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Page 1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50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길 프로젝트

커뮤너티 디자인 연구소 기획 김상규 이상환 방영순 유비호

51

심우찬 노네임노샵 이진원 고가현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디자인로커스 기획

김대성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김동석


사이트 분석

정동길에는 많은 문화재와 근대건축물들이 있다. 덕수궁(사적 124호), 舊러시아 공사관(사적 253

사이트

호), 정동교회(사적 256호), 중명전(서울시 유형문화재 53호), 舊미국공사관Habibhouse(서울시

이미지

프로젝트 방향

유형문화재 132호), 구세군중앙회관(기념물 제20호), 이화여고 심슨기념관(등록문화재 제3호), 이

Before

화여고 (최초의 근대여성교육기관), 이화여고 손탁호텔터 (기념물 표석), 배재고교터(기념물표석, 근

image

대식교육기관), 퇴계 이황선생 생가터 (기념물표석, 옛 대법원터) 뿐만아니라 문화예술시설로 서울 시립미술관, 제일화재 세실 극장, 난타 전용관, 이화백주년 기념관, 정동극장이 있다. 그리고 예원학 교와 이화여고가 있고 러시아 공사관 공원이 있다.

정동은 점적 문화재 다수(건축물)와 대단위 면적 문화재(덕수궁) 혼합형태로 도심 한가운데 위치함 에도 불구하고, 그 존재가 뚜렷하게 인식되지 않은 지역으로 근대 역사가 고스란히 있다. 하지만 전 문가 이외에 시민들에게는 잘 인식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조선왕조 개국 이후 외세 개입의 필 두로 서양인의 거주처로 인식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외국 공관의 전용 지역처럼 인식되면서 시민의 인식 밖에 있었던 지역으로 풍부한 역사 및 외교 자원을 간직하며 근대기의 대표적인 코스모폴리탄 (cosmopolitan) 지역이다. 담은 정동이 갖는 특징 중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신문로쪽의 대지들이 큰 대지로 통합되면서 많은 길이 소실되었지만 덕수궁의 담, 이화여고의 담, 서울 시청 소유 건물의 담, 예원학교의 담, 외국 공사관의 담이 있다.

작업 방향은 정동 주변의 근대 건축물의 문화재적 가치를 보존하는 범위에서 공간의 의미를 재구성 하여 제시하는 작업으로 정동길과 덕수궁길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공간 통합형 작업을 요청하 였다. 또한 역사적 정보를 제시하여 교육, 체험, 관광과 연결되는 작업으로 작품과 사용이 연결되는 기능 도입, 정동이라는 장소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구조, 형태 및 의미를 반영하는 작업으로 작품 제작 과정과 완성된 작품이 시민들의 문화 참여나 문화 교육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 계된 작업을 요청하였다. 도시갤러리 작업을 통해서 정동길은 서울의 역사성과 국제성을 담은 역사

52

체험+관광+교육 등의 활동과 연결될 수 있는 통합적 장소로 시민들이 걷기를 통해 역사, 문화 탐험

53

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프로젝트 진행경과

07

1권역 사업 공고

0309

1권역 공모 설명회

0423

1권역 정동길 아이디어제안 심사

0228

0426

심사위원 : 김세준/박일호/원인종/이영범/진양교/최범/박삼철

1권역 정동길 아이디어제안 결과 발표

*사랑해요 프로젝트(김주호)

*정동, 멋진 신세계(디자인로커스+커뮤너티 디자인 연구소 -이상환, 김상규, 방영순)

*정동별곡(김재웅&E시각미디어 연구소)

0509 1차 0523 2차

이광준(도시갤러리 추진단 책임큐레이터), 임정희(연세대 교수), 조주현(간텍스트 대표),

이구영(M조형연구소), 조정구(구가도시건축 대표), 윤석령(이화여고 행정실장), 강정현(예원학교 미술부장)

0608

1권역 정동길 사업 최종 심사

54

1권역 정동길 퍼블릭 샤렛

심사위원 : 김세준/박일호/원인종/이영범/진양교/최범/박삼철

0612

1권역 정동길 최종 당선작 발표

최종작:정동, 멋진 신세계(디자인로커스+커뮤너티 디자인 연구소 -이상환, 김상규, 방영순)

0618

정동팀 1차 미팅 : 컨셉 조율, 일정 공유

0625

정동팀 2차 미팅 : 현장 답사

0628

정동팀 3차 미팅 : 최종 예산 검토

0807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디자인로커스+커뮤너티디자인연구소) 계약

1013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오픈(오후 2시, 정동극장 앞) 오프닝

1112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전시 기간 완료

55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담꽃 작가 :김대성 장소 :이화여고 작품수 : 콘크리트담 1점 작품규격: 총면적131.2m² (2.2mx 59.6m) 재료 : 자체 제작한 페인팅 킷 (분필 및 지워지지 않는 파스텔), 크레아탄 도장 작품생애 : 1년

테이크 아웃 가든 Take out Garden 작가 : 노네임노샵 장소 : 정동길 정동마트 옆 작품수 : 2000개 작품규격: 지름80mm x 높이100mm 종이컵 재료 : 종이, 플라스틱, 씨앗, 용토 작품생애 : 전시기간 (2007.09.12~2007.11.12)

역사이정표 작가 : 기획팀, 김동석(콘텐츠) | 장 소 : 중명전, 수옥헌, 정동교회, 심 손기념관, 러시아아치, 손탁호텔 옆 6곳 | 작품수 : 6점 | 작품규격: 지 름 120 x 높이 4,000 | 재료 : 5T 스틸 파이프, 영상장치, 솔라판넬 세트 | 작품생애 : 5년

길꽃

소리꽃

작가 : 기획팀 (김상규, 이상환, 방영순) 장소 : 정동길에 있던 기존의 볼라드 작품수 : 68기 작품규격: 볼라드1(지름530,높이600,식재), 볼라드2(지름530,높이430), 놀이판,방위판 볼라드3(지름330,높이600) 재료 : 원목성형합판, 국화(2007.09.12~2007.11.30), 잔디꽃(2008.03~2009.03) 작품생애 : 1년

작가 : 이진원(음원콘텐츠), 고가현(아트랩핑) 장소 : 공중전화부스 작품수 : 4개소2점(부스4개) 작품규격: 800x800x2000(h) x4booth 유리랩핑 재료 : 구형전화기 2대, 음성플레이어 장치 2대 작품생애 : 전시기간 (2007.09.12~2007.11.12)

56

57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역사간판

신세계 에피소드

작가 : 노네임노샵 장소 : 정동길 정동마트 옆 작품수 : 6점 재료 : 종이, 목재, 동판 작품생애, 전시기간 : 2007.09.12 ~2007.11.12

작가 : 심우찬 장소 : 정동길 지정장소 8곳 작품수 : 16개 1점 작품규격: LCD 128x128 pixcel, 영상케이스100x100x600 PVC 수지피복 재료 : PVC 수지 피복, LCD 작품생애 : 전시기간 (2007.09.12~2007.11.12)

심손극장 작가 :유비호(콘텐츠), 백남준(콘텐츠), 김동석(편집), 기획팀(공간연출) 장소 :이화여고 심슨관 6개 교실 작품수 : 1,2,3층 1점 재료 : DLP 프로젝트 6대, RGB LED조명 15개, 리어스크린 21세트 작품생애 : 전시기간 (2007.09.12~2007.11.12)

58

59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역사이정표

신세계언어

작가 : 기획팀, 김동석(콘텐츠) 장소 : 중명전, 수옥헌, 정동교회, 심손기념관, 러시아아치, 손탁호텔 옆 6곳 작품수 : 6점 작품규격: 지름 120 x 높이 4,000 재료 : 5T 스틸 파이프, 영상장치, 솔라판넬 세트 작품생애 : 5년

작가 : 기획팀, 김상규(콘텐츠) 장소 : 예원학교담 작품수 : 1점 작품규격: 높이180, 총길이70,000 재료 : LED128x128모듈, 컨트롤러, 전기장치 작품생애 : 5년

라디오정동 작가 : 기획팀 장소 : 정동극장 앞 1개소 작품수 : 1점 작품규격: 높이 750, 총연장 24,000, 두께 850 재료 : 음성장치 2se 1점, 스틸14T(스틸 도장후 코팅처리), 스피커 작품생애 : 5년

60

61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제1권역 공공장소 정동길 프로젝트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작품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는 디자인과 예술을 융합시켜 역사적 공간에 공공미술/공공디자인이

작가

평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세가지 의미 영역에 따라서 공간이 구성되었다.

소개

및 설명

기획자

이상환 (주)디자인로커스(designLocus) 대표와 도서출판 디자인로커스 발행인이며, 커뮤니티디자인연구

소 이사를 맡고 있다. 국민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그래픽시즘(graphicism)적인 전시디자인, 환경디자인 등의 공간을 다루는 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으며, 현재는 커뮤니티디자인에 관한 여러 지역 작업을 하고 있다.

김상규 서울대와 국민대 대학원에서 디자인을 전공했고 ㈜퍼시스 가구연구소에서 의자를 디자인했다. 프리랜

서로서 제품디자인을 하였고 디자인미술관에서 근무하면서 <드록디자인>(2003), <한국의 디자인 1910-1960>(2004),

첫째, [꽃이 피다]는 담꽃, 길꽃, 소리꽃, 테이크아웃 가든으로 꽃이 피어나는 정동을 프로그램과 시

<모호이너지의 새로운 시각>(2005) 등을 기획했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한국의 디자인: 산업, 문화, 역사>전,

각적 표현으로 제시했다. 시민과 작가의 공동 작업으로 이화여고 담에 꽃을 그리고, 볼라드에 꽃을

ARCO ‘07의 특별전인 <리셋>전의 큐레이터를 맡았다. 현재는 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에서 삼청동 프로젝트 등을 맡아서

심고, 꽃을 가꾸어 “개화開花”의 코스모폴리탄 장소로 역사적 공간을 현재로 불러들인다.

진행하고 있다.

둘째, [들여다보다]는 보지 못하고 지나치는 것을 보여주고, 상상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도움 장

방영순 중앙대 대학원 문화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디자인미술관에서 근무하면서 <브루노 무나리>(2003), <

유니버설디자인>(2005), <모빌리티>(2006) 등을 기획했다. 디자인문화아카데미 기획에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커뮤니티

치를 디자인한다. 심슨기념관에서는 정동길에서 성장한 이화여고생의 이야기, 백남준 작가에 의해

디자인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보여지는 한국 현대사의 모습을 빛 글라스 이미지로 엿볼 수 있다. 중명전 앞을 비롯 6곳에 설치되

임종은 홍익대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대안공간 루프에서 큐레이터로 근무했다.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와

<모자이크시티>전(대전시립미술관, 2007) 등의 코디네이터로 참여하였고 쌈지스페이스 큐레이터 레지던시로 활동하면

는 역사 이정표 뷰포인트 정보 패널을 통해서 정동 교회, 중명전, 옛 러시아 공사관의 과거와 현재

서 <뻥화론>전을 기획했다.

를 경험할 수 있다. 작가

셋째, [기억하다]는 역사적 공간의 거리, 담, 건축물, 사물들에 배어있는 오래된 일상의 기억, 집단 또

임택 홍익대와 동대학원에서 동양화과를 졸업했다. <진경, 그 새로운 제안>(국립현대미술관, 2003), <오

리엔탈 메타포>(대안공간 루프, 2006) 등의 전시에 작가로 참여하였고 2006년 <옮겨진 산수 유람기>에 이르기까지 10

는 개인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역사적 사실을 제공하는 정보 전달 역할보다는 감성적으로 정동길

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에 있는 이화여고, 중명전에서 있는 다양한 기억들을 재구성하였다. 정동로터리, 정동공원 입구 가로

임승률 국민대에서 입체미술과를 졸업하고 숭실대 IT대학원 미디어과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헤이리 국제 크로스오버 아트 페스티벌 예술감독을 맡은 바 있으며 <Mediascape>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현재는 숭실

등 8곳에 설치된 만화경을 통해서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고, 정동극장 앞에 설치되는 라디오 아트

대 IT대학원 미디어과의 BK21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벤치에 앉아 동시대 정동길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예원학교 담에 설치된 제니 홀쩌의 작

유비호 홍익대 회화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영상대학원에서 미디어아트를 전공했다. 개인성을 분열하고 파괴

하는 현대 소비사회의 사회시스템에서 개인들의 사적(私的)세계에 관심을 갖고 싱글채널비디오 작업을 중심으로 표현해온

품을 연상시키는 70m의 LED패널은 5개 국어로 근대기 역사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어 정동길의 문

작가로서 2회의 개인전과 <보다, 보여지다>(금호미술관, 2006)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한 바 있다.

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계기를 마련한다.

심우찬 SK텔레콤 신사옥 LED ‘Orange time’ 제작에 참여하였고 SeNef 2005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Christian M/V Festival 은상을 수상한 바 있다. 다수의 뮤직비디오 제작과 광고연출을 맡았으며 현재는 잭슨필름을 운영 하고 있다.

작업 과정에서 작가는 보행자의 입장이 되어서 공간에 작가의 감수성과 감각이 개입될 지점을 발견

하고 작가의 고유한 방식으로 역사를 공감각적으로 해석하여 관객에게 보여주려고 노력하였다. 이

어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4년 유럽에서 발표한 데뷔앨범이 영국 튠인 챠트에서 2주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DJ Tasaka,

러한 과정을 통해서 근대 개화기 타자의 시선에 의해서 중역되고 식민적 시선에 놓여있던 정동은 꽃

매드 캡슐 마케츠 등 일본 뮤지션들과 공동 작업한 바 있다. 2007년 쌈지전(ssamzie space) sound art 101에 참여했고, <모자이크 시티>전(대전시립미술관, 2007) 오프닝 퍼포먼스를 담당하는 등 미디어 아티스트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이 피는 정동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의 시선으로, 작가의 해석으로 재조명된다. 정동 도시갤러리는 예

62

술을 통해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원을 기억하고 향유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였다. 정동길에 온 시민

63

정동길 프로젝트

한계륜 서울대와 동대학원의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영상예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2년 광주

비엔날레의 ‘집행유예’ 프로젝트와 2004년 부산비엔날레 현대미술전 ‘틈’의 작가로 참여하였으며 <바람 자전거> 등의 개

미학에 기반한 공공미술을 구상하였다. 하지만 공공미술과 공공디자인이 출발하는 시점에서 많은 반

제1권역 공공장소

인전을 열었다. 현재는 서울산업대 조형예술과 교수.

들이 걷기와 듣기와 보기의 행위를 통해서 역사 문화 공간을 발견하고 깊숙이 경험할 수 있는 발견의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이진원 뉴욕에서 활동하는 뮤지션으로서 퍼프 대디, 본 조비, 자넷 잭슨 등 유명 뮤지션의 앨범작업에 엔지니

고가현 SADI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공부하고 전주영화제, Modafe 등의 전시와 문화 행사를 위해 그

래픽디자인 작업을 해왔다. 개인전 <사람-형태소>(갤러리 팩토리, 2005)를 비롯하여 디자인프로젝트 그룹 ‘미싱’ 등의

성과 성찰을 준 프로젝트이기도 하였다. 첫째, 장소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보충적으

기획전에 참여한 바 있다. 현재 Kohga 대표.

로 들어가는 공공디자인 작업은 작업 과정 및 작품 생애와 관련하여 그 장소를 가꾸는 커뮤너티와의

명으로 구성된 그룹.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안양 공공예술프로젝트, <믿거나 말거나>(일민미술관, 2006) 등에서 작가로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실질적인 필요를 끌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 기획력이 요구된다는 점이었다. 둘 째, 작품이 적절하게 사용되기를 원한다면 관계가 형성된 커뮤너티가 작품을 활용할 수 있는 후속 프 로그램이 적절히 결합되었을 때 공공적 존재로서 자리잡을 수 있음이다.

노네임노샵(Noname Noshop) 김건태, 김종범, 전지향, 박경옥, 이신혜, 이혜연 등 가구디자인을 전공한 6

참여하였고 2006년 도쿄 디자인위크의 디자인붐마트에 초청받기도 했다. 또한 <이면공작 시나리오>와 서교 365번지 프 정동, 멋진 신세계 꽃이 피다

로젝트 등의 자체 프로젝트도 꾸준히 기획하고 있다.

김대성 프랑스 리용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고 파리 8대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광주디자인

비엔날레와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 작가로 초대받았고 DNA 아시아 디자인네트워크에서 워크샵 마스터, 2007년 서울 디자 인위크의 아트디렉터를 맡은 바 있다. 현재는 계원조형대학 전시디자인과 교수.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