 중치막 132 × 127 cm
81
Textile
섬유
2
Quilted Clothes Nubi
82
누비
Quilted Clothes · 누비 중치막 99 × 123.5 cm
83
Textile
Kim Hae Ja
김해자
Kim Hae Ja was born in Gimcheon, Kyongbuk in 1952. While she studied Nubi quilting independently, by examining artifacts and documents at museums, she presented a work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92. This work was a reproduction of the Important Folk Cultural Asset no. 114, the Clothing of Gwangju Yi Clan lady excated in Gwacheon, and was possessed by Professor Seok Ju Seon at Dankook University. It was her first presentation of her work, and she won the Prime Minister’s Award. In 1996, four years after she started making clothes using Nubi quilting, she was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07 as Master of Nubi quilting. She worked as a researcher and teacher in Royal clothing and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cloth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he is currently serving as a professor in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and in the College of Human Ecolog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1984, she was invited to present her works at a special exhibition at the Traditional Crafts Center inside the Gyeongbok Palace, administered by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Since then, she has had more than fifty exhibitions at venues such as the Gongpyeong Art Center, the Gana Art Center, the Culture EXPO in Gyeongju, and the Yokohama Quilt Exposition in Japan. In addition, she has given a special lecture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Beijing, and a demonstration lecture at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she has presented her works at the Society Gallery in New York, and at the Gem of One Thousand Years: Korean Nubi, Jeogori exhibition at the Kyungin Museum of Fine Art in Seoul.
1952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다. 독학으로 박물관에 있는 유물과 도록을
Quilted Clothes Nubi
보고 공부하던 그는 1992년 전승공예대전에 누비옷을 출품했다. 단국대학교 석주선 교수가 소장하고 있던 중요민속문화재 제114호 과천 출토 광주이씨 의복을 재현한 것으로 첫 출품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 누비옷을 제작한 지 4년 만에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107호 누비장으로 선정됐다. 성균관대학교 전통복식과정 궁중 복식연구원과 지도교수로 활동하였고, 현재까지 부산대학교 생활환경 대학 한국전통복식연구소 개원교수직을 맡고 있다. 1984년 문화재보호재단 에서 주최하는 경복궁 전통공예관 특별초대전 전시를 시작으로, 공평아트센터, 가나아트센터, 경주 세계문화엑스포 기획전, 일본 요코하마 퀼트 박람회 등 50여 회 전시회에 참여하였고, 북경 한국문화원 초빙강의, 미국 뉴욕 소사이어티 갤러리 초청전, 서울 경인미술관 천년보옥 한국의 누비 <저고리전>, 경주박물관 중요무형문화재 누비 실연 및 강연과 더불어 왕성하게 누비옷을 짓고 있다.
Korean Mulberry Paper Hanji 한지
84
Korean Mulberry Paper Hanji
한지
Woven Paper Jar(Jiseung )
지승
Lee Young Soon
이영순
Hanji (traditional Korean mulberry paper) was originally used for writing and painting, but in the late Joseon period one more usage was added. While studying, in order to ease their ennui, scholarly literati (Seonbi), took the paper on which they practiced writing and cut it into pieces, twisting them into things that they needed. Jiseung artworks are made using woven paper, which is made by rubbing and twisting Hanji, and they display the simplicity of Korean aesthetics. When Hanji was not easily available, the production and use of Jiseung was limited to the nobility (Yangban). After the paper became common, it was also used by commoners. Although Jiseung was quite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has become less readily available in recent years, and its artistic uses are not taught as much as other traditional crafts such as ceramics, woodenware and brassware.
원래 한지는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됐으나 조선 후기 들어 새로운 용도가 추가 되었다. 선비들이 글을 읽다가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글씨 연습을 한 종이를 잘라서 꼬아 이것저것 필요한 물건을 만들었다. 한지를 비비고 꼬아 만든 종이 노끈을 이용한 지승공예 작품은 자연스럽고 질박한 한국의 미의식을 그대로 담고 있다. 지승은 한지가 귀한 시절에는 양반 지식층에 그 제작과 쓰임새가 국한 되었지만 종이가 보급화된 이후에는 서민층까지 널리 보급 되었다. 조선조에 성행했지만 근대들어 도자, 목기, 유기 등 여타 공예에 비해 보급과 전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분야이다. 이영순은 명맥이 사라져가는 지승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확대하고 재생산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는 작가이다. 지난 30년간 전통지승 미학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승 공예의 현대화라는 어려운 작업에도 도전하고 있다. 그는 마치
Lee Young Soon is gaining attention for the fact that she has reinterpreted and reproduced the tradition of Jiseung in a modern sense, expanding its possibilities. For the last thirty years, she has striven to show the genuine nature of traditional Jiseung, and to modernize it at the same time. Like a monk who pursues truth, she carefully concentrates on her repetitive labor for many hours.In earlier times, scraps of Hanji or exercise paper for painting were used to make Jiseung. But these days Jiseung artists add their own artistic inspirations and intentions to the production of Jiseung. Lee Young Soon has sought not only the authentic tradition of Jiseung but also new possibilities of the tradition, driving her to produce experimental works. Some of her works are modern interior objects,
Woven Paper Jar (Jiseung)
수도자가 마음을 다스리며 도를 닦듯이 장시간 동안 반복 적으로 한지를 꼬아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낸다. 예전에는 한지 자투리나 서화연습지가 지승의 재료였지만 지금의 작가들은 한지의 물성에 자신의 의지와 예술가적 영감과 조형의지를 담아낸다. 이영순은 지승공예의 원형을 찾는데 머물지 않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다양한 실험적인 작품도 시도 해왔다. 이미 만들어진 생활용품을 지승줄로 감는 현대적인 인테리어 오브제들은 현대라는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which are made by wrapping commonly used items with woven paper strings. They display he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demands and her personal artistic language.
유물을 정리하면서 지승 더미를 처음 접했고 종이가 지닌
Lee Young Soon studied textile art at college, and industrial design at a graduate school. In the 1970’s, she focused on various kinds of art such as dyeing, weaving, design and installation art. During this period, she came across a pile of Jiseung for the first time while sorting out remains of the Royal Household inside Changdeok Palace. She became enchanted by the distinguished texture of the paper and by the traditional Korean colors. From that point on, for forty years, she has continued to work on Jiseung artworks despite the accompanying physical pain in her fingers. Her fingers no longer have fingerprints, and they are curved because of the continuous motions of rubbing and twisting. Although nobody seemed to care, she has carried on.
않는 작업이지만 작가로서 이상을 추구하겠다는 의지가
독특한 질감과 한국적 색감에 빠져들었다. 그로부터 40년간 한지를 꼬느라 지문이 닳아 없어지고 손가락이 휘어도 지승공예라는 어려운 길을 포기하지 않았다. 남이 알아주지 그를 이끌었다. 손맛이 그대로 살아있는 그의 작품은 시공을 뛰어넘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한지 자체에서 우러나는 따뜻한 정서를 최대한 표현하며, 세련되고 힘차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전하는 작품들은 세계의 미적 보편성과 맞닿아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Her work contains eternal beauty imprinted in the tactility of her handwork. It expresses the warm sensibility that rises from Hanji at its best, and yet it is sophisticated, exuberant and sof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er works exhibit the general qualities of aesthetics that are shared by all great art.
작가만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한 작품들이다. 대학에서 섬유예술, 대학원에서 산업미술을 전공한 이영순은
1970년대에는 염색과 직조, 디자인, 설치미술 등 다양한 분야의 미술작업에 몰두했다. 그러던 중 창덕궁 내의 왕실
86
지승
87
Korean Mulberry Paper Hanji
한지
1 Woven Paper Jar · 지승항아리 30 × 28 × 28 cm
Woven Paper Jar (Jiseung)
2 Woven Paper Jar · 지승항아리 29 × 26 × 26 cm
88
지승
89
Korean Mulberry Paper Hanji
한지
3
Woven Paper Jar (Jiseung)
90
지승
Installation view · 설치뷰, 2014
91
Korean Mulberry Paper Hanji
한지
Lee Young Soon
이영순
After graduating from Duksung Women’s University in 1972, Lee Young Soon studied at the Center for Creative Studies in Detroit, in America, in 1980. Majoring in textile art, she searched for the most Korean medium, and Jiseung (woven paper crafts) became her main inspiration. She has tried to modernize woven paper craft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beauty of that medium, and to adapt that technique to make contemporary art. She taught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She worked as an adviser in design at Yonsei University and as a consultant for design construction with the Tongyang Group. She has had many solo exhibitions, including the Paper Modeling exhibition at the Sun Gallery in Seoul in 1986, Lee Young Soon: Ordinariness, Repetition, Distinctiveness at the Kumho Museum of Art in 2002, and a retrospective exhibition: Lee Young Soon’s Jiseung Works: New as Old, Old as New at the Seoul Museum of Art in Southern Seoul, in 2014. In 2004, she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the Sungkok Art Museum, the Kumho Museum of Art, the Whanki Museum, and at the LA international Biennial Art exhibition. In addition, she participated in public art projects such as the stage design of The Nutcracker at Seoul Foreign School in 2004, the lobby design of the central library at Yonsei University in 2005, the outdoor advertisement of Tongyang Securities (currently Yuanta Securities) in 2007-2008, and the landscape design of the Tongyang Group. Her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central library at Yonsei University, the Tongyang Group, the Kumho Museum of Art, and others.
1972년 덕성여자대학을 졸업하고, 1980년 미국 디트로이트 센터 포 크리에이티브 스터디스(Center for Creative Studies)에서 수학하였다. 대학에서 섬유미술을 전공한 작가는 가장 한국적인 것을 찾아 매진하면서 지승을 화두로 삼고, 오랜 기간 동안 지승 공예를 현대화하는 작업에 전념, 지승의 전통미를 작가의 시선으로 재해석하고 현대적 오브제로 확장해 심미적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성신여대, 덕성여대 강사를 거쳐 연세대학교 디자인 자문위원과 동양그룹 디자인 건설 고문을 역임했다. 1986년 <종이조형>(서울 선화랑), 2002년 <이영순: 일상, 반복, 정체성>(금호미술관)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2014년 <이영순-지승 작품전: 옛것 같은 새것, 새것 같은 옛것>(남서울생활미술관) 회고전을 가졌다. 2004년 성곡미술관, 금호미술관, 환기미술관에서 열리는 그룹전에 참여하였고, <LA 인터내셔널 비엔니얼 아트(international Biennial
Art)> 전시에 참여했다. 다양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도 참여하였는데, 대표적으로, 2004년 서울외국인학교 ‘호두까기 인형’ 무대디자인, 2005년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로비 디자인, 2007~8년 동양증권 옥외광고 프로젝트, 동양그룹 사옥 조경 디자인 등이 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동양그룹, 금호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있다.
4 Woven Paper Jar · 지승항아리 33 × 26.5 × 26.5 cm
Woven Paper Jar (Jiseung)
92
지승
93
Korean Mulberry Paper Hanji
Mulberry Paper Kite
방패연
Oh Jea Hwan
오제환
하늘을 날고 싶은 인간의 염원에서 만들어진 것이 연이다.
Kites were invented as a result of the human desire to fly. It is recorded that Korean kites were originally invented for military purposes, but flying a kite gradually became a form of recre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became a folk custom. Kite-flying, as a folk game, is closely related to Korea’s farming life. Annually, Kite-flying started in December when there was no farming, and usually ended on the 15th of January,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t was customary for kites to be let loose and allowed to fly away in order to avoid evil spirits in advance. Farming started again at that time of the year.
한국의 연은 기록에 의하면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던 것을 점차 놀이로 삼게 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민속과 결합되었다. 민속놀이로서의 연은 한국의 농경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농사일을 끝낸 겨울철 농한기인 음력 12월부터 연을 날리기 시작해 보통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에 액막이의 민속과 관련지어 연을 날려 보냄으로써 연날리기를 끝내고 다시 농사준비를 시작했다. 연을 군사적으로 활용한 예는 고려 말 1374년 최영 장군이 몽고 인의 반란을 평정할 때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섬과 육지를 연락하는 통신 수단이나 작전 지시의 방편으로 연을 이용했다는 이야기가
Accounts of the military use of kites are found in the records of General Choi Young’s suppression of Mongolian rebels in 1374,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t is also recorded tha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n in 1592, General Lee Sun Shin used kite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his people at sea and his people on land, and to send his commands. When the Japanese army invaded, he flew kites to point out the place where his scattered solders should gather. Pictorial symbols on the kites indicated his commands.
전해진다. 이순신 장군은 왜적이 쳐들어올 때 흩어져 있는 군사 들의 집결지를 알리기 위해 연을 날렸다. 연의 문양에 따라 명령이 달랐다. 우리나라 연의 종류는 연의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며 그 종류가 100여 종에 이르지만 형태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것은 사각 장방형의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는 방패연이다. 방패연에만 있는 구멍을 방구멍이라고 하는데 이 구멍이 있음으로 인해 맞바람의 저항을 줄이고 센바람을 받아들여 연이 잘 뜨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웬만한 강풍에서도 연이 상하지 않을 수 있다. 방패연은
There are about one hundred kinds of Korean kites, with different shapes and pictorial symbols. However, shield kites (Bangpae-yeon) are the most common shape. They are rectangular with a hole in the center. The hole in this kite is called Bang-gumeong (Gumeong means hole). This hole allows the kite
Mulberry Paper Kite
한지
연 몸체에 여러 가지 무늬와 그림, 글씨나 색지를 붙인 문양과 문양의 색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분류된다.
94
to withstand win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and to take advantage of strong winds for flying high and fast. In addition, it protects the kite from being damaged by gusts. Shield kite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patterns, pictures, writings and colors.
오제환 명인은 한국예술총연합회 주관 민속연 공예부문 명인
Oh Jea Hwan is designated Master no. 1 in the folk craft of the kite (the best kite maker) by the Federation of Artistic & Cultural Organizations of Korea. He was an apprentice of No Yu Sang, who passed away in 2011, and who was holder of the title Human Cultural Treasure, awarded by the city of Seoul. Oh Jea Hwan lived with his teacher at his teacher’s house and learned the making of traditional kites, and kite-fighting techniques. After graduating from senior high school, he led classes in the production of kites at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in order to help his teacher. He has been promoting traditional Korean kites by holding kite-flying competitions an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s well as teaching kite-making. He presides over an international kite-flying competitio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increasing every year.
마친 그는 스승 노유상을 도와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1호로 지정될 정도로 민속연 분야 최고의 장인이다. 그는 서울시 인간문화재였던 고 노유상 옹의 문하생으로 입문해 전통연 제작기술과 연싸움 기술을 전수받았다. 스승의 집에서 먹고 자며 연 제작 일을 배우고, 그러면서 중고등학교를 연 만들기 수업을 진행했다. 연 만들기 강좌와 강연 외에도 연 날리기 대회 개최, 국제 대회 참가 등을 통해 전통연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그가 주관해서 열리는 국제 연날리기 대회는 매년 참가국이 늘어나고 있다. 그는 전통연 중에서도 우리나라 전통연의 99%에 해당하는 방패연에 특히 애착이 강하다. 과학적 기능과 미적인 아름다움을 살려 세계인의 찬사를 받는 그의 방패연이 전시장을 장식하게 된다.
He is particularly fond of shield kites, which make up 99 % of traditional Korean kites. This exhibition will feature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kites and the engineering aspects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m.
방패연
95
Korean Mulberry Paper Hanji
1
Mulberry Paper Kite
한지
Mulberry Paper Kite · 연 120 × 90 cm / 100 × 80 cm / 75 × 60 cm 50 × 40 cm / 43 × 34 cm
96
방패연
97
Korean Mulberry Paper Hanji
Oh Jea Hwan
오제환
He became an apprentice of No Yu Sang (holder of the title Human Cultural Treasure no. 4, awarded by the city of Seoul) in 1977, from whom he learned the making of traditional kites, kite-reels, and kite-fighting techniques. From 1978 until 2008, he was the winner of five competitions, and he won awards in more than twenty competitions for innovative kites and kite-fighting. In 2006, he was chosen as an inheritor of traditional culture by the city of Seoul in honor of his efforts to preserve and disseminate traditional kites for the the last thirty years. Later the same year, he showed traditional kites and delivered lectures on them for foreigner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an exhibition presented by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ver a period of ten years, starting in 2003, he participated in fifty annual kite competitions in twenty different countries, and he won awards more than ten times in sports-kite and innovative kite competitions. He also participated in more than fifty kite exhibitions, including traditional kite exhibitions that were domestically hosted by schools, compan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kite exhibitions. In 2013, the Federation of Artistic and Cultural Organizations of Korea designated him as the first Master in kite folk craft. He has won numerous awar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for innovative kites. He has been promoting Korean kites outside Korea by winning awards abroad, including the first prize in creative kite and group performance at the International Kite Competition in Bandung, Indonesia, in 2012.
1977년 서울시 인간문화재 제4호 노유상의 문하생으로 입문하여 전통얼래 및 전통연 제작기술, 연싸움 기술을 전수받았다. 1978 부터 2008년까지 창작연 경연대회 및 연날리기대회에서 총 5회 우승과 20회 이상 입상하였다.
2006년, 30년 전통 연 계승 및 보급 공로를 인정받아 서울시 전통문화 계승 지원자로 선정되었다. 이후 2006년 문화재보호재단에서 주관한 인천 국제공항 외국인 대상 전통연 전시 및 강의를 했으며, 2003년부터
10여 년 동안 세계 20개국에서 열린 연 대회에 50회 가량 참가하여 스포츠 연, 창작연 경연대회에서 10여회 입상하였다. 전국 학교, 기업, 관공서에서 주최하는 전통 연 및 세계 연 전시에 50회 이상 참여하였고, 2013년 한국 예술총연합회 주관 민속 연 공예부문 한국 명인 1호로 지정되었다. 국내뿐 아니라, 각종 국제 창작연 대회에 참여하여 수차례 입상하였으며,
2012년 인도네시아 반둥 국제 연 대회 창작 연 및 단체 퍼포먼스에서 1위를 수상하는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입상하며 해외에서 우리 연의 위상을 널리 알리는 데에 앞장서고 있다.
Lacquer 옻칠
Mulberry Paper Kite
98
Lacquer
옻칠
Lacquerware
칠기
Kim Seol
김설
옻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액을 정제해 재료로 사용한다.
Lacquering uses the refined sap of the lacquer tree. It protects the lacquered object from moisture, rot, and insect infestation, and is highly adhesive. In addition, it adds luster and ornamentation to the object. Lacquering has been found in archaeological relics of prehistoric China, and the technique has been used for several thousand years in Korea. Although its history is long, it is becoming less and less sought-after. The tradition of lacquering is being maintained by only a few artisans.
방수, 방부, 방충, 접착력 등의 효과가 탁월하며 광채와 장식성까지 뛰어나다. 옻칠의 역사는 중국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로까지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며 우리나라에서도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옻칠은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 일반적인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일부 작가들이 활용 함으로써 그 명맥을 유지하는 정도이다. 옻칠은 제작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다른 분야에 비해 시간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통의 끈기를 가지고는 도전하기
The lacque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lengthy, so it requires great patience. Despite this difficulty, Kim Seol has inherited the tradition, and developed it and given new forms to it. She is from Tongyeong, and teaches in a school. She has been recognized as a lacquerware maker who understands the essence of lacquering and makes it come alive in her work.
어려운 분야이다. 김설은 옻칠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Using the Taltae technique (without using a foundation, lacquer and cloth are applied to a frame until a certain thickness is achieved), she expresses her own artistic inspiration. First, she carves an intended shape into plaster or styrofoam, pastes linen cloth on it, and lets it dry. She repeats this process until the spaces created by the coarse weave of the cloth
만들고, 그 위에 삼베를 바른 뒤 삼베의 눈메가 보이지 않을
Lacquerware
조형을 추구하고 있는 작가이다. 통영 출신으로 교육자이며 옻칠 작가인 김설은 옻칠의 본질을 파악하여 이를 생명체로 형상화시키는 작업으로 작가적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그는 탈태기법으로 자신만의 예술적 영감을 살린 형태를 만든다. 탈태기법은 우선 석고나 스티로폼으로 원하는 형태를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강인한 인내심이 필요하다.
disappear. When the desired thickness is achieved, she removes the plaster or styrofoam, and rasps the inside and outside until the surfaces become smooth. She completes the work by lacquering several times and using nacre and paint to add figures to it. This process is repeated many times, so it takes much longer and requires greater patience than ordinary techniques of lacquering. However, since it gives her the freedom to make difficult shapes, she continues to follow it. As the result of this laborious process, her work holds a lightness that other materials cannot create. Although it has the function of holding things, it is meant to contain thought and ideas in abstract and symbolic terms rather than objects, she explains. In its modern aesthetics, her work combines both the graceful, elastic form made by human hands, using the classical technique of lacquering with inlaid mother-of-pearl,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materials. Through this
하지만 표현하기 어려운 형태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김설은 탈태기법을 고수하고 있다. 작업과정은 어렵지만 완성 시에는 다른 재료에서는 느낄 수 없는 부드러움과 날아갈 듯 가벼움을 지닌다. 작품들은 물체를 담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물건을 담기보다는 생각이나 사고를 담을 수 있는 추상적이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작가는 설명한다. 그의 작품은 전통 나전칠기기법을 이용해 만든 부드럽고 탄력 있는 인위적인 형태와 자연의 재료 특성이 어우러져 현대적인 조형미로 완성된다. 이처럼 전통적인 기법을 기반으로 새로움을 가미한 그의 작품은 간결하면서도 단단한 형체와 맑고 투명한 색채가 두드러진다. 얼핏 보면 지나 치게 화려해 보이지만 수다스러움이나 잔 기교를 배제하여 시간을 두고 볼수록 담백하고, 도도하게 흐르는 기운을 느낄 수 있다. 그가 만들어내는 반원형은 우주를 상징하며 붉은 옻칠의 색상은 우주의 기운과 생명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때까지 칠하고 건조시키기를 반복한다. 원하는 만큼의
김설의 건칠 작품은 지극히 인위적인 아름다움을 지닌다.
두께가 형성되면 속의 석고나 스티로폼을 빼내고 다시 안과 밖을
작가는 볼의 부드럽고 탄력있는 인위적 표현을 거친 질감을 지닌
갈아서 곱게 만든 다음 여러 차례 칠을 해서 모양을 완성한다.
나뭇가지에 올려놓아 극명한 대비를 줌으로써 현대적
틀을 만든 후에는 자개로 무늬를 넣고 채화로 장식을
조형미를 부각시킨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 그리고 우주가 그의
추가한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식보다 훨씬
100
그릇 속에 녹아있다.
칠기
101
Lacquer
옻칠
innovation within traditional technique, her lacquer work is distinguished by its simple, solid body and lucid, translucent colors. At a glance, it may look excessively luxurious. But without trivial tricks, it exudes rich and unrestrained vitality. The hemisphere of her work represents the universe, and the red color of the lacquer symbolizes the force and vigor of the universe. Kim Seol’s dry lacquer work contains artificial beauty to the utmost degree. She juxtaposes slick artificiality with the rustic feeling of nature by arranging it against a wooden branch, and highlights the contrast. The harmony between nature, human, and the universe are melded in her bowls.
1
Lacquerware
102
칠기
Lacquerware · 붉은 건칠 오브제 45 × 40 × 80 cm
103
Lacquer
2
옻칠
Kim Seol
김설
Kim Seol is from Tongyeong, and she completed her undergraduate study in ceramics in 1978, and her graduate study in 1984, both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has taught ceramic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ince 1999, and she was a professor at the Art College in Tsinghua University in Beijing, China for five years from 2007 until 2012. She received a crafts award at the Donga Crafts Exhibition in 1985, and the grand prize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89. She used the Hyeopjeo-taltae technique for the work, Birth 89, for which she received the grand prize. The Taltae technique that was used in crafting that piece requires carving an intended shape into plaster or styrofoam, pasting linen cloth on it, letting it dry, and repeating this process until the spaces created by the coarse weave of the linen cloth disappear. Since she had a solo exhibition at Gallery Hyundae in 1997, she has had about ten solo exhibitions at the Lotte Gallery in Busan, the Gana Art Space, the Tsinghua University Museum in China, the 798 Art District in Beijing, China, the Chilye Art Center in China, the Chelsea Modern Jun Gallery in New York, and others.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at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 Hawaii, the Itami City Museum of Art in Japan, the AOTI Center in New Zealand, and others. Her major works have been purchased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he Honolulu Academy of Arts in Hawaii, the Art College in the Tsinghua University, the Sookmyung University Museum, the Poonghae Cultural Foundation, the Daegu University Central Museum, and others.
통영 출신으로 1978년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과와 84년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99년부터 현재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07년부터 2012년 5년 동안 중국 북경 청화대학 미술대학 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1985년 동아공예전에서 공예상을, 1989년 대한민국공예대전 대상을 수상하였다. 대상을 수상한 '탄생 89 '에서 보여준 탈태기법은 삼베를 재료로 하는 협저탈태기법 으로, 석고나 스티로폼으로 원하는 형태를 깎고 그 위에 필로 삼베를 바르고 삼베의 눈메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칠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1997년 서울 현대아트갤러리 개인전을 시작으로 부산 롯데화랑, 가나아트스페이스, 중국 청화대학 미술관, 중국북경 798예술지구, 중국칠예 예술중심, 미국 뉴욕 첼시 모던 준 갤러리(Modern Jun Gallery) 등에서 10여 회의 개인전을 가졌고, 하와이 호놀룰루 미술관, 일본 이타미 시립미술관, 뉴질랜드 아오티센터 등에서 열린 국제적인 그룹전에 수차례 참여하였다. 주요작품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아카데미, 청화대학교 미술대학,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풍해문화재단, 대구대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Lacquerware · 붉은 건칠기 28 × 50 × 50 cm
Lacquerware
104
칠기
105
Lacquer
옻칠
Lacquerware
칠기
Park Gang Yong, Jung Sang Gil
박강용, 정상길
전라북도 남원은 예로부터 옻칠 목기의 고장으로 유명하였다.
Namwon in Jeollabuk Province was historically famous for its lacquered woodenware. The technique was originally used for making Baru bowls (Buddhist monks’ bowls) at an ancient temple, Silsang-sa, during the Silla dynasty. After it was handed down to the Namwon people, it became nationally beloved as a local specialty. These days, lacquered woodenware is being produced as items of daily use, not just as ceremonial vessels, and Namwon is getting international attention for it. This is the result of the artisans’ effort to make products that maintain Korea’s authentic life and culture and simultaneously satisfy the tastes and demands of modern consumers. Park Gang Yong, designated the lacquerware master of th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3 by the province of Jeollabuk-do, is their most well known figure.
특히 신라시대 고찰 실상사에서 쓰일 스님들의 공양그릇인 발우를 만들던 기술이 전래되면서 남원산 옻칠제기는 전국적인 유명세를 지닌 지역의 특산품으로 사랑받았다. 최근 제기 외에 다양한 옻칠 생활 목기를 제품으로 개발하면서 남원이 세계적인 옻칠목기 생산지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를 고스란히 이으면서도 현대인의 취향과 수요,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만들어내려는 장인들의 땀과 노력의 결과일 것이다.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옻칠장 기능보유자인 박강용 장인은 그중 대표적인 인물이다.
1964년 정읍에서 태어난 그는 14살 때부터 옻칠장인 이의식 선생 문하에 들어가 옻칠을 배웠다. 옻칠의 본향 남원으로 가서 제기 만드는 일도 배웠다. 자기만의 작품을 꿈꾸며 틈틈이 생활목기를 만들면서 제기를 만들 때는 몰랐던 난제에 봉착하였다. 옻칠 목기는 차가운 제사음식을 담는 데는 문제가
Born in Jeongeup, he began his apprenticeship in the production of lacquerware at the age of fourteen, under the supervision of Master Lee Ui Sik. Then he went to Namwon, the hometown of lacquerware, to learn how to make ceremonial vessels. In his spare time, he was also making woodenware, but he faced unexpected difficulties. Lacquered woodenware is adequate for containing cold ceremonial food, but it is not suited for daily use because it is vulnerable to heat. In solving this problem, he met Jeong Su Hwa, a lacquerware master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13.
Lacquerware
없지만 생활 목기로 사용할 때에는 열에 약한 것이 문제였다. 고민하던 중 그는 정제 칠의 대가로 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칠장 기능보유자 정수화 선생을 만났다. 옻칠은 옻나무에서 캐낸 원액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뒤 바르는 생칠과 수분을 5% 미만으로 주요 순도와 투명도를 높인 정제칠로 구분된다. 생칠만 알았던 그에게 정제칠의 세계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정제칠은 공정이 매우 까다로워 극히 소수만이 그 전문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106
There are two kinds of lacquer: one kind is made by refining the sap from the lacquer tree, and the other kind is made by reducing the humidity of that refined lacquer to less than 5%. The fineness and transparency of the second kind is higher than the first kind. The condensed lacquer of the second kind opened up possibilities for Park Gang Yong, who had previously known only about the raw lacquer of the first kind. Condensed lacquer is quite difficult to make, so only a few people specialize in making it.
그가 무형문화재 옻칠장 기능보유자로 인정을 받은 것은 정제칠 분야이다. 정제 칠은 공정이 까다롭지만 퍼짐성, 유연성, 접착성, 투명성, 매끄러움 정도가 뛰어나고 200℃ 이상의 고열 에도 견딘다. 또한 천연염료와도 부드럽게 섞여 색채 표현이 가능하다. 조형성과 실용성을 모두 갖춘 정제칠 기법을 적용해 박강용은 남원산 옻칠 생활목기를 다양화하는 데 성공했다. 남원시 조산동에 공방을 열어 많은 제자를 길러내고, 문화재칠예연구소를 열고 칠기문화를 되살리는데 앞장서온 그는 요즘 작품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흙과 칠을 섞어 돌처럼
He was chosen as a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in the category of condensed lacquer.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oduce, condensed lacquer is highly spreadable, fluid, adhesive, translucent, and smooth; and it does not become damaged at temperatures above two hundred degrees. It mixes well with natural dye pigments, so it is suitable for painting. Using this lacquer, Park Gang Yong succeeded in producing lacquerware for daily use.
단단한 표면효과를 내기도 하고 칠에 천연안료를 섞어 방울처럼 떨어뜨린 뒤 열기를 가하는 등 다양한 기법을 개발해 작품에 응용해보면서 못다 한 창작혼을 불태우고 있다.
He opened a studio in Josan-dong, Namwon-si, and taught many students. He also opened a research institute for lacquerware and worked to revive the lacquerware tradition. Currently, he is concentrating on the production of new work. He experiments with various methods. For example, he mixes lacquer and earth to make hard surfaces, or heats a mixture of lacquer and natural pigments. In these experiments, he finds inspiration for his creativity.
칠기
107
Lacquer
Lacquerware
108
옻칠
칠기
109
Lacquer
1
옻칠
Lacquerware · 주칠 30합 발우 12.5 × 24.5 × 24.5 cm
Park Gang Yong
박강용
At the age of fourteen, Park Gang Yong started learning woodcraft from Lee Ui Sik (designated a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in Lacquer by the Jeonbuk Province), and in 1996 he became an inheritor of Master Jeong Su Hwa, who was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13 in Lacquer by the Korean government. He was specially selected at the National Craft Art Exhibition in 1997, and he won the Grand Prize at the Namwon City Woodcraft Competition in 1999, the Award of Encouragement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2003, and the Gold Award at the fourth exhibition of Korean Lacquer Craft in 2005. He completed the graduate course in teaching in the traditional crafts department at Myongji University in 2004. In 2008, he was designated the Lacquerware Master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3 by the province of Jeollabuk-do. He specializes in condensed lacquer, which is made by refining raw lacquer extracted from the lacquer tree. That process is quite difficult. In 2001, his teacher, Jeong Su Hwa, was the first person to be designated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in Condensed Lacquer. After that time a few people specialized in making it. Raw lacquer is process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intended purpose; for example, by sorting out the raw lacquer and removing undesirable elements using the method of Kyoban(meaning agitation). Through these processes, raw lacquer becomes finely pulverized and can be processed differently for different purposes. Depending on how one modulates the transparency and drying time, it can be glossy or lusterless. In 2009, he won a prize at an international lacquer exhibition in Ishikawa prefecture, Japan. He work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Silla University, and as a technical expert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he is presently working as a director of lacquer crafts in the city of Namwon.
14 살 때부터 목공예에 입문한 그는 전북 무형문화재 옻칠장 이의식 선생에게서 기술을 전수받고, 1996년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제113호 옻칠장 정수화 선생 전수자로 입문하였다. 1997년 전국공예미술대전 특선,
1999년 남원시목공예 경진대회 대상, 2003년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2005년 제4회 한국옻칠공예대전 금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4년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전통공예과 최고지도자과정을 수료하였고 2008년 전라북도 무형 문화재 제13호 옻칠(정제) 장으로 선정되었다. 정제는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칠 속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작업인데, 이 과정을 거친 칠을 정제 칠이라 한다. 그 공정이 매우 까다로워 국내에서는 그의 스승인 정수화 선생이 지난 2001년 최초로 정제 칠 장인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국내에서 극히 소수만이 그 같은 전문적인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정제란 옻나무에서 추출한 생옻을 용도에 따라 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를테면 거친 생옻을 칠고르기, 교반 등의 작업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해 입자가 고운 칠로 만들어 사용용도에 적합하고, 무광과 유광을 구분하여 투명도와 건조시간 조절 등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2009년 일본 이시가와 국제칠전에 입상하였고, 신라대학교 외래교수와 한국산업인력공단 에서 주관하는 대한민국 명장선정 전문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남원시 옻칠공예관장을 역임하고 있다.
정상길
1971년 목기의 고장 전북 남원시 산내면에서 출생하였다. 1994년 발우 명인 김대현 장인을 스승으로 만나 목기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그 후 20여 년간 고향에서 농사를 지으며 나무 깎는 일을 해오고 있다. 현재 실상사 앞에서 나무 공방을 운영하며 매일 새벽마다 공방을 열고 작업에 임하고 있다. 옻칠연구회 1기를 수료했으며 남원시의 전북지역 공모전에 출품하여 입상하기도 하였다.
Jung Sang Gil
2
Lacquerware · 투명칠 25합 발우 12.5 × 24.5 × 24.5 cm
Lacquerware
3
110
Lacquerware · 투명칠 25합 발우 12.5 × 24.5 × 24.5 cm
Jung Sang Gil was born in 1971, in Sannae-myeon, Namwon-si, Jeollabuk-do, the village of woodenware. In 1994, he met Master of Baru Kim Dae Hyeon and started to learn woodenware. Since then, he has farmed and carved wood for twenty years. Currently, he runs a woodcrafting studio in front of Silsang-sa, and works there. He completed the premiere offering of the lacquer course at the Lacquer Research Society. He also won a prize in a competition in Namwon-si, Jeonbuk Province.
칠기
111
Lacquer
옻칠
Lacquerware
칠기
Yang Yoo Jeon
양유전
People in Tongyeong, Kyongnam have relied on fishing for their living for a long time. For the past four hundred years, lacquerware decorated with inlaid mother-of-pearl has been famous as a local specialty, and it has become the second most important local industry after fishing.
경남 통영은 예로부터 어업을 생계수단으로 삼아 삶을 일궈 왔다. 400년 전부터는 바다에서 나오는 빛 고운 조개껍데기를 오려내어 박아 장식한 나전칠 공예가 지역특산품으로 이름을 알리면서 나전칠은 어업 다음으로 중요한 산업이 된다. 양유전 선생은 한국 나전칠의 본향으로 그 전통의 맥을 이어 오고 있는 통영에서 태어났다. 당시 통영은 나전칠의 전성기를
Yang Yoo Jeon was born in Tongyeong, wher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as born, and where it is still produced. At the time of his birth, that industry was entering it's most important period in Tongyeong. Talented youths regarded this craft as their future vocation without much hesitation. Yang Yoo Jeon was one of them. When he was seventeen, in 1967, he started apprenticing at Jeon Jae Lyong Studio to learn those techniques. During this time, he met Kim Bong Ryong, Master of inlaid mother-of-pearl, who was designated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맞았고, 자연히 재능있는 청소년들은 망설임 없이 나전칠 분야에 입문했다. 양유전 선생도 그 중 한 명이었다. 17세였던
1967년 전재룡 공방에 입문해 나전칠기를 전수받던 중 중요무형문화재 나전장 김봉룡 선생을 만났다. 일사 김봉룡은 갓 만드는 일로 출발하여 나전장으로 입문한 후 정교한 줄음질 작업과 도안으로 한국 전통 나전칠 분야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인물이다. 다른 장인들과 달리 기물에 들어가는 도안에도 남다른 재능과 실력을 갖췄던 선생은 전통 칠 분야에서 칠화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그림에 소질과 끈기가 있는 양유전에게 칠화의 길을 가도록 권유했다.
Ilsa Kim Bong Ryong started his career by making traditional Korean top hats (made of horsehair) before he learned to work with mother-of-pearl. With his exquisite cut-out technique and elaborate design, he broke new ground. Unlike others, he was skillful with designing figures, and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lacquer painting. He noted Yang Yoo Jeon’s talent in drawing, and his patience, and recommended that he study lacquer painting and mother-of-pearl inlay. In 1974, Yang Yoo Jeon began to study those techniques under the supervision of Kim Bong Lyong, and in the following year he started producing his
Lacquerware
1974년부터 김봉룡 선생의 칠부에 입문해 본격적으로 칠화칠 기를 전수받기 시작한 양유전은 이듬해부터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1977년 인간문화재공예작품공모전에 처음으로 칠화칠기를 출품해 장려상을 받으며 전통 칠화의 부활을 예고했다.
112
own work. He won the Award of Encouragement at the Craft Art Exhibition of Human Cultural Treasures with his first lacquer painting in 1977, which signaled the rebirth of traditional lacquer painting.
칠화는 역사가 낙랑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역사적 유물이나 전통의 맥이 미미했고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장인도 많지 않아 이렇다 할 스승도 없었다. 이처럼 외롭고 고달픈 길을 양유전은 40여 년 간 홀로 개척해왔다. 전통기법을 살리는 것 뿐만 아니라 낙랑시대와 중국 한나라 등의 역사적 자료를
The history of lacquer painting goes back to the Nangnang period, but its historical remains were difficult to find, and there were not many artisans in the field. Thus, there was nobody from whom Yang Yoo Jeon could learn. He worked alone in lacquer painting for forty years. He not only recovered the old technique but also studied its history in old documents from the Nangnang dynasty and the Han dynasty. Forty years ago, following his teacher, Yang Yoo Jeon moved to Wonju-si, Gangwon-do, where high quality lacquer was produced. His work has been inspired by historical artifacts for the last fifteen years.
연구하고 기예를 연마했다. 양유전은 40여 년 전 통영에서 활동 하다 품질 좋은 칠이 생산되는 원주에 정착한 스승을 따라 강원도 원주로 터전을 옮겨 작업하고 있다. 15년 전부터는 역사적 유물에서 영감을 받은 도안을 작품에 응용하고 있다. 전통 칠화는 선을 중심으로 표현하는 선묘를 기본으로 한다. 칠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다. 칠의 농도, 발색, 화필의 사용, 선의 구성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소에 대한 특성을 깊이 이해해야 한다. 단숨에 그림을 그려내기보다는 한 땀 한 땀 수를 놓듯 정성을 들여야 하지만 결과는 단숨에 그려낸 것처럼 자연스러워 보여야 한다. 오랜 연구와 단련을 통해 완성되는 양유전의 작품은 전통
Traditional lacquer painting is done mainly by drawing lines. Painting with lacquer is not as easy as one might think.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density of the lacquer, the formation of the colors, the use of a brush, and the composition of line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e painting is done gradually, but it has to look as if it were done with a single brush stroke in order to have a natural appearance. As the result of long study and practice, Yang Yoo Jeon’s works convey both the classical feeling of traditional lacquer painting and a modern feeling of liveliness and sophistication. Their colors and lines are contemporary, and the warmth and beauty that they convey seem to demonstrate his ease with nature.
칠기
칠화의 예스러운 느낌을 주는 동시에 세련되고 생동감이 넘친다. 색깔과 선의 흐름은 현대적인 시각에서 보아도 부족함이 없다. 온화하고 아름다운 작품은 그가 지금까지의 수많은 고민과 고통을 초월해 자연의 무위에 도달했음을 말해주는 듯하다.
113
Lacquer
1
Lacquerware
Lacquerware · 채화칠 발우 12.5 × 24.5 × 24.5 cm
옻칠
Yang Yoo Jeon
양유전
Yang Yoo Jeon was born in Tongyeong, Gyeongnam, in 1950, where Najeon (meaning inlaid with mother-of-pearl) lacquerware was born. He apprenticed at the Jeon Jae Ryong Studio to learn Najeon lacquerware techniques. After he became more enamored of lacquer, he moved to Wonju, following his then-teacher, Ilsa Kim Bong Ryong, a Buddhist monk. Since the 1970 's he has followed his teacher’s advice to develop Nangnang lacquer (Chilhwa lacquerware: lacquerware with painting), which originated in China during the Han dynasty, and was regarded as the original form of lacquerware; he has focused on this technique, and has revived it. He won the Award of Encouragement at the Craft Art Exhibition of Human Cultural Treasures in 1977 for his Chilhwabyeokhwamun plate, and the Silver Prize at the International Lacquer exhibition in Ishikawa, Japan in 2005. Presently, he teaches design at Hannam University. H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crafter of lacquer craft in Korea. Chilhwa lacquerware has a long history. The technique was used to make the Cheonmachong of the Silla dynasty. However,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it was superseded by Najeon lacquerware with inlaid mother-of-pearl, and the tradition was lost. He has been studying the history and techniques of painted lacquerware, and for fifteen years he has made his own drawings, for his lacquerware.
1950년 나전칠기의 고장인 경남 통영 출생으로, 전재룡 씨 공방에 입문해 나전칠기 제작기법을 전수받았으며, 칠이 좋아 스승인 일사 김봉룡 선생을 따라 원주에 정착하고, 스승으로부터 '칠기의 원형으로 꼽히는 중국 한나라의 낙랑칠기(칠화칠기) 를 우리 것으로 만들라'는 필생의 과제를 받아 1970년대부터 이 과제를 그의 작업의 중심으로 삼고 칠화칠기를 되살린 장인이다. 1977년 인간문화재 공예작품 전시공모전에 칠화벽화문 쟁반으로 장려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 일본 이시가와 국제칠전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한남대학교 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내 칠공예의 대가로 손꼽히고 있다. 칠화칠기는 색깔이 들어간 옻칠 기물로 신라 천마총에도 나올 만큼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자개를 쓰는 나전칠기에 밀려 그 명맥이 끊겼다. 그는 칠화칠에 담긴 역사와 기법을 연구하면서 15년 전부터 직접 도안을 시작하여 응용하고 있다.
Collection of Korea Mother-of-Pearl Art Museum 한국나전칠기박물관 소장
114
칠기
115
Lacquer
옻칠
Lacquer and Mother–of–Pearl Choi Sang Hoon
최상훈
Japan is globally predominant in the craft of lacquerware, but nobody can compete with Korea for Najeon technique, in which patterns are cut from shells and affixed to objects. There are many Najeon artisans in Korea, and Choi Sang Hoon is the most superb in cut-out technique, cutting mother-of-pearl into slender strips according to an intended pattern or figure. His artistic distinctiveness is found in the extreme delicacy of his small works. After primary school, he stopped his institutional education. At thirteen, he started to learn Najeon technique, and continued on that path for forty-nine years.
세계적으로 공예 분야에서 칠기는 일본을 최고로 치지만 조개 껍질을 얇게 갈아서 붙이는 나전은 한국을 따라올 나라가 없다. 한국에는 많은 나전장인들이 있고, 최상훈은 그들 중에 서도 자개를 문양형태로 오려내는 줄음질에서는 최고의 권위자로 꼽힌다. 그의 작품은 정교함의 극치를 이루는 소품 위주로 작가주의적인 특성을 지닌다. 초등학교 교육을 끝으로 제도권 교육을 받지 않은 그는 13세에 나전에 입문해
49년 간 오로지 외길을 걷고 있는 나전칠기 자개쟁이이다. 그는 1954년 서울의 하왕십리에서 태어났다. 당시 하왕십리는 나전칠기 공방과 재료상들이 밀집한 곳으로 서울에서 생산되는 나전칠기의 본거지였다. 그가 태어나 자란 1960년대
He was born in 1954 in Hawangsipri, Seoul. At that time, Hawangsipri was the main area where studios and shops were clustered together to sell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They were supplying most of Seoul. In parts of Hwanghakdong, where he was born and grew up in the 1960’s, there were several hundred shops selling motherof-pearl products. The area became popular, and Japanese people came there to look around. Immersed in that environment, he naturally pursued the goal of becoming a great artisan of mother-of-pearl technique.
후반 황학동 일대에 수백 개의 자개 판매상이 들어서 명소가 되어 옻칠의 나라 일본에서 온 관광객들이 일부로 찾을 정도였다. 한집 건너 자개공방이었던 동네에서 자란 그는 자연 스럽게 자개공방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1966년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인의 소개로 유영수 나전칠기 공방에서 나전칠기에 입문했다. 본격적으로 나전칠기의 매력에 빠진 것은 1969년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14호 나전칠기장 민종태 선생이 운영하던 ‘동화사’ 공방에 문하생으로 들어가면 서 부터이다. 그곳에서 19년간 나전과 관련한 모든 기능을 전수받고 1989년 독립하였다.
After graduating from primary school in 1966, he was introduced to Yu Young Su’s studio to learn inlaid lacquerwork. His dedication grew when he became an apprentice at “Donghwasa” studio in 1969. The studio
Lacquer and Mother–of–Pearl
나전
116
이름도 없는 자그마한 개인공방에서 동료도, 조수도 없이 혼자
was run by Min Jong Tae, who was designated by the city of Seoul as the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4 in Najeon technique. For nineteen years, he learned everything about Najeon technique. Then he went out on his own in 1989.
작업으로 25년간 작품을 제작하며 각종 공모전에서 수십 차례 입상해 이름을 알려왔다. 자개를 문양대로 조각칼이나 송곳, 가위, 실톱 등으로 오려 내는 줄음질이 전공이라고는 하지만 실제 사용되는 모든
He worked alone at a small private studio without apprentices or partners for twenty-five years. His name became well-known as he won several dozen awards.
기능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그의 작품은 작지만 섬세하다. 미세한 곡선으로 이어진 크고 작은 문양들의 높은 완성도를 보면 탄성이 절로 난다. 현재 서울 북부의 용답동에
Although he specializes in cut-out technique, which means cutting mother-of-pearl in slender strips with an engraving knife, an auger, scissors or a coping saw, he freely utilizes all of his skills to create his small delicate works. Viewers are impressed by the high degree of perfection in his patterns, which are typically formed by detailed curves. Presently, he works at a studio in Yongdap-dong in the north of Seoul. His most valuable treasure is several hundred drawings by his deceased teacher Min Jong Tae. The earliest of these drawings are discolored and about to crumble. The drawings tell us the history of Najeon lacquerwar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y are a still-useful textbook. Choi Sang Hoon adheres to the inherited tradition of Najeon lacquerware, and does his best to preserve it. He works alone, and few of his contemporaries are aware of his achievements. He does not feel alone, of course, since his teacher is always with him in those drawings.
나전
작은 공방을 가지고 혼자 작업하는 그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보물은 스승인 민종태 선생이 생전에 작업하면서 남긴 수백 장의 드로잉 원본이다. 초기 드로잉은 누렇게 바래어 바스라질 정도이다. 스승의 손때가 묻은 원본 도안에는
1970~80년대 나전칠기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나전장의 도안화첩은 오늘날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교과서이다. 최상훈은 작은 공방에서 혼자 고집스럽게 나전칠기의 전통 계승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알아주는 이는 많지 않지만 그는 외롭지 않고, 좌절하지 않는다. 스승이 항상 함께 하기 때문이다.
117
Lacquer
1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 나전귀갑문합 9.5 × 16.8 × 16.8 cm
2
Lacquer and Mother–of–Pearl
옻칠
Choi Sang Hoon
최상훈
Choi Sang Hoon was born in 1954 in Hawangsipri, Seoul. He received private teaching from Min Jong Tae. He was designated as Master of Najeon lacquerwar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He won the Prime Minister’s Award at the Korean Lacquer Crafts exhibition, and the grand prize at the Korea Folk Arts & Crafts Fair. In addition, he received seventeen awards, including the Award of Encouragement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He participated in a special exhibition consisting of works by the artisan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the Korean Najeon (Inlay with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exhibition in Rome, the Najeon Lacquerware exhibition, the Harmony of Najeon Lacquerware and Korean Classical Music, the Mystery of One Thousand Years exhibition in New York, and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in Paris. He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including the Korean Najeon exhibition, the Twenty-Two Artisans of Lacquerware exhibition, the Insa Art Fair, and the exhibition of Thirty-Three Contemporary Artists of Najeon Lacquerware.
1954년 서울 출생으로 민종태 선생으로부터 사사 받았다. 나전칠기공예 명인 으로 지정되었고, 한국 옻칠공예대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전국공예품 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입선 및 장려상 등을 17여 회 수상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 특별전에 참여하였고,
<옻칠전>(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한국의 나전과 칠예전>(이태리 로마 국립박물관), 뉴욕에서의 <나전옻칠전>과 <나전옻칠과 국악의 어울림전> <천년의 신비전> 등과 프랑스 <파리국제박람회>에 참여하였고,
<한국나전>, <옻칠 21인전>, <인사아트페어>, <한국 나전칠기 근현대작가 33인전> 등의 그룹전을 가졌다.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 나전모란당초문합 9.5 × 16.8 × 16.8 cm
118
나전
119
Lacquer
옻칠
Lacquer Painting
옻칠
Choe Young Keun
최영근
“나는 칠예술은 시간의 미학이고 기다림의 미학이라고 생각한다.
“I think lacquerwork is made by time and waiting. All craft-art needs various materials, but few disciplines require such long waiting and great effort as lacquering. It requires growing lacquer trees, extracting and refining the sap, drying the lacquer,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rasping, washing and painting. All of these procedures take a long time, and demand much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the weather,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precise work. The result is a record of multiple actions over time. Waiting is the issue. The more time it takes, the better the work will be. Perhaps all works require time and energy to be successful, but lacquerwork in particular shows the trace of time.”
조형예술에는 여러 가지 분야가 있고 수많은 재료가 사용되지만 칠 작업처럼 오랜 시간을 기다리고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하는 분야도 드물 것이다. 옻나무의 생장, 칠의 채취와 정제, 칠의 건조, 갈고 닦고 칠하는 수십 차례 반복되는 작업과정 등 오랜 기다림과 인내가 필요한 작업이 칠예술이다. 어느 한 과정도 한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작업환경과 기후의 변화에 따른 온도와 습도의 조절, 엄밀하게 계산된 작업 과정 등 매순간마다 한결같은 시간과 정성을 기울여야 되는 것이 칠예술이다. 그렇기에 칠작업의 모든 과정은 시간의 기록이며 시간의 축적이다. 기다림이 따라야 한다. 칠은 시간을 들이면 들인 만큼 작품의 완성도나 깊이감이 우러 나오는 작업이다. 어느 분야의 작업이든 공을 들이고 많은
Choe Young Keun is well-known for reinterpreting woodenware and traditional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in modern aesthetic forms. His artistic effort is not limited to lacquer. He has been successful in bot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forms, in both art and design. However, his favorite medium is lacquer.
시간을 들인다면 그만큼 효과가 있겠지만 칠 작품은 특히
Born in Cheongyang, Chungnam, in 1948, Choe Young Keun did undergraduate studies in woodenware crafts and industrial design, and graduate studies in interior design both at Hongik University. After graduating in 1972, he continued with woodenware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이뤘다. 다방면에서 지칠 줄 모르는
Lacquer Painting
시간의 흔적 자체가 그대로 축적되어 나타난다.”
1948년 충남 청양에서 태어난 그는 1968년 홍익대학 미술
and invented his own shading technique using the texture of the wood. With this work, he won the grand prize in crafts at the Art Exhibition of Korea. His shading technique led him to becom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method of lacquering. He realized that he could not conceive a new technique or method while ignoring tradition, so he pursued a rediscovery of traditional lacquer work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He contemplated both Korean traditions and ancient Asian culture in a contemporary context dominated by high technology and western power. He was also concerned with how to accept western art. In his writing, he has expanded the critical study of the aesthetics of lacquer work, whereas, for the past several thousand years, the aesthetics of lacquer work have rarely been discussed. Believing in the possibilities of the medium, he continues to do lacquer work despite all difficulties.
대학에 입학해 목공예와 산업디자인을 전공했고 같은 대학 산업미술대학원에서 인테리어를 전공했다. 1972년 대학 졸업 후 목공예작품을 계속하면서 나무의 성질로 음영을 표현하는 ‘영채기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이를 적용한 작품으로 대한민국미술대전 공예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영채기법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전통 칠에 대해 구체적인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전통을 외면하고 새로운 것만을 쫓을 수는 없다는 생각과 현대 조형예술 속에서 전통 칠의 가치를 새롭게 찾아보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칠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는 첨단과학의 시대, 서구가 이끌어가는 현대문명 속에서 우리의 전통과 동양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서구의 조형예술을 받아들일지 항상 고민한다.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니면서도 미적 담론조차 존재하지 않은 칠 분야에서 미적 담론을 유도해내고 새로운 조형을 탐구하는 과정은 길 없는 길, 끝없는 길을 가는 것 같았지만
최영근은 전통적 나전칠기와 목기를 현대적 미감과 형식으로 재정립하는 데 열정을 다해온 칠공예가로 유명하다. 하지만 비단 그의 예술이 칠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그는 다재 다능한 예술가로 시각예술, 평면, 입체, 공간 등 디자인 열정과 관심을 보이는 그가 가장 선호하는 분야가
그는 칠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고 있다.
His later creations, after the 1990’s, are mostly in lacquer. After he started teaching lacquer work at Hannam University, he rediscovered the material essence of lacquer, and this rediscovery led him to new insights. His recent works stem from this rediscovery.
그의 후기 작업은 199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칠을 보여준다.
1987년부터 한남대에서 칠 교육을 시작하면서 칠의 질료적 속성에 대한 재발견이 성찰적 세계로 끝없이 반복 재생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칠예술일 뿐이다.
120
옻칠
121
Lacquer
He likes lacquer work because it lets him contain cosmic time and space. The dark color of lacquer represents the deep void beyond the concept of color. The mother-of-pearl reminds him of the light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Through his detailed hand movements, concepts outside the boundary the ordinary, such as the universe, the Big Bang, primordiality, light, and birth, are symbolized in his work. The existence of go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origin of life, and freedom of spirit are alluded to in his painting through his skillful hands and aesthetic contemplation. Dark lacquer, which is condensed by numerous brush strokes in layer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conveys the feeling of a the mysterious and lucid cosmic light. His work provides an opportunity to meditate on primordial beauty.
옻칠
그가 칠예를 좋아하는 이유는 우주적 공간과 시간을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생칠에서 나오는 검은 색은 그저
‘검다’는 것을 넘어 깊은 어둠을 표현한다. 그가 작품에서 사용 하는 나전의 눈부신 아름다움은 태초의 빛과도 같다. 미세한 손놀림을 통해 그는 작품 속에 우주, 빅뱅, 태초, 빛, 탄생 등 평범함을 뛰어 넘는 스케일을 담아낸다. 신의 존재, 우주의 창조, 생명의 기원, 영혼의 자유 등을 완성도 높은 손맛과 미적 사유를 통해 훌륭한 그림으로 표현 한다. 시간이 층층이 쌓이고 수를 셀 수 없는 붓질이 녹아든 검은 칠의 세계는 우주와도 같이 신비롭고 영롱한 빛을 탄생한 작품은 태초의 아름다움을 관조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1
Lacquer Painting
122
옻칠
Lacquer Painting · 칠화 120 × 120 cm
123
Lacquer
Choe Young Keun
최영근
Choe Young Keun was born in Cheongyang-gun, Chungcheongnam-do in 1948. He entered Hongik University in 1968, and he did undergraduate studies in woodenware crafts and industrial design, and graduate studies in interior design, both at Hongik University. He taught applied arts at Hannam University for thirty three years starting in 1980,
1948년에 충청남도 청양에서 태어났다. 1968년에 홍익대학 미술대학에 입학 하여 목공예와 산업디자인을 전공하였고,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대학원에서 인테리어를 전공하였다. 1980년부터 33년간 한남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9년부터 4년간 중국 청화대학교 심천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1972년에 대학을 졸업한 후에 목공예 작업을 계속하였으며,1984년 독자적으로 개발한 영채기법으로 제작한
and he taught at Tsinghua University and Shenzhen University in China for four years starting in 2009. After graduating in 1972, he continued making woodenware, and he won the grand prize in crafts at the third Art Exhibition of Korea in 1984 for his lacquered woodenware, to which he applied a shading technique that he invented independently. Thereafter, he becam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method of lacquering. This new interest led him to teach lacquer work at Hannam University starting in 1987, and to have a solo exhibition in 1990. He was invi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o exhibit at th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nd he presented his work at the exhibition of artists who received awards at the Art Exhibition of Korea, the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elebrating the 24th Olympics in Seoul, and an Invitational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inauguration of the Seoul Arts Center. He also participated in the Japan and Korea Contemporary Lacquerware exhibition that was held in Busan, Daejeon and Gwangju in Korea, and in Tokyo and Kyoto in Japan; the Chinese and Korea Lacquerware Exchange exhibition at the Arko Art Center in Seoul, and the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in Beijing in 1994 and 1996. He won the gold award at the Ishikawa International Lacquer Exhibition in 2002, and he presented his work at the World Competition of Art and Crafts in Kanazawa in 2003.
Lacquer Painting
목칠 작품으로 제3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공예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한국의 전통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 1987년 무렵부터 한남대학에서 칠 수업을 시작하였다. 1990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현대 미술전>(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미술대전 수상작가전>, <제24회 서울올림픽기념 한국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 등에 출품하였다. 부산, 대전, 광주, 일본의 도쿄, 교토에서 열린
<한일 현대칠예전>에 참가하였으며, 1994년 1996년 서울문화예술진흥원 미술회관과 북경 중국미술관에서 <한중 칠예교류전> 을 가졌다.
2002년 이시가와 국제 칠전에서 금상을 수상하였고, 2003년 가나자와에서 열린 월드 컴페티션 오브 아트 앤 크래프트(World Competition
of Art and Crafts)에 출품하였다.
Metal 금속
124
Metal
금속
Brassware
유기
Kim Soo Young, Cho Ki Sang
김수영, 조기상
Brassware, made from an alloy of copper and tin, was widely used for presents to the king, Buddhist items such as statues and bells, and items for everyday use. Serving dishes made of brass were preferred because brass does not contaminate food with color or odor. It was thought that food etiquette of the historical Korean gentry was reflected in the tableware, and taking care of the brass tableware wa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Korean women.
구리와 주석을 합금해 만드는 유기는 궁궐의 진상품이나 불상·종 등의 불교용품 또는 가정의 생활 용품으로 널리 쓰였다. 무색, 무취, 무공해 금속인 유기로 만든 그릇은 음식을 담는 최상의 그릇으로 오랫동안 그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특히 한국 인의 식탁에 오르는 반상기는 예법을 갖춘 사대부의 식생활 문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유기로 된 반상기를 정성스럽게 사용 하고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은 우리네 여성들의 중요한 의무로 꼽혔다.
Brassware is heavy and easily discolored, and it is not easy to handle. For these reasons, it started to disappear beginning in the 1960 s and was replaced with stainless steel and plastic vessels. However, its firmness, uncomplicated beauty, and useful functions have attracted people’s attention in recent times.
1960년대 이후로 유기는 무겁고 변색이 심해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푸대접을 받으며 스테인리스스틸 그릇이나 플라스틱 그릇에 밀려 사양길에 들어섰다. 하지만 최근 들어 유기의 아름 다움과 견고함,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기 제작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
Korea’s traditional brassware is ordinarily made in three different ways. Jumul brassware is formed by shaping molten brass in a mold, Bangjja brassware is formed by beating, and Banbangjja brassware is formed by both molding and beating. Anseong in Gyeonggi Province is famous as the home of Jumul brassware. Since brass is antibacterial and it becomes discolored by toxins such as agricultural chemicals, brassware was usually used at the Royal Court, and was also used for rituals including the Jongmyojerye (a representative ritual), Sajig-daeje (a grand ritual for the deities of earth and grain), and private
Brassware
다. 불에 녹인 쇳물을 틀에 부어 만드는 주물 유기, 놋쇠를 불에 달궈 수없이 두드려 만드는 방짜유기, 주물기법과 방짜기 법을 혼합한 반방짜 유기가 그것이다. 특히 경기도 안성은 주물유기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향균, 멸균 기능에 농약 성분이나 독성분을 가려내는 특수한 기능 때문에 궁중에서는 음식을 담는 반상기로 사용하였고,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제사로 여겨졌던 종묘제례나 사직대제는 물론이고 여러 문중 에서 제례시 사용하는 제기는 대부분이 유기 제품이었다. 사대부나 지방 부호들은 반상기와 제기를
126
안성유기 공방에 맞춤으로 주문해 제작하였다. 예로부터 안성
family rituals. The gentry and local plutocrats ordered custom-made tableware and ceremonial vessels from brassware studios at Anseong. Anseong Brassware was traditionally well known for all three styles of traditional brassware, namely Jumul and Banbangjja, and the word “anseong-machum” (meaning custom-made to suit the client) comes from this tradition.
유기는 주물과 반방짜 분야에 모두 뛰어나 ‘안성맞춤’이라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김수영은 안성유기의 맥을 잇고 있는 유기장이다. 유기장 초대 인간문화재였던 아버지 김근수
(1916~2009)의 대를 이어 기능보유자가 됐고 지금은 그의 세 아들이 가업을 잇고 있는 3대에 걸친 전통 공예 가문이다.
Kim Soo Young, Holder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77, continues the tradition of Anseong brassware. Like his father, Kim Geun Su (1916 -2009), who was among the earlier holders of the titl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Kim Soo Young became a masterful artisan. Now his three sons are continuing the legacy as the third generation in the family business.
김수영은 어려서부터 보고 듣고 배운 게 유기 다루는 일 뿐이 었다. 1946년에 안성유기공업사를 설립한 그의 아버지는
60년대에 유기가 급격히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기술자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공방들이 문을 닫을 때에도 묵묵히 작업 장을 지키며 전통을 이어나갔다. 덕분에 1983년 주물유기 기능 보유자로 인정됐고 전승공예대전에서의 연이은 입상으로 전통의 아름다움을 대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그는 아들
Kim Soo Young was familiar with brassware from an early age. His father established the Anseong Brassware Industry Co. in 1946. When brassware went out of fashion in the 1960's, many brassware studios closed, and brassware makers went away. Even then, Kim Geun Su continued to carry on the tradition of brassware. As a result of this effort, he was officially acknowledged as an artisan of Jumul brassware in 1983. When he earned a series of awards at the annual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that helped to publicly promote the beauty of the
유기
김수영에게 직접 방짜 망치 두드리는 법을 가르쳐주고 끓는 주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현재 김수영은 아버지에게 배운 기술을 아들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그는 고궁박물관의 종묘, 영월 장릉의 제기를 복원한데 이어 현충사, 경복궁 건청궁, 돈암서원, 황간향교, 전주이씨 효령군파 종중 제기를 전통 방식으로 재현해냈다. 한편으로는 전통공예가 현대감각과 유행을 비껴가서는 살아남기 어렵다는 생각을 가지고 전통을 고수하면서 유기의 현대화, 대중화, 실용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또한 2009년 경기도
127
Metal
안성 봉남동 생가터에 5층 규모의 안성유기박물관을 개관해
brassware tradition. In addition, he attempted to keep the tradition alive by teaching his son, Kim Soo Young, the hammering technique of Bangjja and by showing him how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oiling metal. Kim Soo Young is presently handing over to his sons what he learned from his father.
한국의 유기 역사를 한눈에 조감할 수 있도록 했다. 그는 “가업이라고 해도 3대가 이어지면 사기업이 아닌 사회적 기업이며, 내가 일군 전통은 나 자신의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우리의 훌륭한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보존, 발전시키기 위한 문화재 보호운동을 후원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
After Kim Soo Young restored the ceremonial vessels of Jongmyo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the ceremonial vessels of Jangneung in Yeongwol, he reproduced traditional ceremonial vessels at Hyeonchung-sa, the Geoncheong Palace in the Gyeongbok palace, Donam-Seowon, and the Hwanggan-Seowon Confucian Academy, and also for the Hyoryeong clan of Jeonju Lee. He is also aware that traditional craft cannot survive unless it stays in tune with modern trends and sensibilities. Thus, while he is working to preserve the tradition, he champions the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rassware and seeks to put it to practical use. In 2009, he opened the five-story Anseong Brassware Museum at his long-standing birthplace in Bongnamdong, Anseong, Gyeonggi-do Province. The museum provides a compact over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brassware. He believes that after three generations the family business is no longer private, but has become public, and he does not think that the tradition he has preserved is his alone.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2002년 설립된 문화재청 산하 비영리 단체인 ‘예올’에서 선정한 ‘2013 예올이 뽑은 올해의 장인’ 상을 통해 디자이너 조기상과의 협업으로 유기 테이블 웨어를 제작하였다.
He was selected as the Artisan of the Year in 2013 by Yeol,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was founded in 2002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order to preserve, support and augment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to encourage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Upon receiving the award, he produced brass tableware in collaboration with designer Cho Ki Sang.
Brassware
금속
1
128
유기
Lacquered Brass Tableware set · 옻칠 바름 식기세트 7 cm / 8 cm / 9 cm / 10.5 cm / 13 cm (in association with Yeol) · 예올기획
129
Metal
금속
2
Brass Tableware · 유기그릇
Square Plate · 정사각접시 7.5 × 18.5 × 18.5 cm / 7.5 × 23 × 23 cm Rectangular Plate · 직사각형접시 7.5 × 23 × 14.5 cm Cup · 컵 9 × 8 cm
Brassware
130
유기
Round Plate · 원형접시 6.8 × 16 cm (in association with Yeol) · 예올기획 Bowl · 보울 6.5 × 26 cm (in association with Yeol) · 예올기획
131
Borum · 보름 8.5 cm
(in association with Yeol) · 예올기획
Metal
금속
Kim Soo Young
김수영
The son of late Master Kim Geun Soo (1916.7.12 ~2009.3.6,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77 in Brassware), Kim Soo Young was born in Anseong in 1949. Carrying on his father’s legacy, he has worked to produce Brassware for the last forty years. Despite the difficult and lengthy process needed for its production, he has endeavored to preserve the beauty of brassware and the tradition of Anseong brassware. He specializes in cast brassware (Jumul), which is produced by one of three methods in-cluding ‘Bangjja,’ and ‘Banbangjja’. He received the Prime Minister’s Award at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유기장인 고( 故 ) 김근수 장인의 아들로 1949년 안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이어 40년째 유기를 만드는 일에 매진 하고 있다. 방짜, 주물, 반방짜로 분류되는 유기 전통공법 중 주물 유기로
1979년 <제 4회 인간문화공예전>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였고, 200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유기장으로 인정되었다. 제기 복원 및 재현 사업의 일환으로 2008년 고궁박물관 종묘제기, 2009년 현충사 제기 및 경복궁 건청궁 생활기물을 제작하였다. 2012년 덴마크 왕세자비 방문 기념으로 코펜하겐 협업전시를, 2013년 <브라질 상파울루 한국문화원 개원 전시> 등이 대표 참여 전시이며, 2013년 재단법인 예올에서 선정한
‘올해의 장인’으로, 조기상 디자이너와 협업작품을 내놓았다. 현재 안성마춤
the Fourth Craft Art Exhibition of Human Cultural Treasures in 1979, and was appointed as a brassware artisan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77 in 2008, in cast brassware. As part of the projects to restore and revive ritual vessels, he produced Jongmyo ritual vessels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2008. Also in 2009, he produced ritual vessels at Hyeonchung-sa and everyday items at the Geoncheong Palace, located in the Gyeongbok palace. His major exhibitions include the exhibitions to commemorate the visit of the Crown Princess of Denmark in 2012, and the inauguration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Sao Paulo, Brazil, in 2013. As the Artisan of the Year (designated by Yeol, Korean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in 2013, he presented his work in collaboration with designer Cho Ki Sang. He is currently running a brassware studio, ‘Anseong-machum’. Following in their father’s footsteps, his three sons are working to inherit and enhance the traditional craft of brassware. 3
Brass Tableware · 유기 보관용기 8.5 cm / 8.5 cm / 15.5 cm / 15.5 cm (in association with Yeol) · 예올기획
유기공방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를 이어 김수영 장인 슬하에 3명의 아들도 전통 유기 공예의 발전과 계승에 힘쓰고 있다.
조기상 국민대학교에서 공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이탈리아 IED 대학원에서 요트 디자인 석사 과정을 밟았다. 재단법인 예올이 선정한 ‘2013 예올이 뽑은 올해의 장인’ 프로젝트를 통해 유기장 김수영과 협업으로 유기 테이블 웨어를 디자인하였다. 조기상은 일상생활 속에서 유기가 오랫동안 유용 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단순하고 절제된 구조와 형태로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여기에 디자이너의 감성을 부여하여 제조공정과 재료의 물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토대로 소재 마감에 대한 연구와 실험을 진행하였다. 유기그릇의 안쪽은 담긴 음식이 더욱 귀하게 보이도록 매끄러운 유광으로, 바깥은 매끄러움, 무광, 거침, 옻칠의 4가지 방법을 제안하여 유기로 하여금 더욱 풍부한 감성을 갖도록 디자인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적 감성에 맞는 유기그릇이 탄생하였다.
Cho Ki Sang
Yeol
예올
Yeol, the Korean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is a non-profit
재단법인 예올은 우리의 훌륭한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보존, 발전시키기 위한
organization founded in 2002 under the supervision of
문화재 보호운동을 후원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증진에 이바지하기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preserve, support
위해 2002년 설립된 문화재청 산하 비영리단체이다. 사라져가는 전통공예를
and augment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to encourage
지키기 위해 매년 ‘예올이 뽑은 올해의 장인’ 상을 통해 전통장인을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an attempt to
선정하여 전통공예의 현대화 작업과정을 기획 후원하고 ‘예올이 뽑은 젊은
protect traditional crafts, Yeol annually awards the Artisan of
공예인상’을 통해 ‘미래의 전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젊은 공예작가를
the Year prize to a master artisan of traditional crafts, and
후원하고 있다. ‘유기 tableware’는 예올의 기획으로 2013년 ‘예올이 뽑은
organizes projects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 because
올해의 장인‘ 김수영과 디자이너 조기상과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He graduated from Kookmin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in Industrial Design at the College of Design, and from IED (Istituto Europeo di Design) Italy in Yacht Design. As a designer, he collaborated with brassware artisan Kim Soo Young in a project organized by Yeol, the Korean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He focused on moderating and simplifying the shapes of brassware in order to enhance those durable, functional features that are useful in daily life. In addition, he researched the production process and materials, and conducted numerous experiments to find arrangements of materials suitable for the look of the brassware. The inside of brassware was finished with a shiny surface in order to highlight the food inside, and the outside was finished in four different styles - shiny, matte, rough, and lacquered - to give rich feeling to the brassware, and to appeal to modern people’s sensibilities.
of its interest in the “future of tradition” – it supports young craftsmen with the Yeol’s Young Craftsman award. The brass tableware in this exposition is a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 Cho Ki Sang and artisan Kim Soo Young, who was chosen as the Artisan of the Year by Yeol in 2013.
Brassware
132
유기
133
Metal
금속
Brassware
유기
Lee Yong Gu
이용구
18세기 실학자 유득공은『경도잡지』에서 조선시대 후기 서울
In describing the ordinary life of people in Seoul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Gyeongdojapji, Yu Deuk Gong, a practical science (Silhak) scholar in the eighteenth century, stated “people value brassware highly, and always use brass to make tableware for rice, soup and vegetables”. Korean people have continuously used brassware from ancient times. Besides tableware, brass was widely used in everyday items such as washbowls, chamber pots, candlesticks, and incense burners, and also in religious articles of Buddhism such as small gongs, bells, and ceremonial vessels. Small gongs and larger gongs used in farmers’ folk bands (Nongakdae) were also made of brass. These are called “sound of wind” instruments, because their sound travels far. People believed that since the gong had the energy to bring together many different sounds, it would bring harmony by suppressing noise. So they all had at least one gong in their houses. Gongs were significant in the lives of Korean farmers.
사람들의 생활상을 소개하면서 식생활과 기물과 관련해
‘사람들은 놋그릇(유기)을 중시하여 반드시 밥, 국, 나물을 담는 일체의 식탁용 그릇을 놋쇠로 만든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 민족은 고대로부터 지속적으로 유기를 사용해오고 있다. 식기류 외에도 대야, 요강, 촛대, 향로 등 일상생활의 기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었고, 종교적으로도 불가의 바라, 종, 제기 등을 놋쇠로 제작하였다. 농악대를 위한 꽹과리와 징도 빼놓을 수 없는 유기 제품이다. 농악기 중 징은
‘바람소리’라 하며, 소리가 가장 멀리까지 울리는 악기이다. 징은 여러 소리를 아우르는 기운을 가진 악기라 하여 집에 걸어 두면 잡음 없이 늘 화평하다는 믿음으로 집집마다 하나씩은 가지고 있었다. 그만큼 우리 농촌의 삶과 가까웠다. 징장 이용구 선생이 태어난 함양은 평야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 때문에 예부터 농악이 발달했다. 더구나 함양은 유기 제작의 고장으로 명성이 높았다. 두드려서 만드는 방짜 유기의 최고 전문가들 손에서 만들어진 함양징은 소리가 좋기로 유명했다. 이용구 선생은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징을 만드는 징점에서 허드렛일을 했다. 낮에는 잔심부름과 설거지를 했고 모두가 잠든 새벽에는 몰래 밖으로 나와 징을 만드는 일을 흉내 내곤 했다. 그러던 중 함양징의 큰 맥이었던 최고의 징장이 오덕수 명장 밑에서 본격적으로 징 만드는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다.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시작한 일이었지만 평생을 바쳐 하고 싶은 일을 찾은 그는 검정고무신에 코피가 고여도 모를 정도로 징 만드는 일에 즐거움을 느꼈다고 한다.
Brassware
134
경제개발연대인 1970년대 우리 전통 문화의 입지가 점점 좁아
Hamyang, the hometown of Gong Master Lee Yong Gu, has active performances of farmers’ folk music because of its geographical features surrounded by plains. Hamyang was also famous as the home of brassware. Since the Hamyang gong was made by the masters of hand-beaten Bangjja brassware, its sound was prominent.
지면서 징 만드는 일을 잠시 접어야 했지만 그는 1986년 거창에 터를 잡고 오부자공방을 열었다. 오직 최고의 징을 만들겠다는 열정으로 쉼 없이 놋쇠를 두드린 결과 1988년 전승공예대전을 시작으로 3회 연속 수상의 기록을 남겼다.
1991년엔 이어령 당시 문화부 장관이 추진한 ‘한국표준징소리 찾기 사업’에서 그가 만든 방짜징이 우리나라 최우수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Lee Yong Gu did chores at a studio that produced gongs, at a young age. He did various errands and washed dishes during the day and he secretly mimicked making gongs at night when all others were asleep. Soon he started to receive proper instruction in gong production from Master Oh Deok Su, who was the best craftsman of the Hamyang gong. Although he originally started the job in order to earn a living, he eventually felt that he had found his lifelong vocation. He said that he had felt joyful in making gongs to the point that he could not notice the attendant physical pain.
징으로 선정되며 국립국악원에 영구소장되기도 하였다.
1993년엔 경상남도 무형문화제 제14 호 징장으로 지정되며 우리나라 최고의 징장이 되었다.
‘쇠는 두드리면 두드릴수록 강하다’는 말처럼 방짜징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천 번의 망치질이 필요하다. 구리와 주석을
78대 22의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고 1200℃ 이상에서 용해 하는 것은 그릇을 만드는 것과 같지만 징의 형태를 잡는 공정은 그릇과는 차원이 다른 섬세함과 노력이 필요하다. 밤 11시부터 아침 6시까지 담금질을 해서 쇳물의 색을 맞추고 원하는 소리를 만들기 위해 몇 날 며칠을 두드리며 소리를 잡아야 한다. 단순히 망치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In the 1970’s, when economic development was the most important national agenda item, traditional culture gradually lost its place, and he had to stop working for some time. However, he opened the Obuja studio in Geochang in 1986, and worked hard to produce the best quality gongs. As a result, he won the priz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three consecutive times, starting in 1988. In 1991, his gong was selected as Korea’s best gong during the “Searching for Korea’s Standard Gong Sound” project, which was administered by
유기
소리를 들어야 만들 수 있다. 24년 동안 방짜징을 만들어 왔지만 여전히 소리를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고 그는 말한다.
2005년 징장 전수자인 막내아들 이경동 장인이 가업을 이으 면서 ‘두부자공방 ’으로 상호를 바꿨다. 2012년에는 전통을 이으면서 현대에서 사랑받는 디자인의 유기를 추구하는
‘놋그릇가지런히’ 브랜드를 만들고 ‘놋이공방’을 차렸다. 이용구 선생은 여전히 공방에서 징과 놋그릇을 만들며 방짜 징 만드는 기법을 전수하고 있다.
135
Metal
금속
Lee O Young, then the Minister of Culture, and soon after Lee Yong Gu’s Bangjja gong was purchased and permanently stored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1993, the province of Gyeongsangnam-do chose him as Holder of a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4 in the production of gongs, indicating that he was Korea’s best gong master. In keeping with the saying “the more metal is beaten, the stronger it becomes”, a Bangjja gong requires several thousand repetitions of hammering. As is the case for a vessel, a gong is produced by mixing 78% copper and 22% tin, and melting the metal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1200℃. However, shaping a gong requires a higher level of effort and care than shaping a vessel. After quenching from 11 o’clock at night until 6 o’clock in the morning to balance the color of the metal, it has to be beaten for many days in order to create the proper sound. The maker has to listen to the gong through his whole body as well as hammer it. Lee Yong Gu mentions it is difficult to get the proper sound even though he has made Bangjja gongs for the last twenty-four years. Succeeding to the family business in 2005, his youngest son, Master Lee Gyoung Dong, changed the name of the studio to Dubuja Gongbang In order to provide brassware that can appeal to people’s modern sensibility while continuing the tradition, he introduced the brand “Notgeuleu-gajileonhi” (meaning orderly brass vessels), and launched a studio called “Noshi Gongbang.” Even now Lee Yong Gu continues to teach the techniques of making the Bangjja gong, producing gongs and brassware.
1
Brassware
136
유기
Brass Kettle · 유기 주전자 17 × 19 × 13 cm
137
Metal
금속
Lee Yong Gu
이용구
Master Lee Yong Gu was born in Hamyang in Gyeongsangnam-do, the birthplace of the Hamyang gong (Jing, a percussion instrument made of copper and tin), and has produced the best bangjja gongs and containers for the last seventy years or so. He opened the Obuja studio in Geochang in 1986. Three consecutive times since 1988, he has won the priz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91, his gong was selected as Korea’s best gong during the “Searching for Korea’s Standard Gong Sound” project, and was purchas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1993, the province of Gyeongsangnam-do chose him as Holder of a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4 in the production of gongs. He was chosen to develop Gyeongsangnam-do crafts in 1995, and his Janggo and Samulnori percussion instruments were each officially recommended by Gyeongsangnam-do in 1998 and 2000. He won awards several times as the best gong maker
1936년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났다.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징장으로 70여 년 동안 최고의 방짜징과 그릇을 만들어왔다. 1986년 거창에 오부자공방을 열었고, 1988년 <전승공예대전>을 시작으로 3회 연속 수상 하였으며 1991년 <한국표준 징소리 찾기 사업>에서 우리나라 최우수 징으로 선정되어 국립국악원이 영구 소장하게 되었다. 1993년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징장으로 지정되었고, 1995년에는 경상남도 공예품 개발업체로, 1998년과 2000년도에는 각각 장고와 사물북으로 경상 남도 추천상품으로 지정된 바 있다. 공예품 경진대회에 참여하여 최고의 징장으로서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으며, 2008년에는 <파리 국제 박람회>에 참가하였다. 2012년 징 장 전수자인 아들 이경동과 함께 놋이 브랜드를 론칭하여 지금도 공방에서 징과 놋그릇을 만들며 아들에게 최고의 방짜징과 놋그릇 만드는 기법을 전수하고 있다.
in the Craft Competition. He participated in the Foire de Paris in 2008. In 2012, he launched a new brand, ‘NOSHI’, with his son, Master Lee Gyeong Dong. He produces gongs and brassware at his studio, and has handed over to his son the methods of producing bangjja gongs and brassware.
2
Brass Cooker · 유기솥 13 × 24 × 24 cm
Brassware
138
유기
139
Metal
금속
Silver Inlay
은입사
Lee Gyung No
이경노
역사가들은 고려시대 공예기술의 정수로 은입사기법을 꼽는다.
Historians consider silver inlay to be the best of craft techniques of the Goryeo dynasty. This traditional technique requires grooving the surface of an iron or copper plate with a sharp graver, weaving a thin thread of gold, silver or copper into the grooves, and then beating the surface in order to straighten it out. It was popular among the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who favored ornateness and refinement. The technique was often used for Buddhist items such as incense burners at Buddhist temples - since Buddhism was the official religion of the Goryeo dynasty - and was also used for expensive household ornaments and cigarette cases used by the nobility. Because of its magnificent decorativeness, in the Joseon dynasty the technique was used for office utensils such as writing instrument cases and paper weights, and luxurious everyday items such as incense burners and candleholders. Silver inlay works of these periods are displayed in the metal craft roo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은입사는 예리한 정으로 철판이나 동판의 표면에 홈을 판 뒤 금은동의 재질에서 뽑아낸 얇은 실을 홈 사이에 끼워 넣은 후 두드려 바르게 펴는 우리의 전통기법이다. 화려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을 중시했던 고려시대에 크게 유행했다. 특히 불교가 국가의 종교로 번창했던 고려시대 사찰의 향로 등 불교 용품에 많이 사용되었고, 집안의 값비싼 장식품, 귀족들이 사용하는 담배합 등에 사용되었다. 화려한 장식기법의 특성상 조선시대 들어서는 양반들의 사랑방에 놓였던 필통이나 문진 등 문방구, 향로와 촛대 등 고급 생활용품에 많이 쓰였다. 은입사 장인들의 혼이 담긴 유물들은 국립중앙박물관의 금속공예실 진열장을 채우고 있다.
1000년이 넘게 전해져 내려온 은입사 기법은 고된 노동과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 강도 때문에 현대에 들어서는 그 맥이 근근이 이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경노 장인은 국가 에서 공인한 문화재 수리기능자로 근근이 삶을 이어가면서 전통을 이어가는 몇 안 되는 인물 중의 한 명이다. 전북 남원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로 올라온 뒤 고향 선배의
Due to the labour-intensive process that requires long hours, this silver inlay technique, which has been handed down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is rarely bequeathed, and is learned only with great difficulty. Master Lee Gyung No has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by the government as a repairer of cultural assets, and even in difficult living situations, he is among the very few people who are continuing Korean traditions.
Silver Inlay
소개로 고가구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다. 공장이 운영난으로 문을 닫고 막막해진 상황에서 우연히 서울시 지정 입사장 최교준의 문하에 들어가게 된 것이 40년 전의 일이다. 은입사 작업의 기본은 순도 99%의 은을 1000도에서 녹여 판에 부어 3㎜ 정도로 얇게 밀어 작두로 자르고 이것을 틀에 넣어 열을 가해가면서 가늘게 실로 뽑아내는 것이다.
140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철판이나 동판에 정으로 쪼아
Born in Namwon, Jeonbuk Province, he came to Seoul, and, thanks to the introductions of a hometown friend, started working at a factory that produced upscale furniture. The factory clos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y. At this time, forty years ago, he did not know how to maintain living; however, he fortuitously started studying under Choi Gyo Jun, who was designated as an inlay master by the city of Seoul.
실을 박을 곳의 자리를 잡은 뒤 그것을 박아 넣고 펴야 한다. 정 질을 치밀하고 촘촘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그래야 은실이 제대로 박히고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작은 작품 하나를 만드는 데에도 6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것이 다반사이다. 제대로 된 문헌자료도 없고, 박물관의 유물 보수하는 일 말고는 찾아주는 이도 없다. 작품 하나를 제작하는 데 만 번 이상을 두드려야 하고, 촘촘 하게 박아 넣는 작업을 하느라 눈까지 다 버렸다. 이경노는
The essential technique of producing silver inlay is to melt silver of 99% purity at a thousand degrees Celsius, pour it onto a plate, thinly spread the silver to the thickness of three millimeters, cut it, and heat it in a cast while simultaneously pulling out thin threads from it. This is not the end of the process. An iron or copper plate needs to be grooved with a sharp graver to make places for the thread to be inserted. After the thread is woven through the plate, the plate needs to be beaten until the thread becomes flat. It is important that the engraving is accurate and dense, so that the silver threads get inlaid properly and the detailed patterns are well displayed. Thus it often takes six months to make one piece. There are no useful records of the technique, and available jobs are limited to mending antiquities in museums. The inlay production requires more than ten-thousand hammer blows, and precise inlaying contributes to eyesight deterioration. Because of the physical pain, and the ill health of his eyes,
은입사
육체적 고통과 시력저하로 인해 한때 다른 일을 고려해보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조용한 것을 좋아하고 한 번 일을 잡으면 끝장을 보는 성격이라 은입사 말고는 달리 할 것이 없었다고 한다. 영등포구 독산동 후미진 건물의 계단 밑이 그의 공방이다. 정 작업이 만들어내는 소리 때문에 항상 외진 곳을 찾아 다녀야 하는 일이다. 지금까지 조수도 없이 혼자 일해왔지만 다행히 산업인력공단의 숙련기술전수자로 선정돼 35살 된 아들에게 기술을 전수해줄 수 있게 됐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그는 꾸준히 옛 장인들이 남긴 작품 사진을 보며 이를 되살린 작품을 발표해왔다. 이경노는 은입사 장인들 사이에서 도 정 질을 가장 완벽하게 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세밀한 표현력과 함께 은실이 촘촘히 박힌 그의 작품은 마치 기계로 만든 것처럼 일률적이면서도 손맛이 살아있다.
141
Metal
금속
he had sometimes considered doing other kinds of work, he said. But he enjoys the tranquility of the job, and it is his natural tendency to finish the things that he starts. He tells us that he cannot think of pursuing anything else than making silver inlay. Because of the noise of the hammer blows, the work can only be done somewhere remote. His studio is located under a staircase of a secluded building in Doksan-dong, Yeongdeungpo-gu. He has worked alone until now, but fortunately he can hand down the tradition to his thirty-five-year old son, who has been selected as an inheritor of skillful artistry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Even in a deficient condition, Lee Gyung No has steadily produced works referring to photographs of works made by old masters. His skillful mastery of hammering is well recognized by other masters of silver inlay. The detailed shapes and dense arrays of silver threads of his works are uniform and regular, as if they were made by machines, but they carry the tasteful touch of human hands.
1
Silver Inlay
142
Silver Inlaid Brazier · 은입사 화로 18.5 × 18.5 × 18.5 cm
은입사
143
Metal
2
Silver Inlaid Box · 은입사 사각함 8.5 × 16 × 11.5 cm
4
3
Silver Inlay
금속
Silver Inlaid Box · 은입사 사각함 7.5 × 21 × 13 cm
Silver Inlaid Box · 은입사 사각함 8 × 21 × 9.3 cm
144
5
은입사
Silver Inlaid Box · 은입사 사각함 5 × 11 × 8.5 cm
145
Metal
Lee Gyung No
이경노
Born in Namwon, Jeonbuk Province, Lee Gyung No came to Seoul, and at first worked at a factory that produced upscale furniture. The factory clos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y. He fortuitously started studying under Choi Gyo Jun, who was designated as an inlay master by the city of Seoul. In 1987, Lee Gyung No was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s a restorer of cultural assets. He has won more than ten awards, such as the Award of Encouragement, and the Special Award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for a silver-inlaid bowl with a lid, a tobacco container, and other objects. In 1996 , he won the Prime Minister ’s Award for a Buddhist rosary case decorated with silver and gold threads. The inlay process requires more than ten-thousand hammer blows to make one piece. Because of noise, it was difficult to get a studio. However, he has maintained his small studio in a secluded place in Doksan-dong for forty years. His son has been selected as an inheritor of skillful artistry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is learning the skills from him.
전북 남원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로 올라온 뒤 고가구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다. 공장이 운영난으로 어려워진 상황에 우연히 서울시 지정 입사장 최교준 선생을 만나 그의 문하생으로 들어가게 된다. 1987년 국가 지정 문화재 수리 기능자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에서 은입사합, 답배합 등으로 장려상, 특별상 등 10차례 이상 수상하였고, 1996년에는 철제입사염 주합으로 대상인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작품 하나를 제작하는 데 만 번 이상을 두드려야 하는 작업 성격 때문에 주변의 소음으로 인한 불평 등으로 작업실을 구하는 일도 쉽지 않았지만, 40년 동안 꾸준히 외진 독산동 작은 공방을 지켜오고 있다. 현재 산업인력공단의 숙련기술전수자로 선정되어 아들에게 기술을 전수해주고 있다.
Bamboo 대나무
Silver Inlay
146
Bamboo
대나무
Woven Bamboo Screen
대나무 발
Cho Daeyong
조대용
The Bal (meaning woven screen), which was made by weaving thinly split bamboo or reeds, was a useful daily item. It was used as a space divider in a traditional Korean house, or for blocking sunlight while letting wind circulate in summer. Because it makes the inside quite dark and protects privacy, it was traditionally used as a symbol to represent the sacred place of a King or a noble person. Among commoners, it was used to hide the face of the bride in a palanquin at a wedding. It was also used as an ornament with beautiful inscribed images.
가늘게 쪼갠 대나무나 갈대 등을 엮어서 만드는 발은 한국의 전통 가옥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혹은 여름철에 햇볕을 가리고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실용적인 생활용품 이었다. 안쪽과 바깥쪽의 명암 차이로 인해 사적인 공간을 확보 하는 기능을 지녀 오래 전부터 왕이나 귀한 사람의 성역을 표시하는 상징적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민간에서는 혼례 때 가마에 발을 드리워 신부의 얼굴을 가리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아름다운 문양을 넣어 장식품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염장이란 발을 엮어 만드는 장인을 가리킨다. 조대용 선생은
4대째 통영 대발을 제작해오고 있다. 그의 대발 계보는
“Yeomjang” refers to an artisan who weaves the screen. Cho Daeyong is the fourth generation to produce Tongyeong bamboo screens. In 1856, his great-grandfather, Cho Nak Sin, who was born in 1831, made a woven screen to amuse himself while waiting to start work after passing the army examination. He presented it to the king, who was quite satisfied with it. His skill with bamboo screens was handed down to Cho Daeyong’s grandfather, Cho Seong Yun; and again to Cho Jae Gyu, Cho Daeyong’s late father. Cho Jae Gyu wove bamboo screens as a hobby, and in his 60s he became serious about it. He won prizes at various craft competitions and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Woven Bamboo Screen
약 150년 전 증조부인 조낙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831년 생인 조낙신은 1856년 무과에 급제해 직책을 기다리던 중 소일거리로 발을 엮어 임금에게 진상했는데 임금이 이를 매우 흡족해하였다. 증조부 조낙신의 대발 기술은 조부 조성윤에게로 이어졌고, 이는 다시 그의 아들인 조대용의 선친 조재규 선생에게 전해졌다. 소일거리로 대발을 하다가 60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대발 일을 하면서 각종 공예대회와 전승공예 대전에서 상을 받았다. 조대용 선생은 10대부터
대발은 재료 준비에서부터 많은 시간과 정성이 들어간다.
Cho Daeyong started to learn the technique as a teenager, while helping his father. He trimmed and cut bamboo. Sometimes he helped to make screens without patterns. And in 1974, he began to make his own work.
보통 대발에 쓰는 대는 음력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채취한다.
3년 생 대나무가 가장 좋다고 한다. 대나무는 발 너비 길이로 잘라 2개월간 햇볕에 말리고 서리와 이슬 맺히기를 반복한 뒤 가늘게 쪼개 양잿물에서 끓이다가 뜨거울 때 모양을
Bamboo screens require many hours and much effort, starting with the material. Usually bamboo that is used to make screens is collected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by the lunar calendar. Three-year-old bamboo is the best. The bamboo is cut into pieces the width of a person’s foot, and gets dried by the sun for two months. After it is repeatedly exposed to frost and dew, it is split and boiled in lye. While it is still hot, it needs to be shaped properly. Then it is allowed to cool down, and trimmed to 5 millimeters for weaving. Making one bamboo screen requires a tremendous amount of work. These days the style of housing has changed, and air conditioners have become widely available; so demand for bamboo screens has drastically decreased. Accordingly, it is impossible to make
바르게 고른 뒤 식힌다. 이것을 5㎜ 정도 되게 다듬어 발을 엮는다. 발 하나 만드는 데 만 번 이상의 손길이 가야 할 정도로, 발 제작은 힘든 작업이다. 주거형태도 바뀌고, 에어컨 등 냉방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발의 수요는 현격히 줄어들었다. 이런 현실에서 발 제작만으로 생계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조대용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꾸준히 발을 제작 하고 있다. 덕분에 1995년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을 수상하고,
2001년엔 중요무형문화재 제114호 염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과거의 기술을 습득한 장인으로서 그는 요긴한 생활용품 이었던 발을 아름다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다.
아버지의 일을 도우면서 일을 배웠다. 대나무 가지를 다듬고 , 자르고 가끔 무늬 없는 발 만드는 일을 거들다 1974년부터 본격적으로 발 제작을 시작하였다.
148
대나무 발
149
Bamboo
대나무
a living just by making bamboo screens. Cho Daeyong still produces bamboo screens while doing other jobs. He won the President’s Award at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95, and he was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14 as artisan of woven bamboo screens. With his knowledge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he strives to reinvent the practical everyday woven screen into an engaging artwork.
1 Woven Bamboo Screen · 발 48 × 85 cm
Woven Bamboo Screen
150
대나무 발
151
Bamboo
Cho Daeyong
조대용
Cho Daeyoung was born in Gwangdo-myeon, Gyeongnam Province, in 1950. In 1996, he started to learn the bamboo screen craft from his father, Cho Jae Gyu, making him the fourth generation of the family business. His work was selected for the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rt Exhibition in 1982. Since then, he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the Special Award, the Award of the Minister of Culture, and the President’s Award. In 2001, he was designated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no. 114 as an artisan of woven bamboo screens. In 2007, he had his first solo exhibition, supported by the Arts Council,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nother solo exhibition at Nanum Gallery. In the same year, he showed his work at the Sulwhasoo Exhibition, administered by Amore Cosmetics. He had exhibitions in which he demonstrated the production of bamboo screens at various places, such as the folk village in Nagoya and a folk art university in Kyoto, both in Japan, in 2001 and 2003; the International Exposition in Paris, France, in 2005; and at an invitational exhibition at The 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Greater New York, in 2006. In additio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ublished his book, Master of Woven Bamboo Screen, and he reproduced Sinryeom at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ich is currently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1950년 경남 광도면에서 태어났다, 1996년 부친 조재규로부터 ‘발’ 제작 사사를 시작하여 4대째 가업을 이어나가게 되었다. 1982년 전승 공예대전 입선을 시작으로 특별상, 문화부 장관상, 대통령상등 수상하였고,
200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4호 염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2007년 문화재청, 예술위원회의 후원으로 첫 개인전을 가졌고, 아모레 화장품 주최의
<설화수>전, 갤러리 나눔에서 개인전 등을 개최하였다. 2001, 2003년 일본 나고야 민속촌 및 교토 민속예술대학에서 작품 제작 시연 전시를 개최 하였고, 2005년 프랑스 파리 국제박람회, 2006년 뉴욕 한인회 추석맞이 초청전시 시연 행사에 참여하였다. 그 외, 문화재연구서에서 발행 하는『염장』책을 발간하였고, 종묘 ‘신렴’ 재현 제작을 하여 현재 고궁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Performance 공연
Woven Bamboo Screen
152
Performance
공연
Wax Flower Arrangement
윤회매
Kim Chang Duk
김창덕
한국보다 미국, 독일, 베네수엘라, 영국, 일본 등지에서 종합
Kim Chang Duk is better known as a total artist (one who is not confined by any one medium or discipline) in America, Germany, Venezuela, England and Japan than in his own country of Korea. He has an unusual profile. He left home at the age of fourteen and became a Buddhist monk. He practiced as a monk at different temples such as Beomeo-sa, Taean-sa and Gaeam-sa until he quit the priesthood and returned to secular life twenty years ago in 1994. He studied the history of Buddhist art as a graduate student of Buddhism at Dongguk University, and presently he is working as an artist in different genres. He does performance art and also makes plum wax flower arrangement (Yunhoemae). These wax flowers (Samsara plum flowers) indicate the Buddhist concept of samsara(Yunhoe), the cycle of death and rebirth to which life in the material world is bound.
예술가로 그 이름이 더 알려져있는 김창덕은 독특한 이력의 작가이다. 그는 14세 때에 출가해 승려가 된 뒤 범어사, 태안사, 개암사 등에서 수행하였으나 20년 전인 1994년 환속했다. 그는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불교미술사를 전공 했으며 현재는 윤회매 제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연예술을 통해 작업세계를 넓혀가고 있다. 그가 출가한 이유도 특이하다. 어머니 손을 잡고 찾아간 인천 의 수도사에서 사찰의 단청에 매료돼 승려가 되기로 결심했다. 사찰의 황홀한 장엄에 이끌려 출가한 그는 선승들이 수행을 목적으로 그리는 선화에 빠져 수많은 밤을 지새운다. 그는 그림에 이어 불교음악과 춤에도 재능을 보여 무형문화재인 정지광 스님으로부터 불교음악인 범패와 불교 무용인 범무를 전수받았고, 자기 수양으로서 다도에도 심취했다. 그림, 춤, 음악, 다도 등을 참선 수행의 수단으로 여기며 대중과도 활발한 소통을 해오던 그는 어느 날 운명적인
He had an atypical motivation to become a monk. When he visited a Buddhist temple in Incheon with his mother, he was enchanted by the paintings on the walls of the temple and decided to join the priesthood. He was captivated by the ecstatic majesty of Buddhist temples, and he spent most of his time doing line painting, which was practiced by Buddhist monks for meditation. He also showed talents in Buddhist music and dance, and he learned Buddhist music Bumpae and Buddhist music Beommu from monk Jeong Ji Gwang, an
Wax Flower Arrangement
사랑을 만났다. 6년간의 번뇌 끝에 그는 20년 동안의 승려 신분을 버리고 사랑을 선택했다.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In addition, he ardently practiced tea ceremony for self-cultivation. While he was pursuing life as a monk through these various practices, he was actively engaged in connecting with people in secular life. On one of these occasions, he met the love of his life. Six agonizing years after that encounter, he decided to quit the priesthood after twenty years of Buddhist practice in order to be with his loved one.
채집해 꿀을 만들고 그 꿀에서 밀랍이 생기고 그 밀랍이 다시 매화가 되니 이 모든 것이 돌고 도는 윤회와 같다는 의미에서 ‘윤회매(輪廻梅)’라고 이름 붙였다. 이덕무는 차 문화의 소산으로 불교적 윤회사상과 고결한 선비정신을 결합한 윤회매를 창제하고 ‘윤회매십전’에 제작방법과 정신을 기록으로 남겼다. 문헌을 통해 이덕무의 윤회매를 접한 김창덕은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윤회매의 재현에 성공했다. 이후 이덕무의 사상과 정신까지 되살리려 부단히 노력 하며 창작의 혼을 불태운다. 16년의 수련을 거친 후 마침내
He had another fateful encounter. While practicing as a monk, he came across a manuscript by Lee Deuk Mu, a practical science (Silhak) scholar from the late Joseon period. Lee Deuk Mu was the illegitimate son of a nobleman and his common-born mistress. He had to lead a poor, harsh life because of his social status, yet he did not lose his virtue or his decency. He made plum flowers with beeswax and enjoyed looking at them while he took his tea. Bees collect pollen from flowers, and make honey and beeswax, and that beeswax becomes
그만의 독자적 작품세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백자 달항아리에 화려하게 핀 홍매와 쪽빛 매화를 비롯해 청자, 백자, 분청 등과 절묘하게 어우러진 홍매, 백매, 청매, 흑매 등 수행을 거쳐 제작된 그의 윤회매에서는 청빈함 속에서 도 품위를 잃지 않았던 옛 선비의 기개가 느껴진다.
그에게 또 다른 운명적인 만남이 있었다. 불교적 수행 속에서 그는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의 삶을 만나며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이덕무는 서자 출신으로 출생신분이 낳은 필연 적인 가난과 고난으로 인해 일상 자체가 고된 수행의 과정이었지만 격을 잃지 않고 고결한 정신을 간직했다.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 실학자인 이덕무는 밀랍으로 매화꽃을 만들어 다기 옆에 놓고 감상하기를 즐겼다. 벌이 꽃가루를
154
윤회매
155
Performance
공연
flowers. All of these sequenced events show cycles of life, which is an essential concept in Buddhism. Thus he named the flowers “Samsara plum flowers”. As part of the tea drinking culture, he invented these flowers in order to combine the precepts of Buddhism and the virtue of a noble person. Lee Deuk Mu recorded his production method and his concept in the manuscript “Yunhoemae-sibjeon”. After studying Lee Deuk Mu’s manuscript, Kim Chang Duk made many mistakes, but he finally reproduced Samsara plum flowers. He continued to make the flowers as part of his artistic repertoire, trying to convey Lee Deuk Mu’s ideas and spirit. After sixteen years of practice, he could begin to create his own beeswax flowers. He has produced magnificent red and indigo plum flowers in a rounded, white porcelain vase, and red, white, blue, and black plum flowers beautifully matched with a celadon ceramic vase, a white porcelain vase, and a Bunchung ceramic vase. These flowers transmit the spirit of those scholars of previous times who kept their nobility and their dignity even in scant and modest circumstances.
1 Wax Flower Arrangement in Deombeong Bunchung Jar by Park Sung Wook · 박성욱 덤벙분청 항아리에 윤회매 90 × 60 × 80 cm
Wax Flower Arrangement
156
윤회매
157
Performance
Wax Flower Arrangement
158
공연
윤회매
159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Exhibition Title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Period April 14–19, 2015 Venue La Triennale di Milano, Italy Hos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ublic of Korea Organized by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Planning Committee Members Park Young Kyu - Honorary Prof. / Yongin University Seo Do Sik - Prof. / College of Fine Arts /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Kwangjin - Chief Director / Association of Korean Crafts Council Lee Sungsoon - Prof. / College of Art & Design / Ewha Women’s University Lee Chil Yong - President / Korea Crafts Artists Association Chang Myung Sook - Expert Consultant of Italy Chung Yountaek - Prof. / Fashion, Textile & Ceramics / Myongji College Cho Hyeyoung - Exhibition Director / Cheongju Intl. Craft Biennale 2015
Published by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Publisher Choi Jeung Cheol
Coordinated by Kim Seung Bae, Kang Hye Won,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Division of Programs, Relationships & Cooperation Team
Published on April 6, 2015
Working Group Im Jeong Ae Exhibition Designed by Origoni Steiner architetti associati with Roberta Molaschi, Cecilia Barabaschi, Silvia Liuzzo and with the collaboration of Labaula estudi
기획위원.
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5
박영규 - 용인대학교 명예교수
전시기간
서도식 -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공예) 교수
2015년 4월 14일~19일 전시장소
La Triennale di Milano, Italy
이성순 - 이화여대 조형예술학과 교수 이칠용 - 한국공예예술가협회 회장 장명숙 - 밀라노 전문위원
주최
정연택 - 명지전문대 패션텍스타일세라믹학과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조혜영 - 2015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전시감독
Address 5F Haeyoung bldg, Yulgok-ro 53, Jongno-gu, Seoul, Korea, 110-240 Telephone +82-2-398-7944 Website http://www.kcdf.kr/
Supported by Jinan Red Ginseng Wine Corp.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발행처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예술감독
발행인
박여숙
최정철
총괄진행
발행일
김승배, 강혜원,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교류협력팀
2015. 4. 6.
글
주소
함혜리 서울 신문 문화부 선임기자
110-240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53 해영회관 5층
워킹그룹
전화
임정애
02-398-7944
전시디자인
홈페이지
Origoni Steiner architetti associati with Roberta Molaschi, Cecilia Barabaschi, Silvia Liuzzo and with the collaboration of Labaula estudi
http://www.kcdf.kr/
출판디자인
진안홍삼주(유)
하이파이
Publication Designed by haifai
영상제작
Video Produced by image Joom
사진
Photographed by San Studio
홍보(Italy)
Publicized in Italy by Encanto Public Relations
이광진 - (사)한국공예가협회 이사장
주관
Creative Director Park Ryu Sook
Texts written by Hahm Hyerie (Journalist, Chief Editor in Culture for the Seoul Daily)
전시명
이미지 줌
산스튜디오
Encanto Public Relations
협찬
© Copyright of this publication belongs to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The contents and photos of this book belong to each author and cannot be used without the author’s permission. © 2015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 본 출판물의 저작권은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 있습니다. 이 책에 실린 글과 사진은 각 필자와 저작자에게 있으며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