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folio Dec 2018

Page 1

12-18 PORTFOLIO YONGMIN LEE


CONTENTS

CONTENTS

OVERLAP ON CITYSCAPE - MISE EN SCENE - LOOP AND PATH - INSA HAN-OAK

HOUSING FOR COMMUNITY -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MULTI FAMILY HOUSING IN OAK-IN

EXTRA WORKS - ILLUSIONAL TREES - SUSTAINABLE HOUSING WORKSHOP - SECTION STUDY - URBAN ANALYSIS - SKETCH WORKS


CV

이용민 Yongmin Lee Superimpose [슈퍼:임포즈]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중첩시켜 단일 프레임에 동시에 나타나게 하는 기법.' 현대 건축은 다원화 되어 가는 사회 속에서 점점 복잡한 요소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건축가의 역할은 각 컨텍스트들에 대한 연구 후 그에 맞는 해결책을 찾아서 건축적 요소들로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 요소들을 하나에 설계로 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03. 24. 1993

Name

이용민 Yongmin Lee

E-mail

makavelli2419@gmail.com

Eduaction

한국기술교육대 건축공학부 건축학과

2012 ~

Baceherlor of architecture , Koreatech / Republic of Korea 07 . 2018

Sustainable housing from of European perspective Summer school program, faculty of architecture TU Delft / Netherland

Language

Work experience

Korean

native

English

advanced

조성욱 건축사사무소 (Joh Sung Wook Architects)

08. 2017 ~ 02. 2018

Internship / Seoul, Republic of Korea 03. 2017 ~ 08. 2017

다담창의센터 (Dadam creative center) Design mentor / Koreatech, Republic of Korea

License

Awards

건축기사 (Engineering architects)

05. 2018

LEED AP BD+C

04. 2017

2nd Prize

07. 2018

Summer school project / TU Delft, Netherland 10. 2017

Honorable prize LH housing comepetition / LH, Republic of Korea

06. 2017

Selected prize RE-BIRTH design competition / do.co,mo.mo, Republic of Korea

Software

AutoCAD

advanced

SketchUp

advanced

Rhino 5.0

advanced

Photoshop

advanced

Rhino-Vray

advanced

Illustration

good

Grasshopper

basic

Indesign

good

Diva for Rhino

basic

Raser cutting machine

good

03


500년의 역사를 가진 도시 서울에는 다양한 유형, 시대의 흔적들이 켜켜히 쌓여있다.


OVERLAP ON CITYSCAPE - MISE EN SCENE - LOOP AND PATH - INSA HAN-OAK

오래된 도시의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작업들이다. 단순히 신축과 리노베이션이라는 이분법적인 구분이 아닌 기존의 컨텍스트를 반영하면서  현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레 이어를 겹치는 것을 건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Mise en Scene 은 한국 권의주의 시대 건축의 상징인 메가스트럭쳐 , 서울 고속버스 터미널에 대한 생각이 담긴 프로젝트이다. 형태와 기능이 부조화를 이루고 있는 메가 스트럭쳐를 재생하고 지금 시대가 주목하고 있는 접근성, 휴식공간에 대한 고려를 했 다. Loop and Path 는 장충동에 위치한 negative heritage( 부정적 역사 유적)에 관한 생각들을 풀어내었다. 한세기 이상의 역사 속에서 장충동은 권력자들의 정치선전의 장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곳을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는 장소로 바꾸며 negative heritage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인사동 2층 한옥은 지금은 많이 남지 않은 2층 한옥이라는 건축 유형에 대한 스터디 로 시작되었따. 2층한옥이라는 생소한 건축유형은18세기에 시도된 한옥의 도시화 과 정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비극의 역사에 의해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우리 민족이 최초로 시도한 도시,건축적인 실험이라고 생각한다.

05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MISE EN SCENE A Rennovation project for Seoul express bus terminal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리노베이션 도심지 내 결절점 / Node point of metropolis Site : Ban-po, Seocho-gu, Seoul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Program : Transportation hub, commersial GFA : 167743 m² STATUS : Academic project , 2018 Individual work

MISE EN SCENE / 미장셴 MISE EN SCENE은 다양한 상징적 요소들을 한 프레임안에 담아 놓는 영화 촬영 혹은 무대 연출 기법을 말한다. 고속터미널 부근은 과거 정치적 기념비적인 랜드마크 건설을 위해 세워진 서울고속터미널 부터, 칙칙한 콘크리트 건물 속 에서 팔려나가는 꽃까지 많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있는 곳 이다. 위치 또한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곳이다. 서울 외부에서 유입되는 인구 시내 지하철로 이동하는 유동인구들이 한대 모 여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은 서울고속터미널 주변에서 일어나는 많은 요소들을 바 라볼 수 있고 또한 그 프레임 속에 들어가 일상을 연기 할 수 있는 무대이기도 하다. MISE EN SCENE 기법으로 한 프레임안에서 다양한 상징적 인 요소를 느끼듯이 말이다. MISE EN SCENE refers to a filming or staging technique in which various symbolic elements are placed in a frame. The express bus terminal is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which is was built for political ladmark in 1970s, and the flowers that are sold in dusky and huge concrete building. The location is also where the floating population of people who travel to the subway system in downtown Seoul is gathered. This is a auditorium where people can look at many elements that take place and also be a stage or frame to play daily routines. As the MISE EN SCENE technique feels various symbolic elemets within a frame


07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Site analysis

고속버스터미널 주변은 고층주거 , 상업 시설로 상당히 고밀도화된 곳이다. 하지만 박차장 지역은 접근이 불가능한 도심 속의 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리풀 공원

센트럴시티 터미널

SITE

상업지역

주거지역


Design process

PART. 1 _ 새로운 터미널 기존 터미널의 사람의 왕래가 없는 박차장 공간을 더 밀도있게 사용하고자 한다. 박차장 공간에 새로 운 터미널을 신축하고 그 위를 옥상 공원으로 만들 어 도심지의 새로운 녹지공간을 계획했다.

PART. 2 _ 라이프 스타일 마켓 기존 터미널의 기능인 상업시설을 재계획 한다. 터미널 건물에서 수직적 단절로 인해 쇠퇴하고 있는 상가시설에 수직적인 연계공간을 조성하여 재생 하고자 한다.

도심지 내 결절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과 타 도시간의 연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거대한 인프라스트럭 쳐는 도심 내에서는 통행을 방해한다. 기존 박차장 부지에 새 지형을 만들어 사람이 왕래 할 수 있도록 한다.

09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Circulation / Program

UP

DN

1

DN


UP

4

3

5

2

DN UP

N

0m 10m

30m

1 . 터미널 사무실

2 . 터미널

60m

100m

3. 경부선 승차장

4. 박차장

5. 상가

Ground floor plan

11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5m 중정을 통해서 터미널 내부에도 충분한 빛을 공급한다

0m

옥상 공원 버스로 가득 차있던 박차장 부지는 터미널 위 옥상 공원 으로 바뀌었다. 옥상공원은 3층 꽃시장과 같은 레벨로 연 결이 되어있어 연계된 활동을 할 수 있다.


12m

1 2 9m

1 . 옥상 공원

2 . 꽃 시장

3F floor plan

13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 기존 터미널

SECTION 1. 로비 2. 선큰마당 3, 중정 4. 경부선 대합실 5. 영동선 대합실 6. 승차장 7. 하차장 8. 박차장


전이 공간 외부인에게는 서울을 입성하는 첫 관문과 같은 공간 이다. 새로운 도시의 모든 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 라 램프와 계단을 통해 1층으로 올라가면서 단계적 으로 도시를 느낄 수 있는 시퀀스를 제공한다. B1. 선큰 마당

15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Perspective

여러 번의 증개축 과정으로 인해 고속버스터미널 은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렸다. 무거운 콘크리트 벽 대신 투명하고 얇은 커튼월 로 본래의 구조적인 형태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 록 계획했다.


수직적 단절

??? 3층 꽃시장

7층 빈 상가들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은 기존에 1층, 3층, 5층에 승강장으로 계획되 었다. 하지만 안전상의 문제로 폐쇄된다. 그 후 고속터미널의 모습은 급변하게 되었다. 고속터미널은 거대한 형태에 비해 내부는 연계없이 쌓여있다. 자연스럽게 유동인구가 적어진 4층 이상의 상가들은 쇠퇴 하여 초기 2000개의 상가중 60개 만이 남아있다.

시민들 관심 밖의 터미널 상층부 상가

Renewal strategy

Re-newal strategy - Urban living room

Present

현재 폐점한 상가 공간은 창고로 쓰이거나 빈 공터로 쓰인다. 이 공간을 고속터미널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약점인 수직적인 연 계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상점 사이에 show room 형태로 각 상점들의 물건을 전시하는 공간을 제안한다. New

Living Complex market

RESTAURANT

CAPPUCCINO 식당 レストラン タバコ eetkamer STEAKHOUSE SUSHI BAR

PARKING LOT 주차장 MACHINE ROOM マシンルーム

ON

POP-UP STORE

꽃시장

RA

RC

10X 서점 SHOW ROOM 10

BOOK

マガ CURIA- MEGAZINE ジン TING CATALOG

IKEA DESKER MARKET B 무인양품 COFFEE LAB

PLAN - INTERIOR FURSYS

MUJI 無印良品 STAND EXIHI- STOOL TEA TABLE 차 BITION ユニクロ PILLOW PEN

POT DRY FLOWER PARER FLOWER BUSH FLOWER ARRAGEMENT WHOLE SALE MAKRKET 06:00 ~19:00 WEEKDAY

IN TE

3F. CONNECTED TO ROOF GARDEN

ION

FLOWER MARKET

ROSE DAISY VIOLET SUNFLOWRER BASIL SALVIA LILAC

LIFE STYLE MARKET

MINIMAL LIFE

그릇

T ULA

10AM~9PM

SHOW ROOM

STORE

TI

라이프스타일마켓 도심 URBAN 공공 LIVING 거실 공간 ROOM 제공

INTERACTION

光井 LIGHT WELL ATRIUM VENTILATION

DESK CHAIR ONE DAY 講堂 KITCHEN 주방 CLASS WALL PAPER CARPET CLOCK BED TABLE BOOKSHELVES FROM 4F TO 9F COUCH CORNER SOFABED

SELF INTERIOR STORE

SHOW ROOM

CIRC

AUDITORIUM

PIZZA 중국집 HAMBURGER ハンバーガー FRENCH FRIED

Rijstnoedels 米粉 ビ〡フン 오므라이스 CHICKEN BAR JOHNSON STEW

STATIONARY STORE

PASTA

한가람 문구점 OFFICE GALLERY MODEL MATERIAL NOBRAND ICE CREAM CANDY GROCERY STORE

17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1

1

3

2

2-3층 규모로 설계된 urban living room 을 통해 층 간의 연계가 생긴다. 주변의 상점의 물품으로 큐레이팅 된 공간은 상점과 시민들을 연결 시키고 도심 속 쉼터 가 될수 있다.

1

삭막했던 터미널의 상층부는 Urban living room 으 로 층간의 연계가 되어 활성화 되고 시민들은 쉼터를 갖게 된다.

2 3

3 2 2

1

1

3 2

2

3

1

1 3

0m 4m 8m

1. Shop 2. Urban living room 3. Pop-up store

16m

32m

56m

5th Floor plan

Section plan


19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중첩 새로운 고속터미널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담겨져 있 다. 곡선, 직선, 언덕, 조경적인 요소들이 어우러져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도 각기 다른 일상 속에서 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대도시의 모습을 하나의 프레임 안에 담아 내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Bird view isometric

21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Section model | 1:100

23


MISE EN SCENE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Model | 1:600

25


LOOP AND PATH / COMPETITION PROJECT/ COLLABORATIVE WORK/2017

LOOP AND PATH A Regeneration of negaative history in mordern Korea 남산 2호터널과 장충동일대의 역사적 관점에서 재생 역사 인식의 새 전환점 / New turning point of history Project detail Site : Jangchung, Jung gu, Seoul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Program : Histortical park. GFA : STATUS : Competition project , 2017 Collaborative work

Leftover heritage / 남겨진 유산 남산 2호터널과 장충동 일대는 예로부터 권력자들의 정치적 정당성을 홍보하는 장소이다. 장충이라는 이름부터 국가에 대한 충성을 상징하며, 장충단 공원, 반공센터, 방공호의 기능 을 담당하는 남산 2호터널 까지 모두 지배세력의 표현의 장소 이었으며 이 곳에 시민은 소외되어왔다. 그들이 사라지고, 2017년 촛불혁명을 경험한 우리는 껍대기 만 남겨진 권력자들의 유산 대신 시민문화를 상징하는 새로운 문화 공간이 되기를 바란다. Namsan 2 tunnel and Changchung-dong area were places for promoting the political power. Jangchung, the loyalty to the nation, was a place of expression of the ruling powers to Anti-Communist Center, and the Namsan No. 2 Tunnel which is for the function of the OP. After candlelight revolution in 2017, we hope to become a new cultural space symbolizing the civic culture instead of the legacy of the rulers


LEADER, DESIGN, MODELING, MODEL, CG,

자동차만이 왕래하는 장충단로와 시민의 목소리는 담겨있지 않은 장충단의 유산들 대신 시민의 목소 리가 저장되어있는 터널과 새로운 시각으로 근대 유산을 바라보는 다리를 통해 새로운 장충동으로 변화되고자 한다.

27


LOOP AND PATH / COMPETITION PROJECT/ COLLABORATIVE WORK/2017

Part 1 Storage of civic expression (Path)

시민의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활동을 미 사일로 부터 목숨을 지킨 단단한 방공 호 벽 속에서 안전하게 보관 될 것이다.

방공의 역할로 남북 냉전의 상징으로 지어진 남산 2호터널

Closed loop 시민의 표현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수단을 통해 터널로 전달되고 터널이 메세지 저장소의 역할을 하여 다시 시민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이를 통해 다양한 시민들의 메세지들이 교환될수 있다. 미디어

미디어 센터

미디어 센터

터널

미디어

시민

시민

Mirror gate 1.6km의 긴 터널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넣게 되면 프로그램 사이에 충돌이 생긴다. 이를 완충하는 방법으로 거울 문을 제안한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만나는 곳에 일어나는 충돌 및 프로그램 단절

다른 공간으로 넘어가는 관문 과 뒷쪽의 공간을 계쏙 보여주 게 하는 거울

Mirror gate를 통해 각공간이 거울에 비춰보이면서 공간이 이어지게 보인다.

공간의 연속성을 통해 서로 다른 프로그램이 만나는 곳이서 자연스럽게 연결이 된다.

장충동 - 이태원, 남산 아래 보존되는 우리의 메세지

Tunnel garden 장충동

Agora

Story-ge Story theater

Display wall 이태원

Color wall

이 공간은 우리의 역사인 개개인의 일상이 표현되 고, 그로써 공동체 내의 사람들과 직·간접적으로 소통하며 공감하는 능동적 가치가 실현되는 공간 이다. 우리는 공동의 삶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표 현’, ‘소통’, ‘공감’이라는 이 세 가지의 가치를 터 널에 투영시켜 사람들이 터널을 통과하고 프로그 램을 체험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유기적으로 엮이 며 연결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LEADER, DESIGN, MODELING, MODEL, CG, 1.6km 의 터널을 동족상잔의 상징이 아닌 자유로운 표현의 상징으로 채워간다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 참여하는 문화시설을 만들고자 한다. 이태원

Color wall

Agora

Story-ge

남산 2호 터널 Namsan 2nd tunnel Remember

Itaewon

장충동 Jangchung

Meditation

Display wall

Tunnel garden Remember

Display wall 일정 규격의 모니터를 시민들에게 분양하여 그들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전시하는 공간. 터널은 시민들의 표현을 전시, 기록, 보존하 는 공간으로 변화한다. Tunnel garden 낮은 조도에서 자랄수 있는 식물을 산책길 곳 곳에 채워 넣는 활동을 통해 시민들이 만들어 나가는 남산 밑 산책길

Section of Tunnel garden

29


LOOP AND PATH / COMPETITION PROJECT/ COLLABORATIVE WORK/2017

Part 2 : Jangchung bridge (Loop) Loop bridge를 설치, 보행자로를 마련하

고도차이와 보행자로의 부재로 접근성이

고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을 유도하여 유

떨어지는 근대 문화유산.

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Bridge design process

Loop design concept Loop 는 분기점으로서 서로 다른 레벨의 오버 패스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고 장충단로 보행동선을 방해하는 8차선 도

속도로의 인터체인지처럼 다른 레벨의 도로를 이어 주어야한다.

로와 차량 진입로

장충의 여사적 특성에 따라 연결을 위한

다양한 레벨의 풍경을 경험

추상적 분기점 선정

각 분기점의 레벨을 계산하여 서로 다른

나선형 매스를 통해 서로 다른 고도

레벨의 오버패스로 장충단로 일대 연결

의 보행동선을 이어준다.

보행환경 증진

장충단로

Point C

Point E

남산2호터널

Point D

Plan C, D, E

자유센터


LEADER, DESIGN, MODELING, MODEL, CG, 1. Loop 추출 방법 (Extract)

2. 형상에 따른 프로그램화 (Stacking, Narrow, Widen)

Loop bridge 장충동 일대를 지나는 이 다리로 기존에 8차선 도로에 의한 열악한 보행 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사람의 시선에서 위압감을 주던 건물들을 위에서 바라 보며 다른 시각에서 권력자들의 유산을 바라보며 인식을 개 선하고자 한다.

Section a-a' BIRD PERSPECTIVE -31D,E


INSA HAN-OAK / GRADUATION PROJECT/ INDIVIDUAL WORK/2018

INSA HAN-OAK The 1st urban experiment in Joseon dynasty 한양의 밀도화를 위한 도시적 실험 Project detail Site : Insa dong, Jongrno gu, Seoul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Program : Commercial GFA : 547㎡ STATUS : Academic project , 2017 Individual work

Double floor Han-oak/ 2층 한옥 2층 한옥상가은 일상적인 용도서 세워진 첫 다층형 건물이다. 일 반 민가에서도 발견 되어지기도 하지만 부분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2층 한옥상가는 우리 조상들이 시도한 평면의 첫 수직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1890년 경성의 전차 노선을 따라서 세워진 2층한옥상가는 전 면부에는 2층 상가, 후면부에는 주거공간으로 나누어져 다목 적의 건물로 활용 되었다. 도시의 산업화로 인해 2층 한옥 상가는 개발에 의해 철거되기 시작하였고 현재 서울지역에는 21 곳 만이 그 형태를 유지하 고 있다. 좁은 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했던 선조들의 흔적을 보존 하고자 한다. The second floor of the building is the first multistorey building built everyday. It is found in general public, but it is only partially used. The second floor hanok mansion is the first vertical extension of the plane that our ancestors attempted. The two-story Korean-style building, which was erected in 1890 along the Kyungsung tram line, was divided into a two-story house on the front and a residential space on the rear.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ity, the second floor hanok mall star ted to be demolished by development, and only 21 places in Seoul area now maintain its shape. We want to preserve the trace of the ancestors who tri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narrow land.


33


Design process

후면 증축 건물을 철거, 전면 2층 한옥 보존

중정을 통해 건물 내 자연 채광 공급

2.4m 기존 건물 모듈

작은 스케읠 모듈감을 유지/ 경량 구조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 3층으로 증축

한국의 전통기와

ㄷ자 도시 한옥의 배치 계승

기와와 비슷한 톤의 금속재질 지붕

90년이라는 오랜 역사를 가 진 인사동 고미술 시장의 침 체상업화 자본화로 변질된 인사동의 성격을 참여형 프 로그램으로 재생

고미술과 관련된 인사동의 컨텍스트를 유지하면서 시민들이 참여할수 있는 프 로그램을 계획했다.


1. 상점

1. 교육실

2. 전시실

2. 공방

3. 수장고

3. 공동 작업실 4. 수리방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35


안양멘션의 중정에는 그 시절의 건강한 공동체 활동들을 상상하게끔 하는 흔적들이 남아있다.


HOUSING FOR COMMUNITY -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MULTI FAMILY HOUSING IN OAK-IN

발레리 줄레조의 책 아파트 공화국에서 지적했듯이 한국 특유의 건설사와 정부가 만 들어 내는 주거 환경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 후 다양하고 건강한 주거문화를 꿈꾸며 한국에서 대도시의 주거의 모습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수 있다. 한국 주거 문화 에 문제점은 공동체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프로젝트는 청년들을 위한 공동주택 단지이다. 기존 쉐어하우스가 가지고 있는 작은 규모로 인해 가지지 못했던 다양성을 공동주거 단지에 심는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었다. 각기 다른 유형의 주거방식과 커뮤니티 공간을 스케일 별로 분류하여 다양한 활동들이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계획하였다. 또 한 중정, 데크등 비교적 넓은 외부환경을 공유함으로써 건강한 주거 공동체를 구현하 고자 했다. 옥인재색 (multi family housing in Oak-in) 프로젝트는 소규모 공동주거 프로젝 트이다. 단순히 원룸으로 월세, 전세로만 대표되는 다세대주택이 아니라 그 지역에 밀 접한 문화적 맥락을 가지고 있는 마을의 중심점으로의 역할하는 주거 건물을 만들고 자 했다.

37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A Housing complex project for youth 청년들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 다양성과 통합성 / Diversity and unity Site : Hagye, Nowon-gu, Seoul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Program : Dwelling, Share house GFA : 9393 m² STATUS : Competition , 2017 Collaborative work Households : 221

Diversity and Unity / 다양성과 통합성 기존의 쉐어하우스는 소규모 필지에서 단일건물로 운영되어 소수 수용인원으로 구성되며 공간의 협소로 인해 다양함이 아 닌 단조로운 주거 방식과 공유형태를 띄고 있다. 이처럼 쉐어 하우스에서는 최소 주거 조건과 공유라는 개념으로 대표되는 ‘통합성’ 의 성향을 띄고 있기에 사람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앞으로의 쉐어하우스는 개인의 다양성과 생활을 공유하여 효 율적으로 공간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성이 조화를 이루어 져야한다. The new housing type named 'Share house' is operated in small site and building volume. Beacause of this condition, it has monotonous housing units and sharing method. From this reason, lack of diversity for dwellers, there are some troubles between people. For this new housing type, A diversity for dwellers and unity for sharing have to been consider at the same time


DESIGN, MODELING, MODEL, CG,

39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Methodology / 해결 방법

Axonometric view

금요일 PM

세가지 공유의 형태 / 3 different sharing type

정기적으로 리를 하고 춤 상은 잠시 제 친목의 시간

거주자들의 공유공간을 규모에 따라 3가지로 구분 Division of sharing space by size of area

LARGE SCALE 전체 거주자를 수용하는 공간 Fitness, co-working space

MEDIUM SCALE 주동 거주자를 수용하는 공간 3 public living space

SMALL SCALE 소규모 공유그룹을 수용하는 공간 Kitchen, bathroom

Mass concept, 수직과 수평

목요일 PM 8:00 목요일옥상에서 PM 6:00만나~! 옥상정원에서 만나 목요일 PM 6:00 옥상정원에서 만나 목요일 PM 6:00 옥상정원에서 만나 각 옥상에 각 동마련된 옥상에정원은 마련된‘원룸’에서는 정원은 '원 부족했 던각발코니의 개념으로 야외정원이 꾸며져있다. 옥상에 마련된 정원은 ‘원룸’에서는 부족했던 룸'에서는 부족했던 야외 조경공 각 옥상에 마련된 정원은 ‘원룸’에서는 부족했발 입주민들은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빨래도 코니의 개념으로 야외정원이 꾸며져있다. 입주민 간으로개념으로 꾸며져있다. 입주민들은 던 발코니의 야외정원이 꾸며져있다. 널며 발코니를 마음껏 누린다. 들은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빨래도 널며 발코니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빨래도 입주민들은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빨래도 널어누린다. 발코니를 를 마음껏 널며 발코니를 마음껏마음껏 누린다.누린다.

공유공간을 수평적으로 확장하고 주거공간을 수직적으로 확장 각 주동은 다른 레벨을 갖게 하여 다양성을 갖게 된다.

Connection, 연결

지상층은 거주자 방문객 모두 왕래가 가능하지만 데크는 방문 자의 진입을 제한하여 거주자들의 공유테라스가 된다

Design process

1. Subtraction

2. Courtyard & Three access

4. Make a path

5. Divide the mass

3. Reflect the cityscape High & Low

6. Extrusion for community

화요일 PM 8:00 수박먹으며 안녕! 화요일 PM 8:00 수박먹으며 안녕! 더운8:00 여름날 저녁, 안녕! 데크의 평상에 둘러앉 화요일 PM 수박먹으며 화요일 PM 8:00 수박먹으며 안녕!둘러앉아 두 더운두런두런 여름날 저녁, 데크의 판상에 아 이야그를 하며 수박을 나눠먹 런두런 이야기를 하며 수박을 는다. 옛 동네의 고목나무 아래의 평상처럼, 옛 더운 여름날 저녁, 데크의 판상에 둘러앉아나눠먹는다. 두런두 더운 여름날 저녁, 데크의 평상처럼, 판상에 둘러앉아 두 동네의 고목 나무 아래의 소 이곳도 장이 된다. 옛 동네의이곳도 런 이야기를 하며소통의 수박을 나눠먹는다. 고 런두런 이야기를 하며 수박을 나눠먹는다. 옛 통의 장이된다. 목 나무 동네의 아래의 평상처럼, 이곳도 소통의 장이된다. 고목 나무 아래의 평상처럼, 이곳도 소 통의 장이된다.


DESIGN, MODELING, MODEL, CG, 7:30 오늘은 하우스파티 하는날~

로 하우스파티가 열려 입주민들이 함께 요 춤추고 노래한다. 일과 학업에 지쳤던 일 제쳐두고 휴식을 즐기며 입주민들간의 간을 갖는다.

금요일 PM 9:00 하우스파티, 그 두번째 장 거실에서 식사를 다 마친 후 단지 내 중정에서 진행되는 신나는 댄스타임! 다함께 춤추고 놀면서 서로를 더 알 아가고 친해지는 시간이 된다.

금요일 PM 7:30 오늘은 하우스파티 하는날~ 정기적으로 하우스파티가 열려 입주민들이 함께 요리를 하고 춤추고 노래한다. 일과 학업에 지쳤던 일상은 잠시 제쳐두고 휴식을 즐기며 입주민들간 의 친목의 시간을 갖는다.

일요일 PM 3:00 그냥 흘러가는대로 가보자 한가로운 일요일 오후, 거실에 모여 함께 요리를 해 서 서로 나눠먹고, 영화를 보고, 이웃들과 수다를 즐기는 등 각자의 방식대로 일주일만의 여유를 즐 긴다.

41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3

1

2

4

6

5 7

1. Management office 2. Market 3. Pubilc workroom 4. Fitness center

8

5. Coworking space 6. Restaurant 7. Small class 8. Library

1st Floor plan


DESIGN, MODELING, MODEL, CG,

B 2

1

1

2

1 2

2

1

A 2

1

C

1 1

2

2 1

2 1 2

1. Kitchen & dining 2. Living room

2nd Floor plan

43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A. (53세대)

한 주동에서 10~20세대가 주방, 식당, 거실, 화장실을 수직적 으로 공유하며 함께 살아간다. 세개의 동 사이에 돌출된 거실에선 옥상층과 연계하여 커뮤니 티 공간을 제공한다.

B. (155세대)

3~4세대가 모인 각 주호에서 주방, 식당, 거실, 화장실을 공유 한다. 돌출된 매스에선 부족한 거실의 역할을 하며 옥상층에 마련된 정원을 통해 부족했던 야외공간을 해결한다.

C. (54세대)

방 내부에 화장실이 포함되어있어 개인공간의 영역이 크다. 복층으로 이루어진 거실에서는 휴식과 친목도모의 장소가 된다.

R ; room T : toilet D : dinig room K : kitchen L : living room

Typical plan

Pubic living room


DESIGN, MODELING, MODEL, CG, 단순한 모양의 직육면체 건물들에 패턴을 입히고 변화를 주어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그 모습이 활기찬 모습으로 매일 아침을 시작하는 입주자들의 모습과 닮았다. 각 주 동은 다양한 사람들처럼 각기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그 리고 그 둘레에는 이들을 연결해주는 데크가 돌아간다. 돌출된 매스는 각 동의 ‘Public Living Space’로 변화 를 준다. 이 공간은 완벽히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다양한 활동이 일어난다. 이웃들과 함께 음식을 나눠먹고 함께 영화를 보는 등 여가를 즐기고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하우스 파티가 열리면 이곳이 바로 파티장이 된다. 혼자 살아가며 적적했던 생활에 활기찬 변화를 주는 공간인 것 이다. 개인의 공간에서 밀려나와 이곳으로 모인 사람들처럼, Public Living Space는 돌출된 모습으로 단순한 직육면 체에 변화를 준다. 그리고 떨어져있는 각각의 주동을 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매개공간이자 통로가 된다.

성격이 다른 3개의 동이 2층의 데크 공간을 통해서 연결이 된다.

커뮤니티 공간과 주거 공간이 입면에서 성격이 다르게 표현 되어있다.

45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주동은 단순한 직육면체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창문 디자인에 의한 패턴이 입혀져 마냥 단순해보이지만은 않는다. 크지 않은 방이지만 좋은 채광과 환기를 위해 한쪽 벽면을 모두 차지할 만큼 큰 창 을 내었다. 그리고 일반 미닫이창이 아닌 접이식 창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높 였다.

30m

12m


저층부에는 도서관, 상업, 코워킹 스페이스와 같이 전체 거 주자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공용공간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시설을 저층부에 위치하여 중정과 단지 내에 산책로를 통해 서 연결되고, 외부로 오픈되어 있어 전체 거주자들이 자유롭 게 사용 될 수 있게 하였다. 돌출부에서는 주동별 거주자간의 공용공간으로 중간규모 의 커뮤니티가 일어난다. 각 유닛에서 부족한 공간인 living space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그리고 주동 형태의 질서에 어긋나는 형태로 디자인을 하여 주목하 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작은 규모의 공용공간으로는 한 유닛 혹은 주동안에서 10 명 안쪽의 그룹간의 커뮤니티로 주방, 화장실, 세탁실과 같 이 생활과 밀접하고 프라이버시가 중요시 되는 성격의 공간 을 배치하였다.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만큼 사용자의 수를 적게 나누어 거주자들 간의 갈등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 다. 이처럼 각 공용공간의 성격을 공간의 크기, 사용인원, 사적 활동의 정도의 측면에서 구분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셰어하 우스에 비해 다양한 특성의 커뮤니티 공간이 혼재되어 있지 않고 위계를 갖고 정리가 되어 거주자들 간의 갈등,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47


DIVERSITY & UNITY IN 3 EXTRUSIONS / COMPETITION WORK / COLLBORATIVE WORK / 2017


각각의 주거 특성을 갖는 세 개의 분리된 주동을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저층부의 옥상을 데크 공간으로 활용하여 연결 을 하고자 했다. 이 데크 공간은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외부인의 출입은 차단이 되어있다. 데크 공간은 각 주동을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고 또한 공간의 협소로 인해 부족한 야외공간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거주자 전 체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공용 테라스로 사용되어 사 람들이 함께 모여 외부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복 도와 계단으로 대변되던 공동주택의 동선 공간과는 다르게 데크 공간에서는 이동뿐만 아니라 여러 행위들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계획을 하였다. 오늘날 아파트 단지에서는 그때의 평상을 ‘중앙공원’쯤으 로 표현하며 하나의 공간으로써 구현했다면, 이 곳은 입주 자들의 동선상에 있는 데크에 적용시켜 보았다. 각 동을 둘 러쌓고 있는 데크는 떨어져 있는 동을 이어주는 복도 역할 과 동시에 옛 골목길의 평상 역할을 한다. 통행로의 역할뿐 이던 데크에서 이제는, 통행하는 이웃 주민과 우연한 만남 의 연속이 일어나게 될 것이고 집에서 시원한 아이스 아메 리카노를 들고 나와 이웃 주민과 얘기하는 노천카페가 형성 될 것이다. 그리고 때로는 야외극장이 되고 때로는 식당이 되고 때로는 젊은 예술가의 작업실이 될 것이다.

49


MULTI FAMILY HOUSING FOR CULTURAL REGENERATION/ ACADEMIC PROJECT/ COLLABORATIVE WORK / 2016

옥인 제색 Multi family housing for cultural regeneration 지역적 특성을 가진 다목적 다세대 주택 다목적, 다세대 / micro - share housing Project detail Site : Ok-in, Jongrno gu, Seoul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Program : Housing GFA : 836.5 ㎡ STATUS : Academic project , 2016 Individual work

NEW SHARE SPACE / 새로운 공유공간 기존 쉐어 하우스의 공용공간은 주방, 세탁실, 거실등을 공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은 목적이 있지 않는 한 찾지 않는 공 간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일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삶을 공유하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쉐어하우스는 기능에 따라 공유공간을 정한다. 하 지만 이곳은 주거유닛 간의 테라스 3층과 4층의 light well 을 통해서 시각적인 공유와 물리적인 공유가 일어난 다. 테라스를 공유하면서 삶의 질이 더 쾌적해질 것이다. The common space of existing share house share kitchen, laundry room, living room, etc. However, such a space is a space that is not found unless it has a purpose. In this project, I would like to present a space in which I share my life unconsciously in daily life. Existing sharehouses determine shared space according to function. However, there is visual sharing and physical sharing through the light wells on the third and fourth floors of the terrace between residential units. The quality of life will become more pleasant by sharing a terrace.


51


Design process

기존의 쉐어하우스는 기능에 따라 공유공간을 정한다. 하지만 이곳은 주거유닛 간의 테라스 3층과 4층의 light well 을 통해서 시각적인 공유와 물리적인 공유가 일어난 다. 테라스를 공유하면서 삶의 질이 더 쾌적해질 것이다.

Plan 1. 1인실 2. 테라스

1 2

2 1

2

1. 2. 3. 4.

사무실 편집실 인쇄실 회의실

1

1

1

2

4

3

4F Plan

Light well

1. 진입마당 2. 소형서점

1. 1인실 2. 2인실 3. 테라스

상대적으로 어두운 북향을 위해 중정을 배치

3

3 1

2F Plan

1 1 1

2

3 1

2 3 1F Plan

3F Plan 진입마당 평상에 앉아 지역주민들이 담소를 나눌수 있다.


Perspective

루버를 통해 간접광선으로 채광을 한다.

옥상은 거주자들의 공용공간으로 텃밭으로 사용된다.

Multi fucntion housing

53



EXTRA WORKS

- ILLUSIONAL TREES - SUSTAINABLE HOUSING WORKSHOP - SECTION STUDY - A RESERCH OF THE DENSITY, SEOUL - SKETCH WORKS

55


EXTRA WORKS / PAVILION DESIGN / INDIVIDUAL WORK / 2017

ILLUSIONAL TREE 가로수를 이용한 파빌리온 실상과 허상의 교차 / Intersection of real and illusion

빛의 굴절, 통과, 반사

Design concept

빛의 반사와 굴절이라는 기본적인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가로수 파 빌리온을 계획하였다. 파빌리온 속 가로수는 사선 형태로 배치된 거울과 파이프 그리드에 결합 된 유리를 파빌리온 속에 배치하게 되면 무질서한 방향으로 굴 절, 반사, 통과가 이루어진다. 파빌리온 속 나무들은 거울, 유리를 통해 사람의 망막에는 가짜나무 와 실제 나무들로 채워지게 된다. I used the basic light properties of light reflection and refraction to plan a tree-lined pavilion. In the pavilion, the trees are arranged in a diagonal shape with mirrors and glass placed in the grid. Trees in the pavilion are filled with mirrors and glass, and human retina is filled with illusions and real trees.

거울의 각도 / Angle of mirror 거울의 각도의 조절을 통 해 다양한 빛의 연출을 의 도하였고, 그 결과로 다양한 허상의 나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거울과 유리의 교차로 빛들이 다양한 각도로 통과를 하고 반 사가 가능해진다. 우리가 보는 나무는 기존의 나 무가 아닌 왜곡된 나무 뒷편의 거리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거울과 유리가 있는 파빌리온 왜곡된 모습과 반사된 모습 그 리고 실제 모습이 겹쳐서 보이 게 된다. Distored Reflected


Model

Plan

Section 1000x1000 Glass

Mirror

60X60 Pipe

57


EXTRA WORKS / WORKSHOP / 2018

Sustainable housing from European perspective 유럽의 관점으로 보는 지속가능한 주거 Summer school, Faculty of Architecture , TU Delft, 2018 Role : Facade design, rooftop design 2nd prize in workshop result

0. 주거, 인구 절벽 집은 건축의 주 목적인 쉘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 라고 생각한다. 건축에 대해서 공부할수록 집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사람들이 집에 사는 방식인 주거에 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 다.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는 고령화 현상, 저출산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미 유럽의 주요 나라는 인구 감소 추세가 두드러지고 한국 또 한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거 혹은 주거 정책은 건축에서의 관점 뿐만아니라 부동 산적인 측면에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즉 집은 한 가정 재정에서 매 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인구 감소 현상 으로 점차 부동산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대부분의 가정의 재정에 상당한 타격이 있지 않을까라는 걱정을 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은 현

재 오래된 아파트에 대한 재건축 붐이 일어나고 있다. 아파트 재건축 의 주 목적은 오래된 아파트에 대하서 안전과 생활 환경을 증진에 주 목적이 있지만, 그 외에 세대수를 증가하면서 재산증식에 목적을 두 고 있다. 아파트 재건축은 막대한 공사비와 투자 비용을 들이면서 대 규모의 공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인구 절벽으로 인한 수요감소와 공 급과잉을 통해서 부동산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많은 타 격이 있을 것이다. 이러던 와중에 델프트 공대 건축과에서 진행하는 'Sustainable housing from European perspective'라는 워크샵을 참여하게 되었다. 인구절벽 현상이 이미 일어나고 있는 유럽이 바라보는 지속 가능한 주거에 대해서 배울수 있는 기회이었다.

1. Sterflats 아파트 재건축 계획 , Rotterdam 이번 워크샵에서 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는 Sterflats 이라는 로테르 담에 위치한 오래된 아파트를 재계획하는 것 이었다. 이번 워크샵의 메인 과제로 지속가능한 주거를 목표로 재계획하는 프로젝트이었다. 목표를 위해 개인의 능력, 역할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조를 짜고 팀작 업으로 진행하였다. 나의 역할은 건축가로 아파트의 입면 디자인과 옥상등을 디자인하는 것 이었다. 아파트의 친환경적인 느낌과 효과 를 주어 지속가능하다는 이미지를 시민들에게 부각시킨다는 개인 목 표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건축주인 입주자 대표회 의에서는 green space의 면적이 넓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한국과의 다른점이라고 하면 이곳의 아파트 재건축은 특정한 비전을 가지고 시작한다는 것이다. 친환경, 지속가능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선도적인 아파트를 만드는 것이다. 또한 이벤트적인 성격의 환경운 동이 아니라 지속가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요소 또한 중요 하게 고려하고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환경과 경제라는 관점이 대립 되어 논쟁을 펼치고 있는 한국과는 매우 다른 분위기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환경을 당장은 높은 비용이 들 어도 장기적으로 비용절감을 통해서 경제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유럽의 관점이었다.

Facade design

West elevation

North elevation

Gallery interior


Roof top section

Detail section of Apartment

내가 맡은 부분은 아파트의 입면 부분이다. Sterflat 아파트는 우리 나라에도 흔히 볼 수 있는 복도식 아파트로 북쪽의 복도를 한 층의 모 든 세대가 공유하는 아파트이다. 거주자들의 공유공간인 이 복도 공 간을 Botanic gallery로 만들고자 했다. 일상을 함께하는 공간에서 자연이 주는 생기를 제공하고자 했다. 복도 공간이 단순히 이동을 위 한 공간이 아닌 작은 정원처럼 느껴지고자 했다. 환경적으로도 Plant

고 그안에서 한칸, 두칸 다시 한칸틀 띄우는 방식으로 배치를 해여 자연스로운 패턴으로 배치를 하고자 했다. 기존의 옥상 공간은 빈 공터로 어떤 활용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곳 에 태양열 패널과 그 밑을 그늘로 활용하여 거주민들의 커뮤니티 공 간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또한 빗물을 모아서 grey water로 활용하 여 변기물, 조경수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웠었다.

wall이 주는 효과는 많다고 볼 수 있다.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공기를 막을 수 도 있으며 주변에서 들리는 소음 그리고 자연적으로 단열 효 과도 낼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보았을 때도 아파트를 미관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Plant wall은 설치비용과 환경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입면의 60%를 덮고 패널로 모듈화 한 후 다양성을 부여하고자 랜덤 하게 재치했다. 단일한 벙법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량을 정하

위의 두가지 방법외 달성 목표인 energy label B 를 위해서는 건물 의 단열시스템, 창호 시스템에 대한 교체가 필수적이었다. 기존의 단 창에 나무 프레임, 철제 프레임 창호를 2중 혹은 3중 로이 유리, 프레 임 속에 단열제가 들어가있는 시스템창호로 교체를 하였다. 작은 디 테일한 부분이지만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Photo in summer school

2. 지속가능한 주거를 바라보는 유럽의 관점 이번 워크샵애서 느꼈던 유럽의 시각은 실용적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워크샵에서 들었던 말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은 "Keep balance" 라는 말이었다. 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이어야하며 동시 에 아름다울 수 있는 건축 혹은 주거가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든 다는 것이 그들의 관점이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말일 수 있지만 그 지점을 찾아가는 협의 과정, 스터디 과정을 배울 수 있었다. 어느 한 프레임 에 치우치지 않고 다각도로 바라보는 모습을 배울 수 있었다. 이번 워 크샵에서는 주거공간을 디자인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공간으 관리 하는 방법, 주거 정책등을 배울 수 있었다. 유럽도 또한 주거를 사는

곳으로 의미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정 재정에서 큰부분을 차지하 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 중 독일의 경우가 매우 인상적이었다.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가 월세를 주로 주거 공간 소유 방법으로 선택 을 했지만 독일의 경우는 자가형태로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국가 적으로 주택 소유에 많은 지원을 해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자기 집을 소유할수 있다고 한다. 그 결과 주거지역이 더욱 관리가 잘 되며 좋은 커뮤니티를 형성한다고 한다. 앞으로 나아가야할 지속가능한 주거 방법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다.

59


EXTRA WORKS / SECTION STUDY / 2018

Section study (essay, drawing) 단면에 대한 글과 그림 건축에서 단면이란 , 2017 조성욱건축사사무소

"평면에서는 느낄 수 없는 공간감,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도구 " 0. 서론 건축설계는 도면을 통해서 완성이 된다.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모두 각기 다른 용도와 목적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하지만 저학년 때 진행 했던 설계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단면도는 항상 작업의 마지막으로 마감에 맞추기 위해 급히 그렸었다. 항상 단면에 대해 아쉬움을 가지 고 있던 와중 여러 건물들의 단면을 유형화한 <단면의 정석>, 뉴욕의 건축을 분석한 <Delirious New York> 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 후 건축을 분석할 때 단면 유심히 분석하게 되었다. 단면을 분석하 는 방법은 주로 단면도를 그려보는 방법을 통해서 공부를 하였다. '조성욱건축사사무소' 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동안 사무실 프로젝 트의 단면투시도를 그릴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단면을 통해서 프로 젝트의 퀄리티, 디테일,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다.

Min house - 조성욱건축사사무소

1. 단면 건축 도면에서 단면의 의미는 건물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수직인 절 개로 정의된다. 이렇게 잘려진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지는 것을 단면 도라고 할 수 있다.정의에서 볼 수 있다시피 단면은 실제로 볼 수 없 는 물체나 건물의 모습을 보여준다.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건축 도면인 평면도는 각 실의 배치 실의 구성을 볼 수 있는 반면 단면도에 서는 각 실의 공간감을 보여준다. 즉 건물 내, 외부의 윤곽선, 실내 공 간, 구조, 각 부분의 디테일 등을 볼 수 있다. 평면과 단면을 조금 더 비교를 하자면 평면은 벽을 절개하여 수평면에 투영된 모습을 보여 주지만 단면은 벽, 바닥 그리고 천장을 개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스케일, 공간감을 확인할 수 있다. 활용 측면에서도 평면은 아주 기본 적인 공간 디자인을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이 된다. 이에 반해 단면은

평면을 통해서 생겨지는 공간의 공간감을 확인하며 도면이 실제로 지 어질 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흔히 많은 학생들이 설계하는 프로세스에서 평면디자인을 위주로 하고 단면디자인은 계 획 막바지에 하거나 마감에 닥쳐서 단면도를 그리고 있지만 이는 좋 은 공간을 만드는 데에 부적합한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단면은 크게 보여주는 규모에 따라서 분류가 된다.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대지 단 면도, 건물 단면도, 벽 및 세부 단면도로 구분이 된다. 이러한단면도 를 통해서 건물의 성능이나 공간감이 표현된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 경건축이 대두 되면서 공기가 순환 되는 모습이나 자연광이나 열에너 지가 건물 내부에 작용하는 모습을 단면도를 통해서 표현한다.


2. 단면의 유형

Paul Lewis가 지은 단면의 정석이라는 책에 따르면 단면의 유형에 따라서 분류를 할 수 있다.

압출(extrusion) : 계획된 평면을 직접적으로 압출하여 계획 또는 용도를 위해 충분한 높이를 만듬 적층(stack)

: 층위에 층을 직접적으로 겹쳐 놓은 것

형상(shape)

: 건축물의 1개 혹은 그 이상의 기본 바닥 표면을 변형하여 공간을 조각 함

전단(sheer)

: 단면적 차이를 만들기 위한 건물의 수평 또는 수직 축으로 하나의 절단 또는 균열 의 사용

관통(hole)

: 슬래브를 관통한 다양한 스케일 및 개수의 침투 단면에서 손실된 바닥면적은 단 면의 이점으로 환원

경사(incline)

: 활용가능한 평면을 기울이는 조정 방식으로 단면에서 평면이 기울어지게 됨

중첩(nest)

: 읽기 가능한 볼륨의 상호작용 또는 중복 겹침을 통해 단면을 생성

2.1 적층형 단면 적층형 단면의 보편적인 예를 들면 아파트로 들 수 있다. 똑같은 압출된 형태의 단면이 반복 적으로 쌓여 올라가는 단면을 적층형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아파트와 같이 단일한 프로그램 의 건축물은 층마다 차이가 있을 이유는없다. 하지만 층마다 프로그램의 차이가 있다면 단면 의 변주을 주며 적층할수 있다. 이러한 단면의 예로는 Starret & Van Vleck 의 Downtown Athletic club을 들 수 있다. 1930년에 지어진 이 오래된 건물은 Rem Koolhaas 의 Delirious New York (광기의 뉴욕)에서 재조명 되었다. 이 건물은 호텔, 체육관, 수영장, 스 쿼시 코트 와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해 층고 또한 1.8m 에서 7.2m 까지 다양한 층고의 단면을 디자인 하였다. 적층형 단면의 특징은 각 층이 다른 층과의 연계를 가지지 않고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할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적층 형 단면의 건축을 통해 도시는 다양성과 복합성을 지니게 된다. ◀ Downtown Athletic club - Starret & Van Vleck

2.2 관통형 단면

조촌동 주택 - 조성욱건축사사무소

Min house - 조성욱건축사사무소

관통형 단면은 슬래브를 관통한 보이드 공간에 의해서 형성된다. 관 통형 단면의 중요한 점은 평면의 손실로 인해서 생기는 부분을 단면 면에 이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 결과로 건축물 전체로 볼 때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관통형 단면을 가진 건축물에서 이 보이드 공간은 채광과 환기를 통 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거나, 층간의 연계를 만들어낸다.

조성욱건축사사무소에서 진행한 주택 프로젝트에서도 관통형 단면 을 찾아 볼 수 있다. 관통한 공간은 빛을 들이는 천창 밑의 공간이 되 고 다른층을 연결하는 동선의 공간이 되기도 하며 그리고 중정의 공 간이 되어 환경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야외공간을 소유할 수 있게 된 다. 울타리를 제한하는 판교주택단지의 특징에 의해서 많은 집들이 관통형 단면을 가진 'ㅁ' 자 배치로 계획 되었다.

61


EXTRA WORKS / RESEARCH OF DENSITY / 2016

A Reserch of the density, Seoul 대도시의 밀도 조사 서울을 중심으로 <도시 및 단지계획> 연구 과제, 2016 Prof. Dario Pedrabissi

"서울에서 가장 빽빽한 밀도를 가진 곳은 관악구이다. 고층건물이 많다고 고밀도인 것은 아니다 "

0. 서론 1960년대까지 농촌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던 서울은 50년 사이에 세 계에서 가장 큰 도시중에 하나로 발전하게 되었다. 서울은 1970년대 강남개발을 시작으로 아파트와 고층 오피스 단지 건설로 세계가 주목 하는 고밀도의 도시가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밀도를 분석하고 밀도라는 수 치적인 요소가 도시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밀도는 일반적인 의미로 어느 공간에 얼마나 빽뺵하게 들어있는지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구, 세대수, 용적률 을 통해서 서울의 밀도가 어떻게 되는지 더 나아가 서울을 구성하는 각 구의 밀도를 비교하여 어느 행정구역이 가장 밀도가 높은지 그리 고 그 행정구역을 구성하는 도시적, 건축적인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 해 연구하고자 한다.

1. 서울 그리고 서울의 밀도 1970년대 이전의 서울은 오랫동안 보존이 되어온 길을 따라서 물길 을 따라서 발전을 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발생적으로 저층 건물 들로 도시를 구성하게 되었다. 1970년대 부터 한국의 산업화와 근대 화를 통해서 이촌향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한강의 이북으로 도저 히 밀려드는 인구를 통제할 수 없었던 서울은 한강이남의 개발을 시 작하게 된다. 인구 수의 증가로 1970년대 이후의 주거는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을 위주로 발전하게된다. 그 결과로 서울은 한국을 넘어 전세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도시가 되었다.

서울특별시 구별 밀도 조사

전체 면적 밀도

서울의 도시적인 특징은 큰 강을 경계로 다른 모습의 도시를 가지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산이라는 자연적인 요소도 있다. 한국은 70%가 산지로 다른 나라의 대도시 보다 개발이 불가능한 면적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밀도를 계산하는 방법인 '인구, 세대수, 연면적 / 전체면적' 방법 뿐만아니라 산이라는 자연적인 특징을 감안하여 개 발 가능면적 (Urbanizable Area; UA), 즉 전체면적에서 산의 면적 을 뺸 나머지의 면적을 추가해서 밀도를 비교하고자한다.

개발 가능 밀도

70,000.00

전체 면적

3000

60,000.00

2500

50,000.00 2000

40,000.00 30,000.00

1500

20,000.00

1000

10,000.00 500

0.00 (per Land area)

(per Urbanized area)

0 Households/Land areaHouseholds/urbanized area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density

Songpa

Population - 662,413

Dwelling unit - 256,855

Ratio of Urbanized area(%)- 40.29 70,000.00

3000

60,000.00

2500

50,000.00 40,000.00

2000

30,000.00

1500

20,000.00

1000

10,000.00 500

0.00 (per Land area)

Gwanak

Ratio of Urbanized area(%)- 27.73

(per Urbanized area)

0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density

Households/Land area Households/urbanized area

Population - 528,187

Dwelling unit - 251,957

개발 가능 면적


위의 그래프는 서울의 고밀도 구(gu)를 선정하여 도시화가능 구역 과 전체구역을 각각 계산했을때의 변화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구 와 같이 큰 면적의 행정구역의 밀도는 인구와 세대수를 통해서 계산 을 하였다 그 결과 전체 면적으로 밀도를 계산을 하였을때는 송파구 의 밀도 가장 높은것으로 알 수 있었다. 송파구는 서울의 부도심으로 서울의 주거를 위해 계획이 된 곳이다. 잠실 아파트 단지와 원룸을 통 해서 많은 인구수와 세대수를 가진 밀도가 높은 행정구역이다. 그 뒤로 노원구, 강남구로 관악구를 제외한 나머지 행정구역은 고층 빌딩과 아파트로 알려진 곳이다.

그 후 개발가능면적으로 밀도를 계산을 해보았다. 그 결과 아주 압도 적인 차이로 밀도가 높은 행정구역임을 알 수 있다. 관악구의 경우에 는 관악산과 같이 산의 면적이 높아 절대적인 UA의 면적이 작지만 많 은 인구와 세대수를 가지고 있었다. 관악구 신림, 낙성대와 같은 곳은 서울에서 집값이 싼 지역중에 하나이다. 면적은 작지만 많은 세대와 인구로 구성된 곳이라고 할 수있다. 그리고 세대수에 측정이 되지 않 는 다가구 주택의 비율 또한 높은 곳이라고 할 수있다, 다가구주택의 세대수까지 계산이 된다면 더 높은 밀도를 가진 행정구역이라 볼 수 있다.

관악구 대학동 도시분석

2. 관악구 신림동/ 대학동 관악구의 산지 면적은 서울시의 평균 산지 면적보다 크므로 UA면적 으로 계산한 밀도가 월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관악구의 도시계획 은 산지를 피해서 계획이 되었다. 그리고 이 산들은 주민들의 쉼터와 운동할 수 있는 자연 공원으로 이용된다. 관악구 밀도의 특징을 나타내는 동은 신림동과 대학동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밀도의 대한 생각, 즉 '고밀도 = 고층' 빌딩이라는 편

견을 깨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곳은 평균 4~5층의 높이의 건물들이 주로 있고 평균 용적률은 200% 로 저층, 중층으로 이루어 진 곳이다. 비교적 싼 임대료로 1인가구가 많이 사는 지역으로 작은 집들로 많은 세대수를 구성하고 있는 곳이다. 그 결과로 저층, 중층의 빌딩을 주로 구성하고도 높은 밀도를 가진 행 정구역이 될 수 있었다.

3. 결론 서울이라는 대도시는 대다수가 산지인 지형적인 조건을 극복하고 세 워진 도시 이다. 이 산지들은 방치 되어왔지만 도심속 공원으로 사용 되고 있다. 개발가능면적으로 얻어진 결과를 통해 서울을 분석할 떄 이 산지에 대한 부분은 매우 큰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밀도를 분석할때에는 용적률 뿐만 아니라 세대수, 인구수, 면적

등으로 입체적으로 분석을 해야한다. 수치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그 도시의 밀도가 이루어지게된 배경, 역사, 과정 또한 면밀히 조사가 이 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63


Sketch works 2015-18 "손으로 기억한 공간의 느낌" 색연필, 펜을 이용한 스케치 작업물

Cite industrielle - Tony Garnier

Palazzo Caprini - Donato Bramante

Citta nuova - Antoni Sant'Elia


6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