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of Seoul, Architectural Review 2011

Page 1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ARCHITECTURAL

REVIEW 2011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전공 2011 건축설계 작품집


Contents

4

학과소개

7

INTRODUCTION

360 SCATTERED CUBES MOON, HONG GYUN

426 共感空間 空間共感 LEE, DA SO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1

366 북촌관광안내소 AHN, HONG SEOB

432 장소와 풍경 | BOOK CAFE KANG, SOL BI

370 THE LOOKING GLASS KIM, YONG JOON

434 POINT & PANORAMA VIWE CHOI, HEON JUN

374 THE LIGHT HOLDER AHN, HONG SEOB

436 불국토 - 공원의 사찰 LEE, WON CHAN

378 가회동 천연 염색 공방 CHOI, SU JI

438 SMALL CHURCH KAL, JANG HO

382 WALKING THROUGH THE MODULES KIM, MIN SUB

440 BOOK CAFE RYU, JAE HUN

386 북촌을 거닐다. BAE, JUNG HYEOK

442 BOOK CAFE LEE, SANG MYEONG

390 T I P _ TRAVELING IN THE POTTERY KIM, BYUNG OH

444 SMALL CHURCH RYU, JAE HUN

394 ALLEY WAY FOR CHILD HWANG, HAN SEUL

446 CHURCH IN NATURE SEO, HYUN MIN

398 MORPHIC PROTOTYPE KIM, AH RI

448 COMMUNITY HILLS KANG, SEUNG IL

402 LITTLE BUKCHON GWAK, JANG JOON

450 BOOK CAFE LEE, HEE WON

406 소통 YU, JEONG JE

452 SQURE KANG, HEE MOON

410 일상에서 배우다... LEE, JUN YOUNG

454 THE HOLY TRINITY KIM, YEONG HYOEN

414 RENOVATION _ BUILDING B KIM, JUNG TAE

456 BEYOND BOOKS CHO, A RAN

418 COURSE TO HAN’S HA, DONG YOUNG

458 URBAN MOUNTAIN KOO, BON YEOP

422 특별한 일상건축 PARK, SOO MIN

460 마지막 인사 KIM, MIN KYU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1 464 관찰과 표현 KIM, JIN KYUNG

GRADUATION WORK(DESIGN THESIS) 10

20

30

40

50

INSA-DONG CLUSTER LEE, HYE RIN HOUSHOP IN CHUNGDAM-DONG MOON, SO HYUN PRODUCTION CUBES KIM, DONG HWAN ITAEWON FREEDOM LEE, CHUL MIN ONE HOUSE KIM, MYEONG HUN

150 AFTER 10YEARS SHIN, SANG HYUN 160 다문화에 관한 이슈로 부터 시작한 프로젝트 PARK, YONG RIM 170 CHARNEL CHOCOLAT SONG, KI TAE 180 LIVING AS LIVED LEE, HAN BIN 190 INTEGRATE ; THE FLOW YANG, JEONG WON 200 QUESTION . W KIM, HYO JIN

MARKET_D3 [DONGDAEMUN, DESIRE, DENSITY] CHO, HYE JIN

210 M-SPACE SHIN, NA RAE

70

FLUID BOUNDARY YU, HAN SIK

220 URBAN NARRATION JUNG, YUN GEUM

80

SEW THE URBAN FABRIC SEO, KA YOUNG

230 INFRA STRUCTURE - HUB KIM, KYUNG WAN

90

ELECTRICITY+MOBILITY=? BAE, SANG HYUN

240 ABOVE THE MYUNG-DONG AHN, SEOK JIN

60

100 NAKED SPA KIM, YONG HWAN

250 RETURN TO THE PUBLIC MOON, SHIN HONG

110 INVASION FOR ALL HWANG, JI YONG

260 1 = 1 + 1 JEON, SU JIN

120 A DAY AT THE TERMINAL KIM, DONG HWAN

270 HAN RIVER SUBWAY STATION NO.1 PARK, CHANG JUN

130 LAYERS OF TIME BAEK, SOO JIN

280 BREAK BOX OH, MIN HYUN

140 G-GENERATION CHUNG, JUN OO

290 SINDORIM STAY-TION SONG, MIN SEOP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1 304 PIN-WHEEL IN THE NATURE JO, MYEONG SEON 308 ON THE GARDEN - PATH YUN, JI HYE 312 ENVIRONMENTAL WALK LEE, SEUNG TAE 316 물들다. . BAIK, DONG IL 320 WALK IN THE FOREST OH, MIN JIN 324 WALK ALONG THE TILTING UP GARDEN LEE, SEUNG MI 328 ECO-PLAYGROUND KIM, SOO HEE 332 BRING THE GREEN TO THE ROOF SUN, JIN WOO 336 GREEN WEAVE HAN, YU RIM 340 SHADING BY WOOD MIN, JEA YEON 344 THE INFILATION, BETWEEN... CHOI, HAN SOL 348 C.A.N. YOON, HONG DOO 352 SALAD SCHOOL KIM, JI HOON 356 C3 CENTER KIM, DONG JUN

466 2D TO 3D PARK, JUNG HUN 468 인체와 척도 KIM, DOEK YU 470 인체와 척도 KANG YEONG WOONG 472 관찰과 묘사 KIM, SUNG MIN 474 FROM 2D TO 3D LEE, KYUNG JIN 476 FROM 2D TO 3D REE, JONG SEO 478 인체와 척도 KIM, SU IN 480 관찰과 묘사 LEE, SEUNG HA 482 FROM 2D TO 3D LEE, MOON KYU 484 FROM 2D TO 3D LEE, CHAN SOO 486 인체와 척도 PARK, CHAN BUM 488 관찰과 묘사 SEO, YU SEON 490 FROM 2D TO 3D YANG, HYUN JUNE 492 FROM 2D TO 3D KIM, JONG UL RIM 494 2명의 건축가를 위한 설계공간 SONG, JU YIK


학과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서울시립대학교는 도시연구와 관련된 기초학문과 정책연구의 중심지로서 서울시정부의 주요 목표를 결정 하고 지원하는 데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서울시립대학교는 도시과학을 집중 육성하기 시작했으며, 도시와 도시문명의 모든 문제를 다루는 세계최고의 대학으로 만들기 위한 장단기 계획을 수립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시정부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와 민간에서도 많 은 지원을 이끌어냈고 2003년 이래로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도시과학 분야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지정되 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건축, 디자인, 도시연구, 환경공학과 시정 분야의 연구와 정책, 실천과 교육을 통합하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건축학부는 도시특성화 사업과 대학 전체의 포괄적인 목표를 이끄는 리더이자 그 수혜자이다. 이런 목표와 특성화사업이 서울과 아시아 지역의 도시문제에 집중하기는 하지만, 지역적인 문제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아카데미와 실무 영역 사이, 실험적인 태 도와 현실적인 문제해결 사이의 균형을 일관되게 유지해왔다. 대한민국의 중심 대도시이자 역사도시라는 서울과 함께 서울시립대학교의 교육목표는 폭넓은 학문 영역과 뛰어난 창의력을 포용한다. 건축학 프로그램은 1975년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로 시작되었으나 서울시립대학교의 발전방향에 부응하 기 위한 대학교 조직개편 시 도시과학 대학에 소속되었다. 그 후 건축, 도시, 조경, 교통을 묶어 건축도시조 경학부로 개편되었고, 1996년 건축공학과가 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으로 분리되면서 이 두 전공을 묶 어 건축학부로 재편되었다.

1975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신설

1982

대학원 건축공학과 신설

1983

특수대학원 건축공학과 신설

1985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신설

1996

건축·도시·조경학부로 통합개편

2000

건축학전공과 건축공학전공 분리

2002

건축학전공 교육과정을 국제기준에 따라 5년제로 전환

2003

5년제 건축학전공 인증대비 모의실사 및 건축공학 전공 공학인증 준비 도시과학 특성화 사업 대상 학과 선정

2005

건축학부(School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로 개편

2007

국내 최초 건축학 인증 획득

2009

건축학전공/건축공학 전공 학부생 분리 모집

2010

교육역량강화사업 대상 학과 선정

건축학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실무 건축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을 설립 하였다. 건축학 프로그램은 서울시에 의해 설립되고 운영되는 공공 교육기관이라는 특성을 기반으로 고유 의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건축학전공의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1) 대도시건축을 이끄는 건축가 디자인 스튜디오, 강연 시리즈, 특별 프로그램, 교수진의 연구를 통해, 건축학부는 도시 공동체와 공공의 가치에 대한 건축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지 향하는 커리큘럼은 서울, 아시아, 세계 대도시의 역동성과 복합성에 대응해, 인문학과 사회과학, 랜드스케 이프 디자인과 도시계획 분야의 다양한 교과목을 아우른다. 대도시 서울의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활 동의 지원을 받는 건축학부 프로그램은 건축학전공 학생들의 경력과 진로를 확장시키는 포괄적인 교육목 표에 부합한다. 설립 이래 굳건하게 내려오는 학과의 전통에 따라,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은 학생들을 개별 건축가뿐만 아니라 도시 공동체에 기여할 공공부문의 주역을 키워내는 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2) 글로벌 아시아의 리더 서울과 아시아의 주요 도시가 세계의 새로운 중심지로서 부상하는 것에 발맞추어,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 전공은 국내에서 건축 교육의 국제적 환경을 제공하는 선두주자로 급격히 떠오르고 있다. 건축가는 국제적 무대를 이해하고 이 속에서 일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세계화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지는 문제들 을 다룰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해가야만 한다. 한편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전공은 소수의 유명 건축 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스타-시스템이 독점하곤 하는 획일화되고 상업화된 실천 모델을 단호하게 거부한 다. 건강한 서양의 전통에 대한 어떤 편견도 없이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전공은 아시아 주요 도시 -상하이, 베이징, 홍콩, 싱가포르, 도쿄, 방콕, 쿠알라룸푸르, 하노이-의 대학과 연구 기관과의 창조적 연대를 강화하 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3) 구축성, 미디어, 역사가 통합된 창의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전공은 구축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 그리고 역사적 상상력을 통합하는 교육 프로그 램을 가지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 프로그램은 건축물에 관한 기술적 지식, 컴퓨터 미디어와, 역사 와 이론에 관한 비판적 이해가 생산적 이해 속에서 공존할 수 있는 태도와 실천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 이러한 철학적이고 실제적인 목표를 위해 건축학전공은 대학의 도시과학특성화 사업의 중심이 되 는 다양한 학과들, 특히 건축공학전공, 도시공학과, 조경학과, 도시사회학과와 긴밀한 협력을 모색하고 있 다. 또한 교육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역사적 연구와 이론적 탐구와 디지털 정보 기술을 통합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지어질 건축물의 물질적 속성과 실제 크기 작업을 강조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교육목표와 전략 교육목표의 세 가지 기본 방향에 따라서, 건축학부 프로그램은 6개의 중간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건축학 프로그램의 특수한 교수법 도구와 더 큰 목표를 연결해준다. 건축학전공은 이러한 교수법 도구를 학부 커 리큘럼과 스페셜 프로그램, 대학원 프로그램과 교수진의 연구과제를 통합하는 교육·연구 구조로 발전시 켜 왔다. 1) 공동체 의식의 고양 이 목표는 공공의 가치를 중시하는 서울시립대학교의 교육 철학에서 나온 것이며, 건축학전공의 세 가지 기본 목표와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건축은 공공적인 예술이라는 것이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이다. 이 철학은 스튜디오와 수업, 국제 교류 프로그램, 커리큘럼 외 프로그램 등 교육 시스템의 모든 측면에 반영 되어 있다. 2) 다양하고 지속적인 국제 프로그램 건축학전공이 지난 십년 동안 개발해 온 국제 교류 프로그램은 다각적이고, 서로 다른 학문들을 넘나들고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유례가 없는 것이다. 아시아건축도시연합(ACAU), 싱가포 르 국립 대학교 교환학생 프로그램 등이 운영 중이며, 이는 건축학전공 학생과 교수뿐만 아니라 도시공학 학과와 조경학과에서도 참여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국제화 시대에서 아시아 도시의 잠재력을 고취시 킨다는 큰 목표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3) 도시과학과의 긴밀한 관계 건축학전공은 건축공학, 도시공학, 도시행정학, 도시사회학, 조경학, 공간정보학 등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도시과학 대학 안에 속해 있다. 이 학과들의 많은 교수진들이 건축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특기할 만하다. 건축학전공은 커리큘럼, 스페셜 프로그램, 교수 연구의 모든 층위에서 다양하며 상호 관련 있는 프 로그램과 연계 교육을 모색하고 권장하고 있다. 4) 만들고 짓기 디지털 기술이 지배적인 시대를 맞아 변화하는 테크놀로지에 발맞추어 가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 들이 건축의 물질적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프로그램, 재료, 건물의 크기 등 여러 제약이 뒤따 르긴 하지만, 1:1(Learning by Building), 집짓기 프로젝트 등을 매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단지 교육 과정 일 뿐 아니라 무언가를 만들고자 하는 능력과 욕구를 표출하는 축제의 장이기도 하다.

INTRODUCTION 5


Introduction

5) 통합적인 교육자원 시스템 도시과학대학에서 연구와 실천의 중심이라는 특별한 위치를 이용하여,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은 베세토 (BeSeTo) 아카이브, 디지털 도시 시뮬레이션 연구소 같은 혁신적인 디지털 자원을 개발하는 데 힘써 왔다.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은 컴퓨터 테크놀로지를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내는 도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고방식 과 정보의 새로운 자원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접근한다. 이런 몇몇 선구적 시도는 개발 초기단계에 있으며, 이를 학부과정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6) 역사와 이론에 기반을 둔 건축교육 교수진의 특별한 장점은 역사와 이론에 강한 관심을 기지고 있다는 점과(전임 교수의 절반이 역사와 이론 에 관해서 박사학위논문을 썼으며, 계속해서 연구 성과물을 생산하고 있다.)협업을 하는 데에 거리낌이 없 다는 점이다. 시각적인 면에서 아방가르드처럼 보이지 않을지 몰라도, 지식과 연구에 기반 해서 건축 설계 에 접근하는 데에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의 강점이 있다고 확신한다. 건축학전공 프로그램은 역사와 기술, 사회에 대한 비판적 감각에 바탕 한 창조 과정으로 건축설계에 접근하며, 개인의 재능만큼 공통적인 기율 을, 감각만큼 지식을, 결과만큼 과정을 중요시 여긴다.

6

1975

Inauguration of a dual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1982

Inauguration of the masters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1985

Inauguration of the Ph.D program in the Graduate School

1996

The Program in Architecture and the Program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were reestablished as 4-year programs within the newly formed Faculty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College of Urban Sciences.

1999

Post-professional graduate program re-established as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2000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stablished

2002

Inauguration of the 5-year Program in Architecture

2003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stablished as independent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2005

Reorganization into School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2007

First program in Korea to receive architectural accreditation

2009

Independent admission process per department

2010

Department of Architecture selected for 2010 Governmental Education Fund

Prepare students to address the complexities and challenges of architecture in the urban metropolis. Provide global leadership in the architecture and urbanism of the Asian Arena. Nurture creativity based on sound building, innovative media, and historical insight.

Founding Mission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While providing a sound general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careers not only as professional architects but also as experts in the wider field of architecture, the department seeks to establish a special identity that shapes, reflects, and contributes to the university? unique identity as the public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established by and working for the great metropolis of Seoul.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s 5-year undergraduate program was the first to receive architectural accreditation in Korea. It trains students for a career as a professional architect as well as Masters and Ph,D programs in the diverse fields of history, theory, preservation, housing, institutional issues, sustainable design, and facilities planning. While maintaining its unique civic character as the university of and for metropolis Seoul, it places creative, intellectual work and responsive architectural design firmly at the core of its educational goals. These programs, the largest and the most innovative in Korea, draw strength and character from their active relation with architectural engineering,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With a solid foundation in design, graduates excel in the diverse fields of 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academics and research, information technology, public service, and real estate development.

INTRODUCTION 7


5

-1

GRADUATION WORK(DESIGN THESIS)

ARCHITECTURAL REVIEW 2011


INSA-DONG CLUSTER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Lee, Hye-Rin 이혜린

Tradidtional art market and education center in Insa-dong Since Chosun Dynasty, Insa-dong was a place where people could buy brushes and ink sticks and throughout the Up until today, as the concept ‘culture’ brushed up to surface Insa-dong was adorned naturally by time and became favorably comparable in the world market. Yet, as this road commerciallized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is road, such as the antique shops, minor galleries, and art shops are being driven out as we speak. Instead, commercial stores are increased in high speed. Thus these changes in these streets are making Insa-dong indefinate of its identity between commerce and tradition and it will eventually fall under the rule of commerce For that reason, I wish to revitalize not the area where its commerciallization already began but the ply right behind the roads. This can help antique shops, minor galleries, and art shops can gather up as a whole and form a community concentrated in arts. Furthermore, provide more of a warm welcome to the visitors of Insa-dong allowing easy approach to the arts thus if interested anyone is welcome to look in more depth into this area. Through this joint community minor galleries can concentrate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one and commonly use this area for the purposes they lacked before, such as promotion area, research area, and supply area.

ARCHITECTURAL REVIEW 2011

LEE HYE RIN


SCALE TRANSITION OF INSADONG & RECOGNITION OF THE ROAD 일제시대 고미술품 시장

OUTSIDE OF THE SITE

골동품, 고미술, 화랑등의 점포 밀집 6.25 이후 낙원상가와 함께 시장 형성

조선시대 도화서 옆 지필묵을 파는 거리 중인 주거지역

1962 근대적 상업 화랑이 들어섬 고미술 관련 상가들이 들기 시작

전통적 먹거리, 즐길거리의 발달

1980

1990

2009

2001

인사동은 스케일에 따라 그 인지성이 달라지는 곳이다. 인사동 조직에 맞는 건축은 이 스케일을 잘 조절해야 한다.

도시계획으로 정비된 큰 길과 한옥의 배치로 인한 옛 골목길이 혼재되어 있다.

OUTSIDE OF THE SITE 한옥 작은 규모 큰 규모

인사동 내 블록 내부 중 빈땅을 찾았다. 이미 형성된 인사동을 훼손하지 않고 현재 모습 그대로 받 아들이며 새로운 조직을 심겠다는 생각이다. 이 땅은 현재 대성 그룹 사옥 부지 내 주차장으로 쓰이는 곳이다. 이 땅은 건축물들의 배면으로 둘 러싸여 있으며, 종종 문화 행사가 이루어 진다. 외부이지만 내부와 같은 안락함을 주는 대지이다. 인사동길 한 켜 안쪽에 있는 이 대지로 들어서면 인사동의 내면을 바라볼 수 있는 고미술, 골동품, 표구점, 고서점, 고미술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가진 인사동 클러스터를 만들고자 한다. 2002 2007

컨셉1. 골목길의 연결과 확장

컨셉2. 접한 면에 따른 대지 내 스케일의 적응

INSIDE OF THE SITE

Traditional art shop

12

Art supply store

Old book store

Folkcraft article shop

상업화 되어가는 인사동

전통을 표방한 상업화

내몰리는 기존 프로그램

LEE, HYE RIN 13


SITE ANALYSIS

PROGRAM Education & old book cluster

site survey

access

pedestrian

expansion of site

passing way expansioning alley

14

adjust to the level

make blocks

road inside the blick

Antique shop cluster

Folk article shop 5 antique shop 10 Experience class 3 Photo 1 Conservation sciesnce lab 1 Office 1 Original athentic article lab 1

Antique art store cluster

Antique art store 7 Co-use gallery 2 Studio 2 Auction 1 Office 1

Mounting cluster

Mounting store 4 Workroom 4 Art supply shop 2 Co-use storage 1 Co-use machine 2 Seminar room1 Mounting education 1

gesture of link

PROCESS

scale adjust

Cafe 1 Art shop 3 Old book strore 3 Information 1 Library 1 Seminar room 6 Auditorium 1

Co-use

Cluster make inner space

Skip floor according to asseccibility

LEE, HYE RIN 15


A - A’ Section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B -B’ section

RENOVATION 1. Reconnect Insa-dong ally

2. Daesung building demolition plan

Renovation builidng keeps simple shape and it becomes center of mass. It let you know whrer you are in the complex clusters.

meterial : Dark gray metal pannel

3rd. floor plan

4th. floor plan West facade

16

2nd. floor plan

3rd. floor plan LEE, HYE RIN 17


Thanks to... 졸작 마감을 하며 졸작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언제나 마음의 버팀목이 되어 옆에서 응원해주시는 부모님, 끝까지 이끌어 주신 최상기 교수님, 큰 조언을 해주신 권기혁 교수님, 모델러 정은이, 디지털 도우미 유영이, 잘생 긴 준영이, 각선미가 쩌는 상훈이, 기타치는 배짱이 경일이, 군대 휴가를 나에게 써준 병철이, 응원하러 와준 성은언니, 슬럼프에 빠졌을 때 조언과 용기를 준 졸작실 사람들... 모두모두 고맙습니다.

18

LEE, HYE RIN 19


HOUSHOP IN CHUNGDAM-DONG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Moon, So-Hyun 문소현

상업시설과 주거시설 현대 사회에서 이 두개의 다른 프로그램은 함게 공존하고 있으며 도시의 발전이 진행됨에 따라 공존의 필요성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상업과 주거 반대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이 두개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건물로 사용한 다는 것은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서울 내 상업적 중심지의 한 곳인 청담동에 상업과 주거가 함께 공존하는 새로운 타이폴로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MOON SO HYUN


HOUSE + SHOP

HISTORY OF SHOP + HOUSE IN KOREA

REACTIVITY IN URBAN ORGANIZATION + SHOP IN VHUNGDAM

1세대 주상복합 ex )) 세운상가 단점 : 차량증가에 따른 소음, 대기오염, 채광, 통풍의 열악, 편의 시설과 녹지 시설 부족의 문제

2세대 주상복합 ex)) 마포지구의 고려, 성지빌딩, 정우맨션 단점 : 부대 복리시설이 형식적, 중복도로 설계되어 거주 부적합 LUXURY BRAND SHOP FRANCHISE RESTAURANT

3세대 주상복합 ex)) 보라매 나산스위트, 잠실 시그마 타워, 여의도 라이프 콤비 단점 : 상가부분 분양이 50%가 넘어 분양의 어려움

RDSTAURANT CAFE CLUB BAR

CAFE STUDIO MEDICAL

건물외곽선

DHOP CAFE

샵이 보여주는 이미지의 위치

HOUSING

TRANSPARENT DISPLAY

접근이 어려움 시각 위주 아님

4세대 주상복합 ex)) 타워팰리스 단점 : 주거 비율이 90% 이상으로 아파트에 육박

다른 감각들에 의존

PUBLIC PROGRAM의 위치

. .

보임 접근 가능 도로보다 높은 LEVEL에 위치

보임 접근 가능 도로와 같은 LEVEL에 위치

보임 접근 불가능 도로보다 낮은 LEVEL에 위치

?

22

MOON, SO HYUN 23


STRATEGY 1 : REVERSE!!!

STRATEGY 2 : MAKE BUFFER!!! PROBLEM HOUS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house HOUSE ISSUE

PUBLIC BUFFER ZONE EXAMPLE

PROBLEM

PUBLIC BUFFER ZONE

BUFFER ZONE NO INTERATION

BUFFER

BUFFER ZONE PUBLIC

(SHOP - HOUSE) AS HORIZONTAL

SHOP

MAKE INTERATION

PUBLIC

HOUSE

PUBLIC

HOUSE

HOUSE

BEDROOM1, BEDROOM2

COURTYARD BOOK CAFE SHOP RENTAL SHOP

BUFFER LIVING, KITCHEN, DINING

24

(LIVING - BEDROOM) AS VERTICAL

MOON, SO HYUN 25


BUFFER

UNIT PLAN - TYPE B

(SHOP - HOUSE) AS HORIZONTAL COURTYARD

1F

2F

3F

4F

PUBLIC GARDEN

PARKING

LDK (LIVING + DINING + KITCHEN)

ACTIVE ROOM

BED ROOM BUFFER

COURTYARD

(LIVINF - BEDROOM) AS VERTICAL

ELEVATION1 26

ELEVATION2 MOON, SO HYUN 27


건축개요 주소 : A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82-7) B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81) 지역/지구 : 도시지역, 제2종 일반 주고 지역 대지면적 : A (5128.2㎡) B (3946.6㎡) 건폐율 : 법규 60% A (57.117%) B (58.320%) 용적률 : 법규 (200%) A (190.563%) B (181.716%) 건축규모 : 지하2층, 지상5층 세대수 : 24세대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주차대수 : 각 세대당 3대 상업시설 일반주차 22대 상업시설 장애인주차 2대

SHOP ENT HOUSING ENT

1. SHOP 2. SHOP 3. SHOP 4. RENTAL SHOP 5. SHOP 6. RENTAL SHOP 7. SHOP

1F

3F

SECTION1 28

SECTION2

SECTION3 MOON, SO HYUN 29


PRODUCTION CUBES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Kim, Dong-Hwan 김동환

manu_factory stack+commnunity space Sung-su dong In the past, because ‘Sung-su’ was considered to the outskirt from the urban center, many factories are made here-no planning, spontaneous generation. After then, as the urban center is larger and larger, ‘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e’ function buildings are built. So, in Sung-su many factories are got into the urban center. In this condition, spontaneous generated factories and the urban buildings are very disordered. After then, because of this disorder, city re-organization are started, but car & pedestrian road are not seperated and geen space is very poor, until now-city infrais very poor!! As a result, where Sung-su is very complex, making the coexistence method through the program of manufactory-identity of this area, and then the paradigm of factories make change goooood!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D O N G H WA N


front yard

back yard

STREET USE

Stuff (making material, complete product) that workers put out temporarily outside (like street) can be the IDENTITY of that factory. The bigger the scale of space that the workers need by reason of storage or temporary charge, the higher the using ratio of this flexible space.

EXPANSION / RELATION WITH OTHER FACTORIES

Because the physical scale of factory is very small to itself, they need parasitic space. At first, that space is made for subordinate part, soon does play part in substantial function. Furthermore, similar factories have a relation with each other, throught these spaces. And have a possibility of expansion.

32

KIM, DONG HWAN 33


STACK

Existing ‘apartment type factory’ has same height and similar scale (almost 4~4.5m)-uniformly size- because of more cheap construction cost. But, ‘manufactories’ need to have more various height, size and building system. So, apt type factories were used for offices, and then manufactories are ousted gardually. So, when the factories are stacking, although the nuber of factories in 1 floor plan is less, making more various module of height and size, and more staking of floors. It is more pleasant for the manufacturer to use that space. Furthemore, the vertical spaces made by staking those spaces can have various use-ex) storage or arrangement room.

BUMP!! As vetically staking, factories have space like ‘Bump’. That can be empty space or space for various purpose. These spaces help the various type of factory use for itself.

34

KIM, DONG HWAN 35


multi-purpose hall 36

booth KIM, DONG HWAN 37


Section_scale 1:200

38

KIM, DONG HWAN 39


ITAEWON FREEDOM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Lee, Chun-Min 이철민

Flexible Boundary in Complicated Town Prologue 한국현대사회는 시대가 많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치편향성이 강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 속에는 다수에 의한 집단 뿐 아니라 수많은 소수문화의 집단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소수문화들은 실재 도시 속에서 물리적 형태로 존재한다. 하지만 도시와 만나는 방식은 소외되거나 고립된 상태이다. 마이너리티(minority)라고 일컬을 수 있는 소수문화들과 머져리티(majority)라고 일컬어지는 다수문화의 도시조직들이 만나는 곳에 경계가 존재하고 그 경계부에서는 알 수 없는 긴장감과 단절이 존재한다. 이런 관점에서 서울이라는 도시 속, 구체적으로 이태원이라는 도시적 공간 속에서 소수문화들과 다수의 문화 경계사이에서 유연한 경계를 건축적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LEE CHUL MIN


STREET WALL OF ITAEWON AVENUE. DEVIDES TWO DIFFERENT WORLDS FRONT AND BACK SIDE OF THE LAYER

CONCEPT DEVELOPEMENT 1 Separated (enclosed)

Streetwall Program

2

Private Clubs Islamic Programs

“Grouping”

StreetWall Private Clubs

Itaewon... as Diversity? or as Minority?

Islamic Programs Itaewon Ave. Street wall

Site

Sexual Minority

Islamic Minority

Streets

3

이태원로의 스트릿 월(Street Wall)과 소수문화 그리고 단절 이태원은 그 사회적 역사적 배경 하에 소수문화들이 비교적 많이 자리하고 있는 땅이다. 또한 이 곳은 길의 문화로, 이태원로로 대변되고 사람들에게는 표면적으로 다문화성 만이 인식된다. 하지만 그 강한 스트릿월 이면에는 이태원의 지형적 특성 위에 다양한 문화 집단들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밀도 있게 공존하고 있는 이태원의 소수문화들은 이슬람 문화와 게이 문화이다. 그들의 보금자리가 도시(이태원)에서 취하고 있는 태도는 극히 폐쇄적이고 공 간은 고립되어 있다. 하지만 소수문화 집단들은 양립하는 두 가지의 욕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나는 뚜렷한 경계를 가진 자신들의 영역에서 그들의 문화를 향유하는 것이 고, 다른 하나는 다수 사회(이태원에서는 이태원로의 문화)로 확장되려는 욕구일 것이다. 그런 점에 착안하여 3가지 문화의 경계가 마주하고 있는 노드점을 사이트로 잡고 유 연한 경계(Flexible Boundary)의 공간을 제안해 본다.

4

“Stacking” Still Separated (but opened)

“Overlaping” Itaewon Avenue.

Private Clubs Islamic Programs

Street Wall

Streetwall Program

Road

Road

Road Access from urban Optional Access

Midium level

Boundary

New Program

a-a` setion

42

b-b` setion

Boundary, District still exisiting

New program provides Optional Access + Optional Share

Lowest level

Highest level

LEE, CHUL MIN 43


0

Mass Design Process 1

2 Itaewon Ave.

Lowest level (Itaewon Ave.)

Sexual Minorities Islmic Minorities

Original Condition of the Site

Put Linear Mass (programs)close to the Edge of each Society Group

2-2

level 85m

level 75m

Middle level (Sexual Minorities)

level 58m

Redesign each Masses accoring to Neighboring Demand on 3 Different Level

2-3

3

4

5

Highest level (Islmic Minorities)

New Program

Stack Again

44

Harmonize 3 Programs with site condition

Insert (New Program)

LEE, CHUL MIN 45


1

2

3

SEQUENCE OF PEDESTRIAN’S VIEW 1. 2. 3. 4.

Plan / EL 70

Continuity (Itaewon Ave.) Curiosity (new type of Access) Inflow (Behind layer) Notification (Sympolic silhouette)

4 Plan / EL 83

Roof Plan / EL 86

46

LEE, CHUL MIN 47


FLEXIBILITY OF PERFORMANE HALL USAGE Plaza

_ Diffenent Connection of each Socie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erformance Hall (Among Itaewon Avenue, Gay community and Islam temple)

SUGGESTION OF FLEXIBLE BOUNDARY _유연한 경계의 건축적 제시

Theater type

Ramp Gallery

Column Diameter Maximum Lifting Cpacity Maximum Static Cpacity Maximum Travel

457 mm 25,000 lb 40,000 lb 12.2 m

Detail of Stage Lifting Arena type

세 집단(이태원로 문화, 성소수자 문화, 이슬람 문화) 의 경계에 면하게 될 새로운 프로그램은 중립성과 포용성,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예술 문화와 관련 된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들의 중심에 가변성을 지닌 Performance Hall을 제시해 본다. Performace Hall은 주로 산마르코 광장과 같 은 광장으로 작용하여 이면의 복잡한 도시조직들이 하나의 대공간에서 중립성을 갖게 해 준다. 하지만 때로는 가변적으로 변형되어 다른 예술행위의 장이 되기도 하고, 각 사회의 경계영역을 조절해줄 수 있 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유연한 경계는 각 집단들 의 영역을 보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질적인 집단들 의 공생의 장으로 작용하게 된다.

Islam Hall

Club

Ramp Gallery (Islam)

48

LEE, CHUL MIN 49


ONE HOUSE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Kim, Myeong-Hun 김명훈

사회초년생을 위한 집합주거 1. TARGET 이 프로젝트의 시작은 1인 주거에 대한 관심에서 부터 시작한다. 2010년을 기준으로 1인가구의 비율은 20%를 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1인 세대의 유형과 수는 증가함에도 건축적 해결안은 다양성은 물론이거니와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급조차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1인 주거 세대 중 산업 예비군에 속하는 사회 초년생들의 주거 환경은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1인 세대 유형중 가장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으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들은 경제적으로 약자이며 사회적 정책 속에서도 어떠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 사회초년생의 주거는 대부분 원룸, 고시원과 같이 최소한의 거주 면적만을 강요당하며 철저히 경제적 논리 안에서의 선택권만이 주어진다. 최소화된 면적안에서의 생활은‘주거’ 를 단순히‘셀터’ 로써 전락시키며 주거 안에서 일어나야하는 Activity와 Community를 상실시키며 모든 행위들은 주거 밖 사회안에서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진다. 또 1인 주거가 가지는 일시성은 그러한 환경에 있음에도 조건을 수용할 수 밖에 없게 만든다. 안정된 생활환경에 정착하기전 일시적 주거에서 삶이 보다 풍요로워질 수 있는 공동의 생활 방안을 건축적 제안을 통해 해결해 보고자 한다.

SITE는 현재 왕산로 지하철 1호선 철길을 면하고 있는 좁고 긴 대지이다. 위치적으로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 대학교, 서울시립대가 가까이에 위치해있으며 전농동 일대는 다세대 다가구의 1인주거형태의 주택들이 밀집해 있어 자취를 원하는 대학생들의 주거 수요가 상당히 높다. 이와 더불어 전농동 일대는 지금 청량리균촉지구, 이문휘경뉴타운, 중화뉴타운, 전농답십리뉴타운 등 재개발이 한창 진행중에 있는 지역으로 이들 대학생들의 거주 영역이 점점 줄어들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SITE는 이들 재개발 지역에서 제외된 철길옆 부지로 낙후된 주거가 대로에 면한 상가와 철길 사이에 모여 있어 도심 안에서 홀로 섬처럼 존재하고 있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MYEONG HUN


PROBLEM

CONCEPT IDEA

현재의 1인주거의 대표적인 유형인 원룸이라 불려지는 STUDIO APARTMENT 나 고시원은 개인적 공간으로 한정된 좁은 방 안에 주거가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기능들을 밀집해놓았다. 그로인해 공간적 단절은 심화되고 공용공간은 그 의미를 퇴색해 버린 채 단순히 이동공간으로써만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외부적으로 블럭 내 하나의 필지에 경제적 논리로 점유되어지는 건물의 형태 로 인하여 건물과 건물 사이의 공간 역시 버려지는 공간이 된다. 그렇다면 하나의 필지가 아닌 블럭의 단위에서의 집합주거로써 접근한다면 상당히 많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개인적 공간 역시 최소화된 형태로 조합되고 이 개인적 공간 여럿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공간으로 확장 된다면 더욱 다양한 공간이 만들어지 며 다양한 행위들이 일어나는 주거로서의 주거가 될 가능성이 있 다.

52

기능적으로 축양된 하나의 유닛이 모든 이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보다는 유닛의 다양화를 통하여 수요에 대응하며 이 유닛들이 가지는 성격에 따라 공유공간을 연결한다.

KIM, MYEONG HUN 53


DRAWINGS

54

CONCEPT AND STUDY MODEL

KIM, MYEONG HUN 55


IMAGES

Thanks to. 졸작을 한다고 정말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았습 니다. 아낌없는 경제적 지원을 해주신 사랑하는 부모님, 바쁜데도 계속 와서 도와준 고정환씨, 귀여운 도우미들 정환이, 장준이, 별아, 태경이, 본엽이, 가현이, 경진이, 또 졸업하고도 찾아와 응원해주고 간 성연누나, 인규형 그리고 단합이 잘 안되는 듯 했지만서도 즐거운(?) 시간을 함께 한 최상기스튜디오 설계실 사람들까지... 나만 더 잘했으면 더 좋은 결과물이 나왔을 텐 데 하는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별 탈 없이 마 칠 수 있어서 너무너무 고맙고 기쁩니다. 정말정말 고맙고 사랑합니다~

56

KIM, MYEONG HUN 57


MODEL

58

KIM, MYEONG HUN 59


MARKET_D3 [DONGDAEMUN, DESIRE, DENSITY]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Cho, Hye-Jin 조혜진

Dongdaemun Material Market Renovation In Dongdaemun 사람들의 욕망 때문에 동대문종합상가는 그 기능에 충실한 방향으로 높은 밀도를 지향하게 되었다. 그 결과, 더 이상 힘으로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고 견고한 결과물이 탄생하게 되었다. 동대문종합상가를 둘러싼 주변 환경과, 쇼핑방식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는 점차 변화해 가는데, 물리적으로는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매매방식의 변화와 그에 대응되는 물리적인 공간의 제안을 통해 대안을 제시해본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CHO HYE JIN


위치 : 서울시 종로구 종로 6가동 289-45 일대(동대문종합시장) 대지면적 : 22578m2 연면적 : 140129m2 건폐율 : 65.22% 주차대수 : 424대(장애인 주차 : 8대) 규모 : 지하 1층, 지상 8층 지역지구 : 일반상업지역 최고높이 : 31m

SITE ISSUE_NEUTRAL DIRECTION

SITE ISSUE_DENSITY Now

Proposal

SITE PLAN

CHANGING OF THE WAY THE SALES

62

CHO, HYE JIN 63


CONCEPT_PROGRAM SCANNING PROGRAM STRATEGY

DESIGN PROCESS

64

CHO, HYE JIN 65


DRAWINGS

FURNITURE TYPE #A. 원단류

#B. 레이스류

#C. 악세사리, 부자재

#D. 실

DEMOLISH PLAN #E. 의류

66

CHO, HYE JIN 67


우리팀의 마스터로서 묵묵하게 자기 자리를 지켜준 승탁 내가 아무걱정 없도록 알아서 척척, 너무 고마운 은진 자기 일보다 더 열심히 도와준, 몸이 참 많이(?!) 고생했던 정수 바쁜일 많았어도 열심히 해준 규태 오 미래의 디자이너(니가 만든 DDP는 감동이었어) 종서 (다음에 또 닭칼국수먹자) 언제나 졸립지만, 든든하게 뒤를 지켜 준 호준 정말 너무 수고 많았구, 너희 덕분에 졸업한다! 고마워 다들- 얏호!

68

CHO, HYE JIN 69


FLUID BOUNDARY Choe, Sanki Studio 5학년 최상기 스튜디오 Yu, Han-Sik 유한식

사직터널 위의 공간 ; 도심 속의 비일상의 경계 SUBJECT _ 사직터널은 성곽의 경계를 뚫고 김현옥 시장의 논리로 생겨난 서울시의 첫 번째 터널이다. 일상의 공간인 터널 위에 물이라는 미디움을 가지고 비일상을 구현해보고자 한다. SPA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단절되었던 터널 위의 공간을 소통시키는 새로운 경계를 만들 것이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YU HAN SIK


PREMISE_

SAJIK TUNNEL_

사람들은 누구나 비일상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한 예로 사람들은 일상의 도시를 떠나 바다로 가거나, 도시 안의 강이나 하천을 찾아 쉼을 얻고자 한다. 즉, 여기에서 비일상의 Keyword는 물이라는 미디움과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시의 팽창과 Infrastructure의 발전으로 비일상의 영역은 점점 축소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 프로젝트의 시작점은 도시 밖이 아닌 도시 안에서 비일상을 시험할 무대를 찾는데 있으며, 오히려 영역을 축소하는데 역할을 하였던 Infrastructure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사직터널의 소통은 지형을 선으로 압축시켜 인식하게 하였다. 따라서 위의 공간은 도심 가운데 섬으로 남아있다. 도시적 스케일의 소통이 아닌 지역적 스케일의 소통을 위해 터널의 속성과 반대되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간이 선으로 응축되어 잃어버린 지형 삼형제 고개 (주막) 사직터널 (67년 개통)

체신부 교육센터, 기숙사 (주변과의 단절)

Recognition of Topography Urban Island

Upper Space on Tunnel (In Seoul)

Edge Of Sajik Tunnel

Architectural Concept

Alternative Sajik Tunnel

Program Diagram

Architectural Strategy

SITE PLAN 72

YU, HAN SIK 73


SITE PLAN

Scale : 1/400

Base 1 Plan

Base 2 Plan 1. 2. 3. 4. 5. 6. 7. 8. 9.

Office Meeting Room Lounge Service Room Storage Sub-Lobby Changing Room Equipment Room Parking Lot

Base 3 Plan Front Elevation 74

YU, HAN SIK 75


2nd Floor Plan

3rd Floor Plan

4th Floor Plan

76

YU, HAN SIK 77


Section A - A’

CONCLUSION_ 미완성의 소통으로 남아있던 사직터널을 일상과 비일상의 경계를 통해 완성시키는 프로젝트이다.

Section B - B’ 78

졸업작품을 마치며 한마디 : 먼저 주님께 감사드리고, 항상 지켜봐준 가족, 감사드려요. 졸업작품을 함께 해 주신 최상기 교수님과 스튜디오 친구들, 그리고 믿고 따라준 후배 (재연, 민재, 상명, 병오, 수지, 준호, 소현, 형준) 모두들 덕분에 잘 마무리 지울 수 있었습니다. YU, HAN SIK 79


SEW THE URBAN FABRIC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Seo, Ka-Young 서가영

infrastructure for life ; reuse Gueongchoon abolished railroad track site The city is constantly changing and being developed. Accordingly, the infrastructure with missing values within city is left abandoned unusing other programs, transformed into park with a general way. However, the residents in residential area adjacent to Infrastructure have to live with damage from that. So, abolished infrastructure must be restored to the ‘infrastructure for lif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the past, the government focused on the expansion of road but investment of the railroad was not enough. Today, the straightening of railway and improvements, trend of underground railway system, a few number of main rails have been closed. as the area is growing, it became 11,621,000(sqm) in 2012, which is similar to the Kimpo - New Town area. In all of cities, the consideration for the method of utilization has been started. However, because of a long and narrow shape of the site, most of them commonly used as a park or open space. the space can be ambiguous area without any acceptance of residents’ requirement. moreover, undifferentiated flow of making park cannot resolve the persistent problem, ‘disconnection’ and if the plan is progressed without the structural considerations for the entire region, it can cause even more disconnection.

ARCHITECTURAL REVIEW 2011

SEO KA YOUNG


ABOLISHED RAILROAD TRACK SITE

SITE CONDITION

SITE Because of the Gyungchun line, the roads are disconnected and most of the roads are formed in the way of alleys. Even though some underdeveloped commercial facilites are scattered aside the railway, the site is generally lack of main features as commercial or business. adjacent to the main roads and highways traffic flow is very active but most of the them are move to 2nd living area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ite, and even though the site of Shin Gongdeok station area is used as farmland, but actually left as neglected condition. In addition, a lot of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the Korea Millitary Academy, the Samyuk University and the Gwangwun University are concentrated, but there are lack of commercial or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 universities nearby.

Gueongchoon railroad, Nowon-gu

PLAN OF GOVERNMENT CONCEPT

URBAN FABRIC

My main idea is that erasing boundary. It will be another isolated isle if site has strong boundary and make new space with that strict line. So, it is necessary to erase the boundary and connect urban fabrics directly.

82

SEO, KA YOUNG 83


My first work is that repair the fabric. Mean of repair is not reappearance of past fabric but absorption urban axis nearby site. By doing this, long site is included to nearby fabrics. So there will be a good circulations and space that people can access easier.

PROCESS

cutting

light

road system

core

program

plant

main entrance of each block

program

exsisting condition

PROGRAM

proposal

+

84

Feel the green in your life !

SEO, KA YOUNG 85


masterplan

86

SEO, KA YOUNG 87


I hope that these solutions could be used as new method not only in limited site but also in many part with similiar conditions. 88

SEO, KA YOUNG 89


ELECTRICITY+MOBILITY=?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Bae, Sang-Hyun 배상현

We imagine transfrom of city network EV will be linked to our life deeply and change entire of it. Buildings enlarge parking space to get more energy then they can link above. A plaza can be very flexible because of electric system underneath. Interface of building and vehicle will be very different from now. What we have is JUST BEGINNING OF THROUWING QUESTIONS. ARE WE READY FOR THE FUTURE?

ARCHITECTURAL REVIEW 2011

BAE SANG HYUN


ENERGY USE_STORAGE PROBLEM IN KOREA

“Today in Korea 34% of energy produced is wasted at night due to a lack of storage capacity” What would happen to the city if the electric car of the future would become an energy storage and provider instead of an energy consum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of the electric car beyond the possibilities of the vehicle itself. Future EV cars can be upgraded to not only transport people but transport and deliver energy as well, thereby making each building more self-sufficient. The result will be a city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cars and buildings will be totally different from everything we know at the moment. - Bae Sanghyun

PROLOGUE _ ELECTRIC VEHICLE We are in a period of transition into the sustainable lifestyle. One of the biggest global issues for years is the challenge of going green. Architecture has been following up closely with several eco developments of its own, and vehicles are no exception. The first commercialized electric vehicle ‘Nissan Leaf’ was launched in the market last year. At present, there are hundreds of research and design labs in vehicle companies and universities exploring the capabilities of this EV system. As a commercial product, the Leaf boasts a top speed of 145km/h and the ability to cover approximately 100km on a fully charged battery. However, other features cause customers to be less inclined to buy an EV, such as the gradual loss of battery capacity, which is expensive to replace, as well as the high cost of the car.

92

Going green is not only about develop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but also the smarter use of energy. South Korea, like Japan, does not have much energy resource but consumes massive amounts of energy, hence energy selfsufficiency is extremely low, as little as 3%(1.3). One good point, however, is that electricity consumption for household use in Korea remains very efficient. Yet, the management of energy use in Korea remains less than desirable. 34% of energy produced daily, corresponding to the energy generated late at night, is wasted because this amount of unused energy is too huge to be stored. Conversely, power plants cannot be switched on and off easily, as they require even more energy to be switched on again. Therefore power plants are always in operation - 24 hours a day, for 365 days. As a result, many power plants simply let the electricity flow on the earth, and for this reason late night electricity is much cheaper than usual.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s also vary with the city zone. During office hours, most of the consumption occurs downtown, at the CBD area. On the contrary, the residential area takes up most of its energy at night and early in the morning.

Nonetheless, the Leaf is only the first trial model of its kind, and the technology of EV system continues to develop at an incredibly fast rate. In 5 to 10 years’ time, owning an EV car will be a common thing for the average person (1.1). In turn, we now ask if architecture is ready for the EV Asystem? How will the EV system change our buildings and cityscape? This project will not be an absolute answer to these questions, but it seeks to trigger and raise even more constructive questions, just as in the case of ‘Nissan Leaf’.

UPSIDE DOWN_NEW ELECTRICITY NETWORK What if your vehicle can capture this excess night electricity and discharge it to the buildings? The initial idea

of this project was to re-define the function of a car. The primary function of a car is transporting people, but with the EV system, a car transporting people, but with the EV system, a car could possibly become a transporter of energy as well. It uses energy to run, but since it can store energy, it can be an energy carrier too (2.1). Millions of cars will become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s, bringing energy to whichever destinations the drivers travel to. People can recharge their car with cheaper night electricity while they sleep, and use the electricity the next day at their workplace (2.2). If you go to the shopping mall and park your car there, you will no longer need to pay a parking fee. Instead, what you only need to do is to contribute electricity from your car, and in exchange get a discount coupon. Besides, buildings like the airport, stadium and convention centre are huge energy-draining places in the city (2.3). This situation, however, could be totally reversed with the EV system. Although more electricity is required where more people are gathered, more cars will also be present to provide electricity. With this system, individual buildings can be more self-sufficient in terms of energy. Possibilities lie everywhere. Factory workers could get free rental of electric bikes from their company, and in turn the factory would have thousands of energy

BAE, SANG HYUN 93


sources. Shipping of vehicle exports will also be different. As the ship has hundreds of fully charged vehicles, these vehicles can now supply sufficient energy to cross the ocean.

ELECTRIC VEHICLE TO CURRENCY So, how much energy is required, and how many cars are needed for that? The strength of the EV system lies in the fact that energy expenditure and hence the number of cars required for each space is calculated, which makes people more sensitive and meticulous when using electricity. At the moment, a vehicle’s average travelling distance in Seoul is around 53km per day. Since the Nissan Leaf can travel up to 100km on a fully charged battery, the energy available for

contribution to the building is about half of the battery’s power, which is about 11kWh. There are varying energy requirements within different building programs in the city. According to consumption surveys, the number of parking lots can be allocated depending on the building program, to enable the building to become energy selfsufficient (3.2). Eventually, this is converted to an area ratio between program and parking space as illustrated above. Currently parking area is usally exclusive to building users. Other people are prevented from parking in buildings, sometimes imposed with a costly parking fee, unless they patronize services within, only then would parking rebates be offered. With the EV system, parking space will become open to the public and companies will find ways to attract vehicles to park in the building instead, in order to get more energy.

PARKING_INTERFACE OF CAR TO BUILDING Parking space is not just a mass of concrete anymore. It is a platform through which vehicle and building exchange status information of themselves. Depending on their conditions, vehicle can contribute energy to the building or receive energy for recharging. Moreover, it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building. Empty parking lots can be easily detected and indicated becau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car and building. When drivers park their cars in the lot, they can decide the amount of energy to be discharged to the building, and according to this amount, they can be given

park with a relatively small program space. In using the EV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s and buildings will be changed. There will no longer be gas emission and noise. Consequently, car parks can now be mixed together with other programs, and people would not mind vehicles running around indoor space (4.3).

SMART PLAZA _ MULTI-FUNCTIONAL

available promotions such as a restaurant discount or shopping coupon. From the developer’s point of view, the car park will not be a waste of space anymore. Obtaining energy from the car park might even be more profitable than renting out offices (4.2). Depending on the building program and amount of electricity needed, they could have a giant car 94

Furthermore, as parking space becomes smarter, it can be very flexible and multi-functional. That is the idea of ‘Smart Plaza’. It becomes a traffic node during peak periods, and parking space during office hours. After office hours (or weekends), it transforms into a venue for social activities (4.2). For instance, a car theatre can be set up, where people watch movies by supplying energy from their vehicles. Sound will be provided within their vehicles, so viewers can enjoy better sound quality while causing zero sound pollution to their neighbors. This opens up further opportunities for holding concerts or media performances. BAE, SANG HYUN 95


LOCATION _ SEOUL STATION Seoul station, it is the heart of Seoul and transportation hub of Korea. Because of express train and speed metro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passenger load of the st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Now it only takes less than 3 hours across north to south of Korea. People can easily have a business meeting in the other cities and back to Seoul within office hours. However, compare to other major public service facility, Seoul station has very limited parking space. The proposal is to provide enough parking to the facility, attached restaurant and retail shops to be less dependant in terms of energy. Currently the station sited above the railway so there is limitation to develop underground of the building. And like other train station does, the railway separated local region. So the proposal provides linkage between the East and West on top of the covered platform and also plaza for

SOLID VOLUME

COLLECTING SOLAR

PLANE social activities. With concept of the Smart plaza, it is the place where vehicles gethering, where events happening, where people enjoying.

MASS DESIGN CONCEPT Mass design development has two direction. One in the site circumstance and the other one in the systematic approach. Add up one more solid volume at the current three volume in the site and then multiple layers of plane fill in the middle. The layers size is decied from the parking efficiency and the programs like retail store and restaurent fill the gap between parking space after deformation.

CENTERAL ACTIVITIES ENTERANCE

PLAZA

LOCAL ACTIVITIES

PARKING EFFICIENCY

96

OVERLAPPING

PROGRAM

SPIRAL CIRCULATION

BAE, SANG HYUN 97


EPILOGUE _ SMART CITY This new generation of technology creates a huge paradigm shift in the way we live and move in the city. Its arrival will impact companies and industries. For a better sustainable life, the electric vehicle will be essential. The infrastructure of the EV system is definitely not only providing a recharging point, as the possibilities are limitless. What is suggested in this project is a just small drop in the vast ocean of creative imagination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Are we ready for the new technology, electric vehicle? What can we do in our city with this system?� Importance of being SMART is not only about technology and devices but also people. We forget most of the time where does the energy come from and how much we spend.

Now, drive out and contribute to the buildings. You will see how much we WASTED.

BAE SANGHYUN Professor : Bart Reuser Graduation Project Thesis University of Seoul Republic of Korea

98

BAE, SANG HYUN 99


NAKED SPA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Kim, Yong-Hwan 김용환

Spa as community space near Seoul station Most korean people used to go to public bath with mother when they are young. When they get older, they used to go to public bath with father or friends on weekend. Public bath is one of the usual life in korea. Business people and housewives go to bath as where they can overcome fatigue and chat with town people. Bath is the most friendly place to korean. Recently Public baths in town are becoming extinct from emerging jjimjilbang. JJimjilbang has become more complex and bigger as commercial space. From this project, i want to expeperiment possibility of JJimjilbang which is made from korean unique culture as real community space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Y O N G H WA N


HISTORY OF KOREAN BATH Ritual

Cleaness and Healing “개성의 큰내에서 남녀가 ‘홍제원 목욕 사건’ 한데 어울려 목욕을 했다” 호병에 잡혀간 여인들 홍 제원에서 목욕 - 고려도경 - 목욕재계의 의미

전국 목욕탕 770개 신라시대

조선시대 고려시대

1905 병자호란 (1636~1637)

청결과 치료

1954 1920년대

목욕과 관련된 퇴폐행위 등장 1962

1960년대

유교영향으로 목욕을 불온하게 봄

한국 최초 대중목욕탕 서린동 근방에 등장 문화적 저항 때문에 곧 문닫음

한국 목욕문화 해외 수출

1981

전국 목욕탕 수 2000개

1984 1982

1992 1993

전국 목욕탕 수 1만98개 2001

1994

전국 목욕탕 수 4000개

이태리 타올의 등장

찜질방 처음 등장

Sleeping

Sleeping

2010

전국 목욕탕 수 9900개로 감소

Sleeping

Bath Bath

ZZimzilbang(public space)

THE SCALE OF BATH COMMUNITY

WHY IS A SPA? NEW TYPE OF SPA

Future

XN

Present

102

JJimJilbang

Ordinary bath

CASE OF ZZIMZILBANG

Bath house

Most of city spaces are governed by thelogic of capitalism. Public spaces where people can take a rest are rare. zzimzilbang is a public spaces where people can have a rest comfortably.

Plan

Roman bath

Past

Korean unique Community culture

zzimzilbang

Bath

Most private activity

2003 2001

찜질방 선풍적 인기 서울시내 100여 곳 전국 500여 곳 사우나탕 등장 서울시내 81개

FROM PRIVATE TO PUBLIC Bath

전국 목욕탕 수 9064개

1978

FROM PRIVATE TO PUBLIC

전국 찜질방 수 1333개 찜질방의 대형화, 복합화

전국 목욕탕 수 3000개

1971 1968

서울시내 목욕탕 47개 절에 대형공중목욕탕 - 삼국유사

IRONICAL SPACE

Well-being and Multi culture 세계 최대 시설 초대형 목욕탕 등장 (11층 2500㎡) ‘대주라돈 헬스 사우나’ 목욕문화의 대중화

본격적 대중목욕탕 보급 일년에 몇차례만 행해짐

Sauna

Dragon spa The most largest zzimzilbang in seoul

Itaewonland It is located in Itaewon

Garden5 spa It is located on top floor

Total floor area : 13200m2 6stories building

Total floor area : 3600m2 5stories building

Total floor area : 6600m2 It is located on 10F

Happyday spa Upper 3stories is a wedding hall

Spaland It is included in departmant store

Total floor area : 6480m2 Total floor area : 7934m2 4stories 3stories

KIM, YONG HWAN 103


SEOUL STATION - CENTER OF SEOUL PROGRAM CONCEPT

OPEN COMMUNITY

SITE SITUATION

Seoul staion convention center will be built by 2016. The site will be activated by public. So it needs more community space to accept change. It takes 40 minutes to incheon airport from seoul station by airport train. Seoul station surrounded by seoul’s important downtown. It needs more spa as resting place and accomodation for business people and tourists. Seoul station will be change to center of city. Each side has different views which are train station and highrise buildings. Now the site has commercial function but it is not vitalized despite it’s location. The site is located between Public area and commercial area which becomes highrise. And it is a obstacle to interrupt between two areas because of thoughtless development. This site needs new role as community space with impotance of around the site. It is difficult to develop becase of thin width. It will be efficient to develop by merging lots.

Step1. Single program

The site confronts with seoul station’s green space. But It is disconnected by this green area. The building’s facade in the site only respond with road side. It is needed to respond with station side visually.

PEDESTRIAN AXIS

Step2. Divide

Step3. Spread

Exsting

New

Closed community

Open community

Step4. Link to Sub-programs

ADJUSTMENT OF PRIVACY Square Type

Diagonal Type

Single Scale

Diverse scale

Public

Private

2

ite Area :2123m Length : 156M Width : 14M ~ 15M Building coverage : 60% Floor area ratio : 800%

104

Transparent

Opaque

KIM, YONG HWAN 105


MASS CONCEPT

Step1. Single Mass

Step2. Divided into 2 layers

Step3. Adjustment of slit

PROGRAM

Step4. Infill

Step5. Exchange layers

SPA CIRCULATION

PUBLIC CIRCULATION

Site plan

FACADE CONCEPT

Perforated steel panel Transparency 20% Transparency 50%

Now Solid Wall

THEN Transparent Screen

Transparency 60%

Overlapped screen

Transparency 10%

Transparency glass

GL+7000 plan

GL+6700 plan

106

KIM, YONG HWAN 107


108

KIM, YONG HWAN 109


INVASION FOR ALL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Hwang, Ji-Yong 황지용

Providing place for elderly people in the urban icon Top-gol Park 모두가 함께 살고 있는 이 도시에서 주거 이외에 노인들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은 어디인가? 24시간화 된 사회공간 속에는 젊은이들의 욕구가 반영된 공간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속속들이 생기고 있지만 대부분은 경로당 혹은 노인정, 복지센터로 치유를 목적으로 병자취급하거나 회복을 목적으로 그들끼리 모아놓고 격리시키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노인의 여가문화확장과 그들의 욕구를 진정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노인을 위한 빈 공간만 만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곧 직접적으로 노인계층의 사회적 소외와 단절을 심화시킬 뿐만아니라 그들간의 소통 또한 부재하게 만든다.

이에 대한 방편으로 새로운 노인문화 프로그램만을 제시하는것은 프로그램 경험후 다시 심심하고 지루한 일상으로 돌아가기 마련인 한계가 있다.

도심속 공간에 축적된 문화적 특이성과 잠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노인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 인해 노인과 일반인 그리고 노인과 도시가 서로 유기적으로 소통하면서 일시적, 행사성 문화공간이 아닌 지속적이고 일상적인 공간으로서 노인을 위한 문화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H WA N G JI YONG


PROLOGUE

탑골공원은 본래 그 태생이 종로에서 시민들의 만남과 휴식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던 곳으로 3.1운동의 발원지였을 만큼 그 역사적 장소성을 간직하고 있는 장소이나 시간은 흘러 현재는 노인들의 자연스런 군집에 의해 노인특유의 동질적인 공간이 되었고 시민들의 인식속에서도 탑골공원은 노인공간 이라는 이미지가 강력히 밖혀 하나의 아이콘이 되었다. 우리는 탑골공원을 종로의 형성과정 속에서 동대문패션타운, 귀금속거리, 영화거리처럼 종로에 달라붙어 종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아이텐티티한 요 소로 사라지면 안되는 복잡한 도심속 쉼터와 노인공간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 도심속 아이콘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제약과 더불어 노숙자(homeless people)의 증가와 노인을 노린 성매매의 성행으로 탑골공원을 둘러싼 지역을 슬럼화 시키는 것은 물론 이거니와 공원자체 의 인식조차 쇠락시키고, 공원내부의 노인들이 도시와 고립되고 단절에 처하는 상황을 만들어냈다.

동시에 인사동과 탑골공워, 종로 피맛길을 잇는 새로운 축선을 만들며 그속에서 도시와 건물과 사람이 유기 적으로 소통하기위한 건축적 언어로‘침투’ 를 사용한다. 공원을 침투한 매스는 기존의 공원에서 일어나던 노인들의 행위를 실내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site와 하나로 읽히면서 노인과 일반인이라는 서로 다른 유저를 연결하고, 공원과 도시라는 서로 다른 조직을 연결하는 장치가 된다.

Concept Idea

Proposal : New Urban Condition & Program

History of the Identity

1897 built the park

1919 3.1 independence movement

1959 1967 construction constructtion of Samil-ro of ‘Pagoda Arcade’

1982 demolish of ‘Pagoda Arcade’

1989 set the national heritage

2001 repair work in the park

2011 invasion

Development Process of the Icon Jong-ro(路) is long horizontal road

Vertical road cross the Jong-ro

Commercial program exist along the Jong-ro Identical factor is haning to the Jong-ro

도심속에 제공된 오픈스페이스 였던 탑골공원은 역사성과 상징성을 넘어서 공간에 축적된 문화적 특이성, 잠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에 탑골공 원 주변대지 중에서 기존의 컨디션에서 view와 access에 가장 불리한 블록을 선정하여 재개발 하여 탑골공원이 가지고 있는 노인공간이라는 아이덴티티를 존중하면서 단절 과 고립의 상황에 처해있는 노인들을 도시조직과 충돌시켜 새로운 도심속 노인문화공간을 제공하는 계획을 제안한다.

Space Composition

Section Diagram

그러나 완결된 빌딩으로의 노인프로그램 제공은 내부에서의 또다시 노인의 단절을 초래하며 전통상업가로인 종로의 위상과 지가를 고려할 때 이익상의 문제가 되며, 벽의 허뭄 과 공공공간의 제공은 단순한 탑골공원의 확장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힘들다. 또한 이런 노인공간과 도시의 직접적인 만남은 반발과 충돌을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되었고, 이를 위해 사이트분석을 통해 노후화, 구조적 재사용, 스카이라인의 가치판단에서 제외되는 건물을 허물고 기존의 도시조직이 가지고 있던 의미없는 사이공간을 채워 1층을 접근성 의 유리함이 있는 상업프로그램을 주입하고 그 위에 기존도시에 없는 노인문화라는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어 탑골공원의 노인공간이 도시의 일상 영역으로 확장 가능하게 한다.

Site Analysis : Phenomenon & Problem

Site Select

directly urban path & circulation elderly path

elderly path have various pocket space

program become private in the new path

Elevation Composition

each mass have one main open facade

112

opening direction is composed by pocket space

other direction facade have just fuctional open

HWANG, JI YONG 113


Mass Diagram

114

Ground Floor Plan

STEP1. Existing park & block

STEP2. Set up the connected one mass

STEP3. Divided by existing road & new path

STEP4. 1st Floor Composition for pubic pocket space

STEP5. 2nd Floor Compsition for elderly commynity

STEP6. Set up the elderly cutural mass

HWANG, JI YONG 115


DESIGN STRATEGY 재구성된 1층은 기존의 도시조직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반응한다. 공원을 가로지르며 생기는 길은 인사동의 시작점과 종로를 연결하며 시민들의 새로운 통로이자 쉼터가 되고 블럭내의 길은 1층의 상업프로그램과 연계되어 공용공간의 성격을 가지며 공간적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공원을 침투한 매스는 기존의 공원에서 일어나던 노인 들이 행위가 추운겨울이나 폭염, 비가오는날 등에 실내로 확장어 일어날 수 있게한다. 이러한 노인행위의 확장은 평면상에 배치된 수직동선과 함께 2층 레벨로 확장되고 2층 부터 5층까지 존재하는 노인문화 프로그램은 노인행위의 수직적 확장이 당위성과 목적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노인과 일반인의 흐름을 분리하여 서로간에 직접적인 만남과 충돌은 없도록 하지만, 건물의 중간중간에 형성된 공공공간의 성경을 띄는 포켓스페이스와 중정, 그리고 입면의 구성을 통해 드러나게될 시선의 교차 등이 노인과 시민, 노인과 도시를 소통하게하는 새로운 장치가 될 것이다.

Second Floor Plan

116

3F Plan

4F Plan

5F Plan

HWANG, JI YONG 117


Thanks to. 주태, 다솔, 다운, 민석, 주익아. 모두들 고생많았다. 프로젝트 재밋있게 봐주고, 밤새가며 열심히 도와준 덕분에 이렇게 마무리 지었구나. 고맙다 모두들^^ 항상 응원해주시는 가족, 애인, 친구, 선생님 모두들 감사합니다. Thank you Prof. Bart

Section A

118

Section B

HWANG, JI YONG 119


A DAY AT THE TERMINAL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Kim, Dong-Hwan 김동환

Terminal + Meditation (Yoga, Music space, Book space, Street for bare foot) Everything changes and transfers quickly. People don't get used to this rapid change and there is no time to think at all. Terminal is like a portal (site).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someone. Different thoughts are existent. There are many types of users in terminal. People wait for different times each other. Spaces for 5 minutes or 1hour long using can be changed into terminal for meditation and thinking.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D O N G H WA N


Where are silent spaces for thinking and meditating in Seoul ?

Thought, memory with terminal

INTRO

IMAGINATION

‘Physical time’ is still exactly same, but Relative time is faster than before. Everything changes and transfers quickly. People don’t get used to this rapid change and there is no time to think at all. There is less communication among people. Besides, development of architecture or cities is also influenced by the economic sense. It is unclear that changes are for whom. Dense building forest composed with apartment or shopping center and many electric signs that are closely spaced over the dense buildings are the visible aspects of cities we meet every day. People are exposed to noise of buses, subways and other people. Also there are no place to seat. Each apartment is eager to make their own oasis. Place that can form public community becomes rare.

#1 In rush hour, Mr. A goes to his office by taking a subway line no.2 that is crowded. Attached people listen to music and reading news papers each other. Sometimes they are facing each other, but it has no mean. It is noisy but there is no conversation.

in-between

low density

high density

no space station

HISTORY OF TERMINAL

SUGGESTION

The government made terminal because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Seoul and transporting people faster. It is political and also urban planning issue. First, a terminal is a just method of transporting people or something. People are only waiting for a person. Terminal space is speedy and complicated but has no communication in there. There are 5 bus terminals in Seoul now, it appears since 1970’s. As time goes on, terminal is moving into another place because of the scale of it. Since 2000 year, it changes into complex including department store, hotel, and Movie Theater. Now, space of terminal is focused by developers in Seoul that has no place to build anymore.

There is no space of taking a rest. People pass by each other rapidly in city of noise. Current developing plan is like putting the noisy city into the complicated city. There are not community spaces in the city. We need to have a space of eye contact. Waiting room of terminal is not silent enough, but it is place of thinking. Current terminal is place to transport and drop by, at this short moment, people feel comfortable. So many thoughts are passed by in the space of terminal, thoghts from people going for vacation, going to work or waiting for someone.

office

#2 Many people enter the terminal rapidly. Bus time is coming. One woman has been waiting the bus for 40 minutes early. She closes her eyes listening music surrounded confused people. She imagines the place to go 3 hours later.

convenience terminal

Officetel Shopping center Residence Hotel Sport facilities

1,200 buses per day 30,000 people a day on the average

ENVIRONMENT

STRATEGY

The East-Seoul bus terminal is nearby Han-River. Around here, there are many residences. There are many Korean typical housing block(Apt.) and small housing type in here. Each block has a different house, but the boundary of it has a commercial building meeting the road. In the view of zooming out, normally, huge size of building makes boundary of different urban texture. Because it creates edges of dense texture of buildings and provide bold skyline. Terminal and Techno mart has this kind of characteristic. People are coming here when they are going anywhere. And they are waiting a bus or someone. The parking space is full of buses. Bus circulation is inefficient. It doesn’t have enough chairs as well. They should stand for waiting.

Terminal is like a portal (site).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someone. Different thoughts are existent. There are many types of user in terminal. People wait for different times each other. Spaces for 5 minutes or 1hour long using is included in terminal for meditation and thinking.

addition

1960 Seoul 122

2011 Seoul

? KIM, DONG HWAN 123


SITE ANALYSIS

CONCEPT (SCENARIO)

Today, the land of the East-Seoul terminal consists of 22,000sqm (73% use of land) area for parking and outdoor program. And 27% is full of terminal building. Terminal is occupied by 1,200 buses and 30,000 to 70,000 people per day in average. For over 20 years, terminal facilities are underdeveloped and have not enough places to seat and wait compared to the number of users. Bus circulation is inefficient. Buses go into parking lot or departure space after stop in arrival space and come out. And parking lots are full of the buses and not used for people. Terminal looks like an island because of wide parking lots, surrounding roads, and arrangement of terminal building. People move into only arrival space and surrounding roads and parking spaces are abandoned.

#1 Terminal program is lifted up. One side terminal building can change to be alive if terminal program spreads out all over the land. #2 Bus circulation and outdoor program is under the waiting space. Speedy bus circulation involve departure, arrival and maintenance space. So waiting space can have large space. It is efficient. #3 Going up, space for meditating and thinking appears.

PHENOMENON People from the subway use only 1st floor space of terminal. They buy ticket and something to eat. And then, sitting down and watching TV. People who didn’t eat food enter restaurant. When the departure time is coming, inside people are standing up to go departure space. Buses are disappearing. Observing gesture of waiting people, people are waiting 10 minutes to 1 hour long. They are thinking and meditating idea of other city. So terminal can change into thinking space or resting place?

PLAN & SECTION STRATEGY Departure, Arrival, Maintenance, and Parking lots are efficient if it is one circulation. At ground level, car access and people circulation naturally works. Indoor space mass of terminal is lifted up. People are going up to waiting space for ticketing and waiting. Because terminal mass has park and resting place, waiting space makes comfortable. People can go up silent place naturally. And they can meditate in silent space before taking on the bus. For taking on the bus they go down departure space.

Terminal is standing up like a wall.

124

KIM, DONG HWAN 125


Site Analysis

Sketch

Master Plan

Section 2

Section 1

126

KIM, DONG HWAN 127


Thanks to. 동일, 예울, 신영, 주형, 현영, 진경, 소희 덕분에 졸업합니다. 불만 없이 무기한 밤새줘서 고마워^^ 졸업작품에 아낌없이 재정적 지원 해주신 부모님과 응원해준 친구 들, 가족들, 교수님, 감사합니다. 디자인 하는데 큰 도움을 주신 Bart 교수님 감사합니다. Thanks to prof.Bart for proceeding my project and English.

Section Model

128

Main Model

KIM, DONG HWAN 129


LAYERS OF TIME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Baek, Soo-Jin 백수진

New urban development context in Hongdae Can we remember a memory that we had experienced in the red brick house later? Instead of throwing old and backward thing away, can it coexist in a state-of-the-art time together? I expect that a way that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s in a place may make our life more plentiful and valuable.

ARCHITECTURAL REVIEW 2011

BAEK SOO JIN


ALTERNATIVE DEVELOPMENT

Article

Blocking of Developed buildings

CIRCUMSTANCE OF SEOUL Take a look at Seoul in year 2011. The city is full of gorgeous high-rise buildings, beautiful squares and green spaces are among them. The historical sites are also preserved owing to the government’s effort to revive the traditional cultu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truly co-existing. Let’s look at another side of the city. Small poor houses are on the stiff heel of Oksu-Dong, and in Hwoam-Dong the community is connected by seemingly endless alley and pocket spaces occupied by ‘Joungja(i.e. Korean bungalow)’. The city used to be with all these narrow road and small spaces that link communities. These days, however, these are disappearing due to the urban re-development. This is Seoul as well.

hall, indi-theater and design studio. Along the main streets, there is lots of well-designed architecture. Behind them, various buildings which has unique style could be found. These small buildings are originally houses and redeveloped into small spaces to accommodate such various programs. All these are creating the special ambience of Hongdae area and this is why people, regardless of sex and age, love the area. This unique and vintage atmosphere defines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area and this kind of co-existence could be a working solution for the city, Seoul where most old thing are being demolished.

Now the world is rapidly changing; everything becomes obsolete very fast. To have new things, old stuff has to be gone. Sticking with old time memory is not exactly a good idea in this era of change.

My body of mine is covered by functional outfits and my smart-phone is merely capable of everything. I drive a state-of-the-art car through the urban area. Sometimes, I feel like going to somewhere remind me of old and slow time, where rough but raw emotion is preserved. One of such places in Seoul is Hongdae area.

DEVELOPMENT PROCESS OF HONGDAE * Dongbu Gangnam Tower - www.kpf.com ** Oksu-Dong and Hwoam-Dong - www.naver.com *** Hongdae image - Copyright @Soojin, Baek **** Location - Research

132

‘Hongdae cultural district’ has its own identity amongst Seoul. This was undeveloped area in 1970s. This place became full of rich and creative culture thanks to young artists. There are not only commercial spaces, but also cultural spaces such as boutique, gallery, small concert

Hongdae area is located nearby the Hapjeoung station. According to the city regulation, it is classified as the second kind of residential zone. This enables the housings turning into small retail spaces. Mostly, the buildings have two to three story, each block is divided by small road meant for vehicles and pedestrians. As compared to other part of Seoul, the atmosphere isopen and loose; people can enjoy walking and looking around with pleasure. Owing to the context, Hongdae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not like other part of Seoul.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a different way of development that fits this local context. In neighborhood of Hapjeong station, a large urban development named ‘Hapjeong distict development’ is going on under the government’s lead. This area is a central transportation node and has easy access to Han river and famous green space. The area is also very close to some universities. Due to these reasons, high-rise buildings and well-arranged urban amenities are planned here. In the near future, this place will become a socalled ‘the newest city’ surrounding the Hongdae area.

Meanwhile, due to the Hapjeoung development and a rise of Hongdae’s value and prosperity, the urban territory of Hongdae would be extended more than now, however, which would be interrupted by the high-rise building and new urban amenity already made. If so, in order to keep the Hongdae’s own urban context, new layer which is similar with the existing scale and condition could overlap the old one. Also, a kind of transitional layer between the old and new layer would control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there. In the end, one similar to Hongdae area is to keep the context into the building. The overall size and scale will be defined by the other scale that is similar to Hapjeong area. These two keeps one’s own time and urban structure, yet shares the same purpose of creating new spatial qualit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m will establish new kind of urban development that keeps the old things together.

Small scale masses will be stacked on the site and will create a big yet porous complex of mass. The voids among them will make the building contrary to other similar size buildings. This void space will create road that connects not only inside and outside, but also each small spaces of various programs such as boutique, gallery cafe, craft studio and alternative housing for young artist. This void will become bridge, stairs, ramp and atrium among the splited and dispersed masses. These will make the small spaces ‘separate but together’. This will become very similar to the one could be found in urban area. This new kind of architecture will provide people with abundant space and humane relationship like community or association only here.

Extention of Hongdae urban context

Overlap on the existing layer

Extention + Blocking = Overlap

feel that time goes by. Also, the alley and architecture within human perception could provide abundant space and relation like community or association, which people see only here.

* Stack-up of urban layers - Mediation and understanding of old and new ** Urban development process

In common development starts on the ground with new thing, but it could do on the middle with coexisting old and new one. It could be an appropriate way for leading Hongdae to be developed with keeping this identity continually.

- New overlapping layer *** Void connection in a block **** Combination of era and city - Reflection of history and urban context ***** Collage - Change of era and urban development

POTENTIAL PREDICTION The 1970-80s old housing is not good architecture because it was built just for occupying lots of people who moved to this city at once, which spreaded every Seoul without regulation and rule. For that reason, it has been thrown away and replaced by new apartment in recent days under the ‘New town’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everywhere. In this current flow, we have been lost a part of our history rapidly. Approximately a couple of decades later Hongdae could be the only area we can see the red brick housing because the government designates is as the third culture district and plans to preserve this context. I ain’t insisting that it should be preserved, just hope to postpone the development and let us see and

BAEK, SOO JIN 133


DESIGN STRATEGY Once developed the project, these three strategie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keywords and main concept. Through them, concept or goal became clear and plentiful space is created.

b. In-between space

a. Layers

New layer

Bridge Connection

Stair Movement

Atrium Insertion

Ramp Weaving

As compared with mega-scale building, the existing urban fabric has splited and narrow inbetween space in a block. It can be seen potential alley which works as passage, circulation, or pocket square. In order to activate the existing level and make relation among layers, it has various types of architectural device.

Existing layer

Underground layer

c. Section composition Housing complex

Starting from the existing level on the ground we can see in common, the project leads to the concept related to accumulation of layers of which era and program is differnt. On the aspect of solving the problem at the existing urban fabric, the old one can be revised and renovated and become more priceless in this era due to the historical value. Then, new layer including advantage of the old urban fabric can be more valuable and special than common developed condition. Also, underground level and transitional level have each function and character here. In the end, the block pocesses various time, program, character, and story at once.

Tree town_ focucing of the center mass and center garden, various architecture is connected on the different layers and level. Also, among the detached masses green factor or space occupies here and there. Transitional Gesture Stack-up urban fabric on the similar but old one

134

Empty space

Space sharing

Sunken plaza

Integration

Since the architecture is created by accumulation, overall, old and old, old and new, or new and new layers have vertical relation. From setting new slab on the existing context to small-scaled architectural device, every part is developed through sectional composition. First, new slab becomes laid depending on the connection whether it is attached directly or detached from the existing with considering natural sunlight passage, circulation, and value of preservation. Next, program is orgarnized by vertical relation. Similar programs have commection, especially, spaces which have meaning of plaza is linked continually, and alternative residence has vertically private and public difference with sharing normal life pattern. Last, while renovating or activating dead space such as half-underground level or abandoned inbetween space, various extention or combination occurs and makes various and interesting multi-purpose space here. BAEK, SOO JIN 135


DRAWING

136

Basement Plan

2F Plan

3F Plan

4F Plan

5F Plan

6F Plan

BAEK, SOO JIN 137


IMAGE

@ Exhibition

Epilogue...

138

즐기며 할 수 있었던 졸업작품이었습니다. 어려움도 많았고 힘들었지만, 과정 속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기에 좋은 추억으로 간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함께 마음 써주고 큰 힘 되어준 ‘도우미’ 라 칭했던 친구들에게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BAEK, SOO JIN 139


G-GENERATION Bart Reuser Studio 5학년 바트 로이저 스튜디오 Chung, Jun-Oo 정준우

Urban farm in Nowon resource recovery In the apartment forest, urban farm can supply food and green space to residents. There are only obligatory parks in the apartment forest, so we would like to suggest experiential and productive green community. And we should co-exist with public service facilities like incineration plant in urban city. Furthemore using waste energy from crematory, we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refore suggesting urban farm in Nowon resource facility can be valuable.

ARCHITECTURAL REVIEW 2011

CHUNG JUN OO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trashes in urban life. However, people are hate unpleasant facilities like crematory near their apartment. Site is Nowon resource recovery located in apartment forest but it is like lonely island in urban city.

POPULATION Nowon 620,808

APARTMENTS Nowon 158,129

Gangseo 583,545 Gangnam 113,884 Songpa 676,580

Songpa 109,789

Seoul’s population is 10,464,000(2009) that occupying 20.1% of South Korean population. In Seoul, Songpa-gu’s population(676,580) is highest and Nowon-gu(620,808) is second district. Also, Seoul has 1,217,308 apartments and Nowon is most district that has 158,129 apartments. Compared with second and third district, Gangnam(113,884) and Songpa(109,789), Nowon’s apartments are extremely high.

142

Nowon resource recovery is incineration plant of this district. In the site, there is Nowon youth center that including pool, health club and auditorium. Also there is education center that can learn by observation. Next to the site, there is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that supply heating energy to residents. Between the site and Joongrang stream, there is dongbu expressway that having a lot of traffic. Public service facility for residents is considered unpleasant facility that they avoid. However, actually, these facilities are not damage to them.

CHUNG, JUN OO 143


SITE ANALYSIS

PROGRAM

Car

Bicycle

Pedestrian

Open space

Noise

View

Site condition

Zoning plan

Section

Main program is urban farm to make green community for residents. And we propose that urban farming can supply at least sanggye6-7dong’s people. So we draw a conclusion for cultivation area from statistics.

144

CHUNG, JUN OO 145


ENERGY STRATEGY

DESIGN PROCESS

-Energy flow_Nowon resource recovery

-Vehicle exhaust fumes_Dongbu expressway

Existing building - Youth center (Sports) - Environmental center (Edu)

-Bird habitat_Joongrang & Danghyunstream 쇠오리(auk) - 29.3% 참새(sparrow) - 18.7% 흰뺨검둥오리 (Spot-Billed Duck) - 10.1%

Make a farm vertically - Hydroponics - Market program on 1st floor

-Urban farming benefits + + + +

No weather-related crop failures due to droughts, pests Food is grown organically : no herbicides, pesticides creates sustainable environments for urban centers All food is produced locally

Connect 3 masses - Volume up environmental center building along its shape

Connect green - Farm, garden, courtyard, park, square

146

CHUNG, JUN OO 147


CULTIVATION TOWER

148

CHUNG, JUN OO 149


AFTER 10YEARS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Shin, Sang-Hyun 신상현

cohousing in Haebangchon 시대는 변화고 있다. 주거도 변화고 있다. 아파트 이후 주거는 어떤 모습일까?

ARCHITECTURAL REVIEW 2011

SHIN SANG HYUN


PROLOGUE.

SITE

사이트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2가동 일대 해방촌이라고 불리는 지역이다. 이지역은 남산과 용산 미군기지 사이에 놓여진 구릉지 지역으로서 도심 가까이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좋은 경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용산미군기지 이전과 과밀화, 낙후화, 주차난, 오 픈스페이스 부족 등으로 인해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서울시에서는 미군기지를 공원화 후 이지역을 남산과 용산 공 원을 잇는 녹지축으로 개발하려는 중이다.

ANALYSIS 대지면적 : 17000m² 제1종 일반 주거지역 법정 용적율 : 150% 법정 건폐율 : 60% 최고고도제한지구 : 3층이하, 12m 이하

우리나라는 해방과 6.25를 겪으며 도시 내 경사지를 중심으로 무허가 판자촌이 대거 형성되어 현재 서울시 전체 주거지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자생적 주거지는 도심 근교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고지대에 입지하여 경관이 좋으며 현지개량에 의해 주거환경이 개선되어 오면서 거주성, 친밀도가 대체로 높고 장소성을 간직하고 있는 도시주거지로 발전하였다.그러나 과밀화, 심각한 주차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부족 등의 문제로 주거환경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주거지들에 대해 주로 전 면철거방식에 의한 주거환경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주거문화가 파괴되고 주거지에 대한 귀속감, 편안함과 지역특성의 상실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자생적 주거지들도 전면 철거의 위험에 처해 있다. 주거지의 거주성, 장소성, 친밀도 등은 물리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오랜 시간의 거주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 는 것이므로 주거환경의 파괴, 급격한 변화가 있을시 유지되기 어렵다.

17000m2

1. 녹지축

125EA 1/136m2 1/1.88가구 1/5.63명

256가구 1 / 66.41m² 1 / 2.75명

700명 1 / 24.15m²

2. 북서향 경사

ISSUE.

3. 신흥시장

1. 통계청에 의하면 2010년 총가구의 45%가 1. 2인 가구이다. 또한 1. 2인 가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20년 후에는 총 가구의 반 이상을차지할 것으로 예 측된다. 고령화 시대가 다가오고, 독신인구가 증가하며 아이를 갖지 않고 살아가는 부부들 이 늘어나면서 1. 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 가한다는 것이다.

152

2. 기존의 아파트를 더 높은 아파트로 갈아 치우 는 재건축의 경우 기존 세대수와 입주 세대수 의 비율은 1 : 1.2 정도로 미미하다. 낡은 지역을 허물고 아파트를 신축하는 재개 발의 경우는 1 : 1로 차이가 거의 없다. 더 많 은 공간을 만들지만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지는 않는다.

3. 사회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등 장하고 그에 따른 노인, 가사, 보육, 안전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가구들의 주요 욕구로는 건강과, 편리, 안전, 즐거움, 소통이 나타난다. 이러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화, 엔터 테이먼트화, 커뮤니티화 등의 트렌드가 나타 날 것으로 예상된다.

SHIN, SANG HYUN 153


CONCEPT Concept

더이상 아파트는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짓는 집이 아니다. 더 많은 사람에게 집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가진자들이 더많은 공간을 가지기 위한 욕구이다. 하 지만 시대는 변하고 있다. 나는 아파트같은 고층 저밀 의 주거가 아닌 저층고밀의 주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Condition

bedroom bathroom commun kitchen commun restaurant commun laundry commun workplace storage guest room

COHOUSING

Level 1

Level 2 Level 3

hobby room convenience store weight room office assembly hall library lounge youth facilities senior citizens center child care center Market

기존의 일반 주택이 지닌 고립성과 비효율성을 개선하기위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유공간을 두고 새로운 삶의 형태, 즉 자녀를 가까이 두고 식사준비, 탁아, 세탁 등과 같은 일상적인 가사를 이 웃과 협력하여 해결할 수 있는 주거형태를 구성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미 덴마크의 주거유형에서 이 러한 공동체적인 단지는 3%를 차지하며 새로 짓는 주거 단지의 10%는 이러한 공동제적인 생활이 가능한 주거유형이다.

PROGRAMING Level 4

154

SHIN, SANG HYUN 155


SITE ANALYSIS & LANDSCAPE

Structure system

Fire egress

Mechanical system

156

plan 1F

SHIN, SANG HYUN 157


Thanks to 아리, 정진, 박진, 상미, 찬수, 우람!!

158

SHIN, SANG HYUN 159


다문화에 관한 이슈로 부터 시작한 프로젝트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Park, Yong-Rim 박용림

서울의 다문화 지역이라는 부분을 조사하는 중에 구로구 가리봉동 일대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집단 지역에 대한 이슈를 보게 되었다. 예전의 구로단지의 노동자들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지금은 그곳은 가산디지털 단지라는 공장형 사무실이 들어서 있고 그 노동자의 자리는 외국에서 싼 노동력으로 들어온 조선족 사람들이 모여서 거주하고 있었다. 주변에 편리한 교통과 지하철 남부순환도로 구로고가 등이 연계되어 있으며 그래서 운송 물류 교통이 발달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곳은 개발 예정지로 기존에 살고 있던 조선족 마을은 사라지고 개발될 예정에 처해 있다고 한다. 나는 이곳에 기존에 만들어져 있던 동포시장과 연변거리에서 부터 이들의 삶을 다시 시작해 보고자 한다 기존에 시장 길 그리고 자생적으로 생겨난 상권이 이들의 삶을 말해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PA R K YONG RIM


SITE ANALYSIS

162

YAN-BIN STREET

DONG-PO MARKET

서울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다문화 지역들이 있었다

연변거리와 동포시장

그 중에서 가리봉동 이곳은 주로 경제 활동 중 힘들고 어려운 일력에 대한 수요를 외국의 싼 노동력으로 대체하기 위해서 집단으로 모여든 사람 조선족이 거주 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들의 삶의 패턴은 이른 아침 새벽이면 봉고차를 타고 공사 현장과 일터로 나가고 가게에 출근해서 일을 하는 등 일을 하고 돈을 벌어서 고국에 다시 돌아가거나 송금을 해 주는 것이 목적인 사람들이 주로 살고 있다

이들의 삶은 자생적으로 생겨나서 고국의 음식을 구할 수 있는 재래시장인 동포시장이 형성 되어 있다 주로 출퇴근 길에 항상 지나가는 길로 이국적인 음식과 식자재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연변거리라고 불리는 곳은 간판부터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이 거리를 걷다보면 한국인지 못 느낄 정도로 주변에 조선족들의 중국말이 들리고 길거리에 파는 음식또한 향기 또한 이국적인 중국 느낌이 나는 거리이다

PARK, YONG RIM 163


공동 샤워장 및 세탈실

수직코어 및 수직 덕트

수평 이동 데크 및 동선 수직코어 및 수직 덕트 PARKING PATH ROAD LANDSCAPE

VERTICAL CORE

주민 부대시설

상업 및 시장

단위 주거 내 화장실 공동 샤워장 및 세탈실

GROUND PLAN

1F PLAN

3F PLAN

수직 이동 계단 수직코어 및 수직 덕트 수평 이동 데크 및 동선

164

PARK, YONG RIM 165


COMMUNITY STREET SECTION

TOWER MASS CONCEPT

TOWER TYPE UNIT

CLUSTER MASS CONCEPT

TYPE A

DOMITORY TYPE UNIT TYPE B

TYPE C

MARKET STREET SECTION

166

PARK, YONG RIM 167


WITH MHG, KCW, NGT, PHS, KSI

168

PARK, YONG RIM 169


CHARNEL CHOCOLAT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Song, Ki-Tae 송기태

URBAN CHARNEL HOUSE “납골당이 괴물로 자라고 있다” 기존의 납골당의 경우 도심지 외각에 위치하여 산림, 경관을 훼손시킬 뿐 아니라 접근성 또한 낮아서 명절에만 사람이 몰리는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납골당을 도심지 내부로 끌어 들인다. 납골당의 위치는 도심지 내부 도시와 공원의 경계에 계획하여 공원의 경관을 충분히 끌어들이며 접근성 또한 높인다. 납골당 자체의 경건함과 위엄은 유지하며 도심지에서 위화감을 줄이기 위해 커다란 매스로 계획하되 그 매스를 땅 아래로 가라앉힌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SONG K I TA E


CHARNEL CHOCOLAT URBAN CHARNEL HOUSE SITE 대지 면적 건폐 면적 Program 납골단

서울시 용산구 남영동 108, 114번지 4244 ㎡ 998 ㎡ 도심형 납골당 2000기 수용 가능

장묘형태 중 매장의 경우 국토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 어 문제시 되고 있다. 묘지 한기당 면적은 일인당 주거면적 의 3배가량 된다.

ACCESSIBILITY

2001년 18%에서 2009년 65%로 전국적으로 화장률이 증 가하고 있고 점차 납골 공간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납골당의 경우 산림지역 혹은 관리지역에 위치함으로 서 경관과 산림을 훼손시키고 도심과는 거리가 있어 접근성 또한 떨어진다. 그러한 이유로 명절에 사람이 몰리게 되고 평소에는 이용객이 거의 없는 편이다.

SITUATION

현재 납골당은 죽은자들을 위한 공간이다.

CONSIDERATION 납골당의 필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시와 도심내 공원의 경계에 납골당을 계획한다. 또한 도심내에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통요건이 좋은 곳이어야 한다. - 용산구 남영동 108번지 114번지 (4224㎡) 납골당의 경우 경건하고 위엄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그러한 분위기가 외부에서도 느껴지면 안된다. 1 납골당의 경건한 분위기를 유지시키기 위해 커다란 하나의 덩어이로 계획한다. 2 납골당이 근처 도심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여 땅 밑으로 어느 정도 가라앉힌다. 3 외부에서 느껴지는 납골당의 스케일은 지상 2층 정도의 높이로 한다. 4 납골당에 접근할 수록 납골당의 본 모습이 나타나게 한다. 5 납골당 내부에서는 위엄을 느낄 수 있게 한다.

172

SONG, KI TAE 173


가라앉은 납골당 주위로 sunken을 만들어 광정의 역할을 하게 한다. 빛은 sunken으로 들어와 산란 되어 납골당 내부로 스며든다. 또한 내부의 커다란 중정을 둬서 가라앉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어 둠을 상쇄 시킨다.

DELICACY

기존의 납골단은 납골실 안에 많은양의 납골단이 층층이 쌓여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 기존의 창고같 은 이미지를 벗고 접근성을 높이고 경건한 이미지를 주기 위하여 커다란 공간에 벽을 두르고 한 공 간 안에 벽식 납골단을 구성하였다. 면적대비 적은 수인 2000기 가량 수용이 가능하다.

174

SONG, KI TAE 175


176

SONG, KI TAE 177


납골당은 죽은자를 위한 공간이 아니다. 산자를 위한 공간이다. 하지만 기존의 납골당은 온전히 죽은자를 위한 공간이다. 산자가 죽은자를 기리기 위해 납골당을 찾는다. 이때 산자는 죽은자에게서 마음의 평안을 느낄 가능성이 적다. 바쁘다. 이는 접근성이 낮은 납골당의 가장 큰 문제이다. 하지만 도심지에 납골당이 위치한다면 고인을 찾는 주기가 짧아질 것이라 예상한다. 이는 곧 산자들이 편하게 납골당을 찾을 수 있고 자주 방문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그렇게 된다면 산자들은 죽은자들을 찾음으로서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다. 비로소 납골당이 산자를 위한 공간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납골당은 죽은자들이 만들어주는 산자들의 공간이다.

178

SONG, KI TAE 179


LIVING AS LIVED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Lee, Han-Bin 이한빈

Comercial building in Chung-gye stream area 청계천 8가는 기존에 많은 건설자재거래상과 야적장을 포함한 지역이다. 최근 왕십리 뉴타운 재개발의 issue 로 인해 급격한 변화를 맞이 할 상황에 처해있다. 자본의 논리속에서 이 지역이 원래 도시속에서의 사고 있던 역할을 잘 수행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자 이 프로 젝트를 시작했다. 그러한 상황속에 성북천의 공원화로 인한 또 한 켜의 layer가 더해지면서 더욱 다양한 요구가 생겼다. 상업건물에서 어떻게 저층을 비워낼 합리성을 찾아내고, 저층을 비워내 소실된 경제적 가치를 어떻게 상층부에 부여할 거인가. 일괄적인 상업건물의 동선에서 벗어나 어떻게 다양하고 지루하지 않은 장면을 만들어내고, 사람들로 하여금 건물을 즐길 수 있게 할 것인가. 등의 문제들에 대해 제안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LEE HAN BIN


SUBJECT AND SITE

CONCEPT Change mind!! We can see Different issues stand in same way

Simple Circulation Arrange

Hard to choose way to go Radical development started

Existing life is challenged

Contact with stream side

Construction meterial markets

Open-air storage yard

Complex circulation Push&Pull

Address :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 92-48, 49, 50, 51, 52, 53 2종 근린생활 시설지역 Maximize floor area : 16630 M2(250%) Existing program : Construction meterial market Open-air storage yard

High accessibility Open

청걔천 8가의 장소성과 주변에서 진행되는 개발의 요구, 청계천과 성북천을 중심으로한 여가의 흐름 등의 가치가 상충되는 속에서 어떠한 건축행위가 서로다른 요구를 충족시킬것인가 Web Connect

182

LEE, HAN BIN 183


DRAWINGS

B1 plan

1F plan

2F plan

3F plan

4F plan

5F plan

Section A-A’ 184

LEE, HAN BIN 185


PROGRAM

요구되는 프로그램들을 나열하기 보다는 오히려 섞어줌으로써 소통의 가능성이 생겨나고 그로인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 할 수 있다.

186

LEE, HAN BIN 187


IMAGES

중앙의 야적장이 일반적인 중정에서는볼 수 없는 역동적인 장면과 동선의 흐름을 만들도록 했다. 동선의 다양성으로 인해 방문자들은 여러번 오더라도 새로운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188

LEE, HAN BIN 189


INTEGRATE ; THE FLOW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Yang, Jeong-Won 양정원

Urban Meeting Place 도시의 상부 뿐만 아니라 지하 구조에는 도시를 작동하게 만드는 많은 작동장치가 존재한다. 이 작동장치는 도시를 살아 있게 만드는 동시에 많은 흐름을 생산하고, 이런 많은 흐름들은 도시 상부와 마찬가지로 역동적이고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도시의 표피 위, 아래로 흐르는 다양한 흐름들이 교차하고 만나는 곳에서, 적극적이고 공간적인 소통 방식으로 새로운 차원의 도시공간을 창출할수 있는 가능성은 없을까? 이런 흐름들이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장소 중에서 동교동 삼거리 공항철도 홍대입구역에서 그 방법에 대해서 고민했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YA N G JEONG WON


MACRO-CONDITION

PARTI DRAWING Flow #1 Velocity : 0.5 ~ 1.2 m/s Elevation : Ground Lv. Range :

Locality map

Flow #4

Keyword : Indie Culture, Entertainment, Food, Pub..

Flow #3 Velocity : 20 ~ 80 km/s Elevation : G.L. -20000mm Range :

Airport Line map Keyword : Tourist , Travel, Expectiation

Flow #2

SITE HISTORY

Velocity : 0.5 ~ 1 m/s Elevation : Ground Lv. Range :

대상지는 도시의 다른 어느 곳보다도 다양한 흐름이 지나가는 곳이지만, 기존의 흐름을 조 직하는 공간구조는 흐름을 기능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기계적인 처리 방식일 뿐이다. 도시의 흐름은 단순한 물리적 입자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특징과 개성을 가진 개인의 움 직임이다. 따라서 기존의 공간조직에 각각의 흐름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동시에, 도시적 이고 우연적인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공간을 계획해준다. Before Construction

Under Construction

Opening; New flows is produced

Urban green spaces Keyword : Leisure, Sports, Rest, Composure

Flow #4

New Green Space will be planed

Velocity : 20 ~ 80 km/s Elevation : G.L. -5,800mm, -20,000mm Range :

Metro Subway map Keyword : Daily life..70,000,000/year...

192

YANG, JEONG WON 193


New Flow sequences

New landscape-path

New Subway Environment

New Terminal space

새롭게 조직된 공간들은 기족의 수평적이고, 일률적인 흐름의 방식, 공간 환경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꿔준다.

Interface design

Interface Space

Access Type Gallery Jounal Room Information Room Charge Room Tee Terrace Interactive Display Reading room Perfoming space Rental room Temporary Display

Existing condition

새로운 판들은 필요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담고 있고, 그런 판들에 접근하는 건축적인 방식의 다양 화를 통해서 흐름의 템포를 조절해주고 이벤트를 생성해준다.

Proposal

194

YANG, JEONG WON 195


SITE PLAN

FLOOR PLAN

Location: Dong-Gyo Dong, Ma-po gu, Seoul, Korea Program: Backpackers & Business Hotel, Urban Airport Terminal, Commercial program Site Area: 5,342m2 Building Coverage: 4,448m2 (82%) Floor Area: 42,034m2 (780%) Floor : b5 ~ 23 Structure system: Steel Reinforced Concrete+ Rahmen structure system Cladding system: Base panel+ Double glazed glass panel

Section 196

YANG, JEONG WON 197


198

YANG, JEONG WON 199


QUESTION . W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Kim, Hyo-Jin 김효진

Lower space renovation with plan for pedestrian jam in Gang-nam station Exit No.3 강남역3번 출구로 나와서 가로를 걷다보면 흔히 느낄 수 있는 풍경이다.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긴 줄을 늘어뜨려 서있고 이 가로를 걷는 사람들에게 이줄은 하나의 장벽으로 존재한다. 지나가기 위해서는 이 장벽을 피하거나 빼곡하게 늘어선 줄을 돌파해서 걸어야한다. 이런 과정중에서 보행자들 사이에서는 충돌이 생겨나고 나는 이것을 pedestrian jam이라고 명명한다. 1960년대 이후 서울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그에 따라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현재는 더 이상 이들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그에 따라 서울 주변에는 신도시들이 생겨나게 되고 서울과 신도시를 잇는 교통이 발달하게 되었다. 강남은 수도권 신도시와 서울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문으로 자리 잡았고, 지금의 강남역 3번 출구의 모습을 연출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서울과 지방을 연결하기 위한 관문으로 터미널이라는 거대한 규모의 도시기반시설이 있었다면, 현재의 강남은 기존 서울의 부도심의 위치에서 용인, 인천, 수원, 분당을 아우르는 거대 생활영역에서 새로운 도심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시 현상으로 돌아와서 이러한 줄은 왜 생겨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들은 어떻게 건축적으로 해소 될 것인가? pedestrian jam이 발생하는 원인은 첫 번째로 버스의 배차간격으로 설명할 수 있다. 광역버스, 마을버스 등의 도심형 버스가 배차간격이 5~20분인 사이인 반면 도심을 벗어나는 버스들의 배차간격은 20~60분까지 최대 10배 이상의 배차간격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로 이 거리에는 버스정류소가 노선별로 나뉘어 깃발 하나로 정의 되고 있지만 현재 버스 중앙차선에서 실시되고 있는 버스 시간에대한 정보는 전혀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람들은 언제 올 지도모르는 자신의 행선지의 노선버스를 하염없이 기다리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적인 원인으로 -예를 들면 추위나 더위 등의- 사람들은 기다리는 공간을 찾게 된다. 현상에 대한 원인은 단순 하지만 단순한 문제를 배차간격을 늘리고 버스시간의 정보제공 만으로는 해소 할 수 없는 것이, 앞서 언급했듯 이곳이 터미널의 기능을 분산하고 있고 앞으로 이러한 needs는 점점 더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안이 필요한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나는 가로에서 발생하는 pedestrian jam을 낮추고 기다리는 시간, 공간을 하나의 문화로 만드는 작업을 건축적 그리고 도시적인 언어로 표현하고자 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HYO JIN


BACKGROUND OF GANG_NAM DEVELOPMENT

SITE ANALYSIS

PEDESTRIAN TRAFFIC JAM

SCALE MODULE

URBAN SCALE INTERPRETATION AND COMBINATION OF LOWER LEVEL ISSUE

SITE SECTION

202

KIM, HYO JIN 203


EXISTING PROGRAM

DESIGN CONCEPT NEW BUILDING

RENOVATION

PROCESS

MAKE VOID

STRATEGY OF VOID

PEDESTRIAN TYPE AND PROGRAM TYPE

CONNECTING LOW LEVEL

CONNECTING DIVERSE SECTION

USE OF REGULATION FOR SHARE LOWER LEVEL

TIMELINE RESEARCH

USE OF UNDERGROUND EXISTING BUILDING DRAWINGS

PODIUM OR ARCADE FOR CONNECTION

204

KIM, HYO JIN 205


STUDY MODEL

CONNECTION VERTICAL MOVEMENT AND OPEN MASS

RENOVATION STRATEGY

ORIGINAL BUILDING

DIVIDE AND CUT OFF THE SPACE INACTIVE MASS EMPTY SPACE HIGH COST AND ACTIVE MASS

ORIGINAL ORDER LV.O TO NEW LV.O

INSERT THE PATH RENOVATION AND NEW BUILDING

EXPAND SUPERFICIAL CONNECT AND CRACK

CRACK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PROCESS OF REARRANGEMENT FOR LOWER SPACE

LOW LEVEL STRATEGY_SUPERFICIAL

PULL THE MASS

PUSH THE MASS

CUT THE MASS

_EXPOSE THE HIDDEN MASS

_EXPEND THE SUPERFICIAL

_CONNECT THE VERTICAL MOVEMENT AND FLOW

TYPE OF USER

ELEVATION STRATEGY SOLID ELEVATION

NEW BUILDING STRATEGY

VOID AND GLASS ELEVATION

PROGRAM MAP

206

KIM, HYO JIN 207


NEW BUILDING DRAWINGS

DEMOLATION PLAN

MASTER PLAN LOWER SPACE PLAN

ALIGN SECTION

Thanks to 항상 믿어주는 가족들, 한학기동안 지도해주신 김창균 선생님, 마지막까지 응원해준 우리 도우미들 선희, 휘취, 민규, 정빈, 덕유 같이 고생한 졸업동기들 마지막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할수 있는 원동력이 된 9 208

KIM, HYO JIN 209


M-SPACE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Shin, Na-Rae 신나래

Me-ism space service ; The curious incident of M-space in Sinchon Issue & Theme 1. 도시에서 유일한 나의, 또는 우리의 공간인 집은 여러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더불어 점점 잠만 자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그에 맞게 집의 물리적 크기도 점점 최소화되고 집 본연의 기능들도 가장 기본적인 것만 남아있다. 을 찾기 시작한다. 2. 사회가 계속 복잡해지고 발달할 수록 사람들은 더더욱‘내 것’ 나를 위한, 나만의, 맞춤형 물건, 서비스 등등. 그렇다면 나의 공간은 어디있는 것일까? 3. 요즘 사람들은 나를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 꺼리지않고 적극적이다. 원하는 내 모습을 타인에게 노출시키고 그 모습으로 다른이들과 소통을 한다. 또한 그 것이 가상에서든지 현실에서든지 바쁜 생활로 인해 사람들은 타인에게 그다지 관심없는 듯하지만 타인의 생활을 보고싶어하는 심리는 여전하다.

사회에서 유일한 나의 공간인 집은 크기에서든지 기능에서든지 최소화된 가운데 그렇다면 나의 생활을 담을 수 있는 나의 공간 (Self storage)은 어떤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을까? 집의 최소화로 인해 빠져나온 기능들(Work, Study, Rest)은 도시 곳곳에 흩뿌려져 있거나 또는 장소가 없기도 하다. 이렇게 산재하고 있는 기능들이 하나의 집합체로 모이는 M-space에서는 각각의 공간, 그 이상의 α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나의 공간은 내 생활을 담고 나를 어필(appeal)하는 공간이 될 것이며, 집이 잠만 자는 곳으로 변하여 잃어버렸던 다른 기능들을 Play할 수 있고 관심있는 Interest-er들에겐 그 자체가 전시가 되어 들여다볼 수 있는 공간이며 함께할 수도 있는 공간이다..

나의 생활을 하는 나의 공간 (Me-ism space)이 사람들을 작은 집 밖으로 꺼내어 새로운 Community를 만들어 줄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그러한 Me-ism space service를 받는 개개인들이 서로 이웃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SHIN NA RAE


MOTIVE

1970년 말에 탄생한 워크맨은 20세기 말까지 전세계를 강타했다. 워크맨이 세계의 젊은이들에게 미이즘이라는 새로운 소망을 심어주었 기 때문이다. 워크맨으로 인해 도시는 이미 시각공간이 아니라 청각 공간으로 바뀌고 하나의 집단 공간안에서도 나만의 밀실 공간을 확보 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나의 공간을 가진다는 것, 즉 여기서 드러난 현대인들의 미이즘은 이미 현대 사회의 뚜렷한 특징이다. 이미 서점에서는 자기계발서가 항상 베스트 셀러에 포함되어 있고 개인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와 SNS 역시 미이즘(MEism)을 가진 현상 이다. 그렇다면 이 시대의 미이즘은 물리적 공간에는 어떤 방향으로 반영되고 이해될 수 있을까?

Do you know Sony Walkman? 도시는 이미 시각공간이 아니라 청각 공간으로 바뀌고, 하나의 집단 공간 안에서도 나만의 밀실공간을 새롭게 확보한다. -‘Global Marketing’ 中

REALITY Populaion per household

DEMAND&SUPPLY TRANSITION OF THE HOME Demand & Supply

Basic Space

Optional Space

SITE STORY & MASS

Composition of Home

Site Research Han - river

Subway line 2

Green space

Subway line 6

University

Airport railroad

Road

Gyengui railroad

Specialized street

The past waterway

늘어나는 1~2인 가구로 인해 compact한 거주공간의 수요와 공급이 증가.

ME-ISM WAY

A. Barrier

Social Network Service

NEEDS Change of the home - Minimize the size

Living space

TRANSITION OF COMMUNICATION

B. Modularization

낮은 담장. 자연스러운 소통 Primitive

층층이 쌓이는아파트. 소통부재 Modern

보려는 욕구와 보여주고 싶은 심리 Contemporary

TRANSITION OF LIFE STYLE Private space

한국의 1인당 주거면적은 선진국의 30~60% 수준에 불과. 경제적 소득이 높아질수록거주공간에 대한 니 즈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Primitive

CONCEPT STORY

I’m Home. Now, I’m too small.

212

Public space & Water space

C. Public Path passing

Pieces of home’s function sprayed all over the city.

Staying times at home Modern

Contemporary

Gather pieces of function. This work is great dipper containing α

D. Module crack

E. Public Void by road & park

F. Public of tree & M-space

SHIN, NA RAE 213


METHOD

COMPOSITION SYSTEM OF PROGRAM (EXAMPLE)

CONCEPT SECTION & PROGRAM

Composition of space Home

Height of unit story

Conceptual program unit

Character of walls

Position of windows

FUNCTION OF BASIC HOME

PROGRAM

214

SHIN, NA RAE 215


Basic Module of M-space

CUSTOMIZED PROGRAM MODULE Private

Relation of mass Semi-public

Height

Music zone

Work zone

Practical room (Music)

Work zone 1 person CEO

Meetiong room

Ensemble

Water & bodycare zone

1p spa Study zone

Squash

1~2p Library

Co-library

Shelves

Art zone

1 lane swimming pool

Fine art

Garden & Self restaurant zone

Garden

Mass & Public path

Self snack bar

Party place

Scultpure Public zone

Craft & Pottery

Design studio

216

Basketball court

Badminton court

Media zone Public library Self storage Retail (Laundry, Convenience store etc.) SHIN, NA RAE 217


Phase 2

Phase 3

Phase 4

Phase 5

Phase 6

Phase 7

Master Plan (GL. Phase 1)

218

SHIN, NA RAE 219


URBAN NARRATION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Jung, Yun-Geum 정윤금

Insadong mediatheque 종로는 오랜시간 서울의 중심부 역할을 하면서, 각 시대에 요구되는 기능에 맞게 변화해 왔다.

쉬이 종로를 업무, 상업, 문화지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듯이, 그 도시 조직 또한 그 기능에 맞춰 거대블럭, 중소규모 빌딩, 소규모 한옥들 그리고 대로와 자잘한 골목길들이 얽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로의 도시 조직이 그 장소의 시간과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 얼핏 보면 현대와 과거의 조화라고 볼 수 있겠지만, 좀 더 들여다 보면 도시조직 간 부정교합과 도시이용자 세대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나는 단절을 볼수 있다. 그들은 서로 각각의 영역을 지키며 공유할 공간을 갖지 못한다.(어르신들만의 파라다이스 파고다^^;) 그 이용자들의 경계, 도시의 경계 지점에 그들을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로 미디어 테크를 제안한다.

미디어테크에서 이용자들은 그들 스스로 하나의 미디어가 된다. 건물은 싸이트 주변에 자리 잡고있는 요소(인사동길, 낙원상가, 종로, 피맛길, 한옥, 교회, 탑골공원) 들을 담아내면서 현재시간으로 도시의 역사를 보여주는 건물 자체로서 미디어적인 역할을 한다.

1층부에 인사동길과 피맛길 그리고 뒤쪽 골몰을 연결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이 곳에서 미디어테크 이용자들간 시선적인 교류가 일어나며 그들 스스로 인적미디어가 된다. 1층부 확장된 골목길은 폭이 좁아고, 건물을 잘개 쪼개며 상층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보이드는 싸이트 주변요소를 담아낸다. 미디어테크의 프로그램들은 공연장에서 미술관으로, 미술관에서 외부데크로, 데크에서 아트리움으로, 아트리움에서 어린이 도서관으로, 도서관에서 카페로, 카페에서 개가열람실로, 개가열람실에서 중앙 홀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JUNG YUN GEUM


... IN URBAN NARRATION ...

SITE CONCEPT

HELL~!

IT’S GREAT

Urban tissue is changed by need of time. It frequently tore and replaced with new and bigger one. Jong no is the place that kind of things happen a lot. Various urban tissue is accumulated by the time. At first glance it can be looked as a harmony. But in reality, there are separations between urban, users, accumlated urban tissue.

222

JUNG, YUN GEUM 223


Mike(man in the picture) walks toward a cafe in 4th floor. On the path he can see hidden urban tissue where in opposite side of insadong-gil. Every single surrounding scenes work as a media in this mediatheque I’d like to adjust features of back alley in jong no.( actually it is hidden, some people even don’t know its existence). At a time I also want to reflect current memory, as a hidden park. So I give borad-none barrier space on the ground floor which anyone can stay in comfort.

EAST SIDE ELEVATION

WEST SIDE ELEVATION

224

JUNG, YUN GEUM 225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10 대지면적 : 2412 건폐율 : 63% 용적률 : 266%

226

JUNG, YUN GEUM 227


MODEL

228

JUNG, YUN GEUM 229


INFRA STRUCTURE - HUB Kim, Chang-Gyun Studio 5학년 김창균 스튜디오 Kim, Kyung-Wan 김경완

How can the structure of existing urban areas play a strong role? 우리 나라의 도시공간은 산업적 발전을 우선시하는 개발 형태로 이루어졌다 도시공간은 작은 조직에서 시작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해야하지만 경제 개발이 최우성이였던 서울은 대규모 기반시설들이 작은도시 조직에도 침투하여 새로운 경계들을 만들어갔다.

동부이촌동은 서울 한강변의 대표적인 주거지 이다. 또한 서울의 중심이라는 지역적 특징때문에 다양한 인프라 스트럭쳐로 둘러쌓여진 공간이기도 하다. 본사이트는 동부이촌동 지역의 중심에 위치한 동작대교북단의 교량끝부분이다. 이 교량은 주요 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하철 4호선이 통행하는 중요한 인프라 트럭쳐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구조물들이 도시조직의 중앙에 위치하여 도시 조직의 충돌을 야기하며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서울녹지축의 중심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용산 반환등의 사회적 변화 또한 앞두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에 도시조직의 중앙에 위치한 인프라 스트럭쳐를 이용하여 물리적, 프로그램적 단절을 이어주는 주민 복합시설을 제안합니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KIM K Y U N G WA N


QUESTION

INFRASTRUCTURE- MODERN RELICS 현대 도시에서 인프라 스트럭쳐는 어떤 의미인가? 인프라 스트럭쳐는 유형적 사회기반으로 현재의 도시형성의 축이다 건축물 이전 근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담당한 것만으로 중요한 현대유물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큰 규모와 순응을 강조하는 거대구조물인 인프라 스트럭 쳐는 변화와 진화 과정없이 지어지고 또 철거 되고 있다. 이렇게 지어진 인프라 스트럭쳐들은 도시공간에 경계를 새롭게 만들어 나가며 도시를 파편화 시키고 단절시킨다.

HOW TO REMEMBER MORDERN RELICS?

IS IT RIGHT?

1971~2002

232

2003

2004~2005

2005~

KIM, KYUNG WAN 233


INTRUDE AND CONNECT

COVER THE NEW SLAB

CULTURAL AMENITIES

SITE POTENTIAL

STRATEGY FLOW BETWEEN W-E CREATE LOCAL CENTER TO RECONNECT THE BLOCKED NEIGHBORHOODS BY THE BRIDGE

FLOW BETWEEN N-S CONNECT THE NEIGHBORHOOD TO THE GREEN SPACE

GOAL

PROGRAM

234

KIM, KYUNG WAN 235


MASTER PLAN

236

KIM, KYUNG WAN 237


section a-a′

section b-b′

long section

elevation

238

KIM, KYUNG WAN 239


ABOVE THE MYUNG-DONG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Ahn, Seok-Jin 안석진

기존 건물의 버려진 옥상공간과 공중권을 활욜한 새로운 개발방식 제안 우리나라 최고의 상권을 이루고 있는 명동은 하루 유동인구만 200만명이 넘고 외국인 관광객의 수는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물들이 지어진지 오래되어 그 규모가 작아 명동 전체의 밀도는 높지 않다. 또한 높은 지가로 인하여 공공을 위한 Public Space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은 명동의 전체적인 Commercial Dendity와 Public Density를 높여주는 작업이었다.

기존건물의 버려진 옥상공간을 활용하여 Public Space를 조성하고, 그 위로 새로운 상업시설을 층축하여 수직적인 확장을 계획하였다. 기존 건물위에 지어지는 새로운 Volume은 내부의 Mega Truss와 입면부의 새로운 구조물로 기존건물에 하중의 부담을 피하였으며, 기존 건물의 패턴에 따라 배치되었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AHN SEOK JIN


CENTRAL COMMERCIAL DISTRICT

LIMIT ON HORIZONTAL EXPANSION

DESIGN CONCEPT

ROOF USE

EXPENSIVE LAND VALUE

PUBLIC SPACE URBAN FABRIC

SITE

Low-rise Building / Small Scale Building

242

AHN, SEOK JIN 243


STRCTURE

STRUCTURE / ELEVATION

LAND USE

ENTRANCE

4F PLAN

244

AHN, SEOK JIN 245


6F PLAN

246

7F PLAN

8F PLAN

9F PLAN

AHN, SEOK JIN 247


Section

10F PLAN

248

AHN, SEOK JIN 249


RETURN TO THE PUBLIC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Moon, Shin-Hong 문신홍

공공기관을 통한 지역성확보 및 무분별한 확장제어 역사적, 시간적 기억의 누적 인사동과 북촌이 만나는 지점으로서의 흐름 연결 조선시대부터 이어져온 역사적 기억의 누적과 생활상이 광복과 동시에 미국대사관 직원을 위한 숙소로서 규정됨에 따라 단절점으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2000년대 들어서 역사적 중요도가 대두되고 시민들의 정체성을 향한 바램이 집적되어가면서 이 땅은 대중에게 돌아올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고, 이는 사적 기업의 판단에 따라 대중의 평가를 받을 기회에 놓이게 되었다. 그에 따라 삼성의 현대미술관 계획, 대한한공의 한옥호텔과 같은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사업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 고도제한 및 교육환경 저해와 같은 법적 문제 등으로 인해 연기되거나 무산되기에 이른다.

작년 가을에 있었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건축가 출신의 김영종씨가 종로구청장에 당선되고 이 부지와 현 구청사의 부지를 맞바꾸자는 제안이 나오게 되었다. 물론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공공적 기능의 절대체인 공공기관이 어필하는 공공성과 상업적 기능을 수반하게 될 현 부지의 현실성을 감안할 때 이 둘의 균형점에서 보다 효과적인 건축적 해결법이 나올 것이라 기대하게 되었고, 이에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MOON SHIN HONG


TAKE A STEP 구청이라는 관공서와 동시에 주변의 컨텍스트와 대응하는 스케일, 프로그램을 주축으로하는 주요 축을 가운데 길을 중심으로배열함으로서 인사동길과 북촌길의 자연스런 연결과 동시에 성큰광장, 램프를 통한 공중 shop들로 다이나믹한 공간을 구성한다.

site

Surroundings

Green

Issues

existing formet

Accept the line

Magnetic Effects

Correspond to each others

Density

WHAT IS THE MAGNETIC EFFECTS? Utility Restaurant & Cafe Work

Public

Shop(Fashion & goods) Galleries

Second home

Regional character Boundary :

Before

After

CRITICAL POINT

Services

대지로 접근함에 있어 여러가지 루트가 존재한다. 특히 주요 접근로로 예상되는 인사동길의 연장선에서는 구청이라는 관공서가 직접적으 로 노출되기보다는 지역적스케일의 연장선으로서 인식됨과 동시에 유사 프로그램들이 존재함으로서 무의식적인 흐름으로서 느껴지길 바 랬다. 따라서 구청이라는 거대매스타입과 주요 동선 사이에 작은 볼륨들을 구성함으로서 시각적인 안정감과 즐거움을 주려하였다. 또한 대지 경계부의 거대매스와 작은 매스 사이에는 중정과 보이드 공간을 삽입하여 버퍼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공간적 여유 및 분리를 하여 인접했을 경우의 이질감을 최소화함을 목표로 하였다.

252

MOON, SHIN HONG 253


4F Office Restaurant

SECTIONAL PROGRAMS 3F Office Education

2F Office Shops, Gallery Performance 1F Office Library, Info. Center, Museum Shops, Gallery Performance B1

Main Entrance to Institution

Library Food Court Sports Complex B2

Main street

Parking

West Elevation

254

South Elevation

MOON, SHIN HONG 255


6m 계획도로

8m 기존도로

8m 계획도로

30m 기존도로

Section

256

Section

MOON, SHIN HONG 257


Project. RETURN TO THE PUBLIC Design Director. 문신홍 Designer. 김인수 & 노현우 Constructor. 허재혁 & 김영실 & 이승하 Construction Supervisor. 이현선 Design & Construction Supporter. 곽효우 & 필승남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준 후배학우여러분들의 아낌없던 지원과 열정에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에 무사히 끝냈습니다~^^

258

MOON, SHIN HONG 259


1=1+1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Jeon, Su-Jin 전수진

프로젝트 : 도서관 + 소규모 오피스 대지위치 : 용산구 남영동 98번지 일대 지구 / 지역 : 남영동 상업업무지구/ 상업지역 대지면적 : 4440 M2 건폐율 : 78% (60% -> 80%) 용적률 : 500% (기준 500%, 허용700%) 건축규모 : 지상 13층, 지하 5층 주차장 : 141대, (장애인 주차 9대) 구조 : 철골 콘크리트 외장재 : 벽돌, 유리

ARCHITECTURAL REVIEW 2011

JEON SU JIN


도심과 부도심 용산. 그리고 남영

3

5

7

공공 도서관 이용 집단별 분석

6

도서관 1관당 인구수

주요 도로, 철도, 녹지 시설

4

용산구 상업지구 용산 제 1종지구단

용산구 주간인구지수

서울시 주요 발전 계획 1도심, 5도심, 4대

무가치한 공간을 지나는 터널 이펙트 262

2

남영역 지하철 이용자수

1

근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이 몸으로 체득하는 시공간의 경험을 넘어선 압축된 시공간을 경험하게 해준다는 말이다. 이는 곧 도시의 경험변화에 직결되는데, 속도에 의한 시간 압축은 연결되는 지역들의 소위‘가치있는’공간 이외의 통 과공간들은 인식상에서 지워지는 터널 이펙트 TUNNELE EFFECT 를 야기하게 된다. 문제는 이렇게 터널 이펙트에 의해‘지워지는’ 공간은 대부분 초기 근대화 시절의 구식 공 간이며, 지방조직이 살아있으나 자본이 떠나간 공간들이다. 이렇게 애초부터 시공간의 압축은 지리적, 공간적 불평등을 안고 있는 것이다. 데이빗 하비 David Harvey

1

2

부도심은 도심에 대한 과집적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 어 진다. 그렇기 때문에 주요 기능도 도심의 혼잡을 해소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심과 용산의 확장에 의해 두 지역이 통합될 때 그러한 기능은 상실하게 된다. 특히 남영 일대를 흡수하게 됨으로 그 지역성을 빼앗는 것은 가장 심각한 일이며, 도심의 확대로 인한 도시 공동화 현상의 과속화와 그에 따른 부작용은 심각한 문제이다.

drop by

stay

JEON, SU JIN 263


264

JEON, SU JIN 265


266

JEON, SU JIN 267


268

JEON, SU JIN 269


HAN RIVER SUBWAY STATION NO.1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Park, Chang-Jun 박창준

I make a solution about Han River that funtion as the element of cutting seoul. As a connection point, I concentrate on Han River that can revitalize adjacent urban fabric Seoul’s urban image gives a strong impression in the world

ARCHITECTURAL REVIEW 2011

PA R K CHANG JUN


강을 중심으로 문명이 발생한다. 한강도 우리나라의 문화를 꽃피우는데 중심적인 역할 을 하였다. 과거의 한강은 생업 사람들에게 삶의 일부였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도 시화, 산업화에 따라 한강개발사업이 착수되었고 과거의 한강의 시의 개발에 맞추어 한강에는 교통을 연결하기 위해 24개의 다리와 철교를 세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런 교통 인프 쪽의 시간을 뺏으면 어느쪽에서는 시간을 잊는다. 서울과 한강이 단절되면 서 삶과 멀어지면서 오염이 생기고 물리적으로 과 더불어 풍요로운 삶에 대해 많은 관 심을 가지게 되었고 서울에 있어서 한강의 의미를 다시 찾게 되었다. 그 결과의 요소가 너무 많고 기존의 교통 인프라가 한강을 배재하고 구축하였기 때문에 한강의 소외가 당연하다. 그렇기 때 법과 기능을 삽입해 현대인들의 욕구를 해소해 줄수있는 공간을 만든다.

Solution

Magog Bridge SangAm Digital Media City DMC는 디지털미디어시티(Digital Media City)의 약자로서 서울시가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서울 서북권의 관문 상암 지구에 569,925㎡(약17만 2천평) 규모로 조성하고 있는 첨단 디지 털미디어 엔터테인먼트(M&E)클러스터입니다.

Haengju Wall

월드컵 경기장과 공원, 친환경주거단지(Eco Village)등과 함께 상암새천년신도시를 구성하는 DMC는 최첨단을 달리는 국내의 우수하고 풍부한 IT 기술과 인적자원 그리고 한류(韓流) 열풍 의 진원인 문화 엔터테인먼트 산업분야의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날로 심화되고 있는 21세기형 지식정보기반 시장 선점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우위를 차지하는데 크게 기여 할 것입니다.

Nanji water recycling center 난지 물재생센터의 하수처리 구역은 서울시의 용산, 은평, 서대문, 마포구 전지역과 종로, 중구, 성동구 경기도 고양시 일부지역등 7개구 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와 서울시 9개구 (종 로, 중구, 용산, 은평, 서대문, 마포, 강남, 서초구 전지역, 영등포)에서 발생되는 정화조와 분 뇨를 병합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Magog City 서울의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미래지식산업단지 및 국제 업무단지 조성서 울 차세대 성장 원동력전초기지, 주변 녹지거점과 수계가 연계된 친환경 단지, 서남부지역 활성화 및 지역균형 발전

nanji water recycling center Jiangxi Wetland Ecological Park

Han River Wetland Ecological Park Magog Waterfront Park

Entrance In the world , The entrance of Seoul

Bong Mountain

In Seou, The entrance of the Han River

Site analysis

Transportation

Roads

Green

Concept

Program. 2 SUBWAY STATION

Program. 3 WATER FRONT

Han River Subway Station NO.1

I make a solution about Han River that funtion as the element of cutting seoul.

Program. 1 HOTEL

As a connection point, I concentrate on Han River that can revitalize adjacent urban fabric Seoul°Øs urban image gives a strong impression in the world

272

PARK, CHANG JUN 273


PROGRAM

GREEN

WATER

INFRASTRUCTURE

HOTEL ROOMS

HOTEL COMMON AREAS

EVENT LOCATION

EVENT LOCATION

HOTEL COMMON AREAS

SEWAGE TREATMENT FACILITIE MACHINE ROOM ELETRICAL ROOM

INFRASTRUCTURE

WATER

GREEN

ARCH Length/Height Angle

Structure ideas Length/Height Angle

Inserted in the structure program

Light Mass

Open space

STRUCTURE Juscelino Kubitschek Bridge

Length/Height

Arch is plced diagonally of the bridge

Wind Way Bach de Roda-Felipe II Bridge Add a secondary arch inclined 60 degrees

Eye of the multidirectional Mindaugas Bridge As one of the arch is the arch of the two

Fenghua Bridge 3 arches enclosde by petal-shaped panel

Garde-adhemar Bridge The combination of a large arch and a small arch

274

PARK, CHANG JUN 275


Program placement

Program

Effciency of the structure = Architectural copper

276

PARK, CHANG JUN 277


278

PARK, CHANG JUN 279


BREAK BOX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Oh, Min-Hyun 오민현

SPORTS FACILITIES+OFFICE IT 시대가 도래한 후 사람들의 소통은 일대일, 또는 혼자만의 일방향적인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점점 개인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여러명의 사람들과 몸을 부딪혀 소통하는 Sports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사회적 결합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강남-서초업무지구는 서울에서 가장 많은 office고층빌딩이 존재한다. 하지만 강남- 서초업무지구는 다른 업무지구에 비해 Green space나 공공에게 제공되는 Public의 시설들은 눈에 띄게 적다. 이런 상황과 더불어 강남-서초업무지구는 근 20년 동안의 오피스 시설의 집중으로 오피스의 임대료는 감소하고, 공실률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강남-서초업무지구를 대표하는 현 서초구 가락빌딩의 site에 Public의 성격이 매우 강한 체육시설과 오피스의 결합으로 새로운 타입의 업무복합시설을 제안함으로써 강남역에 새로운 일상을 만들어낸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OH MIN HYUN


산업종사자 수(명) 4,877,000 사무직 종사자 수(명) 2,290,000 47% 1인당 사무면적 13.2%

Seoul

CBD

전체 사업체 수 전체 종사자 수 사무직 사업체 수 사무직 사업 종사자 수

36,612 320,079 14,730 147,405

전체 사업체 수 전체 종사자 수 사무직 사업체 수 사무직 사업 종사자 수

53,416 583,730 24,110 317,274

Seocho YBD

KBD Gangnam

Green 2,739,583 m2 사무직 1인당 면적 19.05m2

Green 1,584,691 m2 사무직 1인당 면적 6.1m2

CBD

공공체육시설 사설체육시설

Green 2,385,782 m2 사무직 1인당 면적 5.13m2

YBD

공공체육시설 사설체육시설

1,123,818 m2 185,767 m2

사무직 1인당 면적

주요 행정자치구별 업무공간 연면적 순위 ( 단위 : 천M2, 2010)

816,000 m2 290,663 m2

사무직 1인당 면적

8.18 m2

KBD

3.14 m2

공공체육시설 사설체육시설 사무직 1인당 면적

825,577 m2 490,671 m2

강남권역과 타 권역 오피스빌딩 공급규모 비교 (단위 : 동, 2010

체육활동의 참여 형태

체육활동 참여 실태

체육시설 선호도

스포츠형 45.9% 오락형 24.9% 체력단련형 16%

검도 11.91% 골프 11.91% 댄스 11.65% 볼링 11.65% 수영 13.61% 스쿼시 12.04% 테니스 15.18% 헬스 12.04%

축구장 10.6% 농구장 9.3% 조깅코스 9.2% 배드민턴장 6.4% 수영장 5.4% 헬스장 4.9% 테니스장 4.7% 탁구장 4.4% z스쿼시 2.4% 배구장 2.0%

학교운동장 26.2% 동네주변 19.7% 공공체육시설 15.5% 상업체육시설 14.2%

강남권역과 타 권역 오피스 빌딩 임대료 추이 (단위 : 천원/M2)

강남권역과 타 권역 오피스 빌딩 공실률 추이 (단위 : %)

2.41 m2

SITE 노원구 Seoul Soccer court Tennis court Ball game court 60 53 19

종로구

Swim pool 86

장충체육관

광진구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16-19 현 가락빌딩] 성동체육센터

목동종합운동장

강서구

site area : 5970 m2

효창운동장 올림픽공원 잠실종합운동장

용산구

공공시설

일반상업지역 (건폐율 60%, 용적률 800%) 높이제한 : 236m

사유시설 교육시설 직장내 시설

평균참여비용 한국

체육시설수

서초구

282

강남구

일본

OH, MIN HYUN 283


Number of people

Space

Horizontal sports

Vertical sports

STACK

Dislocated STACK

Support Facilities

Specifity of sports facilies STRUCTURE

SHEAR WALL SYSTEM

Finality

Possiblility

STACK & VOID

Finality & Possiblility

284

OH, MIN HYUN 285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16-19 현 가락빌딩 ZONE : GENERAL BUISINESS DISTRICT SITE AREA : 5977M2 BUILDING SIZE : 지상 50층 + 지하 8층 FLOOR GROSS AREA : 160,009M2 GROSS AREA (OFFICE) : 34,965M2 (SPORTS) : 14,715M2 BUILDING COVERAGE RATIO : 67.6% FLOOR GROSS AREA RATIO : 2217% STRUCTURE : 철골조 + 철근콘크리트 COVERED MATERIAL : CURTAIN WALL(GLASS) BUILDING USE : OFFICE + SPORTS FACILITIES PARKING NUMBERS : 826EA (THE DISABLED 28EA)

1F Plan

PLAN

B8F~B2F

286

B1F

OH, MIN HYUN 287


288

OH, MIN HYUN 289


SINDORIM STAY-TION Park, Jee-Young Studio 5학년 박지영 스튜디오 Song, Min-Seop 송민섭

러시아워 때의 신도림역에 가보면, 누구나 삶이 무엇인지 뼈져리게 알 수 있다. 신도림역은 수원과 인천에서 몰려드는 수십만의 인파를 서울도심과 강남으로 이어주는 출근길의 핵이다. 출근시간대인 오전 6~9시 신도림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10만명이 넘는다. 그중 갈아타는 사람이 8만5천여명이다(2007년 5월기준, 서울메트로 조사). 도심으로 진입하는 사람들은 영등포와 신촌을 거쳐 을지로로 빠지고, 강남으로 진입하는 사람들은 신림과 사당을 거쳐 강남까지 나아간다.

이러한 연결고리의 중심부인 신도림역에 역으로서의 기능은 극대화 시켜주고 어린이와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삽입함으로써 여러부류의 이용대상들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길 기대한다.

ARCHITECTURAL REVIEW 2011

SONG MIN SEOP


TIME

거대한 Metropolis인 서울을 관통하는 지하철은 교통체증없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지하철은 node와 node를 연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는 환승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도시조직이나 건설된 시기, 노선의 깊이 등의 이유로인해 환승거리가 터무니없이 길어지는 구간이 발생한다.

DISTANCE Metropolis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시간은 물리적인 거리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교통수단의 발달로 그것을 이용할 때 나타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느낀다. Node와 Node를 가장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직선으로 연결하는 Infrastructure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Infrastructure는 도시조직의 단절을 야기하게 된다.

Transit Time Jungang Line Line No.1 Line No.2 Line No.3 Line No.4 Line No.5

292

SONG, MIN SEOP 293


Transfer Persons Jungang Line Line No.1 Line No.2 Line No.3 Line No.4 Line No.5

물리적인 거리가 멀어서 환승시간이 오래걸리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모일때에는 교통체증이 아닌 사람체증으로 환승시간이 더 길어진다. 그러므로 여러 지하철역 중에서 탑승인구와 환승인구가 많은 신도림역에 집중하도록 했다.

Ground Railroad & Station

294

Boarding Persons

신도림역은 과거 공장지대였던 곳이 변모하여 지금은 상업시설과 주상복합 일반 주거지역, 공장지역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지상으로 지나가는 기찻길과 하천인 도림천을 경계로 네 부분이 현격히 다른 Program 지구를 형성하고 있는데 도심부쪽은 주상복합과 상업시설들로 높은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에 반대쪽은 공장지역과 주거지역으로 2~3층 정도의 건물들이 모여있다. 이러한 Infrastructure로 생긴 경계와 자연적인 경계를 극복하여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지역 Community 활성화를 위한 Program을 삽입함으로써 특 정시간대의 복잡한 신도림역을 환승역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쾌적한 주민이용시설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ONG, MIN SEOP 295


DESIGN STRATEGY - PLAN

DESIGN STRATEGY - SECTION

MAIN STRUCTURE

+SUB STRUCTURE

한곳으로 집중되어있는 지금의 환승동선을 독립적으로 바꿔 주고 상부에는 어린이와 노인을 위한 시설을 삽입하여 동적 인 공간과 정적인 Program의 어울림을 도모한다. 지하철 1호선과 2호선, 그리고 Daycare Center의 수직적 연 결과 동선의 독립, 주변 도시조직과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계 획하였다.

+FACE

+OPEN

296

SONG, MIN SEOP 297


SECTION A-A’

298

SONG, MIN SEOP 299


최종 크리틱 강사 명단 1. 2. 3. 4.

동문회 크리틱

중간 크리틱 강사 명단 1. 조재원 _Studio 01 소장 2. 김성우 _N.E.E.D 소장 3. 남수현 _명지대학교 교수 4. 한지섭 _J Partners 소장

조재원 _Studio 01 소장 김성우 _N.E.E.D 소장 남수현 _명지대학교 교수 한지섭 _J Partners 소장


4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RCHITECTURAL REVIEW 2011


SUSTAINABLE STRATEGY

Rieh, Sun-Young Studio 4학년 이선영 스튜디오 Jo, Myeong-Seon 조명선

PIN-WHEEL IN THE NATURE 현재 교육공간에서 복도는 학생들을 통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버렸다. Circulation, Conmunication, Controlable 이 세가지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진보된 교육공간 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초석이다.

Void의 복도형 Buffer 공간에서 Lighting, Insolation, Ventilation 을 조절하는 System을 형성한다.

CONCEPT

SIMULATION

실내에서의 바람의 이용과 더불어 학생을 위한 공간과 관리자를 위함 공간이 분리 되는 두 가지 Concept으로 크 게 두개의 Mass로 분리되었고, 그 안에서 재구성 된 복도 와 중정이 삽입되면서 기본적인 Mass 를 이룬다. 그리고 어느 공간에 존재하든 소통할 수 있고, 순환할 수 있는 Void Mass 가 삽입된다. 그것은 실내에서 바람의 흐름을 조절하고 서로 분리된 두 개의 Mass를 연결짓는 Communication의 공간이다.

304

JO, MYEONG SEON 305


SECTION DETAIL & MATERIAL

3D PERSPECTIVE

Courtyard

Facade image

Playgound

PHYSICAL MODELING SECTION & ELEVATION

306

JO, MYEONG SEON 307


Rieh, Sun-Young Studio 4학년 이선영 스튜디오 1F PLAN SCALE 1:500

Yun, Ji-Hye 윤지혜

ENVIROMENT CENTER FOR TEENAGERS_

ON THE GARDEN - PATH THE PATH FROM THE CITY RUNS ALONG THE SITE AND THROUGH A BUILDING AS A RAMP. IT IS SLOW ENOUGH FOR US TO HAVE A LOOK AROUND ESPECIALLY INNER GARDEN WHERE PEOPLE GET TOGETHER AND HOLD SOME OUTDOOR ACTIVITY LIKE NATURAL DYES, PERFORMACES AND SO ON. I BET WE END UP ENJOYING THIS SPACE WITHOUT DISTING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SITE & CONCEPT DIAGRAMS

FLOW TO THE SITE

CIRCULATION ALONG THE CONTOUR

STAIR

308

PASSING CIRCULATION

GET TOGETHER

SPREAD OUT

: INNER COURT

: ZONING AROUND THE COURT

RAMP

YUN, JI HYE 309


2F PLAN SCALE 1:500

LOUVERS WITH LIGHT SHELF THAT WILL GIVE EXCITING FACADE TO INNER GARDEN &OPPOSITE SPACE

VERTICAL STRUCTURES OR LOUVER FOR WESTERN SIDE BRACING OR LOUVER FOR SOUTHERN SIDE

- HARMONY TO USE VERTICAL/HORIZONTAL ELEMENT GIVING DIFFERENT DEPTH TO EACH

A-A` SECTION SCALE 1:500

310

B-B` SECTION SCALE 1:500

- FACADE DETAIL 1: 200

RADIATION OF EXTRIOR WALL & WINDOW

NATURAL VENTILATION

TO CHECK OVERHEATING ON THE WINDOW

BY BERNOULLI EFFECT

NORTHERN ELEVATION

SOUTHERN ELEVATION

YUN, JI HYE 311


CONCEPT

Rieh, Sun-Young Studio 4학년 이선영 스튜디오 Lee, Seung-Tae 이승태

ENVIRONMENTAL WALK 건물이 위험 요소로 부터 site를 보호하고 안전한 학습 공간을 확보하며 외부 공간과 내부 프로그램이 자연스러운 동선으로 연결되어 청소년의 학습효과 증진을 기대하고 그 들에게 공간의 풍부함을 느끼게 한다.

SIMULATION

Summer

Winter

365 days

ROOF DESIGN

312

LEE, SEUNG TAE 313


VENTILATION, NATURAL COOLING

HVAC SYSTEM

Fan coil system - All water

1

South west wind - summer

FACADE DESIGN MODEL

Summer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s

Winter 314

LEE, SEUNG TAE 315


SUSTAINABLE BASIC STRATEGY PROCESS

Rieh, Sun-Young Studio 4학년 이선영 스튜디오 Baik, Dong-Il 백동일

물들다. .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 Just devide spaces

Make natural ventilation, wind way

Make natural ventilation and circulation

Mountain wind from the west

Wind from the Northwest in Summer

Cooling effect, Ventilation

자연에서 벽으로... 벽에서 공간으로... 공간에서 사람으로...

CONCEPT

WALL DESIGN PROCESS

Site concept

curiosity, discovery, imagenation, rest

curiosity, discovery, imagenation, rest

Main circulation, Natural ventilation, Passive cooling, Passive heating

1ST STEP - A FLAT WALL

2ND STEP - 3 CURVED WALLS

FINAL STEP - 2 FLAT WALLS

DESIGN CONCEPT

On the west side, There is Green mountain. BE GREEN BY THE WALL

316

BE GREEN BY THE VOID SPACES

CONNECTED BY GREEN

BAIK, DONG-IL 317


FACADE SYSTEM

West side : This side is not the hottest zone. But the sunlight from west dazzles teenager’s eyes. And it can be so hot if this space is exposed direct to west sun. So it it better to control west sunlight

FINAL _FACADE DETAIL MODEL 1/30

318

BAIK, DONG-IL 319


Jeon, Byung-Wook Studio 4학년 전병욱 스튜디오 Oh, Min-Jin 오민진

WALK IN THE FOREST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s ‘친환경’이라는 Main Idea 에서 출발한 이 청소년 환경 센터는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하는‘기능적 친환경’과 건축물과 자연공간과의 경계를 허물어이용자들로 하여 금 자연속에서의 느낌을 만끽할 수 있는‘심미적 친환경’공간을 추구한다.

3D PERSPECTIVE / 1:200 SCALE MODEL CONCEPT

FACADE-DETAIL

PROGRAM BARE-FOOT EXPERIENCE ZONE when I conducted site-analysis, I found two things in my site, continuous slope and wide forest

EXPERIENCE-STUDY SPACE MULTI-PURPOSE ROOM

on the west-side. So I focoused on these two things.

1. Using natural (eco-friendly material)

FACADE-SKIN STUDY MODEL

First, I cut this slope and re-use this soil as Rammed-earth wall. so this eco-friendly material become the wall of 1st floor.

2 Expansion of forest (Green zone) Second, I intended to expand the forest to my building. I inspired b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ree. For example, air and light can penetrate through so many tiny gaps between leaves and branches. I wanted to introduce that kind of concept in my building.

320

CAFETERIA

PRODUCTION GARDEN

OFFICE

BREAK AREA

These programs have various connections with this continuous Green-zone. some fruits or herbs made in production garden may use in cafeteria. And another garden can be experience-study space for teenagers. and the space between upper and under mass will be bare -foot experience zone

SOUTH SECTION

FRONT ELEVATION

OH, MIN JIN 321


SUSTAINABLE STRATEGY Lighting Analysis

DRAWINGS

FACADE-DETAIL 2 WINTER

SUMMER

HVAC LOADS ANALYSIS

AIR FLOW RATE / DIRECTION ANALYSIS

1ST FLOOR PLAN

2nd floor

DAY - TIME

NIGHT - TIME

BEFORE AFTER

3RD FLOOR PLAN

ROOF PLAN

AIR FLOW ANALYSIS (UNIT-SPACE) SOUTH ELEVATION

322

OH, MIN JIN 323


PERSPECTIVE DRAWING

Jeon, Byung-Wook Studio 4학년 전병욱 스튜디오 Lee, Seung-Mi 이승미

WALK ALONG THE TILTING UP GARDEN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s 친환경 교육을 위한 건물을‘Productive garden’ 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의 해석을 통해, 생산, 재생산, 정보의 획득 3단계로 구분짓고, 대지에서 건물 옥상을 따라 올라가는 기울어진 main garden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해석을 공간적으로 구현한다.

SUSTAINABLE STRATEGY PROGRAM ANALYSIS

SUMMER

Product garden roof Protect building from overheating

Produce Plant, water, grow and reap the harvest in edible garden. Learning these whole process

Operable window open Air filltering

Wind

Micro climate Cooling

Reproduce Make food, jam or juice ..etc with the harvest

Indoor garden

In summer, since the site is on the way of wind path, by making a small water place, we can expect micro climate to bring cooling effect

Getting information get more information about agriculture and ecology after learn through experience

WINTER

CONCEPT

Divide the gardens

Rolling up along the slope

Put programs and garden around the roof Day

324

Night

LEE, SEUNG MI 325


FINAL MODEL

DETAIL ONE

DETAIL TWO 1 Sheet-Metal parapet cap sloped to drain roof side 2 Membrane Flashing 3 Soil 4 Gravel 5 Filter Fabric 6 Drainage 7 Aeration Layer 8 Thermoplastic waterproofing membrane 9 Adjustable teak Louvers (reused material) 10 Double glazing 11 150/230 mm ain edge beam 12 Concrete wall 13 Integrated drainage : 216 dia mm steal tube 14 5mm stainless steal sheet Detail Two

Lv 0.6

Lv 4.6

SOUTH ELEVATION

WEST SECTION

326

LEE, SEUNG MI 327


MASS

Jeon, Byung-Wook Studio 4학년 전병욱 스튜디오 Kim, Soo-Hee 김수희

ECO-PLAYGROUND Tilt Surface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

Tilt Slab

환경 센터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공간이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실내와 실외에서 일어나는 행위들에 대한 접근성을 높혀서 다양한 경험들이 자연의 순환 고리처럼 중첩되고 서로 피드백 될 수 있도록 공간 배치를 해보았다.

Shadow Accumulation

CONCEPT

Slab

Daylight Factor

Structure

Win-Air

Glasswall

Louver

Indoor Program

PASSIVE STRATEGY

Reference Room

Lab

Gallery

Workshop

Cafeteria

Multi-Purpose

Cafeteria

Outdoor program

Indoor Program Square

Gardening

Shelter

Outdoor Program

Ventilation 328

Louver KIM, SOO HEE 329


PLAN

3D PERSPECTIVE

1. 2. 3. 4. 5. 6. 1st Floor

Lobby Office Auditorium Cafeteria Pot Storage Studio

7. Reading Deck 8. Seminar Room 9. Reference Room 10. Gallery 2nd Floor

SECTION & ELEVATION DETAIL

330

KIM, SOO HEE 331


SUSTAINABLE STRATEGY SECTION

Lee, Byeong-Ho Studio 4학년 이병호 스튜디오 Sun, Jin-Woo 선진우

BRING THE GREEN TO THE ROOF 이 사이트에서 주목할만한 context는 자연이다. 그래서 나는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그 자연이라는 요소를 건물의 형태를 이끌어내기위한 단서로 이용하였다. 사이트의 서측 중간쯤부터 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경사를 타고 흘러내려오는 자연을 그대로 받아주는 건물이 되게하고자 하였고, 그래서 건물은 지형이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띈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CONCEPT 지형과건물의 관계

section of site

cutting & raise the terrain

SIMULATION

경사지형은 들어올려져 건물의 지붕이 된다.

지형이 들어 올리지는 순간순간의 지형의 겹은 건물을 둘러싸는 루버가 되어 실내의 채광을 조절하게되고 출입구와 와 창의 위치에 따라 들어올려지고 내려앉으면서 그 형태를 취한다.. 건물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건물 중간중간에 위치한 patio를 통해 빠져나가 환기를 돕는다.

332

SUN, JIN WOO 333


SECTION DETAIL & ELEVATION

3D PERSPECTIVE

MODEL

1 THK 3 알루미늄 후레싱 2 잔디, THK 50 표토 THK 1 섬유필터 THK 50 배수매트 THK 125 압출법보온판 THK 175 데크플레이트, 콘트리트 H빔 400 x 300 x 18 x 11(mm) THK 9.5 석고보드 2겹 위 무광아크릴페인트 3 알루미늄 루버, 고정steel바 4 solar-protection-glazing, 10mm toughened glass + 14mm cavity + 12mm lam. safety gl. steel보강 알루미늄 mullion 5 바닥매입형 Fan coil unit 6 carpet, 80mm reinforced screed, THK 175 압출법보온판

334

SUN, JIN WOO 335


SUSTAINABLE DIAGRAM

Lee, Byeong-Ho Studio 4학년 이병호 스튜디오 Han, Yu-Rim 한유림

GREEN WEAVE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 서울이라는 도시 속에 있지만, 사이트는 울창한 숲과 가까이 하고 있다. 하지만 자연과 사이트 간의 뚜렷한 경계를 이루고 있다. 환경센터와 녹지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대지를 이용한 여러가지 건물의 제스쳐를 제안해보고 이러한 제스쳐들이 친환경적인 요소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IMULATION _Ecotect(Lighting)

CONCEPT

_Design Builder(CFD)

_Ecotect(Energy Use)

위성사진을 통해 자연과 사용되고 있는 대지 간의 경계가 뚜렷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 디자인의 출발이다.

336

HAN, YU RIM 337


SECTION DETAIL (FACADE SYSTEM)

SHADING SIMULATION(SKETCH UP)

3D PERSPECTIVE & MODEL

_Hall & Exhibition

Summer at 10:00 am

Winter at 10:00 am

Summer at 12:00 am

Winter at 12:00 am

Summer at 2:00 am

Winter at 2:00 am

ELEVATION

338

HAN, YU RIM 339


Lee, Byeong-Ho Studio 4학년 이병호 스튜디오 Min, Jea-Yeon 민재연

SHADING BY WOOD 일반적으로 쓰이는 건물과 자연이 단절되어 있는 것을 반성하고 자연을 단순히 흉내내어 즐기고 친해지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있는 제 3의 공간을 나무 그늘 이라는 주제로 제안해 본다.

Mass Process >>

340

MIN, JEA YEON 341


Sun Shading Prosess >>

Program Zone with garden opning >>

Summer

Winter

342

HVAC >>

MIN, JEA YEON 343


SUSTAINABLE STRATEGY SECTION

Lee, Byeong-Ho Studio 4학년 이병호 스튜디오 Choi, Han-Sol 최한솔

THE INFILATION, BETWEEN... 사이트는 남북축의 긴 자연의 축의 연장선에 있다. 하지만 자연사이의 흐름은 중심의 인공적인 길과 건물들로 인해 서로 단절되어 있다. 자연과 인공간의 연결은 인위적인 형태가 아닌 상호간의 침투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끊임이 없는 자연의 축의 연장선상에 친환경센터가 자리잡고 있어야 한다.

CONCEPT

FACADE DESIGN CONCEPT

일조량에 따라 루버의 밀도가 결정된다. 유리와 루버사이의 120mm의 빈공간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진다.

자연과 건물의 관계는 서로 침투하면서 형성된다. 건물안으로 침투해 들어간 자연은 채광, 환기., 통풍을 이루어지게 한다.

344

CHOI, HAN SOL 345


SECTION DETAIL & ELEVATION

3D PERSPECTIVE

MODEL 346

CHOI, HAN SOL 347


DESIGN CONCEPT.

Lee, Ki-Wan Studio 4학년 이기완 스튜디오 Yoon, Hong-Doo 윤홍두

땅을 아끼고, 녹지를 연결하며 자연을 위대함이아닌 자연의 존재의 위대함을 가르친다.

C.A.N. Comunicate.. Attempt.. Nature.. If you don't buy now, you may find that you've missed the boat. so, I will get this(Comunication) in various ways before it is too late. We have to change a custom of long standing in new nontraditional ways. that’ s what I call progress(Attempt). Almost every living organism is in the sun. that’ s all(Nature). This is Project Title 관습적인 동선의 체계로인한 일률적인 생활에서 다양한 선택적 동선으로 소통의 가능성을 내다본다.

SITE ANALYSIS. 보다 특별한 사실에 초첨을 마추어 보자.

PASSIVE STATEGY.

옹벽은 대지 안과 밖의 소통을 단절시킨다. 공공건축 물로서 기존의 담을 두르고 이용자만 위한 시설이아닌 도시와 소통을 하는 장소를 만든다.

자연 상태의 빛이 들어오는 깊이만큼으로 매스의 볼륨이 결정된다.

늦은 시간까지 이용이 요구되는 공간에 낮시간의 온기를 전해준다.

계획되지는 교통인프라가 열악하다. 따라서 과밀지역의 건축과는 달라야한다 즉, 기념비적성향을 띄어 사람들을 모으는 역할을 해 야할 것이다. 항상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려만 했다. 실외같은 실내 아뜨리움만은 아니다.

과거 달동네인 마을이 교육특구지역의 이미지로 새로 운 모습을 찾았다. 교육의 도시로서 발전가능성이 돋 보여 교육프로그램을 추가로 산정한다. 통풍을 위한 창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열려야 한다. 348

YOON, HONG DOO 349


3D MODELING

SECTION

배치도

수순환로

ELEVATION

350

산책로연결

PICTURE

YOON, HONG DOO 351


ZONING

Lee, Ki-Wan Studio 4학년 이기완 스튜디오 Kim, Ji-Hoon 김지훈

SALAD SCHOOL Environmental Center for Teenagers As a architect, what can we dTo for nature? Of course, designing building in sustainable way is very important but that’ s not enough. We have to make teenagers to un 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us. So I approached this project in two ways. 1. Sustainble design - Passive design 2. Vertical Farm as educational program

PURPOSE 1. PASSIVE DESIGN Passive solar Natural Ventilation Atrium - make a good use of micro climate Rain water purification reuse system

PASSIVE DESIGN

NUTRITION CIRCULATION

PASSIVE DESIGN

2. EDUCATIONAL PROGRAM City Farm The population on the earth is increasing constantly so we are making cities without a break. In the future, there will be serious lack of land to cultivate. What can we do?

City Farm - symbiosys WATER SPINE

MICRO CLIMATE

GREEN VESSEL

Think about Vertical Farm. It can be the bestsolution for lack of land. We have enough technology to control farming in a building. Experience in vertical farm will be helpful for teenagers to understand nature especially plants and they can have the solution for pollution problems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352

CITY FARM

WATER CIRCULATION SYSTEM

KIM, JI HOON 353


PLAN & ELEVATION

FACADE Operable windows Solar absorber pipe Sloped frame Insulation PV panel

PERSPECTIVE & MODEL SECTIONS

354

KIM, JI HOON 355


SUSTAINABLE DESIGN

Lee, Ki-Wan Studio 4학년 이기완 스튜디오 Kim, Dong-Jun 김동준

C3 CENTER Community, Comfort, Circulaton 친환경적이라고 하는 것은 건축적인 것에 더하여 인간적이고 사회적인 부분에서의 환경 친화적인 것을 강조할 수있어야 한다. 건축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시키고,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주며, 순환 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들고자 한다. 그래서 풍요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건축을 목표로 삼는다.

CONCEPT

SITE ANALYSIS All people know that the Earth is becoming increasingly polluted. solving the these problem, I think that going back to the old rather than the realiz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will be better. As the images associated with “sustainable architecture”, I think some words. That is “warm, community, connection, orgarnic”. So I want to get feelings created by these words. In site , A building that I want has images like a countryside. And I hope to make community and give harmony through connection to each mass.

PROGRAM

Location

Circulation

Green area

Water

Wind

View

Sun light

awning

attached greenhouse

MANIPULATION

clerestroy

356

KIM, DONG JUN 357


SIMULATION

PERSPECTIVE

shading

ventilation

2f - seminar / exhibition summer solstice 09 : 00 AM

3f - library

natural lighting

energy use

summer solstice 12 : 00 PM

FACADE

358

winter solstice 09 : 00 AM

winter solstice 12 : 00 PM

winter solstice 12 : 00 PM

summer solstice 12 : 00 PM

MODEL

KIM, DONG JUN 359


SUSTAINABLE STRATEGY

Lee, Ki-Wan Studio 4학년 이기완 스튜디오 Moon, Hong-Gyun 문홍균

SCATTERED CUBES 십대들을 위한 환경교육센터는 단순한 이론 교육에서 벗어난 실제 체험장이여야한다. 아이들이 지나가고 느끼는 모든공간에서 친환경 원리가 스며들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체험하게 된다. 이 건물의 기본적으로 큐브로 구획된 공간들은 자연의 에너지로 유지된다. 각 큐브는 각기 다양한 친환경 원리로 건물 자체가 체험관이 되어 빛, 바람, 온도, 땅의 에너지를 알 게 한다. 이 환경센터는 그 동안 자연과는 먼 삶을 살아온 도시 아이들에게 자연의 힘을 직접 보고, 느낄게 할 것이다. 머리가 아닌 몸이 기억하는 학습관, 이곳에서 아이들은 친환경을 배운다.

PROGRAM

CONCEPT

GEOTHERMAL HEAT-PUMP SYSTEM

GENERATE ELECTROCITY USING BIPV

Heat-pump for cooling air and heating air

기본대지에 제한된 건폐율 20%를 적용한 2000m2 정방형의 대지를 설정한다.

6600mmX6600mm는 각 실을 만 들기 적합한 크기이므로 정방형의 대지를 6600mmX6600mm 로 분 할한다. 마치 사진에서의 픽셀처럼 분할된다.

각기 분할된 픽셀들은 이 대지주변 에 작용하는 힘인 바람, 물 에 의 하여 튕겨져 나간다. 그리고 그 자 리엔 빈 공간이 생기면서 바람이 지나가고 불이 들어오는 친환경 전 략의 기초 디자인이 된다.

Heat-pump for boiling water The BIPV system functions as both an exterior structure and electrocity generator installation is on a southeast-facing vertical wall covered with 45m2 of glass type solar cells. Reinforced glass on 10m2 of the corner surface on both sides allows evaluation of constructabilty and performance

MASTER PLAN ENERGY SAVING SIMULATION

빈 공간에 기존에 흐르던 물이 들 어 와서 생태연못을 이루게 된다. 이곳은 건물의 조망뿐만이 아니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부는 산곡풍 바 람을 시원하게 해서 건물 내부로 흐르게 하는 역활을 한다. 360

SHADING SIMULATION

가운데 4개의 픽셀을 하나의 실로 이렇게 자연의 힘에 의하여 건물 설정한 다음, 비틀어서 건물 중앙 내부 기본적 시스템이 설정되고 외 에 보이드 공간을 만든다. 이 공간 부 형상이 다듬어 졌다. 은 일광, 환기, 동선의 중요한 역활 을 하는 로비가 될 것이다.

MOON, HONG GYUN 361


FACADE(IVY PLANT +DOUBLE SKIN)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This facade is consist of double skin. And a construction that looked spider’s web is attached on them. This is made by FRP(Fiber Reinforced Plastic) that is used for making ship’s body. This material is so absolutely strong that can stand without sub construction. This is role of ladder for IVY plant growing.

SECTION

362

SECTION

MOON, HONG GYUN 363


3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RCHITECTURAL REVIEW 2011


Song, In-Ho Studio 3학년 송인호 스튜디오 Ahn, Hong-Seob 안홍섭

+DESIGN PROCESS

북촌관광안내소 FLOATING VOLUMES-FRAMES

1

2

3

4

많은 이들이 북촌의 매력을 느끼고자 북촌을 찾지만, 가회로에선 더이상 직접적으로 한옥을 바라보기 힘들다. 한켜를 두고 일렬로 늘어선 양옥들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시각 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산을 타고 내려오는 큰 흐름도 끊고 있는 듯 보인다.

5

6

7

1. 채우기 2. 나누기 3. 줄이기 4. 넓히기 5. 끌어들이기 6. 얹히기 7. 덧붙이기

+SITE ISSUE

+HINTS OF RENOVATION

366

AHN, HONG SEOB 367


+ MODEL WORKS

368

AHN, HONG SEOB 369


PERSPECTIVE DRAWING

Song, In-Ho Studio 3학년 송인호 스튜디오 Kim, Yong-Joon 김용준

THE LOOKING GLASS Bukchon Information Center Renovation 우리는 각종 포터블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손바닥 안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서 단순히 인쇄물 형태의 정보를 한정된 공간 내 에서 제공하는 관광안내소는 더이상 의미를 갖지 못한다. 내/외부 양방향으로 동시에 이미지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공간적 경험을 통해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가회로에서의 랜드마크적 인지성을 확보하는 Looking Glass를 통해 우리는 북촌의 일면을 들여다볼수 있다.

COMPOSITION DEVELOPMENT

before renovation

SITE CONDITION

BEFORE

symbolic mass

lifted-up

void 1/ entrance void 2/ view to Han’s house

AFTER

CONCEPT DIAGRAM void 3 / lighting & media wall

Informing (in) space

370

Informing space

KIM, YONG JOON 371


1 2 3 4 5

visitor’s entrance information media hall men’s toilet women’s toilet resident’s entrance existing structure

1 terrace 1 2 terrace 2 existing structure

372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KIM, YONG JOON 373


Song, In-Ho Studio 3학년 송인호 스튜디오 Ahn, Hong-Seob 안홍섭

+DESIGN PROCESS concern about distributing blocked mass into two different space

THE LIGHT HOLDER 미용실 + 목욕탕 도심에 위치한 대부분의 목욕탕은 두꺼운 벽에 둘러싸여 있거나 지하에 자리한다. 따라서 외내부의 직접적인 관계를 기대하기 어려움은 물론이 고, 좁고 어두운 공간은 사람들의 활동도 수평적으로 제한한다. 공간의 분리방법과 빛의 끌어들임을 통해 수직적인 공간의 가능성을 갖는 새로운 북촌의 목욕탕을 제안한다.

#1

salon program which is some public penetrates into the bath mass

#2

a previous penetration allows bath program to be splited into two 3-dimentional volumes

도시조직 위에 사방이 막힌 덩어리를 띄우고, 그 안에 성격이 다른 공간을 담아야 한다 면 분리하는 방식이 문제가 된다. 나누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단순히 기 능에 따라 가를 수도 있고 일부를 덜어서 다른 공간을 담을 수도 있다. 그 중에서 여러 공간적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관통의 방법을 택하였다. 공공적 성격의 미용실이 닫힌 목욕탕 매스를 뚫고 나가면서, 북촌의 아름다운 풍광을 흡수하는 동시에 목욕탕 공간의 입체적인 분리를 가능케한다. 결과적으로 수직적으로 열린 목욕탕은 하늘을 담고, 밝고 깊은 새로운 장소가 된다.

+ACTUALIZATION

salon

374

bath

AHN, HONG SEOB 375


+ FINAL MODEL WORKS

1 site plan 2 1st f 3 2nd f

4 3rd f 5 4th f 6 basement f

+ STUDY MODEL

longitudinal section

376

AHN, HONG SEOB 377


Song, In-Ho Studio 3학년 송인호 스튜디오 Choi, Su-Ji 최수지

가회동 천연 염색 공방 Bukchon Multicomplex Building 천연 염색 공방 / 카페 / 공방주인의 안채 북촌의 한옥 사이사이로 실핏줄처럼 얽혀 있는 길들은 한옥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일상성’ 이 담긴 생활공간이다. 한옥에서의 생활은 담장 안쪽에서 뿐만 아니라 담장 밖 길 에서도 여전히 일어난다. 북촌길은 빨래를 널고, 곡식이나 고추를 말리고, 아이들이 뛰노는 또 하나의 마당인 동시에, 이웃과의 담소가 오가고, 동네 노인들이 어울리는 마을 공유의 공간이다. 하지만 가회로에서는 그런‘북촌’ 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CONCEPT 각각의 매스들은 자연적이고 소소한 요소들을 가지며

대지 라

카페라는 상업적인 공간을 통해 폐쇄성을 가지던 공방을 관광하며 양옥으로 가려져 있던 북촌의 작은 한옥 조직들의 스케일을 따라가며, 매스들의 분절을 통해 가려져 있던 한옥을 이끌어내다.

사잇길에 있는 천의 공간감과, 차와 함께 소소함을 느끼다

양옥으로 줄지은 가회로. 20m 이상의 폭인

하지만 그 뒤로는 북촌의 오밀조밀하고도 소소한 한옥 마을이 숨어 있었다.

378

CHOI, SU JI 379


STUDY

380

FINAL

CHOI, SU JI 381


WALKING THROUGH THE MODULES

Kim, Zu-Khyung Studio 3학년 김주경 스튜디오 Kim, Min-Sub 김민섭

WALKING THROUGH THE MODULES Infromation Center in Bukchon 북촌의 한옥들은 각각이 모듈이 되어 다양한 대지 레벨 위에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북촌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작은 모듈들의 집합을 공간 속에 담아 보았다. 3개의 큐브가 서로 다른 레벨 위에 위치하고 그 큐브들은 좁은 동선으로 연결된다.동선을 따라 좁고 넓은 공간이 반복적으로 펼쳐지며 방문자는 큐브 속의 프로그램들을 경 험한다.

PROGRAM CIRCULATION

South 382

East

West

North KIM, MIN SUB 383


WALKING THROUGH THE MODULES

384

KIM, MIN SUB 385


Kim, Zu-Khyung Studio 3학년 김주경 스튜디오 Bae, Jung-Hyeok 배중혁

북촌을 거닐다. Information Center in Bukchon 안으로 들어가 있는 행랑채, 그리고 입면을 향해 튀어나온 보이드 공간은북촌을 찾아온 손님을 내부로 자연스럽게 안내한다.북촌에 주위를 둘러보는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 What is Information Center? - 적절한 비움 속에서 북촌을 담아내는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PROCESS Line

386

Volume

Section Sketch

Concept Diagram

BAE, JUNG HYEOK 387


1F Plan

A-A’ Section 388

2F Plan

B-B’ Section BAE, JUNG HYEOK 389


SITE ANALYSIS

Kim, Zu-Khyung Studio 3학년 김주경 스튜디오 Kim, Byung-Oh 김병오

T I P _ Traveling in the Pottery Looking, Drinking, Making [Pottery] 주어진 필지의 사이트 분석 결과, 한국을 알리는 가회로에 한옥은 많았으나 그러한 역할을 하는 시설은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문화 시 설과 상업시설이 밀집된 곳을 사이트로 선정하여 가회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문화시설인 전시실, 상업시설인 찻집, 특별한 방으로는 도자기 공방을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으며, 동선이 입구로 들어와서 나갈때 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여 프로그 램의 조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고, 건물에서 도자기의 여러 모습과 자연을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CIRCULATION SYSTEM

CONCEPT DIAGRAM

MASS STUDY

390

KIM, BYUNG OH 391


392

B1F 평면도

1F 평면도

2F 평면도

3F 평면도

KIM, BYUNG OH 393


PROGRAM

ELEVATION

Kim, Zu-Khyung Studio 3학년 김주경 스튜디오 Hwang, Han-Seul 황한슬

ALLEY WAY FOR CHILD Multiple Function In A Building 동네의 좁은 골목길은 통로보다는 집앞 마당 또는 아이들의 놀이공간으로써 더 큰 역할을 갖는다. 유년기의 많은 시간을 보내고 때로는 이웃간 소통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어린이도서관’ 까지 가기 위한 길을‘상점’ 들로 엮고, 그 틈 사이에 생겨난 골목공간은 수 많은 관광객들로 인해 동네골목길을 잃어버린 북촌 어린아이들의 것이다.

DESIGN PROCESS NORTH SIDE

CONCEPT

SITE

SOUTH SIDE

한 동네의 골목길은 자라나는 어린 아이들의 것이다. 집 앞 골목은 축구장이 되기도하고, 술래잡기하는 공간이 되기도 하고, 때로 는 책을 들고 와 읽는 도서관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북촌에 사는 어린이들은 수 많은 관광객들로 인해 유년기의 소중한 장소인 골목길을 빼앗기고 말았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골목길과 같은 공간을 되돌려 주고 그러한 공간에서 어린이들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길 기대하 며‘어린이도서관’ 과 ‘상점 ’ 들이 결합된 다기능 공간을 제안해 본다.

FRONT

394

HWANG, HAN SEUL 395


PLAN

1/100 SCLAE MODEL

B1

1F

1.5F

1F

SECTION

3F

396

Roof

HWANG, HAN SEUL 397


INFORMATION

Hong, Man-Shik Studio 3학년 홍만식 스튜디오 Kim, Ah-Ri 김아리

media wall

book + search

MORPHIC PROTOTYPE Bukchon Information Center 북촌이 관광장소로 의미있는 것은 이곳의 일상이 관광객들에게는 비일상적이기 때문이다. 북촌 관광안내소에 한옥의 기본적인 형태질서를 담아, 관광객이 이러한 공간을 경험함과 동시에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Bukchon attracts tourists by its unique usualness. Visitors can get information about Bukchon experiencing space which follows fundamental principles of form of Hanok.

Gaheo-ro

void

reversion

398

KIM, AH RI 399


RELATION

RENOVATION

1F PLAN

2F PLAN

A-A’ SECTION 400

B-B’ SECTION KIM, AH RI 401


Hong, Man-Shik Studio 3학년 홍만식 스튜디오 Gwak, Jang-Joon 곽장준

LITTLE BUKCHON Tourist information office & Public toilet in Bukchon 북촌은 과거의 모습과 현대의 모습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북촌을 오는 관광객들은 언제나 도시에서 북촌으로 들어왔다가 북촌에서 도시로 나가게 된다.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관광안내소와 공중화장실에 현대-과거-현대의 경험을 하게 되는 북촌의 모습을 담아내어 건축물 자체가 작은 북촌이 되도록 하였다.

SITE PLAN 사이트는 서측으로 가회로를, 동측으로 가회동 한씨가옥을 면하고있다. 가회로 를 도시적 컨텍스트로, 한씨가옥을 전통적 컨텍스트로 본다면 사이트는 과거를 나타내는 공간과 현대를 나타내는 공간 사이에 끼어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사이트 북측의 길은 현재 가회동 한씨 가옥으로의 진입로 정도의 용도로 만 쓰이고 있으나 도시와 전통을 잇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 북측의 길의 특성을 건축물 안으로 끌어들였다.

402

GWAK, JANG JOON 403


직접적 관광안내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가회로쪽으로 북촌의 도시적 컨텍스트를, 한씨가옥쪽으로 북촌의 전통적 컨텍스트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이다.

건물로 들어서는 진입부이며, 외부와는 차단되고 안마당을 끼고 돌며 북촌의 전통적 컨텍스트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의 시작이다.

2F Plan

한씨가옥의 돌담과 직접 접해있고 안마당을 면한 길로 전통적 느낌을 최대한으로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공간 이자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이 된다.

KeyMap

1F Plan

A - A’ Section 404

B - B’ Section GWAK, JANG JOON 405


Hong, Man-Shik Studio 3학년 홍만식 스튜디오 PROCESS

Yu, Jeong-Je 유정제

최대면적

나눔

내밈

연결

사선제한

소통 주민센터 + Guest House 북촌의 급격한 관광지화로 인해 주민들과 관광객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주민과 관광객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SITE ALALYSIS

관광객의 증가

좁은 진입로

주변 Context

406

YU, JEONG JE 407


408

YU, JEONG JE 409


Hong, Man-Shik Studio 3학년 홍만식 스튜디오

CONCEPT

Lee, Jun-Young 이준영

일상에서 배우다... Library & Exibition center for the children of Bukchon Intro 북촌은 주거공간이었던 곳이 북촌가꾸기 사업으로 관광지화 되면서 주거공간과 관광지적 성격이 공존하는 곳이다. 북촌이 개발되면서 각종 새로운 공간이 생겼지만 정작 북 촌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고 특히, 북촌 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껴졌다.

현대의 주거환경이 바뀜에 따라 골목길 이 없어지고 있다. 그러나 북촌 아이들 에게는 여전히 골목길이 있고 그들은 골목길에서 놀이를 하고 배우기도 한다. 나는 북촌아이들의 일상인 골목길을 건 물에 끌어들여 그들에게 이곳이 낯선 공간이 아닌 일상의 한부분이 되도록 하여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Question 1. 북촌아이들을 위한 공간은? 놀이와 교육을 모두 충족시키는 공간 2. 이 공간은 일상과 분리된 특별한 공간이어야 할것인가? 아니면 일상의 연장으로 일상생활에 녹아 드는 공간이 어야할 것인가? 아이들에게 책은 놀이로서 아이들의 일상에 스며들어야 한다. 3. 어떻게 일상과 연장을 시킬 것인가? 북촌이라는 CONTEXT를 적극 활용하여 설계를 할 것이다.

SITE ANALYSIS & MASS PROCESS

1. Mass

2. Context of 북촌 - 중정

3. Adapt topography - Skip floor

4. Context of 가회로 - Flying

410

LEE, JUN YOUNG 411


1F PLAN

2F PLAN

3F PLAN

B1 PLAN 412

1. Cafe 2. Hall 3. Deck 4. Reading Room 5. Gallery 6. AV Room 7. Workroom 8. Roof garden 9. Deck with the Hanok view 10. Living Space 11. Office 12. Utility Room 13. Storage

A-A’ SECTION

B-B’ SECTION LEE, JUN YOUNG 413


CIRCULATION SYSTEM

Seo, Seung-Mo Studio 3학년 서승모 스튜디오

삼거리에 면한 계획대지의 속성을 살려서 다양한 방향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했다. 다양한 방향으로의 접근은 북촌을 찾아오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린 안내소라는 느낌을 부각시켜줄 수 있으며 외 부와 내부의 구분이 명확한 건물이 아니라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이 산재되어 있는 안내소를 만든다. 이는 안내소 내부의 공간을 풍부한 느낌을 갖도록 한다.

Kim, Jung-Tae 김정태

RENOVATION _ BUILDING B Information center in Gahoe-dong 가회동 한씨 가옥 앞에 위치한 계획대지에 특별한 관광안내소를 제안한다. 이 공간을 찾는 사람들은 기존의 특별한 한옥 문화재들과 갤러리로 포장된 보여주기 위한 북촌을 넘어서 사람 사는 모습이 묻어나는 북촌을 경험한다. 이 안내소가 제공해 주는 것은 객관적인 정보가 아니라 감각적인 정보다. 이 안내소를 찾아온 사람들은 안내소 내의 공간들에서 서로 다른 감각적 경험을 하게 되고 이 경험 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는 각자의 기억 속에 북촌을 남긴다.

SITE ANALYSE

DRAWINGS

DESIGN PROCESS 한씨가옥을 가리는 기존의 건물을 비워내어 보행자들로 하여금 한씨가옥을 인지하기 쉽게 계획 한씨가옥의 처마선과 건물의 보이드공간을 이용하여 쉼터의 느낌이 나는 감각적인 외부공간 조성

414

KIM, JUNG TAE 415


MODEL IMAGE

DRAWINGS

416

KIM, JUNG TAE 417


COURSE TO HAN’S

Seo, Seung-Mo Studio 3학년 서승모 스튜디오 Ha, Dong-Young 하동영

COURSE TO HAN’S Information center in Bukchon 방향성 : 방향이 나타내는 특성 길에서 한씨가옥으로 향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매스를 비움으로써 한씨가옥으로 향하는 시선을 확장시키고, 한씨가옥에서 가회로쪽으로 향하는 시야는 2층벽을 따라 확장성을 준다.

To Han’s

From Han’s

없어진 구조기둥 |빔 구조보강

없어진 구조기둥 |빔 구조보강

418

HA, DONG YOUNG 419


COURSE TO HAN’S

420

HA, DONG YOUNG 421


SITE 주변 시설

북촌 커뮤니티

Seo, Seung-Mo Studio 3학년 서승모 스튜디오

- 노약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Park, Soo-Min 박수민

특별한 일상건축 북촌 가회동_北村 嘉會洞 일상건축_오래된 도시조직 위에 새로운 건물이 지어지고 있다. 한옥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채워지며 변형/변이되고 양옥은 특별한 기능과 새로운 형태로 구축된다. 도시현식 속에서 일상건축을 학습하고, 창의적인 도시건축유형을 제안하는 것이 설계과제이다.

북촌 I WANT...

주민들의 소소한 일상이 일어나는 주거 공간

현 북촌의 일상

한옥 체험, 각종 프로그램 체험 등 ‘북촌 한옥마을’관광 특화 지역

유치원 &모임터(양로원)

잦은 관광객으로 인한 폐쇄적, 심리적 단절감 각종 체험 프로그램의 특화로 주민간 커뮤니티 공간의 부재

어린이

고령화, 노인 소외

자라나는 꿈나무들에게는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가르침을 익혀 올바르게 자라길

노인 노인들에게 생활에 활력과 기쁨을 불어 넣길

각자의 일상속 - 이웃간의 소통, 세대간 소통 단절 422

PARK, SOO MIN 423


평면도

DIAGRAM 이웃간, 세대간 소통의 부재

소통의 계기

1) 프로그램 설정, 배치

이웃간 관계 형성

노인과 어린이의 관계

수평적 배치 : 상하 관계가 아닌 평등한 관계, 소통 프로그램 설정 : 커뮤니티 공간 형성 모임터(노인정), 어린이집

관계, 소통의 적극성 2) 상호 연결

노인과 어린이와 유대 형성 상호 연결 : 적극적인 관계, 소통 형성(함께하는 프로그램 설정)

외부 관계 설정 3) 외부공간 형성

이웃간, 세대간

소통의 외부 공간 : 노인 동네 424

어린이 - 어린이 외부 유희장 노인 - 접근이 용이한 외부 중정

Scale 1 : 300 PARK, SOO MIN 425


PROGRAM

Seo, Seung-Mo Studio 3학년 서승모 스튜디오 Lee, Da-Sol 이다솔

共感空間 空間共感 Living Facility in Bukchon [북촌에서 공감을 위한 공간 찾기] 영원한 과도기를 겪고 있는 불안정한 북촌에‘여행’ 과‘하우스콘서트’ 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꾸며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북촌이라는 공간을 공감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Finding Spase for Sympathy in Bukchon] Make a place for 'Traveling' and 'House Concert' in the unstable space Bukchon, provide the 'Space' for 'Sympathy', and expect sympathize the space; Bukchon

SITE PLAN

DIAGRAM

Building 한옥 양옥

YOUTH HASTEL ROOM BAR DINNING / CONCERT HALL OPEN TERRACE PRIVATE HOUSE

426

LEE, DA SOL 427


PLAN

SECTION

MODEL VIEW

ELEVATION

MODEL VIEW

WEST SIDE

to the GARDEN

the 4th floor TERRAC to the PRAIVATE TERRAC

to THE GARDEN

the 4th floor PRAIVATE TERRACE to the GARDEN

the 1st floor MAIN LOBBY

EAST SIDE

the 2nd floor BAR TERRACE to the HALL upon THE BAR ROOF

INSIDE(S-W-N-E) 428

PASADE SECTION

BIRD-EYE VEIW

LEE, DA SOL 429


2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RCHITECTURAL REVIEW 2011


Lee, Chung-Kee Studio 2학년 이충기 스튜디오 Kang, Sol-Bi 강솔비

장소와 풍경 | BOOK CAFE 네개의 액자 작품명처럼 이 건물은 내부 이용자의 시점에서 보이는 이미지들에 중점을 둔 작품이다. 내부 이용자가 북한산과 평창동의 풍경을 전창을 통하여 마치 액자안의 그림처럼 인식 하도록 하였다. 자연 경관을 이용한 두개의 액자와 대조는 한쪽 벽을 가득 메운 시각 작품을 설치로 또다른 두개의 액자를 더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주변 경관, 대지의 레벨차이,기존 건물과 초목등 기존의 조건들과 주어진 형태 안에서의 변형,주 경관 방향 이외에는 창을 낼 수 없다는 기본 조건을 바탕 으로 얻어진 것이다..

1:200 1층 평면도

기존건물

1:200 2층 평면도

432

KANG, SOL BI 433


Lee, Chung-Kee Studio 2학년 이충기 스튜디오 Choi, Heon-Jun 최헌준

POINT & PANORAMA VIWE 앞뒤로 긴 상자와 좌우로 긴 상자를 사용해서 주변의 자연 경관이 정사각형의 점과 직사각형의 긴 선으로 들어온다. 좌우로 펼쳐진 넓은 시야와 한점에 집중된 시야는 주민들에게 항상 봤던 풍경을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434

CHOI, HEON JUN 435


Lee, Chung-Kee Studio 2학년 이충기 스튜디오 Lee, Won-Chan 이원찬

불국토 - 공원의 사찰 공원은 공공의 장소이다. 사찰은 신앙의 장소이다. 공원의 한 가운데 사적인 공간의 구현은 은 필연적으로 전이의 공간이 요한다. 전이의 공간은 영역으로 생성되며 영역의 존재는 방향성을 전제로 한다. 그 방향성은 건물의 영역을 확장하여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그 방향성이 의미를 가질 수 있을 때 사이트의 전과 후과 연결되고 공간에 밀도 를 부여한다. 영역성과 공공의 편의성 또한 그에 상호작용하는 축의 역할에 대해 탐구하고 불국토 의미를 바탕으로 삼아 공간과 의미를 설계하였다.

436

LEE, WON CHAN 437


Lee, Chung-Kee Studio 2학년 이충기 스튜디오 Kal, Jang-Ho 갈장호

SMALL CHURCH Promenade and axises 교인들에게는 예배당 주위에 램프를 만들어서 주변 풍경을 보며 예배당까지 가게함으로써 예배당까지 가는 전이 공간을 길게 만들어 예배당의 신성성을 나타내었다. (예배당까지 가는 계단 코어도 있음) 육교를 포함한 통로축들을 만들고 그 안에 제안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인근 주민들도 같이 소통하도록 되어있다.

STUDY

study 1. Bridge and Axiese study 2. Mass located study 3. Rectangular

study 4. Detailed Mass study 5. Protruded Facade of Entrance 438

KAL, JANG HO 439


Jung, Gi-Jung Studio 2학년 정기정 스튜디오 Ryu, Jae-Hun 류재훈

BOOK CAFE SITE AND LANDSCAPE 장소와 풍경이라는 주제를 어떻게 건물에서 부각시킬것인가? 그리고 과제의 제한사항인 벽의 제한은 어떻게 할 것인가?

SITE CONDITION

북쪽으로는 평창프라자, 남쪽으로는 빌라에 막혀 뷰를 기대할 수 없고, 동쪽 또한 시공하트센터에 가려 좋은 뷰를 확보하기 힘들다. 오직 서쪽만이 좋은 뷰를 제공하고 있다.

DESIGN PROCESS

440

RYU, JAE HUN 441


Jung, Gi-Jung Studio 2학년 정기정 스튜디오 Lee, Sang-Myeong 이상명

BOOK CAFE 비움과 채움 사이트는 서울의 대표적 부촌인 평창동 일대의 경사진 부지이다. 경사를 따라가면 북한산이 자리 잡고있다. 이러한 자연환경과 조용한 주변 환경에 순응하는 건물을 짓고자 하였다.

442

LEE, SANG MYEONG 443


Jung, Gi-Jung Studio 2학년 정기정 스튜디오 Ryu, Jae-Hun 류재훈

SMALL CHURCH The Position of Church in Park 공원이라는 공공의 장소에 사적인 성격이 강한 종교건물이 위치하게 된다는 것은 대중에게 반발감이 생길 수 있다. 어떻게 이 반발감을 줄여 종교 공간이 공원에 녹아들게 할 것인가? 또한 유동인구가 많은 사이트에서 어떻게 그 유동인구를 끌어들일 것인가?

CONCEPT DIAGRAM

444

RYU, JAE HUN 445


Jung, Gi-Jung Studio 2학년 정기정 스튜디오 Seo, Hyun-Min 서현민

CHURCH IN NATURE A New Image of the Church in the Park 자연 친화를 추구하고자 공원이 되었으나 정작 그 모습은 텅 빈 광장과 같은 대지가 있다. 이 대지에 자연의 모습을 심어주고, 그 곳에 사람을 위한 작은 교회를 짓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 때 자연친화적인 공원, 그리고 그 공원 속 교회의 이미지는 어떠할까? 빈 땅에 자연의 요소인 숲을 심고, 숲을 바라보는 교회를 지어 본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 종교가 소통하고, 인간에게 휴식과 치유의 시간을 누릴 기회를 제공한다. 그렇게 또 하나의 새로운 공원 속 교회의 이미지를 만들어 본다.

ELEMENTS of NATURE

FOREST and CHURCH

CHURCH in NATURE

1 2 3 4 5 6

446

HALL CHAPEL CAFE DECK OFFICE TOILET

floor plan

roof plan

SEO, HYUN MIN 447


Kim, Jeong-Im Studio 2학년 김정임 스튜디오 Kang, Seung-Il 강승일

COMMUNITY HILLS 이 사이트는 좋은 전망을 갖추고 있으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사이트와 주 도로간의 경계를 허물어 사람들은 쉽게 이곳에 접근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이트의 레벨을 도로와 맞추어 이곳의 지붕은 언덕이 되고, 공공 장소가 형성된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이 지붕 언덕을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카페 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 언덕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평창동 주민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것이며 이곳은 곧 공동체 장소로도 변화할 것이다

Clear Boundary

448

Unclear Boundary

Boundary is blurred And Public Space is derived

B-B’ Section KANG, SEUNG IL 449


Kim, Jeong-Im Studio 2학년 김정임 스튜디오 Lee, Hee-Won 이희원

BOOK CAFE As a Traditional Landmark 사이트가 위치한 평창동은 많은 유적들이 분포하고 있는 전통적으로 의미있는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창동에는 제대로 된 전통적 요소가 없다. 그래서 북카페를 평창동의 전통적 랜드마크로서 만들어 보고자 한다. 또한, 전통의 건축적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TRADITION DIAGRAM

BOOK DIAGRAM

Traditional Door Pattern

Multi-Level Floor

Flexible Space Use

450

LEE, HEE WON 451


SITE PLAN

Kim, Jeong-Im Studio 2학년 김정임 스튜디오 Kang, Hee-Moon 강희문

SQURE 교회에 있어서 광장의 의미는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대의 종교 건축물에서는 광장의 의미가 점차 퇴색되고 있다. 이번 과제에서 종교건축에서 가지는 광장의 의미를 다 시한번 되새기고자 한다.

CONCEPT

CHAPEL DESIGN

SECTION

PROGRAM DIAGRAM

452

KANG, HEE MOON 453


Kim, Jeong-Im Studio 2학년 김정임 스튜디오 Kim, Yeong-Hyoen 김영현

The Holy Trinity - Triangle 능안 공원은 뒤쪽에 정발산이 위치하여 주민들이 정발산을 가기위해 많이 지나다닌다. 그래서 정발산과 연결된 듯한 디자인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Site에 3개의 입구가 있는데 이 것을 보고 기독교의 상징물인 삼위일체를 생각하였다. 단지 상징물로만 디자인에 그치지 않고 삼위일체 상징물로 인해 3가지 외부 공 간이 나누어지고 삼위일체를 뜻하듯 3가지 공간이 중심에서 만나는 것을 생각하였다.

PROCESS

STUDY

Program

454

KIM, YEONG HYOEN 455


SECTION PLAN - A, B

Kim, Seung-Hee Studio 2학년 김승희 스튜디오 Cho, A-Ran 조아란

BEYOND BOOKS As this site arounded with natural view of mt.Bukhan, people who visit there can enjoy nice feeling with its sightseeing. ‘decent life with books’ was a image that i’d like to make. I thought there are big three views and made three mass to project the views.

PROCEDURE

SITE PLAN

1F Plan

2F Plan

3F Plan

456

CHO, A RAN 457


Kim, Seung-Hee Studio 2학년 김승희 스튜디오 Koo, Bon-Yeop 구본엽

URBAN MOUNTAIN TEMPLE 불교 건축에서 눈에 띄게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깊이 들어가면서 지나가게 되는 관문이다. 일왕문 천왕문 금강문 과 같은 문을 통과하면서 방문자는 속계에서 벗어나서 성스러 운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를 구조체에 적용시켜 밀도의 차이를 이용해 공간을 나누고 그 공간은 관문을 통과해가는 과정을 거치게 해준다.

A-A’ Section

2F Plan 458

KOO, BON YEOP 459


Kim, Seung-Hee Studio 2학년 김승희 스튜디오 Kim, Min-Kyu 김민규

마지막 인사 소규모 종교건축 종교안에서 죽음은 삶과 공존하게된다. 하지만 그동안의 종교건물은 이러한 공존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종교건축물에 영결식장을 둠으로써 삶과 죽음의 공존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죽음이라는 것은 종교적으로 성령의 품에 안긴다는 의미이므로 성령의 모습 중 하나인 비둘기를 컨셉으로 잡았다.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C-C’단면도 성령의 모습인 비둘기의 날개를 모티브로하여 건물의 외관을 형성함 460

KIM, MIN KYU 461


1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RCHITECTURAL REVIEW 2011


Hwang, Jie-Eun Studio 1학년 황지은 스튜디오 Kim, Jin-Kyung 김진경

관찰과 표현 bone & texsture 키위의 특징을 관찰하고 표현할 특징을 정한 후 그에 맞는 재료와 표현방법을 생각하여 모형을 만들었다. 키위를 세로로 잘라서 생긴 단면을 보고 하얀색 기둥을 중심으로 가 지같은 것들이 질서정연하게 뻗어나가 있는 것과 그 사이사이에 검정색 씨가 박혀있는 모습을 관찰하여 이를 표현했다. 또 전체적인 질감도 나타내고자 하였다. 흰색 점토로 만든기둥에 나무 막대를 돌려가며 꽂아 가지를 표현하였고 사이사이에 박혀있는 키위씨를 표현하기위해 나무막대 사이를 털달린 철사로 감았다. 또 부드럽고 무 른 키위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하늘하늘한 재질의 종이를 나무막대에 매듭지어 고정시켜 껍질 속 키위의 질감을 나타냈다.

464

KIM, JIN KYUNG 465


Hwang, Jie-Eun Studio 1학년 황지은 스튜디오 Park, Jung-Hun 박정훈

2D TO 3D EXPLOSION 2D에서 길이와 너비가 점차적으로 커져가는 직사각형들의 집합에서 폭팔하는 모습을 느꼈다 이를 3D로 재구성 하는데 있어서 직사각형을 위로 넓어져가는 사각기둥의 모습 으로 표현함으로써 좀더 입체적인 폭팔을 표현하려 하였다. 두께가 있는 우드락이아닌 얇은 색지를 이용해 사각기둥을 표현하여 구조물 자체보다 구조물 안쪽의 공간에 중점을 두었다.

466

PARK, JUNG HUN 467


Hwang, Jie-Eun Studio 1학년 황지은 스튜디오 Kim, Doek-Yu 김덕유

인체와 척도 Different level, Different use 작업공간과 휴식공간의 높이를 다르게 해서 장소의 용도를 구분했다. 두 층사이의 높이를 적절히 설정하여 집의 어떤 곳에서도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이 보이도록 했다. 작업시 적절한 휴식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휴식공간에 큰 창과 책장을 두었 고 주방같은 경우에는 바(BAR)느낌이 나게 구성했다.

1

평면도

2 1. view from above 2. view from side 3. view from inside

단면도 468

3 KIM, DOEK YU 469


Hwang, Jie-Eun Studio 1학년 황지은 스튜디오 Kang Yeong-Woong 강영웅

인체와 척도 Work and Privacy 두 사람이 함께 생활하면서 복도를 중심으로 개인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함께 사용하는 공간인 침실을 나누고 다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끼리는 층으로 구분하 여 작업에 몰두 할 수있게 구성했다.

1

1. view from left upside 2. view from the front side

횡단면도

평면도 470

2 KANG YEONG WOONG 471


Kim, Sung-Hong Studio 1학년 김성홍 스튜디오 Kim, Sung-Min 김성민

관찰과 묘사 TEXTURE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실제 호박의 촉감, 색깔, 모양 등을 표현해 보았다. 겉껍질의 질기고 거친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질긴 바닥장판에 물감을 칠했고, 호박 안부분의 복잡 하게 엉켜있는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가는 요소가 복잡하게 엉켜 있는 스펀지를 사용하였다. 호박 씨의 단단하고 둥근 모양을 표현할때는 씨와 모양이 비슷하고 단단한 인조 네일을 사용하였다.

REALITY

472

KIM, SUNG MIN 473


Kim, Sung-Hong Studio 1학년 김성홍 스튜디오 Lee, Kyung-Jin 이경진

FROM 2D TO 3D connectivity 주어진 2D를 3D로 변환함에 있어서 2D를 선들의 연결성으로 해석했다. 위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그림의 연결된 선들이 나타나고 옆쪽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면과 볼륨감 있는 입체를 놓아 공간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474

LEE, KYUNG JIN 475


Kim, Sung-Hong Studio 1학년 김성홍 스튜디오 Ree, Jong-Seo 이종서

FROM 2D TO 3D 속도 주어진 그림의 선들에서 방향이라는 규칙을 보았다. 이 규칙에 움직임을 주어 속도감을 나타내려 하였다.

476

REE, JONG SEO 477


Kim, Sung-Hong Studio 1학년 김성홍 스튜디오 Kim, Su-In 김수인

인체와 척도 소통과 분리 두 사람이 한 공간을 함께 쓰는데 있어서 각자의 개인적인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같이 한 공간을 쓰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배치했다. 전체크기가 50제곱미터로 크지않기 때문에 최대한 단순하고 시원하게 공간을 분리하여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했다.

478

KIM, SU IN 479


Cinn, Eun-Gee Studio 1학년 신은기 스튜디오 Lee, Seung-Ha 이승하

관찰과 묘사 ABSTRACTION 바나나가 갖는 구조를 최대한 간단한 기본도형으로 Abstraction 하였다. 그 과정에서 바나나의 구조를 단면과 옆면의 구조를 모두 자세하게 관찰했다. 단면에서는 세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옆면에서는 관과 같은 긴 구조들의 잡합으로 각각을 Abstraction하여 표현했다.

CROSS SECTION

480

LEE, SEUNG HA 481


Cinn, Eun-Gee Studio 1학년 신은기 스튜디오 Lee, Moon-Kyu 이문규

FROM 2D TO 3D STACK BLOCK 들의 집합체로 해석하고 그 Block들을‘Stack’ 을 통해 3D로 변환했다. 2D를‘Block’ Block 크기의 변주와 Stack 방향의 변주로 영역들을 구분 짓고, 최종적으로 파생된 각각의 영역들을 하나로 합쳐서 구조물의 내부에 변주를 통한 다양한 질감을 볼 수 있는 빈 공간이 나타나도록 영역들의 집합체를 구조물로 만들었다. Stack Block 을 통해 단순히 바닥면에 지지하는 것이 아닌 독립된 구조를 표현하고 싶었다.

482

LEE, MOON KYU 483


Cinn, Eun-Gee Studio 1학년 신은기 스튜디오 Lee, Chan-Soo 이찬수

FROM 2D TO 3D DATA 3D인 사물을 보고 2D로 나타내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사물의 일면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과 사물이 가진 Data를 함축해서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번 과제에서 본인은 주어진 그림을 후자의 방법을 통해 나타내진 것으로 보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입체가 만들어내는 공간이 아닌 선과 구로 이루어진 공간을 보고자 했다.

DATA TO 3D

-Base on sphere Color => Height

Shape => Diameter &Size

484

LEE, CHAN SOO 485


Cinn, Eun-Gee Studio 1학년 신은기 스튜디오 Park, Chan-Bum 박찬범

인체와 척도 Multi-Level Work Place 공간사이에 Level차를 둠으로써 사적공간의 독립성을 확보해주었고 Level차로만 공간의 경계를 규정한 Open plan을 통해 작업실 내에서 사용자들이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Open plan과 상부open으로 탁트인 공간을 구성하여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듯한 느낌이 연출되도록 하였다.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을 최소화 하였고, 가구는 매스의 연장선상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FLOOR PLAN 1

2

1. front view 2. view from above 3. view from inside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3

486

PARK, CHAN BUM 487


Hwang, Hyo-Seok Studio 1학년 황효석 스튜디오 Seo, Yu-Seon 서유선

관찰과 묘사 FORM & TEXTURE 파프리카의 형태는 조각조각의 요소를 통해 전체의 형태를 떠올릴 수 있도록 추상화 시켜 표현하였다. 또한, 파프리카의 매끈매끈 하고 반짝반짝한 질감은 먼저 철판이라는 소재를 통해부드러운 곡선으로 나타 내었고, 여기서 발전하여 거울지에 일정한 패턴을 새겨 접음으로써 반짝반짝한 질감을 더욱 강조하여 표현해보았다.

488

SEO, YU SEON 489


Hwang, Hyo-Seok Studio 1학년 황효석 스튜디오 Yang, Hyun-June 양현준

FROM 2D TO 3D 숲 속의 산책로 맑고 청량한 공기, 시원한 바람. 깊은 산속, 아무도 모르는 곳에 숨겨진 숲 속의 산책로. 원본 그림의 기하학적인 요소를 살려 신비로운 공간을 자아내었다. 삼각형의 경우, 윗쪽으로 뾰족하면 윗방향, 아랫쪽으로 뾰족하면 아랫방향을 향하게 하였다. 사각형의 경우, 세로로 길면 윗방향, 가로로 길면 아랫방향을 향하게 하였다.

490

YANG, HYUN JUNE 491


Hwang, Hyo-Seok Studio 1학년 황효석 스튜디오 Kim, Jong-Ul-Rim 김종울림

FROM 2D TO 3D Li-castle 원본‘castle and sun’ 에서 주로 색감으로 표현된 castle을 line의 요소를 사용하여 3D로 재구성 해 보았다. (li-castle : line-castle & re-castle) 우선 원본 그림에서 색감요소를 모두 배제한 체 선(line)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주어진 그림을 단순화 시켰다. 그 후 선과 선이 교차하면서 생기게 된 점들을 성격별로 분류하 였다. 그리고 그 분류된 점들을 이어 다시 선으로 표현하고, 마지막으로 그 선들을 모두 모아 높이값을 매겨 줌으로써 3D로 표현해 보았다.

IDEA

492

KIM, JONG UL RIM 493


Hwang, Hyo-Seok Studio 1학년 황효석 스튜디오 Song, Ju-Yik 송주익

2명의 건축가를 위한 설계공간 나눔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나눔을 중심으로 휴식공간, 수납공간, 공동이용공간 등 50제곱미터의 공간을 최대한 나누었다. 그 나눔의 중심에는 나무 한그루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분할을 유도하였다.

494

SONG, JU YIK 495


2011 졸업설계를 마치며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설계를 잘 한다고 칭찬해주고 싶은 순간이 여러 번 생기지만 칭찬 후에는 다음 번 마감에 거의 예외 없이 수준이 저하되는 것을 보며 칭찬만큼은 인색해야 한다는 교육철학과 방법론 사이의 갈등이 있습니다. 그런 갈등에서 벗어나 마음껏 칭찬해 줄 수 있는 기회가 5년에 한 번 주어진다면 바로 졸업설계를 마치는 시점이라고 생각됩니 다. 졸업설계와 졸업전시회는 여러분이 건축가의 길을 걸어가는데 있어서 통과하는 공식 적 관문이자 엄연히‘작가’ 로 등단하는 자리이니까요.

건축을 잘한다는 것은 개인의 디자인 감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괴담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이번에 경험했듯이 본능적 디자인 감각 외에도 치밀한 계획능력, 통솔력, 그리고 꾸준한 노력이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 알 수 있었을 겁니다. 그런 것에 비하면 개인기라는 부분은 생각 외로 초라해짐을 느낍니다. 건축설계를 하는데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몇 번의 자신감을 boost해주는 기회들입니다. 이번 졸업작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면 그러한 boost가 일어나는데 도움이 되어, 한 동안 설계에 대한 불 을 태울 연료가 마련되겠죠. 그러나 결과에 상관 없이 졸업설계를 통해 여러분이 갖고 있 던 생각을 건축의 형식으로 표현해내는 방법론을 습득했다면 그것만으로도 여러분은 큰 배움을 얻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올해 졸업 설계는 특히나 여러분들에게 힘들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건설업계에 드리워 진 어두운 그림자와, 실무/기술적 맥락에 대한 조건들이 점점 더 강해지는 교육조건에 대 한 부담도 분명히 있어서 시작부터 페널티를 갖고 시작한 셈이죠. 우리학교 학생들의 진 지하고 탁월한 설계능력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번 졸업설계는 저 역시 내심 걱정을 많 이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은 기대치 이상이었습니다. 이번 졸업설계를 통해 지난 4년간의 배움을 자신만의 주제와 멋지게 결합시켜내었을 뿐 아니라, 후배 학생들에 게까지 모범을 보이며 학교 전체를 축제와 같은 결속력으로 엮어냈습니다. 이것 역시 학 교의 전통을 새로이 가꾸는 작업이었고, 협업의 체험이 학교 차원의 귀한 무형 자산으로 축적되었습니다. 매년 발전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 즐겁습니다. 이번 학년도 학생들의 졸업설계는 앞으로도 나의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습니다.

7개월 간의 폭풍 크리틱을 인내한 반짝이는 눈동자들에 감사하며…

2011년도 졸업설계 코디네이터

496

최 상 기 교수 드림

CHOE, SANKI 497


FULL - TIME FACUL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Park, Cheol-Soo 박철수

Kim, So-Ra 김소라

Professor Emeritus

Associate Professor / Housing and Urban Design Ph.D. University of Seoul, Korea B.S. M.S. in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Korea

Assistant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M.Arch.,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A B.S. in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Hong, Dae-Hyung 홍대형 Professor / Architectural History, Architectural Design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B.S., M.S. in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Choi, Chan-Hwan 최찬환

Shin, Buhm-Shik 신범식

Lee, Chung-Kee 이충기

Choe, Sanki 최상기

Professor Emeritus

Professor / Public Policy and Regulations, Urban Planning Ph.D.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Korea M.S. in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B.S., M.S. in Architecture, Yonsei University Korea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and Theory Ph.D. Hanyang University M.Arch, Oklahoma State University, USA B.S. in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Assistant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M.S. in Architecture, Yonsei University, Korea B.S. in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Assistant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M.Arch., Harvard University, USA B.S. in Architecture, Yonsei University, Korea

Lee, Teuk-Koo 이특구

Song, In-Ho 송인호

Pai, Hyung-Min 배형민

Hwang, Jie-Eun 황지은

Blaz Krizinik

Professor Emeritus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and Theory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B.S., M.S. in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 Architectural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Ph.D. in Architecture, Art and En-vironmental Studies, Department of Architecture, MIT, USA B.S., M.U.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ssistant Professor / Design Technology & Informatics D.Des., concentrated on Design Informatics,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USA M.S., in Housing & Interior Design, Yonsei University, Korea B.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Korea B.S., in Housing & Interior Design, Yonsei University, Korea

Visiting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Sociology Ph.D., in sociology, University of Ljubljana, Slovenia M.Arch., Academy of Architecture, Rotterdam B.S.,in Architecture, University of Ljubljana

Ahn, Young-Bae 안영배

Kim, Sung-Hong 김성홍

Rieh, Sun-Young 이선영

Bart Reuser

Program Founder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and Theory Ph.D. in Architectur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M.Arch.,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B.S. in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Sustainable Architecture M. Arch.,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B.S., M.S. in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Korea

Visiting Professor / Architectural Design and Theory B.S., in Architecture, University of Technology Delft, Netherlands Postgraduate study in fine Arts, Jan van Eijck, Academy of Design, Maasstricht, Netherlands

The late Ryu, Young-Jin (고)유영진

498

Professor /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Ph.D.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B.S., M.S. in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Architectural Design Ph.D., Yonsei University, Korea B.S., M.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Honorable Professor B.S., M.S. in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FULL - TIME FACULTY 499


University of Seoul Tel. 02-2210-2114, http://www.uos.ac.kr Department of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Tel. 02-2210-2252, 2295 Fax. 02-2248-0382 http://archi.uos.ac.kr/, www.uosarch.ac.kr

Copyright â“’ 2011 DEPARTMENT OF ARCHITECTURE, 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Organized by

design by_ HANA 02-2273-7294

500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