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a kim portfolio
Profile
Experience
Skill
Name : KIMYUNA
사회적 기업 ㈜향기내는 사람들 Hisbeans 디자이너 (2013.5~2014.2)
Adobe Illustrator - Expert
Birth : 1992.11.01
한동대학교 LEDRI 학생 연구원 (2013.9~2014.2)
Adobe Photoshop - Expert
Major : Product design / Visual design
- SKT ‘컬러링 서비스에 기반한 신서비스 개발에 대한 제안’ 프로젝트 참여
Adobe Indesign - Intermediate
- 삼성 ‘디자인 유사성 인지모델 개발’ 산학 프로젝트 참여
3d Max - Intermediate
한동대학교 총학생회 한바탕 홍보국 부국장 & 디자이너 (2014.3~) 현재 한동대학교 전산동아리 GHOST와 한동어플 프로젝트 진행중
C programming
Liking
Other
취미로 베이킹을 하여 사람들에게 선물해 주는 것을 좋아하고 특기인 음악(아카펠라)으로 공연을 하며
다양한 업종의 아르바이트 경험
편의점, 카페, 레스토랑에서 아르 바이트를 하며 다양한 분야를 경 험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름
나를 변화시켜준 공연동아리
소극적이고 수동적이었던 내가 주 도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하게 되는 데 큰 계기가 됨
내 한계를 깨 준 사회적 기업
정신장애인,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일부 사람에 대한 편견을 깨고 사 랑의 의미와 진정성에 대해 배우 게됨
지속적인 시각디자인 작업
히즈빈스와 총학생회의 포스터, POP 등 다양한 시각디자인 작업 을 통해 창의성을 기르고 지속적 인 아이디어도출과 기획을 함
사람들에게 들려 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자연과 아이들을 좋아하는 여대생입니다
Contents UX Design
Product Design
Naver account book App Redesign Project
주전자 Redesign Project
Typography Font Design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아이브 성형외과 홍보를 위한 디자인
Editorial Design
Cywolrd App Redesign Project
Visual Design
Photoshop Retouching Typography Poster
1
UX Design Naver account book App Redesign Project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Cywolrd App Redesign Project
UX Design 01.
Account book App Redesign Project Goal_ User Context에서 진정한 Needs와 Wants를 파악하여 User에게 필요한 Value를 제공하는 가계부앱을 새롭게 제안하자.
Methologies
2013
< November > MON TUE
WED THR
FRI
SAT
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I
FGI
MON TUE
WED THR
2013
2013
FRI
SAT
SUN
1
2
MON TUE
WED THR
FRI
SAT
SUN
1
2
MON TUE
WED THR
옷
FRI
SAT
SUN
1
2
용돈 4
5
6
7
8
9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17
18
19
20
21
22
23
17
18
19
20
21
22
24
25
26
27
28
29
30
28
29
30
24
25
26
27
28
29
3
11
교통비
가계부
영수증
다이어리
사진
날짜를 둘러싼 원이 사등분되어 기록되어있는 항목이 표시된다.
-100,000 25
26
27
차도남 요셉오빠랑 까페 데이트!가계부 오늘은 내가 커피를 사드렸다~흐흐 다이어리
5
6
7
12
13
14
용돈
까페
15
SAT
SUN
1
2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23
17
18
19
20
21
22
30
24
25
26
27
28
29
금액 16
회비
영수증
가계부
영수증
사진
다이어리
사진
해당 날짜를 누르면 기록이 가능하고 기록된 내역 아래에 표시된다.
FRI
3
8 9원 50,000
4
24
WED THR
MON TUE
WED THR
FRI
150,000 원
3
항목 10
MON TUE
< November >
< November >
< November >
-100,000
2013
2013
2013
< November >
< November >
영수증 사진
CI 계획과 주의 사항 사전 인지
메인화면 2013
다이어리
현재 가계부 앱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구매 상황을 재현하여 행동을 직접 관찰하고, 자금 관 리 관련 기록 형태 및 기록 습관을 관찰
Solution < November >
가계부
사용자 context와 issue 파악을 위한 질문들을 뽑는데 중점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서 가계부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needs를 도출하여 가계부 앱을 개선하고자 한다.
가계부 입력
SAT
SUN
1
2
MON TUE
WED THR
FRI
SAT
SUN
1
2
3
4
5
6
7
8
9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0
11
12
13
14
15
16
23
17
18
19
20
21
22
23
17
18
19
20
21
22
23
30
24
25
26
27
28
29
30
24
25
26
27
28
29
30
월급
가계부 사진촬영 다이어리
사진 입력
영수증 갤러리 사진
가계부
영수증
다이어리
사진
다이어리 입력
가계부 사진촬영 다이어리
갤러리
영수증 문자인식 사진
영수증 입력
UX Design 01.
Account book App Redesign Project Goal_ User Context에서 진정한 Needs와 Wants를 파악하여 User에게 필요한 Value를 제공하는 가계부앱을 새롭게 제안하자.
Vision
Needs&Wants
Value
Concept
Value 01. 가계부가 수치나 문자기록을 넘어서 지출과 관련 된 기억과 추억 또한 간직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능과의 연결
Value 02. 알려주는 기능에만 충실했던 기존 데이터를 의미 있는 데이터로 제공해주어 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다른 기능과의 연결을 통해 사용성 issue를 해결하고, 데이터 보관의 새로운 환경를 제공한다
Value 03. 가계부 앱을 계속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 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Insight 도출
Always connected 가계부
Row data 분석을 통해 user의 needs&wants 도출
Value 04. 복잡하고 번거로운 일을 좀 더 간단하고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한다.
가계부와 나의 생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Value 05. 자금 관리 방식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가 효율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용자가 직접 통제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영수증 자동 입력 기능
Feature 1. 숫자 뿐만 아니라 상황을 함께 기록, 보관한다. Feature 2. 빠르고 쉽게 가계부를 작성하길 원한다. Feature 3.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Feature 4.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자극을 준다.
위젯 기능
빠르고 쉬운 입력 기능
잔고
MON TUE
용돈
WED THR
FRI
SAT
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계부 사진촬영 다이어리
갤러리
영수증 문자인식 사진
영수증을 정면으로 찍으면 사용 내역 금액이 문자인식을 통하여 자동으로 등록된다
2013/12/10
들어온돈
MON TUE
나간돈 옷 까페
WED THR
FRI
150,000 원 5,000 원
지출합계
105,000 원
내역
용돈
50,000 원 SAT
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계부
영수증
다이어리
사진
우측상단에 있는 날짜 아이콘을 누르면 기존의 리스트형태로 일별 내역 확인이 가능하다
+
2013
< November >
들어온돈
+
2013/12/10
2013/12/10 2013
< November >
200,000
50,000 원
나간돈 옷 까페
150,000 원 5,000 원
수익
생필품
미용
의료/건강
식비
교통비
문화생활
의류
교육
통신비
회비
경조사
저축
지출
2013
<
November>
MON TUE
지출합계
105,000 원 빨간 버튼을 눌러서 내역을 추가한다. 우측상단의 달력 아이콘을 누르면 달별로 된다.
입력시 task를 쪼개어 단계별 task를 더욱 쉽고 빠르게 진행하도록 한다.
내역입력.
WED THR
FRI
SAT
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계부
영수증
다이어리
사진
FULL 게이지의 금액 한 번 누르면 잔액표시 기간을 설정 다시누르면 돌아감 게이지 대비 잔고 비율로 잔고 상태확인을 도움
잔고
200,000
색깔로 직관적인 확인을 돕고,잔고관리에 유의하도록 도움. ex) 3일 치 생활비 밖에 안남았어ㅜ.ㅜ
UX Design 02.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Goal_ 증가하는 노인 인구에 대비하여 노인들을 위해 가족간의 communication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제안
PRE-RESEARCH Raw data를 Information으로 전환하기 위함 정서적
MAIN THEME Pre-research data를 Convergence Map으로 정리해 Main theme 도출
노인들의 감정적, 정신적 특징
사회적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
기술적
기술의 발전으로 노인의 삶에서 나타나는 특징
노인들을 위한 가족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안
RESEARCH FRAMEWORK Research을 위한 framework 구축
Story
Recordability
Emotion
History Narrative Event Journal
음성 영상 사진 Text
친근감 안정감 편안함 유대감 즐거움
소통 방식
소통 범위
Learnability 방향성 일관성 기능메뉴얼 용어 조작방식
Media 온라인 (앱/웹) 오프라인 사용자간의 소통 수평적 수직적
세대별 가구별 타가족
UX Design 02.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Insight
Design Direction
Research Raw Data
Goal_ 증가하는 노인 인구에 대비하여 노인들을 위해 가족간의 communication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제안
Picture Card
가족 Emotion
경험적 Yes No (경험한 바) (경험하지 못한 바)
Direction 01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연결고리 제공
학습
+ (긍정적)
기술
시각
경로
(부정적)
Direction 02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록 방식의 제공 Direction 03 노인들에게 익숙한 사용경험에 대한 연장선 제공 Direction 04 활발한 소통을 위한 환경 제공 Direction 05 가족구성원간의 유대감 형성 환경 제공
사용패턴 소통대상 사용범위 사용빈도 사용방법
Direction 06 노인들에게 편의 요소 제공
사용평가 + (긍정적)
(부정적)
Direction 07 노인들의 신체적, 지적 특성에 맞는 기능 제공
CONSOLIDATION
RESEARCH
Participants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3세대 이상 또는 60세 이상의 남. 여
How to see
Picture Card + Direct Storytelling
Raw data를 grouping하고 구조화 시킴 What_ Main Theme에 부합하는 컨셉 21개 도출 및 제안
What to see
공유하고자 하는 story 정서적 욕구 및 가족에 대한 Emotion
그림과 단어를 이용해경험을 회상. How to perform 유도하는 질문을 통해 구체적인 상황묘사
Practice
Contextual Inquiry + Video Protocol 기록방식 /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하는 범위 소통의 통로 및 방향 학습, 사용 및 구성 편리성과 문제점 실제 사용자의 경험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의 자연스런 행동 관찰 및 인터뷰 / 촬영 병행
4명의 참가자들을 선정해 진행자와 기록자를 분담하여 Research 수행
Why_
그동안 Intangible했던 Insight 및 Direction을 컨셉을 통해 Tangible한 형태로 도출하여 컨셉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살펴봄
How_
리서치에서부터 도출된 Insights 및 Directions를 기반으로 본 프로젝트의 대상이 될 사람들의 페르소나를 지정하여 페르소나의 기준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컨셉화함 A
B
C
D
E
가족중심형
트렌드민감형
경제적자립형
베이비시터형
신체적제약형
UX Design 02.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Goal_ 증가하는 노인 인구에 대비하여 노인들을 위해 가족간의 communication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제안
아이디에이션 과정을 통해 Direction에 적합한 21개의 concept 도출
Concept 01_그 때 기억나요?
Concept 02_응답하라 지난날들!
Description_
Description_ 어느 날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연표에 음성, 사진으로 기록하여 서로 볼 수 있다. 기록된 역사에 대해 한눈에 쉽게 볼 수 있고, 위키피디아처럼 누구나 기록 수정 보완이 가능하다.
작년 5월 5일에 뭐 하셨는지 기억나세요? 이러한 알림으로 과거의 기록을 무작위로 현재와 연결시켜준다. Direction 01_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연결고리 제공 Sketch & Scenario_
Concept의 주요 특성을 기반으로 한 Relation map 형성
14
Direction 01 & 03_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연결고리 제공 노인들에게 익숙한 사용경험에 대한 연장선 제공
12
15
유대감
편의성
5, 2
6
Sketch & Scenario_
11
연결
4
익숙한 interface
흥미요소 17
18
Concept 03_과거와 현재 보기 쉽게 연결하기
Concept 04_보물찾기
Description_ 기록을 날짜별로 저장하여 시각적으로 한눈에 보기 쉽게, 그리고 과거 기록에 대한 접근성이 높도록 과거와 현재를 연결 하여 추억 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제공해 준다. ex. 싸이월드_ 작년의 오늘은?
Description_ 인터넷 쇼핑몰의 보물.복주머니 찾기 이벤트처럼 랜덤 상황에서 하루에 한번씩은 아이콘이 등장한다. 주제별, 상황별, 시기별 등으로 추억이 분류되어 제공되며 랜덤하게 떠오른 추억을 오는날짜로 공유 또한 가능하다
Direction 01_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연결고리 제공
Direction 01 & 02_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연결고리 제공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록 방식의 제공
Sketch & Scenario_ Sketch & Scenario_
기록보관
19, 20
13, 5 9
소통
16
Help 7, 8, 10
21 1
알림
UX Design 02.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 제안 Project Goal_ 증가하는 노인 인구에 대비하여 노인들을 위해 가족간의 communication을 보조하는 서비스를 제안
서비스 제안에 있어서 사용 대상에 따라 중점적으로 고려할 요소 파악
Concept의 주요 특성과 사용 대상을 고려하여 컨셉들을 배열해 패턴 도출
노인을 위한 가족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디자인 함에 있어 노인의 특성을 반영하는 요소와 노인과 가족 모두를 포괄하는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야 함
디자인디렉션을 기반으로 도출된 컨셉들간의 연관성 형성 노인을 중심으로한 사용 대상을 기반으로 컨셉들을 재배열 익숙한 interaction
노인
7. 지속적인 도움 주기
help
기록 보관
패턴도출 편의성
흥미요소
연결
알림
유대감
익숙한 interaction
소통
노인
8. 계속 계속 도와줄게 9. 할머니 이거는요~ 10. 스마트 비서 11. 편하게 그리고 더 편하게 18. 쓰던대로 16. 내가 그린 기린 그림 5. 여러 방법으로 기록! 12. 아이로봇 1. 그 때 기억나요? 3. 과거와 현재 보기 쉽게 연결하기 4. 보물찾기 2. 응답하라! 지난날들이여 17. 옛 사진을 내 주머니 속으로 14. 내 사랑 내곁에 21. 보고 싶은 날엔 6. 모아보아요~ 13. 동화처럼 19. Q&A 20. Poke Poke
가족전체 15. 우리 만날 시간 정해봐요
가족전체
help
기록 보관
편의성
흥미요소
연결
알림
유대감
소통
UX Design 03.
싸이월드 App Redesign Project Usability Problem
Goal_ 사용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현재 싸이월드 앱의 문제점과 사용성 이슈를 파악하여 앱의 사용성 개선
Usability Test 업데이트 버전 경험자/ 이전 버전 경험자/ 무경험자 사용자로 분류하여 직접 싸이월드 앱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함 [분류 이유] task success, time-on-task, error, efficienty 등 수행 능력이 다를 것
Goal 설정 싸이월드 앱의 usability 개선을 통한 싸이월드 앱 부활
Goal : errors&mistakes 파악하여 사용성 문제 도출 Result : Task analysis -> simplicity, consistency, visivility 부족 Use graph -> usefulness, easy of use가 부족 Card sorting -> logical chunking 부족
Usability Problem
Heuristic Evaluation 평가지를 작성해 항목별로 -3~3 점수 부여하여 평가
Goal : 싸이월드 앱의 사용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 Result : 하위 4개 항목을 중점적으로 개선
Pre-research Background 싸이월드 이용자 급감 예전 추억 회상에 대한 needs 싸이월드 본연의 가치 회복에 대한 wants
visibility of system status (2.95) -> 가시성을 향상시켜 명확히 하자
user control and freedom(1.70) -> 앱의 flexibility를 향상시키자
efficiency of use (1.71) ->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자
help and documentation(-1.44) -> 점수는 낮으나 사용빈도가 비교적 낮다
추가적으로, 항목의 점수가 높아도 하위 항목에 대한 점수가 낮은 것도 고려
Visibility problem - 버튼이나 메뉴같은 요소들이 명확하게 가시적이지 못함 - mental model과 conceptual model이 일치하지 않는 요소들이 존재 Consistency problem - 유사한 기능을 하는 버튼이나 메뉴 등의 요소들이 서로 일관적이지 못함 - 메뉴 구조가 과업의 구조와 불일치 하는 요소들 Simplicity problem - 메뉴 간 중복되는 요소들 존재 - 일부 테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함 Logical chunking / efficiency - 설정/도움말 메뉴의 logical chunking, efficiency 부족
UX Design 03.
싸이월드 App Redesign Project Goal_ 사용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현재 싸이월드 앱의 문제점과 사용성 이슈를 파악하여 앱의 사용성 개선 IDEA SKETCH 1.Return to glory days :앱 실행시 초기화면을 미 니홈피로 대체, 디스플레이를 웹에 기반을 두어 재구성
Design Solution 제안
3. All in ONE :게시물 작성 기능을 한곳 에 모으고, 게시판 메뉴추가
2. High heel :게시판에서 글을 진한 선 으로 명확히 구분 및 버튼 재배치
4. Cy for YOU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자가 설정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가능
Design Direction Direction 1. UI요소 재배치를 통한 디스플레이의 visibility 향상 - 버튼, 배경 등 시각요소들 간 명확한 구분 및 활성화/비활성화의 명확한 표시 - metaphor 및 chunking의 개선으로 사용자가 올바른 예측을 하도록 재구성 - 버튼 디자인 변형으로 affordance 증대
SCREEN DESIGN
Direction 2. 테스크 수행에 있어 앱의 consistency 및 simplicity 향상 - 디스플레이 및 수행 과정 속의 UI요소 중복 최소화 - 수행 과정의 Depth 간소화 - 동일/유사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 통합 및 간소화
Direction3. 전반적인 플랫폼의 재구성 및 특징적 UI 요소를 강조해 정체성 제고 - 기존 싸이 웹의 intimate한 요소 재부각 - 타 SNS를 무분별히 차용한 요소 수정 - 앱의 각 요소들이 싸이월드를 대표할 수 있도록 재구성 - 사운드, 진동, 애니메이션 등의 특징적 요소로 사용자의 흥미 유발
1) 메인 화면을 모아보기가 아닌 미니홈피 화면으로 대체 2) 싸이월드 웹과의 일관성을 유지 하는 토대 내에서 플랫폼 재구성 및 UI요소 재배치
3) 그 밖의 Usability 개선 : 우측 상단 설정버튼 일촌관련 TASK
1) 도움말 내 목록 통합 및 재구성 2) 설정 내 하위 타이틀 변경 3) 도움말 항목의 usability 개선
Design is connection.
2
Product Design 주전자 Redesign Project 아이브 성형외과 홍보를 위한 디자인
Product Design 01.
주전자 redesign Project Goal_ 여러가지 아이디어 관점을 고려해서 기존의 주전자와 차별화된 주전자 디자인
Product Design 01.
주전자 redesign Project Goal_ 여러가지 아이디어 관점을 고려해서 기존의 주전자와 차별화된 주전자 디자인
Product Design 02.
아이브 성형외과 홍보를 위한 디자인 Goal_ 강남의 많은 성형외과 중 아이브 성형외과 만의 아이덴티티를 도출하여 차별화를 중심으로 디자인
Product Design 02.
아이브 성형외과 홍보를 위한 디자인 Goal_ 강남의 많은 성형외과 중 아이브 성형외과 만의 아이덴티티를 도출하여 차별화를 중심으로 디자인
3
Visual Design Typography Font Design Editorial Design Photoshop Retouching Typography Poster
Visual Design 01.
Typography Font Design 슬픔의 상징인 눈물을 형상화하여 타이포 그래피 겁나 슬픈체를 디자인함
Editorial Design 전시회의 팜플렛을 디자인함
T
Visual Design 02.
EXHIBITIONS OF CONTEMPORA ART
Several artists, such as Felix Gonzalez-Torres and John Armleder, have borrowed the symbols and the spaces of design; several designers, like Gaetano Pesce and Philippe Starck, have, on the other hand, found freedom in the direct expression and experimentation that is allowed by art. Matter juxtaposes works of contemporary art and design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s collection in pairing and groupings that have only one element in common: the material they are made of. Although art and design are indeed different, the concept of substance is so elementalthat it provides a common dialect through which the two can be compare d and contrasted, their unique attributes highlighted, and their similarities emphasized in a straightforward, sympathetic, and yet still critical manner. Over the past forty years, both artists and designers have enthusiastically experimented with materials unusual to their discipline, from the relatively conventional –industrial plastics and composite fivers- to the -outlandishfoodstuffs like chocolate or rice flour. From the iconic 1964 armchair by Gunnar Aagard Andersen, a glob of brown polyurethane foam which has come to symbolize material exploration in design throug hout the 1960s, through Wolfgang Laib’s Passageway(1988), a corridor fashioned entirely from aromatic beeswax, many art and design landmarks of the past several decades display the artists’ and designers’ delight in the unexpected creative freedom that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have afforded them. In both art and design, materials are chosen not only for their physical properties, but also for their metaphoric ones. Natural substances like wax, wood, and mud can allude to creation at its most elemental rebellions. Sometimes, when interpreted by different artists, a single material can have a multiplicity of meanings. For Robert Morris, who was known in the 1960s for room-sized three-dimensional works made of steel, plastic and other heavy industrial materials, the use of a malleable was an innovation. Felt gave Morris the ability to mold, manipulate, and sometimes even draw with his forms in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retaining the austere
Untitled. 1969. Draped 1” (2.5 cm) thick gray-green Felt, 15’ 3/4” x 6’ 1/2” x 1” (459.2 x 184.1 x 2.5 cm). The Gilman Foundation Fund
Joseph beuys Felt suit. 1970. Two-piece felt multiple, 69 ⅞ x 28 ⅛ x 5 5/16 “ (177.5 x 71.5 x 13.5 cm). Publisher: Galerie Rene Block, Berlin. Edition: 100. The Associates Fund
toughness of his earlier sculpture. In the work of Joseph Bueys,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felt are subsumed by its more expressive connotations as an insulating material. Smeared with fat or stained with blood, bound and tied or cut to form a giant suit of clothes, this cheap, plentiful, and stoutly utilitarian substance is transformed by Beuys into a highly personal symbol of warmth and human protection. ( Beuys’ s use of felt references his having been shot down in the Crimea in 1943 and saved by Tartar nomads who covered his wounds with fat and wrapped him in felt against the cold. ) The designer Gaetano Pesce set out to extract from felt heretofore unexplored qualities. By dipping felt in resin, Pesce made the limpid material partly rigid, and molded it into a self-supporting shape. Finishes with a bright pink quilted upholstery, the Feltri Chait (1986) looks like a throne for the Empress of all Geishas, albeit made of one of the cheapest materials available. For some artists, the stuff of which an artwork is made is integral to its structural, functional, and narrative identity. Material and subject are virtually interchangeable in Edward Ruscha’s Stains (1969), a work comp -
osed of seventy-six pieces of paper marked with different substances, ranging from bleach to blood. Beginning in the late 1960s, artists such as Lynda Benglis, Eva Hesse, and Jackie Winsor fused the act of making with the material from which an artwork was created when they used substances like molten metals, plastic, and rope-materials that retained the direct results of the artists’ physical manipulation. This tendency to emphasize both material and process has continued with a younger generation of artists who have come to maturity in the 1990s. Untitled (1992) by the Mexican artist Gabriel Orozco, in which the artist squeezed a small section of paper between his thumb and forefinger, is a minimal and visceral example. As unprepossessing as it sensual, the small vertical line of dirt represents the perfect merger between the action and the object created by it. The designer’s relationship to materials, traditionally tight, dialectical, and passionate-has also evolv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forty years. New materials have been introduced, along with new processes that have empowered designers and pushed them toward experimentation. From Andersen’s armchair, all the way to Marcel Wanders’s Knotted Chair (1995), in which high-performance aramid fibers are knotted in a macramé Lace and then frozen into the shape of a low chair using epoxy resin, many design landmarks of the past forty years display designers’ surprise and delight in response to the unexpected creative freedom afforded them by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Design and art do meet, for instance, in the pairing of designer Shiro Kuramata’s Miss Blanche Chair (1989), and artist Fred Tomaselli’s colorful explosion titled Bird Blast (1997). Their affinity extends beyond the whimsical likeness of the red silk roses and the little birds suspended in acrylic resin. More than anything, their bond lies in their gently mocking but genuinely admiring adoption of techniques such as inlay and marquetry that are more familiar to the realm of crafts than to fine art and design. Likewise, artist Gonzalez-Torres and designer
Gunnar aagaard Anderson Armchair. 1964. Poured polyurethane, 29 1/2 x 44 1/4 x 35 1/4” (74.8 x 112.4 x 89.3 cm) Gift of the designer
Gaetano Pesce Feltri Chair. 1986 Wool felt, polyester resin, and hemp String; cushion: cotton/polyester cover with polyester padding, 55 1/8 x 29 1/8 x 25 1/4” (140 x 74 x 64 cm). Manufactuer: Cassina S.p.A., Italy. Gift of the manufacturer
Ingo Maurer both use standard light bulbs as the subject of their work, cherishing the intensity and poetry of the light bulb as a symbol of light, lightness, and life. The juxtaposition of works by Maurer and Gonzalez-Torres, or by Kuramata and Tomaselli, does not so much point to a difference between the mediums, or to a blurring of the boundaries between sculpture and design, but rather to a shared inspiration and concentration on matter. Ultimately, this point of view enriches objects from both disciplines. The nonjudgmental juxtaposition of great examples of art and design, linked only by their shared passion for one material or technique, allows us to appreciate art’s and design’s many facets and ambiguities, and, in some cases, even their philosophical similarities. As this exhibition indicates, such a stance can only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ep beauty that is one of the hallmarks of both art and design production since the 1960s. Design by yuna kim
Visual Design 03.
Photoshop Retouching 키세스의 모양과 아름다움을 보석진열 부스 안에 넣어 표현함
Typography Poster only hope 노래를 이미지와 가사를 사용하여 형상화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y
o
la y oynml y al I oS yh onpek ym ph o II s ru o nngy inS g i ni ngl a lin gi na ll t hat
I
A am
my lun gs
e
Si
as
tn i
nd
ba ck
So I
nds A
it
myh
y ha
vi ng
ow y ou're
g in g Sin n al l ny ing i pho ing yl
giv
dna
da e
I 'm
kc a b
taah
rs
lift m
'm gi
kno wn
n o
o
s dnah ym tfi l
y
I sg fo
ver
cold B
e in t h itewcaonltdyoB all of mfeinI ur symupt hyou sieningfinit onykno w t ner tahgaein Iin'm awake in te I
my that you have for me ov down II lwifatnt er aga you t ri e in th r sy d m t p o h n uyghSininggaing p worfitemoyv laluugnhingg and ola'm givingaginiinW thxeytodancing ander and osveI t abllhatck r again I 'm awak en it feS r gala els
ck
d
'v e
e
f you
t
kc a
plans
to
g that's in s
I'
iving it bac k So I la y
m y
mg
pr
ried to write suA l Int's odnthe
P
that's in p of my lu side of my s ngs h at I oul It's the one t
O
like
i
d nA nwo
he of t
a song
write
r
ou
d tfil I
t y arp I sru
v rs ri and o htheeapidrnafyibniatocbke donoly youA yours I w n y y m l n y o a l e b o t I y r a o p overd s Annd S n o w w o iendd tIoonmewleiftdto n y o k u ' r ete coldvyB m e ' onutltryeyroutha'snondtghpeeto I asgathi at s I thuat ytouI sing to smoue lovI overtya'sgouththeh i thke infid coled B te n ainvefeinfioo ouaskseinagidntobacy han r me over aigde of my 'mt ayw e inain S oI lay m wak I lauy m y he lift mmWe oveer a s yinhs aininSoI i
r
m ah y
e y arp o bun rwsonkI
'm a
sdn
there's a song that's in side of my sou lkeI over and over again I'm awa ha
O
y n
ha
tpo be
E
O
I
t the to p of
I
b y l nao eebl y y l noy
H
n ly
ing stiny i t I b a ck So uoy 'm g I sruor ylno ivi n on alay moy head back down eb g y ot you yl n a rapl u oy t y l r s I o f y m ly y l no e b o IdnA ym tfil eI r p yo urs wannwo dn A I h s p t d kc ray f m I ab d a e y m ya l to b h e
ylno ym er'u oy w o
A
y m y h eoanldy yboaurs h e o I m s wod An
nd I n there's a son n
l if t mfymhyaIns'odve t id e o
N
a rp
there'somuaphsoon's r symony SI lay mt lI aw I h d 'omver aga g thuat'sminpsh o syy eieodf tmo ywrsoiteIotvaermaanI in I yga'vienidtrS bnt eyto'surotwheaonnyteoyvtuheorartsaI Aaitn's the one t yarp dnma ut latgI k nthere's aI waI that If your g fe Ig atanhnnaltdyt'soyouresb oI A A eehr t o s o w n t O st'vanerotwsr O' vt t n v o o o y w i y n w d r h o l pynmprdseaooyuf ltthI wo nyowyou'roeIvemy only hopside eof m o oohfhnetoehalneoydgnstoeayfrstthhI ae t kIayed to b g t o ' n s e t o s o urs y o ur no e b o t p d n A f e t e y S i g o n t o v y u ' m d r e o y s s m e I s I y ar r nrdea o me oyveor nalnydpholovpayegremaeaS melaoinflythyenoudrs oyvoeuorruouarsnoIrdmporeve nggosvtoeorI rnnaidS vueiry oym vitI unaasinnindigtmtfgesealsroevleisbokreeafoanm to abkpgyoelaavoS oA yu yhave f oinm thaeIaot nloyoaloI n neosriobS yyynrm one that eliyftounmrudtlwyS dihotreuanyerngoassdlm aar tS ng t me loafythmeyphlea ut y wntned oApcvreonarlydidao gvtIoB dinusnesgAsgaptentrrioaenodtyfsymbptohareefcI ad ' m ' ym eryo o t v g a o i v i g i m n t S i n g o y iedSo I la ha n r'uaoyyy ow 've trS y my head back down And I lift my t I r a e t m d s a y t f o g h e stars f the son e m n ow yoreu'rsoe fmaryinS ognliynhope Sing to me o ingg in a ll that I am A to m e o y u o t h a a h e v t f o s r I m n e over aga pla t I lay m o I lay my hea am y head bacikn S d ba b dn down A At aeh y there the m yal I oS 's dn
L Y
o u ros I be o
u o nl y I ssr de e b ot tyyaaryrpponI l y y my to b e ou aeyon ey v b i o g yt pra n w o
And that'overeaadgaback B down Ainndg I k n An yb eou aga i nels li k Iow g h g d r u d l a o l n I n d n a n t e y w d r a i l e a yxdlgoyyautlydoaaoxnuw ly hheonpeit Iyf ou ck d I rcreirnsd'istgyaeanoauoncsvdionelraguaaglnhifidnt glmaaunydghltaienugcghoing amgyainonW i r s r e h ' e ' r n u o n o y w o w a e h n t n m g d y i n i v o i g n l m ' y h opIe kI ny I n d p r t o ngs I y a hegiivnef you my desstiA g lu a ke i n t y t he r o op there ' s At the t am S t ha t I o I la
Visual Design 04.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