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y architecture portfolio

Page 1

CHOI SANG YOUL

ARCHITECTURE

PORTFOLIO FIND A WAY TO CREATE A SPACE



두번째 방법은 위험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계속 배워나가야 하는 것 입니다. 그것은 즉 지옥의 한가운데서 지옥 속에 살지 않는 사람과 지옥이 아닌 것을 찾아내려 하고 그것을 구별해 내어 지속시키고 그 것들에게 공간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보이지 않는 도시들 - 이탈로 칼비노



ABOUT ME 2007 Architecture Travel in Venice


Education

1987. 05. 04 2006. 02. 16 2006. 03. 02 2014. 02. 20

대구 출생 대구 영남고등학교 졸업 계명대학교 건축학과 입학 계명대학교 졸업

Military Service

2009. 02 - 2011. 03

11전.비. 시설대대 설계지원병 전역

Experience

설향 (계명대 건축설계 동아리) 26기 2006. - 2013. 달구벌 종합 복지관 자원봉사(416시간) 2008. - 2011. 유럽 여행(런던,파리,로마,프라하 등 34일) 2007. 01 일본 여행(오사카, 도쿄 등 10일) 2008. 02 2008. 건축 동아리 설향 회장 2008. 건축학과 3학년 과대표 헤비타트 2008. 07 병영 문학상 시부문 입선 2010. 10 2011. - 2014 Studio 2202 2011. - Archi Ban (건축여행 동아리) 1기 2012. 건축학과 학생회장 일본 여행(오사카, 가나자와 등 8일) 2013. 07 일본 여행(후쿠오카 4일) 2015. 06

Tool /Competence

Auto CAD 3D MAX SketchUp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en MS Office Model making

●●●●◐ ●●●●○ ●●●●○ ●●●●◐ ●●●○○ ●●●○○ ●●●●○ ●●●●○

Things Emjoy

Bowling, Skiing Reading, Listen to music Travel, Game, Toy Collection, Sketch, Writing


Internship & Workshop & Work

2011. 07 2012. 02 2012. 07 2014. 02 - 2015. 02

건축사 사무소 S.F. 실습 DMP 종합건축사사무소 실습 계명대학교 연변대학 협력국제 디자인 캠프(학생 대표) 대구 명가건축사사무소

Award

2007. 11 2007. 12 2008. 11 2011. 06 2011. 09 2011. 10 2011. 11 2011. 12 2012. 10 2012. 11 2013. 06 2013. 10

청소년 시설 공모전 - Special Prize 디지털 건축 공모전 - Selection 대구 건축 대전 - Selection 대구 건축 대전 - Special Prize 강소주택 아이디어 공모전 - Grand Prize 경상북도 건축 대전 - Selection 청소년 시설 공모전 - Selection 디자인 대구 아카데미 - Finalist 건축명작 모형경연 대회 - Third Prize, Selection 청소년 시설 공모전 - Special Prize 도코모모 코리아 공모전 - Selection 컬러풀 대구 도시디자인 공모전 - Participation prize

건축은 문화를 담는 그릇이고 그 자체로 문 화가 되기도 합니다. 건축에 표현되는 문화는 결국 사람이 만드 는 것이고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새로운 문 화가 발생합니다. 문화를 건축에 담아내는 일!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도시에 필요한 건축을 만드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최상열 崔相悅 Choi Sang Youl E-mail : dutls12@naver.com C.P : 010. 8823. 4513


Contents

8

Contents


Part 1

Part 2

Studio & Competion Work Dalseong Citizen Gymnasium - 2014 UIA Competition

/ 08

Garden of Student -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 24

Sangju Youth Facility - 2012 Youth Facility Competition

/ 36

Gosan Mulitipurpose Library - 2012 UIA Competition

/ 48

Sliding Furniture Housing - 2011 Gang So Housing Competition

/ 58

Utilization of Camp Walker - Design Studio(3)

/ 68

Auf Fl端geln des Gesanges -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tion

/ 72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 2007 Youth Facility Competition

/ 78

Work/ Internship/ Extra work Internship - S.F. Architecture Office / 88 Internship -D.M.P / The Work - M.G

/ 90

Workshop - KMU & YBU Design Camp

/ 92

Cube study - Combined with Decomposition

/ 94

Zombie Safe House - 38 Days later

/ 96

2012 Design expression - Design Drawing

/ 98

2007 Design studio(2) - Architectonics study

/ 100

Architecture Model - Villa Savoye, Niao Chao

/ 102

Brochure Design / 104 Architecture Travel / 106

c.s.y portfolio

9


Part


Studio & Competion Work Keimyung University [2006.03 - 2014.02], M.G. Architecture Office [2014.2 - 2015.3]

1. 2. 3. 4. 5. 6. 7. 8.

Dalseong Citizen Gymnasium - 2014 UIA Competition

08 - 23

Garden of Student -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24 - 35

Sangju Youth Facility - 2012 Youth Facility Competition

36 - 47

Gosan Mulitipurpose Library - 2012 UIA Competition

48 - 57

Sliding Furniture - 2011 Gang So Housing Competition

58 - 67

Utilization of Camp Walker - Design Studio(3)

68 - 71

Auf Fl端geln des Gesanges -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tion

72 - 77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 2007 Youth Facility Competition

78 - 85

1

2013 Architecture Travel in Kanazawa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01

12

Dalseong Citizen Gymnasium

Studio & Competion Work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Project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on / Program 운동시설 / Theme 공공성, 지형 / Period 2014.7-.9 / Team Project with 정강연 / Role idea, design, plan, 3D c.s.y portfolio

13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공공장소 만들기, Make a public place 과거 커다란 건축물들은 힘과 권력의 상징, 종교적 신념, 대량생산을 위한 특별한 장소들이었다. 그러 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모든 거대건축물들이 특별한 것은 아니다. 작은 건물들뿐만 아니라 커다란 건물들 또한 생활의 장소이고 업무공간이며 여가활동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작은 건물들같이 커다란 건물들도 사람의 일상과 밀접하게 닿아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밀 접한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다. 거대한 건물들은 주위 환경이나 도시와 관계를 맺기 힘들며 커다란 공 간이 그 기능을 하지 않을 때는 거대한 오브제일 뿐이다. 다목적 체육관은 시민들의 여가활동의 장소인 동시에 체육대회, 공연 등의 대규모 행사를 위한 공간으 로 사용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의 특성상 주위건물들 보다 커다란 면적을 가진다. 이 커다란 공간을 가진 체육관이 체육활동이나 행사 등의 기능을 하지 않을 때, 그 거대한 오브제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충분한 것인가? 우리는 새롭게 태어날 달성 군민 체육관을 다목적 체육관이라는 그 기능을 극대화 할뿐만 아니라 시민 들의 삶과 더욱 밀접한 체육관으로 만들어 주고자 한다.

In the past, huge structures were the symbols of power, authority, religious belief and special plac e for mass production. However, all of massive buildings are not special to us who is living in a modern life. The reason is because not only small architectures but also large ones are the place of life, work, and leisure activity place. Huge buildings look closely with the peoples' life, but they are not closely related with people's everyday lives. Massive buildings are hardly related with near environment or the city and when the large space stop functioning, it is just a useless object. Multi-purpose gymnasium is a place for peoples' leasure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place for large scale events such as an athletic meeting and various kinds of show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gram, this gymnasium take larger area then the near buildings. Is it enough just to look at the gymnasium with a huge area when it does not work its own functions like sports activities or events? We are going to rebuild gymnasium maximizing multi-purpose gymnasium's functions and this gymnasium is going to b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14

Studio & Competion Work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Site Plan

24

M

RO AD

BR

ID GE

Ent.

A

F.L : -6.90 G.L : +27.3

B’

En t.

F.L : -0.10 G.L : +34.2

B

Ground / Park

Ma in

D

OA 12M R

Gymnasium

A’ memorial a monument

Parking(53 / Include 3Disabled)

AD 6M RO

0

4

10

20

30(m)

Site Area - 11,806㎡ Building Area - 2,353.37㎡ Total Floor Area - 4,608.23㎡ Structure - R.C조, 철골구조

Site 130, Hyeonpungjungang-ro, Hyeonpung-myeon, Dalseong-gun, Daegu West side of ground is open to the public. Contrastively, South side of ground that 4m lower than near road is close place. And there is several memorial stones for our ancestors along the road in it's small forest.

c.s.y portfolio

15


±0M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Bi Seul Road

Expressway

Public Hyonpung middle, and high school within 400m, north to achieve comprehensive Sports Park is located within 40m. North to have Hyonpung East Road, there is a Hyonpung middle path southwest side.

Dal seong SPORT PARK

Hyeon Pung East Road

SITE

Shape of Land Earth has a height difference of about 6m. The lower space and an upper space connect through a new gymnasium. And lower space of the gym is going to be a new outdoor space.

Multi-purpose

Gymnasium EN

OP

+6M

d an

LANDSCAPE

16

Studio & Competion Work

SPACE

±0M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Reconnaissance of the target area

c.s.y portfolio

17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1st Floor Plan

12

13 01

06

F.L : ±0.00

06 05 04

02

01 Hall 02 Fitness Center 03 Table Tennis 11 Cafeteria 12 Dressing/Shower (W) 13 Dressing/Shower (M) 04 Billiards 05 G.X Room 06 Membership Club 07 Information Desk 08 Oce 09 Conference Room 10 Storage 11 Cafeteria 12 Dressing/Shower (W) 13 Dressing/Shower (M)

03

F.L : -6.90 G.L: +27.3

09

F.L : -0.10 G.L : +34.2

10

07 08 F.L : -3.50

F.L : ±0.00

F.L : ±0.00

01 11

0

2

5

10

15(m)

0

2

5

10

15(m)

Basement Plan

07

06 F.L : -6.90 G.L: +27.3

04

05

F.L : -3.50

F.L : -3.50

01

03

02

01 Water Zone 02 Machine Room 03 Deck 04 Electrical Room 05 Generator Room 06 Outdoor Stand 07 Ground / Park

18

Studio & Competion Work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3rd Floor Plan

01

F.L : +10.90

01

03 04

02

05

01

04 03

F.L : +10.90

01

01 Seat ( 594 Seat/ Include 6 Disabled) 02 Announcement Booth 03 Lighting Room 04 Air Conditioner Room 05 Top of Stage

01

0

우리의 체육관은 원형이다. 그리고 접

2

5

10

15(m)

2nd Floor Plan

지층으로부터 들어 올려져있다. 이는 단지 더 많은 객석의 확보와, 사용빈도

08

07 05

높은 부대시설을 이용객들에게 더 가

F.L : +6.00

까이 두기 위함만은 아니다. 달성군민 체육관이 있는 이 대지가 도시의 입구

04

임을 상기시키고, 지형과 체육관이 만

03

들어내는 공공영역이 더욱더 시민이 자 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

06

09

01

Our gymnasium is circular and it is lifted from the ground. This is not only to secure more seats and to place close high-use frequency incidental facilities to people. The main reason is to remind that this ground is the entrance of the city and also to let people use nearby public places freely.

02

F.L : +6.00

다.

F.L : +7.40

03 04

01 Gym (10 Badminton / 2 Basketball) 02 Stage 03 Preparation Room 04 Make up/Dressing 05 Corridor 06 Storage(Fitness) 07 Players Waiting Room 08 Dressing/Shower 09 Movable Seat (528 Seat)

05 08

F.L : +6.00

07

0

2

5

10

15(m)

c.s.y portfolio

19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 다목적 공간 다목적 체육관 그 자체로 다양한 체육활동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공간을 가지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다만 체육활동을 수용하는 것에 서 그치지 않고 그 대공간에 더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면 공간의 모습은 한 단계 변하게 된다. 제한된 면적 안에서 사각형의 체육관 주위 로 무대와 객석을 배치하는 것 보다, 원형의 공간에 체육관을 두면서 더 많은 객석이 생겨나고 무대의 깊이는 더욱 깊어진다. - Open Space 체육관의 대공간은 시민들의 다양한 체육활동을 수용한다. 체육관이 개방되어 시민들이 사용할 때는 공공영역의 기능을 하지만 체육관이 사용되 지 않을 때 그 체육관만큼의 넓은 면적은 죽은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시 이용된다는 측면에서는 체육관보다도 부대시설의 비중이 더 크지만 부 지의 제한된 건폐율 안에서 별도로 부대시설들을 배치하기란 쉽지가 않다. 우리는 체육관을 들어 올리고 접지층에 사용빈도가 높은 부대시설들을 배치해서 달성군민체육관을 더 공공적인 장소로 만들었다. 들어올려진 원형의 체육관은 기존에 6m의 고저차를 가진 지형과 만나며 독특한 외부 공간을 만들어낸다. 높은 층고를 가진 건물의 하부 공간은 시민들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야외 공연이나, 거리응원 같은 다양한 활동을 가능케하는 장소가 된다. 이는 체육관 내부의 다 목적 활용뿐만 아니라 부지 전체를 정해진 용도가 아닌 다목적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20

Studio & Competion Work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 Multi-purpose place Square is the most efficient shape for many sports activities in a gymnasium. but its shape should be changed for more activities in a huge place. In a limited area, a circular gymnasium can have more seats and larger stage than a square gymnasium. -Open space The huge space in the gymnasium can take many kinds of sports activities. It will perform a role of the public domain when gymnasium is opened to use for civilians. But this large area as much as gymnasium is become dead space when gymnasium is not using. And in terms of constant use, additional facilities is more important than gymnasium but it's really hard to place additional facilities separately in limited building-to-land ratio. We placed gym on the second floor and placed useful additional facilities on the first floor to make gymnasium more public place. Round shape gym on the second floor make exterior space by match up with existing terrain that has 6m difference of altitude. Clear head of high difference of altitude is not only the place for civilians to take a rest but also the place for various activities like street supporting, out door performance, and etc. This means not only use ground that gym's various utilize but also make ground be multipurpose place. And the shape of gym on the second floor will be symbol of informing town's boundary.

c.s.y portfolio

21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Longitudinal section

Seat

Seat

Court

Stage

Court

Toilet

Shower/ Dress

Toilet

Fitness Center

Cafeteria Deck

22

Studio & Competion Work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Seat

Seat Stage

Court

Court

Toilet

Shower/ Dress

Toilet

Fitness Center

Cafeteria Deck

Cross section

Seat

Seat

Storage

Stage

Badminton Court

Storage Conference R. A (Refer to detail) Ground

Outside Stand

Electrical R. Generator R.

0

2

5

10

15(m)

c.s.y portfolio

23


Toilet

Shower/ Dress

Toilet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Fitness Center

Cafeteria Deck

Elevation

Seat

Seat

Storage

Stage

Badminton Court

Storage Conference R. A (Refer to detail) Ground

Outside Stand

Electrical R. Generator R.

0

2

5

10

15(m)

Space Diagram

Mass

Movement

-상징성 과거 우리나라에서 마을의 경계란 단순 행정구역의 경계가 아닌 하나의 공동체가 가지는 경계였다. 현대 도시에 이러한 마을 경계의 의미는 대부 분 사라졌지만 달성군민 체육관은 마을의 입구를 상징함과 동시에 부지와 부지의 북쪽 체육공원이 시민들을 위한 장소임을 알리는 역할을 할 것이 다. -조경 대지의 서쪽은 주위에 개방되어 쉽게 접근이 가능한 활동적인 공간이다. 이와는 반대로 대지의 동쪽은 접해있는 도로보다 4m낮아 상대적으로 폐 쇄된 공간이다. 우리는 이 숲의 경계에 10개의 열주를 세웠다. 이 기둥들 은 체육관을 받치고 있는 기둥과 공간의 대비를 이루게 되며 이 숲 또한 시 민들을 위한 공간임을 상징함과 동시에 정적이고 명상을 위한 공간임을 암 시하게 된다.

24

Studio & Competion Work

Sub Facilities

Open Space

Viewing direction

-Symbolism Boundary of the town in the past in Korea, was the boundary of one community. The boundary of town in these days loss it's meaning. But gymnasium will be not only symbolize town's entrance but also perform to notify that the land and gymnasium on north side of the site is for civilians. -Landscape West side of ground is open to the public. So, it can be easy to use for active place. Contrastively, South side of ground that 4m lower than near road is close place. We made 10 colonnades around the forest's boundary. These pillars will make comparison of space with gymnasium's pillars. The forest will be the symbol of place for civilians and will suggest place for silence and meditation at the same time.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R.F l + 21.50 m

Section Detail

Main Facade Composite Panel & Led lighting

Ceiling Windows For Lighting

4,500

Ventilation Openings

Truss Top. - ø216.3 X 4.5T

Truss Ver. - ø 101.6 X3.2T

200 850

Public Anouncement Booth

Truss Latt. - ø 42.7 X 2.3T Truss Bot. - ø216.3 X 4.5T

View For Management

Wood floor Joist. B - 75 X 75 X 2.3T Concrete Slab

Seat

2,700

Composite panel Stud. - 50 X 50 X 2.3T@800 130T Styrofoam 200T Concrete wall

E.H l + 17.50 m

2,250

600

Seat

1,300

3F l + 10.90 m

Lightweight steel roof frame(M-Bar) Ceiling Tex Corridor

Movable Seat

Badminton courts 3,400

Storage

Wood floor Joist. B - 75 X 75 X 2.3T 200T Concrete Slab

2.0T Epoxy paint

1,230

1,170

200

2F l + 6.00 m

Lightweight steel roof frame(M-Bar) Ceiling Tex

200T Concrete slab 130T Styrofoam Truss - latt. Stud. - 50 X 50 X 2.3T@800 Composite panel

1,230

Fitness Center

1,100

1F l ± 0.00 m

3,500

200T Concrete slab 130T Styrofoam Stud. - 50 X 50 X 2.3T@1000 Composite panel

Ground / Park

B1F l - 3.50 m

Outdoor Stand

3,400

Wood floor Joist. B - 75 X 75 X 2.3T Concrete Slab

Interlocking Block

G.L l - 6.90 m

200T Concrete slab 130T Styrofoam Stud. - 50 X 50 X 2.3T@1000 1.2T SMC Ceiling

c.s.y portfolio 0

0.4

1

25 2

3(m)


2014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거대한 건축물에 익숙하다. 그곳에서 일상과 업무, 여가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여러 거대 건축물들 사이를 오가며 우리 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행정기관들이 대거 이동을 하며 신도시, 혁신도시란 이 름으로 도시를 점점 확장하였고 그곳에 새로운 거대 건축물들을 만들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 거대 건축물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부속품처럼 되어가 고 있다. 건축가라면 누구나 사람의 삶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줄 건축물을 꿈꾸고 그것을 만들기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새롭게 태어날 달성 군민 체육관을 다목적 체육관이라는 그 기능을 극대화 할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삶과 더욱 밀접한 체육관으로 만들어 주고자 한다.

26

Studio & Competion Work

We are familiar at large buildings in these days. In there, We made such a routine, work, and leisure activities. So, our life looks like having great relationship between those things. Recently many administrative agency in South Korea moved to another area that named 'new town' and 'innovation city' by extension of cities with new huge structures. And people are being part of huge structures to active those. Every architects do their best to construct buildings that make people's life more various. We are going to construct 'dalsung gunmin gymnasium' not only make it's functions maximize but also have great relationship with civilian's life.


+01 Dalseong Citizen Gymnasium + Axonometric

Stage

Lighting Room Seat

Badminton Court Corridor Elevator Stair

Announcement Booth Entrance

Group Exercise

Elevator

Table Tennis

Office Dressing / Shower Toilet

Main Entrance Hall

Billiard Fitness Club

Elevator Stair Cafeteria

Outdoor Stand

Water Zone

c.s.y portfolio

27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02

28

Studio & Competion Work

아이들 의 정원 - 후포 중,고등학교 계획안


+02 아이들의 정원

Project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 Program 학교 / Theme 공공성, 기능 / Period 2013.6-.9 / Individual project c.s.y portfolio

29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Site Plan Site Area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Structure

0

10

- 11,806㎡ - 2,353.37㎡ - 4,608.23㎡ - R.C조, 철골구조

30

50(m)

잘못된 교육정책과 입시제도, 개인의 원자화가 이루 어지는 사회 속에서 학생들에 대한 지나친 과보호와 통제, 범죄에 빠져들기 쉽게 되어버린 도시환경들이 학생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자라는 것을 힘들게 한다. 학교가 공공영역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학생들이 자율성과 상호공존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하지 못하면서 학생들은 자신들만의 미성숙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현대사회는 게젤샤프트에 가깝지만 미성숙한 공동 체를 형성한 학생들의 생활은 과도한 게마인샤프트의 모습을 보인다. 다른 세대와 소통이 없는 10대들의 공동체는 소설 파리 대왕에서 무인도에 고립된 소년 들의 모습처럼 문명세계의 사회관습이 없는 권력욕과 야만성의 모습을 보이기도하 며 이러한 것이 심화되 었을 때 사회문제로 대두되기도 한다. 학생들을 보호와 통제 속에 가두는 것은 일시적으로 청소년 범죄를 낮출 수도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진정 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라기 위해서는 그들 스스로 자 신의 꿈을 찾아가며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아가 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30

Studio & Competion Work


+02 아이들의 정원

Prologue 한국의 근대식 학교는 대한제국시대,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 되었으며 일제 강점 기 식민통치의 목적으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광복이후 1950년부터 의무교 육이 실시되었으며 현재는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으로 정하고 있다. 또한 1차부터 7차, 2007, 2009년 개정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적성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계속 바뀌어왔으나 학교 공간자체는 거의 바뀌지 않았다. 이러한 천편일률적인 학교 공간을 학생들을 위한 공공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도 록, 또 주위 도시와 관계를 맺으며 학교가 도시의 일부가 될수 있도록 제안 하고 자 한다.

Concept Department Classroom Book Classification 학교는 학생들을 위한 공공영역이다. 공공영역으로 사용 되어야할 학교가 왜 이용의 제한 출입의 제한을 두며 사유영역의 성격을 가지고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공동의 목적을 획득하지 못하는가? 또한 학교의 모습이 주위 도시와는 상관없이 비슷한 모습인 것은 학교가 공공영역으로 사용되지 못하기 때 문이다. 학교를 도시의 일부로 만들고 공공영역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학생들이 공동체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자 한다. 그리고 층별, 학년별 기존의 교과교실형 배치가 아닌 학교와 도서관을 연 계하여 도서 분류에 따라 교과교실을 배치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자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교 사의 전문성 또한 높이고자 한다.

Site Analisys

기존의 학교 부지 및

부지 인근의 자연 및

대지의 풍향 및 미세

학교 인근의 맥락 분

건물 현황

주거 현황

기후 분석

석 및 단절된 학교 영 역

기존의 학교 부지 및

주위 자연지형을 고려

자연환경과 기후를 고

도시 맥락 이 반 영된

건물 현황

한 설계방향 설정

려한 매스 방향

공공 장소로서의 학교

c.s.y portfolio

31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General classroom

Multipurpose classroom

32

Library

Studio & Competion Work

Foreign language

classroom

Science and Math

General

Arts and Physical

classroom

Language, History

Multipurpose classroom

Existing

Library

일반교실, 다목적교실과 함께 도서 과 공간을 연계하여 학교 공간을 형 성하였다. 1층에 위치한 도서관은 2,3층으로 연결되며 2층에는 다목 적교실, 3층에는 일반교실이 위치한 다. 도서관과 연계된 교실을 통해 각각 의 도서분류에 따른 교과 수업이 가 능하다.


05

3rd floor plan 01. 국어, 역사 02. 외국어, 교양 03. 교사실 04. 과학 교실 05. 수학 교실 06. 수업 준비실

04

06

+02 아이들의 정원

02 03 02 03

07

02

01

01

02

02 02

01

01 03

02

02

01

03 01

01

01

03

01

01

02

03 02

01

01

02

02

01 01

01 01

01

01

05 09 09

08 06

04

06

04

05

08

2nd floor plan 01. 다목적 교실 02. 영상실 03.studio 04.교지 제작실 05. 휴게실 06.동아리실 07. 음악 연습실

06

05

07

07. 음악실 08. 미술실 09. 다목적 교실

04

01

08. 미술 연습실 09. 상담실 10. 실습실 11. 연습실

01 05 05

06 06 06 06 06 06 06

04 0104

06

07

01

07

10 10

05 08

11

05 01

08

11

01

09 06 09 06 06 06

1st floor plan 01. 도서실 02. 도서지원실 03. 행정실 04. 교장실 05. 다목적실 06. 소회의실 07. 대회의실 08. 양호실

09. 방송실 10. 인쇄실 11. 문서보관고 12. 미디어실 13. 시청각실 14. 식당 15. 주방 16. 창고

17. 실습실 18. 교사 준비실 19. 대강당 20. 체육관

15

16

14

13

17

17 18 19

02

01

04

03

05

12

11

10

09

08

05

07

04

06 03

20

c.s.y portfolio

33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Elevation(SW)

Elevation(SE)

Process

Road

학 생들의 주 요 등 교 방 향 과 주위 맥락 을 고려하여 대지를 네가지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형성.

34

Studio & Competion Work

Traffic line

새로운 길에서 부터 학교시설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이용자 동선을 결정, 건 물에서 건물 로 이어지는 동선이 간결 하도 록 계획.

Mass and Area

프로그램과 그 특성으로 나누 어진 새로 운 mass를 영역에 배치

Library Connect

학교를 도서관과 연계 함으로 써 학생 들의 학습에 대한 자 율성과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


+02 아이들의 정원

Class room

층별로 나누어진 기존의 교과 교실 형 배치가 아닌 도서 분 류에 따른 교실 배치

Sport area

상대적으로 마을과 가까운 남 서쪽 에는 운동장과 체육관을 배치 주민 을 위한 공 공영역 및 오픈 스페 이스 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Volume

전체적인 형태를 계획함에 있 어 하나의 큰 mass가 아닌 여 러개의 건물군을 형성 함으로 써 이벤트 공 간으로서의 가능 성과 각 영역들로 의 접근성을 고려

Landscape

외부공간은 일정한 그리드 속 에서 직교 하는 식생영역에 의 해 더 작은 공간으 로 나누어 지고 평상의 역할을 하는 벤 치와 함께 작은 이벤트의 공간 이 마련 된다.

c.s.y portfolio

35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Section 1

Section 2

Space Program

Assembly hall - 1528.61㎡ Gym - 1341.81㎡

36

Studio & Competion Work

Administration office and Library - 4342.67㎡

Multipurpose room and Club room - 2497.38㎡

Art room, Music room - 476.04㎡


+02 아이들의 정원

Section 3

Science room, Mathematics classroom - 859.04㎡

Social studies classroom - 574.80㎡

First language classroom, Foreign language room - 577.50㎡

Roof garden, Courtyard

c.s.y portfolio

37


2013 Keimyung University Thesis project

Detail Section 쇠흙손 마감 신축줄눈 무근콘크리트 콘크리트 기계미장

아스팔트 복합시트

커튼박스 경량철골 천정틀 친환경 무석면 텍스

단열재 알루미늄 복합 판넬

참나무 후로링 미송각재 내수합판

경량철골 천정틀 친환경 무석면 텍스 잔디 참나무 후로링 미송각재 내수합판

표토 하층토

잔디 표토 하층토 사출성형 유리자갈 필터 섬유 ²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콘크리트 기초 배수용 자갈 구조물 보호용 매트 실링재

경량철골 천정틀 친환경 무석면 텍스

콘크리트 타일 분쇄 모래층 밸러스트 기층 결빙보호층

화강석 물갈기

단열재 필름 겹

38

Studio & Competion Work


+02 아이들의 정원

c.s.y portfolio

39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03

40

Studio & Competion Work

가족의 숲 - 상주시 도남동 청소년 수련원 계획안


+03 가족의 숲

Project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 Program 청소년 시설 / Theme 합목적성, 지형 / Period 2012.9-.11 / Team Project 박경은, 조은진 / Role leader, idea, design, plan, 3D, model c.s.y portfolio

41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Site Plan

Location

42

Studio & Competion Work


+03 가족의 숲

N

0

10

20

30

40

70(m)

Process 어느 한곳이 중심이 되는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대지와 수평으로 가로와 조경, 야외활동 공간과 건축물을 설계하고 이 요소들은 지형에 의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주 가로 는 대지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그 옆으로 선형으로 이어진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을 설계하였 다. 건물은 가로와 가로사이 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야외 활동과 실내 활동의 구분이 아닌 여러 활동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된다.

c.s.y portfolio

43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Site Analisys 경사도 분석 대지를 네부분으로 나 누 어 대지 자체가 가지 는 개방, 폐쇄성을 조사 하였 다. 도로와 가까운 부분은 시야가 넓고 개 방적인 모 습이며 대지 깊이 들어갈 수록 산으 로 둘러싸여 폐 쇄적이 고 안정적인 모습 의 땅 이다.

대지내 접근성 위의 대지 분석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로와 가까운 저수지 쪽에 주요 시설들이 위치 자연 체험과 함께 교육, 공예체 험, 전시관람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계곡 깊이 들 어 갈 수록 온전히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녹지를 조성하였 다

배치영역 분석 건물의 상세한 배치를 위하여 대지에서 기존에 논으로 활 용되고 있는 범위와 상대적으로 평탄해 건물이 위치하기 좋은 범위를 조사, 이용객들이 원만한 야외 활동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조사하였다.

기본계획 대지의 동남쪽에는 저 수 지 양옆으로 낮은 건 물을 배치주위의 시야 를 확보 하였으며 저수 지 뒤쪽에 주요 시설들 을 배치, 도로 에서의 접 근은 물론 자연 으로의 접근도 용이 하도 록 하 였다. 북서쪽은 숲을 조 성 이용객들이 직접 나 무를 가꾸어 보며 자연 체 험을 할 수 있는 녹지 를 조성하였다.

44

Studio & Competion Work


+03 가족의 숲

청소년 수련원 청소년 수련원은 도시에서 떨어진 자연 속에 위치해 청소년의 심신 수련의 목적으로 지어진다. 이러한 청소년 수련원은 입지 여건상 청소년 개인이 찾아가기는 힘들며 제공되는 프로그램도 30명에서 많게는 100명 200명 이상의 단체를 위한 수련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그에 따라 대부분의 수 련원이 단체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들과 야외공간 위주로 계획된다. 허나 대부분의 수련원들은 도시에서 경험 할 수 없는, 자연 속에서만 경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 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면적의 부지만 있다 면 도시 안에서도 해결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제공된다. 또한 단체를 위한 프로그램, 공간들로 구성 되면서 가족단위, 소규모 단위의 이용자를 위 한 공간과 프로그램은 없으며 단체 이용객의 예약이 없을 때는 아무런 시설도 사용되지 않는다. 상주시에서는 이 부지에 국제청소년 교류센터를 계획중에 있다. 청소년 혼자서는 찾아오기도 힘든 이곳에 어떤 청소년 시설을 계획하고 나아가 어떻 게 국제적인 청소년 교류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것일까? 현대의 청소년에게 필요한 것은 국가를 초월해 친구를 사귀는 것일까? 아님 때론 친구가 되어주는 아빠와 주말을 보내는 것일까?

“ I`m lucky. Nobody else`s daday ever comes to the park” - 영화 ‘I am Sam’ 중 -

c.s.y portfolio

45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1st floor

02

03

04

06

site range

46

Studio & Competion Work

path

deck place

05

water space


+03 가족의 숲

01

04

ter space

07

08

01. exhibition rooml 02. snack bar 03. lounge 04. lecture room 05. holl 06. exhibition holl 07. cafe 08. visitant center 09. cafeteria

09

program

field & structure

nature link

landscape

c.s.y portfolio

47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2nd floor

01

02

03

Section

48

Studio & Competion Work


+03 가족의 숲

01. domitory 02. workshop 03. auditorium 04. office 05. cafeteria

04 05

c.s.y portfolio

49


2012 Youth Facility Competion

Scenery and Experience

등가로 이어진 각기 다른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을 설계, 이러한 공간들은 서로 다른 수직의 풍 경을 연출하고 이러한 풍경들이 등가로 이어져 보임으로써 더욱 다양한 풍경이 연출된다. 그리 고 대지 저 멀리 있는 풍경들도 대지안에서 이어지는 풍경들의 연장선상에 놓이게 된다.

Detail Section

THK 105 단열재 경량철골 천정틀 THK 9.5 plywood

THK 15 walnut floorimg THK 12 floor heater THK 18 plywood THK 60 foaming urethane

자갈 제올라이트 하층 플리스 풀 내층재 하층 플리스 정화 층 모래

낙엽송 길이 낙엽송 콘크리트 타일 잡석 기층

50

Studio & Competion Work

² ²

형 강제 수면접촉 보호층 형 석재 높이 모르타르 모세관 현상 차단 층


+03 가족의 숲

청소년 수련시설은 청소년의 교육을 목적으로 지어진다. 그중 청소년 수련원은 청소년에게 도시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해주기 위해 지어진다. 그러나 현재의 수련원들은 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자연 속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면적의 부지만 있다면 도시 안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제공된다. 또한 제공되는 프로그램도 30명에서 많게는 100명 200명 이상의 단체를 위 한 수련 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그에 따라 대부분의 수련원이 단체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들과 야외 공간 위주로 계획된다. 기존의 청소년 수련원들은 단체를 위한 프로그램, 공간들로 구성 되면서 가족단위, 소규모 단위의 이용자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단체 이용객의 예약이 없을 때는 아무런 시설도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가족단위의 소규모 이용객들에게도 청소년 수련원이 개방됨으로써 수련원이 이용자가 없는 날 없이, 청소년과 그 부모님들이 함께 자연 체험 활동을 하며 청소년의 교육뿐만 아니라 가족의 화합과 자연과의 교류를 추구할 수 있 다.

c.s.y portfolio

51


2012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04

52

Studio & Competion Work

GoSan Multipurpose Library


+04 GoSan Multipurpose Library

The term of ‘도서관(doseogwan 圖書館)’ means different from ‘library’ or ‘bibliotek’, each of which originated from ‘liber’ and ‘biblion’ signifying papers.

‘圖’ from ‘圖書館 ’ means a drawing, and ‘書’ means a book, letter and record. Libraries in Asia, therefore, keep not only writings on paper but also drawings and records on non-paper materials. That libraries in Korea play a role as museums is perhaps a natural consequence.

Project 2012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 Program 도서관 / Theme 가변성, 지역성 / Period 2012.8-.9 / Team Project 김동윤, 김성태 / Role idea, design, 3D c.s.y portfolio

53


2012 UIAUIA Architecture 2012 CompetionCompetition Site plan

‘Drawable bookshelves move vertically against the wall and can be fixed by plates. Spaces between shelves that are created when some are pulled out don’t interrupt pedestrian traffic. There are two types of bookshelves: A type is a bit lower than a ceiling, and B type is fixed to the ceiling and functions as a fillar.

Nomal book shelves

54

Museum & Art gallery

Studio & Competion Work

Club space

A-type, book shelves

B-type, book shelves


+04+04 GoSan GoSan Multipurpose Multipurpose Library Library

Cities in Korea are labyrinthine and highly mixed. Multiple functions are often performed in a single building, and single space is utilized for multiple purposes at the same time. This kind of urban diversity, however, doesn’t come easy for a library which needs to have many fixed shelves packed with books. This plan primarily aims to establish a library in Suseong-gu, Daegu, which can embrace diverse values, cultures and knowledge. The library would diverge from its given and fixed usage and avail itself of versatile space to accommodate varied purposes. The library is divided mainly into two parts, reading rooms (including book shelves) and offices. Then, the reading room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 dynamic space for children and the other is a static space for the general public and special collections & archives. The third floor designed for general public-use stacks has drawable bookshelves, so it can be transformed into an art gallery when necessary. Special collections & archives are located in the corridor of drawable stacks, which makes it easy to store and manage the books. All the spaces of stack rooms connected to independent vertical circulation and inner court benefit from day lighting and ventilation. General affairs are handled in the offices on the second floor and volunteer service and public lending service are provided at the librarian desk on each floor. The structure and shape of stacks change by space utilization. Drawable bookshelves surround the center court. When they are all put in, the court becomes an exhibit hall. Some of them shall be put outside for club activities or serve other purposes. When all the stacks are placed outside, it becomes a library. On the other hand, office and reading rooms make a clean and transparent impression, decorated by a curtain wall method. The size of the courtyard is decided by reflecting the interior space of building. Vegetation once removed for construction is stored and transplanted in the courtyard as landscape gardening. Gingko as a deciduous tree will give different moods in each of the four seasons. Moated piloties on the first floor will provide pleasant surroundings and openness.

Six wheels are attached beneath each bookshelf. Mullion of the shelf gives unity to the stacks.

c.s.y portfolio

55


2012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Site plan

1st floor

2nd floor

Reading room space is adjusted by moving bookshelves, which allows the bookshelves to be diverged from its preexisting usage of book storing, recognized as a wall that plans a space, and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object functioning as a soundproof facility with stored books. There are two kinds of bookshelves in the library: the drawable and the fixed. When the reading rooms are served as a library, all the drawable bookshelves are pulled out. When served as a gallery, they are all pushed back in.

56

Studio & Competion Work


+04 GoSan Multipurpose Library

3rd floor

4th floor

Elevation

c.s.y portfolio

57


2012 UIA Architecture Competition Serial vision

Program and area

Hall, Stairs, Toilet 995.54㎡

Humanities and Society, Art & Science, Linguistic 867.86㎡

Section A

Section B

58

Studio & Competion Work

Lobby, Digital reference library 156.41㎡

Director room, Preparation room, Order Department 156.41㎡

Atrium, Courtyard, Water space 125.83㎡

Conservation book, Old book 237.94㎡


+04 GoSan Multipurpose Library Detail

Children corner, Storytelling room, Nursing room 355.58㎡

Roof-top of the f our th f loor is covered by dirt and grass to reduce t h e h e a t g en er a t e d f r o m t h e building. The façade of the library has a double skin. The outer skin is a light cur tain wall suppor ted by a glass spider, and inner is glass lighting combined with bookshelves. This glass lighting is only turned on when the bookshelves are put back against the wall. Inner space utilization changes the outer façade of the library. Lighting-four types in total -Sidelight: mullion bearing the load of bookshelf and desk produces soft sidelight - C orridor: spac e gener ated b y pulling out some book shelves gets sidelight f rom the interior and exterior mullion. -Inner Court: Energy can be saved during the day by the lighting from the court. -Reflected light: there is lighting on the top of bookshelf lighting toward the ceiling. It hits the ceiling first and then the indoor space, making subdued lighting.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has exterior light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spot where the bookshelves touch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When the bookshelves touch the wall, that is to say when they are pushed back, exterior lighting will be turned on outdoors. When pulled out, it’s turned off.

c.s.y portfolio

59


2012 UIA Competion

60

Studio & Competion Work


+04 GoSan Multipurpose Library

c.s.y portfolio

61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05

62

Studio & Competion Work

Sliding Furniture Housing


+05 Sliding Furniture Housing

Project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 Program 주거 / Theme 가변성, 이용성 / Period 2011.7-.8 / Team Project 김동윤, 김성태, 김미성 / Role idea, design, 3D c.s.y portfolio

63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Urban growth 1936

1986

Urban Life Time 1972

2000

Location Openness

Nature

Community

Administration

Nature

Community

Administration

Build arrange Openness

Share box

Section

64

Studio & Competion Work

Occupation Life Type of Korea in 7 days Statistics korea research 2009 data

5=Hours


+05 Sliding Furniture Housing

I + O 자기 책임하에 독립적인 형태로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이다. 주 활동시간대는 아침7시에서 저녁6시까지로 집밖에서의 활동시간이 대부분이다.주로 개인활동과 관련된 침대, 화장실, 서재 등을 사용한다.

자영업자와 직장인 가구를 공유하더라도 서로간에 침해 받지 않도록 한다. 출퇴근 시간이 서로 겹쳐지거나 서로간의 바쁜 시간대가 겹쳐지지 않도록 한다.

U + D 고등 교육기간인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다. 주 활동시 간대는 아침8시에서 저녁5시 사이이며, 학교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주로 학업과 관련된 책상, 책장이 필요하 며, 프라이버시 관련된 공간 이 필요하다.

학생과 맞벌이 부부

부부가 모두 직업을 가지고 돈을 버는 사람이다. 주 활동 시간대는 아침 8시45분에서 저녁6시 사이로, 집밖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부부만 을 위한 은밀한 공간과 가장 많은 슬라이딩 수납공간을 필요로 한다.

맞벌이 부부와 운수업자

결혼을 하지 않은 독립한 싱글족들이며,주활동시간대는 아침 8시50분에서 저녁6시 사이며,친구들 혹은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즐기기에, 휴식과 관련된 최소한의 가구와 침대와 공간들을 필요한다.

직장인과 학생

학생과 맞벌이 부부로 서로간의 프라이버시 공간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며, 조용한 공간을 통해 각자의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 + T

국가 또는 지방 공공 단체의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이며, 정해진 규율과 규범에 따라 활동시간이 정해져 있다. 정해진 시간마다 다른곳으로 이동이 많으며, 많은 사람을 만나기 때문에 옷장과 화장대 와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운수업 계통으로 정해진 시간에 구애 받지 않으며, 일과 관련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사람이다. 장거리 운전으로 인한 피로를 풀 수 있는 욕실공간과 매우 조용하며 휴식을 방해 받지 않는 공간들이 필요하다.

전혀 다른 시간대로 맞벌이 부부는 일찍 출근하여 일찍 퇴근하는 반면 운수업자는 낮시간등에 집에 머물며 유식을 취하며, 서로간에 침해하지 않도록 배치하였다.

O + U 결혼을 하지 않는 싱글족과 학생으로 서로간에 오고가며 마주치더라도 비슷한 라이프 타입을 가져 서로간에 소통을 한다.

G + I 공무원과 대인 사업자 장기간 거주하는 것이 아닌 일과 관련하여 짧은시간 동안 거주하며, 개인적인 공간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T + G 운송업자와 공무원 라이프 시간이 다르며, 서로간에 마주치는 일도 매우 적으며, 업무로인한 휴식을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Elevation

c.s.y portfolio

65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Site plan

urethane block grass & soil

fountain red block

bench

larch

N

security office

66

Studio & Competion Work

0

4.2 7.2

12

18m


+05 Sliding Furniture Housing ‘서울시 확장에 따른 주거 변화’ 1995년에서 2005도까지의 서울시 가구구조 변화를 살펴보면 1,2인 소형가구가 큰 폭으로 정가 하였다. 전체가구에 대한 1,2인 가구의 비중은 1995년 28%에서 2005년 40%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중 4인 가구 미만 1인 ,2인 ,3인 가구는 각각 73%, 54%, 19%로 크게 증가 하였고 4 인 가구 및 5인가구는 7%, 41%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최근 서울시 1, 2인 가구의 특성 및 변화 패턴을 보면 주요임지로 중구, 관악, 종로, 마포, 강남, 동대문에 집중 분포하였고 주택의 규모로 사용 방 수 2개 이하가 약 57%였다. 거주기간은 1년 미만이 약 33%로 주거이동이 잦다. 통근시 간은 평균 30분 이하가 50%이상으로 직장 접근성을 중시 하였다. ⇒ 직장 밀집지/대학가 주택재정비사업 시 1,2인 가구 배려 필요하다. 2010년 현재 서울시가 발표한 '2010년 서울 가구 및 주거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총 가구는 351만6745가구로 1980년 183만 6903가구보다 2배 가량 늘었다. 특히 1인 가구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는데 1인 가구는 1980년 8만2477가구에서 2010년 83만8114가구로 30년 동안 10배 넘게 늘어, 증가속도가 매우 빠르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1인 가구 비중은 1980년 4.5%에서 2000년 16.3%로 늘었으며, 지난해에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23.8%로 껑충 뛰었다. 4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로 재편된 셈이다. 이처럼 1인가구가 늘면서 1980년 4.47명이던 평균 가구원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엔 2.76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4m 모듈’ 건물의 크기인 스케일이 인체 크기의 배수로 환원될 수 있는 규모를 휴먼 스케일이라고 한다. 한옥의 경우 한 칸이라 일컫는 면적들의 조합에서 안 정되고 정서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대형공간보다 작은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스케일을 강소주택에 적용시켜 한국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고 실용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3.3m의 한옥모듈에서 1m를 더하여 4m의 모듈을 사용하는데, 이는 기존 한옥에서 생활하는 의식주에서 1m의 ‘樂’이라는 요소를 도입한 것이다. 이 공간은 기능적인 면도 담당한다. 4m 유닛에 달려있는 2m의 슬라이딩 유닛에서는 슬라이딩 가구가 필요에 따라 나오고 들어감으로써 편리함과 동시에 즐거움과 쾌적함을 선사하는데 1m의 樂공간에서 바로 이 빠져나오는 가구를 사용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 사용자는 자신의 휴먼스케일 에 맞는 가구를 세워서 빼거나 눕혀서 뺄 수가 있고 동시에 전용공간의 면적을 줄일 수가 있다.

c.s.y portfolio

67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서랍식 가구’ Sliding furniture box는 2M의 cantilever를 지탱하기 위해 매우 경량으로 설계 된다. box의 내부에는 규격의 가구만이 들어가기 때문에 항상 설계상의 고정적인 하 중만이 가해지기 때문에 경량의 구조는 가능하다. 슬라이딩 되는 가구의 켜들은 천정 에 매달리는 구조로 방으로 슬라이딩 되는데, 이것에 대한 규격은 기존에 박물관이나 세미나실과 같은 평평한 대형 공간에서 칸막이로 쓰이는 구조를 활용하였다. 이미 규 격화 되어 있는 것으로 언제든 박스의 형태만 갖추어 진다면 실용가능하다. 켜의 바닥 부분은 방과의 마찰에 대비하여 섬유질의 마찰판을 활용하였다. sliding 켜들은 각각의 색상마다 도시인들의 삶을 반영하는 색상이 주어지는데, 이것 은 milk window나 polycarbonate와 같은 불투명의 소재를 box입면에 사용하여 거주자의 행태에 따라 건물 외관의 색상은 언제든 변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sliding box의 가구들은 개인의 취향에 맞게 선택적으로 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 유하게 되는 sliding box의 켜들은 상대편 거주자의 행태와 거주 시간에 따라 합의 선택할 수 있다.

68

Studio & Competion Work


+05 Sliding Furniture Housing

Sliding Furniture

Sliding Furniture

각 켜들의 색상은 도시인의 행태에 따라 6가지 로 분류되는데, 이는 2009년 통계청에서 발 표한 데이터에 의거한다. 붉은 색은 개인의 취 미나 자기 시간을 많이 갖는 사람들의 색상으 로 책상이나 수집, 수납 혹은 각각의 취미에 맞 는 가구들이 선별 되었으며, 노란색은 대학생 을 의미하는 색상으로 학업에 관련 된 가구들 이 사용된다. 이처럼 보라색은 2인 이상이 거 주하는 형태, 녹색은 회사원, 짙은 녹색은 공 무원, 주황색은 자영업자들을 의미한다. sliding box의 가장 큰 장점은 가구를 공유 하므로 해서 거실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실상 사용하는 전용면적이 늘어난다는 것에 있다. 공유를 하면 할 수록 더 많은 공간과 가구를 활용할 수 있다. 개인전용으로 사용하는 box 역시 적어도 3개 이상의 방을 담아 둘 수 있 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더불어 cantilever 구 조 부분을 1.5M까지 테라스나 발코니로 인정 받게 된다면 고작 20m2의 공간을 그 세배 이 상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2011년 7월 월세의 가격 상승률이 지금껏 최대에 이르 렀다. 이에 적은 공간을 활용한다는 것은 획기 적인 방법일 것이다.

c.s.y portfolio

69


2011 Gang So Housing Competion

70

Studio & Competion Work


+05 Sliding Furniture Housing

c.s.y portfolio

71


Design Studio(3)

06

72

Studio & Competion Work

Utilization of Camp Walker


+06 Utilization of Camp Walker

Project 디자인 스튜디오(3) / Program 도서관 / Theme 지구단위계획 / Period 2011.4-.6 / Team Project 강남수 / Role idea, design, plan, model c.s.y portfolio

73


Design Studio(3)

Plan - Housing Type 1

Section

Type 2

C section showing the front of the city behind the Apsan visible. Nam-gu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and youth facilities, our team has chosen. Camp Walker, and Nam-gu with the boundaries of the existing fence has been mitigated. Building design and have designed a lot of greenery. The inhabitants of Nam to experience a wide variety of building space has been.

74

Studio & Competion Work


+06 Utilization of Camp Walker

Plan - Library

1 2

2nd floor

1. Audiovisual room 2. OďŹƒce

7

1

12

8 3

2

13

4 10

15

10

14

9

5

6

11 17

1st floor

1. Paper, Closed bookstand 2. Printing, Bookbinding 3. Search 4. Newspaper 5. Magazine 6. Children's Library

16

7. Info, Check out 8. Search 9. Bookstand 10. Reading Space 11. Reading Space 12. Auditorium

18

13. Foyer 14. Gallery 15. Conference 16. Hall 17. Shop 18. Cafe

c.s.y portfolio

75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on

07

76

Studio & Competion Work

Auf Fl端geln des Gesanges


+07 Auf Flügeln des Gesanges

Project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on / Program 공연장 / Theme 가변성, 지역성 / Period 2011.11 / Team Project 허성훈, 여화진 / Role idea, design, 3D

c.s.y portfolio

77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on Concept Diagram

주차장 환승역 전시관 공원

공연장

외부 공간으로의

내,외부 공간의

열린 공간의

공간의 성격을

기능확장

상호 연결

이벤트를 형성

보존하며 공존

기존 소음에

위요에 따른 공

닫힌 공간의

공연을 포함한 다

대한 보상 공간

간 선택

이벤트를 형성

목적 공간 구성

외부 공간으로의

내,외부 공간의

열린 공간의

다양한 정보를 제

기능확장

상호 연결

이벤트를 형성

공하는 공간

대규모의 이벤트

주변공간까지 활

APT 건설폐기물

기능없는 외부

매립

공간

기능없는 외부

지형을 고려한

계단형 오픈의

소음원을 배제한

공간

유기적인 매스

야외공연장 형성

소통의 공간 계획

용하기 위한 방안

Design Concept 3.해소 Comunication Space 소통, 자연공간

자연으로 부터 오는 소리는 우리를 즐겁게 해주며, 소 음이 없는 곳에서 소통의 자유를 느끼게 한다.

자연이 만들어 내는 소리만이 존재하는 소통을 위한 최적의 장소를 제공한다.

소통, 자연의 공간. 녹지, 공원이 계획된 공간에 자연공 간, 휴식공간, 청각적 스트레스 해소 의 공간을 제공 한다.

2.인지 Silence Space 정적공간

생할소음이 얼마나 심했는 지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되 고 소음으로 부터 자유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정적 공간 프로그램 에서는 소리를 통한 소통은 낮다.

정적공간. 다양한 이벤트의 공간_자신이 듣고 싶은 소리를 선택할 수 있는 곳, 소 리 또한 이용자가 선택하게 한다

1.무의식 Noise Space 소음공간 =일상공간

우리는 소음에 무감각해져 있으며 지금의 상황이 얼마 나 시끄럽고 불편한 상황인 지 느끼지 못한다.

소음으로 인해 커뮤 니케이션가능정도는 비교적 낮음

소음을 일으키자. sience space를 위한 일정한 크기의 소리로 정적공간의 극대화를 유도한다.

THEORY

78

‘무의식-인지-해소’의 3단 소리의 존재 정도 계의 공간

Studio & Competion Work

커뮤니케이션가능성

PROGRAM

ZONING


+07 Auf Flügeln des Gesanges Site Plan

대상위치 : 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 339번지, 338-3번지 지역지구 : 제2종 일반주거지역, 개발제한구역, 비행안전 2구역 대구 공군기지는 현재 대구시가 진행중인 각종 개발 사업지의 지리적 중심에 입지하고 있어 기지 이전으로 고도제한이 해제 되면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공군기지 이전을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그에 대비하여 공군기지 이전시 군사기지와 그 주변 지역 전체의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소통이라는 것에 무게를 두어 특정 공간 내에 소음원을 베제 시키고 자연과 함께 소통의 증태를 꾀할 수 있는 공간적 해결 방법으로 공연장이라는 문화공간 을 제안 한다.

공간의 위요 1:4

공간의 위요 1:1

공간 이용자는 스

정적인 행위를 유발

스로 공간을 인지

한다.

함으로서 자발적인 독서와 전시 감상 이벤트를 일으킨다. 등을 하는 행위를 유발한다.

한옥의 중정

Main Space

안마당 구현

한옥의 마당은 공

이용자로 하여금

중정을 현대적 의미

기의 대류 현상으로 스스로 공간의 행

로 해석하여 전이

바람길을 만들어 낸 위를 선택 하게 하 공간을 통하여 사 고 새로운 형태의

람으로 하여금 소

공연장에 적용한다. 외부 공공공간을

통의 행위를 유발

다. 이러한 공간을

형성 한다

한다.

c.s.y portfolio

79


2011 Arts Centers Design Idea Competion

B floor

1st floor

1. 2. 3. 4. 5. 6. 7. 8. 9.

80

Studio & Competion Work

office practice room concert room waiting room machine room electric room orchestra PIT stage workshop

1. 2. 3. 4. 5. 6. 7.

stage orchestra storage staff only hall outdoor stage open space


+07 Auf Fl端geln des Gesanges

2nd floor

3rd floor

1. 2. 3. 4. 5. 6. 7.

cafe office cafe gallery hall lighting room scene dock

1. 2. 3. 4. 5.

hall reference room gallery gallery storage

c.s.y portfolio

81


2007 Youth Facility Competion

08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82

Studio & Competion Work


+08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Project 2007 Youth Facility Competion / Program 청소년 시설 / Theme 역사성, 지역성 / Period 2007.9-.10 / Team Project 김동윤, 은소진 / Role idea, 3D, model c.s.y portfolio

83


2007 Youth Facility Competion

AREA 605.40km2 (2006.6.30) HUMAN 1,034만 4,440명 (2006.6.30) DANSITY 1만 7,087명/km2 (2006.6.30)

Cultural Facilities, 2000 Fine Art Center Performance Center Museum Theater

Community Based Welfare Centers, 2000 Welfare Center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Women Development Center Youth Training Center Welfare Center for Handicapped Counsultation Center

Cultural & Tourism, 2001 Mountains Royal Palaces and Historical Sites History and Culture Museums and Memorial Halls Performance Centers Consumer Consumption Related Facilities Recreation and Leisure Facilities

Commuting, 1997 10,000 below 10,000 ~ 20,000 20,000 ~ 30,000 40,000 over

서울은 학국의 수도로서 인구 1000만의 도시이다. 뜻하지 않은 강점기로 인하여 근 대적 도로망이 구축되고, 현재는 지하철 10개의 호선을 가지고 있는 체계적이고 밀도 높은 복잡한 도시이다. 최근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 뿐만아니라 현재의 주역!’이라는 슬 로건 아래 청소년 시설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그들을 위한 시설 의 갑작스런 확충은 청소년에게 썩 도움이 된다고 할 수는 없다. 본 계획안은 무분별히 늘어나는 청소년 시설에 대한 그들의 입지성과 공간 그리고 도 시속에서 이들 공간 확충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도시 속에서 열린 공간은 청소년들에게 그리 많이 열려있지 않다. 있다곤 하나 소프트 웨어적인 벽이 그들을 가로막고 있다. 열린 공간과 지역 사회를 반영한 프로그램, 그 리고 넓은 공지를 확보하면서 기존의 프로그램에 방해되지 않으며 그들의 질서를 유 지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역사적 사적지의 넓은 공터를 이용하고, 그 근대 건축물 중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지니고 있었던 역사적 근거와 청소년들의 발길을 끌어 들일 수 있는 문화적 컨텐츠가 놓인 곳을 오버랩시켜 정동 일대의 배재 학당 (구 동관)을 청소년 시설의 계획안으로 제안한다.

84

Studio & Competion Work


+08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배재학당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4-5 1885년(고종 12) 서울에 설립되었던 중등과정의 사립학교.

Site Plan

c.s.y portfolio

85


2007 Youth Facility Competion

Plan LEVEL 2m

86

Studio & Competion Work

LEVEL 5.5m


+08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LEVEL 8.5m

MATERIAL SKIN Program으로 분화된 공간은 그 영역성의 보존을 위해 중화되는 과정으로 콘크리트와 벽돌 사이에 유리의 Mass가 들어서고 딱딱한 내부는 Slop에 의해 열려진다

PROGRAM MASS 내부에 들어가는 지역사회의 특징은 공연장과 보육시설을 겸하게 되고, 각각의 프로그램 의 성격은 분화되어 서로의 영역을 지킨다. 구 건물은 새로 운 Mass들과 Open Space에서 공연장으로 만나게 되고, 이런 각각의 프로그램은 사각형의 Form을 유지 시킨다

COURTYARD EVENT 단지 비워져있지만은 않은 중정은 특별하다. 청소년과 지역사회의 개념을 가비한 이 공간은 서울의 중심에 위치함으로 군중과 다수의 힘을 발휘하 고, 청소년들에게 여러 사회의 장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c.s.y portfolio

87


2007 Youth Facility Competion

Elevation

Section

88

Studio & Competion Work


+08 Baejae Youth Facility In Jeongdong

Glass Cover

Slab 3

Slab 2

Slab 1

Structure

Slab 1

Garden

Monument

c.s.y portfolio

89


Part


Work/ Internship/ Extra work Period of experience[2006.03 - 2015.03] 1. Internship - S.F. Architecture Office

88 - 89

2. Internship -D.M.P / The Work - M.G

90 - 91

3. Workshop - KMU & YBU Design Camp

92 - 93

4. Cube study - Combined with Decomposition

94 - 95

5. Zombie Safe House - 38 Days later

96 - 97

6. 2012 Design expression - Design Drawing

98 - 99

7. 2007 Design studio(2) - Architectonics study

100 - 101

8. Architecture Model - Villa Savoye, Niao Chao

102 - 103

9. Brochure Design

104 - 105

10. Architecture Travel

106 - 107

2

2007 Architecture Travel in Frankfurt


Internship S.F. Architecture Office 광주어린이공원 현상설계

Period : 2011.09 - 10

Prizewinners in the Competitions

대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각각 높이가 다른 네 개의 외부공간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곳을 어린이와 청소년, 지역주민 모두가 머물렀다 갈 수 있는 장소로 만들어 주고자 했다. 각기 다른 높이를 가진 네 개의 정원과 그곳에 놓여있는 시설물들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공간을 만 들어 준다. 시간이 지남에따라 아이들은 성장하며 눈높이가 변화하고 새로운 공간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1 2 3

92

4

5

6

7

Work/ Internship/ Extra work

1. Perspective image 2. South elevation 3. Garden of learning 4. Garden of physical education 5. Garden of rest 6. Promenade 7. Garden of children


c.s.y portfolio

93


Internship

Automotive Institute of Technology

D.M.P Partners

Period : 2012.02 - 02

The Work

M.G. Architecture Office

2014. 02 - 2015. 02

5

6 7 8

5 6 7

1

2

3

4

1

2

3

4

1. facade detile model type 1 2. type 1, outside 3. type 2 4. type 2, outside

1. Obstetrics expansion proposal 2. Seogwipo Officetel proposal 3. Bitori Pension proposal 4. CMtech Factory plan 5. Sinseodong Officetel proposal 6. Yeongju Funeral proposal A 7. Yeongju Funeral proposal B

94

Work/ Internship/ Extra work

5. roof garden 6. mass study ALT1 7. mass study ALT2 8. mass study ALT3


Nice date center

c.s.y portfolio

95


Workshop

KMU & YBU

Architecture studen

International Design Camp subject :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Period : 2011.07.10 - 19 Student Representative

2012.7.10 - 7.15 project work 15 teams study and critic with professor youth facility subject -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1 2

5 6

3

7

1. project critic 2. final discussion 3. final critic 4. baekdu mountain cheonji 5. baekdu mountain trailhead 6. jangbaek waterfall

96

Work/ Internship/ Extra work


2012.7.16 - 7.18 field trip K.M.U architecture students and 2 Y.B.U students with professor yanbian, baekdusan, domun, hunchun Trip to Architecture and study of history

c.s.y portfolio

97


Extra work 2011 Design studio(5)

Cube study Combined with Decomposition

Type of cube

Deleted the same shape of a cube

Classifying each of the cube

Recombination and decomposition of 15x15 (cm)

98

Work/ Internship/ Extra work


c.s.y portfolio

99


Extra work

Zombie Safe House

38 Days later Period : 2011.10 Sequence and Scenario

Zombie will increase exponentially in a short time. How soon can you build a house? If the house is large and durable, it takes a longer time to build it. High-tech weapons are needed a lot of money. Are you millionaire? Grasp the zombie. They are very aggressive. and they are not strong but not weak If you have a weapon, you can fight with 3 zombie. Don't be bitten by zombie. You are not heroe. But You can be super hero to family. Protect your family Your house must be a fortress.

100

Work/ Internship/ Extra work


c.s.y portfolio

101


Extra work

Design Drawing 2012 design expression

Yellow Paper, Edding, Colored Pancil

Basic, two-point perspective view

102

Work/ Internship/ Extra work

one-point perspective view


Final evaluation

Practice of interior shadow

Practice of the doorway shadow

Mall interior

Garden landscaping

Appearance of the school, landscaping

Practice of appearance composition

c.s.y portfolio

103


Extra work 2007 Design studio(2)

Architectonics study

study 3 & study 6 Period : 2007.09 - 11

Study3

두가지 부재를 각각 한쪽으로 치우쳐 사 용 함으로써 공간을 채워 보았다. 큐브는 위로 갈수록 점점더 개수가 늘어 남으로써 육중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막대 는 서로 직교 함으로써 공간을 붙 잡고 있 다. 그리고 맨 중심을 마지막 큐브가 채워 주고 있다.

Study6

입구에서부터 두가지 다른 속성의 입구 중 어느 쪽으로 들어갈지 선택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목적지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입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목적지로 빨리 갈지 아니면 멀리 둘러서 갈지 결정된 다. 입구의 선택에서부터 목적지까지 모두 자 신이 선택할 수 있는 공간이다.

104

Work/ Internship/ Extra work


Study6 / Choice and Object

Study3 / Solid and void

c.s.y portfolio

105


Extra work Architecture Model

Villa Savoye

Niao Chao

1 4

2 3

5 6

7

1. 1st floor model 2. 2nd floor & roof model 3. the whole model 4. model interiors 5. elevation view 6. perspective view 7. close the elevation

106

Work/ Internship/ Extra work


c.s.y portfolio

107


Extra work

Brochure Design KMU & YBU International

Design Camp BISA Architectural

Design Works

108

Work/ Internship/ Extra work


c.s.y portfolio

109


Extra work

Architecture Travel

2007.01/2008.02/2013.07

London, Paris, Interlaken

Nice, Firenze, Rome, Assisi

Pompeii, Venice, Wien, Praha Munchen, Stuttgart, Frankfurt

Tokyo, Osaka, Kanazawa

110

Work/ Internship/ Extra work


c.s.y portfolio

111



최상열 崔相悅 Choi Sang Youl E-mail : dutls12@naver.com C.P : 010. 8823. 4513


Portfolio

Choi Sang Youl

all right reserved. no parts of this portfolio may be reproduced in any form or by any electronic or mechanical means including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without Choi Sang Youl's permission.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