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도록 [ㄱ-을 담다] (1호)

Page 1




에필로그 _epilogue 중계 본동104번지 – 104마을 1967년 겨울 무렵 서울의 도심 청계천, 안암동, 석관동 등에서 철거된 이주민 1,100여 세대가 노원구(당시 성북구) 중계동 불암산 자락에 자리 잡았다. 철거민의 집단이주정착지 산104번지라는 주소가 마을 이름이 되어 104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서울 사람들의 보금자리가 아파트로 바뀌는 동안 1970~80년대 산동네의 보편적 주거 형태와 가지가지 뻗은 수많은 골목길을 간직한 채 우리 곁에 남아있다. 104마을도 재개발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마을 안에 기억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오래오래 간직되기를 희망해본다.

상계3.4동 - 양지마을, 희망촌 1966년경 청계천 재개발, 인현시장, 마포, 그 후에 성북동 재개발로 인한 이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1980년대 중반 성장기를 맞고, 2000년대 중반부터 쇠퇴기를 거치면서, 이제 호흡이 가뿐 소멸기의 마을이 되어버렸다. 주택재개발사업으로 앞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날들이 다가올 것이다. 2023년부터 일부 철거를 계획하고 있다. 그 안에서 나고 자라면서 함께한 골목과 동네의 시간들을 기록으로 담는 노력들을 앞으로도 계속 함께 하고자 한다.


월계 1동 중랑천과 우이천으로 둘러싸인 모양이 반달 모양이라 달 ‘月’자와 시내 ‘溪’자를 합쳐진 데서 유래되어 불리고, 맑은 시냇물 우이천이 흐르는데 달이 비치니 이를 월계라 불렀다고도 한다. 광운대역과 석계역을 중심으로 오래된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이 골목길을 따라 골목 상권도 형성하며 서로 어우러지고 있다. 향후 개발 사업으로 월계1동은 또 새로움을 맞이하며 면면히 흐를 것이다.

_달빛골목 일동


1


<하울의 움직이는 성> 내일이면, 떠납니다.

권나희 유년시절 나에게 마을은 펼쳐진 우주, 각각의 집은 하나의 행성 같았다. 가까이 있으나 멀기만 했고, 그리 멀게 느껴지다가도 근접해 있어. 언제든 발을 벌려 디딜 수 있는 곳. 그 곳에 가려면 지나가야 하는 길이 있었고, 서로의 시그널을 맞춰야 방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느 날... 머물러 있던 것들조차 자라고, 낡아 떠나가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2


<삐-삐비비비비-> “ 쉼이 필요하신가요. 빈방 있습니다. ”

<오작교> 월계1동과 월계3동을 이어주는 만남의 다리

3


<여행> “수많은 것들이 함께 머물렀다가 세월을 따라 흩러간다.”

<수고했어> 그동안

4



김현숙 누군가에게는 그리움으로 추억될 기록, 누군가에게는 역사가 될 기록,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기록을 하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한 서울마을미디어 지원사업 “달빛 골목”은 개발과 함께 보금자리를 떠 나야 하는 이들에게 바치는 망향곡이다. 이들의 마음을 가슴에 담고 눈으로는 풍경 을 담았다. <어스름이 내려앉는 양지마을 II> “지금은 복잡하게 얼기설기 얽힌 전선도 그리워질 때가 오겠지.”

<어스름이 내려앉는 양지마을 I> “불빛이 새어 나오는 창문 너머에 사는 이는 어떤 마음일까?”

6


<104마을 담벼락> “공가 아닌 담벼락을 보니 반갑기도 하다.”

<고양이 집사> “주인 떠난 빈자리. 너희들만 남아 자리를 지키는구나. 곧 개발로 허물어지면 또 어디로 가야할꼬?”

7


<망이 있는 풍경> 누군가 푸른 망에 고추며 나물을 말리고 있다. 망 너머에는 공가 표시인 0이 보인다. 누군가는 떠났고, 누군가는 살고 있다. 푸른 망이 말해 주고 있다.

8



손혜리

마을을 거닐며 곳곳에서 숨 쉬는 꽃들과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들로 너무 아름다운 곳이다! 라고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하늘에서 새어 나오는 햇빛 줄기들이 마을의 곳곳을 감싸는 모습에 더 아름다웠습니다. 사라지는 것이나, 살아지는 것이나 그 자체로 하나하나 작품 같은 예술이었습니다. 영광입니다.

<고마운 나의 달빛> “어두운 날, 이 가로등 밑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는 달빛 같았을 것 같았어요.”

10


<거기 계세요?> “쌓인 우편물들이 주인님을 기다리고 있는 것 같았어요.”

<호랑이 시집가는 날> “장가도 아니고 시집가는 생뚱한 느낌이났어요. 매콤한 냄새, 나지않나요?”

11


<나의 꽃> “뒷편의 산과 앞의 조그마한 꽃들과 지붕위의 고추들까지, 우리들은 모두 꽃이에요!”

<맑게 개인 백사마을> “이 날이 유독 청명하고 기분좋은 바람이 불었어요. 백사마을 주민들이 항상 기분 좋았으면 좋겠습니다.”

12


신순화 사라져가는 전봇대, 어릴 적 전봇대에 기대어 술래를 하기도 하고 참새가 전선줄에 앉아있는걸 세며 등교하기도 하고 밤에는 전봇대에 달린 등불아래 모여든 땅강아지를 쫓아다녔던 기억들, 처음 먹통 전화와 흑백 텔레비전 들어오던 날, 전신주의 전깃줄이 신기하기만 했던 어린시절의 기억들이 담겨 있다.

13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전선이나 통신선을 잇기 위한 기둥, 전봇대 또는 전신주. 마을과 마을을 잇고 사람과 사람을 잇던 기억들이 담겨 있다.

14


<기억> 104마을을 걷다 마주친 기억 하나

15


<기억> 104마을을 걷다 마주친 기억 둘

16



<유혹>

이혜숙 104마을, 양지마을, 희망촌 골목길을 걷다가 문 밖의 빈 집앞에도 당당하게 서있는 다양한 화초들이 보았다. 때론 무심하게, 때론 따뜻하게 ‘나 여기있어요’ 하며 소곤소곤 말을 걸어오는 것 같아 사진전 주제를 ‘무언의 소통’ 으로 잡았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자세히 보아야, 오래보아야 예쁘다’.

<무심하게, 따뜻하게>

18


<애들아 노~올자>

<변치 않는 사랑>

19


<나 여기 있어요>

<그대로 그렇게>

20


임수진 흔적, 기억을 감싸다

21


<그리움... 자개장이 품은 기억>

22


<햇살 받은 꺾인 못>

<기억항아리를 감싸안으며>

23


<골목길 들어서며>

<흔적, 기억을 타고 날아 오를>

24



정소나 어느 날 TV에서 내가 살고 있는 광운대역 근처가 재개발에 들어간다는 소식을 들었다. 매일 아침 창문에 내려다보이는 시멘트 공장 그리고 동신아파트 등을 걸으며 언젠가 존재했지만 조만간 존재하지 않을 것을 담았다. 석계 골목을 거닐며 만난 다양한 색깔의 우체통, ‘신속’ ‘정확’ 이라는 상징을 가진 제비 ci-은 어느새 그 역할을 이메일과 SNS에 빼앗겼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지만 무언가를 오래 기억하고 추억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바로 그것이 내가 오늘도 사진을 찍는 이유이다.

<기다림>

26


<안녕, 제비야> “마음을 전달했던 사라진 메신저”

<노란 자전거> 월계 골목에서 만난 동심

27


재개발로 사라져갈 것들

<굿바이, 한일 시멘트>

<굿바이, 동신>

28


정혜선 내게 백사마을은 어느 고즈넉한 언덕 시골 마을 같았다. 지금은 텅빈 골목과 텅빈 집들만 남아 개발을 기다리지만, 사람하나 간신히 들어갈 미로 같은 골목길 따라 벽돌 한 장 한 장 가파른 언덕길 짊어지고 올라가 만들었을 작고 소담한 집,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하나 둘 옆을 내줘 한 동네를 이룬 왁자지껄한 백사마을을 그려본다. 희노애락을 같이 지켜봐 왔던 이웃들과 숨바꼭질하며 뛰어 놀던 아이들... 언제가 다시 돌아와 추억을 그리며 더 아름다운 백사마을의 내일을 상상해 본다.


<백사마을 중계로>

<백사마을 중계 아파트2>

30


<백사마을_농작물금지>

<백사마을 언덕>

31


<백사마을과 중계아파트1>

32



조환기 104마을이 개발을 목전에 두고 있다. 삶의 자리를 부정당하고 철거된 철거민들의 집단이주정착지자 이곳에서 자라나 이미 중년이 되어버린 주민들에게는 고향인 104마을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개발일지인데, 남은 자들에게는 황량함과 더불어 불안감이 골목에 감돈다. 노스탤지어를 불러오는 골목은 이름모를 풀들이 발걸음을 막아 서고 가족과 이웃의 추억이 깃든 주택들은 바스러지고 있다.

34


<위험2>

<위험3>

35


<온기>

<꽃>

36


최정임

아이들의 놀이터이고, 아낙들의 장터이면서 동네 소식이 오갔던 골목으로 엿장수, 두부 장수, 찹쌀떡장수가 마을 사람들과 잔치를 거래한다. 봄날 따듯한 햇님이 찬기운과 얼음에 묶여있는 땅을 풀어 팥죽을 쑤었다가, 한여름 한 줄기 소나기같은 수영장이 되었다가, 재잘되며 속살거리는 소꼽놀이 꿈터이었다가, 색색의 빨래, 붉은 고추, 대추, 감들이 옆집의 친구들을 불러 모아 태양의 마음 함께 누렸을 골목으로 시간이 시나브로 간다. 자연이, 사람이, 짐승이, 물건이, 소리가, 냄새가, 마음이 오고 갔던 골목으로 이제는 사람들이 가고 있다. 사람들이 떠난 골목은 여전히 하늘이, 자연이, 집들이, 담장이가 남아서 희망과 안식과 슬픔과 추억을 솜씨좋게 버무려 창조를 꿈꾸며 용기있게 다시 사람을 기다리고 있었다.


<안식> 태양과 구름을 안고 고요히 쉬는 집

38


<바람>

39

<연결>


<연결> “오래 전 빛나던 처마를 기억하나요?”

<창조> 부서지면서 또 다른 세상을 꿈꾸며

40


편은심

<2021년 8월, 여주 말리기> 광운로 17길, 월계 골목의 여름


<2021년 7월, 백사마을> 거기, 그 집앞 골목길에서 오래 머무르고 싶다.

42


43

<2021년 6월, 104 마을 부엌>

<2021년 7월, 104재생지원센터>

긴 세월, 그대로 주인을 잘 보살피고 있다.

시간 여행


<2021년 여름, 광운대역> 삼표와 현대시멘트 광운대 시멘트 물류기지

<2021년, 월계 마을 계량기> 골목길에서는 모두가 잘 어울리는 친구다

44


한성재

상계3.4동 양지마을 내가 1살 때 이사왔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부엌에 찬장이 없어서 사과 상자로 대신하셨고, 추운 겨울을 나기위해 문이 없는 집에서 가마니로 추위를 이기며, 살았던 나의 고향이기도 한 곳을 따뜻한 마음으로 담아본다.


<웃음 띤 할아버지> 좋은 사진을 찍기위해 필름 1롤을 찍을 때 까지 웃어주는 마음

<지금은 많이 컸겠네요>

46


<가위바위보 할아버지>

<마을상징인 거북바위 두 동강이>

47


<추운 아침에 강아지>

48



한윤정

너무 쉽게 모든게 대체되는 요즘 온고지신의 정신을 살려 기존의 것에 대해서 배우는 마음으로 제 시선을 담았습니다. 새로운 것이 아니라 기존의 것을 저만의 시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양지마을의 골목을 공유합니다.

<민트>


<아늑>

<개와 늑대의 시간>

51


<자연광>

<균열>

52


ㄱ-을 담다 _사라질 것에 대한 기록

편은심 신순화 권나희

디자인

무디디자인스튜디오

디자인 점빵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