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갤러리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학교갤러리 인수 초등학교
꿈꾸는 피아노
152
학교갤러리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153
사업목적
▬
인수초등학교의 폐쇄적인 담장구조물을 심미적이고 쾌적한 구조로 변화시킨다.
▬
콘크리트 담장 구조물에 피아노 형태의 조형물을 설치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
기 능성을 가진 피아노 형태의 조형물을 제작, 연주가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각적인 체험은 물 론 청각적인 체험을 연주를 통해 가능케 한다.
인포메이션
▬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문화 체험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작품명 | 꿈꾸는 피아노
▬
작가명 | 정연택, 김재현, 김태완
▬
대상지 | 인수초등학교
- 주소 : 강북구 수유6동 551-19
- 연혁 : 1982년 개교, 57학급, 교사 74명
- 지역 상황 : 북한산 줄기의 인수봉과 4.19묘지 인접지역, 오래된 서민 밀집거주지역으로 오래된 단 독주택과 다세대주택으로 형성된 지역, 시내버스노선의 종점지역을 형성. 인수중학교가 인접함
- 공간 특성 : 산줄기 아래로 경사가 급한 층단식 구조, 평면은 사각형태로 학교 안팎에 옹벽이 상당 히 많이 존재함. 반면에 높은 경사지에 위치하기에 전방의 시야는 매우 좋은 편임. 인접한 도로변 을 제외한 벽면 뒤로 주택단지가 빼곡하게 들어서있음, 후문이 출입이 더 많은 특징을 지님.
- 시설 현황 : 06년 학교공원화사업 시행으로 학교정원을 본관과 후관(구관)사이에 조성
- 시설 보수계획 :
방학기간동안 후관(구관) 4층의 화장실 4동(남녀 각각) 화장실 최첨단으로 개량공사 예정
운동장 트랙 우래탄 포장, 스탠드앞에 배구장 조성공사 예정
※ 시설 보수계획을 현장 조사 시에 숨김
▬
대상지 분석과 해법
우리는 콘크리트 옹벽과 운동장에 접해있는 급경사의 스탠드를 작품구상의 대상으로 접근했 으나 스탠드의 활용도와 시각적인 노출비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학생들과 교직원, 내방객 등 다수가 빈번하게 이용하고 학교 내부와 교실 등의 창문을 통해서 바라보는 시각적 노출의 정도 와 공간적 범위에서 옹벽을 적극적인 작품의 대상지로 해석할 수 있었다. (사업계획안 중에서)
학교갤러리
154
▬
작가 약력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
▬
정연택
김태완
명지전문대학 패션텍스타일/세라믹과 교수
동양대학교 보석귀금속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졸업
국민대학교 금속공예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졸업
M.F.A., Metals/Jewelry/CAD-CAM, Tyler
1999 세계도자기 엑스포 1999 생활도자전(예술
School of Art, Temple University, 필라델피아,
의 전당)
미국
2002 ‘2002 한중일 국제도자워크샾’ ‘新工藝精
2006 <Wine Party>, 서울기프트쇼, COEX,
神’ (세계도자기엑스포 여주행사장) 조선으로부터...현대白磁와 粉靑의 美 (광주 조선관요박물관) 2003 한국도예 ‘전통과 변주’ (San Diego City College, LRC Hall / 2003.3.8 - 3.27)
‘쓰임의 재발견(Recovery of Use)'(청주국 제공예비엔날레 2003)
2005 ‘여름 예찬 백자풍경(세종문화회관/2005 8.18-8.29) 2007 ‘Korean Home-The Way of Living'
(The Museum of Cultures, National Museum of Finland/4.2-12.31)
▬ 김재현 명지전문대학 산업정보디자인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프랑스 국립 콩피에뉴 공대 산업디자인 제품 기획 석사 1988 ~ 1990
자동차 디자인 연구원 근무 - 쌍용자동차 중 앙연구소
2003 어린이를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학습기 디 자인 개발 - 중소기업청 2006 선거용 다용도 기표대 디자인 개발 - 중앙선 거관리 위원회
서울
2007 <부여버스터미널 재생프로젝트>, ‘07년도 Art in City', 문화관광부 2008 <New Vion>, 갤러리 각, 서울
155
기획자의 글
▬
‘꿈꾸는 피아노’가 위치한 인수초등학교의 긴 옹벽은 너무 단조롭고 무미건조한 느낌이 들었
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통로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안과 밖을 경계 짓는 기능적 구조물에 불과했다. 이 같은 담장 구조물을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존재로 만들고 싶었다. 높이와 길이 만을 지닌 지루한 콘크리트 덩어리가 아닌,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지닌 의미 있는 구조물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시각적인 체험의 대상에 머물지 않고, 청각적인 체험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자 했다. ‘꿈꾸는 피아노’가 학교 교내행사와 기능적 관계가 있는 조형물로 만들어지면 더욱 의미 있는 공공미술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면 졸업식이나 스승의 날 행사에 ‘꿈꾸는 피아노’가 연주되면 아주 재미있는 기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공공미술이 단지 시각적인 장식 물이 아니라, 학생들이 직접 연주하고 참여하는 미술품을 만들고 싶었다.
“공공미술은 만들진 순간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지속적인 활용을 통해 재창조의
과정을 만들어가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꿈꾸는 피아노’가 지역사회의 살아있는 문화공간으로 자리 매김 되었으면 한다. 따스한 봄 날 초저녁, 지역주민들이 함께하는 자리에서 소박한 작은 음악회를 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 본다. 밤 새 내린 눈으로 달빛 더욱 찬란한 크리스마스이브 날에 캐 럴 송이 잔잔히 연주되면 얼마 예쁠까? 하는 상상을 해 보기도 한다. 상상의 나래가 새로운 현실로 접 어드는 길목이라면, 다음엔 그 곳으로 나의 발길을 돌리는 일이 될 수밖에....... ” (작업후기)
156
학교갤러리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157
▬
꿈꾸는 피아노
정연택,김재현,김태완 타공박스, 아트타일, 스틸와이어, 길이40m 높이 5m 사진 김용관 급한 경사지면에 위치한 긴 옹벽이 학교의 특징이 되버린 인 수초등학교 입구가 실제 연주도 가능한 피아노 건반 형태의 조형물 작업과 학생들이 참여한 아트타일 작업으로 화사하게 변모하였다
158
▬
꿈꾸는 피아노
정연택,김재현,김태완 타공박스, 아트타일, 스틸와이어, 길이40m 높이 5m 사진 김용관 자신이 직접 참여하기도 한 아트타일 작업을 관심있게 바라 보며 등하교길에 오르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결과중심의 공공 미술이 아닌 함께 참여하는 공공미술이 가진 소소한 즐거움 을 보여준다
학교갤러리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159
160
▬
꿈꾸는 피아노
정연택,김재현,김태완 타공박스, 아트타일, 스틸와이어, 길이40m 높이 5m 사진 김용관
학교갤러리
꿈꾸는 피아노 _ 인수 초등학교
161
작가 중심의 일회적이고 한시적인 벽화 대신 학생들의 참여를 통해 교육적인 면을 배려하고, 작가 역시 함께 참여하여 작업 의 완성도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