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df 도록 최종

Page 1

2013 KCDF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ABOUT

ARTISTS

ADVISORY PANEL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소개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

강미나

김주선

About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About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KANG, MI NA

KIM, JOO SUN

강지혜

김주일

KANG, JI HYE

KIM, JU IL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은 한국인의 일상은 물론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한국 전통 소재 및 공예 기법에 컨템퍼러리 디자인을 접목한 ‘2013 공예디자인 상품

강희정

안강은

코리아 라이프 스타일을 계승 · 확산하기 위해 설립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공기관

개발 사업‘은 심사 과정에서부터 상품성을 고려해 선발했습니다. 참여 디자이너는

KANG, HEE JUNG

AN, KANG EUN

입니다. 공예가와 디자이너, 문화산업 전문가 등 문화예술계는 물론 학계와 산업계를

자문위원과의 끊임없는 연구와 보완 과정 끝에 대중에 친근한 상품을 선보였습니다.

중심으로 한국인의 일상 속에서 공예와 디자인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계기를 제공하는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은

문유진

이석우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공예 · 디자인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

공예 산업이 자생력을 기르고, 나아가 참신하고 경쟁력 있는 공예디자인 상품이 해외

MOON, YOO JIN

LEE, SUK WOO

연구, 전시, 교육, 출판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에서 인정받기를 바랍니다.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은 앞으로 공예디자인 상품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개발 사업 지원에 더욱 앞장서겠습니다.

윤진초

YOUN, JIN CHO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is a public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at seeks to continue and spread the Ko-

The products developed at the ‘2013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rean lifestyle that can be shared not only by Koreans but also the global com-

Project‘ combines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crafts technique with

이윤희

munity. The objective of KCDF i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rafts

contemporary design. They were chosen with marketability in mind from the

LEE, YUN HEE

and design culture in everyday lives, working with the members of the culture

judging stage. The participating designers were able to present products that

and arts circle including craftsmen, designers and cultural industry experts

are friendly to the public after continuous research with the advisory panel and

이음 (김수연 / 조희은)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as well as the academia and industries. By establishing a close network with

supplementations to their pieces.

crafts and design related institutions, KCDF is currently expanding its scope to

KCDF hopes that through the ‘2013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

research, exhibitions, education and publications.

ect‘, the Korean crafts industry will be able to flourish on its own and that Ko-

이지수

rean craft design products achieve recognition in the global community. KCDF

LEE, ZEE SOO

will take the initiativ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raft design products. 인현식

IN, HYUN SIK 조신현

CHO, SIN HYUN


PROCESS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과정

How Craft & Design Products are Developed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은 공예 · 디자인 관련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

1

2

전통 소재 및 공예 기법을 활용한 공예디자인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디자인, 유통, 상품 개발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심사위원으로 선정, 두 차례에 거쳐 심사를 진행했습니다.

1차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해 20개의 상품이, 2차 실물상품 평가로 최종 상품 10개가 선정됐습니다. 최종 상품으로 선정된 참가자들은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의 프로그램 취지에 따라 자문위원과 3회에 거쳐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1차 워크숍에서는 국내외 공예 디자인의 시장 규모와 진출 전략을 파악하고, 상품 경쟁력을 키워나갔습니다. 2·3차 워크숍에서는 상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포장과 가격 등 다방면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했습니다. ‘2013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에서 많은 노력과 고심 끝에 만들어진 공예디자인 상품이 좋은 반응을 얻고, 나아가 공예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 니다.

‘2013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invited crafts and design experts to us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crafts technique to develop craft design products. Experts in design, distribution and product development were chosen as judges and two rounds of judging were held. Twenty products

3

4

5

were chosen by evaluating the portfolio during the first round. Then, ten products were selected among them as final products during the second round, evaluating the actual products. The contestants of the final ten products each held three workshops with the advisory panel with the spirit of the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gram‘. During the first workshop, participants identified the size of the craft design market in Korea and abroad. They also put efforts to raise product competitiveness. During the second and third workshops, they focused on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and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by paying attention to wrapping and pricing. We hope the craft design products made with devotion and toil at the ‘2013 Craft &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receive recogni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rafts industry.

1 - 2 Workshop 1

3 Workshop 2

4 - 5 Workshop 3


PRODUCT

모시장신구

RAMIE FABRIC JEWERLY 10 결

WOOD GRAIN CLOCK 12 옻칠 젓가락 & 받침 ‘소소(小昭)‘

‘OTT‘ CHOPSTICKS & SUPPORT 옻칠 목걸이 ‘AH, OTT‘

NECKLACE ‘AH, OTT‘ 14 매듭가방

THE KNOT BAG 16 이야기가 담긴 도자기

COLOUR BOOK KOREAN CULTURAL HERITAGE 1 CERAMICS TELL STORIES 18 HUE :休 20 H FELT SHOPPER 22 FLIESSEN SOLID & VOID (SNV) SPECIAL EDITION 24 참외무늬 간편 다기세트

SIMPLE TEA SET WITH MELON PATTERN 26 자연

NATURE 28


KANG, MI NA

PRODUCT

강미나

모시와 금속을 활용한 장신구의 탄생

Jewelry using ramie fabric and metal 2

강한 원색이 입혀진 모시 조각들이 조합된 장신구는 추상적 이미지의 변주를 만들어 낸다. 이 섬유 장신구들은 색과 질감뿐만 아니라 면과 면을 이어붙이는 실의 굵기와 색, 바느질의 기법 등 작품의 다양한 표정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모시 장신구 속에는 강렬한 추상 형태와 색감이 압축되어 있으며, 착용자와 언제나 한 몸이 될 수 있는 모시 재료 특유의 친근함이 존재한다.

Jewelry, made with popping primary colors of the ramie fabric pieces show a variation of abstract images. The fabric jewelry not only has color and texture,

2

2

3

1

but the thickness and colors of the thread that binds the fabric together and sewing method also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piece. The ramie fabric jewelry holds intense abstract images and colors. At the same time, it gives a familiar feeling to the wear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mie fabric, making the wearer become one with the jewelry.

1

모시장신구 모시, 실, 스테인리스 스틸

1 브로치 L / 53×80×37mm, 4g / 180,000원 2 브로치 S / 27×40×26mm, 1g / 90,000원 3 브로치 XS / 24×28×16mm, 1g / 80,000원 강미나 KANG, MI NA

RAMIE FABRIC JEWELRY

www.minakang.pe.kr

Ramie fabric, thread, stainless steel

n-kmn1106@nate.com

1 Brooch L / 53×80×37mm, 4g / 180,000 won 2 Brooch S / 27×40×26mm, 1g / 90,000 won 3 Brooch XS / 24×28×16mm, 1g / 80,000 won

10

11

2


KANG, JI HYE

PRODUCT

강지혜

일상의 조각들이 만나 하나가 된 시계

A clock made with the pieces of everyday life

나무는 가장 익숙한 일상의 소재이지만 어느 하나 동일할 수 없는 나이테라는 고유의 문양을 갖고 있다. 그 시간의 흔적이 담긴 나이테 문양의 조각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나 자유롭고 연속적으로 조합 될 수 있는 육각형태의 시계이다. 큰 사이즈의 시계 는 천천히 움직이는 시침과 분침이, 작은 사이즈의 시계는 빠르게 초침만 움직인다. 두 시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립되어 하나가 될 뿐만 아니라 여러 개가 만나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Wood is one of the most familiar materials, but has its unique pattern called the growth rings. The patterns are never the same. The patterns of the growth rings that show the lapse of time form a free and continuously combined hexagon, meeting from different directions. The large clock has both a slowly moving hour hand and a second hand and the smaller has just a quick-moving second hand. The two clocks can be assembled to become one and also can be extended infinitely by assembling many of them.

결 호두나무 시계 모듈 세트 / 1.5kg / 340,000원 - 시계 모듈(대) 230x270x25mm / 시계 모듈(소) 160×190×25mm 강지혜 KANG, JI HYE

www.musim-co.com baguettor.k@gmail.com

12

WOOD GRAIN CLOCK Walnut Clock Module Set / 1.5kg / 340,000 won - Clock Module(L) 230x270x25mm / Clock Module(S) 160×190×25mm

13


KANG, HEE JUNG

PRODUCT

강희정

일상에 옻칠을 하다

Painting with ott on our everyday lives

6

3

소소(小昭)는 전통소재인 옻칠과 나전, 금박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저, 커트러리 받침이다. 이는 모두 수제로 만들어지며, 2pcs, 4pcs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있다. 디자인 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가격은 재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옻칠 목걸이 ‘Ah, Ott‘는 수저받침을 제작하다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전통 옻칠 기법

7

을 그대로 적용했고, 이 역시 모두 수제로 만들었다. 수저받침의 길고 슬림한 형상을 그대로 적용했으며, 은은하게 빛나는 옻칠 펜던트가 돋보일 수 있도록 줄 부분은 단일

5

색상의 가는 면사로 심플하게 매치했다. 3

‘Ott‘ chopsticks & support is a support for spoon and chopsticks or cutlery using the traditional lacquer ottchil and gilding. These are all handmade, with 6

2-piece or 4-piece sets. You can choose different designs and the price slightly

3

varies with material. 5

Necklace ‘Ah, Ott‘ was made with inspiration while making the supports. I used

1

the traditional ottchil method and the products are all handmade. I expressed 5

the long, slim form of the supports and simply matched it with thin, single-col-

1

8

ored cotton yarn so that the ottchil pendant stands out. 3

강희정 KANG, HEE JUNG

http://kcdfproduct.kr/ applegreen00@hotmail.com

2

4

옻칠 젓가락 & 받침 ‘소소(小昭)‘ 나무, 옻칠, 자개, 금박

옻칠 목걸이 ‘AH, OTT‘ 나무, 옻칠, 자개, 면사

수저받침 / 60×8×5mm, 2.1g - 1 옻칠 10,000원 2 금박 17,000원 3 자개 17,000원

6 사각자개 55×5×5mm 1.1g / 70,000원

젓가락(대) / 230×15mm, 2.1g - 4 옻칠 34,000원 / 자개 36,000원

7 원형칼라(trois) 55mm 3ø 1.1g / 60,000원

젓가락(소) / 200×10mm, 2.1g - 5 옻칠 32,000원 / 자개 34,000원

8 칼라옻칠(반원, 삼각, 사각) 10×60×5mm 1.1g / 46,000원

‘OTT‘ CHOPSTICKS & SUPPORT

NECKLACE ‘AH, OTT‘

Wood, ottchil(Korean natural lacquer), mother-of-pearl, gold leaf

Wood, ottchil(Korean natural lacquer), mother-of-pearl, cotton yarn

Support / 60×8×5mm, 2.1g

6 Rectangular mother-of-pearl 55×5×5mm, 1.1g / 70,000 won

1 Ottchil 10,000 won 2 Gold leaf 17,000 won 3 Mother-of-pearl 17,000 won

7 Circular color(trois)55mm 3ø, 1.1g 60,000 won

Chopsticks(L) / 230x15mm, 2.1g

8 Colored ottchil(half-circle, triangular, rectangular) 10×60×5mm, 1.1g

4 Ottchil 34,000 won / Mother-of-pearl 36,000 won

/ 46,000 won

Chopsticks(S) / 200x10mm, 2.1g 5 Ottchil 32,000 won / Mother-of-peal 34,000 won

14

15


MOON, YOO JIN

PRODUCT

문유진

‘바치‘ 정신으로 만든 특별한 가방 A special bag made with the ‘Vaci‘ spirit

선조들의 공예품인 갓에서 영감을 받아 섬세한 말총의 짜임을 주름으로 표현하고 갓끈을 다양한 매듭 끈으로 제작하여 손잡이로 사용했다. 가방의 주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고, 주름을 잡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도록 디자인 했다.

I was inspired by ‘gat‘, a handicraft of Korean ancestors. The creases on the bag represent the delicate weaving of horsehair and the handle was made with knotted ‘gat‘ strings. The creases on the bag can be changed around. They make it more convenient for users to carry it.

매듭가방 폴리에스터

230×400mm, 150g / 38,000원 문유진 MOON, YOO JIN

http://kcdfproduct.kr/ designvaci@naver.com

THE KNOT BAG Polyester 230×400mm, 150g / 38,000 won

16

17


YOUN, JIN CHO

PRODUCT

윤진초

어른 · 아이가 함께 즐거운 색칠놀이 책

Coloring book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어린이가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를 더욱 쉽고 즐겁게 감상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쉽게 쓰고, 버리는 색칠공부나 머리 아프게 공부해야 하는 활동지가 아닌 오래도록 소장하고 싶은 색칠놀이 책을 만들고 싶었다.

I started this project so that children can easily and happily appreciat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I wanted to make a coloring book that you would want to keep for a long time, unlike the one-time coloring books and activity books that causes headaches.

이야기가 담긴 도자기 출판물 색칠놀이책 / 250×350×15mm / 8,000원

윤진초 YOUN, JIN CHO

www.jinchoyoun.com jinchoyoun@hotmail.com

18

COLOUR BOOK / KOREAN CULTURAL HERITAGE 1 / CERAMICS TELL STORIES Publication Colour Book / 250×350×15mm / 8,000 won

19


LEE, YUN HEE

PRODUCT

이윤희

등불 아래에서 휴식을 찾다

Seeking rest under a lamp

도자 등잔을 현대적으로 해석해 등불의 편안함과 아름다움, 멋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오늘을 사는 사람들에게 눈의 피로를 주는 밝기만 한 조명이 아닌, 여유와 휴식을 주는 등잔을 선물해주고 싶었다.

Through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eramic lamp, I displayed the comfort, beauty and style. I wanted to present a lamp that not just gives bright light that makes the eyes tired, but a lamp that gives comfort and relaxation to the people living in modern days.

1

2

HUE :休 자기토, 수금, 황동 오일램프 / 150×150×200mm, 400g / 1 100,000원 2 150,000원 이윤희 LEE, YUN HEE

http://kcdfproduct.kr/ vpdk@naver.com

20

HUE :休 Porcelain, gold luster, brass Oil lamp / 150×150×200mm, 400g / 1 100,000 won 2 150,000 won

21

1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PRODUCT

이음 (김수연 / 조희은)

전통과 현대를 엮다

Weaving tradition and modernity

이음(i:um)은 공존(coexistence) · 소통(communication) · 편안함(Comfort)이라는 콘셉트로

‘새로운 것을 탄생시킨다‘는 의미이다. 전통과 현대, 과거·현재 ·미래를 연결해 서로 소통 하는 장을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i:um means ‘Bearing something new‘ with the concept of Coexistence, communication and comfort. We wanted the product to be a medium for communication, connecting tradition and modernity; past, present and the future.

H FELT SHOPPER 이음 (김수연 / 조희은)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펠트, 가죽

Mustard, Gray, Purple / 350×420×70mm, 400g / 190,000원

http://kcdfproduct.kr/ xianann@gmail.com designism72@hanmail.net

H FELT SHOPPER Felt, leather Mustard, Gray, Purple / 350×420×70mm, 400g / 190,000 won

22

23


LEE, ZEE SOO

PRODUCT

이지수

리빙웨어 제품에 예술을 입히다

Tableware meets art

오리지널 Solid & Void (솔리드 앤 보이드) 컵에 새로운 재료를 접목한 스페셜 에디션 시리즈다. 조형성은 물론 다른 재료와의 혼합에서 오는 신비로움과 독창성을 지녔다.

3

3

1

2

공예라는 범주 안에서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통합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으며, 모던하면서도 특별한 상품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This is a special edition of the original Solid & Void combined with new material. Not only does it have formativeness but also mysteriousness from blending different materials as well as uniqueness. Within the scope of craft, I wanted to present integral possibilitie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ried to make a modern and special product.

FLIESSEN SOLID & VOID (SNV) SPECIAL EDITION 백자토, 투명유, 수금, 레진, 1265℃ 환원소성

1 일반 / 75ø×150mm, 180~220g / 70,000원 2 레진 / 75ø×150mm, 200~280g / 80,000원 3 금 / 75ø×150mm, 180~220g / 90,000원 이지수 LEE, ZEE SOO

www.leezeesoo.com rabeburg@hotmail.com

FLIESSEN SOLID & VOID (SNV) SPECIAL EDITION White porcelain clay, transparent glaze, gold painting, resin, 1265℃ reduction firing 1 Normal / 75ø×150mm, 180~220g / 70,000 won 2 Resin / 75ø×150mm, 200~280g / 80,000 won 3 Gold / 75ø×150mm, 180~220g / 90,000 won

24

25


IN, HYUN SIK

PRODUCT

인현식

전통 다기, 현대를 입다

Traditional tea set wears modernity

보수적인 다기 디자인에서 벗어나, 간편하지만 격식을 잃지 않는 다기를 디자인했다. 백자에 전통양각 기법인 참외 무늬를 조각했고 은을 이용하여 고급스럽게 디자인했다.

I wanted to move away from the conservative tea set design and designed a simple yet classy tea set. I engraved a melon pattern using the embossed carving method onto the white porcelain and made designs with silver.

4

1

2

3

3

참외무늬 간편 다기세트 도자기, 황동, 은, 은페이스트

1 은손잡이 차거름망(받침) / 60×60×95mm, 150g / 96,000원 2 은손잡이 다관 / 85×85×150mm, 300g / 264,000원 3 은잔(받침) / 110×110×60mm, 100g / 84,000원 4 은차호 / 55×55×65mm, 100g / 66,000원 인현식 IN, HYUN SIK

http://kcdfproduct.kr/ ceramic17@naver.com

SIMPLE TEA SET WITH MELON PATTERN Ceramic, brass, silver, silver paste 1 Silver handle tea infuser(saucer) / 60×60×95mm, 150g / 96,000 won 2 Silver handle teapot / 85×85×150mm, 300g / 264,000 won 3 Silver cup(saucer) / 110×110×60mm, 100g / 84,000 won 4 Silver tea jar / 55×55×65mm, 100g / 66,000 won

26

27


CHO, SIN HYUN

PRODUCT

조신현

도자 식기, 일상을 예술로 만들다

Porcelain tableware, making everyday life to art

1

색채와 형태의 반복이 시각적으로 주는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서로 다른 색판들이 겹쳐 선을 이룬다. 그 선들이 모여 만들어진 면에 조각함으로써, 선들이 변화하고 서서히 하나의 작업으로 부각된다. 단순한 형태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조형미를 표현한 이 작품은 실용성과 미적 감각을 갖춘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친숙하면서도 세련된 이미지가

3

특징이다.

4

The repetition of color and pattern display visual beauty and different color plates are stacked to form lines. The area made with the lines was engraved on, making the lines change and gradually become a single piece. This piece uses simple form to exhibit the beauty of a sculpture, and is a piece that holds both practicality and aesthetic features. It is not only familiar but also sophisticated.

5

2

자연 자기토, 고화도 안료

1 포트 / 250×130×160mm, 550g / 200,000원 2 머그 1 / 110×80×105mm, 350g / 40,000원 3 머그 2 / 150×90×80mm, 210g / 70,000원 4 티잔(받침) / 160×160×75mm, 520g / 50,000원 5 에스프레소(받침) / 115×115×70mm, 220g / 35,000원 조신현 CHO, SIN HYUN

http://kcdfproduct.kr/ ehfqldrn@hanmail.net

NATURE Porcelain clay, color pigment 1 Pot / 250×130×160mm, 550g / 200,000 won 2 Mug 1 / 110×80×105mm, 350g / 40,000 won 3 Mug 2 / 150×90×80mm, 210g / 70,000 won 4 Teacup(Saucer) / 160×160×75mm, 520g / 50,000 won 5 Espresso(Saucer) / 115×115×70mm, 220g / 35,000 won

28

29


INTERVIEW

강미나

강지혜

강희정

문유진

윤진초

이윤희

이음 (김수연 / 조희은)

이지수

인현식

조신현

KANG, MI NA

KANG, JI HYE

KANG, HEE JUNG

MOON, YOO JIN

YOUN, JIN CHO

LEE, YUN HEE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LEE, ZEE SOO

IN, HYUN SIK

CHO, SIN HYUN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KANG, MI NA

INTERVIEW

강미나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금속공예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장신구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손맛이 느껴지는 상품이라 말하고 싶다. 공예디자인 상품 중에도 대량생산을 통한 것이

I graduated from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joring in Metalwork

있겠으나, 그 하나하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세심한 배려와 일반 기성품에서

& Jewelry. I am currently a jewelry designer.

볼 수 없는 치밀한 디자인 철학이 녹아있다. 대중도 그러한 것에 감탄하며 비싼 값이 라도 지불해 그 가치를 구매한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I think these products let you feel the craftsmanship. Some craft design prod-

About your work.

ucts may be mass produced, but in each and every piece of work, there is sensitivit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and elaborate design philosophy that

우리나라의 미를 상징하는 ‘모시‘를 소재로 현대장신구를 표현한다는 것에 의미가

you wouldn‘t be able to find in manufactured goods. For this reason, people

있다. 나는 모시의 시각적 다양성과 재료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전통소재에

would appreciate the products and be willing to purchase the value in spite of

대한 관심과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했다.

1

the high price.

It is meaningful making modern jewelry with ‘ramie fabric‘, which is a symbol of beauty in Korea. I sought to present the visual diversity of the ramie fabric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and its potential as a material. Moreover, I wanted to draw interest to Korean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traditional materials as well as expand the scope of which is used.

모시 브로치는 누구나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배지(badge) 형식으로 제작했다. 크기를 직물과 금속의 융합에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줄여 평소 브로치를 즐기지 않는 사람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특별한 날

Is there a particular reason for blending fabric and metal materials?

옷에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경제적인 가격대로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길 원하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금속만으로 개성을 표현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소재와 다른 것을 병합하는

I made the ramie fabric brooches in the form of a badge so that anyone can

과정에서 바느질의 색감과 물성에 매력을 느꼈다.

put it on easily. I scaled the size down so that even people unfamiliar with

I think it‘s difficult to express one‘s characteristics with just metal. During the

brooches can try them without hesitation. It can be a focal point on a special

process of combining different material, I was attracted to the colors and the

day outfit. With its reasonable price, I think those who wish to express their

properties of thread.

uniqueness will like the products.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2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ould you work on?

모시와 금속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금속의 단단한 물성과 모시의 화려한 색감이 서로 어우러질 때 하나의 장신구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물성이 다른

나는 장신구라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공예를 하고 싶다. 특히 금속을 사용해 새로운

두 재료를 서로 결합하는 일은 이번 작업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나는 모시의 형태를

차원의 장신구를 만들고 싶은 욕심이 있다.

먼저 잡고 그것에 어울리면서도 천의 형태를 잡아줄 수 있는 금속 틀을 제작했다. 변

I would like to try various crafts within the category of jewelry. I am particular-

색 우려가 없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했고, 겉은 모시와 어울리도록 실로 감았다.

ly interested in making a whole new concept of jewelry using metal.

The ramie fabric and metal complement each other‘s weaknesses. This is because a piece of jewelry is made when the solid property of the metal and ornate colors of the ramie fabric are harmonized. Combining materials with two different properties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is piece. I first made a shape with the ramie fabric and then made the metal frame that harmonized with the fabric and could hold the shape of the fabric. I used stainless steel that does not discolor and wrapped it with thread to go with the ramie fabric.

3 32

33


KANG, JI HYE

INTERVIEW

강지혜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무심코 지나칠 법한 일상의 경이로움을 무심코 지나칠 뻔한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공예는 자연이 주는 자재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한다. 자연이 갖는 본연의 성질은 독특한

가구 & 오브제 디자이너.

모양, 문양, 색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삶을 포함하고 있다. 공예

A furniture & objet designer who wishes to share the wonders of everyday

상품은 이를 눈여겨 본 사람들의 손길이 닿아 쓰임새를 나타내는 것이다.

lives that can be unintentionally overlooked with those who might have unin-

I think craft starts from the materials provided by nature. The inborn properties

tentionally overlooked them.

of nature not only hold unique shapes, patterns and colors but also the life that we live in. Craft products gain practical usage by the craftsmanship of the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people who take note of that fact.

About your work.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많은 사람이 기존에 없는 요소들을 찾고 더해야만 새로운 것이 창조된다고 생각한다.

1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하지만 나는 자연이 갖는 수많은 소재는 의외로 포괄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뿜고 있으며, 이 본연의 성질들을 순수하고 직관적으로 이용하면 상당히 큰 효과를

휴대전화로 인해 시계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주변에서 아주 익숙하게 접할 수 있는 나무로 만들어진

어느 한정된 공간에 걸려있는 벽시계는 그 안에 함께 있는 사람들과 매 순간을 공유할

이 시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경이 변함에 따라 매 순간 고유한 문양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시간을 알리는 본연의 역할까지 똑똑하게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

Many people think new things can be created only by finding previously

가치를 인식하는 사람, 자신만의 공간에서 디지털 기기와 떨어져 지내고 싶은 사람을

non-existent elements or adding new elements. However, surprisingly, I think

대상으로 벽시계 시장은 꾸준히 존재할 것으로 생각한다.

many of the materials provided by nature show possibilities that can be com-

It is true that nowadays, not many people buy watches because of cellphones.

prehensively achieved. If we are able to use these natural properties in an

However, a wall clock hung in a limited space not only shares each and every

intuitive way, we can generate a significant effect. This clock is made with a

moment with the people in the space but also faithfully fulfills its practical role

piece of wood we can see easily around us. It shows its unique pattern with

of notifying time. I think the market for wall clocks will remain for those who

the march of time and change of environment.

recognize this public value and those who wish to take a step away from digital devices in their own space.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2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변형을 통해 소재의 특징과 기품, 섬세함을 강화할 때는 절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what would you work on?

나무라는 소재 자체의 순수한 특성에 집중했고, 시계라는 쓰임이 있는 사물에 적용

우리나라 고유의 아름다움을 잘 살릴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해 보다 많은 사람이 사용할

할 수 있는 구조에 중점을 두었다.

수 있는 가구를 만들고 싶다.

I think moderation is needed when strengthening the properties, elegance and delicacy of a material through modification. I focused on the sheer property

I want to make furniture that can be used by many people, using materials that

of the wood and emphasized the structure that could be applied to a practical

can show the distinctive traditional beauty of Korea.

object, clock.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디자인이라는 분야에서 새로운 소재나 재미있는 것을 찾는 것에 지쳐있었다. 자연 그대로에서 오는 것들을 표현하고 가치를 찾고 싶었다. 일상의 경이로움을 무심코 흘려보내지 않기를 바란다.

I was tired of looking for new material or fun elements in the field of design. I wanted to express what comes from the nature as itself and find value. I hope you do not unintentionally let the wonders of everyday lives slip away.

3 34

35


KANG, HEE JUNG

INTERVIEW

강희정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옻칠공예를 전공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몇 해 전부터 버려진

‘공예‘와 ‘디자인‘ 그리고 ‘쓰임‘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는 듯하다. 공예

것들의 가치를 발견하고 해체, 재조합하는 자개장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등 가구 제작

디자인 상품의 기반은 공예의 측면에 있으며, 공예의 기반은 사람의 손에 있다고 본다.

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또 사람의 손을 떠난 것들을 옻칠과 접목하여 다시 우리의

이렇듯, 우리의 손으로만 표현할 수 있는 감수성과 깊이감을 지닌 것이 공예디자인

곁으로 들이는 일을 하고 있다. 현재 가구, 생활용품, 장신구, 오브제 등 여러 분야에

상품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그리고 이는, 사람들에게 쓰임으로서 제 위치를 찾아갈

관심을 가지고 다방면으로 활동 중이다.

것이다.

I majored in ottchil crafts and I am currently involved in many ottchil-related

‘Craft‘, ‘Design‘ and ‘Usage‘ are indispensable aspects. I think the fundamental

work. Since a few years ago, I have been building furniture by participating in

of craft design products lie in the craft aspect, and the fundamental of craft

the mother-of-pearl upcycling projects that find values in junks, break them up

lies in the hands of man. As such, I think craft design products hold sensitivity

and recombine them. Also, I take things that were thrown away, apply ottchil

and depth that can only be expressed with our hands. This in turn, will enable

and make it into things that people want again. I am interested and engaged

the products to be used, which is where they should be.

in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furniture, daily necessities, jewelry and objet.

1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About your work.

수저받침은 기본적으로 동양의 음식문화 속에서 사용된 아이템이므로 서양을 비추어

받침 위에 다소곳이 놓여있는 수저를 보면, 누군가에게 대접을 받고 있다는 느낌이

생각해보면 대중적이지 못한 상품일 것이다. 하지만 동양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든다. ‘다른 물건의 밑에 대는 데 쓰게 만든 물건‘이란 받침의 사전적 의미처럼,

높아지고, 식문화도 많이 변화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음식문화를 알리고 기념하는 데는

수저받침 또한 다른 사물을 위해 존재한다. 반드시 필요하지도 않고, 작고 낮아 눈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한다.

잘 띄지도 않지만, 이러한 소품으로 인해 변화될 수 있는 식탁 위의 풍경을 상상해

Supports were used in the Asian food culture, so one might think it would not

보니 상품 개발의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여겨졌다.

be so popular to the Western world. However, with the rise of interest in Asia,

It feels like you are being treated well when you see a set of spoon and chop-

the food culture is also changing. So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pro-

sticks on a support. Like its definition, ‘a thing that bears the weight of some-

mote and appreciate the food culture of Korea.

thing or keeps it upright‘, a support exists for other objects. It is not essential and neither eye-catching sine it stands so small and low. However, I thought it was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worth making, thinking of a change in the table scene with such a small prop.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ould you work on?

2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옻칠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는 식기류를 디자인하고 제작해 보고 싶다. 앞으로 유기,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도자와 같은 소재에 옻칠 작업을 해볼 계획이다. 다양한 소재를 찾아내고, 이를 옻칠과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상품과의 차별성에 중점을 두고 제작했다. 이는 일반적인 수저

접목하는 작업을 꾸준히 선보이고자 한다.

받침의 형식에서 벗어난 디자인과 소재이며, 특히 실용성과 장식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I want to design tableware that can compliment the strengths of ottchil. In

크기와 모양, 색채로 제작했다. 모두 수제 상품으로 대량생산이 어려워 기존 제품보다

the future, I plan on using the ottchil method on brass and ceramics. I want to

가격대가 저렴하지 않은 점은 해결해 가야 할 문제이다.

continuously find different materials and combine them with ottchil.

I focused on how I can differentiate them from the existing products. This support uses design and material that is different from an ordinary support. It was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made into various sizes, shapes and colors taking practicality and decorative-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ness into consideration. However, they are pricier than the existing supports

외국에 작업을 소개할 때 그들의 삶에 맞게 높이와 사이즈를 변형하기보다 우리가

since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them because they are all handmade prod-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일상적이고 단순한 필수품에

ucts. This is an issue yet to be addressed.

깊이를 부여함으로써, 평범한 사물들이 여러 이야기를 할 기회를 만들어 주고 싶다. 그리고 일상생활이 더 즐거워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공예디자인 상품을 지속해서 개발할 예정이다.

When introducing my pieces overseas, I want to present to the foreign clients

3

what we use as it is, rather than changing the height or size to accommodate to their lives. I want to give a chance for ordinary objects to tell various stories by giving depth to simple and everyday necessities. I will keep on developing different craft design products so that our everyday lives can be more fun.

36

37


MOON, YOO JIN

INTERVIEW

문유진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디자인을 전공했으나 삼성미술관에 오래 근무하며 우리 공예품의 현대적 변용에 많은

공예디자인 상품이란 공예의 기법 재현이나 답습이 아닌, 현대인의 생활에 맞게 디자인

관심을 갖게 됐다. 그 경험을 토대로 지금은 ‘바치-Vaci‘라는 브랜드를 통해 공예디자인

되었으면서도 공예기법이 적용된 상품이라 생각한다. 좋은 디자인과 만난 숙련된 공예는

상품들을 선보이고자 한다. ‘바치‘란 장이를 이르는 옛말로 오늘날의 진정한 전문가라

최상의 조합이라 하겠다.

할 수 있겠다.

Craft design products are not products that reproduce or follow the craft tech-

I majored in design, but have worked at the Leeum Museum for a long time.

nique. They are products with modified designs to fit the lifestyle of modern

This helped me trigger interest in modifying the Korean handicrafts. Based on

day people but also have the craft technique. I would say the best combination

the experience, I have been providing craft design products through a brand

is when a good design meets skilled craftsmanship.

called ‘Vaci‘. ‘Vaci‘ is an old Korean term for professional, one who could be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considered an expert in the modern days.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1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가방은 여성의 선호도가 높은 품목이다. 매듭공예를 적용해 외국인에게도 좋은 반응을

About your work.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자의 로망 중 하나는 좋은 가방을 갖는 것이다. 여자들이 말하는 좋은 가방이란 명품

Bags are items that women prefer. I think foreigners would also come to like it

브랜드의 것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자신과 어울리는, 사용이 간편한 가방이다. 나는

with the knotting craft method.

그런 의도를 갖고 공예디자인이 접목된 매듭장식 주름가방을 만들었다.

One of the dreams of a woman is to have a good bag. A good bag for a wom-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an means not only those with luxurious brand names. A good bag is a bag that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goes well with the person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use. With these inten-

what would you work on?

tions, I made a knot bag with creases based on craft design.

옻칠과 나전칠기에 깊은 관심이 있어 현재 무형문화재이신 수곡 손대현 선생께 옻칠을 배우고 있다. 디자이너이지만 공예의 정확한 과정을 직접 익히면 전통 공예 기법을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접목한 좋은 공예디자인 상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I have deep interest in ottchil and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So I

많은 사람은 전통은 촌스럽고 현대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선입견을 품고 있다. 그런

2

am currently learning ottchil from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oogokSohn-

편견을 깨고 싶어 전통 공예 기법을 적용하면서도 현대 생활에 잘 어우러지는데 주안점

Daehyun. Although I am a designer, I think I would be able to make good craft

을 뒀다. 또한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여러 부분 신경을 써서 제작했다.

design products with traditional craft technique if I learn the accurate processes.

Many people are biased that tradition is out of style and does not harmonize with modernity. I wanted to correct the bias. So I focused on applying the tra-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ditional craft method and at the same time, harmonizing it with modern life.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Also, I put in efforts to raise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에코백을 전통적으로 해석하고 싶었다. 장식으로써의 매듭을 기능적으로 다가가 접목 시켰다. ‘바치는 옛것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오늘에 어울리는 디자인을 선보이겠습 니다‘라는 소개 글귀는 내가 하는 디자인 작업을 오롯이 표현하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최상의 공예디자인 상품을 선보이기 위한 여정에 이번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사업에 참여는 많은 밑거름이 될 것이다.

I wanted to interpret eco bags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I approached the knot, which is decoration, from a functional aspect. The phrase ‘Vaci will present designs that harmonize with the modern day based on the beauty of the past.‘ precisely conveys the work I do. Participating in the 2013 KCDF Craft &

3

Design Product Development Project will be a good foundation for my journey in providing the best craft design products.

38

39


YOUN, JIN CHO

INTERVIEW

윤진초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그림 그리는 사람이다.

공예디자인 상품이란 작가의 손을 많이 탄, 손맛 나는 상품이라고 감히 정의 내리고

I am a painter.

싶다.

I would dare say that craft design products are products that go through a lot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of skillful work by the artist, products that display the touch of the artist.

About your work.

1

어느 문화를 막론하고 고미술에서 많은 영감과 신선한 아이디어를 얻는다. 그래서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박물관에 가는 것을 참 좋아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아름다운 작품들이 유리벽에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갇혀 근엄한 모습을 하고 박물관에 나들이 온 아이들에게 겁을 주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색칠놀이 책은 수요가 줄어드는 분야라고 들었다. 하지만 그것은 천편일률적이고

받았다. 나는 어떻게 하면 친숙하고 재미있게 우리 전통 미술의 아름다움을 소개할

조악한 구성을 한 기존 색칠놀이 책의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예술성과

수 있을까, 고민했고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다.

교육적인 면을 모두 따진 고민의 결과물로, 안정적인 판매처만 확보된다면 수요가

Regardless of culture, I get inspiration and fresh ideas from ancient art. So I

많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이 우리나라 문화재의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한 도구로도

enjoy going to museums. One day, I felt like the beautiful artwork put on a

활용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solemn face behind the glass walls, scaring the children who have come to see

I have heard that the demand for coloring books is decreasing. However, I

them at the museum. I started thinking about how to introduce the beauty of

think that is only because the previous coloring books were boring and in low

traditional Korean art to the kids in an easy and familiar way, and thus started

quality. This book is an outcome of contemplation on both artistic and educa-

this project.

tional aspects. With a stable distributor, I think there would be strong demand. I hope this book is utilized to spread the beauty of Korean art.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프랑스, 이탈리아의 경우 그림책 작가와 화가들이 그림책뿐 아니라 색칠놀이 책도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많이 펴내고 있으며, 그 수준도 상당히 높다. 그런데 한국의 색칠놀이 책은 내가 어린

what would you work on?

시절에 보던 그것과 비교해도 크게 달라진 점이 없었다.

<이야기가 담긴 도자기>는 <색칠놀이책 문화재랑 놀아요>의 첫번째 시리즈인데. 현재

나는 작가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을 소개하자는 취지로 색칠

2

그 두 번째와 세 번째 시리즈로 탈과 민화를 소재로한 놀이책을 준비중이다.

놀이책을 기획하였고 후에 이야기꽃 출판사의 김장성 편집장님의 많은 도움으로 스토리

I want to continue to work on a series like <Korean Cultural Heritage 1>, and

텔링까지 결합된 완성도 있는 프로젝트가 되었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수준과 취향에

<Ceramics Tell Stories>.

대한 고민보다 작가(나)부터 신나고 재미있는 책이 되도록 많이 고민했다. 내가 이 책을 보며 즐거워야 남도 즐겁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In France and Italy, illustrators and artists publish coloring books with high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quality as well as picture books. But Korean coloring books had not changed

갑자기 바빠진 스케줄과 출판사와의 입장차이로 힘들지만, 원래 해왔던 주제에 포커싱

much from what I used to see in my childhood days. I felt the responsibility as an artist and decided to publish a coloring book to introduce the beauty of

하는 작업에 비하면 탈출구 같은 즐거운 작업이다.

Korean cultural heritage. Later, with the help of editor Kim Jang-Seong at Iy-

It is quite difficult to juggle my busy schedule and the different stances be-

agikot, I was able to work on a great project combined with storytelling. I was

tween the publisher and myself. But this opportunity felt like an emergency

especially concerned about making a book that interests the artist (me) rather

exit compared to focusing on what I always work on.

than thinking about the preference and level of children. Wouldn‘t others have fun when I have fun with the books?

3 40

41


LEE, YUN HEE

INTERVIEW

이윤희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현재 작가로 활동 중이며, 수공예를 기반으로 설치 · 다품종 소량 생산 디자인 등 다양한

나는 디자인과 수공예의 장점이 통합되면 훌륭한 상품이 탄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공예디자인 상품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빠르게 제작·소비되는 공산품과 달리 사람이

Currently an artist, participating in various projects including installation and

직접 손으로 만들기에 다양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based on handicraft.

I believe a great product can be made when the strengths of design and handicraft are combined. Unlike mass-produced manufactured goods, craft design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products are handmade, so various outcome can be generated.

About your work.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디자인이 아닌 순수미술에 가까운 공예를 공부해왔다. 스스로의 경향에서 벗어나 작품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으로서 또한 실생활에 도구로서 사용이 가능하여 대중과 함께 호흡을 할 수 있는 그러한

1

작업을 해보고 싶었다. 도자 등잔인 ‘hue:休‘는 기능과 콘셉트를 생각하며 디자인한

도자 작업은 속임이 없다. 매일 살펴봐야 하고 재료를 이해하며 기술을 익혀야 한다.

것이 아닌, 오브제 작품에 기능을 가미한 것이다. 앞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 진실함을 아는 사람, 그리고 자신만의 특별함을 표현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구매할

작은 조각품을 만들고 싶다.

것이라고 생각한다.

I have been studying craft closer to fine arts than design. I wanted to get

Ceramic art is an honest procedure. You need to check on it everyday, understand

out of my tendency and make pieces that can breathe with the public as an

the material and hone your skills. Someone who knows the truthfulness and

artwork as well as a tool for daily life. A functional lamp ‘hue:休‘ was not de-

someone who wishes to express their uniqueness will purchase my products.

signed with function and concept in mind. Rather, it is an objet with function. I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want to make small sculptures that can be used in our everyday lives.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ould you work on?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2

대중과 소통할 수 있으면서도 만드는 사람인 내가 즐거울 수 있는 상품을 제작하고

상품이 나오기까지 모든 과정이 낯설었다. 어려웠던 점은 작품을 만들 때에는 내가

싶다.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하면 됐는데, 상품은 사용하는 사람의 마음도 고려해야

I want to make product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at the

했다. 작업 과정 중 제작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었지만, 상품의 기능, 디자인, 생산,

same time something that I can have fun making.

가격 결정, 포장 등 모든 부문에 걸쳐 균형 잡힌 시선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Making the craft was a very unfamiliar process. The most difficult part was to consider what the user might think, whereas when I work on art pieces, I only have to express my intentions. In making the craft product, I put the most importance on production, but I tried to maintain a balanced perspective on each element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product, design, production, pricing and wrapping.

3 42

43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INTERVIEW

이음 (김수연 / 조희은)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조희은은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 조형

공예는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생활도구를 만드는 실용예술 분야이다. 인간이

예술대학 박사과정 중이다. 현재 섬유작품을 연구하는 중이며 디자인이즘을 대표,

생활하는 어느 곳에서나 공예디자인 상품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수공예의 손맛은 살

건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구대학 대학에 출강 중이다. 김수연은

리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현대 문명의 장점을 잘 활용하는 것이 공예디자인 상품

성신여자대학교 공예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필라델피아대학교에서 텍스타일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디자인을 전공했다. 현재 텍스타일 디자이너로 활동하면서 Yewon A.I.D 디자인부 실장을

Craft is a part of practical art that makes everyday necessities. You can see craft

맡고 있으며, 성신여자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design products everywhere. We think the direction for craft design products

Cho, Hee Eun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Fine Arts at Sookmyung Women‘s

should take is embedding the touch of the craftsmanship into a product whil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as well. Currently she is in Doctoral‘s course at

utilizing the strengths of the modern technology enabling mass-production.

Visual Arts Department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he mostly works

1

with paper crafts, is the head of Design ISM and lectures at universities. Kim,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Soo Yeon majored in Craft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Graduate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School. She also majored in Textile Design at Philadelphia University. She is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을 소비하는 것이 싫증 난 현대인들이 수공예품에 점차 눈을

currently enrolled in master‘s degree program at Sungshin Women‘s Universsity. She is also head of Yewon A.I.D Design Department and lectures at Sung-

돌리고 있다. 이음(i:um)이 개발한 제품은 전통과 현대의 조합이라는 특면에서 대중에게

shin Women‘s University.

어필할 것이라고 본다.

Modern day people are getting sick of purchasing factory-made products and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started laying eyes on handicrafts. Products developed by i:um will appeal to

About your work.

the public in that they are a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현대에는 실용성과 심미성이 함께 드러난 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우리가 지나치면 안 될 중요한 요소는 산업적 기술과 인간의 ‘손맛‘이 조화를 이뤄야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한다는 점이다. 조희은과 김수연이 만나 출시한 브랜드인 이음(i:um)에서는 펠트를

what would you work on?

이용해 전통 수공예 방식과 최신의 레이저 커팅 기술을 응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전통미와

이음(i:um)에서는 어떠한 재료로 조합하느냐에 따라 수많은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다고

현대미가 어우러진 제품을 선보이고자 한다.

본다. 이음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실생활에서 손쉽고 친근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

Products that hold both practicality and aesthetic features garner attention in

2

3

the modern days. Against this backdrop, an important element we should not

소품부터 패션 소품, 리빙웨어 제품까지 제작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neglect is the fact that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human touch‘ should be

At i:um, we think we can create various designs by combining different mate-

harmonized. The brand i:um, launched by Cho, Hee Eun and Kim, Soo Yeon

rials. We plan to maximize our strengths and expand the scope of our products

provides products with traditional and modern beauty using felt with tradition-

from interior props, fashion props to living wear; products that are easy and

al handicraft technique and the latest laser cutting technology.

familiar to use in our everyday lives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맺고, 엮고, 짜는 일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상에서 누구나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우리는

보통 디자인만 생각하고 실용성은 생각을 많이 하지 못했던 것 같다. 쓰면서 알아가는

옛 조상들이 씨실과 날실을 엮어 바구니 등을 만들었던 것을 제품 개발에 응용했다.

것들에 대해 많이 느꼈다. 현대 공예 작품을 보면 분명한 쓰임새가 있으면서, 작가의

씨실과 날실 대신 펠트를 엮어 새로운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작품을 제작하는데

미적 성향도 두드러지고 완성도 높은 공예 작품들이 많다. 공예인들이 꾸준히 아이디어를

있어서는 펠트의 물성 중 가장 큰 장점인 가벼움을 최대한 살리고자 부자재를 활용한

내고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공방 등 개인 공

장식을 절제하고, 질감 등을 살려 실용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면을 부각했다.

예 사업 운영에 필요한 지원이 더욱더 적극적으로 이뤄졌으면 한다.

Regardless of East or West, tying, weaving and knitting is something anyone

I usually was focused on design and not so much on practicality. I learned a lot

can do in their everyday lives. We applied our ancestors‘ method of weaving

while using a product. Modern craft products have explicit function but at the

weft and warp threads to make baskets. Instead of weft and warp thread, we

same time show the aesthetic taste of the artist with completeness. We hope for

weaved felt to make a new form. In making the product, we minimized deco-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artists to bring up ideas and work. Also, we wel-

rations to make most of the lightweight feature of felt. We also made it well

come more support for operating private craft businesses including workrooms.

reflect its texture so that it can be both practical and beautiful.

44

45


LEE, ZEE SOO

INTERVIEW

이지수 간단한 자기소개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About yourself.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도예작가이자 도자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작품 위주의 오브제를

대중에 관심을 받은 Fliessen 시리즈의 연장선상에서 Solid & Void의 조형적 독창성을

만들어왔다. 독일에서 공부하며 실용성과 기능성을 살린 공예품에 관심을 갖게 됐고,

가미한 이번 상품은 사용자에게 예술 작품을 실용적으로 활용한다는 기분을 느끼게

플로리스트, 푸드스타일링, 패키징 등을 배우며 작가로서 시야를 넓혔다. ‘ceramic by

해준다. 스페셜 에디션인 이번 상품은 한정된 수량만이 판매되어 구매자로 하여금

Lee Zee Soo‘ 브랜드를 출시해 화병, 컵, 그릇 등 리빙웨어 제품인 Fliessen 시리즈를

더욱 특별한 것을 소유한다는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선보였으며, 다른 분야와의 끊임없는 콜라보레이션으로 다양한 영역을 개척해나가고

In line with the well-known Fliessen series, this product was combined with

있다.

the formativeness of Solid & Void. The piece gives the users the feeling of uti-

I am a ceramist and a ceramics designer, working on objet for a long time. I

lizing artwork in a practical manner. Since it is a special edition, the products

became interested in practical and functional crafts while studying in Germany.

will only be sold in limited number to give the purchasers an experience of

I expanded my scope learning floristry, food styling and packaging. I launched

possessing something very special.

the brand‘ ceramic by Lee Zee Soo‘ and released the Fliessen series, the table-

1

ware series including vase, cup and plates. I am pioneering into various fields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with endless collaboration with different areas.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ould you work on?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현재와 과거를 담은, 우리 공예의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국적이면서도 세계

About your work.

적인 상품을 선보이고 싶다. 기능성을 충분히 살리되, 도자공예이기에 보여줄 수 있는

그동안 작업해 온 Fliessen 시리즈를 ‘합‘이라는 주제로 한 단계 더 발전시켜보고

독특한 Stationary, Art-deco 등 실생활에 가치를 더하는 total living-art 상품을

싶었다. ‘합‘이란 ‘1+1=2‘가 아닌, 그 이상이 되는 시너지, 가능성을 의미한다. 타 재료

이지수만의 색깔로 제안해 보고자 한다.

와의 결합이라는 접근을 통해로 Fliessen 시리즈를 새로이 재해석했다.

I want to present products that hold the present and the past; products that

I wanted to take the previous Fliessen series to the next level, under the theme

reinterpret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s craft in a modern way; products

of ‘Combination‘. ‘Combination‘ is not just ‘1+1=2‘ but a synergy, possibility

that are Korean and also global. I want to suggest total living-art products that

that goes beyond. I reinterpreted the Fliessen series, approaching it with new

add value to our everyday lives, including stationary, art-deco products that

materials.

fulfill functionality and ha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eramic crafts, with the color of Lee Zee Soo.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2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작품을 만드는 것은 작가로서 평생 풀어야 할 숙제이다. 이번 상품을 만들며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제품의 기능성을 살리는 것이었다. 기능적이면서도

이런 기회를 주신 점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 작품을 상품화하는 것은 결코 쉬운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였다.

일이 아니다. 늘 배우는 자세로 부족한 점, 지나칠 수 있는 점들을 받아들이고 발전 시켜 나가고 싶다. 흙과 흙을 섞어서 하는 작업에서 대량화를 생각하게 되었다. 실용과

A lifetime task for an artist is to create unique and beautiful pieces.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making this product was fulfilling its functionality. I put

미를 같이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my heart and soul in to make a satisfactory artwork that is both functional and

Thank you for giving me this opportunity. It is not easy to commercialize a

aesthetic.

piece of artwork. I hope to advance myself by continuously learning and accepting my weaknesses. I started thinking of mass-production from blending soil. I think products should have both practicality and beauty.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작가만이 가지고 있는 심미적 조형성을 보여주면서도 사용자를 고려하여 상품적 기능성을 충분히 갖춘 ‘artistic merchandise‘라고 생각한다. 창작성과 제품성이 공존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작가와 사용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상품이 내가 생각하는 가치 있는 공예디자인 상품이다.

3

I think craft design products are ‘artistic merchandise‘ that shows the aesthetic formativeness unique to the artist as well as functionality for the users. To me, a valuable craft design product is one that the artist and users can all be satisfied with.

46

47


IN, HYUN SIK

INTERVIEW

인현식 간단한 자기소개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About yourself.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대학 전공 후 개인 도예 작업실을 운영했다. 전통과 현대의 미를 모두 담은 다기를

잘 팔리는 상품이 ‘GOOD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작가(생산자)는 소비자와 동시대를

디자인하고 있으며, 직접 생산하고 있다.

살며 같은 것을 보고 느낀다. 작가는 그 가운데에서 생산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를 발견

Since graduating from college, I have been running a private craft workroom. I

할 수 있다.

design tea sets that convey both traditional and modern beauty and also make

I think a ‘good design‘ is a marketable product. The artist (producer) lives and

the products myself.

feels in the same era as the consumer. The artist is then able to find productive ideas for design.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About your work.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보수적인 디자인이 주를 이루는 다기시장에서 현대적이고 간편한 다기세트를 개발

1

했다. 지금까지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을 펼쳐 왔으며, 가장

활발한 국내 차 시장을 볼 때 부가가치가 높은 공예품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고 생각하며 작업했다.

I think they could be high value-adding craft products considering the vibrant

While conservative design prevails in the tea set market, I developed a modern

tea market in Korea.

and convenient tea set. I have been exerting efforts to pioneer not only the Korean market but overseas markets as well. My work is based on the thought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that the most Korean can be the most global.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ould you work on?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도예 작가로서 도자기뿐만 아니라 타 재료와의 협업 작업을 이어나갈 생각이다. 현재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금속작업에 흥미를 느끼고 있으며, 유리나 목공 작업도 활용해 디자인해나갈 계획이다.

최근 금속과 도자기의 협업 작업에 흥미를 느끼고 있다. 금속의 재료(황동, 적동, 은)를

As a ceramist, I plan to work not only on ceramics but also collaborate with

이용하여 손잡이를 만들었고, 은을 이용하여 잔 내부나 손잡이 등에 입혀 시각적으로

other materials. I am currently interested in metals and plan on designing with

고급스러움을 연출했다.

glass or wood as well.

Recently I have been interested in collaborating metal and ceramics. I made

2

the handles with metals (brass, red copper, silver) and covered the inside of the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cup or handles with silver to give it a fine look.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도자기를 한다고 해서 도자기만 하는 것은 시대성에 떨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고민해서 만든 것으로 삶을 영유한다.

I think it is out of time to think that working with ceramics only means making porcelain. I live my life making products with contemplation.

3 48

49


CHO, SIN HYUN 조신현

INTERVIEW 간단한 자기소개 About yourself.

Porcelain makes art and life no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but harmonizes them. From the past until the modern days, the fine arts genre was considered

1990년 도예에 입문한 후 지금까지 창의적인 작업에 주안점을 두고 도자기를 만들어

luxurious and elegant. Practical art like crafts, compared to fine arts, was con-

왔다. 시행착오를 두려워하지 않고, 불가능해 보이는 작업에 도전했으며 앞으로도 늘

sidered relatively inferior. In an extreme structure where the more a piece of

새로운 작업을 갈망하며 도자 작업에 전념하고자 한다.

artwork moves away from practicality, the closer it gets to liberty and purity,

Since I started working with ceramics in 1990, I have put emphasis in making

I exerted efforts to make ‘art come back to the daily life‘ from a craftsman‘s

creative pieces. I am not afraid of making mistakes, have tried what seemed im-

point of view.

possible, and will always long for new challenges in making porcelain products. 자신이 제작한 상품의 시장성을 판단한다면

1

이번에 만든 상품에 대한 설명 About your work.

How would you evaluate the marketability of your products?

디자인은 경제,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 온 감상 양식의 발현이다. 경제 발전

소비자에게 결정적인 인상을 주고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데는 무엇보다도 색의

으로 과거에 비해 풍요로운 삶을 사는 현대인들은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고급 스럽고

역할이 중요하다. 색은 그 상품의 인상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그 상품의 매력을 결정

아름다운 상품을 소비함으로 표출했다. 사회 변화에 따라 도자 식기 또한 단순히 ‘밥그릇‘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제품 색체의 참신함은 소비자의 관심을

개념을 넘어 예술성, 디자인, 기능성을 담은 생활 문화로 자리 잡았다. 소비자의 다양한

끌게 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향은 새로운 제품의 형태와 색채의 심미적

욕구가 반영된, 기능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생활 용기를 개발하고자 했다.

반응 사이의 촉매가 될 것이다.

Design is an expression of appreciation style that has been advancing with close

I think col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giving a strong impression to

relation to the economy and society. Modern people live a relatively abundant

the consumer and spurring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Color determines the

life due to economic development. Thus, they display their preference and char-

image of the product and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attractiveness of the

acteristics by consuming luxurious and beautiful products. With social change,

product. A novel color for a new product will garner interest of the consumers

porcelain tableware also went beyond just ‘bowls‘ and became a part of the

and consumers‘ tendency to pursue diversity will be a catalyst between the

lifestyle with artistic value, design and function. I wanted to develop practical

form of the product and generating aesthetic reaction.

yet beautiful dinnerware, reflecting the various desires of the consumers. 향후 공예와 디자인의 융합을 주제로 작업한다면, 어떤 상품을 만들고 싶은가

2

제작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부분은 무엇인가

If you were to work on the convergence of crafts and design again,

What was your main interest in making the piece?

what would you work on?

작품은 어떤 목적과 의도를 갖고 한 번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끊임없는 작업에서

공예와 디자인의 양쪽 기술을 버무려 기초를 단단히 다진 건축물처럼 현대 생활과

얻어지는 하나의 결과물이다. 이번 작업도 처음부터 의도된 것이 아닌, 작은 소품을

맞닿는 끊임없는 실용성과 소통의 미학을 발전시켜 우리 것 만이 아닌 세계인들도 공감

만들고자 했을 뿐이다. 나는 석고틀에서 반복적으로 찍어내는 작업에서 벗어나고 싶은

할 수 있는 공예제품을 만들고자 한다.

내적 표현을 삶과 유리된 예술의 자폐적 공간을 허물고 미적 경험의 영역을 일상적

I want to develop the beauty of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that is close

삶으로 확장하려는 소망을 이번 디자인에 담고 싶었다. 또 횡형 판상 기법으로 여러 장의

to the modern life, like buildings with sturdy foundation with both craft and

판을 겹쳐 조각함으로써 도자 식기 표면에 선의 흐름을 표현했다.

design technique. I want to make craft products where not only Koreans but foreigners as well can sympathize with.

The artwork is not something that is made at once with certain purpose or intention; it is rather a result of endless toil. This piece as well was not intention-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ny comments you would like to add?

ally made. I just wanted to make a small prop. I wanted to display my desire to break from repeated steps with the plaster mold. I wanted to break the walls

손이 많이 가는 것들이 더 아름다워진다. 가치가 높아 보이는 것들은 시간이 많이

dividing art from life and wanted to convey my hopes of expanding aesthetic

걸리기 마련이다. 도자는 저 나름 오랜 시간을 인류와 함께 걸음 해 왔으며 인간의 삶에

experience to everyday lives. I also used the horizontal plate method to stack

조용하지만 매우 단단히 들어 앉아 우리의 일상과 밀착 되어 왔다. 본인도 앞으로 우리의

multiple plates and sculpt them to display the flow of lines on the surface of

삶에 깊숙이 참여하수 있는 공예작업을 할 것이다.

the porcelain.

3

Products that require more craftsmanship become more beautiful. Products

공예디자인 상품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

with high value are bound to take a lot of time. Porcelain has been with the

What is your opinion on craft design products?

mankind throughout history. Quietly but firmly, it has been incorporated in our

도자는 예술과 삶이 유리되지 않고 한데 어우러지게 한다.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our lives.

everyday lives. I will also take part in craftsmanship that is deeply involved in

순수 미술 장르는 고급스럽고 우아하다고 평가받았다. 공예와 같은 실용 예술은 순수 미술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열등한 것으로 간주했다. 실용성에 벗어날수록 예술 고유의 자유로움과 순수함에 가까워진다는 이 극단적인 구도에서 작가인 나는 공예 예술가의 입장에 서서 ‘미술의 일상 복귀화‘를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다.

50

51


BIOGRAPHY

강미나

KANG, MI NA 54 강지혜

KANG, JI HYE 54 강희정

KANG, HEE JUNG 54 문유진

MOON, YOO JIN 54 윤진초

YOUN, JIN CHO 55 이윤희

LEE, YUN HEE 55 이음 (김수연 / 조희은)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55 이지수

LEE, ZEE SOO 56 인현식

IN, HYUN SIK 56 조신현

CHO, SIN HYUN 56


BIOGRAPHY

BIOGRAPHY

강미나 KANG, MI NA

강희정 KANG, HEE JUNG

윤진초 YOUN, JIN CHO

www.minakang.pe.kr n-kmn1106@nate.com

http://kcdfproduct.kr/ applegreen00@hotmail.com

www.jinchoyoun.com jinchoyoun@hotmail.com

2012

Delight: House & Lighting – L store, Seoul CROSS OVER – Milal Museum of Art, Seoul Yoo Eui-jeong, Lee Yun-hee 2 Person Exhibition – Gallery Puzz, Heyrui <POSSIBILITY> Gana Art Edition – Seoul

2013

Preziosa Young 2013, 특별상 – 피렌체, 이탈리아

2013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 청주

2013

캠브리지 스쿨 오브 아트 어린이 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 석사 졸업

Internationale Handworks messe Fair, IHM – 뮌헨, 독일

웅성웅성크라프트 – KCDF 갤러리

2013

M.A. in Children‘s Book Illustration at Cambridge School of Art

BKV Association Exhibition, The Bayerischer Kunstgewerbe, Verein – 뮌헨, 독일

만물상 – 롯데갤러리 본점

Summer Objet 2013 초대전 – 갤러리 보고재, 서울, 한국 2012

2012

전통소재융합스타상품개발 – 코엑스

BKV-Prize 2012 for Applied Arts, The Bayerischer Kunstgewerbe, Verein – 뮌헨, 독일

세계칠예전 –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물질의 신화‘, 알케미스츠 – KCDF 갤러리, 서울, 한국

도시농부의 작업실 – KCDF 갤러리

ITAMI International Contemporary Jewelry Exhibition, 입선 – 이타미, 일본

2013

Preziosa Young 2013, Special Mention – Firenze, Italy

2011

다시 찾은 한국옻칠 80인전 – 서울아트센터 공평갤러리 RHYTHMIC CHAIRS 전 – 갤러리 이도

BKV Association Exhibition, The Bayerischer Kunstgewerbe, Verein – Munich, Germany 2012

2013

2011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 Cheongju

Summer Objet 2013 Private View – Gallery Vogoze, Seoul, Korea

Oong-sung Oong-sung Craft – KCDF Gallery

BKV-Prize 2012 for Young Applied Arts, First Prize – Munich, Germany

Manmulsang: Hundreds of Objects for Happiness

BKV-Prize 2012 for Applied Arts, The Bayerischer Kunstgewerbe, Verein

– Lotte Gallery, Main Branch

– Munich, Germany

2012

My Beaming Object – Seoul Arts Center

‘Mythology of Material‘, Alchemists – KCDF Gallery, Seoul, Korea

Product Development Project

ITAMI International Contemporary Jewelry Exhibition, Selected – Itami, Japan

by Convergence of Tradition and Contemporaries – Coex

Une Saison en Coree – Collection Gallery, France Trend Fair Booth – Coex, Seoul

이윤희 LEE, YUN HEE

http://kcdfproduct.kr/ vpdk@naver.com

현재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입주작가

201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과 석사졸업

2008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학사졸업

2013

Lunchbox Exhibition – KCDF Gallery

백야 –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김해 단체전

2013

김수연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특별전 ‘핫루키‘ – 세라믹스 창조센터, 이천 영 앤 영 – 영은미술관, 고양 블랙 앤 화이트 – 갤러리 이도, 서울 Not a Ceramic – 스페이스K, 서울

통영 나전칠기 공공기관 수요 제품 개발 디자인 용역

2013 메종 & 오브제 2012.06~12

2013

2012 한지 상품개발 디자인 토너먼트

서울문화재단 신당창작아케이드 기획자

수상: 한지 의자 ‘안(安)‘ 2012.01~

무심-코. 프로젝트 진행 중 www.musim-co.com

2012~2013

2012 Shanghai Design 100%

2012

강진청자 명품화 사업 마케팅 담당(2012 리빙디자인페어 참가)

2011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숍 심사위원

Art Product Development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2012 Craft Trend Fair

Gyeongju National Museum, Leeum Museum

2013 Maison & Objet 2012.06~12

Designing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for Tongyeong public agencies

2012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Design Tournament

2013

Awarded for: Han-ji Chair ‘Ahn(安)‘ 2012.01~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예술분과 심사위원

Musim-co. Project (ongoing) www.musim-co.com

2012 2011

54

Judge for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Culture and Arts Division

M.A. in Ceramics at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B.A. in Ceramics and Glass at Hongik University

2013

Completed doctoral course in Art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5

M.A. in Science Textile Design at Philadelphia University – North Carolina, USA

2000

White Night – Clayarch Gimhae Museum, Gimhae

B.A. and M.A. in Craft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ho, Hee Eun

Chirping Resting Place, Gallery AG – new artist contest exhibition, Seoul 2013

숙명여자대학교 공예과 및 동대학원 졸업

1st Place Award in ITMA Virginia Jackson Design Competition

Solo Exhibitions 2013

2000

university

Current Artist-in-resident at Clayarch Gimhae Museum 2012

공예트랜드페어 선정작가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이사장상

Current Head of Yewon A.I.D Design Department and lecturer at Sungshin Women‘s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리움미술관 아트상품개발

2012 공예트랜드페어

2011

Kim Soo Yeon

IMAGE VS. IMAG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트랜드페어 기획부스 – 코엑스, 서울

2012~2013

디자인이즘 대표 숙명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과 박사과정 재학중

Yunhee Lee+Serin Oh, 디자인큐브 –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1

성신여자대학교 공예과 및 동대학원 졸업

건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구대학 출강

Une Saison en Coree – Collection 갤러리, 프랑스 2012 상하이 디자인 100%

필라델피아 유니버시티 Science Textile Design 석사

유의정, 이윤희 2인전 – 갤러리 퍼즈, 헤이리 START Craft - K in Seoul – 아라아트센터, 서울

http://kcdfproduct.kr/ designvaci@naver.com

성신여자대학교 미술학과 박사수료

2005

현재

<POSSIBILITY> 가나아트 에디션, 서울

www.musim-co.com baguettor.k@gmail.com

2013

조희은

Delight: House & Lighting – L store, 서울 CROSS OVER – 밀알미술관, 서울

RHYTHMIC CHAIRS Exhibition – Gallery Yido

문유진 MOON, YOO JIN

Yewon AID 디자인부 실장,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2000

유쾌한 세라믹스 – 이천 세라믹스 창조센터, 이천 2012

현재

ITMA 버지니아잭슨 디자인 공모전, 1등상 수상 – 노스캐롤라이나, 미국

CROSS OVERⅡ – 밀알미술관 , 서울

Contemporary Ottchil Art Exhibition – Seoul Art Center Gongpyeong Gallery

강지혜 KANG, JI HYE

i:um (KIM, SOO YEUN / CHO, HEE EUN)

xianann@gmail.com designism72@hanmail.net

지저귀는 안식처, 갤러리 AG 신진작가공모전 – 서울

The Workroom of a City Farmer – KCDF Gallery Craft Trend Fair – Coex

이음 (김수연 / 조희은)

개인전

International Lacquer Art Exhibition – DaeguGyeongbuk Design Center 2011

IMAGE VS. IMAG – HoMA, Hongik Museum of Art, Seoul

공예트랜드페어 – 코엑스 도시락전 – KCDF 갤러리

Internationale Handworks messe Fair, IHM – Munich, Germany

Yunhee Lee+Serin Oh, Design Cube –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2011

My Beaming Object – 예술의전당

BKV-Prize 2012 for Young Applied Arts, 최고상 – 뮌헨, 독일

2011

START Craft - K in Seoul – Ara Art Center, Seoul

Current Head of Designism

Group Exhibition

Lectures at Konkuk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ookmyung Wom-

Gyeonggi International CeraMIX Biennale Special Exhibition ‘Hot Rookies‘

en‘s University, Shingu College

– Ceramics Creativity Center, Icheon

In doctoral course in Formative Art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Young and Young Artist Project – Youngeun Museum, Goyang

2011

Black and White – Gallery Yido, Seoul

Planning for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indang Creative Arcade

Not a Ceramic – Space K, Seoul

Marketing for Gangjin Celadon Masterpiece Project

CROSS OVERⅡ – Milal Museum of Art, Seoul

(participant of the 2012 Living Design Fair)

Pleasing CeraMIX Exhibition – Ceramics Creativity Center, Icheon

Craft Trend Fair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Chief Director Award

2000

B.A. and M.A. in Crafts and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Judge for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Shop

55


BIOGRAPHY

CREDITS

이지수 LEE, ZEE SOO

인현식 IN, HYUN SIK

www.leezeesoo.com rabeburg@hotmail.com

http://kcdfproduct.kr/ ceramic17@naver.com

독일국립할레예술대학교 북기비센슈타인(Burg Giebichenstein)

도농도예 대표

예술학과 Aufbaustudium 졸업

Head of Donong Ceramic Studio

성신여자대학교 공예과 및 동대학원 졸업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조신현 CHO, SIN HYUN

주관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http://kcdfproduct.kr/ ehfqldrn@hanmail.net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공예전공 박사수료 현재

백석대학교 기독교문화예술학부 공예디자인 조교수

총괄

김승배

개인전 4회 (한국, 독일)

진행

홍승호, 홍상임

“More than Ceramic“ by Leezeesoo 유로디자인센터 초대전 – ECD center

사진

김희원. 이수진

디자인

Slowalk

조신현 도예연구소 운영

발행처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개인전 2회

발행일

2013.12.18

Cross+OverⅡ전 – 갤러리 이도, 서울

주소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11길 8

작은탐닉전 – 반달미술관, 경기도

전화

02-398-7964

홈페이지

http://kcdfproduct.kr/

managing studio EZ 2013

Seoul Korea 2013 F/W Maison&Objet, KCDF – Paris Nord Villipinte, France Turkey-Korea, Invitational Exhibition, Heritage and Diversity,

단국대학교대학원 졸업 현재

단국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국민대학교 출강

– Museum of Hanyang University Oriental Ceramic Exhibition – Korea KF Foundation 2012

F/W Maison & Objet Seoul Designer‘s Pavilion, Paris Nord Villipinte – France

2011

Ceramic by LEEZEESOO 초대개인전 – 고방 갤러리

2013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 Taiwan

미술 삶에 들다전 – 부산시민회관, 부산

Ceramic by Leezeesoo Seoul Living Design Fair 2011 – 코엑스

태국국제공예박람회 – 방콕 국제 무역 & 전시센터, 태국

Ceramic by Leezeesoo Korean Craft Trend Fair 2011 – 코엑스

아시아현대도예전 – 가나자와 21세기미술관, 일본

he 9TH INTERNATIONAL CERAMICS CONPETITION MINO – JAPAN 외 기획전, 그룹전 70여회 Aufbaustudiumin Burg Giebichenstein at the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alle

Current Assistant professor in Christian Crafts, Christian Fine Arts Department at Baek-

Lectures at Dankook University, Gangwon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nd Kookmin University

– Museum of Hanyang University Oriental Ceramic Exhibition – Korea KF Foundation 2012

F/W Maison & Objet Seoul Designer‘s Pavilion, Paris Nord Villipinte – France

2011

Ceramic by Leezeesoo, Invited Solo Exhibition – Gobang Gallery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 Taiwan Ceramic by Leezeesoo Seoul Living Design Fair 2011 – Coex Ceramic by Leezeesoo Korean Craft Trend Fair 2011 – Coex he 9TH INTERNATIONAL CERAMICS CONPETITION MINO – JAPAN and 70 other

Hos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ganized by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Directed by

Kim, Seung Bae

Managed by

Hong, Seung Ho / Hong, Sang Im

Fine Arts in Life – Busan Citizens‘ Hall, Busan

Photos by

Kim, Hee Won / Lee, Su Jin

International Innovative Craft Fair –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Designed by

Slowalk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Published by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Art, Kanazawa, Japan

Publication Date

2013.12.18

Clayarch Gimhae Museum 2013 2H Exhibition “Chaos to Techne“

Address

8 Insadong11-gil, Jongno-gu, Seoul

Telephone

+82-2-398-7964

Website

http://kcdfproduct.kr/

Owns Cho Sin-hyun Ceramics Studio

“More than Ceramic“ by Leezeesoo Euro Design Center private view

Turkey-Korea, Invitational Exhibition, Heritage and Diversity,

사진은 각 필자와 저작자에게 있으며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University Graduate School

4 Solo Exhibitions (Korea, Germany)

Seoul Korea 2013 F/W Maison&Objet, KCDF – Paris Nord Villipinte, France

–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김해

Current In doctoral course in Department of Crafts Design, College of Arts, Dankook

Manages Studio EZ

– ECD center

본 출판물의 저작권은 (재)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에 있습니다. 이 책에 실린 글과

M.A. at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k University

2013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2013년 하반기 기획전 “원초적 우주에서 예술로“ 현대도예: 내일에대한 오늘의 이야기 전 – 해강도자미술관, 경기이천

B.A. and M.A. in Craft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ompleted doctoral course in Craft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도자조형디자인 박사 과정

2 solo exhibitions 2013

Cross+OverⅡ Exhibition – Gallery Yido, Seoul Small Indulgence – Bandal Art Museum, Gyeonggi Province

Center, Thailand

– Clayarch Gimhae Museum, Gimhae Ceramic Art: Today‘s Story for Tommorrow – Haegang Ceramics Museum, Icheon, Gyeonggi Province

Copyright of this publication belongs to the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KCDF). The contents and photos on this book belong to each author and cannot be used without author‘s permission.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