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어어 마을대회

Page 1

72

SDO _ 집밖의집 어어어 마을대회

SDO_집밖의 집 서울디자인올림픽행사장

어어어 마을대회


74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75

사업목적

“생명은 강으로, 문화는 길로 흐른다.”

집밖의 집 _ 어어어; 마을대회 도시는 차가 주인이고, 사람은 그냥 통과하는 존재일 뿐이다? 도시갤러리 <집밖의 집> 프

로젝트는 ‘사람’이 ‘사는’ 공간으로서의 ‘길’로 근대적 도시 개념을 문제 삼고자 했다. 생명은 강으로 흐르고 문화는 길로 흐른다 했다. 길을 되살리는 것이 도시를 되살리는 작업의 핵심이다. <집밖의 집>은 길로 문화를 흐르게 하고자 했다. 삶을 새롭게 창의하는 예술(Ars)을 더불 어 사는 마당(Agora)인 길에 설치함으로서 도시 일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Amor)을 일깨우는 작업 을 의도했다. 공공미술의 재료를 Ars, Agora, Amor로 재설정함으로서 삶과 예술, 예술가와 시민이 더불어 호흡하는 거리를 만들고자 했다. 삶으로서의 예술은 그동안 예술의 비(非)주제였던 ‘일상성’과 관객이 아니라 문화주체로서의 시민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되살린다. 또한, 길(道)의 미학은 참여와 경험의 미학이다. 작가와 시민, 시간작업과 공간작업, 작품과 작업, 과정과 완성의 전통적인 대립들을 바깥으로 초대해 만나고 대화 하게 함으로써 더불어 사는 삶의 형태를 만드는 도전을 펼쳤다.


76

SDO_집밖의 집

인포메이션

사업명 |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집밖의 집_ 어 어 어; 마을대회

기간 | 2008년 10월 10일 - 10월 30일

장소 | 잠실주경기장 인라인 하키장

예산 | 총예산 : 490,000,000원

어어어 마을대회

초대작가 | 20팀 (국내61명, 국외4명)

오호!디자인;아하~아트

‘Threshold’ 무등갤러리 / 광주, 대한민국 , 2007

작가명 |

김상돈

년02월 ‘Threshold’ 제로원 디자인센터 / 서울, 대

작품명 |

홀림길

작가명 |

고승욱

한민국 , 2007년04월 ‘Seoul Design Festival in

작가약력 | 베를린국립예술대학 졸업하였다. 단체전

작품명 |

하이서울

Milan’ Fuori Salone / 밀란, 이태리 등이 있다.

으로 2008년 ‘Dongducheon : A Walk to Re-

작가약력 |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현재 대안공

이메일 |

blemong@hotmail.com

member, A Walk to Envision’/ 뮤지엄 애즈 허

간 풀의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개인전 2000년 레

드후라이드치킨, 대안공간 풀, 1997 참석하시어 자

작가명 |

기는 풍경

공간/ 서울, 2007년 ‘Activating Korea: Tides of

리를 빛내주십시오, 관훈미술관. 단체전으로 2005

작품명 |

구르는 집

Collective Action’, The Govett-Brewster Art

Battle of Vision- 담슈타트미술관(담슈타트,독일),

작가약력 |

2007년부터 활동 중인 ‘기는 풍경’은 프로젝

Gallery/ 플 리마우스/ 뉴질랜드, 2007년 ‘지역연

‘뉴스케이프’-토탈미술관(서울), 이건용,고승욱 타

트 별로 멤버 구성을 달리하는 유기적인 작가 집단이

구와 미술 : 2007 동두천을 주목하는 이유,’/ 대안공

이틀메치-쌈지스페이스(서울), 2004 광주비엔날레

다. 베트남에서 온 신부들을 다룬 텍스트를 시각화

간 풀/ 서울, 2006년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전 ‘두

현장 3 minority-광주 5.18 자유공원 상무대(광주),

한 <준비된 남편>과 같은 전작에서 유추할 수 있듯

도시 이야기/ 부산-서울/서울-부산’/ 카페 1/부산

2003 The postman is a genius in Seoul -네덜

이 ‘기는 풍경’의 3명의 작가들(강동형, 신하정, 이

현대미술관/부산, 2006년 ‘제 3회 오늘의 인권전’/

란드 미디어 인스티튜드 (암스텔담,네덜란드)

제)은 개발지상주의, 시장만능주의가 빚어낸 역기능

신한갤러리/서울 등이 있다.

에 관심이 많다. 전시로는 2008 ‘Bullet the blue

이메일 |

sky’/ 브레인팩토리, 2008 ‘근린시설’/ 대안공간

이메일 |

eropero@paran.com

브/ 뉴뮤지엄 오브 컨템포러리 아트/ 뉴욕; 인사미술

sangdon1120@hanmail.net

작가명 |

구병준

풀, 2007 SH성산무지개마을미술잔치(공공미술프

작가명 |

김유인

작품명 |

플랫폼

로젝트)/ 문화관광부주최, 2007 저널‘볼’을 위한 지

작품명 |

귀기울임

면작업(인사미술공간발행)/ 카셀도큐멘타, 2007 ‘

작가약력 |

Academy Eindhoven 석사졸업하였다. 현재 계

동아시아의 목소리’/ 대안공간 풀 등이 있다.

인권센터 ‘이주여성따라잡기’ 그림지도 및 전시기획,

원조형예술대학 가구디자인학과 출강중이며, 가나

이메일 |

아트센터 디자인실장으로 재작중이다. 전시로는

작가약력 |

계명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Design

강동형 dharmadog@naver.com

경원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2007년 이주여성

개인전 갤러리 도울 등이 있다. 이메일 |

you-ink@hanmail.net


77

진달래 도큐먼트 02 금강산/ 일민미술관, 2006 해

작가명 |

배영환

피버스데이/ 인사아트센터 등이 있다.

작품명 |

이봉주 기념관

이메일 |

작가약력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kiseob@yahoo.com

엇;공방

작가명 |

믹스라이스 (+ 김목인, 윤주희, 이예주)

작품명 |

실타래공방

미술원과 서울산업대 강의. 2004년 대한민국 예술가

작가명 |

이호진

작가약력 |

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광주비엔날레 현장상을 수

작품명 |

Once

이다. 이주노동자의 자발적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것

상했다. 2006년 에르메스 미술상 전시 참가, 2005

작가약력 |

프랫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뉴욕대학교 미술

을 골자로 하고 있는 믹스라이스는 그동안 믹스라이

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참여. 개인전으로 2005

대학원 졸업. 개인전으로 2006년 Galerie Lumen, 파

스영상교실, 믹스라이스 비디오다이어리, 믹스라이

년 ‘남자의 길’/ 대안공간 풀/ 서울, 2002년 ‘유행

리, 브레인 팩토리, 서울, 국립 고양 미술 스튜디오 갤

스채널 등을 통해 활동 성격을 뚜렷이 다져 왔으며,

가3’/ 일주아트하우스/ 서울 등이 있다. 단체전으로

러리, 고양 Galerie Perpetuel, 프랑크푸르트 등이 있

현재는 이주 전반에 관한 예기치 않는 상황과 맥락

베니스비엔날레, 타이 필름 페스티벌, 네덜란드 코리

고, 그룹전으로 2008년 부산비엔날레/ 부산, Space

을 사진, 영상, 만화를 통해 다루고 있다. 주요전시

안 컨템포로리 아트, 상하이 현대미술전 양관찬란전

Da/ 북경, 토탈 미술관/ 서울, 2007년 서울시립미술

로 2008. 5. 11 이주깃발 / 마이그란트 아리랑 다문

등이 있다.

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등이 있다.

화축제 / 서울, 올림픽공원, 2007. 9. 15 ~ 2007.

이메일 |

meesing@naver.com

▬ 작가명 | 작품명 |

이메일 |

hojinbk@yahoo.com

믹스라이스는 2002년 구성된 프로젝트 그룹

12. 10 액티베이팅코리아: Tides of Collective Action / 고벳-브루스터 아트 갤러리 / New Plym-

▬ 옥정호

작가명 |

정용훈

outh, New Zealand, 2007.10. 06 - 11.

무지개진지

작품명 |

황소개구리

25 민중의 고동 - 한국미술의 리얼리즘1945-2005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

/ 일본 반다이지마 현대미술관, 2007. 6. 3 미누

사 졸업. 주요 전시로 2008 Art in Busan 2008:

업. 개인전으로 2008년 Taxidermy (한성대학교,

와 소모뚜의 음악카페 / 서울, 올림픽 제 1 체육관,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시립미술관, 2008 MoA

서울), 2007년 생태세밀화전(홀씨이야기 갤러리, 서

2007. BOL 저널 볼 2007 봄 -헐벗은 삶 / 지면작

Cineforum 4 : Digital Portfolio/ 서울대학교 미술

울) 등이 있고 단체전으로 2005년 상생과 명상전-한

업, 2007. 4. 6 - 6. 3 서울 - 공간, 사람들 IFA 갤

관, 2008 한국현대미술 중남미순회 展 “박하사탕”/

일 작가 교류전(동경, 대전), 2004년 광주비엔날레

러리 / 베를린, 2007. 2. 26 - 3. 17 서울 - 공간, 사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미술관 (MNBA),

특별전-그 밖의 어떤 것(광주) 등이 있다.

람들 IFA 갤러리 / 슈트트가르트, 2006. 9.8 - 11.

2008 ‘Everyday is not the same’/ BizArt Art

이메일 |

Center/ 중국, 상하이, 2007 제2회 ‘안양APAP’-

작가약력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및 동학교 예술전문

작가약력 |

wren1010@hanmail.net

11 제 6회 광주비엔날레 열풍변주곡 / 비엔날레관 광

안양 공공예술 프로젝트/ 안양시, 2007 충무로 프

작가명 |

채우승

이메일 |

로젝트/ 충무로 영상센터, 2007 한국현대미술 중

작품명 |

3개의 팬스

남미순회 展 “박하사탕”/ 칠레 산티아고 현대미술

작가약력 |

군산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Accademia

작가명 |

슈카르트

관 (MAC), 2007 휴게소/ 월시 갤러리/ 미국 시카

Belle Arte Di Millano Italia 졸업. 개인전으로

작품명 |

공공리허설과 남성수작업

고 등이 있다.

2007년 채우승 개인전 / 갤러리 스케이프, 2006

작가약력 |

년 Prolog 서곡 / 서신갤러리 / 전주, “머물다-가

트는 서구 주류미술사회에 대한 대안적 작업 방식과

다”2006아르코미술관기획초대전 / 아르코미술관

개념적 정치미술색채가 강한 작가들이다. 이들 작업

이메일 |

artoak@hanmail.net

주 등이 있다. sweetcje@hanmail.net

세르비아 몬테니그로 2인조 작가그룹 슈카르

작가명 |

이기섭

제1전시실 등이 있고, 단체전으로 2005년 번역에 저

의 핵심은 탈 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커뮤니티와 이루

작품명 |

맛있는 디자인

항하다. / 토탈미술관, 공즉시색-거리예술2005/ 분

어지는 직접적 인터페이스 수작업, 대면 접촉을 통한

당 중앙공원 일원 / 쉼표-김주연,박소영,채우승/창

직접유통과 같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유럽을

원 수료. 그래픽 디자이너, 그림책 작가. 개인전으로

동미술 스튜디오 전시실 등이 있다.

중심으로 주민들과 같이 합창단을 만들어 순회공연을

2008 스마일로그/ 더갤러리, 2004 스마일 서커스/

이메일 |

작가약력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및 동국대학교 대학

아티누스 갤러리 등 단체전으로 2008 A’s 파라다이

하고 있다. 2006년 광주비엔날레에 초청된바 있다. 이메일 |

스/ 성곡미술관, 2007 어린이감정디자인전/ 금호 미술관, 2007 Kid & Adult/ 장흥아트파크, 2006

chewoseung@hanmail.net

skart@yubc.net


78

SDO_집밖의 집

ㅋ;고쳐

작가명 |

무빙밀머리

작품명 |

뜻밖의자

작가약력 | 이메일 |

프로젝트 팀

dustblue@paran.com

작가명 |

리블랭크 (REBLANK)

작품명 |

디자인 튜닝

작가약력 |

리블랭크는 대한민국 리사이클링 브랜드. 재활

용 컨셉으로 아깝게 버 려지는 재료를 이용해서 상품

작가명 |

물상

을 개발하고 있다. 2006.02 ~ 2008.02 재활용

작품명 |

고물상

패션 브랜드 ‘에코파티 메아리’ 디자인 개발 및 활동,

작가약력 | 이메일 |

프로젝트 팀

ironcap@hanmail.net

2006.06 학여울 어울오름 전-‘색동돼지’, 2006.09 일민미술관 ‘믿거나 말거나 박물관’ 전, 2006.11 코 엑스 ‘친환경 전시회’ 참가, 2007.05 리빙 까사 주최 신사동 가로수길 ‘에코파티’ 전 참가, 2008.04.

앗;묘책

18 리블랭크 브랜드 론칭 이메일 |

soo8383@empal.com

작가명 |

청년작당모의집단 ‘뻘’ - 품청소년공동체

작품명 |

나만의 디자인_버네큘러 디자인

이메일 |

with-youth@hanmail.net

오;뚝딱

작가명 |

민들레 공동체

작가명 |

이문양이

작품명 |

지구를 이롭게 하는 삶의 묘책

작품명 |

오;뚝딱

이메일 |

withthepoor@yahoo.co.kr

작가약력 |

이메일 |

어;시장

작가명 |

일상예술창작센터

작품명 |

홍대앞 예술시장 프리마켓

작가약력 |

일상예술창작센터는 생활창작 활성화와 시민,

예술가, 전문가의 생활창작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활 발히 활동하고 있다. 2002~현재까지 홍대앞 예술 시장 ‘프리마켓’상설운영, 2007년 ~ 현재 마포희망 시장 운영, 창작공방 및 워크숍 운영, 다수의 국내 예 술축제 참가, 각종 강좌와 포럼, 전시회 등을 개최하 고 있다. 이메일 |

goronim@naver.com

프로젝트 팀

ssineri@naver.com

어어어 마을대회


79

프로젝트 주요일정

⊹ 지명경쟁 참여그룹 선정 심사 | 5월 9일 ⊹ 사업설멍회 | 5월 16일 ⊹ 제안서 제출 | 6월 16일 ⊹ 심사 | 6월 20일 ⊹ 최종선정 | 6월 23일 ⊹ 1차 협의 | 7월 4일 ⊹ 도시갤러리 SDO 참여사업 1차 협의 | 7월 15일 ⊹ 2차 협의 | 8월 1일 ⊹ 도시갤러리 SDO 참여사업 2차 협의 | 8월 19일 ⊹ 3차 협의 | 8월 26일 ⊹ 4차 협의 | 9월 5일 ⊹ 협약 | 9월 12일 ⊹ 설치완료 | 10월 9일 ⊹ 전시오픈 | 10월 10일 ⊹ 전시종료 | 10월 30일 ⊹ 결과보고서제출 | 11월 27일

기획자의 글

“산업사회의 대량 생산물들을 가지고 논다”라는 개념을 중심에 두고, 다양한 형태의 작가 작

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시민들의 활동이 일어난다. 산업사회의 부산물들이 공공미술을 빌어 예술적 재활용(Re-cycle)및 용도변경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것으로 급격한 도시발전을 겪은 ‘잠실’이 가진 기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전시장에는 이미 존재하는 것(폐기물, 부산물)들과 현장의 기존 시설물들을 재사용, 재활용 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재발견하는 작업, 용도변경의 시도와 재유통이라는 과정을 통한 가시적인 결과물뿐만 아니라 도큐멘트 형식의 지역연구, 정보의 유통 경로, 또는 일회성 퍼포먼스 형식의 비가 시적 결과물 및 시민들과의 소통이 가능한 현장 참여형 작업으로 구성된다. 도시는 계속 성장한다. 잠 실의 오늘 모습이 내일 어떻게 바뀌느냐는 상당부분 우리 시민들의 의지에 달려 있다. 이 전시는 오늘의 잠실, 혹은 서울에 대한 하나의 성찰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바뀌길 원하는 잠실의 모습을 그려보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지난 시기의 산물인 콘크리트와 플라스틱 더미에서 작 가들이 무엇을 발견하고자 하는지 함께 생각해보는 기회도 될 것이다.


80

오호!디자인;아하~아트

하이서울 고승욱

검정비닐 봉지들 10X4M 수 천 개의 비닐봉지이 모여 하나의 큰 함성을 이루는 대 형 평면 설치물로 비닐봉지 라는 친숙하고 일상적 소재 를 통해 '하이서울' 현수막의 또 다른 변신을 보여준다

platform 구병준

스테인레스 스틸 가변크기 서로 다른 높낮이의 변형된 벤치들은 공공장소에서 전 체 공간을 다른 시각으로 조 망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넓 은 스케일과 시야를 확보하 게 한다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81

구르는 집 기는풍경

혼합재료, 가변크기 폐기된 우산들을 수거하여 재활용한 작품으로 다양한 무늬의 우산천을 잇대어 변 형된 텐트 구조위에 덧붙임 으로서 초현실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홀림길 김상돈 안전, 보안용 펜스, 30mX10mX3m 일상에서 안전용, 보안용 으로 쓰이는 펜스를 활용 해 이색적인 홀림길을 만 들어 여러가지 놀이가 가능 한 정글미로의 형태로 표현 하고 있다


82

귀 기울임 김유인

사운드 드로잉 설치 가변크기 거대한 마이크가 달린 일인용 방음부스를 통해 잠실이라는 공간의 소리를 채집, 재활용 하여 드로잉으로 전화시키 는 관람객 참여형 사운드 설 치 작업이다

이봉주 기념관 배영환

혼합재료, 가변크기

행복한 사람, 이봉주 4분, 2 채널 DVD 한국사회의 단면으로 부각되 는 결과주의, 성과주의에 일 침을 가하는 작업으로 마라토 너 이봉주 선수의 불굴의 투 지와 노력이라는 과정의 중 요성을 시사하는, 비디오 작 업을 포함한 기념비적인 설 치 작품이다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83

무지개 진지 옥정호

모래주머니에 채색 가변크기

일심동체 2008 퍼포먼스 군사목적의 설치물로 활용되 는 국방색 모래주머니와 진지 를 무지개 색으로 바꾸어 고 정된 상징성을 해체한다

맛있는 디자인 이기섭

종이컵, 마스킹테이프, 고무 줄, 클립,크레파스, 설치(참 여형) 커피전문점에서 사용하는 1 회용 컵을 오브제로 사용하 여 관람객들이 직접 자신의 표정을 디자인하도록 한 작 품이다


84

Once

이호진 차량용 백미러, 스티로폼 3m40cm 지름 폐차장에서 수거된 형형색색 의 차량용 백미러를 수거해 지름 3M크기의 구에 부착된 설치작업이다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85

황소개구리 정용훈

혼합재료, 가변크기 황소개구리 박제 설치 작업을 통해 무분별한 개발의 병폐를 함축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3개의 팬스 채우승

잠실 주경기장 내 팬스, 페인 트, 90x150x110 Cm 경기장 매표사나 출입구의 관 중동선을 유도하는 기존 펜스 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변환 시킨 설치작품이다


86

엇;공방

실타래공방

믹스라이스, 김목인, 윤주희, 이예주

참여 작가 + 지역 커뮤니티 + 시민참여(워크숍) 잠실의 옛기억의 실을 풀어 창신동의 '실'과 연결시키는 공방 프로젝트이다

공공리허설 & 남성수작업 슈카르트

참여 작가 + 시민참여 공공리허설은 시민참여 합 창워크숍으로 지역의 기억 을 노래로 만들어 시민들과 함께 부르는 프로젝트이며, 남성수작업은 남성으로 구 성된 수작업 워크숍으로 시 민참여, 소통을 지향한 프로 젝트이다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87

뜻밖의자

무빙밀머리 참여 작가 사전제작 + 시민 참여 현장 워크숍 플라스틱제품, 장갑, 양말, 고무호스 등 대량생산되는 공산물를 작가와 시민참여 자에 의해 일시적으로 재미 있는 의자 기능으로 변모시 킨 작업이다

고물상

고물상 (양철모, 여다함, 송수연) 아지트 제작 + 구조물 설치 + 워크샵 운영 마을대회 기간 동안 발생한 폐재료와 부산물을 수집-분 류-기록하여 재활용, 재발견 을 위한 상상과 실천을 모색 하는 프로젝트이다


88

앗;묘책

나만의 디자인 + 버내큘러 디자인 품청소년공동체

시민작품 및 사전 리서치를 통한 현장 전시, 일상 속 디자인, 동네에서 발견되는 디자인 인 버내큘러 디자인 등을 재발견하 여 함께 공유하는 프로젝트이다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89

지구를 이롭게 하는 삶의 묘책 민들레공동체

시민작품 및 작가 사전 리서치를 통한 현장 전시 경남 산청의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민들레 공동체의 에너지 활 용 전략을 다시금 들어보는 프로젝트다, 조금 느리더라도 자연 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색다른 일상을 경험케 한다


90

어;시장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홍대앞 예술시장프리마켓(어;시장) 일상예술창작센터

전시+판매+시민체험+공연


91

ㅋ;고쳐

디자인 튜닝 리블랭크

전시+시민참여워크숍 시민과 함께 낡고 헌 쓰레 기를 모아 새로운 모습으 로 탄생시키는 워크숍으로 진행된 디자인튜닝 프로젝 트이다 대량생산, 대량폐품이 쌓 여가는 시대에 전하는 유 쾌하고 즐거운 제안이 눈길 을 끈다


92

아;포럼

▬ 1일차 “도시갤러리를 통해 살펴보는 도시에서 예술과 디 자인의 역할과 의미” 양주혜(2007 도시갤러리 옥수역 프로젝트 작가), 하영호 (2007 도시갤러리 예술가가 달려간다 프로젝트 기획자), 이수 영(2007 도시갤러리 불광천 프로젝트 기획자), 홍현숙(2007 도시갤러리 불광천 프로젝트), 사회 박찬국(어어어 마을대회 예술감독, 밀머리미술학교 디렉터)

2일차 “어,어,어; 마을대회를 통해 ‘도시’와 ‘잠실’을 읽 다.” 어어어; 마을대회 참여 작가 및 기획자 + 관객, 사회 황덕신( 어어어 마을대회 사무국장, 문화기획자)

SDO_집밖의 집

어어어 마을대회


93

오;뚝딱

오;뚝딱

이문양이 시민참여워크숍 + 체험 마을에 있는 플라스틱 상자 와 남은 재료들로 다양한 쓰 임의 물건들을 뚝딱 만들어 본 오; 뚝딱 대장간 프로젝 트이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