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from the Arms Trade and the Response of Civil Society
October 2017 HANUI / Research & Planning Dept. Manager, PEACEMOMO
In his opening speech for the 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ADEX”) on October 17, 2017, President Moon Jae-in stated, “we need to quickly adopt advanced, highperformance weapons systems that we can protect ourself from the security threats of North Korea,” and emphasized that his administration will lead a “Responsible National Defense.” He added that the Korean defense industry must become more sophisticated, export-driven, and focused on becoming globally competitive, in harmon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on Administration is not the only one to emphasize growth of the defense industr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eclared that Korea will “sell customized weapons to areas of dispute and become the 7th largest exporter of weapons in the world by 2020,” an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claimed that it would make the defense industry a core segment of its Creative Economy plan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claring that it will promote the defense industry, it continues to remain silent about the fact that Korean weapons were: exported to Bahrain and Turkey and used to kill and injure many people; exported to countries in conflict, such as Indonesia, Saudi Arabia, Pakistan and Israel; and used to violate human rights. As Korea’s administrations continue to support the defense industry, and the corruption scandals continue to occur, the government claims that it is strongly committed to stemming off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However, this has been terribly slow, and without verifiable results. For whom is the Korean government promoting its so-called advanced, export-driven, global defense industry, and towards peace for whom?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truth of the arms trade,” of the many problems of the Korean defense industry, and why the arms trade is related to corruption. I would also like to introduce how Korean civil society is reacting to these situations, and what further actions are necessary.
1
The Arms Trade - An Indispensable Cause of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The Joint Defense Industry Corruption Investigation Task Force, formed when the corruption surfaced surrounding two warships, the Tongyoung and the Sohae, announced its interim report on July 15, 2015. It largely categorized the causes of defense industry corruption into four categories: failure of the monitoring and supervising systems governing the entire process of defense-related projects; failure of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preventing corruption (such as the Defense Security Command and th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to serve their own purposes; the closed, hierarchical military-style culture (characterized by top-down decision making and back-scratching between current and former civil personnel and military officers); and a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civil servants in charge of defense-related projects.1 The defense industry has been excessively favored by the government from its birth and has grown abnormally large, as it was needed by the government.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 public to closely monitor and supervise the industry, because of the secrecy surround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a few military officers and high-ranking civil officials took turns to become private military contractors and returned to public positions. This created a hotbed of corruption. The analysis of the Joint Defense Industry Corruption Investigation Task Force confir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main causes of corruption. However, there is one more cause - the arms trade. Once in place, this kind of corruption becomes too broad to be regarded as a problem of an individual arms dealer in the course of his/her lobbying. In fact, this kind of corruption cannot be regarded as an individual’s crime, because the weapons are usually traded between countries. National Assemblyman Kim Jong-dae of the Justice Party has pointed out that the Korean government, when dealing with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turns a blind eye to highly sophisticated lobbying in the arms trade where politicians and retired military officers influence the government to put higher priority on certain weapons systems by exaggerating certain threats from North Korea2. A statement from Andrew Feinstein of Corruption Watch, an international corruption watchdog, supports the claims of Assemblyman Kim that about 40% of all corruption cases in global trade takes place in the sale and purchase of weapons.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Defense claim that Korea must have certain weapons to cope with the threat of North Korea, taking advantag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rms dealers and other stakeholders are also engaged in sophisticated lobbying, as they connect certain companies with the government.
1
The Joint Defense Industry Corruption Investigation Task Force was formed on November 21, 2014 and announced its interim report seven months later, in July 15, 2015. To see the report, refer to: http://www.spo.go.kr/seoul/notice/notice/notice01.jsp?mode=view&board_no=116&article_no=600537
2
The True Driver of Corruption in Defense Industry, by Kim, Jong-dae. The Two Koreas, December 11, 2014. (http://2korea.hani.co.kr/?document_srl=324157)
2
The 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Where It All Starts The 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ADEX) is the largest bi-annual defense industry exhibition in Korea, hosted by the Korea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the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and KOTRA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the Army Headquarters, the Air Force Headquarters, the Marine Corps and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3 When the Ministry of Defense announced ADEX, it claimed that it would offer the opportunity to see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world’s most advanced aircraft and defense technologies and that it aims to promote the export of Korean defense products and technological exchange with foreign companies. This year, 386 companies (208 Korean and 178 foreign) from 32 countries are to participate. As ADEX claims to support practical military diplomacy and robust business for Korean aerospace and defense companies, high-ranking civil servants from different bod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er of Defense, Chiefs of Staff of each branch of the Korean armed forces, defense experts, representatives of the world’s defense companies, and arms dealers participate. In other words, ADEX is not just a defense industry exhibition - it is an arms trade market where a significantly large amount of arms are sold. At ADEX, which is held under the facade of promoting the defense industry, inhumane weapons (including cluster bombs which are internationally prohibited) are sold openly by many manufacturers. Hanwha and Poongsan are the two Korean companies who manufacture cluster bombs, which ar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humane weapons as they kill indiscriminately over a broad area. Many countries signed the Convention on Cluster Munitions, which internationally prohibits the use, production, stocking and transfer of cluster bombs, in 2008. However, those nations that did not sign the Convention, including the US, China, India, Israel and Korea, participate in ADEX. This is not all. In the America Booth are the world’s 10 largest defense contractors, including Lockheed Martin (the world’s largest), Boeing, Northrop Grumman, and Raytheon. They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ver many countries, including those which are in armed disputes, to sell their weapons, and Korea is one of their attractive targets, who signed a contract with Lockheed Martin to buy 40 F35s, even though Lockheed Martin refused to transfer the core technologies, and allowing the US to deploy the THAAD system (another Lockheed Martin product) on its soil, ignoring the local residents and democratic process. These companies of war will be seeking other local communities in which to deploy their weapons, and it will be the residents of those communities who will be forced to bear all the associated evils of such weapons. In terms of the damage to civilians, the Israel Booth at ADEX, where representatives of Israeli defense contractors and related government offices can be found, tops the list. Israel is one of the major weapons manufacturing and exporting nations and is home to many weapon manufacturers whose 3
See the ADEX 2017 website: http://www.seouladex.com/intro.asp
3
products are used to occupy and bomb Palestine. Israeli defense contractors often boast of the performance of their new weapons during air raids, using Palestine as a test bed for their new items. Korea imports and uses such weapons.4 Although the arms trade is socially controversial, it is carried out secretly to protect “national security,” thus access is extremely restricted to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y arms deals. Governments, defense contractors and arms dealers covertly handle the production, purchase and sale of certain weapons systems, such as the F-35 and THAAD. Many companies participating in ADEX are inciting armed disputes and taking life in all corners of the world, for their own profit. It is on the floors of ADEX where weapons banned and despis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ir inhumane killing methods are exhibited and sold without regulation or principle. The more weapons are sold at ADEX, the greater the corruption gets. Such defense industry exhibitions are where the killing weapons are promoted and the corruption of the defense industry begins.
Resistance Against ADEX: Civil Society’s Response to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While the defense industry feeds off corruption, civil society has been trying to stem it off. In a country where the claim that more weapons and a stronger military will protec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still finds traction, Korean civil society has been claiming that promotion of the defense industry only deepens the chasms between the two Koreas and between surrounding nations. Korean civil society has introduced various and multi-tiered programs, such as policies to fundamentally root out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and campaigns and activities to raise social awareness. One of them is ‘Resistance Against ADEX,’ an organization that exposes the truth of the arms trade. Resistance Against ADEX is an association of civil groups who believe that ADEX is a problem. 5 Before Resistance Against ADEX, there was the Peace & Arms Reduction Exhibition - a week-long annual festival of campaigns, exhibitions and lectures for citizens on peace, arms reduction and truth about the arms trade. Resistance Against ADEX started to shape up as an association from 2013, and it implements its campaigns during the same period as ADEX takes place. Resistance Against ADEX intends to expose the exhibition where killing weapons are traded and inform society of the truth about such defense industry exhibitions to the stakeholders of ADEX (i.e. professional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i.e. general visitors). One of the programs for professional visitors is the Rally at the Welcome Reception. On the welcome reception day, when
4
‘You Can’t Buy Peace with Weapons,’ Information Booklet from the Peace & Arms Reduction Exhibition 2013
5
See the Resistance Against ADEX website for more information (http://stopadex.org/)
4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efense experts and arms dealers get together for a dinner to kick off the ADEX, Resistance Against ADEX seeks to publicize their acts and deliver the message in or outside the reception place to let them know that Korean civil society does not welcome them. Then during the weekend days of ADEX, a campaign focusing on the general visitors takes place. The general public may perceive ADEX as a contributor to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the huge arms deals and an entertainment opportunity with its cutting-edge weapons exhibits and air shows. But no one tells them where the weapons end up. While the displays of cluster bombs sit on its neat and tidy exhibition floor, ADEX does not tell people that the bomb can level an area as large as several football fields and kill everything within that area, and that tens of thousands of people have already been killed in just such a way. No one tells the general public that those fighter jets dressed up for the air show flying their magnificent aerial stunts are simply cleaned-up military versions which drop bombs on innocent civilians. Weapons systems becoming higher-tech and higher-performance, means they are more fatal and cause greater casualties - what weapons manufacturer would want to tell such things to the general public? So this is what Resistance Against ADEX intends to do: educate the general public about what the arms trade actually involves and create consensus that the import and export of arms must be transparent and be controlled and monitored by the general public. While the scale and history of ADEX has been growing over the years, Resistance Against ADEX is only three years old and small. More people are needed to participate in its activities, and more communities must become aware of the truth about the arms trade and speak up against its evils.
Increasing the Scope of Civil Society’s Response and Changing Public Awareness of the Defense Industry In Korea, memories of the Korean War still scare many and create social conflict. It is never easy to suggest that the nation needs to reduce its arsenal or expose the problems related to Korean weapon development and the defense industry. Those who oppose the expansion of armaments are often labeled as traitors, and those who claim that the Korean defense industry must become transparent are often overrun by their opponents’ chain of logic: pursuit of transparency slows down localization of weapons, weaken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nders Korea incapable of defending itself against the North. The fact that Korea ranks 10th in the world in terms of armaments and 9th in terms of weapons imports falls on deaf ears. Civil society has been voicing concerns about and taking action against defense industry corruption, but such efforts are relatively insignificant in a society still under its own “red scare”. For civil society to realize its goals of social awareness, monitoring, and transparency, it needs to focus more on having the general public see the defense and weapons industry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civil society must inform the general public of the truth. We need to raise awareness that protecting oneself often means attacking others, and a strong military force may act as an obstacle to peace. Of course,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pt such a different perspective, it needs to understand what 5
a life of peaceful coexistence looks like. Only when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s this, can it accept the idea of peaceful coexistence, and we can break through the barrier of “us vs. them� and free ourselves from the stereotype we have built for ourselv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auses of corruption in the defense industry and remove these causes. It is just as important for civil society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truth of the arms trade and the horrors for which it is responsible. It is obvious that the efforts of civil society, such as those of Resistance Against ADEX, have made a crack in the giant that is the defense industry. For this crack to grow and other cracks to appear, the general public need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meaning and effects of the arms trade and related corruption. There is no peace in a society where weapons are celebrated.
* This essay is the fourth essay written for the 2017 English Peace Report Project of the Civil Peace Forum, under the sponsorship of Friedrich-Ebert-Stiftung Korea Office.
6
무기거래가 초래하는 방산비리 문제와 시민사회의 대응방안
2017년 10월 하늬 / 피스모모 연구기획팀장
2017년 10월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의 개막식에서 ‘북한의 안보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지켜낼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첨단무기체계를 조속히 전력화’해야 함을 언급하고 책임국방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선진 방위산업과 수출형 글로벌 방위산업으로 발전해야 함을 덧붙였다. 한국정부가 방위산업 육성을 강조한 것은 문재인 정부만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는 ‘2020년까지 무기 수출 세계 7위를 목표로 분쟁지역에 맞춤형 무기를 판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고, 박근혜 정부는 ‘방위산업을 창조경제의 핵심 분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방위산업 육성을 주장하면서 국산 무기가 바레인과 터키에 수출 되어 수많은 사상자를 낸 역사는 밝히지 않았고,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파키 스탄, 이스라엘 등 분쟁국가이거나 소수민족을 탄압하는 인권침해의 도구로 사용됨 에 대해서는 입을 닫았다. 방위산업이 육성되면서 멈출 줄 모르고 지속적으로 제기 되는 방산비리에 대해서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며 방산비리 척결을 약속했으나 보 이는 것과 다르게 진행 속도는 굉장히 느리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 과연, 정부가 주장하는 선진 방위산업과 수출형 글로벌 방위산업은 누구를 위한 것이며, 누구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것일까. 이 글은 한국의 방위산업이 가진 문제점 중에서 무기거래의 이면 에 대해 짚어 보 고, 왜 무기거래가 방산비리와 연결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시민 사회가 어떻게 대응하고 노력하고 있으며 무엇이 더 필요한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 야기를 하고자 한다.
1
무기거래, 방산비리에서 빠질 수 없는 원인 통영함·소해함 납품 비리 적발을 계기로 꾸려진 방위사업비리 합동수사단은 2015년 7월 15일 그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했다. 수사결과에 따르면, 방위산업 비리 원인은 크게 네 가지이다. 방위사업 절차 전반에 대한 감시·감독 시스템이 미흡하며 기무 사·국방기술품질원 등 비리 예방 기관 역시 그 역할이 미흡했다. 또한 폐쇄적 계급 문화에 기인한 상명하복식 의사결정 및 퇴직 후의 유착관계가 발생하면서 이루어지 는 회전문 인사 그리고 방위사업 업무 담당자들의 전문성 부족을 원인으로 보고 있 다.1 방위산업은 정부의 수요창출로 인해 만들어진 산업분야이기 때문에 태생부터 정부의 지나친 특혜를 받고 비정상적으로 성장했다. 군사기밀을 이유로 한 극히 제한적인 정보 접근성은 철저한 관리감독을 매우 어렵게 만들었으며, 퇴역 장성들과 정부 고 위 관계자, 군수산업으로 이어지는 회전문 인사가 만들어내는 부패는 이들의 유착관 계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 같은 구조적인 요인은 합동수사단에서 분석했던 요인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적인 시각에서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할 부 분이 ‘무기거가 초래하는 방산비리’이다. 단순히 무기중개상의 로비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적인 문제라고 취급하기에는 그 규모가 상당하고, 무기거래가 국가 간 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코 개별적인 사건으로만 치부될 수 없는 문제이다.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방산비리라는 표현에 ‘고차원적인 무기거래 로비’를 누락시 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특히 북한의 특정한 위협을 부풀려 특정 무기체계 도입의 우 선순위를 상향조정하는데 정치권력과 예비역들이 가담하는 행태는 방산비리라는 표 현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2 김종대 의원의 문제제기를 뒷받침해 주듯이, 국제적인 부패 감시 단체 코럽션워치(Corruption Watch)의 앤드류 파인스타인(Andrew Feinstein)에 따르면, 전 세계 무역 시장의 부패 사건 가운데 40%가 무기 거래에 집 중되어 있다고 한다. 정부와 국방부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이용해 북의 위협 에 대비하기 위해 특정 무기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와 더불어 무기중개상과 관련 이해관계자들은 특정 업체와 한국정부를 연결하며 고차원적인 로비활동을 벌이 고 있다.
1
2014년 11월 21일 방위사업비리 합동수사단이 출범했으며, 약 7개월이 지난 2017년 7월에 중간 수사결과 를 발표했다. 수사결과 확인 (http://www.spo.go.kr/seoul/notice/notice/notice01.jsp?mode=view&board_no=116&article_no=600537)
2
방산비리의 진정한 배후, 김종대, 2014년 12월 11일, 투코리아 (http://2korea.hani.co.kr/?document_srl=324157)
2
서울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방산비리는 여기서 시작 된다 매년 2년마다 열리는 서울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3 는 (Seoul International Aerospace & Defense exhibition 2017, ADEX 이하 아덱스)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 회, 한국방위산업진흥회, KOTRA가 주최하고 국방부, 육·공군본부, 해병대, 방위사업 청 등이 후원을 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 전시회이다. 국방부는 아덱스 개최 를 발표하면서 ‘세계 최첨단 항공기와 방위산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방산제품의 수출기회 확대와 해외 업체와의 기술교 류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아덱스에는 32개국에서 386개 업체(국내 208개, 해외 178개)가 참여할 예정이다. ‘실질적인 군사외교’와 ‘국내 항공우주 방산제품에 대한 활발한 비즈니스’를 기 대하는 만큼 아덱스에는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관계부처의 고위 관계자, 각 군 총장 및 국방 전문가들과 세계 각국의 방위산업체 및 무기중개상들이 대거 참여한다. 다시 말해, 아덱스는 단순 방위산업 전시회가 아니라 실질적인 무기거래를 논의하는 장이며 실제로 아덱스에서 상당규모의 계약이 체결된다. 또한 방위산업 육성을 빙자 해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무기거래는 국제사회에서 사용이 금지된 확산탄부터 시작해 비인도적인 무기들이 버젓이 사고 팔리고 있으며 생산업체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한화와 풍산은 확산탄을 생산하는 한국 업체이다. 확산탄은 광범위한 지역에 무차별 적으로 살상을 가해 대표적인 비인도무기로 비난받고 있으며, 2008년 확산탄의 사용 ·생산·비축·이전을 국제적으로 금지하는 확산탄금지협약이 체결 및 발효되었다. 그러나 아덱스에는 한국을 포함해 확산탄금지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미국과 중국, 인 도, 이스라엘 등이 참여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아덱스 ‘미국관’에는 세계 최대 방 산기업체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을 비롯해, 보잉(Boeing), 노드롭 그루만 (Northrop Grumman), 레이시온(Raytheon) 등 세계 10대 방산기업체에 포함되는 업체 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무기를 분쟁지역을 포함해 여러 국가에 팔기 위해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분단국가인 한국 역시 매력적인 판매국 중 하 나이다. 2013년 한국은 핵심기술 이전이 어렵다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록히드 마틴의 F-35 40대를 구매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주민들의 동의 없이 민주적 절차를 짓밟은 채로 성주 소성리에 록히드 마틴이 생산한 사드(THAAD)를 배치했다. 이 전쟁 기업들은 제 2의 소성리가 될 지역을 물색할 것이며 그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무 고한 시민들의 몫이다. 민간인 피해를 극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아덱스 ‘이스라엘관’이다. 이스라엘관에는 이스라엘 방산 업체와 관계부처들의 부스들이
3
서울 아덱스 2017 홈페이지: http://www.seouladex.com/intro.asp
3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은 세계 무기 시장의 주요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며 이들 업 체들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과 공습에 사용되는 무기체계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방산업체들은 종종 팔레스타인 공습에 사용된 신무기들의 성능을 자 랑하며 팔레스타인을 “신무기 시험장”처럼 활용하고 있다. 한국 역시 이스라엘에 서 생산하는 무기들을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4 이처럼 무기거래는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킴에도 일반적으로 군사기밀을 이유로 비 밀리에 진행되거나 그 절차를 일반 시민이 알기에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F-35나 사 드와 같은 특정 무기체계 생산 및 구입 또는 판매를 위해서 정부와 군수산업체, 무 기거래상의 은밀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아덱스에 참여하는 많은 기업체들이 세계 각 국의 분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누군가의 생명을 앗아가며 자신들의 이윤을 챙기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금지하고 살상무기로 비난받는 무기들이 어떠한 규제와 원칙 없 이 전시되고 팔리는 현장이 바로 아덱스인 것이다. 이곳에서 무기가 더 많이 팔릴수 록, 방위산업 비리는 더욱 극심해진다. 바로 방위산업 전시회는 살인무기 전시회장이 며 무기거래로 인한 방산비리가 시작되는 곳이다.
방산비리에 대응하는 시민사회, 아덱스저항행동 방위산업이 부정부패를 먹고 크기가 비대해지는 동안 이를 막기 위한 시민사회의 움 직임 역시 꾸준히 전개되었다.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 더 강력한 국 방력을 갖추기 위한 무기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전히 유효한 이 한반도의 남쪽 에서, 왜 방위산업 육성이 한반도와 주변국가와의 갈등과 분쟁의 골을 더 깊게 만드 는지 지속적인 문제제기를 해 왔다. 방산비리의 근원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제 안부터 대중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 및 활동을 진행하는 등 그 시도들이 다양하고 다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무기거래의 실상을 밝히고 알리는 ‘아덱스 저항행동’이다. 아덱스 저항행동5은 아덱스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모인 시민사회단체들의 연 대체이다. 이 연대체가 구성되기 전에는 ‘평화군축박람회’라는 이름으로 매년 시 민들에게 평화와 군축, 무기거래의 문제점에 대한 이슈를 소개하고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캠페인 및 전시, 강연 등을 준비해 약 일주일 간 진행되었다. 아덱스저항행동 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연대체를 꾸렸는데 아덱스가 열리는 시기와 동일하게 캠
4
‘무기로 평화를 살 수 없습니다’ 제4회 평화군축박람회 자료집 참고, 2013년
5
아덱스저항행동 홈페이지: http://stopadex.org/
4
페인을 준비하고 있다. 아덱스 저항행동의 목적은 살인무기를 사고파는 현장을 고발하고 시민들에게 방산전 시회의 이면에 대해 알리는 것이며 크게 아덱스 이해관계자(전문관람객)과 시민(일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나누어 캠페인을 진행한다. 전문 관람객 대상 캠페인 중 하나 가 ‘웰컴 리셉션 데이’ 대응이다. 이 날은 아덱스에 참가하는 정부 관계자 및 국 방 전문가, 무기중개상들이 아덱스를 시작하면서 모두 함께 만찬을 하는 자리이다. 이 때 아덱스저항행동은 만찬 장소 내부 혹은 외부에서 아덱스 이해관계자들의 행위 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전달하고 한국의 시민사회는 무기장사꾼들을 환영하지 않는다 는 것을 행동을 통해 전달한다.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캠페인은 대체로 아덱스 가 열리는 기간의 주말에 진행되며 아덱스를 구경하러 온 사람들에게 무기거래의 이 면을 알리는 것에 집중한다. 아덱스는 얼핏 보면 거대한 규모로 진행되는 무기거래 를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최첨단 무기 전시와 하늘에서 보이는 에어쇼를 통해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아덱스에서 이루어진 무 기거래로 판매된 무기의 최종 목적지는 어딘지 알 수 없으며, 어떤 국가의 전쟁이나 분쟁에 사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다. 축구장 서너 개는 순식간에 날려버릴 수 있는 무차별적인 공격이 가능한 확산탄이 전시되어 있으면서도, 이 확 산탄으로 인해 생명을 잃은 수만 명의 민간인 학살은 숨겨져 있다. 화려한 공중곡예 를 보여주는 전투기가 누군가의 나라에는 무고한 시민들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는 폭격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부재하다. 최첨단 기술과 고성능을 자랑하는 무기체 계는 결국 더 많은 사람의 생명을 효율적으로 앗아갈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인데, 이를 알려줄 리 없다. 그렇기에, 아덱스 저항행동은 대중 캠페인을 통해 실 제로 무기거래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알리고 아울러 무기수출 및 무기도입과 관련한 투명성을 강화해 이러한 위험한 거래를 공공의 통제와 감시 하에 두어야 하 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아덱스의 역사와 비대해져가는 덩치에 비해 아덱스저항행동의 대응은 올해가 세 번 째로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고, 그 규모도 작다. 그렇기에 더 큰 관심과 참여가 필요 하며, 무기거래의 이면을 인지하고 대응하고자 하는 공동체가 확장되어야 한다.
확장된 시민사회의 대응, 방위산업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 전환 필요 분단이 만들어낸 갈등과 불안의 힘이 매우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한국사회에서 군축 을 주장하고 국산무기 개발 및 방위산업의 문제점을 들추어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 다. 자칫 잘못하면 ‘애국시민’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기 일쑤이고, 방산비리 문제를 물고 늘어지면 한국산 무기생산에 차질을 빚어 국가경쟁력이 도태되고 더욱이 북한 5
의 위협에 맞서야 하는 힘을 잃게 될 것이라는 주장에 묻혀버린다. 그러나 한국은 이미 군사비 지출 세계 10위 및 무기 수입 세계 9위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음에도 일 상에서는 이 수치가 한낮 숫자에 불과하다. 방산비리에 대응해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우려의 목소리와 다양한 행동이 진행되고 있으나, 불안을 껴안고 살아가는 사회에서 효율적인 역할을 해내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시민사회의 대응이 더 힘을 받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방위산업 및 무기산업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인식 제고에 더욱 힘을 쏟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방위산업’과 ‘무기를 사 고파는 것’의 이면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를 방어 하고 방위한다는 것이 ‘다른’사람이나 ‘다른’사회에 공격이 될 수 있음을 인지 하고, 힘 있는 군대와 강력한 국방력이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부정적인 효 과가 날 수밖에 없음을 알아차리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알아차림의 감수성이 길 러지기 위해서 민주시민으로서 이 사회에서 평화적으로 공존하며 살아가는 삶이 어 떤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공교육 에서부터 시민교육에 걸쳐 확장되어야 하며, 여기서부터 ‘우리’와 ‘그들’의 경 계를 허물고 남을 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힘을 기를 수가 있다. 방위산업 분야의 부패와 비리의 원인을 밝히고 해결해나가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무기거래의 속성을 파악하고 어떤 참상을 초래하는지에 대해 알리고 이에 대응하는 것 역시 시민사회가 계속 요구해 나가야 한다. 아덱스저항행동과 같은 시민사회의 노력이 거대한 방위산업 구조에 균열을 내고 있음은 자명하다. 이 균열이 더욱 커지 고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대중들이 무기거래와 방산비 리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높아져야 할 것이다. 다른 누군가를 공격하는 무기에 환호하는 사회에서 진정한 평 화는 오지 않는다.
* 이 보고서는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riedrich-Ebert-Stiftung) 한국사무소의 지원으로 시민평화 포럼이 진행 중인 ‘2017 영문보고서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