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Docs 2015 catalogue

Page 1

7회 DMZ 국제다큐영화제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Sponsors


Contents 목차

Official Poster / Official Logo 포스터 / 로고

011

포스터/로고

Official Poster/Official Logo

잊지 말아야 할 분단 70년,

012

트레일러/슬로건

Official Trailer/Official Slogan

실향민의 아픔을 포스터에 담다!

013

축사 및 인사말

Greetings & Message

019

조직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Organizinig Committee & Excutive Committee

020

영화제 스태프

Festival Staff

세대가 공감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제작 되

021

자원활동가

Volunteers

었다. 70년 전, 철책선이 들어섰을 당시 앳된 소

022

시상내역

Awards

년이었을 사진 속 할아버지는 주름이 성성한 얼

023

심사위원

Jury

028

개막작

Opening Film

030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미해져 가고 있지만 점점 나이가 들어가는 실향

043

아시아경쟁

Asian Competition

민들은 하루가 일분일초 같은 시간이다. 결국 포

052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스터 속 할아버지는 고향 땅을 밝지 못한 채 몇

061

청소년경쟁

Youth Competition

068

글로벌 비전

Global Vision

092

한국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108

특별상영작

Special Showcase

포스터 | 김녕만

Photography | KIM Nyeong-man

110

다큐패밀리

Docs Family

포스터 속 사진은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녕만이 1993

120

분단70년 특별전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년 파주에서 촬영한 것으로 2013년 DMZ사진전

132

아트 앤 다큐

Art and Docs

152

Docs for EDU

Docs for EDU

156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특별상영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162

경기대학생 다큐제작지원작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겸 대표로 재직했으며 상명대 영상학부 겸임교수, 동강

164

아시아공동제작네트워크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국제사진제 운영위원, 대구사진비엔날레 조직위원을

166

DMZ 제작지원

DMZ Docs Fund

176

프로그램 부대행사

Program Events

180

분단70년 프로그램 부대행사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Program Events

182

특별행사

Special Events

The picture in the poster was shot by photographer KIM Nyeong-man in in Paju in 1993 and was exhibited at the DMZ photo exhibit entitled <TWO LINES: Korean DMZ and German Green belt, from Death Line to Life Line>. KIM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hotography at Chunggang University in 1978 and then worked as a reporter for Donga Ilbo Newspaper, covering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and with access to Panmunjeom and the Blue House. After leaving Donga Ilbo in 2001, he was the published and director of Monthly Photography Art as well as an adjunct professor for the Department of Photography and Visual Media at Sangmyung University, an organizing committee member of Donggang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and the chairman of the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Daegu Photography Biennale. He received an award at the 52nd Seoul City Arts Awards in 2003 and the Award for Best Foreign Photographer at the Hakashika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in Japan in 2005.

184

도움주신 분들

Acknowledgements

로고 | 흰기러기 <백로기>

Logo | White Goose <Bekrogi>

186

필름 제공처

Contacts

포스터에는 DMZ영화제 마스코트인 흰기러기 <백로기>

‘Bekrogi’, the white goose which is the mascot for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featured in the poster to symbolize peace, communication, life over the barbed wire fence that divides the nation. It is a connotation of the festival’s desire and goal of seeing the reality of a divided nation through documentaries, identify with and communicate the pain of being divided and bring about healing.

190

작품색인

Index of Films

192

감독색인

Index of Directors

올해의 포스터는 분단 70년, 실향민의 아픔을 통해 잊혀진 세월을 상기하고 분단의 아픔을 전

굴이 되어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하며 실향민 의 아픔을 절절히 전한다. 살아 생전 그곳에 한 번이라도 갈 수 있다면… 분단의 현실이 점점 희

해 전 작고하였다. 할아버지와 같은 실향민이 더 많아지기 전에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하며 올해 의 포스터를 완성했다.

<TWO LINES: 한국 DMZ, 독일 그뤼네스 반트>를 통 해 발표했다. 김녕만은 1978년 중앙대 사진학과를 졸 업한 후 동아일보 사진기자로 광주민주화운동을 취재 했고 판문점과 청와대 출입기자로 일했다. 2001년 동 아일보를 사직한 후 2015년 까지 월간사진예술 발행인

맡기도 했다. 또한 사진으로 역사의 기록을 남긴 공로 로 2003년 제52회 서울특별시문화상을 수상했고, 2005년에는 일본 히가시카와 국제사진 페스티벌에서 해외작가상을 받았다.

로고를 넣어 흰기러기가 분단의 철책선을 뛰어넘어 평 화, 소통, 생명을 전하는 모습을 상징화했다. 광복 70년 그리고 분단 70년, 다큐멘터리를 통해 분단의 현실을 바라보고, 분단의 아픔을 공감하고 소통하며 치유하자 는 올해 영화제의 바람과 목표를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The poster bears the heartache of being a divided nation for 70 years and those who have lost their homes! This year’s poster was made to enable people of all generations to remember forgotten times and feel the pain of having the nation torn in two by remembering the heartache of living in a divided country for 70 years and the pain of those who have lost their homes. The lines on the seasoned face of the elderly man in the picture, who must have been just a little boy when the barbed wire fence was first put in 70 years ago, staring toward his home that he longs to return to but cannot conveys the heartache that those who have lost their homeland must live with. If I could only go back once before I die... To these people, a day is like a minute or a second as the reality that the country is divided is being forgotten and they are gradually aging. The old man in the poster passed away without ever being able to return home. We completed this year’s poster with prayer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even more people like him lose their homeland forever.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


Official Trailer / Official Slogan 트레일러 / 슬로건

Greetings 축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종덕 Minister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KIM Jong-deok

갑돌이와 갑순이

Gabdol and Gabsun

no more 70, never more DMZ

The official trailer for this year’s festival was inspired by the poster for the movie ‘Gabdol and Gabsun’. The two people in love being forced to part ways symbolizes the tragedy of the past 70 years.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s white goose squeezes dangerously through the barbed wire fence. A young Gabdol and Gabsun who are holding hands and dancing in joy at the country’s regained independence are force to let go each other when the land is divided. Time passes and the two grow old, always longing for each other. Director KIM Dong-won, a noted Korean documentary filmmaker, directed the trailer with [Meditation with a Pencil], an animation studio, joining him to illustrate painful history through beautiful animation so that people of all ages can learn about the festival in the 70th year since the country was both liberated and divided.

올해 영화제의 공식트레일러‘ 갑돌이와 갑순이’ 는 영화제 포스터에서 영감을 받아 분단 70년의 비극을 사랑하는 연인의 이별로 상징화 했다. DMZ영화제의 상징인 흰기러기가 철조망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피해간다. 해방과 함께 손을 마주잡고 춤을 추던 어린 갑돌이와 갑순이는 곧이어 벌어진 분단으로 손을 놓 치고 멀어지고. 세월은 흐르고 흘러 두 사람은 백발의 노인이 되어서도 서로를 그리워하고만 있다. 대한민국 다큐멘터리의 대가 김동원 감독이 총 연출을 맡 고,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가 참여한 이번 트레일러는 아픈 역 사를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여 어린 세대에게도 광복 70년, 분단 70 년을 알리고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층에게 영화제를 알릴 수 있도록 하였다.

‘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의 개막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광복 70년을 맞이한 올해는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의미가 더욱 각별 합니다. DMZ-비무장지대는 전쟁과 휴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증명 하는 장벽인 동시에 남과 북을 이어줄 평화의 다리이기도 합니다. 민족분단의 상흔을 간직한 DMZ에서 열리는 이 영화제가 전 세계에 생명과 평화, 그리고 소통의 의미를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올해 DMZ국제다큐영화제에는 전 세계 43개국 102편의 작품이 함께 합니다. 영화제를 찾아주신 관객 여러분께서 다양한 다큐영화들을

총 연출 | 김동원

Director | KIM Dong-won

김동원 감독은 19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상계동 빈민촌 철거 현장의 모습에 충

Director KIM Dong-won was shocked by the slums of Sanggyedong being wiped out in preparation for the 1988 Seoul Olympics and joined them in their struggle, making the choice to walk down the path of a documentary filmmaker. His record of the 3 years he spent with the residents of Sanggyedong entitled Sanggyedong Olympics is the quintessential practical documentary which invoked a wide response in Korean society and became a monumental piece in Korean documentary history. He went on to establish [Purun Yongsang], a documentary creating group, in 1991 and has continued to write the history Korean documentaries by producing numerous works. He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Independent Filmmakers Committee, the Director of the Korean Artists Association and the Chairman of the Korean Independent Film Association and is considered the pillar of Korean documentaries and independent films. He is also on the advisory committee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격을 받고 그들의 투쟁에 동참하면서 다큐멘터리 감독으로서의 삶을 선택했다. 상계동에서 주민들과 함께한 3년의 기록을 담은 <상계동 올림픽>은 한국 다큐 멘터리 역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작품이자 실천적 다큐멘터리의 정수로서 사회 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이후 1991년 다큐창작집단인 [푸른영상]을 설립하여 지금까지 쉬지 않고 수많은 다큐영화를 제작해 대한민국 다큐멘터리 의 살아있는 역사로 불린다. 독립영화협의회 의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영화 위원장,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다큐멘터리와 독립영화 계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 잡고 있다.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전문위원이기 도 하다.

통해 감동과 즐거움을 한껏 느끼시길 바라며, 이번 영화제가 전 세계 다큐영화인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앞으로도 한국 다큐영화를 향한 격려와 응원도 아낌없이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DMZ국제다큐영화제와 같은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체감하며 행복을 느끼는‘문화융성 대한민국’ 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이번 영화제를 정성껏 준비해주신 조직위원회와 집행위원회 관계자 및 스태프 여러분, 그리고 국내외 모든 관객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여러분에게 뜻깊은 추억이 되길 바랍 니다.

슬로건 | SHOOT THE DMZ

Slogan | SHOOT THE DMZ!

총도 쏘고 카메라도 쏜다. 총은 실상 무기지만, 카메라는 소통 도구다. 소통의

You can shoot with a gun or a camera. A gun is a weapon while a camera is a means of communicating. Communicating leads to peace. You can shoot with both but the end results are drastically different: death and dialog, division and peace. We wanted documentaries to show the vision of peace and unification for the future beyond the divided reality which the DMZ symbolizes.

결과는 평화다. 둘 다 쏘지만 그 결과는 죽임과 대화, 분쟁과 평화로 극명하다. 동시에 다큐멘터리가 DMZ로 상징되는 분단현장과 DMZ너머, 평화와 통일의 미래에 항상 주시하자는 취지를 담았다.

1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 heartily congratulate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n the opening of its seventh edition. In a year in which Korea celebrates the 70th anniversary of its independence, the meaning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even more pronounced.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both a barrier that testifies to the historical fact of war and armistice, and simultaneously a bridge that can lead to peace between North and South. It is my wish that this film festival, opening in the DMZ which enshrines the scars of a divided people, may serve as an impetus to newly recognize all around the world the value of life, peace, an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This year’s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being held with 102 films from 43 countries around the world. I hope that festival audiences may feel enjoyment and sympathy through the diverse documentaries on offer, and that the even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documentary filmmakers from around the worl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 humbly request your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Korean documentary filmmakers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other diverse cultural events, and will expend efforts to realize a “culturally prosperous Korea” that will enable citizens to experience culture and feel happiness in their daily lives. I would like to thank the members of the executive committee, the organizing committee and festival staff for their extensive preparations, and to the members of the audience from Korea and abroad. I hope th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vides precious memories for al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3


Greetings 축사

Message 인사말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DMZ국제다큐영화제 조직위원장, 경기도지사

김세훈

남경필

Chairman of Korean Film Council

Chairman of DMZ Docs,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KIM Sae-hoon

안녕하십니까.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김세훈입니다.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개최를 축하하며, 영화제를 준비하신 많은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DMZ지역은 남과 북이 대치한 긴장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평화의 가능성을 여는 희망의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공간에서 열리는 다큐멘터리 영화제가 벌써 7회째를 맞이하고 있다는 것은 영화가 문화의 경계를 넘어 전 세계의 평화와 공존공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다큐멘터리는 우리가 살면서 잘 보지 못하는 곳들에 빛을 비춰 다시 보게 만드는 저력을 가진 장르입니다. 한국영화가 다양하게 성장 하기 위해서도 다큐멘터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우리나라의 평화와 문화 다양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영화제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NAM Kyung-pil

Greetings to all. I am KIM Sae-hoon, the Chairm of the Korean Film Council. Congratulations on holding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thank you to all those who worked so hard in preparation for it. The DMZ is a tense place wher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at arms but I believe that it’s also a place that contains hope for the possibility of a another kind of peace. The fact that a documentary film festival that takes place in this space is now already in its 7th year is an important example of the possibility of cinema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culture and contributing greatly to pea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for the entire world. Documentaries are a genre that has the potential to shine light on places that we normally don’t notice and make us take another look. I consider the role of documentaries to be extremely important for Korean cinema to grow with diversity. I look forward to seeing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row into a film festival that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ensure peace and increased cultural diversity in Korea.

비무장지대 DMZ에 새겨진 시공간적 기록을 통해 평화, 소통, 생명의 새로운 의미를 재창조하는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분단 70년인 올해 DMZ국제다큐영화제가 민간인통제구역 내 캠프 그리브스에서 개막식을 열게 된 것을 아주 뜻 깊게 생각합니다. 영화의 한 장르로서 다큐멘터리가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그 자체가 역사의 한 페이지에 대한 생생한 기록이라는 점 때문입니다. 이번 영화제에 상영되는 43개국 102편의 다큐멘터리들은 분단과 분쟁에 주목한 영화들은 물론 우리의 삶과 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모습들에 대한 의미 있는 기록들입니다. 또한 올해 DMZ국제다큐영화제는 지난 6년간의 성과와 성찰을 바탕 으로 단단한 성장을 도모하고자 내실과 숙성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 들을 선보입니다. 가족, 청소년 관객을 위한‘ 다큐패밀리’ 섹션을 새로 선보이며, 다큐 멘터리가 낯설거나 무슨 작품을 봐야 할 지 망설이는 관객을 위해 ‘ 다큐가이드’ 가 상영관에서 직접 작품을 추천해 드립니다. 경기도민과 관객 여러분, 평화와 생명, 소통의 영화축제에서 즐거움과 함께 DMZ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Thank you.

Welcome to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ere a new meaning of peace, communication and life is recreated through spatio-temporal records in the demilitarized zone, the DMZ. It is truly significant that this year’s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olds its opening ceremony in Camp Greaves, a restricted area for civilians, since it is the 70th year since Korea’s division. The reason documentaries have a special meaning as a genre is that a documentary itself is a vivid record of a page in history. The 102 documentaries from over 43 countries being screened at this year’s festival are a meaningful record of the diverse reflections that compose our life and the world, including films that focus on division and dispute. Also, this year’s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shows different attempts for substantiality and maturation to secure strong growth based on the last six years of achievements and introspection. We will be presenting the “Docs Family” section for families and teenage audiences. Also, “Docs Guide” will personally recommend works to those who are unfamiliar with documentaries or hesitant over what to watch. I wish all the visitors and residents of Gyeonggi-do Province to enjoy this film festival of peace, life and communication and furthermore spend some time reflecting on what the DMZ really stands for. Thank you.

1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


Message 인사말

Message 인사말 DMZ국제다큐영화제 부조직위원장, 파주시장

DMZ국제다큐영화제 부조직위원장, 고양시장

이재홍

최성

Vice Chairman of DMZ Docs, Mayor of Paju City

Vice Chairman of DMZ Docs, Mayor of Goyang City

LEE Jae-hong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참여해주신 여러분, 진심으로 환영합 니다. 파주시에 접해있는 DMZ는 생명의 보고이자 남북교류 협력의 중심 지로 평화를 상징하는 의미 있는 장소로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를 캠프그리브스에서 개최하게 됨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합니다. 파주시의 DMZ에는 판문점, 임진각, 제3땅굴, 도라전망대 등 6.25 전쟁과 남·북한 분단의 현장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으며 최근 북한의 지뢰도발로 인해 남북 간의 군사적인 긴장이 상존하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시기에‘ 평화, 소통, 생명의 DMZ ’ 를 비전으로 하는 DMZ국제 다큐영화제를 파주시에서 개최하게 되어 우리가 앞으로 가져야 할 평화와 소통 그리고 남북공존의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신합니다. 또한 영화제 기간 중 캠프그리브스에서 DMZ국제다큐영화제 출품 작을 상영하고 이를 파주시 안보관광 셔틀버스와 연계하여 DMZ 지역의 생생한 안보체험과 다큐영화를 동시에 관람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CHOI Sung

A warm welcome to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e DMZ which borders Paju City is a repository of life and a symbol of the center of cooperation for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o it i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is being held at Camp Greaves. The DMZ at Paju City is a place where you can actually experience the scene of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th and where the two Koreas were divided, including places like Panmunjeom, Imjingak, Infiltration Tunnel 3, and the Dora Observatory. It is also the very place where military tension was at its peak because of the mine incident that North Korea instigated. Hosting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th its vision of “the DMZ of peace, communication, life’ in Paju City at a time like this makes be confident that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ecure the peace and communication that we need and present the direction that the two Koreas should go in order to co-exist.

이번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노력해 주신 관계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노고에 깊이 감사드리며, 평화와 통일의 염원을 담아 전 세계를 대표하는 영화제로 발전하길 기원 합니다.

Additionally, films in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ll be screened inside Camp Greaves during the festival period with Paju City’s Secure Tour shuttle bus taking you to experience the security measures being taken along the DMZ and view documentaries at the same time.

광복 70주년, 분단 70년을 맞이하여‘ 평화인권의 도시’그리고‘ 평화 통일특별시 ’고양시에서 제7회 DMZ 국제다큐영화제가 개최되게 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특히, 올해는 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전야제와 함께 시네마 콘서트, DMZ 평화 자전거행진, DMZ 로케이션투어 등 DMZ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어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 할 것입니다. 잘 알고 계시는 것과 같이 고양시는 대규모 K-POP 공연장, 한류월드내 K-컬처벨리 조성, 고양 관광특구지정, 고양 신한류 관광밸트사업 유치 등 방송영상 산업도시 및 국제적 문화교류 중심축으로 발전 시킬 것입니다. 금번 DMZ 국제다큐영화제를 통해 평화를 사랑하는 전 세계 영화인과 ‘꽃보다 아름다운 도시’고양시가 함께 평화·생명·소통의 가치를

Congratulations on hosting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the 70th year since Korea’s liberation and division in Goyang City, which aspires to become ‘a city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a special city of peace and unification’. This year’s film festival has especially prepared various programs for people of all ages to enjoy as they contemplate on the meaning of the DMZ, including the pre-celebrations to be held at Hanul Plaza in Ilsan Lake Park, the Cinema Concert, the DMZ Peace Bike Parade, and the DMZ Location Tour. I hope that this year’s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ll be one where filmmakers from around the world who love peace and Goyang Ciy, which has declared 2015 as ‘the first year of Goyang Special City of Peace and Unification’, come together to reaffirm the value of peace, life, communication.

확인하는 의미 있는 축제가 되길 기대합니다.

합니다. 8일간의 영화축제에서 만납시다.

My thanks go out to Festival Director Cho Jae-hyun and his staff for preparing this year’s film festival. I hope the festival grows to become an international festival that sends the message of pace to the world, fueled by all the cooperation and efforts that have been put in over the years. See you at the 8 days of the festival.

고맙습니다.

Thank you.

이번 영화제를 준비하신 조재현 집행위원장과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를 드립니다. 그간의 협력과 노력을 바탕으로 DMZ 국제다큐 영화제가 인류에게 평화를 알리는 세계적 축제로 발전하기를 기원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all those who put in so much effort for the successful opening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hope that the festival grow to become one that represents the world with its aspirations for peace and unification.

1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


Foreword 서문

Organizing Committee & Excutive Committee 조직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조직위원회 Organizing Committee

DMZ국제다큐영화제 집행위원장

조재현

집행위원회 Executive Committee

Festival Director

조직위원장 Chairman

CHO Jae-hyun

남경필 NAM Kyung-pil 경기도지사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집행위원장 Festival Director 조재현 CHO Jae-hyun (배우, 교수)

부조직위원장 Vice Chairman

올해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자 이를 상징하는 DMZ라는 공간에 있어서 각별한 해이기도 합니다. 이에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디엠지를 쏴라’ 는 슬로건으로 분단 70년을 되새기고,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분쟁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또한 다큐멘터리가 기억 하는 분단의 역사를‘북한’ 이란 예술적 키워드를 가지고 관통하고자 합니다.‘ 북한’ 을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과 포럼 및 전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DMZ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들을 다시 한번 깊이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물론 이처럼 진지한 주제와 미학적 완성도를 보여주는 작품 이외에도 다큐멘터리가 어렵고 지루하다는 편견을 깰 수 있는 흥미롭고 관객친화적인 프로 그램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특히 DMZ 접경지역의 시민들이 보다 쉽게 영화제를 즐길 수 있도록 친밀한 소통을 시도하고자 합니다. 이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다큐영화제로서 가져야 할 본연의 임무와 특색을 더욱 공고히 갖추어가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다큐멘터리 프로젝트의 다양한 제작지원을 통해서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및 신진감독 교육을 강화하였습니다. 올해는 새롭게 신설된 신진다큐제작지원과 한국다큐 배급지원을 비롯하여 아시아 및 한국다큐제작지원, DMZ프로젝트로 분류하여 지원합니다. 특히 아시아 공동제작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젊은 다큐멘터리 감독들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이해와 평화공존에 기여할 수 있는 다큐 멘터리를 공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2009년 첫 영화제 이후 두 번째로 민간통제선 안에 위치한 캠프그리 브스에서 개막식을 개최하는 만큼 분단의 미래를 다큐멘터리로 성찰 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사랑, 평화의 의미를 담은 미래의 서사들을 담아 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준비를 위해 애써주신 스태프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관계자분들께 무한한 감사를 드리며, 성공적인 행사 개최를 통해 보다 세계적인 영화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is year is a special year for the world’s only divided country, and the DMZ that symbolizes this division. Therefore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adopted the slogan, “Shoot the DMZ,” and is focusing its gaze on 70 years of national division, and conflicts taking place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 Furthermore we aim to penetrate the artistic keyword called “North Korea” and the documentaries that remember this history of division. We have prepared diverse screenings, a forum and exhibition program in order to take a look at North Korea without prejudice. This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once again consider deeply the questions that the DMZ poses to us. Of course, beyond these serious-themed, aesthetically accomplished works we have also prepared films that depart from the standard view of documentaries as being difficult and boring, and can win over the affection of audiences with their charm. In particular, we have attempted to draw closer to citizens living in regions bordering on the DMZ and to allow them to enjoy a film festival more easily. As Asia’s leading documentary film festival, this will inspire us to further develop our basic mission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 have also strengthened our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documentary projects in the hope of establishing an Asian documentary network, and our educational programs for up-and-coming directors. From this year we introduce production support for documentaries by new directors, and distribution support for Korean documentaries. Support is provided to Asian documentaries, Korean documentaries, and DMZ projects. In particular, with the Asian co-production network as its base, we plan to provide funding to encourage co-productions with young director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who will spread cultural understanding and peaceful coexistence. For the second time since the festival’s launch in 2009, the opening ceremony will take place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at Camp Greaves, signaling our intention to consider through documentaries the future of division, the inherent worth of humanity, and the meaning of love and peace. I’d like to thank all of the staff members and officials in Gyeonggi Province, Goyang City, and Paju City who worked so hard to prepare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by holding a successful festival I will work hard to establish the event as a major world film festival.

최재성 CHOI Sung 고양시장 (Mayor of Goyang City)

부집행위원장 Vice Festival Director

이재홍 LEE Jae-hong 파주시장 (Mayor of Paju City)

정상진 JUNG Sang-jin ((주)씨에이엔 대표이사)

조직위원 Organizing Committee Members

집행위원 Executive Committee Members

고문중 KO Mun-jung (고양상공회의소 회장)

김동원 KIM Dong-won (다큐멘터리 감독)

김동호 KIM Dong-ho (문화융성위원회 위원장)

박노철 BACK Roh-cheol (고양시 첨단지식산업과 과장)

김재훈 KIM Hoon (소설가)

서민원 SEO Min-won (독립PD협회 부이사장)

김방자 KIM Bang-ja (경기방송 대표이사)

서용우 SEO Yong-woo ((사)DMZ국제다큐영화제 사무국장)

김인환 KIM In-hwan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원장)

이재은 LEE Eun (명필름 대표,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김희겸 KIM Hee-kyum (경기도 행정2부지사)

이광기 LEE Kwang-gi (방송인, 연극인)

서병문 SEO Byeong-mun (경기콘텐츠진흥원 이사장)

이윤숙 LEE Yoon-sook (경기도 콘텐츠산업과 과장)

손재숙 SON Sook (연극인)

조진화 CHO Jin-hwa (영화나눔협동조합 부이사장)

안성기 AHN Sung-ki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 영화배우)

주재현 JOO Jae-hyun (변호사)

안태경 AHN Tea-kyoung (고양문화재단 대표이사)

최창의 CHOI Chang-ui (행복한미래교육포럼 대표)

오경석 OH Kyung-seok (경기농협본부장)

한우정 HAN Woo-jung (대진대학교 영화과 교수)

이순재 LEE Sun-jae (방송인, 연극인)

허재욱 HEO Wook (용인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이준익 LEE Joon-ik (영화감독)

홍순철 HONG Soon-chul (SBS 상무)

이진찬 LEE Jin-chan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

(가나다 순)

이춘연 LEE Choon-yun (영화인회의 이사장) 이필구 LEE Pil-koo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조창희 CHO Chang-hee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최창모 CHOI Chang-mo (건국대학교 히브리중동학 교수) 함영주 HAM Young-joo (KEB 하나은행장) 홍승표 HONG Seaung-phyo (경기관광공사 사장) (가나다 순)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9


Festival Staff 영화제 스태프

Volunteers 자원활동가

프로그램 어드바이저 Program Advisor

정지윤 JEONG Ji-yoon

신주련 SHIN Joo-ryun

프로그램팀 Program Team

김동원 KIM Dong-won

고우리 GO Woo-ri

오경주 OH Kyung-joo

조민화

정유나 JEONG Eu-na

강지안

정은영 JEONG Eun-young 이종호 LEE JONG-ho

조명진(파리) CHO Myoung-jin(Paris) 사무국장 General Manager 서용우 SEO Yong-woo

콘텐츠교육지원팀 Contents & Education Team 안지혜 AHN Ji-hye 성다은 SEONG Da-eun

프로그래머 Programmer

권은혜 KWON Eun-hye

전성권 JEON Sung-kwon

윤은지 YOON Eun-ji

한국 / 아시아 프로그래머 & 콘텐츠 교육지원팀장 Korean/Asian Programming· Contents & Education Team Leader 박혜미 PARK Hye-mi DMZ 다큐포럼 프로듀서·프로그램팀장 DMZ Docs Forum Producer & Program Team Leader 박미경 BAHC Mi-gyeong

박지영 PARK Ji-young 김희선 KIM Hee-sun 프로그램팀 Program Team 문일주 MOON Il-joo 박준호 PARK Jun-ho 이민호 LEE Min-ho 이유하 LEE Eu-ha 김효정 KIM Hyo-jung 초청팀 Hospitality Team 김유리 KIM Yu-ri 이효진 LEE Hyo-jin 임성지 YIM Sung-ji 홍보마케팅팀 Publicity Team 이진화 LEE Jin-hwa 이하늘 LEE Ha-neul 김선영 KIM Sun-young 이수빈 LEE Soo-bin

박주혜 PARK Joo-hye 황혜림 HWANG Hye-rim 양현정 YANG Hyun-jeong

MUN Jong-hyeon

박초롱

PARK Cho-rong

김아란

KIM A-ran

박서회

PARK Seo-hoi

박한솔

PARK Han-sol

박근구

PARK Keun-ku

박수경

PARK Soo-kyoung

서현호

SEO Hyun-ho

윤나리

YOON Na-Ri

박채림

PARK Chea-rim

오유미

OH Yu-mi

이소현

LEE So-hyoen

오미영

OH Mi-young

윤하영

YOON Ha-young

이영재

LEE Yeoung-jae

윤소진

YOUN So-jin

이동현

LEE Dong-hyun

이진솔

LEE Jin-sohl

이경민

LEE Gyeong-min

이승종

LEE Seung-jong

허윤수

HER Yoon-soo

정상훈

CHUNG Shawn

매니저 Manager 배준호 BAE Jun-ho

박하나 PARK Ha-na

정진홍

JEONG Jin-hong

윤선영 YOON Seok-young

조수민

ZOH Soo-min

팀넷코리아 TimnetKorea

Heather HONG

기술팀 Technical Team

기획운영팀 Management Team

김예주

KIM Ye-joo

KO Jin-a

언론홍보 PR Management

초청팀 Hospitality Team

고진아

윤석영 YOON Seok-young

메가폰 Megaphone

강보민

KANG Bo-min

노소현

NO So-hyun

김경아

KIM Kyoung-ah

황순태 HWANG Soon-tae 노은지 ROH Eun-jin

강지예

KANG Ji-yae

SOEL Han-sol

김다슬

KIM Da-seul

하샛별 HA Saet-byul

강태은

KANG Tae-eun

WEON Yun-ah

김시은

KIM Si-eun

행정지원 Administration Support

강현우

KANG Hyun-woo

유수현

YU Su-hyeon

김이현

KIM Yi-hyun

경기도청 콘텐츠산업과 Gyeonggi Provincce Government, Contents Industry Division

김상아

KIM Sang-ah

이지원

LEE Ji-won

김정복

KIM Jung-bok

김소희

KIM So-hee

CHOI Ha-young

김현정

KIM Hyun-jung

김시연

KIM Si-yeon

RA Hyun-hee

민동미

Min Dong-mi

박유진

PARK You-jin

KO Jong-hyun

박민규

PARK Min-kyu

박주연

PARK Ju-yeon

변민정

BYUN Min-jeong

송숙자

SONG Sook-ja

유명진

YU Myeong-jin

유아름

YU A-reum

유지은

Yoo Ji-eun

전주미

JEON Ju-mi

정나영

JUNG Na-young

한진희

HAN Jin-hee

황영선

HWANG Young-sun

김태희

KIM Tae-hee

이정민

LEE Jung-min

천명주

CHUN Myeong-joo

우예솜

WOO Ye-som

최하얀

CHOI Ha-yan

이응진

LEE Eung-jin

김동우

KIM Dong-woo

김주연

KIM Ju-yeon

황인지 Hwang In-ji 임하늘 YIM Ha-neul 서수미 SEO Soo-mi 박성하 Park Seong-ha 원준혁 WON Jun-hyuk

과장 Director 이윤숙 LEE Yoon-sook

홍새롬 HONG Sae-rom

팀장 Manager 장봉수 JANG Bong-su

이예은 LEE Ye-eun

이대열 LEE Dae-yeol

신지수

SHIN Ji-su

최다경 CHOI Da-gyung

김나윤 KIM Na-yun

심주언

박정원 PARK Jung-won CJ파워캐스트 CJ Powercast 장지욱 JANG Ji-uk

고양시청 Goyang City Hall 팀장 Manager 박성강 PARK Seong-kang

유영현 YOO Young-hyun

팀장 Manager 안보선 AHN Bo-seon

이은정 LEE Eun-jung

김일연 KIM Il-yeon

조아라 CHO A-RA

파주시청 Paju City Hall

자막번역 Translation

국장 General Manager 신규옥 SHIN Gyu-ok

최인선 CHOI In-sun

푸르모디티 FurmoDT 장규호 JANG Gyu-hak 이종문 LEE Jong-mun

과장 Director 박찬규 PARK Chan-kyu

박일동 PARK Il-dong

팀장 Manager 문창기 MOON Chang-gi

팀장 Team Leader 유경혜 Kay YOO

허영미 HEO Young-mi

은혜연 EUN Hye-yeon

배아름 BAE A-reum

조서연 CHO Seo-ye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KO Da-won

문종현

정혜진 JEONG Hye-jin

행사팀 Event Planning Team

20

고다원

KANG Ji-an

기술팀 Technical Team

송다빈 SONG Da-bin 기획운영팀 Management Team

장세인 JANG Se-in

홍보팀 Publicity Team

CHO Min-hwa

콘텐츠교육지원팀 Contents & Education Team

김신석 KIM Sin-seok

설한솔 원윤아

최하영 라현희 고종현

상영관팀 Theater Management Team 강선영

KANG Seon-yeong

SHIM Joo-un

이정연

LEE Jeong-yeon

양정석

YANG Jung-seok

김보경

KIM Bo-kyoung

오주연

OH Joo-youn

김수성

KIM Su-sung

이영선

LEE Young-sun

김지현

KIM Ji-hyun

이하정

LEE Ha-jeong

배유진

BAE You-jin

장수연

JAGN Su-yun

석지은

SEOK Jee-eun

제연주

CHE Yeon-ju

이다희

LEE Da-hee

최소영

CHOI So-young

이유진

LEE You-jin

최창민

CHOI Chang-min

임주승

LIM Ju-seung

조근혜

JO Geun-hye

조유영

JO You-young

최다빈

CHOI Da-bin

이예리

LEE Ye-ri

김지연

KIM Ji-yeon

최진원

CHOI Jin-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1


Awards 시상내역

International Competition Jury 국제경쟁 심사위원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흰기러기상(대상)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평화, 생명, 소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최우수 작품을 선정 하여 상금 15,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White Goose Award A cash of KRW 15,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심사위원 특별상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7,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아시아경쟁 아시아의 시선상 아시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10,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Special Jury Award A cash of KRW 7,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second best film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Asian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 한국경쟁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10,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Best Korean Documentary Award A cash of KRW 10,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in the Korean Competition section.

심사위원 특별상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5,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Special Jury Award A cash of KRW 5,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second best film in the Korean Competition section.

관객상

Audience Award

국제·한국·아시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관객들에 게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던 작품을 관객들의 투표로 선정하여 상 금 3,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A cash award of KRW 3,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favorite film voted by audienc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sian and Korean Competition section.

청소년 경쟁

Youth Competition

우수상 청소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5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용감한 기러기상 경쟁과 비경쟁에 상영된 한국 다큐멘터리 작품 중 주제 및 메시지 뿐만 아니라 영화적 실천으로써 용기와 신념을 보여준 작품에 상금 3,000,000원을 수여한다.

2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Jean-Pierre REHM, a graduate of the École Normale Supérieure and student of modern literature and philosophy, has been moving from teaching (history and theory of art and film) in various Art School to the French Ministry of Culture and curating exhibitions (Cairo Museum of Modern Art, Yokohama Art Center in Japan, Witte de With in Rotterdam, Fondation Caixa in Barcelona). In addition, he writes regularly for various media: exhibition catalogues, artists and filmmakers monographs (Roee ROSEN, TSAI Ming-Liang, Mark LEWIS, William EGGLESTON, Jimmie DURHAM, Peter FRIEDL, Jacques ROZIER, Isidore ISOU, etc.), art and cinema reviews like Cahiers du Cinéma, Trafic, etc. Since 2001, he is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Marseille, FIDMarseille.

안정숙은 민간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장 이다. 인디스페이스는 안정숙이 영화진흥위원장일 때 개관했으나, 그후 문을 닫았다. 현재의 인디스페 이스는 독립영화 상영관의 필요성을 절감한 영화인 들과 관객들이 기금을 모금하여 다시 문을 연‘ 민간 독립영화전용관’ 이다. 장르를 넘어서 한국 독립영 화들이 한해 50편 이상 상영된다. 안정숙은 일간지 「한겨레」의 영화기자, 영화주간지「씨네21」의 편집 장을 지냈다. 영화진흥위원회 3기(2005-2008) 위원 장으로 일했다.

AN Cheong-sook is the director of Indie Space, a privately owned independent theater, first opened when AN Cheong-sook was the Director of the Korean Film Council but closed after that The current Indie Space theater was opened again by filmmakers and moviegoers who raised funds for it because they felt an independent movie theater was absolutely necessary. Over 50 independent films are screened yearly regardless of genre. AN was a film reporter Hangyoreh Newspaper and served as the editor in chief at Cine 21, the weekly movie magazine. She was the third director (2005-2008) of the Korean Film Council.

프랑스계 독일 영화감독인 로무알트 카마카는 독일 영화와 유럽 역사의 관례에 강하게 반향을 일으키 는 작업을 해왔다. 카마카는 1985년부터 주로 미국 영화와 할리우드의 영향력 있는 인물을 다룬 단편 과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며 독립영화제작자로 일해 왔다. 그 이후로 그는 낭만적인 관계의 공포에서부 터 연쇄 살인마들, 전자 음악에 대한 감각적인 체험 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의 장편 영화를 찍었 다. 아마도 그는 독일 역사, 그 중에서도 나치 점령 의 문제에 대한 도발적이고 논쟁적인 작업들로 가 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Roumuald KARMAKAR is a German-born French filmmaker whose works react strongly to the conventions of German film and European history. KARMAKAR has been an independent filmmaker since 1985, working at first on mostly shorts and documentaries, mostly concerned with influential figures of American film and Hollywood. Since then, KARMAKAR has also explored the feature-length format, in which his subjects range widely from the terror of romantic relationships, to serial killers, to the sensual experience of electronic music. He is perhaps best known for his provocative and controversial works about loaded subjects in German history, notably the Nazi occupation.

Asian Perspective Award A cash of KRW 10,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in the Asian Competition section.

한국경쟁

최우수상 청소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1,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장 피에르 렘 Jean-Pierre REHM

장 피에르 렘은 에콜 노르말 쉬페르외르를 졸업했 으며 현대문학과 철학을 전공했다. 다양한 미술학 교에서 역사와 미술사, 영화를 가르치던 그는 프랑 스 문화부에서 일하며 카이로 현대미술관, 요코하 마 아트 센터와 같은 곳에서 전시 큐레이팅을 해왔 다. 또한 그는 전시 카탈로그나 미술가와 영화감독 에 대한 논문을 비롯해「카이에 뒤 시네마」나「트래 픽」과 같은 잡지의 영화 리뷰를 종종 써왔다. 그는 2001년부터 마르세유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의 디 렉터를 맡고 있다.

안정숙 AN Cheong-sook

Best Youth Documentary Award A cash award of KRW 1,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in the Youth Competition section. Excellence Award A cash award of KRW 5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second best film in the Youth Competition section.

Brave New Docs Award

로무알트 카마카 Romuald KARMAKAR

Nominated Korean films in competition and non-competitive section are eligible for the Brave New Docs Award with a cash prize of KRW 3,000,00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3


Asian Competition Jury 아시아경쟁 심사위원

부디 이라완토 Budi IRAWANTO

부디 이라완토는 인도네시아의 최초 아시아 영화제 인 족자-넷팩 아시아 영화제의 디렉터이다. 부디는 2006년 베를린 영화제, 2009년 필리핀 독립영화제, 2005~2008년 욕야카르타 다큐영화제, 2014년 자 카르타 동남아시아 다큐 영화제를 비롯하여 많은 영 화제에서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 그는 인도네시 아 영화에 대해 두 편의 저서를 가지고 있고 부산국 제영화제와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에서 창간 한 아시아 영화 잡지인 아시안 다큐멘터리 투데이에 기사를 기고하기도 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욕야카르 타에 위치한 가자 마다 대학 커뮤니케이션과에 출강 하고 있다. 그는 싱가폴국립대학교 동남아시아학부 에서 동시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영화의 문화 정치학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Korean Competition Jury 한국경쟁 심사위원 Budi IRAWANTO is director Jogja-NETPAC Asian Film Festival (JAFF), a premier Asian film festival in Indonesia. Budi served both as president jury and jury members in many film festival suc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6, Cinemalaya (Philippines Independent Film Festival) 2009, Yogyakarta Documentary Film Festival (Festival Film Dokumenter) from 2005-2008 and ChopShots Documentary Film Festival Southeast Asia 2014. He wrote two books on Indonesian cinema and contributed articles to the Asian Cinema journal and an edited volume of Asian Documentary Today(2012) published by Asian Network Documentary (AND) a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 is also lecturer in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tudies at the Gadjah Mada University (Yogyakarta-Indonesia). He just completed his research on cultural politics of contemporary Indonesian and Malaysian cinema for his PhD program in the Department of Southeast Asian Studie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후지이 다케시는 한국 현대사를 공부하고 있다. 현 재 성균관대 사학과 연구교수이자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실장으로 있으며, 성균관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파시즘과 제3세계주 의 사이에서』(역사비평사, 2012)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번역과 주체』(이산, 2005),『다미가요 제 창』(삼인, 2011) 등이 있다.

FUJII Takeshi studies Modern Korean History and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the Head of Research at the Historical Problems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is also teach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He wrote In Between Fascism and the Third World (Yeoksabipyeongsa Publishing, 2012) and translated Translation and the Subjectivity (Isan, 2005) and Damigayo Jaechang (Samin, 2011).

2000년 <보이지 않는 전쟁 - 인도 비하르 리포트> 공동연출로 다큐멘터리 작업 활동 시작한 이승준은 2002년 단편 다큐멘터리 <폐허, 숨을 쉬다>로 인디 다큐페스티벌, 서울독립영화제에 초청되었다. 2007 년 KBS수요기획 <들꽃처럼, 두 여자 이야기>로 한 국방송PD대상 외주제작부문 수상했으며 2008년 다큐멘터리 <신의 아이들>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꾸준히 방송다큐멘터리를 제작해왔으며 2011년 <달팽이의 별>로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장편부문 대상을 수상하였고 2014년 <달에 부는 바람>은 EIDF에서 유니세프특별상을 수상하였다. 방송과 영 화 영역을 나누지 않고 다큐멘터리 작업을 해왔으며 사람 사이의 소통, 공감에 관심이 많다.

LEE Seung-joon began documentary filmmaking as the co-director of Invisible War – Bihar, India Report. His short documentary Ruins Breathe was invited to Indie Documentary Festival and the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His KBS Wednesday Project Like Wildflowers, a Story of Two Women won the Award for Best Commissioned Work and his documentary Children of God (2008) won the NETPAC award a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 has continued to make TV documentaries and Planet of Snail (2011) won the Grand Prize at IDFA. Wind on the Moon (2014) Won the UNICEF award at EIDF.

하나 쿨한코바 Hana KULHÁNKOVÁ

하나 쿨한코바는 체코‘NGO PEOPLE IN NEED’ 에 의해 운영되는 프라하 원월드 국제 인권 다큐 영화 제의 집행위원장이다. 원월드는 현재 세계에서 가 장 규모가 큰 인권영화제이고 전세계의 사회적, 정 치적, 환경적, 미디어와 인권문제들을 다룬다. 그녀 는 마사리크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다. 그녀는 여러 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고 미국의 아방가 르드 영화의 역사와 성과 동성애에 관련된 이론을 가르쳤으며, LGBT를 지지하는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다.

Hana KULHÁNKOVÁ is a director of the One World International Human Rights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Prague, organized by Czech NGO People in Need. One World is currently the biggest human rights film festival in the world which focuses on social, political, environmental, media and human rights issues from all over the globe. She graduated from the Faculty of Arts of Masaryk University in Brno with a degree in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She has worked for other film festivals (Mezipatra, Febiofest) as a programmer and has taught history of American avant-garde film as well as gender and queer theory and is active in LGBT advocacy.

김태일 KIM Tae-il

1991년 독립다큐멘터리 작업을 시작하였으며,<원 진별곡>(1993년), <어머니의 보랏빛 수건>(1995년) 등 다수의 다큐멘터리를 연출하였다. 2005년에 만든 <안녕, 사요나라>가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 앵글 부문에 초청되어 운파상을 수상했다. <상구네> 라는 가족이 함께 만드는 작업팀을 꾸려 오랫동안 준비한“ 민중의 세계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 다. 현재 1편<오월愛>, 2편 <웰랑 뜨레이>, 3편 가제 <올리브처럼> 팔레스타인 서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제작 중에 있다.

KIM Tae-il began making documentaries in 1991. He directed numerous documentaries including Wonjinbyeolgok (1993), Mother’s Lavendar Towel (1995). Annyong, Sayonara (2005) was invited to the Wide Angle section of the 1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won the Woonpa Award. He formed Sangunae, a project team created by the family, and has been working on The World History of the People for a long time. He is working on Part 1 No Name Stars, Part 2 Wellang Trei, and Part 3 with the working title of Like Olive about people who live on the western part of Palestine.

1981년에 태어났고 타이난국립예술대학에서 사운드 와 이미지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린은 영화평 론가이면서 다큐멘터리 영화제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 그는‘ 아웃 오브 프레임: 대만 다큐멘터리 제작자의 초상 ’ 이라는 책을 출간 하였고 현재 대만 다큐멘터리 제작자 조합의 이사이자 대만국제다큐 영화제의 프로그램 디렉터를 역임하고 있다.

Born in 1981, Wood LIN received his Master degree from the Graduate Institute of Sound and Image Studies at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LIN is a film critic and festival organizer specializing in documentary. In 2012, he published the book Out of Frame: Taiwan Documentary Filmmakers’ Portrait. He is now the executive director of Taiwan Documentary Filmmakers’ Union, and the program director of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후지이 다케시 FUJII Takeshi

이승준 LEE Seung-joon

2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우드 린 Wood L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5


Youth Competition Jury 청소년경쟁 심사위원 김영총

KIM Yeong-chong

인문계 고등학교인 계남고등학교를 다니다 자퇴를 하였다. 고 민과 생각이 많아 나름의 정답을 찾으려고 애쓰던 중 영화를 발견하였다. 지금은 영화가 가지는 힘을 믿으며 계속 영화를 꿈꾸고 있다.

KIM Yeong-chong dropped out of Gyenam High School, a decision prompted by his own values and standardsWhile struggling to find an answer to his issues and thoughts, he came across cinema. Now he believes in the power of cinema and continues to dream of it.

김은경

KIM Eun-kyung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다. 학 교를 다니며 여러 장르의 영화 및 영상들을 제작하고 접하다 다큐멘터리에 흥미가 생겼고, 연초에는 SNS에 관한 짧은 다큐 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했다.

KIM Eun-kyung is majoring in Theater and Film at Kaywon High School of Arts. She was exposed to various genres of films and moving images before developing an interest in documentaries and produced a shot documentary about SNS earlier this year.

김채현

KIM Chae-hyeon

영화와 문학을 사랑하는, 계원예술고등학교에서 영화를 전공 하는 김채현이다. 어린 시절부터 책과 우정을 쌓으며 책을 통 해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길렀다.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더 아 름답게 변화시키는 것이 꿈인 고등학생이다.

KIM Chae-hyeong loves films and literature and is a film major at Kaywon High School of Arts. She has loved books since she was young and has grown to see the world through them. Her dream is to make the world more beautiful through stories.

문찬우

MOON Chan-woo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에서 전기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영화는 <포레스트 검프>이며, 영화 속 주인 공 포레스트 검프처럼 순수하고 정직한 삶을 사는 것이 꿈이다.

MOON Chan-woo majors in electricity at Sudo Electric Technical High School. His most memorable movie was Forrest Gump and he dreams of living an honest life like the character of Forrest Gump in the movie.

허욱

박혜민

PARK Hye-min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하고, 미래의 영화감독을 꿈꾸고 있는 18 살 여고생이다. 혼자 상상을 하는 것과 매일 밤 잠자기 전 일기 쓰는 것을 좋아한다. 영화를 통해‘나’ 의 이야기를 하고 싶고 언젠가는 따뜻한 영화를 만드는 따뜻한 감독이 되고 싶다.

PARK Hye-min is a 17-year-old high school student who likes watching movies and dreams of becoming a film director. She likes imagining things by herself and writing in her journal every night before going to bed. She wants to become a director with a warm heart who tells her own stories in heartwarming movies someday.

이성주

LEE Sung-ju

김시은

KIM Si-eun

김시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하여 중앙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노과 석사과정에 재학중이다. 한노/노한 통번 역사로 일하고 있으며, DMZ국제다큐영화제 후원회원이다.

KIM Si-eun majored in Russian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s currently working in her master’s degree in Russian in the Advance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Program of Chungang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이광기

LEE Kwang-Kee

이광기는 드라마 <태조왕건>,<야인시대>,<하노이 신부>,<달래 네 집> 등에 출연하며 개성 있는 연기로 팬들의 사랑을 받았으 며, 최근 <정도전>,<징비록>에 출연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LEE Gwang-Kee played personable characters in various TV drama series, including Taejo Wang Geon, The Rustic Period, Hanoi Bride, Lovely Pet Dal Rae, and has recently played roles in Jeongdojeong and Jingbirok.

International Competiotion Preliminary Jury 국제경쟁 예심위원

‘태초에 지구, 새벽 4시 프라하 공항, 20대 흑인과 80대 백인의 교감, 밀란 쿤데라와 오르한 파묵, 무대 밖에의 무용수’ 와 같은 이방 세계에 깊은 애증을 느낀다. 실상은 치킨과 전지현 사진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는 여고생이다. 이방 세계도 실상은 나처 럼 별 게 없을 수도 있을 것 같긴 하다.

변성찬 BYUN Sung-chan

Wook Steven HEO

황혜림 HWANG Hei-rim

LEE Sung-ju feels both affection and contempt for the very first days of Earth, 4am at Prague Airport, the communion between a twentysomething-year-old and an eighty-something-year-old of different races. But the reality is, she is intimidated when she stands before a picture of Ginana Jeon Ji Hyun and fried chicken. She thinks that there may be nothing special like herself in other worlds, too.

주은정

JOO Eun-jeong

옥련여고 3학년에 재학 중인 주은정이다. 청소년 감독, 기자단 등 다양한 언론 분야에서 활동을 했다. 다큐멘터리에서 현실을 고발하는 모습과 솔직하고 인간적인 부분에 빠져서 다큐멘터 리를 좋아하게 되었다.

JOO Eun-jeong is a senior at Okryun Girls’ High School. She has been active in various forms of media and has directed films and worked as a reporter. She got interested in documentaries because of the way they expose the truth, their honesty and humanity.

Brave New Docs Award Jury 용감한 기러기상 심사위원 주재현

JOO Jae-hyun

주재현은 서울 서초소방서와 대한자원재활용협회, 대한장애 인문인협회 법률고문을 역임했으며,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 제 감사 겸 집행위원이다.

JOO Jae-hyun served as the legal counsel for the Seocho Police Station in Seoul, the Korean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and the Korean Disabled Writers Association and is an auditor and executive committee member for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ving associated with Independent Film as a programmer of Indie forum since 2008 and as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Seoul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 Video Festival since 2009. Currently, studying on philosophy and film in humanities research association, ‘Nomadist Suyu Nomo N’.

<하드보일드 원더랜드>(2014), <Texas Doughnut Shop>(2003), <Turtle soup>(2003) 등 극, 실험,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 DMZ 국제다큐영화제, 서울국제실험영화제에서 집행위원으로 활동 하고 있으며 현재 용인대학교에서 영화를 가르치고 있다.

His unique short films and documentaries include Hard-Boiled Wonderland (2014), Texas Doughnut Shop (2003), Turtle Soup (2003). Working as an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DMZ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in Seoul.He is currently teaching at Yong In University, Korea.

다큐멘터리 <산다>(2013), <다이빙벨>(2014) 등의 프로듀서 를 거쳐 현재 영화사 메타플레이에서 프로듀서 겸 서울국제음 식영화제의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다.

Producing several films including two feature-length documentaries, Sanda (2013) and The Truth Shall Not Sink with Sewol (2014), she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ducer at film company Metaplay and a programmer at Seoul International Food Film Festival.

Asian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아시아경쟁 예심위원 ●

황미요조 HWANG Miyojo

서울의 영상원과 인도 방갈로르의 CSCS, 뉴욕의 콜럼비아 대 학원에서 영화이론, 문화연구, 동아시아학, 비교문학을 공부했 다. 다큐멘터리 <바그다드로 가는 길>(2003),<원래, 여성은 태 양이었다: 신여성의 first song>(2004)의 제작에 참여했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She studied Film Theory, Cultural Research, East Asian Studies, and Comparative Literature at Bangalore CSCS in India and Columbia Graduate School. She participated on the production of the documentary The Road to Bagdad (2003) and New Woman: Her First Song (2004) and has been the programmer for the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from 2011 to 2014.

Korean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한국경쟁 예심위원 ●

남다은 NAM Da-eun

26

2008년부터 인디포럼 영화제 프로그래머로, 2009년부터 인디 다큐페스티발 집행위원으로 활동. 인문학 연구공동체인‘수유 너머N’ 에서 영화와 철학을 공부하고 있다.

1978년생. 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석사졸업. 2004년 「씨네21」영화평론상 당선. 평론집 <감정과 욕망의 시간>이 있음.

NAM Da-eun was born in 1978. She completed the master’s course for Literary Criticism at Yonsei University. She was awarded the Film Critic Award by Cine 21 in 2004. She published a collection of critical writings entitled Time of Emotion and Desire.

Youth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청소년경쟁 예심위원 ●

성윤경 SUNG Yun-kyung

청소년지도사로 (재)광명시인재육성재단의 영상특화사업을 총 괄하고 있으며, 나름청소년문화의집 사업팀장으로 대한민국 청 소년 UCC 공모전인‘미디어페스티벌’ 을 기획ㆍ운영하고 있다.

SUNG Yun-Kyung is a youth advisor who oversees the Moving Image Specialization Project for the Gwangmyeong Cit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undation and is the senior project manager at the Narum Youth Culture House in charge of planning and running the Media Festival, a UCC contest for Korean youth.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7


Opening Film

개막작 Opening Film

나는 선무다

China/Korea/USA | 2015 | 87min | DCP | Color Director 아담 쇼버그 Adam SJOBERG

I Am Sun Mu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 l Adam SJOBERG PRODUCER l Justin WHEELER, ROH Ji-hyun EDITOR l Mariana BLANCO MUSIC l Joel WEST

아담 쇼버그 Adam SJOBERG

Filmography I Am Sun Mu (2015) Shake the Dust (2014) We All Might Make It (2013) Danny from North Korea (2013)

Program note 북한의 프로파간다 예술가로 활동을 했던‘선무’ 의 자전적 내레이션은 우리로 하 여금 하나의 거대한 국가체제에 대한 상상의 세계를 떠올리게 만든다. 하지만 어 디까지 상상할 수 있을까? 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곧 회의에 빠지고 말 것이다.‘북 한’ 이란 전체주의 국가에 대한 상상체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의 지식 안에 견 고한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견고한 지식체계이자 권력체계인 이미지는‘선무’ 의 정치적 팝아트라고 불리는 그의 작품을 통해서 한 층 더 리얼리티라는 총체성을 구축하고 있는 것 같다. 모든 경험을 고정시키고 정 태적으로 만드는 사태가 아닌 한계를 필요로 하고, 부서지기 쉬운 이데올로기적인 낙관론의 모순과 대면하는 태도. 다른 표현을 빌리자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정 치적 팝아트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냉소적 예술관를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듯 <나는 선무다>는 탈북화가인‘선무’ 의 자전적 스토리와 예술 적 태도, 그리고 그의 회화작품을 통한 유비적 내러티브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남북한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분단의 독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프 로파간다 예술의 도구인 선전과 계몽주의를 비꼬면서 냉소주의적인 태도를 견지 하는‘선무’ 의 인터뷰 장면이 인상적인데, 아마도 그의 얼굴 대신 목소리로 치환되 는 부유하는 망명자 혹은 국외자와 조우하는 순간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선무’ 의 인터뷰를 통해서 듣게 되는 위트와 유머는 정치적 팝아트라 불리는 자신의 예 술작품만큼이나 평화와 통일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하나의 은유이자 몸짓이다. (전성권)

The autobiographical narration of Sun Mu, who once was a propaganda artist in North Korea, makes us picture a huge state system as an imaginary world. But if we ask ourselves how far we can picture it, we would become skeptical. It is probably because the image of North Korea, the totalitarian country has been already strongly engraved in our knowledge system. This image, which is strong knowledge and power system seems to acquire totality as a reality through his works called ‘Sun Mu’s political pop art’. He makes use of the attitude that requires limits rather than fixation of experience, and challenges fragile ideological optimism. In other words, the attitude is a cynical view of art appearing on the journey between socialistic realism and political pop art. I Am Sun Mu appropriately allocates analogous narrative through Sun Mu’s personal story, his artistic attitude, and his paintings to reflect political ideologies and uniqueness of divided Korea. Among the most impressive scenes is Sun Mu’s interview that reveals his cynical attitude while he satirizes propaganda art for its publicity and illuminism. Here we encounter a wandering refugee or a foreigner transformed into voice instead of face. Apart from his artwork, the sense of humor found in the interview is another analogy and gesture that is embedded with the message of peace and unity.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29


International Competition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의 장소적, 정치적 아이러니를 통한 영화적 경계와 확장성에 주목하였다. 작품의 유형을 보면 형식적인 측면에서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 저널리즘과 액티비즘 스타일의 확장, 비주얼아트 영역으로 서의 다큐멘터리 미학을 완성도 있게 보여주는 작품부터,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분쟁과 테러, 인종과 계급, 식민지 역사와 개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작품들로, 전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폭력의 독특성과 분쟁의 현대사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도 현재의 이슈라 할 만한 테러와 인종의 문제, 전쟁과 미디어의 관계는 단순히 현상이라기보다는 지역과 민족지학적 역사를 뒤돌아 보게 만든다. The DMZ’s locational and political irony has made us focus on cinematic borders and their expandability. Considering the form, the film entry varies from the works that show the border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expansion of journalism- and activism-style films to the films that present documentary aesthetics as a work of visual art with perfection. In terms of theme, the films study on dispute and terror, race and class, colonial history and individual identity in order to do in-depth researches into modern history of trouble and uniqueness of violence currently the whole world faces. Most of all, the problems of terror and rac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media, worthy of being called issues of today, don’t seem to be a simple phenomenon, rather make us look back on history of place and ethnographical research.

Belgium/Netherlands | 2015 | 88min | DCP | Color Director 이자벨 톨레나레 Isabelle TOLLENAERE

전투 Battles

Korean Premiere

Staff DIRECTOR l Isabelle TOLLENAERE PRODUCER l Olivier BURLET, Sébastien ANDRES, Inneke Van WAEYENBERGHE CINEMATOGRAPHER l Frédéric NOIRHOMME EDITOR l Nico LEUNEN SOUND l Michel SCHÖPPING

이자벨 톨레나레 Isabelle TOLLENAERE

Filmography Battles (2015) Viva paradis (2011, short) Trickland (2010, short) Stil leven (2007, short)

Program note <전투>는 유럽의 4 지역의 풍경들 속에서 전쟁의 흔적들을 찾아내고, 그 흔적들의 의미에 대해서 질문하고 성찰하는 에세이 영화다. 단 한 마디의 말(자막이나 내레 이션)도 사용하지 않은 채, 오로지 끈기 있는 응시와 정교한 구성의 힘만으로 깊이 있는 사유의 힘을 드러내는 방식이 매우 흥미롭다. 전쟁의 흔적은‘폭탄(챕터 1)’ 이 나‘벙커(챕터 3)’ 처럼, 단지 물리적인 형태로만 남아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전 쟁 체험 캠프(챕터 2)’ 나‘전승 기념행사 및 풍선 탱크(챕터 4)’ 처럼, 일종의 문화 및 관습의 형태로 뿌리 깊게 남아있다. 전자는 제거될 수 있지만(발굴되어 제거되 는 폭탄, 외양간으로 용도 변경되어 사용되는 벙커), 후자는 때로는 사적인 오락이 나 게임의 형태로 때로는 공적인 기념의 형태로 반복되면서 끈질기게 살아남는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단지 과거 전쟁의 흔적이기만한 것이 아니라, 미래 전쟁의 씨 앗이자 전조이기도 하다. <전투>는 전쟁 흔적의 이 두 가지 형태를 번갈아 보여주 면서, 전쟁의 흔적에 대한 질문을 심화시켜나가고 있다. 일상적인 문화 및 관습의 풍경 안에서 진짜 문제적인 전쟁의 흔적을 찾아내고 질문을 던지는 것, 이것이야 말로 <전투>에 담겨 있는 사유의 깊이이자 영화적 성취이다. (변성찬)

Battles is an essay film that finds out traces of war in four regions of Europe, asks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se traces, and contemplates them. It adopted a very interesting way that makes the film reveal the power of deep reflection only with a patient stare and an elaborate composition, without a single word (including subtitles or narration). Traces of war are not left only with physical forms, like in ‘a bomb (chapter 1)’ and ‘a bunker (chapter 3)’ but are also deeply rooted with a kind of cultural and customary form, like in ‘The War Experience Camp (chapter 2)’ and ‘The Victory Celebration and Balloon Tank (chapter 4).’ The former ones can be removed (bombs can be discovered and removed and a bunker can be transformed into a stable), but the latter ones can tenaciously survive in the form of a private entertainment or game, or of a public memorial event. In other words, they are not just traces of a past war but may be the seed or sign of a future war. Showing the two forms of traces of war in turn, Battles intensifies the questions over them. Finding out the real problematic traces of war in the culture and custom of everyday life, and posing a question over them, are the depth of reflection and cinematic achievement that we find in the film. (BYUN Sung-cha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31


International Competition

블러드 시스터즈

International Competition

Sweden/Ireland/Denmark/Finland/Norway/France | 2015 | 83min | DCP | Color Director 멀린 앤더슨 Malin ANDERSSON

Blood sisters

Asian Premiere

검열된 목소리

Israel/Germany | 2015 | 87min | DCP | Color Director 모 루샤이 Mor LOUSHY

Censored Voices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PRODUCER l Malin ANDERSSON CINEMATOGRAPHER l Kate MCCULLOUGH EDITOR l Erik BÄFVING MUSIC l Rebekka KARIJORD, Gustav WALL SOUND l Peter SCHULTZ

멀린 앤더슨 Malin ANDERSSON

Filmography Blood Sisters (2015) Bloodsisters (2010) Belfast Girls (2006)

DIRECTOR l Mor LOUSHY PRODUCER l Daniel SILVAN, Hilla MEDALIA, Neta ZWEBNER CINEMATOGRAPHER l Itai RAZIEL, Avner SHAHAF EDITOR l Daniel SIVAN MUSIC l Markus AUST SOUND l Yoss APPELBAUM, Stefan KORTE

모 루샤이 Mor LOUSHY

Filmography Censored Voices (2015) Israel Ltd. (2009)

Program note 이 영화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인물의 내면을 매우 정교하게 다루고 있 다. 어린 소녀였을때, 아제르바이젠에서의 유괴와 학대에 대한 기억을 가진 채, 스 웨덴의 작은 도시, 말뫼의 고층 콘크리트 아파트에 거주하는 쌍둥이 자매의 일상 이 전부다. 카메라는 배경을 무시한 채 그들의 표정과 제스처, 대화와 침묵만으로 프레임을 가득 채울 뿐이다. 하지만 감독은 여기서부터 그들의 내적인 은밀한 교 류에 대해서만 집중한다. 그리고 아마도 그들을 관찰하면서, 어느 순간 마법과도 같이, 감정의 덤(supplement)들을 인지한 듯 하다. 그렇게 무심한듯 카메라는 이 쌍둥이 자매의 일상을, 그들의 표정과 대화를, 이별과 재회를 오랜 시간 동안 기록 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긴장이나 갈등의 구조를 최대한 배제한 채 사건들 사이 에 존재하는 지루한 시간들에 집착하고 있다. 이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독특한 감 정의 결들은 그렇게 사건들 사이에 존재하는 지루한 시간들을 지속시키면서, 로젠 가드의 회색빛 공기를 보존하고, 어느 순간에 생겼다가 사라지는 반딧불같은 섬광 처럼 느끼게 한다. 이 영화를 쌍둥이 자매인 줄리아와 조안나의 본능적이고 촉감 적이라 할 수 있는 행위들에 대해서만 기술하고 있는 하나의 바로크적 초상화이자 성애학이라 해도 되지 않을까. (전성권)

3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this film meticulously captures a person’s internal state of mind. This film follows the lives of twin sisters, who were abducted and abused as young girls in their hometown of Azerbaijan, living in a high-rise condominium in a small Swedish city of Malmö. As if there were no backgrounds, the frame is filled with the sisters’ facial expressions, gestures, conversations, and silence. The director however, focuses only on their secret inner exchanges. In the midst of observation, the director recognizes magical moments of emotional supplements. The camera indifferently records the sisters’ daily lives, expressions, conversations, separation and reunion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Keeping tension or conflict to a minimum, the film obsesses with the downtime that occurs in between events. As if a firefly would produce light and disappear, the unique layers of emotions in the film not only maintain banality, but preserve the gloominess of Rosengård. Can this film be considered as a portrait of baroque and erotology that only depicts the instincts and senses of twin sisters Julia and Johanna? (JEON Sung-kwon)

“유태인은 영웅이나 군인이 될 수 있는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은 단지 재단사이거 나 법률가이며, 의사이거나 겁쟁이일 뿐이다[…] 태양이 떠올랐고 모래언덕 위로 분홍색의 일출을 볼수 있었다. 하지만 사막위의 탱크들이 가라 앉기 시작했고, 어 느 순간 사라져 버렸다. 우리는 사막의 정복자로서 자긍심을 가졌는데, 일종의 유 희를 느낄수 있는 순간이었다.”키부츠 이스레엘에서 녹음된 한 병사의 대화 내용 이다. 1967년 이스라엘과 아랍국가 사이의‘6일 전쟁’ 이 끝난 직후 아모스 오즈와 아브라함 샤피라는 전쟁에서 돌아온 키부츠 멤버들과 함께 그들의 대화를 녹음했 다. 이 역사적인 녹음기록이 45년 만에 공개됨으로써 그들 스스로 시간 속에 묻어 두었던‘6일 전쟁’ 의 비극적 자화상을 발굴한 셈이다. 시간과 공간을 유영하던 목 소리들이 이미지로 다시 부활한 것이다. 이 작품은 이스라엘 재건신화의 주축인 키부츠의 도덕적이고 자발적인 공동소유제에 대한 딜레마를 보여주고 있기도 하 지만, 무엇보다도 구조적이고 감각적인 표상의 힘 - 여기서는 녹음으로 기술된 목 소리들이 내레이션화 되는 - 을 통해서 소리-이미지의 거대병렬이라는 통사법을 구축하고 있다. 전쟁 이미지 자체가 내재하고 있는 벌거벗은 이미지는 항상 영화 적 - 이미지의 유사성 - 흔적을 발산한다. 이러한 역사적 푸티지와 함께 나그라 녹 음기로 재생되는 목소리의 파편들, 그리고 얼굴과 시선의 미세한 떨림과 침묵은 이미지들의 가장자리를 떠돌고 방황하는 시선, 목소리 그 모든 것들을 영화의 전 체로 작용하게 만든다. (전성권)

“The Jews are not cut out to be heroes or soldiers. They are merely tailors, lawyers, doctors or cowards... As the sun rose again, we could see the crimson sunrise above the sand dunes. But the tanks started sinking into the desert and quickly vanished. We prided ourselves as the conquerors of the desert, and at that moment felt sort of amused”. These lines have been taken from a conversation with a solider from Kibbutz Yisre’el.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Six-Day War that took place between Israel and its Arab neighbors in 1967, Amos OZ and Avaraham SHAPIRO recorded on audio tapes testimonies of some kibbutz members from across the country. This historical record has been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after 45 years, thereby revealing a tragic self-portrait of the Six-Day War. The voices that have so far been wandering in time and space are resurrected as images. The film examines the dilemma inherent in the kibbutz principle of moral and voluntary joint ownership, which paved the way for the restoration of Israel. Above all, the film develops a syntax of juxtaposition between sound and images through its structural and sensual displays of power – as seen in the narration by recorded voices. The naked images intrinsic to the images of a war always emanate cinematic traces i.e. the similarity among images. The fragments of voices played on Nagra recorders alongside such historical footages, together with silence and delicate tremors in looks and faces, make everything, including eyes and voices that falter and float around the edges of the images, add to the film’s impact as a whole.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33


International Competition

숭고한 나치

International Competition

Israel/Austria/Germany | 2014 | 96min | DCP | Color Director 바네사 라파 Vanessa LAPA

The Decent One

Asian Premiere

이라크 영년

Iraq/France | 2015 | 334min | DCP | Color Director 압바스 파델 Abbas FAHDEL

Homeland (Iraq Year Zero)

Asian Premiere

Staff DIRECTOR l Vanessa LAPA PRODUCER l Vanessa LAPA EDITOR l Sharon BROOK, Noam AMIT MUSIC l Jonathan SHEFFER, Daniel SALOMON, Gil FELDMAN SOUND l Tomer ELIAV

바네사 라파 Vanessa LAPA

Filmography The Decent One (2014) Der Anständige (2014)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Abbas FAHDEL

압바스 파델 Abbas FAHDEL

Filmography Homeland (Iraq Year Zero) (2014) Dawn of the World (2008) We Iraqis (2004) Back to Babylon (2002)

Program note <숭고한 나치>는 그간 자주 다루어졌던 주제에 대해 이전에 보여지지 않았던 시각 을 드러내려 시도하였습니다. 필름은 최고위급 나치였던 히믈러와 그 가족들의 개 인적인 사생활과 그를 냉혹하게 형성했던 그 시대상을 사적인 편지와 사진들을 통 해 병렬식으로 보여줍니다. 그러한 이유로 관객들은 무자비한“대학살의 설계자” 라 불리었던 하인리히 히믈러의 경험, 사상, 그리고 감정들과 개인으로서의 히믈러 에 대해 사적인 접근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필름이 히믈러와 그 가족 -부모님부 터 시작해서 형제들, 그리고 추후에는 부인과 딸, 내연녀-들의 시각을 통해 이야기 되고 있는 연유로, 관객들은 세계1차대전당시의 세계와 그당시 바이마르 공화국의 일반적인 중산층의 견해를 경험 할 수 있으며 나중에는 최고위급 나치 가족들의 특 권의식에 젖은 우월한 견해까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이 필름에서 히믈러의 외부 세계에 대한 주관적 견해와 정치적 사회적 운동과의 개인적 연관성이 관객들의 영 화적 경험을 이끌어가고 형성할 것 입니다 또한 그의 개인적 견해는 확연한 정상에 서 잔인성과 악마성이 어떻게 성장해 나가는지 보여줄 것 입니다. 관객들은 명령에 따라 자행된 명백한 악행들이 주는 분노와 그의 매우 사적인 편지들에 느끼는 감정 적인 친숙함이라는 매우 극단적인 느낌 때문에 불편한 기분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픽션이 도큐멘트만큼이나 공포스럽게 사실적으로 보입니다. 개인의 역사와 정치적 현실에서 신중하게 선택된 기록들에 기반한 극적인 대사들 은 독점적으로 사용된 배우의 오프 보이스와 기록영상물을 통해 생명을 얻게 되었 습니다. <숭고한 나치>는 새로운 포스트-다큐멘터리 형식을 창조하기 위해 다큐멘 터리와 픽션을 조합하였습니다. 이런 형식은 관객들이 단순히 있는 그대로 받아 들 이는 대신에 함께 생각하고 함께 느낄 수 있는 장치가 되었습니다. 이 필름은 가장 혐오스러운 잔인함에 대한 가장 깊숙한 정신적 문화적 실상을 파헤치기 위해 노력 하였습니다. (바네사 라파)

3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The Decent One attempts to expose a previously unseen perspective on an often approached subject. The film juxtaposes personal writings and photographs from the private lives of one of the highest-ranking Nazis and his family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which Himmler himself relentlessly shaped in the background. The audience is thus granted personal access to the mind of the private man Heinrich Himmler and to the experiences, ideas, and emotions that turned him into the merciless “Architect of the Holocaust”. Since the film is told from the prism of Himmler and his family – first his parents and brothers, later his wife, daughter and lover – the audience experience the world during WWI and in the Weimar Republic from an average German middle class perspective, and later on from the privileged vantage point of a high ranking Nazi family. In this film, Himmler’s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 outside world and his personal involvement with political and societal developments are what drives and shapes the viewer’s cinematic experience and reveals how cruelty and evil can grow out of apparent normalcy. The audience is left with the discomfort of struggling in between the two poles of emotional closeness to the characters’ very personal writings and the appalling deeds committed on their orders. With a dramatic script based on carefully selected pieces of true personal history and 6 political reality, brought to life by exclusively using actors’ off voices and archival footage, The Decent One mixes documentary and fiction conventions to create a new post-documentary form. This allows the viewer to “think with” and “feel with” the film instead of simply consuming it. It strives to uncover the deepest psycho-cultural reality of the most atrocious cruelty. The fiction is as real as the horror it constructively comes to document. (Vanessa Lapa)

2003년 미국의 부시 정권이 이라크를 침공한 이전과 이후를 2년여 동안 기록한 이 작품은 새로운 모험담을 기대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 모험담은 오디세이아도, 세헤 라자데의 이야기도 아닌, 현대판 묵시록적 연대기라 해야 할것 같다. 감독의 가족 과 그 주변 인물들, 그리고 바그다드 거리와 인근도시를 방문하면서 만나는 사람 들의 일상적인 모습에서 사담 후세인을 제거하기 위한 미국의 미사일 공격이 남긴 폭력의 리얼리티라는, 그리고 부시와 사담 후세인이 합작하여 완성한‘악의 축’ 이 라는 이미지로부터 고통받는 이라크의 대지와 사람들 말이다. 5시간 30분이라는 영화적 길이와‘몰락과 전쟁’ 이라는 부제의 무게감으로도 이러한 묵시록적 담론을 담아내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우리로 하여 금 한 편의‘죽음의 교향곡’ 을 연상시킨다. 압바스 파델의 조카인 12살 소년 하이 다가 전쟁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에 대해 이야기 할때 우리는 그가 미국의 침공 이 후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사실을 미리 알게 되기 때문이다. 이별을 예견하는 일 상적인 이미지들은 죽어가듯이 아주 느릿하게 사라지고, 유적지의 거대한 풍경처 럼 침묵속으로 침잠한다. 느린 아다지오의 간결한 찬송가처럼. 작품은 네오 리얼리 즘과 조우하게 되는 소요의 힘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현실이란 어떠한 의미 도 지시하지 않는, 그들만의 삶과 죽음일 뿐”(알랭 로브-그리예)이란 걸 감각적으 로 명증하고 있다. 하이다를 통해서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에드문트를 떠올리는 이 유이기도 하다. (전성권)

One may expect a new adventure story from this film, which chronicles two years in the life of an Iraqi family, before and after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invaded Iraq in 2003. However, the adventure story that we find is neither the Odyssey nor Scheherazade's tale. Rather, it could be described as an apocalyptic chronicle of modern times. In the portrayal of the director’s family and friends as well as their everyday life in Baghdad and nearby cities, we witness the violence inflicted upon them by US missiles that were designed to bring down Saddam HUSSEIN. Furthermore, the film sheds light on the suffering of Iraq and its people brought on by the image of ‘the axis of evil’. Perhaps the running time of 5 hours and 30 minutes and the subtitle ‘Fall and Battle’ are not enough to convey such an apocalyptic discourse. Nevertheless, this documentary reminds us of a ‘symphony of death’. When Haidar, Abbas FAHDEL’s 12-year-old nephew, talks about his fear and expectations of the war, we are already aware of his impending death soon after the American invasion. The images of everyday life disappear bit by bit as if they are dying out and withdraw into silence like majestic views of historical sites. The film seems to be a hymn set at slow adagio tempo. Not only does it examine the power of turmoil encountering neo-realism, but it also sensuously proves Alain RobbeGrillet’s argument that ‘reality escapes significance and shows only their lives and deaths’. It is for this reason that Haidar reminds us of R. Rossellini’s Edmund.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35


International Competition

어둠 속에서

International Competition

Serbia/Montenegro | 2014 | 60min | DCP | Color Director 고란 스탄코비치 Goran STANKOVIC‘

In the Dark

Asian Premiere

레드마리아2

Korea | 2015 | 120min | DCP | Color Director 경순 Kyung Soon

Red Maria 2

World Premiere ※ 2013 DMZ Docs 제작지원 선정작

Staff DIRECTOR l Goran STANKOVIC‘ PRODUCER l Snezˇana PENEV CINEMATOGRAPHER l Dragan VILDOVIC‘ EDITOR l Cyndi TRISSEL MUSIC l Stephen GALLAGHER SOUND l Jakov MUNIZˇ ABA

경순

Goran STANKOVIC‘

Kyung Soon

Filmography

Program note

3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IRECTOR l Kyung Soon EDITOR l Kyung Soon, KIM Nari CINEMATOGRAPHER l TAE Man-ho , Kyung Soon MUSIC l LEE Ji-eun

고란 스탄코비치

In the Dark (2014) Way in Rye (2013) Here I Am (2011) Polazak (2010) Ko cuva cuvare (2006)

<어둠 속에서>는 이제 막 영화학교를 벗어난 신인 감독의 작품이다. 더군다나 세 르비아 태생의 고란 스탄코비치 감독의 필르모그래피는 학부와 대학원 학생 시절 제작한 단편 극영화 몇편이 전부다. 하지만 영화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세대 가 느낄 수 밖에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현실에 대한 불만족의 상황을 어느 누구 의 영화보다 더 생생하고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영화의 무대는 세르비아 남부 의 탄광지대다. 구 유고연방 시절, 지하 갱도에서 사투를 벌이며 노동하는 광부의 삶이 추앙받던 때부터 일해 온 아버지 다밀 Damir과 탄광촌을 떠난 다른 형제들처 럼 언제가 그 곳을 떠날 날을 기약하며 마지못해 살아가고 있는 다보Davor의 삶은 세대를 지나 변해가고 있는 남동유럽의 현실을 반영한다. 젊은 시절 아버지가 겪 은 갱도 내 가스폭발에 대한 회상이나, 현재 다보가 겪은 사고로 동료를 잃은 증언 이나 이들의 노동 현장은 척박하기 이를데 없다. 과거 아버지 세대가 이제는 지구 상에서 없어진 유고연방이라는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자신들의 노동을 신 성화하며 노동의 척박함을 견뎌냈다면, 청년실업률 50%에 육박하는 유럽의 최빈 국 세르비아에 사는 신세대 다보에게 탄광 노동은 그나마 버틸 수 있는 임금을 제 공해주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일 뿐이다. 젊은 감독의 카메라는 명민하게도 언젠가 사라질 지 모를 갱도 아래와 바깥의 풍경을 비현실 적일 정도로 아름답게 그려낸 다. 마치 사라져가는 아버지 시대의 낡은 사회주의와 떠오르는 아들 세대의 번쩍 이는 자본주의 사이에서 서서히 없어져가는 아름다운 인간의, 노동의 가치처럼 말 이다. (허욱)

Staff

In the Dark is the first feature documentary by a young filmmaker who has recently graduated from a film school. The Serbian-born director Goran STANKOVICˇ’s filmography includes some short films he previously worked on as part of his university and gradute studies. Nonetheless, this documentary presents such a calm and vivid portrayal of the inevitable anxiety prevalent among today’s youths about what the future may bring, as well as their deep dis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In the Dark is set in a small mining town in Southern Serbia. A young coal miner, Davor, resignedly goes to work in the coal mine, while looking forward to leaving his hometown one day like his brothers. His father, Damir, has worked as a coal miner since the days of Yugoslavia, where miners used to be a highly respected profession. The two men represent the changes sweeping across Southeast Europe through generations. Damir recounts the gas explosion in the pit he experienced as a young man, and Davor grieves the loss of his colleagues in an accident. They face such harsh working conditions. The father’s generation endured the woe of labor by sanctifying labor for the purpose of building the Federation of Yugoslavia, a socialist country that no longer exists on the map. However, for Davor, a young man struggling to make a living in Serbia,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Europe with youth unemployment rate of nearly 50%, working as a coal miner is a choice necessary for making ends meet. The young filmmaker’s camera clearly conveys scenes both in and out of the pit – which could disappear one day – so beautifully that the film almost appears surreal. The film’s perspective seems to reflect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the beauty and value of human labor, stuck between the waning socialism of the father’s generation and the glittering capitalism of the upcoming generation. (HEO Wook)

Filmography 레드마리아2 Red Maria 2 (2015)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 쇼킹패밀리 Shocking Family (2006)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What Do People Live For (2003) 애국자게임 Patriot Game (2001) 민들레 Mindullae (1999)

경순 감독은 전작 <레드마리아>의 끝부분에서 우리 사회는 아직 성노동자 여성들 의 이야기를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되어 있는 것 같다고 말한 적 있다. <레드마리아 2>는 본격적으로 그녀들의 이야기를‘듣는’영화이고, 또 이제는 충분히 들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느냐고 제안하는 영화다. 영화는 한국 및 일본의 성노동자 여성들 의 이야기와, 이제‘위안부’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야하는 것이 아니냐고 문제제기를 하는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 두 이야기를 교차편 집하고 있다. 이 교차편집은 우리 안에 뿌리 깊게 남아있는 어떤 경계/차별(한국여 성과 일본여성 및 강제로 끌려간 여성과 매춘 여성이라는 이분법)을 이제는 넘어서 야 하지 않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위한 영화적 장치일 것이다. 한국사회 에 고착되어 있는, 강제로 끌려간 순결한 여성이라는 위안부 희생자의 이미지는, 누군가를 그 희생자의 범주에서 배제시키고, 자신이 겪은 고통에 대해 말할 자격 과 권리를 박탈하는 장치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그것은 현재의 성노동자 여성 들이 요구하는 자격과 권리에 대한 호소를 들을 수 없게 하는 장치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것은 아닐까? <레드마리아 2>는, 누군가에게는 침묵을 강요하고 또 누군 가의 말은 들리지 않게 하는 뿌리 깊은 가부장제의 순결주의라는 이데올로기를 벗 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귀를 열고 온전히 듣기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영 화다. (변성찬)

Program note At the end of her earlier work Redmaria, filmmaker Kyung Sun said that our society was not yet prepared to accept the tales of sex workers. Her recent work Redmaria 2 is a film that hears their stories in earnest and suggests that it has become time for our society to give an ear to their stories. For the film, the filmmaker heard the stories of sex workers and the words of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who claimed tha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needed to be accessed from a new viewpoint, and then wove the two stories together in the film using a crosscutting technique. This crosscutting may be a cinematic device suggesting that it is time for us to overcome the border/discrimination between Korean women and Japanese women, and forced sexual slaves and prostitutes. Isn’t the image of military sexual slaves as innocent women (an image that is fixed in Korean society for military sexual slaves) a device that makes someone excluded from the area of the victims and that deprives them of their qualification and right to tell their pain? Isn’t it basically the same as a device that blocks the appeal of sex workers for their qualifications and rights from reaching the concern of our society? To break away from the ideology of patriarchy’s chastity that makes someone’s pain not be heard, Redmaria 2 above all suggests us to listen to all members of society with an open mind. (BYUN Sung-cha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37


Internation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

Poland/Denmark | 2015 | 98min | DCP | Color Director 한나 폴락 Hanna POLAK

Something Better to Come

Korean Premiere

Director 아크램 자타리 Akram ZAATARI

Twenty Eight Nights and a Poem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l Hanna POLAK PRODUCER l Sigrid DYEKJAER, Hanna POLAK EDITOR l Marcin Kot BASTKOWSKI, Hanna POLAK SOUND l Kristian SELIN, Eidnes ANDERSEN

DIRECTOR/PRODUCER l Akram ZAATARI CINEMATOGRAPHER l Bassem FAYAD, Mark KHALIFEH, Akram ZAATARI EDITOR l Jowe HARFOUCHE, Elias SAHIHE MUSIC l Nadim MESHLAWI SOUND l Rana EID, Karine BASHA

한나 폴락

아크램 자타리

Hanna POLAK

Akram ZAATARI

Filmography Something Better to Come (2015) Warsaw Battle 1920 in 3D (2010) Faces of Homelessness (2010)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5) Al. Tribute to Albert Maysles (2004)

28일의 밤과 시

Lebanon/France | 2015 | 105min | DCP | Color

Filmography Twenty Eight Nights and a Poem (2015) Letter to a Refusing Pilot (2013) Tomorrow Everything Will Be Alright (2010) The 8 (2009) How I Love You (2002)

Program note 폴란드 태생 한나 폴락 감독의 다큐멘터리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의 원제목은 막 심 고리키의 사실주의 극본 <밑바닥에서>에서 인용한 문구이다. 우리 말로 의역하 면‘쥐구멍에도 볕들 날이 있다’ 는 정도의 의미일 것이다. 러시아를 대표하는 영화 학교인 VGIK에서 촬영을 공부하던 감독은 모스크바의 외곽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쓰레기 야적장‘스발카’ 에서 11살의 소녀 율라를 발견한다. 전기도 수도도 학교도 없이 술과 담배 그리고 굴러다니는 해골과 까마귀 떼 아래서 율라와 율라의 가족 그리고 친구들은 인간으로의 기본적인 존엄도 유지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감독은 그들의 삶을 무려 14년 동안 관찰하고 기록한다.‘새로운 러시아’ 라는 기치 를 내세우며 등장한 푸틴의 집권과 같은 시기에 시작한 이 영화를 통해 아마도 감 독은 언젠가 찾아올 지 모를 율라의 삶에 비칠 작은 햇살을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 만‘좋은 걸 기대하면 더 나빠질 뿐’ 이라는 율라의 넋두리처럼 스발카의 현실은 이 세상에서 지워진 디스토피아의 모습 그대로일 뿐이다. 영화가 완성된 14년 후, 러 시아는 돌고돌아 영화의 시작 때와 같은 대통령이 당선된다. 20대 중반이 된 율라 의 삶에도 변화가 생긴다. 가장 밑바닥 까지 떨어진 순간 그녀의 삶에 작은 빛이 든 것이다. 이제 그녀가 꿈꾸던‘평범’ 한 세상으로 나온 율라. 그것이 율라가 꿈꾸던 ‘희망’ 의 실체일지 아니면 여전히 진행 중인‘현실’ 의 반복인지는 아직 판단할 수 없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율라의 삶은 계속 지속될 것이며 그것은 아주 소중하다 는 것이다. (허욱)

3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The title of the film Something Better to Come by the Polish-born director Hanna POLAK was inspired by a quote from Maxim Gorky’s play The Lower Depths: ”Everyone, my friend, lives for something better to come.” This quote could roughly be understood to mean ‘every dog has his day’. While studying cinematography at VGIK, one of the most prestigious film schools in Russia, Polak meets Yula, an 11-year-old girl living in Svalka, the biggest junkyard in Europe. With no access to electricity, clean running water or schools, Yula and her friends and family are surrounded by alcohol, cigarettes, skulls and crows. Their living conditions in the junkyard are devoid of the most basic human dignity. The film observes and records their lives for the next fourteen years. Polak’s journey starts around the same time as Putin’s rise to power, with his promise of ‘New Russia’. Perhaps the director hopes to find a ray of sunshine in Yula’s life someday. However, as Yula laments ‘when you expect something good, things only get worse’, and in reality Svalka remains a forgotten dystopia in this world. Some fourteen years after the film’s completion, Russia comes full circle, and sees the same man come into presidency. Yula is now in her mid-twenties and welcomes a change in her life. When her life hits the rock bottom, she finds a glimmer of hope. She has entered the ‘ordinary’ world that she always dreamed of. Yet, it is too soon to judge whether that life is the realization of Yula’s hope or merely the extension of her on-going ‘reality’. What matters more than anything is that Yula's life goes on, which is an exceptionally precious thing. (HEO Wook)

<28일의 밤과 시>는 레바논 남서부의 항구 도시 사이다에 있는 오래된 사진관을 중심으로, 그 지역의 역사를 독특한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있는 작품이다. 사진사 하셈 엘 마다니는 195년에‘세헤라자드’ 라는 이름의 사진관을 개업한 이후, 사진 기와 녹음기 등 다양한 장비들과 그것들로 기록된 이미지와 사운드들을 보존해왔 다. 말하자면 그곳은 단순한 사진관이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와 사운드 기록 장비 들의 박물관이자, 동시에 그것으로 포착된 이미지와 사운드들의 보관소가 된 것이 다. 감독 아크램 자타리는 이 질료들을 재구성하여 일종의 고고학적 에세이 영화 를 만들어내고 있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막, 사진사 만드니의 증언, 다양한 포맷으로 재생되는 이미지와 사운드 등이 그 에세이의 주요한 구성 요소들이다. 감독은 사진관에 보존되어 있는 자료들 외에 유투브에 올라와 있는 자료들을 덧붙 임으로써, 한 편의 흥미로운 문화적 미시사를 구성하고 있다. 가령, 28장의 사진들 은 지역 사람들의 은밀한 성적 정체성의 수행적인 표현과 사회 정치적 상황이 지 역 사람들에게 미친 미묘한 영향 등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다. 이 미시사적 탐구 의 결과도 흥미롭지만, 무엇보다 이 영화는 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문화의 상호 영 향 관계를 자연스럽게 엿볼 수 있게 만드는 정교한 구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변성찬)

Twenty Eight Nights and a Poem puts an old photo studio in the coastal city of Saida, located in Southwestern Lebanon, in the center of the film,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the area in a unique way. Since photographer Hashem el Madani opened a photo studio called ‘Shehrazade’ in 1957, he has preserved various cameras and recorders as well as the images and sounds recorded by these devices. That is to say, the studio is not a simple photo studio but a museum having various photographic devices and an archive having images and sounds. Recomposing these materials, its filmmaker Akram ZAATARI made a kind of archaeological film essay. The main elements of this film essay are subtitles providing a lot of information, evidence of the photographer Mandni, and images and sounds reproduced in various formats. Besides the materials in the studio, by adding videos on YouTube, the filmmaker created an interesting cultural micro-history. For instance, 28 photos of the film reveal the secret sexual identifies of locals and a subtl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on them in an interesting way. The result of the micro-historical exploration is interesting too, but above all, this work stands out in the delicate composition that allows the viewer to naturally se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film and its influence on culture. (BYUN Sung-cha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39


Internation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이라크 전쟁의 전말

Germany | 2014 | 89min | DCP | Color Director 마티아스 비트너 Matthias BITTNER

War of Lies

Korean Premiere

알 샤바브의 전사들

Denmark/Somalia | 2014 | 59min | DCP | Color Director 쇠렌 스틴 예스퍼슨, 나집 파라 Søren Steen JESPERSEN, Nasib FARAH

Warriors From the North

Asian Premiere

Staff DIRECTOR l Matthias BITTNER PRODUCER l Paul ZISCHLER, Susanne MANN CINEMATOGRAPHER l Julia SCHLINGMANN EDITOR l Friedemann SCHMIDT, Philippa KOWARSKY MUSIC l Phillipp KOBILKE SOUND l Frederik PFEIFFER, David LACKOVIC

Staff DIRECTOR l Nasib FARAH, Søren Steen JESPERSEN PRODUCER l Helle FABER CINEMATOGRAPHER l Henrik BOHNIPSEN EDITOR l Steen JOHANNESEN MUSIC l Morten SVENSTRUP SOUND l Reda EL-KHELOUFI

마티아스 비트너

쇠렌 스틴 예스퍼슨

나집 파라

Matthias BITTNER

Søren Steen JESPERSEN

Nasib FARAH

Filmography War of Lies (2014) Not in My Backyard (2011) Wie die Raben (2009) Divorce Talk (2009) Operation: Terror Tape (2007)

Filmography

Filmography

Warriors from the North (2014)

Warriors from the North (2014) My Cousin the Pirate (2012)

Program note 암호명‘커브볼’ . 혹자에겐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린 계기를 제공한 영웅이기 도 하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불필요한 이라크전을 일으켜 수많은 무고한 인명을 희생시킨 희대의 사기꾼일 수도 있는 이라크인 라피드 아흐미드 알완 알자나비가 카메라 앞에서 진실을 말한다. 미국이 이라크전을 일으키기 40개월 전, 이라크의 군사 기지에서 화학 기술자로 일하던 이라크인 라파드는 런던행을 목표로 이라크 를 떠난다. 그는 독일 쾰른에 이르러 경찰에 붙잡히게 되고 망명신청서에 적은 그 의 직업은 독일 정보기관의 눈길을 끌게 된다. 이후 그는 망명을 위해 사담 후세인 을 권좌에서 물러나게 할 수 있다는 결정적 정보를 제공하게 되지만 그 진위는 확 인되지 않았다. 그 후 서랍속에 묻혀있던 WMD(대량살상무기)에 대한‘만들어진’ 정보는 9/11 이후 빌미를 노리던 부시 행정부에게 이라크 침공의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한다. 영화는‘진실은 이 영화에 있다’ 고 넉살 좋게 외치는 라피드의 인터뷰로 시작한다. 이라크전의 비밀을 파헤쳐 나가는 연대기적인 구성과 재현 기법 그리고 스릴러적 긴장감을 북돋는 속도감 있는 편집과 사운드는 여느 극영화 못지 않는 몰입과 긴장감을 전한다. 그리고 결국 만들어진 정보가 의도에 맞춰 선택되고 조 작되어 현실로 전이되는 순간, 이 영화는 우리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진실의 정체 와 그 윤리성에 대해 다시 한번 되묻게 한다. (허욱)

4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His code name is ‘Curveball’. The Iraqi man named Rafid Ahmed Alwan ALJANABI tells the truth in front of the camera. To some, he is a hero who played a key role in overthrowing Saddam HUSSEIN, while to others, he is the most notorious fraud who caused the pointless Iraq War that sacrificed countless innocent lives. Some forty months before the US declared war on Iraq, Rafid, a chemical engineer working for the military industrial complex in Iraq leaves his native land for London. He is captured by the German police in Cologne. The job he stated in his asylum application naturally attracts the attention of Germany’s intelligence service. Later, he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that could bring down Saddam HUSSEIN, but the authenticity of his statement could not be tested. Afterwards, the ‘fabricated’ information abou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as dug up to supply the evidence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needed to invade Iraq. The film starts with an interview with Rafid, who has the audacity to claim that ‘this documentary will give you the truth’. The film’s chronological structure investigating the lead-up to the Iraq War, together with its reenacted scenes, fast-moving editing and sound that add to the overall mood of thrill and tension, renders it just as absorbing and unsettling as any other feature film. Eventually, we witness how Rafid’s made-up evidence is used selectively, and gets connected to reality through manipulation. It is at this moment that we are asked to consider once again the true nature and ethicality of truths that exist in this world. (HEO Wook)

알 샤바브의 이름없는 전사들을 위한 한 이름, 위대한 알라의 이름으로 성전의 길 을 걷는 젊은 무슬림들의 자기선언은 서구세계의 역사적 폭력으로 환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은 소말리아의 무장단체인 알 샤바브에 대한 보고서의 형태를 취 하면서 서구세계의 인종차별정책이 지닌 폭력의 독특성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더 쉐도우’ 란 익명으로 인터뷰에 참여한 젊은 무슬림은 영화 전체를 위한 한 부 분으로 작용하면서 알 샤바브에 합류한 자신의 친구들을 회고한다. 그의 회고는 영화적 내레이션의 기능 중 하나인 담론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서구역사에서 인종 적, 종교적 시선의 폭력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전위되고 응축된다. 이질감, 격리, 거부, 비소속감은 현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 여기 혹은 저기에서 동일하게 반 복적으로 일어나는 -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주의)의 표상인 것이다. 내레이션 중 간중간에 교차편집으로 보여지는 알 샤바브의 전사들 - 대부분 유럽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유럽인들 - 의 이미지에서 우리는 일종의 경외심과 공포를 느끼지 않 을 수 없다. 그들의 프로파간다적 선언문과 유투브에 저장된 지하드식 훈련 동영 상들, 그리고 신문의 텍스트에서 읽었던 자살폭탄테러의 생생한 이미지는“권력과 지식체계의 관계에서 공격과 방어의 병기로서 이 담론들의 작용을 재발견”(미셸 푸코)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성권)

The unnamed warriors of Al-Shabaab are given a name, and the selfdeclaration of young Muslims following the teachings of the Qur’an in the name of the Almighty Allah is metonymic of the history of violence in the Western world. This documentary questions the uniqueness of violence found in the apartheid in the West, while taking the form of a report on the Somali militant Islamist group Al-Shabaab. The interview with young Muslim using the pseudonym ‘the shadow’, in which he recounts his friends who joined Al-Shabaab, serve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ntire film. His words open up possibilities of discourse, one of the key functions of cinematic narration. In Western history, violence from racial and religious perspectives has been transferred and condensed in various ways. The sense of alienation, segregation and rejection can be seen as an emblem of the apartheid across the world, which is repeatedly taking place in various places in the same manner. The intermittent images of Al-Shabaab warriors that appear during the narration, most of whom are African Europeans, evoke a kind of reverence and fear in the audience. Their propaganda-like statements and the video clips of jihadist-style training saved on YouTube as well as the vivid images of suicide bomb terrorist attacks as presented in newspapers are the reasons why we must, as Michel FOUCAULT argues, ‘re-discover the impact of these discourses as weapons of offense and defen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knowledge’.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41


International Competition

테러

Director 리릭 캐브럴, 데이비드 셔트클리프 Lyric CABRAL, David SUTCLIFFE

아시아경쟁

Asian Premiere

Asian Competition

USA | 2015 | 93min | DCP | Color

(T)ERROR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l Lyric CABRAL, David SUTCLIFFE PRODUCER l Lyric CABRAL, David SUTCLIFFE, Christopher St. JOHN EDITOR l Laura MINNEAR, Jean-Philippe BOUCICAUT MUSIC l Robert MILLER

리릭 캐브럴

데이비드 셔트클리프

Lyric CABRAL

David SUTCLIFFE

Filmography

Filmography

(T)ERROR (2015)

(T)ERROR (2015) Adama (2011)

Program note 극중 주요 인물인“샤리프”와 십여 년 넘게 알고 지내온 관계로 <테러>와는 개인적 으로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법당국의 몇몇 요원들을 제외하고는 지난 FBI의 여러건의 대테러 작전이 진행되는 동안 샤리프와 개인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몇 안되는 인물 중 하나가 저일 것입니다. 제가 저널리즘 학생이던 2003년 정 도부터 샤리프는 제 이웃이었습니다. 그 뒤로도 수년간 우리는 3층짜리 할렘 브라 운스톤에 (할렘 고급아파트)살았었고, 우리는 매일 시사,정치 그리고 그가 참가했었 던 블랙팬더 운동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 나중에 법원 기록을 통해서 알려진 바로는 그의 가든 아파트는 주요 테러 용의자로 알려진 타릭 샤와 샤리프의 접촉을 감시하기 위해 온갖 도감청 장비와 영상녹화 장 비들을 갖춘 FBI의 안전가옥 이었습니다. 저도 몇 번 만나 본적 있는 샤는 2005년 5월 28일 체포되었고, 몇 일 안되어 샤리프는 제게 연락하고 미친 듯 다급하게 수 수께끼 같은 부탁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잠시 동안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가서 살 생각이야, 숨어 지낼거야. 누구든 나에 대해서 묻는 다면 아무것도 알려 주지 말고 나에 대해 묻는 사람들이 누군지 알아봐줘”저는 대체 무슨 일이 샤리프가 이주 하 도록 마음먹게 했는지 궁금해 하면서 여러가지 세부사항들을 물어보았습니다. 그 는 그저“가까운 시일 내 날 찾아와, 해줄 말이 무척 많아” 라고만 말하였습니다. 2007년 여름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샤리프를 찾아갔고, 그때 샤리프가 1991년부터 FBI의 테러리스트 정보원으로 일해왔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그 폭로는 저를 오싹 하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그의 이야기가 가진 엄청난 잠재성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언뜻 보면 샤리프는 프로타고니스트가 아니라 많은 관객들이 보기에 심지어 악당 으로 여길 수 있는 안티-히어로입니다. 처음에는 그의 동기를 의심했었고 영화제작 자로서 그의 이야기를 기록해야 하는지 고민했었습니다. 사우스 캐롤라이나를 떠 나면서 혐오와 흥분이 뒤섞인 기분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 후 10년 동안 저는 한 달에 한번 정도 샤리프와 연락해 그저 어디서 어떻게 지내는지 묻고는 했습니다. (리릭 캐브럴)

4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새롭게 신설된 아시아경쟁 섹션에는 장편 7편, 단편 1편 등 총 8편 의 작품을 소개한다. 중국, 이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일본, 미얀마 등 아시아 각국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근대화와 전지구화에 맞서는 아시아의 현재를, 그 변화를 마주하는 개인들의 현실을 확인할 수 있다. 아시아경쟁 섹션을 통해 아시아의 다큐멘터리를 보다 본격적으로 소개하려는 시도는 아시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우리에게 아시아는 과연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연결된다. 이러한 물음은 서구 화된 시선에 갇힌 아시아, 단순히 새로운 시장(마켓)으로서의 아시아를 넘어서는 보다 의미있는 담론 과 고찰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아시아 다큐멘터리가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대안적인 정체성 을 찾아가는 물꼬가 되기를 바란다. 1편을 선정해‘아시아의 시선’ 상을 시상하며, 천 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At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e newly-established Asian Competition section introduces a total of 8 films including 7 feature films and 1 short film. Submitted from China, Iran, Vietnam, Malaysia, Japan and Myanmar, these documentaries from each different Asian countries show current status of Asia confronting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changing reality that individuals meet with. This section presents Asian documentaries in earnest leading us to questions like “How do we look at Asia?” or “What does Asia mean to us?” These questions can be answered only with meaningful discourses and considerations on Asia beyond the previous image of Asia as confined in a Westernized view or a new market. We hope these Asian documentaries play a catalytic role in searching for new understanding of Asia and an alternative identity. One documentary film will be won the ‘Asian Perspective Award’ with a prize of ten million won .

I have an extremely personal connection to (T)ERROR, as I have known the main character, “Shariff,“ for over a decade. Outside of law enforcement personnel, I am one of few people who have maintained contact with Shariff over the span of several FBI counterterrorism assignments. Starting in 2003, while I was a young journalism student, Shariff was my neighbor. We lived in a 3-story Harlem brownstone and, for several years, we engaged in diurnal conversations about current events, politics, and his former involvement with the Black Panther Party for Self Defense. Later, court records revealed that his garden apartment was an FBI “safe house,” wired with audio and video surveillance, to record interactions between Shariff and Tarik Shah, a suspected terrorist. Shah, who I met on several occasions, was arrested on May 28, 2005 and, within days, the FBI swiftly relocated Shariff to South Carolina. On the morning that he fled New York City, Shariff called me and, speaking frantically, made a cryptic request. “I’m going to be living in South Carolina for a minute, laying low. But if anybody asks about me, don’t give them any information and try to find out who they are.“I pressed Shariff for more details, wondering what had motivated his relocation. “Come see me soon. I have a lot to tell you.“ In the summer of 2007, I traveled to South Carolina where Shariff disclosed that he had been working as an FBI terrorist informant since 1991. I was appalled by the revelation, and yet attracted to the tremendous potential of his narrative. Seemingly, Shariff is not a protagonist but an anti-hero, whom many viewers may even consider a villain. Initially, I questioned his motivations and whether I, as a filmmaker, should even document his story. I left South Carolina, feeling a mixture of revulsion and excitement. And for the next ten years, I would call Shariff once a month, just to ask him how he is, and where he is... (Lyric CABRAL)


Asian Competition

아웃사이더

Asian Competition

China/UK | 2014 | 60min | DCP | Color Director 마사히로 스가노 Masahiro SUGANO

Cambodian Son

Korean Premiere

나를 찾아서

Vietnam | 2015 | 92min | DCP | Color Director 트란 푸옹 타오, 스완 두버스 Tran Phuong THAO, Swann DUBUS

Finding Phong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SOUND l Masahiro SUGANO PRODUCER l Anida Yoeu ALI MUSIC l Laurent ZILIANI, Sok VISAL, Silong CHHUN

마사히로 스가노 Masahiro SUGANO

Filmography Verses in Exile (2015) Cambodian Son (2014) Art of Love (2007)

DIRECTOR l Tran Phuong THAO, Swann DUBUS PRODUCER l Nicole Pham CINEMATOGRAPHER l Le Quoc PHONG, Tran Phuong THAO, Swann DUBUS EDITOR l Aurélie RICARD SOUND l Hoang Thu THUY, Franck DESMOULINS

트란 푸옹 타오

스완 두버스

Tran Phuong THAO

Swann DUBUS

Filmography

Filmography

Finding Phong (2015) With or Without me (2011) Worker’s Dream (2007)

Finding Phong (2015) With or Without me (2011) L. Ville (2006)

Program note 주인공 코살은 공식홈페이지에서 스스로를“시인이자 미국 교도소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라고 소개한다. 그뿐만 아니라 그의 신체에는 20세기의 역사가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베트남전쟁 당시 미군은 캄보디아에“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에 퍼 부은 것보다 더 많은 양의 폭탄” 을 떨어뜨렸으며, 뒤이어 정권을 잡은 크메르루즈 는‘킬링필드’ 로 알려진 대학살을 저질렀다. 전쟁과 학살의 와중에 수많은 캄보디 아인은 이 나라 저 나라를 떠도는 난민 신세가 되었다. 이 영화의 주인공 코살은 그 런 난민의 자식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의 난민수용소에서 자랐다. 십대에 살인미수 로 16년형을 선고받고 14년 간 복역하면서 교도소에서 시를 배워 구어시인 spoken word poet으로 거듭나지만, 결국은 미국에서 영원히 추방되고 만다. 영 화는‘조국’캄보디아로 돌아간 그의 험난한 여정을 따라나서며 그를 둘러싼 질문 들을 하나씩 펼쳐놓는다. 그리고 우리는 이 21세기의 음유시인의 힘있는 시와 퍼 포먼스에 빠져들고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그의 안위를 빌고 다음 행보를 궁금해 할 수밖에 없어진다. (박소현)

4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Kosal KHIEVA, the protagonist Cambodian Son, introduces himself as “a poet, tattoo artist, and survivor of the US prison system” on his website. Not only that, the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is inscribed on his body. During the Vietnam War, the United States dropped bombs on Cambodia, “exceeding the amount it had dropped on Japan during WWII,” and the Khmer Rouge, which had seized the government, committed genocide called “the Killing Fields.” Kosal, the son of a Cambodian refugee who suffered such horrible experiences, grew up in a refugee camp in California. In his teens, he was sentenced to 16 years in prison for attempted murder. During that time, he learned poetry and became “a spoken-word poet.” However, after leaving prison, he was permanently ejected from the United States. The documentary Cambodian Son follows his difficult journey to Cambodia and poses questions about his life. We, the audience, are caught up in his powerful poetry and performance, ultimately becoming unable to repress our curiosity about his next step and wishing him peace and safety. (PARK So-hyun)

영화는 주인공 퐁의 울먹이는 셀프 카메라로 시작한다. 과도한 자기연민과 감상주 의에 부담스럽지만 한편으로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이 셀프 카메라는 곧 퐁의 하노이에서의 생활로 이어지는데, 퐁의 일상은 그다지 우울하거나 어둡지 않다. 오 히려, 연로한 부모님, 나이 차가 많은 형제들과 시골 마을에서 살 때 스스로 긍정할 수 없었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확신을 가지게 되고 자신을 인정해 주는 새로운 사람들과 지식들을 알게 되면서 한껏 들뜬 마음과 미래에 대한 설렘으로 가득 차 있다. 근원적 슬픔과 자기 긍정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의 설렘, 퐁의 삶에서 당 분간은 계속될 이러한 감정을 다큐멘터리는 정확히 포착하고 관객에게 잘 전달한 다. 카메라가 인물에 대해 애정을 가지면서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방콕 에 처음 도착한 날과 다음 날 수술 상담을 받을 때 서툰 영어로 힘겹게 자신이 묻고 싶은 것을 물어 보는 장면, 엄마 생각을 하면 한없이 슬퍼진다면서도 자신의 신체 변화를 엄마가 꼭 알아 봐주었으면 하는 기대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장면은 이러 한 퐁의 캐릭터, 감정을 적절한 거리에서 잘 포착한다. 베트남 대도시에서 형성되 고 있는 LGBT 문화와 커뮤니티를 볼 수 있는 것도 이 다큐멘터리의 장점이다. (황미요조)

The documentary Finding Phong begins with Phon’s video diary and his whimpering. The diary, which Phong filmed himself, is uncomfortable to watch because of the excessive self-pity and schmaltz, though, at the same time, it excites curiosity about Phong’s life. Soon, his life in Hanoi, filmed by the documentary director, reveals that his everyday life is not neither dark nor gloomy. Rather, Phong, who migrated from a rural village to Hanoi, the second largest city in Vietnam, seems to be very happy, with eye-opening experiences and new knowledge about the LGBT community. He experiences transgender life with people who recognize and accept him as he is, so different from the days in his hometown when he was not convinced of his gender identity and felt uneasy with it. He is planning to have a sexual reassignment operation soon, and now his every day is full of excitement and expectations for his future. The documentary Finding Phong‘s camera, which reveals affection for what it film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capturing precisely the inherent melancholy and the excitement that comes with self-affirmation; the camera delivers these two aspects very well to the audience. The scenes from Phong’s arrival in Bangkok, his first meeting with a doctor where he asks a question with great difficulty and finally cries, and a family gathering right before the operation are moving while fully revealing Phong’s character and the effect of both the excitement and sadness. (HWANG Miyoj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45


Asian Competition

Asian Competition

왕이 되고 싶은 사나이

Iran | 2015 | 70min | DCP | Color Director 메흐디 간지 Mehdi GANJI

I Want to Be a King

Asian Premiere

궁전의 땅

China/UK | 2014 | 60min | DCP | Color Director 아담 스미스, 팅 송 Adam SMITH, Ting SONG

The Land of Many Palaces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Mehdi GANJI EDITOR l Esmaeel MONSEF MUSIC l Amin BEHROUZZADEH, Shoaib KAMINPOUR SOUND l Hasan MAHDAVI, Reza GODAZGAR

DIRECTOR/CINEMATOGRAPHER l Adam SMITH, Ting SONG PRODUCER l Adam SMITH, Ting SONG, Qihan WANG EDITOR l Adam SMITH MUSIC l Rob SCALES SOUND l Yanyi TONG

메흐디 간지

아담 스미스

팅송

Mehdi GANJI

Adam SMITH

Ting SONG

Filmography I Want To Be a King (2015)

Filmography

Filmography

The Land of Many Palaces (2014) Role Play (2012) The Dinner (2010)

The Land of Many Palaces (2014) Back & Forth (2010) My Favorite Crane (2009)

Program note 압바스는 우연히 숙박을 제공한 유럽 여행객에게 생각지도 못 한 금액의 돈을 받 고 난 후, 인생의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한다. 새로운 사업 구상을 반대하는 아내와 딸들의 의견에 아랑곳 하지 않고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새 아내를 맞아들 이기까지 한다. 압바스는 언제나 진지하지만 영화 안의 사람들도, 영화 밖의 관객 들도 그를 진지하게 바라보기는 힘들다. 카메라는 과도하게 인물을 우스꽝스럽게 만들지도, 놀려대지도 않으면서 냉정한 태도와 윤리적인 거리를 유지한다. 압바스 의 허세와 모순이 신랄하게 폭발하는 지점은 아내와 딸과 말다툼 할 때이다. 무슬 림 남성들이 법적으로 아내를 여럿 두는 것은 가능할지 몰라도 가족 내 갈등을 해 결하는 데 있어서는 그렇게 간단하게 가부장적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님 을 보여주는 장면은 흥미롭다. 압바스는 계속 상황을 자기 식대로 해석하고 합리 화 하지만 결국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남성성의 권위와 그것 이 형성되고 부풀려 지는 과정과 그 허점, 그것을 덮으려는 허세가 폭로된다. (황미요조)

4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Abbas, a man in Iran, offers an accommodation to a European tourist and is paid, which he had not expected. After that, he dreams of starting a tourism business and turning his own home into a guest house in a nomadic area. His wife and children don’t support his plan but he doesn’t care. Moreover, he finally acquires one more wife from a nomadic tribe with the excuse of developing his tourism business. Abbas is always serious, but it is hard for peopl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ilm’s diegesis to take him seriously. The camera captures Abbas with a sarcastic distance. Abbas’s bluff and selfcontradiction are refuted by his wife and daughter; they are not persuaded by his bluff and suspect that his plan will turn out to be nothing soon. This man from a Muslim family, even though he is able to commit bigamy, has difficulty with mending family conflicts, which cannot be controlled simply through patriarchal power. Abbas ends up staying outside his dream guest house/home while rationalizing the situation with his self-centered perspective. Both the way that masculine/patriarchal power is built and its silliness are revealed. (HWANG Miyojo)

‘얼반 시네마’ 로 불리던 이른바 6세대 영화들이 도시로 떠난 사람들의 이야기였 다면, 최근의 중국 다큐멘터리들은 거대한 규모의 공간들이 도시가 되거나 되려는 노력들에 대한 또 다른‘얼반 시네마’이다. 도시화의 엄청난 규모와 미래적인 디자 인은 그 건설 현장 자체를 기묘하게 시네마적으로 만들며, 광활한 공간과 그것을 바꾸어내는 엄청난 기술들과 진보에 대한 믿음, 그리고 그것에 대한 매혹과 두려 움이 섞인 양가적인 묘사는 S.F. 장르 영화처럼 보이게 할 정도이다. <궁전의 땅> 가 담아 내는 오르도스의 이러한 중국의 대규모 도시화 프로젝트, 부동산 버블을 대표하는 도시이다. 농부 하오 시웬씨는 시정부의 지원금보다 도시에서 의식주를 해결하는 비용이 비쌀 것을 알지만 결국 도시로 이주할 것이다. 그리고 자기 땅을 일구며 사는 삶에서 누군가에게 고용되고 식료품을 구매해야 하는 삶의 방식을 받 아들일 것이다. 시공무원 샤오메이씨가 믿는 진보와 도시화에 대한 확신은 자신의 가족들을 설득하지 못 한다. 영화는 미래 도시와 농촌 풍경을 대립시키거나 어떤 입장을 견지한다기 보다는 어쩔 줄 몰라 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관찰자적 거리 와도 다른 이러한 태도는 결국 소박한 기대와 근심으로 끝을 맺는다. 지금 중국에 서 도시화는 재난이나 숙명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자연(재해)이 아니라 엄청난 규 모의‘인공’(건설중인 다리, 건물)이 도시로 걸어가는 시웬씨와 대비 된다. 시웬씨 를 마지막으로 잡은 화면에서 도시 방향에 해가 비친다. 이 것이 이 다큐멘터리가 바라는 소박한 바람이다. (황미요조)

Whereas films by the so-called sixth generation which depicted people immigrating from rural to urban places were called urban cinema, recent documentary films from mainland China which have focused on massivescale urbanization projects and vast spaces being transformed, like The Land of Many Palaces, should be considered another kind of urban cinema. The enormous size and futuristic design of the city make the space cinematic in a peculiar way. Also, the vast space, the confidence in technology, the faith in a better future, and these features of urbanization being depicted with both allure and fear make this documentary approach a film of the science fiction genre. Ordos, in which the film The Land of Many Palaces is set, is a city that exemplifies the failure of such ambitious urbanization projects. However, the documentary itself takes no obvious stance; it supports neither a city government trying to relocate farmers to populate an empty futuristic megalopolis nor farmers wanting to stay in rural villages. In current China, urbanization is a kind of disaster, one which people cannot avoid but must handle. The farmer, Mr. Shiwen, finally yields to government pressure to move to Ordos even though he knows that the compensation for moving the government has offered is not sufficient to manage an urban life and that he will have problems adapting to the new way of living. The only thing The Land of Many Palaces can do is wish Mr. Shiwen a better future by framing him walking into the sunshine in the direction of the city. This may be seen as naïve, but it might be the only option for the observer to take. (HWANG Miyoj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47


Asian Competition

Asian Competition

하늘의 가장자리에서

Germany/China | 2014 | 102min | DCP | Color Director 수 홍지에 XU Hongjie

On the Rim of the Sky

Asian Premiere

-1287

Japan | 2014 | 70min | DCP | Color Director 이안 토마스 애쉬 Ian Thomas ASH

-1287

Korean Premiere

Staff DIRECTOR/PRODUCER l Hongjie XU CINEMATOGRAPHER l Mincheol WANG EDITOR l Rainer NIGRELLI MUSIC l Frank SCHREIBER SOUND l Xi WANG

중국 쓰촨 지역의 구루 마을(Gulu village)은 높은 산의 절벽 낭떠러지에 위치하고 있다. 너무 높고 험난한 곳에 위치한 탓에 비가 오면 구름에 둘러싸이는, 하늘의 가 장자리에 위치해있다고 불리우는 이곳은 그만큼 세상으로부터 고립된, 단절된 세 계이다. 이곳의 유일한 교육기관인 구루 초등학교에는 54명의 마을 아이들이 다니 고, 이곳의 유일한 교사인 쉔(Shen)은 마을 출신으로 정식 교사 자격증은 없지만, 20여년이 넘는 오랜 세월동안 아이들을 가르쳐왔다. 전기도, 텔레비전도 없는 지 상의 낙원 같았던 이곳에 도시에서 대학생 교사인 바오가 자원활동을 하기 위해 찾아오면서 마을은 커다란 변화를 맞는다. 쓰촨 대지진과 함께 매스컴을 통해 소 개되면서 기부금을 받게 된 구루 학교는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고수하는 쉔과 즉 흥적이고 자유로운 교육 방식을 도입한 바오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정식 교사로서 의 자격은 없지만 오랜 세월 경험을 갖고 있는 구세대 쉔과 교육을 전공한 패기넘 치는 신세대 바오의 대결과 갈등은 비단 두 사람만의 대립에 그치지 않는다. 바오 는 마을에 전기를 들여오고, 컴퓨터로 아이들에게 TV를 보여준다. 기부금으로 학 교는 확장 공사에 들어가고, 마을 주민들이 공사에 참여하면서 더 많은 돈을 벌려 는 주민들의 목소리도 높아진다. 도시화 혹은 근대화의 거대한 물결은 하늘의 가 장자리라고 할 만큼 높이 솟아있는 이곳 마을에도 어김없이 불어닥치고, 영화는 쉔과 바오라는 두 주인공을 통해 그 갈등과 대립을 여실히 드러낸다. (박혜미)

4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IRECTOR/CINEMATOGRAPHER l Ian Thomas ASH PRODUCER l Sarah LUSHIA EDITOR l Ian Thomas ASH, Ed ISON

수 홍지에

이안 토마스 애쉬

XU Hongjie

Ian Thomas ASH

Filmography

Program note

Staff

On the Rim of the Sky (2014) Between Forms (2009) Bloody Art (2008) Spectaculum (2007) Brittle Heart (2007) Adventure (2005)

Gulu Village is perched on the edge of a tall mountain cliff in Sichuan Province, China. In such a high and rugged location, enveloped in clouds when it rains, this place which is sometimes called “the rim of the sky” is an isolated, cut-off world. The only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is place is the Gulu Elementary School with 54 students, and the only teacher is Shen, a native villager who has no teaching certificate but who has taught children here for more than two decades. With no electricity or television, this place that resembles an earth-bound paradise undergoes great changes when Bao, a university student from the city, comes to visit them as a volunteer. Gulu Elementary School, which received exposure in the media and monetary donations after the Sichuan Earthquake, witnesses a front-on collision betwee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dhered to by Shen and the extemporaneous, free teaching style introduced by Bao. The older generation Shen who has no formal teaching certification, but possesses years of experience, and the ambitious newgeneration education major Bao go through endless conflict and confrontation. Bao introduces electricity to the village, and shows the children television programs through a computer. With the donated funds, construction is started on an expansion of the school, and the villagers who take part in the construction and earn more money have their voices heard as well. Even in this towering place called the rim of the sky, the great wave of urbanization or modernization strikes without fail, and through the protagonists of Shen and Bao this film faithfully depicts this opposition and conflict. (PARK Hye-mi)

Filmography -1287 (2014) A2-B-C (2013) In the Grey Zone (2012) Jake, Not Finished Yet (2010) The Ballad of Vicki and Jake (2005)

Program note 이 영화에는 감독이 아주 잠깐 모습을 드러내는 짧은 몇 초를 제외하고는, 오직 한 사람만이 등장한다. 바닷가에서, 그리고 작은 주방에서 조곤조곤 나누는 그녀의 이 야기를 지나칠 때 우리는 이 영화의 타이틀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짐작하지 못한 다. 고운 빛깔의 옷을 차려입고, 긴장된 모습으로 카메라 앞에서 정식으로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놓을 때, 그러니까 그녀가 12년 전 유방암에 걸렸으며, 생명을 연장하는 수술을 거부하고 죽음을 기다리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에도 선뜻 우 리에게 이 숫자는 명확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영화가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숫 자는 곧 -168을 가리키고, 조금은 쇠약해진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이 숫자 의 의미를 확실히 알아채게 된다. 우리는 그녀의 죽음이라는 D-day를 향해 함께 나아가고, 이제 꼼짝없이 죽음에 다가가는 그녀를 지켜보면서 그 시간을 견뎌야 하는 것이다. 100일, 40일, 17일, 8일 영화는 빠른 속도로 그녀의 죽음에 다가선다. 곱게 우아함을 간직하던 그녀의 머리카락은 점차 희어지고, 호흡기 없이 숨을 쉬 기 힘든 그녀는 이제 가끔 의식도 잃는 것 같다.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기도 하고, 다시 돌아갈 수 있다면 마흔살로 돌아가고 싶다는 그녀에게 자신이 이제 곧 죽는 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죽음을 혹은 죽음이 동반할 고통을 두려워하던 그녀는 조금씩 죽음을 인식하는 것처럼 혹은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인다. 특별하지도, 평범 하지도 않았던 그녀의 죽음을 지켜보는 것은 우리 모두 한발자국씩 다가서고 있는 내 죽음을 상상하는 일이다. 도무지 상상이 되지 않는, 하지만 결국 당도하고야 말 우리의 D-day는 지금 어느 숫자를 가리키고 있을까. (박혜미)

Aside from a few seconds in which the director appears briefly onscreen, only a single person is depicted in this film. On the beach, and in a small kitchen as she tells her story, we are at first unable to guess the meaning of the film’s title. Even as she sits formally in front of the camera speaking, dressed in clothes of pretty colors, with a nervous expression, telling us of how she contracted breast cancer 12 years ago, turned down surgery to extend her life, and is currently awaiting death, the significance of that number eludes us. But not long after the film starts, when the number -168 is shown, and we see her appearing to grow weaker, we know with certainty what the number means. Together, we are approaching the D-day of her death, and we must endure that time watching as her death comes inexorably closer. 100 days, 40 days, 17 days, 8 days... at a rapid pace the film advances towards her death. Her hair, which had been elegantly kept, gradually turns white, and finding it difficult to breathe without a respirator, she sometimes seems to lose consciousness. She looks back on her life, saying if she could travel back, she would want to go back to age 40, and the fact of her approaching death remains unchanged. Having feared death, or the pain that accompanies death, she appears to start acknowledging it, or accepting it. Watching the death of this woman, who is neither extraordinary nor ordinary, causes all of us to imagine our own death, which is approaching one footstep at a time. As for our own D-day, which none of us can possibly imagine, but which will ultimately reach us, how many days remain? (PARK Hye-mi)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49


Asian Competition

Asian Competition

떠도는 삶

Taiwan | 2014 | 14min | DCP | Color Director 임군일 Chunni LIN

The Comfort in Forgetting

International Premiere

Director 소모아 SOE Moe Aung

A Man For All Seasons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Chunni LIN PRODUCER l Chia Ni LIN CINEMATOGRAPHER/EDITOR l Gan Siong KING MUSIC l Yujun WANG, Ronnie KHOO SOUND l Chunni LIN

DIRECTOR l SOE Moe Aung PRODUCER l Lindsey MERRISON CINEMATOGRAPHER l Khin Maung KYAW EDITOR l Myo Min KHIN SOUND l Sai Kong KHAM

임군일 Chunni LIN

Filmography The Comfort in Forgetting (2014) Yen Yen (2014) Epidemic (2007) Drifty Island (2004)

사계의 남자

Myanmar | 2014 | 42min | DCP | Color

소모아 SOE Moe Aung

Filmography A Man For All Seasons (2014)

Program note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의 땅’ 이라는 뜻이지만 건국 이래 그 땅은 한번도 말레이 인만의 땅인 적은 없었다. 말레이시아 인구에서 말레이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50퍼 센트 밖에 되지 않으며 중국계와 인도계, 유라시아인 등이 나머지를 채운다. 그러 나 정부는 종교(이슬람교), 언어(말레이어), 인종(말레이인)으로 정의되는 말레이인 에게만 일등시민의 특권을 주고 나머지는 이등시민으로 전락시키는 편협한 인종 주의적 정책을 펴왔다. 그런 배경에서 등장 인물들은 모두 이민자의 후예로‘ 말레 이인의 땅’ 에서 살아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가족 이민의 역사와 이후의 삶, 그 리고 그 세월이 만들어낸 차이들에 대해서도 말한다. 그들은 서예, 음악, 영화 같은 매체를 가지고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한편, 어디에서 온전히 속할 수 없으며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을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비행 기와 공항, 탈 것과 터미널, 호텔방은 이곳저곳에서 정주하는 그들에게 익숙한 공 간들이다. 그렇게 이 짧은 비디오에세이는 이 모든 것들의 파편을 한데 모아 모든 정주자들에게 바치는 작은 헌사가 되었다. (박소현)

5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Malaysia, which is the land of ethnic Malays, has never been occupied by Malays only. Malays take up a half of the demographics of the Malaysian population, and Indians, Chinese, Eurasians and other ethnics comprise the other half. However, the Malaysian government has employed racial preferences within its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which concede privileges exclusively to Malays (Muslim, ethnic Malays, speaking the Malay language). Set in Malaysia, each person in this documentary speaks about living in ’the land of Malays’ as a migrant descendant. They also speak about the individual history of family migration, life after moving, and the differences over time. They express their identity through calligraphy, music, and film and often seem to consider moving to avoid settling on their fate. Hence, the liminal places such as terminals, airports, on board, and hotel rooms are familiar to those who have been moving from place to place. Thus, this short video essay is a tribute to these settlers. (PARK So-hyun)

기기묘묘한 악기들을 고심해서 연주하고, 지역 NLD 당의 주요 인물로 정치토론에 참여하며, 농사를 짓고, 집안살림에 필요한 것이 있으면 뚝딱 뚝딱 만들기도 하고 아이들과도 잘 놀아 주는 남자가 있다. 한 슈웨는 농부, 정치가, 음악가, 자급 자족 생활인 등 이 모든 것에 해당하지만, 그 어떤 하나로도 환원되지 않는 사람이다. 한 슈웨와 그의 아내와의 관계도 이상적인 평등한 관계라고 말할 수도 없지만 그렇다 고 가부장적인 관계라고도 쉽게 말할 수 없다. <사계의 남자>가 담아낸 미얀마의 풍경 또한 그렇다. 민주주의 투쟁과 군부독재의 이분법적 틀 혹은 막 개방이 시작 된 덜 개발된 순수한 제3세계 - 미얀마 외부에서, 특히 서구사회에서 생각하는 미 얀마는 이렇게 아주 정치적이거나 비정치적으로 재현된다. 하지만 이 영화가 담아 낸 미얀마의 일상은 정치, 자연, 농촌, 가족, 낙천성 그 모든 것이 있지만 그 어떤 것 으로도 환원되지 않는다. 영화 <사계의 남자>는 아름답게 구조화된 화면 속에 소 박한 인물들의 일상을 보여주면서 개방 이후 미얀마에 대한 인식을 해체하고 재구 성해 나가는 다큐멘터리이다. (황미요조)

He is a man who plays interesting musical instruments with enthusiasm, participates in political discussions as a sincer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party member, does farm work, makes household items, and takes cares of children. However, Mr. Shwe cannot be called a farmer, a politician, a musician, or a father because he can never be reduced to only one of those labels. Nor can the relationship between Mr. Shwe and his wife be defined easily; it does not involve utopian-like equality but it is also not completely patriarchal. This is how A Man for All Seasons depicts Myanmar’s everyday life. The outside, especially the West, has imagined and depicted Myanmar as overly political or apolitical, as advocates of democracy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or as an example of the pure and primitive Third World which has not yet received much exposure to the outside. Neither view fully represents Myanmar. The life of Myanmar which this film captures has everything that strikes us when thinking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ruled by a dictator – politics, fighting for democracy, an eco-friendly and family-oriented life style, and an optimistic spirit, but none of them subsumes the others or essentializes Myanmar. A Man for All Seasons, with fantastic filming and framing, deconstructs the way Myanmar has been represented and constructs the diversity of people’s life in Myanmar after the recent political changes. (HWANG Miyoj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51


Korean Competition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다큐멘터리 제작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해지는 가운데, 80편이 넘는 작품이 한국경쟁에 출품되었다. 이중 한국경쟁 섹션에서 선보이는 8편의 다큐멘터리는 재일동포, 영등포 쪽방촌의 노숙인, 이주여성의 삶을 엮어내고, 세월호 유가족의 절규와 함께 우리 사회를 돌아보는 아픈 자성의 목소리를 넘나든다. ‘ 혐오’ 가 유행어가 되어버린 사회에서 그 혐오와 차별의 대상인 약자와 소수자, 그리고 가해자들의 민낯을 직시하는 것이 다큐멘터리의 몫이라면, 현실을 직시하고, 그 현실을 돌파할 출구를 모색하는 것 역시 다큐멘터리의 몫일 것이다. 80년대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싸웠던 여성노동자들의 역사와 일본인들의 차별에도 재일동포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동포들의 모습에서, 그리고 일상에서의 연 대를 통해 삶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중 2편에 각각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과 심사위원 특별상이 주어진다. In the age of flourishing documentary production, a total of 80 films are submitted to the Korean Competition. Among them, only 8 documentaries screen in the Korean Competition covering liv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omeless people at the Yeongdeungpo Dosshouse Town and migrant women and, with the scream from the families of Sewol Ferry victims, these films look back on our society in a voice of self-examination. In the society where ‘hatred’ is a buzzword, if we define the role of documentary as looking straight at the weak, the minority, the target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as well as the assailant, looking at the reality and searching for an exit from that reality must be another role of documentary. To accomplish the goal, we can find a clue from the history of female workers fighting in Japan and Korea, from compatriots tried not to lose their identities as Koreans and from the ordinary people looking for a breakthrough with everyday solidarity. Among the works, 2 films will be won the Best Korean Documentary Award and the Special Jury Award respectively.

백년의 가족

Korea | 2015 | 122min | DCP | Color Director 김덕철 KIM Duk-chul

One Hundred Years : The Journey of the Family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l KIM Duk-chul PRODUCER l KIM See-woo EDITOR l KIM Duk-chul, NABESHIMA Jun SOUND l KIM Duk-chul, MATHUMOTO Ryuji

김덕철 KIM Duk-chul

Filmography 백년의 가족 One Hundred Years : The Journey of the Family (2015) 강을 건너는 사람들 People Crossing The River (2006) 건너야할 강 The River of Reconciliation (1994)

Program note 일본의 가와사키 시에는 8천 여 명의 재일동포가 산다. 다른 일본의 어떤 곳보다 가와사키 시는 이민족과의 공생에 관대하다. 가와사키 시에는 재일동포 외에도 여 러 민족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가와사키 시가 다민 족 사회에 관용적인 사회를 이룬 것은 1970년대부터 이곳 재일동포들이 지문날인 반대 운동을 하면서 지역사외에 인권의식이 차곡차곡 쌓여온 결과다. 영화는 그 재일동포 인권운동의 선구자인 이인하 목사와 주변 사람들을 취재하면서 방사형 으로 여러 인물들을 고찰한다. 영화가 시작하는 2000년 무렵 남북간 대화협상 분 위기가 무르익고 한류 바람이 퍼지면서 일본과 한국 사이에도 부드러운 우호친선 관계가 형성된 것과 달리 영화 후반부에 이르러 남북한은 물론이고 동북아 지형 전체에 새로 냉전 기류가 형성되는 현재의 상황을 보는 것은 관객의 마음을 아프 게 한다. 사람들의 개별적인 삶이 각 국가의 정치체제 흐름과 매우 관계 깊다는 걸 새삼 실감하는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의 평화를 위한 노력이 사회 전체를 움직이는 힘으로 진화하는 게 아니라 덧없이 소멸하는 건 아닌가라는 강한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흐름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인간적 믿음을 유 지하면서 더불어 사는 것의 가치를 회의하지 않는 영화 속 수많은 등장인물들의 사연은 우리를 감동시킨다. 어딘가에는 전쟁과 반목 보다 화해와 공생을 희구하는 사람들이 늘 있고 우리가 그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게 적지 않은 위안과 희망을 준다. (김영진)

There are about 8000 Korean residents in the city of Kawasaki in Japan. No other city is more friendly and tolerant to immigrants and minor ethnic groups than Kawasaki. Other ethnic groups also peacefully coexist here. As the documentary film One Hundred Years: The Journey of the Family suggests, the coexistence results from awareness of human rights, which has grown with the anti-fingerprinting movement led by Korean residents. While tracing LEE In-ha, a Korean minister, who initiated the human rights movement for Korean residents and those around him, this documentary film delves into people regarding the movement, one by one, in a radial arrangement. By the time of 2000, when the film started shooting, South Korea and Japan remained in amicable relations, as the ten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ased and as Korean pop culture grew more popular; these days, however, when the film’s end is in sight, East Asian countries remain at loggerheads over political/economic issues, which create hurtful feelings in those who watch this film. This makes us realize again that individual life is deep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system and policies of nation–states and, at the same time, leads to skeptical thinking in that many people’s labors and endeavors for peace sometimes amount to nothing and do change the world. Nonetheless, those who do not frustrate themselves while keeping faith with humanity and the value for living together in peace and their stories certainly will move an audience. The fact remains that people who pursue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are always somewhere, and the fact that we can be friends gives us hope and comfort. (KIM You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53


Korean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불온한 당신

Korea | 2015 | 100min | DCP | Color Director 이영 LEE Young

Troublers

스와니 - 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Korea | 2014 | 69min | DCP | Color Director 오두희 OH Doo-hee

Swany - 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 l LEE Young PRODUCER l LEE Hye-ran, HONG So-in CINEMATOGRAPHER l LEE Hye-ran, LEE Young EDITOR l LEE Hye-ran, LEE Young

이영 LEE Young

Filmography 불온한 당신 Troublers (2015) OUT (2007) 이반검열 Lesbian Censorship In School 1 (2005) 거북이 시스터즈 Turtle Sisters (2002)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OH Doo-hee

오두희 OH Doo-hee

Filmography 스와니 -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Swany- 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 (2014) 23x371일 - 용산 남일당 이야기 23x371days -The Story Of Namildang In Yongsan (2010)

Program note 커밍아웃한 레즈비언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인 이영은 선배 세대 레즈비언들을 취 재하다가 바지씨 이묵을 만난다. 고향 동네에서 살가운 이웃들과 평화롭게 살고 있는 이묵은 레즈비언이 한데 모이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았던 젊은 시절을 담담히 회고한다. 이묵이 감수해야 했던 혐오의 시선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 조금은 덜해 졌을까? 이묵을 만나고 돌아온 카메라에 담긴 서울은, 어리석은 질문을 작정하고 비웃기라도 하는 듯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로 가득 차 있다. 혐오세력은 사 회적 약자의 권리를 주장하는 이들에게는‘종북’ 이라는 낙인을, 동성애자들에게는 음란이라는 낙인을 새기며‘척결’ 을 주장한다. 3.11 쓰나미를 겪으며 커밍아웃한 일본의 레즈비언 커플 논과 텐을 만난 감독은 거대한 재난 앞에서 레즈비언을 비 롯한 사회적 소수자의 삶이 얼마나 더 불안할 수밖에 없는지를 깨닫는다. 한국사 회를 가득 채운 헤이트 스피치는 심지어 세월호 유가족도 비껴가지 않는다. 혐오 세력에게는 하루아침에 자식을 잃은 참담함을 호소하는 세월호 유가족도 나라를 망치는 불온한 세력일 뿐이다. 성소수자에서 평범한 상식을 가진 시민에게로, 혐오 의 타깃이 점점 확장되어 가는 한국사회의 헤이트 스피치를 끈질기게 좇는 카메라 에 반복해서 등장하는 그들의 광기 어린 저주와 몸짓을 보며 묻지 않을 수 없다. 과 연 불온한 자는 누구인가? (이영주)

5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LEE Young, a documentary filmmaker and openly lesbian, encounters basissi (butch lesbian) LEE Muk while researching earlier generation of lesbians in South Korea. LEE Muk, living with friendly neighbors in her hometown, reflects with equanimity on her past days when gathering lesbian people was forbidden. Has the hatred she has had to deal with lessened now after dozens of years have passed? Seoul captured with the director’s camera on the day she met LEE Muk is full of hate speeches, as if mocking my absurd question. People who are hateful and racial in South Korea want to eradicate the activists for social minority and LGBT people with labeling them as “Pro-North Koreans” and as “licentious.” When the director LEE Young meets the lesbian couple Non and Ten, who made their coming out decision after suffering the 3.11 tsunami, she realizes how unsecure and unsafe the life of social minority, including lesbians, can become especially when confronting an enormous disaster. Hatred prevailing Seoul does not miss the families of Sewol-ho. To people of hateful speech and practices, even the families who publicly express grief for their loss of children is considered only as a trouble that destroys national security. While watching the “hatred people” acting insane and spatting curses in Seoul where the targets of hate crime are growing wider, from LGBT people to common people with reasonable criticism, we have to ask, finally, who is the real trouble? (LEE Young-ju)

1989년, 익산에 공장을 둔 아세아스와니는 폐업을 선언한다. 스키장갑을 만드는 이 공장의 노동자들 대다수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노동자가 된 어린 여성들이었 다. 돈을 벌면서도 학업을 병행하려는 이들의 의지는 열악한 노동조건 하에서 실 현되기 쉽지 않았고 이들이 불합리한 노동환경에 눈을 뜨면서 노동조합이 결성된 다. 그 무렵 아세아스와니 일본 본사로부터 갑작스러운 폐업통보를 받은 것이다. 이들은 공장을 점거하며 농성을 시작하지만 사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네 명의 여성 노동자들이 일본 본사로 원정 투쟁을 떠난다. 영화는 100일간의 일 본 원정 투쟁의 현장 기록화면과 당시의 순간들을 떠올리는 여성 노동자들의 현재 를 교차시킨다. 결과로만 보자면 완전히 승리한 싸움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에는 패배의 기운이 아닌, 긍정할 수밖에 없는 에너지가 가득하다. 순진한 소 녀가 강인한 노동자로 변모해가는 교조적인 과정이 아니라, 젊은 여성의 활기와 노동자로서의 활기가 함께 숨을 쉬며 만들어낸 세계가 여기 있다. 무엇보다 그런 활기에 각자의 방식으로 응답하는 재일 한국인들, 일본의 남녀 노동자들의 모습은 이 싸움의 과정을, 그리고 당시를 기억하는 이 영화의 시선을 냉소가 아닌 온기로 품게 한다. 국적과 언어를 넘어서,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사람이 사람에게 최선을 다해 화답할 수 있다는 이상적이지만 진귀한 사실을 그들의 100일은 증명해낸다. (남다은)

Asia Swany shuts down its ski glove factory in Iksan in 1989. Most of the workers there are young women who had to work to support their family. It wasn’t realistic for them to carry on with their studies while working under such harsh conditions and they form a labor union as they become more aware of the irrational labor environment. Around this time, they receive a sudden notice of the company’s shutdown from the headquarters in Japan. They take over the building and begin to boycott, but when there are no signs of a settlement being reached, four women laborers decide to leave for Japan to fight. This movie intersects documented footage of their 100 days of struggle in Japan and the present day of these women who recall those moments. Although ultimately not a complete victory, this movie is filled with optimistic energy rather than defeatism. It does not simply show the dogmatic process of innocent young girls transforming into laborers but rather creates a world formed by the vitality of young women and the spirit of laborers. Most importantly, the various ways that Koreans who reside in Japan and Japanese citizens respond to their spirit illustrate with warmth and not indifference the process of their struggle and the movie’s perspective as it recalls those times. Their 100 days prove the idealistic yet rare truth that people can respond with sincerity to others that they have no vested interest in despite nationality and language differences. (NAM Da-e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55


Korean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야근 대신 뜨개질

Korea | 2015 | 105min | DCP | Color Director 박소현 PARK So-hyun

The Knitting Club

World Premiere

업사이드 다운

Korea | 2015 | 70min | DCP | Color Director 김동빈 KIM Dong B

Upside Down

World Premiere

※ 2014 DMZ Docs 제작지원 선정작

Staff

Staff DIRECTOR/ CINEMATOGRAPHER/EDITOR l PARK So-hyun PRODUCER l LEE Hyun-ji MUSIC l SERT Jimmy SOUND l PYO Yong-su

박소현 PARK So-hyun

Filmography 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2015)

DIRECTOR l KIM Dong B PRODUCER l KIM Dong B, Kason PARK CINEMATOGRAPHER l LEE Michael Yoosub, KANG Yoo-bin, KIM Dong B EDITOR l HWANG Geum-hee MUSIC l KWAK Young-kwon SOUND l YOO Yonn-jae

김동빈 KIM Dong B

Filmography 업사이드 다운 Upside Down (2015)

Program note 사회적 기업인 공정여행사‘트래블러스 맵’ 에서 일하는 나나와 주이, 빽은 야근 대 신 좀더 재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 모인다. 그렇게 시작된‘야근 대신 뜨개질’은 얼 핏 회사 생활에 지친 여자들의 가벼운 수다 모임 정도로 보이지만, 개인들의 친목 모임에 그치지 않는다. 자신이 서있는 자리와 삶이 세상과 한 코 한 코 긴밀하게 연 결되어 있음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녀들은 무표정한 도시의 아침을 알록달록하게 물들이는 도시테러를 기획하기도 하고, 밀양송전탑을 응원하는 765프로젝트를 시 작하기도 한다. 밀양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농사를 돕기도 하고, 광화문 세월호 유 가족 농성장을 찾아가기도 한다. 한편 나나는 자신이 일하는 사회적 기업 안에서 의 노동 조건과 조직 문화 등을 고민하며 노동조합을 만들려고 한다. <야근 대신 뜨개질>은 노동조합을 만들려는 나나와 동료들의 움직임과 일상에서의 사회적 연 대를 고민하는 야뜨질 모임의 두 축으로 전개된다. 언뜻 각자의 동떨어진 이야기 처럼 보이는 이 두 가지는 날실과 씨실이 교차되며 두 개의 선이 면을 이루어가듯 하나의 이야기로 모아진다. 이 날실과 씨실을 관통하는 고민과 물음은 윤리적 생 산에 가려진 비윤리적인 조직 시스템을 들춰내기도 하고, 조직의 발전에 눌려있던 개인의 희생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 질문들이 비단‘사회적 기업’ 이나 대 안적 삶을 꿈꾸는 활동가들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나나는 회사를 그만 두고, 주이와 빽은 여행을 떠나면서 이들은 삶의 한 매듭을 짓지만, 이 질문은 영화를 보 는 우리에게 여전히 남는다.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그리고 더 행복한 삶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사람들과 관계 맺어야 할까, 그리고 그 삶을 지탱할 수 있는 기운은 또 어떻게 주고 받아야 할까. 영화를 보고 나면 여성의 화법 으로 어딘가에서 치열하게 이 고민을 하고 있을, 어쩌면 이 고민의 긴 터널을 지나 왔을 또 다른 야뜨질 멤버들을 만나고 싶어진다. (박혜미)

5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Nana, Jouie, Ppek works at a fair trade travel agency °∞Travelersmap,°± a social enterprise, and wants to do something fun than to work overtime. At first glance, the start of <The Knitting Club> looks like nothing more than a group of corporate-life-tired-lady°Øs casual gabfest, but it is more than just a simple social gatherings of individuals. The ladies are grounded and know where they stand and that our lives are connected stitch by stitch to the world. The Knitting Club goes through many activities. The ladies plan a colorful urban terror to wake up the expressionless city’s morning. They start a Mir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support project called “765 project.” They would go and help the Miryang residents with farming and visit the Gwanghwmun Sewol victims sit-in-site. Meanwhile Nana contemplates the working condition in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a social enterprise and tries to create a union. The Knitting Club unfolds two stories: first is the story of Nana and her coworkers creating a union. The second story is the communal meetings that envision daily social solidarity. At first glance these two stories look like they have nothing in common but as each story stitches into the other it forms unified shape. The questions woven in the story exposes obscured unethical organizational system in the ethical production. It reveals personal sacrifices due to organizational development being prioritized. These questions apply to social enterprises and alternative-lifestyle-seeking-activists and more. Nana quits her work and Jouie and Ppek goes on a trip creating a knot in their journey. However some question still remains to those who watch the movie. To create a better world and to pursue a happier life what should we do? How should we create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how should we exchange the essence that can sustain life? After watching the movie it urges me to meet those with a strong feminine voice who went through the same path to answer the same question. (PARK Hye-mi)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난 지 1년여가 훌쩍 지났다. 그러나 속 시원히 밝혀지거나 해결된 것은 없다. 심지어 세월호에 대한 적절한 애도의 단계조차 거치지 못했다. <업사이드 다운>이 관객에게 제안하는 것은 애도도, 추모도 아니다. 한껏 슬퍼한 뒤 추모의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영화는 바라지 않는다. 관객은 자식을 잃은 어머 니의 슬픔을, 친구를 잃고 살아남은 학생들의 슬픔을 내 것으로 온전히 받아들이 기 힘들다는 사실을 우선 인정해야 한다. 애도의 이미지가 다큐멘터리를 통해 전 해질 때 그것은 일종의 감정적 해소의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그러나 감정적 해소는 우리의 몫이 아니다. 영화는 주요 인터뷰 대상을 네 명의 아버지로 한정한다. 여기 에는 어떤 제안이 숨겨져 있는 것 같다. 우리는 적어도 세월호 사건에 대해 희생자 들의 아버지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고 말이다. 어머니나 친구 대신 아버지를 내세운 것이 결코 아버지의 슬픔이 덜하기 때문은 아니다. 여기에서 아버지는 슬 픈 정도나 성별을 넘어선 어떤 상태다. 이는 영화가 특히 언론에 대한 비판을 시도 한다는 점과 관련된다. 언론이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고, 사람들의 눈물을 보도하는 동안 마땅히 처리해야 할 일을 방관하고 숨겨버린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이 영화 내내 도사리고 있다. 그러므로 모성이나 또래 친구 집단으로 표상된 감정적 인 슬픔이나 애도의 단계와 영화는 거리를 두려고 한다. 감정으로 감정에 호소하 는 대신, 이성으로 이성에 호소한다. 이것은 정말 이치에 어긋나는 일이지 않은가 하고.‘ 자본의 논리가 아닌 인간의 논리에 따른 적절한 보상은 무엇인가’ 에 대한 고민을 촉구하는 하나의 성명서다. (김소희)

It’s been over a year since the Sewol tragedy. Yet, nothing has been clearly explained or resolved. In fact, there has not even been a proper stage of mourning regarding the Sewol tragedy. What this documentary proposes is neither commemoration nor mourning. It is in no way the film’s objective to move on to the stage of commemoration after much grieving. We are invited to recognize that it is impossible to accept as our own the sorrows of the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and the young students who lost their friends and survived. A documentary could offer a kind of emotional catharsis through images of condolences. Yet, we are not allowed this kind of emotional catharsis in Upside Down. The film limits its interviewees to four fathers. There seems to be a hidden suggestion here. It is that we should at least be fathers to the victims of the Sewol tragedy. The choice to focus on fathers is not because their grief is any less than that mothers or young friends. The fathers in the film are figures who transcend gender and degrees of sorrow.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film’s criticism of the mass media. The underlying criticism throughout the whole film points out that the media may have just stood by and even hidden from the view what should have been done, while reporting stories of tears and stirring up emotions. Therefore, the film keeps a distance from the stage of sorrow or grief represented by maternal instincts or peer groups. Instead of appealing to our emotions with sentiments, the film chooses to appeal to our intellect with reason, showing how preposterous all this is. Upside Down could be seen as a kind of manifesto that urges us to concern ourselves about what could be an adequate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human logic instead of the logic of capitalism. (KIM So-he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57


Korean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왕초와 용가리

Korea | 2015 | 91min | DCP | Color Director 이창준 LEE Chang-jun

Hide Behind the Sun

Korea | 2014 | 24min | DCP | Color Director 김숙현, 조혜정 KIM Sook-hyun, CHO Hye-jeong

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World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CINEMATOGRAPHER l LEE Chang-jun PRODUCER l PARK Mi-jin EDITOR l LEE Chang-jun, KIM Moo-eun

DIRECTOR/PRODUCER/EDITOR/SOUND l KIM Sook-hyun, CHO Hye-jeong CINEMATOGRAPHER l KIM Yong-jin, KIM Bo-ram

이창준 LEE Chang-jun

Filmography 왕초와 용가리 Hide Behind the Sun (2015)

김숙현

조혜정

KIM Sook-hyun

CHO Hye-jeong

Filmography

Filmography

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2014) 도시정물 Still Life in the City (2012) 우주공허 Cosmic Emptiness (2005)

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2014) 홀드 미 Hold Me (2013)

Program note 쪽방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나 서울역을 떠도는 노숙인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볼때면 난감해진다. 도저히 출구가 보이지 않는 이들의 가난을 어찌해야 하는 걸 까. 이들의 삶을 이렇게 안락한 곳에서 팔짱 낀 채 지켜보는 것만으로 사회적 책임 을 방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자책 때문일 것이다. <왕초와 용가리> 역시 영 등포역 쪽방촌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삶을 때로는 착잡한 마음으로, 때로는 안타 까운 심정으로, 그리고 아픈 마음으로 지켜보게 된다. 카메라를 들고 자신을 쫓아 다니는 감독을 주민들은 낯설어 하지 않는다. 감독은 쪽방촌의 왕초인 상현과 온 몸에 새겨진 용가리 문신과는 달리 순하디 순한, 죽음을 기다리는 정선, 술에 취해 길바닥에서 잠들기 일쑤인 복수, 자선단체에서 일하며 삶의 희망을 붙들어보려는 진태의 일상을 담는다. 영화는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반복되는 그들의 삶을 서울이 라는 화려한 도시의 풍경과 나란히 놓는다. 주민들끼리 서로를 위해주며,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 살 만한 곳이었던 이곳은 갈수록 줄어드는 일거리와 쪽방촌 리모델링 사업, 재개발 바람이 불면서 점점 살기 어려운 곳이 되어간다. 서울 한복판의 거대 한 쇼핑몰, 화려한 네온사인과 분주하게 움직이는 사람들로 가득찬 풍경과 영등포 쪽방촌의 풍경은 좀처럼 섞여들지 않는다. 교회와 자선단체들이 나누어준 구호품 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방송과 기독교에서 설파하는 전도의 손길은 이들의 삶을 진정으로 구제하지 못한다. <왕초와 용가리>는 이 탈출구 없 는 마을과 화려한, 하지만 무표정한 도시의 풍경을 비춘다. 나란히 평행선을 긋는 것처럼 보이는 두 공간의 풍경은 쓸쓸하고, 서울시와 교회에서 운영하는 단체에서 일을 하며 한 푼이라도 벌어야겠다는 상현의 타협도 쓸쓸하긴 마찬가지이다. (박헤미)

5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It could be uneasy to watch a documentary of people living in jjokbangchon or the homeless drifting around Seoul station. What can be done to help those in poverty with no hopes of a breakthrough? One can ponder; maybe there is self-guilt from abandon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simply watching someone struggle from a comfortable distance. Hide Behind the Sun makes the audience observe the jjokbangchon life with mixed bittersweet emotions. Director Chang-jun Lee captures the raw real footage of the jjokbangchon people. Lee shows the daily life of four men. The Jjokbangchon ringleader Sang-hyun, Jung-sun a heavily tattooed big softy who is eagerly waiting to die, Bok-su who gets drunk and passes out in the streets, and Jin-tae who works in a charity trying to grasp hope for life. The film puts their tiresome repetitive lifecycle side by side with the colorful landscape of Seoul. Once a great community with good neighbors is disappearing due to scarce employment opportunities, redevelopment craze and jjokbangchon remodeling projects. In the midst of conglomerate shopping malls, fancy neon signs and the busy passer-by in the heart of Seoul, the jjokbangchon seems to repel like a mixture of water and oil. The aid from the church and charities fails to give any practical help. The media broadcast and Christian missionary work also fails to truly remedy their lives. Hide Behind the Sun forms a striking contrast between a town with no hope and the vibrant but expressionless landscape of a metropolis. The two spaces draw a dreary parallel line. The compromise of the ringleader Sang-hyun who works in an organizations run by Seoul and the church draws dreariness likewise. (PARK Hye-mi)

지난 몇 년간,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감정 노동자들의 고충에 관심을 기울인 뉴스 나 다큐멘터리는 종종 있었다. 그들이 서비스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그들 이 견뎌야 하는 인간적인 모멸감을 폭로하는 방식은 주로 모자이크로 얼굴이 지워 진 노동자들과 인터뷰를 하거나, 몰래 카메라에 찍힌‘고객’ 의 행태를 보여주는 것 이었다. 이 영화는 다르다. <시대: 서비스 노동의 감정미학>은 감정 노동자들이 대 면해야 하는 현실의 내용을 그저 전달하는 대신, 그들이 감당하고 있는 현실의 무 게를 영화 자신의 형식으로 구현해낸다. 이를테면 보육교사의 내레이션이 흘러나 오는 동안, 화면 안에서는 한 여자가 등에 인형을 업고 구부린 채 한 자세를 유지하 고 있다. 보육교사의 내레이션이 끝날 때까지 그녀는 힘겹게 버텨야 하는데, 우리 는 보육교사가 들려주는 경험담의 힘겨움과 화면 속 여자의 육체적 고통을 함께 체감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콜센터 직원, 승무원, 미용실 수습, 요리사 보조, 경 호원 등의 목소리가 들려오면 그들 각각의 직업을 연상하게 하는 특정한 자세가 다른 사람들의 몸을 통해 구현된다. 말하자면 이 영화는 이 시대 감정 노동자들이 감내하는 시간을 영화의 육체적 시간으로 전환하며 보는 이로 하여금 듣는 대신, ‘ 견디게 한다.’사회적 이슈를 영화적 언어로 감각하며 관객을 그 세계 안으로 불 러들이는 방식이 치열하고 창의적인 영화다. (남다은)

Over the past few years, there have occasionally been news or documentaries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laborers who engage in the service industry that exposed the terrible working conditions of service industry workers with their faces pixelated as they are forced to tolerate being humiliated as an individual or displaying the behavior of ‘clients’ caught off guard on camera. But this movie is different. Instead of just delivering details of the reality that emotional laborers face,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portrays in its own way the burden of reality that they are coping with. When there is a voiceover of a pre-school teacher, for example, a woman with a doll on her back stays in a crouching position. This woman must maintain this strenuous position as the preschool teacher tells of her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so that we feel her physical pain as well. As such, people holding specific postures resembl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center employee, a flight attendant, a beauty salon trainee, a cook’s assistant and a bodyguard accompany each of their voiceovers. In other words, this movie converts the time that emotional laborers of this era must bear into the film’s physical time to make the viewer ‘withstand’ it instead of hearing it. The movie perceives social issues with cinematic language and draws the audience into its world with fierceness and creativity. (NAM Da-e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59


Korean Competition

편지

Korea | 2014 | 16min | DCP | Color Director 이현정 LEE Hyun-jung

The Letter

청소년경쟁 Youth Competition

다큐멘터리가 가진 교육적 가치를 통해 다큐멘터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DMZ국제다큐영화제는 청소년들을 위한 제작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청소년경쟁 부문을 통해 다큐 멘터리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열린 장을 제공한다. 올해 에도 청소년들이 제작한 6편의 다큐멘터리가 경쟁 부문에 올라 경합을 벌인다. 진로와 입시, 정체 성 등 청소년들이 맞닥뜨린 고민에서부터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과 사회에 대한 성찰까지 다양한 청소 년의 일상과 목소리를 엿볼 수 있다. 이중 두 편을 선정해 최우수청소년다큐멘터리상과 우수청소년다 큐멘터리상을 각각 시상하며, 사전에 선발된 7명의 청소년 심사단이 수상작을 선정한다.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LEE Hyun-jung SOUND l PYO Yong-soo

이현정 LEE Hyun-jung

Filmography 편지 The Letter (2014)

Program note <편지>는 텍스트의 잠재적 내러티브와 낭독의 수행적 재연(Performative Reenactment), 그리고 동어반복이라는 발화의 힘을 보여주는 비디오 액트(Video Acts)에 가까운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고정된 프레임으로 두 개의 쇼트로 분할된 이미지는 텍스트를 낭독하는 서로 다른 주체의 시선에 집중하는데, 시간이 지속되 면서 텍스트의 번역이라는 내러티브의 새로운 배열을 통해서 낭독 주체의 내레이 션과 행위(Performing)의 통일성이 붕괴되는 경로들로 전이되는 듯 하다. 영화는 이제 원-언어와 번역된 언어의 행위들이 서로 겹쳐지고 교차되면서 이미지는 서서 히 사라지고 목소리들만 남게 될 것이다. 감독은 19세 이주여성이 쓴 편지를 제3 자의 인물들이 낭독하게 만듬으로써 목소리를 신체에 대한 환유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목소리 그 자체를 영화적 구성으로 생산함으로써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는 폭력의 증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 이주여성의 죽음에 대한 추모사. (전성권)

6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e Letter could be viewed as a video act that demonstrates the powerful impact of tautology, the potential narrative of a text, and the performative reenactment of recitation. The fixed frame is split into two images, each focusing on the other’s perspective while the text is being read out loud. In time, the narrative is re-arranged through the act of translating the text, which seems to transition into the ways in which the unity of the narration and the narrators’ act of performing collapses. The original and translated languages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The film is then left with voices as the images slowly disappear. By having a third party read the letter written by a 19-year-old immigrant woman, the director seems to accept the voice as metonymy of the body. By producing the voice itself as a cinematic structure, the film illustrates the symptoms of violence taking place today. The Letter commemorates the death of an immigrant woman. (JEON Sung-kwon)

In order to enlarge the base of documentary with its educational value,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runs youth production support programs and educational programs. The festival also offers an open place, the Youth Competition, for the youth to let out their voice and to communicate with the society with their documentaries. This year, 6 documentaries made by teenagers entered into competition. From worries about their future course, entrance examination or identity to their reflection on the region and the society they live in, the audiences can watch various lives and voices of the youth. Only 2 works will be winning the Best Youth Documentary Award and the Excellence Award decided by the jury comprised of 7 teenagers selected beforehand.


Youth Competition

Youth Competition

599.4km

Korea | 2015 | 6min | DCP | Color Director 김묘인 KIM Myo-in

599.4km

World Premiere

봉준호를 찾아서

Korea | 2015 | 19min | DCP | Color Director 정하림, 이지연, 박건식 JEONG Ha-rim, LEE Ji-yeon, PARK Gun-sik

Searching for Bong

World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EDITOR l KIM Myo-in

김묘인 KIM Myo-in

Filmography 599.4km 599.4km (2015)

DIRECTOR l JEONG Ha-rim, LEE Ji-yeon, PARK Gun-sik PRODUCER l JEONG Ha-rim CINEMATOGRAPHER l JEONG Ha-rim, LEE Ji-yeon EDITOR l JEONG Ha-rim, LEE Ji-yeon SOUND l JEONG Ha-rim, PARK Gun-sik MUSIC l LEE Ji-yeon CAST l JEONG Ha-rim, LEE Ji-yeon, PARK Gun-sik

정하림

이지연

박건식

JEONG Ha-rim

LEE Ji-yeon

PARK Gun-sik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봉준호를 찾아서 Searching for Bong (2015)

봉준호를 찾아서 Searching for Bong (2015)

봉준호를 찾아서 Searching for Bong (2015)

Program note 전국이 하나의 큰 장례식장이 되어버린 작년 4월, 그 묵직한 슬픔을 추스릴 새 없 이 언론은 경쟁적으로 더 자극적인 기사를 써 내려가기 바빴다. 어느새 사건엔 정 치적인 색깔이 입혀졌고, 기사들은 세월호 사건을 그저 하나의 단순 사고로 치부 했다. 오히려 유가족들에게‘유난 떤다’ 며 그들의 잘못인 양 떠들었다. 흘러가는 인스턴트 언론 속에서 어른들은 세월호 사건을 두고 말다툼하기 바빴고, 대개 사 회 구성원들은 서로 남 탓을 하려고만 했다. 나중에는 피곤하다며 이야기 자체를 회피해버리기 일쑤였다. ‘세월호 유가족들을 진압하는 경찰들보다 어른들이 무서웠다’ 고 회상하는 감독은 작품 속에서 자연스레 자기 고백을 이어나간다. 할머니를 통해 처음‘죽음’ 을 생각 하게 되었고, 그마저도 실감이 안 나 할머니의 부재를 체감하고 마음으로 슬퍼하 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던 감독. 감독은 유가족들의 슬픔에 대해 너무나도 잘 공감한다. 또, 그와 동시에 공감한 슬픔을 밖으로 꺼내지 못 하게 하는 사회가 무섭다고 털어놓는다.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내비치면서도 점점 어른들과 닮아 가는 것 같은 스스로가 더 무서워지고 있다고, 용기 있게 토로하는 감독의 모습은 우리에게 공감을 바탕으로 한 진실됨이 다큐멘터리의 미덕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 준다. 조심스럽지만 용기 있고 단단한 고백은 긴 여운으로, 그 이상으로 빛을 발하 고 있다. (성다은)

6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Last April, when the entire nation was in mourning due to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the media was consumed with which media outlet can write more provocative articles. Before long, the media reported the incident as a political issue and later dismissed it as a mere accident. The media even went on to criticize the victim’s family members for ‘overreacting’ to the catastrophe. In the world of instant media consumption, majority of the adult citizens bickered and blamed the people at fault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As time went by, people ignored the tragedy all together. In this film, the director recounts how ‘Families of the Sewol Ferry victims were more scared of people than the police.’ He mentions he first thought about ‘death’ when his grandmother passed away, and it took a very long time for him to process her absence and feel sorrow. Therefore, he can relate to the families who lost a loved one in the Sewol Ferry. He also says he was scared that the society prevented people from showing sadness. The portrayal of the director who bravely admits that he naturally showed his emotions but became afraid when he was becoming emotionless like the adults allows us to realize that sincerity based on sympathy is a virtue. This courageous confession sends a lasting message. (SEONG Da-eun)

보는 내내 긴장감을 감추지 못한 작품이다. 이들이 과연 봉준호 감독을 만났을까? 누구나 할 수 있는 SNS, 전화, 이메일 등의 방법을 동원해 다큐를 이끌어가지만, 절대 식상하지 않다. 이들의 진심이 영상으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카메라의 hand-held 기법을 사용하여 따분할 수 있는 그들의 대화방식에 긴장감을 불어 넣 었고,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조금은 거칠게 보였지만, 사전에 얼마나 많은 자료조사를 했는지 그 성실함이 인터뷰를 통해 묻어났다. 이 작품의 종착역은 봉준호 감독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분명한 건 봉준호 감 독이 청소년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야기의 시작은 청소년들이 만들어 갔지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만난 어른들은 청소년들을 통해 마치 자신 의 초심을 찾는 듯하였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한 많은 어른들은 청소년들의 도전 과 용기에 마음을 움직였고, 그들을 격려했다. 마치, 자신에게 하듯이. 과연 청소년 들은 봉준호 감독에게 어떤 이야기를 듣고 싶었던 걸까? 진짜 만날 수는 있는 걸 까? 용기 있는 자가 미인을 얻는다는 속담처럼 끊임없이 도전하고 이야기를 만들 어가는 미래의 영화인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리고 너희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너희들을 찾아오는 청소년이 있다면, 지금 이 순간을 잊지 말기를. (성윤경)

The film keeps you on your toes till the very end. Did the teenagers meet Director BONG Joon-ho? Despite using the usual methods of social networking sites, phone-calling, and emails to reach out to the famed Korean director, the documentary about the teenagers’ sincere yearning to meet him is refreshing. The teenagers use the shaky camera method to make their conversations more dynamic. Although their conversation is vulgar, their interviews reflect how much they prepared in advance to achieve their goal of meeting the director. The final destination of this film may not be meeting Director BONG Joonho. However, one thing is for certain; Director BONG Joon-ho inspired these teenagers for them to want to meet him. The teenagers meet many grownups along the journey to seek the director. The teenagers may have initiated this odyssey, but the grown-ups are the ones who are reminded of their humble beginnings. Many grown-ups including Director BONG Joon-ho are touched by the teenagers’ courage. They cheered the youth on as if cheering for themselves. What kind of stories do the teenagers want to tell Director BONG Joon-ho? Just like the idiom “None but the brave deserve the fair,” I applaud all future filmmakers. Also, remember this moment when a teenager comes to you when you become a successful director. (SEONG Yun-kyeong)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63


Youth Competition

Youth Competition

블루 서스펜디드

Korea | 2015 | 9min | DCP | Color Director 엄지, 오수현, 최소희 EOM Ji, OH Soo-hyun, CHOI So-hee

Blue Suspended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KIM Eui-sun CAST l KIM Eui-sun, KIM Sung-jae, PARK Kyung-hee, LEE In-jong, KIM Ho-sun

오수현

최소희

OH Soo-hyun

CHOI So-hee

Filmography

Filmography

블루 서스펜디드 Blue Suspended (2015)

블루 서스펜디드 Blue Suspended (2015)

펭귄 아빠 Penguin, Papa (2014)

늦가을 Late fall (2014)

펭귄 아빠 Penguin, Papa (2014)

Shortcut

World Premiere

DIRECTOR l EOM Ji, OH Soo-hyun, CHOI So-hee PRODUCER/SOUND/MUSIC l EOM Ji EDITOR l EOM Ji, CHOI So-hee CAST l KIM Jun-ho

EOM Ji

Filmography

Director 김의선 KIM Eui-sun

Staff

엄지

블루 서스펜디드 Blue Suspended (2015)

숏컷

Korea | 2014 | 10min | DCP | Color

김의선 KIM Eui-sun

Filmography 숏컷 Shortcut (2015)

Program note <블루 서스펜디드>는 커피 광고가 떠오르는 아기자기한 영상과 애니메이션의 조 화로“미리내(기부)” 라는 정보를 적절한 구성과 인터뷰로 이끌어 나가는 정보다큐 이다. 화면에서 보여지는 영화 같은 미장센은 다큐인 것 같으면서도 소소한 에세 이집 한 권을 읽는 듯한 편안함을 준다. 이러한 세심하고 세련된 영상 구성이 고등 학생 작품이라는 것도 놀랍지만, 제공하는 정보가 지루할 수 있는 착한 내용임에 도 아기자기한 영상으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다는 것도 놀랍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기부문화가 점차 확장되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생활 속에서 어떤 기부활동을 할 수 있는지 잘 모르는 게 사실이다. 이 다큐 를 통해 알려지지 않은 생활 속의 작은 기부문화인“미리내 운동” 을 통한 기부의 가치를 사람들과 영상을 통해 공유하고, 또한 직접“미리내 운동” 에 동참하는 우 리의 착한 청소년들이 대견하다. “미리내 운동” 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청소년의 시각에서 잘 표현한 이 작품 을 통해, 작은 기부문화에 동참하고 싶게 만드는 설득력 있는 작품이다. 앞으로도 청소년들의 시각이 반영된 이러한 정보다큐를 통해 세대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청소년들이 세계시민으로 성장해 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성윤경)

6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Combining a cute animation video that reminds you of a coffee advertisement with information and interviews, Blue Suspended informs you about the concept of “Mirinae”(Pay it forward type of donation). This movie-esque mise-en-scene seems like a documentary and at the same time it gives you a sense of comfort of reading an essay. Although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are more aware of the donating culture, individuals do not know how to donate in their daily lives. It is remarkable to see the teenagers create a video about something close to their heart about a little known act of kindness called the “Mirinae Movement” to inform and share the value of participating in this movement. This documentary portrays the ultimate goal of the “Mirinae Movement” in the eyes of teenagers and persuades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donating culture. I hope informational documentaries that reflect teenagers’ perspectives like this can connect different generations and help teenagers become first class global citizens. (SEONG Yun-kyeong)

생각해 보면 나 또한 그러했고, 그 또래 여자아이들에겐 로망처럼 숏컷으로 표현 하고 싶은 반항심이 있다. 자연스레 외모와 함께‘프리’ 해져가는 행동 변화에 어른 들에겐 지적당하기 일쑤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정작 자신은 더 쾌감을 느낀다고 할까? 그저 내 딸이기에 예쁘다고 하시는 아버지와는 다르게, 숏컷이 싫다고 하시 는 엄마의 반응에 더 민감해 보이는 건, 바로 엄마와 딸이라는 끈끈함 때문이 아닌 가 싶다.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이러한 스타일을 고집한다면, 아마도 언제까 지나 자신의 스타일을 설명하기 위한 고되고 불필요한 일들이 계속될 것이다. 본 인이 주인공인 이번 다큐제작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개성을 주위와의 조화를 통해, 한마디로 자신을 더 사랑하는 영상을 만든 것 같아 필자는 참으로 흐 믓하다.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 다큐를 통해 건강한 에너지를 주기 때문이다. 주 제와 관련된 자료화면으로 본인이 의도한 바를 설득력 있게 영상으로 구성하였으 며,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적절한 나레이션으로 엮 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숏컷이든 긴 머리든 난 나다! ’주인공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나”를 찾아가는 과 정에 머리 스타일이 숏컷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외모가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하기에 바쁜 타인의 시선보다는“ 내 스타일” 을 외치는 당당한 청소녀가 너무 매력적이다. (성윤경)

Just like all the girls my age, I also wanted to cut my hair short out of rebellion when I was a teenage girl. Grown-ups would nag about my outer appearance and behavior, but the more they did, the more I felt satisfied. Unlike my father who thought I was cute no matter my hairstyle, my mom disapproved of my short hairstyle. I was sensitive to my mother’s reaction because that is what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are. The video is composed of persuasive imageries that reflect the title of the film, and the documentary is enhanced by the appropriate narration that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undetermined. ‘You are you no matter the length of your hair!’ The protagonist already knows the answer. In finding her true “identity,” it is unimportant whether her hair is short or long. Instead of worrying about people trying to guess if she is a boy or a girl, the teenage girl who beats her own drum to “my style” is charming. (SEONG Yun-kyeong)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65


Youth Competition

Youth Competition

시발.

Korea | 2014 | 12min | DCP | Color Director 홍다예 HONG Da-ye

We Didn’t Start the Fire

World Premiere

염리동의 기억, 흔적

Korea | 2014 | 17min | DCP | Color Director 강승희 KANG Seung-hee

The Memories of Yeomni-dong

World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SOUND l HONG Da-ye CAST l KIM Hui-won, KIM Yun-ji, PARK Ji-young, HONG Da-ye, KANG Sook-kyeong, KIM Yu-a, LEE Hwa-young, KANG Ji-hyeon, BAEK Yu-jin, SHIN Ju-hee, JUNG Ye-lim

홍다예 HONG Da-ye

Filmography 시발. We Didn’t Start the Fire (2014) 18 18 (2013)

DIRECTOR l KANG Seung-hee PRODUCER/EDITOR l LEE Tae-goo CINEMATOGRAPHER l JEON Hyo-jeong, CHOI Young-jin, NAM Min-woo, CHO Seok-hwan SOUND l NAM Min-woo CAST l LEE Juem-soon, YOU Juem-soon, CHOI Young-jin, KANG Seung-hee

강승희 KANG Seung-hee

Filmography 염리동의 기억, 흔적 The Memories of Yeomni-dong (2015) 마스터 키 Master Key (2015) 김치는 강하다 Kimchi is Strong (2014) 2014 학생회장 선거영상 2014 Student Body President Elecring Video (2014)

Program note <시발.>은 고3 수험생이 맞닥뜨린‘영양가 없지만 잘해야만 하는’입시 교육의 현 주소를 여과 없이 담아내고 있다. 처음 카메라는 한 개인이 오로지 내신과 수능으 로만 평가되는 폭력적인 입시 경쟁 속에서 하나같이 불행하다고 입을 모으는 친구 들의 모습을 담는다.‘ 그렇지, 모두 힘들지’끄덕이며 카메라는 집으로 향한다. 줄 곧 딸의 성적을 걱정해오던 엄마는 입시에 지친 딸에게‘ 왜 입시 공부를 해야 하는 지’ 를 차근차근 설명한다. 그나마 사회에서 쉽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수능에서 좋 은 성적을 거둬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것. 딸은 엄마의 말을 차근히 되새겨 보고 는 엄마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 답답하다. 현실을 이해하기에 답답하다. 딸이 받아들이기에 입시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는 참 모순적이다. 입시 경쟁 속에서 진 통을 겪고 있는 고3들의 이야기는 비단 그들만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일반 기 업에서의 정규직 취업이 공무원 시험만큼 힘든 것이 현실이라면 차라리 공무원 시 험을 준비하겠다며 자발적으로 수험 생활을 택하는 이들. 팍팍한 사회임을 잘 알 면서도, 또 잘 알기에 어쩔 수 없이 또 하나의‘입시’ 로 내몰리는 사람들. 우리 사회 가 많은 이들을 숨막히는 경쟁 속으로 내몰지는 않았는지…. <시발.>은 이런 질문 을 반문하게 하는 영화다. (성다은)

6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We Didn’t Start the Fire is a raw depiction of the current state of scorehigh-in-the-pointless-studies Korean education system. At first, the camera portrays unhappy students who are miserable living in a competitive society that only values their GPA and CSAT scores. The camera follows a student home to show studying is tough for everyone. Worried about her daughter’s scores, a mom explains the importance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to her daughter who is tired of studying. The mom says in order to live a comfortable live, the daughter needs to get a good score and attend a good university. The daughter listens to the mother’s point of view and fully understands her. However, trying to understand reality is suffocating. Study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s is contradictory for the daughter to accept. This story about high school seniors who are suffering from the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reflects the tribulations of all high school seniors. If the reality of taking a test to get a full-time job at a regular company is just as difficult as the public servant exam, then the students are voluntarily choosing to study to become a public servant. Living in a competitive society, the students cannot help but study for another entrance exam. We Didn’t Start the Fire asks our society whether or not we are the ones who are forcing the students into competition. (SEONG Da-eun)

서울 마포구 염리동은 근처에 소금창고가 있었고, 소금장수들이 많이 살았던 것에 서 유래한 이름이다. 영화 제작에 참여한 청소년 감독들은 마을의 유래와 역사를 찾기 위해 직접 마을 어르신을 찾아가기도 하고, 조선시대 소금 장수로 분해 한강 에서 배를 타기도 한다. 6.25 당시의 피난민 공동주택에 대한 조사에 나서고, 염리 동에서 가장 오래된 100년이 더 된 한옥의 거주자를 만나 일제 시대의 일본식 가 옥의 형태도 살펴본다. 이렇게 다큐를 만드는 과정은 내가 살고 있는 이곳의 과거 와 현재를 향한 탐험의 과정이 되고, 다큐멘터리 한 편을 구성하고 내레이션을 하 는 연출, 작가, 성우, 연기자의 역할을 통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와 공동체에 대해 알아간다. <염리동의 기억, 흔적>은 그렇게 지역의 청소년들이 내가 사는 동네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을 한 편의 다큐멘터리로 탄생시켰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을 생생하게 담아낸다는 점에서 모든 영화가 인류학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민 족지학적 접근을 통해 마을에 대한 탐험과 다큐 제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 할만하다. (박혜미)

The town name ‘Yeomni-dong’ derived from the salt warehouse in Mapogu, Seoul. It was also a popular salt merchant residential area many years ago. Youth dir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making of this documentary, visits the village elders to find out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town and they reenact being salt merchants by riding a boat in Han River. They research refugee housing during the Korean War by meeting up with resident who lives in the town’s oldest house, an over a century old Hanok, and discover Japanese housing sty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rocess of making a documentary becomes an explor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on where we live. Through the narration, directing, writing, and acting in order to produced this documentary, the youth directors get to know more about the neighborhood and the community they live in. The Memories of Yeomni-dong depicts a journey on how Youth get to know the neighborhood they are part of. All movies can be considered anthropological as it captures the moments we live, but this documentary is noteworthy as it takes on an ethnographic approach through investigating the town. (PARK Hye-mi)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67


Global Vision

글로벌 비전 Global Vision

아마미

Japan | 2015 | 47min | DCP | Color Director 가와세 나오미 KAWASE Naomi

Amami

World Premiere ※ 2013 DMZ Docs 제작지원 선정작

전 세계 유수 영화제의 화제작이나 논쟁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시네필 뿐만 아니라 대중들에게 인지 도가 높은 작품들을 소개한다. ISIS와 이슬람 탈레반 후원자인 파키스탄 지하드 사원을 기록한 <붉은 사원의 순종자들>; 1968년 미국 민주당 선거캠프 기간 중 ABC에서 방송된 윌리엄 버클리 주니어와 고어 비달의 세기적 정치토론을 다룬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 1980년대 서베를린의 방대한 이미지와 오디오 자료를 편집한 사랑의 도큐멘트 <B-무비: 서베를린의 환희와 사운드>; 코미디계의 비틀즈라 할 만한 몬티 파이튼을 다룬 관찰자적 초상; 1968년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음모론을 밝히는 젊은 예술 가 알렉산드로비치; 미국의 노스 다코다의 조그마한 마을인 리스에 나타난 신나치주의자들; 현재에 도 일어나고 있는 폭력의 독특성과 일상의 의미들을 담고 있는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특히 2014년 초청감독들의 신작들도 공개된다. 도미니크 가뇽이 재창조한 베르토프식‘키노아 이’ 와 빌 모리슨의 시각적 몽타주는 다큐멘터리의 확장을 실험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This section introduces high-profile and popular documentaries not just for cinephiles but also the public centering on much-talked-about and controversial films at many leadi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We can see Among the Believers recording Pakistani jihad shrines that sponsor ISIS and Islamic Taliban; Best of Enemies covering the political debates of the century between William F. BUCKELEY Jr. and Gore VIDAL at the 1968 Democratic convention aired on ABC;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a document of love edited by massive images and audios from WestBerlin in the 1980s; observational portrait of Monty Python known as the Beatles of the comedy world; a young artist Alexandrovich disclosing the plot theory about the 1968 Chernobyl nuclear accident; neonazis invading a small village, Leith, North Dakora. These films deal with uniqueness of recurrent violence and meanings of ordinary days in many different themes and forms. Directors participated in the 2014 film festival will screen their new works to the public. Vertov-style ‘Kino Eye’ reinvented by Dominic GAGNON and Bill MORRISON’s visual montage test expansion of documentary films.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KAWASE Naomi MUSIC l Masamichi SHIGENO

가와세 나오미 KAWASE Naomi

Filmography Amami (2015) Still the Water (2014) Mogari no Mori (2007) Shara (2003) Suzaku (1997)

Program note <아마미>는 <소년, 소녀 그리고 바다>와 짝을 이루는 영화다. <아마미>는 다큐멘 터리이고 <소년, 소녀 그리고 바다>는 픽션이다. 그러나 애초부터 감독에게 픽션 과 논픽션이라는 장르적 구분은 의미가 없었다. 그녀는 언제나 다큐와 극영화를 넘나드는 작업을 해왔고, 그러한 작업을 통해 일관되게 이별과 상실의 고통을 극 복하고“나는 누구인가? 나의 뿌리는 무엇인가?” 라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 을 던져 왔다. 이것은 자신을 긍정하고 구원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감독 자신의 개 인사적 경험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그의 영화들은 그렇기에 언제나 그녀가 자란 나 라현을 무대로 전개되어 왔다. 가와세 나오미 영화의 리듬이란 곧‘나라’ 라는 공간 의 리듬, 계절감각과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나라’ 라는 공간은 영화 속 인 물들 못지않게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주인공이 되어 왔다. 그런데 <아마미>와 <소 년, 소녀 그리고 바다>에서 무대는 나라의 숲이 아닌 아마미의 바다로 이동한다. 이유는, 아마미는 자신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어머니이자 외할머니인‘사치에 ’ 가태 어난 곳이기 때문이다. 평생을 함께 해온 외할머니의 죽음을 현실로 의식하기 시 작한 순간, 그녀는 아마미의 낯선 바다를 향해 여행을 떠난다. 자신의 어린 아들과 함께 한 이‘아마미’ 로의 여행은 사랑하는 이들과 영원히 이별해야 하는 죽음을 절 대적 상실이 아닌 삶의 연속성으로 받아들이려는 그녀의 치열한 모색의 결과물이 다. 가와세 나오미는 이 두 편의 영화를 통해 이별과 상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인간 으로서‘살아있음’ 의 가치를 긍정한다. 지난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이 긍정에는 치 유와 공감의 힘이 있다. (맹수진)

Amami is a film that resulted from the shooting of Still the Water. Amami is a documentary, and Still the Water is fiction. But from the beginning, the director has placed no meaning to the genre distinction between documentary and fiction. In her works she has always crossed the line between documentary and fiction, and through such films she has continually raised questions of her own identity, such as “Who am I? What are my roots?”, to overcome the pain of separation and loss. For her, this has been a method of self-affirmation and redemption. Her films, which can’t be detached from her own personal history, have therefore always taken place in the setting of Nara Prefecture where she grew up. The rhythm of Kawase Naomi’s films are the rhythm of the place called “Nara” and its seasonal sensations, such that Nara can be seen as a protagonist of her films, no less so than the main characters. However, in both Amami and Still the Water the setting has shifted away from the forests of Nara to the island of Amami. The reason is that this is the birthplace of her maternal great aunt/adoptive mother, who could also be called her roots. From the moment she began to acknowledge the death of the great aunt who had been with her for her whole life, she departed to the unfamiliar beaches of Amami Island. The result of this trip she takes to Amami together with her young son is not the absolute loss of eternal separation from a loved one, but a process of acceptance of life’s continuity. Through these two films, Kawase Naomi presents an overcoming of separation and loss, and one human being’s affirmation that, “I am alive.” They contain the strength of healing and sympathy that is gained from living through great difficulties. (MAENG Soo-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69


Global Vision

Global Vision

아미나 프로필

Canada | 2015 | 85min | DCP | Color Director 소피 드라스프 Sophie DERASPE

The Amina Profile

Asian Premiere

Director 헤말 트라이베디, 모하메드 알리 나크비 Hemal TRIVEDI, Mohammed Ali NAQVI

Among the Believers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l Sophie DERASPE PRODUCER l Isabelle COUTURE, Nathalie CLOUTIER EDITOR l Geoffrey BOULANGÉ, Sophie DERASPE MUSIC l Sam SHALABI SOUND l Frédéric CLOUTIER

DIRECTOR l Hemal TRIVEDI, Mohammed Ali NAQVI PRODUCER l Hemal TRIVEDI, Jonathan Goodman LEVITT CINEMATOGRAPHER l Sardar Habib Ur REHMAN, Haider ALI EDITOR l Hemal TRIVEDI MUSIC l Milind DATE

소피 드라스프 Sophie DERASPE

Filmography Amina Profile (2015) Vital Signs (2009) Victor Pellerin (2006)

헤말 트라이베디

모하메드 알리 나크비

Hemal TRIVEDI

Mohammed Ali NAQVI

Filmography

Filmography

Among the Believers (2015) Shabeena’s Quest (2012) Tell Me a Story (2006)

Among the Believers (2015) Pakistan’s Hidden Shame (2014) Shame (2006)

Program note 몬트리올에 사는 프랑스인 산드라는‘다마스커스의 레즈비언’ 이라는 블로그에 글 을 올리는 시리아 여성 아미나와 이메일과 인터넷 채팅을 주고받다가 사랑에 빠진 다. 실제로는 한번도 본적이 없는 그녀들은 섹스팅을 통해 불같은 연애를 시작한 다. 그러나‘시리아 혁명과 레즈비언 로맨스’ 라는 낭만적이고 흥미로운 조합으로 LGBT 커뮤니티의 지지를 받던 이들의 관계는 갑자기 아미나의 소식이 끊기면서 반전을 맞이하게 된다. 아미나가 시리아 정부에 체포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산 드라는 구명 운동을 벌이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몇몇 언론이 아미나의 존재 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낭만적인 로맨스는 미스터리한 탐정 수사물로 변한다. 그리 고 결국 아미나는 미국인 남성 톰 맥마스터가 만든 허구의 인물이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진다. 소설보다 더 가짜같은 현실의 이야기는 사기꾼에 대한 또 다른 다큐멘터리 <니콜라스 바클레이의 진실>처럼 탐정 미스터리 스타일의 재연과 인 터뷰의 조합을 통해 전달된다. 이 이야기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정보화 시대 의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RPG 게임에서 인종, 성별, 성적 취향, 직업을 고르듯 쉽 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인가? 인터넷 정보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 맥마스터의 온라인 사기는 시리아 혁명가들과 산드라에게 어떤 실질적인 해를 미쳤나? 주목 경제 시대에 인권과 관련되어 있는‘시리아 혁명’ 과‘레즈비언’ 이라는 키워드는 어 떻게 선정적으로 소비되고 주목을 위한 도구가 되었는가? (조혜영)

7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붉은 사원의 순종자들

USA/Pakistan | 2015 | 84min | DCP | Color

Program note Sandra Bagaria, a French woman living in Montreal gets involved in an online relationship with Amina Abdallah Arraf al Omari who runs a blog ’A Gay Girl in Damascus’. They’ve never met but fall in wildly love with each other through online chatting, exchanging e-mails and sexting. This romantic and intriguing couple labeled ‘Syrian revolution and Lesbian romance conjoined’ and supported by lesbian communities, however, encounters a crisis when Sandra gets lost contact with Amina and is told of her arrest. Sandra begins a tireless campaign to secure Amina’s release but there arise a doubt about Amina’s existence from some media. The romance turns into a mystery detective story and finally Amina is a fictional figure who was created, in fact, by the online persona of a straight, middleaged white man, Tom MacMaster. The documentary The Amina Profile employs a detective-mystery movie style with interviews and the parts reenacted with actors to deliver better this fiction-like real story, which reminds us another film about a swindler, The Imposter. This documentary poses critical questions: what’s the personal identity in the digital information era? In online world, can we adopt our ethnicity, gender, sexual orientation, job just like we do when doing RPG game? How reliable the information we get online is? What specific damage MacMaster cheating online caused to Sandra and Syrian activists? In this ’attention economy’ era, how the keywords ’Syrian revolution” and ’lesbian’ are consumed and exploited to be paid attention? (CHO Hye-young)

<붉은 사원의 순종자들>의 두 감독이 5년간 근거리에서 촬영한‘붉은 사원’ 의지 도자 아지즈, 거의 모든 가족을‘ 적’ 의 공격으로 잃고 스스로도‘순교’ 할 것임을 받 아들인 아지즈는 따듯하고, 지적이고, 동시에 냉혹한 사람이다. 샤리아 법에 근거 한 세계의 통일을 꿈꾸는 아이즈와 그의 추종자들은 파키스탄 공교육이 저버린 극 빈층 아이들에게 교육, 빵, 잠자리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마드라사(이슬람신학교)도 운영한다. 멀리 있는 우리가‘망상’ 이라고 알고 있는 테러리스트의 대의와 분노가 구체적 현실, 긴급한 상황을 통해 담담히 전해진다. 그리고 파키스탄 친미 정권과 근대화를 지지하는 이들이 다른 편에 있다. 카메라는 물론 판단하지 않는다. 따라 서 폭력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방법은 오직 더 큰 폭력에 의한 한 쪽의‘절멸’ 뿐이 라는 절망적인 배음이 깔린다. 그리고 마드라사에 갈 수 밖에 없는 극빈층 아이들을 증오와 폭력에서 구해내기 위해 학교를 세운 풀뿌리 행동가 타리크가 있다. 그가 읊는 쿠란은 아지즈의 쿠란 과 다르다.‘ 한 사람의 생명을 죽이는 것은 전 인류를 죽이는 것이다’ 라는 게 독실 한 신자인 타리크의 쿠란이다. 연이어 터진 테러 때문에 타리크의 학교는 잠정폐 쇄되고, 그 사이 마드라사를 뛰쳐나온 꿈 많은 12살 소녀 자리나는 부모의 강권에 결혼을 하고 아이도 낳는다. 거의 모든 (남성)등장인물들은 교조적이건 억압적이건 민주적이건 자신의‘믿음’ 에 따라 자신의 삶을 선택한 사람들이다. 단 마드라사를 거부할 만큼 당찬 소녀 자리나만이 스스로의 선택과 무관한 삶으로 침몰했다. 가 여워라 우리 자리나. (양효실)

Aziz is the charismatic leader of the Red Mosque network whom the two directors of Among the Believers filmed at close range for five years. Having lost almost his entire family to an ’enemy’ attack, Aziz has accepted martyrdom as his fate. He is portrayed as a warm, intelligent and at the same time harsh man who dreams of uniting the world through Sharia law. Aziz and his followers also run madrassahs (Muslim seminaries) that provide free education, food and shelter to impoverished children who have fallen through the cracks of Pakistan’s public education system. The film calmly documents what the rest of the world regard from a distance as delusion – but claimed by terrorists as their holy cause and justified rage – through close-up reality filled with urgent events. On the enemy side are the proAmerican government of Pakistan and those who support her modernization. The camera does not pass judgement. So the scenes play out against a backdrop of despair arising from the realization that the only way to break free from this vicious cycle of violence is violence great enough to annihilate one side or the other. A foil to Aziz is grassroots activist Tariq, who works to save children from hatred and violence by building a school for them so they will not be driven by their poverty to depend on madrassahs. A devout Muslim, Tariq lives by a Koran that is different from Aziz’s. Tariq’s Koran teaches that taking one life is the same as annihilating the entire human race. Continued terrorist attacks force Tariq to close his school temporarily, and in the meantime, twelve-year-old Zarina, who had escaped her madrassah in pursuit of her dreams, is forced into marriage by her parents and becomes a mother. Almost all the (male) characters in the film have chosen their own paths according to their “beliefs,” be it dogmatic, repressive or democratic. The only character who is drowning in a lif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her own choice is Zarina, even though she was spirited enough to refuse to be schooled in a madrassah. Our poor Zarina. (YANG Hyo-si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1


Global Vision

Global Vision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

USA | 2014 | 87min | DCP | Color/B&W Director 모건 네빌, 로버트 고든 Morgan NEVILLE, Robert GORDON

Best of Enemies

Asian Premiere

비욘드 제로: 1914-1918

USA | 2014 | 40min | DCP | Color/B&W Director 빌 모리슨 Bill MORRISON

Beyond Zero: 1914-1918

Asian Premiere

Staff DIRECTOR l Morgan NEVILLE, Robert GORDON PRODUCER l Robert GORDON EDITOR l Eileen MEYER, Aaron WICKENDEN SOUND l Jade HOWARD MUSIC l Jessie MUSON

모건 네빌

로버트 고든

Morgan NEVILLE

Robert GORDON

Filmography

Filmography

Best of Enemies (2015) Twenty Feet from Stardom (2013) Johnny Cash’s America (2008)

Best of Enemies (2015) Johnny Cash’s America (2008) American Masters (2003)

Staff DIRECTOR/EDITOR l Bill MORRISON PRODUCER l Janet COWPERTHWAITE MUSIC l Aleksandra VREBALOV SOUND l Kronos QuartetA

빌 모리슨 Bill MORRISON

Filmography The Great Flood (2013) Tributes: Pulse (2011) Spark of Being (2010) Decasia (2002)

Program note ‘1968년’ 은 차이와 다양성을 부르짖는 목소리들이 거리를 점령하고 경직된 정치 를 문화적 감수성이 횡단한 사건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겪는 온갖 문제와 갈 등이 68년 거리로 쏟아져나온 문제나 갈등과 별반 다르지 않다면 68의 해방적 가 능성이란 수사는 오독이거나 과잉이었던 게 아닐까?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는 68년 미국의 TV에서 일어난 아주‘사소하고’지엽적인 사건 하나를 통해 68과 현 재를 관통하는 절망을, 그러나 아주 가볍고 경쾌한 어조로 전달한다. 당시‘미국인 들이 가장 신뢰한 기관’ 이었던 뉴스 프로그램 중 시청률 꼴찌를 달리던 NBC는 민 주당과 공화당의 전당대회 기간에 우파와 좌파 논객을 초대해서, 미국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두 진영의 의견을 청취하는 프로그램을 총 10회에 걸쳐 생방송으로 방영했다. 수십 만 명의 독자를 거느린 우파 잡지‘내셔널 리뷰’ 의 편집장이자 유 머와 지성을 겸비한 TV 토크쇼의 진행자인 윌리엄 버클리와 1948년에 출간한 첫 소설에서 이미 동성애를‘완벽히 정상적인 성행위’ 라고 주장할 만큼 급진적이었던 고어 비달은 베트남전, 계급, 인종과 같은 쟁점을 놓고 팽팽한 접전을 이어갔다. 그 러나 평소 서로를 증오하던 두 사람은 마침내 9번째 대담에서 해서는 안 되는‘욕’ 으로 상대를 공격한다. 지식인들의 비열하고 잔인한 민낯을 대중이‘실제로’목격 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진지한 토론이 상대방의 약점을 찾아내고 모욕하는 흡사 전투장인데 우리는 이제 별로 놀라지 않는다. 68의 상황은 지금도 여전하고, 증오 는 일상이고, 유구한 세월에도 역사는 줄곧 제자리이다. (양효실)

7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1968 was a year when voices calling for diversity and acknowledgement of differences took to the streets, and cultural sensitivity crossed over to the stiff-necked arena of politics. But if the myriad of problems and conflicts we face toda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which occupied the streets in 1968, doesn’t that make the rhetoric about the potential of liberation in 1968 a misinterpretation or exaggeration? By presenting a trivial and isolated incident that occurred on national television in the US, Best of Enemies conveys the sense of despair that runs through both 1968 and today, but in a very light and cheerful manner. Back when television news was rated by Americans as their most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but NBC’s news program was scraping the bottom of viewer ratings, NBC did a live telecast of ten rounds of debates between a conservative and a liberal on various issues facing American society, scheduled to coincide with the party conventions of the Democratic and Republican Parties. On the right sat William BUCKLEY, editor-in-chief of the conservative magazine National Review boas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readers and TV talk show host known for his humor and intellect, while representing the left was Gore VIDAL, radical enough to claim that sex between homosexuals was “perfectly normal” in his first novel as early as 1948. The two engaged in heated debates on controversial issues ranging from the Vietnam War to social class and racism. But as they detested each other on a personal level, they ended up attacking each other with profanities in the ninth round.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bare face of intellectuals in all their mean and nasty glory was witnessed live by the people. Today, however, no one is shocked by the fact that debates are likened to battlefields where you zoom in on your opponent’s weak spot and sling personal insults at one another. The situation people faced in 1968 is still the same, hate has become the norm, and history seems in no hurry to move on. (YANG Hyo-sil)

빌 모리슨은 최근 20여년간 파운드 푸티지 영화제작의 기법과 양식을 확장해왔다. 그의 작업은 공적 아카이브들로부터 끌어온 상태가 저하된 필름을 수작업과 화학 적 기법들을 통해 변형시켜 필름의 물질적 구성성분들이 펼치는 변화를 시적으로 끌어낸다. 이를 통해 모리슨은 파운드 푸티지 영화제작에 소멸과 쇠퇴의 미학을 도입했다. 필름의 점증하는 죽음, 그리고 셀룰로이드에 보존된 주체들의 소거라는 의미 모두에서 말이다. 자신의 가장 최근 작품 <비욘드 제로: 1914-1918>에서 모 리슨은 제1차 세계대전 중 제작된 35mm 질산염 푸티지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전작인 <대홍수>에서 상대적으로 드물게 쓰인 필름의 화학적 변성 효과들을 다시 전면적으로 드러내고, 이 효과들을 강화하기 위해 푸티지를 HD로 스캔한다. 모리슨에 따르면 군사훈련, 행진, 군대의 이동, 전투, 폭격 등을 담은 이 푸티지는 “ 병에 담긴 메시지처럼 우리에게 다가오는 일련의 문서들로서의 역사적 기록” 이 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그것은 필름 자신의 물질성, 그리고 이 물질성이 가진 20 세기 역사와의 관계에 대한 은유가 된다. 푸티지의 표면에 나타나는 퇴화의 무정 형적이고도 폭발적인 성질들은 거기에 기입된 폭력과 파괴의 흔적들과 조화를 이 룬다. 폭력과 파괴의 역사는 이들을 기록하는 필름의 필연적인 사멸성을 환기시킨 다. 녹음된 연설들과 공습경보 사이렌, 바르톡과 비잔틴 찬송가들의 발췌본을 활용 한 세르비아 작곡가 알렉산드라 브레발로브의 스코어는 역사와 필름의 하모니에 서정적이고도 드라마틱한 톤을 더한다 (김지훈)

Bill MORRISON has expanded the techniques and styles of found footage filmmaking over the past two decades. By turning degraded film stock culled from film archives into lyrical plays of its material substrates both manually and chemically, his work has introduced to found footage filmmaking the aesthetics of disappearance and decay, both in the sense of the growing death of film and in the sense of the erasure of the subjects preserved in it. In his latest 40-minute work, Beyond Zero: 1914-1918, MORRISON explores footage shot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 so doing, he rigorously foreground the effects of celluloid’s chemical decay that only intermittently appears in his previous film The Great Flood, by deploying brand new HD scans of these deteriorating, 100-year-old films. This footage—training exercises, parades, troop movements, combats, and bombings—is not only “a record of war as a series of documents passed along to us like a message in a bottle,” as MORRISON explains, but also a metaphor of film’s own materiality as well as a relation that the materiality has to the history of the 20th century. The informal and explosive qualities of the deteriorations on the footage’s surface are in sync with the traces of violence and destruction inscribed in it. The history of violence and destruction evokes the inevitable mortality of film that documents them. Using speech records, air-raid sirens, and musical excerpts from BARTÓK and Byzantine hymns, Serbian composer Aleksandra VREBALOV creates the film’s score, which adds a lyrical and dramatic tone to the harmony of cinema and history. (KIM Ji-ho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3


Global Vision

Global Vision

B-무비: 서베를린의 환희와 사운드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Germany | 2015 | 92min | DCP | Color/B&W

UK/Romania/Germany | 2015 | 78min | DCP | Color

Director 예르크 A. 호프, 하이코 랑게, 클라우스 맥

Director 일링카 칼루가리 Ilinca CALUGAREANU

Jörg A. HOPPE, Heiko LANGE, Klaus MAECK Korean Premiere

척 노리스 vs 코뮤니즘 Chuck Norris vs Communism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PRODUCER l Jörg A. HOPPE, Heiko LANGE, Klaus MAECK EDITOR l Alexander Von STURMFEDER SCORE l Michael ADAM, Mark REEDER

DIRECTOR l Ilinca CALUGAREANU PRODUCER l Mara ADINA, Brett RATNER CINEMATOGRAPHER l Joze RUIZ EDITOR l Per K. KIRKEGAARD MUSIC l Anne NIKITIN, Rob MANNING

예르크 A. 호프

하이코 랑게

클라우스 맥

일링카 칼루가리

Jörg A. HOPPE

Heiko LANGE

Klaus MAECK

Ilinca CALUGAREANU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2015) Alles für die Kunst! - Die Fernseh-Masterclass (2012)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2015) The Noise of Cairo (2012)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2015) Liebeslieder: Einstürzende Neubauten (1993)

Filmography Chuck Norris vs Communism (2015) VHS vs. Communism (2014)

Program note 1970년대 말의 서베를린은 마약과 쓰레기, 그리고 펑크음악으로 가득 찼다. 서베 를린 펑크의 강렬하고 독특한 사운드에 매료된 영국 뮤지션 마크 리더는 침울한 분위기의 맨체스터를 떠나 무작정 서베를린으로 향한다. <B-무비: 서베를린의 환 희와 사운드>는‘베를리너’ 가 되고자 했던 마크 리더의 눈을 통해 1979년부터 (통 독이 되기 직전인) 1989년까지의 서베를린의 모습을 리듬감 있게 보여준다. 당시 의 서베를린을 대표하던‘ 리시코’ ‘ , 중을 ’ 과 같은 클럽에서는 데이비드 보위 등 서 베를린에 매료되었던 여러 뮤지션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전쟁 의 상흔으로 버려진 도시의 곳곳과 분단을 상징하던 베를린 장벽 또한 티에리 누 아, 키스 해링과 같이 이름난 예술가들뿐 아니라, 무명의 예술가들에게 도전적인 작업을 허락했다. 이렇게 서베를린은 미술 씬과 음악 씬을 중심으로 세계의 예술 가들이 열망하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었다. 무엇보다 <B-무비: 서베를린의 환희 와 사운드>를 돋보이게 만드는 건 펑크에서부터 테크노에 이르기까지 70~80년대 서베를린의 음악적 조류를 재구성한 솜씨다. 여기에는 텔레비전 프로듀서 경력으 로 다져진 세 명의 감독들이 직접 고르고 편집한 (배경음악이 된)‘믹스테이프’의 공이 크다. 한국 관객에게 비교적 낯설게 다가오는, 70~80년대 서베를린을 중심으 로 활동했던 밴드의 음악뿐 아니라, 탠저린 드림, 섹스 피스톨즈, 데이비드 보위, 조이 디비전과 같이 잘 알려진 뮤지션들의 음악을 즐기고 싶다면 <B-무비: 서베를 린의 환희와 사운드>는 옳은 선택이다. (강보라)

7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At the end of the 1970’s, West Berlin is filled with drugs, trash, and punk rock. Mark Reeder who is mesmerized by the powerful and unique West Berlin punk goes there one day leaving the depressing Westchester scene in England behind. Through the eyes of Mark REEDER who wants to become a Berliner, B-Movie rhythmically shows West Berlin’s transformation occurring from 1979 until right before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989. At that time, it is not too difficult to find musicians like David BOWIE in the hottest nightclubs - Risiko and Dschungel - in West Berlin. Not only famous artists such as Thierry NOIR and Keith HARING but also unknown artists discover the scars of the Berlin Wall to use as a canvas for artistic creation. Centered by art and music, West Berlin is reborn as a desirable place where artists all over the world want to be at. What makes B-Movie stand out is the musical rearrangement in the West Berlin music scene that ranges from punk to techno in 1970-1980’s. In particular, edited and personally selected by the three directors who have experience as TV producers, ‘Mix Tape’ is exceptional. If you want to enjoy some West Berlin music that may be unfamiliar to Koreans as well as music from well-known bands such as Tangerine Dream, Sex Pistols, David BOWIE, and Joy Division, then BMovie is the right choice to watch. (KANG Bo-ra)

가정해 보자. 표현의 자유가 철저하게 억압된 사회에서 사람들은 감시를 피해 수 많은 영화를 몰래 보았다. 이 영화들은 그들에게 자신들의 통제 사회와는 전혀 다 른 세상의 자유와 문화를 맛보게 해주었고, 이렇게 쌓이고 쌓인 힘들은 결국 수십 년 지속되어온 독재자의 철권 통치를 종식시키고 혁명을 이루는 밀알이 되었다. 당신은 동의하는가? 영화라는 대중문화가 견고한 철의 장막을 무너트리는 혁명의 에너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혁명의 원인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킨다고 지적할수 도 있겠지만, 이 영화는 정말로 그렇다라고 확신한다.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의 시기에 관한 이야기다. 하찮은 쥐 한 마리가 단단한 벽에 구멍을 내듯이, 이 영화는 척 노리스라는 할리우드 액션영웅으로 대변되는 서구의 자유로운 문화가 니콜라이 차우세스쿠라는 독재자의 거대한 아성을 무너트리는 동력이 되었다고 말한다.<척 노리스 vs 코뮤니즘>는 감독 일링카 칼루가리의 사 적인 경험에 입각한 영화이다. 어린 시절 그녀 역시 다른 많은 루마니아 시민들처 럼 매일 밤 비밀리에 진행된 비디오 상영회에 참석했고, 그것은 숨막히는 현실과 는 전혀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문이 되었다. 섬세한 재연을 통해 당시 밀회와도 같 았던 비디오 상영회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살리고, 시종일관 호기심과 긴장감을 유 지하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를 잃지 않는 이 영화는 예술은 칼보다 강하다는 주장 을 풍성한 영화적 언어로 주장하는 다큐멘터리이다. (맹수진)

Let’s make a supposition. In a society where freedom of expression is thoroughly suppressed, the populace avoids surveillance and secretly watches huge numbers of movies. The films expose them to the freedom and culture of a world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losed society in which they live, and over decades the accumulated force of these impressions becomes the straw which breaks the back of an iron-fisted dictator and leads to revolution. Do you find it plausible? That the revolutionary energy of film could topple the iron curtain? To describe film as the starting point of a revolution might seem overly simplistic, but this work states with confidence that it is true. This is a story about the revolution in Romania in 1989. Like a tiny mouse that makes a hole in a thick wall, this film maintains that Hollywood action star Chuck NORRIS, as the representative of Western free culture, was the power that toppled the great authoritarian dictator Nicolae CEAUSESCU. Chuck Norris vs Communism is grounded i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Director Ilinca CALUGAREANU. Sure enough, like other Romanian citizens, at a young age she attended the secret video screenings that took place every night, in which a door was opened to a world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tifling reality that she knew. Through finely staged reenactments, her documentary captures the atmosphere at these video screenings that were like secret societies, maintaining a sense of tension, curiosity and romanticism. It a work that demonstrates with rich cinematic language the idea that art is stronger than a sword. (MAENG Soo-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5


Global Vision

Global Vision

가축우리와 바람

Bolivia | 2014 | 55min | DCP | Color Director 미구엘 힐러리 Miguel HILARI

The Corral and the Wind

Korean Premiere

허베이, 타이페이

Taiwan | 2015 | 91min | DCP | Color Director 리 니엔 슈 LI Nien Hsiu

Hebei Taipei

World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l Miguel HILARI EDITOR l Gilmar GONZALES SOUND l Lluvia BUSTOS

DIRECTOR/EDITOR l LI Nien Hsiu PRODUCER l CHOU Chen Ting CINEMATOGRAPHER l LIU Shih I EDITOR/MUSIC l WEN Tzu Chieh SOUND l Stevi CHEN , KAO Wei Yen, LU Hai Fen

미구엘 힐러리

리 니엔 슈

Miguel HILARI

LI Nien Hsiu

Filmography The Corral and the Wind (2014)

Filmography Hebei Taipei (2015)

Program note 무뚝뚝한 영화다. 다루고 있는 시공간에 대한 어떠한 설명도 없이 일련의 이미지 들이 이어진다. 진득하니 바라보기만 하는 카메라, 담백한 컷, 기다리는 편집. 아이 들과 동물들과 아이 같은 어른들, 또 동물의 새끼들이 나온다. 이들이 어떤 관계로 맺어져 있는지, 이들의 출현 순서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누가 어떤 이유로 이들을 기록하는지는 거의 짐작하기 어렵다. 단락 단락의 정보를 이어 붙여 이야기를 만 들어가려는 노력은 무위로 돌아간다. 느릿느릿, 그저 순수한 현재성에 몰입할 것. 이것이 이 영화의 기록정신이 전하는 정언명령이다. 결국 알게 되는 것. 다큐멘터리스트는 지금 할아버지의 고향에 찾아갔다. 할아버지 는 침략자의 언어인 스페인어로 읽고 쓸 줄 알기 위해 아이마라 족의 마을을 떠나 야 했다. 그러나 작가는 고향을 목가적이고 탈정치적인 노스탤지어의 공간으로 그 리지 않는다. 지금 그곳에는 학교가 있고 아이들은 이제 시를 낭송할 줄 안다. 휴대 폰을 갖고 놀며 빛나는 도시를 동경한다. 양키와 원주민의 투쟁의 역사를 배운다. 고향의 푸른 하늘로도 비행기는 지나가고 자동차로 지척에 소음 가득한 도시가 있 다. 그렇다면 이 기억 여행은 근대성의 폭력에 대한 고발인가?‘ 판단 중지 ’ 라는 현 상학적 미덕을 실천하는 작가의 시선은 마치 자기 존재의 역사를 구경하는 산보객 처럼 절반쯤 무심하다. (김소연)

7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This film adopts a brusque tone. Offering no explanation for its temporal and spatial settings, the film presents a series of images. The camera observes everything patiently while the cuts remain simple and clean, and the editing leaves room for waiting. The work features children, childlike grown-ups, animals and their young. It is difficult to surmise in what ways they are related, what significance could be attach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ppear, or the reasons for keeping a record of them. Any attempt to create a story by putting together fragments of information becomes ineffectual. We must immerse ourselves slowly in uninterrupted newness; this is the categorical imperative found in the film’s archival spirit. Eventually we come to realize that the documentarist is presently visiting his grandfather’s hometown. His grandfather had left the Aymara village so that he could learn to read and write in Spanish, the language of the invaders. Nevertheless, the homeland is not portrayed as a pastoral or depoliticized space of nostalgia. Nowadays, children recite poetry at the village school. Carrying their own cell phones, they hanker after the bright lights of city life. They learn about the struggles put up by the indigenous people throughout their turbulent history. Across the blue sky above the homeland, airplanes fly by and noisy cities are only a short drive away. Does this trip filled with memories blow the whistle on the violence of modernity? The director’s perspective practices the phenomenological epoché or suspension of judgement, thereby appearing half indifferent like a passer-by who is observing the history of his or her own existence. (KIM So-youn)

<허베이, 타이페이>는 감독인 리 니엔 슈가 2000년경부터 카메라를 들고 그녀의 아버지가 거쳐온 굴곡진 삶을 회고하고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하지만 이를 그저 자신의 아버지를 이해하기 위한 사적인 이야기라고 말할 수만은 없을 것이 다. 이 영화는 중국 본토의 허베이성에서 대만의 타이페이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 던 자신의 아버지의 시간, 더 나아가 부모 세대의 역사를 돌아보고 조망하는‘타임 머신’과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먼저 리 니엔 슈는 오랜 기간 동안 자신의 아 버지를 쫓으며 카메라로 그를 기록하고, 그가 술회하는 과거의 이야기를 듣는다. 저화질의 조약한 비디오에서부터 HD 카메라에 이르기까지, 카메라는 시간이 흐르 며 늙고 쇠약해져 가는 그녀의 아버지 리 정샤오의 육신을 담는다. 국민당과 공산 당을 거치며 결국 한국전쟁 중 대만으로 송환된 리 정샤오의 이야기는, 그가 어린 시절 살았던 허베이에서부터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타이위안, 그리고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리 니엔 슈가 직접 그 장소를 방문하는 과정과 함께 보여진다. 완전히 변해버린 오늘의 중국본토의 모습 위로 덧붙여지는 리 정샤오의 이야기는 이 방문 기를 현재의 장소로부터 역사의 지층을 탐사하는 고고학적 기록으로 만든다. 그렇 다면 <허베이, 타이페이>의 카메라는 한 쪽에선 타이페이에서 살아간 리 정샤오의 고유한 육신으로부터, 다른 한 쪽에선 허베이를 방문한 리 니엔 슈의 현재적인 장 소로부터 과거의 역사적인 상흔을 증언하고 있는 이중의 타임머신일 것이다. 허베 이와 타이페이를 오가는 공간적인 거리보다 우리를 더욱 더 멀리 데려가는 것은 이 잠재적인 시간이다. 그렇게 겹쳐진 시간의 간극 속에서 우리는 살아간다. 그것 은 또한 근대의 피비린내 나는 시간이 요구한 게임 값이기도 하다. (이민호)

Hebei, Taipei is a documentary film through which the director LI Nien Hsiu recollected and recorded since 2000 her father’s life full of ups and downs with her cameras. But it is not just her personal story aimed at understanding her own father. The film runs a time machine offering the view and the review about the history and panorama of our parents’ generation, the time of a father who had to move from Hebei in the mainland of China to Taipei in Taiwan. LI Nien Hsiu follows her father with her cameras for a long period of time, listening to the story of the past he relates. From the low-definition to the HD, the cameras take the body of her father LI Chung-Hsiao, who gets older and weaker as time passes. Li ChungHsiao’s story, about the land of Taipei where he arrived for the enforced repatria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about his experiences through both the Nationalist Party and the Communist Party, unfolds with LI Nien Hsiu visiting herself the places like Hebei, where her father lived when he was little, Taiyuan, where a fierce battle reportedly took place, and Jeju Island. The story of LI Chung-Hsiao that overlaps the landscape of China the mainland makes the director’s journey an archeological record that explores the strata of history below the present sites. Hebei, Taipei would then be the time machine in a double sense, which attests, both from the LI ChungHsiao’s body who has lived in Taipei and from the present in which LI Nien Hsiu visits Hebei, the scar the history has left. The potential time brings us farther tha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Hebei and Taipei. We are living in the the temporal gaps between several layers. And this is also the price we are paying after the bloody modern age. (LEE Min-h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7


Global Vision

Global Vision

엠파이어빌더 횡단열차

USA | 2015 | 76min | DCP | Color Director 알버트 메이슬리스, 린 트루, 넬슨 워커, 벤 우, 데이비드 우스이

Italy | 2013 | 77min | DCP | Color Director 니콜라 캄피오티 Nicola CAMPIOTTI

Albert MAYSLES, Lynn TRUE, Nelson WALKER, Ben WU, David USUI

In Transit

Korean Premiere

알파벳 모험담 It Will Ba a Country

Korean Premiere

Staff DIRECTOR l Albert MAYSLES, Lynn TRUE, Nelson WALKER, Ben WU, David USUI PRODUCER l Erika DILDAY, Nelson WALKER, Lynn TRUE CINEMATOGRAPHER l Albert MAYSLES, David USUI, Nelson WALKER, Ben WU EDITOR l Lynn TRUE SOUND l Chris CHAE, Ruy GARCIA, Branka MRKIC, Luciano VIGNOLA

알버트 메이슬리스

린 트루

넬슨 워커

벤우

데이비드 우스이

Albert MAYSLES

Lynn TRUE

Nelson WALKER

Ben WU

David USUI

Staff DIRECTOR l Nicola CAMPIOTTI PRODUCER l Sergio SCAPAGNINI CINEMATOGRAPHER l Leone ORFEO EDITOR l Enrica GATTO SOUND l Simone COSTANTINO MUSIC l Stefano LENTINI

니콜라 캄피오티 Nicola CAMPIOTTI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In Transit (2015) Irus (2014)

In Transit (2015) Summer Pasture (2010)

In Transit (2015) Summer Pasture (2010)

In Transit (2015)

In Transit (2015)

It Will Ba a Country (2013)

Program note Program note ‘다큐멘터리의 대주교’ 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다이렉트 시네마의 거장, 앨버트 메 이슬리스가 4명의 젊은 다큐멘터리 작가들과 공동 작업한 <엠파이어빌더 횡단열 차>의 최종 편집본을 본 것은, 그가 영면하기 얼마 전이었다. 그는 이 작품을 위해, 몇 년에 걸쳐, 시애틀과 시카고를 순회하는 엠파이어빌더 열차를 타고, 기차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삶터에서 잠시 떨어져 같은 목적지를 향해 이동중인 승객들과의 우연적인 만남을 카메라에 담았다. 이 두 도시 사이를 잇는 유일한 공공 교통수단 인 이 열차를 이용하는, 대부분이 저소득층인 승객들은‘각각의 개인은 우리들에 게 들려 줄 그들만의 내밀한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라는 앨버트 메이슬리스의 신념처럼, 카메라 앞에서, 승객이라 지칭되는 익명성을 벗고,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47년동안 이별했던 딸을 되찾은 한 어머니, 아이를 해산하기 전에 기차가 목적지에 도착하길 손꼽아 기다리는 임산부, 이런 탄생의 순간의 임 박함의 저편에, 사망선고를 받고, 생이 얼마 남지 않은 순간에, 마지막으로 푸른 들 판을 사진에 담고 싶어 하는 한 남자… 89세의 노감독은 이렇게 우리에게, 그를 같 은 열차를 탄 이웃으로 만나 그들의 삶의 한 자락을 열어보인 우리 동시대 미국인 들의 따뜻한 초상을 남기고, 또 다른 세상으로의 여행을 떠났다. (조명진)

7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t was not long before Albert MAYSLES passed away when I watched the final cut of In Transit, which was a result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dean of documentary film making” and four young documentary film directors. To produce this film, Maysles, for years, recorded accidental encounters with passengers on the Empire Builder train that connects Chicago and Seattle. He was onboard the special space of train with the passengers who were in transit, away from their lives and moving towards the same destination. The passengers, most of them being low-income individuals who use the only public transport that connects the two cities, tell their own stories. As Maysles believes that everyone has a story to tell, the passengers put their anonymity away in front of the camera: a mother who found a daughter whom she has been missing for 47 years; a pregnant woman that waits the train to arrive at its destination before she delivers her baby; beyond the imminent moment of birth, there is a man who is told that he will die soon and wants to capture the green field in a photo for the last time in his life... Aged 88, the old director took on the trip to another world, leaving a warm portrait of contemporary Americans who opened their lives to him as neighbors on the same train. (CHO Myoung-jin)

<알파벳 모험담>의 시작은 다양한 것들에 대한 질문이었다; 즉흥적으로, 아무 계 획도 하지 않고 아이와 함께 떠나는 여행, 일종의 앨범을 구성하는 한 줌의 주제들 에 맞서고 또 한데 모으기, 문명국에서 당연히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의 집 합: 이를테면 노동의 권리(이상적으로 말하자면 정년과 노후를 보장 받을 수 있는 안전한 일자리), 우리의 보금자리인 자연과 풍경, 땅에 대한 사랑, 존재의 유한함에 대한 감각, 용기에 대한 가치와 규칙에 대한 존중, 새로운 지식을 받아 들이고 새로 운 문화와 믿음들을 만나는 것, 헌법, 좋은 정부의 모델들… 우리는 듣기 위해, 그리고 아이들에게 세계를 탐구하고 현실에 대해 알게 하는 출 발점이 되는 작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여행했다. 이 영화의 여정에는 3년 간의 아 주 힘들었던 노동, 그리고 인간, 멀고 심오한 지리학적인 길들, 젊은 엘리사와 열정 적이고 지치지 않았던 스탭들이 있었다. 이 여정에서 마주치게 된 수 많은 만남들 이 마치 열 살짜리 아이들이 믿을 만한 단순한 현실이 신화에 합쳐지게 되는, 즉 그 모든 것이 유희, 기억, 근원인 꿈 같은 우리의 추상적인 비전들에 같이 스며들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들이었다. 세상에는 우리가 이 영화에서 다루었던 여러 주제 중 하나만을 깊게 탐구하는 수 많은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있다. 하지만 내가 이렇게 여러 주제들을 훑듯이 다룬 이유는 이 영화가 젊은 사람들에게 영화를 넘어 스스로의 발걸음으로 자신의 소울 을 찾아 나서도록 하는 하나의 자극제가 되려면 전체를 조감하는 시선, 완벽하지 않고 부분적이지만 정찰하는 시선으로 오늘 날의 이탈리아를 경험하게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알파벳 모험담>은 새로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각자 다른 관점들에 몸을 내 맡긴 채 그 시각들의 다양함 이 보여지기를 바란다. 이 것이 새로운 점이다. (니콜라 캄피오티)

The idea of It Will Be A Country was born from these questions. An unplanned and spontaneous journey to undertake with a child, to begin to confront and gather together a handful of themes that formed a sort of album, a compendium of the things I felt are prerequisites for a civilised country: the right to work (ideally not on a short-term contract and risking life and limb), a love for the land, the landscape and the environment that is our home, a sense of the limits that exist, the value of courage and a respect for the rules, an opening up to knowledge and the meeting with different cultures and beliefs, the Constitution, examples of good government… Three years of intense labour, in the midst of which there is a human, working and geographical path that is long and profound, lived with young Elia and an enthusiastic and tireless crew. We travelled so as to be able to listen, to produce a little film that would speak directly to children and school pupils, as a starting point for a first exploration of and reflection on reality. And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many meetings that occur in the film are interwoven with dreamlike and abstract visions, as though simple reality, to be knowingly welcomed by a child of ten, cannot but be merged with Myth, which is play, memory, origin. There are countless documentaries on single topics that study in depth the themes we only touch on here. This was my intention: to experience a bird’s-eye view of Italy today, a reconnaissance mission, a partial, imperfect offering, that might function as a spur for young people to proceed beyond the film, each following their own soul on their own two feet. It Will Be A Country does not speak of new things but, allowing itself to be guided by a different point of view, it tries to describe them in a way that is Fresh. (Nicola CAMPIOTTI)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9


Global Vision

킬링 타임

Global Vision

France/Belgium | 2015 | 90min | DCP | Color Director 뤼디 위쇼-클로델 Lydie WISSHAUPT-CLAUDEL

Killing Time

Asian Premiere

UK | 2014 | 95min | DCP | Color Director 로저 그래프, 제임스 로건 Roger GRAEF, James ROGAN

몬티파이튼 - 코미디의 전설 Monty Python - The Meaning of Live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Lydie WISSHAUPT-CLAUDEL PRODUCER l Aurélien LÉVÊQUE, Sébastien TÉOT CINEMATOGRAPHER l Colin LÉVÊQUE EDITOR l Méline Van AELBROUCK SOUND l Félix BLUME

DIRECTOR l Roger GRAEF, James ROGAN PRODUCER l Jim BEACH, Lindsay JEX, Holly GILLAM CINEMATOGRAPHER l James ROGAN, Paul SHAMMASIAN EDITOR l David ATKINSON, Simon BARKER PRODUCTION COMPANY l Phil Mcintyre Entertainments

뤼디 위쇼-클로델

로저 그래프

제임스 로건

Lydie WISSHAUPT-CLAUDEL

Roger GRAEF

James ROGAN

Filmography Killing Time: Entre deux fronts (2015) Killing Time (2015) Sideroads (2012)

Filmography

Filmography

Monty Python: The Meaning of Live (2014) Police (1982) The Life and Times of John Huston (1967)

Welcome to Mayfair (2015) Monty Python: The Meaning of Live (2014) Amnesty! When They Are All Free (2011)

Program note <킬링 타임>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참전 군인을 다룬 전쟁 영화다. 그러나 다른 전쟁 영화와 달리 이 영화에서는 어떠한 극적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 다. 영화는 전투는 고사하고 참전 군인들의 심리적인 트라우마조차 다루지 않는다. 대신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타의 전장에서 캘리포니아 모하비 사막의 트웬티나인 팜스 기지로 돌아온 군인들의 한가한 일상을 차분하게 지켜본다. 그들은 머리를 자르고 문신을 하거나 성경 읽기 모임을 참가하고, 또는 라스베가스로 놀러 다니 면서 그야말로 시간을 죽인다. 그러나 하는 일 없이 게으르고 평탄하게 흘러가는 그들의 모습은 시간이 지날 수록 알 수 없는 긴장감을 자아낸다. 그들의 현재 모습 은 진부한 일상이 아니라 특별한 순간이기 때문이다. 트웬티나인 팜스는 또 다른 전장으로 가기 위해 잠시 멈춘 일종의 환승역이며, 그들의 일상은 군인에서 시민 으로, 시민에서 다시 군인으로 전환하는 특별한 시간이 된다. 감독은 인터뷰나 전 문가의 논평 없이 고정된 카메라로 모래 바람이 부는 빈 사막 풍경의 삽입을 통해 이 시간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그들의 진짜 일상인 전쟁을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 틈에서 그들이 느끼는 간극과 고독이 어떤 것인지를 시청각화한다. 때때로 군인들은 너무 평범해 지루한 시민의 일상을 공들여 수행하는 것처럼 보인 다. <킬링 타임>은 전쟁은 평범한 일상조차 평범하지 않게 만든다는 흔한 교훈을 서늘하게 전시한다. (조혜영)

8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The documentary film, Killing Time is a kind of “war film” which focuses on soldiers dispatched to Iraq and Afghanistan. However, we don’t see any dramatic occasion which we see in other war films. Not only about military battles but also this film doesn’t care about psychological trauma of the soldiers. Just the camera watches the soldiers in Twentynine Palms, a small military town in the Mojave Desert, California back from Afghanistan enjoy their relaxed everyday life, while having their hair cut, joining in reading the Bible clubs and taking a trip to Las Vegas. Literally, they are killing time. However, soon audience realizes that the soldiers’ common days without doing the special which look peaceful evoke mysterious tensions. What they do we see in the film is not banal everyday life but an unusual moment for them. Twentynine Palms is a kind of transit place where they are laying over to move to another battle field and the time now they enjoy is a transitional period when they transform themselves from civilians into soldiers or from soldiers to civilians. With windy desert landscapes inserted and , without interviews or quotations from well-known scholars, the film director visualizes and auralizes what the “simple and common” days means to the soldier and the incompatibility they feel out of place among people who don’t understand the soldier’s everyday life is put in battle fields. Sometimes, the soldiers seem to perform the banality of everyday life carefully. Killing Time displays a common lesson but in an uncommon way that wars make our common everyday uncommon. (CHO Hye-young)

<몬티 파이튼: 코미디의 전설>은 영국의 전설적인 코미디 그룹 몬티 파이튼의 멤 버들이 2014년 다시 모여 런던의 O2 아레나에서 공연을 하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 터리이다. 동시에 그들의 코미디 세계를 재조명하며 그를 통해‘삶의 의미’ 에 대한 성찰을 제안하는 이 영화는 몬티 파이튼의 영화 시리즈 중 마지막 작품이자 이 다큐 멘터리가 제목을 빌어온 <몬티 파이튼: 삶의 의미 Monty Python’ s The Meaning of Life>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저질 유머와 괴상한 캐릭터를 천연덕스럽게 연기하던 이들의 외모에는 이제 엉뚱함보다는 중후함이 묻어나고 머리는 백발이 되었다.‘다시 모인 것이 돈 때문은 아니겠죠’ 라고 묻는 팬의 기대에 어긋나게도 그들이 공연을 결심한 첫 번째 동기는 빚 탕감이라는 현실이다. 기억력도 예전 같 지 않고 무대의 기술적 장치에도 익숙치 않은 이들의 첫 공연은 생각만큼 순조롭 지 않다. 현재의 모습에 맞는 유머를 발견하며, 여전히 있는 멤버 간 갈등을 에너지 로 승화하며 해 나가는 열 번의 공연은 베테랑 코미디언들의 노익장 과시보다는 새로운 것을 다시 시작하는 과정이다. 영화는 그 과정을 아카이브 푸티지를 통해 보는 몬티 파이튼의 역사, 그리고 재치있게 포착해 낸 무대 뒤 인터뷰와 함께 엮어 <몬티 파이튼: 삶의 의미>식의 챕터로 구성한다. 공연 스케치 중 그들이 던지는 코 미디와 삶에 대한 가벼운 코멘트는 그들이 걸어온 길과 겹쳐지며 세월이 만들어낸 여유 있는 통찰이 된다.‘바보스러움과 지적인 농담 사이에 벽이 없다’ 는 테리 길 리엄의 말, 스티븐 호킹이 특별출연하여 부르는‘갤럭시 송’ 은 진지함의 가면을 벗 어버리고 삶을 멀리 떨어져서 보면 모두 희극이라는, 몬티 파이튼의 철학을 유쾌 하게 전달한다. 칠순의 몬티 파이튼의 무대 뒤 모습을 구경하고 전성기 때의 몬티 파이튼 쇼와 히트송을 감상하는 재미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있는 영화. (설경숙)

This documentary follows the legendary stars of Monty Python as they reform and stage a show at the O2 in London in 2014. At the same time, the film takes a fresh new look at their world of comedy, which, in turn, leads us to reflect upon ‘the meaning of life’. Monty Python: The Meaning of Live is an homage to Monty Python’s The Meaning of Life, the final installment of the popular Monty Python series from which this film gets its title. With their graying hair, the surviving members of Monty Python who used to put on the stage performances full of coarse humor and absurd characters now appear dignified rather than goofy. To the disappointment of their fans, one of whom says “Don’t tell me it’s for money”, in reality, the first and foremost reason behind their decision to perform together was the need to pay off their debts. They discover that their memories are no longer so sharp and they are yet to get used to new technology in theatre, and the first show does not go as smoothly as they hoped. The ten shows they put on the stage turn into a journey of finding the right humor for their present situations, and elevating the existing conflict among the members into new energy. Rather than enjoying their green old age, the veteran comedians strive to start from scratch. In the style of Monty Python’s The Meaning of Life, this documentary chronicles that whole process along with the history of Monty Pythons as captured in archival footages and witty behind-the-scene interviews organized into chapters. The light-hearted jokes that they make on stage overlap with what they have been through so far and offer laidback insight into life and comedy. Terry GILLIAM’s claim that they must ‘break the barrier between silliness and intellectual jokes’, coupled with the cameo appearance of Steven Hawking who sings ‘Galaxy Song’, delightfully conveys the core philosophy of Monty Python; if we cast off all pretensions of seriousness and look at life from a distance then everything turns into a comedy. This documentary offers so much more than merely the fun of watching elderly Monty Pythons behind the scenes and some hit numbers from their glory days. (SEOL Sua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81


Global Vision

Global Vision

북극의 이누이트

Canada | 2015 | 74min | DCP | Color Director 도미니크 가뇽 Dominic GAGNON

Of the North

Asian Premiere

Germany/Argentina | 2015 | 85min | DCP | Color Director 게르만 크랄 German KRAL

마지막 탱고 Our Last Tango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EDITOR l Dominic GAGNON SOUND l Bruno BÉLANGER

DIRECTOR l German KRAL PRODUCER l Nils DÜNKER, Dieter HORRES, German KRAL CINEMATOGRAPHER l Jo Heim BVK, Felix MONTI EDITOR l Ulrike TORTORA SOUND l Celeste PALMA

도미니크 가뇽

게르만 크랄

Dominic GAGNON

German KRAL

Filmography Hoax_Canular (2013) Pieces and Love All to Hell (2011) RIP in Pieces America (2009) Ope´ration Cobra (2001) Du moteur à explosion (2000)

Filmography Our Last Tango (2015) El último aplauso (2009) Música cubana (2004) Buenos Aires, meine Geschichte (1999) Tango Berlin (1997)

Program note 퀘벡 출신의 감독인 도미니크 가뇽은 <Pieces and Love All to Hell>(2011), <속 임수>(2013) 등 유튜브 비디오들을 편집한 파운드 푸티지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왔 다. 그의 신작 <북극의 이누이트>는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유튜브 비디오들을 편집 했으나 이번에는 10대들의 묵시록적 독백을 담은 비로그(vlog) 대신 북극에 대한 아마추어 영상들을 소재로 삼았다.<속임수>에서 세계 각국(대부분 미국)의 소년소 녀들은 침실에서 카메라에 대고 그들의 불안이나 무감각함을 연기한다. 반면 <북 극의 이누이트>의 주체들은 다큐멘터리의 선구자인 로버트 플래허티가 <북극의 나누크>(1922)에서 포착했던 이누이트족의 후예들이다. 이들이 제작하여 업로드 한 아마추어 비디오 클립들은 플래허티의 카메라가 담아내고 관습적인 민속지적 다큐멘터리들이 반복한 이누이트족에 대한 상투적 이미지들을 해체한다. 유전 산 업에 종사하고,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고, 록음악을 연주하며, 힙합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이들의 모습은 토착민들에 대한 이국적인 이미지들을 잠식하고, 서구와 의 접촉 속에서 발생한 문화변용의 흔적들을 드러낸다. <속임수>에서 가뇽이 세계 의 종말을 열렬히 기다리는 한 세대의 불안과 외로움, 나르시시즘에 대한 디지털 민속지를 시도했다면, <북극의 이누이트>에서는 자신의 디지털 컴필레이션 스타 일을 민속지적 다큐멘터리의 신화를 질의하는 방향으로 이끌고 간다. (김지훈)

8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Quebecois filmmaker artist Dominic GAGNON has produced a series of found footage documentaries based on the compilation of amateur videos on YouTube, including Pieces and Love All to Hell (2011) and Hoax Canular (2013). In his new film Of the North, GAGNON takes as its subject various amateur videos on the North Pole, instead of vlogs that display teenagers’ apocalyptic monologues in Hoax Canular. In this film, boys and girls from all over the world perform their apocalyptic sensibilities to the camera in their bedrooms. By contrast, the subjects in Of the North are descendants of the Inuit that Robert FLAHERTY as a pioneer of documentary captured in Nanook of the North (1922). The amateur video clips produced and uploaded by the descendants deconstruct the clichés about the Inuit, which were prefigured by FLAHERTY’s camera and have been repeated in numerous conventional ethnographic documentaries. The portraits of their everyday lives, working for oil industry, playing extreme sports and rock music, and dancing to the hip-hop, etc., not merely undermine the exotic images of the indigenous culture but also reveal the traces of trashy and unbridled acculturation caused by their encounter with the Western culture. If in Hoax Canular GAGNON creates a digital ethnography of the anxiety, loneliness, and narcissism of a generation that seems to eagerly await the end of the world, then in Of the North he takes his digital compilation style of collecting to calling into question the myth of ethnography (KIM Ji-hoon)

<마지막 탱고>는 아르헨티나의 전설적인 탱고 댄서인 마리아 니에베스와 후안 카 를로스 코페스의 연인이자 예술적 동반자로서 50여년에 이르는 파트너십을 조명 한다. 이 영화는 성질이 다른 층위들을 유려하게 오가며 시적인 인상을 창출한다.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이뤄진 현실이라는 층위에서 마리아는 도심을 거닐고 자신 과 후안을 연기할 두 쌍의 배우들에게 자기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내 그 이야기 는 마리아와 후안의 젊은 시절과 중년기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영상으로 재현된다. 여기에 때로는 실제 마리아와 후안이 탱고를 추는 장면을 찍은 기록 영상이 삽입 된다. 젊은 시절부터 노년이 되어 만났던 특별한 순간의 기록까지, 그것은 그들만 의 역사이자 탱고 역사의 일부다. 마리아와 후안의 관계는 결코 순탄치만은 않다. 사랑이 증오가 되어 남녀로서 이 별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같이 탱고를 춘다. 그들은 어떤 심정으로 함께 춤을 춘 것일까? 탱고의 스텝을 따라 사랑, 정열, 꿈, 증오, 외로움, 용서 등 너무도 다양한 인간적 감정들이 오가는 까닭에 그 심정은 쉽게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 지만 이조차 끝나는 순간이 온다. 그림자와 춤을 추는 것처럼 구성한 아름다운 공 연 영상에서 마리아는 그 그림자를 저 멀리 밀어버린다. 예술적 관계의 단절이라 는, 또 한 차례의 이별. 그녀는 이별의 아픔과 고통에 대해 토로하지만, 그런 고통 이 삶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탱고라는 예술적 매개체를 통해 느끼는 삶의 일면, 이는 예술가의 허영이 아니라 보편적 인간으로서 느끼는 감정 이기에 더욱 우아해 보인다. (박영석)

Our Last Tango sheds light on the 50-plus-year partnership between the legendary tango dancer María Nieves REGO and Juan Carlos COPES as lovers and colleagues in the art. The film creates a poetic ambiance as it threads different levels of a story. On the level of the reality, Maria tells her story to the two couples of actors and actresses who are going to act María and Juan. And the story is represented as the beautiful scenes of María and Juan from their youth and middle age. The video record of María and Juan dancing the tango is projected occasionally. From when they were young to the moment they met after they got old–all of these are not only the history of the couple but the part of tango history. The relationship between María and Juan was never easygoing. They broke up as a couple, feeling hatred instead of love, but they still danced together as tango dancers. What did they feel when they dance? It could not be simply described because, in the steps of tango, various human emotions can be delivered–love, passion, dream, hatred, loneliness, forgiveness, and many more. But there is the moment those emotions also go away. In a video of a performance in which María is filmed dancing with a shadow, she pushes the shadow away. Another break-up in the relationship with art. She confesses the agony and pain of the parting, but she thinks the pain is essential in life. This aspect of life touched through the medium of tango: it seems to be more elegant, not just a luxury of the artists, because it is the emotion that we all share as a human. (PARK Young-seok)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83


Global Vision

Global Vision

더 비지트

Finland/Denmark | 2015 | 83min | DCP | Color Director 마이클 매드슨 Michael MADSEN

The Visit

Korean Premiere

러시안 딱따구리

UK | 2015 | 80min | DCP | Color Director 채드 그라시아 Chad GRACIA

The Russian Woodpecker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Michael MADSEN PRODUCER l Lise LENSE-MØLLER CINEMATOGRAPHER l Heikki FÄRM EDITOR l Nathan NUGENT, Stefan SUNDLÖF MUSIC l Karsten FUNDAL SOUND l Peter ALBRECHTSEN, Øivind WEINGAARDE

마이클 매드슨 Michael MADSEN

Filmography The Visit (2015) The Average of the Average (2011) Into Eternity: A Film for the Future (2010) To Damascus (2005) Himmelnattens kejser - en film om synlighed (2003)

DIRECTOR l Chad GRACIA PRODUCER l Mike LERNER, Ram DEVINENI, Chad GRACIA CINEMATOGRAPHER l Artem RYZHYKOV EDITOR l Chad GRACIA, Alan BERLINER, Devin TANCHUM MUSIC l Katya MIHAILOVA SOUND l John GIDEON

채드 그라시아 Chad GRACIA

Filmography The Russian Woodpecker (2015)

Program note 마이클 매드슨의 공상과학 다큐멘터리 <더 비지트>는 영화적 내러티브 측면에서 여러모로 주목할 만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외계생명체와의 첫 번째 접촉이란 가 설을 통해서 UN사무국 및 항공우주국의 전문가들은 그들과 직접 대화를 시도하고 자 카메라 장치로 메시지를 보낸다. 그리고 우리가 보고 듣는 느린 움직임의 이미 지와 내레이션은 다름 아닌 그들이 기록하고 채집한 하나의 원-유사성인 일종의 시뮬라크르로 읽힐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는 이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서 인류가 느끼는 공포와 모랄리아에 대해 수 많은 질문들을 반복하고 있지만, 결국‘인류란 무엇인가?’ 란 궁극적인 질문에는 침묵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그들과 조우하기 위해 생화학적 장치를 겸비한 우주복을 착용하고 그들의 우주선을 탐험하는 장면 에서는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을 연상시키듯이 무한하며 주기적이다. (이 장면 또한 자신들이 기록하고 채집한 이미지를 해독하는 내레이션으로 읽어야 할 것 같 다.) 궁극에서는 무한히 되풀이되고 무질서한 어둠의 세계로 발을 내딛는 우주비 행사의 마지막 문장이 떠오르는 순간이기도, 우리의‘이해’ 에 대한 기다림으로 가 슴을 설레이게 한다. 아서 클라크의 에번스가 느꼈을 우아하고 아름다운 고독을 기꺼이 맞이하는 순간에 남긴 한 마디,“요한 세바스티안이여, 내가 가노라.”우리가 보내는 시나리오를 재생하는 것으로 그들을‘이해’ 할 수 있을까? 아마도‘이해’ 에 관해서는 테드 창의 말을 되새길 필요는 있을듯 하다.“ 우리의 정신활동을 온전히 이해하고 미래를 기억하는 일 따위는 식은 죽 먹기라고.”영화는 미래의 신화학적 연구에 관한 프롤로그로 그 의미가 충분할 것이다. 그리고 다음 장에는 언어학자 를 소환하여 그들과 직접 대면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전성권)

8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The Visit, a sci-fi documentary film by Micheal MADSEN is noteworthy in various aspects from the angle of cinematic narrative. By the hypothesis which is the human’s first encounter with intelligent life, the experts from the U.N. agency and space agencies send a message through the camera system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aliens. And the slow images and narration we see and hear could be construed as a sort of simulacra which is archi-resemblance recorded and collected by none other than aliens. We keep asking many questions about fear and moralia of mankind repeatedly through this imaginary scenario, but we cannot help but become silent to the ultimate question, ‘What is the humankind?’ However, the scene exploring their spacecraft wearing spacesuit with biochemical system in order to meet the intelligent life is infinite and cyclic as if it is suggestive of The Library of Bable by Jorge Luis BORGES. (This scene might be also understood as the narration to decipher the images recorded and collected by themselves, intelligent life from the space) In the end, it is the moment that reminds us the last dialogue of astronaut stepping into the world of darkness which is repeated infinitely and chaotic. It makes us excited waiting for our ‘understanding’. The word left by Authur C. CLARKE when Evans finally greets elegant and beautiful solitude is “Johann Sebastian, here I come.” Is it able to ‘understand’ them by only playing the scenario we sent? Probably as to ‘understand’, we need to remind Ted Chiang’s words, “It is a piece of cake to understand our mental activity and remember the future.” The film means enough with its prologue about the mythological research of future. Then, shouldn’t we call linguists into and let them encounter the intelligent life in the next chapter? (JEON Sung-kwon)

러시아 딱다구리가 나무를 쪼는 듯한 기계음에 이어“영화를 제작한 사람들이 우 크라이나-벨라루스-러시아 간의 관계에 해를 끼치려는 의도가 없음”을 알리는 자 막으로 시작한다. 영화는 20세기 세계 최대의 참사인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 나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누출과 그 뒤에 가려져있던 전대미문의 안테 나 두가(Duga)의 연관성을 파헤쳐보려는 예술가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의 행보와 그가 경험하고 있는 현 우크라이나-러시아 분쟁 상황을 함께 주시한다. 감독은 새 로운 사실을 접할 때마다 동공이 심하게 흔들리는 다소 별난 알렉산드로비치가 굳 게 믿고 있는 음모론-냉전시대 서방 세계를 교란시키려 만들어졌지만 제대로 작동 하지 않았던 두가를 은폐하기 위해 친(親)러시아 권력자가 의도적으로 원전 사고를 지시했을 것이라는 가설-에 크게 기대면서, 스릴러적 접근을 시도한다. 은퇴한 구 소련 고위간부들 입을 통해 전해지는 시대착오적인 인터뷰 내용은 원전사고 아카 이브 풋티지와 CG 애니메이션, 알렉산드로비치의 퍼포먼스 영상, 현재 우크라이 나의 수도 키예프에서 벌어지고 있는 유혈사태를 포착한 영상들과 충돌한다. 영화 의 중반을 넘어서면서 심증만 있고 물증은 없는 음모론의 사실여부는 그다지 중요 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대신, 관객은 원전사고로 인해 피폐해진 인간의 삶과 자연, 냉전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인간의 어리석음, 부정과 은폐, 폭력과 공 포, 트라우마와 극복에 대한 명상에 동참하게 된다. (유지수)

The documentary, The Russian Woodpecker, begins with subtitles noting, “We have no intention of ha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kraine, Belarus and Russia.” The film focuses on Fedor Alexandrovich’s investigation into the cause of the Chernobyl nuclear disaster in Ukraine and its potential connection to the Duga, the giant antenna array, which was created as a Soviet Cold War era weapon but failed to operate properly, and on the Russia–Ukraine conflict, which he has experienced. The film employs the structure of a thriller movie to approach Alexandrovich’s conspiracy theory; his pupils dilate when encountering newly revealed clues that someone with ties to Russian high-ranking officials ordered the meltdown at Chernobyl as a way to cover up Duga’s failure. The film combines interviews with former Soviet high-ranking executives, which sounds like nonsense and anachronism, with footage from the exclusion zone around Chernobyl, during the Independence Square protests and its bloody situation and from the videos of Alexandrovich’s performance. The film’s audience will soon realize that it doesn’t matter if Alexandrovich’s theory turns out to be true or not; instead, the audience will join its meditation on human folly, corruption, cover-ups, violence and horror, and trauma and overcoming that which has stemmed from the Cold War and still lasts. (YOO Ji-so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85


Global Vision

벽장 속의 결혼

Global Vision

Iran | 2015 | 65min | DCP | Color Director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Mohammadreza FARZAD

Wedding a Film

World Premiere

웰컴 투 리스

WALKER | USA | 2015 | 86min | DCP | Color Director 마이클 비치 니콜스, 크리스토퍼 K.워커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Welcome to Leith

Asian Premiere

※ 2014 DMZ Docs 제작지원 선정작

Staff

Staff DIRECTOR/PRODUCER l Mohammadreza FARZAD CINEMATOGRAPHER l Majid Mohammad GHOLI EDITOR l Farahnaz SHARIFI

DIRECTOR l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PRODUCER l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Jenner FURST, Joey CAREY, Joshua WOLTERMANN CINEMATOGRAPHER l Michael Beach NICHOLS EDITOR l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Joshua WOLTERMANN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마이클 비치 니콜스

크리스토퍼 K.워커

Mohammadreza FARZAD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Filmography Wedding a Film (2015) Forget-Me-Not Egg (2013) Blames and Flames (2012) Into Thin Air (2011)

Filmography

Filmography

Welcome to Leith (2015) Delivery (2014) Flex is Kings (2013)

Welcome to Leith (2015) Delivery (2014)

Director’s Statement <벽장 속의 결혼>은 자전적인 영화지만 관객들도 내 삶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비 춰볼 수 있기를 바란다. 어린 시절부터 실제 결혼식 날까지 지켜왔던 나만의 결혼 판타지를 영화 전반에 담았는데 전쟁과 사회적 불안, 경기 불황 속에서도 그 환상 은 깨지지 않았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환상은 근본적으로 비슷하다. 누구 나 행복을 꿈꾸며 살아가고 그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행복한 결혼이다. 아마 도 이 영화는 남자들의 판타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거울일 것이다. 결혼식 비디오 들을 다시 보면서 그것들이 가진 독특한 구성 때문에 이상한 기분에 사로잡혔다. 영상은 사람들의 다양한 기대감과는 거리가 멀었고, 이틀 동안 결혼식을 겨우겨우 따라다니며 찍다가 곧 구석에 처박힐 준비가 되어있는 듯했다. 이혼을 코 앞에 두 고 내 결혼식 비디오를 다시 봤고, 그 후 마음에 떠오른 이미지를 영화로 만들었다. 비디오에 담긴 것과 같은 삶은 어디에도 없었다. 삶이 아주 엉망으로 편집되어 버 린 것이다.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8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It’s true. Wedding: A Film has a personal narrative but I hope you’ll find part of your life mirrored in my life story. A long part of the film is dedicated to my fantasy of marriage from childhood to my very wedding day. A fantasy I’d safely drawn out of war, social unrest and economic hardships. Even though fantasies are formed in a local context, they’re ultimately similar. Everyone lives with a fantasy of happiness; most do with one of a happy marriage. And Film is perhaps the best mirror to man’s fantasies. So I tried to re-watch wedding films. And what struck me as weird was their peculiar syntax. They were devoid of the variety in people’s expectations. They were films barely surviving a couple of days and then ready to be disposed. Just before my divorce, I looked back at my own wedding film. And this film is more about the images that formed in my mind after watching those films. I had never seen life so much resembling a film. A badly-edited one. (Mohammadreza FARZAD)

이 영화는 통째로 반어(反語)다. 이 영화에‘환영’ 이란 없다. 크레이그 콥이라는 신 나치 백인 우월주의 활동가가 리스의 부동산들을 사들이고 그 집들을 또 다른 인 종주의자 가족들에게 세를 주기 시작하자 24가구가 전부인 소도시 리스의 주민들 은 외지인들의 유입에 격렬하게 대항한다. <웰컴 투 리스>는 어떻게 그들이 새로 운‘괴물로서의-이웃들’ 을 리스에서‘강퇴’ 시키는 데 성공하는가에 관한 기록이다. 그렇다면 이 영화의 목표는 미국에서 진행되는 인종주의 집단의 활동상을 폭로하 고 테러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것일까? 이 영화의 미덕은‘ 정치적으로 올바른’계 몽보다는 오히려 아이러니와 모순을 드러내면서 관객을 질문의 원천으로 이끌고 들어간다는 데 있다. 우리도 여기에 살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주민들과 콥 세 력을 몰아내기 위해 법령을 급조하고 콥의 부동산을 부수는 기존 주민들 중 누가 더 폭력적이고 분리주의적인가? 다원주의에 입각한‘사상의 자유’ 는 키보드 워리 어 콥의‘온라인-인종주의’ 에는 해당되지 않는가? 그런 의미에서 어쩌면 이 영화의 고발정신의 도착지는 극단적인 혐오 범죄를 배태 하는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일 수도 있겠다. 아리안족 순혈주의자인 콥에게 14%의 흑인 유전자를 남긴 흑인 노예의 역사를 가진 미국, 인종주의라는 극명한 도착적 욕망을 가진 집단조차도 수적 우세에 기초한 절차적 민주주의라는 틀에 의존하게 하는 나라 미국, 인종주의자로서의 유명세를 장차 자신의 레스토랑 사업에 활용하 겠노라 계획하게 하는 자본주의의 첨병 미국, 그리고 무엇보다도 총기 사용의 자 유가 허용된 무서운 나라 미국 말이다. (김소연)

This film is an irony as a whole. It contains no illusions. A neo-Nazi white supremacist named Craig Cobb starts buying up properties in Leith, a tiny town of just 24 households. When it turns out other white racists are moving into Craig’s houses, the residents of Leith put up a fight against the outsiders. Welcome to Leith chronicles how they succeed in driving out those new ‘villain-neighbors’. Can we then assume that the objective of this film lies in exposing the activities of America’s racist groups and thus warning us about the danger of terrorism? Rather than pursing politically correct enlightenment, the film deeply engages with audiences and makes us consider the source of our questions by revealing what ironies and contradictions there are. Between the newcomers who claim that they too have the right to live in Leith, and the residents who hastily pass a new act and destroy Cobb’s properties to force his supporters out of the town, which side is more violent and segregationist? Shouldn’t we apply “freedom of thought” based on pluralism to the keyboard warrior Cobb’s ‘online racism’? In that sense, perhaps the film’s accusatory voice must be directed to the whole of USA, which, as a country, tolerates such extreme hate crimes. The history of slavery in the USA means that even in the case of Cobb, an Aryan advocate for pure blood, 14% of his genes is black. Furthermore, even among a group of people pursuing the perverted desire of racism, the democratic system based on numerical superiority takes precedence. Only within American capitalism could we encounter a man who plans to use his notoriety as a racist to promote his restaurant business. Above all, the USA is a frightening land where guns are allowed. (KIM So-yo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87


Global Vision

Global Vision

필드노트

USA | 2014 | 18min | DCP | Color/B&W Director 바쉬티 해리슨 Vashti HARRISON

Field Notes

Korean Premiere

임란, 카롬 클럽

Germany | 2014 | 13min | DCP | Color Director 우디타 바르가바 Udita BHARGAVA

Imraan, C.O. Carrom Club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SOUND l Vashti HARRISON

DIRECTOR l Udita BHARGAVA CINEMATOGRAPHER l David SCHITTEK EDITOR l Olaf VOIGTLÄNDER MUSIC l Alexandra BARKOVSKAYA SOUND l Christoph KOZIK

바쉬티 해리슨

우디타 바르가바

Vashti HARRISON

Udita BHARGAVA

Filmography Sixteen (2015) Field Notes (2014) Postcard Series in 3D (2013) Birds of Paradise (2010)

Filmography Imraan, c/o Carrom Club (2014) Pitch Builds a Ball and Destroys It (2012) MindSpace (2011)

Program note 바쉬티 해리슨은 남미 트리니다드 토바고 공화국에 사는 친척에게서 (soucouyant, lagahoo, Zombie로 명명되는) 쉐입 시프터에 관한 카리비안 설화를 채록한다. 흔 들리는 16mm필름 위에, 구술하는 목소리(들)로부터 분리되어 엇갈리게 채집된 시 각이미지는 (현실과 환상 사이의 경계에 관한) 이야기(fable)를 조형시키는 효과로 최적화된다. 여기서 화면 너머의 목소리는 시각 이미지의 가시성에 구멍을 내며 외양과 실체 사이의 대립을 폐기토록 의도된다. 하지만, 엇갈려 있는 오디오비주얼 이미지의 구성-배치 프로세스가 서술과 묘사 사이에서 맴돌면서 채록 이미지의 표 면과 이면을 분리한다. 이 점에서, <필드 노트>는‘야생의 사고’같은 연구 보다는 지형학적 매핑에 더 유용하다. 감독이 카리브 유산을 지닌 미국 국적의 흑인 여성 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다큐멘터리의 소재는 우연히 차용된 것이라기 보다는, 적 극적으로 그 배경에서 영화 이미지로 구성된다. (민족지로) 구술되는 설화와 (할리 우드 B급 무비의) 시점숏으로 구성된 레이어를 따라, 가령, 제국주의를 통과한 섬 나라 공화국 주민들과 HBO <트루 블러드>에서 그려지는 남부인 사이를 잇는 지 정학적 맴핑을 떠올리수도 있겠다. 이같은 세계 전도에서 보자면, <필드 노트>는 기원으로 부터 역전되어 할리우드 이미지로 전유된 별난 장르적 캐릭터의 장소를 조망한다. (김광희)

8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Vashti HARRISON records the Caribbean fables about the witch vampire ‘soucouyant’ and shapeshifter ‘lagahoo’ from her relatives living in Trinidad and Tobago. By mismatching the exorcist voice recordings with the imageries shot with a shaky 16mm, this documentary gives the optimal effect of the fable which is on the borderlin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The voice behind the screen is intended to dispose the conflict between the visual image and reality. However, the incongruent audio and visual image separates the superficial from the supernatural that linger between the narrative and description. Therefore, Field Notes is more useful for geomorphology mapping rather than the research about ‘thinking of the wild’. Considering the director is an American black woman with a Caribbean heritage, her background is embedded into the film imagery. The geopolitics mapping between the people in the south and the islanders who experienced colonialism in the HBO True Blood series come to mind when considering the oral fable as ethnography and layers of the shots taken in the point of view of a Hollywood sub-par movie. Looking from a world perspective, Field Notes is reversed from its origins and surveys the location of the eerie genre characters that have been appropriated by Hollywood. (KIM Kwang-hee)

인도 뭄바이 슬럼가의 한 캐롬(도박)클럽에 모인 사람들은 도박을 한다. 쌍욕을 들 어도 그들끼리 말싸움이 벌어져도 익숙한 일인 듯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임란. 그 는 도박을 하러 온 손님들 사이를 여기저기를 누비며 손님들로부터 수금을 하기도 하고, 그들과 대화를 하기도 한다. 뻐끔뻐끔 연기를 내뿜으며 어른 흉내를 내는 캐 롬 클럽의 청소년들. 자라서 뭐가 되고 싶니? / 도둑. 돈이 많이 생기면 뭘 할 거야? / 마리화나랑 하시시. 머리가 좀 더 큰 이가 나라 망신시키는 놈이라며 타박을 하자, 내가 한 얘기 중에 거짓이 있나요? 하며 지지 않고 되갚는다. 오늘에 내던져진 당장의 삶은 보잘것없 이 척박하고 빛 한줄기 보이지 않는다. 꿈도 희망도 새로울 것도 두려울 것도 없다. 슬레이트 지붕이 내려다 보이는 건물 사이 저만의 공간에서 내리는 비를 물끄러미 바라보거나 카메라를 든 이에게 핸드폰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들려주고 싶어하 는 그는 이제 겨우 11살, 소년일 뿐인데. (문일주)

n the slums of Mumbai India, people gather around to gamble at a Carom club. In the midst of gambler’s harsh cursing and quarrels, there is a boy named Imran who find this chaos shockingly normal. He moves around the gamblers to collect money and to chat with them. The youth at the Carom club puffs on cigarettes imitating the adults. What do you want to be when you grow older? / Imran answers, ’a thief.’ What are you going to do when you have a lot of money? / He answers, ’I’ll get marijuana and hashish.’ When one of the boys disapproves Imran saying he is a disgrace to the country, he fires back asking if there’s any wrong in his words. The life thrown in front of him today is worthless and hostile without any signs of a breakthrough. There is no dreams, no hopes, nothing new or nothing to fear. On the other hand, Imran is someone who likes to look at the trickling rain between buildings and enjoys letting others listen to his music. After all he is only eleven, just a boy. (MOON Il-jo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89


Global Vision

Global Vision

오이스터

UK | 2014 | 14min | DCP | Color Director 마가렛 샐몬 Margaret SALMON

Oyster

Korean Premiere

피라미드

UK | 2014 | 17min | DCP | Color/B&W Director 마가렛 샐몬 Margaret SALMON

Pyramid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Margaret SALMON PRODUCER l Margaret SALMON, Dino WIAND MUSIC l Dino WIAND

마가렛 샐몬 Margaret SALMON

Filmography

Program note 인간이 기록하고 상상하고 포획하고 거래하는 동안에도, 제각기 저마다의 서식지 에서 모든 생명체들은 자신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오이스터>는 바다와 바다 속 유기체들에 관한 영화이면서, 그 바다 속 유기체들과 인간이 맺어온 관계에 관한 영화이고, 그 모든 것들의 생태학에 관한 영화이기도 하다. 1902년에 출판된 <위 스테블의 굴과 준설선>이라는 오래된 책의 표지를 보여주며 영화는 시작된다. 책 을 펼쳐 든 여자아이는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위스테블 지역의 주요 산물인 굴의 삶과 역사, 그것을 포획하고 소비해 온 위스테블 지역 사람들의 문화와 생활에 관 한 기록을 읽는다. 굴의 자연적 서식지인 바다 속 환경과 어선에 의해 수확된 생명 체들이 차례로 모습을 드러낸다. 망으로 잡아 올린 불가사리, 성게, 가자미, 게, 가 오리 등과 뒤엉켜 어선의 바닥에 굴이 누워있다. 어부는 익숙한 솜씨로 바다 생물 들을 손질한다. 뿌연 하늘에 갈매기가 날아가고 망은 다시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바다 속 깊은 곳에선 해초들이 물살에 흔들리고 작은 생물들이 꼬물거린다. 어선 은 다시 조용히 마을로 돌아온다. 마치 이 모든 장면들이 책을 읽는 아이의 상상이 기라도 하듯, 영화는 책을 덮고 잠이 든 아이의 모습으로 끝을 맺는다. 민족지적 성 격과 모더니즘적 요소가 엮여있는 가운데 무엇보다도 사운드의 효과가 두드러진 다. (안현신)

9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yster (2014) Pyramid (2014) Enemies of the Rose (2011) Times Square (2011) Peggy (2003) Ramapo Central (2003)

While humans record, imagine, catch, and trade, all creatures continue to live in their respectable habitats. Oyster is a film not only about the ocean and marine organisms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the organisms that live in the sea – an ecology film. The film opens with showing an image of an old cover of The Oyster and Dredgers of Whitstable which was published in 1902. A curious-eyed little girl is reading the book which is about the history of oysters, life and culture of the people who make a living by catching and consuming oysters in Whitstable. Images of the oyster’s natural habitat and marine organisms that have been harvested by fishing boats are shown one at a time. On the fishing boat’s floor, oysters are intertwined in the net with starfish, sea urchin, halibut, crab, and stingrays. The fisherman skillfully handles the marine life. The seagull flies in the cloudy sky and the net goes back down into the sea. In the deep sea, seaweed sways in the current and small organisms wiggle. The fishing boat quietly heads back to the village. As though all these scenes are from a child’s imagination, the film ends with showing the child sound asleep with the book closed. In the midst of ethn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dern elements, the background music is exceptional. (AHN Hyun-shin)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Margaret SALMON PRODUCER l Dino WIAND MUSIC l Ben COCKING, Emily GUILLE-MARRETT, Margaret SALMON

마가렛 샐몬 Margaret SALMON

Filmography Oyster (2014) Pyramid (2014) Enemies of the Rose (2011) Times Square (2011) Peggy (2003) Ramapo Central (2003)

표면적으로 마가렛 살먼의 <피라미드>는 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 (Abraham MASLOW)의‘욕구 위계론’ 을 따라가는 듯한 모양새를 띄고 있다.‘빵이 없을 때 빵만으로 충족되던 인간의 욕구에 이제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를 묻는 매 슬로의 문장이 암흑 속에서 어린아이의 목소리를 통해 낭독되며 영화는 시작된다. 피라미드 구조의 저변을 이루는‘생리적 욕구’ 부터 가장 높은 단계인‘자아실현의 욕구’ 까지, 그토록 선명하고 정연한 이름을 부여 받은 인간의 욕구들이 차례로 호 명될 때, 그러나 영화는 동시에 기묘한 엇박자들을 만들어낸다. 영국 남부 켄트 지 역 한 가족의 하루하루의 삶에서 가져온 시각적 푸티지들과 영화에 독특한 리듬을 부여하는 사운드의 반복과 변형 그리고 가끔씩 도드라지는 침묵은 딱지 붙은‘인간 욕구’ 의 정형화된 명칭들과는 어울리지 않게 일상의 모호한 파편들의 몽타주를 이 룬다. 순수영화의 계보를 잇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시청각적 이미지와 리 듬, 일상의 장면들이 만들어내는 움직임과 정서는 그래서, 한편으로 선형화되고 보 편화되어 피라미드처럼 구조화된‘인간의 욕구’ 가 사실은 지역과 인종과 계급과 성별과 개인의 역사에 따른 구체성과 즉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새삼스럽게 상기시킨다. (안현신)

Program note On a superficial level, it seems Margaret SALMON’s Pyramid follows the American psychologist Abraham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 movie opens with a little child in the dark reciting Maslow’s question of what happens once the basic human needs of hunger has been satisfied. Represented as a pyramid, Maslow’s hierarchy of needs is clearly cited in the film from the most basic physiological need to the highest selfactualization need, but strangely there is a discord. Footages taken from the everyday lives of Kent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 region of England and the repeating unique rhythm beats along with spurts of silence are an unlikely montage of vague fragments of common life that do not match the coined labels of human needs. Various audio-visual images, rhythm, the movement and emotion from the mundane scenes may resemble a noncommercial film but these remind us that the generalized pyramid structure of human needs also has conflicting elements of spontaneity and certainty according to region, race, class, gender, and personal history. (AHN Hyun-sh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91


Korean Docs Showcase

한국쇼케이스

58개띠 몽상기 딜쿠샤

Korea | 2015 | 95min | DCP | Color Director 김태영, 이세영 KIM Tae-yeong, LEE Sae-young

Kim’s Dilkusha - Life Goes On

Korean Docs Showcase

한국쇼케이스에서는 16편의 장단편 다큐멘터리가 소개된다. 다양한 소재와 형식을 담은 작품들을 통해 올해 한국 다큐멘터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 구조조정, 워킹 홀리데이 등 20대가 직면한 현실을 그려낸 신진 감독들의 작품과 꾸준히 다큐멘터리 작업을 이어온 중견 감독들의 작품이 골고루 포진되어 있다. 2013년 12월 작고한 <오래된 인력거>의 이성규 감독의 죽음을 담은 <에필 로그>가 특별상영된다. Staff

Korean Docs Showcase introduces 16 feature-long and short documentaries. Films with diverse subjects and forms, the audiences can see varied spectra of Korean documentaries. The section covers from works of young directors portraying the reality like reconstructing universities or working holiday program that the young in their twenties confront to the works of directors of middle standing who have constantly produced documentaries. A special screening of Epilogue will be shown, the story of LEE Sung-kyu, the director of My Barefoot Friend.

DIRECTOR l KIM Tae-yeong, LEE Sae-young PRODUCER l JEONG Min-woo, LEE Sang-rok CINEMATOGRAPHER l KIM Sung-yeol, Sean LEE EDITOR l KIM Tae-yeong, KIM Sung-yeol MUSIC l HWANG Ye joon, CHA Seok-ho

김태영

이세영

KIM Tae-yeong

LEE Sae-young

Filmography

Filmography

58개띠 몽상기 딜쿠샤

58개띠 몽상기 딜쿠샤

Kim’s Dilkusha –Life goes on (2015) 베트남 전쟁, 그 후 17년 (1992) 칸트씨의 발표회 (1987)

Kim’s Dilkusha –Life goes on (2015) 나는 아빠다 (2011)

Program note 적지 않은 영화와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제작하다가 뇌출혈로 쓰러졌던‘김 감독’ 은 58년 개띠 베이비부머 세대다. 그는 가수 소찬휘와 안성기가 주연을 맡았 던 뮤지컬 영화가 촬영 도중 자금 문제로 제작이 중단되면서 충격을 받고 쓰러져 건강을 잃었다. 영화 속에 슬쩍 삽입된 당시의 촬영 필름은 궁극의 완성도와 상관 없이 꽤 흥미로운 시도를 담고 있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그는 그가 제작하려던 뮤 지컬 영화라는 환타지가 세상과 만나지 못하고 속절없이 사라진 것처럼 그 자신의 삶에서도 더 이상 꿈꿀 판타지가 없다. 거동이 불편한 채로 이곳 저곳 다니면서 새 영화를 모색하지만 그에게 남아 있는 재기 가능성은 더 이상 없다. 놀라운 것은 이 비통하고 바닥에 몰린 삶에서 주인공이 그냥 날 것 그대로 자신의 몽상을 펼친다 는 점이다. 돈과 인력이 없이도 그는 판타지를 만들어낸다. 다큐멘터리와 픽션이 기묘하게 조합된 이 영화 <58 개띠 몽상기 딜쿠샤>가 바로 김감독의 판타지 버전 이다. 과거에 만든 다큐멘터리 소재였던‘딜쿠샤’ 란 이름의 집에서 감독은 새 영화 를 찍을 사람들을 만나 자그마한 삶의 기적을 만든다. 근대 초기에 지어진 건물로 문화유산의 가치가 있지만 지금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그 집과 그 주변에서 김감 독이 만나는 사람들은 각자의 처지에 상관없이 김감독보다 더 맹렬하게 삶의 즐거 움과 가치를 욕망한다. 그들과 어울려 새 영화를 만들 궁리를 하면서 김감독의 삶 에도 비로소 굉장한 긍정의 에너지가 생긴다. 무엇이 현실인지, 환상인지 경계 짓 는 것이 무의미한 상황에서 현실과 환상은 자연스럽게 섞이고 개인의 몽상과 현실 의 실재도 충돌 없이 화해한다. 특이한 형태의 다큐 픽션 판타지. (김영진)

‘Director KIM’ was born in 1958 during the baby boom, which is also called “the generation from the year of 58 under the dog zodiac sign.” He produced a number of films and TV documentaries, but he keeled over from a stroke as a result of the shock from the cancelation of a musical film starring SO Chan-whee and AHN Sung-ki during its shooting due to a financial problem, which led him to failing health. In the footage from the unfinished film, we catch a glimpse of the supposed film, which might have been full of unique and interesting attempts. Like the fantasy with the musical film, which he tried to create but it failed to be shown to the world and disappeared, he dreams of no future fantasy. Moving around as the mobility impaired, he seeks another opportunity for filmmaking—but fails. What surprises us is that, while suffering and struggling, he never gives up on creating images. Without any money and crew for filmmaking, he still creates fantasy. Kim’s Dilcusha-Life Goes On, which combines fiction with a documentary, is a fantasy version of director KIM himself. In the house called Dilcusha, which he captured in his one of previous documentary films, he meets people who will work with him on a new filmmaking project, thus creating a small miracle. The house, which was built in early modern times and has worth to be preserved as a cultural heritage, no one remembers today, and those who director KIM encounters there seeks the desire, joy, and virtue of their life whatever their social and financial status. Upon joining them, director KIM is finally empowered. Reality and illusion mixes naturally, and a personal dream and reality are reconciled with each other without a crash. This is, ultimately, a unique form of a documentary film. (KIM You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93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DMZ 사운드스케이프 - 시간의 소리

Korea | 2015 | 55min | DCP | Color Director 송규학 SONG Kyu-hag

경계

Korea | 2014 | 87min | DCP | Color Director 문정현, 블라디미르 토도로비치, 다니엘 루디 하리얀토 MUN Jeong-hyun, Vladimir TODOROVIC, Daniel Rudi HARYANTO

Soundscapes of DMZ or Time

Fluid Boundaries

World Premiere ※ 2014 DMZ Docs 제작지원 선정작

Staff DIRECTOR l SONG Kyu-hag PRODUCER l JIN Mo-young CINEMATOGRAPHER l KIM Jae-song EDITOR l SONG Kyu-hag, JIN Hyo-min MUSIC l YANG Seung-young

송규학 SONG Kyu-hag

Filmography DMZ 사운드스케이프-시간의 소리 Soundscapes of DMZ or Time (2015) 푸른 바람의 노래 Wind from the Lake (2012)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MUN Jeong-hyun, Vladimir TODOROVIC, Daniel Rudi HARYANTO

문정현

블라디미르 토도로비치

다니엘 루디 하리얀토

MUN Jeong-hyun

Vladimir TODOROVIC

Daniel Rudi HARYANTO

Filmography

Filmography

Filmography

경계 Fluid Boundaries (2014)

경계 Fluid Boundaries (2014)

경계 Fluid Boundaries (2014) Parit and Prona (2012)

할매꽃

Grandmother’s Flower (2007) 붕괴 Collapse (2014)

Program note 전쟁의 긴장이 전운이 감돌면서도 아름다운 자연이 공존하는 DMZ 비무장지대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시작한‘ DMZ다큐’제작지 원의 첫 번째 결과물은 송규학 감독의 <DMZ 사운드스케이프-시간의 소리>이다. 단연 영화의 주인공은 사운드가 들려주는, 혹은 사운드를 통해 듣고 상상하는 DMZ의 풍경이다. 사운드를 담당하는 녹음기사 김창훈은 온전한 자연의 소리를 찾 기 위해 DMZ를 찾는다. 인위적인 간섭이 없는 자연만의 소리, 평화의 소리를 기대 하는 김창훈 녹음기사는 DMZ의 곳곳에 마이크 삼각대를 설치하고 사람머리 모양 의 더미 마이크를 세워둔다. 그곳은 분단 70년의 시간을 어떻게 견디어내고 있을 까, 평화로워 보이지만 그 어떤 곳보다 긴장이 감도는 그곳의 아픔과 상처를 소리 를 통해 느낄 수 있지 않을까, 감독은 그 공간이 들려주는 소리에 귀기울여 보자고 한다. 연천 두루미, 해마루촌 초평도가 보이는 언덕, 을지전망대, 철원 DMZ생태공 원, 안동철교, 양의대습지, 오래된 다리, 도피안사 등 사운드를 채취하기 위해 찾아 간 그곳에서 만나는 시간과 공간의 소리,<DMZ 사운드스케이프>는 한반도의 분단 현실을 돌아보고 사유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박혜미)

9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Soundscapes of DMZ or Time by director SONG Kyu-hag ensued from DMZ DOCS first production support. This documentary meditates the meaning of peace and brings a fresh point of view on the DMZ (Demilitarized zone) where the tension of war coexists with peaceful Mother Nature. The protagonist is definitely the sound or the imagined DMZ landscape through sound. Sound recording engineer KIM Changhoon seeks the DMZ in order to find the perfect sound of nature. KIM sets up tripods and piles dummy head microphones within the DMZ zone in order to obtain peaceful anthropogenic interference-free sound of nature. Director SONG suggests us to listen to the story that each space reveals. He questions how the DMZ zone endure 70 years of division. Knowing that peace and tension coexist in this space, could it carry the pain and transcend the wound through sound? Soundscapes of DMZ or Time goes through the sounds of Yeonchun cranes, hills overlooking Haemaruchon Chopyeong island, Eulji Observatory, Cheorwon DMZ ecological park, Andong Railroad Bridge, Wetlands Yanguidae, old bridges, Dopiansa Temple all leading us to fa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PARK Hye-mi)

야마가타 영화제에서 만난 세르비아, 인도네시아, 한국의 감독이 경계를 주제로 각 각 작품을 제작한 뒤 이를 편지 형식으로 엮은 작품이다. 편지를 쓰는 방식은 각각 다르다. 자신이 찍은 영상에 서간체 내레이션을 삽입하거나 영상 시작 전 짧은 편 지글을 삽입한다. 언뜻 개별 작품들은 서로에 대한 응답이기보다는 외따로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몇 편의 작품을 모아 엮은 옴니버스 영화에 가 깝다. 그렇다면 편지 형식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감독이 보여주는 이미지는 세르비아나 인도네시아, 한국이 아닌 다른 공간이다. 인 도네시아의 감독은 12년 전 친구를 따라 일본에 갔던 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감 독은 일본에서 인도네시아를 상상하며 경계를 넘은 뒤, 이를 베트남 난민에 대한 사유로 확장한다. 세르비아 감독은 싱가포르에서 살던 때의 이야기를 한다. 감독은 그곳에서 또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 노동자들을 기록한다. 한국의 감독은 자신이 살던 공간에서 쫓겨난 남아공 난민가족을 약 10년의 간격을 두고 드문드문 쫓는 다. 이들의 이야기는 결국 조선국적을 가진 채 일본에 거주 중인 작은아버지의 이 야기로 연결된다. 누군가를 호명하는 편지는 실은 지금 내가 있는 공간 위에 내가 살던 지역에서의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니까 이 작품에는 두 가 지의 경계에 대한 사유가 작동한다. 하나는 자신이 살던 경계 내부에서 쫓겨난 사 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지켜져야 할 경계, 다른 하나는 이들의 이야기를 그들의 경 계 안에 가두지 않고 엮어내고 확장하려는 세 감독에 의해 허물어지는 경계다. (김소희)

Three filmmakers from Serbia, South Korea, and Indonesia respectively, who met at 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decided to make a movie about borders, each share their story in a series of letters. They have different ways of writing letters. One director inserts an epistolary style narration into the images he took, while another director opens his work with a short letter in the beginning. At first glance, the individual works are separate and unrelated and they seemingly fail to answer one another. In other words, this is an omnibus film that presents a collection of several works. Why is the epistolary style necessary then? The images the directors choose to show are not from Serbia, South Korea or Indonesia. The Indonesian director traces his journey to Japan with his friend some 12 years ago. He crosses borders in Japan while imagining Indonesia and goes further to contemplate the issue of Vietnamese refugees. The Serbian director looks into his experience of living in Singapore, where he encounters immigrant workers of all nationalities. With decade-long gaps in between, the director from Korea sporadically follows an immigrant family in South Africa who got expelled from where they used to live. The story of the family is eventually connected to the tragic life of the director’s uncle, who lives in Japan with Korean nationality. Letters addressed to certain recipients actually evoke our memories of all the paces we’ve lived and bring them into the space we occupy at present. Therefore, this film considers two types of borders. There are borders that must be endorsed by those who are expelled from within them. At the same time, there are borders that begin to collapse as the three directors expand their stories beyond those very borders to make further connections. (KIM So-he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95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대답해줘

Korea | 2015 | 75min | DCP | Color Director 김연실 KIM Yeon-sil

뚜르, 잊혀진 꿈의 기억

Korea | 2015 | 96min | DCP | Color Director 임정하, 김양래, 박형준, 전일우 LIM Jung-ha, KIM Yang-rae, PARK Hyung-jun, JEON Il-woo

Please Answer Me

World Premiere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Staff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MUSIC l KIM Yeon-sil MUSIC l PYO Yong-soo

김연실 KIM Yeon-sil

Filmography 대답해줘 Please Answer Me (2015)

DIRECTOR l LIM Jung-ha, KIM Yang-rae, PARK Hyung-jun, JEON Il-woo CINEMATOGRAPHER l KOH Min-seok MUSIC l LEE Beom-jun SOUND l KONG Tae-won

임정하 LIM Jung-ha

Filmography 뚜르, 잊혀진 꿈의 기억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2015)

Program note 세상이 정한 기준에서‘다른’삶을 사는 이들은 끊임없이 자신들을 설명하며 살아 간다. 나는 왜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지, 지금의 나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스스 로를 증명하고 이해시킬 것이 요구되지만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세상이란 요원할 뿐이다. 유니스와 제제, 브라이언의 가족 또한 예외일 수는 없다. 난민이 되어 콩고 에서 한국으로 이주한 세 가족은 자신들에 대한 확인을 계속해서 요청받고 요청하 지만, 이들에게 주어지는 것은 스스로를 되풀이하게 만드는 끝 모를 대답일 뿐이 다. 아이들은 콩고에 가본 적도 없고 갈 수도 없지만 부모를 따라 자동적으로 난민 이 되어버렸다. 한국에서 태어났고 한국에서 생활하며 한국의 언어를 사용해도, 한 국 국적을 가질 수는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응답은‘무국적’ 으로 돌아올 뿐이지 만 이들은 그 안에서 자신들의 세계를 찾아나간다. 각기 다른 이유로 난민이 되어 한국에 왔지만 모두가 새로운 출발을 꿈꾸었듯, 국가라는 거대한 이름과 관계없이 ‘살아가는 곳’ 으로서의 지금, 여기로 의미하기 때문이다. 감독은 이념과 정치에 따른 난민의 삶 보다는 평범한 한 가족의 삶을 통해 이들을 향한 응답을 제안한다. 누구와도 다르지 않은 삶, 그 안에서 함께 자라며 자신들만의 추억과 꿈을 키워나 가는 아이들의 세계. <대답해줘>는 카메라를 넘어 그 자체로 완연한 하나의 세계 가 이루어지기를 담담하고 단단하게 전하고 있다. (최민아)

9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People who live a ‘different’ life from the social standard always explain themselves. They are asked to prove themselves and enlighten about themselves with such questions like why have I reached this far, how do I live, but the world they would be accepted as they are seems to be far away. It happens to the families of Eunice, Jeremiah and Brian, too. These three families emigrated to Korea from Congo as refugees have constantly demanded their idenitity and been demanded, but what they get is endless answers that make them repeat themselves. Three kids never visited Congo, even can’t go there, they were automatically became refugees according to their parents. They were born in Korea, have lived in Korea and use Korean language but they can never obtain Korean citizenship. The administration always answers that they are ‘stateless’, but these kids search for their own world within that status. Regardless of the nation, a great name, ‘living place’ means right now and here like they dreamed of new beginning from the start, although they came to Korea as refugees for different reasons. The director suggests an answer to them with an ordinary family’s life rather than refugees’s life swayed by ideology and politics. Children establish the world in which they build their own dreams, memories and the life together just like the others do. Please Answer Me delivers its hope for a perfrect world beyond the camera in a calm and solid way. (CHOI Min-a)

희귀암 판정을 받은 26살 청년 윤혁. 그는 세계 최고 권위의 자전거 대회인 뚜르 드 프랑스에 가야겠다는 꿈을 꾼다. 윤혁의 몸 상태를 우려한 주변 사람들은 하나 같이 그를 만류해보지만 윤혁은 포기하지 않는다. 뚜르 드 프랑스에서 자전거 페 달을 밟고 또 밟아 나갈 자신을 그려보는 일이 그에게는 삶의 이유 그 자체다. 그의 확고한 뜻을 이해한 후원자가 나타나면서 그의 계획은 급물살을 탄다. 그와 함께 뚜르로 날아갈 사이클 멤버들과 다큐멘터리 촬영팀까지 꾸려지면서 윤혁의 꿈은 점점 더 현실이 되어간다. 뚜르 드 프랑스의 번외 경기를 치르는 윤혁의 목표는 50일간 모나코에서 파리까지 총 3,500km를 완주하는 것이다. 그는 자전거에‘희망 ’ 이라고 쓰고‘암환자들을 위 해 달린다’ 는 문구를 새긴다. 이윽고 시작된 레이스. 윤혁의 체력적인 문제뿐 아니 라 현지 코디네이터, 촬영팀, 윤혁의 조력자들까지 하나의 팀으로 움직이다보니 벌 어질 수밖에 없는 크고 작은 갈등이 이어진다. 하지만 그 무엇도 윤혁의 페달을 멈 추게 할 수는 없다. 강인한 의지로 무장한 윤혁의 레이스를 보고 있자면 관객 역시 도 자연스레 그의 경기에 집중하고 동승하게 된다. 그가 죽음의 레이스라 불리는 경사가 심한 산맥을 넘을 때면 함께 숨을 헉헉 거리게 되고, 고통스러운 레이스 속 에서도 오히려 노래까지 불러보는 그를 보고 있자면 어느새 입가에 웃음이 맺힌 다. 그렇게 영화는 윤혁의 웃음과 눈물이 고스란히 전해질 만큼 성심껏 그의 자전 거를 따라갔고 긴 여정을 함께 달렸다. 2009년 한여름, 생을 향한 윤혁의 가장 치 열하고 뜨거웠던 순간을, 그 마음을 고스란히 기억하기 위하여. (정지혜)

Yoon-hyuk, a 26-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a rare cancer. He dreams of entering the Tour de France, the most authoritative bycicle race of the world. People around Yoon-hyuk concerning his physical status dissuades him to participate in the race but he never gives up. Portraying himself pedalling a bicycle at the Tour de France itself is the only reason for his life. When someone empayhizes with his firm intention and starts supporting him, his plan obtains driving force. As cycling members and documentary crew set up a team for the Tour de France with Yoon-hyuk, his dream comes true little by little. His goal, participating in extra game of the Tour de France, is to finish the course of 3,500km from Monaco to Paris. He writes ‘Hope’ and carves ‘For Cancer Patient’ on his bicycle. The race begins. Besides Yoon-hyuk’s physical problems, working as a team with local coodinators, film crew, and assistants causes all kinds of troubles. However, nothing can stop Yoon-hyuk’s pedals. Watching his race armed with strong will naturally invites the audience to concentrate on his riding and even feel like riding together. When he struggles to ride up the mountains, so-called death race, the audiences breathe with gasps like him and watching him singing during the painful race, we smile without even noticing. The film followed his bicycle and made a long journey together with sincerity as much as Yoon-hyuk’s laugh and tears fully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order to remember, in the midsummer of 2009, Yoon-hyuk’s the most fierce and burning moment toward his life. (JEONG Ji-hy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97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서른 넷, 길 위에서

Korea | 2015 | 84min | DCP | Color Director 김병철, 이선희 KIM Byung-chul, LEE Sun-hee

Thirty-four, On the Road

World Premiere

자리

Korea | 2015 | 68min | DCP | Color Director 최종호 CHOI Jong-ho

My Place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EDITOR l KIM Byung-chul, LEE Sun-hee CINEMATOGRAPHER/MUSIC/SOUND l KIM Byung-chul

김병철

이선희

KIM Byung-chul

LEE Sun-hee

Filmography

Filmography

서른 넷, 길 위에서

서른 넷, 길 위에서

Thirty-four, on the road (2015)

Thirty-four, on the road (2015)

Staff DIRECTOR/EDITOR l CHOI Jong-ho

최종호 CHOI Jong-ho

Filmography 자리 My Place (2015)

Program note 글쓰기 모임인‘이야기 조각보’ 에서 간사와 수강생으로 만난 서른 넷 동갑내기 문 애린과 정진희. 노들야학 당사자 활동가인 문애린은 장애인 인권 투쟁 현장에서는 물불 안 가리고 몸을 던지는 열혈투사이지만 정작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속내는 잘 드러내지 못하는 숙맥이고, 12살부터 시설에서 생활하다 이제 막 세상에 나온 정진희는 자립을 꿈꾸지만 중증 장애인이 자립을 시도하기에 이 세상은 아직 험난 한 장벽이다. 관성처럼 반복되는 투쟁의 현장이 때론 버겁고 외롭게 느껴지는 문 애린과 더 늦기 전에 사랑하는 사람과의 행복한 결혼을 꿈꾸는 정진희의 고민은, ‘장애 ’ 여성이라는‘ 특별한’이름표를 붙이지 않더라도‘서른 넷, 길 위에 서 있는’ 대다수 여성의 결코‘특별하지 않은’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영주)

9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MOON Ae-rin and JUNG Jin-hee, who met as lecturer and student at a writing club for disabled women, Iyagi jogakbo, are friends of the same age (34 years old). Ae-rin, an activist of Nodeul Yahak, is also disabled and a passionate fighter at the demonstrations, but in her daily life, she is shy and finds it difficult to show her feelings and thoughts to others. Meanwhile, Jin-hee, who had resided at a residential care facility since she was 12 and has just started living outside of the facility, dreams of her own independent life, but the world is tough and challenging to the severely disabled like her. The routine as an activist burdens and isolates Ae-rin, and Jin-hee dreams to marry a loved one before it is too late. We don’t need to see their life as special ones; what they are troubling with in their life will resonate with women of their age, women at thirty-four, on the road. (LEE Young-ju)

‘자리’ 의 오프닝은 누군지 모를 한 남학생의 얼굴로부터 시작된다. 당혹스런 표정 으로 카메라를 올려다보는 그 표정은 무척 낯설고, 또 기이하다. 다큐는 2013년 겨 울 아주대학교의 일부 동아리가 공간 관리를 문제 삼은 학교 행정실로부터 일방적 인 퇴실 조치를 통보받은 사건을 다룬다. 하루아침에 자리를 잃어버린 해당 동아 리들은 한 데 모여 대책을 논의하지만, 의견 수렴 과정은 원활하지 않다. 게다가 학 교 측은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를 들며 정든 교내 식당 가건물마저 철거하겠다고 나선다. 학교의 고압적인 태도는 학생들의 혼란과 불신을 더욱 가중시킨다. 감독은 관찰자의 시선에서 동아리 퇴실 사건에 대처하는 여러 학생들의 생각을 조 용히 채집한다. 이야기를 엮는 기술은 다소 거칠지만, 차분하고 끈덕지게 사건을 뒤따른다. 흥미로운 건 이 다큐가 띠고 있는 자기 성찰적인 구조다. 감독은 1인칭 내레이션을 통해 현상을 취재하면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을 담담하게 쏟아낸다. 학 생들의 입장이 열외된 학교 속에서‘내 자리는 어디인지’ 를 묻는 감독의 질문은 교 육과 운영이 전도된 대학의 병폐를 무덤덤하게 헤집는다. 영화의 말미에 이르러서야 관객은 첫 장면의 남학생이 누구이고, 그가 당시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는가를 마침내 깨닫게 된다. 제 자리를 찾기 위해 출발한 학생들 의 여정은“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었다” 는 고백으로 하릴없이 표류한다. 그렇다면 지금 학교에 남아있는 주인은 누구인가. 영영 자리를 잃어버린 듯 막막한 남학생 의 표정은 오랜 여운과 더불어 서늘함을 안긴다. (고석희)

The opening scene of the My Place begins with a face of a young man. Looking up the camera with a bewildered look, his face seems unfamiliar and bizarre. This documentary records the case of several clubs at Ajou University notified to be evicted from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the winter, 2013. Losing their spaces, those clubs debate for countermeasures but it is not smooth to collect opinions. Besides, the school decides to demolish a temporary building, previously a school cafeteria, for the reason that spoils the beauty of the campus. School’s domineering attitude intensifies studnets’ confusion and distrust. The director quitely collects many different students’ thoughts managing this eviction case with the view of observer. The technique to weave stories seems a bit rough but calmly and persistently goes after the case. Interesting thing is its introspective structure of this documentary. The director peacefully releases the emotions he felt while he covered the case with the first person narration. At the school without students’ positions, the director’s question ‘where is my place?’ rips up, in calm tones, university ills in which education and management are reversed. Around the end of the film, the audiences notice who the man is in the first scene and realize what situation he was in. Students’ journey for their place idly drifts with the confession “losing our place to stand on.” Then who is the master left in school? The man’s gloomy face gives us lingering imagery and chill. (KO Seok-he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99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자전거, 도시

Korea | 2015 | 140min | DCP | Color Director 공미연 KONG Mi-Yeun

Bicycle, City

즐거운 나의 집 101

Korea | 2015 | 90min | DCP | Color Director 련 Ryun

Home Sweet Home 101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KONG Mi-Yeun PRODUCER l Blue Fly

공미연 KONG Mi-Yeun

Filmography 자전거, 도시 Bicycle, City (2015) 술자리 다큐 에피소드 1-음주신학

Staff DIRECTOR/EDITOR/MUSIC/SOUND l Ryun

련 Ryun

Filmography 즐거운 나의 집 101 Home Sweet Home 101 (2015) 어진아, 집에 가자 (2015)

Bottoms Up! Episode 1 - Drinking Theology (2011) 전장에서 나는 Battlefield Calling (2007) 녹색 발자국 The Green Tracks (2001)

Program note 본질적으로 이상적인 도시공간을 상상할 수 있을까? <자전거, 도시>는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수행적 기록이자, 여행기라 할 수 있다. 물론 도시공간에 대한 유토피 아적 기능이나, 혹은 도시재생에 관한 사회학적 보고서의 형식을 제시하지는 않는 다. 하지만 건축가나 도시사회학자가 아닌 자전거 메신저를 통해 도시공간의 역사, 사람, 생태계를 이야기하고 기록한다. 이 수행적 기록은 길을 따라 사유하고, 청년 공동체와 조우하면서, 자전거-장소 특정적 퍼포먼스-도시지표라는 하나의 거대한 지도를 도표화하는 듯 하다. 자전거 메신저인 지음은 단순히 재개발로 인한 도시 기능의 저하, 혹은 환경생태보호를 위한 캠페인의 역할 보다는 장소의 지리학적 이야기를 수집하고 전파하는 수행자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예술과 도시, 건축 콜렉티브 그룹인‘리슨투더시티’ 의 퍼포먼스적 요소는 이 영화를 보다 리서치에 기반한 도큐멘트에 가깝도록 만들고 있다.“ 권력들의 독특한 역사는 권력-주체들 이 스스로를 드러내는 공간의 역사이다”라고 한 푸코의 권력담론은 이 영화를 관 통하는 하나의 전제조건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자전거, 도시>는 아직 도달하지 않 은 종착지를 향해 계속해서 나아가는 현재 진행형의 도큐멘트 작업이지 않을까. 우연히 재회하고, 듣고, 나눈 이야기를 끊임없이 배열하면서 발견하게 되는 하나의 우화처럼. (전성권)

10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Can we essentially image the ideal urban space? Bicycle, City is a performative document and travelogue regarding that question. The film neither proposes a utopia function nor the form of sociological report on urban regeneration. However, this film tells and records a story about the history, people, and ecosystem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eyes of a bicycle messenger and not an architect or urban sociologist. While meeting youth groups, this performative document outlines one huge map of bicycle, specific-site performance, city index. Ji-eum, the bicycle messenger, is more of a task performer who collects and spreads the story about a geological location rather than someone who simply takes on the role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or campaigning against redevelopment because it deteriorates the urban function. This documentary seems more based on research because of the performance elements held by ’Listen to the City’ which is an art, city, and architect collective group. FOUCAULT’s concept of power that “power is exercised through confessional acts” seems to be the underlining prerequisite for this film. Just like an endless story of arranging people unexpectedly meeting, listening, and conversing, Bicycle, City is a continual documentary that has not yet reached its final destination. (JEON Sung-kwon)

수풀 우거진 산길을 오르는 청년의 뒤를 좇는 카메라.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은 줄 이 없었더라면 길인지도 모를 만큼 험한 그 길이, 청년에게는 마치 집 앞 골목길인 듯 익숙해 보인다. 산길 어귀마다 새겨진 추억을 회상하며 산을 오르는 청년의 이 름은 남어진.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1년 6개월 전 밀양에 내려왔다가 송전탑을 막 기 위해 온몸으로 싸우는 할매, 할배들이 눈에 밟혀 학교도 때려치우고 밀양에 눌 러앉아 버렸다. 이 산길은 그가 거의 매일 생수를 한가득 짊어지고 올랐던, 송전탑 건설 저지를 위한 101호 농성장으로 가는 길이다. 그에게 101호 농성장은 만나면 정겨운 사람들이 있고 함께 나누는 음식이 있고 서로를 위로하는 노래가 있는, ‘집’ 이었다. 이미 천막은 철거되고 괴물같은 철탑이 서 있는 황량한 곳이 되었지 만, 101호 농성장의 기억은 청년 남어진에게, 그리고 우리들에게‘더불어 함께 사 는 꿈’을 다시 꾸게 만든다. (이영주)

A camera follows a young man climbing on a leafy mountain path, showing his back to audience. He seems to be familiar and experienced with the path, which is too rough and leafy no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ountains. The young man, mounting the hills while recalling memories inscribed at every corner of the path, is NAM Eo-jin. He once came to Miryang to participate in a demonstration against the high-voltage cable tower project and quit school to stay there to fight with senior citizens who led the protest. The mountain path, which he steps on almost every day while carrying bottles of water on his back, is the way to sit-in-site 101. Sitin-site 101 is a “home” with warm and friendly people, food for sharing, and music, which the people there comfort each other with. Sit-in-site 101 is now bleak, with its tent having been destroyed by government authorities, but the memory of the days there will encourage young NAM Eo-jin and us to dream another vision for “living together.” (LEE Young-ju)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01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지나가는 사람들

Korea | 2015 | 86min | DCP | Color

Korea | 2015 | 85min | DCP | Color

Director 김경만 KIM Kyung-man

Director 이희원 LEE Hee-won

홀리워킹데이

People Passing By

Holy Working Day

Staff Staff DIRECTOR/PRODUCER/EDITOR/MUSIC l KIM Kyung-man SOUND l KAUH Eun-ha

김경만 KIM Kyung-man

Filmography 지나가는 사람들 People Passing By (2015)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LEE Hee-won PRODUCER l Ahn Bo-young MUSIC l Woo Seung-chan SOUND l Pyo Yong-su

이희원 LEE Hee-won

Filmography 홀리워킹데이 Holy Working Day (2015)

시간의 소멸 Destruction of Time (2013) 미국의 바람과 불 An Escalator In World Order (2011) 골리앗의 구조 The Structure Of Goliath (2006)

Program note 이 영화의 각 장면을, 혹은 두 파트(전반부는 감독이 직접 촬영한 최근 한국사회의 풍경들이고 후반부는 1946년에서 1966년까지 미군과 한국정부에 의해 촬영된 200여편의 기록필름들이다)를 연대기적으로 역사화하거나 한국의 정치사회적인 맥락 하에서 의미화하거나 특정 사건들에 대한 영화적 발언으로 읽을 수도 있을 것 이다. 하지만 이 영화의 힘이 그런 분석에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지나 가는 사람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얼굴들을 찍은 영화이기 때문이다. 얼굴은 카메라가 아무리 가까이 다가가도, 우리가 아무리 끈질기게 응시한다고 해 도 언어와 이성, 시대의 논리와 이데올로기의 틀을 넘어서는 잉여를 가지고 있다. 김경만이 지난 작품들에서 기존의 기록화면들을 재구성하며 자신의 영화적 세계 를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었다면, 이 영화에서 그가 집중한 것은 재구성과 통제가 아니라, 기록자를 종종 덮치는 얼굴들의 힘인 것 같다. 영화 내내 흐르는 장엄한 클 래식 선율과 과잉된 슬로우 화면은 친숙하면서도 낯선 그 힘의 심연을 영화적으로 감당해보려는 의지처럼 보인다. 이 영화의 흥미로운 점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익 명적인 얼굴들에 섣불리 개별성을 돌려주거나 영화적으로 호명하려고 시도하는 대신, 그 시간, 그 장소에 존재하던 얼굴(들)의 실재성을 별다른 클로즈업 없이도 어떻게든 마주하려고 시도한다는 데 있다. 물론 그 시도는 실패를 내재할 수밖에 없지만, 그런 이유 때문인지 이 영화는 어딘지 서글픈 시적 정취를 머금고 있다. 김 경만의 영화들 중 가장 정서적인 작품인 것 같다. (남다은)

10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Each scene of this movie, or its two parts (the first of which consists of landscapes of recent Korean society that the director filmed himself and the second which consists of about 200 clips of documented footage shot by the U.S. Army and the Korean government between 1946 and 1966) could be historicized chronologically or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politics and society or be construed as a cinematic statement of certain incident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power of this movie lies in such analysis because People Passing By is, most of all, a movie that films faces than anything else. No matter how close a camera approaches a face or how hard we stare at it, it has a surplus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language, reasoning, the logic of the era or ideology. In his past work, KIM Kyung-man reconstructed existing footage and had a certain amount of control over his cinematic world, but his focus in this film seems to be on the power of the faces that sometimes overcome the documentarian and not reconstruction and control. The solemn classical music that continues throughout the film and the exaggerated slow frames appear to be his determination in trying to deal with the familiar yet strange abyss of that power cinematically. What’s interesting is that instead of trying to hastily return individuality to anonymous faces or call them out cinematically, the movie attempts to confront the substantiality of faces that existed in that time in that place without the use of close-up. This attempt is innately a failure but that seems to be the reason that this film has a certain sorrowful poetic aura about it. This may be the most emotional film of all of KIM Kyung-man’s works. (NAM Da-eun)

호주 영상제작회사에서 인턴으로 일하는“ 글로벌인재”희원(감독)은 인턴기간이 끝날 무렵 호주의 농장에서 일을 하기로 마음먹는다. 희원은 저마다 다른 배경과 이상을 가지고 호주로 온 워홀러 주현, 종대, 종현과 팀을 이뤄 일자리가 있는 농장 을 찾아 여행을 떠난다. 이들의 워킹홀리데이(Working Holiday)가 홀리워킹데이 (Holy Working Day)로 바뀌는 순간은 세컨비자(Second Visa)를 향한 질주가 시작 되면서 부터다. 세컨비자는 호주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소지한 워홀러가 농장노동, 공장노동과 같은 1차 산업의 노동을 지정된 지역에서 88일 이상 했을 경우 호주에 1년 더 머물 수 있게 해주는 비자이다. 세컨비자를 따기로 마음먹은 이들은 라면과 과자로 끼니를 때우고 근육통으로 몸이 말을 듣지 않는 상황에서도 노동과 노동을 찾아 헤매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호주 농장일 중 최고의 노동강도와 최저의 임금 으로 정평이 난 양파수확을 하던 어느 날, 현지에서 사귄 호주 친구들로부터 충격 적인 이야기를 듣는다.“호주에서 그건 노예와 다름 없는 삶이야. 세컨비자가 얼마 나 중요해? 그게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니?”그제서야 일과 촬영을 멈춘 희원은 세 컨비자를 따려고 발버둥치는 지금 자신의 모습과 늘“바쁘고 불안하고 피곤했던” 지난 시간들을 떠올린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홀리워킹데이>는 여느 워킹 홀리데이 수기와는 구분되는, 이 시대 청춘들의 성장영화라는 보편성을 획득하게 된다. (권은혜)

Hee-won(director) is a ‘global talent’ working as an intern at a media production company in Australia. Nearing the end of her internship, she decides to look for farm work in Australia. She teams up with Joo-hyun, Jong-dae and Jong-hyun, who have joined the Working Holiday Program from different background and with different dreams. Together they embark upon a journey to get their hands on some farm jobs. However, the moment they start a race to obtain a Second Year Visa, their Working Holiday immediately turns into Holy Working Day. The Second Year Visa scheme allows Working Holiday Visa holders to extend their stay in Australia for another year, as long as they have completed 88 days of work in primary industries as farm or factory laborers. With their hearts set on getting a Second Year Visa, they survive on cheap snacks and noodles, and never stop searching for more and more labor even when they have severe muscular pain. They end up harvesting onions, which is a job most notorious for its heavy workload and low pay among all kinds of farm works in Australia. One day, their local friends make some shocking comments: “You are living like slaves. Is the Second Year Visa that important to you? Why does that matter so much?” Only then does Hee-won take a break from filming and laboring and recalls the many days she spent feeling ‘busy, insecure and tired’ in her current struggle to get a Second Year Visa. It is at this point that Holy Working Day gains universality as a coming-of-age film of today’s youths and thus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Working Holiday stories. (KWON Eun-hy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03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굿모닝 영화과

Korea | 2015 | 25min | DCP | Color Director 오민석 OH Min-seok

소나무씨 에게

Korea | 2015 | 32min | DCP | Color Director 김희봉 KIM Hee-bong

You Can’t Stop the Beat

Whispering Sunshin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OH Min-seok

오민석 OH Min-seok

Filmography 굿모닝 영화과 You can’t stop the beat (2015)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MUSIC l KIM Hee-bong SOUND l KANG Sang-phil

김희봉 KIM Hee-bong

Filmography 소나무씨 에게 Whispering sunshine (2015)

Program note 지난 3월, 건국대는 학과 경쟁력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기존의 학부제를 학과제로 변환하는 학사 구조 개편안을 해당 학과 학생들에게 일방 통보했다. 공시된 개편 안에는 전공 분야가 전혀 다른 영화과와 영상학과를 통합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신입생부터 동문 연예인까지, 학교 측의 일방적인 의사 결정에 반발한 영화과 학 생들은 SNS·릴레이 시위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외부에 상황을 알렸다. <굿모닝 영화과>는 통폐합 위기에 처한 학과를 지키려 교실을 나선 건국대 영화과 학생들의 군상을 낱낱이 짚는다. 봄기운이 완연한 캠퍼스에서 이들이 맞닥뜨리는 건 효율이란 명분 앞에 더 이상 교육의 책임을 포기할 정도로 손상된 학교 시스템 이다(교육부의 대학 인원 감축 정책에 따라 일부 대학은 수년 전부터 취업률이 낮 게 나타나는 예술 학과들을 우선적으로 폐과하거나 통합해왔다). 총장과의 대화를 요구하는 학생들을 배척하며 절차와 제도를 내세우는 학교 행정 부처와,“학과를 지키지 못해 미안하다” 며 신입생 후배들에게 머리를 숙이는 상급생의 모습은 2015년 대학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씁쓸한 촌극이다. 카메라는 뜨거운 결기와 눈 물로 사태에 맞서는 학생들의 모습을 충실하고 간명하게 기록한다. 외롭고 지난한 싸움 속에서도 이들은 자신들이 가장 잘하고, 자신 있는 투쟁 방식을 찾아낸다. 플 래시몹을 기획하고 함께 춤을 추면서, 이들의 유대는 즐거움을 공유하면서 더욱 끈끈해진다. 학생들은‘예술을 취업률로(혹은 금전 가치로) 재단할 수 있는가’ 라는, 어쩌면 그들 이 평생 여러 번 맞닥뜨릴 질문을 처음 대학에서 마주한다. 아직까지 건국대는 학생 측의 요구를 묵살한 채 내년부터 개편안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관객들은 스스로 되묻게 될 것이다. 과연 나의 학교와 일터는 오늘도 안녕한지를. (고석희)

10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Last March, the Konkuk University announced its restructuring plan to students that would convert the existing divisional system into department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department’s competitiveness. This plan contained the merge of the film studies department and the visual media department which offer completely different courses of study. From freshmen to famous alumni, students of the film studies department against the university’s one-sided decision making actively let the world know the situation by posting on SNS and one-person relay protests. You Can’t Stop the Beat addresses the students of the film studies department in details who got out of the lecture room to protect their department in danger of merger. On campus with spring in the air, what students face is a college system ruined enough to give up responsibility of education before justified efficiency(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s personnel reduction policy, some universities have closed or merged art departments that show low employment rate from several years ago). Watching the administration excludes students from a conversation with the president insisting procedures and institutions and seniors bowing low to juniors saying “sorry for losing the department” together is a not-so-funny sight happening in the middle of the university in the year of 2015. A camera faithfully and clearly records students confronting the situation with vehemence and tears. During the lonely and difficult fight, they finally find the way of struggle they are good at and feel confident. Planning a flash-mob event and dancing together, their solidarity tightens sharing the pleasure of being together. Students face the ques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college, ‘can art be judged by employment rate(or monetary value)?’ which they will constantly be run into during their life. Until now, the Konkuk University sticks to its original policy for restructuring plan applying from next year, ignoring students’ claim. The audience will ask themselves again if their school and work place are in peace. (KO Seok-hee)

영화가 시작하면 한 소년이 카메라를 들고 화장실 안에 있는 엄마와 형을 찍고 있 다. 카메라는 흔들리고, 실은 소년이 무엇을 찍고 싶은지 알기가 쉽지 않은데, 그가 엄마에게 던지는 질문만큼은 또렷하다.“뭐해? 엄마, 그런데 형아는 언제 장애인이 됐어? 왜 말을 못해? 언제 괜찮아지는 거야? ”그 질문의 내용은 느닷없기도 하고, 어딘지 절실하기도 하고, 무엇보다 무언가를 꾹 참고 있는 것처럼 들린다. 이후 카 메라를 든 자는 이 영화의 감독인 소년의 이모지만, 소년이 찍은 첫 장면에 배어있 던 정서의 울림은 내내 영화를 맴돈다. <소나무씨 에게>는 지적장애를 가진 형이 아니라, 그 형과 함께 살아야 하는 동생의 마음을 따라가 보는 영화다. 어릴 때부터 가족들, 특히 엄마의 관심이 아픈 형에게 먼저 닿는 동안, 동생 재민이는 홀로 어떤 시간을 견뎠을까, 이모의 카메라는 궁금해 한다. 갈등은 유독 재민이에게 엄격한 엄마와 그런 엄마가 원망스러우면서도 뜻을 거스르지 못하는 재민이 사이에서 주 로 벌어진다. 재민이는 이모의 카메라에 질문을 던져보기도 하고 형에 대한 속마 음을 터놓기도 하며, 자신이 화가 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카메라를 끄지 않는 이 모에게 화를 내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전해지는 건 소년의 외로움인데, 그 비틀대는 외로움을 안고 소년이 도착한 마지막 장면을 보며, 우리는 그 마음을 한껏 안아줄 수밖에 없다. (남다은)

As the movie starts, a boy holds a camera and films his mother and his brother in the bathroom. The camera is shaky and it’s not easy to figure out what the boy is trying to film but the question he asks his mother is clear enough. “What are you doing, mom? When did he become disabled? Why can’t he speak? When will he get better?” These questions seem to come out of the blue but are also somewhat desperate and suppressed at the same time. It is the boy’s aunt that carries the camera from then on but the sentiments that resonated in the first scene that the boy shot carries throughout the entire film. Whispering Sunshine follows the mind of the younger brother who must live with an older brother who is mentally challenged than that of the older brother. The aunt’s camera wonders how Jae-min, the younger brother, survived hours of being alone while his family’s, especially his mother’s, attention was focused on his sickly brother. Conflict usually occurs between Jae-min’s mother who is overly strict with him and Jae-min who resents his mother yet cannot rebel against her. Jae-min poses questions to his aunt’s camera, shares his innermost feelings about his older brother, and also gets mad at her for not turning off the camera when he’s already angry. We identify with the boy’s loneliness in the process. When we follow him to the last scene that he arrives at with his staggering loneliness in tow, we cannot help but embrace his heart. (NAM Da-e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05


Korean Docs Showcase

Korean Docs Showcase

어떤 둘째

Korea | 2014 | 24min | DCP | Color Director 구대희 KOO Dae-hee

A Second Daughter

아듀, 파라다이스

Korea | 2015 | 22min | DCP | Color Director 이강옥 LEE Kang-ok

Adieu, Paradise

World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MUSIC l KOO Dae-hee SOUND l KIM Gang-o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LEE Kang-ok SOUND l KOH Eun-ha, CHOI Ji-yeoung

구대희 KOO Dae-hee

Filmography 어떤 둘째 A Second Daughter (2014)

이강옥 LEE Kang-ok

Filmography 아듀, 파라다이스 Adieu, Paradise (2015) 죽음을 어루만지는 사람들 (2014)

Program note 세상의 많은 자식들이 줄곧 부모의 인생을 부정한다. 그들의 지난날을 이해할 수 없고, 그 지난날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다 탓하며, 그들과 자신의 삶을 분리하려 애 쓴다. 그러나 이는 쉽게 벗어지지 않고, 언젠가 문득 자신에게서 그들의 모습을 발 견하며 이내 육중한 삶의 무게를 공유하게 된다. <어떤 둘째>의‘나’ 는 어느 날 갑 자기 엄마를 향해 카메라를 들었다. 연애를 못하는 것이, 스스로를 못나게 여기는 것이, 삼남매 중 자신만 헤매고 있다는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나는 그냥 내가 부끄럽다. 이게 다 엄마 때문이다.”라는 결론에 이른 것이다. 엄마와 마주하기로 한 감독은 엄마를 바라보고, 엄마에게 말을 건넨다. 건조하게 다가선 마음들은 점 차 눈물을 머금고, 마침내 카메라 앞에 함께 선 두 사람은 어렴풋하게나마 서로의 같고 다름을 받아들이게 된다. 30년이 지나도 손이 기억하고 있는 기타 연주처럼, 나와 당신 사이에는 우리가 보듬지 않았던 시간이 여전히 서로를 기억하고 있다. 엄마가 내 나이 때 썼던 일기장에서부터 점심밥상을 나누는 지금의 일상에 이르기 까지, 감독은 그 시간들을 세심하게 되짚으며‘ 남 탓만 했던 유치하고 찌질한 나’ 에게 안녕을 고한다. 이는 용기내어 다가가는 마음과 기꺼이 받아들이는 마음으로 그 자리를 채우는, 자신에 대한 고백이자 서로를 향한 화해의 기록이다. (최민아)

10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A lot of sons and daughters constantly deny their parents’ life. Children aren’t able to understand the old days of their parents and try to separate from them blaming the past for current status. But it is not easy to escape and one day, all of a sudden, they find resembla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 parents, finally get to share heavy weight of life. In A Second Daughter, ‘I’ suddenly hold a camera toward her mother. She thinks she is unable to fall in love, she feels unattractive herself, she thinks she is the only child wandering among siblings. In the end, she concludes “I am ashamed of myself and it is because of my mother.” Determined to face her mother, the director looks at the mother and talks to her. Their hearts are dry at first but gradually brimming over with tears and finally two people in front of a camera accept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even if in a dim way. Just like guitar playing rememberd by fingers even 30 years later, the moments we haven’t taken care of still remember each other. From the journal her mother wrote when she was in the director’s age till today they have lunch together, the director carefully retraces those moments to say goodbye to ‘always-blaming-childish-myself’. The documentary fills that empty space with courage and accepting heart as it films confession to the director herself and reconciliation with her mother. (CHOI Min-a)

결국 극장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건 극장을 찾는 사람들이 아닐까. 그리고 극장에 대한 그들 각자의 기억이지 않을까.<아듀, 파라다이스>는 올해 4월 서울극장으로 이전한 서울아트시네마의 낙원상가 시절을, 그 10년의 기억을 엮어낸 짧은 모음이 다. 영화는 극장 안과 밖의 모습을 하나씩 비춰가며 영상 위로 낙원 시절의 서울아 트시네마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덧입힌다. 그들이 전하는 낙원은‘언제고 다시 사람들이 되돌아 올 수 있는 장소’ 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부터‘필름에서 디 지털로 변하는 영화 산업의 대전환기’ 에 극장이 처한 운명까지를 두루 포함한다. 이어서 영화는 극장을 찾는 사람들이 미처 기억하지 못할 법한 사람들까지도 불러 본다. 스크린 뒷면에서 묵묵히 영화를 만지는 영사 기사와 번역, 자막가들의 노동 을 묵묵히 바라보는 일이다. 또 서울아트시네마가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는‘오픈 토크’ 의 영상들을 중간 중간 보여줌으로써도 극장은 다시금 되살아난다. 영상 속 에서 영화평론가 정성일은“할리우드 극장 시절 이곳에서 <썸머타임 킬러>를 본 게 낙원과의 첫 인연이었다. 이어서<로미오와 줄리엣>, 샘 페킨파의 <겟어웨이>, <사랑의 스잔나>를 보았다” 고 회고한다. 영화관에 대한 개인사가 곧바로 영화의 시간, 영화의 역사가 되어버리는 순간이다. 같은 영상 속의 영화평론가 허문영은 “향수와 절연하라. 그리고 변해버린 세계의 지옥 속으로 뛰어들라” 는 장 르누아르 의 말을 인용하며 서울아트시네마의 이전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드러내기도 한 다. 그렇게 영화는 낙원 시절의 서울아트시네마에게 안녕을 고한다. 이때의 작별은 완벽한 끝이 아닌 또 한 번의 시작을 알리는 인사임을 알고 있다. (정지혜)

What livens a theater is people who visit the theater and each visitor’s own memories about the theater. Adieu, Paradise is a short collection of 10-year memories of the Seoul Art Cinema located in Nakwon Arcade, currently moved to Seoul Cinema this April. The film illuminates inside and outside the theater bit by bit with the voices of people who remember the Seoul Art Cinema in the days of Nakwon Arcade. Their Nakwon, meaning paradise, ranges from their hope for the theater to be ‘a place whenever people can come back’ to the fate of the theater at ‘a great turning point from filmbased film industry to the digital’. The film also takes people who the audiences wouldn’t remember into the screen. It silently shows projectionists, translators and subtitle editors who deal with films behind the screen. As the film occasionally shows clips of ‘Open Talk’ that the Seoul Art Cinema had consistently held, the theater revives. In the film, JUNG Sung-il, a film critic, looked back on his memories about the theater saying “My first connection with the Nakwon was watching The Summertime Killer in the time Hollywood Theater existed. Later I watched Romeo and Juliet, The Getaway by Sam PECKINPAH and Chelsia My Love.” This shows the moment when personal history about a theater becomes times of film and history of film. In the documentary, another film critic HUH Moon-Yung quotes a passage of Jean RENOIR, “far from taking refuge in ... nostalgia ... plunge into the hell of the new world” in order to show his positive perspective for relocation of the Seoul Art Cinema. In these ways, the film says goodbye to the Seoul Art Cinema in the days of Nakwon. This time, the goodbye means not the end but greeting for the new beginning as we all know. (JEONG Ji-hy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07


Special Showcase

특별상영작

에필로그

Korea | 2015 | 43min | DCP | Color Director 이창재 LEE Chang-jae

Special Showcase

Epilogue

World Premiere

故 이성규 감독 추모 특별상영<에필로그>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는 이성규 감독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에필로그>를 특별상영한다. <오래된 인력거>로 아시아권 최초로 암스테르담 다큐멘터리영화제(IDFA) 장편 부문에 진출해 한국 다큐멘터리를 세계 무대에 알리며 화제를 모았던 이성규 감독은 독립PD협회 초대회장, DMZ국제다큐 영화제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2013년 간암으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이성규 감독의 마지막을 <목숨>의 이창재 감독이 카메라에 담았다.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는 이성규 감독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자리로 <에필로그>의 상영과 함께 특별한 자리를 마련한다. 일시ㅣ2015년 9월 20일(일) 16:00 장소ㅣ메가박스 백석 7관

Epilogue, Special Screening in Memory of Director LEE Seong-gyou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ll hold a special screening of Epilogue, a documentary film that captures the last years of director LEE Seong-gyou. Seong-gyou, a documentary filmmaker renowned for My Barefoot Friend: The Story of Shallim and His Old Rickshaw, the first Asian documentary film nominated for the main competitive section of feature-length documentary of the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msterdam, became a pillar of support for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makers while serving as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Independent PD association and as a committee member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2013, he sadly passed away from liver cancer. Seong-gyou’s last days are captured by director LEE Chang-jae, who is known for the documentary film, The Hospice.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ll have a special time screening for Epilogue in memory of director LEE Seong-gyou.

Staff DIRECTOR l LEE Chang-jae PRODUCER l JIN Mo-young CINEMATOGRAPHER l SEONG Won-kyung EDITOR l KIM Hyung-nam, LEE Chang-jae MUSIC l KANG Sang-gu SOUND l LEE Ju-seok

이창재 LEE Chang-jae

DateㅣSeptember 20(SUN) 16:00 PlaceㅣMegabox Baeseok M7

Filmography 에필로그 Epilogue (2015) 길 위에서 On the Road (2013) 사이에서 Between (2006)

Program note

故 이성규 감독 소개 TV와 극장을넘나드는작품활동을해온이성규감독은인도인력거꾼의이야기를담은<오래된인력거>(2010) 로 아시아권 최초로 암스테르담 다큐멘터리영화제 장편 후보에 올랐다. 작품 활동 외에도 2007년 방송사 외주 제작사들을 연대해 한국독립PD협회를 만들어 초대 회장을 지냈으며, 독립PD들의 자생적 공동 체인‘창작집단 917’ 을 이끌며 다큐멘터리 제작진들의 현실 개선을 위해 앞장서왔다. DMZ국제다큐영 화제의 집행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시바, 인생을 던져>의 개봉을 준비하던 2013년 6월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그해 12월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The Late Director LEE Seong-gyou Director LEE Seong-gyou, who created documentary films not only for theatrical release but also for TV, is best known for My Barefoot Friend: The Story of Shallim and His Old Rickshaw (2010), which focuses on the life of a rickshaw man in India. My Barefoot Friend: The Story of Shallim and His Old Rickshaw became the first Asian documentary film nominated for the main competitive section of feature-length documentary of the IDFA. Besides making films, Seong-gyou founded the Korean independent PD association, serving as its first president; he became a leading member of Changjakjipdan 917, a community of independent documentary filmmakers for better conditions to make documentary filmmaking, and he contributed to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s a committee member. While preparing the theatrical release of SHIVA, Throw Your Life (2013), he was diagnosed with liver cancer and sadly passed away in December 2013.

10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에필로그>는 <시바, 인생을 던져>를 유작으로 남겨놓고 급작스레 세상을 뜬 고 이성규 감독의 마지막 나날을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오랫동안 텔레비전 다큐멘 터리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그는 <오래된 인력거> 등의 극장용 장편영화를 만들며 막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중견감독이었다. 예기치 않은 발병으로 촉박하게 죽 음을 맞이하는 그는 자신의 최후가 카메라 앞에 노출되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는 자신의 죽음조차도 기록의 재료로 내놓는다. 죽음의 과정을 전시한다는 것은 일종의 노출증과 선정적인 착취에 쓰일 위험을 수반하지만 고 이성규 감독의 태도 는 그런 것들을 넘어선 자기 존엄의 성채를 줄곧 고수한다. 부인을 비롯한 그의 주 변 사람들의 안타까운 시선을 받으면서도 이성규는 자신의 처지와 주변의 슬픔에 반응할 힘조차도 없다. 그랬던 그가 <시바, 인생을 던져>의 마지막 관객과의 대화 자리에 위독한 몸 상태를 무릅쓰고 참석해 큰 슬픔에 복받친 기색을 나타낸다. 죽 음을 앞둔 사람이 보여줄 수 있는 절망의 끝자락에서 사력을 다해 토해내는 그의 슬픔은 보는 사람이 기진할 정도지만 그는 자신이 사라지고 없더라도 자신이 추구 했던 독립영화의 가치에 대해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줄 것을 촉구한다. 소멸하는 것에 대한 본능적인 공포 앞에서도 그걸 누르며 튀어나올 수 있는 공적 가치에 대한 그의 열정은 경이적이다. <에필로그>는 소멸하는 존재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불멸 하는 가치에 매달린 어느 한 다큐멘터리 감독의 열정에 대한 기록이라 할 만하다. (김영진)

Epilogue is a documentary film that captures the last years of director LEE Seong-gyou, a documentary filmmaker who passed away unexpectedly, thus leaving SHIVA, Throw Your Life as his last piece. He was a veteran filmmaker who had spent long years making documentaries for TV and turned to documentary filmmaking for theatrical release and then just started to achieve fame. Encountering an unexpected diagnosis of cancer, he was not reluctant to have his last days captured by the camera, thus making his death material for documentary filmmaking. Displaying the process that someone is dying involves a risk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exhibitionism and exploitation for sensationalism, but LEE’s attitude maintains its dignity, thus ignoring such concerns. He even cannot afford to respond to the apprehension from his wife and friends. When he shows up at the screening of SHIVA, Throw Your Life and attends a talk with the audience with his emaciating body, the sadness seems to well up within him. The sorrow he vents is the moment of frustration for a dying person, and it feels exhausting to those who watch it, but he still encourages the audience to pay attention to his spirit of independent documentary filmmaking. His enthusiasm for the social and public good, at the fear of disappearing, is overwhelming. Epilogue is a portrait of a documentary filmmaker with a passion for an immortal value rather than a portrait for what is mortal and disappearing. (KIM You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09


Docs Family

다큐 패밀리

Slovakia/Czech Repiublic | 2014 | 75min | DCP | Color/B&W Director 블라디슬라바 플란치코바 Vladislava PLANCˇ ÍKOVÁ

Docs Family

Asian Premiere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는 영화를 사랑하는 시네필과 다큐멘터리 애호가를 만족시킬 다양한 형식과 접근의 다큐멘터리 작품과 함께, 여전히 다큐멘터리는 어렵고 지루하다는 관객들의 편견을 깰 신나고 흥미진진한 다큐멘터리를 소개한다. 다큐패밀리 섹션에 선보일 9편의 다큐멘터리는 온 가 족이 함께 나눌 수 있는 장단편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소년, 소녀들을 주인공으로 한 4편 의 단편 다큐멘터리는 다큐를 처음 접하는 청소년들도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들로, 국가를 넘 어 소년, 소년들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은 물 론 이웃, 친구들과 함께 음악과 예술, 가족과 공동체의 힘을 보여주는 다채로운 작품들을 나누면서 그 의미를 곱씹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ntroduces not just popular documentaries that satisfy documentary lovers and cinephiles but also exciting and fun documentary films that may break prejudice against documentary for its boredom. These 9 documentary films will screen in the Docs Family section consisting of feature-long and short films every family members can enjoy. Espeically 4 short documentaries of young protagonists can easily attract the youth who get first exposure to documentary. These films can help the young audiences to have their sympathy with the protagonists’ journey to find themselves beyond the nation. In addition, watching divierse documentary films together, the audiences can brood over meanings of music, art, power of family and community with neighbors and friends.

사이에 갇힌 Felvidek. Caught in Between

Staff DIRECTOR l Vladislava PLANCˇ ÍKOVÁ PRODUCER l Tomásˇ KAMINSKY‘ , Jarmila POLÁKOVÁ CINEMATOGRAPHER l Dusˇan HUSÁR EDITOR l Zuzana CSEPLO PRODUCTION COMPANY l Mandala Pictures

블라디슬라바 플란치코바 Vladislava PLANCˇ ÍKOVÁ

Filmography Felvidek. Caught in Between (2014)

Program note 영화는 전후 유럽사를 감독의 가족사를 통해 풀어가는 낯익고도 실험적인 다큐멘 터리이다. 감독은 헝가리-슬로비키아의 관계를 자신의 가족과 지인들을 통해 짚어 가면서‘Felvidek’ 이라는 용어에 주목한다. 이제는 존재하지 않는 헝가리와 슬로 바키아, 우크라니아의 경계지역을 일컫는 이 말은‘혼종’ 을 의미하는 부정적인 용 어이기도 하다. 감독은 전쟁으로 인한 영토의 뒤섞임이 가족사, 언어, 문화로 이어 져 다양한 방식으로 융합된 현재헝가리-슬로바키아 즉‘슬로바리안(Slovagarian)’ 의 모습을 담아낸다. 영화는 사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되 실제 오브제를 활용한 오 브제 애니메이션, 역사의 기록들을 담은 파운드 푸티지와 각종 사진 이미지들의 조각을 꼴라쥬해 파편화된 민족사와 기억들은 다시 한번 재각인한다. 그리고 전후 50년이 지난 재질문을 던진다.“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 , 소소한 정치적 선택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삶을 변형시켰는가? ”그리고“나는 누구인가?”영화 는 기억과 흔적, 민족과 상처에 대한 비가시적인 것들을 실사 애니메이션 기법과 다 큐멘터리 기법을‘혼용’ 해 가시화하고 징후적 사운드를 통해 감정적으로 접근한다. 전쟁을 체험한 세대가 사라지고 있는 지금, 전쟁을 기록으로 기억하는 세대들이 역사를 다시 바라볼 때가 된 것이다. 마주함과 질문을 통해서만이 역사의‘망각’ 과 ‘반복’ 을 벗어나는 길이자 다큐멘터리 영화가 해야 할 중요한 소임일 것이다. (이승민)

Showing postwar European history through director’s own family history, this documentary is familiar but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The director pays attention to the word ‘Felvidek’ while she points out her own family and relatives to portray the relationship between Hungary and Slovakia. The word indicates the border between Hungary, Slovakia and Ukraine, currently non-existent, also means ‘hybrid’, in a negative way. The director draws the potrait of ‘Slovagarian’, a fusion of Hungary and Slovakia blended in multiple ways like family history, language, and culture as the war muddled territories. Approaching in private route, the film uses objet animation, found footage and collage of torn photo pieces to imprint fragmented national history and memories. And then, it questions again 50 years after the 2nd World War. “What exactly happened?,” “How did minor political choices transform many lives?” and “Who am I?”. In order to visualize invisible memories, traces, ethnic group issues and their wounds, the film emotionally mixes animation techniques with actual images and documentary techniques along with symptomatic sounds. As the war generation is fading away, it is time for the next generation who remember the war by records to look back history again. Only with facing and questioning, we can escape from ‘oblivion’ and ‘repetition’ of the history and I believe that is what documentary films do with importance. (LEE Seung-m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1


Docs Family

Docs Family

수닐을 찾습니다

USA | 2015 | 74min | DCP | Color Director 닐 브로프만 Neal BROFFMAN

Help Us Find Sunil Tripathi

Asian Premiere

랜드필 하모니

USA/Paraguay | 2015 | 84min | DCP | Color Director 브래드 올굿, 그래햄 타운슬리 Brad ALLGOOD, Graham TOWNSLEY

Landfill Harmonic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Neal BROFFMAN PRODUCER l Heather O’NEILL PRODUCTION COMPANY l One Production Place, LLC

닐 브로프만 Neal BROFFMAN

Filmography

Program note 사라진 수니얼 트라파티를 찾는 과정을 담은 영화. 영화는 처음 사라진 인물에 대 한 주변인의 따뜻한 기억에부터 시작한다. 어린 시절 수니얼의 사진들, 그에 대한 가족들의 기억, 그가 좋아하던 물건들, 그리고 그를 찾기 위한 가족 친지들의 발랄 한 과정들을 담는다. 여기까지 영화는 수니얼이 누구인지, 그를 찾는 가족들의 행 보들을 기록하는 듯하지만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스마트폰의 녹음 음성으로 인해 수니얼의 실종이 단순히 한 인물의 실종에 관한 이야기가 아님을 짐작하게 한다. 사라진 수니얼을 찾기 위해 언론을 활용하던 가족들은, 어느 순간 언론으로 인해 마녀 사냥을 당하기 시작한다. 수니얼의 사진과 마라톤 폭발 사건 용의자를 유사 하다고 판단한 누군가의 SNS를 시발로 수니얼을 마라톤 행사 폭파범으로 몰아가 기 시작한 것이다. 익명의 불확실한 유추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진실여부 를 넘어서 확신으로 통용되어버리는 순식간의 상황을 마주하면 이 세상의 부조리 를 다시 한번 씁쓸하게 되뇌게 된다. 결국 영화는 피해자만 남고 가해자는 보이지 않는 이 얼굴없는 소설미디어의 문제를 한 가족의 경험을 통해 담아내고 있다. 미 국 사회의 초상 나아가 현대 사회의 초상을 예리하고도 섬세하게 포착하는 닐 브 로프만 감독은 가족의 사랑, 미국에서 이민자 위치, 미디어의 역할과 현상, 소셜네 트워크의 얼굴없는 악플, 대학생자살의 문제까지 하나의 사건 속에서 다층적으로 담아내는 힘있는 작품이다. (이승민)

11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ot Spots: Martin Parr in the American South (2012) The Chattahoochee: Re-imagine Our River (2012) Line of Sight (2011) Voices of Freedom (2009) Freedom of Breath, Fountain of Life (2005) More Than Words Can Say (2005)

This film is about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vanished Sunil TRIPATHI. At first, it shows relatives’ precious memories about the vanished one with photos of Sunil in his childhood, family members’ memories about him, his favorite objects and animated searching process by his families and relatives. Until this point, the film seems to demonstrate who is Sunil and to record his relatives’ moves during the search, but repetitive voice recorded on smartphone makes audiences assume that Sunil’s missing is not just a simple missing of one person. While using the media to search for Sunil, family members suddenly become a target of witch-hunting by the press when someone finds resemblance between Sunil and a suspect in the bombing of the marathon and spots him as a bomber on SNS. When we face this instant moment when anonymous inference with uncertainty turns into certain fact on facebook or twitter regardless of veracity, we get to meditate upon irrationality of this world one more time. Through this family’s issue, the film portrays the problem of faceless social media where perpetrators are invisible and only victims are left. Neal BROFFMAN, the director who is delicate and sharp in portraying American society and, by extension, the modern world, layers up family love, status of immigrants in the US, media’s role and the actual state, faceless hateful comments on social media and college student’s suicide issue in this one powerful film. (LEE Seung-Min)

DIRECTOR l Brad ALLGOOD, Graham TOWNSLEY PRODUCER l Juliana Penaranda-LOFTUS CINEMATOGRAPHER l Neil BARRETT, Timothy FABRIZIO, Brad ALLGOOD EDITOR l Brad ALLGOOD SOUND l Josue J FARINA

브래드 올굿

그래햄 타운슬리

Brad ALLGOOD

Graham TOWNSLEY

Filmography

Filmography

Landfill Harmonic (2015) Songs from Bosawas (2014) Wheeler (2009)

Landfill Harmonic (2015) Fields of Demeter (2008) Dawn of the Maya (2003)

Program note 라틴아메리카 파라과이의 빈민촌 마을 카테우라는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에 위치 해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쓰레기를 주워 살아간다. 고물을 팔 아 생계를 이어가던 마을 사람 중 하나인 니콜라스 고메즈는 어느날 버려진 깡통 과 플라스틱 등을 이용해 악기를 만들고, 뮤지션 파비오 차베스는 아이들에게 이 재활용 악기로 연주하는 법을 가르친다. 빈곤을 탈출할 길이 묘연했던 마을 아이 들은 그렇게 오케스트라를 꾸리고, 꿈과 희망을 찾아가기 시작한다.‘쓰레기 더미 속에서 만난 아름다운 음악 ’ ‘ , 쓰레기로 만들어낸 감동의 선율’등 이들의 연주가 유튜브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면서 아이들은 해외 공연을 떠나고, 영화 는 아이들의 하루하루를 카메라에 담는다. 마을을 집어삼킬 듯한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의 풍경은 보는 사람을 압도한다. 그곳에서 만들어진 재활용 악기와 그것을 연주하는 아이들, 무엇보다 그 악기들이 빚어내는 선율은 기적에 가깝다. <랜드필 하모니>는 마을에 닥친 시련과 변화, 희망 등을 통해 생태와 환경, 아이들의 성장, 지역공동체(커뮤니티) 등 다양한 결을 담아낸다. (박혜미)

Cateura, a small slum village in Paraguay, South America, is located in a huge landfill. The people make living out of picking up the garbage. Nicholas GÓMEZ, one of those who make living by selling junks, makes musical instruments with cans and plastics found in the garbage. Fabio CHÁVEZ, the musician teaches children how to play the recycled instruments. The children whose lives seemed to be stuck in the poverty, organize an orchestra and start to find dream and happiness. As their music gather world-wide attention through Youtube with the phrases like, ‘Beautiful music in the garbage in the rubbish heap’ and ‘Inspiring melody made from garbage’, they get to perform abroad and this film captures their days. The landscape of the huge landfill that dominates the village scene overwhelms the viewer. The recycled instruments made from the landfill, the children playing them and most of all, their music are magical. Landfill Harmony captures various layers of the village such as ecology, environment, the growth of the children and local community through the hardship, change and hope the village goes through. (PARK Hye-mi)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3


Docs Family

Docs Family

이바라키의 여름

Korea | 2015 | 96min | DCP | Color Director 전성호 JEON Sung-ho

The Summer In Ibaraki

T-REX

USA | 2015 | 89min | DCP | Color Director 드레아 쿠퍼, 재커리 카네파리 Drea COOPER, Zackary CANEPARI

T-REX

Asi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PRODUCER/EDITOR l JEON Sung-ho CINEMATOGRAPHER l KIM Wook-jin MUSIC l SONG Joon-suk SOUND l Lidee PRODUCTION COMPANY l Busan MBC

DIRECTOR/CINEMATOGRAPHER l Drea COOPER, Zackary CANEPARI PRODUCER l Sue Jaye JOHNSON, Bianca DARVILLE, Drea COOPER, Zackary CANEPARI, Gary KOUT EDITOR l Jean KAWAHARA, Drea COOPER PRODUCTION COMPANY l ZCDC

전성호

드레아 쿠퍼

JEON Sung-ho

Drea Cooper

Filmography 이바라키의 여름 Summer In Ibaraki (2015)

재커리 카네파리 Zackary Canepari

Filmography

Filmography

T-Rex (2015) Superman (2012) Reborn: New Orleans Schools (2008)

T-Rex (2015) Superman (2012) Uppercut (2011)

Program note 무서운 더위 속에서 그 더위보다 더 매서운 눈빛의 아이들이 땀을 흘리며 무언가 에 열중하고 있다. 북과 징소리, 장구소리와 함께 상모를 돌려가며 한국의 전통예 술인 농악을 연습하고 있는 그들. 그리고 이 광경이 한국이 아닌 일본이라는 점에 서 익숙한 듯한 낯설음을 주며 영화는 시작된다. <이바라키의 여름>은 오사카 건국 고등학교의 전통예술부 학생 9명이 한국의 전통예술을 가지고 일본 고등학교 종 합예술발표대회에 오사카대표로 참가하는 도전기다. 한국이 아닌 일본에서 일본 각 지역의 일본전통예술을 겨루는 대회에 오사카 대표로 참가하는 그들이 가지고 나가는 것은 한국의 전통놀이인‘ 지신밟기’ . 땅의 신을 불러 액운을 제거하고 복을 불러들이는 과정을 창과 탈춤 농악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녹아내어 공연을 준비한 다. 아이들의 연습은 스스로에게 가혹할 정도로 혹독하다. 하지만 아이들은 알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그들이 한국 이름을 가지고 한국의 전통예술을 배 우고 한국인 학교를 다니며 일본에서 살아가는 의미를… 잘해내고 싶은 마음. 누 구도 대신 해줄 수 없기에 해야만 하는 것들. 그 모든 것에 굴하지 않고 어떤 것에 마음을 담아 결과가 아닌 과정에 열정적일 수 있었던 그 여름의 이바라키. 일본에 서 한국인으로 살고 있는 그들이 한국전통예술공연으로 스스로 자부심을 찾아가 는 과정에 함께 울고 웃을 수 있기를…. (정진아)

11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Unaffected by the blazing summer heat, there are high school students with utmost concentration practicing their performance.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Drum, Jing, Janggu while twirling the Sangmo, they are practicing Nongak, a traditional Korean farmer’s music. The story takes place in Japan, an unfamiliar place to compete Korean traditional arts. The documentary The Summer In Ibaraki is about 9 students from Osaka Traditional Arts class entering The Japan’s Fine Arts Competition with Korean traditional art. As the representatives of Osaka they enter the competition with Jisinbalgi, a Korean traditional game. Other contenders compete with Japanese traditional arts from each Japanese region. They prepare a Korean performance calling the earth spirit to remove bad luck and bring in the good. The practice they go through is tough. But they know there is a distinctive meaning of living in Japan with a Korean name, attending a Korean school and learning the Korean way when they were never even born in Korea. They have the yearning to find out something about themselves, something no one can do instead. As Koreans living in Japan, they are searching for themselves through Korean traditional arts. The Summer In Ibaraki shows the process of finding out who you really are.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 process itself can be more important than the actual result. (JEONG Jin-a)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여자 복싱이 신설되었다. T-REX (티라노사우르스)라는 별 명을 가진 17세 소녀, 테레사 쉴드는 올림픽 금메달에 도전한다. 어리지만 매서운 권투실력으로 무패기록을 쌓아온 테레사는 높은 실직률과 살인률로 알려진 디트 로이트의 한 슬럼가인 플린트 출신이다. 새 아빠와 함께 사는 엄마의 딸로서, 그리 고 그녀의 어린 시절 대부분을 감옥에서 보내고 출소한 아빠의 딸로서 억압되었을 복잡한 감정을 그녀는 아마 복싱을 통해 풀 수 있었을 것이다. 영화의 오프닝에 나 오는 그녀의 훈련모습을 감각적으로 찍은 쇼트들은 영화 내내 지속적으로 나오는 데, 이는 복싱이 얼마만큼 그녀의 삶에 필요한지 느껴지게끔 한다. 마치 영화 <밀 리언 달러 베이비>의 이야기처럼, 그녀는 여자복싱에 동의하지 않던 코치의 마음 을 열정과 재능으로 돌려놓고, 결국 첫 번째 여자 올림픽 복싱금메달을 차지하게 된다. 그녀의 이 놀라운 이야기는, 그녀가 올림픽 출전을 준비하는 시기부터 올림 픽 금메달을 따고 난 직후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영상과 그녀의 주변 인물들의 인 터뷰를 통해 전달된다.‘꿈이 이루어졌다, 더 이상 무슨 꿈을 꾸어야 할지 모르겠 다’ 라고 말하는 테레사의 말처럼 우리도 그녀의 미래에 질문을 던지게 된다. (박준호)

In the 2012 London Olympics, women’s boxing is included for the first time in Olympic history. A 17 year old girl Claressa “T-Rex” Shields competes for the Olympic gold medal. Although young, she has a perfect winning record. Claressa is from Flint, Michigan where unemployment and homicide rates are high. Her mother living with a troublesome step-father while her biological father is incarcerated for majority of her life, Claressa turns to boxing to relieve her complex emotions. The clips of her training sessions are shown throughout the entire film, and they depict how boxing plays a crucial role in her life. Just like the story of Million Dollar Baby, she persuades her coach who did not approve of women’s boxing with her passion and talent. This film consists of footage of Claressa preparing for and competing in the Olympics along with interviews of her closest friends and family. In the film, Clarassa says that she realized her dream and she no longer knows what other dream to pursue. We all find ourselves asking what her future holds. (PARK Jun-h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5


Docs Family

Docs Family

브라질월드컵 보고서

Netherlands | 2014 | 17min | DCP | Color

Netherlands | 2014 | 17min | DCP | Color

Director 엘스 반 드리엘 Els Van DRIEL

Director 아스트리드 부싱크 Astrid BUSSINK

Gabriel Reports the World Cup

Korean Premiere

지오반니, 수중발레에 도전하다 Giovanni and the Water Ballet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Els Van DRIEL PRODUCER l Anouk DONKER CINEMATOGRAPHER l Stefano BERTACCHINI EDITOR l Francesco INDACO PRODUCTION COMPANY l IKON

엘스 반 드리엘 Els Van DRIEL

Filmography De leeuw en de dappere muis (2014) Gabriel verslaat het WK (2014) Hoe ky Niels werd (2014) Imraan wordt bevrijd (2013) Feifei; wie niet weg is, is gezien (2013)

Program note 월드컵이나 올림픽 같은 국제 경기를 유치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얘기다. 축구를 좋아하던 열네 살 가브리엘 역시 월드컵이 자 신의 나라인 브라질에서 열린다는 사실에 기뻐했다. 하지만 곧 알게 된다. 가난한 이들에게 월드컵은‘우리의 축제’ 가 아니라는 걸. 가브리엘은 자신의 카메라와 블로그를 통해 FIFA가 선전하는 월드컵이 아닌 ‘진짜’ 브라질 월드컵을 드러낸다. 그 모습은 서울올림픽을 위해 집들을 허물고, 2002년 월드컵을 위해서라며 노점상을 단속했던 한국의 모습과 닮아있다. 가브리엘의 마 을은 관광객을 위한 철길을 만드느라 집이 부서졌고, 가족과 이웃은 흩어져 버렸 다. 새로 지은 커다란 축구 경기장은 아이들이 축구 경기를 하던 공간을 빼앗았고, 월드컵 경기의 티켓은 그들이 사기에는 너무 비싸다. <브라질월드컵 보고서>의 매력은 이런 환경 속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어가 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무언가를 대신해 줄 어른을 기다리는 대신,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한다. 동네에서 골목 영화관을 만든 가브리엘은 아이 들을 위해 팝콘과 레모네이드를 곁들이는 걸 잊지 않는다. 아이들의 시선에서 뭔 가 배워야 하는 건 어른들인지도 모르겠다. (지민)

11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at hosting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or Olympics contributes to national interest is familiar rhetoric to most people. Fourteenyear-old soccer fan Gabriel is overjoyed that his country Brazil will be hosting the World Cup games. But he soon learns that the World Cup is not a party for all. Using his camera and blog, Gabriel exposes the real Brazil World Cup, not the glamorous event publicized by FIFA. And his reports resemble the scenes that took place in South Korea, where homes were demolished to build stadiums and roads for the Seoul Olympics and street vendors were outlawed in preparation for the 2002 World Cup. Gabriel’s village was razed to make way for a railroad to transport tourists, and his family and neighbors were ripped apart. The huge new soccer stadium took up the spaces where kids used to hold their own soccer games, and tickets to the World Cup games were much too expensive for them. The beauty of Gabriel’s reportage lies in the children who start up a movement to address their depressing circumstances. Instead of waiting for grownups to do something on their behalf, the children take action to do what they believe is the right thing. Gabriel sets up a makeshift theater in an alley in his neighborhood, and does not forget to set out popcorn and lemonade for his young audience. Sometimes there is so much that adults can and should learn from the way children see the world. (Ji Min)

DIRECTOR l Astrid BUSSINK PRODUCER l Renko DOUZE, Hasse Van NUNEN CINEMATOGRAPHER l Diderik EVERS, Drik-Jan KERKKAMP, Sal KROONENBERG EDITOR l Femke Klein OBBINK SOUND l Tim van PEPPEN, Bouk BOUWMEESTER PRODUCTION COMPANY l Een van de jongens

아스트리드 부싱크 Astrid BUSSINK

Filmography Giovanni and the Water Ballet (2014) Wool Fever (2013) Poem of Death (2012) My Enschede (2010) The Lost Colony (2008) The Angelmakers (2005)

지오반니의 꿈은 네덜란드 수중발레 선수권에 출전하는 최초의 남자 아이가 되는 것이다. 40년간 소망해 온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4주 후에 있을 시험을 통과해 야 한다. 지오반니의 꿈을 향한 여정이 쉽지는 않다. 지오반니는 수중발레의 재능을 타고난 천재와는 거리가 멀다. 다리 찢기, 동작 외우기, 물 속에서 위치잡기… 연습할 것들 은 많고 그를 향한 코치의 매서운 지적은 끊이질 않는다. 친구들은 수중 발레가 여 자들의 운동이라며 지오반니를 놀린다. 수중발레 선수권에는 남자 종목이 아예 없 어서 챔피언이 되는 걸 목표로 삼을 수도 없다. 그럼에도 지오반니는 굴하지 않는 다. 수중 발레를 하는 것이 정말 즐겁기 때문이다. 이 다큐멘터리의 또 다른 매력은 유머러스하고 사랑스러운 연인인 지오반니와 킴의 모습을 보는 것이다. 킴은 지오반니에게‘누가 뭐라든 네가 하고 싶은 걸 하라’ 는멋 진 조언과 함께‘우리의 관계가 영원할지’ 를 묻기도 하는 귀여운 소녀다.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지오반니와 킴을 떠올리는 것만으로 미소가 지어질 것이다. (지민)

Program note Giovanni’s dream is to become the first boy to compete in the Dutch synchronized swimming championship. To realize this dream for which he has been working for four years, he has to pass the final test that will take place in four weeks. Giovanni’s journey in pursuit of his dream is not an easy one. He hardly has the talent to become a synchronized swimming athlete. He struggles during practice with leg splits, memorizing moves and holding his position underwater, all the while getting barked at by his critical coach. His friends make fun of his passion for a girl’s sport. He cannot even aim to become a champion as the synchronized swimming championship does not even let male athletes compete. But that does not set Giovanni back. Simply because he loves water ballet. Another attraction in this documentary is the humorous and adorable relationship between Giovanni and girlfriend Kim. Kim is a lovable girl who is wise enough to tell Giovanni to do what he wants no matter what people say and innocent enough to ask him if their love will last forever. Even after you walk out of the theater, just thinking of Giovanni and Kim will put a smile on your face. (Ji M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7


Docs Family

Docs Family

상실에 대한 영화

Netherlands | 2014 | 16min | DCP | Color Director 아리안 하인즈 Arianne HINZ

Losers - a film about loss

Asian Premiere

안녕, 마후

USA | 2014 | 25min | DCP | Color Director 딘 해머, 조 윌슨 Dean HAMER and Joe WILSON

A Place in the Middle

Korean Premiere

Staff DIRECTOR l Arianne HINZ PRODUCER l Maarten KUIT, Jeroen Van De IDSERT EDITOR l Erik DISSELHOFF SOUND l Alex BOOY, Robil RAHANTOEKNAM & Tim Van PEPPEN PRODUCTION COMPANY l KRO & Hazazah Pictures

아리안 하인즈 Arianne HINZ

Filmography

Program note 아이가 아끼는 인형을 잃어버렸을 때 부모들이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아마도 똑 같이 생긴 새 인형을 사주는 것일 거다. 하지만 그것은‘그 인형’ 이 아니다. 마틸다 가 상처를 극복하는 방법은 새 인형으로 그 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형 럭 키와 함께 놀던 놀이를 함으로서 그 시간을 추억하는 것이다. 종종 사람들은 자신의 기준에 따라 타인의 감정을 재단한다. 하지만 어른들에게 별 것 아닌 것으로 보이는 일도 어떤 아이에게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강렬한 감 정일 수 있다. 영화 속 소품창고의 다양한 물건들처럼 상실감의 모양은 모두 제각 각이고, 그 마음을 돌보는 법도 모두 다르다. 마틸다, 에일런, 이사벨 각자의 방식 으로 상실감을 느끼고, 그 경험을 담담하게 들려준다. 때때로 어른들은 아이의 상 실감을 대신 겪어주고 싶어하거나 성급하게 다른 감정으로 슬픔을 덮으려고 하기 도 한다. 어쩌면 아이의 시선에 맞추어 그 시간을 잘 기다려주는 것이 아이를 위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일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잃어버린 어떤 것들에 대해 아이들 과 이야기해 볼 수 있는 좋은 시작이 되어줄 것이다. (지민)

11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Bikkels: Janet (2015) Losers (2014) A Place for You in My Heart (2013) I’m not Brave (2012) The Girl who couldn’t Decide (2012) Melanie and Tania at the Gay Games in Cologne (2010)

When a child loses her favorite stuffed toy, most parents would probably solve the problem by buying their child a new toy that looks exactly like the lost one. But to the child, the new toy just is not “the one.” Mathilde’s way of overcoming the pain of losing her stuffed toy Lucky is not replacing it with a new toy but playing the games she used to play with Lucky to cherish the memories she created with Lucky. People often make assumptions about someone else’s feelings based on their own standards. But what may feel trivial to adults can rock a child’s world because she is feeling it for the first time ever in her whole life. Like the knick-knacks that crowd the film like props in a storeroom, the sense of loss takes on different shapes for different people, and the ways they sooth their broken hearts are also different. Mathilde, Elian and Isabel each feel their sense of loss in their own way, and talk composedly to the director about their experience. Sometimes adults try to absorb the sense of loss their children feel on their behalf, or hurriedly cover up their children’s grief with some other emotion. But perhaps the only thing you can do for your child is to view the loss through her eyes and wait for her to finish grieving. The film offers an excellent point of departure if you want to talk to your children about things they have lost. (Ji Min)

Staff DIRECTOR l Dean HAMER, Joe WILSON PRODUCER l Dean HAMER, Joe WILSON EDITOR l Nels BANGERTER PRODUCTION COMPANY l Qwaves

딘 해머

조 윌슨

Dean HAMER

Joe WILSON

Filmography

Filmography

Out in the Silence (2010) Boy in a Dress (2011) Thorn in Your Side (2008) We Belong (2006) The Preacher and the Poet (2006) Otros Amores (2006)

Out in the Silence (2010) Boy in a Dress (2011) Thorn in Your Side (2008) We Belong (2006) The Preacher and the Poet (2006) Otros Amores (2006)

하와이에는 남자도 여자도 아닌(‘A Place in the Middle’) 제3의 성이 존재한다. 하와이의 전통과 문화는 ‘마후(Mahu) ’ 라고 불리우는 이들을 배척하거나 혐오하지 않는다. 스스로를 남자도, 여자도 아니라고, 나는 그냥 나일 뿐이라고 말하는 당당 한 11살 소녀 오아니니는 소년만이 할 수 있는 훌라 공연의 리더에 도전한다. 영화 는 젠더의 다양성을 포괄하는 하와이의 전통 문화와 알로하 정신도 함께 이야기한 다. 하와이의 인사말이기도 한‘ 알로하 ’ 는 사랑과 존중, 통합을 의미한다.‘알로하’ 정신은 이런 제3의 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하와이의 전통문화와도 연결되는 셈 이다. <안녕, 마후>는 남자도, 여자도 아닌 자신을 받아들이고, 나는 나일 뿐이라고 말하는 당당한 주인공과 그녀의 학교 생활을 통해서 다양한 가치들을 이야기한다. 여성혐오, 성소수자 차별이 일상적으로 만연하고‘극혐’ 이라는 표현이 유행어가 되어버린 우리 사회에서 이토록 씩씩한 캐릭터를 만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박혜미)

Program note

In Hawaii, the third gender, or the gender in ‘A Place in the Middle’ is accepted. Those who are called ‘Mahu’ are not ostracized or detested in Hawaiian tradition. Saying she is neither a man or a woman but just ‘I’, the 11-year-old girl, Ho’onani tries to be the leader of hula performance, which is exclusively for boys. The film shows Hawaiian traditional culture embracing gender diversity as well as Aloha spirit. ‘Aloha’, the Hawaiian greeting word literally means love, respect and unity. Aloha spirit is associated with Hawaiian tradition that acknowledges and embraces the third gender. A Place in the Middle deals with many different values through the daring character who accepts her third-gendered self as it is and her school life. It is pleasing to see this confident character especially when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pervaded with Misogyny and discrimination against sexual minority where the expression ‘extreme hatred’ has become the buzzwords. (PARK Hye-mi)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19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분단 70년 특별전

Australia | 2013 | 96min | DCP | Color Director 안나 브로이나우스키 Anna BROINOWSKI

안나, 평양에서 주체영화를 배우다! Aim High in Creation!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분단의 영향아래 70년이 흘렀어도 변함없는 분단의 영향아래 DMZ는 일촉즉발 중무장, 시한의 평화다. 다큐멘터리 가 지금도 DMZ와 DMZ너머, 시한을 해제할 평화를 주시하며 렌즈의 타이밍을 조준하고 있는 이유 다. 분단이 야기한 다각적 서사와 맥락을 조망하는 작품 11편을 특별전으로 만난다 분단의 기원이라 할 만한 일본 군국주의의 실체 혹은 양민의 심리로부터 속국의 피해의식, 전쟁과 이산의 트라우마, 분 단과 레드 콤플렉스로 흘러온 남반도의 집단병리-우리 안의 DMZ를 관찰할 수 있다. 편견 없는 혹은 독특한 발상으로 북한을 만나기도 하고 분단 지형의 주요한 혹은 새로운 화자들-대학생, 새터민, 이산 자들이 통일을 말하기도 한다. 문화와 예술을 경유해 분단의 미래를 경계없이 상상해봐도 좋다. 파 편화·내면화·미시화한 분단을 일상으로 사는 <지금>, 개인과 역사, 삶과 서사는 어떤 지형도를 그리 고 있나.

Under the Influence of Division Although 70 years have passed, the DMZ is still in explosive situation, heavily armed and in the peace of time limit under the effect of division. This is why documentary focuses its lens on peace that may lift the time limit beyond the DMZ. 10 films surveying multilateral narratives and contexts caused by division will have special screenings. From them, we can observe the true nature of Japanese militarism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division and collective pathology of South Korea going through from the psychology of the people, victim mentality of a vassal state, trauma of war and separation to division and red complex. Some films see North Korea without prejudice or with creativity and some films speak about unification in a new voice from divisional topography. It is encouraged to imagine the future of division through culture and art with no boundaries at all. Living in the fragmented, internalized and microscopized days of division, what topography do individuals, histories, lives and narratives draw upon <NOW>?

Staff DIRECTOR/WRITER l Anna BROINOWSKI PRODUCER l Lizzette ATKINS CINEMATOGRAPHER l Nicola DALEY, Geoffrey SIMPSON EDITOR l Cindy CLARKSON, Karryn De CINQUE SOUND l Craig CARTER, Andrew NEIL MUSIC l Dale CORNELIUS

안나 브로이나우스키 Anna BROINOWSKI

Filmography Aim High in Creation (2013) Fish & Chips (2012) Forbidden Lie$ (2007) Romancing the Chakra (1998) Sexing the Label (1996) Hell Bento: Uncovering the Japanese Underground (1995)

고향인 시드니 근방의 가스 개발을 반대하기 위해 감독인 안나 브로이나우스키가 선택한 것은‘북한식 사회주의 선전영화 ’ . 그것도 위대한 지도자 김정일의 명저(?) ‘영화와 연출’ 을 바탕으로 호주식‘ 주체영화’를 준비한다. 북한영화기법으로 호 주영화를 만든다는 말에 반신반의 하던 평양의 영화인들은 자본가의 횡포에 맞서 싸우는 영웅적인 여성노동자 이야기라는 감독의 말에 감동을 받고 세계 최초로 서 방여성 감독에게 김정일의 영화제작기법을 전수한다.‘사운드 뮤직’ 보다는 발리우 드영화에 가까운 오프닝으로 시작되는 호주판‘ 혁명적 영웅 멜로 드라마’ 는 시드 니 인민들의 승리로 끝나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서구사회의 프리즘으로 북한을 보여주는 여러 영화와는 다르게 북한영화라는 소재를 선택한 감독의 안목 이 돋보인다. (서민원)

Program note Determined to stop a gas mine development project that is threatening her home in Sidney, filmmaker Anna BROINSOWSKI chooses as her form of resistance a North-Korean style socialist propaganda film. She actually visits North Korea in order to learn how to make films according to the “Great Leader” KIM Jung-il’s famed manifesto “Cinema and Directing,” so that she can make an Australian version of a Juche film. The North Korean filmmakers Anna meets are at first skeptical of her intention to make an Australian movie using North Korean cinematic techniques, but they are eventually moved by her pitch that her film will tell the story of heroic women workers struggling against the tyranny of capitalists. So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y teach KIM Jong-il’s filmmaking techniques to a woman filmmaker from the West. The outcome is a revolutionary heroic melodrama that opens with a scene that is reminiscent of Bollywood rather than The Sound of Music and ends on a didactic note, with victory going to the proletariat of Sidney. The director’s perspective sets her work apart from other films that portray North Korea through a Western prism in that she chose North Korean cinema as her subject matter. (SEO Min-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1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하나, 둘, 셋

Austria | 2009 | 98min | DCP | Color Director 브리기트 바이히 Brigitte WEICH

Hana, Dul, Sed

정조문의 항아리

Korea | 2015 | 99min | DCP | Color Director 황철민 WHANG Cheol-mean

Jung Jo-mun’s Pot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PRODUCER l Brigitte WEICH CINEMATOGRAPHER l Judith BENEDIKT EDITOR l Michaela MÜLLER

브리기트 바이히 Brigitte WEICH

Filmography Hana, dul, sed (2009)

DIRECTOR/EDITOR l WHANG Cheol-mean PRODUCER l CHOI Sun-il CINEMATOGRAPHER l YUN Seong-won MUSIC l Huks music PRODUCTION COMPANY l Cinegut

황철민 WHANG Cheol-mean

Filmography 죽지않아 Oldmen Never Die (2013) 나팔꽃 Morning Glory (2012)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 Moscow (2009) 프락치 Spyying Cam (2004) 퍽햄릿 Fuck hamlet (1997)

Program note 2015년에 8월에 열렸던, 동아시아축구연맹 축구선수권대회에서 북한 여자 축구 대표팀은 한국 여자 대표팀을 상대로 우승을 거머지며 이 분야의 최강자임을 확인 시켰다. 그러나 2000년까지 축구는 북한에서도 여성에게 그 문이 닫혀 있었던 종 목이었다. 브리기테 바이히 감독의 <하나, 둘, 셋>은 최초의 북한 여성 축구 대표 팀의 일원이었던, 리정희, 라미애, 진별희와 리향옥 네 명의 전 북한 여자 축구 대 표팀 선수들의 축구인으로서의 삶과 은퇴 후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1966년 런던 월드컵에서 8강에 올랐던 북한 축구 팀의 활약과 현재를 담은 다니엘 고든의 2002년 작품 <천리마 축구단>을 떠올리 게 한다. 그러나, 고든의 영화가 60년대 세계인을 놀라게 했던, 북한 축구 대표팀 의 투지에 큰 방점을 두고 있다면, 바이히의 카메라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예선 전 탈락이후 축구 선수로서의 경력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직업, 결혼 등의 새로 운 환경에서, 그녀들에게 새롭게 부여된 사회주의적 임무에 대해 고민하는 그녀들 의 모습에 오랫동안 그 시선을 멈춘다. (조명진)

12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In August 2015, North Korea’s women’s national football team defeated the South Korean team, winning the 2015 EAFF Women’s East Asian Cup. However, until 2,000, football was a sport that was not allowed to women. Brigitte Weich’s Hana, Dul, Sed narrates the stories of four former North Korean women’s national football players RI Jong-hi, RA Mi-ae, JIN Pyol hi, and RI Hyang-ok. The film tells about their lives as football players and what came after their retirement. It is natural that Hana, Dul, Sed reminds of Daniel GORDON’s The Game of Their Lives(2002), which was about the past glory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North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 that made to the quarterfinal of the 1966 London World Cup. However, while the emphasis in GORDON’s film lies in the fighting spirit of the football team that surprised the world in the 1960s, the camera of WEICH puts more weight and invest time on women who have completed their career as football players after they failed to qualify the 2004 Athens Olympics Games and start to think about their new socialistic assignment within the environment of new jobs and marriage. (CHO Myoung-jin)

우연히 교토의 골동품 점에서 만난 조선시대 항아리는 파친코로 성공한 재일조선 인사업가 정조문의 삶을 일본속 조선문화재를 되찾는 일에 바치게 한다. 생전 남 북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했고 마지막까지 두 조국의 땅을 밟지 않은 정조문. 그 의 일생의 꿈이 담긴 1700여점의 문화재는 쿄토에 있는 고려박물관으로 다시 태 어났고 통일된 조국에 돌려보내라는 유언과 함께 그곳에 있다. 해방, 분단, 이념의 시기. 조국만큼 혼란스러웠던 일본의 자이니치 사회에서 조국의 흔적들 찾으려던 한 조선인의 이야기를 가족과 지인들은 말 한마디의 실린 미묘한 감정까지 기억해 전하고 있다. 그리고 감독은 그 기억들을 투박하고 담백하게 담아냈다. (서민원)

The destiny of JUNG Jo-mun, a successful Zainichi(Korean-Japanese) pachinko operator, was changed forever when a porcelain pot dating back to the Joseon dynasty caught his eye as he was passing by an antique shop. The pot started a life-long dedication to recovering cultural heritage pieces from the Joseon era existing in Japan. Until his death, Jung was not welcomed to either North or South Korea, and he refused to return to either side of his divided motherland. The 1,700 cultural heritage pieces embodying his life-long dream were reborn as the collection of Koryo Art Museum in Tokyo, and remains there awaiting the execution of his will, which is to return the collection to a reunited Korea. Jung witnessed the liberation, division and ideological conflict of his motherland during his lifetime. The Zainichi society in Japan reflected those troubled times, and Jung lived through those times discovering and cherishing the traces of Joseon remaining in Japan. Through the film, his family and friends recall and relive even the subtlest nuances of his words, and their memories of him are captured by the director in an unsophisticated but composed way. (SEO Min-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3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평양연서

Germany | 2015 | 95min | DCP | Color/B&W Director 조성형 CHO Sung-hyung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Asian Premiere

카미카제 특공대원의 증언

France | 2014 | 75min | DCP | Color Director 마사 사와다 Masa SAWADA

I, Kamikaze

Asian Premiere

Staff DIRECTOR l CHO Sung-hyung PRODUCER l Andreas BANZ EDITOR l Fabian OBERHEHM CINEMATOGRAPHER l Thomas SCHNEIDER SOUND l Uwe BOSSENZ, Bernd Von BASSEWITZ PRODUCTION COMPANY l Kundschafter Filmrproduktion

조성형 CHO Sung-hyung

Filmography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2015) 16 x Deutschland (2013)) 11 Freundinnen (2013) Endstation der Sehnsüchte (2009) Full Metal Village (2006)

Staff DIRECTOR/PRODUCER l Masa SAWADA EDITOR l Junko WATANABE, Hiroto OGI, Alexandre HECKER CINEMATOGRAPHER l Josée DESHAIES SOUND l Rin TAKADA PRODUCTION COMPANY l Comme des Cinémas

마사 사와다 Masa SAWADA

Filmography I, Kamikaze (2014) After the rain (2001)

Program note 한국 전쟁 시기, 북한은 젊은 학생들을 그들의 우방 중의 하나였던, 동독으로 파견 했다. 전후 북한을 다시 재건하기 위해 필요한 인재들의 양성이 그 목적이었다. 그 러나, 낯선 언어의 타국의 땅에서, 이 청년들의 삶은 운명적인 만남들을 통해 예기 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역사적 대격변기도 그들을 짓누르던 막중한 사명감도 이들과 이 색다른 이방인들을 호기심어린 눈으로 바라보았던 독일 여학생들과의 사랑을 막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1960년대 초반, 북한으로 소환되었고, 다시는 그녀들 곁으로 돌아 올 수 없었다. 이 영화는 벌써 50년이 훌쩍 지나버린, 오늘에도 옛사랑과의 재회를 꿈꾸는 사람들과 그들이 독일 땅에 남긴 그들의 자녀 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조명진)

12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During the Korean War, North Korea sent young students to East Germany, one of the friendly countries to North Korea. The purpose of sending the students was the training of talented people who would rebuild the country after the war. However, the lives of those sent to East Germany led to completely unexpected directions through encounters led by the destiny in the land where one had to speak an unfamiliar languag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time nor the heavy pressure from the government could not stop them from falling in love with female German students who looked at them with curious eyes. Then, they were summoned to North Korean in the early 1960s, losing the chance to meet their beloved women. The movie pays attention to people who still dream of meeting their old lovers and their children in Germany. (CHO Myoung-jin)

<카미카제 특공대원의 증언>을 보고 있으면 이상하게도 미야자키 하야오의 논쟁 적 작품 <바람이 분다>가 떠오른다. 아니 보다 정확하게는 그 애니메이션의 주인 공 지로가 떠오른다. 하늘을 동경했던 소년.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일본 군국주의자 들에게 최신식 전투기를 만들어 준 인물. 그래서 더 결과적으로는 천황 군대의 꽃 이라 불렸던 카미카제 특공대를 가능하게 했던 사람. 지로가 실재 인물이고 여전 히 살아 있었다면 이 다큐멘터리의 화자인 하야시 후지오에게 어떤 감정을 느꼈을 까. 이상하게도 다큐멘터리는 카미카제 특공대이자 그것의 전신인 오카 부대 창설 자인 영화 속 주인공이 결코‘ 괴물’ 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려 애쓴다. 카미카제 마저도 어쩌면 가혹한 시대의 산물이었다는 것이다. 1944년에 22세, 이 영화가 만 들어진 2014년에 92세가 된 하야시 후지오는 명징한 정신으로 이렇게 말한다. “그때는 죽고 사는 게 문제가 아니었다. 다만 명예롭게 의무를 다하는 것이었을 뿐.”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일, 병사를 죽음으로 내몬 후 수풀 더미에 홀로 쭈 그리고 앉아 소리 내어 울었다고 했다. 역사는 때로 간악하기 이를 데가 없으며 우 리는 종종 그 끔찍함마저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야말로 이 다큐가 웅변하려 하는 것이다. <카미카제 특공대>는 新군국주의의 기운이 감도는 작금의 세상에 그것을 해체할 뇌관과 같은 작품이다. 단, 75분동안 내내 인터뷰만 이어진다는 것을 참조 할 것. 마치 카미카제의 이상한 결기 같은 느낌을 준다. 다큐는 종종 이래야 하긴 한다. 이게 다큐다. (오동진)

Watching I, Kamikaze makes me think of MIYAZAKI Hayao’s controversial The Wind Rises. To be exact, it reminds me of Jiro, the protagonist of the animation. A boy who admired the skies. And ultimately, the one who presented Japan’s militarists with cutting edge fighter planes. The very person who made possible the Kamikaze fleet, which was hailed as the flower in the Emperor’s Army. If Jiro had been a real person and was still alive, what would he have felt towards FUJIO Hayashi, the narrator of this documentary? Strangely enough, this documentary aims to show that the creator of the OKA Unit and a Kamikaze affiliate is not ‘a monster’. Even the Kamikaze may have been a product of a harsh time. Fujio Hayashi who had been 22 years old in 1944 and is now 92 in the year 2014 is lucid as he speaks, “It wasn’t a matter of life or death. The goal was to fulfill your duty with honor.” Even so, he says he would crouch in the grass alone after he sent soldiers off to their certain deaths every day. The movie seems to be saying that history is sometimes unimaginably evil and that we need to remember even the horror from time to time. I, Kamikaze is like a detonator that could break apart the modern world which has a touch of neomilitarism. Keep in mind that all 75 minutes consists of interviews. It almost gives you the impression of the impetuousness of the Kamikaze. A documentary should be like that sometimes. After all, that is what a documentary is. (OH Do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5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마야 린의 비전

Korea | 1994 | 105min | DCP | Color Director 프리다 리 모크 Freida LEE MOCK

Maya Lin: A Strong Clear Vision

Korean Premiere

북녘에서 온 노래

Korea | 2014 | 72min | DCP | Color Director 유순미 YOO Soon-mi

Songs From The North

Korean Premiere

Staff

Staff

DIRECTOR l Freida LEE MOCK PRODUCER l Freida LEE MOCK, Terry SANDERS CINEMATOGRAPHER l Don LENZER, Ed MARRITZ EDITOR l William T. CARTWRIGHT MUSIC l Charles BERNSTEIN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l YOO Soon-mi PRODUCER l YOO Soon-mi, Haden GUEST, Rui Alexandre SANTOS SOUND l Nuno HENRIQUE PRODUCTION COMPANY l Rosa Filmes

프리다 리 모크 Freida Lee MOCK

Filmography Anita (2013) G-Dog (2012) Sing China! (2009) Return with Honor (1998) Maya Lin A Strong Clear Vision (1994)

유순미 YOO Soon-mi

Filmography Songs From the North (2014) Pink (2011) FAR FROM AFGHANISTAN (2010) DANGEROUS SUPPLEMENT (2006)

Program note 20년이 훌쩍 넘은 다큐멘터리, <마야 린의 비전>을 다시 보는 것은 어쩌면 지금 이 시기, 그러니까 분단 70년째인 올해에 중차대한 의미를 지닐지도 모른다. 이 영 화 <마야 린의 비전>은 1982년에 세워진 워싱턴의 그 유명한 조형물,‘베트남전 참전 기념비’ 의 디자인을 설계한 마야 린과 그녀의 생각, 이상, 비전이 당시 어떻게 구현됐는가에 대한 얘기를 기록한 작품이다. 당시 마야 린은 21살의 예일대 건축 과 대학생이었다. 일단 건축사적으로 이‘ 참전비’ 는 모든 전형을 깼다는 것에서 두 고두고 기록에 남는다. 참전비란 흔히들 적진에 뛰어 드는 불굴의 용사를 우상화 한 것이나 그들이 깃발과 무기를 쥐고 있는 모습들로 떠올려지기 십상이다. 베트 남전 참전 기념비는 1959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베트남 전쟁의 참혹했던 오 랜 시간만큼 긴 길을 만들고 사망자 군인의 이름 하나하나 새겨진, 말 그대로의 추 념 묘비를 이어서 만든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사람들 대다수는 베트남전에서 죽어 간 이름들로 둘러싸인 이 길 한가운데에 들어서게 되면 지독한‘자기 동일화’ 를느 낀다고 한다. 부모라면 자식을 잃은 슬픔을, 여인이라면 애인을 잃은 상실감을, 군 인이라면 끝없고 강렬했던 동료애를 다시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기념비는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전쟁 따위에 대한 기억이 아니라 그것을 훨씬 뛰어 넘는 공 감과 소통의 기제(忌祭)가 돼왔다. 미국 사회를 베트남전의 추악했던 기억과 그 공 포에서 벗어나게 한 계기가 됐다. 이 다큐멘터리는 프리다 리 모크 감독에 의해 1994년에 만들어져 이듬해 아카데미 최우수 다큐멘터리 상을 탔다.‘ 베트남전 참 전 기념비’ 만큼이나 기념적인 작품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이번 DMZ가 이 작품을 특별전 중 하나로 선택한 것은 우리가 지니고 있는 전쟁과 분단에 대한 기억을 조 금 더 평화적으로 바꿔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영화와 건축학도, 반전과 평화운동 을 꿈꾸는 이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작품이다. (오동진)

12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Re-watching the documentary Maya Lin: A Strong Clear Vision from 20 years ago may carry a particularly substantial meaning today, that is, in a year that marks seven decades of Korean national division. This is a work that chronicles the thoughts, ideals and vision of Maya LIN, and documents how she realized her design for the famous Vietnam Memorial, unveiled in 1982 in Washington, D.C. At the time, Maya LIN was a 21-year old architecture student at Yale University. Firstly,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her war memorial will be long remembered for its breaking of all previous conventions. One can easily recall the image of most war memorials, depicting idealized scenes of indomitable soldiers cutting through enemy lines or hoisting flags and weapons. The Vietnam Memorial, in keeping with the long duration of the war which lasted from 1959 to 1975, is made up of a long path flanked by a kind of memorial gravestone on which are carved, one by one, the names of all the soldiers who were killed. It’s sai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finding themselves surrounded by the names of the dead, experience a sharp sort of “self-identification.” Parents experience the loss of their children, women experience the pain of losing a loved one, and soldiers re-experience the intense bond with their fellow comrades. From the moment this monument was built, what was created was not so much memories of the war as a kind of memorial service made up of stronger feelings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It provided a means for American society to shed some of the horror and excruciating memories of the Vietnam War. This documentary was made by Freida LEE MOCK in 1994 and received the Academy Award for best documentary in the following year. It can be ranked as a commemorative work worthy of the Vietnam Memorial itself. Its selection as one of the works in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s special program can be seen as a effort to help Koreans to change some of the memories of war and division towards peace. It is strongly recommended for people interested in film and architecture, and those who campaign for peace. (OH Dong-jin)

측면 움직임: 북녘에서 온 노래 북한은 포착하기 어렵다. 그곳을 묘사할 때마다 반복되는 관습적인 표현들 (예)‘은 둔 국가’ )은 그에 못지 않게 식상한 표현들(예)‘철의 장막 너머에서 포착된 삶의 장 면들’ )을 활성화하는 데에 기여할 뿐이다. 겉보기에 그럴듯해 보이지만, 이러한 일 련의 표현들은 안과 밖, 내면과 외면이라는 이항대립을 재생산한다. 하지만 우리가 언제고 진짜로 진실된 진정한 북한의 내면을 포착한 적이 있었던가? 만약 그런 적 이 있다면, 그건 무엇인가? 물론 북한은 단합된 연극적 전시행위의 실천들을 통해 체계적으로 작동하고 유지 되는 현대적‘극장 국가’ 이다. 그러나, 만약 유순미의 <북녘에서 온 노래>가 신선 하게 보인다면, 그것은 이 작품이 이러한 이분법의 잘못된, 그러나 영향력 있는 함 의, 즉 우리는 이 얇고 거짓된 겉모습을 넘어, 혹은 그것을 뚫고 그 안을 봐야 한다 는 생각으로부터 벗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장면들에서는 그녀 역시 이 러한 덫에 빠지지만, 많은 경우 이 작품은 표면에 집중한다. 달리 말해, 빽빽한 표 면의 숲 속에서 그녀는 가로질러 가지 않고 옆으로 움직인다. 우리가 이전에 결코 보지도 듣지도 못했던 무엇인가를 포착하는 건 바로, 선전영 화에서 북한사람들의 소위 진정한 일상생활로, 혹은 그 역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측면 움직임 속에서인 것이다. (곽영빈)

A Lateral Movement: Songs from the North North Korea is elusive. Conventional characterizations often attributed to the country (e.g. ‘hermit kingdom’) only serve to facilitate related yet no less trite expressions (‘glimpses of life beyond the iron curtain’ etc.). What this seemingly reasonable set of descriptions reproduces is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But did we ever get access to a real, true, and authentic inside of North Korea? If some did, what was it? Granted, North Korea is a modern ‘Theater State,’ whose existence as such is systematically rendered and maintained in and through concerted practices of theatrical exhibitions. If YOO Soon-mi’s Songs from the North, appears refreshing, however, it is because it moves away from the misleading yet dominant implication of this idea, i.e. that we must see beyond, or peek into the thin false facade. Sure, in some scenes, she also fell for this trap. Still, mostly, YOO’s work latches onto the surface. Or, put differently, she moves laterally rather than diagonally in the thicket of layers. It is precisely through this lateral transition from propaganda films to the allegedly real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or vice versa, in which we captures something we never saw or heard in the past. (KWAK Yung-b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7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남북미생

Germany | 2015 | 80min | DCP | Color Director 조성형 CHO Sung-hyung

Two Voices From Korea

World Premiere

삐라

Korea | 2015 | 67min | DCP | Color Director 조현준 Wesley CHO

Bira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 l CHO Sung-hyung PRODUCER l Andreas BANZ EDITOR l Fabian OBERHEHM CINEMATOGRAPHER l Thomas SCHNEIDER, Julia DASCHNER SOUND l Bernd Von BASSEWITZ PRODUCTION COMPANY l Kundschafter Filmrproduktion

조성형 CHO Sung-hyung

Filmography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2015) 16 x Deutschland (2013)) 11 Freundinnen (2013) Endstation der Sehnsüchte (2009) Full Metal Village (2006)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EDITOR l Wesley CHO MUSIC l Andrew KELLER

조현준 Wesley CHO

Filmography 삐라 Bira (2015) Transiam (2011) Alive in Havana (2010)

Program note 선경이 화장을 한다. 계영도 화장을 한다. 계영은 교정을 지나 당도한 교실에서 성 악 레슨을 받고, 휘황한 야경의 밤을 지난 밴드싱어 선경은 목청껏 샤우팅한다. 비 슷한 수준의 남북 여대생을 캐스팅했다는데, 계영에게서는 중산층의 여유가, 남한 여대생 선경에게서는 최저시급의 끝자리를 다투는 부대낌이 읽힌다, 세상에나! 이 비교는 평균적인 것이 아니지만, 남북 여대생 두 개의 목소리는 군사력이나 경제 력의 비교보다 살갑고 특수한 비교지만 함의가 많다. 독일 방송국으로부터 한국의 젊은이에 관한 영화를 만들어보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아, 남북 청년을 비교하면 재밌겠다는 생각으로 만든 감독의 영화는 생각대로 재밌다. 손에서 폰을 놓지 않 고 밤늦도록 놀고 돌아오는 계영은 남한 여대생 같고 언제 갈라졌더냐며 이웃처럼 거기 살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혁명은 못하고 꼰대 아저씨가 된 선경아버지나 의 사인 자신과 달리 성악을 선택한 딸의 바램을 우선하는 계영아버지도 다르지 않 다.“ 달라진 거 하나도 없습니다” 라고 말하는 계영은 갈라짐을 가슴 아프다 하고 먹고 살기 바쁜데 북한 생각을 어떻게 하느냐 묻는 건 선경이다. 약간의 이질과 훨 씬 많은 동질감에 젖어 보면 어느새 이들 세대의 집합적인 방향에 분단의 미래가 달려있겠거니 생각하게 된다. 무엇보다 계영과 선경이 이 영화를 함께 볼 수 있다 면 그저 그게 통일 아닌가는 생각에 닿는 것이다. 계영과 선경이 만난다면‘ 나는 아 저씨가 싫어요’ 라며 깔깔댈 것만 같다. (박미경)

12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Sun-kyung puts on her make up. Gye-young put on her make up. Gye-young passes through classes and arrives in one class where she takes vocal music lesson, Sun-kyung spends dazzling night shouting out loud in a band as a band singer. According to the staffs, they have casted similar teenagers from both North and South, however Gye-young gives an impression that she is from a middle class family and Sun-kyung gives an impression that she is struggling from the edge of minimum wage, my god ness! This comparison contains lots of undertone and its not moderate, but the voices from two teenagers are more affectionate and special than comparing economy and military. Since the director got an opinion saying wouldn’t it be interesting to make a movie comparing two teenagers from North and South Korea, the director made the movie and it is interesting as he thought. Gye-young returns home late after hanging out with her friends and never puts down her phone just like an ordinary South Korean teenager leaving peacefully and feeling pessimistic about Korea’s division. The two fathers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Sun-kyung’s father just became an old dirty man instead of starting a revolution, and Gye-young’s father respects her daughter choosing to become a vocalist instead of doctor like him. Korea’s division is a grief for Gye-young, at least that’s what she feels, Gye-young says nothing has been changed. Sun-kyung feels that sparing a space in her heart to feel sad for the division of Korea is too much of a burden. Wallowing in awareness and more of kinship suggests that the generation of the two teenagers’ congregative direction will decide the future of the division. Most of all, if Sun-kyung and Gye-young watches this movie together, in fact, reunification will be in a close sight. If Sun-kyung and Gye-young meets in person, they will laugh of saying ‘I hate him.’ (BAHC Mi-gyeong)

영화 <삐라>는 처음 제목만으로는 그다지 손길이 가지 않는, 소위 말해서‘땡기 는’작품은 아니다. 워낙 신문방송의 보도를 통해 박상학 씨의 행태를 보아 왔던 터 라 삐라 얘기라면 다소 지긋지긋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30대 중반의 발칙 한 한국계 미국인 조현준이 만든 이 다큐멘터리는 특이한 구석이 있다. 삐라에 대 한 남한 내에서의 논쟁과는 별개로 도대체 이 전단들이 북한 주민들에게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하고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궁금 하면 가야 한다. 그게 다큐멘터리다. 그래서 조현준도 간다. 함경북도를 거쳐 관광 객으로 위장해 북한으로 들어 가 그곳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을 이끌어 내려 애쓴 다. 이 다큐멘터리가 흥미로운 것은 바로 그 부분이다. 생각해 보면 그것, 곧 북한 주민들의 생각과 반응이야 말로 이 문제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얘기를 듣 고 따라가다 보면 이들의 태도가 나름 강경하고 단호하다는데 눈길이 가게 된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들이 꽤나 이성적이라는 데에 놀라게 된다. 그건 정작 삐라를 살포하는 남한 측 사람들에게서는 발견하기 힘든 모습이다. 그것 참 기이한 반전이 아닐 수 없다. 한 여성 탈북자의 증언이 계속 귓가에 남는다. 그녀는 1995년 북한의‘고난의 행군 ’ 을 가리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철문’ 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 의미가 궁금하신가. DMZ영화제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란다. (오동진)

The title Bira isn’t one that makes you want to find about the movie. The reason being that PARK Sang-hak and his activities have been overexposed through the media, making the topic of ‘bira’ quite boring. But this documentary by the bold thirty-something Korean-American Wesley CHO is decidedly unique. It sets aside the controversy within South Korea about bira, and begins with the question, ‘How on earth are North Koreans reacting to these flyers?’ If you’re curious, then you’ve got to go. That’s what a documentary is. So Wesley CHO goes. Posing as a tourist, he passes through Hamggyeongbukdo Province into North Korea and tries to get live testimony from its residents. This is what makes this documentary interesting because what North Koreans think and how they react is the key to the issue. As we listen to them speak their minds, we notice their attitude is quite firm and decisive. What’s more important is that we are surprised to see they are quite logical. This is something that’s hard to see among South Koreans who are actually spreading the bira (flyers). What a remarkable twist. The comments of a woma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resonates for a long while. She called North Korea’s ‘Arduous March’ of 1995 ‘the iron gate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Are you curious what that means? Then go find out 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H Do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9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잊혀진 전쟁의 기억

USA | 2013 | 37min | DCP | Color Director 디앤 보르셰이 림, 램지 림 Deann Borshay LIEM, Ramsay LIEM

Memory of Forgotten War

Korean Premiere

나는 선무다

China/Korea/USA | 2015 | 87min | DCP | Color Director 아담 쇼버그 Adam SJOBERG

I Am Sun Mu

World Premiere

Staff DIRECTOR/PRODUCER l Deann Borshay LIEM, Ramsay LIEM CINEMATOGRAPHER l Michael CHIN, Stephen MCCARTHY EDITOR l Deann Borshay LIEM, Corey Ohama CHOY

디앤 보르셰이 림

램지 림

Deann Borshay LIEM

Ramsay LIEM

Filmography

Filmography

Memory of Forgotten War (2013) In the Matter of Cha Jung Hee (2010) First Person Plural (2000)

Memory of Forgotten War (2013)

Staff DIRECTOR l Adam SJOBERG PRODUCER l Justin WHEELER, ROH Ji-hyun EDITOR l Mariana BLANCO MUSIC l Joel WEST

아담 쇼버그 Adam SJOBERG

Filmography I Am Sun Mu (2015) Shake the Dust (2014) We All Might Make It (2013) Danny from North Korea (2013)

Program note 일상의 역설은 흔히들 잘 알고 있는 일이라는 것이 사실은 잘 알고 있는 것이 아니 었다는 자각에서 이루어진다. 모조리 다 기억하고 있는 일인 듯 하지만 깡그리 잊 고 사는 일도 그런 경우에 속한다. 6.25 전쟁에 대해 우리는 전부 다 잘 알고 있는 가. 과연 그런가. 혹시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아니면 지난 70년 동안 특정한 정파의 생각만으로 기억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디엔 보르셰이 림과 램지 림이 공동으로 연출한 다큐멘터리 <잊혀진 전쟁의 기억>은 바로 그같은 질문으로 시작되는 영화다. 물론 6.25 전쟁의 기원에 대해서는 이제쯤이면, 그리고 어느 정 도 식자 층에 포함된 사람들이라면, 대체적으로는 정리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건 더 이상 남침이냐 북침이냐를 놓고 벌이는 이분과 흑백의 논쟁이 아니다. 이 영화 에서는 브루스 커밍스의 입을 빌어 근인(近因)은 명백한 북의 남침으로, 그러나 원 인(遠因)은 38선 접경 지역에서 끊임없이 벌어졌던 수많은 국지전의 양상으로 정 리하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의 특이성은 전쟁을 겪은 후 미국행, 곧 3국행을 선택 했던 민간인들의 증언을 촘촘하게 엮어냈다는 데에서 찾아진다. 마치 최인훈 소설 <광장>의 주인공을 현실에서 만나고 있는 듯한 신기루의 느낌을 준다. 어쩌면 전 쟁에 대한 남북의 기억은 모두 잘못된 것일지도 모른다. 왜곡된 기억은 잊혀진 기 억과 다름이 아니다. 이 영화야 말로 6.25 전쟁에 대한 진실의 기억을 추구하는 작 품이다. (오동진)

13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rogram note Paradox of the routine begins from the realization that what we commonly believe we know is something we don’t really know that well. This includes an event that we assume we know all about but actually live our lives without ever thinking about. Do we know everything about the Korean War that broke out on June 25th? Really? Or do we just think that we do? Isn’t what is remembered about it for the past 70 years only based on the recollections of a specific faction? Memory of Forgotten War, a documentary co-directed by Deann Borshay LIEM and Ramsay LIEM begins with that very question. Most intelligent or well-educated people would be able to give an outline of how the Korean War began. However, this is no longer a simple black and white debate on which side attacked who. The movie borrows the words of Bruce CUMINGS to define the direct cause as the North attacking the South but states the fundamental cause as the numerous regional wars that took place all along the 38th parallel. What makes this documentary stand out is how it weaves together a tight web of testimony from civilians who chose to go to the U.S., a third country, after they made it through the war. It almost appears like a mirage where we meet the protagonist from CHOI In-hoon’s novel The Square in person. Maybe all the memories of this war on both sides are wrong. A distorted memory is no different from a forgotten one. This film truly probes for the truth of memories about the Korean War. (OH Dong-jin)

북한의 프로파간다 예술가로 활동을 했던‘선무’ 의 자전적 내레이션은 우리로 하 여금 하나의 거대한 국가체제에 대한 상상의 세계를 떠올리게 만든다. 하지만 어 디까지 상상할 수 있을까? 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곧 회의에 빠지고 말 것이다.‘북 한’ 이란 전체주의 국가에 대한 상상체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의 지식 안에 견 고한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견고한 지식체계이자 권력체계인 이미지는‘선무’ 의 정치적 팝아트라고 불리는 그의 작품을 통해서 한 층 더 리얼리티라는 총체성을 구축하고 있는 것 같다. 모든 경험을 고정시키고 정 태적으로 만드는 사태가 아닌 한계를 필요로 하고, 부서지기 쉬운 이데올로기적인 낙관론의 모순과 대면하는 태도. 다른 표현을 빌리자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정 치적 팝아트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냉소적 예술관를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듯 <나는 선무다>는 탈북화가인‘선무’ 의 자전적 스토리와 예술 적 태도, 그리고 그의 회화작품을 통한 유비적 내러티브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남북한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분단의 독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프 로파간다 예술의 도구인 선전과 계몽주의를 비꼬면서 냉소주의적인 태도를 견지 하는‘선무’ 의 인터뷰 장면이 인상적인데, 아마도 그의 얼굴 대신 목소리로 치환되 는 부유하는 망명자 혹은 국외자와 조우하는 순간과도 같다고 할 수 있다.‘선무’ 의 인터뷰를 통해서 듣게 되는 위트와 유머는 정치적 팝아트라 불리는 자신의 예 술작품만큼이나 평화와 통일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하나의 은유이자 몸짓이다. (전성권)

The autobiographical narration of Sun Mu, who once was a propaganda artist in North Korea, makes us picture a huge state system as an imaginary world. But if we ask ourselves how far we can picture it, we would become skeptical. It is probably because the image of North Korea, the totalitarian country has been already strongly engraved in our knowledge system. This image, which is strong knowledge and power system seems to acquire totality as a reality through his works called ‘Sun Mu’s political pop art’. He makes use of the attitude that requires limits rather than fixation of experience, and challenges fragile ideological optimism. In other words, the attitude is a cynical view of art appearing on the journey between socialistic realism and political pop art. I Am Sun Mu appropriately allocates analogous narrative through Sun Mu’s personal story, his artistic attitude, and his paintings to reflect political ideologies and uniqueness of divided Korea. Among the most impressive scenes is Sun Mu’s interview that reveals his cynical attitude while he satirizes propaganda art for its publicity and illuminism. Here we encounter a wandering refugee or a foreigner transformed into voice instead of face. Apart from his artwork, the sense of humor found in the interview is another analogy and gesture that is embedded with the message of peace and unity.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31


아트 앤 다큐 Art and Docs

비주얼아트와 다큐멘터리 장르를 넘나들며 작업하는 작가들의 작품 및 포럼으로 구성. 올해는‘분쟁 과 프로파간다’ 란 컨셉으로 역사적 사건을 기록한 이미지의 프로파간다 메커니즘을 해부하고, 이미 지의 이데올로기를 다룬 정치적 영화 혹은 에세이 영화를 상영한다.‘이미지 역사에서 기억과 프로파 간다란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었는지’질문하고 있다. 하룬 파로키, 안드레이 우지카, 로무알 트 카마카, 천제런의 작품과 68혁명부터 바더-마인호프의 비극을 맞이하는 77년까지의 독일의 정치적 급진주의 연대기를 다룬 <독일청춘>, 이데올로기로서의 이미지 비판의 계보를 잇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소개된다. This is the section for works and forums of artists who move across both visual art and documentary genre. This year, under the concept of Conflict and Propaganda, there will be political films and essay films covering ideology of images while they dissect propaganda mechanism of images recording historical events. They question ‘how is the idea of memory and propaganda represented in the history of image.’ Films of Harun FAROCKI, Andrei UJICA, Romuald KARMAKAR, and CHEN Chieh-jen will screen too as well as A German Youth presenting the chronicle of political radicalism in German till 1977 when the tragedy of Baader-Meinhof happened and films of young artists continuting the genealogy of image criticism as an ideology. ※ Presented in collaboration with the Goethe-Institut Seoul


Art and Docs

Art and Docs

니콜라이 차우세스쿠의 자서전

Romania | 2010 | 180min | DCP | Color/B&W Director 안드레이 우지카 Andrei UJICA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안드레이 우지카 Andrei UJICA Filmography

Staff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2010) Out of the Present (1995) Videograms of a Revolution (1992)

DIRECTOR l Andrei UJICA PRODUCER l Velvet MORARU EDITOR/SOUND l Dana BUNESCU

Program note 어떤 사형수의 일기 <니콜라이 차우세스쿠의 자서전>을 소개하며 우선 러닝타임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3시간 7분, 한 자리에 앉아 전혀 딴 생각 없이 스크린에 집중하기엔, 좀 길 다. 물론 영화가 관객에게 하나 하나의 에피소드에 집중하길 바라는 것 같지도 않 다. 그렇게 이 영화는 관객에게 그리 친절하지 않은 듯해 보이지만,“니콜라이 차 우세스쿠의 자서전” 이라는 그 타이틀만은 의외로 친절하게 많은 것을 알려 준다. 이 영화는 루마니아의 대통령이었던 차우세스쿠의 이야기다. 그것도‘전기’ 라고 하니 당연히 다큐멘터리일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목은“ 자서전”이라고 적 고 있는데, 그렇다. <니콜라이 차우세스쿠의 자서전>은 안드레이 우지카의 작품 이지만 실제로 그가 만든 전기는 아니다. 영화는 차우세스쿠‘스스로’만들어낸 전기, 즉 자서전이다.

13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이것이 가능한 것은 영화가 최근 영상 작품에서 소위‘핫’ 하다는 아카이브 작업이 기 때문이다. 우지카 감독은 이 세 시간짜리 영화를 위해 1000시간이 넘는 영상자 료들을 훑어 내려간 것으로 전해진다. 영화 세 시간은 감독이 씨름했던 1000시간 에 비하면 전혀 길지 않다. 뿐만 아니라 영화가 다루고 있는 24년—즉 차우세스쿠 가 정권의 전면에 나서게 된 1965년부터 그의 실각까지—에 비하면 1000시간도 어쩌면 한 숨의 순간일지 모른다. 단순히 210, 240시간(24년)이라는 물리적 시간 에 대해서가 아니다. 그 시간은 차우세스쿠가 민중의 눈과 귀, 그리고 입을 막은 채, 국가총비서에서 주석으로, 주석에서 대통령으로 타이틀을 바꾸고 더해가며 실행했던 압제의 기간이며, 동시에 그러한 상태가 결코 끝나지 않을 영원인 것처 럼 믿게 만드는 시간이었다. 견뎌야 했던 그 시간에 비하면, 어떤 아카이브 자료도 한낱‘표본’ 에 불과하며, 그 로 만든 어떠한‘ 다큐멘터리’ 의 시간도 그저 투정 어린 한숨에 지나지 않는다. 그

렇다 모든 것이 마치 하나의 긴 숨인 듯, 자애롭게, 감독은 차우세스쿠가 토해내는 마지막 항변에 영화를 양보했던 것이다. 차우세스쿠의 마지막이 담긴 군사법정 자료로 시작한 영화는 장밋빛으로 꾸며진 그의 화려한 24년을 달려, 다시 법정에 서 끝을 맺는다. 죄를 인정하느냐는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 사이, 그 사이의 긴 숨, 영원을 꿈꾸었던 독재자에게는 짧을 수밖에 없는 마지막 반론의 시간이다. 국가 를 위해 한 평생 헌신해왔을 뿐 전혀 잘못한 것이 없다는, 한 줌의 희망도 없는, 그 대답처럼, 영화는 차우세스쿠가 24년간 충실히 꾸며왔던 또 다른 세계를 파운드 푸티지를 이용하여 차근차근 풀어내고 있다. 이쯤 되면 누군가는 우지카 감독이 너무 너그러운 것이 아닌지 불만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그 독재자의 최후를 알고 있지 않은가. 사실 영화에서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법정 장면은 그 오랜 기간의 악행에 대해서 너무나 신 속하게 집행된 사형식과 함께 서양세계에 배포되어 널리 알려진 영상이다. 영화 는 차우세스쿠의 전기라면 당연히 그 마지막장이 될 법한 이 처형장면은 남겨두 고, 모두“거짓말 ” 이고,“ 선동” 이라고 당당하게 호통치는 모습으로 마무리를 하 니, 이것은“ 차우세스쿠의 자서전 ” 이라 이름 붙은 이 영화에 조금의 역사적 진실 도 공존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하는, 감독의 단호한 조치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그들 부부가 무너지는 단 몇 초의 영상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생생한 역사지 만, 통제와 연출, 조작으로 이뤄진 환상의 기록은 그것과 구분되어야 한다는 선언 처럼. 우지카 감독은 이미 1992년 하룬 파로키와 함께 <혁명의 비디오그램>에서 차우 세스쿠의 마지막을 담아낸 바 있다. 그 강렬했던 5일 간의 기록이 이미지가 포착 해낸 변화와 그 정치적 힘을 증명하였다면, <니콜라이 차우세스쿠의 자서전은> 그 내용이 아니라 그 존재 자체가 역사인 정치적 이미지들을 제시한다. 전자가 사 건에 대한 기록으로서 영화 같은 역사를 보여주고자 했다면, 이 영화는 역사가 영 화처럼 쓰여질(기록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지속적인 폭력과 압제 속에서 진실은 기록될 수 없는 상태로만 존재할지 모른다. 아카이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의 미하다. 역사 같은 영화는 하나의 알리바이로서, 차마 기록되지 못한 그 진실을 가 리키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영화가 불러일으키는 노스텔지어는 덤이다. 냉전과 그 막바지를 기 억하는 세대에게도 아니면 자본주의를 유일의 체제로 경험하는 사람들에게도 마 찬가지다. 김일성의 카드섹션이나 이멜다의 구두가 아직 생생했던 20세기를, 사 회주의 국가의 몰락과 더불어 그 몰락을 가져왔던 자본주의에 대한 희망을, 이제 는 부재하는 대상으로서나마,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빛을 잃어버린 화려함만 가 득 찬 어느 사형수의 백일몽에서…. (남수영)

Nicolae Ceaus¸ escu’s Autobiography A diary of a prisoner on death row I cannot help but mention the running time of three hours and seven minutes when introducing the film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In my opinion, the film is too long to sit in one seat and give undivided attention to the screen. However, the film does not want the audience to concentrate on every episode. Although Nicolae CEAUSESCU’s Autobiography may seem inconsiderate to the audience, they can infer many things from the title of the film. This film is a story about Romania’s president CEAUSESCU. Since the title states it is a biography, this film must be a documentary. The more accurate name of the title states that this film is an autobiography. Although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is Andrei UJICA’s work, he did not technically create the film. This film is a biography that CEAUSESCU made

himself – hence an autobiography.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use of the current so-called ‘hot’ archive process. It has been reported UJICA scanned through 1000 hours of video to create this three-hour film. Considering the director had to watch 1000 hours of footage, three hours is nothing. Moreover, compared to 24 years of the rise and fall of CEAUSESCU’s political power which started from 1965, 1000 hours may seem like a flash. I am not simply referring to the physical time of 210,240 hours (24 years). As CEAUSESCU climbed the political ladder from General Secretary to the country’s head of state to President, his oppression to close the people’s eyes, nose, ears, and mouth only became more brutal, and he thought his regime would last forever. Compared to the atrocity the people had to endure during CEAUSESCU’s regime, the archives are merely ‘samples,’ and no matter how long any ‘documentary’ about him would last, it is nothing more than a complaint. As if everything was but a long breath, the director benevolently allows CEAUSESCU to make his last plea in the film. The film opens with footage of CEAUSESCU in military tribunal, then depicts 24 years of his rosy life, and comes back to court. The long sigh in betwee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CEAUSESCU acknowledges his crime and answer may inevitably seem like a short time to make a final objection for a tyrant who dreamed of eternity. Just like his hopeless answer that he did nothing wrong but sacrifice his entire life for Romania, the film unravels another world step by step with the use of found footage to portray another side of CEAUSESCU’s 24 year regime. At this point people may be discontent with UJICA for being too generous. However, we already know what happens to the tyrant. Actually, the military tribunal scene where CEAUSESCU was hastily tried, convicted, and executed shown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film is a well-known footage in the Western world. If the film is indeed CEAUSESCU’s autobiography, then the ending right before the execution where CEAUSESCU yelling everything is a “lie” and “instigation” can only be interpreted as the director’s resolute measure to reveal that the title of the film has no historical truth behind it. Many people still vividly remember the short footage of CEAUSESCU and his wife being executed, and it seems the director wants to declare that there needs to be a distinction between that historical event and his record of fantasy which involves control, directing, and manipulation. With Harun FAROCKI, UJICA already created Videograms of a Revolution in 1992 that portrays CEAUSESCU’s final moments. If that documentary captures images of the intense five-day change and political power of the fall of CEAUSESCU,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in itself presents historical political images. If the former is about showing what it is like to record a movie-like history, this film proves that history can be written (recorded) like a film. In the midst of ongoing violence and oppression, truth may exist in a state without being recorded. Regardless, archives are significant. History like film is an alibi because it points to the truth which could not be recorded. Lastly, nostalgia evoked by the film is a bonus not only for the generation that remembers the cold war and its final days but also for the people who only know capitalism as the only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 We encounter the fall of communist Romania which no longer exists that brought hope of capitalism in the 20th century when KIM Il-sung’s card section or Imelda’s shoes are still vivid in people’s mind – just like a prisoner’s daydream full of splendor that lost its shine. (NAM Soo-young)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35


Art and Docs

Art and Docs

제국의 국경 II - 웨스턴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Taiwan | 2010 | 70min | DCP | B&W Director 천제런 CHEN Chieh-Jen

Empire’s Borders II - Western Enterprises, Inc. 본토에서 온, 농업과 어업을 본업으로 삼던 가난한 집에서 차출된 젊은 남자들이 자신이 복무한 시간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전혀 받지 못했다는 데에 있다. 그런 의 미에서‘그들은 누구인가? ’ 라는 질문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상 그렇지 않다. 그들의 정체(성)을 둘러싼 이 불편한 흔들림은 영화 시작에서 우리가 알게 되듯 천 제런의 아버지가 반공구국단 병사였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흥미로운 것이 된다. 사실 이 다큐 프로젝트 자체는 2005년 사망하시기 전, 천제런의 아버지가 남긴 자 서전과 본토공격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동료병사들의 명단에서 시작된 것이다. 하 지만,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되는-아마도 그의 동료들 사진과 반공구국단 관 련 서류들일 것으로 추정되는-무언가가 타서 재가 되는 벽난로의 이미지가 시사 하듯, 진실을 향한 영화의 탐구는 실패할 운명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이 점에서 눈 여겨 볼 것은 캐릭터들의 얼굴이 나름 뚜렷하게 드러내는, 감정적인 얼굴 표정의 부재다. (이 작품은‘재연’ 을 재현의 중심양태로 채택하고 있기에‘캐 릭터들’ 이란 표현을 썼다) 감독을 대변하는 남성 주인공을 따라 우리는 폐허처럼 버려진 건물 내를 돌며 반공구국단 병사와 그들의 친지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들 은 늙고, 피곤하며 무엇엔가 짓눌려 보인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이러한 시련을 직접적으로 야기한‘가해자’ 를 손으로 지목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건 아니다. 물론 우리는 진실을 향한 이 허구적인 탐사의 끝에서 일련의 뉴스 화면을 보게 된 다. 40분 이상 끝나지 않을 것처럼 이어진 느리고 긴 걸음 이후라는 타이밍은 무 언가가 폭로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지만, 그것은 카타르시스적인 것과는 거 리가 멀다.‘ 악한 가해자’대신, 우리는 집중력 있게 자신들을 경청하는 대만 청중 들에게 연설하고, 만면에 웃음을 띤 채 그들이 즐겁게 일하는 공장의 개회식에 참 석한 미국의 고위 공직자들을 보게 된다. 이 복잡한, 소위‘포스트 콜로니얼’ 적인 과거의 성격은 현재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뉴스 화면 직후에 이어 지는, 자신의 번호가 쓰인 종이를 든 대부분의 사람들의 얼굴은 마비되어 있는 것 이다. 진실을 향한 그들의 노력은 결실을 맺게 될까? 벽난로에서 나오는 마지막 장면의 연기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시사한다. (곽영빈)

천제런 CHEN Chieh-Jen Filmography

Staff

Realm of Reverberations (2014) Friend Watan (2013) Empire’s Borders II - Western Enterprise, Inc. (2010) Empire’s Borders I (2008-09) Factory (2003) Lingchi-Echoes of a Historical Photograph (2002)

DIRECTOR l CHEN Chieh-Jen PRODUCER l CHEN Chieh-yi CINEMATOGRAPHER l Jake Pollock, Chien Ming-chi EDITOR l Lee Chun-yi SOUND l Lo Song-ce

Program note 재가 된 진실 문제가 되는 이슈가 무엇이건,‘역사적 진실을 찾아 과거사를 탐사한다’ 는 전제는 많은 다큐멘터리들의 중심에 놓인다. 그 문제에 대한 해석이 여전히 합의되지 않 은 것일 때, 그것은 더 이상 과거에 속하지도 현재에 속하지도 않는다. 대신 그 둘 사이 어딘 가에서 부유할 뿐이다. 대만의 영상작가인 천제런의 2010년 작품인 <제국의 경계들 II - 웨스턴 엔터프라 이즈 주식회사>는 정확하게 이 경우에 해당한다. 그 중심에는 1951년 미국의 중 앙정보부(CIA)와 대만 국민당이 함께 만든‘반공구국군(NSA)’ 이 있다.‘웨스턴 엔 터프라이즈 주식회사 ’ 라는 무역회사의 이름 하에 활동했던 반공구국군은 한국전 쟁 중이던 중국의 본토에 개입, 공격을 시도하려는 임무를 띠고 만들어졌다. 공산 국가인 중국의 존재감이 더욱 커지자, 아시아 지역의 헤게모니를 유지하려는 목

13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적에서 미국이 창설한 것이‘ 반공구국군’ 이었던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도 그 존재 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 주지하듯, 이 시기는 소위‘ 백색 테러’ 라고 불리우는, 대만 현대사의 가장 어두운 시기(1949-1987)에 해당한다. 대만영화사에 대한 지식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는 이들이라면 알겠지만, 후 샤오시엔은 <비정성시>(1989)나 <호남호녀>(1995)와 같은 미묘하면서도 힘있는 영화들을 통해 이 문제를 용감하게 건드린 바 있다. 천제런의 본 작품이 이러한 선구적인 작품들과 다르다면, 그것은‘가해자’혹은 ‘피해자’ 라는 기존의 구분 범주에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는‘반공구국군’ 의 독특한 성격과 관련이 있다. 대만 국내에 배치되지 않았던 덕분에 그들은 국내의 저항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들의 근본 과제는 군사적인 것으로서, 국민당 정부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었다. 사 태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건, 본토 공격 과정에서 이들 일부가 사망했고, 대부분

Truth in Ashes Regardless of the issue in question, the premise of ‘addressing the past in search of its historical Truth‘ is central to many documentaries. When the issue is far from settled, however, it no longer belongs to the past- but nor to the present. Rather, it hovers somewhere between the two poles. This is precisely the case for Empire‘s Borders II – Western Enterprises, Inc., Taiwanese visual artist CHEN Chieh-jen’s work from 2010. At stake is the National Salvation Army (NSA), a secret venture jointly established by CIA and the Kuomintang Government in 1951. Operating under the facade of the trading company “Western Enterprises Inc.,” the NSA was designed and scheduled to launch military attacks and interference against Mainland China during the Korean War. Feeling the presence of Red China weighing heavy, the United States created it in order to maintain its hegemony in the region. Not surprisingly, its existence has never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To be sure, the period in question belongs to the so-called ‘White Terror,’ arguably the darkest chapter of contemporary Taiwanese history (1949-1987). And as anyone versed in Taiwanese cinema should immediately recall, it was HOU Hsiao-hsien who, with subtle yet powerful films such as City of Sadness (1989) or Good Men, Good Women (1995), boldly broached the issue. If CHEN’s work differs from these pioneering works, it in part concerns the

peculiar nature of the NSA, which hardly matches the extant categories of ‘perpetrator’ or ‘victim.’ Granted, it was not deployed in Taiwan to partake of the ongoing campaign of suppressing domestic dissidence. Nonetheless its primary mission was military, constituting part and parcel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What complicates the matter is the fact that some soldiers died during the offensive, and they- mostly young men recruited from poor farming and fishing families that had originated in Mainland China- were never paid a salary for the time they served. Hence the deceptively simple yet murky question: who are they? This troubling instability of their identity is intriguing because CHEN’s father, we are told at the opening, was a NSA soldier. In point of fact, the entire project was initiated thanks to the autobiography and a list of NSA soldiers killed during the China offensive he left behind before he passed away in 2005. As the repeated image of hearth in which something- presumably photos of his fellow soldiers and documents related to NSA- is burned to ashes amply suggests, however, the whole enterprise appears more or less doomed to fail. Notable in this regard is the relative yet distinctive lack of affective facial expressions among characters. (I said ‘characters’ since this work adopts reenactment as its central mode of representation) Following the lead of the male protagonist, or CHEN’s alter ego, we meet a group of people, presumably NSA soldier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follow their footsteps inside a deserted building or a ruin. And they look old, tired and downtrodden. Still, few of them show unmistakable signs of suffering in ways that one could point to those who caused them, i.e. ‘perpetrators’ in flesh and bones. Toward the end of this fictive search for Truth, to be sure, we do get to see a series of newsreel footage. Due to the timing of its appearance, that is, after more than 40 minutes of an unending slow walk, it serves to promise a sense of revelation. However, it turns out far from cathartic. Instead of evil perpetrators, we see a host of high profile US executives addressing attentive Taiwanese audience, attending ceremonies to celebrate the opening of factories in which Taiwanese workers are busy operating textile machines with smiles on their faces. The complex, or so-called ‘postcolonial’ nature of this past effectively affects the present, leaving the faces of most people who immediately follow the footage with their own numbers in hand, utterly paralyzed. Will their quest for Truth bear fruit? The smoke from the hearth at the end seems to suggest otherwise. (KWAK Yung-b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37


Art and Docs

Art and Docs

독일청춘

Germany/France | 2015 | 93min | DCP | Color/B&W Director 장 가브리엘 페리오 Jean-Gabriel PÉRIOT

A German Youth

Asian Premiere

장 가브리엘 페리오 Jean-Gabriel PÉRIOT Filmography

Staff

A German Youth (2015) If We Ever Have to Disappear it Will Be Without Disquiet But We Will Fight Until the End (2014) Le jour a vaincu la nuit (2013) Entre chiens et loups (2008) We Are Winning Don’t Forget (2004) Avant j'étais triste (2002)

DIRECTOR/EDITOR l Jean-Gabriel PÉRIOT PRODUCER l Nicolas BREVIÈRE MUSIC l Alan MUMENTHALER SOUND l Etienne CURCHOD Archive research l Emmanuelle KOENIG-RUDIGER

Program note 공적 또는 사적 아카이브에서 유래된 필름과 사진등을 이용하여, 파운드 푸티지 작업을 해온 장 가브리엘 페리오 감독은 망각에 대해 경계하며, 역사가 남긴 교훈 을 통해 현재를 고찰하고자 노력해 온 감독이다. 페리오 감독은 그의 작품들을 통 해 과거와 현재, 진실과 거짓, 그리고 이데올로기와 역사간의 변증법적인 실마리 를 제시하고자 노력한다. 그의 작품들은 과거의 사건을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 하며 이 사건들이 현재에 어떠한 울림으로 다가와 시사성을 띄며, 논쟁을 재점화 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 동시대의 사건들을 어떻게 반추하게 하는 지를 보여 준다. 그러나, 페리오는 이를 위해, 영화에 작가의 명확한 메세지를 삽입하 여, 관객들을 설득하거나, 계몽하고자 노력하지 않는다. 단지, 그의 영화는 이미 정부, 미디어 매체 등의 주류에 의해, 그 역사적 해석이 정의된, 그리하여, 이미 구 축된 시각으로 대다수의 관객들이 바라보았던 과거의 사건들을 새롭게 또는 의심 의 눈초리로 바라 볼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이다. 감독의 직접적 메 시지의 부재와 역사 해석에 대한 방향성 제시의 부재는 그의 작품들을 대하는 관 객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 도 있다. 그의 작품들 앞에서, 관객들은 편안한 거실의 소파에 파묻혀 미디어들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수동적 입장에서 흡수하는 수용 자의 입장이 아니라, 이제 그들의 눈앞에 제시되는 단서의 조각들을 가지고, 그들

13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스스로 판단을 내려야 하는 능동적인 분석자의 입장을 요구 받는다. 제7회 DMZ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이번에 소개되는 장 가브리엘 페리오 감 독의 첫 번째 장편,<독일청춘>은 페리오 작품의 이러한 경향들이 더욱더 확연히 드러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페리오는 68혁명의 여운의 끝자락 에서 태동하여, 1998년에서야 비로소 해체를 공식화한, 도시 게릴라를 표방하던, 급진좌파 테러 조직인 독일 적군파(Rote Armee Fraktion)를 재조명한다. 이를 위 해, 페리오의 영화는 당시 독일, 프랑스 등 미디어들의 보도 영상과 청년 좌파운동 을 그린 영화들, 그리고 적군파의 핵심 조직원이었으며, 독일 베를린 영화학교 (Deutsche Film- Und Fernsehakademie Berlin)의 학생이었던 홀거 마인츠와 그의 영화학교 동료들의 발표, 미발표 필름들을 서로 엇갈린 시선들의 조각들처 럼 배열하고 있다. 영화는 여성 저널리스트이자 적군파 조직의 리더 중의 한 명이 었던 울리케 마인호프의 행적을 중심으로 이 사건을 연대기적 순서로 서술한다. 백화점 폭파, 언론기관 테러, 정치인, 연방검사, 재경연합 회장 납치와 살인, 비행 기 피랍 등 그들이 채택했던 무시무시한 무장폭력 투쟁 방식은 대중들을 그들에 게서 냉담하게 돌아서게 했다.‘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으며, 테 러리스트들과의 협상은 불가하다’ 라는 서독 정부의 입장은 그 정당성을 획득했

고, 핵심 리더들의 감옥에서의 미스테리한 자살이라는 결말마저도 정의구현으로 인식되었으며 종결된 사건으로 봉인되었다. 그런데, 오늘 왜 페리오 감독은 이렇게 판결문이 이미 낭독되었으며, 이제는 시사 성을 잃은 것처럼 보이는 과거의 사건을 다시 우리의 망각 저편에서 불러내는 것 일까? 인터뷰를 통해, 페리오는 적군파가 혁명전술의 일환으로 그들의 영화를 만 들었다면, 자신은 투쟁을 위한 영화가 아닌 정치적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고 밝히 고 있다. 이를 위해, 페리오는 행동지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이 영화를 통해 호 모폴리티쿠스로서의 관객들이 자신이 만든 영화라는 아고라의 광장에서 스스로 의심하고, 치열하게 토론하길 원한다. 이를 위해 그 스스로가 영화를 통해 여러 가 지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또 우리에게 던진다. 과거 히틀러에 굴종하며 나치즘의 창궐에 일조한 부모세대를 경멸했던, 이 새로 운 젊은 독일의 한 세대가, 베트남 전쟁으로 상징되는 국제사회의 폭력, 이란 전제 군주 방문 반대 집회에서 일어난 경찰의 학생 총격사망 사건으로 대표되는 국가 의 공인된 폭력에 맞서 싸우고자 했던 이 젊은 독일의 한 세대가 왜 그에 대한 대 응방법으로 무장봉기라는 폭력 노선을 선택했는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폭력성 에 대항하며, 노동자의 권익을 대변하려 했던 이 청년들이 왜 무고한 시민들의 인 명피해를 유발했던 각종 테러 등을 감행했는가? 또한, 그 시대 대다수가 침묵함으 로 동의했던, 나치들이 정치범들에게 썼던 심리적 고문에 의한 자살 유도라는 기 술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는, 적군파 리더들에게 가해졌던 심리 고문과 그들의 자살은 또 다른 성격의 국가에 의해 행사된 폭력이 아니었던가? 페리오는 이미 이 와 유사한 질문들을, 2차대전 종전 이후, 나치에 협력했던 프랑스 여인들에 대해 가해졌던 인민재판과 그 과정에서 일어났던 군중의 보복행위를 다룬 작품인 <그 녀들이 범죄자라고 할 지라도>에서 던진 적이 있다. 정의로운 폭력과 불의의 폭력 이 존재하는가? 폭력은 그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 될 수 없는가? 그의 이런 질문들 은 물론 비폭력주의를 주장하기 위함이 아니다. 그는 과거의 문제를 넘어, 동시대 를 살고 있는 우리가 아직도 풀지 못한 이런 문제들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해 볼 것을, 토론해 볼 것을 제안한다. 프랑스의 극작가 라신은 현재의 문제가 가지는 시 사성으로 인해, 토론의 어려움을 겪을 때, 그 문제를 다루는 시대적 배경을 과거로 바꿔 보라고 충고한 적이 있다. 어쩌면, 페리오는 라신의 충실한 추종자일지도 모 른다. 이런 관점에서, 페리오 감독이 이 영화에서 사용한 파운드 푸티지 기법은, 아카이브 이미지들이 원래 제작된 의도와 상황에서 이탈하여, 다른 이미지들과 공존함으로써, 그 초기의 의미들을 잃고, 새로운 의미성을 획득하게 된다는 점에 서, 사건에 대한 새로운 재해석과 의심을 요구하는 감독의 의도를 수행하는 효과 적인 기법이 된다. (조명진)

Having been creating found footage films using films and photos from private or public archives, Jean-Gabriel PÉRIOT has been trying to reflect on the present through the lessons of the history, taking a cautious stance towards oblivion. Through his work, PÉRIOT puts much effort to provide dialectic clues that stand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ruth and lie, and ideology and history. His works shed new light on incidents from the pas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howing how those incidents are still valid in the present, how debates around them can be reignited, and how they make us reconsider incidents in the present time. However, PÉRIO does not try to convince or enlighten the viewers by inserting obvious messages in his work. Rather, his films suggest possibilities of looking at the events of the past through fresh or doubtful eyes, which have been viewed through perspectives that had already been constructed by the mainstream bodies such as the government and mass media that establish historical definitions of certain events. The absence of direct messages and specific directions in PÉRIOT’s film can put the viewers in confusion. Watching PÉRIOT’s films, viewers are asked not to stay in a position of passive consumers who sit on the comfortable sofa in the living room to absorb what they receive from the media but to take a stance of active analysts who make decisions with fragmentary clues presented in front of their eyes. The seventh edition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presents JeanGabriel PÉRIOT’s first feature documentary A German Youth, which evidently displays such characteristics of PÉRIOT’s work. Through this documentary, PÉRIOT

reexamines the Red Army Faction, a radical leftist terrorist organization that insisted the strategy of the urban guerilla warfare. The organization emerged from the afterglow of the ’68 movement and continued its practice until it was officially dismantled in 1998. PÉRIOT arranges footages produced by German and French media, film recordings made by Holger Meins and other students of the Deutsche Film- und Fernsehenakademie Berlin, including previously unreleased footages. They are arranged in a way that resembles an assortment of perspectives that do not mee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its narrative, Une jeunesse allemande focuses on the trace of Ulrike Meinhof, a female journalist and one of the leaders of the Red Army Faction, providing a chronological narrative of the organization. The extreme violence that the Red Army Faction employed – including firebombing of department stores, attacks on newspapers, and abduction and murder of politicians, federal prosecutors, and the president of the employers and industry associations – made the public turn away from them. The West German government’s firm stance towards terrorists, which stated that violence could not be legitimized under any circumstance and there would be no negotiation with terrorists, acquired legitimacy. Even the mysterious cases of suicide of key leaders of the organization were recognized as a way of realizing justice, and they remained as closed cases. Then, why does Pério summons the incident of the past – whose ruling from the trial has already been read out – that seems to have lost its currency from the place beyond the horizon of oblivion? Through the interview, Pério tells that he intended not to produce a film for struggle but a film that was political. To realize this, Pério wants not to convey the rules of action but to provide a ground for the viewers to doubt themselves and engage in a strong discussion in the agora that is the documentary that he has produced, playing the role of homopoliticus. For the sake of such purpose, the director raises many questions to himself and us the viewers through this film. Why did a new young generation of Germany who wanted to fight the viole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ymbolized by the Vietnam War, and the state violence, manifested in the shooting of a student by the police at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visit of an Iranian autocrat to Germany, select a violent means of an armed uprising as their response to such violence? They were the generation that despised their parents’ generation who had surrendered to Hitler and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Nazism. Why did these young people that hoped to resist the violence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and represent the rights of workers took on terrorism that caused loss of lives of innocent people? In addition, were the psychological torture and the resulting suicides of the leaders of the Red Army Faction, which were known to have been inspired by the Nazi’s technique of inducing suicide upon psychological torment, a technique that most people at the time gave their consent by being silent, not another kind of state violence practiced by a state with a different nature? PÉRIOT raised similar questions in a short movie Even If She Had Been A Criminal..., which was about the people’s cou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against French women who had sympathized with the Nazi and the mass retaliation against them. Are there just violence and unjust violence? Is violence unable to be justified under any circumstance? Of course, the questions that PÉRIOT raises are not about asserting the doctrine of nonviolence. What he suggests is that we – as people living in the contemporary world beyond the problems of the past – reflect on and discuss such unresolved issues once again. A French playwright, Jean Racine, once said that one would change the setting of a contemporary concern to the past if there were any problem in discussing the issue due to its topicality. Maybe, PÉRIOT is a devoted follower of RACIN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echnique of using found footages in Une jeunesse allemande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perform the director’s intention to reinterpret and question incidents that have happened. It is so with regards to the fact that the images from different archives lose their initial meanings and acquire new meanings by coexisting with other images after breaking away from the original intention and situation. (CHO Myou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39


Art and Docs

Art and Docs

히믈러 프로젝트

Germany | 2000 | 182min | DCP | Color Director 로무알트 카마카 Romuald KARMAKAR

The Himmler Project

로무알트 카마카 Romuald KARMAKAR Filmography

Staff

The Himmler Project (2000) Villalobos (2000) Hamburg Lectures (2006) Between the Devil and the Wide Blue Sea (2005) Land der Vernichtung (2004)

DIRECTOR l Romuald KARMAKAR CINEMATOGRAPHER/EDITOR l Bernd NEUBAUER, Werner PENZEL, Florian SÜßMAYR

Program note 동시대 독일영화감독들 가운데 가장 비타협적인 인물이라 할 로무알트 카마카는 쉬이 범주화되기 힘든 독특한 작업들로 예민한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한편 격 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함부르크 강연>(2006)과 더불어 그의 가장 대 담무쌍한 작품으로 꼽히는 극단적인 ‘ 낭독의 영화’<히믈러 프로젝트>(2000)만큼 이나 철저하게 카마카다운 영화도 없을 것이다. 카마카는 나치 독일의 2인자였던 하인리히 히믈러가 1943년 10월 4일 폴란드의 포즈난(독일어 명칭은 포젠)에서 92명의 나치 친위대(SS) 장교들에게 행한 연설, 무엇보다 유대인절멸계획에 대한 언급으로 악명 높은 그 연설을 영화의 소재로 취했다. (이 연설은 비밀리에 행해진 것이었지만 전체가 녹음 및 보존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영화의 아이디어 는 단순하다. 단색의 배경막 앞에 강연대만이 덩그마니 놓인 세트에서 한 명의 배 우(만프레드 자파트카)가 히믈러의 연설 녹음자료를 토대로 작성된 원고를 처음부 터 끝까지 낭독하는 것이다. (3시간에 달하는 영화의 상영시간은 히믈러가 실제로 연설했던 시간과 거의 같다.) 사실 자파트카는 텍스트를‘ 낭독’ (reading)한다기보 다는 (매우 이례적인 방식이기는 해도) 분명 그것을‘연행’ (performing)하는 배우

14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로서 - 하지만 히믈러라는 배역을 연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카메라 앞에 서 있 는 것처럼 보인다. 간헐적으로 쇼트의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카메라는 낭독 중인 자파트카의 얼굴을 그의 눈높이에서 포착하는 데 집중한다. 그런데 히믈러의 연 설 도중 청중이 보인 반응(가령 웃음소리)이 자막으로 제시되는가 하면, 연설 도중 말의 중단이나 실수까지도 가감 없이 드러나고, 행사장의 보안이 제대로 지켜지 지 않고 있음을 안 히믈러가 잠시 연설을 중단하고 부하들에게 내리는 지시 또한 고스란히 낭독되는 등, 연설 자체를 재연하려 하기보다는 연설 녹음자료의 시청 각적 분석을 통해 연설의 정황을 읽어 내고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진다. 쇼 트의 변화는 연설의 토픽이 미묘하게 전환되는 경우나 히믈러가 청중 가운데 누 군가를 바라보며 지목하는 경우 - 이때 카메라는 그 청중의 시점에서 앙각으로 히 믈러를 올려다본다. - 에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러한 변화에 대한 기 대 및 예측과 결부된 서스펜스는 대단히 강렬해지며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관객 은 그 의미와 이유를 숙고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영화를 보는 이라면 다음과 같은 물음을 던져볼 법도 하다. 이것을 제1차 포젠 연설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재

구성한 미니멀리즘적 픽션으로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연설 녹취록의 낭독이라고 하는 사건을 기록한 다큐멘터리로 간주해야 하는가? 이 물음을 픽션과 다큐멘터 리 간 경계의 모호함이라고 하는 (이제는 벌써 진부하게 느껴지는) 오늘날 널리 퍼 진 담론의 맥락에서 파악하려 드는 건 쓸모없는 일이다. <히믈러 프로젝트>는 하 나의 거대한 픽션을 해부하기 위해 마련된 시청각적 실험실이다. 여기서 거대한 픽션이란 히믈러가 연설에서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바, 나치 친위대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가운데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의 틀을 완전히 다시 짜는 것이다. 통상 히믈러의 연설은 3시간에 달하는 전체 가운데 유대인절멸에 관한 5분 남짓 한 부분만이 강조되고 거듭 인용되어 왔는데, 카마카는 우리로 하여금 그것을 제3 제국의 거대한 픽션이라는 맥락 속에서 다시 살펴보게끔 한다. 카마카의 집요한 시청각적 분석을 따라 히믈러의 연설을 주의 깊게 살피다 보면,‘ 히믈러 프로젝 트’ 가 비단 나치즘 시기에 국한된 과대망상증적 픽션이라기보다는 오늘날까지도 독일을 사로잡고 있는 픽션이기도 하다는 점을 깨닫고 놀라게 된다. 2000년에 <히 믈러 프로젝트>가 첫 공개되었을 때 이 영화는 사뭇 예언적으로 비쳤을 것이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지금, 히믈러의 발언은 독일 주도 하의 유럽연합 체제를 좌 지우지하는‘메르키아벨리즘 ’(울리히 벡)과 소름끼치게 공명하는 것으로 비친다. 즉, 카마카는 이미 화석화되고 진부한 방식으로만 언급되는 역사적 도큐먼트를 온전히 치밀하게 다시‘ 읽는’ 과정을 통해 어떻게 동시대의 이슈에 개입할 수 있는 지를 놀랄 만큼 단순한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픽션이나 다큐멘터리, 혹은 에세 이 영화 같은 용어들에 얽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를 시청각적 문헌학(audiovisual philology)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카마카는 9.11 테러범들에게 영향 을 준 것으로 알려진 이슬람교 지도자 모하메드 파자지의 2개의 강연 녹음자료를 토대로 한 <함부르크 강연>에서 (다시 한 번 배우 만프레드 자파트카와 함께) <히 믈러 프로젝트>에서 실험한 방법론을 더 밀고 나가게 된다. 이들 작업은‘낭독’ 이 라는 행위가 전면화된 정치적 미학을 실험했다는 점에서 이따금 장-마리 스트라 우브와 다니엘 위예, 혹은 카마카의 영화적 스승인 알렉산더 클루게의 몇몇 작업 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원래의 텍스트에서 잠재적 의미를 끌어내거나 다 른 텍스트와의 병치를 통해 새롭게 가능한 의미를 더하는 그들의 작업과 카마카 의 작업을 나란히 놓는 것은 적절치 않다. 히믈러의 연설이나 파자지의 강연 같은 오명의 텍스트에 이끌리는 카마카는 무엇보다 그러한 텍스트들을 내파시키는 데 서 자신의 정치성을 발견한다. (유운성)

Romuald KARMAKAR deserves to be called as the most uncompromising figure in among contemporary German filmmakers. With works that cannot be easily categorized, he captivated the eyes of sensitive viewers while causing fierce debates on his practice. Considered the most audacious among his films along with Hamburg Lectures (2006), The Himmler Project(2000), an extreme ‘film of a speech,’ can be regarded as a work that thoroughly shows the essence of KARMAKAR’s practice. The subject KARMAKAR takes in The Himmler Project is a notorious speech by an SS leader Heinrich HIMMLER, which took place on October 4, 1943, in Pozen, Poland. The speech was given before 92 SS officers and mentioned a plan to exterminate the Jewish people. (Although the speech was secretly made, a recording of the whole speech was made and remains until today.) The idea of the film is simple: an actor (Manfred ZAPATKA) reads out the whole transcript of HIMMLER’s speech in a set where there is a platform in front of a backdrop in a single color. (The running time of the film, which is about three hours, is almost identical to the actual duration of HIMMLER’s speech.) Indeed, ZAPATKA seems to be standing in front of the camera as an actor who is ‘performing’ (although it is done in a very exceptional way) – he is not playing the character of Himmler – rather than ‘reading.’ Although there are intermittent changes of shots, the camera focuses on capturing the face of the actor on an eye level while he

reads the speech. Then, the film emphasizes different attempts to comprehend and reconstruct the context of the speech through audiovisual analysis of the recording, not merely presenting a reenactment of the speech: the reaction (i.e. laughter) of HIMMLER’s audience is present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subtitle; the actor performs HIMMLER’s halts and mistakes during the speech; and the actor reads what HIMMLER told to his subordinates after he realized that the security of the venue was not adequate. Since the camera changes the shot only when there are minute changes in the topic of the speech or when Himmler looks at certain person among the audience and points him out – the camera then looks up towards Himml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the suspense attached to the expectation and speculation towards such change becomes very intense, and the viewers of this film cannot help but 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reason of such change whenever it happens. In this sense, one might ask the following question to watch this film: can this film be regarded as a minimalistic fiction that reconstructs a historical event that is HIMMLER’s speech in Pozen or a documentary that records an event that is a reading of the transcript of the speech? It would be useless to understand the question in the context of ambiguity between fiction and documentary, which is a prevalent discourse (that already feels banal) in recent years. The Himmler Project is an audiovisual lab that is established to dissect a grand fiction. Here, the grand fiction indicates what HIMMLER actively describes in his speech, which is a complete reset of Europe with Germany at its center in which the SS plays a leading role. Although the speech given by HIMMLER continued for about three hours, the part that has been repeatedly cited is the only five minutes or so where he mentioned the extermination of the Jews. What KARMAKAR does is to induce us to reexamine it under the context of a grand fiction generated by the Third Reich. Following KARMAKAR’s meticulous audiovisual analysis of Himmler’s speech, one realizes and is surprised by the fact that what is depicted in The Himmler Project is not a megalomaniac fiction that was limited to the era of Nazism but a fiction that continues to fascinate Germany. When The Himmler Project was released in 2,000, it might be seen as predictive. After fifteen years since the initial release of the film, it seems that HIMMLER’s speech terrifyingly resonates with the ‘Merkiavellism’ (as Ulrich Beck mentioned) that controls the European Union under the lead of Germany. In short, in a surprisingly simple way, KARMAKAR shows how a process of an elaborate and thorough ‘reading’ of a historical document - a document that is already fossilized and mentioned only in stereotypical ways - can involve contemporary issues. If we are not confined to terms such as fiction, documentary, or essay film, it might be possible that we call KARMAKAR’s methodology an audiovisual philology. In Hamburg Lectures, KARMAKAR pushes the methodology he experimented with in The Himmler Project further (again with the actor Manfred ZAPATKA). Hamburg Lectures is based on two transcripts of sermon lectures by Imam Mohammed FAZAZI who is known to have influenced the terrorists of the 9/11 attacks. KARMAKAR’s The Himmler Project and Hamburg Lectures are often compared to some works by Jean-Marie STRAUB and Daniele HUILLET or works by KARMAKAR’s cinematic mentor Alexander KLUGE in their experiment of the aesthetics of politics where the act of ‘reading’ is put forward. However, it is not right to compare KARMAKAR’s practice with the works by Alexander KLUGE or JeanMarie STRAUB and Daniele HUILLET where the directors draw potential meanings from the existing text or add new meanings by juxtaposing the existing text and other texts. KARMAKAR, attracted by the notorious texts such as the speech by HIMMLER or lectures by FAZAZI, finds his political nature in imploding such texts through his practice. (YOO Un-seong)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41


Art and Docs

Art and Docs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

Germany | 1988 | 75min | DCP | Color/B&W Director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베스터보르크 수용소

Germany/Netherlands/Korea | 2007 | 40min | DCP | B&W Director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Respite

하룬 파로키 Harun FAROCKI Filmography

Staff

Staff

Respite (2007) Workers Leaving the Factory (1995) Videograms of a Revolution (1992)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1988) Between Two Wars (1978) The Inextinguishable Fire (1969)

DIRECTOR/SCRIPT l Harun FAROCKI CINEMATOGRAPHER l Ingo KRATISCH EDITOR l Rosa MERCEDES SOUND l Gerhard JENSEN, Klaus KLINGLER

DIRECTOR/PRODUCER/EDITOR l Harun FAROCKI COLLABORATION l Antje EHMANN, Christiane HITZENANN, Lars PIENKOß, Matthias RAJMANN COMMISSIONED AND FUNDED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ogram note 세계의 이미지와 하룬 파로키의 각인 영화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 2차 대전 이후 모더니즘의 정신은 예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들로 촉진되었다. 영화의 근원적 속성들에 대한 성찰. 사유에 대한 사유. 누벨바그와 뉴 저먼 시네마를 아우르는 유럽의‘아트 시네마’ , 시네마 베리테와 디렉트 시네마, 뉴 아메리칸 시네마, 이들을 중심으로 쓰인 모더니즘과 영화의 역 사적 궤적을 관통했던 원동력이자 원심력은 영화에 대한 성찰이다. 명백하게 말 하건데, 하룬 파로키는 이 궤적을 이끈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때이른 작고 이후 일 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의 성과는 더욱 강하게 빛을 발한다. 아마도 오늘날 그의 비전이, 방법론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기 때문일 게다. 영화란 무엇인가? 모더니즘의 정점에서 사유의 중심이 되었던‘ 매체 ’ 라는 개념이 영화를 형식주의

14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적인 태도에 가두었다면, 그 한계를 보여주고 극복의 단초들을 제안한 영화인이 파로키다.‘영화’ 에 대한 성찰을 머나먼 지평으로 견인한 행동주의자. 그래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 연구자이자, 이미지의 탐험가. 60년대 작가주의의 영향에 따라 작품의 ‘구성 ’ 이나 ‘ 형식’ 을‘분석’ 하고‘미장센’ 을 탐미하고‘작가론적’ 인 맥락에서‘ 메시지’ 를 파악하려 한다면, 우리는 이미 그가 이끈 영화의 진화로부터 도태된다. 그가 말하는‘영화’ 는 검은 방 속의 평면적 이 미지가 아니다. 그것은 역사를 바라보는 방식이며, 역사 속의 방식이다. 질문의 방 식이며, 방식의 질문이다. 영화란 무엇인가? “ 진공청소기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하는 한 노동자가 아내에게 선물하기 위해 매 일 부품 하나씩을 훔쳐왔다. 집에서 조립해 보니, 기관총이 되었다. 이 공장에서 기관총을 만든다는 정보를 입수한 한 운동권 학생이 노동자로 위장, 회사에 잠입

하여 결정적 증거를 포착하기 위해 매일 부품 하나씩을 훔쳐왔다. 집에서 조립해 보니, 진공 청소기가 되었다.” 초기작인 <꺼지지 않는 불(Nicht löschbares Feuer)>(1969)에서 묘사되는 상황은 오락거리 혹은 예술매체로서의 영화가 가진 태생적 정체성이 제국주의의 군사적 열망과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산업화된 이미지의 제작과 유통 체계에서 무 엇이‘ 이롭고’무엇이‘ 폭력적’ 인지, 무엇이 ‘ 예술’ 이고 무엇이 ‘ 무기’ 인지를 구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무의미하다. 둘은‘인연 ’ 을 맺고 있는 게 아니라 본질적으 로 같은 것인 게다. 형식적 맥락에서 본다면, 그의 초기작들은‘ 저항 영화 ’ 가 아니다. 젊은 파로키에 있어서‘ 영화’ 를 도구로 삼는 순혈주의적‘저항’ 은 모순일 수밖에 없었다. 영화를 도구로 삼아 이미지와 언어를 통해 체제를 비판하고 역사 속의 부조리를 고발하 는 것은 제국주의의 논리를 재생산하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다. 영상은 역사의 궤적 속에서 권력과, 폭력과 결탁해왔다. 사진과 영화의 감각과 논

리는 인간성을 말살하는 도구로써 꾸준히 활용되어 왔다. 이번에 DMZ영화제에서 소개되는 두 편의 영화,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Bilder der Welt und Inschrift des Krieges)>(1988)과 <베스터보르크 수용소(Respite)>(2007)는 이러한 그의 관점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두 작품에서 파로키는 저항의 새로운‘ 영상언어’ 를 개발하지 않는다. 가해자의 위치에서, 폭력적 주체의 위치에서 바라보는 현실 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그들의 관점에 관객의 위치를 동일시시킨다. 폭력의 논리를 재전유한다. 2차대전 중에 나치가, 그리고 미국 정부가 유태인수용소를 기록한 행위는 그 어떤 오락영화보다 영상의 기능과 작동 방식에 대한 결정적 단서가 된다. 카메라라는 장치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이를‘ 이미지’ 로 만들고 유통, 전람하는 방식에 총 체적으로 폭력의 역사가 개입되어 있는 것이다. 폭력과 전쟁은 영화의 유전자다. 곧 삶의 일부다. 전쟁은 이미지에, 역사에‘새겨져(inscribed) ’있다.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43


Art and Docs

<베스터보르크 수용소>는1944년 네덜란드 베스테르보크(Westerbork)에 세워진 유태인 수용소의 모습을 기록한 영상들을 그대로 재활용한다. (슬라이드쇼처럼 기 본적인 정보만을 전달하는 간자막은 형식적 혁신을 철저하게 자제한다.) 기록 영 상은 우리가 상상하던 수용소의 현실과는 대조되는 평안한 일상부터 담고 있다. 흥겨운 음악회가 열리고 마당에선 여성들이 율동을 한다. 우리는 의뭉스런 시선으 로써 비극적 역사의 단상들을 지켜보는 동안 질문으로 이어진다. 이는 누구의 시 선인가? 어떤 관점인가? 자막들에 따르면, 이‘ 영화 속 영화 ’ 를 촬영한 기사는 루돌프 브레스라우어 (Rudolf BRESLAUER). 수용소에 수용되어 있었던 유태인이며, 결국 죽음을 당한 희생자다. 하지만 이미지는 단지‘ 피해자’ 의 관점만을 담지 않는다. 파로키는 이 이미지들이 나치친위대 장교 알버트 게메허(Albert GEMMEKER)의 명령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밝힌다. 영화를 성립시킨, 오늘날 우리의‘ 목격’ 을 가능케 하는 태 생적 근원은 가해자의 의도인 것이다. 이미지의 관점은 궁극적으로 가해자의 것 인 게다.‘ 영화’ 를 성립시키는 논리라는 것은, 가해와 피해, 폭력과 무고함의 이분 법적 양립을 와해시키는 과격한 것이다. 그것이‘ 영화 ’ 의‘폭력’ 이다. 모든 영화의 태생이자 필연. 우리는 이 폭력적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불편함을 떠안아야 한다. 불편한 동 일시는 계속해서 말없이 우리를 끌어들인다. ‘ 역사’속으로. 영화의 딜레마 속으 로. 관람객으로서 우리가 맞아야 하는 모순적 운명 속으로. 파로키는 기록에 남은 작은 디테일들로써 그 기록 자체의 정황적 맥락들을 추리 한다. 그 추리의 과정에 우리를 동참시킨다. 아우슈비츠를 행해 출발하는 기차 속 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아이는 손을 흔든다. 여행가방에 적힌 작은 글씨는 날 짜를 알린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 결국 집요한 관찰이 유도하는 바는 지식의 완 성이 아니라 철저한 부조리다. 놀랍게도 기차가 떠나는 장면은 상호텍스트적인 연결점을 생성한다. 역시 홀로코 스트를 다뤘던 알랭 레네(Alain RESNAIS)의 <밤과 안개 (Nuit et brouillard)>(1955) 에서도 나타났었던 유태인 소녀가 닫히는 기차 문 사이에 가까스로 얼굴을 드러 낸다. 레네의 장면에서 몰랐던 새로운 정황이 있다면, 이‘ 피해자’ 의 이미지 역시 ‘ 연출’되었으리라는 것. 영화는 우리의 시선과 지식을 교란하는 폭력이다. 우리 가 역사의 기록을 통해 지식을 축적한다고 생각하면 그것은 악마적 교만이다.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에서 파로키는 1944년 연합군이 촬영한 독일 산 업시설들의 이미지를 불러온다. 그것은 폭격의 임무와 더불어 목표지점들을 촬영 하라는 임무를 맡은 폭격기 조종사들이 남긴 사진들이다. 이 사진들에 파로키는 이미지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속성을 행동으로써 가한다. 분석과 측정이다. 사진의 기원적 의미는 세상을 재현하는 하나의 고정된 관점을 설정함에 있다. 파 로키는 이것이 곧 오늘날 전쟁의 논리임을 제안한다. 르네상스의 투시법으로부터 경찰의 몽타주 합성술, 항공 시뮬레이션과 화장술에 이르기까지, 이미지의 정치 학은 관찰의 대상에 대한 분석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사진과 영 화의‘ 매체적’속성은 이로부터 절대 자유롭지 않다. 놀랍게도 항공 이미지들에 우연히 포착된 것은 유태인 수용소다. 이것은 촬영을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by Harun FAROCKI What is a film? What is art?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e spirit of modernism has been promoted by basic questions on art, like a reflection on the fundamental nature of film and contemplation of thought. Reflection on films is the driving and centrifugal force that has pushed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modern film that was mainly formed by ‘Art Cinema’ of Europe, which covered La Nouvelle Vague and New German Cinema, Cinema Verite and Direct cinema, and New American Cinema. To state clearly, Harun FAROCK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lmmakers lea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film. At this one-year anniversary of his sudden death, his achievements shine more strongly than ever. This is maybe because today his vision and methodology are needed more than ever.

14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rt and Docs

했던 폭격기 조종사도, 당시에 사진을 다루었던 분석가도 간과했던 사실이다. 이 미지는 보는 사람의 시선과 지식이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의미를 달리한다. “ 우리는 언어를 경계하듯 이미지를 경계해야 한다. 이미지와 언어는 담론, 즉 의 미들의 망으로서 직조된다. 내가 할 일은 이미지를 정체시키고 있는 파편들을 치 우고 은폐된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다.” 파로키는 제국주의의 맥락에서 성립되었던‘사진적 태도’ 를 그대로 재전유 (détournement)한다. 폭력의 맥락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에 분석과 측정을 가한다. 이 미지를 확대하고 디테일을 세밀하게 응시한다. 폭력의 논리로써 폭력을 바라보기. 어쩌면 폭력적 권력에 대한 순수한 의미로서의 전복이란 불가능하다. 전존적인 시스템의 내부에서 시스템으로부터 단절되고 독립된 진공 상태를 상상한다는 것 자체가 논리적으로 모순이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가 말 한대로 ‘ 재전유’ 는 자본주의의 막강한 권력 속에서 유일하게 남은 저항의 전략일지도 모 른다. 1960년대부터 파로키는 그것을 간파하고 있었다. 파로키의 작품연보가 축적되어온 지난 40년 간, ‘ 영화’ 라는 장치는 무궁한 변화를 겪어 왔다. 캠코더와 폐쇄회로 카메라, 컴퓨터 그래픽과 가상현실에 이르기까지, ‘영화’ 의 궤적은 필름과 카메라 등의 물질적인 기반을 훌쩍 초과해버린지 오래 다. 현실을 재현하고 이미지를 유통하는 기술과 방식은 무궁무진하게 다층화되었 다. 일상의 작은 구석으로부터 역사의 거대한‘획’ 들 속에, 혁명과 전쟁의 현장에, 삶의 모든 방식과 생각 속에, 영화는 전존한다. 늘 작동하고 있다.‘ 장치’ 로서. ‘기술 ’ 뿐 아니라 개인과 개인이 관계맺는 방식, 개인과 제도가 관계맺는 방식, 개 인과 영화가 관계를 맺는 방식이 바뀌었다. 역사를 서술하는 방식이 바뀌고 역사 자체가 바뀌었다. 사유하는 방식이 바뀌었고, 그 사유를 소통하는 방식이 바뀌었 다.‘ 이미지 ’ 가,‘ 현실’ 이 달라졌다. 달라지고 있다. 이 역동적인 변화 속에서 여전히 이미지의‘ 미학 ’ 을 고집하는 형식주의와 작가주 의의 거대한 무덤으로부터 자유로운 작가는 절대 많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파로 키의‘ 영화’ 는 더욱 중요하다. 사유이자 노동. 역사에 대한 비평적 성찰이자, 역사를 만드는 도구. “ [미국이 베트남에서 무기로 사용한] 고엽제를 어떻게 행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까? 고엽제에 의한 신체손상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 고엽제 화상 사진을 보 여준다면, 당신은 눈을 감을 것이다. 먼저 사진에 대해 눈을 감을 것이고, 기억에 대해 눈을 감을 것이다. 그리고 진실에 대해 눈을 감을 것이고 전체 맥락에 대해 눈을 감을 것이다.”(<꺼지지 않는 불> 중) 그는 이미지의 딜레마에 대해 어떤 행동을 남겼는가? 즉, 영화란 무엇인가? 그의 질문들은 여전히 유효하다. 아니, 우리는 질문들을 역사화하는 방식들을, 유효성을 창출하는 방식들을, 그로부터 배웠다. (서현석)

What is a film? If it might be said that the concept of media that wa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peak of modernism confined film within a formalistic attitude, it is Harun FAROCKI who presented its limits and offered a clue to overcome it. He was an activist who expanded the reflection on film to the far horizon, a researcher who presented why it should be done, and an explorer who sought images. If we try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form of a film, examine its mise-enscène, or catch its message under the influence of the auteurism of the 1960s, we will fall behind the evolution of film that he led. The film he referred to is not a flat image on a black screen. It is a way to view history and a way into history. It is a way of asking a question and a question of a way. What is a film? “A laborer who works at a vacuum cleaner factory seals out a part of a vacuum

cleaner everyday to give it to his wife as a present. When he assembles it at home, it becomes a machine gun. A student activist obtains information that the factory produces machine guns and disguises as a laborer to work there to find decisive proof. After he starts working there, he steals a part out each day, and when he assembles all of the parts, it makes a vacuum cleaner.”

that we did not know in RESNAIS’s film, it must be that the image of the girl must also have been directed by the Nazi commander. Films are a type of violence that disturbs our view and knowledge. If you think that we accumulate knowledge through the records of history, this is an evil arrogance.

The situation described in Nicht löschbares Feuer (1965), one of his films in his early period, shows that the inherent identity of a film, which is an entertainment or an art medium, cannot help but be separated from the military aspiration of imperialism. In the industrialized imag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t is hard to tell which is good, which is violent, which is art, and which is a weapon. It is meaningless. These two aspects of film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re essentially the same.

In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FAROCKI uses the aerial footage of the Germany industrial plant, IG Farben, filmed by the Allied Forces in 1944. These photographs were left by fighter pilots who took charge of filming their target practice as well as their bombing missions. FAROCKI added to the photographs an analysis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that involve the origin of an image.

In the context of form, his early works are not resistance films. For a young FAROCKI, ‘resistance’ in the type of pure-bloodism that uses film as a tool could not help being a contradiction. This is the same as the reproduction of the logic of imperialists in which filmmakers use film as a tool to criticize a regime or report absurdities in history through its images and words.

The origin of photography is related with setting a fixed view to represent the world. FAROCKI thought that this is the logic of today’s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naissance to the montage pictures of the police, air simulation, and make-up simulation, the politics of an image are made by setting up a system to analyze an object. The nature of photography and film as media is never free from this.

Films have colluded with power and violence in history. The senses and logic of photography and film have been steadily used as tools to demolish humanity. The two films that are introduced in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1988) and Respite (2007) clearly show his view of this.

Astonishingly, a Jewish concentration camp, too, was caught in these aerial photographs by chance, which was a fact that was ignored by both the pilots who took the images and the analysts who dealt with them. An image has different meaning according to its viewers and their own knowledge.

Like in his other works, FAROCKI did not develop a new ‘image language’ for these two works. In the position of an attacker, the two works present reality as it is and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to the view of the attacker. The works re-appropriate the logic of violence. The footage that the Nazis and US government took of Jewish concentration camp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offers a decisive clue for the function and work of a film than any other entertainment film. The history of violence was generally intervened in the ways of seeing the world through a camera, making the world seen through a camera an image, and distributing it. Violence and war are genes of a film. They are part of our lives. War has been inscribed in images and history. For Respite FAROCKI reused footage recording the Jewish concentration camp built in Westerbork, the Netherlands in 1944 as it is. (The insertion of on-screen commentary, which offers basic information like a slide show, thoroughly restrains any formal revolution.) The documentary contains comfortable days that are different from a war camp that we usually imagine; a pleasant music concert was held and women danced in the yard. While watching the footage of the tragic history with a doubtful stare, we get to ask the questions: With whose eye was the film shot? And what view does the film adhere to? According to the commentaries, the person who took the footage inside the film was a Jewish inmate of the camp, Rudolf BRESLAUER, who was eventually killed there. But the footage does not contain only the view of the victims. FAROCKI disclosed that it was commissioned by one of the camp’s Nazi commanders, Albert GEMMEKER. The root that triggered the film to be made in order for us to see it today was the intention of the assailant. The viewpoint of the footage is ultimately that of the assailant. The logic that forms a film violently collapses the dichotomous categorization of doing harm and being harmed, and of committing violence and suffering violence. This is ‘violence’ of a film, and the origin and necessity of all films. We must embrace the discomfort in which we see hi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violence. The unconformable identification keeps drawing us silently to history, to the dilemma of film, and to the contradictory fate that we must accept as viewers. FAROCKI reasons the circumstantial context of the footage with its small details. And he gets us to join the process of this reasoning. Innocent kids on a train departing for Auschwitz wave their hands, and the small letters on a bag let us know the date. The devil is in the details. Eventually, what this tenacious observation induces is not the completion of knowledge but a thorough irrationality. Surprisingly, the scene of the train leaving the platform produces an inter-textual point. The Jewish girl who appeared in Nuit et brouillard (1955) by Alain RESNAIS – a film that dealt with the Holocaust of the Nazis – narrowly reveals her face between the closing doors of the train. If there is a new circumstance

“We must caution against images like against words. Images and language are knitted into networks of images. What I do is purify such images, take away their fragments, and find hidden meanings.” FAROCKI conducted détournement (re-appropriation in English) of the photographic view that was formed in the context of imperialism. He analyzed and measured images that had been taken in the context of violence. He expanded them and stared at their details minutely: looking at violence in the logic of violence. Maybe, in terms of a pure concept, subversion itself is impossible for a violent power. It is logically contradictory to imagine that a part of a system is in a vacuum state within the existing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that is cut off and independent from the system. As the American art critic Rosalind Krauss said, reappropriation might be the only remaining strategy of resistance in the immense power of capitalism. FAROCKI already saw through this in the 1960s. For the last 40 years when FAROCKI filled his chronological list with various works, film has gone through countless changes. While the trajectory of film has already transcended movie film and cameras for a long time, we have seen the appearance of camcorders, CCTVs, computer graphics, and visual reality. The technologies and types that reproduce the reality and distribute images have been inexhaustibly diversified. Film is ubiquitous in a small corner of a person’s daily life, a huge event of history, scenes of revolution and war, and all of the ways and thoughts of people’s lives. It is always working as a device. We’ve also seen changes in the way individuals relate to each other, the way an individual relates with an institution, and the way a viewer relates with a film. And the way to record history has been shifted and history itself has been changed. The manner of thinking and the way of exchanging thoughts have been modified, too. Images and reality have been altered and are being altered. In the era of such dynamic changes, not many filmmakers are free from the huge grave of formalism and auteurism that still stick to the esthetics of images. Because of this fact, FAROCKI’s films are more significant. A film is an idea and labor, a critical reflection on history, and a tool that makes history. “How can I explain with an action the use of defoliants [which the US used as a weapon in the Vietnam War]? How can I show bodily injuries by such defoliants? If I show you these photographs, you will close your eyes. You will first close your eyes to the photographs, to the memory, to the truth, and then to the whole context.” (From Inextinguishable Fire by Harun FAROCKI) What acts did FAROCKI leave for the dilemma of an image? That is, what is a film? His questions are still valid. Actually, we have learned from him the ways that make a question history and produce validity. (SEO Hyun-suk)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45


Art and Docs

Art and Docs

달콤한 시리아

Egypt/UAE | 2014 | 23min | DCP | Color Director 암마르 알벡 Ammar AL-BEIK

La Dolce Siria

Asian Premiere

을 통해 타인의 인생을 체험하는 영화광으로서의 삶이다. <달콤한 시리아>에서 서로 대결의 각을 보이는 두 가지 정체성은 감독을 지탱하는 힘이기도 하다. 이 작 품은 가장 그로테스크한 상상조차도 현실보다는 덜 공포스러운 상황 속에서 예술 이면서 삶의 위안이자, 무기로써 영화가 지닌 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려는 감독 의 시도가 담겨있다. 상황에 걸맞게 재발견된 이미지들로 채워진 다층적 구조는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을 가장 최근까지 영화에 반영하는 기능을 한다. 말 그대로 ‘ 끝없이 움직이는 영화’ 인 셈이다. 감독 개인의 기록과 인터넷, 영화사, TV, 설치미술 등 다양한 소스에서 가져온 이 미지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영화는 형식과 시각적인 병치를 통해 이질적인 상상 력들을 연결한다. 그 과정에서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는 따로 떼어놓을 수 없이 한 데 섞이고, 날마다 생산 혹은 재생산되고 있는 투쟁과 전쟁을 담은 이미지들의 홍 수에 의문을 던진다.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서커스에 대한 무한 애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발췌한 장면들은 이 작품의 기본 구조와 영화적 토대가 되었다. 작품 제목도 1960년대 로 마 상류사회를 생생하게 다룬 펠리니 감독의 <달콤한 인생>에서 따왔다. 하지만 영화가 끝날 즈음엔 이 같은 시네필적인 장치보다 동시대적이고 역사적인 시리아 의 다큐멘터리 자료 화면이 마음속에 더 긴 여운으로 남는다. 다마스쿠스에 있는 이탈리아 서커스와 헬리콥터로 시리아 도시에 수류탄을 떨어트린 군인들이 핸드 폰으로 찍은 흔들리는 영상. 1987년에 소련 우주정거장에서 전 시리아 대통령 하 페즈 알 아사드에게 말을 건넨 시리아 최초 우주비행사. 16mm 볼렉스 카메라를 궁금해하며 발코니에서 놀고 있는 두 아이와 그 아이들 주변으로 들리는 미사일 소리. 그중 한 명은 2살도 채 되지 않았지만, 소리만으로도 알아챈다.“ 스커드 미 사일! ”전쟁이 그 아이가 아는 세계의 전부인 것이다. 하지만 황폐한 절망 속에도 한 가닥 저항의 빛이 보인다. 시리아 혁명 영웅의 아이 콘으로 당당히 이름을 날리고 있는‘아부 타하’ 가 있다. 부서진 하페즈 알 아사드 동상을 향해 보란 듯이 공공연하게 소변을 갈기는 모습을 보라. 아마도 펠리니 마음에 들었으리라. (울리히 지몬스)

암마르 알벡 Ammar AL-BEIK Filmography

Staff

La Dolce Siria (2014) Aspirin wa rassasa (2011) Hadinat al shams (2011) Samia (2008)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EDITOR l Ammar AL-BEIK

Program note 많은 영화에서 그렇듯 서커스는 꿈을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다. 황량한 공터에 설 치된 작은 텐트는 일상으로부터의 탈출을 가능하게 하고, 엄청난 볼거리와 흥분 을 안겨주는 현실 도피처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꿈은 종종 악몽이 되기도 하는 법, 밝은 웃음의 이면에는 즐거운 볼거리를 공포로 뒤덮는 테러나 어둠, 위험, 죽 음의 어두운 그림자가 도사리고 있다. 시리아 출신의 감독이자 개념예술가인 암 마르 알벡의 <달콤한 시리아>는 자국민을 상대로 한 시리아 내전의 끔찍한 폐단 을 표현하는데 이러한 이분법을 사용한다. 이 작품은 감독의 각종 영화제 수상작인 단편영화 <태양의 인큐베이터>(2011)의 후속편이다. 딸의 출생은‘아랍의 봄 ’ 이라 불리는 역사적인 사건에 참여하고 희망 과 유토피아를 꿈꾸게 했다. <태양의 인큐베이터>에서 감독 가족은 TV와 열린 창 문 밖에서 흘러나오는 이집트 무바라카와 아사드 정권에 대항하는 시위와 투쟁의 이미지와 소리에 둘러싸여 있다. 피 묻은 신생아의 몸은 거리로 나온 수많은 사람

14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들이 바쳐야 할 자유의 대가를 암시하는 반면, 출생의 순간을 담은 비디오 영상에 서 밝은 미래의 전조도 느껴진다. 영화가 끝날 무렵, 희망의 기운이 감도는 아래, 감독은 관객의 믿음 대로 거리 시위에 참여하러 집을 나서면서 끈으로 딸을 가슴 에 묶는다. 3년 후, 많은 아랍권 국가에서 희망은 모조리 짓밟힌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많은 부분 힘을 잃었다. 시리아 아사드 정권은 계속되는 내전을 양산했다. 이에 감독은 다시 이야기를 이어나가고, 똑바로 마주하기엔 심히 공포스러운 사실을 영화 속 에서 더욱 기막힌 모습으로 보여준다. 실망과 불신이 낙관론의 자리를 차지하고, 경악에 찬 얼굴들과 충격과 공포에 휩싸인 목소리들이 영화 전반에 흐른다. 감독 은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모국의 최근 역사를 좇아간다.(이 글을 쓰던 2015년 초반에 감독은 독일로 망명했다.) 알벡 감독의 영화는 개인적인 삶에 많은 부분 기대고 있는데 이는 영화적 상상력

The circus, not unlike the cinema, is a potential place of dreams. All it takes is a small tent pitched up on a ragged empty lot, and an escape from the everyday is possible. It is a shelter from reality, offering excitement and spectacle. Yet, dreams are prone to turn into nightmares and there is a seedy undercurrent underneath the shiny, smiley surface–one of terror and darkness, of danger, fear, and death; one in which spectacle turns into horror. In La Dolce Siria, Syrian filmmaker and conceptual artist Ammar AL-BEIK uses this dichotomy in a stunning indictment of the Syrian regime’s war against its own people. The film essay is a follow-up to AL-BEIK ’s 2011 award-winning short The Sun’s Incubator. Then, the birth of his daughter served as a foil upon which to negotiate the hopes and utopias of what has since entered the historical narrative as the so-called Arab Spring. The Sun ’s Incubator shows the filmmaker’s young family surrounded by then current images and sounds of protest and struggle against the Mubarak and Assad regimes in Egypt and Syria, emanating from the TV and seeping in through the open windows of their apartment. Home video footage of the birth becomes a chiffre for a brighter future, while the bloody newborn body functions as an allusion to the price of freedom that many of those on the street will have to pay. Yet, there is genuine hope in the air when by the end, AL-BEIK straps his infant daughter to his chest before leaving his home, heading to join, as we are made to believe, the protestors on the street.

Three years later, many hopes have been dampened, if not crushed, in many parts of the Arab speaking world. In Syria, the Assad regime has pushed the country into an ongoing civil war. This is the status quo as AL-BEIK takes up the thread of his story again, this time giving his film a decidedly more fantastic spin in the face of facts that seem too horrifying to grasp head on. Disappointment and disbelief take the place of optimism: faces looking on in astonishment and voices expressing their stunned, horrified disgust traverse the film, as the filmmaker tries to trace the recent history of his home country through his personal story–which at the time of this writing has led him to Germany, where he was granted Asylum in early 2015. AL-BEIK’s cinema is as much fueled by his own personal life as it is by his life as a cineast–a life lived through other people in the cinematic imaginary. And it is these two poles of his existence that he is pitting against each other in La Dolce Siria. The film is the artist’s attempt to reconcile his faith in cinema as an art form, sanctuary, and weapon, with a situation in which the most grotesque imaginations–cinematic or otherwise–have proven to be less terrifying than what reality has turned into. The film’s multi-layered structure, feeding off of found, rediscovered and appropriated images, is a function of it’s coming into being as a film made in transit, a piece of “cinema on the run“. In its amalgamation of images scraped from various sources–the filmmakers own archive, the internet, cinema history, television, and installation art–the film connects disparate imaginations through a series of formal and visual juxtapositions. In the process, documentary and fiction become intermingled and impossible to tell apart and the claim to truth of the vast pool of images of struggle and war produced and re-produced daily is called into question. Scenes taken from a documentary on Federico FELLINI's infatuation with the circus give the film it’s basic structure and cinematic footing–the film’s title a bitter reference to the Italian director’s lush depiction of Rome’s high society in the 1960s. But rather than its cinephile system of reference, it is the contemporary and historical documentary footage from Syria that stays with the viewer long after the film is over: the Italian State circus in Damascus; shaky mobile phone videos of soldiers dropping makeshift bombs on a Syrian city from a helicopter; the only Syrian cosmonaut in history talking to former president Hafiz AL-ASSAD from a Soviet space station in 1987; Russian built SCUD rockets piercing the sky above Damascus; two children playing on a balcony, trying to figure out the workings of a Bolex 16mm film camera, rockets being heard in the background: Despite his age–he cannot be older than 2–one of the boys identifies the sound by name: ”SCUD!” War is all he knows. Amid the devastation and hopelessness remains, however, a glimmer of defiance: Enter, Abu Taha, a somewhat iconic hero of the Syrian revolution, proudly relating his claim to fame: Publicly defacing a torn down statue of Hafez AL-ASSAD–by peeing on it. FELLINI would have liked him. (Ulrich ZIEMONS)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47


Art and Docs

Art and Docs

그리고 이미지가 응시하는

Netherlands | 2014 | 10min | DCP | B&W Director 벨리트 사흐 Belit SAGˇ

and the image gazes back 한 장의 사진을 보여주며 다시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이제까지 어떤 이미지들 을 보존하였는가? 이 사진은 1989년 루마니아 혁명 당시 시인 미르체아 디네스쿠 와 그의 동료들이 방송국 스튜디오에서 인민의 승리를 알리는 생중계 장면을 떠 올리게 한다. 카메라 앞에 위치한 민중들의 제스처와 표정,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 한 인물의 포즈는 사실, 부르키나 파소의 민중혁명을 재현한 이미지이다. 역사는 다름아닌 이미지로 기억되고, 그 이미지들이 재구성한 파편화된 이야기를 배열한 다. 2014년 10월 31일, TV 화면을 통해서 보여지는 부르키나 파소의 민중혁명은 어떠한 의미도 지시하지 않는, 그들만의 삶과 죽음일 뿐이며, 현실은 극도로 물리 적인 실재이며, 단지 사건만을 보여줄 뿐이다. 10분 짜리 이 싱글비디오 작품은 부르키나 파소와 루마니아, 미국영화 <뜨거운 오후>와 1972년 8월, 뉴욕 부르클 린 은행 강탈사건, 1981년 2월, 스페인 군부 쿠테타와 프랑스 코미디 혹은 핑크팬 더 시리즈, 알레고리적 의미작용과 물리적인 실재, 기호체계와 해석, 그리고 리얼 리티와 허구의 은밀한 교류를 통해 이미지의 가시성과 재현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지식과 권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탐험하고 있다. 벨리트 사흐는 여기 혹은 저 기 있는 잉여의 이미지와 언어를 다시 위치 짓는 작업 방식으로 이미지의 정치 적·사회적 담론을 환기시킨다.

벨리트 사흐 Belit SAGˇ Filmography

Staff

And the Image Gazes Back (2014) Lost (2014) ‘You Loved Her’ (2013) ‘Thank You’ (2012) First Day of Superman (2012) Absences (2010)

DIRECTOR/EDITOR l Belit SAGˇ SOUND l Melih SARIGÖL

Program note 2014년 겨울, 오전, 암스텔 강가를 따라 걷는 동안 어떤 이미지를 떠올린 듯 하다. 사실 무심히 걸으며 오후의 싸늘한 북유럽풍의 바람과 암스테르담을 가로지르는 전동차의 녹슨 철로의 한기 때문에 고개를 움츠렸을 뿐인데도 말이다. 이윽고 라 익스 뮤지엄에 도착하고 굳게 닫힌 문이 열리기 전까지 그 이미지를 다시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선명하지는 않지만 강렬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던 그 이미지는 분 명 내가 방문하게 될 수 많은 방들 중 하나의 이미지였을 것이다. 미로와도 같은 건물의 복도를 따라 즐비하게 연결되어 있는 전시공간을 들락날락하면서 머무르 게 된 하나의 공간, 1838년 혹은 1839년 파리에서 찍은 한 장의 사진을 가리키는 손가락은 흐릿하게 보이는 인물을 지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비디오아트의 작가인 벨리트 사흐의 내레이션이 들린다:“ 이미지와 연관된 어떠한 사실도 여기서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 같다.”이어서 ISIS에 의해 숙청을 당한 미국인 기자 제임스 폴리 에 관한 기사를 언급하면서 폴리의 사형집행 장면과 1995년 미국영화 <세븐>의 마지막 장면을 비교하기 시작한다. 노란 빛깔의 사막 배경과 오렌지색 점프 수트,

14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그리고 검은색 복장, 카메라의 각도와 그림자를 언어적으로 지시하면서 두 장면 의 색감과 각도, 음영화된 이미지를 번갈아 보여준다. 그리고 손가락이 지시했던 첫 번째 이미지로 돌아온다. 작가는 이미지에 포착된 인물이 아닌 이미지로부터 달아난, 혹은 셀룰로이드 유제층에 은폐된 움직이는 대상들을 복원하고자 시도한 다. 이제 내가 그 검은방에서 경험하게 된 하나의 사실은 이미지의 삶과 죽음에 대 한 철학적 사유도 아닌, 단지 이미지일 뿐인‘시간-이미지 ’ 의 결정체에 대한 반응 일 것이다. 벨리트 사흐는 우연히 발견하거나, 아무런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사진 이나 사물을, 혹은 인쇄매체와 온라인을 통해 생산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과거 의 흔적을 끄집어 내고 미래의 기억을 불러내는 독특한 기술에 매혹된 듯 하다. 어 쩌면 오전의 싸늘한 북유럽풍의 바람과 녹슨 철로의 한기가 이 도시를 방문하게 될 미래의 기억을 불러 일으켰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난 이 도시를 처음 방문했고, 이제 곧 누군가를 만나게 될거란 사실을 알고 있다. 작가는 아프리카의 부르키나 파소의 민중들이 국회 의사당 대신 방송국을 점령한

미로의 끝을 지나 전동차의 녹슨 철로를 따라 다다른 곳은 암스테르담에 거주하 고 있는 한 알바니아계 아티스트의 작업실이었다. 우리는 격자무늬의 커다란 유 리창 앞에 놓인 테이블에 둘러 앉아 벨리트 사흐의 작품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 고 있었다. 유리창을 비춘 저녁노을 탓에 작업실 내부의 공간은 묘한 그늘이 드리 웠고, 나는 갑자기 이민자가 된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벨리트 사흐의 마지막 질문을 떠올렸다:“ 이 세계에 대한 재현이나 해석은 헐리우드 영화미학과 얼마나 유사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ISIS에 의한 집행의 기술은 단순히 헐리우드 영화 의 장면만을 재현하지는 않을 거란 사실을 작가는 확신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얼 마나 많은 제임스 폴리와 다니엘 펄의 이미지들이 가능할 것인가? 알바니아계 아 티스트는 이미지에 대한 무의식의 잠재태를 언급하면서 제발트적 글쓰기가 기억을 불러내오는 독특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제발트는 그의 소설 <현기증, 감정 들 Schwidel, Gefühle>의 두 번째 이야기인 <외국에서 All'estero> 이렇게 적고 있다.“ 나는 테라스의 열린 문 근처 탁자에 앉아 그간 기록한 메모들과 짧은 스케 치들을 펼쳐 놓았다. 그리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서로 무관하게 일어난 사건들, 그 렇지만 나에게는 동일한 기운의 영향 아래 일어났다고 보이는 사건들의 은밀한 교류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제발트가 자신의 소설에서 아무런 기억이 없는 사진 이나 타인의 기억, 문헌 등을 통해서 새롭게 기억을 서술하듯이, 벨리트 사흐는 이 미지라는 사물이나 대상을 모아 이를 음소형태로 분절 시키고, 쉼표나 공백으로 여백을 주면서 부분을 구성하는 하나의 전체, 혹은 전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분 으로 나열하고 배열한다. 이 도시를 떠나기 위해 마지막 기차를 기다리는 동안, 라 익스 뮤지엄에서 갖고 온 엽서 한 장을 유심히 바라다 본 것 같다. 그것은 다름아 닌 전시공간 지도를 찍은 스틸 사진이었다. (전성권)

In the morning winter of 2014, an image comes to mind while I walk along the Amstel River. It happens while I shiver in the cold breeze from the north European wind and the rusted train tracks that crosses through Amsterdam. Eventually arriving at Rijksmuseum, I contemplated about this image until the museum doors open. Although fuzzy, this striking image seems like it will be in one of the museum’s exhibition rooms. Following the mazelike corridor and going in and out of the numerous exhibition halls, a finger points to a blurry person in a picture that was taken either in Paris either in 1838 or 1839. You hear the narration from the videographer Belit SAGˆ - “the fact associated with the image starts here.” By mentioning the American journalist James FOLEY who was beheaded by ISIS, SAGˆ begins to compare Foley’s execution footage with the last scene from the 1995 American film Seven. He alternately shows

the color, angle, and shadowed images from the execution image and film image of the yellow desert background, orange jumpsuit, black garb, camera’s angle and commanding the shadowed person. Then SAGˆ returns to the first image the finger is pointing. The videographer is trying to restore the subjects who either escaped from the captured image or hid among the multiple layers. My reaction to the black room is that the image is merely a ‘time-image’ and not about the philosophical reason of life and death. It seems SAGˆ is memorized by a unique technique of collecting unrelated or coincidental pictures, objects, print media, and online materials to bring out the traces of the past and summon memories of the future. Perhaps, the cold morning breeze from the north European wind and the rusted train tracks invoked the future memories of me visiting this city. However, I knew this was my first time visiting Amsterdam, and I was going to meeting someone soon. Upon showing a picture of the citizens of Burkina Faso invading a broadcasting company instead of the parliament, the videographer asks another question, “What images have you preserved so far? This picture reminds you of the poet Mircea DINESCU who stormed into a state-run TV station with fellow revolutionists during the Romanian Revolution to declare the tyrant fled on live TV in 1989. The people’s gestures, expressions, poses that were captured on camera were actually a reproduction of Burkina Faso’s revolution. History had been remembered as images and those images have been rearranged as reconstructed fragmented stories. The TV footage of Burkina Faso’s Revolution broadcasted on October 31, 2014 does not have any meaning or instructions, but it is only about their life and death because reality is an extreme physical existence that shows the event itself. This 10 minute single video work which consists of Burkina Faso and Romania; American film Dog Day Afternoon and bank robbery in Brooklyn, New York in August 1972; the 23rd of Februray, 1981 Spanish coup d’état and French comedy the Pink Panther series analyzes the allegorical significance, physical existence, and symbol system as well as explores how knowledge and power is forged by the visibility and reproduction of images through secret exchanges between reality and fiction. SAGˆ brings attention to the social political discussion by reorganizing the surplus images and language. Passing the exit of the labyrinth and following the rusted train tracks, I end up at a studio of an Armenian artist who lives in Amsterdam. We talk about SAGˆ ’s work while sitting around a table placed in front of large crisscrossed windows. Due to the sunset shining into the windows, the space in the studio had a peculiar shadow, and suddenly I felt as though I was an immigrant. Then I recollected SAGˆ ’s last question of “How much is the 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world similar to that of Hollywood film aesthetics?” The videographer knows that the ISIS execution was not a reproduction of a scene from a Hollywood film. Then how many more images of James FOLEY and Daniel PEARL are possible? The Armenian artist mentions the dormant unconsciousness and says he has a unique technique of conjuring the memory of W.G. SEBALD’s writings. In the second story All'estero of his novel Schwidel, Gefühle, where the author says: “I sat at a table near the open terrace door, my papers and notes spread out around me, drawing connections between events that lay far apart but which seemed to me to be of the same order.” Just like SEBALD describes in his novel how he writes new memories through pictures he does not remember, other people’s recollections, and literature, SAGˆ collects the images of objects or subjects, segments them, and adds blanks to rearrange a part of whole or whole of a part. While waiting for the last train out of this city, I scrutinize at the postcard I received from Rijksmuseum, and it was none other than a still picture of the exhibition map. (JEON Sung-kw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49


Art and Docs

Art and Docs

이미지의 자본론

Netherlands | 2009 | 24min | DCP | Color/B&W Director 재커리 포름발트 Zachary FORMWALT

In Place of Capital

Korean Premiere

재커리 포름발트 Zachary FORMWALT Filmography

Staff

In Light of the Arc (2013) A Projective Geometry (2012) Through a Fine Screen (2010) In Place of Capital (2009) At Face Value (2008) The Witness (2005)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EDITOR/SOUND l Zachary FORMWALT

Program note 화폐의 원근법: 재커리 포름발트의 비판으로서의 이미지 2015년 8월 7일, 홍콩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집어든 아시아판 <월스트리트저널 The Wall Street Journal>은 여느 날과 다름없이 몇 면에 걸쳐 빼곡히 그래프와 차 트, 수치들을 싣고 있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S&P500지수, 미국우량증권, 각국 국채 가격의 등귀,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주요 통화 환율, 니케이지수, 항셍 지수, 상하이종합주가지수(마침 그날은 코스피KOSPI 지수는 실리지 않았다), 모 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지수(MSCI Index) 등에 국제선물시장의 상품지수 역 시 포함되어 있다. 그 숫자들과 이미지들의 행렬은 오늘 이 순간 자본주의의 현재 적 이미지일 것이다. 자본주의는 상품 생산이 지배적인 사회를 가리킨다. 상품은 물질적 부와 다르다. 마르크스가 말했듯이 상품이란 교환가치를 목적으로 생산된다. 그것은 더 많은 가치를 가져다준다는 믿음에 따라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이다. 그렇지만 상품 가 운데 가장 독특한 상품, 모든 상품의 가치를 대표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화폐 라는 상품은 상품들의 운동을 제약하는 우연적이고 구체적인 가치형태로부터 벗 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화폐는 보편적인 등가로서 어떤 상품과도 교환될 수 있는

15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가능성을 담지한다. 이제 부를 얻는다는 것은 단지 필요한 물품과 서비스를 가진 다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번다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자본주의가 아닌 세계에 사는 이들에게 돈을 번다는 말은 기괴하고 심지어 종교적인 일처럼 보일 것이다. 화폐는 경제의 운동을 무매개적으로 표상한다. 화폐는 가치를 나타내는 단순한 상징이나 표장이 아니라 그 자체 가치인 것이다. 나아가 화폐의 다양한 기능 그러 니까 유통수단이나 지불수단, 세계 화폐로서의 기능 등으로부터 자본은 수많은 신용credit을 만들어 냈다. 어음과 같은 상업신용에서 채권을 비롯한 대부신용을 거쳐 증권, 선물과 옵션의 형태로 확장되고 오늘날 천문학적인 파생상품 derivatives이라는 형태에 이르기까지 화폐는 현기증 나는 자신의 분신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이것은 자본주의의 경악스러운 측면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는 물질 적 삶을 조직하는 일을 단지 화폐라는 표상을 조작하는 일과 다르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마르크스가 말했던 상품과 화폐의 물신주의는 이제 금융화된 자본주의 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옥수수 선물가격의 등귀가 많은 나라에서 식량난 과 빈곤을 초래하고 한 국가의 신용등급의 하락이 연금과 사회보장을 날아가게 하고 유럽연합이라는 유토피아적인 기획은 긴축이라는 이름의 고문을 강요하고 그에 대항하여 격렬한 투쟁이 발발하는 식이다. 그 때문에 자본주의가 시장-이미

지 기계라는 말은 그다지 현학적인 말장난처럼 들리지 않는다. 재커리 포름발트가 시도하는 것도 바로 시장-이미지 기계로서의 자본주의 역사를 분석하는 일이다. 그렇지만 그 대상은 이미지로서의 자본이다. 그가 시도하는 이 미지의 계보학은 런던 증권거래소의 건축학적인 구조 그리고 그것과 평행하는 윌 리엄 헨리 폭스 탤벗William Henry Fox Talbot의 사진에서 출발한다. 최초의 사진 가이자 또한‘자연의 연필’이라는 저 유명한 정의로 사진에 관한 미학적인 정의를 개척한 탤벗은 놀랍게도 런던증권거래소를 사진으로 기록한다. 그렇지만 그는 자 신이 채택한 사진술의 기술적인 제약, 이를테면 오랜 노출 시간 등으로 인해 그 건 축물을 인적 없는 사물로서 재현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머이브리지의 동영상 의 제작 그리고 훗날의 영화의 출현으로도 이미지는 자신이 재현하고자 하는 자 본의 운동을 재현할 수는 없다. 포름발트가 화학적 광학적 혁신을 통해 현실을 포 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아무리 증대하였다 해도 불변적으로 남아있는 어떤 무엇 이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화폐라는 추상적이면서 비물질적인 형 태의 운동으로 자신을 (비)재현하는 자본의 운동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미지를 생산하는 기술적 장치의 역사적 변화를 헤아리는 진화주의 혹 은 현실은 없고 이미지와 표상만이 있을 뿐이라는 궤변은 포름발트로서는 용인할 수 없는 생각이다. 우리가 보다 정밀한 광학장치를 가지게 됨으로써 현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는 믿음은 처음부터 오인에 바탕을 둔다. 포르발트가 참조하는 마르크스의 말을 좇자면 자본주의는 물신적이다. 마 르크스가 상품과 화폐의 물신주의를 설명하며‘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와 시지각의 원리를 참조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이다. 마르크스가 객관적 인 대상이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방식과 상품으로서의 속성이 노동생산물 그 자체 의 속성인 것처럼 지각되는 방식이 전혀 다르지 않는 것이라고 말할 때, 그는 이미 지와 현실의 차이와 조응이라는 사실주의를 넘어서고 있었던 셈이다. 그렇다면 자본주의는 자신에 관한 새로운 이미지를 생산함으로써 자신의 물질적 대상 역시 생산하는 기이한 이미지의 체제이다. 그리고 포름발트는 그것의 현실 성actuality을 추적하고 제시한다. 포름발트의 작업을 뒤늦게나마 조우하게 된 것 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오늘날 이미지 비판은 그다지 인기가 없다. 숭 고의 미학과 푼크툼의 미학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이미지 비판을 대신해 이미지에 대한 가장 유력한 비평적 담론으로서 군림하고 있다. 그러나 포름발트는 이데올 로기 비판으로서의 이미지 비판의 노선을 되살린다. 그의 다른 작품들, 이를테면 <Three Exchanges>나 <Unsupported Transit>같은 작품들이 소개되지 못한 것 은 섭섭한 일이다. 그의 작품들은 에세이영화의 비판적 잠재성의 측면에서나 지 리멸렬해져가는 비디오 아트의 시각적 정치학의 측면에서나 새로운 전범이 될 것 이다. 나는 포름발트가 앨런 세큘러나 빅터 버긴을 잇는 이미지 비판의 작가가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서동진)

The Perspective of Currency: Zachary FORMWALT’s Notion of Image as Means of Critique On August 7, 2015, I picked up an Asian version of The Wall Street Journal on a flight from Seoul to Hong Kong. As usual, the magazine was packed with graphs, charts, and figures. They were about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S&P 500 index, US blue-chip stocks, advance and decline of government bonds, the yield curve of the US government bond, exchange rate of major currencies, Nikkei Indexes, Hang Seng Indexes, Shanghai composite index (the magazine did not include KOSPI Index on the day), and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CSI) Index, as well as commodity indexes of the international futures market. The parade of figures and images that depict them might be the manifest image of today’s capitalism. Capitalism indicates a society dominated by the production of goods. Product is not the same as material wealth. As Karl MARX wrote, a product is what is manufactured to acquire the exchange value. It is property and service produced by the belief of bringing more value. Currency, however, is the most unique among all products and what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and compare them. It enabled products to be liberated from the contingent and concrete forms of

value that limit their movement. As a universal unit of equivalence, a currency is embedded with a potential to be exchanged with any kind of product. The meaning of acquiring wealth has been substituted not only with possessing goods and service that one needs but making money. For those who do not live in the world of capitalism, the expression that one makes money would look strange and even religious. Currency represents the movement of an economy in an immediate way. It is not a simple symbol or representation that indicates value but value by itself. Moreover, capital has created innumerable renditions of credit from, such as the functions of distribution, payment, and the global money. From the commercial credit in forms such as bills and loans, credit has expanded to future options trade and finally to the form of derivatives that deal with astronomical figures, creating its alter egos in a dizzying degree. And this is one of appalling aspects of capitalism. We regard the organization of material life not so different from appropriating the representation that is currency. MARX’s notion of fetishism of goods and currency now enters a new phase under the financialised capitalism. The fluctuation of the future price of corn causes famine and poverty in many countries; a drop in the credit rating of a country leads to the abolishment of a country’s pension and social security; and the utopian scheme of the European Union coerces the torture in the name of austerity, drawing fierce struggle against such measures. Thus, to tell that capitalism is a market-image machine does not sound so much as a pedantic wordplay. What Zachary FORMWALT attempts to do is also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capitalism as a market-image machine. However, the subject of his work is capital as an image. The genealogy of images he tries to establish starts from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London Stock Exchange and the parallel image from William Henry Fox TALBOT’s photography. Surprisingly enough, Talbot recorded the London Stock Exchange in his photography while being well known as the first photographer with his definition of photography as ‘the pencil of nature.’ Yet, he could represent the building as an object without any human being in it due to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medium he selected, such as the long exposure time. The movement of capital cannot be represented by the technique of moving images by Muybridge and the emergence of cinema, although images attempt to represent such movement. However, regardless of how FORMWALT increased the potential of capturing the reality through optical innovation, there is something that remains permanently without any change. It indicates the movement of capital, which presents itself in the form of (non) representation through an abstract and immaterial movement. Thus, the sophistry that there tells that there is no evolutionism or reality that concerns the historical change of technical apparatuses that produce images but only images and representations exist is a thought which FORMWALT cannot allow. The belief that we acquired the ability to grasp a more precise image of the reality by possessing more accurate optical apparatuses is based on a misunderstanding from the first place. Following the notion of MARX, whom FORMWALT refers to, capitalism is fetishized. It is well known that MARX referred to the cognitive principle of a ‘camera obscura’ when he explained the fetishism of goods and currency. When MARX explain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ways an object is visually recognized and the property of a product is received as a quality possessed by the product of labor itself, he was moving beyond the notion of realism as a combination of difference and correspondence between images and the reality. The most influential critical discourse on images now is the aesthetics of sublime and punctum, substituting the critique of image as an ideology. Yet, FORMWALT revives the critique of images as an ideology. It is rather disappointing that FOMRWALT’s other works, such as Three Exchanges or Unsupported Transit, are not introduced in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FORMWALT’s work will establish a new standard for the critical potential of essay films or the visual politics of video art that is increasingly becoming mediocre. I have no doubt that FORMWALT will become an artist of image critique, continuing the legacy of Allan SEKULA or Victor BURGIN. (SEO Dong-ji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1


Docs for EDU

다큐와 교육의 만남 <Docs for EDU>에서는 다큐멘터리 감상 후

<홀리워킹데이> | 2015 | 85min | 이희원

작품과 관련된 다채로운 강연 및 교육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는 단

9/19(토) 15:30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1관

체관람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감상 후 글쓰기 경험을 통해 감상의 폭

대학 졸업을 한 학기 남겨두고 호주로 인턴십을 떠난 희원. 도시생활

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다큐백일장을 진행한다. 인권과 다양성, 포용의

도 잠시, 높은 물가 압박에 못 이겨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면서 한국을

가치를 느끼고, 청소년의 진로를 모색해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떠나온 수많은 워킹 홀리데이 참가자‘워홀러’ 를 만나게 되는데….

만날 수 있다. <지오반니, 수중발레에 도전하다>+<상실에 대한 영화> 2014 | 33min | 아스트리드 부싱크 외

다큐백일장 내용 | 다큐백일장 지정작 감상 후 1시간 30분 이내에 400자 원고지 2-3매 내외의 자유로운 감상문을 작성하여 현장 제출 대상 | 전국 중·고등학생 및 동등 연령 청소년 일정 | 9월 19일(토)-9월 20일(일) 장소 | 메가박스 백석/ 파주출판도시점 다큐백일장 부스 부문 | 한글감상문(중고등학생), 영어감상문(고등학생) 후원 | 경기도교육청, KEB하나은행 시상 | 경기도지사상, 경기도교육감상, 고양시장상, 파주시장상 KEB하나은행장상 지정작 소개 및 상영 일정

9/20(일) 10:30 메가박스 백석 M2관 소녀들의 스포츠라 여겨지는 수중발레에 도전하는 소년 지오반니와 제 각각 다른 아픔과 상실감을 스스로 감당하고 성장하는 소년소녀 들을 만날 수 있는 단편 다큐멘터리 2작품을 묶음 상영한다. <이바라키의 여름> | 2015 | 96min | 전성호 9/20(일) 10:30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2관 일본 오사카 건국 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인 재일교포 강선화 양과 그가 소속된 전통예술부 학생 9명이 한국의 전통예술을 갖고 오사카 대표로 전 일본 고등학교 종합예술발표대회에 참가하는 도전기. <랜드필 하모니> | 2015 | 84min | 브래드 올굿, 그래햄 타운슬리 9/20(일) 15:30 메가박스 백석 M2관

<뚜르, 잊혀진 꿈의 기억> | 2015 | 96min | 임정하

파라과이의 쓰레기 매립지 내 빈민촌 마을 카테우라에 희망을 불어

9/19(토) 10:30 메가박스 백석 M2관

넣는 청소년 오케스트라‘ 랜드필 하모니’이야기. 마을 사람들이 아

26살 한창 나이에 희귀암 판정을 받은 윤혁은 병이 재발하자 모든 사

이들을 위해 버려진 깡통, X-ray 필름으로 만든 바이올린, 첼로, 팀파

이클리스트들의 꿈인‘ 뚜르 드 프랑스’ 를 완주하기 위해 프랑스로 떠

니를 바탕으로 꾸려진 랜드필 하모니는 우여곡절 속에서도 희망을

난다. 라이딩을 하는 과정에서 동료가 다치고, 자전거가 부서지는 등

잃지 않는다.

예상치 못한 사고로 멤버들 간 다툼이 발생하는데…. <T-REX> | 2015 | 89min | 드레아 쿠퍼, 재커리 카네파리 <수닐을 찾습니다> | 2015 | 74min | 닐 브로프만

9/20(일) 15:30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2관

9/19(토) 10:30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2관

17세 흑인소녀 클라리사“ T-Rex ”쉴드는 미시간주 출신의 권투선수

우울증을 앓던 브라운대학의 학생 수닐 트리파티는 어느날 돌연 사

이다. 무패 기록을 가진 그녀는 지긋지긋한 가족 혹은 꿈도 희망도 없

라진다. 수닐의 가족은 전역에 걸쳐 소셜 미디어 캠페인을 펼치며 필

는 슬럼가에서 도망치기 위해 한 가지 계획을 세운다. 2012년 여름

사적으로 그를 찾기 위해 애쓴다. 비슷한 시기 보스턴 마라톤 폭발 사

올림픽 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 그녀는 올림픽에서 그 꿈을 이룰

건이 일어나면서 수닐의 가족들은 탐욕적인 미디어의 공격에 휘말리

수 있을까?

게 된다.

각기 개성 넘치는 청소년들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6작품의 묶음 상영. 소재도, 영상의 느낌도 모두 다른 개성 넘치는 청소년들의 이야 기를 속속들이 살펴볼 수 있다.

1. 챔피언처럼 꿈을 향해 나아가는 방법 일정 | 9/18(금) 15:00-16:30 M7관 강사 | 김남훈(프로레슬러, 스포츠해설가) 내용 | 영화에 대한 감상을 나눈 후‘스포츠인 ’ 으로서 꿈과 진로를 추구하는 방법 공유

단체관람 프로그램 내용 | 교육적으로 유익한 다큐영화 상영 후 영화와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 미디어 교육가 등 초청 인사의 강연을 진행하는 프로 그램.

8. 다큐영화, 새로운 세상과 만나다 일정 | 9/24(수) 10:00-11:30 M2관 강사 | 김상화(부산어린이청소년영화제 집행위원장) 내용 |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영화를 새롭게 해석 하는 영화읽기 활동 진행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2. 여러 색깔의 감정에 물들기, 영화와 함께 떠나는 내면 여행

1. 성별을 뛰어넘어, 나 자신으로 살기

일정 | 9/20(일) 10:30-12:00 M2관

일정 | 9/18(금) 11:00-12:30 M2관

강사 | 소희정(마음과공간 예술심리연구소장), 선원필(공연예술치료

강사 | 강시현(성평등교육 전문가)

협회 대표)

내용 | 성역할 고정관념을 이해하고, 나아가 포용의 가치 배우기

내용 | 영화를 보고 난 후 느낌, 감정에 대해 표현해보고 나와 다른 사람이 느끼는 상처와 감정에 대해 공감해보는 활동 진행

2. 환경과 인간을 위한 디자인 일정 | 9/18(금) 11:00-13:10 M3관

3. 우리 안의 아름다운 삶과 예술

강사 | 김대호(에코크리에이터 대표)

일정 | 9/20(일) 15:30-18:00 M2관

내용 | 재활용, 환경 운동, 나아가 에코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참여하기

강사 | 정윤수(문화평론가, 한신대 교수) 내용 | 삶 속의 예술의 가치, 예술을 통한 삶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3. 우리 모두의 삶을 찾아서 일정 | 9/19(토) 10:30-12:30 M2관

4. 다큐영화와 함께 글로컬(Glocal) 평화감수성 넓히기

강사 | 정윤수(문화평론가, 한신대 교수)

일정 | 9/22(화) 13:00-14:30 M2관

내용 | 미디어와 SNS의 역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강사 | 김승환(평화교육가, 평화교육 프로젝트 모모) 내용 | 다큐영화의주인공에대해공감하고,평화감수성을높이는활동진행

4. 챔피언처럼 꿈을 향해 나아가는 방법 일정 | 9/21(월) 11:00-12:30 M2관

5. 세상을 바꾸는 수단으로서의 미디어

강사 | 김남훈(프로레슬러, 스포츠해설가)

일정 | 9/22(화) 15:00-16:30 M2관

내용 | 영화에 대한 감상을 나눈 후‘스포츠인 ’ 으로서 꿈과 진로를

강사 | 김민하(미디어스 기자)

추구하는 방법 공유

내용 | 직업으로서의 기자, 미디어의 역할 및 대안언론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5. 김철민의 다큐영화&개그힐링 콘서트 일정 | 9/21(월) 13:30-15:00 M2관

6. 다큐영화, 새로운 세상과 만나다

강사 | 김철민(개그맨)

일정 | 9/23(수) 10:00-11:30 M2관

내용 | 영화에 대한 감상을 나눈 후 ‘연극인’ ‘개그맨’ , ‘탤런트’ , 활동 경

강사 | 김상화(부산어린이청소년영화제 집행위원장)

험을 공유하고 꿈과 진로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기

내용 |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영화를 새롭게 해석 하는 영화읽기 활동 진행

<청소년 경쟁> | 2015 | 73min | 김묘인 외 9명 9/19(토) 12:30 메가박스 백석 M3관

<메가박스 백석>

7. 다큐영화, 새로운 시선으로 읽기 일정 | 9/23(수) 14:30-16:00 M2관 강사 | 조진화(영화인문학 강사, 영화나눔협동조합 부이사장) 내용 | 영화 감상 후 간단히 영화읽기 이론 수업 진행 후 영화 해설·

6. 한국의 엘시스테마, 꿈의 오케스트라 이야기 일정 | 9/22(화) 10:00-12:30 M2관 강사 | 장예화( ‘ 꿈의 오케스트라’수석강사) 내용 | 엘시스테마와 우리나라의‘꿈의 오케스트라’ 를 소개하고, 간단 한 음악 활동 진행

토론 활동 진행

일정 | 9월 18일(금)-9월 24일(목) 장소 | 메가박스 백석/파주출판도시점 상영관 15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3


Docs for EDU

Documentary meets education. <Docs for EDU> gives a documentary watching opportunity in groups that lead to varied lectures and educational programs after while opens Docs Essay Contest in which the youth can watch a documentary, write about it and finally enhance one’s appreciation of good works. The audiences can meet multiple programs where the youth can feel many different values including human rights, diversity and seeking for one’s career.

Docs Essay Contest

The Program for group viewing

6. Documentary film encounters new world.

Content | After the screening of educational documentary film, the lecture of associated guest who would be the experts or media educationalists from the each fields will be continued.

Date | September 23(Wed) 10:00-11:30 M2 Lecturer | KIM Sang-hwa (Busan International Kids&Youth Film Festival Director) Content | The activity to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documentary film and to read a film of new interpretation

Date | 9/18(Fri)-9/24(Thu) Place | Megabox Baekseok, Megabos Paju

7. Reading the documentary film with new perspective.

Content: Megabox Baekseok

Content | After watching a selected documentary, participants freely write an essay, 2-3 pages long on 400 square writing paper within 1 hour 30 mins. Participantst | Middle-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the country including the youth about the same age. Datet | September 19(Sat) - September 20(Sun) Sectort | Essay in Korean(middle-high school students), essay in English(high school students only) Awardst | The Gyeonggi Province Governor’s Award, The Gyeonggi Superintendant of Education Award, The Goyang City Mayor’s Award, The Paju City Mayor’s Award, KEB Hana Bank’s Award etc. Sponsorst |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na Financial Group Selected work : ●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 2015 | 96min | LIM Jung-ha | Korean Showcase

Help Us Find Sunil Tripathi | 2015 | 74min | Neal BROFFMAN | Docs Family

Youth Competition | 2015 | 73min | KIM Myo-in etc.

Holy Working Day | 2015 | 85min | LEE Hee-won

Giovanni and the Water Ballet | 2014 | 17min | Astrid BUSSINK

The Summer In Ibaraki | 2015 | 96min | JEON Sung-ho

Landfill Harmonic | 2015 | 84min | Brad ALLGOOD, Graham TOWNSLEY

T-REX | 2015 | 89min | Drea COOPER, Zackary CANEPARI

15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 The way to go forward the dream like a champion Date | September 18(Fri) 15:00-16:30 M7 Lecturer | KIM Nam-hoon (Professional Wrestler) Content | After the discussion about the film, sharing the way to pursue the dream and the future as a sportsman 2. Being tinged with various colored emotion. The inner journey with the film. Date | September 20(Sun) 10:30-12:00 M2 Lecturer | SO Hee-jung (Art Therapy Center "Mind & the Space") Content | To express the feelings after watching the film and to sympathize with the other’s hearts and scars. 3. The beautiful life and art around us Date | September 20(Sun) 15:30-18:00 M2 Lecturer | JEONG Yoon-soo (Hanshin Univ. Professor) Content | To talk about the value of the art in our life and the meaning of the life through the art. 4. Developing Glocal Peace-Sensibility with documentary films Date | September 22(Tue) 13:00-14:30 M2 Lecturer | KIM Seung-hean (Peace Education MOMO) Content | the activity to empathize with the character of documentary film and evolve Peace-Sensibility 5. The media as a means to change the world Date | September 22(Tue) 15:00-16:30 M2 Lecturer | KIM Min-ha (Medius Reporter) Content | To discuss about the journalist as a job and the role of media or alternative journalism

Date | September 23(Wed) 14:30-16:00 M2 Lecturer | CHO Jin-hwa (CINE COOP Vice-president) Content | After watching the film, the class about the cinematic language theory and film commentary and discussion will proceed. 8. Documentary film encounters new world. Date | September 24(Wed) 10:00-11:30 M2 Lecturer | KIM Sang-hwa (Busan International Kids&Youth Film Festival Director) Content | The activity to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documentary film and to read a film of new interpretation

Content | After the discussion about the film, sharing the way to pursue the dream and the future as a sportsman 5. KIM Chul-min’s documentary film & comedy-healing concert Date | September 21(Mon) 13:30-15:00 M2 Lecturer | KIM Chul-min (Comedian) Content | After sharing the appreciation about the film, he will tell his own experience as a actor, comedian and entertainer and discuss the attitude toward dreams and future. 6. El Sistema Korea, the story of dream orchestra Date | September 22(Tue) 10:00-12:30 M2 Lecturer | JANG Ye-hwa (Lecturer of 'Orchestra of Dream') Content | Introducing ‘El Sistema’ and ‘El Sistema Korea’ and demonstrating brief musical activity.

Megabox Paju 1. Beyond the gender, be what you are. Date | September 18(Fri) 11:00-12:30 M2 Lecturer | KANG Si-hyun (Gender Equality Promotion Educator) Content | Understanding the gender stereotype and learning the value of magnanimity further 2. Design for environment and human being Date | September 18(Fri) 11:00-13:10 M3 Lecturer | KIM Dae-ho (Eco-creator) Content | Understanding recycling, environmental movement, even echo-design and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3. Searching for the lives of us Date | September 19(Sat) 10:30-12:30 M2 Lecturer | JEONG Yoon-soo (Hanshin Univ. Professor) Content | To talk about the role of media and social media, further way to go 4. The way to go forward the dream like a champion Date | September 21(Mon) 11:00-12:30 M2 Lecturer | KIM Nam-hoon (Professional Wrestler)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5


DMZ Docs The 5th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우리 혼자 산다

화장투쟁

Home alone

Make up Struggle

DMZ Docs 제5기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특별상영 Korea | 2015 | 8min 박연수 PARK Yeon-soo

청소년들의 다큐멘터리 제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1년부터 시작된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의 5기 수료작을 처음 공개하 는 상영회로, 올해는 고양, 광명, 교하, 부천, 성남, 수원 6개 지역에 서 교육이 진행되었다. 워크숍에 참가한 청소년들이 다큐멘터리 기 획 및 제작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보는 뜻 깊은 경험을 했으며, 이번 상영회를 통해 청소년들의 일상, 고민, 관심사를 자신 만의 방식으로 개성 있게 풀어낸 40편의 작품이 선을 보일 예정이다. 다양한 지역의 개성 있는 청소년들이 참여한 만큼 넓은 스펙트럼의 청소년 다큐멘터리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year's Screening is the 5th event of ’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to boost documentary production of teenagers since 2011, and the workshops were held in six locations, Goyang, Gwangmyung, Gyoha, Bucheon, Seongnam and Suwon. The participants of events had meaningful experiences by planning and making Documentary films based on their own stories, and forty unique and personal documentary films about their daily lives, worries, and concerns will be shown at this screening. You can meet wide spectrum of youth documentary films produced by students of distinct individualities from various areas.

공동주관 l 고양영상미디어센터, 광명시립나름청소년문화의집 교하도서관, 부천시민미디어센터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수원영상미디어센터

Classmates live alone on the 2nd, 3rd and 4th floor of same studio building. Their feelings and worries about living alone will be shown.

One wears makeup, and the other removes makeup. They try to express their desires that they couldn’t express until now because of other’s gaze.

Korea | 2015 | 6min 이현지 LEE Hyun-ji

멘토 Mentorㅣ김보람 KIM Bo-ramㅣ<결혼전.투> Struggle before The Marriage (2013) / <독립의 조건> Shall we talk? (2014) 이진우 LEE Jin-wooㅣ<전봇대, 당신> KT-MAN (2014)

Dreamer : 꿈을 꾸는 사람들

자그만한 뒤틀림

Dreamer ; People dreaming

Small breakway 내 꿈의 변천사와 내 진짜 꿈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Hosted by l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Broadcasting Content Promotion Foundation Seoul Media Center Partners l Goyang Media Center Gwangmyeong Nareum Youth Center Gyoha Library Bucheon Media Center Bundang Jeongja Youth Training Center Suwon Media Center

한 명은 화장을 하고, 또 한 명은 화장을 지운다. 남들의 시선으로 인해 표현하지 못했던 것들을 이제는 신경 쓰지 않고 표 현해 본다.

광명시립 나름청소년문화의집 Gwangmyeong Nareum Youth Center

주최 l DMZ국제다큐영화제, 방송콘텐츠진흥재단(BCPF) 서울영상미디어센터

같은 반 친구들이 같은 원룸 2, 3, 4층에 각자 혼자 살고 있다. 혼자 살면서 느끼는 감정들과 고민에 관한 이야기들이 펼쳐 진다.

대안학교에 대한 안 좋은 시선들에 대해 반박하고, 직접 다니지 않고서는 알 수 없 는 대안학교의 생활을 소개하고자 한다.

I want to capture the change of dreams and the process of finding real dream. Korea | 2015 | 8min

Korea | 2015 | 10min

최은진 CHOI Eun-jin

유기백 RYU Gi-baek

난생 처음 가는 유럽여행

가족나들이 : 엄마의 데이트

The first time in my life, while European trip

Family picnic : mom’s date 오랜만에 떠난 가족 나들이. 그 속에서 연 애 기분을 느끼는 엄마.

난생 처음, 유럽으로 떠나는 가족여행.

The First family trip to Europe.

The First family picnic for a long time. Mom feels romantic feeling during the picnic.

고양영상미디어센터 Goyang Media Center Korea | 2015 | 11min

Korea | 2015 | 11min

멘토 Mentorㅣ김준호 KIM Jun-hoㅣ<길> Old Man and the Land (2008) 홍다예 HONG Da-yeㅣ<18> 18 (2013)ㅣ<시발.> We Didn’t Start the Fire (2014)

강 KIM Ga-eun

김경화 KIM Kyoung-hwa

니가 가라 DMZ

깊은 바다

좋은 녀석들

사랑 둘 이별 하나

You have to go DMZ

The deep sea

A good friends

Two love one farewell

DMZ 다큐멘터리 제작 수업을 듣다가 중 간에 주제가 엎어진 나는 이 수업에 나가 기 싫어지기 시작한다. 나가기 싫어하는 나의 변명이 시작된다.

Korea | 2015 | 7min 김준엽 KIM Jun-yeop

156

My thesis of DMZ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is tripped, and I don’t want to participate any more. I begin to make an excuse for not being ther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사람은 누구나 상처를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런 상처를 받아들이는 무게는 저마다 다르다. 나에게 상처란 무엇일까?

Korea | 2015 | 9min 정준모 JUNG Jun-mo

I want to refute negative gaze to alternative school, and introduce the life of school you can not know about if you don’t enroll.

Every person lives a life with scar. The influence of the scar varies. What is my scar?

‘ 청소년 시기의 연애 ’ 그리고 과거의 찌질

요새 내가 느끼는 외로움에 대한 고찰.

했던 나의 연애.

Deep consideration on my feeling of loneliness these days.

Romantic relationship of teenager and my foolish past relationship.

Korea | 2015 | 10min

Korea | 2015 | 10min

장정민 JANG Jung-min

김두현 KIM Doo-hy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7


교하도서관 Gyoha Library

부천시민미디어센터 Bucheon Media Center

멘토 Mentorㅣ이정호 LEE Jung-hoㅣ<굿바이 홈런> Goodbye Homerun (2011) 정대건 CHEONG Dae-gunㅣ<투 올드 힙합 키드> Too Old Hip-Hop Kid (2011)

멘토 Mentorㅣ박소현 PARK So-hyunㅣ<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2015) 김민형 KIM Min-hyungㅣ부천시민미디어센터 미디어교육 보조강사로 활동 중 Lecturer of Bucheon Media Center

나는 나

그건 사랑이었네

PAPA

Me and me

What’s So Different?

PAPA

Korea | 2015 | 6min 임재리 LIM Jae-ri

말을 잘 듣는 평범한 고등학생 같지만, 알 고 보면 개성이 강한 평범한 고등학생이 펼치는 자신의 성격 이야기(평범한 학생 의 진지하지 않은 자아성찰 탐구).

우정과 사랑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있을까? 친구들이 어울리는 모습을 가만히 보면 서 로를 소중히 생각하는 만큼, 때론 친구 이상 으로서의 질투심을 느끼기도 하는데….

A story of highschool student who looks like ordinary and submissive but has strong personality actually(not serious self-examination of ordinary student).

A story of highschool student who looks like ordinary and submissive but has strong personality actually(not serious self-examination of ordinary student) Is there obvious border between friendship and love? If you examine friends mixed up with each other, you can find jealousy as well as careful consideration.

Korea | 2015 | 69min 민지오 MIN Ge-o

내가 움켜쥔 것 Things that I has grasped 우리 가족은 나, 동생, 엄마, 아빠이다. 그 중 아빠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은 전부터 아빠의 외출에 대한 불만을 가져왔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Korea | 2015 | 9min 정윤지 JUNG Yoon-ji

My family consist of my sister, mom, dad and myself. The family excluding my dad has had dissatisfied with dad’s going out and tried to resolve the situation.

나는 소중한 순간을 놓지 않으려고 애쓴 다. 그 노력은‘ 시간은 유한하다 ’ 는 두려 움이 되어서 도리어 행복을 해치고 있다. 행복을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Korea | 2015 | 7min 이예하 LEE Ye-ha

파뿌리(pafree) 프로젝트

아지트

야매더빙 프로젝트

버티는 것

Pafree project

AGIT

Dubbing Project

Enduring

올해부터 우리 학교에서는 사업을 한다. 열심히 하고 다같이 즐겁게 하기도 하지 만, 사업이다 보니 학생들 간 갈등이 일어 나는데….

Korea | 2015 | 9min 구형석 GOO Hyung-seok

My school starts student business program this year. Students work hard and have fun, but there are some conflicts because it is business.

화려한 겉모습의 의류학과 학생인 나. 밖 에서는 말도 많고 가벼워 보이지만 나만 의 공간인 방에서는 철학 전공자이기도 한 또 다른 내 모습이 드러난다.

Korea | 2015 | 9min 김수경 KIM Su-kyung

I am Student in clothing majors, and have splendid appearance. I look talkative and cheerful in social life, but in my room, I reinvent myself as philosopher.

확실한 줄만 알았던 영회감독의 꿈에 점 점 불안감과 회의감을 가지게 된다. 고민 으로 머리가 복잡할 무렵 문득 성우의 꿈 이 생각났다.

Korea | 2015 | 10min 조우성 JO Woo-sung

AMEN?

당신은 어떻습니까?

거미줄

AMEN?

W.H.Y? (Wait, How about You?)

Spider web

어릴 때부터 성당을 다녔더니 학교 가듯 성당을 가게 된 나를 보고 과연 성당에 대 한 믿음이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

Korea | 2015 | 6min

I have attended catholic church since childhood with no doubt, and start examine my habitual faith.

신형국 SIN Hyeong-guk

세상에는 자신도 답을 찾지 못하는 의문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왜 하 고 싶은 게 없을까? ‘ W.H.Y?’ 는 나의 삶의 이유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Korea | 2015 | 7min 박채린 PARK Chae-rin

There are many people living with doubt that they can find answer. Why isn’t there what I want to do? ’W.H.Y?’ is the film about finding the reason of my life.

Korea | 2015 | 8min

I start feeling anxiety and skepticism about my dream toward film director which was solid. Suffering from lots of thought, Sungwoo’s dream suddenly crosses my mind.

다큐멘터리 제작이 힘든데도 버티면서 찍는 이유는 무엇일까?

Why am I keep making documentary film even though I am already aware that it’s not easy at all? Korea | 2015 | 4min 구평우 KU Pyung-woo

I, U I, U 내가 속해있는 집단이 아닌, 아무 관계도 없는 곳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들게 된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답정너 세상에서 사는 나. 오늘을 살았던 너를 보고 나서 지금에서야 진짜 나의 것 들을 찾아보는 이야기.

If people make a new relationship not in the community they used to be but in the new one without any connection, how do they react?

I am living where the right answers are arranged. After seeing you who live your own day, I finally find real myself now.

Korea | 2015 | 7min

김희영 KIM Hee-young

박미경 PARK Mi-gyeong

게으름의 늪

시살롱 오그리 토그리

미묘한

Laziness of the swamp

The poem salon

Subtle

누구나 갖고 있는 자신만의 게으름에 대 해, 한 명의 아이가 자신의 게으름에 알려 주는 재밌지는 않은(?) 자아 성찰 도전기!

Korea | 2015 | 9min

The story about everyone’s laziness. A not fun self-reflection challenge of a kid who is showing his laziness.

정회준 JUNG Hoe-jun

15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 try not to miss the precious moment. The effort turns into the afraid of ‘Time is limited’ and harm my happiness. Isn’t it able to let the happiness itself come?

감성을 이끌어내려는 시살롱 오그리토그 리의 이야기.

가족은 항상 같이 지내고 붙어 있는 줄로 만 알았다. 아빠와 오빠가 부산에 가면서 우리 가족은 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작 은 변화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The story of Ohgry-toegry, poem salon for occurring emotion. Korea | 2015 | 6min

Korea | 2015 | 9min

김수연 KIM Su-yun

오민희 OH Min-hee

I’ve thought that family should be always together. However, when my dad and brother move to Busan, my family is separated and small changes come to my family.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59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Bundang Jeongja Youth Training Center

아직도 보고 계십니까?

화.친.소

Are you still watching?

Get it Beauty

멘토 Mentorㅣ박명순 PARK Myung-soonㅣ<농민 Being> Farmer-being (2011) / <상록> Evergreen (2014) 김기봉 KIM Ki-bongㅣ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청소년활동팀 Bundang Jeongja Youth Training Center

연애학개론

돈과 함께

An introduction to love

With, money 학생들은 연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한 고등학교 2학년에게는 고민이 한 가지 있다 남들과는 조금 다른.

How do the students think of romantic relationship?

A second grade student in high school has a worry. I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others’.

Korea | 2015 | 10min

Korea | 2015 | 10min

김영현 KIM Young-hyun

박종호 PARK Jong-ho

채플

10대, 그리고 외모

Chapel

Teen vogue 기독교 미션스쿨에서 생기는 채플 선택 문제. 더 나아가 학생들의 종교 선택 문제 를 그린다.

Korea | 2015 | 9min

The issue about the choice of chapel in mission school. Further, it displays the matter of choice in religion.

The students who pay an attention to their appearances always conflict with the adults who like a decent-behaved. Korea | 2015 | 9min 손종은 SON Jone-eun

뚜르 드 마이 라이프

To. 그대에게 : 편진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청소년 화장! 청소 년 화장을 바라보는 시선들을 탐색해보 며 어른들과 10대 청소년 모두 청소년 화 장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The smart phone is a best friend of us whenever we are bored, wherever we go, whatever we do. How much does it influence our daily life?

Recently juvenile putting on make-up becomes issues. Let us all together think about it investigating the views toward their makeup.

Korea | 2015 | 8min 가정원 GA Jeong-won

어나운설

몸으로 쓰는 메시지

Announcer

Dancing Dreams 나의 꿈은 아나운서가 되는 것이다. 아나 운서가 되기에는 공부도, 외모도 뛰어나 야 한다. 나는 나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Korea | 2015 | 8min

I want to be a TV announcer. I should have top grades and good appearance to be the announcer. Can I make my dream come true?

우리가 춤추는 사람들을 보면 감탄하기 바쁘다. 그런데 한 번이라도 궁금해한 적 이 있는가? 그 사람들이 춤을 추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걸 표현하고자 하는지.

Korea | 2015 | 5min

이은영 LEE Eun-yeong

김지윤 KIM Ji-yoon

꼭두각시의 꿈

하이파이브

A puppet’s dream

High five

We just admire dancers when they dance. However, have you ever been curious what they are thinking or trying to express while they are dancing?

To. you : phosto 뚜르 드‘ 마이 라이프 ’지금 나는‘ 고등학 교’ 구간을 통과 중이다. 곧 오르막 섹션을 통과해야만 한다.

Korea | 2015 | 10min

차혜란 CHA Hye-ran

외모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과 단정함을 추구하는 어른들의 인식은 항상 대립한다.

최성락 CHOI Sung-rock

Tour de my life

Korea | 2015 | 10min

우리가 어디를 가던지, 무엇을 하던지, 항 상 옆에서 심심함을 달래주는 단짝친구 스마트폰, 우리는 스마트폰에 얼마나 영 향을 받고 있을까?

Tour de ‘My Life’. Now I am passing through ‘High school’ course. Soon I have to face uphill path.

정정재 JEONG Jeong-jae

엄마 아빠가 18살에는 편지를 주고받고 18살인 나는 카톡을 주고받는다.

When my parents were 18 years old, they sent letters to each other. I, 18 years old, send text messages to each other by cell-phone.

어른들은 언제나 나에게 무언가를 하라 고 한다. 나는 어른들의 꼭두각시인가?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하고 싶다.

Korea | 2015 | 9min 박효정 PARK Hyo-jung

Korea | 2015 | 4min

Adults always tell me to do something. Am I their marionette? I want to do what I want.

이동근 LEE Dong-geun

집에서 홀로 무료한 시간을 보내던 나는 우연히 티비에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의 인터뷰를 보고 영화감독이 되기로 마 음 먹는다.

Korea | 2015 | 10min 최진관 CHOI Jin-gwan

Watching a interview of Christopher Nolan by accident when I spend bored time at home, I decide to be a film director

수원영상미디어센터 Suwon Media Center 멘토 Mentorㅣ이창민 Lee Chang-minㅣ<어느 사진가의 기억> Memories of a Photographer (2014) 이경 LEE Gyungㅣ수원영상미디어센터 미디어교육 보조강사로 활동 중 Lecturer of Suwon Media Center

굿 초이스

짝사랑 해 본 적 있어요?

스웨어워드

Good choice

Have you ever had a one-side love?

Swear word

Korea | 2015 | 9min 박정희 PARK Jung-hee

160

나는 공부해야하는 것을 알지만 놀기 좋 아하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 18살이다. 공부, 그리고 나에게 보람을 주는 봉사. 나는 무슨 선택을 해야하는 걸까?

나는 지금 좋아하는 남자가 있다. 좋아하 는 남자에게 연락도 먼저 해봤지만 그 이 후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

I know I have to study hard but I am just 18 years old who likes to play and has lots of thing to want to do. Which one should I choose, studying or volunteer activity that gives me reward?

I have someone to have feeling now. I already contacted him first but I don’t know how to do after. What should I do next?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Korea | 2015 | 7min 서은지 SEO Eun-ji

학교에서 친구들은 친밀함의 표현으로 욕을 하곤 한다. 친밀함의 표현인 욕, 뭔 가 이상하다.

Korea | 2015 | 7min

At school, my friends sometimes use bad languages when they want to show intimacy. It is weird somehow.

송지연 SONG Ji-ye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61


Special Screenings :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경기 대학생 다큐 제작지원작 특별상영 대학생들의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영화제 참여를 독려 하기 위해 DMZ국제다큐영화제는 경기영화학교연합과 공동으로 ‘경기 대학생 다큐 제작지원’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본 제작지원을 통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8개 대학(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아방 송예술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성결대학교, 수원대학 교, 용인대학교) 영화과 학생들이 제작한 8편의 다큐멘터리가 완성 되었다. 개인과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사적 다큐에서부터 세대적 고 민과 소수자 문제를 다룬 사회적인 작품들까지, 대학생들의 눈에 비 친 세상의 풍경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주최 l DMZ국제다큐영화제 협력기관 l 경기영화학교연합

그늘 Shade

In order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interest on documenatry and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in the film festival,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ran ‘Documentary Funds for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in partnership with ‘Gyeonggi Film School Union.’ Students of the Film Department at 8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Dankook University, Daejin University,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Myongji Universit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Sungkyul University, University of Suwon, Yong In University) produced 8 documentary films and they will have a special screening event at Megabox Baekseok on September 18(Fri), 2015. From private documentaries portraying personal stories and families to social works about problems between generations and the minority issues, the audiences can catch the landscape seen by college students. After this special screening, there will be an open stage that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ir academic advisors gather.

Korea | 2015 | 17min 정종국 JOUNG Jong-kuk

꿈꾸니까 청춘이다

Korea | 2015 | 13min

Dreaming

김예준 KIM Ye-jun

장애인의 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성 자원봉사라는 것이 쟁점화 되고 있

학업, 스펙, 좋은 가정, 부유한 삶. 이러한 세상의 기준은 우리에게 꿈을 꿀 기회조

다. 그러나 돈을 매개로 하는 장애인 성 자원봉사는 성매매와 다를 바 없는 것은 아

차 주지 않는다. 그것이 과연 곧은길을 결정짓는 것일까?

닐까?

Sex volunteers for the disabled are the issue now, but if they get paid for their service, is it no different from prostitution?

Secular standard such as good grade, qualification and rich life, doesn’t allow us to have our own dream. Does the standard determine what the right path of life is?

목장

비나리의 꿈

Korea | 2015 | 19min

Pasture in Blue

남미소 NAM Mi-so

Korea | 2015 | 20min

Dream of Binary

송화 SONG Hwa

Hosted by l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artners l Gyeonggi Film School Union

산골 오지에 살고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학생들의 하루.

A daily life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student who lives in remote mountain village.

귀농한 마을에서 마을운동을 펼치고 있는 아빠와 그런 아빠를 도우며 그림을 그리 는 작가인 엄마. 나는 그 사이에서 때로는 엄마의 이야기를, 때로는 아빠의 이야기 를 듣는 입장인데….

My dad becomes a farmer and does public campaign for community, and mom is painter and supports his campaign. I have to listen dad’s story sometimes, and mom’s story at other times.

2act 1chapter 2act 1chapter

Korea | 2015 | 19min 서우빈, 곽소희 SEO Woo-bin, KWAK So-hee

그날들 Those days

Korea | 2015 | 18min 김선재 KIM Seon-jae

신월동 그루브 Suburbian Groove

Korea | 2015 | 21min 박진규 PARK Jin-kyu

지금, 고향은

Korea | 2015 | 29min

Now Hometown

안효준 Ahn Hyo-jun

과거의 아픈 트라우마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2012년 9월 5일, 우빈의 생일날 아

뮤지컬에 대한 열정으로 뭉친 대한민국의 젊은 청년들이 광복절을 기념하며 뮤지

학구열이 뛰어난 목동에 기생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

우리 대부분은 바쁜 도시 생활 속에서 기계처럼 움직인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침에 벌어진 극적인 상황을 연극으로 연출하고 이를 기록한다.

컬 [영웅]의 주요장면을 길거리 플래시몹 공연으로 기획한다.

월동. 이 동네에서 힙합, R&B 음악을 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다.

마음 속 고향은 잊혀져가는 시골의 풍경이다.

Looking at own trauma directly. The dramatic situation which happened on September 5, 2012, Woo-bin’s birthday is shown on stage and recorded.

Korean youngsters who have passion for a musical organize a flashmob performance on the street with main scenes from Hero celebrating the National Liberation Day.

In Shinwol-dong, Yangcheon-gu which is parasitic on Mok-dong, famous area for desire to learn, there are lots of teenagers practicing hiphop and R&B music.

Most of us live machine like lives in busy cities, but the hometown images in our hearts are the rural sceneries which are being out of mind.

16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63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아시아공동제작네트워크 동아시아 국가들의 젊은 다큐멘터리 작가들이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 적 이해와 평화공존에 기여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를 공동으로 제작 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DMZ국제다큐영화제를 비롯 하여 일본, 대만, 중국의 대표적인 영화제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교 류 상영 및 공동프로젝트 매칭을 추진할 예정이다

1. 포럼 주제 l 다큐멘터리는 동북아시아의 평화공존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 는가? 개요 l 다큐멘터리 공동제작과 배급의 필요성과 방법론에 관한 논의 일시 l 2015년 9월 20일(일) 10:30 ~ 14:00 참석기관 l 대만국제다큐영화제, 상하이국제영화제 DMZ국제다큐영화제, 타이난국립예술대(대만) 상하이동제대학(중국), 일본영화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2. 아시아대학생 교류상영전 주제 l 동아시아 4개국의 대표적인 다큐멘터리 교육기관 교류 상영전 일시 l 2015년 9월 18일(금) ~ 9월 19일(토) 10:30 ~ 12:00 참석기관 l 타이난국립예술대(대만), 상하이동제대학(중국) 일본영화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To encourage coproduction of documentary films by young East Asian filmmakers to contribut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peaceful coexistence in Asia, the Network for Asian Coproduction will be launched at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th plans to organize exchange screenings and arrange matching programs for coproduction projects.

● 상영작품 Screening List

집으로 Going Home

제2차세계대전 당시 항일전쟁에서 생존한 참전용사들에 관한 영화. 전쟁 종료 후 중국 본토에 정착한 5인의 참전용사들은 그들이 기억하 는 가족들과 고향에 대해서 회고한다.

1. Forum Subject l What can the practices of documentary filmmaking do for contributing far-east peaceful coexistence? Summary l A discussion which stimulates debate and spread ideas about methodology and necessity on documentary coproduction and distribution. Date & Time l September 20(SUN) 10:30 - 14:00 Participating Institutions l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Shangha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Taiwan) Tongji University (China) The Japan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outh Korea)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This flim is about the Survive soldier who participate antijanpnese war. After war they eventually, they choose stay back home(china mainland) interviewed five soldiers who have personal expertise in the Second World War, and their family members’ paraphrases, this film draws attention to the concept of home and motherland.

리메이킹 홈 Remaking Home

Taiwan | 2014 | 53min | Color Director | 우 충-쉬엔 Wu Tsung-hsien

2009년 8월 8일은 대만인들에게 역경의 날로 기억되고 있다. 태풍 ‘모라콧’ 이 대만을 강타하면서 카오쉬웅 지역 산지에 위치한 샤오린 마을이 진흙더미에 묻혀 버렸다. 462명이 목숨을 잃었고, 생존자 들은 새로운 삶에 직면하게 된다.

August 8, 2009, for most Taiwanese, it’s really a tough day. Typhoon Morakot slammed Taiwan. The mudslides buried ShaoLin village, located in the mountain area of Kaohsiung, killing 462 people. Until today, all things destroyed had already gone, but how do those who survived face their life?

2. Asian Young Filmmaker’s Exchange Screening Subject l Exchange screenings with 4 most renowned documentary filmmaking institutions in East Asia. Date & Time l September 18(FRI) ~ September 19(SAT) 10:30 ~ 12:00 Participating Institutions l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Taiwan) Tongji University (China) The Japan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outh Korea)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China | 2013 | 25min | Color Director | 바오 만후아 BAO Manhua

논픽션 다이어리 Non-fiction Diary

Korea | 2013 | 93min | Color Director | 정윤석 JUNG Yoon-suk

1994년 추석,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던 사상초유의 지존파 연쇄살 인이 잠잠해지기도 전, 성수대교가 무너지고 다음해인 95년엔 삼풍 백화점이 연달아 붕괴된다. 그리고 20년 후, 죽은 자와의 서늘한 만남 을 시작한다!

In 1994 Korea, notorious some serial killers were caught. They had killed 6 people, and made one of the hostages participate in the murders. These unforgettable killers were called JIJON Clan and Koreans still remember them as the most infamous criminals in history. About 20 years have passed, and the film interviews people that were involved with the JIJON Clan.

16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65


DMZ Docs Fund DMZ Docs 제작지원

Production Funds-related Events 제작지원부대행사

국내 최대 규모의 다큐멘터리 펀드인 2015년 DMZ Docs 제작지원은 제작지원과 개봉지원으로 나누어 총 18편에 3억5천만원을 지원한 다. 올해 신설된 개봉지원은 완성된 다큐멘터리가 극장에서 관객을 만날 수 있도록 개봉과 마케팅 비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국 과 아시아 프로젝트 15편에 주어지는 제작지원금은 2억9천만원, 완 성된 한국 작품 3편에 주어지는 개봉지원금은 6천만원이다. 그 중 대 명문화공장이 참여해 직접 제작지원 2편, 개봉지원 1편을 선정한다. 지원 대상을 아시아로 확장해 공모를 시작한지 두 번째 해인 2015년 제작지원에는 한국과 아시아에서 총 143편의 프로젝트가 응모하였 다. 서류심사를 통과한 총 29편의 프로젝트가 공개발표에 참가하며, 여기서 최종 지원작이 결정된다. 제작지원 및 개봉지원 선정작은 영 화제 폐막식에서 발표한다.

The biggest documentary funds in Korea, the 2015 DMZ Docs Fund, provides 350 million won to a total of 18 projects for their production or release. Funds for Release, newly established this year, is a program helping release itself and marketing for completed documentaries to meet audiences at theaters. Funds for Production, 290 million won, will be distributed to 15 Korean and Asian projects and 3 completed Korean films will get 60 million won for their release. Daemyung Culture Factory will directly select 2 projects for production funds and 1 film for release funds. The second year since the festival extended the range of the fund’s beneficiaries to whole Asia, a total of 143 projects submitted applications this year from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for the 2015 Funds for Production. A total of 29 projects that passed preselection will participate in the public presentation event and here, the final works will be chosen. The selected works for funds will be announced at the closing event of the film festival.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워크숍

Documentary Network Workshop

DMZ Docs 제작지원의 일환으로 아시아 다큐멘터리 제작자들 간 네

As a part of DMZ Docs Production Funds, the festival runs documentary network workshop for 3 days with pitching participants in order to build a network between Asian documentary directors. This workshop was planned to be educational for documentary directors from many different countries of Asia to share their opinions about each other’s projects, even develop one’s project, not to remain as a mere selecting and fund-giving event. The workshop will also be a place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co-production beyond borders between nations while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documentary production environment.

트워크 구축을 위해 공개발표 참가 프로젝트 제작진을 위한 사흘간 의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워크숍을 진행한다. 제작지원 프로그램이 단순히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지원금을 지급하는 행사에 그치지 않 고,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참가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서로의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심화/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과 네트 워크의 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더불어 각국의 제작 환 경에 대한 정보 교류와 국가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공동제작의 가능 성을 타진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일시 l 9월 19일(토)-21일(월) 2박3일 장소 l 게스트하우스 지지향, 명필름영화학교

지원 내용 및 대상 Support Program Details

*심사위원단의 재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Can vary upon the decision of the jury

Public Presentation

DMZ Docs 제작지원 최종지원작을 가리기 위한 행사로 서류심사를

This event is to choose the final works for the DMZ Docs Production Fund and a total of 30 Korean and Asian projects that passed screenings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Not just the jury comprised of documentary experts but also general audiences will be in the event to select the final works while exchanging information on documentary produced in Asia and current status. After the presentation, participants will check pros and cons of their own projects through feedback from the audiences and, of course, the jury in order to enhance their projects’ completeness. Learning about other projects from many Asian countries, these documentary directors can widen their view and get stimulated.

세부 내용

지원 대상

지원편수

지원금액

Category

Details

Qualifications for Documentary funds

Number of Selected works

Amount of Funds

8편 내외 About 8 projects

총 2억1천만원

사는 최종지원작의 선정뿐 아니라, 다큐멘터리 관계자 및 관객들이

A total of 210 million won

아시아에서 제작되는 다큐멘터리에 대한 정보와 현황을 나누는 자리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s

대명문화공장 다큐펀드 제작지원 Funds for Production

Daemyung Culture Factory Funds

DMZ 프로젝트 DMZ Documentary Project

• 한국 및 아시아의 장편(60분 이상) 다큐 • 한국 및 아시아 국적을 가진 감독/프로듀서의 다큐 프로젝트 • Korean or Asian feature-length documentary (minimum of 60min) • Documentary projects suggested by directors/producers with Korean or Asian nationality

통과한 총 30편의 한국과 아시아 프로젝트가 참가한다. 다큐멘터리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뿐만 아니라 일반관객에도 공개되는 이 행

가 될 것이다. 참가자들은 프로젝트 발표 후 심사위원 및 관객의 피 드백을 통해 프로젝트가 가진 장단점을 점검해 보고, 작품의 완성도

• 한국 장편(60분 이상) 다큐 • 극장 개봉을 목표로 하는 다큐 • Korean feature-length documentary(minimum of 60min) • Documentary aiming at opening in theaters • 한국 및 아시아 국적을 가진 감독/프로듀서의 다큐 프로젝트 • ‘ DMZ’혹은 분쟁, 통일 등을 소재/주제로 한 40분 이상의 다큐 프로젝트 • Documentary projects suggested by directors/producers with Korean or Asian nationality • Documentary projects(longer than 40min) about dispute, union or ‘DMZ’,

2편 2 projects

총 2천만원 A total of 20 million won

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는다. 더불어 아시아 여러 나라의 프로젝트를 접해 봄으로써 다큐멘터리 제작자로서의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자극을 받는 계기를 얻게 된다. 일시 l 9월 22일(화)-23일(수) 10:00-18:00

1편 1project

2천만원 20 million won

장소 l 명필름아트센터 영화관

• 장편 다큐제작경험이 1편 이하인 국내 신진다큐감독의 프로젝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 Project of Korean documentary director who produced 1 or no feature-

DMZ다큐 개봉지원

• 2015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으로 공식 초청된 작품 중, 개봉을 준비 중인 장편 다큐(사전신청작) • Films preparing to release at theaters among official feature films screening at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dvance application needed)

4편 4 projects

length documentary before

총 4천만원 A total of 40 million won

시아에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가는 제작자들이 아시아를 바라보는

개봉지원 Funds for Release

DMZ Documentary Release Funds

대명문화공장 배급상(가칭) Daemyung Culture Factory Distribution Award

16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으로 공식 초청된 작품 중, 개봉을 준비 중인 장편 다큐 • 대명문화공장이 선정(사전신청작) • Films preparing to release at theaters among official feature films screening at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 Selected by Daemyung Culture Factory(advance application needed)

1편 1 film

총 4천만원 A total of 40 million won

2천만원 20 million won

Place l Myung Films Art Center Theater

Seminar : Documentary Production in Asia

리의 구체적인 사례와 고민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시

As a part of workshop program, this seminar is a place to gather documentary directors’ view on Asia making in Asia whether they are Asian or not. What does Asia mean to documentary directors? How do we look at Asia? How do we band together, Asian documentaries? Here, scholars from Asian countries and documentary directors come to share opinions and to debate focusing on specific cases.

간을 갖는다.

Date l September 21(Mon) 15:00-18:00

일시 l 9월 21일(월) 15:00-18:00

Place l Myung Films Art Center Theater

장소 l 명필름아트센터 영화관

Panal l MUN Jeong-hyun(Director), Wood LIN(TIDF)

시선과 관점에 대해 공론화 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이다. 다 큐멘터리 제작자에게 아시아는 어떤 의미인가? 아시아를 어떻게 바 라볼 것인가? 아시아 다큐멘터리,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 아시아 각

2편 2 films

Date l September 22(Tue)-23(Wed) 10:00-18:00

세미나 : 아시아에서 다큐멘터리 만들기 워크숍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열리는 세미나는 아시아인으로 또는 아

신진작가제작지원

Place l Guest House Jijihyang, Myung Films Institute

공개발표

구분

장편다큐 제작지원

Date l September 19(Sat)-21(Mon)

국의 다큐멘터리 관계자들이 모여 아시아에서 만들어지는 다큐멘터

패널 l 문정현(감독), 우드 린(대만국제다큐영화제)

Nilotpal MAJUMDAR(DocedgeKolkata)

니로팔 마줌다르(독엣지콜카타)

Budi IRAWANTO(Jogja-Netpac Asian Film Festival)

부디 이라완토(족자-넷팩아시아영화제)

Amelia HAPSARI(In-Docs), ZENG Feng(GZDOC) etc.

아멜리아 합사리(인독스), 젱펭(광저우국제다큐영화제) 등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67


Public Presentation Projects 공개발표참여프로젝트

저항 Obstinate to Live Afghanistan DIRECTOR | 사흐라 모사위 Sahra MOSAWI

아시아 장편 프로젝트 Asian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s

24번가 24th Street China DIRECTOR | 판즈치 PAN Zhiqi

피투성이 파넥 Bloody Phanek India DIRECTOR | 소냐 네프람 Sonia NEPRAM

경계 안의 경계 Border within Border India DIRECTOR | 데반잔 센굽타 Debanjan SENGUPTA

피플 파워 밤쉘 People Power Bombshell Philippines DIRECTOR | 존 토레스 John TORRES

붉은 옷 Red Clothes Cambodia DIRECTOR | 찬 리다 CHAN Lida

이 돌은 우리의 뼈다 This Stone is Our Bone Indonesia DIRECTOR | 살라우딘 시레가 Shalahuddin SIREGAR

데이 애프터 투모로우 Day after Tomorrow Bangladesh DIRECTOR | 카마르 아마드 시몬 Kamar AHMAD SIMON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B급 며느리

In Search of Lost Time

Myeonuri

Japan DIRECTOR | 오타 신고 OTA Shingo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IRECTOR | 선호빈 SUN Ho-bin

마지막 공산주의자

소포리에서

My Father, the Last Communist

From Sopori

Vietnam DIRECTOR | 도안 티 홍 레 DOAN Thi Hong Le

168

한국 장편 프로젝트 Korean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s

DIRECTOR | 김응수 KIM Eung-su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69


애국청년변희재

DMZ 프로젝트 DMZ Documentary Projects

Patriot B

검은 기념비 DIRECTOR | 강의석 KANG We-suck

Black Monument Korea DIRECTOR | 최원준 CHE One-joon

언더그라운드 Underground DIRECTOR | 김정근 KIM Jeong-keun

굿바이 마이 러브, NK Goodbye My Love, NK Korea DIRECTOR | 김정 KIM Jeong

용왕궁의 기억 Memory of Yongwanggung DIRECTOR | 김임만 KIM Im-man

남상양 Nam Sam Yang Myanmar DIRECTOR | 수 수 흘렝 Su Su HLAING

우리는 홍리안 We are Hong-Rean DIRECTOR | 김기민 KIM Ki-min

신진작가 프로젝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s

170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이태원

그날

Itaewon

The Day

DIRECTOR | 강유가람 KANGYU Ga-ram

DIRECTOR | 정수은 JEONG Su-eun

카운터즈

그녀들의 점심시간

Counters

Ladies’ Lunchtime

DIRECTOR | 이일하 E Il-ha

DIRECTOR | 구대희 KOO Dae-hee

할매꽃 2

시간이 멈춘 기억

Grandmother’s Flower 2

Record for Her

DIRECTOR | 문정현 MUN Jeong-hyun

DIRECTOR | 문창현 MOON Chang-hyeo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1


김군

레드마리아 2

Mr. Kim

Red Maria 2

DIRECTOR | 강상우 KANG Sang-woo

DIRECTOR | 경순 Kyung Soon

난잎으로 칼을 얻다

뚜르, 잊혀진 꿈의 기억

The Orchid and the Sword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DIRECTOR | 임경희 LIM Gyung-hee

DIRECTOR | 임정하, 김양래, 박형준, 전일우 LIM Jung-ha, KIM Yang-rae, PARK Hyung-jun, JEON Il-woo

슬픈 늑대

백년의 가족

The Wolf in the Fence

One Hundred Years: The Journey of the Family

DIRECTOR | 장효봉 JANG Hyo-bong

DIRECTOR | 김덕철 KIM Duk-chul

우리는 SK브로드밴드 직원이 아닙니다

불온한 당신

I’m Not a Permanent Worker in SK

Troublers

DIRECTOR | 변규리 BYUN Gyu-ri

DIRECTOR | 이영 LEE Young

삐라 Bira DIRECTOR | 조현준 Wesley CHO

개봉지원 Fund For Release

58개띠 몽상기딜쿠샤 Kim’s Dilkusha –Life goes on DIRECTOR | 김태영, 이세영 KIM Tae-yeong, LEE Sae-young

경계 Fluid Boundaries DIRECTOR | 문정현, 블라디미르 토도로비치, 다니엘 루디 하리얀토 MUN Jeong-hyun, Vladimir TODOROVIC, Daniel Rudi HARYANTO

17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서른 넷, 길 위에서 Thirty-four, on the Road DIRECTOR | 김병철, 이선희 KIM Byung-chul, LEE Sun-hee

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DIRECTOR | 박소현 PARK So-hyun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3


업사이드 다운 Upside Down DIRECTOR | 김동빈 KIM Dong B.

Funded Documentary Screening 제작지원작 상영 이번 영화제에서는 DMZ Docs 제작지원작을 통해 완성된 다큐멘

왕초와 용가리

터리 5편이 월드 프리미어로 관객을 만난다.

This year, 5 documentaries completed with DMZ Docs’ support will have their world premiere release at the festival.

Hide Behind the Sun 2014년 제작지원작 2014 Funded Documentary DIRECTOR | 이창준 LEE Chang-jun

DMZ사운드스케이프-시간의 소리 Soundscapes of DMZ or Time

정조문의 항아리

DIRECTOR | 송규학 SONG Kyu-hag

Jung Jo-mun’s Pot DIRECTOR | 황철민 WHANG Cheol-mean

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지나가는 사람들

DIRECTOR | 박소현 PARK So-hyun

People Passing By DIRECTOR | 김경만 KIM Kyung-man

벽장 속의 결혼 Wedding a Film

홀리워킹데이

DIRECTOR |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Mohammadreza FARZAD

Holy Working Day DIRECTOR | 이희원 LEE Hee-won

2013년 제작지원작 2013 Funded Documentary

레드마리아 2 Red Maria 2 DIRECTOR | 경순 Kyung Soon

아마미 Amami DIRECTOR | 가와세 나오미 KAWASE Naomi

17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5


Program Events 프로그램 부대행사

1. 아티스트 토크 & 강연

2. 토크콘서트: 더 비지트

매년 영화제의 주제와 모티브로부터 출발한 포럼 형식의 토크 프로그램. 초청된 감독들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흥미로운 대담형식의 아티스트 토

2014년 상영작인 <문화의 전당> 감독 중 한명인 마이클 매디슨의 신작 <더 비지트> 공개. 영화는 인간이 경험하지 않았던 우주의 지적 생명체와

크 및 심도 있는 강연 프로그램 구성. 올해는‘분쟁과 프로파간다’그리고‘분단70년’ 이란 키워드로 역사적 사건을 기록한 이미지의 프로파간다 메

처음 마주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자, UN우주업무사무국, 국방부, 항공우주국 전문가들에게 인간의 종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영화 상영 후 사

커니즘을 해부하고 다큐멘터리가 기억하는 분단70년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 안의 DMZ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2차 세계대전 집단학살의

이언스 픽션 동호회와 일반 관객들이 참여하는 토크 콘서트를 준비한다.

설계자인 하인리히 히믈러의 자화상부터 60년대 독일의 바더-마인호프 사건, 80년대 서베를린의 이단자들에 이르기까지 분쟁과 혁명의 역사를 서 구적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북한에서 촬영된 도큐멘트를 통해서 분단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토크 A l 히믈러 프로젝트

일주시 l 2015년 9월 18일(금) 19:30 ~ 21:00 참석자 l 원종우(팟케스트‘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진행자), 박상준(서울 SF아카이브 대표)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2관

일주시 l 2015년 9월 19일(토) 16:10 ~ 17:30 참석자 l 로무알트 카마카(감독), 곽영빈(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3. 도슨트 스크리닝

토크 B: B-무비 l 서베를린의 환희와 사운드

일반 관객들에게 다큐멘터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상영 전 영화를 소개하는 도슨트 형식의 해설 프로그램으로 대중들의 관심과 참여도를 높이기

일주시 l 2015년 9월 19일(토) 17:40 ~ 19:00

위한 특별한 상영 이벤트. 또한 관객 중심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관람 서비스로 영화제를 방문한 관객을 위한 맞춤 추천작 연계 운영.

참석자 l 마크 리더(음악 프로듀서 & 뮤지션), 서정민갑(음악평론가)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8관 토크 C l 평양연서 일주시 l 2015년 9월 19일(토) 21:40 ~ 23:00 참석자 l 조성형(감독), Dr. 라이마 폴커(주한독일문화원)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2관 토크 D l 독일청춘 일주시 l 2015년 9월 20일(일) 19:30 ~ 21:00

도슨트 프로그램 붉은 사원의 순종자들 l 헤말 트라이베디, 모하메드 알리 나크비 l 84min l 글로벌비전 일 시 l 2015년 9월19일(토) 13:00 장 소 l 메가박스 백석 2관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 | 모건 네빌, 로버트 고든 l 87min l 글로벌 비전 일 시 l 2015년 9월19일(토) 21:00 장 소 l 메가박스 백석 7관 몬티 파이튼-코미디의 전설 l 로저 그래프, 제임스 로건 l 95min l 글로벌비전 일 시 l 2015년 9월20일(일) 13:00 장 소 l 메가박스 백석 3관

참석자 l 엠마누엘 코닉(<독일청춘> 리서처), 조명진(파리 국립예술원 프로그래머)

러시안 딱따구리 l 채드 그라시아 l 80min l 글로벌비전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일 시 l 2015년 9월19일(토) 20:30 장 소 l 메가박스 파주 3관

토크E l 레드 마리아 2 일주시 l 2015년 9월 20일(일) 17:40 ~ 19:00

웰컴 투 리스 l 마이클 비치 니콜스, 크리스토퍼 워커 l 86min l 글로벌비전 일 시 l 2015년 9월20일(일) 20:30 장 소 l 메가박스 백석 8관

참석자 l 경순(감독), 변성찬(영화평론가), 손희정(여성문화이론연구소)

킬링타임 l 뤼디 위쇼 클로델 l 90min l 글로벌비전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3관

일 시 l 2015년 9월22일(화) 21:00 장 소 l 메가박스 백석 3관

토크 F l 아마미 일주시 l 2015년 9월 22일(화) 14:30 ~ 16:00

4. 파티

참석자 l 가와세 나오미(감독), 맹수진(영화평론가)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토크콘서트 종료 후 <더 비지트> 배급사인 독에어가 주최하는 DJ 파티

강연 l 필립 아주리

일주시 l 2015년 9월 18일(금) 21:30

주주제 l 하룬 파로키의 세계의 이미지

장주소 l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백석로 108번길 Pub MAD

일주시 l 2015년 9월 23일(수) 14:20 ~ 16:00 참석자 l 필립 아주리(프랑스 평론가) 장주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17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7


1. Artist Talk & Lecture

2. Talk Concert : The Visit

A talk program as a forum begun with themes and motifs of yearly festivals consists of a stimulating artist talk and an in-depth lecture focusing on cinematic worlds of guest directors. With keywords of ‘Conflict and Propaganda’ and ’70 years of division’, we will built up an intimate perspective on a mechanism of image propaganda documented historical events. And history of 70 years of division remembered by documentaries will evoke thoughts about DMZ within ourselves. We will have chance to get observation at the stage of western historical perspective of conflict and revolution including a portrait of Heinrich HIMMLER who was an architect of genocide of World War II, the BaaderMeinhof Gang in 60’s and the fringes of West Berlin in 80’s. And it will be a great chance to perceive about the division again from ‘Documentary’ filmed in North Korea.

Introducing The Visit, a new film of Michael MADSEN who is one of directors of Cathedrals of Culture which was released at 2014 festival. The film documents an event that has never taken place and man’s first encounter with intelligent life from space. And it gives out metaphysical questions about species of human to the UN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the military, and experts from leading space agencies. After screening, SF club members and audiences will join a talk concert.

Talk A l The Himmler Project Date l September 19(Sat) 16:10 ~ 17:30 Participants l Romuald KARMAKA(Director), KWAK Young-bin(Sogang Univ. Institute for the Study of Media & Culture)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Talk B l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Date l September 19(Sat) 17:40 ~ 19:00 Participants l Mark REEDER(Musician), SEO Jung min-gab(Music Critic) Venue l Megabox Baekseok 8 Talk C l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Date l September 19(Sat) 21:40 ~ 23:00 Participants l CHO Sung-hyung(Director), Dr. Reimar VOLKER(Goethe-Institut Korea) Venue l Megabox Baekseok 2 Talk D l A German Youth Date l September 20(Sun) 19:30 ~ 21:00 Participants l Emmanuelle KOENIG(Researcher), CHO Myung-jin(Programmer of Institut National d’histoire de l’art)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Talk E l Red Maria 2 Date l September 20(Sun) 17:40 ~ 19:00 Participants l Kyung Soon(Director), BYUN Sung-chan(Film Critic), SON Hee-jung(The Center for Women's Culture and Theory) Venue l Megabox Baekseok 3 Talk F l Amami Date l September 22(Tue) 14:30 ~ 16:00 Participants l KAWASE Naomi(Director), MAENG Su-jin(Film Critic)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Lecture l Philippe AZOURY Subject l Harun FAROCKI: Images of the World Date l September 23(Wed) 14:20 ~ 16:00 Participants l Philippe AZOURY(Film Critic) Venue l Megabox Baekseok Table M

17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ate l September 18(Fri) 19:30 ~ 21:00 Participants l WON Jong-woo(Podcast ‘Science with People of Pato’), PARK Sang-joon(Seoul SF Archive) Venue l Megabox Baekseok 2

3. Docent Screening A special screening event as a docent program introducing films before screening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ocumentary for the audience in order to promote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we recommend films customized for the audience as a service for focusing on the audience. Among the Believers l Hemal TRIVEDI, Mohammed Ali NAQVI l 84min l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19(Sat) 13:00 Venue l Megabox Baekseok 2 Best of Enemies l Morgan NEVILLE, Robert GORDON l 87min |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19(Sat) 21:00 Venue l Megabox Baekseok 7 Monty Python - The Meaning of Live l Roger GRAEF, James ROGAN l 95min l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20(Sun) 13:00 Venue l Megabox Baekseok 3 The Russian Woodpecker l Chad GRACIA l 80min l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19(Sat) 20:30 Venue l Megabox Paju 3 Welcome to Leith l Michael Beach NICHOLS, Christopher K. WALKER | 86min |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20(Sun) 20:30 Venue | Megabox Baekseok 8 Killing Time l Lydie WISSHAUPT-CLAUDEL l 90min l Global Vision Date l September 22(Tue) 21:00 Venue l Megabox Baekseok 3

4. Talk Concert After Party DJ Party hosted by Doc Airways Sales after The Visit Science Fiction Talk Concert Date l September 18(Fri) 21:30 Venue l Pub MAD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79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Events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Programs

분단70년 특별전 부대행사

분단70년 특별프로그램

주제포럼

Main Forum

DMZ SHOOT the DOCS 디엠지가 묻고 다큐가 답하다

DMZ Shoot the DOCS - DMZ Asks, Documentary Answers

일시 l 2015년 9월 21일(월) 15:00~17:30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참석 l 사회 : 서민원(PD) 토론 : 조성형(감독), 유순미(감독), 조현준(감독) 주관 : 한국독립PD협회·DMZ국제다큐영화제

Date l September 21(Mon) 15:00-17:30 Venue l Megabox Baeseok Table M Participants l SEO Min-won (Producer), CHO Sung-hyung (Director) YOO Soon-mi (Director), Wesley CHO (Director) Host l KIPDA, DMZ DOCS

분단70년 부대프로그램으로 분단과 통일에 관한 컨템포러리 관객이 프로그램 주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래폼 활용

The program focuses to utilize various platforms for contemporary audiences to easily approach to the subject of division and unification.

토크콘서트

Talk Concert

DMZ국제다큐영화제가 함께하는<김제동의 톡투유, 걱정말아요 그대>

DMZ DOCS with <KIM Jae-dong’s Talk To You, Don’t Be Worried>

토크주제 l 벽 토크게스트 l 조재현(배우, DMZ국제다큐영화제 집행위원장)

DMZ클래스

DMZ Class

DMZDOCS주제 토크로 심층적이고 대중적인 클래스

DMZ related talks in-depth for general audiences. To be awaken to new significance in reality and division symbolized by DMZ Planned in liaison with 70th Year of Division

DMZ로 상징되는 분단과 현실 공감, 인식 업데이트 프로그램 분단70년 특별전 연계 기획 1. 우리 안의 DMZ 일시 l 2015년 9월 19일(토) 18:30~20:30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참석 l 오동진(영화평론가), 램지 림(감독, 연구자) 강용주(광주트라우마센터장) 2. 분단70년, 한반도를 둘러싼 역학 미생·새터민·이산의 미래를 위한 남다른 상상 일시 l 2015년 9월 20일(일) 18:30~20:30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2관 참석 l 김종대(디펜스21 편집장), 김근식(북한전문가)

Session 1: DMZ Within Us Date l September 19(Sat) 18:30-20:30 Venue l Megabox Table M Participants l OH Dong-jin (Film Critic), Ramsay LIEM (Director, Researcher), KANG Yong-ju (Gwangju Trauma Center)

일시 l 2015년 9월 22일(화) 18:00~22:00 장소 l 고양아람누리 음악당 방청객 l 700명 방청신청 l 영화제(홈페이지/페이스북) 또는 톡투유(홈페이지) 주관 l 고양평화누리·고양포럼·고양신문포럼·DMZ국제다큐영화제

DMZ오딧세이아

DMZ Odyssey - Exhibition

DMZ 및 분단, 평화와 통일에 관한 컨템포러리, 인터뷰 채록 & 미디

Media Art works on DMZ, Division and Unification will be exhibited Interviews are of villagers and soldiers of DMZ, dispersed family members, and citizens of Goyang and Paju.

어아트 설치 대성리주민, DMZ군인, 고양·파주 시민, 실향민, 이산가족, 해방후 세대, 일반 시민 인터뷰 미디어아티스트 l 이용백, 유성훈

Session 2: Dinamic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 Unusual imagination for the future of the you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dispersed families Date l September 20(Sun) 18:30-20:30 Venue l Megabox Baekseok M2 Participants l KIM Jong-dae (Defense 21 Editor) KIM Keun-sik (Scholar in North Korean Studies)

일시 l 2015년 9월 17일(목)~24일(목) 10:30~20:00 장소 l 메가박스 백석점 로비

DMZ Soundscape

시간의 소리

Sound of Time 2014 Project Fund at DMZ Docs

작가 l 송규학 감독 일시 l 2015년 9월 17일(목)~24일(목)(월요일 휴관) 10:00~17:00 장소 l 캠프그리브스 탄약고

Artist l SONG Kyu-hak Date l September 17(Thu)-September 24(Thu)(Closed on Mon) 10:00-17:00 Venue l Camp Greaves’s powder dump

캠프그리브스 특별상영

Camp Greaves Special Screening

<잊혀진 전쟁의 기억> ※ 분단70년 특별전 상영작

Memory of Forgotten War l Deann LIEM, Ramsay LIEM l 38min l 70th Year of Division Special

일시 l 2015년 9월 18일(목)~24일(목)(월요일 휴관) 장소 l 캠프그리브스 1층 시사실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rtist l LEE Yong-baek, YOO Sung-hoon Date l September 17(Thu) – September 24(Thu) 10:30-20:00 Venue l Megabox Baekseok Lobby

DMZ사운드스케이프 2014년 제작지원작 상영 연계 전시

180

Subject l Wall Participants l CHO Jae-hyun (DMZ Docs Festival Director, Actor) Date l September 22(Tue) 18:00-22:00 Venue l Goyang Aramnuri Concert Hall Host l Goyang Peace Nuri, Goyang Forum, Goyang Newspaper Forum, DMZ DOCS

Date l September 18(Thu)-September 24(Thu)(Closed on Mon) Venue l Camp Greaves Screening Room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81


Festival Events 특별행사

개막식

DMZ 평화자전거 행진

Opening Ceremony

Orchestra playing, followed to a documentary, recommended by festival programmer.

국내·외 다큐영화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

DMZ국제다큐영화제 초청게스트 국내·외 다큐 영화인들과 함께

제의 개막을 선포하는 공식행사

영화제 평화를 기원하는 자전거 투어 프로그램

일시 l 2015. 9. 17(목) 19:00

일시 l 2015. 9. 20(일) 13:00

A ceremony attended by Korean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making professionals to declare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pen.

Date & Time l September 20 (SUN) 16:00 Venue l Aram Concert Hall, Goyang Aram Nuri Arts Center Performer l Rinnai Pops Orchestra(Conductor: CHOI Sun-yong)

장소 l DMZ내 캠프그리브스

구간 l 임진각 → 통일촌 삼거리 → 초평도 입구 → 마정리 → 임진각

Date & Time l September 17 (THUR) 19:00 Venue l Camp Greaves Gym within the Paju Civilian Control Zone Events l Declaring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pen Introducing this year’s festival ambassadors and jury members Screening this year’s opening film

DMZ Peace Bicycle Tour

Closing Ceremony

Course l Imjingak → Tongilchon Three-way Intersection → Chopyeongdo → Majeong-ri → Imjingak (17.2Km) Target l The festiv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ests and the public Fee l 10,000 won for a person; 3000 won for bike/helmet rental

행사내용 l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개막선언 ●

(17.2Km)

홍보대사 및 심사위원 소개

대상 l 영화제 초청 게스트 및 일반인

개막작 상영

참가비 l 1인당 10,000원, 장비대여료 3,000원 (자전거 / 헬멧 대여가능)

개막작 l 나는 선무다 l 아담 쇼버그 l 87min l 분단70년 특별전

특별야외상영

폐막식

한국영상자료원과 공동주최하는 제7회DMZ국제다큐영화제의 찾아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공식 폐막행사

가는 영화관. 민통선 내 마을 거주민을 위한 특별 상영 프로그램

일시 l 2015. 9. 24(목) 19:00

일시 l 2015. 9. 21(월) 19:00

장소 l 메가박스 백석 M관

장소 l 경기도 연천군 중면 황산리 마을

행사내용 l ● DMZ영화제 경쟁부문 시상

대상 l 횡산리 주민 및 DMZ 지역 군인

제작지원작 및 다큐백일장 입상자 시상

상영작 l

폐막선언, 폐막작 상영

브라질월드컵 보고서 l 엘스 반 드리엘 l 17min l 다큐패밀리 안녕, 마후 l 딘 해머, 조 윌슨 l 25min l 다큐패밀리

전야제 : DMZdocs 피스 록 콘서트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전야에‘평화’ 를 주제로 열리는 축하공연

DMZ포차라운지

일시 l 2015. 9. 16(수) 19:00

국내·외 다큐 영화인들의 네트워킹을 위한 DMZ국제다큐영화제

장소 l 일산 호수공원 한울광장 특설무대

포장마차

행사내용 l ● 제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트레일러 상영

일시 l 2015. 9. 18(금)~9. 23(수) 20:00 ~ 24:00

초대가수 축하공연

출연 l 전인권 밴드, 장미여관, 술탄 오브 더 디스코, 고양시립합창단

시네마+ 콘서트 명작 영화의 감동을 다시 한 번 즐기고 싶은 관객들을 위한 라이브 콘 서트. 영화의 명장면과 함께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의 실황 연주에 이어 프로그래머 특별추천작이 상영된다.

장소 l 메가박스 백석점 5층 오픈 M 대상 l DMZ국제다큐영화제 게스트 ID카드 소지자

The official closing ceremony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ate & Time l September 25 (THUR) 19:00 Venue l Megabox Baekseok M Events l Presenting awards to the winners of the competition sections Presenting awards to the winners of DMZ Docs Project and Docs Review Declaring the festival closed; screening the closing film

Eve Ceremony: DMZ Docs Peace Rock Concert A concert with hopes of peace will be held on the eve of opening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ate & Time l September 16 (WED) 19:00 Venue l Han-ul Square, Ilsan Lake Park Events l Screening the trailer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Performances of invited musicians Performer l Jeon In Kwon Band, Jangmi-yeogwan, Sultan Of The Disco, Goyang Civic Choir

일시 l 2015. 9. 20(일) 16:00 장소 l 고양시 아람누리 아람음악당 출연 l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최선용 지휘자) 상영작 l 지오반니, 수중발레에 도전하다 아스트리드 부싱크│17min│다큐패밀리

18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Cinema+Concert A live concert for audience members who want to revisit touching moments of the master pieces. Memorable scenes from famous films will be screened with the Rinnai Pops

A bicycle tour with Korean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makers to wish peace to the film festival.

Special Outdoor Screening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s Visiting Theater, co-hosted by Korean Film Archive(KOFA). Special Outdoor Screening Program for inhabitants in Civilian Control Line. Time l September 21(Mon) 19:00 Venue l Gyeonggi-do Yonchon-gun Jung-myeon Hwangsan-ri Target l Inhabitant of Hwangsan-ri, Soldier in DMZ Screening Film l Gabriel Reports the World Cup Els van DRIEL l 17min l Docs Family A Place in the Middle Dean HAMER, Joe WILSON l 25min l Docs Family

DMZ PoCha Lounge A Pojangmacha (cart bar) run by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for networking among documentary filmmakers. Date & Time l September 18(FRI)~September 23(WED) 20”00~24:00 Venue l Megabox Beakseok Open M Target l Holders of a guest badge of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83


Acknowledgements 도움 주신 분들 DHL 정은선 이연성 박정수 DMZ정책과 송승주 이길재 이정월 유윤미 JTBC 이민수 김영주 KEB하나은행 이조영 김인수 김유열 노현주 LED 전광판제조렌탈전문기업 (주) ICG 이현종 송태영 김윤태 김철희 이윤석 송요센 LG디스플레이 조창현 MVL 김민석 게스트하우스 지지향 이근영

경기관광공사 이선형 신현익 유재준 박상현 유지혜 태진호 한정연 황아름 김만호 신영균 홍재걸 권경선 손슬마루

고양문화재단 김유성 이승현

경기도교육청 김혜리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김민수 장정헌

경기도의회 고재학 전부열 박정봉 최형곤 경기영화학교연합 박지홍 허욱 김석범 류훈 박동현 소재영 한우정 한화성 경기콘텐츠진흥원 이안숙 김영식 고양교육지원청 이경희 이상일

184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고양상공회의소 구성진 이정주 고양시 공원관리과 장기성 이상현 고양영상미디어센터 김유훈

광명시립 나름청소년문화의집 윤여원 성윤경 교동생막걸리 이광준 교하도서관 윤명희 이정은 이가현

대만국제다큐영화제 Fan WU 대명문화공장 최정길 김승현 대성동 김동구 대성초등학교 문봉찬 독에어 김민철 김신재 오희정 독일문화원 맹완호 메가박스 나유경 김지원 박성원 나수정 박세희 이경숙

국방부 김민준

명필름 서정일 박종현 장성호

그래미 장필재

문화체육관광부 탁영선

남강트레블 임영미

미로비젼 김은영

남토북수 임덕근

민북관광사업소 이종춘 강선희 양정모 방송콘텐츠진흥재단 권진희 이효민 어윤수 김담희 부천시민미디어센터 한범승 안창규 김병구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김기봉 롯데주류 김동주 김병호 이상원 사무소 김선정 임혜진 샨티출판사 김다정 서울보증보험 황문철

수원영상미디어센터 김노경 김성희

육군 보병60사단 박정희 김준

스페이스 모하갤러리 김규리

일산소방서 유혁

파주민북관광사업소 이종춘 강선희

아이벤 강태혁

전주국제영화제 허으뜸

파주소방서 성기호

애드산업 오현진

주한미국대사관 최은경

한국영상자료원 이승헌 유승현

에스원 고종환

주한오스트리아대사관 정은선

연천군 김재구 박수철

주한이탈리아문화원 Dr. Angelo GIOE 안소연

DOK LEIPZIG Roland Loebner

연천군 횡산리 은금홍

주한체코문화원 미하엘라 리

Casco CHOI Bin-na(Netherland)

영화사 진진 정태원

중부대학교 송인덕

German Films Antonia KAHLERT

영화진흥위원회 김경만 김태형

출판도시문화재단 이환구 백선 이호진

진모영

웅진식품 임상옥

출판도시입주기업협의회 김춘식

서울영상미디어센터 김용훈 곽서연

육군 보병1사단 한명성 조대성 김진교

코레일 송호종 박건양

세렌디피티 이원노

육군 보병28사단 박정숙

키노빈즈 이근욱

파주교육지원청 박정숙

Berlinale Forum Expanded Nanna HEIDENREICH

송규학 오동진 유성훈 원동연 이용백 임고은(네덜란드) Philip CHEAH Nick DEOCAMPO 후원회 정은경

파주경찰서 노복례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85


Contacts 필름 제공처 -1287 Ian Thomas ASH TEL 81 80 1128 2008 / E-mail info@documentingian.com

Amami KUMIE Inc TEL 81 742 27 2216 / E-mail kitagawa@naraiff.jp

Blue Suspended EOM Ji TEL +82 10-3170-8539 / E-mail itji@naver.com

Field Notes Vashti HARRISON TEL 7577105024/ E-mail vashticharrison@gmail.com

(T)ERROR Susan Norget TEL 212 431 0090 / E-mail susan@norget.com

Among the Believers Susan NORGET Tel 212 431 0090 / E-mail susan@norget.com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DEF Media E-mail kontakt@def-media.com

Finding Phong Discovery Communications PTE LTD E-mail glotus@aol.com

599.4km KIM Myo-in TEL 82 10 7521 1127 / E-mail tacitx@daum.net A German Youth Films Boutique TEL 49 30 69537850 / E-mail contact@filmsboutique.com A Man for All Seasons Yangon Film School TEL 49 30 95614327 / E-mail merrison@yangonfilmschool.org A Place in the Middle Dean HAMER TEL 808 629 9895 / E-MAIL deanhamer@aol.com

And the Image Gazes Back Belit SA TEL 31(0)633141589 / E-mail belit@artikisler.net Battles Isabelle TOLLENAERE TEL 32485621648 / E-mail isabelletollenaere@hotmail.com Best of Enemies Magnolia Picutres TEL 1 212 924 6742 / E-mail sveltri@magpictures.com Beyond Zero: 1914-1918 Hypnotic Pictures TEL 1 917 445 8529 / E-mail info@billmorrisonfilm.com

A Second Daughter KOO Dae-hee E-mail 9daeng@gmail.com

Bicycle, City Seoul Visual Collective Tel 82 2 745 4641 / E-mail rainman.jh@gmail.com

Adieu, Paradise LEE Kang-ok E-mail rkangoklee@hanmail.net

Bira Wesley CHO E-mail wesleycho7@gmail.com

Aim High in Creation Unicorn Films TEL 61 3 9699 3677 / E-mail lizzette.atkins@unicornfilms.com.au

Blood Sisters Taskovski Films TEL 421949 635890 / E-mail festivals@taskovskifilms.com

186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Cambodian Son Romance Productions TEL 33608746446 / E-mail hl@romanceproduction.fr Censored Voices Dogwoof Global TEL 44 2072536244 / E-mail press@dogwoof.com Chuck Norris VS Communism Alex ROWLEY TEL 44 (0) 7753 738 777 / E-mail alex.rowley@ar-pr.co.uk Empire’s Borders II - Western Enterprises, Inc. CHEN Chieh-jen Studio E-mail studio2.chen@gmail.com Epilogue Between Pictures Inc. E-mail dada717@hanmail.net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Andreas BANZ TEL 49 30 700 800 800 / E-mail ab@kundschafterfilm.de Felvidek, Caught in Between TETRAKTYS FILMS Ltd TEL 35799694407 / E-MAIL tetraktys@cytanet.com.cy

Fluid Boundaries CinemaDAL Tel 82 2 337 2135 / E-mail humi@cinemadal.com Gabriel Reports the World Cup Anouk DONKER TEL 31 35 647 4200 / E-MAIL amouk.donker@ikon.nl Giovanni and the Water Ballet NPO sales TEL 31 6 51 21 10 68 / E-MAIL kaisa.kriek@npo.nl Hana, Dul, Sed Paul Thiltges DISTRIBUTIONS TEL 352 250393 10 / E-mail info@ptd.lu Hebei, Taipei LI Nien Hsiu TEL 886926357340 / E-mail hebeitaipei@gmail.com Help Us Find Sunil Tripathi FilmBuff TEL 01 212 463 6403 / E-MAIL JakeH@FilmBuff.com Hide Behind the Sun BOM Media E-mail docujun@naver.com

Holy Working Day LEE Hee-won E-mail everone0301@gmail.com Homeland(Iraq Year Zero) Abbas FAHDEL TEL 33662297117 / E-mail abbasfahdel@wanadoo.fr Home Sweet Home 101 Ryun E-mail jelesais@naver.com I am Sunmu A Loose Luggage Media Film TEL 347 417 0714 / E-mail IAmSunMu@gmail.com I Want To Be A King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Center(DEFC) TEL 98 21 88511326 / E-mail int@defc.ir I, Kamikaze MK2 TEL 33 1 44 67 30 30 / E-mail JULIETTE.SCHRAMECK@MK2.COM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Harun Farocki Filmproduktion TEL 49 89 20 13 547 / E-mail Matthias.rajmann@farockifilm.de Imraan C.O. Carom Club Film University Potsdam Babelsberg Konrad Wolf TEL 49 331 2602546 / E-mail c.marx@filmuniversitaet.de In Place of Capital Zachary FORMWALT E-mail mail@zacharyformwalt.com

In the Dark Goran STANKOVI TEL 381 64 919 7696 / E-mail Goran@thisandthat.rs In Transit Stacey FARRAR TEL 917 324 6004 / E-mail STACEY@MAYSLES.ORG It Will Be a Country Indrapur Cinematografica Tel 06 33222116 / E-mail indrapur@hotmail.com Jung jo-mun s pot Cinegut TEL 82 2 3408 3843 / E-mail cinegut@gmail.com Killing Time Taskovski Films TEL 421949635890 / E-mail festivals@taskovskifilms.com Kim’s Dilkusha - Life goes on M-Line Tel 82 2 518 3818 / E-mail merongssba@naver.com La Dolce Siria Shams Films E-mail ammarbeik@gmail.com Landfill Harmonic The Film Collaborative TEL 1 818 679 8751 / E-MAIL Jeffrey@thefilmcollaborative.org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Polar Bear Pictures. Co.Ltd Tel 82 2 575 3397 / E-mail jean20@naver.com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87


Contacts 필름 제공처 Losers - A film About Loss KRO-NCRV TEL 31 35 671 3516 / E-MAIL Frauke.vanbeusekom@kro-ncrv.nl

Oyster LUX TEL 044207 503 3980 / E-mail distribution@lux.org.uk

Something Better to Come Hanna POLAK TEL 48795624981 / E-mail hanna@hannapolakfilms.com

Maya Lin: A Strong Clear Vision Freida Lee MOCK E-mail jean20am.film@verizon.net

People Passing By CinemaDAL Tel 82 2 337 2135 / E-mail humi@cinemadal.com

Songs from the North Rosa Filmes TEL 351213031810 / E-mail rui@rosafilmes.pt

Memory of Forgotten War Deann Borshay LIEM, Ramsay LIEM TEL 510 333 1217 / E-mail deann@mufilms.org

Please Answer Me KIM Yeon-sil E-mail nyusuck@naver.com

Soundscapes of DMZ or Time CREACON Tel 82 2 584 1224 / E-mail apple@creacon.tv

Monty Python - The Meaning of Live Eagle Rock Entertainments TEL 44 20 8870 5670 / E-mail ANDREW.WINTER@EAGLE-ROCK.COM

Pyramid LUX TEL 044207 503 3980 / E-mail distribution@lux.org.uk

Swany- 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 peacewind E-mail peacenomad@hanmail.net

My Place CHOI Jong-ho E-mail rainman.jh@gmail.com

Red Maria 2 Red Snowman E-mail redsnowman@hanmail.net

The Amina Profile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TEL 514 496 4134 / E-mail distribution@nfb.ca

Of the North Denis VAILLANCOURT E-mail denisvaillancourt@videographe.qc.ca

Remember the Yeomni-dong, trail KANG Seung-hee TEL +82 10 5471-6879 / E-mail kaps97@naver.com

On the Rim of the Sky Hongjie XU TEL 49 221 8456 1478 / E-mail int@defc.ir One Hundred Years : The Journey of the Family KJ Film TEL 82 2 722 7212 / E-mail filmkj@gmai.com Our Last Tango Mirovision Inc TEL 82-2-3443-2502 / E-mail sylvie@mirovision.com

188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Respite Harun Farocki Filmproduktion TEL 49 89 20 13 547 / E-mail Matthias.rajmann@farockifilm.de Searching for Bong JEONG Ha-rim TEL +82 10-7624-7684 / E-mail analyazumm@naver.com Shortcut KIM Eui-sun TEL +82 10 4130-1539 / E-mail ek051959@gmail.com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KIM Sook-hyun, CHO Hye-jeong E-mail merongssba@naver.com The Himmler-Project Romuald KARMAKAR E-mail welcome@romuald-karmakar.de The Knitting Club LEE Hyun-ji E-mail femimage@naver.com The Land of Many Palaces Journeyman Pictures TEL 44 208 398 4616 / E-mail films@journeyman.tv The Letter LEE Hyun-jung E-mail fridaa@naver.com The Russian Woodpecker Mike LERNER E-mail mike@roastbeeftv.com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Mandragora International TEL 33 6 80 22 71 28 / E-mail studio2.chen@gmail.com

The Summer In Ibaraki Busan MBC TEL 82 51 760 1481 / E-MAIL jshsyk@hanmail.net

The Comfort in Forgetting Three Cornier Fish Films TEL 886922369221 / E-mail renee105@msn.com

The Visit Autlook Filmsales TEL 43 720 34 69 34 / E-mail youn@autlookfilms.com

The Corral and the Wind Miguel HILARI TEL 591 72056898 / E-mail miguelhilari@gmail.com

Thirty-four, on the road Cross Border E-mail gender21@naver.com

The Decent One Vanessa LAPA TEL 972 54 431 7006 / E-mail vanessa@realworks.bz

T-REX Rebecca SALADOFF TEL 541-261-9642 / E-MAIL Rebeccasaladoff@gmail.com

Troublers WOM DOCS TEL 82 2 3141 1369 / E-mail womdocs@gmail.com

Whispering sunshine KIM Hee-bong Tel 82 32 546 2946 / E-mail gender21@naver.com

Twenty-Eight nights and A Poem MC Distribution TEL 961 1 332 661 / E-mail oelkadi@mcdistribution.me

You can t stop the beat OH Min-seok E-mail ajabary2@naver.com

Two Voices from Korea Andreas BANZ TEL 49 30 700 800 800 / E-mail info@kundschafterfilm.de Upside Down CinemaDAL TEL 82 2 337 2135 / E-mail humi@cinemadal.com War of Lies Cinephil TEL 972 3 566 4129 / E-mail info@cinephil.co.il Warriors from the North DR Sales E-mail kimc@dr.dk We Didn’t Start the Fire Hong Da-ye TEL +82 10-2779-8386 / E-mail diane1002@naver.com Wedding a Film Mohammadreza FARZAD TEL 98 9366435650 / E-mail farzadoc@gmail.com Welcome to Leith Josh BRAUN E-mail josh@submarine.com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89


Index of Films 작품 색인

-1287

49

봉준호를 찾아서

63

염리동의 기억, 흔적

67

-1287

49

Hide Behind the Sum

28일의 밤과 시

40

북극의 이누이트

82

오이스터

90

(T)ERROR

42

Holy Working Day

58개띠 몽상기 딜쿠샤

93

북녘에서 온 노래

127

62

Home Sweet Home 101

599.4km

62

불온한 당신

B-무비: 서베를린의 환희와 사운드

74

DMZ사운드스케이프-시간의 소리

94

T-REX

붉은 사원의 순종자들

71

웰컴 투 리스

87

A Man for All Seasons

51

브라질월드컵 보고서

116

이라크 영년

35

A Place in the Middle

119

I Want To Be A King

39

A Second Daughter

106

I, Kamikaze

Adieu, Paradise

107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142, 143, 144, 145

The Autobiography of Nicolae Ceausescu 134, 135

Aim High in Creation

121

Imraan C.O. Carom Club

The Comfort in Forgetting

50

The Corral and the Wind

76

76

블루 서스펜디드

64

이미지의 자본론

150, 151

59

비욘드 제로: 1914-1918

73

이바라키의 여름

114

검열된 목소리

33

삐라

129

임란, 카롬 클럽

89

경계

95

사계의 남자

51

굿모닝 영화과

96

사이에 갇힌

궁전의 땅

47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

38

남북미생

128

29, 131 46 125

89 150, 151

127

Soundscapes of DMZ or Time

94

Swany- 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

55

The Amina Profile

70

69

In Place of Capital

71

In the Dark

36

The Decent One

34

148

In Transit

78

The Emotional Society On Stage

59

The Himmler-Project

Among the Believers

100

and the image gazes back

상실에 대한 영화

118

자전거, 도시

101

Battles

31

It Will Be a Country

79

서른 넷, 길 위에서

99

Best of Enemies

72

Jung Jo-mun’s Pot

123

The Knitting Club

56

Beyond Zero: 1914-1918

73

Killing Time

80

The Land of Many Palaces

47

93

The Letter

60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

142, 143, 144, 145

소나무씨 에게 숏컷 수닐을 찾습니다

105 65 112

전투 정조문의 항아리

Bicycle, City

101

Kim’s Dilkusha -Life Goes On

102

Bira

129

La Dolce Siria

지나가는 사람들

103

Blood Sisters

32

Landfill Harmonic

지오반니, 수중발레에 도전하다

117

Blue Suspended

64

Le Tour, The Memories of A Forgotten Dream

척 노리스 vs 코뮤니즘 카미카제 특공대원의 증언

대답해줘

97

시발.

더 비지트

84

아듀, 파라다이스

독일청춘

138, 139

떠도는 삶

66 107

123

즐거운 나의 집 101

스와니 - 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55

34

31

제국의 국경 II-웨스턴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136, 137

146, 147

75

118

Thirty-four, On the Road

126

T-REX

킬링 타임

80

Censored Voices

33

Memory of Forgotten War

130

Troublers

Chuck Norris VS Communism

75

Monty Python - The Meaning of Live

아미나 프로필

70

편지

60

98

아웃사이더

44

평양연서

124

안나, 평양에서 주체영화를 배우다!

121

피라미드

91

119

필드노트

88

85

안녕, 마후

레드마리아 2

37

알 샤바브의 전사들

41

하나, 둘, 셋

마야 린의 비전

126

알파벳 모험담

79

하늘의 가장자리에서

48 77

마지막 탱고

83

야근 대신 뜨개질

56

허베이, 타이페이

몬티 파이튼 - 코미디의 전설

81

어둠 속에서

36

홀리워킹데이

백년의 가족

53

어떤 둘째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

72

에필로그

벽장 속의 결혼

86

엠파이어빌더 횡단열차

109 78

히믈러 프로젝트

122

104 140, 141

81

85 114 84

Maya Lin: A Strong Clear Vision

50

57

The Visit

Losers - A Film About Loss

42

업사이드 다운

The Summer in Ibaraki

44

테러

142, 143, 144, 145

98

140, 141

The Russian Woodpecker

Cambodian Son

69

베스터보르크 수용소

113

B-Movie: Lust & Sound in West-Berlin 1979-1989 74

아마미

106

146, 147

125

러시안 딱따구리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 am Sun Mu

38

Songs from the North

자리

달콤한 시리아

190

35

111

숭고한 나치

113

Homeland(Iraq Year Zero)

130

134, 135

랜드필 하모니

Amami

138, 139

잊혀진 전쟁의 기억

니콜라이 차우세스쿠의 자서전

뚜르, 잊혀진 꿈의 기억

Something Better to Come

A German Youth

감정의 시대: 서비스 노동의 관계미학

45

102

599.4km

58

가축우리와 바람

나를 찾아서

65

46

이라크 전쟁의 전말

29, 131

Shortcut

왕초와 용가리

32

나는 선무다

104

왕이 되고 싶은 사나이

블러드 시스터즈

148

63

54

115

그리고 이미지가 응시하는

Searching for Bong

58

99 115 54

Twenty-Eight Nights and a Poem

40

Empire’s Borders II - Western Enterprises, Inc. 136, 137

My Place

Epilogue

Of the North

82

Upside Down

57

Far East Devotion - Love Letters from Pyongyang 124

On the Rim of the Sky

48

War of Lies

39

Felvidek, Caught in Between

One Hundred Years : The Journey of the Family

53

Warriors from the North

41

88

Our Last Tango

83

We Didn’t Start the Fire

66

Finding Phong

45

Oyster

90

Wedding a Film

86

Fluid Boundaries

95

People Passing By

103

Welcome to Leith

87

Gabriel Reports the World Cup

116

Please Answer Me

97

Whispering Sunshine

Giovanni and the Water Ballet

117

Pyramid

91

You Can’t Stop the Beat

Hana, Dul, Sed

122

Red Maria 2

37

Field Notes

Hebei, Taipei Help Us Find Sunil Tripathi

109

111

77 112

100

Remember the Yeomni-dong , Trail Respite

Two Voices from Korea

128

105 96

67

142, 143, 144, 145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91


Index of Films 감독 색인

가와세 나오미

69

마티아스 비트너

39

유순미

127

AL-BEIK, Ammar

146, 146

강승희

67

멀린 앤더슨

32

이강옥

107

ALLGOOD, Brad

113

게르만 크랄

83

메흐디 간지

46

이선희

99

경순

37

모 루샤이

33

이성규

36

JESPERSEN, Søren Steen

41

NEVILLE, Morgan

72

KANG Seung-hee

67

NICHOLS, Michael Beach

87

ANDERSSON, Malin

32

KARMAKAR, Romuald

109

ASH, Ian Thomas

49

KAWASE Naomi

OH Doo-hee

55

69

OH Min-seok

96

140, 141

모건 네빌

72

이세영

93

BHARGAVA, Udita

89

KIM Byung-chul

99

OH Soo-hyun

64

공미연

101

모하마드레자 파르저드

86

이안 토마스 애쉬

49

BITTNER, Matthias

39

KIM Dong B.

57

PARK Gun-sik

63

구대희

106

모하메드 알리 나크비

71

이영

54

BROFFMAN, Neal

112

KIM Duk-chul

53

PARK Hyung-jun

98

그래햄 타운슬리

113

문정현

95

이자벨 톨레나레

31

BROINOWSKI, Anna

121

KIM Eui-sun

65

PARK So-hyun

56

김경만

103

미구엘 힐라리

76

이지연

63

BUSSINK, Astrid

고란 스탄코비치

김덕철 김동빈

53 57

바네사 라파 바슈티 해리슨

34 88

이창재 이창준

105

KIM Kyung-man

103

58

CALUGAREANU, Ilinca

75

KIM Myo-in

62

POLAK, Hanna

38

79

KIM Sook-hyun

59

ROGAN, James

81

115

KIM Tae-yeong

93

KIM Yang-rae

98

Ryun SAGˆ, Belit

97

SALMON, Margaret

109

김묘인

62

박건식

63

이현정

60

김병철

99

박소현

56

이희원

104

CANEPARI, Zackary

김숙현

59

박형준

98

일링카 칼루가라누

75

CHEN Chieh-Jen

김양래

98

벤우

78

임군일

50

CHO Hye-jeong

김연실

97

벨리트 사흐

148, 149

임정하

98

CHO Sung-hyung

65

브래드 올굿

113

장 가브리엘 페리오

김태영

93

브리기테 바이히

122

재커리 카네파리

김희봉

105

블라디미르 토도로비치

나집 파라

41

넬슨 워커

78

빌 모리슨

니콜라 캄피오티

79

소모아

닐 브로프만

112

블라디슬라바 플란치코바

95

재커리 포름발트

138, 139 115 150, 151

전성호

114

73

전일우

98

51

정하림

63

소피 드라스프

70

제임스 로건

81

111

다니엘 루디 하야란토

95

송규학

94

조 윌슨

119

데이비드 셔트클리프

42

쇠렌 스틴 예스퍼슨

41

조성형

124, 127

데이비드 우스이

78

수 홍지에

48

조현준

129

도미니크 가뇽

82

스완 두버스

45

조혜정

59

드레아 쿠퍼

115

아담 쇼버그

29, 131

디앤 보르셰이 림

130

아담 스미스

47

천제런

136, 137

딘 해머

119

아리안 하인즈

118

최소희

64

램지 림

130

아스트리드 부싱크

117

최종호

100

102

아크람 자타리

로무알트 카마카

140, 141

안나 브로이나우스키

40 121

채드 그라시아

85

크리스토퍼 워커

87

클라우스 맥

74

트란 푸옹 타오

45

125

SJOBERG, Adam

29, 131

100

KRAL, German

83

SMITH, Adam

47

64

Kyung soon

37

SOE Moe aung

51

COOPER, Drea

115

LANGE, Heiko

74

SONG Kyu-hag

94

70

LAPA, Vanessa

34

47

DRIEL, Els Van

116

LEE Chang-jae

109

SONG, Ting STANKOVICˇ , Goran

DUBUS, Swann

45

LEE Chang-jun

58

SUGANO, Masahiro

44

EOM Ji

64

LEE Hee-won

104

SUTCLIFFE, David

42

FAHDEL, Abbas

35

LEE Hyun-jung

60

THAO, Tran Phuong

45

FARAH, Nasib

41

LEE Ji-yeon

63

TODOROVIC, Vladimir

95

142, 143, 144, 145

LEE Kang-ok

DERASPE, Sophie

FAROCKI, Harun FARZAD, Mohammadreza FORMWALT, Zachary

86 150, 151

107

TOLLENAERE, Isabelle

31

LEE Sae-young

93

TOWNSLEY, Graham

113

LEE Seong-gyou

109 99

TRUE, Lynn

GANJI, Mehdi

46

LEE Young

54

UJICA, Andrei

GORDON , Robert

72

LI Nien Hsiu

77

USUI, David

78

GRACIA, Chad

85

LIEM, Deann Borshay

130

WALKER Nelson

78

GRAEF, Roger

51

LIEM, Ramsay

130

WALKER, Christopher K.

HAMER, Dean

119

LIM Jung-ha

98

WEICH, Brigitte

122

HARRISON, Vashti

88

LIN, Chunni

50

WHANG Cheol-mean

123

HARYANTO, Daniel Rudi

95

LOUSHY, Mor

33

WILSON, Joe

119

HILARI, Miguel

76

MADSEN, Michael

84

WISSHAUPT-CLAUDEL, Lydie

80

118

MAECK, Klaus

74

WU, Ben

78

XU Hongjie

146, 146

리 니엔 슈

77

압바스 파델

35

하룬 파로키

142, 143, 144, 145

리릭 캐브럴

42

엄지

64

하이코 랑게

74

HINZ, Arianne

78

엘스 반 드리엘

116

한나 폴락

38

HONG Da-ye

66

MAYSLES, Albert

78

마가렛 샐몬

90, 91

예르크 A. 호프

74

헤말 트라이베디

71

HOPPE, Jörg A.

74

MOCK, Frieda Lee

126

마사 사와다

JEON Il-woo

오두희

55

홍다예

66

44

오민석

96

황철민

123

마이클 매드슨

84

오수현

64

마이클 비치 니콜스

87

우디타 바르가바

89

192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71

LEE Sun-hee

암마르 알벡

125

TRIVEDI, Hemal

82

알버트 메이슬리스

마사히로 스가노

36

GAGNON, Dominic

80

린 트루

SAWADA, Masa

CHOI So-hee

51

47

101

CHOI Jong-ho

뤼디 위쇼 클로델

126

90, 91

KONG Mi-Yeun

106

로저 그래프

프리다 리 모크

KIM Yeon-sil KOO Dae-hee

안드레이 우지카

팅송

59 124, 127

102 148, 149

129

72

78

136, 137

111

CHO Wesley

로버트 고든

134, 135

138, 139

KIM Hee-bong

42

CAMPIOTTI, Nicola

김의선

PÉRIOT, Jean-Gabriel PLANCˇ Í KOVÁ, Vladislava

117

CABRAL, Lyric

98

MORRISON, Bill

73

JEON Sung-ho

114

MUN Jeong-hyun

95

JEONG Ha-rim

63

NAQVI, Mohammed Ali

71

78 134, 135

87

48

YOO Soon-mi ZAATARI, Akram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127 40

193


CATALOG ACKNOWLEDGEMENTS Editorial Publisher 조재현 CHO Jae-hyun Editor 이민호 LEE Min-ho Proofreading 전성권 JEON Sung-kwon

박미경 BACH Mi-gyeong

박혜미 PARK HYE-mi

문일주 MOON Il-joo

박준호 PARK Jun-ho

안지혜 AHN Ji-hye

성다은 SEONG Da-eun

권은혜 KWON Eun-hye

강보라 KANG Bo-ra

곽영빈 KWAK Yung-bin

권은혜 KWON Eun-hye

고석희 KO Seok-hee

김광희 KIM Kwang-hee

김소연 KIM So-youn

김소희 KIM So-hee

김영진 KIM Young-jin

김지훈 KIM Ji-hoon

남다은 NAM Da-eun

남수영 NAM Soo-young

문일주 MOON Il-joo

맹수진 MAENG Soo-jin

박미경 BACH Mi-gyeong

박소현 PARK So-hyun

박영석 PARK Young-seok

박준호 PARK Jun-ho

박혜미 PARK Hye-mi

변성찬 BYUN Sung-chan

서동진 SEO Dong-jin

서민원 SEO Min-won

서현석 SEO Hyun-suk

설경숙 SEOL Suan

성다은 SEONG Da-eun

성윤경 SEONG Yun-kyeong

안현신 AHN Hyun-shin

양효실 YANG Hyo-sil

오동진 OH Dong-jin

유운성 YOO Un-seong

유지수 YOO Ji-soo

이민호 LEE Min-ho

이승민 LEE Seung-min

이영주 LEE Young-ju

전성권 JEON Sung-kwon

정지혜 JEONG Ji-hye

정진아 JEONG Jin-a

조명진 CHO Myoung-jin

조혜영 CHO Hye-young

지명민 Ji Min

황미요조 HWANG Miyojo

허명욱 HEO Wook

최민아 CHOI Min-a

리릭 캐브럴 Lyric CABRAL

Contributors

니콜라 캄피오티 Nicola CAMPIOTTI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Mohammadreza FARZAD

바네사 라파 Vanessa LAPA

울리히 지몬스 Ulrich ZIEMONS

Translation 강태원 KANG Tae-won

곽영빈 KWAK Yung-bin

김지훈 KIM Ji-hoon

박서진 PARK Seo-jin

박선아 PARK Seon-ah

박재용 PARK Jae-yong

서미혜 SEO Mee-hye

설경숙 SEOL Suan

이승주 LEE Sung-ju

이지연 LEE Ji-yeon

이현정 Roc LEE

임유나 IM Yoo-na

조용경 Helen CHO

조응주 Julie CHO

황미요조 HWANG Miyojo

Susan LEE

Darcy PARQUET

CATALOGUE DESIGN & PRODUCTION Design & Printed by 주식회사 메타플레이 METAPLAY (ksaram@empas.com) Produced by the 7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MZ Docs)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202번지 춘의테크노파크2차 202동 906호 (우) 420-857 9F, 202-DONG, Chunui Techno Park II, Chunui-dong, Wonmi-gu, Bucheon-si, Gyeonggi-do, 420-857 KOREA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고양종합버스터미널 404호 404ho, Goyang-si Bus Terminal, 1036 Jungang-ro, 10450 KOREA Tel. 1899-8318 Fax. +82 (0)32 623-8080 http://www.dmzdocs.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