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RRM 2009-17-01
방과후학교 학부모코디네이터
운영매뉴얼
연구자료 RRM 2009-17-01
방과후학교 학부모코디네이터
운영매뉴얼
머리말 방과후학교는 다양한 사회 변화와 교육수요자의 공교육에 대한 요구 증대에 따라, 학교 중심의 교육기회 확대 및 사회양극화 해소 방안으로 2006년부터 시행되어, 2009년 현재 전국 초․중․고등 학교의 99.9%가 참여하고 있는 공교육 개혁정책입니다. 최근 대중매체를 통하여 방과후학교 관련 소식이 연일 보도되는 것을 보면, 방과후학교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기대가 더욱 높아지고 있고,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현장 관계자들의 열정과 노력이 날로 더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방과후학교의 성공적인 현장 정착을 지원하 는 방과후학교 정책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의 실효성있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방과후학교 관련 연구 및 연수 등을 폭넓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 로 올해 새롭게 도입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제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과 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매뉴얼과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워크북을 개발하였습니 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활성화에 따른 학교 현장의 업무 부담을 해소하 고, 심화되는 경제위기에 대비한 교육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창출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부터 새 롭게 도입되는 방과후학교 정책 사업입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매뉴얼은 방과후학교 현장 관계자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 운영을 지원하고자 제작된 것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교사의 학 부모 코디네이터 지도․관리 시 수월성 증진을 돕는 데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그동안 방과후학교 운영의 한계로 지적되어 온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해소하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방과후학교 수요자의 만족도를 제 고하는데 기여하는 사업이 될 것입니다. 본 자료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교사 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성과를 창출하고, 나아가 협력적 교육환경 체제 구축 및 방과후학교 운영의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본 자료가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수고해 주신 교육과학기술부 방과후학교 관계자, 한국 교육개발원 방과후학교 정책연구센터 담당자 그리고 연구진 및 집필진, 모든 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09년 7월 한 국 교 육 개 발 원 원 장
목 차
▣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매뉴얼 활용법 ························ 1
Ⅰ.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이해 ····································· 7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의미 ······················································ 9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의 역할 ······························ 13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내용 및 방법 ································ 15
Ⅱ.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선발과 배치 ··································· 19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홍보하기 ······································ 21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하기 ················································· 23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배치하기 ················································· 25
Ⅲ.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교육 운영 및 지원 ······················· 27 1.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시키기 ································································· 29 2. 해당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돕기 ················································· 51 3. 방과후학교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이해 돕기 ·········································· 56 4.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세와 역할 설명하기 ························ 76 5.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 능력 제고시키기 ··············· 81 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중간 평가하기 ······································ 127
Ⅳ.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 및 마무리 ································ 131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하기 ······················································ 133 2. 피드백 및 개선하기 ······················································································ 137
부 록 : 방과후학교 운영 서식 ··································································· 139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매뉴얼 활용법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매뉴얼 활용법 안내
가. 개발 목적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는 방과후학교 행정 업무 보조자로써, 기존에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가 전임해오던 행정업무를 지원하는 학부모 지원 인력 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제도가 새롭게 도입된 만큼, 방과후학교 현장의 관계 자들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업무가 무엇인지 정립하고,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며, 이에 따라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연수시키고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 운영 매뉴얼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을 담당할 현장 교사 또 는 관계자들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할과 업무 수 행을 지원하고자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제도가 현장에 빠르게 정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나. 활용 대상 본 운영 매뉴얼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교사가 활용하도록 제작되었으며, 단 위학교에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 계획을 수립하여, 이들의 활동 결과를 평가하는 전 과정을 내용 범주로 포함하고 있다. 각 과정별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 담당 교사 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설명하고,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워크시트를 함께 제 공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교사 업무의 수월성을 높이고자 한다.
3
다. 내용 구성 본 운영 매뉴얼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을 관리하는 담당교사가 방과후학교 학부 모 코디네이터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업무 내용 및 지침과 관련된 4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이해’에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필요성과 코디네이터 및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운영 담당자 로써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무엇을,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 대략적인 내용과 방법 이 소개하였다. Ⅱ.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과 배치’에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원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모집방법 및 홍보 전략을 소개하고, 적합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 터를 선발하여 적소에 배치하기 위한 전략을 소개하였다. Ⅲ.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교육 운영 및 지원’에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가 업무 수행을 위하여 알아야 할 기본 내용과 함께 운영 담당자가 지도해야 할 내용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먼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사전 지식으로서 방과후학교와 학교 및 지역사회, 초등학생 및 학부모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 할과 자세, 주요 업무 능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간 평가 방법을 제시 함으로써 운영 담당자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Ⅳ.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 및 격려’에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여, 코디네이터의 활동성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이와 함께 추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피드백 지침을 제 공하여 운영담당자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방향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운영 매뉴얼의 구성 내용]
라. 활용 방법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는 코디네이터 운영 과정 중 다음과 같이 본 운영 매 뉴얼을 활용할 수 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연수 교재 :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선발․배치 후 연 수를 실시할 경우, 본 매뉴얼을 연수 교재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수의 목적에 맞추어 사전 연 수의 경우 ‘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의미’와 ‘Ⅲ.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 돕기, 학교 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돕기, 방과후학교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이해 돕기’에 초점을 둘 수 있 다. 심화 연수의 경우에는 ‘Ⅲ, Ⅳ장에서 제시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 자세, 역 할의 내용을 고려하여 연수를 실시할 수 있다.
5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 수행 지원 : 본 매뉴얼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 터들이 수행하는 각 업무 단계에 맞추어 워크시트를 제시하고 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 이터 운영 담당자는 이 워크시트를 학교 실정에 맞추어 조정한 후, 실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 네이터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로 활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6
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이해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의미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의 역할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내용 및 방법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의미
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행정보조 인력으로서, “방과후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는 학부모 자원 인력”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방과후학교 관련 행정 업무는 지역교육청 담당 장학사와 학교 담당자가 맡아오고 있었 다. 그러나 방과후학교의 학생 수요가 늘어나면서 업무량도 많아지고,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 도 필요하게 되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제도로 서, 일정한 보수를 받고, 기존에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들이 전담해오던 프로그램 참여 수요조사, 방과후학교 강사 관리, 학생과 학부모 관리 및 상담 등 방과후학교 관련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는 단위 학교의 방과후학교의 업무 보조, 방과후학교 강사와 학생 관리 및 학부모 상담지원 등이다. <표Ⅰ-1> 방과후학교 기본 업무 운영 절차(예시) 단계
절 차 기초 조사
세부 운영 절차 ◦학교 및 지역사회 여건 및 실태 분석
추진 계획 수립
◦방과후학교 추진 계획안 작성 ◦방과후학교 운영 프로그램 수요 조사
준비단계 프로그램 및 관리 방안 심의
운영단계
프로그램 운영
평가단계
방과후학교 운영 평가
◦프로그램 개설 및 관리 방안 마련 ◦방과후학교 세부 운영 계획 심의 ◦프로그램 확정 및 강사 채용 공고 ◦강사 채용 관리 및 위촉 ◦프로그램별 교육활동 운영계획 수립 ◦프로그램별 교육활동 전개 ◦강사 관리 ◦학생․학부모 관리 및 상담 ◦프로그램 및 강사 만족도 조사 ◦운영 평가 결과 반영
9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단순 행정보조업무 차원을 넘어 방과후학교 참여 활성화를 위 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강화를 위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및 강사 질 관리, 피드백 관리 등 방과후학교 운영의 적극적인 주체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의 전반적인 행정 및 업무를 지원하여 한층 효과적인 방과후학교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필요성과 목적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궁극적 목적은 방과후학교 행정업무 전담 인력배치를 통한 방과후학교 질적 강화에 있다.
방과후학교는 21세기를 이끌어 갈 인재양성과 학생들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 계발 및 사교육비 경감, 교육 복지증진은 물론 사회양극화 심화 따른 교육양극화 해소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창의성과 특기 적성 계발 등 학생들의 다양성이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크게 부각되어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공교육에서 이뤄지는 방과후학교는 학생들과 학부모들로 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일선 학교 및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환경 개선을 이끌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방과후학교는 학교와 가정, 사회가 연계하여 지역의 교육과 문 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 시스템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과 전문 강사 운 용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성공적인 교육문화 프로그램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동안 단위학교에서는 학교장 또는 위탁업체의 관리를 통해 방과후학교를 운영해 왔으나, 전담 직원 없이 교원에게 과중한 업무를 부담시켜 왔다. 이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담당 교사의 업무를 지원하고, 방과후학교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는 행정업무를 지원하여 방과후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게 될 것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학교와 가정, 사회가 연 계되는 방과후학교에서 교사, 강사, 학부모와 학생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업무를 담 당하게 된다. 동시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학교의 여건을 조정하고 학부모와 학생의 요구를 반영시키는 조력자이자 협력자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10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의 궁극적인 목적은 방과후학교 행정업무 전담 인력배치를 통 한 방과후학교 질적 강화에 있다. 이와 관련한 하위 목적들을 살펴보면 다음의 [그림Ⅰ-1]과 같다.
[그림Ⅰ-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세부 추진 목적
11
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추진 방향
[그림Ⅰ-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추진 방향
12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의 역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소속된 방과후학교의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는 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선발하여 배치한 후, 코디네이터가 소속된 ② 방 과후학교, ③ 학교 및 지역사회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④ 업무 지침을 마련하고, ⑤ 업무를 관리하며, ⑥ 업 무를 평가한 후 피드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과후학교 운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체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에서 담당 하는 역할과 직무를 잘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방과후학교 활동과 관련된 이해를 기반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운영 담당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따라야 하며, 일정한 주기로 업무 점검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합하면 운영 담당자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 수행을 돕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오리엔테이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교육 및 평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 이터 상담 등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동료로서 협력하며 코디 네이터 지원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코디네이터의 동기부여를 위한 전략 수립 및 문제 상담과 해결, 코디네이터 활동 인정 및 보상 제공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가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 및 배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은 성공적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을 위한 첫걸음이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행정업무지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낼 수 있 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선발하기 위하여 체계적, 객관적 선발 지침을 마 련해야 한다. 효과적인 면접・선발 전략 수립 및 면접에 적합한 시간과 장소를 선정하 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 대한 지원자의 태도 등을 기준으로 방과후학교 운영에 적합한 코디네이터를 선발해야 한다.
13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 지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 주체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 록 하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운영 담당자는 방과후학교의 의미와 목적, 방과후학교에서 추진하는 사업, 기대효과 등 에 대해 충분히 사전 연수를 시켜야 한다.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지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수요자 요구 중심으로 운영된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및 수요 자(학생, 학부모)관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요자의 요구를 정 확하게 파악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4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지침 마련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자신의 업무를 명확히 인식하고, 현장에 잘 적응하도 록 돕기 위하여, 세부적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현장 업무 지침을 마련하여 운영해야 한다. 방과후학교 행정업무 처리 과정에서 숙지해야 할 교칙 및 행정 사항의 보고 형식 등 학교 운영과 관련된 업무 세칙을 규정해야 한다.
5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관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처리 현황을 점검하고 중간 평가함으로써,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의 운영상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추진력 향상에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평가 및 피드백 우수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양성 및 인력풀을 구축하기 위하여, 체계적 인 평가지침에 준거한 보상 및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14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내용 및 방법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의 질적 수준 향상을 지원하는 조력자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①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② 방과후학교 학생과 학부모, ③ 해당 학교와 지역 사회, ④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기본 자세, ⑤ 힉부모 코디네이터 직무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① 오리엔테이션, ② 코칭, ③ 모델링과 관찰 기회 제공, ④ 각종 문제 해결에 대한 자문, ⑤ 간담회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지도할 수 있다.
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내용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담당 교원의 업무를 지원하고 방과후학교 운영의 전문적 성장을 위하여 행정업무 등을 지원하는 조력자이자 보조자 역할을 수행한다. 단위학교의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상담자, 관리자 등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방과후학교 학 부모 코디네이터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근거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시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Ⅰ-3]과 같다.
[그림Ⅰ-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 내용에 따른 지도 내용
15
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 방법 1
오리엔테이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 전 사전 연수 시간을 가짐으로써, 해당학교의 방과 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개요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인지하고, 올바 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세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오리엔테이션은 주로 강의 및 실습 형태로 이루어지며, 담당 교사의 안내와 시범을 통해 업무에 대한 이 해를 높일 수 있다.
2
코칭 코칭은 가장 유용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도방법이 될 수 있다. 코디네이터 담당 교사의 지시를 통하여 수시로 처리해야 할 업무를 부여하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간 업무분장을 통한 코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담당 교사는 방과후학교 학 부모 코디네이터의 특성과 능력을 파악하여 각 개인에게 적합한 업무를 부여하고, 부여 받은 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분업 체계를 이루도록 지 도․관리할 수 있다.
3
모델링과 관찰 기회 제공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간 활동 관찰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능률적인 업무 처리 방식과 아이디어를 공유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 담당 교사의 시범을 통한 간접 경험으로 코디네이터의 방과후학교 운영 입문 을 도울 수 있다.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간 담당 업무를 순환시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자신의 업무영역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을 갖추고, 서 로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 및 체계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16
4
각종 문제해결에 대한 자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 중(강사 선발, 평가 등)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 는 문제 즉, 중요한 업무 처리 도중 예기치 않게 발생하거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 이터가 독립적으로 결정하기 힘든 문제에 대한 담당 교사의 조언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다.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적합한 문제해결책을 제시하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유사 상황에 대하여 이를 확장․적용 할 수 있도록 사례를 제시해 주어야 한다.
5
간담회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 담당 교사 및 방과후학교 참여 교사들이 함께 하는 공식적인 대화의 장을 수시로 마련하여,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서로의 업 무에 대한 고충 및 요구 사항 전달과 개선방안을 논의함으로써 오류를 수정하고, 궁 극적으로 협력적인 방과후학교 운영체계를 성립하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개 선을 도모할 수 있다. 방과후학교 참여 교사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상대 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월하게 대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담당 교사가 중간 매개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17
Ⅱ.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선발과 배치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홍보하기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하기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배치하기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 ․ 홍보하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를 지원하면서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학생과 학교를 위한 유급 자원봉사 자로서 헌신적이고 열정적인 실천을 하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로 모집하는 것은 방과후학교의 성공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하기 우수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 각 급 학교는 사전에 방과후학교 학부 모 코디네이터 모집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국 시․도교육청 및 각 종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공고와 오프라인 구인 구직 광고를 낼 수 있다. 모집은 다음과 같은 과 정으로 시행한다.
[그림Ⅱ-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 과정
21
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홍보하기 1 모집 홍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은 각 시․도교육청의 공식 지침에 의거하여 각급 학교의 실 정에 따라 실시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 홍보는 학교신문 또는 학교 홈페이지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안내문, 지역신문 광고, 교육청 및 유관 기관의 홈페이지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표Ⅱ-1> 모집 홍보 매체 및 활용도 매 체
신문
홈페이지
장점 y 메시지 전달 기능이 강력한 편이다.
주의할 점 y 차별화된 모집이 어렵다.
y 대중적 전달이 용이하다.
y 지역신문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를 모집할 경우, 부적합한 지원자 가 몰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y 학부모 특성에 따라 홈페이지 이용률이 낮은 학부모 중 참여 희망자가 누락될 수
y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공고 와 함께, 학교에 대한 홍보 및 학교의 이 미지 제고와 친밀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
안내문
모집행사
있다.
y 해당 독자들이 표적 집단 전체이므로, 방 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적격자를 찾
y 안내문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참여 희망자가 누락될 수 있다.
는데 유리할 수 있다. y 잠재적 지원자와 직접 만나 ‘방과후학교
y 추가 시간․비용이 소요된다.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2 홍보자료 제작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모집하기 위한 홍보자료에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무엇인지 소개하고, 지원자의 참여 동기를 고취할 수 있는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 방과후학교 학 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에서 담당하는 역할과 중요성,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 에 대한 보상 및 기대효과 등을 담아야 하며, 홍보자료의 함축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22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하기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격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원자 모집이 끝나면, 선발 과정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 터로서 적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발과정에 대해서는 학교 업무 담당 교사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원자 모두에게 관 련 정보를 사전에 제공한다. 코디네이터의 자격요건은 학교교육 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해당 학교 재학생 또는 인근 학 교 재학생의 학부모로, 구체적인 요건 및 선발 방법 등은 학교마다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기준을 참고할 수 있다.
TIP.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 시 고려 기준
❍ 방과후학교 업무 수행에 필요한 학습정보(강사, 지역사회의 기관과 단체 정보, 인재) 수집․정리 능력 ❍ 방과후학교 홍보 및 홈페이지 관리 능력 ❍ 학교와 활동제공자(기관) 간의 네트워킹 능력 ❍ 요구조사․분석능력 ❍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에 관한 상담능력 ❍ 컴퓨터 활용능력 및 문서작성능력 (선발 시 자격증 소지자 우대)
23
2 선발 지원서 및 제출 서류 모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이름, 주소, 전화번호, 가능한 업무 등의 기본정보와 재 능, 이전의 관련 경험, 직업 등을 적은 내용을 사전에 제출해야 한다. 제출 서류는 학교 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표Ⅱ-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원을 위한 서류 서
류
코디네이터 지원서
자기소개서 증명사진 2장
용도 및 이용 방법
y 지원 분야, 경력, 학력, 자격면허, 외국어, 병역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 원자에 대해 파악 y 업무지원 학교에 근무 의뢰 시 필요한 지원자의 자기소개 양식 y 경력과 자기소개를 통해 인성 확인 y 최근 3개월 안에 찍은 사진으로 본인 확인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y 대학 졸업여부 확인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y 지원자의 지적 수준 및 성실성 확인을 통해 지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 기 위함
자격증사본
y 다양한 방면에 능력을 가진 지원자 선출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선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개별 이력을 확 인하여 각각의 업무에 필요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는지 1차 선발 후 인터뷰를 실시하여 최종 선 발한다. 채용 공고 시 기재되었던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조건에 맞는 지 원자를 1차로 심사․검토한다. 그 후에 서류심사로 선발된 지원자에 한정하여, 면접 날짜를 정한 후 개별 연락을 취하여 면접을 실시한다. 면접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를 지원하게 된 동기와 그 밖의 경력 및 이력서의 내 용에 초점을 두고, 이를 토대로 지원자의 인성 및 역량을 심사하고 선발한다.
24
3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배치하기
1 업무 배치하기 우수한 자질을 가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확보․선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현장에서 본인이 가진 자질과 가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업무에 배치하고, 적응할 수 있 도록 지원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이 성공적으로 제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업무 를 배치하는 데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TIP.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배치를 위한 요건 첫째!
사전에 인터뷰를 잘 계획․실행하여, 코디네이터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할 것
둘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사업에 필요한 조건들을 매치시킬 것
셋째!
담당교사와 사전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대화하는 기회를 마련할 것
넷째!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보람을 얻을 수 있도록 의미 있는 일을 부여할 것
다섯째! 업무 체크리스트 등을 사용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에 대한 역할 기대를 이해하도록 할 것 여섯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역할을 항시 상기시킬 것 일곱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이 할 일을 사전에 미리 결정하여 알려 줄 것 여덟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도록 할 것 아홉째! 지속적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프로그램을 개선할 것 열번째! 봉사자의 자세를 잊지 않도록 격려할 것
25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사전 교육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사회생활을 하고자 하는 의지는 충분하지만, 사회생활 경험 이 없거나, 일정기간 사회생활을 중단해 왔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격적인 업무 수행에 앞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사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 요하다.
TIP.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사전 교육 내용 ❍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자세 ❍ 방과후학교의 교육활동에 대한 제반 사항 ❍ 방과후학교 담당교사의 업무(방과후학교 참여 수요조사, 시간표 작성, 강사 인력풀 관리, 각종 홍보물, 설문지 배포 및 수합, 각 프로그램별 강사복무 현황 관리, 휴․보강 등) 수행 지원 ❍ 방과후학교 학생 관리 및 학부모, 학생 상담 ❍ 방과후학교 운영일지 작성, 교실관리 등
사전 교육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에게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는 동시에 정서적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방과후학교 현장에 빠르게 적응하여 자신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26
Ⅲ.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교육 운영 및 지원
1.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시키기 2. 해당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돕기 3. 방과후학교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이해 돕기 4.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세와 역할 설명하기 5.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 능력 제고시키기 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중간 평가하기
1
방과후학교에 대한 이해시키기
방과후학교 운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 운영체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방과후학교 활 동과 관련된 모든 영역이 충분히 이해되고 습득되어야 한다. 더불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에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과 직무를 잘 습득하여 성공적으로 직 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들은 다음에 제시한 기본 내용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위한 강의 실시, 연수 계획 수립, 자료 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
가. 방과후학교의 개념 ‘방과후학교’란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하는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으로, 정규 수업 이외의 시간에 학교에서 방과후 교과, 특기․적성, 보육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는 것’이며, 기존의 수준별 보충수업, 특기․적성교육, 초등 저학년 방과후 교실을 총칭 하여 통합한 것(교육인적자원부, 2007)이다. 방과후학교가 추구하는 목표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교의 교육기능 보완, 학교를 통한 다양한 학습과 보육으로 사교육비 부담 완화, 계층 간, 지역 간 교육격차를 완화하여 실질적인 교육복지 구현, 방과후학교를 구심점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학교 실현이다. 운영 방식은 단위학교가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 또는 자문을 거쳐 정규수업 이외의 시간에 교과, 특기․적성, 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수요자가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원하는 프로 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수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방과후학교의 개념 정의와 목표,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방과후학교를 규정해보면, ① 교육 수요 자 중심으로 운영되는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이며, ② 학교 안팎의 인적․물적 자 원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개방적 교육 프로그램이며, ③ 특기․적성교육, 수준별 보충학습, 방과 후 교실을 통합한 다양성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다.
29
1
교육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되는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 방과후학교는 정부가 사회양극화 완화를 위한 교육격차 해소, 저출산․고령화 등 사 회 변화에 따른 교육 수요자(학부모, 학생)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대에 부응하 여, 공교육의 역할 범주를 확장하여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하는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이다. 방과후학교는 수요자가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 공함으로써 학교 교육 기능을 보완하고,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하며, 교육격차를 완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학교 안팎의 인적 ․ 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되는 개방적 교육 프로그램 방과후학교는 학교 안팎의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학교의 울타리 내에 머물러 있던 기존의 ‘방과후 교육활동’과 차별된다. 방과후학교의 강사는 현직 교원, 외부강사, 지역사회 인사, 자원봉사자 등 단위학교가 프로그램을 담당할 자질과 능력 이 있다고 인정한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으며, 방과후학교의 교육 대상으로는 본 교 재학생 이외에 타교 학생, 지역사회의 성인까지 포괄한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활동 장소는 본교 시설 뿐 아니라 인근 학교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설을 활용한다.
3
특기 ․ 적성교육, 수준별 보충학습, 방과후 교실을 통합한 다양성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 및 지역사회의 수요를 반영하여 보육, 특기․적성, 수준별․무학년 교과, 인성․창의성 계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 여 운영되며, 교육 수요자는 자율적 참여 의사에 따라 수익자 부담에 의해 방과후학 교 프로그램을 선택․수강할 수 있다.
30
나. 방과후학교의 추진 배경
방과후학교는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 학생들의 개성과 적성에 적합한 특기․적성교육의 실시, 열린 학교운영을 통한 학교 기능의 자율적 확대 등 여러 가지 요구에서 비롯되었다. 구체적인 배 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양극화 완화를 위한 획기적인 교육격차 해소 방안 필요
계층별 소득 격차 및 지역별 교육비 지출 격차는 단기적으로는 학업 성취도의 격차로, 장기적으로 는 학력 간 임금 및 소득의 격차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양극화 해소방안에 대한 요구가 증 가하였다.
둘째,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방과후 교육활동 개선 필요성의 증대
최근 경제 상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사교육비 지출은 거의 줄지 않고 있으며, 나아가 가계의 경제 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은 가계 경제 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고 국가적으로는 자원의 효율적인 분 배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교육 부문의 역할이 제고되어야 한다는 요구 가 증대되었다.
셋째, 사회 변화 대응하기 위한 지역사회 자원 동원 필수적
컴퓨터와 통신, 인터넷 등 첨단 정보산업의 발달로 인한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학교 제도의 기능 변화와 창의성 계발 등 새로운 인재상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정규 교 육과정만으로는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계발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부족한 영역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었다. 또, 학교의 기존 시설, 프로그램, 인력에 더하여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활용의 교두보이 자, 해당학교의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지역의 아동·청소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학습 센터로서의 방과후학교의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권두승, 2005).
31
넷째, 맞벌이 가정 확산에 따른 방과후 돌봄 기능 지원 필요성의 증대
현대 사회에 들어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 및 맞벌이 부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학교의 수업 종료 시간은 거의 변화가 없어 방과 후 아동·청소년의 돌봄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맞벌이 가정의 대다수가 학교 내 보육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조사 결과는 기존에 학부모의 책임 으로만 되어 있는 방과후 아동·청소년의 안전하고 유익한 돌봄 기능이 학교, 지역사회, 국가가 모두 나서서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교육인적자원부, 2006). 방과후학교의 요구와 기능 등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공간적, 시간적 확대 및 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의 모습이 [그림Ⅲ-1]과 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누구나 학습이 가능한 평생학습 시 간 적 확 대, 통 합
교과, 특별활동, 재량활동
방과후학교 주말학교 등
공간적 확대, 통합 [그림Ⅲ-1] 방과후학교의 위치
32
U-Learning 동아리 학습 지역 학습
다. 방과후학교의 목표 방과후학교는 수요자가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는 양질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교교육 기능을 보완하고,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하여,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 기능의 보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정규 수업을 보완하는 다양한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학생의 잠재력 계발 및 인성·창의성 신장을 지원하고자 한다. 정규 교육과정의 시간적·공간적 제한성을 극복하면서, 학 생의 전인적인 발달이라는 교육의 근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안팎의 인 적․물적 자원을 폭넓게 활용하여 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질 높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함으 로써, 공교육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고, 나아가 공교육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사교육비 경감 방과후학교에서는 질 높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교 밖 사교육 수요를 학교 안으로 흡수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사교육비 비용에 대한 가정의 부담을 덜어주고 공교육에 대한 국민의 신 뢰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학교가 중심이 되어 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셋째, 교육복지 실현 저소득층 및 소외계층 학생의 학습 및 인성지도를 통한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및 학력 신장을 통 해 계층 간 ·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교육적 소외가 개인의 자기계발 기회를 제 한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한다는 데 기인하여,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교육 복지구현 및 교육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 구조 개혁을 달성하고자 한다. 넷째, 학교의 지역사회화 방과후학교는 지역별로 특성화된 교육 수요를 학교 교육활동에 반영하고, 지역사회 연계망 구축 및 지자체․대학 등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힘쓴다. 지역교육환경 의 특수성을 반영한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정규교육과정 운영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 역별 자율적 운영을 통한 교육의 수월성 및 전문성을 달성하고자 한다.
33
라. 방과후학교의 특징 학교 안을 넘어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
방과후학교는 학교 밖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학교의 울타리 내에 머물러 있던 기 존의 방과후 교육활동과 차별화된다. <표Ⅲ-1> ‘방과후 교육활동’과 ‘방과후학교’의 운영방식 비교 구분
방과후 교육활동
방과후학교
추진방향
운영주체
학교장 중심
학교장, 대학, 비영리법인(단체) 등에 운영주체의 개방 성 확대
운영주체의 개방화
지도강사
현직 교원 중심
현직 교원, 전문가, 학원 강사, 지역사회인사 등으로 다양화
지도강사의 다양화
교육대상
본교 재학생 위주
타교 학생이나 지역사회 성인까지 점진적 확대 (평생 교육 프로그램 제공)
교육대상의 다양화
교육장소
본교 시설 위주
인근 학교 및 지역 사회의 다 양한 시설 활용 극대화
교육장소의 다양화
프로그램
공급자 중심
수요자 중심, 학생 개개인의 선택권 중시
교육비
수익자 부담
수익자 부담 원칙이나, 소외계층 집중지원, 교육의 형 평성 구현
교육 격차 해소
실시시간
정규교육시간 이외의 방과후 특기․적성시간
일과 전과 후, 토요휴업일, 방학 중에 실시될 수 있음. 돌 봄과 보호의 기능 수행
실시시간의 자율화
프로그램의 수요자 중심 개설 및 선택
자료 : 김홍원(2008). 기초학력 신장 및 바른인성 함양을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4
교육과 돌봄의 기능을 결합한 교육과학기술부의 방과후학교 사업을 의미
방과후학교는 학교 외에서 주로 이뤄지는 방과후 활동과도 구분된다. 방과후 활동이라고 하면, 교육과학기술부 이외에 보건복지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방과후 활동이 포함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서민가정 · 맞벌이 자녀 대상 놀토 체험 여행, 문화소외지역 및 저소득층 학생 대상 ‘문화예술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방과후 보육, 지역아동센터 사업,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방과후학교의 성격은 수요자(학생, 학부모) 중심으로 운영되는 정 규 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으로 기존의 특기․적성교육, 수준별 심화보충학습, 초등보육 프로그램, 성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등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이는 교육과학기 술부에서 추진하는 방과후학교 사업에 국한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35
마. 방과후학교 기본 운영 절차
1 방과후학교의 운영 주체 방과후학교의 운영은 운영 주체에 따라 크게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국‧공립학교) 또는 자문(사 립학교)을 거쳐 학교장이 중심이 되어 운영하는 방식과 인접 대학이나 비영리단체(기관)에 위탁 하여 운영하는 방식이 있다.
[그림Ⅲ-2] 방과후학교 운영 방안 출처: 김홍원(2008). 기초학력 신장 및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장이 중심이 되어 운영하는 경우, 학교운영위원회는 방과후학교 운영 시간, 프로그램 개설, 강사 채용, 강사료 및 수강료, 예산 편성․집행, 프로그램 위탁 등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된 전 반적 사항을 심의 또는 자문한다. 위탁 운영의 경우, 학교장은 교육감이 수립한 시‧도별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에 따라 외부기관에 프 로그램을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공모 공고를 통해 계획서를 접수 받고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위탁 기관이 선정된다. 이 때 시‧도 교육청에서는 위탁 운영 기관에 방과후학교에 대한 안내 및 위탁 절차 등에 대한 행정적인 지원을 하게 되며, 학교는 위탁기관과 계약을 체결한다.
36
2 방과후학교 강사
방과후학교 강사는 누구인가? 방과후학교는 현직교원, 외부강사,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의 활용 가능한 다양한 인적자원을 최 대한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을 담당할 자질과 능력이 있다고 단위학교에서 인정한 모든 강사가 대상이 된다. 현재 지역사회 인사나 자원봉사자 등을 강사로 활용하고 있으며,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학생을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기 위해 대학과의 지원체제 구축을 협의하여 운영하고 있다.
방과후학교 강사 채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시·도 교육청이나 지역 교육청에서는 강사풀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도 교육청 단위의 강사 풀은 특기를 가진 인근 학교 현직교원, 국내체류 및 원어민 강사 등의 외국인, 대학생, 특기소지자, 학원 강사 등의 일반 외부 강사, 농산어촌 및 도시 소외지역의 순회강사, 문화예술교육 강사 등으로 구성되며 지역 교육청에서는 이 강사풀을 재정비하여 우수 강사 인력풀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강사 채용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과 강사 간 계약에 의해 이루어진다. 현재 방 과후학교의 프로그램 유형별 강사 현황을 보면 교과 프로그램은 현직교사에 의한 운영이 대부분 이며, 특기․적성 프로그램은 외부강사에 의한 운영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 교과와 특기 ․적성 프로그램 모두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현직교사에 의한 프로그램 운영이 증가하고 있다.
방과후학교 강사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강사에 대한 관리는 교육청 단위의 외부 관리 규정을 마련하고, 교육청 · 학교 단위의 강사 연수 실시, 지역 교육청별 우수강사 인력풀 구성의 지속적 활용방안 마련, 주기적인 강사 활용 현황 파악, 단위 학교별 강사 선정 및 평가 시스템의 구축 등으로 이뤄지고 있다.
37
3 방과후학교 교육 대상 방과후학교의 교육 대상으로 먼저 초 · 중 · 고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을 들 수 있다. 현재, 방 과후학교 운영학교는 전국의 초 · 중 · 고의 99.9%에 이르러 거의 모든 학교가 방과후학교를 운 영하고 있다. 학생 참여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08년도 기준으로 전체 학생 수의 절반 이상이 참여하고 있으며, 연도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방과후학교는 교육 대상으로 본교 재학생 이외에 타교 학생을 포함한다.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의 성인까지 방과후학교 교육 대상으로 포괄하고 있다.
4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설과 운영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 및 지역사회의 수요를 반영하여 개설된다. 이에 따라 보육, 특기․적성, 수준별․무학년 교과, 인성‧창의성 계발 등의 프로그램이 개설⋅운영되 고 있다. 교육 수요자는 자율적 참여 의사에 따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선택⋅수강하며, 수익 자 부담원칙에 따라 수강료를 납부한다. 현재 단위학교에서는 초등 방과후 보육교실, 특기․적성 강좌, 교과 강좌 등 학습자의 요구에 맞 추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개설·운영 중이다.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는 보육, 특기․적 성 프로그램, 중학생 대상으로는 수준별 교과 보충․심화학습과 특기․적성 프로그램, 고등학생 대상으로는 수준별 교과 보충․심화학습과 특기․적성 프로그램, 진로지도, 스트레스 관리 프로 그램, 지역주민을 대상으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운영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Ⅲ-2>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현황 구 분 교과프로그램 특기․적성프로그램 초등 보육교실 계 초등학교 13,666 81,237 3,334 98,237 중학교 38,100 19,833 57,933 고등학교 78,159 11,263 89,422 수(개) 129,925 112,333 3,334 245,592 계 비율(%) 52.9 45.7 1.4 100 자료 :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8 하반기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 미간행 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8
5 방과후학교 회계 관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수익자 부담의 원칙으로 운영 된다. 수익자가 부담하는 수강료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소요되는 강사료, 전기료 등의 학교 시설 사용료, 인쇄 등 최소 필요 경 비가 포함된다. 모든 회계 관리 규정은 「국립 및 공립 초 · 중등학교 회계규칙」에 따른다. 이외에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은 시·도 교육청의 방과후학교 지원 확대방안 및 학교의 여건에 따라 학교별로 예산이 편성된다.
6 방과후학교 운영 방과후학교 기본 운영 절차
방과후학교 운영은 ① 준비 단계 → ② 운영 단계 → ③ 평가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준비 단계에서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통하여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세부 프로그램 운영 계획을 심의하고, 프로그램을 확정, 강사 채용까지 수 행한다. 운영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준비 단계를 통하여 수립된 전반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프로그램별 교 육 활동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프로그램별 교육 활동을 전개한다. 평가 단계에서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에 대하여 프로그램별, 강사별 만족도 조사 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전체 운영 평가 결과에 반영, 프로그램 운영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 한 노력을 실시한다. 방과후학교 운영 절차는 학교 여건 및 사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시행한다.
39
단계
절차
세부 운영 절차
추진 및 심의
① 방과후학교 운영관리위원회 조직 기초 조사
↓ ② 학교 및 지역사회 여건 및 실태 분석
↓
↓ ③ 방과후학교 추진 계획안 작성
추진 계획 수립
운영관리위 원회
↓ ④ 방과후학교 운영 프로그램 수요 조사
준비 단계
↓
↓ ⑤ 프로그램 개설 및 관리 방안 마련 ↓ ⑥ 방과후학교 세부 운영 계획 심의
프로그램 및 관리 방안 심의
↓ ⑦ 프로그램 확정 및 강사 채용 공고 ↓
학교운영 위원회
⑧ 강사 채용 관리 및 위촉 ↓
↓ ⑨ 프로그램별 교육활동 운영계획 수립
운영 단계
프로그램 운영
↓ ⑩ 프로그램별 교육활동 전개
↓
↓ ⑪ 프로그램 및 강사 만족도 조사
평가 단계
방과후학교 운영 평가
운영관리 위원회
↓ ⑫ 운영 평가 결과 반영
[그림Ⅲ-3] 방과후학교 기본 업무 운영 절차(예시) 출처 :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2009). 현장과 함께하는 맞춤형 초등교육. 수원: 경기도교육청에서 재구성.
40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수립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은 앞서 언급한 방과후학교 기본 운영 절차에서 볼 수 있듯, 방과후학교 운 영의 시작이자 기본이다. 운영 계획의 수립은 교육감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립한 시․도별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의 범위 내에서 학교장이 단위 학교의 자율성에 따라 수립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 또는 자문 을 거쳐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추진절차
추진내용 및 방법
세부추진내용
방과후학교 운영관리 위원회 조직 (1월)
조직 : 관리자, 교사, 행정실장, 학교 운영위원, 학부모대표, 지역인사 등 역할 : 방과후학교 운영 및 관리 방 안협의
(학)방과후학교 운영관리위원회 조직
기초조사 및 실태분석 (2월)
내용 : 학교, 지역사회의 시설, 인적자 원 등 방법 : 교원, 학부모, 지역사회 설문, 면담, 방문 조사 등
(학)학교, 지역사회 관련기초조사 실시 (지)강사 인력풀 구축 운영
방과후학교 추진 계획안 수립 (2월)
영역 : 특기․적성교육활동, 보육프로그 램 등 내용 : 목적, 방침, 실태분석결과, 향후 추진일정, 절차 등
(도)기본운영계획 수립 (학)실태분석 및 교육청운영계획에 의거 추진 계획안 작성
운영프로그램 수요 조사 (2월)
대상 : 학생, 학부모, 교사 내용 : 희망부서, 건의사항 등 방법 : 설문지, 홈페이지 등
(학)운영 프로그램 수요조사
프로그램 개설 및 관리 방안 마련 (2월)
프로그램 개설 : 단일, 패키지, 공동, 위 탁모델 등 선택 내용 : 개설절차, 강사료, 수강료, 회계 관리․처리, 강사채용․관리
(학)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관리에 대한 방과후학교 운영관 리위원회 검토 및 협의
방과후학교 세부 운영 계획 수립 및 심의 (2월)
내용 : 개설부서의 적합성, 강사료, 수 강료의 적정성, 회계 관리의 합법성, 강 사채용의 객관성 등 방법 :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학)학교운영위원 회 심의
[그림Ⅲ-4]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수립(안) 출처 :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2009). 현장과 함께하는 맞춤형 초등교육. 수원: 경기도교육청에서 재구성.
41
운영 주체별 역할
1
교육과학기술부 지역 및 학교가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세부적으로는 방과후학교 재정지원 및 법․제도 개선,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및 콘텐츠 개발․보급, 방 과후학교 운영 현황 조사 및 모니터링, 시․도교육청 평가 등을 통한 방과후학교 운영 책무성 확보, 시․도 간 정보교류 촉진, 우수사례 발굴․확산 등을 담당한다.
2
시 ․도 교육청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방과후학교 운영의 방향을 정립하고,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시․도별 운영계획 수립 및 자체 예산편성․집행, 사업 추진 및 관리․평가, 방과후학교 의 질 관리(외부강사 연수,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등), 지역 단위 방과후학교 지원 시스 템 구축(방과후학교 지원센터 운영, 방과후학교 온라인 관리 시스템 운영)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3
단위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교육수요 조사, 운영기획, 강 사 모집․채용, 강좌개설 홍보, 수강신청 접수 및 수강료 수남,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42
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실제
1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운영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초등보육 프로그램, 특기․적성 프로그램, 교과 프로그램, 평생교육 프로 그램으로 유형을 구분해 볼 수 있다. 학교급별로 특성이 다른 만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에서도 운영상의 차이가 있다. 초등학교 의 경우 보육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으며 중 · 고등학교에는 무학년 수준별 선택 프로그램, 학부모 및 성인에게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방과후 보육교실 방과후 보육교실은 수요자가 있고 여건이 갖추어진 학교부터 저학년 위주로 운영하되, 필요에 따 라 모든 학년으로 확대하여 운영할 수 있다. 학교의 유휴 교실을 활용한 지정교실을 설치(교사 휴게 실, 예절실 등)하고 과제 지도 및 교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등과 연계하여 운영한다. 강사로는 보육 자격증 소지자나 자원봉사자 등의 보조 인력을 채용하여 활용할 수 있고, 시 · 도 교육청에서는 일 반 교실을 보육시설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설비, 지정교실에 상주하는 보조 인력에 지급되는 인건 비 등을 지원한다. 특기․적성 계발 프로그램 방과후학교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서 충족시키기 어려운 학생의 특기․적성, 소질계발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강좌 개설은 학습자의 수요를 바탕으로 이뤄지며 개설 강좌가 연계성과 연속성을 갖도록 편성 · 운영된다. 특히, 시간표 작성 시에 학부모 또는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동 일 강좌를 요일별로 겹치지 않게 배정하고 있다. 교과 프로그램 교과 프로그램은 학생의 희망에 따라, 무학년 수준별 선택 프로그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교별로 여건에 맞는 특성화 프로그램을 1개 이상 개발하여 운영하
43
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학습지, 문제풀이식, 교재 판매 위주의 프로그 램을 운영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다. 교과 진도 나가기 등 정규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저해하는 프로그램 운영이나 강제적, 획일적 운영 또한 금지하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방과후학교에서는 학령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지역 사회의 문화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44
사. 방과후학교 주요사업1) 1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지원 농산어촌은 이농현상에 따라 한부모·조부모 가정이 많고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맞벌이 가정도 많 아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이 낮은 편이다. 또, 학부모의 경제적 형편이 열악하거나 학교 이외의 교육 환경이 부족하여 다양한 교육 서비스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될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농산어촌에서의 방과후학교의 수요와 필요성은 높지만 다수의 소규모 학교, 강사 부족, 경제적 여건 등이 여의치 않아 수익자 부담으로 교육이 이뤄지기 쉽지 않다. 이에 정부는 농산어촌 학생 들에게 방과후학교를 통한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 · 농 간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농산어촌 지역의 방과후학교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농산어촌 지원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86개 군 및 읍·면을 포함하고 있는 54개 도농복합시 중 공 모를 통해 선정하고 있다. 읍·면이 있는 지역의 시·군에 방과후학교 운영을 위한 재정을 총액으 로 지원하며, 지역교육청과 시·군이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각 지역은 여건에 맞게 인건비, 프로그램 운영비, 차량 운영비, 시설 및 기자재비 등으로 지원된 재정을 활용한다. 농산어촌 지역은 특성상 소규모 학교가 많아 학교마다 개별로 운영할 경우, 수요자가 원하는 다 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곤란하므로, 연계 운영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교육 청별로 지역 여건에 적절하고 창의적인 방안을 구안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하되, 수요자의 요구 에 따라 수준 높은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하며 강사의 경우 지역사회의 다양하고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
1) 방과후학교 주요사업은 이재분 외(2008)의 방과후학교 외부강사연수프로그램에서 요약 발췌하였음.
45
2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이란 저소득층 초 · 중 · 고 학생들이 수강료 부담 없이 방과후학교 프로 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일종의 바우처(voucher)제도이다. ‘바우처’ 라는 개념은 정부가 특정 수혜자에게 교육, 주택, 의료 등의 복지 서비스 구매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용을 보조해 주기 위해 지불을 보증하여 내놓은 일종의 상품권을 의미한다. ‘자유수강권’은 이 ‘바우처’를 방과후학교와 연계시킨 것으로 우리의 실정에 맞게 새롭게 구안하여 도입한 용어이다. 원래 방과후학교는 수익자 부담으로 운영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는 수강료 를 지불하기 어려운 형편에 놓인 경우가 많으므로, 계층 간 교육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수강료 지원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은 방과후학교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 램에 저소득층 학생을 무상으로 참여시켜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공공성을 제고하며 계층 간 교육격차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 중심의 방과후학교 운영 기반 마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지원 사업이다.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제도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이재분 외, 2008). 첫째, 저소득층 자녀 교육 기획 확대를 통하여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한다.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무료 수강을 통해 저소득층 자녀가 자기계발을 촉진하고, 학업성취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양질 의 교육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또, 교육기회의 확대를 통해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소득격차가 학업성취도, 임금의 격차, 가난의 대물림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저소득층 자녀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택권을 강화하고 참여도를 제고한다. 저소득 층 자녀에게 자유수강권을 제공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방과후학교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참여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의적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강요나 불필요한 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행위는 금지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 향상을 통해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자유수강권을 제공하여 무료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 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교과나 특기․적성 프로그램에도 참여 자세가 소극적일 수 있다. 이
46
런 경우 그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설해야 한 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은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 되는 것은 물론 저소득층 학생 의 일탈 시간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청소년 비행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넷째, 저소득층 자녀를 위한 지원체제의 체계화 및 효율화 등을 도모한다. 자유수강권 대상 학생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원체제를 보다 체계화하여 학교 내에 일정한 위원회 를 구축하고 그 위원회를 중심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조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율 적인 지원이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3 초등보육교실 운영
일반적으로 초등보육은 주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 수업을 마친 후, 방학 중, 학교 시작 전, 휴일 등에 학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정서적, 사회적으로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여 학업 성취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정과 같은 안락함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맞벌이 부부 및 근로빈곤층의 증가, 한 부모 가족 증가 등 가정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 로 인하여 초등학생을 정규수업 종료 후에 공적으로 보호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일반 가정에 서는 초등학생 자녀의 보호를 위해 지출하는 사교육비 부담이 크며,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는 방 과 후에 방치되어 결식, 비행, 학습결손, 안전사고 등의 문제에 노출되기 쉽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을 방과 후와 방학 중에 안전하게 보호‧지도함으로써 건강한 성장⋅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방과후학교에서 보육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초등보육교실은 수요자에게 최대의 만족을 주기 위해 이뤄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이 보호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47
<표Ⅲ-3> 초등보육교실의 운영 목표 목표
보호 측면
교육 측면 (학습 및 놀이지도)
내 용 y 학생의 건강 및 안전을 위한 환경 제공 y 학생의 안전을 위한 관리 및 감독 y 균형 있는 영양 섭취와 관련된 식사 및 간식 제공 y 충분한 휴식 제공과 정서적인 안정감 지지 y 휴식 제공, 즐거운 놀이 등으로 건강한 신체발달 도모 y 적절한 조작적 인지능력의 발달 도모 y 지적이면서 예술적인 활동을 통한 운동기술의 발달 도모 y 또래 친구들과 원만한 관계 형성 및 사회성 도모 y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기술 및 공동생활에 필요한 생활습관과 태도 형성 y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 및 독립적인 자아개념 확립
자료 : 이재분 외(2008). 초등보육 강사 연수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9년부터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성취 수준이 낮은 지역부터 학교가 부모 역할을 대신하여, ‘정 규수업+방과후 활동+가정’의 3가지 기능을 야간까지 지원하는 ‘종일 돌봄 교실’이 확산되고 있 다. 방과 후에 보육교실을 운영하는 학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생 수도 이전보다 증 가하는 추세이다. 현재 방과후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초등보육 프로그램의 형태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표Ⅲ-4> 초등보육 프로그램 형태의 예 목표
내 용
보육 중심 프로그램
y 휴식, 간식, 놀이, 수면, TV보기, 게임하기, 컴퓨터, 독서활동, 과제활동, 보충, 심 화학습, 상담활동 등의 프로그램을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보육 + 취미활동 중심
y 보육, 바둑, 장기, 독서, 칠교놀이, 비디오 감상, 만화 감상 및 그리기, 동아리활동
프로그램 보육 + 과제학습 중심 프로그램
48
등의 프로그램을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y 보육, 과제․조사․탐험․체험학습 등의 다양한 과제학습, 인터넷, 교육방송 등 을 활용한 자율학습을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보육 + 학생지도 프로그램 보육 + 특기․적성 교육활동 프로그램 절충형 프로그램
y 보육, 보충․심화학습, 언어탐구, 수학탐구, 논술, 사회탐구, 과학탐구, 한자 학습, 인터넷, 교육방송 등을 활용한 사이버 교육 등을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y 성악, 기악, 회화, 전통음악, 악기, 글쓰기, 외국어 등을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y 보육, 취미활동, 과제학습, 학생지도, 특기․적성, 학교 특색 프로그램 등을 학교
실정에 맞게 선택형․맞춤형으로 운영 자료 : 이재분 외(2008). 초등보육 강사 연수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방과후학교 대학생 멘토링
방과후학교 대학생 멘토링(Mentoring)은 소외계층 초‧중‧고 학생(멘티)들을 대학생(멘토)와 연계 하여 학생들의 건전한 성장을 돕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이다. 대학생 멘토링은 소외계층 학생에 대한 학습 및 인성지도를 통해 계층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06년 시범사업 실시 후 2007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대학생 멘토링 제도는 교육 현장에서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저소득 층 청소년들의 전인적인 발달 및 성장을 꾀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있다. 멘토링의 핵 심은 배움을 필요로 하는 멘티와 멘토의 교육적인 상호작용이며 멘티인 저소득층 청소년들은 멘 토링을 통해 숨겨진 능력과 특성을 발견하고, 재능을 향상시키며 자신을 가르쳐주는 대학생 멘 토를 통해 학업적 성장의 비전을 가질 수 있다. 멘토인 대학생은 멘토링 활동을 통해 자신과는 다른 교육적 환경, 성장 배경을 가진 청소년을 교육하는 과정을 거치며 사회 전반에 대한 균형있 는 시각과 사회적인 책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경기도교육청, 2008). 대학생 멘토링은 대학생 멘토와 소수의 소외계층 초․중․고 학생 간의 연결 및 정기적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학생 멘토 1인이 소수의 멘티 학생과 관계를 형성하고, 기초학습 및 교과지 도, 특기․적성 지도, 진로 및 학교생활 상담 등 다양한 활동을 실시한다. 1회 2시간, 주 2회 이상 정기적으로 멘토링을 실시하며, 멘토링 장소로는 주로 학교가 활용되고 있다. 멘토 활동비는 멘토링 횟수․시간․거리 등을 고려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결정하며, 활동비 지 급 외에도 교․사대 등 대학과 연계‧협력하여 봉사학점 등 학점 인정을 확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49
시․도교육청은 자체 계획에 따라 일반 멘토링 또는 귀향 멘토링을 실시한다. 귀향 멘토링은 고 향을 떠나 타 지역에서 대학을 다니는 학생이 방학 중 고향을 방문하여 후배들을 집중적으로 지 원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으로서, 대학생 멘토 모집이 쉽지 않은 농산어촌 지역의 학생들을 위해 실시한다. 대학생 멘토링 제도의 참여기관별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계획 수립 ▪성과 분석 및 모니터링 대 학 ▪지원자 모집 ▪멘토 선발, 관리, 교육 등 협조 ▪봉사학점 부여
지역교육청 ▪세부 계획 수립 및 운영 총괄 ▪예산 편성‧집행 ▪만족도 조사 및 평가
지자체 등 유관기관 ▪재정적 지원 ▪장소제공 등 협조
학 교 ▪멘티 선발‧교육‧관리 ▪멘토링 장소 제공 ▪멘토링 실시 및 관리
[그림Ⅲ-5] 대학생 멘토링 참여기관의 역할 분담 출처 : 경기도교육청(2008). 2008 방과후학교 대학생 멘토링 사업 세부 추진 계획. 수원: 경기도교육청.
대학생 멘토 및 멘티의 선발 과정은 멘티의 경우, 수요자인 학부모의 희망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기초수급자 등 소외계층 학생을 우선 선발한다. 만약, 학생이 희망하지 않더라도 교육적으로 멘 토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학생이라면 학부모 등과 상의하여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멘토는 인근 대학과의 연계․협력 등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대학생 멘토링 제도를 홍보하고 지원을 받는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농산어촌 등은 인근 군부대와의 협력을 통해 군 복무 중인 대학생을 활용하는 등 선발 방법은 개별화하고 있다. 멘토링의 인원 구성이나 내용, 방법 등의 구체적인 사항은 학교, 멘토, 멘티의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교과, 초등보육, 특기․적성 등 다양한 유형에서의 활동이 가능하다.
50
2
해당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돕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학교가 속해 있는 지역사회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학교의 연혁, 사명과 이념, 학교의 전통과 조 직문화, 시설환경 등의 내용을 비롯하여 학교가 속한 지역사회의 지리적, 물리적, 역사 적 환경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가. 지역의 일반 환경 지역의 일반 환경은 방과후학교 사업의 단서 찾기 과정으로 지역 환경, 인구 특성, 지역 동향 등 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내용을 구성하여 현황파악을 실시할 수 있다. 지역 환경 분석은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 환경을 비롯하여 지역의 산업 구조, 주거 환경, 지역 내에서 개최되는 문화 및 체육 행사까지 분석의 범위에 포함한다. 인구 특성 분석은 지역 인구의 성별, 연령, 경제적 지위와 같은 전반적 인구 구성 요인뿐만 아니 라 인구 변동 사항을 분석한다. 지역 환경 분석과 인구 특성 분석 결과는 지역에서 특화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대상에 따른 맞춤형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교육 환경 조사와 지역사회 맵 핑(mapping)에서 활용한다. 행정 특성 분석은 행정기관 및 유관기관 특성 파악을 통해 방과후학교 추진 및 지원 체제를 분 석하여, 관련 부서와 기관 간의 업무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주민 조직의 참여 및 지원 방 안을 수립한다. 지역 동향 분석은 해당 지역의 가장 최신의 정보와 사회적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를 반 영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발은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지역특화 프 로그램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51
<표Ⅲ-5> 지역 일반 환경 영역별 세부내용 영역
세부내용
지역환경
y 지역의 역사․문화 환경, 자연․생태 환경, 인문․사회 환경, 교통 및 주거 환경, 산업구조, 각종 문화 및 체육 행사 등
인구특성
y 인구 현황, 전출입현황, 연령․지역별 인구비율, 노동인력, 성별, 경제 수 준, 소외계층 비율, 지역거주 외국인 비율 등
행정특성
y 행정조직 현황, 유관기관 현황, 지역 협의체 구성 현황 등
지역동향
52
y 지역 일반 환경 영역별 세부내용, 최근 지역 현안 및 이슈, y 지역관련 최근 기사 등
나. 지역의 교육환경 지역의 교육환경 조사는 방과후학교 사업의 기초 세우기 과정으로 지역 내 학습관련 사업, 지역 기관 및 시설, 시민사회 단체, 교육 프로그램, 지역강사 및 저명인사, 학습동아리 등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역 학습 인프라 구축, 지역 기관 및 단체 네트워크 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지역 내 기관 및 시설 시민사회단체 조사를 통하여 교육관련 유관 기관 및 시설 파악을 할 수 있다. 이는 지역 교육 네트워크 구축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이를 통하여 여성, 사회 복지, 청소년, 체육, 문화 등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지역의 기관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협의체 구성, 시설 공유, 워크숍 및 연수 등 공동체 활동 등 다양 한 교류 사업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방과후학교와 관련 기관 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효율적인 방과후학교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프로그램 조사를 통하여 지역 내 교육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할 수 있다. 이는 유사 프로그램 간 통합 및 공동 운영 등 지역 내 프로그램 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역주민과 학부모들이 현실적으로 가장 원하는 양질의 교육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 할 수 있다. 지역 강사 파악 및 저명인사 파악을 통하여 지역 강사 뱅크를 운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질 높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지역 저명인사를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여 그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방과후학교 참여자들에게 그들의 성공적인 삶을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 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학습동아리 파악을 통하여 방과후학교가 지역사회 학습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학습동아리는 지역주민과 학부모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만 든 모임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학습동아리를 파악하여 그들이 지역 활 동을 수행하는 자원 활동가임과 동시에 방과후학교 참여자로써 학습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다.
53
<표Ⅲ-6> 지역 교육환경 영역별 세부내용 영역
기관 및 시설 시민사회단체 조사
프로그램 조사
지역강사 파악
세부내용 y 교육관련 기관유형별 분류 y 교육 시설 및 재정 y y y y
프로그램 인적자원 네트워크 교육관련
y y y y
프로그램 유형별 분류 프로그램 지역별 분류 기관별 소속 강사 현황 분야별 강사 현황
운영 현황 관리 현황 현황 등 유관기관 프로그램 조사
y 활동 희망 강사 등 지역 인적자원 파악 저명인사 파악 학습동아리 파악
54
y 학습 리더 역할을 담당할 지역 내 거주 저명인사 명단 파악 y 지역 내에서 활동 중인 학습동아리 발굴
다. 학교 환경 분석하기 다음에 제시한 워크시트를 중심으로 학교에 대한 자료 수집 및 관찰 내용을 정리해 볼 수 있다.
◈ WORKSHEET ◈ 일반학교 현황 자료
55
3
방과후학교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이해 돕기
가. 초등학생의 발달특성2) 1 신체발달
초등학생 시기는 왕성한 신체발달과 함께 운동 능력도 함께 발달하며, 자신의 운동 능력을 특 정한 기준과 비교하는 관심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관심은 어떤 아이들에게는 자신의 운동 능력 을 더 키우고자 하는 동기를 불러일으키지만 다른 아이들에게는 너무 높은 기준에 대한 불신과 일찌감치 포기하는 경향을 갖게 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운동 능력은 남⋅여 간에 차이가 난다. 여학생들은 비록 신체발달이 남학생보다 앞서는 11세에도 체력(신체적 기술)은 더 떨어진다. 신체 적 훈련에 의해 이러한 차이를 극복할 수 있지만 실제로 많은 부분은 여자가 여성스럽고 보호받 아야 한다는 식의 사회적 기대나 통념에 따라 체력(신체적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지 않고 있 는 부분이 크다. 대신에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비운동적인 음악 감상, 독서, 친구와의 이야기 등을 더욱 강조하는 경향이 크다.
2 인지발달
초등학교 시기 동안 아동의 추리 과정은 논리적으로 발달된다. 예컨대 유치원 시절이나 그 이 전에는 아무런 순서 없이 막대를 배열하던 어린이도 초등학생이 되면 여러 개의 막대를 순서에 맞게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또 크기, 색, 모양 등이 서로 다른 도형을 아동에게 주고 분류하라고 한 경우에도 초등학생은 이전 시기와는 달리 여러 차원을 고려해 대상들을 분류할 수 있다. 초등 학교 시기가 되면, 아동들은 사물들이 위계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 실을 인식하게 되면서 사물을 위계적인 방식으로 묶는 능력에서 뚜렷한 발달을 보이게 된다. 그 러나 이 시기의 아동은 아직 가설적이며, 언어로만 된 추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를 갖 고 있다. 2) 초등학생의 발달특성은 이재분(2008)외의 방과후학교 외부강사연수프로그램에서 요약 발췌하였음.
56
3 심리사회적 발달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발달은 크게 5가지의 도전을 포함하게 된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것 사람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인차에 대한 이해, 자신의 경험을 조직하고 이해하는 틀로서 의 ‘자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지며, ‘내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사람인지’ 혹은 ‘내가 좋 은 운동선수인지?’ 등에 관해 스스로 답을 할 수 있게 된다.
성취에 대한 도전 자신의 유능성과 자기 확신, 그리고 최선을 다해 성취하고자 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특 성은 어린 시기에서도 나타나지만, 특히 초등학교 시기에서는 자신의 노력에 대한 타인들 의 평가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가족관계의 도전 최근에 이혼, 재혼 등 복잡해지는 가족관계에서 비롯된 도전을 받게 된다. 아동기는 가 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도전들을 공유해야만 한다.
동료의 도전 이 시기는 무엇보다도 친구나 동료들과 시간을 보내는 데 주력하게 되며, 동료의 요구나 압력으로부터 오는 도전을 해결해야 한다.
학교의 도전 이 시기는 학교가 아동의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많은 역할을 한다. 아동은 부모가 아닌 다양한 많은 동료들과 교사를 비롯한 성인들을 접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된다.
57
1
근면과 성취동기 발달 초등학교 입학과 함께 아동은 부모의 보호를 떠나 ‘학교’라는 새로운 세계에 들어가 게 된다. 이 시기는 사회의 생산적인 일원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적인 지적 능력 과 사회적 능력을 학습하기 위해 부지런히 또는 최선을 다하는 것에 관심을 집중시키 는 시기이다. 또한 이 시기는 성취동기가 급격하게 발달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하 다. 성취동기는 어떤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주도적이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경 향을 말한다. 초등학교 시기의 성취동기는 자기만족보다 타인의 긍정적인 평가를 위 하여 성취하고자 하는 외재적 동기에 있다. 이 시기 아동들의 성취동기에 대한 인식 은 어떤 사람이 능력이 있다는 것은 주위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능력이 있는 것으로 인정받는 데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되고 이 결과 외재적 동기의 경향을 발달시키게 된 다(Erdley 등, 1997).
2
자아의식의 발달 이 시기 어린이들은 능동적으로 자아의식(자아개념)을 구성하게 된다. 어렸을 때는 자신이 ‘아기 돌보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았던 아이가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자신이 훌륭한 ‘농구선수’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 또한 이 시기의 학생들은 상호 모순되는 특성들 간의 통합이 가능해진다. 그들은 특정 상 황이나 특정 사람에 대해 한 가지 방식보다 더 다양한 방식으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학교의 특정 교사를 싫어함과 동시에 한편 좋아하며, 학교를 좋아하면 서도 동시에 싫어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인식과 함께 특정 상황을 묘사하거 나 기술함에 있어 전체적으로 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호 모순되는 특성들을 표현함에 있어 상호 연계가 되는 방식으로 할 수 있게 된다.
58
나.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이해3) 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
1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2007년 2월에 고시된 ‘2007년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의 철학과 교육과정의 기본 체제를 유지하였다. 전체적으로 제7차 교육과정을 기반으 로 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 의적인 한국인 육성’하에 ①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 실, ② 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 능력의 신장, ③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 ④ 지역 및 학교의 자율성 확대라는 중점 사항을 견지하고 있다.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은 현행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과 체제는 유지하되 적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두었다. 따라서 수요자 중심 교육과 정,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급별 교육 목표 등은 그대로 승계하였다. 이와 같은 2007년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2009년부터 초등학교 1, 2학년, 2010년 중학교 1학년, 2011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연차적으로 확대 적용된다. 단 2008년 8월에 고시된 영어 과와 수학과 교육과정은 타 교과와 달리, 2009년부터 초등학교 1, 2학년, 중학교 1학 년, 고등학교 1학년에서부터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2
교육과정의 구성방침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① 전인적인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 하는 사람, ②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③ 폭넓은 교양 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④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⑤ 민주 시민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으 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방침은 다음의 제7차 교육과정 구성 방침4)을 그대로 승계하였다.
3) 초등교육과정의 이해는 이재분 외(2008)의 방과후학교 외부강사연수프로그램에서 요약 발췌하였음. 4) 제7차 교육과정 구성 방침 ⓛ 사회적 변화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59
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1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학교급별 수업 시수 편성 자율권 확대 단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이 제한적이라는 지적과 학교 현장에서의 실 질적 자율권 확대 요구를 반영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재량권을 다각도에서 확대하고, 의사결정의 역할 분담에 따라 국가의 권한을 시⋅도 교육청과 단위 학교에 상당 부분 위임하고자 하였다. 특히 재량활동의 하위 영역 설정 및 시간 배당에 있어서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는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운영하며, 중⋅고등학교에서는 하위 영역(창의적 재량, 교과 재 량)을 구분하지 않고, 시⋅도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에 따라 단위 학교에서 자율적으 로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반영 사회 각 분야에서 제기되어 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사항은 주로 과학교육 강화, 역사교육 강화 및 ‘국사’ 과목 독립, 인권교육, 진로교육, 저출산․고령 화 사회 교육, 에너지 절약교육, 지속가능 발전 교육, 논술 교육 등이었다. 이러한 요 구를 ‘범교과학습’으로 수용한 결과, 범교과학습의 영역은 현행 16개에 19개가 추가되 어 35개 항으로 제시되고 교과와 재량활동, 특별활동에서 다루도록 강조되어 있다.
3
교과교육내용의 적정화를 위한 학습 양․수준 조절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 기초 소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교육 과정에서는 과학과의 수업 시수가 주당 4시간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주변국의 역사 왜곡 에 대응하고 국제화 시대에 보다 적합한 역사교육을 하기 위하여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 과정에서 ‘역사’를 별도 과목으로 독립시키고 사회과 선택 과목에 ‘동아시아사’를 신설, 추가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의 사회과 수업 시수를 주당 3시간으로 증가하였다.
②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체제를 도입한다. ③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하고, 심도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④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한다. ⑤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⑥ 교육과정 평가 체제를 확립하여 교육에 대한 질 관리를 강화한다.
60
4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수업 시수 감축 조정 주5일 수업제를 월 2회로 실시함에 따라 수업 일수의 경우 연간 220일의 1/10의 범 위 내에서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감축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수업 시수의 경우 초등 1, 2학년은 감축하지 않고,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년별로 주당 1시간을 교과 영역에 서 감축하되, 특정 교과목이 집중적으로 감축되지 않도록 하였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은 재량활동 가운데 교과와 성격이 유사한 교과 재량활동에서, 고등학 교 2, 3학년은 교과에서 감축하도록 하였다.
학년별, 교과 및 영역별로 배당된 시간은 34주를 기준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로, 계 절과 교과 및 활동의 특성, 학교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3~6학년의 연간 총 수업 시수는 주5일 수업에 따라 감축된 시수이므로 학교에서는 교과 수업 시수 중 연간 34시간의 범위 내에서 감축하여 운영해야 한다. 재량활동의 영역별 시간 배정은 단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고, 특별활동의 시간 배정은 학교의 실정을 반영하여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가운데 중점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지역 및 학교 실정,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별도의 시간을 더 확보 할 수도 있다.
61
<표Ⅲ-7>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학년 1
구분
교
국
어
도
덕
사
회
수
학
과
학
실
과
체
육
음
악
미
술
과
외국어(영어)
62
2
국 210
어 238
수 120
학 136
바른 생활 60 68 슬기로운 생활 90 102 즐거운 생활 180 204 우리들은 1학년 80 ⋅
3
4
5
6
238
204
204
204
34
34
34
34
102
102
102
102
136
136
136
136
102
102
102
102
⋅
⋅
68
68
102
102
102
102
68
68
68
68
68
68
68
68
68
68
102
102
재량활동
60
68
68
68
68
68
특별활동
30
34
34
68
68
68
연간 총 수업 시간 수
830
850
986
986
1,088
1,088
다. 학부모 상담의 이해 학생이 나타내는 학업, 학습태도 문제가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될 때, 혹은 성공적인 상담을 위해 부모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학부모 상담을 하게 된다. 학부모는 상담을 통해 자녀의 문 제에 대한 이해를 넓힐 뿐만 아니라, 자녀의 문제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자녀의 문제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된다(한국청소년상담원, 2000). 대부분의 학부모 상담은 학생을 위해 이뤄지지만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나 학부모 양 쪽 모두에게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입장에서는 학 부모에게 학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부담스럽고, 다양한 학부모를 접하면 서 문화적 충격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자녀의 문제에 대해 방어적인 학부모를 만날 때는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게 된다. 한편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찾아가고 싶으나 어떤 절 차를 밟아야 하는지 몰라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호출을 당할 경우에는 자녀의 부족함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부끄러움을 느끼며 자녀의 문제에 직면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낀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그런데 방과후학교에서의 학부모 상담은 문제 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둔 학부모뿐만 아니라 방과후 학교와 자녀의 학업생활 전반에 관해서 궁금증을 가지는 모든 학부모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이를 염두에 두고 상담에 임해야 한다.
63
1 상담 관계 형성의 이해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는 상담을 효과적으로 진행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상담관계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한국청소년상담원, 2006).
1
공감적 이해 공감적 이해란 상담자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내담자의 감정과 태 도 및 신념을 거의 같은 내용과 수준으로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공 감적 이해는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가 자신을 이해하고 있다고 믿게 만들며 또한 상담자와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도록 한다.
2
무조건적인 존중 상담자는 내담자를 하나의 전인적 인간으로 보고 그들을 무조건적으로 존중 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자의 무조건적 존중 속에서 내담자는 방어의 벽을 허 물고 안전한 상담관계 속에서 자기탐색을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3
진솔성 상담자는 내담자를 진솔하고 성실하며 일관성 있게 대해야 한다. 그렇게 하 기 위해서는 상담자 스스로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이 무엇이며, 자신의 태도와 가치관이 내담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잘 파악하여야 한다.
64
2 상담의 기술
학교 상담에서 활용할 만한 기술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이영민, 1995).
1
경청 가장 기초적인 것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어려운 기술이다. 학부모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표현 행동들에 대해서도 듣는 것이다. 상담자는 자신이 지금 이야기를 듣고 있다는 것을 고개의 끄덕임, 감탄사의 사용 등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으-음”, “그렇군 요. 알았습니다.”, “흥미롭네요.” 등의 표현이 있다.
2
반영 상대방의 말, 생각, 느낌, 행동 등을 거울처럼 비추어 내담자에게 되돌려주는 기술을 말 하는 것으로 학부모의 이야기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그대로 전해주는 것이다. 학생의 문제 행동으로 속상해 하는 학부모에게 “그래서 많이 속상하셨군요.”라고 대답하 는 것이다.
3
명료화 감정의 반영과 비슷한 개념으로 학부모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명확히 해주는 것이다. 단순히 학부모의 행동을 말로 표현해 주는 것도 이에 속한다. 가령 “아무도 제 속을 몰라요. 그래서 전 저 자신하고만 이야기해요” 라고 푸념하는 학부모에게 “누군가 가 잘 이해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시군요!” 하면서 뜻을 명확히 해주는 것이다.
4
직면 내담자가 생각하거나 느낀 것이 다를 때, 혹은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다를 때 사 용하는 것으로 내담자가 못보고 지나치는 부분을 검토해 보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5
6
자기 공개 자기 공개는 상담자가 마음을 터놓고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도 예전에는 그랬어요.”라는 식의 표현이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적극적 칭찬 적극적 칭찬은 아동의 행동이나 말 · 태도 등에서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면서 부각시키 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애는 체육은 정말 못 해요.”라면서 부정적으로 이야
65
기 할 때 “하지만 다른 건 잘하지 않아요?” 식으로 얘기해 주면서 학생의 긍정적인 면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3 상담 시 주의 사항 첫째, 상담 전
학부모를 처음 만났을 때는 첫인상이 중요하며, 학부모에게 초점을 두고 자연스러운 대화를 건 네어 환영하는 마음을 전달한다. 이어 방문에 대한 감사의 인사와, 학부모와 나누었던 이야기 가 운데 중요 사항에 대해 다시 한 번 요약한다. 방문 소감과 대화 후 궁금한 점, 느낀 점 등을 물어 보고 이후 상담 진행이 더 있을 것임을 알리고 협조를 구한다.
둘째, 상담 후
상담 후 관리로 학생별 교육 및 목표설정 내용을 정리해 기록해 두고, 학생의 발달, 학습, 또래 관계, 적응 등 부모가 궁금해 하는 사항에 대해 강사나 교사에게 전달한다. 학기말에 여러 측면에 서 학생의 변화를 교사나 강사로부터 전달받아 학부모에게 알리거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개 선 사항이나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이 있다면 이를 전달하는 것도 좋다.
참고 : 상담 시 주의사항
학부모 상담에 있어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주의해야 할 점
1. 상담 내용은 기록해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그 내용을 발설해서는 안 된다. 이재분 외(2008). 초등 보육강사 연수 프로그램. 한국교육개발원.이재분 외(2008). 2. 자녀의 장점부터 이야기하고, 단점은 조심스럽게 밝힌다. 초등 보육강사 연수 프로그램. 한국교육개발원. 3. 훈육식으로 말을 많이 하지 않도록 하며, 부모님의 의견도 충분히 듣고 답한다. 4.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전문 기관의 도움을 받도록 연결해 준다.
66
4 학부모 상담의 실제5)
본격적인 학부모 상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보다 나은 상담이 이뤄지기 위해서 코디네이터는 다음 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 알아둬야 한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방과후학교의 교과 프로그램이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되 어 있는지 모르면 학부모들의 관련 질문에 적절히 응답할 수 없게 된다. 둘째, 교과와의 관련성을 중시해야 한다. 학부모들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설명하면 수업은 소 홀히 하고 딴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알맞은 대 답을 하도록 한다. 셋째, 무엇보다 학부모들은 자기 아이에 대한 관심이 많다. 평소에 학생들의 이름과 얼굴을 잘 기 억해 두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아이의 생활 습관이나 태도를 잘 관찰해 두고 기록한 자료를 토대 로 상담에 임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방과후학교에서 학부모를 만나서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과 각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다음과 같다.
1
상담 준비하기 학부모 상담을 위해서는 아이들의 학교생활 상태를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평소 학생들 에 대해 관찰한 내용이나 개개인에 관한 정보를 기록해 두었다가 면담 때 활용하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는 데 도움이 된다.
2
안내장 보내기 학부모 상담을 알리는 안내장은 학급통신을 보낼 때, 그 안에 상담 일정을 함께 적어서 보낸다. 상담의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되도록 모든 학부모가 참여할 수 있도록 권유한다.
5) 학부모 상담의 실제는 초등우리교육 3월호의 내용에서 요약 발췌하였음.
67
3
자료 만들기 학부모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A4용지 한 장 정도로 준비해서 주는 것이 좋다. 만약, 직장이나 다른 사정으로 인해 상담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부모가 있다면 학생 편에 보내 는 것도 좋다.
4
진행하기 <학교 전달 사항> 학교에서 행정적으로 혹은 교육적으로 중점을 두고 있는 사항이 무엇인지 그대로 전달 하도록 한다. 유인물이 있다면 유인물로 대체해도 괜찮으며, 학부모로부터 질문을 받으 면 대답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 <교․강사의 교육관 나누기> 교․강사의 교육철학은 꼭 전달해야 한다. 많은 학부모들이 답답해 하는 것 중 하나가 선생님이 어떤 생각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가 하는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방과후학교 교· 강사의 교육철학을 전달할 것인지 사전 협의를 통해 제대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해서> 학부모들 가운데는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보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성적 올리기만 급 급해 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학원에 많은 믿음을 갖고 의지하기도 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상담을 실시할 때, 학원 교육과 차별화되는 공교육으로서의 방과후 학교의 기능 및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해야 한다. 이에 대해 사전에 준비를 해야 한다. 또, 학생들이 정규 수업시간 이외에 방과후학교 수업을 잘 받기 위해서 학부모가 해야 하는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학부모로부터 도움을 얻을 기초 조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일 년 교육 계획을 가지고 방과후학교 외부 강사로 학부모를 활 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해야 한다. 활동 내용과 지원 방법 등에 대해 문의가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안내를 적절히 하도록 한다. 너무 부담스럽게 접근하는 것 보다는 학부 모로써 지역사회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아이들과 더불어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면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5
토론 및 마무리 학부모들이 평소에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방과후학교와 관련하여 궁금했던 점을 나누 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상담을 마치면서 느낀 점을 이야기를 하고 방과후학교에 대해 바라는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다. 학부모와 학교 간에 대화의 장이 원활하 게 이루어지는 것은 방과후학교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 학부모와의 상담 내용은 정리하여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나 강사에게 제공 하도록 한다.
68
라. 초등학생 안전 지도6) 1 학교 안전교육이란? 학교 안전교육은 학교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스스로 찾아보고 연구, 토의, 실습, 체험활동 등을 통해 위급한 상황에서도 즉각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인 참여활동이다.
2 학교 안전교육의 목표 학교 안전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한 생활습관 형성으로 개인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 건강한 국민이 되도록 한다. 둘째, 단순한 사고예방 및 처치활동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안전과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셋째, 사고는 어디든지 다양하게 발생될 수 있음을 알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안전사고대 책에 따른 활동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게 한다. 넷째, 한순간의 부주의로 인한 비극적인 결과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일상의 생활이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한다. 다섯째, 학교 내외의 위험한 장소, 기구, 장비 등을 조사하여 발견하고, 일어날 불의의 사고를 사 전에 예방하며, 계획 속에서 수시로 확인, 점검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지도록 하여 안전한 행 동이 습관화되도록 한다.
6) 초등학생 안전 지도는 이재분 외(2008)의 초등 보육강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요약 발췌하였음.
69
3 안전교육의 내용
내용체계 학교에서의 안전교육은 안전교육의 특성과 교육과정의 구조상 안전 학습과 안전 지도로 나 누어서 취급된다. 즉, 안전 학습은 안전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꾀하는 것이며 안전 지 도는 지식과 기능의 습득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존재하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에 대한 정확한 판단으로 적절하게 대처한다든가, 만에 하나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실천적인 태도와 능력의 육성을 목표로 하여 의도적,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 지도이다.
영역별 내용 안전교육의 지도 내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어린이들의 특성상 발생하 는 사고의 실태와 잠재된 위험 요소의 양에 따라 그 영역을 학교 안전, 교통 안전, 생활 안전, 자연 재해, 안전 보건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영역에 따른 안전 지도 내용 은 다음과 같다.
70
<표Ⅲ-8> 학교안전 주 제 등․하교길 보행
횡단보도
길에서의 놀이 안전 탈 것의 안전 안전 표지판 자동차의 특성
제 재
비고
◦안전한 통학로의 설정 ◦통학로의 변경 ◦새 학년을 맞이하는 변화에 대처하는 교통안전 ◦방어 보행의 의미 ◦방어 보행의 요령(좌측통행, 일단 정지, 집단 보행) ◦횡단보도의 안전한 횡단 요령 ◦위험한 횡단 방법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의 안전한 횡단 요령 ◦위험 상황에서의 대처 ◦집밖에서 안전한 곳 ◦안전한 놀이와 장소 ◦차도 주위의 공놀이 위험 ◦주차된 차의 앞․뒤의 위험 ◦놀이의 위험 지역 ◦자전거의 선정 ◦안전한 자전거 타기 ◦자전거의 안전 점검 ◦자전거 타기의 안전한 곳 ◦롤러브레이드 안전하게 타기 ◦교통안전 표지를 보는 방법 ◦교통안전 표지의 내용 ◦사각 지대 ◦정지거리 ◦내륜차 ◦자동차의 신호
<표Ⅲ-9> 교통안전 주 제 실내생활 교내통행 운동장 활동 세면장 이용 급식시간 청소활동 학습용구 이용 학교 주변 기타
제 재
비고
◦교실에서의 안전 ◦특별실에서의 안전 ◦실내화를 바꾸어 신을 때의 안전 ◦계단 통행상의 안전 ◦운동 기구 사용의 안전 ◦체육 학습 활동에서의 안전
◦계단에서의 안전
◦화장실 사용의 안전
◦세면장 및 수돗가 이용의 안전
◦복도 통행상의 안전 ◦계단 난간의 안전 ◦운동장 놀이에서의 안전
◦간식 및 우유 급식 시간의 안전 ◦급식 시간의 안전 ◦급식 도구(급식 운반차, 식판 등) 다루기 ◦뜨거운 음식물 운반 시의 안전 ◦청소 용구 이용 시의 안전 ◦청소활동 시의 안전 ◦대청소 및 특별구역 청소활동 시의 안전 ◦학습 용구 이용 안전 ◦실과 학습활동 시의 안전 ◦화단 만들기의 안전 ◦각종 표지판의 설치 위험
◦도로 공사 중의 위험
◦현장학습 시의 안전 ◦수련활동에서의 안전
◦체험학습 시의 안전
71
<표Ⅲ-10> 생활안전 주 제 집
화재 안전
제 재 ◦집안의 각 장소별 위험 요소 ◦집안에서 안전하게 지내는 방법 ◦자체 방어할 수 있는 방법 ◦화재의 예방 ◦화재 시 대피 요령과 소화기 사용법
가스 안전
◦가스 유출의 원인
◦가스 유출 시 대처 요령
전기 안전
◦전기의 위험성 ◦전기를 안전하게 쓰는 법
◦전열기 사용법
수돗물
◦안전하게 마시기
◦수도 이용 방법
승강기
◦안전하게 타는 방법 ◦안전을 위해 알아둘 일
◦혼자서 조작하는 방법
놀이터
◦놀이기구의 종류
◦놀이기구의 안전한 이용 방법
겨울철 놀이 여름철 물놀이 성폭력
비고
◦겨울철 놀이의 종류와 안전 수칙 ◦안전한 겨울철 놀이 방법 ◦물놀이의 안전 수칙
◦안전한 물놀이 방법
◦내 몸의 소중함
◦성폭력 예방법
<표Ⅲ-11> 자연재해 주 제
제 재
태풍
◦태풍 발생의 원인과 피해
◦태풍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낙뢰
◦낙뢰의 발생 원인과 피해
◦낙뢰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집중 호우의 피해 ◦집중 호우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집중 호우 시 대처 요령
황사
◦황사의 발생 원인과 피해
◦황사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지진
◦지진의 발생 원인과 피해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
화학 물질
◦화학 물질의 종류와 특성 ◦화학 물질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화학 물질의 피해
생물 테러
◦생물 테러의 피해
◦생물 테러 시 대처 요령
집중 호우
방사능
72
◦방사능의 피해
◦방사능 누출 시 대처 요령
지진
◦지진의 발생 원인과 피해 ◦지진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
해일
◦해일의 발생 원인과 피해 ◦해일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해일 발생 시 대처 요령
비고
<표Ⅲ-12> 보건안전 주 제
제 재
식중독
◦음식물의 선택법 ◦식중독의 발생원인 ◦식중독의 예방법
◦병원균을 막는 법 ◦식중독의 증상
약물 오․남용
◦효과적인 약 복용법
◦약의 바른 사용법
음주
◦음주와 인체
◦음주 예방
흡연
◦흡연과 건강
◦흡연의 피해
전염병
◦전염병의 종류
◦전염병의 예방
인터넷 중독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 ◦인터넷 중독의 피해
◦인터넷 중독의 증상
비고
안전대책
활동이 많은 시기의 초등학생들과 함께 하다보면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안전 생활지도를 철저하게 실시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 고 불가피하게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로 미숙한 부분이 많은 초등학생들에게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생활태도와 마 음가짐에 대해 이야기를 해 주면서 안전한 행동이 습관화되도록 해야 한다(하홍모, 1995).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생활수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생활수칙은 다음과 같다(하홍모, 1995). 수업 전 수업 시간 전에는 자리에 앉아 할 일을 차분히 정리시킨다. 교재나 필기도구 등을 책상위에 준비하도록 하고 불필요하게 자리를 이동하는 것을 금지시킨다. 수업시간 수업시간에는 과목의 특성에 맞는 안전지도를 실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과학 실험을 하는 경우에는 기구 사용 전에 미리 사용법을 숙지하도록 하고 불필요
73
한 장난을 치지 않도록 한다. 또, 날씨와 기후에 맞는 체육활동을 하도록 한다. 무더운 여름에 무리하게 운동을 하는 등의 행위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기 쉽다. 쉬는 시간 가장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시간이므로 과제나 보충학습을 하도록 권유한다. 또, 다음에 이어 질 학습의 준비를 하도록 하고 자기 자리에 앉아서 정리하도록 하거나 안전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는 놀이나 과제를 제시하도록 한다. 청소시간 방과후 수업을 마친 뒤에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역할 분담을 하고 횟수나 구역 등을 구체적 으로 제시하도록 한다. 특히, 청소 도구를 가지고 위험한 장난을 하지 않도록 사전에 지도한다. 야외활동 캠프, 체험학습 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전 에 장소를 둘러보고 안전 유무를 확인한다. 확인 사항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해야 할 것과 하 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 숙지시킨다. 예를 들어, 물놀이를 갔을 경우 너무 깊은 곳까지 들어가 는 것을 금하고, 숲속에서는 제한구역을 알려주어 그 이상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
사고조치
사고를 예방한다고 해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고 특히, 사고란 예고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 으므로 안전사고가 나면 무엇이 가장 먼저 처리할 수 있는 일인지, 도움을 요청하거나, 보건실 로 가야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침착하게 행동해야 한다. 응급환자 발생 시 행동지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이재분, 2008). 첫째, 침착하게 상황을 관찰한다. 둘째, 보건 교사에게 즉시 연락을 취한다. 하지만 응급상황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보건교사가 오기까지 기다리지 말고 119 구급대에 곧바로 연락을 취한다. 셋째, 보건교사가 응급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반드시 계속해서 응급환자를 관찰하고 필요 한 도움을 준다. 넷째, 응급상황에서 물이나 약물 등을 임의로 투입하는 것은 삼간다.
74
다섯째,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중증의 부상이나 아픈 학생은 섣불리 이동시키지 않는다. 2차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꼭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목과 등에 대한 응급처지 방법대로 지 지한 후 이동한다. 여섯째, 승용차로 후송할 때에는 운전자와 관찰자 등 최소 2명 이상이 후송한다. 이때 보건 교사가 동행하게 된다면 환자의 관찰과 처치를 위하여 보건교사는 운전하지 않는다. 일곱째, 학부모에게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학부모 권한 대행자에게 연락하고 의료기관으로 후송한다.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건교사와 연대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평소에 교내 보건실 의 내선번호와 보건교사의 핸드폰 번호를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 그리고 1차 응급처치가 이 뤄진 이후에는 사고의 원인과 경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변의 학생들에게 당 시의 상황을 면밀하게 들어 두면 보건교사나 의사의 치료 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 배상 문제로 분쟁이 일어날 경우 일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사고가 일어난 것을 본 학생들의 진술을 자필로 받아놓는 것이 좋다. 또한, 교사는 사고를 당한 학생뿐만 아니 라 사고를 목격한 다른 학생들의 심리를 최대한 안정시켜 주고 나서 귀가할 수 있도록 배려해 야 한다.
75
4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세와 역할 설명하기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활동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자세 및 직무에 대한 이해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로서 직무에 대한 정확 한 이해와 학교 관계자들과의 원만한 관계 형성은 현장에서의 업무수행에 대한 빠른 습득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업무에의 적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방과후학교 운영에서 담당하는 역할과 직무를 잘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세 적극적인 자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로서의 가장 중요한 자세는 주도적으로 참여하려는 자세이다. 방과후 학교 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그 일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야 하고, 깔끔하게 일을 처리해야 한다. 일 을 하되 모르는 것이 있을 때에는 운영 담당자에게 문의하면서 제대로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무엇보다 방과후학교 강사 및 학생들과의 긴밀한 유대 관계 형 성을 돕고자 하는 열정과 학생들이 방과후학교 활동에 보다 열의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세밀한 관심, 학생들의 성장 그 자체에 대한 진지한 관심, 학교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잘 이해하 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시간과 정성을 기꺼이 할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업무 처리 후 여유 시간이 있을 경우, 그 시간을 활용하여 다른 일이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예의 주시하고, 그 일에 조력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와 마인드가 필요하다.
배우는 자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기본적으로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운영 담당자가 지시한 것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업무를 제대로 파악하기는 한계가 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운영 담
76
당자가 알려주는 것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배워야 할 것을 점검해 보고 이를 익히기 위해 노력해야 한 다.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지시 받은 과제가 업무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어떤 부분을 차지 하고 있으며 다른 일들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파악하면서 방과후 활동에 임해야 많은 것을 배 울 수 있을 것이다.
원만한 인간관계 성공적인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을 위해서는 방과후학교 관계자들과 원만한 인간관 계를 갖는 것 역시 중요하다.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들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친밀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관습적으로 지키는 규칙을 빨리 익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 다. 이를 위하여 관찰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관계자들의 관습과 업무수행 스타일 등을 빠르게 파 악하여 배워야 한다.
시간 관리 및 약속에 대한 자세 무단으로 결근, 조퇴, 외출, 지각을 해서는 안 된다.부득이한 경우에는 사전에 양해를 구하도록 해야 한다. 출근 시에는 예정시간보다 10-20분 먼저 출근하여 업무 준비를 해놓는 것이 바람직 하다. 자신의 시간이 소중하듯이 상대방의 시간도 중요함을 명심하고 예정된 시간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들 잘 알고 있지만, 약속시간에 5분, 10분 늦는 것에 대해서 크게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하지만 크지 않은 시간이라고 해도 시간약속을 지키지 않는 사람에 대한 신뢰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시간 약속을 지키지 못 함에 따라 업무에 차질이 생길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복장 관리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을 고를 줄 아는 감각은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기본 조건이다. 말과 옷은
77
사람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늘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 이터도 학교 교육 현장의 일원으로서 야한 옷차림과 짙은 화장, 지나치게 편안한 복장 등은 방과 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복장으로서 부적합하다. 복장에 있어서도 예의를 갖추어 단정한 옷 차림을 하도록 한다.
교사와의 관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강화를 위해서 조정 및 지원 업무 를 담당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공정 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와의 친밀하고 원만한 관계 형성은 성공적인 조력을 위해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지만 자 녀의 학교생활에 대해 교사에게 부담감을 주는 언행 등을 하는 행위는 삼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운영 담당자가 학부모코디네이터가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를 분명히 하는 목 표 설정을 잘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TIP.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의 원먼헌
관계 형성을 위한 운영 담당자의 자세는? ❍ 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 운영자들은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전문적인 훈 련을 받은 인력이 아니라 학부모를 선발하여 학교의 업무 지원에 참여하는 일종의 자원활 동가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 따라서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동감합니다.' '좋은 생각입니다.' 등의 칭찬과 감사의 말을 아끼지 말고 사용함으로써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을 격려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대방의 말에 동의할 때는 진심으로 대하고 상대의 호의에 감사할 줄 알고, 상대의 장점을 기꺼이 칭찬해 줄 수 있는 운영 담당자가 되어야 한다.
78
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활동은 단위학교 방과후학교 업무 담당교사를 보조하고, 강사 인력풀 관리, 학부모 상담 등 단위학교의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여 학교현장 의 업무 부담을 해소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활동 영역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선정을 위한 수요조사부터 피드백 및 개선까지 포괄적 범주에 이른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방과후학교 프로그 램의 운영 주체로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활동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지원하는 일 :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의 행정 지원자 지원하는 일은 학교의 교직원과 방과후학교 강사의 행정을 도와 방과후학교의 효율 적 운영을 지원하는 활동이다. 즉, 방과후학교 참여 수요조사, 시간표 작성 보조, 강사 인력풀 관리, 각종 홍보물, 설문지 배포․수합 등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활동이 포 함된다. 이 밖에 기타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필요한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 이는 방과후학 교 운영일지 작성, 방과후학교 교실 관리 등의 지원활동을 의미한다.
2
연결하는 일 & 알리는 일 : 강사 관리 및 지원자 연결하는 일은 방과후학교 강사를 하고 싶어 하는 학부모, 지역주민, 교직원 등 사람 과 사람을, 사람과 프로그램을 연결시키는 활동이다. 즉, 각 프로그램별 강사복무 현 황 관리, 휴․보강 등 운영 상태 점검 등이 해당된다. 알리는 일은 방과후학교의 강사 모집과 교육과정 등의 내용을 알리고, 실제 활동 상 황을 학교와 지역사회에 정기적으로 알리는 일이다.
3
받아들이는 일 : 학생 및 학부모 상담자 받아들이는 일은 학교와 학생,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를 받아들이고, 격려하고, 조정하 는 활동이다. 즉, 학생 출결관리 및 현황 파악, 강사별 학생 프로그램 참여 결과 환류 협조, 방과후학교 관련 학생 및 학부모 상담 업무를 보조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79
기존에 방과후학교 담당 교원이 처리해오던 행정 업무들을 보조함으로써, 담당교원의 업무 경감 을 통한 프로그램 내실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양성 하여 방과후학교 운영의 전문성을 꾀할 수 있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활동 영역을 구분해 보면,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Ⅲ-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 영역
80
5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 능력 제고시키기
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주요 업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는 방과후학교에서 어떤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를 분석하는 일로부터 시작된다. 학교 내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업무의 종류와 성격, 내용 등을 관찰하고, 정리해 봄으로써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로서 수행해야 할 직 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업무는 첫째, 방과후학교 운영 준비, 둘째, 운영지 원, 셋째, 운영 후 평가 및 보고, 넷째, 자기관리 및 행정 처리 업무 영역 등의 활동 내용으 로 구성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담당자들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주요 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업무의 특성을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1 방과후학교 운영 준비 지원 방과후학교 운영 준비 과정에서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계획 수립 후, 이를 실행하기 위한 수요조사, 일정표 작성, 교․강사 인사, 홍보, 수강 신청과 출석부 준비, 개강 준비 및 개강 업무 등이 실시된다.
[그림Ⅲ-7] 방과후학교 운영 준비 과정
81
2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과정에서는 학생 관리, 학부모 관리, 교․강사 관리, 시설 관리, 예산과 수 강료 관리, 교재 관리 등의 업무가 진행된다.
[그림Ⅲ-8]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과정
3 방과후학교 평가 및 보고 방과후학교 활동 평가는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로 나누어 전개된다.
[그림Ⅲ-9] 방과후학교 활동 평가 과정
82
4 방과후학교 행정 지원 방과후학교 행정 지원으로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과 관련된 각종 문서 작성 및 행정 업무 처리를 한다.
[그림Ⅲ-10] 방과후학교 행정 지원 과정
83
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준비 지원하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 목표들을 잘 성취해 가기 위해 서는 프로그램 시작 전 준비 단계에서와 실제 프로그램 운영 단계에서 세심하고 정확한 일처리 가 필요하며, 일 전반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준비 단계에서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하는 첫 번째 일은 관련 프로 그램에 대한 지역 및 학교 내 현황조사를 통한 실태파악과 수요자 사전 조사이다. 두 번째 는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반 영한 프로그램이 정해지면 그 프로그램에 가장 적합한 교·강사를 선정하고, 더불어 수업에 필요한 주 교재와 보조자료, 참고자료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일이다. 네 번째는 이러 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운영 시간표를 짜고,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홍보를 실시하는 일이다.
1 프로그램 현황 파악 및 수요자 조사하기
프로그램 현황 파악하기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고 그것을 현실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 및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파악해 두고, 특히 개설 하고자 하는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파악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 다 른 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 수강료, 강사 등에 대한 정보는 보다 양질의 프로 그램을 구성하는데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지역 및 학교 내 관련 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84
지역 및 학교 내 관련 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위한 질문 ① 어떠한 프로그램명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 창의적이고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프로그램명 정하기에 도움이 됨 ② 기관명, 담당자명, 연락처는 무엇인가? ➜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 인적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필요함 ③ 학습자의 학년과 수준에 어울리는 프로그램인가? ➜ 프로그램의 난이도 파악과 학습대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 ④ 수강료는 얼마인가? ➜ 수강료를 책정하는데 도움이 됨 ⑤ 강사는 누구이며, 학습자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 강사 정보 파악 및 강사 섭외 시 도움이 됨
위와 같은 질문에 근거하여 다음의 워크시트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85
◈ WORKSHEET ◈ 지역 및 학교 내 관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 조사지
86
수요자 조사하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잠재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학습욕구와 선호도는 반 드시 참고해야만 하는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타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참고하면서 잠 재 학습자들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학습 욕구를 확인하고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요자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수요 조사는 다음의 워크시트를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다.
◈ WORKSHEET WORKSHEET ◈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조사
87
2 수업 일정 및 수업 시간표 작성하기 방과후학교 업무의 첫 단계 수업 일정 작성은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수업일정 작성은 방 과후학교 TF팀의 협의회 또는 담당교사가 학내 원칙에 의해 구성한다. 수업 일정 및 수업 시간을 구성하기 전에 큰 틀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인가가 논의되어 확 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어떤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앞에서 논의한 학생과 학부모들이 원하는 프 로그램을 조사하여 개설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에 보다 구체적인 문제, 즉 학생 및 강사들의 편 의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외부 강사들의 시수, 시간표는 매우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사안이다. 수업 일정은 일반적으로 교과, 특기․적성 등으로 나누어지며, 시험기간 전이나 방학 시 단기 특강 반을 개설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강사 모집과 동시에 수업 일정 및 수업 시간 구성이 진행되는 경우 가 많으므로,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프로그램의 선택의 폭을 주기 위해 강사들의 스케줄 또한 중요 하다.
일정표 만들기 y 1년을 기준으로 몇 기수로 나누어 방과후학교를 운영할 것인가 논의 y 나누어진 기수를 중심으로 학사일정을 참고하여 수업 일정 작성 (학교 행사, 휴일, 시 험일정 등을 파악) y 수강신청 기간 및 수강변경 기간을 의논하고 확정 y 일정이 확정된 이후에는 변동하지 않는 것이 좋음
시간표 만들기 원칙 y 외부강사 입장 고려하여 시간표 만들기 : 외부강사의 경우, 한번 출근 했을 때, 충분한 시수를 확보하여 만족스러운 강사료를 산출할 수 있는 시간표 작성 y 학부모에게 사교육 수요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는 시간표 만들기 : 교육수요자가 필 요로 하는 사교육 요구 과목들이 모두 우수하여 (특히, 국, 영, 수 등 주지교과가 우수 해야 함) 방과후학교에서 교육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간표 작성 y 각 프로그램 수업차시 및 수업시간 신중히 고려 y 수준별 학습 강좌는 같은 날 수업하도록 작성 y 시간표가 작성된 후에는 강사에게 신속하게 전달
88
프로그램의 일정과 장소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일목요연하게 프로그램 운영 계획에 따른 시간표 를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 시간표를 학생들이 가장 잘 발견할 수 있는 곳에 게시 한다.
TIP. 시간표
구성할 때 유의점
첫째, 학년마다 정규수업이 끝나는 시간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둘째, 신청 학생 수의 규모를 고려하여, 이에 따라 수업장소를 정해야 한다. 셋째, 장소와 시간대가 중복되지 않도록 확인해야 한다.
89
◈ WORKSHEET ◈ 방과후학교 강좌 강좌 요약서 요약서
90
◈ WORKSHEET ◈ 프로그램별 시간표 시간표
◈ WORKSHEET ◈ 프로그램별 운영 운영 계획표 계획표
91
3 교・강사 인사 업무
강사 채용 지원하기
방과후학교의 강사는 본교 교내 교사와 외부강사를 두루 모집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운 영해야 한다. 본교에 재직하는 교내 강사와 외부강사가 함께 방과후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강의 업무를 분담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과 지식을 가르치도록 도와야 한다. 외부의 우수 전문 강사를 섭외하는 일은 담당 교사와 함께 오랜 시간 의논하여, 과목의 특성에 맞게 자격증, 경력 을 중심으로 선발하여야 하고, 채용의 절차를 구체화해야 한다. 강사 유형별 채용 시 장점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표Ⅲ-13> 교내 강사와 외부 강사 유형별 장점 교내 강사 채용 시
외부 강사 채용 시
y 학부모와 학생이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다.
y 교사의 업무경감을 도울 수 있다.
y 학생들 개개인의 성향과 성적을 파악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개인별로 적합하게 지도할 수 있다. y 강사로부터 정기적인 피드백을 신속하게 받을 수
y 내신 외의 교과수업이나 특기․적성을 다양하게 들을 수 있다.
있다.
강사를 모집할 때, 교내 교사는 직접 만나 수업요청을 할 수 있으나, 외부강사는 방과후학교 지 원센터에 일차 선발 요청을 하거나 교육청 홈페이지, 본교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를 한 후, 서류 와 면접을 통해 단위학교에서 최종 선발한다.
교․강사 및 수업 준비 현황 파악하기
프로그램 운영 준비에 있어서 핵심적인 직무 중 하나가 교사·강사 선정을 돕고 그들에 대한 기본 현황을 파악하는 일이다. 아래의 워크시트를 통해 교사․강사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다.
92
◈ WORKSHEET ◈ 교․강사 현황 및 수업 준비물 현황 연번 강사명
주 요 프로그램명
주민등록 연락처 이메일 번 호 (유선/무선)
주 요 경 력
주 요 준비물
강의가능한 비고 프로그램
93
◈ WORKSHEET ◈ 방과후학교 강사 리스트 연번
94
성명
연락처
이메일주소
교과
강좌명
소속
4 홍보 업무
홍보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중요한 실무중의 하나는 홍보 이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훌륭한 강사가 섭외되어 있다 하더라도 수강생이 모집 이 되지 않거나, 사람들에게 흥미감, 기대감을 심어 줄 수 없다면 프로그램 운영 여부가 불투명 해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홍보를 통한 학습자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홍보 매체별 특성
방과후학교 일정 및 시간표 작성, 강사모집이 끝난 후 홍보 매체 및 가정통신문을 제작한다. 홍 보는 주로 현수막, 가정통신문, 홈페이지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진다. 현수막의 경우, 교내에서 제작한 홍보 문구를 현수막 전문 업체에 문의, 제작한다. 제작된 현수 막은 교내에 부착하여 방과후학교가 진행되고 있음을 홍보한다. 가정통신문의 경우, 방과후학교 TF팀의 협의나 담당교사의 지시에 따라, 학내 원칙에 맞도록 가 정통신문의 내용을 만들어 인쇄를 지시한다. 가정통신문 내용에는 수강 신청 기간, 수업 일정, 프로그램명, 강사, 수업 장소, 수강료 등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기재해야 한다. 홈페이지 공고의 경우, 가정통신문을 제대로 전달 받지 못한 학부모나 학생들을 위해 홍보 및 정보 알림으로 주로 활용한다. 이 외에도, 강사와 학부모 간담회 개최 준비 및 문자 공지, 학부모 간담회 자료 준비 및 결과 정 리를 담당한다. 또한 방과후학교 활동과 관련된 리플릿, 입간판 제작을 담당하여 홍보물 제작을 대행 의뢰하기도 한다. 방과후학교 지원센터와 단위학교를 연계하여 개별 방과후학교 일정을 공 지하고 학습관리 성과 등을 홍보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95
◈ WORKSHEET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홍보계획서 (
)프로그램 홍보계획
★☆ 프 로 그 램 명 :
★☆ 프로그램의 목표 :
★☆ 예상 학습자 수 : ★☆ 홍보를 위한 주요 핵심 단어, 카피 문구 :
★☆ 홍보 방법 및 일정 연번
기 간
홍보방법
세부내용 일시 :
1
09.7.1~15
전단지 제작 및 배부
장소 : 수량 : 담당자 등 가급적 자세하게 기록함
2
09.7.1~15
현수막 및 배너 설치
3
09.7.1~15
각종 홈페이지 게시
홍보 예산 합계
96
예산
5 수강신청과 출석부 관리
수강신청 관리하기 수강신청은 신청 기간 동안 신청서를 학생들에게 받아서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다. 과목 에 따라 수준별로 강좌가 개설되어 학생이 자신의 수준에 맞게 선택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적정 인원이 모이지 않은 강좌는 폐강이 된다. 수강생 모집이 잘되지 않는 강좌의 경우 담임교사 가 참여를 독려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다. 수강신청서에는 학년, 반, 번호, 신청 강좌명, 전화번호 등의 학생 개인의 인적사항이 입력되며,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방과후학교 진행현황 및 참여현황 등을 데이터화할 수 있다. 수강신청을 데이터베이스화 시킬 때 각 강좌 반 편성을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출 석부를 만들면 훨씬 용이하다.
출석부 제작하기 수강신청이 완료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어 있는 학생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각 강좌별로 출 석부를 제작한다. 수강을 취소하거나 추가로 수강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출석부를 수정하여 업데이트시켜야 한다. 출석부에 결석자 체크카드를 함께 넣어두어 결석자 체크에 사용하도록 한다.
출석부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학년, 반, 이름 반드시 기재 ❍ 수업 차시에 맞는 출석, 지각, 결석 표시란 ❍ 학생 및 학부모 연락처 기재 → 학생의 무단결석, 무단이탈, 빈번한 지각, 상담 시 이용
97
◈ WORKSHEET ◈ 방과후학교 학생 출석부 연번
학번
이름
회 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날 / 짜
/
/
/
/
/
/
/
/
/
/
/
/
/
연락처
/
유의사항> ※ 출석부 작성 시 유의사항 1) 결석 /, 지각 ≠, 조퇴 △ 2) 수업 시작 직후 출결을 확인하시고 결석생 명단을 작성하여 전담교사에게 전달해주시기 바랍니다.
98
6 개강 준비 및 개강
강사 모집, 수강생 모집이 완료 된 후 방과후학교는 개강 준비에 들어간다. 준비를 통해 방과후 학교 수업의 시작을 알려야 한다. 확정된 시간표, 강의실 배치도, 수업시간을 공지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대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개강 준비 및 개강에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개강 준비 y 강의 시간표, 강의실 배치도 중앙 현관 및 각 층에 부착 y 강사 오리엔테이션 (담당교사) y 강사 휴게실 점검 y 난방 시스템 및 교실 시건장치 확인 y 멀티미디어 장비 점검 y 개강 문자메시지 안내 y 강사에게 수업계획서 확보 y 각 수업에 필요한 교구 확보 (미리 강사와 의논) y 수업장소 및 마스터키 확보 (방과후 부서만 관리하는 열쇠는 철저히 관리) y 비상시 약품 확보 y 수업 준비용 컴퓨터, 프린터기, 복사기 확보
2
개강 y 개강 첫 날에 강사가 일찍 출근하여 사전 자료 준비할 수 있도록 권유 y 강사에게 출석부 전달 및 확인 y 강사의 철저한 수업준비 확인 (수업교재 및 필요한 자료 등) y 수업 시작 전 학생들의 핸드폰, MP3, 게임기 사용 제지 y 수업 중 학생, 교・강사의 외출 금지
99
◈ WORKSHEET ◈ 방과후학교 수업지도계획서 강 좌 명
강 사 명
대
상
지도시수
지도기간
교 재 명
지도목표 차시별 지도 계획 차시 월/일
1 2 3 4 5 6 7 8 9 10
100
학습주제
학습내용
시수 누계
비고
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지원하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전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 하는 단계에 참여한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지원 단계에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학생 관리, 학부모 관리, 교・강사 관리, 시설 관리, 수강료 및 예산 관리 지원 활동을 실시한다.
1 학생 관리(출결 관리, 현황 파악, 상담 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시, 학생들에 대한 기본 현황 파악이라든지, 매 수업시간 출결사항, 프 로그램 참여도 그리고 그 이외의 각종 상담활동을 포함한 학생 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에 있어서는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 다. 예를 들면,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방과후학교 수업 장소 안내 표지판은 좀 더 많이 그리고 눈에 띄게 게시해 두어야 한다. 또한 학생 출석부를 제작하여 학생들의 출결을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한다. 아울러, 수업 참여에 관한 상담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필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를 높여가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학생들이 불편하거나 어렵게 느끼는 부분이 있는지, 수업을 통해 교육에 대한 흥미를 증대시켜가고 있는지를 체크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TIP. 강좌별 출석 체크시 유의점 ❍ 수강생 및 학부모 연락처는 항상 업데이트 한다. ❍ 출석체크는 정해진 시간에 매일 철저하게 한다. ❍ 학부모와의 상담은 정기적으로 한다. ❍ 문제 학생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다. ❍ 문자메시지 발송 대장을 만들어 그 날의 발송 내용과 이유를 메모한다.
101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별 참여 학생의 출결을 점검하고, 결석 시 학부모에게 통보하고 결석 사유 의 기재 등을 담당한다. 또한 출결에 대한 통계 관리와 학생들의 귀가 관리를 담당하며 수업 시 작 5~10분 후에는 출석체크를 해야 한다. 출석체크는 사전에 준비된 결석자 체크카드로 확인하 여, 수업 미참석자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문자 및 전화로 통보한다. 지속적인 결석생이나 지각생 은 학부모와의 상담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TIP. 강좌별 결석자 체크시 유의점 ❍ 결석자 체크는 수업을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체크해야 한다. ❍ 이를 위하여 강사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체크카드 넣는 통을 준비할 수 있다면 그 통에 카드를 넣도록 부탁하거나, 수업 교실 문틈에 결석자 체크카드를 끼워달라고 이야기 하는 등의 방법을 활 용해야 한다.
수업이 끝나면 결석생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의 학부모에게 문자로 수업이 끝났음을 알려야 한다. 또한 전교생에게 알릴 내용이나 수업일정이 불가피 하게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학부모에게 통보 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 밖에 학생 상담 신청서 작성 지원, 교사 상담 스케줄 관리,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및 발송 등 의 학생상담 스케줄 및 자료 관리를 담당한다.
102
◈ WORKSHEET ◈ 결석생 명단 작성 양식 연번
성명
소속 학교
학반
사유
1 2 3 4 5 6 7 8 9 10
알림> 수업시작 10분 후 결석학생을 확인하여 각 가정으로 연락을 하여야 하니 수업 시작 전에 출석 확인을 하시고 결석생 명단을 작성하여 체크카드 넣는 통에 넣어두시기 바랍니다.
103
◈ WORKSHEET ◈ 학생 상담 일지 일 시
장
소
수강중인 프로그램명 연락처 특이사항 상담구분 □ 정기 상담 □ 특별 상담 □ 문제 상담 주요 상담 내용 학습자와의 마음열기 : 래포 형성 이 름
수업참여에 대한 전반적 내용
- 수업참여 중 기쁘고 즐거운 점
- 수업참여 중 어려운 점
- 기억에 남는 수업 시간
강사에 대한 전반적 내용
수업 관련 개선 점 및 바라는 점
종합 의견
104
□ 기타
2 학부모 관리
방과후학교 활동의 활성화는 무엇보다 학부모의 관심과 격려가 중요하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는 학부모와 학교 간의 연계 협력을 조장하고, 학부모 요구 사항의 취합 및 해결 방안의 협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는 학 부모코디네이터의 자세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학부모 관리와 관련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학부모 미팅 개최 지원, 학부모 민원 상담요청 및 전달을 담당하고, 더불어 가정통신문 작성 및 발송, 가정통신문 발송 내역 관리 등 을 수행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역할 중 학생들에 대한 정기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에 대한 관리와 상담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부모들은 자녀들을 통해 학교 생활에 대한 간접경험 을 하고 있다. 학교 생활이 어땠냐는 부모의 질문에 어린 자녀들은 그 때 그 때의 기분에 따라서 대답하거나, 학교에서 상황을 자기중심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부모에게 프로그램 진행방식이나 교육내용, 강사 등에 대한 정보를 안내장으로 만들어 월별, 격월, 분기별 등으로 발송하거나, 전화 또는 면대면 등의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어 야 한다. 또한, 수업활동 중에 학생들이 직접 작업하고 활동한 학습결과물을 정기적으로 집에 가져가도록 하여, 학부모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어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105
◈ WORKSHEET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정기 알리미 (
★☆ ★☆ ★☆ ★☆
)프로그램 (
월,
분기 ) 알리미
프로그램명 : 프로그램의 목표 : 학습 자 수 : 프로그램 일정(그간의 추진상황 + 향후 계획) 구분
일시
활동 보고
향후
계획
★☆ 학부모님 한 말씀
106
주요 활동
특이사항
비고
3 교․강사 관리(강사 근무 현황, 출 ․ 퇴근부, 휴 ․ 보강 등)
방과후학교 활동은 프로그램의 강사의 자질뿐만 아니라 열의와 성실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요 소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는 교·강사들의 근무 현황을 점검하고 수시로 수업에 참 여하는 태도와 성실도를 체크해야 한다. 강사의 출결, 지각 등의 근무태도를 관리하고, 수업 단기 결손과 수업 무단 결손 등의 수업 결손 관리를 담당한다. 수업시작 시간과 마치는 시간을 엄수하도록 하고, 강사의 개인적 사정으로 휴 강을 하게 될 때는 학생과 의논해야 하며, 이 후에 보강에 대한 계획도 수립해야 한다. 교사 사고 시 강사 수요를 보고하고, 부족기간 대체 강사 투입 등을 담당한다. 교․강사의 수업진행 시 어려운 점과 학생과의 관계 혹은 학부모와의 관계적인 애로사항이 있는 지 수시로 체크하여 교․강사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수업에 임하도록 도와야 한다.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관련 애로사항 청취와 수업 후 학생수업 태도를 청취한다. 그 외 강사의 교 실 수업 능력 보고, 강사별 업무 불만족 발생 회수 체크, 강사별 상담 횟수, 내용 등의 관리 및 보고를 담당한다.
107
◈ WORKSHEET ◈ 강사 출근표 【강 사 출 근 표】
▣ 강좌명 :
반
▣ 강사명 :
선생님
강의 월/일
서명
강의 월/일
서명
강의 월/일
서명
108
4 시설 관리
원활한 방과후학교 활동은 시설관리로부터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업이 진행되는 교 실의 준비 관리와 상태를 일상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수업 전에 수업 교실 준비 상황을 체크해야 한다. 수업 교실 준비에는 수업교실 열쇠 준비, 멀티 미디어 장비 및 교실 수업 장비(교구) 정상 가동 여부 확인, 냉난방 상태 및 조명 점검 등이 해당 된다. 수업 중에도 수업이 없는 교실 문 시건장치를 확인하고,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건 장치 설치를 요청한다. 수업 후에는 난방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비 정리 및 확인 수업교실 문 시건장치 확인 및 창문 시 건장치를 확인한다. 교실을 정리 정돈하고, 다음 날 수업에 지장 없도록 책걸상을 정리한다. 또, 사용한 교구는 제자리에 정리한다. 수업 동안 가동하였던 냉난방 장치 전원과 조명을 확인한다. 고장이 있으면 수리를 요청하고 수리 여부를 확인한다. 수업이 끝난 후에 전 교실을 확인하여 교실에 남아 있는 학생을 도서관 이동 조치 및 귀가 조치 한다.
TIP.
시설관리의 중요성
❍ 각 반 수업 후 정리정돈이 잘 되지 않은 반은 담당강사에게 건의가 들어 올 수 있으므로 철 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수업 전후 보안과 청결이 제일 중요한 사항이다.
109
◈ WORKSHEET ◈ 방과후학교 활용 가능한 시설 및 기자재 현황 조사표 연번
110
시설 및 기자재명
(보관)위치
활용 계획
비고
5 수강료 및 예산관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방과후학교 예산 관리 지원과 운영 예산 관리 계획 수립 및 집행 관리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수강료 수납 및 환급, 영수증 발급, 참여 확인서 등 과 같은 일반 관리의 측면에서 수행하는 업무들이 이에 해당한다. 수강료는 출석부와 데이터베이스화시킨 자료를 통해 수강인원의 일치를 확인한 후 강좌별로 학 생이 납부해야 할 금액과 자유수강권이 적용된 정산 금액을 행정실에 통보한다.
TIP. 자유수강권이란? ❍ 자유수강권이란? - 저소득층 초․중․고등학생들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무료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도록 제공 하는 수강권 ❍ 자유수강권등 수강료 차등지급 대상자와 관련 증빙 서류 - 우리나라 월평균 가구소득 100% ☞ 의료보험납입증명서 - 수급자 현황 파악 ☞ 수급자 증명서 - 교육/복지 바우처 대상자 - 편부모, 조부모, 친척 동거 어린이 - 다문화가정, 장애인 등의 어린이 등
만약 환불자가 발생한 경우 환불자의 환불금액을 계산하여 행정실에 통보한다. 환불이나 추가 신청 시 행정결정은 반드시 담당교사의 확인을 받고 통보한다. 또한 수강료 미납자확인 등의 수 강료 관리를 맡아 수강료 납부 공지 및 상황보고 등을 담당해야 한다. 수강료를 수납하는 부분에 있어서, 혹 환불을 요청하는 수강자를 대비하여 환불 조건을 미리 논 의하여 홍보지에 명시해 두고, 수강료 영수증 발급이나 확인서를 요구하는 학생들에게도 당황하 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강사료 산출은 학교 내 운영위원회를 거친 강사료 산출 방법에 준하여 정산한다. 강사료 산출이 끝나면 행정실에 통보한다.
111
◈ WORKSHEET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프로그램 수강료 수강료 납부증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강료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강료
납 입 영 수 증 ( 기관 보관용)
납 입 영 수 증 (학 생 용 )
★신 청 자 :
★신 청 자 :
★신청프로그램 :
★신청프로그램 :
★수 강 료 :
★수 강 료 :
위 금액을 납부하였음을 확인함
년 (
112
월
위 금액을 납부하였음을 확인함
일 ) 장 (직인)
년 (
월
일 ) 장 (직인)
◈ WORKSHEET ◈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자유수강권 지원학생 지원학생 추천서 추천서 방과후학교 수강료 지원 대상 추천서 학년
반
번
이름 (
)
위 학생을 방과후학교 수강료 지원 대상 학생으로 추천합니다. ※ 추천 사유 :
※ 수강희망 강좌 :
※ 보호자 휴대폰(집전화) :
2009년 추천인 :
월 학년
일 반
담임
(인)
113
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평가 및 보고
1 과정 및 결과 평가 평가는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 조사, 수업 상황 점검 및 평가, 강의 만족도 평가 및 피드백 , 외부 강사 수업 운영 결과 평가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과정평가는 프로그램 계획 대비 실제 진행된 상황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체로 학습 참여자들의 참여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분석하는 등으로 평가 내용을 구성하며, 최 종으로 프로그램 운영 보고서를 작성한다. 방과후학교 한 기수가 끝나면, 방과후학교 운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강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만족도 조사의 설문양식은 교육청 보고양식을 사용하거나 방과후 학교 행정 길라잡이에 있는 샘플을 사용하면 된다. 설문조사는 학교가 수요자인 학생 및 학부모 에게 평가받는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설문지 배부하기 설문지 배부는 각 반 학급함에 해당 학급 방과후학교 수강자 수에 맞게 명단과 함께 설문지를 배 부한다. 이 때 학급명렬표로 수강학생을 표시해주면 강사가 확인하기 쉽다. 설문지는 보통 학생용과 학부모용으로 구분한다. 학생용은 학생 입장에서 강사의 수업(수업 횟수, 수업 교재, 수업의 이해도, 시간 준수 등)을 평가한다. 학부모용에는 수업보다는 방과후학교 전반에 대한 요 소(안내, 상담, 성적표 발송, 인지도, 사교육비 경감, 출결 관리 등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평가 영역이 된 다. 설문 결과 분석하기 설문지는 수합하여, 각 항목에 대한 통계를 내어 부장교사에게 보고하고, 교육청 보고양식에 따 라 각 지역 교육청에 보고한다. 설문의 평가 요소 중 강사의 출결 관리, 안내, 상담 활동의 항목 등은 학교에 따라 교내에서 강사 와 재계약시 하나의 평가 요소로서, 재임용 판단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114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프로그램 만족도 만족도 설문지 설문지 방과후학교 만족도 조사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본교의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입니다. 여러분의 솔직한 답변이 방과후학교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질문에 성 심성의껏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0 . . 학 교 장
▣ 방과후학교에 1강좌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과 학부모만 다음 설문을 읽고 해당되는 곳에 ○ 표시를 하여 주십시오. ▣ 방과후학교 강좌는 교과 강좌, 특기‧적성 강좌, 보육 교실, 대학생 멘토링, 자유수강권 프로그램 을 의미합니다.
항목
질문 내용
교육 환경에 대한
강의실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편안했습니까?
만족도
화장실이나, 사물함은 사용하기에 편리하였습니까?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수업시간에 필요한 기자재나 교재가 잘 준비되었습니까?
강사는 알아듣기 쉽게 잘 설명해 주었습니까? 강사 만족도
강사는 수업시간 동안 친절하고 자상한 태도로 학생들을 대했습니까? 강사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십니까?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
수업내용의 진행이 적절했습니까? 수업내용이 유익했습니까? 이 수업을 다른 친구에게도 추천해 주고 싶습니까? 전체적으로 이 수업에 만족하십니까?
115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참여 참여 강사 평가표 평가표 평점 평가요소
평가 내용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1. 언행 및 품위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가? 자질 및 태도
2. 사명의식을 가지고 생활하는가? 3. 근면 성실한 자세로 임하는가? 1. 교재연구를 충분히 하고 있는가? 2. 학습지도 준비를 철저히 하는가?
학습 지도
3. 개인차를 존중하는가? 4.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가? 5. 적절한 평가와 보충지도를 하고 있는가? 1. 학생의 안전생활을 위해 노력하는가? 2. 학생의 성취정도를 파악하고 있는가? 3. 결석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각 가정에 확인하였는가?
학생 관리 4. 수업 결손이 생겼을 경우 보강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가? 5. 학생의 수업 결과에 대해 학부모와 적극적으로 상담하는가? 1. 수업이 시작하기 20분 전에 출근하여 전달사항을 확인 하고 수업준비를 하였는가? 2. 출근부 관리를 철저히 하는가? 제반 복무
3. 사용하고 있는 교실을 깨끗이 사용하려고 노력하였는가? 4. 수업이 끝난 후 보안 점검 및 전기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는 가? 1. 수강 신청 기간 시 홍보에 능동적으로 참여 하는가?
학교에의 협조
2. 수업 공개 및 발표회와 전시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는가? 3. 수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자료 제작에 창의적으로 참여하는가?
계 부서 현황 특히 잘 되고 있거나 개선해야 할점
116
총점
/100
매우 불만족
2 평가 보고서 작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종료 또는 그 이후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프로그램 운 영을 평가하고 간단하게 보고서를 작성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프로그램 운영 운영 일지 작성 작성 양식 양식 ◈ WORKSHEET ◈ 운영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작성 양식 양식 ( )프 로 프로그램 그 램 운영 보보고서 고 서 작성 마. 방과후학교 행정지원
★ 프로그램명 : ★ 프로그램의 목표 :
★ 학1습 코디네이터 자 수 : (수료율 : 활동지명작성 ★ 프로그램 추진 과정
%)
주요 활동 프로그램 운영을 특이사항 비고 학부모일시 코디네이터들은 방과후학교 위한 사전 준비 작업과 운영 과정에 대한
지원, 사후 평가와 모니터링, 프로그램 운영 보고서 작성 등의 다양하고 많은 양의 업무를 수행 하게 된다. 이러한 일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업무 처리 방식을 가지고 있어 야 한다. 자기 업무 관리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 일지를 작성하고, 개인적으로 업무 아이 ★ 잘된 점 및 주요 성과(학습자들의 반응 및 만족도, 시사점 등) 디어 노트를 작성하고, 업무 목록과 처리과정, 처리상태, 완료 기간 등을 알아보기 쉽게 기록하는 수행 기록지를 만드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미흡한 점 및 어려웠던 점
★ 활동 장면(사진 등 첨부)
117
마. 방과후학교 행정지원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지 작성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들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과 운영 과 정에 대한 지원, 사후 평가와 모니터링, 프로그램 운영 보고서 작성 등의 다양하고 많은 양의 업 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업무 처리 방식을 가 지고 있어야 한다. 자기 업무 관리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 일지를 작성하고, 개인적으로 업무 아이 디어 노트를 작성하고, 업무 목록과 처리과정, 처리상태, 완료 기간 등을 알아보기 쉽게 기록하는 수행 기록지를 만드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118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프로그램 운영 운영 일지 작성 작성 양식 양식
2009년
결
운 영 일 지 일 시
2009년 특 기 사 항
부장
교감
재 월
일
(
)요일
방과후학교 업무교사 근무 사항 근무자 근무시간
근무자 외 업무 관련 잔류교사 야간 전담교사 근무 사항 (인) 강사
시간 15:10 15:20 15:40 15:50 17:30 17:50 18:20 20:10 21:30
수업교사 결근 사항 소속교
근무 내용 및 점검 사항
사유
실시여부 (○, ×)
교내 방과후학교 강사 출근부 교무실 탁자에 비치(출석부에 결석생 명단 양식 첨부) 강사 출근 여부 확인 (도착하지 않은 강사 연락하기) 결석생 파악 (각 반에 다니면서 용지 수거) 결석생 전화 또는 문자 전송 방과후학교 강사 출근부 교무실 탁자에 비치 강사 출근 여부 확인 (도착하지 않은 강사 연락하기) 1, 2교시 결석생 파악 (각 반에 다니면서 용지 수거)후 결석생 전화 또는 문자 전송 3, 4교시 결석생 파악 (각 반에 다니면서 용지 수거)후 결석생 전화 또는 문자 전송 학생들 귀가 지도 (4층 순시)
교무실 ․ 휴게실 난방 및 전기 소등, 복사기 ․ 파쇄기 전원 확인, 휴게 21:40 실 창문 닫기, 커피포트 플러그 확인, 강사 휴게실의 컴퓨터 및 커피포트 전원 확인, 보안점검표 작성
119
(기재사항) 근무시간
-
, 할일:
)
★ 결석생 명단 교 시
학교
학 년
반
학생 이름
교
결석사유
시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
120
학교
학 년
반
학생 이름
결석사유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학부모 학부모 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운영 운영 일지 일 시 기록자 연락처
운영장소 홍길동
부서/직급
( )학교 학부모코디네이터
특이사항 주요 내용
추진 상황
잘된 점
개 선 점
향후 계획
121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학부모 학부모 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운영 운영 상황표 월 일
122
요 일
주요업무내용
근무현황
출결
상담
문자
안전
시설
출근
퇴근
관리
관리
발송
관리
관리
시간
시간
초과근무 시간
확인란
2 교육청 감사 및 장학지원
각 지역 교육청에서 감사 또는 담임 장학과 같은 학교 감독 행사시 방과후학교는 현재 교육청의 중요한 사업이므로, 주요 평가 요소가 된다. 감사나 장학은 학교운영의 성과를 평가받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로서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자료는 방과후학교 운영현황 폴더를 하나 작성해 두는 것이 좋다. 폴더 안에는 각 기수의 모든 운영 관련 사항에 관한 데이터가 수집되어 있어야 한다. 가정통신문을 비롯하여, 학생 참여 현 황, 운영 강좌 현황, 내부결재 공문, 운영위원회 심의자료, 시간표, 수업일정표, 출석체크 카드 등 의 양식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모두 수록하는 것이 좋다. 평상시에 방과후학교에 대한 자료나 양 식들을 모아두면, 교육청이나 감사 및 장학 행사시 보고가 수월해진다.
3 홈페이지 관리
학교 홈페이지 및 방과후학교 게시판에 각 기수별로 개설된 현황을 업데이트 해 놓아야 한다. 이 때 수업계획서를 함께 올려주면 학부모들이 방과후학교 강좌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수업하는 장면까지 사진으로 찍어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도 좋은 홍보 전략이다. 단위학교 홈페 이지를 신속하게, 구체적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은 학생들이 어떤 환경에서 실제 수업을 받는지에 대한 부모님들의 관심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4 문서 작성 및 행정 업무
학교 안에서의 모든 업무는 문서 작성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방과후학 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업무에 대한 숙지만큼 중요한 것이 문서 작성과 행정 업무 처리 방식 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123
방과후학교 예산 계획・집행・관리, 가정통신문 작성 및 발송, 시설 관리, 등 방과후학교 행정 실무 기초를 익히고, 공문서 작성하는 방법 숙지, 공문서 수신 및 발신 등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운영 담당자가 지도하고, 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 스스로도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서 작성 및 관리 지도
문서관리에 대해서는 완벽히 가르쳐준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 이터 스스로 익혀 나가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과후학교의 업무를 파악하는 데 운영 담당자의 친절한 안내가 도움이 되겠지만 그것보다 지금 까지 시행하거나 받은 공문을 천천히 보면 방과후학교 사업의 성격은 물론 어떻게 업무를 진행 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운영상의 발전 방향이 보이기도 한다. 현재 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문서의 종류와 기안문 작성요령, 결재 방법에 대해 기록해 두어야 한다.
행정 업무 처리 과정 지도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행정 업무에 대한 이해는 방과후학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초적 인 자료가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정업무 처리과정은 학교의 특성과 이념, 운영방침을 보여주 는 대표적인 형식이기 때문이다. 행정업무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 또한 방과후학교가 학교 내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으며 어떤 역 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지원체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방 과후학교 사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124
◈ WORKSHEET ◈ ◈ 문서 문서 작성 작성 요령 요약표 요약표 문서 작성 요령 실습지 ▣ 다음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여러분이 업무 관련 문서를 다루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숙지하셔야 할 사항에 관한 내용입니다. ▣ 지금까지 수행하신 업무와 관련된 공문서가 어떤 종류이며, 어떤 방식으로 기안문을 작성하였으며, 결재 방법은 무엇이었는지에 관하여 정리해 보고, 이를 통하여 공문서 작성법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합시다.
구분
관찰 및 자료수집 내용
문서의 종류
문서 기안문 작성 요령에 대한 요약
문서결재의 종류
125
◈ WORKSHEET ◈ ◈ 행정 행정 업무 업무 처리 요령 요령 요약표 요약표 행정 업무 처리 요령 실습지 ▣ 다음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여러분이 행정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 본적으로 숙지하여야 할 사항에 관한 내용입니다. ▣ 지금까지 수행하신 방과후학교 관련 업무가 학교 내 관련 업무 중 어떤 위치에 있으 며,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지원 체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관하여 정 리해 보고, 이를 통하여 행정 업무처리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합시다. 세부항목 업무 기획 절차 및 방법 업무 기획 및 운영 상황
업무 유형 및 운영상황
타 부서와의 업무 연계
학교 내 물적 자원 (시설, 장비 등) 연계 학교 내의 업무 연계 현황
126
학교 내 인적자원 (담당자, 강사 등)의 연계
관찰 및 자료 수집 내용
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중간 평가하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수행하는 업무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와 운영 담당자는 코디네이터의 업무 수행 현황과 업무 적응도 등을 중간 점검하는 시 간을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상황에 적합하고, 내실 있는 운영 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운영 담당자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근무일지, 담당 업무별로 기록한 워크시트들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조언과 자문을 수행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근무일지에 제시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의견, 건의사항이나 의문점에 대해 근무일지 운영 담당자란에 간단한 답변 을 적어 넣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두로 답변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운영 담당자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던 전체 운영과 정에 대해서 조망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시간을 통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 디네이터는 운영 과정에 있어서의 의문점과 건의사항 등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으며, 운영 담당 자는 전체 운영과정에 있어서 향후 교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 서로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평가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기 평가도 요구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기 평가는 운영 담당자의 평가에 대한 신뢰의 기반 위에서 자신이 앞으로 어떤 점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평가는 활동을 통해 학부모코디네이 터 본인이 배운 점,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시각으로 바라 본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평가 그리고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을 통해 정리된 자신의 향후 비전을 정리해보는 것으로 구성된다.
127
◈ WORKSHEET WORKSHEET ◈ ◈ 방과후학교 학 학부 부모 모코디네이터 중 중간 간평가 평가질 질문 문 방과후학교에서의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을 통해 배운 것은 무엇이었는가? (방과후학교의 운영 관계자들과 활동을 전개해 가면서 배우고 느낀 점을 기술해 보자.)
방과후학교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배운 것은 무엇이었는가?
방과후학교 운영의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가?(활동에 대한 만족도)
방과후학교 운영의 계획과 운영 관계들과의 업무 분담은 적절하였는가?
128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필요한 교육이 제공되었는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 운영 관계자들간의 의사소통은 원활하였는가?
기타 방과후학교 학부모코디네이터 운영상의 개선점은 무엇인가?
방과후학교 학부모코디네이터 활동이 지닌 큰 장점과 특징이 있다면?
129
Ⅳ.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 및 마무리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하기 2. 피드백 및 개선하기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하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이 초기 계획한 대로 운영되어 추구하는 목표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성취했는지 여부를 판단, 분석, 종합하는 과정이 다. 평가 결과는 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 운영의 성공 여부와 지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 가 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개인에게는 개인의 업무 수행 및 성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 함으로써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알아내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회 를 제공한다. 평가 과정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피드백하는 활동으 로 구성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 수행 능력 및 단위학교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의 수 월성 증진 여부를 기준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개인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을 포함한 방과후학교 운영의 문제점을 개 선하고, 향후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을 정립함으로써, 방과후학교 운영의 효율성 증진과 프로그 램 질 개선에 기여한다. 평가 과정은 다음의 그림과 같이 구성된다.
133
[그림Ⅳ-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 과정
평가 단계별 활동 내용 1단계 평가 계획 수립부터 8단계 피드백을 위한 평가회 개최까지 각 단계별 세부 활동 내용을 알 아보면 다음과 같다.
1
평가 계획 수립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목표 달성도 평가 및 우수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보상을 위한 코디네이터 업무 성과 평가 계획 수립
2
평가 자료 수집 평가계획에 준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능력 및 성과를 평가할 수 있 는 양적․질적 자료 수집
134
3
평가 내용 선정 수집된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 표를 선정, 각 지표별 합리적인 평가
4
평가 설문지 개발 방과후학교 참여자(교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및 방과후학교 서비스 수요자(학생, 학부모)의 평가 참여를 위한 평가 설문지를 개발하여 평가의 객관성 확보 및 타당도 높임
5
평가 자료 분석 정확한 정보 수집을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에게 분명한 가치와 의미를 제공하는 평가 수행
6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 평가 및 피드백 차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 개선을 위하여 평가 자료에서 분석해야 할 지표가 무 엇인지 선정하고, 합리적 기준에 의하여 자료 분석
7
평가 보고서 작성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기록을 정리하고, 평가 설문지, 평가 과정 및 결과 등 평가를 위해 수행했던 활동의 자료 등을 정리하여 기록
8
피드백을 위한 평가회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와 코디네이터 담당 교사 및 방과후학교 참여 강사가 참여하는 평가회를 개최하여, 평가 결과를 알리고, 방과후학교 운영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안 논의
135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학부모 학부모 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평가표 평가표 평점 평가요소
평가 내용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1. 언행 및 품위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가? 자질 및 태도
2. 사명의식을 가지고 생활하는가? 3. 근면 성실한 자세로 임하는가? 1.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현황 파악 및 수요조사 실시를 적 극 지원하는가?
방과후학교 운영 준비 지원
2. 수업 일정과 수업 시간표 작성을 하는데 있어서 중복되는 수 업이 없도록 잘 조정하는가? 3. 강사 채용 홍보 및 강사 채용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 도록 지원하는가? 4. 방과후학교 홍보에 적극 참여하는가? 5. 수업이 시작하기에 앞서 수강신청 자료와 출석부는 빠짐없이 준비해 두었는가? 1. 결석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각 가정에 확인하였는가? 2. 학부모의 상담 문의가 있을 경우 친절하게 상담에 임하는가?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3. 수업이 시작하기 전 수업 결손이 있는지 확인을 하는가? 4. 수업 결손이 생겼을 경우 보강 계획을 세우도록 요청하는가? 5. 수업 진행에 필요한 시설 및 물품을 빠짐없이 준비하는가? 6. 방과후학교 예산 및 수강료를 정확히 관리하는가? 1. 학생의 수업 결과를 학부모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가?
방과후학교 평가 및 보고
2. 수요자의 만족도 조사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 3.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사항, 만족도 결과를 강사에게 전달하 여 프로그램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가? 4. 방과후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 작성 및 교육청 평가 준비에 적 극 참여하는가? 1. 촐․퇴근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가?
제반 복무
2. 출근부 관리를 철저히 하는가? 3. 수업이 끝난 후 교실을 깨끗이 정돈하는가? 4. 수업이 끝난 후 보안 점검 및 전기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는가?
계
특히 잘 되고 있거나 개선해야 할점
136
총점
/100
매우 불만족
2
피드백 및 개선하기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 영되기 위하여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점과 목표의식을 갖게 된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자기성찰적인 평가와 더불어 역할과 직무에 대한 뚜렷한 목표 의식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방과후학교 운영의 질적 제고 를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 종료 후, 다음에 서 제시된 문항들을 통해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활동을 통해 느낀 점을 함께 나누고, 향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갖추어야 할 자세와 역할에 대하여 조언 및 피드백을 제 공하도록 한다.
137
◈ WORKSHEET ◈ ◈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활동 활동 피드백 피드백 및 및 개선사항 개선사항 조사지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활동을 통해 느낀 점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환경적 요소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본인이 노력해야할 점
향후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가 될 후배를 위한 조언
138
부록 방과후학교 운영 서식
부록 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지원서 지 원 서 방과후학교
한글 사진(3*4)
성명
최근3개월 이내 칼라사진
한자
지원
영문
분야
주민등록번
코디네이터
-
호 -
연 락 처 전화
휴대폰 기
경
력
간
근 무 처
년
월
~
년
월
년
월
~
년
월
년
월
~
년
월
년
월
~
년
월
년
월
~
년
월
기간
출신교
직
전공
위
소재지
퇴직사유
졸업구분
학
대학(원)세부전공
고등학교 평점평균
/
대학(원)논문제목
대학교 평점평균
/
력
141
관계
주거상황 부모와동거(
)
가
친척 (관계:
)
족
자가(
)
사
전세(
)
항
하숙(
)
자취(
)
기타(
)
자격 면허
연수 및 사회 봉사
외 국 어
병역
성명
연령
종류
최종학력
취득일 3.
2.
4. 간
취득일
종류
1,
기
근무처
교내외서클활동
연수내용
~
1.
~
2.
외국어명
공인점수
사용가능 s/w 점 점
군필여부
컴퓨터
Word : 상,중,하
Excel :상,중,하
Ppt : 상,중,하
Photoshop : 상,중,하
능 력
군별
복무기간
계급
보훈 여부
면제사유
지원서 및 기타 제출서류의 내용이 허위사실이 있을 경우 합격 및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년 작성 자:
142
월
일 (인)
부록 2.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면접 심사 채점표
면접 심사 채점표 지역 : 평가요소 1. 초등교육과 초등학생 이 해 (학교 및 교사문화 등) 2.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 역할 이해 (보 조 , 지원) 3. 업무능력 (회계, 문서, 홍보, 자격증, 현장 경험 등) 4. 인 성 (친절도, 섬세함 등) 5. 현장적응력 (친화력 등) 6. 적극성 (답변태도 등)
접수번호 :
이름 :
탁월
우수
기준점수 보통
미흡
불량
30
30-26
25-21
20-13
12-8
7-1
20
20-17
16-14
13-8
7-5
4-1
20
20-17
16-14
13-8
7-5
4-1
10
10-9
8-7
6-5
4-3
2-1
10
10-9
8-7
6-5
4-3
2-1
10
10-9
8-7
6-5
4-3
2-1
배점
획득점수 (점수 / 만점)
점 수 합 계
심사위원 :
(인)
143
부록 3. 방과후학교 강사 임용 계약서
방과후학교 강사 임용 계약서 방과후거점학교의 지도강사 임용과 복무에 관한 계약을 다음과 같이 체결한다. 이하 중학교 장을 ‘甲’이라 하고, 지도교사 (
)를 ‘乙’이라 한다.
제1조 (계약기간) ① 본 계약기간은 2009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로 한다. ② ‘甲’은 근로기준법 제25조 제③항, 제34조 제①항 및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9조 제②항의 규정에 의하여 ‘乙’에게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제2조 (지도강좌 및 제출서류) ① ‘乙’의 지도강좌는 (
)으로 한다.
② ‘乙’은 지도강사로서 자격을 증빙할 수 있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각 1부씩 ‘甲’ 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가. 이력서(사진부착) 나. 교원자격증 사본(관련 자격증 사본 또는 경력증명서) 다. 주민등록등본 라. 건강검진서 ※ 현직 교사인 경우 재직증명서(주민등록번호 기재)를 제출하는 것으로 함 제3조 (강의계약) ① ‘乙’의 강의시간은 1시간을 45분 단위로 한다. ② ‘乙’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사전 결재를 받은 교육계획과 교재에 의해서만 교육하고 이에 위 배되는 일체의 교육활동을 금한다. ③ ‘乙’은 ‘甲’이 지정하는 교실 또는 사용을 허가한 장소에서 강의를 실시한다. ④ ‘乙’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교육계획을 변경해야 할 경우 최소 2주 전에 ‘甲’에게 통보하고 ‘甲’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⑤ ‘乙’의 사정 또는 학교행사 등으로 결강이 발생할 경우 최소 3일 전에 상호 통보하며 추
144
후 반드시 보강을 실시한다. 만일 ‘甲’의 승인 없이 보강을 하지 않았을 경우 보수에서 결강분 의 강사비를 감한다. 제4조 (강사비) ① 강사비는 시간당 기본급 37,500원(20시간 기준 : 750,000원)으로 교육기간 단위로 교육 종료 후 후불로 지급한다. 다만, 보강이 필요할 경우 보강을 완료해야 교육기간이 종료한 것을 본다. ② 참가학생 수(3등급)에 따라 달리 책정한다.
등급
학생수
강사비
1
15명 이상
시간당 기본급 기준 100% 지급
2
10명 이상 ~ 15명 미만
시간당 기본급 기준 90% 지급
3
7명 이상 ~ 10명 미만
시간당 기본급 기준 80% 지급
4
7명 미만
학생 수만큼 지급
③ ‘甲’과 ‘乙’은 프로그램의 성격, 수강생의 증감에 따라 강사비 조절을 협의할 수 있다. 제5조 (도서 및 교구재) ① ‘乙’이 학생지도를 위해 사용할 도서 및 교구재는 ‘乙’의 추천을 받아 ‘甲’의 학교운영위원 회에서 심의하여 선정한다. ② 수강생이 도서 및 교구재를 별도 구입해야 할 경우 개별 구입을 원칙으로 한다. 제6조 (복무규칙) ① 당일 강의 20분 전까지 출근하여 출근부에 날인하고 수업준비에 철저를 기하며, 강의 종 료후 교실의 청결 및 책걸상 정리정돈에 철저를 기한다. ② 수업시간에 학생을 체벌하거나 인격을 모독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며 학생의 상담 및 안전 지도에 최선을 다한다. ③ ‘乙’은 사전에 결재 받은 범위 안에서 강의를 해야 하고 이를 위반하였을 경우 ‘甲’은 ‘乙’ 을 해임할 수 있다. ④ 비치된 소정의 출석부, 학생신상기록 및 상담 카드, 강사일지를 성실히 기록한다. ⑤ ‘乙’의 강의 및 근무의 성실성, 열성 정도가 매우 결여되었거나 태만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145
는 ‘甲’은 즉시 본 계약을 파기하고 ‘乙’을 해임할 수 있다. ⑥ ‘乙’이 계약한 강의를 중단하고자 할 때에는 교육의 계획성을 위하여 최소 1개월 전에 사 직의사를 ‘甲’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⑦ ‘乙’은 학교 시설 및 물품 관리에 주의를 요하며 ‘乙’의 부주의로 화재, 파손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乙’은 민 ․ 형사상의 모든 책임을 진다. ⑧ 기타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교원의 복무에 준한다. 제7조 (기타약정) 본 계약 사항에 약정되지 않은 사항은 ‘甲’과‘乙’이 상호 협의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 및 결의에 의하여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계약이 유효하게 성립되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계약서 2부를 작성하여 ‘甲’과 ‘乙’ 쌍방이 기명, 날인한다. 2009년
월
일
‘甲’ 주소 : 성명 : ‘乙’ 주소 : 성명 :
(인)
주민등록번호 : 전화번호 (집) : (휴대폰) : 통장계좌번호 : 이메일 주소 :
146
, (
은행)
부록 4.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모집 공고
○○ ○○ 학교 ‘ ‘ 방과후학교 학부모 학부모 코디네이터 코디네이터 ’ ’ 모집 모집 공고 공고 oo 방과후학교 단위학교의 방과후 행정 및 상담 업무를 수행할 방과후학교 코디네이 터를 아래와 같이 채용합니다.
1. 채용개요 - 채용인원 : 00명 (지역별로 적정인원 안배) - 채용분야 : 단위 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00 개월 계약) - 우대사항 (예시안)
◆ 교육 관련 학사 학위 취득자 ◆ 상담 관련 학사 학위 취득자 우대사항
◆ 교육 또는 학원강사 유경험자 ◆ 기업체 인사/총무/경리 업무 유경험자 ◆ 학생 및 학부모 상담업무 유경험자 ◆ 워드 및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 취득자
2. 전형방법 1) 서류전형 2) 실무면접(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통보) 3. 응시원서 접수 1) 우편접수 (모든 서류는 우편 접수하되, 지원서는 우편접수 이외에, 이메일로도 송부) 지원서 이메일 송부처 : 지원서 이메일 송부 시, 이메일의 제목을 ‘코디네이터_홍길동(성명)_핸드폰번호(공란없이)’로 적을 것 예) 코디네이터_홍길동_01000000000
147
2) 마감일자: 2009년 * 월 * 일(금) 18:00 (우편접수는 당일 도착분에 한해 인정 3) 접 수 처: oo시 000 000 4. 제출서류 1) 지원서(소정 양식) 2) 자기소개서 3) 증명사진(3*4) 2장 - 최근 3개월 이내 칼라사진 4) 고등학교생활기록부 5)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5)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6) 자격증사본 5. 근무조건 1) 주요업무 - 행정지원(공문작성 / 인사 / 수납안내 / 홍보물 제작 등) - 상담업무(학생 / 학부모 등) - 시설관리(교실 / 교구 /교재 등) - 학생관리 업무(출결 / 안전관리 / 학부모 연락 등) 2) 보수 : 월급 약 40만원 (단위학교와 협의 후 조정) 3) 근무지 : 단위학교 4) 근무시간 : 14:00~18:00(단위학교와 협의 후 조정) 6. 기타사항 1)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상이하거나 미비된 서류는 접수하지 아니하며,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아니함 2) 제출서류의 전체 또는 일부를 위조·변조하거나 허위 기재한 경우 불합격 처리함 3)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합격자 통지 이후라도 학력 및 경력 조회 등을 통하여 부적합한 결격사유가 있을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4) 본 채용계획은 본 센터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 학교 교장 □□□
148
참고문헌 경기도교육청 초등교육과. (2009). 현장과 함께하는 맞춤형 초등교육. 수원: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 (2008). 2008 방과후학교 대학생 멘토링 사업 세부 추진 계획. 수원: 경기도교육청. 교육인적자원부. (2006). 2006 방과후학교 현황.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2006). 방과후학교 운영 보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8 하반기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 미간행 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권두승. (2005). 미국의 21C 지역사회학습센터(21stCCLC)의 성립배경 및 운영성과 분석. 평생교육 학연구 11(4), 111-131. 김득영. (2006). 일본평생학습도시 프런티어. 서울: 학지사. 김득영. (2007년 11월). 학교평생교육 운영 활성화 모형개발. 워크숍 연수자료, 2007년 교육인적 자원부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 사업관계자 워크숍. 김진숙. (2009). 방과후학교 정책현안과 경쟁력 확보 방안. 제1차 미래교육공동체포럼 방과후학교 의 경쟁력 제고 방안 세미나, 서울. 김홍원. (2008). 2008 방과후학교 성과분석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홍원. (2008). 기초학력 신장 및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변종임. (2009). 방과후학교의 현황과 성과. 교육양극화와 아동방임에 대한 현실과 대안: 방과후학교와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교육봉사단 세미나, 서울. 이영민. (1995). 아동상담의 자세와 기술. 초등우리교육 1995년 5월호(통권 제63호), 204-208. 이재분 외. (2008). 초등 보육강사 연수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편집부. (2005). 실전! 학부모 만나기. 초등우리교육 3월호(통권181호), 66-73. 하홍모. (1995). 사고 없는 우리반을 위한 안전생활지도. 초등우리교육 1995년 9월호(통권 제67 호), 170-173. 今野雅裕. (2002). ‘学校と地域のネットワーク’. 東京:ぎょうせい. 鈴木真理․佐々木英和編. (2003) ‘社会教育と学校’. 東京:学文社. 白石克己․佐籐晴雄․田中雅文編. (2001), ‘学校と地域でつくる学びの未来’.東京:ぎょうせい. 白石克己․広瀬隆人 編. (2001).‘生涯学習を拓く’.東京:ぎょうせい. 岸裕司. (1999). ‘学校を基地にお父さんのまちづくり’.東京:学文社. 宇都宮県鹿沼市教育委員会 編. (2000). ‘学校をつくる地域をつくる’.東京:草土文化.
149
佐籐一子. (2002). ‘子どもが育つ地域社会’.東京:東京大学出版会. 国立教育政策研究所社会教育実践研究センター. (2002). ‘地域における通学閤宿活動の実態に関す る 調査研究’.東京:国立教育政策研究所社会教育実践研究センター. 国立教育政策研究所社会教育実践研究センター. (2002). ‘青少年の体験活動ボランティア 活動’.東 京:国立教育政策研究所社会教育実践研究センター. Community Engagement Office. (2006). Duval County Public Schools Volunteer Handbook. Retrieved from http://www.duvalschools.org/static/offcampus/downloads/2006-07%20Coor%20Book.pdf. Office for Community Learning. (2003). Seattle Public Schools Volunteer Coordinator Manual. Seattle: Office for Community Learning. http://springfieldschoolvolunteers.org/ssv/index.php?page=home http://www.schoolvolunteers.org/ http://www.vbschools.com/volunteers/VIE/vol_guidelines.pdf http://www.palmbeachschools.org/Volunteers/PDFs/Volunteer_Handbook_2006-07.pdf http://www.sfsv.org/ http://afterschool.edunet4u.net/as/index.jsp http://www.humble.k12.tx.us/commdev/VIPS/vips_home.htm http://www.littletonpublicschools.net/?tabid=445 http://www.falmouthvips.org/ http://www.schoolvolunteers.org/
150
연구진
• 과제책임자 변종임(한국교육개발원)
• 공동연구자 조순옥(한국교육개발원), 장수정(한림대학교)
• 연구조원 박효진(한국교육개발원), 노희준(한국교육개발원), 김현정(한국교육개발원)
집필진 • 변종임(한국교육개발원)
• 조순옥(한국교육개발원)
• 장수정(한림대학교)
• 정은희(경남대학교)
• 김득영(청계 초등학교)
• 홍숙희(부천시평생학습센터)
협력 및 검수진
• 김숙정(교육과학기술부) • 오경자(교육과학기술부)
151
연구자료 RRM 2009-17-01
방과후학교 학부모 코디네이터 운영메뉴얼
발
행
2009년 7월
발 행 인
진 동 섭
발 행 처
한국교육개발원
주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길 220-1
소
한국교육개발원(137-791) 전화 : (02) 3460-0114 팩스 : (02) 3460-0121 http://www.kedi.re.kr 등
록
인 쇄 처
1973. 6.13, 제16-0035호 디자인프리즘 (02) 2264-1728
이 책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