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Art Spaces and Critical Moments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展은 서울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만들었습니다.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기간 : 2015년 7월 24일 - 10월 24일 장소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자료기증, 자료대여 및 이미지제공: 국가기록원,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예술자료원, 대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간송미술관, 일민미술관, 토탈미술관, 갤러리현대, 부산 공간화랑, 선화랑, 아라리오갤러리, 진화랑, 대안공간 루프, 아트스페이스 풀,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김수근문화재단,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한국화랑협회, 혜곡최순우기념관, 서진수, 이철희
일러두기 ●
이 책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개최한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展을 계기로 발간하였다.
●
도판크기는 세로×가로를 기본으로 하며, 단위는 cm이다.
●
소장처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소장자료이다.
●
서명의 한문, 영문, 기타 외국어는 그 해당 표기가 있는 것만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발간사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이 홍지동 사옥으로 이전한 후, 2015년도 특별기획전시로《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展를 선보인다. 미술작품은 전시를 통해서 세상에 공개되고 평가받고 기록과 기억에 남는다. 이 작품들이 보여지는 전시공간인 박물관, 미술관, 화랑(갤러리), 대안공간 및 복 합문화공간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정리해보고자 본 전시는 기획되었다. 이번 전시 및 단행본 콘 텐츠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전시공간’을 통해 조망하고 그에 따른 제반 자료 및 관련 성과물을 선 보인다. 아울러 수집된 전시 및 연구 성과물을 단행본으로 발간하여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교육성과 공공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시공간의 면모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자료를 선별하고 전시공간에 대 한 다양한 연관 자료인 건물도면, 초기건립 사진, 관련 기록물, 설립자 및 관장관련 사항, 공문 서, 도록, 팸플릿 및 리플릿, 포스터 및 입장권에 이르기까지 관련 사항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실물자료와 당대의 신문기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관 자료를 수집, 발굴하여 전시와 단행본으 로 담아내었다.
또한 이번 단행본에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한국미술 전시공간에 대한 총론, 박물관, 미술 관, 화랑(갤러리), 대안공간 등 우리나라 주요 전시공간에 대한 영역별 개관을 시도하였다. 또한 미술이론가, 미술평론가 및 전시기획자 등 한국 미술계 20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주요 전시공간에 대한 평가와 회고를 수록하였다. 그 밖에 사건과 이슈, 연표 및 협회등록 전시공간 현황 자료 등을 수록함으로써 우리나라 전시공간에 대한 아카이브 전시와 함께 이에 대한 미술 사적 의미와 역할을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연구자료를 제시하였다. 한국근현대미술을 ‘전시공간’ 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시대별, 영역별 주요 흐름을 정리하는 이러한 시도에 관심 있는 일반인 및 학생, 관련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와 성원을 기대한다. 아울러 이번 기획에 공감해 주시고 동참해 주신 모든 기관 및 미술계 여러분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장 김 달 진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2015년 7월 20일 인쇄 2015년 7월 24일 발행
발
행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기
획 김달진
전
시 정호경
연
구 김현정
소장품/교육 이다정/이은경 디 자 인 김달진미술연구소 김유경, 손주애, 이예슬 인
쇄 갑우문화사
출판 및 보급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본권에 실린 글과 도판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의 동의 없이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모든 작품의 저작권은 해당 저작권자가 보유합니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110-020 서울시 종로구 홍지문1길 4 T. 02-730-6216 F. 02-730-9217 www.daljinmuseum.com ISBN 978-89-962515-8-3 (93600) 비매품
목차
Contents
0. 발간사
●
3
1.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와 양상 1) 총론 - 윤범모
●
8
2) 박물관 - 윤태석
●
20
3) 미술관 - 조은정
●
40
4) 화랑(갤러리) - 하계훈
●
60
5) 대안공간 - 김노암
●
74
2. 20인의 미술전문가가 회고하는 한국미술 전시공간 1) 설문조사 분석
●
84
2) 설문조사 집계상황
●
88
1) 박물관
●
98
2) 미술관
●
132
3) 화랑(갤러리)
●
194
4) 대안공간
●
230
5) 기타 아카이브 자료
●
238
●
260
1) 한국미술 전시공간 연표
●
282
2) 참고문헌
●
292
3) 관장명감, 큐레이터열전 목록
●
301
4) 협회회원 전시공간 현황
●
303
3.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전시자료
4. 사건과 이슈 - 한국미술 전시공간과 관련한 당대의 이슈
5. 부록
본 페이지의 전 후에 실린 칼럼은 필자원고의 저작권으로 인하여 인쇄된 출판물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와 양상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이왕가미술관 - 전시공간 도면 -
덕수궁미술관 단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정면구계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132
3. 전시자료 | 미술관
덕수궁미술관 배치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1계평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2계평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3계평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80×10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옥계평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79×10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덕수궁미술관 입면도 1936, 나카무라 요시헤이 설계사무소, 79×107,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 촬영
13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도록 및 팸플릿 -
이왕가미술관진열 일본미술품 도록 제7집 1941, 18×26 덕수궁 석조전에서 열린 일본근대미술작품 전시회의 도록 이다. 목차에 일본화, 서양화, 조각, 공예로 분류하고 전시 되었던 작품의 도판을 수록하였다.
이왕가미술관요람 1941, 13×19 일제시대 덕수궁 내 이왕가 미술관의 안내 리플릿. 미술관 내 위치도, 전시실 사진과 더불어 설명, 관람요람 등을 자세히 담고 있다.
백이의(벨기에)현대미술전 1952, 13×18, 덕수궁미술관
134
3. 전시자료 | 미술관
덕수궁 석조전과 이왕가미술관 신관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궁 이왕가미술관 신관 정면, 측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궁 이왕가미술관 조선고미술전시관 전시실 내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3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덕수궁 이왕가미술관 조선고미술전시관 전시실 내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궁 석조전 서양화 진열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궁 석조전 조각 진열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36
덕수궁 석조전 일본화 진열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덕수궁미술관 설계도 2014, 국립문 화재연구소, 38×27
3. 전시자료 | 미술관
간송미술관 - 도록 -
간송문화 제1호 197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4×24
간송문화: 간송미술관10주년기념논집 1981,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4×24
간송문화: 간송미술문화재단설립기념전 2014, 간송미술문화재단, 25×18
보화각 전경 1938, 설계자: 박길룡(1898-1943), 간송미술관 소장
보화각개관기념일 단체사진 1938, 북단장 사랑, 간송미술관 소장
소장품과 함께 있는 간송 선생 간송미술관 소장
13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경복궁미술관(구 조선총독부미술관) - 팸플릿 및 리플릿 -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목록 1944, 조선총독부, 12×18 1939년에 지어진 조선총독부미술관은 해방 후 경복궁미술관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와《국전》등 전시를 개최하였으며, 1969년부터 1973년까지 국 《조선미술전람회》 립현대미술관으로 사용되다가 1990년대에 경복궁 복원 계획으로 철거되었다.
138
3. 전시자료 | 미술관
좌) 인간가족 대사진전 1957, 미국공보관, 26×19 우) 혁명백일축전 광복절경축 미술전 1961, 공보부, 25×18
국제자유미술전 1962, 한국미술협회, 17×17
제2회 신상전 1963, 신상회, 17×19
13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국제보도 제22호 1950, 국제보도연맹, 30×21 국제보도연맹이 발행하였으며 해방이후, 우리 나라 유일의 사진화보이다. 창간이래,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에 이르는 당대의 상황을 화보 와 더불어 알려준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작품과 이인 성의 작품평이 실려있다.
국제보도 1954-55 1955, 국제보도연맹, 26×19
1954년 11월1일부터 30일까지 국립미술관에서 개최하는 제3회 국전 출품작 등이 소개되었다.
국제보도 제39호 1957, 국제보도연맹, 36×26 이승만 대통령이 전시를 관람하는 사진 등 당시 모습과 대통령상을 받은 임직 순 화백의 그림, 심산 노수현, 김옥진 윤효중 등 유명작가의 작품이 실려있다. 제6회 국전을 관람하는 이승만대통령, 국전회장전경, 작품심사 장면과 심사위 원들의 국전평이 수록되었다.
140
3. 전시자료 | 미술관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목록 1953, 문교부, 21×15
제3회 국전목록 1954, 문교부, 21×15 제12회 국전목록 1963, 문교부, 25×18
민족기록화전 1967, 5.16민족상, 26×19
현역작가작품전 1968, 문화공보부, 26×19
14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경복궁에서 개관, 1973년 덕수궁으로 이전, 1986년 과천으로 신축이전, 2013년 서울관을 개관하였다.
- 도록 -
원로작가초대전화첩 1974, 19×2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품목록 제1편, 1983, 26×19
142
3. 전시자료 |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품목록 제2편 1986, 26×1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도판목록 제1집 1992, 28×21
덕수궁미술관 개관 기념: 다시 찾은 근대미술 1998, 28×22
신호탄=Beginning of New Era 2009, 24×19
14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팸플릿 및 리플릿 -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1970, 한국일보사, 26×19
현대프랑스명화전 1970, 조선일보사, 26×19
’71-AG展 1971, 한국아방가르드 협회, 19×26
144
3. 전시자료 | 미술관
좌) 샤갈특별전 1971, 26×24 우) 프랑스현대유화전 1971, 조선일보사, 프랑스예술교류협회, 26×19
한국근대미술60년전 1972, 문화공보부, 23×23
월남전 기록화 전시회 1972, 문화공보부, 27×21
14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현대독일미술전 1972, 동아일보사, 19×22
제1회 서울 비엔날레 1974, 한국아방가르드협회, 25×19
제1회 에꼴 드 서울전 1975, 25×26
146
3. 전시자료 | 미술관
제4회 앙데빵당 1976, 한국미술협회, 25×26
역대국전수상작품전 1977,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예술진흥원, 27×20
역대국전수상작품전 초대장 1977,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예술진흥원, 10×15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1978, 한국미술협회, 25×26
14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한국근대미술자료전, 1984, 21×23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 안내 팸플릿 1985, 26×21 국립현대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0년대, 21×10
신축국립현대미술관 개요, 1986, 23×10(펼침면 23×30)
148
3. 전시자료 |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안내 리플릿 1986-1987, 9×22
국립현대미술관 1987-1988 1987-1988, 27×11
국립현대미술관 야외조각 안내 팸플릿 연도미상, 12×12
14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안내 리플릿 연도미상, 24×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안내 리플릿 2013, 29×8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제2회 대학미전 경복궁 미술관 앞 단체사진 1971,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제20회 국전 박정희 대통령 참석 개막식 1971,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150
3. 전시자료 | 미술관
1 3
2 4
5
5
1. 한 국근대미술자료전 덕수궁관 전시홍보 현수막, 198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2. 한 국근대미술자료전 김경승 <소년입상, 1943>, 198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3. 국 립현대미술관 기공식 전두환 대통령 참석, 198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4. 국립현대미술관 건축현장, 1985,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5. 국립현대미술관 상량식, 1985,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15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1 3
2 4
1. 임영방 전임 관장 이취임식, 199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2. 최 만린 전임 관장, 안도 타다오전 참석, 1998,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3. 오 광수 전임 관장, 2000년 미술인 신년교례회 참석, 2000.1.7,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4. 김 윤수 전임 관장, 평화전, 2004,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가을체육대회 1987.10.26
국립현대미술관 준공개관기념전 포스터 198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152
3. 전시자료 | 미술관
좌) 인터뷰: 팔순 회고록 펴낸 석남 이경성 호암미술관 자문위원「미술 속에서 행복했습니다」 1998년 봄 가나아트 우)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 미술은 모 든 사람의 것이다 1998, 시공사, 22×15
국립현대미술관 건립지 1987, 26×19
좌) 국립현대미술관 1973, 광명출판사, 26×19 우) 국립현대미술관 1969-1996 1996, 26×19
15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다다익선 설치 구상 드로잉 백남준, 1986,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소장
광장건축 다다익선 구조물 설계도면 1987,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소장
154
3. 전시자료 | 미술관
좌) THE MORE, THE BETTER 다다익선 2012,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24×18 우) 다다익선 이야기 2013,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23×17
1
2 3
2 3
1. 국립현대미술관 다다익선 설치 검토 관련사진, 1987-1988,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소장 2. 국립현대미술관 다다익선 설치 검토 장면, 1987-1988,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소장 3. 다다익선 개막식 김원 건축가에게 감사패를 수여하는 이경성 관장, 1988,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소장
15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좌) 미술작품보존관리 요령 20×12 우) 김종하 국립현대미술관이전개관 기념 감사패 1973, 23×17
귀국보고서: 미술자료 관리방안 연구 1998, 30×21
좌) 이신자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자문위원 위촉장 2000, 30×22 우) 이신자 미술은행 작품구입 심사위원 위촉장 2005, 30×22
재미있는 미술관 구경: 만화로 보는 국립현대미술관 1994, 호산문화, 26×19
156
국립현대미술관 주요관계기사 색인 1989, 18×26, 김달진 원고
3. 전시자료 | 미술관
해외미술관연수보고서 1988, 29×21
자료실이전확충계획(안) 1992, 29×21
자료실자료관리개선(안) 1995, 29×21
한국근대미술 60년전 스크랩북 1972, 27×19
국립현대미술관 뉴스레터: 현대의시각 창간호 1988, 국립현대미술관, 38×27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이전 관련 신문 스크랩북 1986, 39×29
15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미술회관(아르코미술관) 미술회관은 1974년 관훈동에서 개관, 1979년 동숭동으로 신축이전하여 2002년 마로니에미술관, 2005년 아르코미술관으로 확대되었다.
- 전시공간 도면 -
미술회관 동측 입면 1970년대,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미술회관 평면도 1970년대,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158
미술회관 배치도 1970년대,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3. 전시자료 | 미술관
- 도록 및 팸플릿 -
한국미술-오늘의 방법1, 2 1979, 21×19, 예술자료원 소장
대한민국미술대전 1982-1986 수상작가초대전 1987, 28×22 미술관 이야기: 대학로 100번지 2009, 26×18
1974-2014 아르코미술관: 40년 전시의 기록 2015, 24×17
15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미술회관 소장작품목록 1990, 25×17
미술회관 개관기념전 1974, 25×18
미술회관 개관기념 판화초대전 1974, 26×16
160
3. 전시자료 | 미술관
미술회관 제3차 기획전: 지방작가초대전 1974, 26×16
미술회관 제1회 전국조각가초대전 1975, 26×16
미술회관 제4차 기획전 : 공예가초대전 1974, 26×16
미술회관 제2회 지방작가초대전 1975, 26×16
16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미술회관 안내 리플릿 1980년대, 24×14 좌) 마로니에미술관 안내 리플릿 2005, 22×11 우)아르코미술관 안내 리플릿 연도미상, 24×17
아르코아카이브 안내 리플릿 연도미상, 12×21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미술회관 전경 1970년대,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162
3. 전시자료 | 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은 1988년 경희궁 옛 서울고등학교에서 개관, 1999년 초대 유준상관장 취임, 2002 년 옛 대법원(경성재판소)으로 이전 개관하였다.
- 전시공간 도면 -
경성재판소정면배면면자도 5호 1927, 국가기록원 소장
경성재판소청사신축공사배치도 c.1926-27, 국가기록원 소장
경성삼재판소합병청사신축평면도 c.1926-27, 국가기록원 소장
16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경성재판소측면자도 6호 1927, 국가기록원 소장 좌) 경성재판소현관정면상세도 10호 1927, 국가기록원 소장 우) 경성재판소중앙계단회상세도 12호 1927, 국가기록원 소장
1
2 3
164
1. 서울시립미술관 건축 배치도, 1998-1999,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소장 2. 서울시립미술관 1,2층 평면도, 1998-1999,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소장 3. 서울시립미술관 입면도, 1998-1999,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소장
3. 전시자료 | 미술관
- 도록 및 팸플릿 -
좌) 서울시립미술관 개관전: 천경자의 혼 2002, 20×20 우) 서울시립미술관 개관전: 한민족의 빛과 색 2002, 30×22
서울시립미술관(경희궁) 1988, 26×12
서울시립미술관 안내 책자 2000년대, 21×15
16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안내 리플릿 2000년대, 18×10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생활미술관 안내 리플릿 2000년대, 21×13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서울시립미술관연혁보: 1988-2001 2001, 27×19
서울시립미술관연보: 2002-2004 2005, 26×19
인터뷰: 서울시립미술관 초대관장 유준상 「새롭게 미술관 운영의 선례를 남기겠습니다」 1999년 여름, 가나아트 인터뷰어: 김달진자료실장
166
3. 전시자료 | 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은 1992년 운암동에서 개관하여 2007년 중외공원에 신축 이전하였다.
- 도록 및 팸플릿 -
광주비엔날레 리플릿 1995, 광주비엔날레 조직위원회, 23×10
광주시립미술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진.통. 2012, 28×22
광주시립미술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두개의 모더니즘 2012, 28×22 광주시립미술관 20주년사 2014, 26×19
16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대전시립미술관 1998년 개관
- 전시공간 도면 -
대전시립미술관 배치도 1996, 한국토지공사, 84×105,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대전시립미술관 남북측 입면도 1996, 한국토지공사, 84×105,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168
3. 전시자료 | 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주단면도 1996, 한국토지공사, 84×105,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대전시립미술관 지상1층 평면도 1996, 한국토지공사, 84×105, 대전시립미술관 소장
- 도록 및 팸플릿 -
대전시립미술관 안내 팸플릿 2007, 21×15
대전시립미술관개관기념 1부: 대전·공간확산전 1998, 29×22
대전시립미술관 개관 1주년 기념: 100년의 경계-오늘의 대전미술 1999, 30×21
16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부산시립미술관 1998년 개관
- 도록 및 팸플릿 -
부산직할시 용두산미술전시관 개관기념: 부산작고작가전Ⅰ 1992, 25×26
한국단색회화의 이념과 정신: 박서보 정상화 이우환 허황 1998, 25×25
170
부산미술재조명전: 집단활동을 통해 본 부산미술의 정체성 1998, 30×22
부산의 미술가들 2006, 28×22
3. 전시자료 | 미술관
좌) 부산직할시 용두산미술전시관 안내 리플릿 1992, 부산문화회관, 24×12
부산시립미술관 안내 팸플릿 2011, 24×17
우) 부산시립미술관 안내 리플릿 2007, 23×10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부산시립미술관 엽서 1990년대-2000년대, 10×15
1
2
3
1. 이우환공간 전경, 2015, 부산시립미술관 촬영 2. 개관식에서 이우환, 2015, 부산시립미술관 촬영 3. 이우환공간에서 작업 중인 이우환, 2015, 부산시립미술관 촬영
17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예술의전당 미술관 예술의 전당은 1988년 서예관, 1990년 미술관, 1999년 디자인미술관을 개관하였다.
- 도록 및 팸플릿 -
예술의 전당 미술관 개관 기념도록 한국미술: 오늘의 상황(양화, 공예, 한국화, 조각·설치) 1990, 29×22
예술의전당 개관 20주년 특별기획전: 오늘의 한국미술 미술의 표정 2008, 26×21
172
3. 전시자료 | 미술관
예술의전당 미술관 안내 리플릿 23×10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중견관리자 전산교재 예술경영을 위한 정보시스템 예술의전당 전산실, 29×21
예술의전당 자료관 운영 및 활동 프로그 램개발 기본계획연구 1987, 29×21
예술의전당 운영을 위한 요원 양성 사업계획서 1986, 예술의전당 건립본부, 30×21
17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서울미술관 서울미술관은 구기동에서 1981년 개관, 2001년 폐관되었다.
- 팸플릿 및 리플릿 -
프랑스의 신구상회화 1982, 28×23
81년 문제작가·작품전 1982, 20×22
1982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3, 27×20 1983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4, 27×20 1984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5, 27×20
174
3. 전시자료 | 미술관
85 문제작가 작품전 문제작가 ’81-’84전 1986, 26×20 1986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7, 26×20
1987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8, 27×20
’88년 문제작가 작품전 1989, 27×20
서울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0년대, 26×19
17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호암미술관/삼성미술관리움 호암미술관은 1982년 용인에서 개관, 삼성미술관리움은 2004년 한남동에 개관하였다.
- 도록 및 팸플릿 -
호암미술관 개관기념: 헨리 무어 작품전 1982 , 삼성미술문화재단, 23×23
호암미술관명품도록 1982, 삼성미술문화재단 30×23
호암미술관 개관 1주년 기념 특별전: 민화걸작전 1983, 삼성미술문화재단
176
호암미술관명품도록 1984, 삼성미술문화재단 30×22
호암미술관 소장 한국근대미술명품도록 1992, 삼성미술문화재단, 30×23
3. 전시자료 | 미술관
호암미술관 현대미술 소장품 1998, 삼성미술문화재단, 24×17
삼성미술관리움 소장품선집: 고미술
삼성미술관리움 소장품선집: 현대미술
2004, 27×21
2004, 27×21
호암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0-90년대, 26×13 호암미술관 안내 리플릿 2000년대, 24×12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삼성미술관리움 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 2006, 27×21
삼성미술문화재단 30년사: 문화의 향기 30년 1995, 30×22
17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한국미술관 한국미술관은 1983년 서울 가회동에서 개관하여 1994년 용인으로 이전 개관하였다.
- 도록 및 팸플릿 -
한국미술관 안내 리플릿 21×10, 한국미술문화연구원 개관기념 한국인상전 1983, 22×21
한국미술관 안내 팸플릿 22×12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개관20주년: 작은미술관 이야기 2002, 23×18, 집문당
178
3. 전시자료 | 미술관
토탈미술관 토탈야외미술관은 1984년 장흥, 토탈미술관은 1992년 평창동에 개관하였다.
- 전시공간 도면 -
지하 평면도, 입면도 1992, 42×29, 토탈미술관 소장
마스터플랜, 1층 평면도 1992, 42×29, 토탈미술관 소장
2층 평면도 1992, 42×29, 토탈미술관 소장
17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도록 및 팸플릿 -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 1988, 25×25, 토탈미술관 소장
한국 조각의 오늘 1987, 25×25 토탈미술관 소장
180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 Ⅱ 1989, 25×25, 토탈미술관 소장
제1회 토탈미술대상전 1991, 30×22, 토탈미술관 소장
3. 전시자료 | 미술관
토탈미술관 개관기념전 1982, 19×26, 예술자료원 소장
한국현대미술 격정과 도전의 세대 1993
토탈미술관 개관기념+성신조각회전 1984, 19×26, 예술자료원 소장
1991-1994 토탈미술상 수상작가전 1995, 27×22, 토탈미술관 소장
좌) 제3회 토탈미술대상전 도록 겸 다이어리 1993, 28×18, 토탈미술관 소장 우) 제4회 토탈미술대상전 토록 겸 다이어리 1994, 28×22, 토탈미술관 소장
18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PROJECT8 1996-1999 각27×22, 토탈미술관 소장
당신은 나의 태양: 동시대 한국미술을 위한 성찰적 노트 2005, 24×17
토탈미술관 서울분관 안내서 1992, 30×14, 토탈미술관 소장
동숭동 토탈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8, 10×21
182
3. 전시자료 | 미술관
동숭동 토탈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8, 10×21
동숭동 토탈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8, 10×21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토탈미술관 멤버십카드 안내 1990년대, 28×23
토탈미술관 멤버십카드 신청서 1990년대, 28×23
18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선재미술관/아트선재센터 선재미술관은 1991년 경주, 아트선재센터는 1998년 서울에서 개관하였다.
- 도록 -
싹 1995, 25×23, 선재미술관
아트선재센터 개관전: 반향 1998, 25×20, 예술자료원 소장
184
팬시 댄스: 1990년 이후의 일본 현대미술 1999, 26×21, 아트선재센터
3. 전시자료 | 미술관
MiXMaX 2004, 24×19 코리아메리카코리아 2000, 26×19
선재미술관 안내 리플릿 11×23
아트선재센터 안내 리플릿 10×24
18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환기미술관 1992년 개관
- 전시공간 도면 -
환기미술관 배치도 1992
환기미술관 입체도 1992
186
3. 전시자료 | 미술관
- 도록 및 팸플릿 -
WHANKI MUSEUM 1996, 24×22 환기미술관개관기념: 김환기·뉴욕 1963-1974 1992, 30×21
환기미술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김환기와 한국의 미 점선면의 울림 2012, 31×23
환기미술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김환기와 한국의 미 점선면의 울림 2012, 24×13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환기미술상 후보작가전 보도자료 1996, 31×22
환기미술관 뉴스레터 제1호 1993, 21×15
18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성곡미술관 1995년 개관
- 도록 및 팸플릿 -
성곡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Cool&Warm 2005, 성곡미술문화재단, 28×21
성곡미술관 안내 리플릿 2000년대, 24×10
188
3. 전시자료 | 미술관
일민미술관 1996년 개관
- 도록 및 팸플릿 -
호랑이의 눈: 한국의 도전적 작가 10인전 1997, 25×25
일민미술관 리노베이션 안내리플릿 2002, 24×13
18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1
190
2
3
4
5
6
1. 일민미술관 전경, 2001, 일민미술관 소장 2. 미술관 내부사진, 2001, 일민미술관 소장 3. 제 7회 일민문화상 시상식 (최정화), 2006, 일민미술관 소장 4. 제 10회 일민문화상 시상식 (최완수), 2012, 일민미술관 소장 5.《다음 문장을 읽으시오》 전시 전경 (1전시실), 2014, 일민미술관 소장 6.《우주생활》 전시 전경(2전시실), 2015, 일민미술관 소장
3. 전시자료 | 미술관
금호미술관 금호미술관은 1989년 관훈동에서 금호갤러리 개관, 1996년 사간동에 신축 이전. 미술관으로 확대되었다.
- 도록 -
금호미술관 전경
금호미술관 개관기념전: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1998, 30×21
금호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1320 1999, 12×10
20th anniverary exhibition 2000-2009 2009, 10×10
19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워커힐미술관 1984년 세라톤워커힐호텔내 개관, 2000년 폐관되었다.
워커힐미술관 15년사 1998, 28×23
모란미술관
한원미술관
1990년 개관
1993년 개관
모란미술관 안내 리플릿 1990년대, 21×10
192
워커힐미술관 안내 리플릿 1980년대, 22×9
한원미술관 안내 리플릿 1993, 21×7
3. 전시자료 | 미술관
19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동화화랑 1945년 동화백화점 화랑으로 개관
- 팸플릿과 리플릿 -
제1회 조선미술문화협회전 1947, 조선미술문화협회, 14×19
이인성 양화전 1948, 29×26
194
백영수 양화근작전 1948, 26×19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제1회 김흥수개인전 1949, 18×13
제1회 현대수채화협회전 1956, 현대수채화협회, 27×10
제1회 모던아트협회전 1957, 모던아트협회, 13×18
19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제1회 신기회전 1957, 신기회, 21×9
제1회 창작미협전 1957, 창작미협, 21×9
제1회 신조형파전 1957, 20×27
196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명동화랑 명동화랑은 1970년 명동에서 개관, 1982년 관훈동에서 폐관하였다.
- 팸플릿과 리플릿 -
회화 오늘의 한국전: 30대의 얼굴들 1971, 18×14
제7회 ORIGIN작품전 1972, 오리진회화협회, 25×25
한국현대미술 1957-1972 1973, 26×19
19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박서보 1973, 26×18
비 오브제전 1973, 27×19
제4회 에스쁘리전 1974, 에스쁘리 그룹, 21×19
198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좌) 개관1주년기념초대전: 권진규 테라코타(TERRA COTA) 건칠(乾漆) 1971, 26×19 우) 권진규 1주기 추모전 1974, 24×12
김문호선생 추모전 리플릿 1982, 고려화랑, 한국화랑협회 소장
명동화랑 김문호와 권진규: 아름다운 동행 2013, 화랑미술제, 21×10
19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현대미술 창간호 1974, 현대미술사, 26×19
명동화랑 입구 1970년대-80년대, 한국화랑협회 소장
명동화랑 김문호 사장이 발행, 유준상이 편집한 전문 미술잡지 이다. 이일, 이우환, 이세득, 이경성, 조요한, 김방옥, 정병관, 김 인환, 오광수 등이 주요 필자로 참여한 비평의 전문성을 살린 잡지였다. 특히, 특집으로 꾸민《한국 작가들의 해외전》 은중 요한 미술사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미술춘추 창간호 1979, 26×19, 한국화랑협회 소장 한국화랑협회 협회지 김문호의 글『증인이 되고자하는 화상 들: 칸바일러와 우리의 처지』 가 수록되 어있다.
200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김문호 사진 1970년대-80년대, 한국화랑협회 소장
김문호 증명사진 1970년대-80년대, 한국화랑협회 소장
명동화랑 안국동 시절 1970년대-80년대, 한국화랑협회 소장
20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현대화랑(갤러리현대) 현대화랑은 1970년 인사동에서 개관, 1975년 사간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 도록 -
이중섭작품집, 1972, 21×19
천경자 화전 1973, 23×23
202
연일줄이은 관람객 5천여명 이중섭유작전 전례없는 인기 1972.4.1, 동아일보
천경자 화전 1978, 25×24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8주년 개관기념전, 1978, 21×23
10주년 개관기념전, 1980, 21×23
KOREAN ABSTRACT PAINTING 2015, 27×22
- 팸플릿 및 리플릿 현대화랑 개관기념전 1970, 21×15
20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김기창 화전 1970, 18×21
현대화랑 개관 1주년 기념전시 1971, 21×18, 갤러리현대 소장
유영국작품전 1975, 23×23
204
김창열전 1976, 25×23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한묵초대전 1976, 36×26
이대원작품전 1977, 21×15
이우환 1984, 24×24
갤러리현대 안내 리플릿 1987, 22×10
20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화랑 창간호 1973 가을, 19×13 화랑은 60호 발간후 현대미술로 제호를 바꾸어 1992년 봄 75호로 폐간되었다.
《이성자 개인전》개막식 1974, 14×21, 갤러리현대 소장 왼쪽부터 도진규, 김종학, 박서보, 이성자, 박명자
《4인의 방법전》참여작가 4인 1979, 갤러리현대 소장 왼쪽부터 이우환, 윤형근, 김창열, 박서보
206
현대화랑 개관 5주년 기념전 당시 건물전경 1975, 갤러리현대 소장
현대화랑개관 5주년 기념전 1975, 14×22, 갤러리현대 소장 왼쪽부터 김태, 황염수, 김기창, 장욱진, 유재흥, 유영국, 이종우, 박명자, 이대원, 도상봉, 임직순, 김영창, 김원, 박성환, 이규선, 조중현, 윤중식, 이학영, 이준, 사진중앙 에 변관식
《정상화 개인전》개막식 2014, 갤러리현대 소장 왼쪽부터 박서보, 김창열, 정상화, 박명자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진화랑 진화랑은 1972년 개관하여 1991년 진아트센터를 설립하였다.
- 팸플릿 -
10주년 개관기념: 오늘의 회화전, 1982, 23×19
오늘의 작가 11인전, 1992, 27×21
20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진아트갤러리 33주년 기념전: 쿠사마 야요이전 2005, 27×21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진화랑 통의동 이전 후 전경 1970년대, 9×13, 진화랑 소장
진아트센터 엽서 1993, 12×15
208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진화랑 유진 회장과 유택환 대표 일본에서 1980년대, 8×12, 진화랑 소장
일본 NICAF에 참여한 진화랑 1993, 9×13, 진화랑 소장 하종현, 이우환, 유진(왼쪽부터) 박서보(우)
개인전에서 쿠사마 야요이와 유진 회장 2000, 18×13, 진화랑 소장 세계적 현대미술가 일 구사마 한국초대전 - 먼발치서 바라보면 우주 삼라만상은 비누방울로 보인다 2000.11.7, 세계일보
20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양지화랑 1974년 개관
개관 1주년 기념 역대국전대통령상수상작가초대전 1975, 18×19
동산방화랑 1976년 개관
동산방화랑 설립자 박주환 2014 ⓒ김달진
210
조선시대 일명회화 무낙관 회화 특선전 1981, 25×22
조선시대 후기회화 1983, 25×22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선화랑 1977년 개관
- 팸플릿 -
선화랑 개관기념전: 김동수·송수남·하태진 3인전 1977, 22×27
제1회 선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오용길 작품전 1985, 23×26
선미술지 창간 10주년 기념 특집작가 작품전 1989, 29×22
21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좌) 역대 선미술상 수상작가전 제1회-제18회 2003, 29×22 중) 그림따라 세월따라 1977-2007 선화랑 개관 30년전 2007, 29×22 우) The more, the better 선화랑 개관 33주년 기념전: 회화부문 2010, 29×22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선미술 창간호 1979년 봄, 21×15 1992년 봄 52호로 폐간되었다.
212
달도 따고 해도 따리라: 선화랑 김창실의 삶과 예술사랑 1996, 김영사, 22×15
화제의 인물: 개관 20주년 선화랑 대표 김창실 「달도 따고 해도 딴 인사동 화랑 지킴이」 1997년 9월 가나아트, 27×21 인터뷰어: 김달진 자료실장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선화랑 구건물, 1984, 9×13, 선화랑 소장
1
2
3
선화랑 구건물 2001, 9×13, 선화랑 소장
1. 선미술 연재 작가탐방, 김기창 작업실, 1979, 20×13, 선화랑 소장 2. 김영기개인전 김재배, 김영기, 김은호, 김창실, 1977, 18×24, 선화랑 소장 3. 선미술 연재 작가탐방 천경자, 1979, 19×25, 선화랑 소장
좌) 황규백 판화전 이경성, 이일, 유준상, 1982, 8×12, 선화랑 소장 우) 한국화랑협회전 박명자, 김창실, 연도미상, 13×18, 선화랑 소장
21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1
2
3 1. 변종하 도예전 변종하, 김수근, 유홍준, 이경성, 1985, 13×17, 선화랑 소장 2. 전혁림전 김창실, 전혁림, 이경성, 1997, 10×15, 선화랑 소장 3. 김윤순, 김창실, 윤중식, 박명자, 연도미상, 12×18, 선화랑 소장
제1회 선미술상 시상식 1985, 선화랑 소장
이이남 선미술상 상패 2010, 선화랑 소장
좌) 신축개관기념전 이종상전 2003, 선화랑 소장 우) 김형근전 김창실 1979, 선화랑 소장
214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예화랑 1978년 인사동에서 개관, 1982년 신사동으로 이전하였다.
예화랑 개관 25주년 기념: 한국현대미술 조명전 2003, 24×24
국제갤러리 1982년 개관
국제갤러리: 25주년 2007, 30×25
21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가나화랑(가나아트센터) 가나화랑은 1983년 관훈동에서 개관, 1998년 평창동으로 신축 이전, 가나아트센터로 확대되었다.
관훈동시대 가나화랑 1980년대
가나아트 1990년대
- 도록 -
가나아트센터 개관기념전 1998, 29×23
216
가나화랑 개관 10주년 기념전: 작고작가 작품전 1993, 30×21
가나화랑 개관 10주년 기념전: 인상파와 근대미술명품전 1993, 30×22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가나아트 개관 25주년 기념전: 더 브릿지 2008, 25×24
가나아트 개관 30주년 기념전 컨템포러리 에이지: 작가와 함께 한 30년 2013, 28×21
- 간행물 및 기타자료 -
10주년 기념 안내 책자 가나화랑 1983-1993 1993, 28×21
가나아트 창간호 1988, 27×21 2000년 가을 70호로 폐간되었다.
21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가나아트 편집기획실 1996년 상반기 계획서 1996, 30×22
가나아트 뉴스레터 1999, 22x10
가나아트 미술박사시리즈 1999-2002, 23×15
218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중앙갤러리(호암갤러리) 1984년 중앙갤러리로 개관하여 호암갤러리로 명칭변경, 2004년 폐관되었다.
- 도록 -
호암갤러리 개관기념 남관: 창작50년의 예술세계 1984, 중앙일보사, 24×26
비운의 조각가 권진규 회고전 1988, 중앙일보사, 25×24
뉴욕현대미술전 1988, 호암갤러리, 30×22
21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아라리오갤러리/아라리오뮤지엄 아라리오갤러리는 1989년 천안에서 개관, 2014년 아라리오뮤지엄을 서울과 제주에 개관하였다.
- 팸플릿 및 리플릿 -
아라리오 개관전 1989, 12x17, 아라리오갤러리 소장
아라리오화랑 개관 안내 리플릿 1980년대-1990년대, 22x10
아라리오화랑 현대 조각전 1989, 12x17, 아라리오갤러리 소장
현대서양화전 1989, 12x17 아라리오갤러리 소장
220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 도면 및 기타자료 -
공간사옥 스케치 1971,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공간사옥 설계도면 단면도 1970년대,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22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구 공간사옥 전경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구 공간사옥 공연장,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구 공간사옥 전시공간, 김수근문화재단 소장
222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 팸플릿 및 리플릿 -
아라리오뮤지엄 안내 리플릿 2014, 21×13, 한,중,일,영어버전으로 된 아라리오뮤지엄 소개 리플릿, 아라리오뮤지엄 소장
아라리오뮤지엄 Floor Guide 2014, 13×21, 아라리오뮤지엄 소장
제주 탑동시네마 미술관 오픈 안내 포스터 2015, 60×85, 아라리오뮤지엄 소장 아라리오뮤지엄 컨셉 팸플릿 2014, 27×21, 아라리오뮤지엄 소장
22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부산 공간화랑 1975년 개관
- 도록 -
공간화랑 개관 20주년 기념전 1995, 25×26
다시보는 부산미술9인전 2008, 30×30
224
도큐멘트 30 부산 공간화랑: 1975-2005 Document 30 KongKan 2005, 30×30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 팸플릿 -
공간화랑의 초창기 카달로그들 1970년대, 부산 공간화랑 소장
공간화랑 개관전: 3인초대전 1975, 부산 공간화랑 소장
공간화랑초대: 이우환작품전 1990, 부산 공간화랑 소장
- 기타자료 -
최욱경 작가가 신옥진 대표에게 보낸 편지 1982, 부산 공간화랑 소장
이우환 작가가 파리에서 신옥진 대표에게 보낸 엽서 1995, 부산 공간화랑 소장
22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한국현대미술 주역들과 동경, 부산의 화랑 대표들이 경남의 한 암자에서 함께 찍은 사진 연도미상, 부산 공간화랑 소장
줄리앙 슈나벨전 당시 공간화랑 앞 신옥진 대표 1990, 부산 공간화랑 소장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신옥진 대표, 조정애 대표, 박서보 화백, 미술평론가 나카하라 유스케, 정창섭 화백, 박서보 화백 부 인, 타바타 동경화랑 사장, 미술평론가 김용대, (한사람 건너), 윤 형근 화백, 나카하라 선생 부인, 정창섭 화백 부인, 김창열 화백
일본 가마쿠라미술관에서 열린 이우환 회고전 연도미상, 부산 공간화랑 소장
한국화랑협회에서 미술품 감정을 하고 있는 모습 부산 공간화랑 소장
왼쪽부터 이우환 선생 부인, 신옥진 대표, 이우환 화백, 박명자 현대화랑 대표, 도예가 박영숙 선생 부부
박서보 화백, 오광수 선생, 정기용 원화랑 대표, 한용 구 선생, 작품 복원전문가인 최명윤 선생 등이 감정 위원이었다.
부산시립미술관 신옥진 기증작품전시장 1998, 13×18, 부산 공간화랑 소장 왼쪽부터 조일상 부산시립미술관장, 서병수 국회의원, 신옥진 대표, 허남식부산시장, 이상수 학예관, 이두식 서양화가
226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미도파화랑
이중섭작품전 1955, 21×14
천일백화점화랑
제1회 백우회전 1955, 백우회, 20×13
227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한일화랑
박여숙화랑
1975년 개관
1983년 개관
한일화랑 개관전, 1975, 21×19 구본웅, 김환기, 이중섭, 이인성, 이봉상, 황술조, 장욱진, 천경자 등이 참여한 한일화랑 개관전 도록이다. 1920년대부터 60년대까지 약 50년 동안 화단을 빛냈던 작가 40명의 작품을 수록하였다.
박여숙화랑 개관 20주년 기념전: 함께 한 20년 2003, 29×21
정송갤러리
서초갤러리
1986년 여의도에서 개관, 1994년 청담동으로 이전
1991년 개관
정송갤러리 이전 기념전 1994, 25×25
228
서초갤러리 개관기념: 한국미의 원초적 형상전 1991, 25×24
3. 전시자료 | 화랑(갤러리)
대구 맥향화랑
대구 동원화랑
1976년 개관
1982년 개관
맥향화랑 30년: 1976-2006 2006, 26×19
동원화랑 개관 30년 특별전: 영남화단 백년, 그 순수와 열정의 기억 2011, 22×26
갤러리메이
부산 미광화랑
1994년 개관
1999년 개관
갤러리메이 개관기념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착공기념 역대한국 참여 작가 초대전 Seoul in Venezia 1994, 30×21
미광화랑 개관 10주년 기념 꽃피는: 부산항 3종 2009, 2012, 2014, 28×22
229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그림마당 민 1986년 개관, 2004년 폐관.
- 팸플릿 및 리플릿 -
그림마당 민 개관기념: 40대 22인전 1986, 10×1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열 기증)
개관기념Ⅲ: 우리시대의 30대 기수전 1986, 30×2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열 기증)
230
3. 전시자료 | 대안공간
개관기념 Ⅳ: 젊은 세대에 의한 신선한 발언전 1986, 30×22,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열 기증)
현실과 발언 1986, 26×19
그림마당 민 개관 1주년 기념전 1987, 25×1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열 기증)
- 간행물 -
그림마당 민 6년, 그 발자취: 1986년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1991, 26×1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최열 기증)
231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대안공간 루프 1999년 개관
정수진 개인전 1999, 42×30, 대안공간 루프 소장
홍대앞 재탕 버전으로 보는 최정화 정서영 2인전 1999, 42×30, 대안공간 루프 소장
함경아 ROOM WITH A VIEW 1999, 42×30, 대안공간 루프 소장
232
임민욱&프레데릭 미숑 SCREEN DRUGS 1999, 42×30, 대안공간 루프 소장
3. 전시자료 | 대안공간
진공포장 전 1999, 42×30, 대안공간 루프 소장
더블: 허벅지+그림자영상(홍성민) 엽서 1999, 10×15, 대한공간 루프 소장
정연두전 보라매 댄스홀 2001, 43×44, 대안공간 루프 소장
대안공간 루프 안내 리플릿 1990년대-2000년대, 11×30
대안공간 루프 전시공간 안내 1990년대-2000년대, 19×19
233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아트스페이스 풀 1999년 개관
- 팸플릿 및 리플릿 -
풀 개관기념전: 스며들다-정서영, 최정화 2인전 1999, 21×15,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레드후라이드치킨: 고승욱 개인전 2000, 24×19,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234
장영혜 개인전 2000, 19×24,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3. 전시자료 | 대안공간
대안공간 풀 그룹공모당선 초대전: 작업중 전 2000, 32×16,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답십리 우성연립 지하 101호 2001, 30×20,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박이소전 엽서 2001, 15×11,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ART SPACE POOL 공간소개 리플릿 2014, 21×15,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235
|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
- 전시공간 도면 -
아트스페이스 풀 공간공사를 위한 드로잉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아트스페이스 풀 전경, 2000년대,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아트스페이스 풀 전시장면, 2000년대, 아트스페이스 풀 소장
236
3. 전시자료 | 대안공간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1999년 개관
정수진 뇌해(腦海) 2000, 12×18, 예술자료원 소장
꺼풀 2000, 22×19, 예술자료원 소장
사루비아 타임캡슐 2002, 22×18 예술자료원 소장
대안공간 반디(대안공간 섬) 1999년 부산에서 개관, 2011년 폐관
대안공간 섬 안내 리플릿 1999, 21×10
대안공간 반디를 기록하다: 섬에서 반디로 19992008 2009, 25×19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